KR102249034B1 -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도어락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도어락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034B1
KR102249034B1 KR1020200009992A KR20200009992A KR102249034B1 KR 102249034 B1 KR102249034 B1 KR 102249034B1 KR 1020200009992 A KR1020200009992 A KR 1020200009992A KR 20200009992 A KR20200009992 A KR 20200009992A KR 102249034 B1 KR102249034 B1 KR 102249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user terminal
module
flag
loc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동규
김유림
Original Assignee
휴먼플러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먼플러스(주) filed Critical 휴먼플러스(주)
Priority to KR1020200009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07C9/25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electronical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단말기가 도어락에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하여 접속을 시도하면서 1차 인증을 시행한 후에 화자 인증 방식으로 2차 인증을 추가적으로 시행함으로써, 출입 권한이 없는 제3자가 사용자단말기를 습득한 경우에도 임의로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여 출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도어락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도어락 제어방법{Door Lock System and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Speaker Recognition}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버와 도어락에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접속한 후, 화자 인증 방식으로 출입이 가능한 사용자인지를 검증함으로써 보안성과 편의성을 높인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도어락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 장치는 종래의 열쇠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를 제외한 전기적으로 출입 인증을 수행하는 디지털 도어락(Digital Door Lock)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현재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전기적 출입 인증 방식으로는 카드 접촉 방식과 비밀번호 입력 방식이 있다.
카드 접촉 방식으로 과거에는 마그네틱 출입 카드를 이용한 방식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현재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이 적용된 출입 카드를 이용한 방식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비밀번호 입력 방식으로는 도어락 장치 전면부에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물리적인 키패드가 구비되어 있는 방식과, 전기적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필요시 터치스크린 상에 키패드가 현출되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
카드 접촉 방식을 이용한 대부분의 도어락 장치는 출입 카드를 분실하거나 소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를 대비하여 비밀번호 입력 방식을 함께 채택하고 있으며, 카드 인증 방식이나 비밀번호 인증 방식 중 어느 한 인증 방식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어락 장치는 사용상의 편의성은 높으나 출입 카드를 출입 권한이 없는 제3자가 소지하게 되거나, 비밀번호가 출입 권한이 없는 제3자에게 유출되어 범죄에 악용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의 카드 접촉 방식이나 비밀번호 입력 방식의 출입 인증 방식 이외의 보안성이 더욱 향상된 도어락 장치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사용자의 지문이나 홍채 등 생체적 인증 방식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가 있다.
한편, 근래에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도 보급되고 있는데, 스마트폰에 구비되어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인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출입 인증을 수행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블루투스는 벽과 같은 장애물 등에 민감하지 않아 데이터 전송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여러 주파수로 나누어 전송하기 때문에 보안성도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블루투스는 와이파이(Wi-Fi)와 마찬가지로 방향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데, 이러한 특징은 일반적인 경우에는 장점이 되겠지만 도어락 장치의 경우에는 문제가 될 소지가 있다. 즉, 도어락 장치는 공용 공간(실외)에서 전용 공간(실내)으로 사용자가 들어가고자 하는 경우에만 잠금 해제를 위한 출입 카드나 비밀번호 등을 요구하는 것이 필요하며, 전용 공간(실내)에서 공용 공간(실외)로 나가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자의적으로 도어락 장치를 잠금 해제하는 것 이외에 별도의 인증이 요구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블루투스의 경우 방향성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공용 공간에서 전용 공간으로 들어간 이후에도 도어락 장치와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다시 블루투스로 연결된 후 출입 인증 절차가 수행되면서 사용자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도어락 장치가 잠금 해제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952522호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 및 상기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를 이용한 도어락 개폐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특허는 방향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블루투스의 특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외 측에 있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실외 감지센서와 실내 측에 있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실내 감지센서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하고 있을 때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 제10-1952522호(2019.02.20.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단말기가 도어락에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하여 접속을 시도하면서 1차 인증을 시행한 후에 화자 인증 방식으로 2차 인증을 추가적으로 시행함으로써, 출입 권한이 없는 제3자가 사용자단말기를 습득한 경우에도 임의로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여 출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도어락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단말기가 도어락에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하여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단말기의 위치가 도어를 기준으로 공용 공간인지 전용 공간인지를 판단하여 위치에 따라 출입 인증 절차를 수행할 것인지 수행하지 않을 것인지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와는 상관없는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도어락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와 제1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무선통신모듈과, 도어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개폐제어모듈과,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단말기를 등록하는 단말등록모듈과, 상기 제1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등록모듈에 등록된 고유 식별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말인증모듈로 이루어지는 도어락 장치; 상기 도어락 장치와 제1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무선통신모듈과, 서버와 제2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3 무선통신모듈과,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제3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음성입력모듈과, 상기 서버로부터 도어잠금장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처리모듈로 이루어지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제2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4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제4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의 음성을 저장하여 사용자를 등록하는 화자등록모듈과, 상기 제4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여 상기 화자등록모듈에 저장된 음성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도어잠금장치 제어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화자인식모듈로 이루어지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단말인증모듈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인증이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음성입력모듈의 기동을 요청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자동트리거모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단말인증모듈을 통하여 사용자단말기의 인증이 확인되는 제1 조건과, 기존에 업다운플래그모듈에 저장된 플래그 정보가 다운 플래그인 제2 조건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제어처리모듈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개폐제어모듈에 의하여 도어잠금장치가 잠금 해제되는 제3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업(UP) 플래그가 저장되고, 상기 제1 조건과, 기존에 업다운플래그모듈에 저장된 플래그 정보가 업 플래그인 제4 조건과, 사용자에 의하여 도어잠금장치가 잠금 해제되는 제5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다운(DOWN) 플래그가 저장되는 업다운플래그모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트리거모듈은, 상기 업다운플래그모듈에서 상기 제2 조건이 추가적으로 만족되는 경우에 상기 음성입력모듈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도어락 장치의 제1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제2 무선통신모듈간의 연결 감도를 측정하는 감도센싱모듈이 더 포함되며, 상기 감도센싱모듈에서 측정되는 연결 감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낮아지는 제6 조건이 추가적으로 만족되는 경우에 다운 플래그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방법은, 제1 통신방식으로 도어락 장치에 접속된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에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등록하는 단말등록단계; 제1 통신방식으로 상기 도어락 장치에 접속을 시도하는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가 상기 도어락 장치에 등록된 고유 식별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말인증단계; 제2 통신방식으로 서버에 접속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저장하여 사용자를 등록하는 화자등록단계; 제2 통신방식으로 상기 서버에 접속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음성이 상기 서버에 등록된 음성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화자인증단계; 및 상기 화자인증단계에서 사용자의 음성이 인증된 경우, 제2 통신방식으로 서버에서 사용자단말기로 도어잠금장치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하고, 다시 제1 통신방식으로 사용자단말기에서 도어락 장치로 도어잠금장치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하여 도어잠금장치가 잠금 해제되는 도어락해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도어락해제단계 이후, 상기 단말인증단계에서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가 인증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의 기존 플래그가 다운 플래그이고, 상기 도어락해제단계에서 도어잠금장치가 잠금 해제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의 플래그를 업 플래그로 변경하며; 상기 단말인증단계에서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가 인증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의 기존 플래그가 업 플래그이고, 사용자에 의하여 도어잠금장치가 잠금 해제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의 플래그를 다운 플래그로 변경하는 플래그설정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인증단계 이후, 상기 단말인증단계에서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가 인증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의 플래그가 다운 플래그인 경우, 제2 통신방식으로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화자인증단계를 수행할 사용자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구동시키는 자동트리거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락해제단계 이후, 제2 통신방식으로 연결된 상기 도어락 장치와 사용자단말기간의 연결 감도를 측정하는 감도센싱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플래그설정단계는, 상기 단말인증단계에서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가 인증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의 기존 플래그가 업 플래그이고, 사용자에 의하여 도어잠금장치가 잠금 해제되고, 상기 감도센싱단계에서 측정되는 연결 감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낮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의 플래그를 다운 플래그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단말기가 도어락에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접속을 시도하면서 1차 인증을 시행한 후, 서버에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접속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전송하여 화자 인증을 추가적으로 시행함으로써, 출입 권한이 없는 제3자가 사용자단말기를 습득하여 도어락의 잠금 해제를 시도하더라도 추가적인 화자 인증을 통과할 수 없어 보안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단말기가 도어를 기준으로 공용 공간 또는 전용 공간에 위치하고 있는지 도어락 접속 정보와 도어잠금장치 작동 정보를 토대로 판단하여 출입 인증 절차의 실시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도어락 시스템이 사용자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오작동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보안성과 편의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다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등록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자등록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래그설정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개시되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징과 효과,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다른 실시예들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첨부한 도면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200)와 제1 통신방식으로 연결되며 도어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도어락 장치(100), 상기 도어락 장치(100)와 제1 통신방식으로, 서버(300)와는 제2 통신방식으로 연결되는 사용자단말기(200),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와 제2 통신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이용하여 화자 검증을 수행하는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도어락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와 제1 통신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무선통신모듈(110)과, 도어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개폐제어모듈(120)과, 정당한 출입 권한을 가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사전에 등록하기 위한 단말등록모듈(130)과, 도어락 장치(100)에 접속을 시도하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정당한 출입 권한을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말인증모듈(14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상기 도어락 장치(100)와 제1 통신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무선통신모듈(21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도어락 장치(1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제1 통신방식으로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통신 규격 중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를 이용하도록 하는데, 블루투스는 디지털 통신 기기를 위한 개인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으로서, 2.4 ~ 2.485㎓의 단파 UHF 전파를 이용하여 짧은 거리(10 ~ 100m)의 전자장치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이론상 최대 25M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블루투스 기술 중에서도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를 채택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며, 저전력 블루투스는 동작 주기(Duty Cycle)가 수 밀리초(ms) 정도를 유지하며 대부분의 시간 동안 슬립 모드(Sleep Mode)로 있어 전력 소모가 매우 적은 특징이 있다.
저전력 블루투스는 2㎒의 대역폭을 사용하여 1Mbps의 전송 속도로 데이터를 보낼 수 있지만, 동작 주기가 작아서 대부분이 평균 전송 속도는 200kbps 이하이며, 특히 평균 전송 속도를 10kbps 이하로 유지하는 경우에는 전력 효율이 매우 뛰어나 배터리 교환 없이 1년 이상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 공급이 제한되는 장치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블루투스의 네트워크는 마스터(master)/슬레이브(Slave) 모델로써,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가 한 쌍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페어링(Pairing)이라고 한다. 보통 하나의 마스터 장치에 최대 7개의 슬레이브 장치가 동시에 페어링 될 수 있는데,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 간의 통신만 가능할 뿐 슬레이브 장치 간의 통신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락 장치(100)가 마스터 장치의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슬레이브 장치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도어락 장치(1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간에 페어링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마스터 장치인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 슬레이브 장치인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등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 상기 단말등록모듈(130)을 구비하여 이러한 과정이 수행될 수 있게 하는데, 상기 도어락 장치(100)의 단말등록모듈(130)을 활성화하기 위한 스위치나 기타 조작 버튼 등은 도어(10)를 기준으로 전용 공간, 일반적으로 실내 측의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보안 등에 유리할 것이다.
즉,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도어락 장치(100)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보유하고 있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등록하게 되며, 이와 같은 등록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고유 식별 정보가 상기 도어락 장치(100)로 전송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스마트폰인 경우에 고유 식별 정보로서 전화번호,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맥어드레스(Mac Adress) 등이 고유 식별 정보로서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고유 식별 정보는 상기 도어락 장치(100)와 사용자단말기(200) 간의 페어링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정당한 권한을 보유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에서 사용된다.
즉,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 페어링을 요청하면 상기 도어락 장치(100)의 단말인증모듈(140)이 활성화되며, 상기 단말인증모듈(140)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기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고유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기존에 등록된 사용자단말기(200)인 경우에는 상기 도어락 장치(100)와의 페어링을 허가하며,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단말기(200)인 경우에는 페어링을 거부하고 더 이상의 수행 단계를 진행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 페어링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화자 검증을 통한 2차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서버(300)에 접속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상기 서버(300)와 제2 통신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3 무선통신모듈(220)과,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서버(300)로 전송하는 음성입력모듈(230)과, 상기 서버(300)로부터 도어잠금장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처리모듈(240)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와 제2 통신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4 무선통신모듈(310)과, 출입 권한을 보유한 사용자의 음성을 저장하여 등록하는 화자등록모듈(320)과, 출입 권한을 요청한 사용자의 음성이 기존에 등록된 사용자의 음성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화자인식모듈(33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와 서버(300)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제2 통신방식으로는 다양한 원거리 통신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데, 와이파이 장치를 통한 접속이나 LTE 등과 같은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 등이 대표적일 것이다.
상기 서버(300)를 통하여 화자 검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미리 사용자의 음성을 등록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절차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 등록한 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도어락 장치(100)의 단말등록모듈(130)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등록이 이루어진 후,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상기 서버(300)에 접속하여 상기 서버(300)의 화자등록모듈(320)을 활성화 시킨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음성입력모듈(230)을 통해 사용자는 특정 단어 또는 문장을 발성하여 자신의 음성을 입력하도록 하며, 상기 음성입력모듈(230)은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상기 화자등록모듈(320)로 전송한다.
이때, 단순히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만을 상기 서버(300)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도어락 장치(100)의 고유 식별 정보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함께 전송하여 상기 서버(300)에 저장하여 등록하도록 한다. 즉, 상기 도어락 장치(100)의 고유 식별 정보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고유 식별 정보,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서버(300)에 저장하도록 하며, 이와 같이 기기 정보와 음성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여야 다른 도어락 장치(100)나 사용자단말기(200)에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서버(300)의 화자인식모듈(330)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 1차 인증되어 페어링된 후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상기 서버(300)에 접속되면서 활성화 되는데, 사용자가 직접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서버(300)에 접속하고 상기 화자인식모듈(330)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게 하는 것이 도어락 시스템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며, 이를 위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 자동트리거모듈(150)을 더 구비하도록 한다.
즉,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 접속하여 상기 단말인증모듈(140)을 통해 1차 인증을 통과한 후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 페어링 되는 경우, 상기 자동트리거모듈(150)이 활성화 되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음성입력모듈(230)과 상기 서버(300)의 화자인식모듈(330)을 활성화 시키며, 사용자가 특정 단어나 문장을 발성하여 상기 음성입력모듈(230)을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상기 서버(300)로 전송하는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락 장치(100)와 사용자단말기(200)의 고유 식별 정보도 함께 전송하게 된다.
상기 서버(300)의 화자인식모듈(330)은 서버(300)로 전송된 상기 도어락 장치(100)와 사용자단말기(200)의 고유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기존에 등록된 음성 정보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검증하게 된다. 사용자의 음성 정보가 기존에 등록된 음성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화자인식모듈(330)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 잠금 해제 신호를 송신하며,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잠금 유지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제어처리모듈(240)은 상기 서버(300)의 화자인식모듈(330)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 또는 잠금 유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100)로 전송하며, 상기 도어락 장치(100)가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도어잠금장치가 작동되어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며, 잠금 유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도어잠금장치가 작동되지 않으며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의 작동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공용 공간, 즉 실외에 있는 경우만을 상정하여 설명한 것인데, 현실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공간은 전용 공간과 공용 공간을 모두 포함한 공간이며, 따라서 전용 공간에서의 동작과 공용 공간에서의 동작이 달라야 할 것이다.
즉,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전용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 접속되어 페어링 된 경우에는 화자 검증 단계가 실행될 필요가 없으며,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공용 공간에서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 접속될 때에만 화자 검증 단계를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공용 공간에 위치하는지 공용 공간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 업다운플래그모듈(160)을 더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업다운플래그모듈(160)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공용 공간에서 전용 공간으로 들어가는 경우 업 플래그가 저장되고, 전용 공간에서 공용 공간으로 나가는 경우 다운 플래그가 저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업다운플래그모듈(160)이 이를 판단하기 위하여 몇 가지 조건을 확인하게 되는데, 먼저 업 플래그를 저장되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락 장치(100)의 단말인증모듈(140)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인증이 통과되어 페어링 되는 제1 조건과,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해당하는 기존에 저장된 플래그 정보가 다운 플래그인 제2 조건과, 상기 서버(300)에 접속하여 화자 검증을 수행한 후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제어처리모듈(240)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100)의 개폐제어모듈(120)에 의하여 도어잠금장치가 잠금 해제되는 제3 조건을 모두 만족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업다운플래그모듈(160)에 다운 플래그가 저장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조간과,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해당하는 기존에 저장된 플래그 정보가 업 플래그인 제4 조건과,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100)의 도어잠금장치가 잠금 해제되는 제5 조건을 모두 만족하여야 한다.
상술한 업 플래그가 저장되기 위한 조건은 사용자가 공용 공간에서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 접속하여 전용 공간으로 들어가는 상황을 필요조건화 한 것이고, 다운 플래그가 저장되기 위한 조건은 사용자가 전용 공간에서 공용 공간으로 나가는 상황을 필요조건화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자동트리거모듈(150)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 페어링 되었을 때 바로 구동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해당하는 기존에 저장된 플래그 정보가 다운 플래그일 때, 즉 공용 공간에서 전용 공간으로 들어가고자 할 때 구동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해당하는 기존에 저장된 플래그 정보가 업 플래그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전용 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이므로 상기 서버(300)에 접속하여 화자 검증 단계를 수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한편, 상술한 다운 플래그가 저장되기 위한 조건에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서 위치적으로 멀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어느 정도 거리 이상 떨어진 경우를 더 부가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 상기 도어락 장치(100)의 제1 무선통신모듈(110)과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제2 무선통신모듈(210) 간의 연결 감도를 측정하는 감도센싱모듈(170)을 더 구비하도록 하며, 상기 감도센싱모듈(170)에서 측정되는 연결 감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감소하는 제6 조건을 상기 도어락 장치(100)의 업다운플래그모듈(160)의 다운 플래그 저장 조건으로 더 부가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등록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자등록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래그설정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단말등록단계를 살펴보면, 사용자단말기(200)가 도어락 장치(100)에 제1 통신방식으로 접속을 시도하게 되는데, 상기 제1 통신방식은 앞서 언급한 각종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저전력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 접속을 시도하면, 사용자는 상기 도어락 장치(100)를 조작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등록을 허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조작은 도어락 장치(100)의 전용 공간 측에 위치한 장치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서 등록이 허가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상기 도어락 장치(100)로 고유 식별 정보를 전송하게 되는데,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스마트폰인 경우에는 전화번호, UUID, 맥어드레스 등이 고유 식별 정보로 전송될 것이다.
상기 도어락 장치(100)는 수신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게 되며, 차후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 접속하여 페어링을 요청하는 경우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등록한 이후에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등록하는 화자등록단계가 필요한데, 도 4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자등록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사용자단말기(200)가 단말인증단계를 통과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 제1 통신방식으로 접속된 후,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상기 서버(300)에 제2 통신방식으로 접속하게 된다.
상기 서버(300)에 접속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100)의 고유 식별 정보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먼저 전송하게 되며, 이후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사용자가 특정 단어 또는 문구를 발성하여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한다.
획득된 사용자의 음성 정보는 상기 서버(300)로 전송되어 상기 도어락 장치(100)의 고유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고유 식별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하도록 하며, 이와 같이 저장된 정보는 차후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상기 서버(300)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음성 인증을 요청하는 경우 검증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하게 된다.
미리 단말등록단계와 화자등록단계를 거친 사용자단말기(200)를 이용하여 2중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도어락 장치(100)를 제어하게 되는데, 도 5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 제1 통신방식으로 접속을 시도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고유 식별 정보가 기존에 등록된 고유 식별 정보인지를 판단하는 단말인증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단말인증단계를 통과하지 못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접속이 거부되며 출입 인증을 거절하게 되며, 단말인증단계를 통과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다음 단계인 화자인증단계로 넘어가게 된다.
단말인증단계를 통과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자동트리거단계가 수행되어 자동으로 화자인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게 되며, 상기 서버(300)에 제2 통신방식으로 접속하게 된다. 화자인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의 마이크 등을 통하여 특정 단어 또는 문구를 입력하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서버(300)로 사용자 음성 정보만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도어락 장치(100)와 사용자단말기(200)의 고유 식별 정보도 함께 전송하여, 상기 서버(300)에서 상기 도어락 장치(100)와 사용자단말기(200)의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사용자 음성 정보를 찾아 화자 검증을 수행하게 된다.
전송된 사용자 음성 정보와 등록된 사용자 음성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검증 실패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하여 출입 인증이 거절된 것을 통지하도록 한다.
전송된 사용자 음성 정보와 등록된 사용자 음성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버(300)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 검증 성공 메시지를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상기 도어락 장치(100)로 다시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하게 되며,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한 상기 도어락 장치(100)는 도어잠금장치를 잠금 해제하여 공용 공간의 사용자가 출입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락해제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말인증단계를 통과한 후 자동트리거단계가 수행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공용 공간에 위치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플래그설정단계를 먼저 수행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래그설정단계는 먼저 사용자단말기(200)가 상기 도어락장치에 접속하여 단말인증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단말인증단계를 통과하지 못하면 출입 인증이 거절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단말인증단계를 통과하면, 상기 도어락 장치(100)는 획득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고유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플래그 정보가 업 플래그인지 다운 플래그인지 확인하게 된다.
플래그 정보가 다운 플래그인 경우에만 자동트리거단계를 통하여 화자검증단계를 수행하게 되며, 화자검증단계를 통과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100)의 도어잠금장치가 잠금 해제 되어 사용자가 전용 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고유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플래그 정보를 업 플래그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플래그 정보가 업 플래그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미 전용 공간에 있는 경우이므로 사용자가 상기 도어락 장치(100)의 도어잠금장치를 수동으로 잠금 해제하여 공용 공간으로 나가는 경우에만 플래그 정보의 상태를 업데이트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업 플래그인 경우 자동트리거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상기 도어락 장치(100)의 도어잠금장치가 잠금 해제되는지를 확인하여 잠금 해제 되지 않는 경우에는 더 이상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종료하도록 하며, 잠금 해제 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공용 공간으로 나가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고유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플래그 정보를 다운 플래그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플래그설정단계에서 다운 플래그로 업데이트 하기 전에 상기 도어락 장치(100)와 사용자단말기(200)의 제1 통신방식 연결 감도를 측정하는 감도센싱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100)의 도어잠금장치가 사용자에 의해서 잠금 해제된 후 상기 감도센싱단계에서 측정되는 연결 감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고유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플래그 정보를 다운 플래그로 업데이트 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도어락 제어방법은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한 1차 인증과 사용자의 음성을 통한 2차 인증을 수행하여 보다 보안에 뛰어날 뿐만 아니라, 서버(300)와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화자 검증을 수행하도록 하여 도어락 장치(100)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사용자가 공용 공간에 있는지 전용 공간에 있는지 판단하여 화자 검증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오작동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도어
100 - 도어락 장치
110 - 제1 무선통신모듈 120 - 개폐제어모듈
130 - 단말등록모듈 140 - 단말인증모듈
150 - 자동트리거모듈 160 - 업다운플래그모듈
170 - 감도센싱모듈
200 - 사용자단말기
210 - 제2 무선통신모듈 220 - 제3 무선통신모듈
230 - 음성입력모듈 240 - 제어처리모듈
300 - 서버
310 - 제4 무선통신모듈 320 - 화자등록모듈
330 - 화자인식모듈

Claims (9)

  1. 사용자단말기와 제1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무선통신모듈과, 도어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개폐제어모듈과,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단말기를 등록하는 단말등록모듈과, 상기 제1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등록모듈에 등록된 고유 식별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말인증모듈로 이루어지는 도어락 장치;
    상기 도어락 장치와 제1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무선통신모듈과, 서버와 제2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3 무선통신모듈과,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제3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음성입력모듈과, 상기 서버로부터 도어잠금장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처리모듈로 이루어지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제2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4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제4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의 음성을 저장하여 사용자를 등록하는 화자등록모듈과, 상기 제4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여 상기 화자등록모듈에 저장된 음성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도어잠금장치 제어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화자인식모듈로 이루어지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단말인증모듈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인증이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음성입력모듈의 기동을 요청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자동트리거모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단말인증모듈을 통하여 사용자단말기의 인증이 확인되는 제1 조건과, 기존에 업다운플래그모듈에 저장된 플래그 정보가 다운 플래그인 제2 조건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제어처리모듈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개폐제어모듈에 의하여 도어잠금장치가 잠금 해제되는 제3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업(UP) 플래그가 저장되고,
    상기 제1 조건과, 기존에 업다운플래그모듈에 저장된 플래그 정보가 업 플래그인 제4 조건과, 사용자에 의하여 도어잠금장치가 잠금 해제되는 제5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다운(DOWN) 플래그가 저장되는 업다운플래그모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동트리거모듈은,
    상기 업다운플래그모듈에서 상기 제2 조건이 추가적으로 만족되는 경우에 상기 음성입력모듈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도어락 장치의 제1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제2 무선통신모듈간의 연결 감도를 측정하는 감도센싱모듈이 더 포함되며,
    상기 감도센싱모듈에서 측정되는 연결 감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낮아지는 제6 조건이 추가적으로 만족되는 경우에 다운 플래그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6. 제1 통신방식으로 도어락 장치에 접속된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에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등록하는 단말등록단계;
    제1 통신방식으로 상기 도어락 장치에 접속을 시도하는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가 상기 도어락 장치에 등록된 고유 식별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말인증단계;
    제2 통신방식으로 서버에 접속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저장하여 사용자를 등록하는 화자등록단계;
    제2 통신방식으로 상기 서버에 접속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음성이 상기 서버에 등록된 음성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화자인증단계; 및
    상기 화자인증단계에서 사용자의 음성이 인증된 경우, 제2 통신방식으로 서버에서 사용자단말기로 도어잠금장치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하고, 다시 제1 통신방식으로 사용자단말기에서 도어락 장치로 도어잠금장치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하여 도어잠금장치가 잠금 해제되는 도어락해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해제단계 이후,
    상기 단말인증단계에서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가 인증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의 기존 플래그가 다운 플래그이고, 상기 도어락해제단계에서 도어잠금장치가 잠금 해제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의 플래그를 업 플래그로 변경하며;
    상기 단말인증단계에서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가 인증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의 기존 플래그가 업 플래그이고, 사용자에 의하여 도어잠금장치가 잠금 해제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의 플래그를 다운 플래그로 변경하는 플래그설정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단말인증단계 이후,
    상기 단말인증단계에서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가 인증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의 플래그가 다운 플래그인 경우에, 제2 통신방식으로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화자인증단계를 수행할 사용자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구동시키는 자동트리거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해제단계 이후,
    제2 통신방식으로 연결된 상기 도어락 장치와 사용자단말기 간의 연결 감도를 측정하는 감도센싱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플래그설정단계는,
    상기 단말인증단계에서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가 인증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의 기존 플래그가 업 플래그이고, 사용자에 의하여 도어잠금장치가 잠금 해제되고, 상기 감도센싱단계에서 측정되는 연결 감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낮아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의 플래그를 다운 플래그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방법.
KR1020200009992A 2020-01-28 2020-01-28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도어락 제어방법 KR102249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992A KR102249034B1 (ko) 2020-01-28 2020-01-28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도어락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992A KR102249034B1 (ko) 2020-01-28 2020-01-28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도어락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034B1 true KR102249034B1 (ko) 2021-05-07

Family

ID=7591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992A KR102249034B1 (ko) 2020-01-28 2020-01-28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도어락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03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1473A (ja) * 2004-12-09 2006-06-2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20150081387A (ko) * 2014-01-03 2015-07-14 (주)시솔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8369A (ko) * 2014-04-14 2015-10-22 주식회사 아이레보 무선 인증 기능을 구비한 도어록 및 도어록의 무선 인증 방법
KR20170126636A (ko) * 2016-05-10 2017-11-20 주식회사 코맥스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20180049422A (ko) * 2016-11-01 2018-05-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화자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52522B1 (ko) 2017-11-13 2019-05-20 김둘례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 및 상기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를 이용한 도어락 개폐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1473A (ja) * 2004-12-09 2006-06-2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20150081387A (ko) * 2014-01-03 2015-07-14 (주)시솔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8369A (ko) * 2014-04-14 2015-10-22 주식회사 아이레보 무선 인증 기능을 구비한 도어록 및 도어록의 무선 인증 방법
KR20170126636A (ko) * 2016-05-10 2017-11-20 주식회사 코맥스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20180049422A (ko) * 2016-11-01 2018-05-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화자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52522B1 (ko) 2017-11-13 2019-05-20 김둘례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 및 상기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를 이용한 도어락 개폐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166B1 (ko)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7882541B2 (en) Authentication system i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using mobi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1692993B1 (ko) 스마트 도어락
US9870663B2 (en) Authentication of a user provided with a mobile device by a vehicle
US11080953B2 (en) Method, system, and door lock device for controlling door lock
US20050210283A1 (en) Wireless key system
KR101242122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도어락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도어락 장치
US20180359635A1 (en) Securitization of Temporal Digital Communications Via Authentication and Validation for Wireless User and Access Devices
CN105427413A (zh) 智能开锁方法和智能锁具
CN109872440B (zh) 移动人脸识别智能锁控系统及方法
KR101931867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관리시스템
KR101767496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개방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 및 그 제어 방법
KR101652181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공동 현관 출입문 개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22990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160005863A (ko) 태그 리더와 개인 인증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KR101623432B1 (ko) 블루투스 연결에 의한 실내에서의 출입인증을 차단할 수 있는 블루투스 출입인증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62692A (ko) 출입문 개폐 통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도어락 장치 및 출입 보안 시스템
KR102108346B1 (ko) 시간제한 비밀번호를 이용한 도어락 잠금해제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KR20180009278A (ko) 디지털 도어락의 개방 인증 방법
KR101733454B1 (ko) 등록된 스마트폰 키를 제공하는 락킹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49034B1 (ko) 화자 인식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도어락 제어방법
KR102227461B1 (ko) 멀티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잠금해제 방법
JP2008057112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3253940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US20210398375A1 (en) Electronic key management system and ser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