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6405A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6405A
KR20170126405A KR1020170056474A KR20170056474A KR20170126405A KR 20170126405 A KR20170126405 A KR 20170126405A KR 1020170056474 A KR1020170056474 A KR 1020170056474A KR 20170056474 A KR20170056474 A KR 20170056474A KR 20170126405 A KR20170126405 A KR 20170126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baby carriage
pair
guide member
ba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2059B1 (ko
Inventor
준이치 아사노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6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 B62B7/06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the handle bar moves in parallel relation during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유모차(10)는, 한 쌍의 전방 다리(22)를 가진 유모차 본체(15)와, 각 전방 다리(22)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되는 한 쌍의 어태치먼트(60)를 가진다. 각 어태치먼트는, 대응하는 전방 다리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되는 어태치먼트 장착부(61)와, 어태치먼트 장착부의 상부 부분에 마련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어태치먼트 본체부(65)를 가진다.

Description

유모차{STROLLER}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유유아(乳幼兒)를 데리고 나갈 때에 사용되는 유모차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현재, 유유아의 월령에 따라서, 여러 가지의 타입의 유모차가 이용에 제공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14-73701A호는, 월령이 비교적 낮은 유아(乳兒)에 대해 적합한 유모차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14-73701A호에 개시된 유모차는, 한 쌍의 암 레스트(arm rest)와, 한 쌍의 암 레스트를 연결하는 가이드 부재를 가지고 있다. 이 유모차에서는, 암 레스트 및 가이드 부재에 의해서 유유아용 스페이스가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암 레스트 및 가이드 부재는, 유유아를 측부 또는 전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한편,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13-244909A호는, 비교적 높은 월령의 유아(幼兒)에 대해 적합한 유모차를 개시하고 있다. 월령이 높은 유아(幼兒)에 대해서는, 경량이고 취급성이 뛰어난 유모차가 종종 사용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13-244909A호에 개시된 유모차에서는, 유아(幼兒)를 고정하기 위한 벨트 부재가 좌석에 마련되어 있기는 하지만, 암 레스트나 가이드 부재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상과 같이, 유모차의 사용 편리성을 고려하면, 유유아의 월령에 따라 유모차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한 명의 유유아의 성장에 맞추어 복수의 유모차를 준비하는 것은, 경제적인 관점 뿐만 아니라 환경보전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폭넓은 월령의 유아에 대해서 적합한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는,
한 쌍의 전방 다리를 가진 유모차 본체와,
각 전방 다리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되는 한 쌍의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구비하며,
각 어태치먼트는, 대응하는 전방 다리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되는 어태치먼트 장착부와,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부의 상부 부분에 마련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어태치먼트 본체부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가, 상기 어태치먼트 본체부에 장착되어 상기 한 쌍의 어태치먼트를 연결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도록 해도 괜찮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어태치먼트로부터 떼어낼 수 있고, 상기 어태치먼트로부터 떼어내어진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도록 해도 괜찮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 상기 어태치먼트 본체부는 플레이트 모양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 상기 어태치먼트 본체부는 암 레스트(arm rest)로서 기능하도록 해도 괜찮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 상기 한 쌍의 어태치먼트의 상기 어태치먼트 본체부 상에 차일드 시트(child seat)를 배치할 수 있으며, 상기 어태치먼트 본체부는, 상기 차일드 시트와 걸림 가능한 걸림부를 가지도록 해도 괜찮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가, 상기 한 쌍의 어태치먼트의 상기 어태치먼트 본체부 상에 지지되며, 상기 한 쌍의 어태치먼트를 매개로 하여 상기 유모차 본체에 떼어낼 수 있게 유지되는 차일드 시트를 더 구비하도록 해도 괜찮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부에 접속되어 상기 한 쌍의 어태치먼트를 연결하는 연결축 부재가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 상기 연결축 부재는,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부에 떼어낼 수 있게 접속되어도 괜찮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는, 폭넓은 월령의 유유아(乳幼兒)에 대해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유모차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유모차의 측면도.
도 3은 어태치먼트를 장착한 상태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어태치먼트 및 차일드 시트를 장착한 상태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유모차의 측면도.
도 6은 도 3의 유모차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도 2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8은 도 2의 유모차의 시트 지지체 및 가이드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어태치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어태치먼트를 다른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차일드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중, 도 1에는, 유모차의 전체 구성이 나타내어져 있다. 유모차(10)는, 유아를 데리고 나갈 때에 이용된다. 도 1에 나타내어진 유모차(10)는, 유모차 본체(15)와, 유모차 본체(15)에 장착된 베이스 시트(sheet)재(11)와,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乳幼兒)의 상부에 위치하는 덮개(12)와,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하부에 배치된 바구니(13)와, 양단이 유모차 본체(15)에 장착된 가이드 부재(70)를 가지고 있다. 가이드 부재(70)는,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전방을 폭방향으로 연장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어진 유모차(10)의 측면도이다. 또, 베이스 시트재(11)는, 도 2 및 후술하는 도면에서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한편,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10)는, 유모차 본체(15)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되는 어태치먼트(60)를, 더 가지고 있다. 이 어태치먼트(60)는, 유모차 본체(15)에 장착된 상태에서,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전측방(前側方)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어태치먼트(60)에 가이드 부재(70)를 장착할 수 있다. 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어태치먼트(60) 상에 차일드 시트(child seat)(80)를 지지할 수도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유모차(10)는, 유모차 본체(15)에 더하여, 부속품으로서의 어태치먼트(60), 가이드 부재(70), 및, 차일드 시트(80)를 적절히 조합시켜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폭넓은 월령의 유아에 대해 적합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하, 유모차 본체(15), 어태치먼트(60), 가이드 부재(70), 및, 차일드 시트(80)에 대해 순서대로 설명해 간다.
또, 본 명세서 중에서, 유모차(10) 및 그 구성요소에 대해서 이용하는「전(前)」,「후(後)」,「상(上)」 및「하(下)」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는 경우, 전개(展開) 상태로 있는 유모차(10)의 베이스 시트재(11) 상에 착석한 유유아를 기준으로 하는「전」,「후」,「상」 및「하」를 의미한다. 따라서,「전후 방향」이란, 도 1에서의 지면의 좌측 아래와 우측 위를 연결하는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전」이란, 유유아가 향하는 측이며, 도 1에서의 지면의 좌측 아래측이「전측」이 된다. 한편,「상하 방향」이란 전후 방향에 직교함과 아울러 유모차(10)의 접지면(接地面)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유모차(10)의 접지면이 수평면인 경우,「상하 방향」이란 수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횡방향」 및「폭방향」은,「전후 방향」 및「상하 방향」중 어느 것에도 직교하는 방향이다. 게다가,「우(右)」 및「좌(左)」에 대해서도, 각각,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횡방향 또는 폭방향에서의「우」 및「좌」를 의미한다.
먼저, 유모차 본체(15)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5)는, 시트 지지체(40)와, 시트 지지체(40)를 지지하는 차체 프레임(18)을 가지고 있다. 이 중 먼저, 주로 도 8을 참조하면서, 시트 지지체(40)에 대해 설명한다.
시트 지지체(40)는, 주된 구성으로서, 유유아의 상반신의 후방에 위치하고 유유아를 후방으로부터 지지하게 되는 배부(背部) 지지체(42)와, 유유아의 엉덩이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엉덩이부를 하부로부터 지지하게 되는 좌부(座部) 지지체(50)를 가지고 있다. 배부 지지체(42)는, 좌부 지지체(50)에 후방으로부터 접속하고 있다. 배부 지지체(42)는, 좌부 지지체(50)에 대해서 요동(搖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배부 지지체(42)의 좌부 지지체(50)에 대한 요동 각도, 즉 리클라이닝 각도는, 배부 지지체(42)의 배면을 통과하여 차체 프레임(18)에 장착된 리클라이닝 조절 벨트(33)(도 2 참조)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서, 조절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부 지지체(42)는, 폭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된 한 쌍의 측(側)프레임부(44)와, 한 쌍의 측프레임부(44, 44)의 상단부에 피봇 장착된 상부 프레임부(47)를 가지고 있다. 각 측프레임부(44)의 하단부는, 좌부 지지체(50)에 피봇 장착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부(47)는, 각 측프레임부(44)에 접속하는 한 쌍의 측부(47a, 47a)와, 한 쌍의 측부(47a, 47a) 사이를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연결부(47b)를 포함하며, 세 방향 프레임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지지체(40)에 베이스 시트재(11)(도 1 참조)가 장착된 경우, 한 쌍의 측프레임부(44, 44)의 사이의 영역에 유유아의 등 가운데를 지지하는 면이 형성되고, 상부 프레임부(47)에 의해 둘러싸여진 영역 내에 유유아의 머리 부분을 지지 또는 보호하는 면이 형성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부 지지체(42)는, 상부 프레임부(47)의 각 측부(47a)에 일단부가 피봇 장착된 한 쌍의 접속 프레임부(48)를, 더 가지고 있다. 접속 프레임부(48)의 타단부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28)에 피봇 장착되어 있다. 접속 프레임부(48)는, 베이스 시트재(11)(도 1 참조)를 지지하고, 유모차(10)에 착석한 유유아를 측부로부터 보호한다. 또, 접속 프레임부(48)는, 리클라이닝 동작에 따라서, 상부 프레임부(47)를 측프레임부(44)에 대해서 회동시키는 링크재로서도 기능한다.
다음으로, 이어서 도 8을 주로 참조하면서, 좌부 지지체(50)에 대해 설명한다. 좌부 지지체(5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프레임 부분(50a, 50a)과, 한 쌍의 측프레임 부분(50a, 50a)의 선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부분(50b)을 포함하며, 프레임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만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좌부 지지체(50)는, 배부 지지체(42)의 각 측프레임부(44)와 피봇 장착된 한 쌍의 단부 접속재(52, 52)와, 각 단부 접속재(52)에 전방으로부터 접속하고 또한 한 쌍의 단부 접속재(52, 52) 사이를 연결하는 프레임재(54)를 가지고 있다. 단부 접속재(52)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프레임재(54)는, 통 모양 금속을 굽힘 가공하여 제작한 부재로 이루어진다. 프레임재(54)의 양단부는, 대응하는 측의 단부 접속재(52)에, 체결구(具)(56)를 매개로 하여, 고착되어 있다. 또, 단부 접속재(52)와 프레임재(54)의 일부분에 의해서, 측프레임 부분(50a)이 형성되고, 프레임재(54)의 그 외의 부분에 의해서, 연결 프레임 부분(50b)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지지체(40)는, 한 쌍의 단부 접속재(52, 52)의 사이를 연결하는 후측 상부 연결부재(41)를, 더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주로 도 1,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지지체(40)를 지지하는 차체 프레임(18)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 7에서는, 도면에서의 바로 앞측(유모차(10)에서의 우측)에 배치되어야 할 일부의 구성요소를 생략하고 있다. 도 1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트 지지체(40)의 양측에, 프레임 부재(20), 전방 다리(22) 및 후방 다리(25)가 마련되어 있다. 각 프레임 부재(20)는, 유모차(10)에 착석한 유유아의 측부에 위치한다. 이 프레임 부재(20)의 전방 부분(도시된 예에서는, 전단부)에, 대응하는 측의 전방 다리(22) 및 후방 다리(25)의 상부 부분(도시된 예에서는, 상단부)이,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한 쌍의 전방 다리(22, 22)의 하단부에, 각각, 전륜(23)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후방 다리(25, 25)의 하단부에, 각각, 후륜(26)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프레임 부재(20)의 후방 부분(도시된 예에서는, 후단부)이, 핸들(28)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핸들(28)은, 폭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된 한 쌍의 연장부(28a, 28a)와, 한 쌍의 연장부(28a, 28a)의 사이를 연결하는 파지부(28b)를 가지며, 전체로서 대략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28a)는, 막대 모양으로 연장되어 있고, 핸들(28)의 중간 부분 또는 하부 부분에, 프레임 부재(20)가 피봇 장착되어 있다.
도 2 및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18)은, 각 전방 다리(22)의 중간부에 피봇 장착된 한 쌍의 전방 다리 연결부재(38)와, 각 후방 다리(25)의 중간부에 피봇 장착된 한 쌍의 후방 다리 연결부재(39)를 가지고 있다. 도 2 및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18)은, 그 전방 다리 연결부재(38) 및 후방 다리 연결부재(39)에서, 시트 지지체(40)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18)은, 시트 지지체(40)의 접속 프레임부(48)와도 접속하고 있다. 전방 다리 연결부재(38)는, 그 하단부(전단부)를, 전방 다리(22)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전방 다리 연결부재(38)의 상단부(후단부)는, 좌부 지지체(50)의 측프레임 부분(50a)에 접속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 다리 연결부재(38)의 상단부(후단부)는, 좌부 지지체(50)를 이루는 단부 접속재(52)에 고착되어 있다. 후방 다리 연결부재(39)는, 그 하단부를, 후방 다리(25)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후방 다리 연결부재(39)의 상단부는, 시트 지지체(40)의 좌부 지지체(50)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서는, 배부 지지체(42)의 좌부 지지체(50)에 대한 요동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시트 지지체(40)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되도록, 후방 다리 연결부재(39)는 시트 지지체(40)에 피봇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후방 다리 연결부재(39)는, 좌부 지지체(50) 뿐만 아니라, 배부 지지체(42)에 대해서도 요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또, 핸들(28)의 각 연장부(28a)의 하단부는, 후방 다리 연결부재(39)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서는, 후방 다리 연결부재(39)의 시트 지지체(40)에 대한 요동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후방 다리 연결부재(39)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되도록, 핸들(28)은 후방 다리 연결부재(39)에 피봇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28)은, 후방 다리 연결부재(39) 뿐만 아니라, 시트 지지체(40)의 배부 지지체(42) 및 좌부 지지체(50)에 대해서도 요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10)의 횡방향(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로서, 한 쌍의 전방 다리(22, 22)의 사이를 연결하는 풋 레스트(foot rest)(30)와, 한 쌍의 후방 다리(25, 25)의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 하부 연결부재(31)가 마련되어 있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70)와 접속 가능한 받이구(具)(58)가, 유모차 본체(15)에 마련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받이구(58)는, 시트 지지체(40), 특히 시트 지지체(40)의 단부 접속재(52)에 체결구(56)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어 있다. 받이구(58)는, 가이드 부재(70)의 단부를 받는 받이 오목부(58a)를 가지고 있다. 받이 오목부(58a)는, 받이구(58) 내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70)를 받아들이기 위한 중공(中空) 공간으로서, 받이구(58) 선단면에 개구하고 있다. 다만,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받이구(58)는, 단부 접속재(52) 이외의 좌부 지지체(50)에 고정되어 있어도 괜찮으며, 또는, 단부 접속재(52)나 차체 프레임(18)에 고정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상과 같은 전체 구성을 가진 유모차 본체(15)는, 각 구성 부재를 서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핸들(28)을 일단 후측 상부로 끌어올리고, 그 후, 하부로 눌러 내리는 것에 의해서, 후방 다리 연결부재(39)를 후방 다리(25)에 대해 도 2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조작에 따라서, 프레임 부재(20) 및 전방 다리 연결부재(38)는 핸들(28)에 대해 도 2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측면에서 보아 핸들(28)과 전방 다리(22)가 접근하여 대략 평행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핸들(28)의 배치 위치가 내려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유모차 본체(15)를 접을 수 있어, 유모차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른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6에는, 어태치먼트(60)가 장착된 유모차 본체(15)를 접은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한편, 유모차 본체(15)를 접힘 상태로부터 전개하려면, 상술한 접힘 조작과 반대의 순서를 거치면 된다.
다음으로, 어태치먼트(6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의 전방 다리(22)에 우측의 어태치먼트(60)가 장착되고, 좌측의 전방 다리(22)에 좌측의 어태치먼트(60)가 장착되어 있다. 한 쌍의 어태치먼트(60)는, 대칭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어태치먼트(60)는, 대응하는 전방 다리(22)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되는 어태치먼트 장착부(61)와, 어태치먼트 장착부(61)의 상부 부분에 마련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어태치먼트 본체부(65)를 가지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 어태치먼트 장착부(61)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제나 수지성의 통 모양재로 이루어지는 축부재(62)와, 축부재(62)에 고정된 상측 잠금구(具)(63) 및 하측 잠금구(64)를 가지고 있다. 축부재(62)는, 대응하는 전방 다리(22)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도시된 예에서는 전방 다리(22)와 마찬가지로 직선 모양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측 잠금구(64)는, 축부재(62)의 하단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상측 잠금구(63)는, 축부재(62)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하측 잠금구(64)로부터 이간한 위치에서, 축부재(62)에 고정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축부재(62)의 상단 부분에 어태치먼트 본체부(65)가 고정되어 있고, 하측 잠금구(64)는, 어태치먼트 본체부(65)의 바로 아래가 되는 위치, 즉 축부재(62)의 상부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상측 잠금구(63) 및 하측 잠금구(64)는, 축부재(62)를 전방 다리(22)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 가능한 여러 가지의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도시된 예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잠금구(63) 및 하측 잠금구(64)는, 모두, 전방 다리(22)를 둘레 모양으로 포위(包圍)하는 통 모양부(63a, 64a)를 형성할 수 있다. 이 통 모양부(63a, 64a)를 개방함으로써, 어태치먼트(60)를 전방 다리(22)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그리고, 상측 잠금구(63)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 모양부(63a)의 내면에 돌기(63b)를 가지고 있다. 한편, 전방 다리(22)에는, 이 돌기(63b)를 수용할 수 있는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 잠금구(63)의 돌기(63b)와 전방 다리(22)의 구멍을 걸리게 하는 것에 의해, 전방 다리(22)의 길이 방향을 따른 특정의 위치에 어태치먼트(60)를 배치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상측 잠금구(63)의 돌기(63b)가 전방 다리(22)의 구멍에 들어가지 않는 경우에는, 통 모양부(63a)를 형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어태치먼트 본체부(65)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지며, 축부재(62)로의 접속 위치로부터 전방 또한 상부로 넓어져 있다. 도시된 예에서, 어태치먼트 본체부(65)는, 판 모양(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어태치먼트 본체부(65)는, 평탄한 상부면(65a)을 가지고 있고, 암 레스트로서 기능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서, 어태치먼트 본체부(65)에는, 가이드 부재(70)가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어태치먼트 본체부(65)는, 가이드 부재(70)의 단부를 받는 받이 오목부(65b)를 가지고 있다. 받이 오목부(65b)는, 어태치먼트 본체부(65) 내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70)를 받아 들이기 위한 중공 공간으로서, 어태치먼트 본체부(65)의 전방면에 개구되어 있다. 또, 받이 오목부(65b) 내에는, 받이 오목부(65b) 내에 삽입된 가이드 부재(70)의 걸림 돌기(75a)와 걸림 가능한 걸림 홈(65c)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 홈(65c)은, 어태치먼트 본체부(65)의 외표면에까지 노출된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서, 어태치먼트 본체부(65)는, 그 상부면(65a)(도 9 참조)에서, 차일드 시트(80)를 하부로부터 지지한다. 그리고, 어태치먼트 본체부(65)에는, 상부면(65a)의 단부에, 차일드 시트(80)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가이드부(65d)(도 9 참조)를 가지고 있다. 또,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면(65a) 상에 재치된 차일드 시트(80)와 걸림 가능한 걸림부(67)가, 어태치먼트 본체부(65)에 마련되어 있다. 차일드 시트(80)가, 어태치먼트 본체부(65)에 마련된 걸림부(67)와 걸림으로써, 차일드 시트(80)의 유모차 본체(15) 및 어태치먼트(60) 상에서의 경도(傾倒), 및, 차일드 시트(80)의 유모차 본체(15) 및 어태치먼트(60) 상으로부터의 탈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걸림부(67)는, 어태치먼트 본체부(65)로부터 측외부로 돌출된 측부 돌출 핀(68)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 본체부(65)의 내측면에는, 차일드 시트(80)와 걸림 가능한 경사 방지부(65e)가 마련되어 있다. 경사 방지부(65e)는, 도시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어태치먼트(60) 상에 재치된 차일드 시트(80)는, 측부 돌출 핀(68)과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 어태치먼트(60)에 대해서 경사 가능하게 된다. 경사 방지부(65e)는, 차일드 시트(80)와 맞닿음으로써, 측부 돌출 핀(68)과 걸려 있지 않은 차일드 시트(80)가, 어태치먼트(60) 상에서 경사져 버리는 것을 규제한다.
도 3~도 5에 나타내어진 예에서, 어태치먼트(60)가 전방 다리(2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측 잠금구(63)는, 전방 다리(22) 위 중, 전방 다리 연결부재(38)와의 접속 위치보다도 상부에 위치하고 있고, 하측 잠금구(64)는, 전방 다리(22) 위 중, 전방 다리 연결부재(38)와의 접속 위치보다도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 어태치먼트(60)가 전방 다리(22)에 장착된 상태에서, 축부재(62)는, 전방 다리(22)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60)는, 유모차 본체(15)로부터 떼어낼 수 있기 때문에,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아의 월령에 따라서, 어태치먼트(60)를 떼어내고 유모차(10)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어진 예에서, 한 쌍의 어태치먼트(60)는, 연결축 부재(69)를 매개로 하여 서로 접합되어 있다. 연결축 부재(69)의 각 단부가, 대응하는 측에 위치하는 어태치먼트(60)의 어태치먼트 장착부(61)에 접속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축 부재(69)의 각 단부가, 어태치먼트 장착부(61)의 하측 잠금구(64)에 접속되어 있다. 또, 연결축 부재(69)는, 각 어태치먼트(60)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연결축 부재(69)는, 통 모양 본체부(69a)와, 통 모양 본체부(69a)로부터 돌출된 핀(69b)을 가지고 있다. 핀(69b)은, 스프링등의 가압 부재에 의해, 통 모양 본체부(69a)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횡단 방향에서의 외부로 향하여 통 모양 본체부(69a)로부터 돌출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하측 잠금구(64)에는, 이 핀(69b)을 받기 위한 관통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핀(69b)이 관통공에 끼워짐으로써, 연결축 부재(69)가 어태치먼트(60)에 접속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핀(69b)을 통 모양 본체부(69a)로 향하여 밀어 넣음으로써, 핀(69b)이 관통공으로부터 빠져, 연결축 부재(69)를 어태치먼트(60)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가이드 부재(70)에 대해 설명한다. 가이드 부재(70)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어태치먼트(60)의 사이에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도시된 예에서, 가이드 부재(7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60)를 매개로 하지 않고, 유모차 본체(15)에 직접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70)는, 유모차(10)에 착석한 유유아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부재이다. 가이드 부재(70)는, 유모차(10)에 착석한 유유아가 전방으로 벗어나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또,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아를 전방으로부터 보호한다. 그 한편으로, 가이드 부재(70)는, 어태치먼트(60) 및 유모차 본체(15)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유모차(10)에 유유아를 태우고 내릴 때, 가이드 부재(70)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의 월령에 따라서는, 가이드 부재(70)는 반드시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가이드 부재(70)를 떼어내고 유모차(10)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70)는, 벨트 모양의 가이드 본체(71)와, 가이드 본체(71)의 양단에 각각 고정된 단부 접속구(具)(72)를 가지고 있다. 이 중, 가이드 본체(71)는, 만곡 가능 또는 굴곡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일례로서 수지나 고무로 이루어지는 벨트 모양의 부재에 의해서, 가이드 본체(71)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단부 접속구(72)는, 가이드 본체(71)의 양단부를 파지하고, 가이드 부재(70)의 양단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단부 접속구(72)는, 어태치먼트(60) 또는 유모차 본체(15)로의 접속 부위를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70)의 단부 접속구(72)를 받는 어태치먼트 본체부(65)에는, 받이 오목부(6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받이 오목부(65b)에는, 가이드 부재(70)의 단부 접속구(72)에 형성된 텅부(tongue部)(74)가 삽입되게 된다. 받이 오목부(65b)에는 걸림 홈(65c)이 형성되고, 텅부(74)에는 걸림 돌기(75a)가 형성되어 있다. 텅부(74)의 걸림 돌기(75a)가, 받이 오목부(65b)의 걸림 홈(65c)에 끼워 넣어지는 것에 의해, 가이드 부재(70)가 어태치먼트(60)에 고정된다. 또, 걸림 돌기(75a)와 걸림 홈(65c)과의 걸림은, 텅부(74)를 휘게 하는 것에 의해 해제된다. 걸림 돌기(75a)와 걸림 홈(65c)과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가이드 부재(70)를 어태치먼트(60)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70)는, 유모차 본체(15)의 받이구(58)에 장착할 수 있다. 받이구(58)의 받이 오목부(58a)는, 어태치먼트(60)의 받이 오목부(65b)와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또, 받이구(58)에는, 어태치먼트(60)의 걸림 홈(65c)과 동일한 걸림 홈(58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9에 나타내어진 하나의 구체예에 근거하여, 단부 접속구(72)에 대해 추가로 상술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텅부(74)는, 상술한 걸림 돌기(75a)가 형성된 텅편(tongue片)(75)과, 텅편(75)을 지지하는 지지부(76)를 가지고 있다. 텅편(75)은, 가이드 부재(70)의 선단이 되는 측에 위치하는 기단부(75b)에 의해 지지부(76)에 접속되어 있다. 기단부(75b)의 반대측이 되는 텅편(75)의 선단부(75c)를 압압(押壓)하는 것에 의해, 텅편(75)은 지지부(76)에 대해서 휠 수 있다. 제1 부재(73)의 텅부(74)가, 어태치먼트(60)의 받이 오목부(65b) 또는 받이구(58)의 받이 오목부(58a)에 삽입되고, 텅편(75)의 걸림 돌기(75a)가 받이 오목부(65b, 58a)의 걸림 홈(65c, 58b)에 끼워 넣어지는 것에 의해, 가이드 부재(70)가 어태치먼트(60) 또는 받이구(58)에 고정된다. 한편, 텅편(75)의 선단부(75c)를 압압하는 것에 의해, 걸림 돌기(75a)가 걸림 홈(65c, 58b)으로부터 빠진다. 이것에 의해, 텅부(74)를 받이 오목부(65b, 58a)로부터 꺼내어, 가이드 부재(70)를 어태치먼트(60) 또는 받이구(58)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차일드 시트(80)에 대해 설명한다. 차일드 시트(80)는, 체격이 작은 유유아를, 어른용으로 제작된 차량의 좌석에 안정되게 착석 또는 옆으로 눕히기 위해 사용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5)는, 어태치먼트(60)를 매개로 하여 차일드 시트(80)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차일드 시트(80) 내에 수면 중인 유유아를 일으켜 버리지 않고, 차량으로부터 유모차(10)로 바꿔 타거나 또는 유모차(10)로부터 차량으로 바꿔 타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80)는, 유유아를 수용하는 케이싱(81)과, 케이싱(81)에 장착된 파지 손잡이(84)를 가지고 있다. 케이싱(81)은, 유유아를 착석 또는 옆으로 눕힐 수 있는 수용체로 되어 있다. 케이싱(81)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쿠션재가 배치된다. 유아는, 이 쿠션재 상에 착석 또는 옆으로 눕혀진다. 케이싱(81)은, 상부 가장자리부에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부(82)를 가지고 있다. 이 위치 결정 돌기부(82)는, 유모차 본체(15) 상에 재치되었을 때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28)에 맞닿게 된다. 위치 결정 돌기부(82)가 핸들(28)에 맞닿는 것에 의해, 차일드 시트(80)가 유모차 본체(15)에 대해서 후방으로 위치가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81)은, 그 양측부에 마련된 한 쌍의 측부 팽출부(膨出部)(83)를 가지고 있다. 측부 팽출부(83)는, 측외부로 팽출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80)를 유모차 본체(15) 상에 유지하는 경우, 이 측부 팽출부(83)가, 어태치먼트(60)의 어태치먼트 본체부(65) 상에 재치된다. 어태치먼트 본체부(65) 상에 재치된 측부 팽출부(83)는, 어태치먼트 본체부(65)의 가이드부(65d)와 맞닿게 된다. 측부 팽출부(83)가 가이드부(65d)에 맞닿는 것에 의해, 차일드 시트(80)가 유모차 본체(15)에 대해서 전방으로 위치가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측부 팽출부(83)는, 어태치먼트 본체부(65)의 걸림부(67)(측부 돌출 핀(68))와 걸리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또, 측부 팽출부(83)는, 미도시의 노치에 수용된 측부 돌출 핀(68)을 유지하는 미도시의 락 수단을 가지고 있다. 이 락 수단에 의해서, 차일드 시트(80)가 어태치먼트(60)로부터 의도치 않게 빠져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파지 손잡이(84)는, U자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파지 손잡이(84)의 양단부가 측부 팽출부(83)에 측외부로부터 덮이도록 하여, 파지 손잡이(84)는 케이싱(81)에 장착되어 있다. 파지 손잡이(84)는, 케이싱(81)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상에서 설명해 온, 유모차(10)는, 유유아의 성장 단계에 맞추어, 월령이 낮은 시기로부터 순서대로, 다음의 제1~ 제5 사용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제1 사용 형태 내지 제5 사용 형태로부터 유유아의 월령에 따라 적합한 형태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폭넓은 월령의 유유아에 대해서 적합한 유모차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가장 월령이 낮은 유아(乳兒)에 적합한 제1 사용 형태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60) 및 차일드 시트(80)를 유모차(10)에 장착하는 사용 형태이다. 월령이 낮은 유아(乳兒)는, 차일드 시트(80)에 의해서, 보다 안전하게 보호되게 된다. 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진 예에서, 차일드 시트(80) 내의 유아(乳兒)는, 유모차(10)의 진행 방향에서의 후방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핸들(28)을 파지하여 유모차(10)를 후방으로부터 조종하는 보호자는, 월령이 낮은 유아(乳兒)의 얼굴을 보고 유아(乳兒)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가이드 부재(70)가 어태치먼트(60)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80)를 유모차 본체(15)에 장착할 때, 차일드 시트(80)가 배치되어야 할 스페이스가, 한 쌍의 프레임 부재(20)와, 한 쌍의 어태치먼트(60)와, 가이드 부재(70)에 의해서 구획된다. 이것에 의해, 시각적으로 차일드 시트(80)의 배치를 인식할 수 있어, 차일드 시트(80)를 유모차 본체(15)에 의해 확실히 장착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진 형태에서, 가이드 부재(70)는, 그 유아를 전방으로부터 보호한다고 하는 본질적인 기능을 발휘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제1 형태에서는, 가이드 부재(70)를 떼어내어도 좋다. 그 한편으로, 가이드 부재(70)가 어태치먼트(60)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차일드 시트(80)를 어태치먼트(60) 및 유모차 본체(15) 상에 재치할 수 있다. 게다가, 가이드 부재(70)는, 차일드 시트(80)의 전방으로의 벗어남을 규제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게다가 가이드 부재(70)의 분실을 방지하는 관점으로부터, 어태치먼트(60)에 가이드 부재(70)를 장착한 그대로 하는 것도 유용하다.
다음으로, 제2 사용 형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80)가 떼어내어지고, 그 한편으로, 어태치먼트(60)가 유모차 본체(15)에 장착되며 또한 가이드 부재(70)가 어태치먼트(60)에 장착된다. 도 3에 나타내어진 제2 사용 형태에서, 어태치먼트(60)는, 유모차(10)에 착석한 유유아의 측부에 위치할 수 있고, 가이드 부재(70)는, 유모차(10)에 착석한 유유아의 전방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이 어태치먼트(60) 및 가이드 부재(70)에 의해, 유유아를 측부 및 전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또, 보호자에 대해서 시각적인 안심감을 줄 수 있다. 게다가, 차일드 시트(80)를 떼어낸 것에 의해, 유모차(10)가 큰 폭으로 경량화된다. 따라서, 유모차(10)의 취급성을 큰 폭으로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서는, 어태치먼트(60)의 어태치먼트 본체부(65)가, 시트 지지체(40)의 좌부 지지체(50)보다도 상부에 위치하고, 또한, 프레임 부재(2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복하는 높이 위치에서 당해 프레임 부재(20)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게다가, 어태치먼트 본체부(65)는,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넓어지는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성에 의해, 어태치먼트 본체부(65)는 효과적으로 유유아를 측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 어태치먼트(60)가 유모차 본체(15)에 장착된 상태에서, 어태치먼트 본체부(65)는, 프레임 부재(20)로부터 이간하여 프레임 부재(20)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프레임 부재(20)와 어태치먼트 본체부(65)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80)를 장착 및 떼어낼 때, 유모차(10)를 접을 때 및 전개할 때, 그리고, 유모차(10)의 주행 중에 어태치먼트(60)가 전방 다리(22)에 대해서 진동했을 때에, 어태치먼트 본체부(65)와 프레임 부재(20)와의 사이에 의류 등이 사이에 끼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서는, 어태치먼트 본체부(65)와 프레임 부재(20)와의 사이의 간극이, 전방 다리(22)와 어태치먼트 장착부(61)와의 사이의 간극보다도 큰 폭으로, 예를 들면 5배~15배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어태치먼트 본체부(65)와 프레임 부재(20)와의 사이로의 끼워 넣어짐을 간단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태치먼트 본체부(65)와 프레임 부재(20)와의 사이에 팔 등이 끼워진 경우에, 빠지지 않게 되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제2 사용 형태 내지 제5 사용 형태에서, 유모차(10)에 착석한 유유아는, 유모차(10)의 진행 방향 전방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60)는, 전방 다리(22)에만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어태치먼트(60) 및 가이드 부재(70)를 유모차 본체(15)에 장착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유모차(10)의 전개 및 접힘이 가능해진다. 특히, 도 9에 나타내어진 예에서는, 어태치먼트(60) 및 가이드 부재(70)를 장착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접혀진 유모차(10)가, 자립(自立)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수납 및 보관시에서의 유모차(10)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사용 형태는, 도 3에 나타내어진 상태로부터 가이드 부재(70)를 빼낸 상태이다. 즉, 제3 사용 형태에서는, 유모차 본체(15)에 어태치먼트(60)만을 장착한 상태가 된다. 제3 사용 형태에서는, 제2 사용 형태와 마찬가지로, 어태치먼트(60)에 의해, 유유아를 측부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또, 보호자에 대해서 시각적인 안심감을 줄 수 있다. 또, 유유아의 전방의 시야에 가이드 부재(70)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유유아는, 개방감이 있는 쾌적성을 누릴 수 있다.
또, 제3 사용 형태에서는, 시트 지지체(40) 자체에 마련된 벨트재 등에 의해서, 유유아를 유모차 본체(15)에 고정하도록 해도 괜찮다. 시트 지지체(40) 자체의 벨트재 등을 대신하여 또는 추가하여, 어태치먼트(60)로부터 떼어낸 가이드 부재(70)를 유모차 본체(15)에 직접 장착하고, 이 가이드 부재(70)를 이용하여, 유아를 유모차 본체(15)에 고정해도 괜찮다.
제4 사용 형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60)를 떼어내고, 유모차 본체(15)에 가이드 부재(70)를 직접 장착한 상태이다. 제4 형태에서는, 유모차 본체(15)에 장착한 가이드 부재(70)에 의해서, 유모차 본체(15)에 유유아를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유유아의 전방 및 측부의 시야에 가이드 부재(70)나 어태치먼트(60)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유아는, 개방감이 있는 쾌적성을 누릴 수 있다. 또, 어태치먼트(60)를 떼어내는 것에 의해, 유모차(10)가 경량화되어, 유모차(10)의 취급성이 더 개선된다.
제5 사용 형태는, 도 3에 나타내어진 상태로부터 가이드 부재(70)를 떼어낸 상태이다. 즉, 제5 형태에서는, 어태치먼트(60), 가이드 부재(70) 및 차일드 시트(80)가 모두 유모차 본체(15)로부터 떼어내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유모차(10)의 개량화가 한층 더 실현되고, 유모차(10)의 취급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5 사용 형태에서는, 시트 지지체(40) 자체에 마련된 벨트재 등에 의해서, 유유아를 유모차 본체(15)에 고정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해 온 본 실시 형태에서, 유모차(10)는, 한 쌍의 전방 다리(22)를 가진 유모차 본체(15)와, 각 전방 다리(22)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되는 한 쌍의 어태치먼트(60)를 가지고 있다. 각 어태치먼트(60)는, 대응하는 전방 다리(22)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되는 어태치먼트 장착부(61)와, 어태치먼트 장착부(61)의 상부 부분에 마련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어태치먼트 본체부(65)를 가지고 있다. 즉, 이 유모차(10)에서는, 어태치먼트(60)를 유모차 본체(15)의 전방 다리(22)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어태치먼트(60)의 어태치먼트 본체부(65)를,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측부에 배치할 수 있다. 이 어태치먼트 본체부(65)에 의해, 유유아를 측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어태치먼트(60)를 유모차 본체(15)에 장착한 상태에서, 월령이 비교적 낮은 유아(乳兒)를 보다 안전하게 유모차(10)에 승차시킬 수 있다. 한편, 유모차 본체(15)는, 별도의 어태치먼트(60)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프레임 구조를 유유아의 측부까지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유모차 본체(15)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어태치먼트(60)를 유모차 본체(15)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유모차(1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어, 유모차(10)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어태치먼트(60)를 유모차 본체(15)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월령이 비교적 높은 유아(幼兒)에 대해서 보다 적합한 유모차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어태치먼트(60)의 장착 및 떼어냄에 의해서, 폭넓은 월령의 유유아에 대해서 유모차(10)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유모차(10)는, 어태치먼트 본체부(65)에 장착되어 한 쌍의 어태치먼트(60)를 연결하는 가이드 부재(70)를, 더 가지고 있다. 이 가이드 부재(70)는,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 가이드 부재(70)에 의해서, 유유아를 전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또, 착석한 유아의 전방으로의 전락(轉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70)가 부착된 어태치먼트(60)를 유모차 본체(15)에 장착함으로써, 월령이 비교적 낮은 유아에 대해서 더 적합한 유모차(10)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 가이드 부재(70)는, 어태치먼트(60)로부터 떼어낼 수 있고, 어태치먼트(60)로부터 떼어내어진 가이드 부재(70)는, 유모차 본체(15)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태치먼트(60)를 떼어낸 유모차 본체(15)에 대해서 가이드 부재(70)를 장착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70)는 비교적으로 경량이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70)를 유모차 본체(15)에 장착함으로써 유모차(10)의 중량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어태치먼트(60)를 떼어내고 가이드 부재(70)를 유모차 본체(15)에 장착함으로써, 월령이 비교적 높은 유아에 대해 적합한 유모차(10)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 어태치먼트 본체부(65)는 플레이트 모양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어태치먼트(60)를 유모차 본체(15)에 장착했을 때에, 어태치먼트 본체부(65)에 의해, 유유아를 측부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어태치먼트 본체부(65)는 암 레스트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어태치먼트(60)를 유모차 본체(15)에 장착했을 때에, 어태치먼트 본체부(65)에 의해,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유모차(10)는, 한 쌍의 어태치먼트(60)의 어태치먼트 본체부(65) 상에 배치되고, 한 쌍의 어태치먼트(60)를 매개로 하여 유모차 본체(15)에 떼어낼 수 있게 유지되는 차일드 시트(80)를, 더 가지고 있다. 산후 얼마 되지 않은 유아(乳兒)를 보다 안전하게 유모차(10)에 승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어태치먼트(60)의 장착 및 차일드 시트(80)의 사용에 의해서, 더 폭넓은 월령의 유유아에 대해 적합한 유모차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 어태치먼트 본체부(65)가, 차일드 시트(80)와 걸림 가능한 걸림부(67)를 가지고 있다. 이 걸림부(67)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차일드 시트(80)를 보다 안정되게 유모차(10)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 어태치먼트 장착부(61)에 접속하고 한 쌍의 어태치먼트(60)를 연결하는 연결축 부재(69)가 마련되어 있다. 즉, 연결축 부재(69)에 의해서, 한 쌍의 어태치먼트(60)를 일체적인 부재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어태치먼트(60)의 유모차 본체(15)에의 장착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시트면이 높은 경우에도, 보호 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는 어태치먼트(60)의 배치를 효과적으로 안정시킬 수 있고, 또, 차일드 시트(80)를 높은 위치에 안정되게 유지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연결축 부재(69)는, 어태치먼트 장착부(61)에 떼어낼 수 있게 접속하고 있다. 따라서, 어태치먼트(60)를 유모차 본체(15)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 연결축 부재(69)와 한 쌍의 어태치먼트(60)를 분해함으로써, 이들 부품의 보관 스페이스를 공간 절약화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유모차 본체(15)는, 그 각 구성요소를 상대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전개 상태로부터 접힘 상태로 접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어태치먼트(60)는, 유모차 본체(15)를 구성하는 복수의 구성 요소 사이에 걸쳐서 장착되어 있지 않고, 전방 다리(22)에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어태치먼트(60)를 유모차 본체(15)에 장착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유모차(10)를 접거나 또는 전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을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 근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 외에도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일 실시 형태에서, 어태치먼트(60)는 차일드 시트(80)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차일드 시트(80)가 장착 불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상술한 일 실시 형태에서, 유모차 본체(15)가, 받이구(58)를 가지고 있고, 이 받이구(58)를 이용하여 가이드 부재(70)를 유모차 본체(15)에 장착할 수 있게 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 부재(70)가 유모차 본체(15)에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게다가, 상술한 일 실시 형태에서, 한 쌍의 어태치먼트(60)를 연결하는 연결축 부재(69)가, 한 쌍의 어태치먼트(60)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축 부재(69)가, 어태치먼트(60)로부터 떼어낼 수 없게 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애초에도, 연결축 부재(69)가 한 쌍의 어태치먼트(60) 사이에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괜찮다.

Claims (10)

  1. 한 쌍의 전방 다리를 가진 유모차 본체와,
    각 전방 다리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되는 한 쌍의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구비하며,
    각 어태치먼트는, 대응하는 전방 다리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되는 어태치먼트 장착부와,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부의 상부 부분에 마련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어태치먼트 본체부를 가지는 유모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 본체부에 장착되어 상기 한 쌍의 어태치먼트를 연결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는 유모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어태치먼트로부터 떼어낼 수 있고,
    상기 어태치먼트로부터 떼어내어진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 가능한 유모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 본체부는 플레이트 모양인 유모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 본체부는 암 레스트(arm rest)로서 기능하는 유모차.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어태치먼트의 상기 어태치먼트 본체부 상에 차일드 시트(child seat)를 배치할 수 있으며, 상기 어태치먼트 본체부는, 상기 차일드 시트와 걸림 가능한 걸림부를 가지는 유모차.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어태치먼트의 상기 어태치먼트 본체부 상에 지지되며, 상기 한 쌍의 어태치먼트를 매개로 하여 상기 유모차 본체에 떼어낼 수 있게 유지되는 차일드 시트를 더 구비하는 유모차.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부에 접속되어 상기 한 쌍의 어태치먼트를 연결하는 연결축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유모차.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 부재는,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부에 떼어낼 수 있게 접속되어 있는 유모차.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본체는, 전개(展開) 상태로부터 접힘 상태로 접을 수 있으며,
    상기 어태치먼트는, 상기 전방 다리에만 장착되어 있는 유모차.
KR1020170056474A 2016-05-09 2017-05-02 유모차 KR102312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94097A JP6758905B2 (ja) 2016-05-09 2016-05-09 乳母車
JPJP-P-2016-094097 2016-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405A true KR20170126405A (ko) 2017-11-17
KR102312059B1 KR102312059B1 (ko) 2021-10-14

Family

ID=60321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474A KR102312059B1 (ko) 2016-05-09 2017-05-02 유모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58905B2 (ko)
KR (1) KR102312059B1 (ko)
CN (1) CN107380242B (ko)
TW (1) TWI709502B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8892B1 (en) * 2000-09-22 2002-04-30 Ben M. Hsia Foldable stroller with detachable supplemental seat
KR100542450B1 (ko) * 2000-11-24 2006-01-11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JP2010132077A (ja) * 2008-12-03 2010-06-17 Combi Corp ベビーカー
JP2011116358A (ja) * 2009-12-01 2011-06-16 Wonderland Nurserygoods Hong Kong Co Ltd ベビーカーフレーム及び該ベビーカーフレームを備えたベビーカー
KR20150026837A (ko) * 2013-08-28 2015-03-11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가드 부재 및 유모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63826C (zh) * 2005-09-22 2009-02-25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童车
CN101367343A (zh) * 2007-08-13 2009-02-18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汽车座兜与儿童推车的组合体
AU2009322149B2 (en) * 2008-12-04 2015-05-07 Baby Jogger, LLC Seat attachment for a stroller
TWI383910B (zh) * 2009-04-29 2013-02-01 Wonderland Nursery Goods A rotatable device for children's carts
TWI395563B (zh) * 2009-09-17 2013-05-11 Kho David Chuanhankho Baby seat device
CN202029885U (zh) * 2011-04-28 2011-11-09 苏州威凯儿童用品有限公司 婴儿推车前扶手的快拆装置
US20140124553A1 (en) * 2012-11-02 2014-05-08 Luis Cruz Tablet Holder for a Stroller or The Lik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8892B1 (en) * 2000-09-22 2002-04-30 Ben M. Hsia Foldable stroller with detachable supplemental seat
KR100542450B1 (ko) * 2000-11-24 2006-01-11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JP2010132077A (ja) * 2008-12-03 2010-06-17 Combi Corp ベビーカー
JP2011116358A (ja) * 2009-12-01 2011-06-16 Wonderland Nurserygoods Hong Kong Co Ltd ベビーカーフレーム及び該ベビーカーフレームを備えたベビーカー
KR20150026837A (ko) * 2013-08-28 2015-03-11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가드 부재 및 유모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39653A (zh) 2017-11-16
CN107380242A (zh) 2017-11-24
CN107380242B (zh) 2021-07-30
KR102312059B1 (ko) 2021-10-14
JP2017202709A (ja) 2017-11-16
JP6758905B2 (ja) 2020-09-23
TWI709502B (zh)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3467B2 (en) Stroller with car seat fastening arrangement
US5431478A (en) Convertible baby carrier
CN101746402B (zh) 婴儿车
US9027953B2 (en) Foldable stroller
US6843498B2 (en) Stroller
US6378892B1 (en) Foldable stroller with detachable supplemental seat
JP2007099000A (ja) ベビーカー
US20060226635A1 (en) Platform mounting arrangement for baby stroller
US20230078130A1 (en) Folding stroller adaptable for single or double occupants
JP6735195B2 (ja) ベビーカー
KR20150026837A (ko) 가드 부재 및 유모차
GB2429401A (en) Child car seat with base and wheeled support
EP0832811B1 (en) Bicycle baby-seat
CN112203921B (zh) 婴儿车
JPH10291480A (ja) ベビーカーのアタッチメント
KR20170126405A (ko) 유모차
JP4014385B2 (ja) 幼児用椅子
WO2023162145A1 (ja) 乳母車
JP4159868B2 (ja) ハンモック型ベビーカー
CN112969625B (zh) 婴儿车
JP4902074B2 (ja) ハンモック型ベビーカー
JPH0241102Y2 (ko)
JP4180386B2 (ja) ハンモック型ベビーカー
CN116635290A (zh) 座椅支承组件及婴儿车
JP2004050958A (ja) ベビー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