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5942A - 폰 빌레브란트 인자의 반감기 개선용 화합물 - Google Patents

폰 빌레브란트 인자의 반감기 개선용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5942A
KR20170125942A KR1020177028209A KR20177028209A KR20170125942A KR 20170125942 A KR20170125942 A KR 20170125942A KR 1020177028209 A KR1020177028209 A KR 1020177028209A KR 20177028209 A KR20177028209 A KR 20177028209A KR 20170125942 A KR20170125942 A KR 20170125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clec10a
vwf
fviii
l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8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카엘 모세
슈테판 슐테
게르하르트 딕나이테
우베 칼리나
사빈 페스텔
Original Assignee
체에스엘 베링 리컴비넌트 퍼실리티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체에스엘 베링 리컴비넌트 퍼실리티 아게 filed Critical 체에스엘 베링 리컴비넌트 퍼실리티 아게
Publication of KR20170125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36Blood coagulation or fibrinolysis f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36Blood coagulation or fibrinolysis factors
    • A61K38/37Factors VII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4Antihaemorrhagics; Procoagulants; Haemostatic agents; Antifibrinoly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45Blood coagulation or fibrinolysis factors
    • C07K14/755Factors VIII, e.g. factor VIII C (AHF), factor VIII Ag (VW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51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lectin superfamily, e.g. CD23, CD7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6Antagonist effect on antigen, e.g. neutralization or inhibition of bin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oxicology (AREA)
  • Diabet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 응고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수용체 단백질 CLEC10A에 결합할 수 있는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항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폰 빌레브란트 인자의 반감기 개선용 화합물
본 발명은 혈액 응고 장애의 치료를 개선시키기 위한 생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혈액 응고 인자의 결핍에 의해 유발되는 다양한 출혈성 장애들이 있다. 가장 흔한 장애는 A형 및 B형 혈우병이며, 이는 각각 혈액 응고 인자 VIII(FVIII) 및 IX의 결핍으로 인해 발병한다. 다른 알려져 있는 출혈성 장애는 폰 빌레브란트 질환(VWD)이다.
혈장에서 FVIII는 폰 빌레브란트 인자(VWF)와 비공유 복합체로 주로 존재하며, 이의 응고 기능은 인자 X에서 Xa로의 인자 IXa 의존적 전환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전형적인 혈우병 또는 A형 혈우병은 유전적 출혈 장애이다. 이것은 혈액 응고 FVIII의 X 염색체-연관 결핍으로부터 야기되며, 10,000명당 1명 내지 2명의 발병률로 거의 남성에만 영향을 미친다. X-염색체 결함은 자신은 혈우병이 아닌 여성 운반체에 의해 전달된다. A형 혈우병의 임상 징후는 증가된 출혈 소인이다.
예방적 치료를 받고 있는 중증 A형 혈우병 환자에서는 약 12 내지 14시간의 FVIII의 짧은 혈장 반감기로 인해 FVIII가 매주 약 3회 정맥내(i.v.) 투여되어야 한다. 각각의 i.v. 투여는, 특히 이것이 환자 자신에 의해 또는 A형 혈우병으로 진단된 아동의 부모에 의해 주로 집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성가시고 통증과 관련되며 감염의 위험을 수반한다.
따라서, FVIII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덜 빈번하게 투여되도록 FVIII의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세포성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을 감소시킴으로써(제WO 03/093313 A2호, 제WO 02/060951 A2호), FVIII에 중합체를 공유결합적으로 부착시킴으로써(제WO 94/15625호, 제WO 97/11957호 및 제US 4970300호), FVIII를 캡슐화함으로써(제WO 99/55306호), 새로운 금속 결합 부위를 도입함으로써(제WO 97/03193호), 펩티드(제WO 97/40145호 및 제WO 03/087355호) 또는 디설파이드 연결(제WO 02/103024A2호)에 의해 A2 도메인을 A3 도메인에 공유결합적으로 부착시킴으로써 또는 A1 도메인을 A2 도메인에 공유결합적으로 부착시킴으로써(제WO2006/108590호) 비-활성화 FVIII의 반감기를 연장시키기 위한 여러 시도들이 이루어져 왔다.
FVIII 또는 VWF의 기능적인 반감기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른 접근법은 FVIII의 페길화(PEGylation)(제WO 2007/126808호, 제WO 2006/053299호, 제WO 2004/075923호) 또는 VWF의 페길화(제WO 2006/071801호)에 의한 방법이며, 페길화된 VWF는 증가된 반감기를 가짐으로써 혈장에 존재하는 FVIII의 반감기를 또한 간접적으로 향상시킬 것이다. 또한, FVIII의 융합 단백질이 기재된 바 있다(제WO 2004/101740호, 제WO2008/077616호 및 제WO 2009/156137호).
다른 형태의 폰 빌레브란트 질환(VWD)에서는 없거나 기능적으로 결함이 있거나 단지 감소된 양으로 이용 가능한 VWF는 포유동물의 혈장에 존재하는 다량체성 부착성 당단백질이며, 다수의 생리학적 기능을 가진다. 1차 지혈 동안 VWF는 혈소판 표면 상의 특정 수용체들과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 기질의 구성성분들 사이의 매개인자로서 작용한다. 더욱이, VWF는 응혈원(procoagulant) FVIII을 위한 담체 및 안정화 단백질로서 작용한다. VWF는 2813개의 아미노산 전구체 분자로서 내피 세포 및 거핵구에서 합성된다. 야생형 VWF의 아미노산 서열 및 cDNA 서열은 문헌[참조; Collins et al. 1987, Proc Natl. Acad. Sci. USA 84:4393-4397]에 개시되어 있다. 전구체 폴리펩티드, 프리-프로-VWF(pre-pro-VWF)는 성숙 혈장 VWF에서 발견되는 22-잔기 신호 펩티드, 741-잔기 프로-펩티드 및 2050-잔기 폴리펩티드로 구성된다(문헌 참조; Fischer et al., FEBS Lett. 351: 345-348, 1994). 소포체내 신호 펩티드의 절단(cleavage) 후, VWF의 두 단량체들 사이에 C-말단 디설파이드 브릿지가 형성된다. 분비 경로를 통한 추가의 수송 동안, N-연결된 및 O-연결된 탄수화물 측쇄들이 부가된다. 보다 중요하게는, VWF 이량체들이 N-말단 디설파이드 브릿지를 통해 다량체화되며, 741개의 아미노산 길이의 프로펩티드가 후기 골지체내 효소 PACE/푸린(furin)에 의해 절단된다. VWF의 고분자량 다량체들(VWF-HMWM) 뿐만 아니라 프로펩티드는 내피세포의 바이벨-팔레이드(Weibel-Pallade)체 또는 혈소판의 α-과립들내에 저장된다.
일단 혈장내로 분비되면, 프로테아제 ADAMTS13은 VWF의 A1 도메인내에서 VWF를 절단시킨다. 따라서, 혈장 VWF는 500kDa의 단일 이량체로부터 10,000kDa 이상의 분자량의 20개 이상의 이량체들로 이루어진 다량체들에 이르는 광범위한 다량체들로 구성된다. VWF 고분자량 다량체들(VWF-HMWM)은 가장 강력한 지혈 활성을 가지며, 이는 리스토세틴 보조인자 활성에서 측정될 수 있다(VWF:RCo). VWF:RCo/VWF 항원의 비율이 높을수록, 고분자량 다량체들의 상대량도 높아진다.
VWF내 결함들은 폰 빌레브란트 질환(VWD)의 원인이 되며, 이는 다소 확연한 출혈 표현형을 특징으로 한다. 3형 VWD는 VWF가 완전히 소실된 가장 심각한 형태이며, 1형 VWD는 VWF의 정량적인 손실과 관련되고, 이의 표현형은 매우 온화할 수 있다. 2형 VWD는 VWF의 정성적인 결함과 관련되며, 3형 VWD만큼 심각할 수 있다. 2형 VWD는 많은 서브 형태들을 가지며, 이들 중 일부는 고분자량 다량체들의 손실 또는 감소와 관련되어 있다. 2a형 폰 빌레브란트 VWD는 중간 및 대형 다량체들 모두의 손실을 특징으로 한다. 2B형 VWD는 최고분자량 다량체들의 손실을 특징으로 한다.
VWD는 사람에서 가장 빈번한 유전적 출혈 장애이며, 혈장 또는 재조합 기원의 VWF를 함유하는 농축물에 의한 대체 치료요법으로 치료될 수 있다.
혈장에서 FVIII는 높은 친화도로 VWF에 결합하며, 이것이 조기 이화작용(premature catabolism)으로부터 VWF를 보호하며, 따라서 1차 지혈시 이의 역할에 더하여 FVIII의 혈장 수준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결과적으로 2차 지혈을 제어하는데 있어서 중심 인자이다. VWF에 결합된 비-활성화된 FVIII의 반감기는 혈장에서 약 12 내지 14시간이다. 3형 폰 빌레브란트 질환에서, VWF가 존재하지 않거나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경우, FVIII의 반감기는 단지 약 6시간이며, 감소된 FVIII의 농도로 인해 상기 환자들에서 약한 내지 보통의 A형 혈우병 증상을 일으킨다. FVIII에 대한 VWF의 안정화 효과는 또한, CHO 세포에서 FVIII의 재조합 발현을 보조하는데 사용되어 왔다(문헌 참조; Kaufman et al. 1989, Mol Cell Biol).
VWF, FVIII 또는 두 가지 인자 모두의 반감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생성물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요약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VWF 단량체들이 대식세포 상에 존재하는 수용체 단백질인 칼슘-타입 렉틴 도메인 패밀리 10 구성원 A(CLEC10A)에 강하게 결합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CLEC10A의 마우스 오르소로그(ortholog)에 결합할 수 있는 항체가 마우스에서 VWF의 소거율(clearance)에 대해 억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VWF의 소거율을 감소시킴으로써, CLEC10A에 결합할 수 있는 억제성 항체는 혈장에서 VWF의 반감기를 연장시킨다. 이러한 억제성 항체를 투여함으로써 FVIII의 반감기 또한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항목들 [1] 내지 [18]에 정의된 주제에 관한 것이다:
[1] 혈액 응고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사람 수용체 단백질 CLEC10A 또는 이의 오르소로그(ortholog)에 결합할 수 있는 화합물.
[2] 항목 [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CLEC10A로의 폰 빌레브란트 인자의 결합을 억제할 수 있는, 화합물.
[3] 항목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CLEC10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화합물.
[4] 상기 항목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인, 화합물.
[5] 항목 [4]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단클론 항체인, 화합물.
[6] 상기 항목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CLEC10A가 서열번호 1 또는 2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화합물.
[7] 상기 항목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폰 빌레브란트 인자의 반감기가 치료에 의해 증가되는, 화합물.
[8] 상기 항목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인자 VIII의 반감기가 치료에 의해 증가되는, 화합물.
[9] 상기 항목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치료가 인자 VIII, 폰 빌레브란트 인자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펩티드를 투여함을 추가로 포함하는, 화합물.
[10] 항목 [9]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 및 상기 폴리펩티드가 별도로 투여되는, 화합물.
[11] 상기 항목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혈액 응고 장애가 A형 혈우병 또는 폰 빌레브란트 질환인, 화합물.
[12] (i) 항목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제1 화합물 및 (ii) 인자 VIII, 폰 빌레브란트 인자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키트.
[13] 항목 [12]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 및 상기 폴리펩티드가 별도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약제학적 키트.
[14] 항목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폰 빌레브란트 인자의 반감기를 증가시키거나 소거를 감소시키기 위한, 화합물의 용도.
[15] 항목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인자 VIII의 반감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화합물의 용도.
[16] 항목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치료학적 치료에서 폰 빌레브란트 인자의 반감기를 연장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17] 항목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의 유효량을 대상체에 투여함을 포함하는, 생체내 폰 빌레브란트 인자의 반감기를 증가시키거나 소거를 감소시키는 방법.
[18] 항목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의 유효량을 혈액 응고 장애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혈액 응고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
도 1: 단량체성 사람 VWF 와 재조합 사람 CLEC10A와의 상호작용 (실시예 1 참조).
도 2 도 3: 단량체성 사람 VWF 와 재조합 사람 CLEC10A CLEC10A 이종상동성 마우스 단백질 ( MGL1 MGL2 ) 둘 다와의 상호작용 (실시예 2 참조).
도 4: 중화 항- MGL1 /2 항체의 존재 하의 MGL2 에 대한 VWF -결합의 억제 (실시예 3 참조).
도 5: 생체내에서 각각의 수용체 기능을 중화시키는 항- MGL1 /2 항체의 존재하의 사람 VWF의 PK (실시예 4 참조).
VWF-결핍 마우스는 체중 kg당 8mg의 다클론성 염소 항-MGL1/2 항체를 제공받았다. 비특이적 염소 항체를 대조군 치료로서 사용하였다. 이어서, 사람 VWF(200IU/kg 체중)를 주사하고, 주사 후 명시된 시간에 혈장에서 회수된 VWF 주사 용량의 백분율로서 VWF:Ag를 나타내었다. 억제성 항-MGL1/2 항체의 투여는, 대조군 항체를 제공받은 그룹과 비교할 경우, VWF 소거율에 있어 감소를 야기하였다.
제1 측면에서, 본 발명은 혈액 응고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사람 수용체 단백질 CLEC10A 또는 이의 오르소로그에 결합할 수 있는 항체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혈액 응고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사람 CLEC10A 또는 이의 오르소로그에 결합할 수 있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화합물은
(i) 항체이고/이거나,
(ii) 사람 CLEC10A 또는 이의 오르소로그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있거나,
(iii) ABO(H) 혈액군 항원의 일부이거나 이로부터 유도되는 접근 가능한 당 잔기를 포함하지 않고/않거나,
(iv) 상기 화합물의 일부일 수 있는 탄수화물 구조를 통해 수용체 단백질 CLEC10A 또는 이의 오르소로그에 결합하지 않고/않거나,
(v) 사람 ASGP 수용체에 결합하지 않고/않거나,
(vi) 사람 수용체 CLEC4M에 결합하지 않고/않거나,
(vii) 사람 수용체 SCARA5에 결합하지 않고/않거나,
(viii) 사람 수용체 MMR에 결합하지 않고/않거나,
(ix) 사람 수용체 CLEC4F에 결합하지 않고/않거나
(x) 사람 수용체 COLEC12에 결합하지 않는다.
CLEC10A
대식세포 Gal-타입 렉틴으로도 알려져 있는 CLEC10A는 CLEC 패밀리의 사람 II형 막관통 수용체 단백질이다. 추가의 동의어는 C-타입 렉틴 수퍼패밀리 구성원 14, 대식세포 렉틴 2, 및 CD301이다. CLEC10A는 간 ASGPR 단백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중간 단핵구, 대식세포 및 수지상 세포에 의해 발현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LEC10A 및 ASGPR은 별개의 세포 국소화 및 탄수화물 특이성을 갖는 상이한 단백질이다. CLEC10A는 수지상 세포에 의해 병원균의 인식에 관련되며 암 발생에 있어 종양-관련 당단백질을 선택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문헌 참조; van Vliet et al. (2005) International Immunology, 17: 661-669; Napoletano et al. (2012) European Journal of Immunology, 42: 936-945). 이 수용체는 말단 α- 및 β-연결된 GalNAc 잔기를 함유하는 당단백질로의 결합을 매개하는 것으로 기재되었다. O-연결된 탄수화물 구조, 예를 들면, Tn-항원(세린/트레오닌에 α-연결된 GalNAc) 및 시알릴-Tn-항원 구조가 CLEC10A의 바람직한 상호작용 파트너로서 확인되었다(문헌 참조; van Vliet et al. (2005) International Immunology, 17: 661-669; Saeland et al. (2007) Cancer Immunology, Immunotherapy, 56: 1225-1236; van Vliet et al. (2008) International Immunology, 29: 83-90; Denda-Nagai et al. (2010)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5: 19193-19204; Mortezai et al. (2013) Glycobiology, 23: 844-852). 여러 종양 세포들이 글리코실전달효소의 변화된 발현 수준 및 활성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글리코실화를 나타내며, 이것이 Tn 항원과 같은 글리칸의 비정상적인 발현을 초래한다(문헌 참조; van Vliet et al. (2008) International Immunology, 29: 83-90.).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CLEC10A"는 서열번호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거나 이로 이루어진 사람 단백질 또는 이의 자연발생적 변이체를 나타낸다. CLEC10A는 식별자 Q8IUN9-1, Q8IUN9-2, 및 Q8IUN9-3 하에 UniProt 데이터베이스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거나 이로 이루어진 단백질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CLEC10A는 서열번호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CLEC10A의 오르소로그가 마우스, 랫트 및 제브라피시를 포함한 몇몇 종에서 확인되었다. 사람은 CLEC10A에 대해 단일 유전자를 지니는 반면, 마우스는 두 개의 밀접하게 관련된 MGL1 및 MGL2 유전자를 갖는다. 뮤린 수용체 단백질이 또한 대식세포 및 미성숙 수지상 세포 상에 발현된다. 사람 CLEC10A 및 뮤린 수용체 단백질은 아미노산 수준에서 고도의 상동성을 보인다. 탄수화물 인식 도메인 내에서, 사람 CLEC10A는 마우스 MGL1 및 마우스 MGL2 둘 다와 대략 6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공유한다(문헌 참조; Suzuki et al. (1996) The Journal of Immunology, 156: 128-135). 유사한 리간드 선호는 사람 CLEC10A, 마우스 MGL1 및 마우스 MGL2에 의해 나타나며, 이전에 보고된 결합 연구에서는 세 가지 모든 수용체 단백질이 Gal- 및 GalNAc-관련을 인식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문헌 참조; Suzuki et al. (1996) The Journal of Immunology, 156: 128-135; Oo-puthinan et al. (2008)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1780: 89-100). MGL1 및 MGL2는 이들의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서로 고도로 상동성이며(대략 90% 아미노산 동일성) 탄수화물 인식 도메인에서 고도의 동일성을 공유한다(문헌 참조; Tsuiji et al. (2002)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77: 28892-28901; Oo-puthinan et al. (2008)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1780: 89-100).
본 발명에 따르는 바람직한 오르소로그는 다음을 포함한다:
- 마우스(mus musculus)로부터의 오르소로그, 예를 들면, UniProt 식별자 P49300, F8WHB7 및 Q8JZN1 중의 하나에 의해 정의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거나 이로 이루어진 폴리펩티드 ;
- 랫트(rattus norvegicus)로부터의 오르소로그(들), 예를 들면, UniProt 식별자:P49301에 의해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거나 이로 이루어진 폴리펩티드);
- 토끼(oryctolagus cuniculus)로부터의 오르소로그(들),
- 기니 피그(cavia porcellus)로부터의 오르소로그(들),
- 필리핀원숭이(macaca fascicularis)로부터의 오르소로그(들) 및
- 히말라야원숭이(macaca mulatta)로부터의 오르소로그(들).
CLEC10A 에 결합할 수 있는 화합물
CLEC10A에 결합할 수 있는 화합물(이하 "화합물"이라고 함)의 타입 또는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화합물은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화합물은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체"는 특정 항원에 결합하거나 이와 면역학적으로 반응성인 면역글로불린 분자를 나타내며, 키메라 항체, 사람화 항체, 사람 항체, 이형접합 항체(e.g., 이중특이적 항체, 디아바디, 트리아바디, 및 테트라바디), 단일-도메인 항체(나노바디) 및, 예를 들면, Fab', F(ab')2, Fab, Fv, rlgG, 및 scFv 단편을 포함한 항체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클론성, 단클론성, 유전 조작 및 달리 변형된 형태의 항체를 포함한다. 더욱이,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단클론 항체"(mAb)는 무손상 분자 뿐만 아니라 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는 항체 단편(예를 들면, Fab 및 F(ab')2 단편) 둘 다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Fab 및 F(ab')2 단편은 무손상 항체의 Fc 단편이 결핍되고, 동물 또는 식물의 순환으로부터 보다 신속하게 소거되며, 무손상 항체보다 덜한 비특이적 조직 결합을 가질 수 있다(문헌 참조; Wahl et al, 1983, J. Nucl. Med. 24:316).
본 발명의 항체는 CLEC10A의 적어도 하나의 변이체에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항체는 서열번호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양태에서, 항체는 서열번호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항체는 CLEC10A의 세포외 도메인에, 예를 들면,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61 - 316 내의 에피토프에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항체는 CLEC10A의 렉틴 결합 부위에 결합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항체는 가변 영역에서 아미노산 잔기를 통해 CLEC10A에 결합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항체는 ABO(H) 혈액군 항원으로부터 유도된 접근 가능한 당 잔기를 함유하지 않으며, 항체는 갈락토스, 푸코스 또는 N-아세틸갈락토사민인 접근 가능한 당 잔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항체는 Fc 영역에 글리코실화 부위를 함유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항체는 Kabat의 넘버링에 따라 잔기 N297의 돌연변이를 갖는 IgG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항체는 글리코실화되지 않는다.
항체가 CLEC10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하나의 양태에서, 항체는 CLEC10A에 결합할 수 있지만, 다음 수용체들 중의 둘 이상, 바람직하게는 전부에 결합할 수는 없다: ASGPR1, COLEC12, CLEC4F, CLEC4M, SCARA5 및 MMR.
또 다른 양태에서, 항체는 CLEC10A에 결합할 수 있지만, ASGPR1(UniProt 식별자: P07306)에 결합할 수는 없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항체는 CLEC10A에 결합할 수 있지만, COLEC12(UniProt 식별자: Q5KU26)에 결합할 수는 없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항체는 CLEC10A에 결합할 수 있지만, CLEC4F(UniProt 식별자: Q8N1N0)에 결합할 수는 없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항체는 CLEC10A에 결합할 수 있지만, CLEC4M(UniProt 식별자: Q9H2X3)에 결합할 수는 없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항체는 CLEC10A에 결합할 수 있지만, SCARA5(UniProt 식별자: Q6ZMJ2)에 결합할 수는 없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항체는 CLEC10A에 결합할 수 있지만, MMR(UniProt 식별자: P22897)에 결합할 수는 없다.
아직 또 다른 양태에서, 항체는 CLEC10A에 결합할 수 있지만, 다음 수용체들 중의 어느 하나에 결합할 수는 없다: ASGPR1, COLEC12, CLEC4F, CLEC4M, SCARA5 및 MMR.
또 다른 양태에서, 항체는 CLEC10A의 적어도 하나의 뮤린 오르소로그에 결합할 수 있다. 그 양태에서, 항체는 MGL1, MGL2, 또는 MGL1과 MGL2 둘 다에 결합할 수 있다. 항체는 UniProt 식별자 No. P49300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거나 이로 이루어진 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다. 항체는 UniProt 식별자 No. F8WHB7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거나 이로 이루어진 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다. 항체는 UniProt 식별자 No. Q8JZN1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거나 이로 이루어진 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항체는 CLEC10A의 랫트 오르소로그에 결합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항체는 CLEC10A의 토끼 오르소로그에 결합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항체는 CLEC10A의 필리핀 원숭이(macaca fascicularis ) 오르소로그에 및/또는 히말라야 원숭이(macaca mulatta ) 오르소로그에 결합할 수 있다.
CLEC10A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아래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CLEC10A 및 항체에 의해 형성된 복합체에 대한 해리 상수 KD는 바람직하게는 100n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0nM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5nM 미만이다. 전형적으로 KD는 약 10pM 내지 약 100nM, 또는 약 100pM 내지 약 10nM, 또는 약 500pM 내지 약 5nM에 이른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항체는 단클론 항체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단클론 항체"는 하이브리도마 기술을 통해 제조된 항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 "단클론 항체"는 임의의 진핵, 원핵, 또는 파지 클론을 포함한 단일 클론으로부터 유도되는 항체를 나타내며, 이를 생산하는 방법은 아니다. 단클론 항체는 하이브리도마, 재조합 및 파지 디스플레이 기술, 또는 이의 조합의 사용을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광범위하게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문헌 참조; Harlow and Lane, "Antibodies, A Laboratory Manual" CSH Press 1988, Cold Spring Harbor N.Y.).
또 다른 양태에서, 사람에서의 항-CLEC10A 항체의 생체내 사용을 포함하여, 키메라, 영장류화, 사람화, 또는 사람 항체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항체는 사람 항체 또는 사람화 항체,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클론 사람 항체 또는 단클론 사람화 항체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키메라" 항체는 랫트 또는 마우스 항체와 같은 비-사람 면역글로불린으로부터 유도되는 가변 서열 및 사람 면역글로불린 주형으로부터 전형적으로 선택되는 사람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을 갖는 항체를 나타낸다. 키메라 항원을 제조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문헌[Morrison, 1985, Science 229 (4719): 1202-7; Oi et al, 1986, BioTechniques 4:214-221; Gillies et al., 1985, J. Immunol. Methods 125: 191-202; U.S. Pat. Nos. 5,807,715; 4,816,567; 및 4,816397]을 참조하며, 이들은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비-사람(e.g., 뮤린) 항체의 "사람화" 형태는 비-사람 면역글로불린으로부터 유도된 최소 서열을 함유하는 키메라 면역글로불린, 면역글로불린 쇄 또는 이의 단편(예를 들면, Fv, Fab, Fab', F(ab')2 또는 항체의 다른 표적-결합 서브서열)이다. 일반적으로, 사람화 항체는 적어도 하나, 및 전형적으로는 두 개의 가변 도메인의 실질적으로 전부를 포함할 것이며, 여기서 CDR 영역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는 비-사람 면역글로불린의 CDR 영역에 상응하고 FR 영역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는 사람 면역글로불린 컨센서스 서열의 FR 영역이다. 사람화 항체는 또한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Fc), 전형적으로 선택된 사람 면역글로불린 주형의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람화는 사람 가변 도메인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또는 일부를 비-사람 종으로부터의 상응하는 서열로 치환시켜 키메라 항체를 만들기 위한 기술이다. 사람화 항체는 비-사람 종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상보성 결정 영역(CDR)과 사람 면역글로불린 분자로부터의 프레임워크(FR) 영역을 갖는 목적하는 항원에 결합하는 비-사람 종에서 생성된 항체 분자이다. 종종, 항원 결합을 변경, 바람직하게는 개선시키기 위해 사람 프레임워크 영역의 프레임워크 잔기가 CDR 공여체 항체로부터의 상응하는 잔기로 치환될 것이다. 이러한 프레임워크 치환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들에 의해, 예를 들면, 항원 결합에 중요한 프레임워크 잔기를 확인하기 위한 CDR와 프레임워크 잔기의 상호작용의 모델링 및 특정 위치의 특이한 프레임워크 잔기를 확인하기 위한 서열 비교에 의해 확인된다. 예를 들면, 문헌[Riechmann et al., 1988, Nature 332:323-7 및 Queen et al, U.S. 특허 제5,530,101호; 제5,585,089호; 제5,693,761호; 제5,693,762호; 및 제6,180,370호]을 참고한다(이들 각각은 전문이 참고로 포함된다). 항체는, 예를 들면, CDR-이식(제EP239400호; PCT 공개 제WO 91/09967호; U.S. 특허 제5,225,539호; 제5,530,101호 및 제5,585,089호), 베니어링(veneering) 또는 리서페이싱(resurfacing)(제EP592106호; 제EP519596호; Padlan, 1991, MoI. Immunol, 28:489-498; Studnicka et al, 1994, Prot. Eng. 7:805-814; Roguska et al, 1994, Proc. Natl. Acad. Sci. 91:969-973), 및 쇄 셔플링(U.S. 특허 제5,565,332호)을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각종 기술들을 사용하여 사람화될 수 있으며, 상기 문헌들 모두는 전문이 참고로 포함된다.
몇몇 양태에서, 사람화 항체는 퀸 등(Queen et al)의 U.S. 특허 제5,530,101호; 제5,585,089호; 제5,693,761호; 제5,693,762호; 및 제6,180,370호(이들 각각은 전문이 참고로 포함됨)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된다.
몇몇 양태에서, 항-CLEC10A 항체는 사람 항체이다. 완전 "사람" 항-CLEC10A 항체가 사람 환자의 치료학적 치료를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사람 항체"는 사람 면역글로불린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항체를 포함하며, 사람 면역글로불린 라이브러리로부터 또는 하나 이상의 사람 면역글로불린에 대해 유전자이식된 동물로부터 분리된 항체를 포함하며 이것은 내인성 면역글로불린을 발현하지는 않는다. 사람 항체는 사람 면역글로불린 서열로부터 유도된 항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상기한 파지 디스플레이 방법을 포함한 당업계에 공지된 각종 방법들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U.S. 특허 제4,444,887호 및 제4,716,111호; 및 PCT 공개 제WO 98/46645호; 제WO 98/50433호; 제WO 98/24893호; 제WO 98/16654호; 제WO 96/34096호; 제WO 96/33735호; 및 제WO 91/10741호를 참조하며, 이들 각각은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사람 항체는 또한 기능적인 내인성 면역글로불린을 발현할 수는 없지만 사람 면역글로불린 유전자를 발현할 수는 있는 유전자이식 마우스를 사용하여 생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PCT 공개 제WO 98/24893호; 제WO 92/01047호; 제WO 96/34096호; 제WO 96/33735호; U.S. 특허 제5,413,923호; 제5,625,126호; 제5,633,425호; 제5,569,825호; 제5,661,016호; 제5,545,806호; 제5,814,318호; 제5,885,793호; 제5,916,771호; 및 제5,939,598호를 참조하며, 이들은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선택된 에피토프를 인식하는 완전 사람 항체는 "유도 선택(guided selection)"이라고 하는 기술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에서는 선택된 비-사람 단클론 항체, 예를 들면, 마우스 항체가 동일한 에피토프를 인식하는 완전 사람 항체의 선택을 유도하는데 사용된다(문헌 참조; Jespers et al, 1988, Biotechnology 12:899-903).
몇몇 양태에서, 항-CLEC10A 항체는 영장류화 항체이다. 용어 "영장류화 항체"는 원숭이 가변 영역과 사람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를 나타낸다. 영장류화 항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U.S. 특허 제5,658,570호; 제5,681,722호; 및 제5,693,780호를 참고하며, 이들은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몇몇 양태에서, 항-CLEC10A 항체는 이중특이적 항체이다. 이중특이적 항체는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항원에 대해 결합 특이성을 갖는 단클론성, 바람직하게는 사람 또는 사람화 항체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유용한 이중특이적 항체에서, 결합 특이성은 CLEC10A 상의 두 개의 상이한 특이적 에피토프에 관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단일특이적 항체보다 더욱 더 효과적으로 VWF의 결합을 차단할 수 있다.
몇몇 양태에서, 항-CLEC10A 항체는 유도체화 항체(derivatized antibody)이다. 예를 들면,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글리코실화, 아세틸화, 페길화, 포스포릴화, 아미드화, 공지된 보호/차단 그룹에 의한 유도체화, 단백질 가수분해 분할, 세포 리간드 또는 다른 단백질로의 결합(아래 항체 접합체의 논의를 참고함) 등에 의해 변형된 유도체화 항체. 다수의 화학적 변형들이 특정 화학적 분할, 아세틸화, 포밀화, 투니카마이신의 대사적 합성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공지된 기술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추가로, 유도체는 하나 이상의 비표준(non-classical) 아미노산을 함유할 수 있다.
몇몇 양태에서, 항-CLEC10A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은 이의 서열이 상응하는 야생형 서열에 비해 적어도 하나의 불변 영역-매개된 생물학적 효과기 기능을 감소시키도록 변형된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일 수 있다. 항-CLEC10A 항체가 Fc 수용체에 대해 감소된 결합을 나타내도록 이를 변형시키기 위해, 항체의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 세그먼트를 Fc 수용체(FcR) 상호작용에 필요한 특정 영역에서 돌연변이시킬 수 있다(예를 들면, 문헌 참조; Canfield and Morrison, 1991, J. Exp. Med. 173 : 1483- 1491; 및 Lund et al, 1991, J. Immunol. 147:2657-2662). 항체의 FcR 결합 능력의 감소가 또한 FcR 상호작용에 의존하는 기타의 효과기 기능, 예를 들면, 옵소닌화 및 식균작용 및 항원-의존적 세포성 세포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항-CLEC10A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은 태아 Fc 수용체, FcRn에 대한 이들의 결합 친화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변형된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일 수 있다. FcRn에 대한 결합 친화도를 변경하기 위해, 항체의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 세그먼트를 FcRn 상호작용을 위해 필요한 특정 영역에서 돌연변이시킬 수 있다(예를 들면, 제WO 2005/123780호 참조). FcRn에 대한 결합 친화도를 증가시키면 항체의 혈청 반감기가 증가하고, FcRn에 대한 결합 친화도를 감소시키면 반대로 항체의 혈청 반감기가 감소한다. 특정 양태에서, 항-CLEC10A 항체는 중쇄 불변 영역의 아미노산 잔기 250, 314, 및 428 중의 적어도 하나가 비변형 항체에 존재하는 것과는 상이한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된 IgG 부류의 항체이다. IgG 부류의 항체는 IgG1, IgG2, IgG3, 및 IgG4의 항체를 포함한다. 치환은 위치 250, 314, 또는 428 단독, 또는 이들의 조합에, 예를 들면, 위치 250과 428, 또는 위치 250과 314, 또는 위치 314과 428, 또는 위치 250, 314, 및 428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위치 250과 428이 바람직한 조합이다. 각 위치에 대해, 치환 아미노산은 비변형 항체의 그 위치에 존재하는 것과는 상이한 임의의 아미노산 잔기일 수 있다. 위치 250의 경우, 치환 아미노산 잔기는 알라닌, 시스테인, 아스파르트산, 글루타민산, 글루타민산닐알라닌, 글리신, 히스티딘, 이소류신, 리신, 류신, 메티오닌, 아스파라긴, 프롤린, 글루타민, 아르기닌, 세린, 발린, 트립토판, 또는 티로신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트레오닌 이외의 임의의 아미노산 잔기일 수 있다. 위치 314의 경우, 치환 아미노산 잔기는 알라닌, 시스테인, 아스파르트산, 글루타민산, 글루타민산닐알라닌, 글리신, 히스티딘, 이소류신, 리신, 메티오닌, 아스파라긴, 프롤린, 글루타민, 아르기닌, 세린, 트레오닌, 발린, 트립토판, 또는 티로신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류신 이외의 임의의 아미노산 잔기일 수 있다. 위치 428의 경우, 치환 아미노산 잔기는 알라닌, 시스테인, 아스파르트산, 글루타민산, 글루타민산닐알라닌, 글리신, 히스티딘, 이소류신, 리신, 류신, 아스파라긴, 프롤린, 글루타민, 아르기닌, 세린, 트레오닌, 발린, 트립토판, 또는 티로신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티오닌 이외의 임의의 아미노산 잔기일 수 있다. 적합한 아미노산 치환의 특정 조합은 제WO 2005/123780호의 표 1에서 확인되며, 당해 표는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또한, 힌톤 등(Hinton et al)의 US 특허 제7,217,797호, 제7,361,740호, 제7,365,168호, 및 제7,217,798호를 참조하며, 이들은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항-CLEC10A 항체는, 예를 들면, 제US 2007/028093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초가변 영역 중의 하나 이상에 삽입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을 갖는다.
항체 접합체
몇몇 양태에서, 항-CLEC10A 항체는 공유결합적 부착이 CLEC10A로의 결합을 방해하지 않도록, 예를 들면, 항체로의 임의 유형의 분자의 공유결합적 부착에 의해 변형된 항체 접합체이다. 효과기 모이어티를 항체에 접합시키는 기술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문헌 참조; Hellstrom et ah, Controlled Drag Delivery, 2nd Ed., at pp. 623-53 (Robinson et ah, eds., 1987)); Thorpe et ah, 1982, Immunol. Rev. 62: 119-58 및 Dubowchik et al., 1999,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83:67-123).
하나의 예에서,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은, 임의로 N-말단 또는 C-말단에서, 공유 결합(예를 들면, 펩티드 결합)을 통해 다른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또는 이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단백질의 적어도 10, 20 또는 50개 아미노산 부분)에 융합된다. 바람직하게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은 항체의 불변 도메인의 N-말단에서 다른 단백질에 결합된다. 예를 들면, 제WO 86/01533호 및 제EP039274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러한 융합을 생성하는데 재조합 DNA 과정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효과기 분자가 생체내 반감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적합한 효과기 분자의 예는 중합체, 알부민, 알부민 결합 단백질 또는 알부민 결합 화합물, 예를 들면, 제WO 2005/117984호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한다.
몇몇 양태에서, 항-CLEC10A 항체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모이어티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항체가 항체 단편인 경우, PEG 모이어티가 항체 단편에 위치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아미노산 측쇄 또는 말단 아미노산 작용 그룹, 예를 들면 임의의 유리 아미노, 이미노, 티올, 하이드록실 또는 카복실 그룹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아미노산은 항체 단편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거나 재조합 DNA 방법을 사용하여 단편으로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U.S. 특허 제5,219,996호를 참조한다. 다중 부위를 사용하여 둘 이상의 PEG 분자를 부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PEG 모이어티는 항체 단편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시스테인 잔기의 티올 그룹을 통해 공유 결합된다. 티올 그룹이 부착점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적절하게 활성화된 효과기 모이어티, 예를 들면 말레이미드 및 시스테인 유도체와 같은 티올 선택적 유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항-CLEC10A 항체 접합체는 페길화된, 즉, 예를 들면, 제EP0948544호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이에 공유결합적 부착된 PEG(폴리(에틸렌글리콜))를 갖는 변형된 Fab' 단편이다. 또한, 문헌[Poly(ethyleneglycol) Chemistry, Biotechnical and Biomedical Applications, (J. Milton Harris (ed.), Plenum Press, New York, 1992); Poly(ethyleneglycol) Chemistry and Biological Applications, (J. Milton Harris and S. Zalipsky, eds.,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 C, 1997); 및 Bioconjugation Protein Coupling Techniques for the Biomedical Sciences, (M. Aslam and A. Dent, eds., Grove Publishers, New York, 1998); 및 Chapman, 2002,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54:531- 545]을 참조한다.
응고 장애의 치료
본원에 기재된 항-CLEC10A 항체는 혈우병 및 폰 빌레브란트 질환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응고 장애를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바람직하게는, 질환은 A형 혈우병 또는 폰 빌레브란트 질환이다.
용어 "A형 혈우병"은 대개 유전되는 기능적 응고 FVIII의 결핍을 나타낸다.
용어 "폰 빌레브란트 질환"(VWD)은 VWF의 정성적 또는 정량적 결핍과 관련된 응고 이상을 나타낸다.
질환의 치료는 임의의 임상 단계 또는 소견의 임의 형태의 질환을 갖는 것으로 이미 진단된 환자의 치료; 질환의 증상 또는 징후의 개시 또는 진화 또는 악화 또는 퇴보의 지연; 및/또는 질환의 중증도 예방 및/또는 감소를 포함한다.
항-CLEC10A 항체가 투여되는 "대상체" 또는 "환자"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비-영장류(예를 들면, 소, 돼지, 말, 고양이, 개, 랫트 등) 또는 영장류(예를 들면, 원숭이 또는 사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환자는 사람이다. 특정 측면에서, 사람은 소아 환자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사람은 성인 환자이다.
항-CLEC10A 항체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추가의 치료제, 예를 들면, 아래에 기재된 제2 치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본원에 기재된다.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멸균 약제학적 조성물의 일부로서 공급된다. 이 조성물은 (이것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임의의 적합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항-CLEC10A 항체는 경구, 경피, 피하, 비내, 정맥내, 근육내, 경막내, 국부 또는 국소와 같은 다양한 경로에 의해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소정의 경우에 투여를 위한 가장 적합한 경로는 특정 항체, 대상체, 및 질환의 특성 및 중증도 및 대상체의 건강 상태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 전형적으로, 항-CLEC10A 항체는 정맥내 투여될 것이다.
전형적인 양태에서, 항-CLEC10A 항체는 0.5mg/kg 내지 20mg/kg으로 정맥내 투여될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한 농도로 약제학적 조성물에 존재한다. 몇몇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 및 방법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항체의 농도는 0.5mg/kg, 0.75mg/kg, 1mg/kg, 2mg/kg, 2.5mg/kg, 3mg/kg, 4mg/kg, 5mg/kg, 6mg/kg, 7mg/kg, 8mg/kg, 9mg/kg, 10mg/kg, 11mg/kg, 12mg/kg, 13mg/kg, 14mg/kg, 15mg/kg, 16mg/kg, 17mg/kg, 18mg/kg, 19mg/kg, 20mg/kg, 또는 상기 값들 중의 어느 것 사이의 농도, 예를 들면, 1mg/kg 내지 10mg/kg, 5mg/kg 내지 15mg/kg, 또는 10mg/kg 내지 18mg/kg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항-CLEC10A 항체의 유효량은 단일(예를 들면, 볼루스) 투여, 다중 투여 또는 연속 투여당 약 0.001 내지 약 750mg/kg, 또는 단일(예를 들면, 볼루스) 투여, 다중 투여 또는 연속 투여당 0.01-5000㎍/ml 혈청 농도를 달성하도록, 또는 치료되는 병태, 투여 경로 및 대상체의 연령, 체중 및 상태에 따라 임의의 유효 범위 또는 값을 달성하도록 하는 범위일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각 용량은 체중 킬로그램당 약 0.5mg 내지 약 50mg 또는 체중 킬로그램당 약 3mg 내지 약 30mg에 이를 수 있다. 항체는 수용액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편리하게는 용량당 소정량의 항-CLEC10A 항체를 함유하는 단위 투약형으로 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단위는 0.5mg 내지 5g, 예를 들면, 제한 없이, 1mg, 10mg, 20mg, 30mg, 40mg, 50mg, 100mg, 200mg, 300mg, 400mg, 500mg, 750mg, 1000mg, 또는 상기한 값들 중의 어느 두 가지 사이의 임의의 범위, 예를 들면 10mg 내지 1000mg, 20mg 내지 50mg, 또는 30mg 내지 300mg을 함유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예를 들면, 치료하고자 하는 병태 또는 투여 경로에 따라 광범위하게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항-CLEC10A 항체로의 치료의 유효량, 총 투여 횟수 및 치료 길이의 결정은 당업계의 숙련가의 재량내에 있으며, 표준 용량 증가 연구(standard dose escalation study)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에서 적합한 항-CLEC10A 항체의 치료학적 제형은 목적하는 정도의 순도를 갖는 항체를 당업계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안정제(이들 모두를 본원에서는 "담체"라고 한다), 즉, 완충제, 안정화제, 방부제, 등장화제, 비이온성 세제, 산화방지제, 및 기타의 여러 첨가제와 혼합함으로써 동결건조된 제형 또는 수용액으로서 저장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6th edition (Osol, ed. 1980)]을 참조한다. 이러한 첨가제는 사용되는 투여량 및 농도에서 수용자에게 비독성이어야 한다.
완충제는 pH를 생리학적 조건에 가까운 범위로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이들은 약 2mM 내지 약 50mM에 이르는 농도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완충제는 유기 및 무기 산 및 이의 염 둘 다, 예를 들면, 시트레이트 완충제(e.g., 일나트륨 시트레이트-이나트륨 시트레이트 혼합물, 시트르산-삼나트륨 시트레이트 혼합물, 시트르산-일나트륨 시트레이트 혼합물 등), 석시네이트 완충제(e.g., 석신산-일나트륨 석시네이트 혼합물, 석신산-수산화나트륨 혼합물, 석신산-이나트륨 석시네이트 혼합물 등), 타르트레이트 완충제(e.g., 타르타르산-나트륨 타르트레이트 혼합물, 타르타르산-칼륨 타르트레이트 혼합물, 타르타르산-수산화나트륨 혼합물 등), 푸마레이트 완충제(e.g., 푸마르산-일나트륨 푸마레이트 혼합물, 푸마르산-이나트륨 푸마레이트 혼합물, 일나트륨 푸마레이트-이나트륨 푸마레이트 혼합물 등), 글루코네이트 완충제(e.g., 글루콘산-나트륨 글리코네이트 혼합물, 글루콘산-수산화나트륨 혼합물, 글루콘산-칼륨 글리코네이트 혼합물 등), 옥살레이트 완충제(e.g., 옥살산-나트륨 옥살레이트 혼합물, 옥살산-수산화나트륨 혼합물, 옥살산-칼륨 옥살레이트 혼합물 등), 락테이트 완충제(e.g., 락트산-나트륨 락테이트 혼합물, 락트산-수산화나트륨 혼합물, 락트산-칼륨 락테이트 혼합물 등) 및 아세테이트 완충제(e.g., 아세트산-나트륨 아세테이트 혼합물, 아세트산-수산화나트륨 혼합물 등)를 포함한다. 또한, 포스페이트 완충제, 히스티딘 완충제 및 트리메틸아민 염, 예를 들면, Tris가 사용될 수 있다.
방부제가 미생물 성장을 지연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으며, 0.2%-1% (w/v)에 이르는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적합한 방부제는 페놀, 벤질 알콜, 메타-크레솔, 메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옥타데실디메틸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벤즈알코늄 할라이드(e.g.,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및 요오다이드), 헥사메토늄 클로라이드, 및 알킬 파라벤, 예를 들면, 메틸 또는 프로필 파라벤, 카테콜, 레조르시놀, 사이클로헥산올, 및 3-펜타놀을 포함한다. "안정제"로도 가끔 알려진 등장화제는 액체 조성물의 등장성을 보장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으며 다가 당 알콜, 바람직하게는 3가 또는 그 이상의 당 알콜, 예를 들면, 글리세린, 에리트리톨, 아라비톨, 크실리톨, 소르비톨 및 만니톨을 포함한다. 안정제는 기능에 있어서 벌킹제에서 치료제를 가용화시키거나 또는 변성되거나 용기 벽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첨가제에 이를 수 있는 광범위한 범위의 부형제를 나타낸다. 전형적인 안정제는 다가 당 알콜(상기 열거됨); 아미노산, 예를 들면, 아르기닌, 리신, 글리신,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히스티딘, 알라닌, 오르니틴, L-류신, 2-글루타민산닐알라닌, 글루타민산, 트레오닌 등, 유기 당 또는 당 알콜, 예를 들면, 이노시톨과 같은 사이클리톨을 포함한 락토스, 트레할로스, 스타키오스, 만니톨, 소르비톨, 크실리톨, 리비톨, 미오이니시톨, 갈락티톨, 글리세롤 등; 폴리에틸렌 글리콜; 아미노산 중합체; 황 함유 환원제, 예를 들면, 우레아, 글루타티온, 티옥산, 나트륨 티오글리콜레이트, 티오글리세롤, α-모노티오글리세롤 및 나트륨 티오설페이트; 저분자량 폴리펩티드(e.g., 10개 이하 잔기의 펩티드); 단백질, 예를 들면, 사람 혈청 알부민, 소 혈청 알부민, 젤라틴 또는 면역글로불린; 친수성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비닐피롤리돈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면, 크실로스, 만노스, 프럭토스, 글루코스; 이당류, 예를 들면, 락토스, 말토스, 수크로스 및 삼당류, 예를 들면, 라피노스; 및 다당류, 예를 들면, 덱스트란일 수 있다. 안정제는 활성 단백질 중량부 당 0.1 내지 10,000중량부의 범위로 존재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세제("습윤제"로도 알려짐)는 치료제를 가용화시킬 뿐만 아니라 교반-유도된 응집으로부터 치료 단백질을 보호하는 것을 도와, 단백질의 변형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제형이 응력 전단면에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20, 80 등), 폴리옥사머(184, 188 등), 플루로닉(Pluronic) 폴리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에테르(TWEEN®-20, TWEEN®-80 등)를 포함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약 0.05mg/ml 내지 약 1.0mg/ml의 범위로, 또는 약 0.07mg/ml 내지 약 0.2mg/ml의 범위로 존재할 수 있다.
추가의 여러 부형제는 벌킹제(e.g., 전분), 킬레이트화제(e.g., EDTA), 산화방지제(e.g., 아스코르브산, 메티오닌, 비타민 E), 및 공용매를 포함한다.
본원의 제형은 항-CLEC10A 항체에 더하여 또한 제2 치료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제2 치료제의 예가 아래에 제공되어 있다.
투여 스케줄은 질환의 타입, 질환의 중증도, 및 환자의 항-CLEC10A 항체에 대한 민감도를 포함한 다수의 임상 인자에 따라 한달에 한번 내지 매일로 달라질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항-CLEC10A 항체는 매일, 1주에 2회, 1주에 3회, 5일마다, 10일마다, 2주마다, 3주마다, 4주마다 또는 한달에 1회, 또는 상기한 값들 중의 둘 사이의 임의의 범위, 예를 들면 4주마다 내지 매달, 10일마다 내지 2주마다, 또는 1주에 2 내지 3회 등으로 투여된다.
투여되는 항-CLEC10A 항체의 용량은 특정 항체, 대상체, 및 질환의 특성과 중증도, 대상체의 건강 상태, 치료 용법(e.g., 제2 치료제가 사용되는지 여부), 및 선택된 투여 경로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적합한 투여량은 당업계의 숙련가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다.
항-CLEC10A 항체의 최적량 및 개별 투여 간격은 치료되는 병태의 특성 및 정도, 투여 형태, 경로 및 부위, 치료되는 특정 대상체의 연령 및 상태에 의해 결정될 것이며, 담당의가 궁극적으로 사용되는 적합한 투여량을 결정할 것임을 당업계의 숙련가는 인지할 것이다. 이러한 투여는 적당한 한 종종 반복될 수 있다. 부작용이 발생하면, 투여 양 및/또는 빈도를 정상적인 임상 실시에 따라 변경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병용 치료요법
바람직하게는, 항-CLEC10A 항체로 치료되는 환자는 또한 응고 장애의 종래의 치료법으로 치료된다. 예를 들면, 혈우병을 앓는 환자는 전형적으로 혈액 응고 인자, 예를 들면, 인자 VIII, VWF 또는 이의 조합으로도 치료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폰 빌레브란트 인자"(VWF)는 자연 발생 VWF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자연 발생 VWF의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하면서 하나 이상의 잔기가 삽입, 결실 또는 치환된 이의 변이체, 예를 들면, 단편, 융합 단백질 또는 접합체, 또는 서열 변이체를 포함한다. VWF 변이체가 야생형 VWF의 적어도 하나의 생물학적 활성의 적어도 1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를 보유한다면 본 발명의 의미에서 생물학적 활성이 보유된 것이다. 야생형 VWF 및 이의 변이체의 생물학적 활성은 리스토세틴 보조인자 활성(문헌 참조; Federici A B et al. 2004. Haematologica 89:77-85), 혈소판 당단백질 복합체 Ib-V-IX의 GP Ibα로의 VWF의 결합(문헌 참조; Sucker et al. 2006. Clin Appl Thromb Hemost. 12:305-310), 콜라겐 결합 검정(문헌 참조; Kallas & Talpsep. 2001. Annals of Hematology 80:466-471), 또는 인자 VIII로의 결합에 대한 방법들을 사용하여 전문가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용어 "인자 VIII" 및 "FVIII"은 본원에서 동의어로 사용된다. "FVIII"은 개체마다 존재하고 발생할 수 있는 FVIII의 자연적인 대립유전자 변형을 포함한다. FVIII은 잘 알려진 제조 및 정제 방법을 사용하여 혈장-유도되거나 재조합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글리코실화, 티로신 황산화 및 기타의 번역후 변형의 정도 및 위치는 선택된 숙주 세포 및 이의 성장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용어 FVIII은 FVIII 유사체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FVIII 유사체"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FVIII의 야생형 아미노산 서열(즉, UniProt 식별자 P00451로 정의된 서열) 또는, B-도메인 절단된/결실된 FVIII 분자의 경우, 그 아미노산 서열의 상응하는 부분에 비해 치환되거나 결실된 FVIII 분자(전장 또는 B-도메인-절단된/결실된, 또는 단일 쇄 FVIII)를 나타낸다. FVIII 유사체는 자연에서 발생하지는 않지만 사람 조작에 의해 수득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인자 VIII 분자는 또한 나머지 도메인이 FVIII 야생형 아미노산 서열의 아미노산 번호 1-740 및 1649-233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서열에 상응하는 B-도메인-절단된/결실된 FVIII 분자일 수 있다. B-도메인 결실된 FVIII 분자의 다른 형태들은 이들의 a3 도메인에 부분 결실을 추가로 가지며, 이것이 단일-쇄 FVIII 분자를 야기한다.
이러한 FVIII 분자는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기원의 형질전환된 숙주 세포에서 생산된 재조합 분자라고 한다. 그러나, B-도메인 결실된 FVIII의 나머지 도메인(즉, 세 개의 A-도메인, 두 개의 C-도메인 및 a1, a2 및 a3 영역)은 각각의 야생형 아미노산 서열(아미노산 1-740 및 1649-2332)과는 약간, 예를 들면, 약 1%, 2%, 3%, 4% 또는 5%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FVIII 분자는 2쇄 FVIII 분자 또는 단일-쇄 FVIII 분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FVIII 분자는 또한 FVIII의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단편, 즉, B-도메인 이외의 도메인(들)이 결실되거나 절단되었지만 결실/절단된 형태의 FVIII 분자가 혈전의 형성을 지지하는 능력을 보유하는 FVIII일 수 있다. FVIII 활성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기술들을 사용하여 시험관내에서 평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FVIII 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바람직한 시험은 색원체성 기질 검정 또는 일단계 검정(아래 참조)이다. 아미노산 변형(치환, 결실 등)이, 예를 들면, 인자 VIII의 결합 성능을 다양한 다른 성분들, 예를 들면, VWF), 저밀도 지단백질 수용체-관련 단백질(LPR), 다양한 수용체, 기타의 응고 인자, 세포 표면 등으로 변형시키기 위해 또는 글리코실화 부위 등을 도입 및/또는 없애기 위해 남은 도메인에 도입될 수 있다. FVIII 활성을 없애지 않는 다른 돌연변이들이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해 FVIII 분자/유사체에 수용될 수 있다.
FVIII 유사체는 또한 모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 잔기 중의 하나 이상이 결실되거나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되고/되거나 추가의 아미노산 잔기가 모 FVIII 폴리펩티드에 부가된 FVIII 분자를 포함한다.
게다가, 인자 VIII 분자/유사체는, 예를 들면, 절단된 B-도메인에 및/또는 분자("FVIII 유도체")의 다른 하나 이상의 도메인에 다른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변형은, 예를 들면, 중합체성 화합물, 펩티드성 화합물, 지방산 유도된 화합물 등과 같은 인자 VIII 분자에 접합된 다양한 분자의 형태일 수 있다.
용어 FVIII은 글리코페길화된 FVIII을 포함한다. 본 맥락에서, 용어 "글리코페길화된 FVIII"은 하나 이상의 PEG 그룹(들)이 폴리펩티드의 다당류 측쇄(들)(글리칸(들))을 통해 FVIII 폴리펩티드에 부착된 인자 VIII 분자(전장 FVIII 및 B-도메인 절단된/결실된 FVIII 포함)를 명시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용어 FVIII은 보호 그룹 또는 반감기 연장 모이어티를 갖는 FVIII 분자를 포함한다. 용어 "보호 그룹"/"반감기 연장 모이어티"는 본원에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측쇄 관능기, 예를 들면, -SH, -OH, -COOH, -CONH2, -NH2, 또는 하나 이상의 N- 및/또는 O-글리칸 구조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화학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며 이것은 이러한 단백질/펩티드에 접합되는 경우 다수의 치료 단백질/펩티드의 생체내 순환 반감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보호 그룹/반감기 연장 모이어티의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생체적합성 지방산 및 이의 유도체, 하이드록시 알킬 전분(HAS),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 에틸 전분(HES), 폴리(Glyx-Sery)n(단독 아미노산 중합체(HAP)), 히알루론산(HA), 헤파로산 중합체(HEP), 포스포릴콜린계 중합체(PC 중합체), Fleximer® 중합체(Mersana Therapeutics, MA, USA), 덱스트란, 폴리-시알산(PSA),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Fc 도메인, 트랜스페린, 알부민, 엘라스틴 유사 펩티드, XTEN® 중합체(Amunix, CA, USA), 알부민 결합 펩티드, 폰 빌레브란트 인자 단편(vWF 단편), 카복실 말단 펩티드(CTP 펩티드, Prolor Biotech, IL), 및 이의 조합(예를 들면, 문헌 참조; McCormick, C.L., A.B. Lowe, and N. Ayres, Water-Soluble Polymers, in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2002, John Wiley & Sons, Inc.). 유도체화의 방식은 중요하지 않으며 상기로부터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FVIII 분자는 이종 아미노산 서열, 바람직하게는 반감기 연장 아미노산 서열에 융합된 FVIII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융합 단백질은 Fc 융합 단백질 및 알부민 융합 단백질이다. 용어 "Fc 융합 단백질"은 본원에서 임의의 항체 이소타입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Fc 도메인에 융합된 FVIII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IgG Fc 도메인이 IgG 항체의 비교적 긴 순환 반감기로 인해 종종 바람직할 것이다. Fc 도메인은, 예를 들면, 보체 결합 및/또는 특정 Fc 수용체에 대한 결합과 같은 특정 효과기 기능을 조절하기 위해 추가로 변형될 수 있다. FVIII을 FcRn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Fc 도메인과 융합시키면 일반적으로 wt FVIII의 반감기에 비해 융합 단백질의 순환 반감기가 연장될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FVIII 분자는 또한, 예를 들면, FVIII 유사체의 융합 단백질, 페길화 또는 글리코페길화 FVIII 유사체, 또는 헤파로산 중합체에 접합된 FVIII 유사체와 같은 FVIII 유사체의 유도체일 수 있다고 한다. 용어 "알부민 융합 단백질"은 본원에서 알부민 아미노산 서열에 융합된 FVIII 또는 이의 단편 또는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종 아미노산 서열이 FVIII의 N- 또는 C-말단에 융합될 수 있거나, 이것이 FVIII 아미노산 서열 내에 내부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종 아미노산 서열은 제WO 2008/077616 A1호에 기재된 임의의 "반감기 연장 폴리펩티드"일 수 있으며, 이의 기재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하기 위한 FVIII 분자의 예는, 예를 들면, 제WO 2010/045568호, 제WO 2009/062100호, 제WO 2010/014708호, 제WO 2008/082669호, 제WO 2007/126808호, 제US 2010/0173831호, 제US 2010/0173830호, 제US 2010/0168391호, 제US 2010/0113365호, 제US 2010/0113364호, 제WO 2003/031464호, 제WO 2009/108806호, 제WO 2010/102886호, 제WO 2010/115866호, 제WO 2011/101242호, 제WO 2011/101284호, 제WO 2011/101277호, 제WO 2011/131510호, 제WO 2012/007324호, 제WO 2011/101267호, 제WO 2013/083858호, 및 제WO 2004/067566호에 기재된 FVIII 분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FVIII 분자의 예는 Advate®, Helixate®, Kogenate®, Xyntha®의 활성 성분 뿐만 아니라 제WO 2008/135501호, 제WO 2009/007451호에 기재된 FVIII 분자 및 제WO 2004/067566호의 "dBN(64-53)"로 명명된 작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 중의 인자 VIII의 농도는 전형적으로 10-10,000 IU/mL의 범위이다. 상이한 양태들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 중의 FVIII 분자의 농도는 10-8,000 IU/mL, 또는 10-5,000 IU/mL, 또는 20-3,000 IU/mL, 또는 50-1,500 IU/mL, 또는 3,000 IU/mL, 또는 2,500 IU/mL, 또는 2,000 IU/mL, 또는 1,500 IU/mL, 또는 1,200 IU/mL, 1,000 IU/mL, 또는 800 IU/mL, 또는 600 IU/mL, 또는 500 IU/mL, 또는 400 IU/mL, 또는 300 IU/mL, 또는 250 IU/mL, 또는 200 IU/mL, 또는 150 IU/mL, 또는 100 IU/mL의 범위이다.
"국제 단위" 또는 "IU"는 "IU"로 검량된 국제 표준품에 대해 검량된 표준을 사용하는 일단계 응고 검정 또는 색원체 기질 FVIII 활성 검정과 같은 FVIII 활성 검정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은 FVIII의 혈액 응고 활성(효능)의 측정의 단위이다. 일단계 응고 검정은 문헌[참조; N Lee, Martin L, et al., An Effect of Predilution on Potency Assays of FVIII Concentrates, Thrombosis Research (Pergamon Press Ltd.) 30, 511 519 (1983)]에 기재된 것과 같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일단계 검정의 원리: 시험은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aPTT)-검정의 수정된 버전으로서 수행되며: 혈장을 인지질 및 표면 활성화제와 함께 배양하여 내재성 응고 시스템의 인자를 활성화시킨다. 칼슘 이온의 첨가가 응고 캐스케이드를 촉발시킨다. 측정 가능한 피브린괴(fibrin clot)의 형성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검정은 인자 VIII 결핍 혈장의 존재하에 수행한다. 결핍 혈장의 응고 능력은 시험하고자 하는 샘플에 포함된 응고 인자 VIII에 의해 회복된다. 응고 시간의 단축은 샘플에 존재하는 인자 VIII의 양에 비례한다. 응고 인자 VIII의 활성은 국제 단위의 인자 VIII의 공지된 활성을 가진 표준품에의 직접 비교에 의해 정량된다.
또 다른 표준 검정은 색원체 기질 검정이다. 색원체 기질 검정은 코어매틱(coamatic) FVIII 시험 키트(Chromogenix-Instrumentation Laboratory SpA V. le Monza 338 - 20128 Milano, Italy)와 같이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다. 색원체 검정의 원리: 칼슘 및 인지질의 존재하에서, 인자 X은 IXa에 의해 인자 Xa로 활성화된다. 이 반응은 보조인자로서 인자 VIIIa에 의해 자극된다. FVIIIa는 측정하고자 하는 샘플 중의 FVIII로부터의 반응 혼합물 중의 적은 양의 트롬빈에 의해 형성된다. 최적 농도의 Ca2+, 인지질 및 인자 IXa와 과량의 인자 X를 사용하는 경우, 인자 X의 활성화는 인자 VIII의 효능에 비례한다. 활성화된 인자 X는 색원체 기질 S-2765로부터 발색단 pNA를 방출한다. 따라서, 405nm에서 측정된 pNA의 방출은 형성된 FXa의 양에 비례하며, 이에 따라 또한 샘플의 인자 VIII 활성에 비례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치료는 본 발명의 항-CLEC10A 항체 및 인자 VIII을 혈우병, 바람직하게는 A형 혈우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치료는 본 발명의 항-CLEC10A 항체 및 VWF를 혈우병, 바람직하게는 A형 혈우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치료는 본 발명의 항-CLEC10A 항체 및 인자 VIII 및 VWF를 혈우병, 바람직하게는 A형 혈우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치료는 본 발명의 항-CLEC10A 항체 및 VWF를 폰 빌레브란트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항-CLEC10A 항체 및 혈액 응고 인자(e.g. 인자 VIII, VWF 또는 이의 조합)는 동시에 투여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항-CLEC10A 항체 및 혈액 응고 인자(e.g. 인자 VIII, VWF 또는 이의 조합)는 별도로 투여된다. 항-CLEC10A 항체와 혈액 응고 인자(e.g. 인자 VIII, VWF 또는 이의 조합)의 투여 사이의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혈액 응고 인자(e.g. 인자 VIII, VWF 또는 이의 조합)를 항-CLEC10A 항체 이전에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i)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제1 화합물(바람직하게는 항체) 및 (ii) 인자 VIII, 폰 빌레브란트 인자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키트이다. 바람직하게는, 화합물(바람직하게는 항체) 및 폴리펩티드는 별도의 조성물에 함유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혈액 응고 장애의 치료에 있어서 동시에, 별도로 또는 순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i)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제1 화합물(바람직하게는 항체) 및 (ii) 인자 VIII, 폰 빌레브란트 인자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키트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폰 빌레브란트 인자의 반감기를 증가시키거나 소거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바람직하게는 항체)의 용도이다.
용어 "반감기"는 생체내 순환으로부터 단백질의 절반을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곡선하 면적(AUC)을 측정하여 소거 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소거율의 감소는 보다 높은 AUC 값 및 반감기의 증가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인자 VIII의 반감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바람직하게는 항체)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치료학적 치료에서 폰 빌레브란트 인자의 반감기를 연장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바람직하게는 항체)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대상체에게 유효량의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바람직하게는 항체)을 투여함을 포함하여, 생체내에서 폰 빌레브란트 인자의 반감기를 증가시키거나 소거율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은 혈액 응고 장애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바람직하게는 항체)을 투여함을 포함하여, 혈액 응고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추가의 측면은 A형 혈우병의 치료에 있어서 FVIII의 투여 빈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바람직하게는 항체)의 용도이다. FVIII의 정맥내 또는 피하 투여의 빈도는 1주일당 2회로 감소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FVIII의 정맥내 또는 피하 투여의 빈도는 1주일당 1회로 감소될 수 있다.
추가의 측면은 VWD의 치료에 있어서 VWF의 투여 빈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바람직하게는 항체)의 용도이다. VWF의 정맥내 또는 피하 투여의 빈도는 1주일당 2회로 감소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VWF의 정맥내 또는 피하 투여의 빈도는 1주일당 1회로 감소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은 A형 혈우병의 치료에 있어서 투여되는 FVIII의 용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바람직하게는 항체)의 용도이다.
또 다른 측면은 VWD의 치료에 있어서 투여되는 VWF의 용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바람직하게는 항체)의 용도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ABO(H) 혈액군 항원"은 항-A 또는 항-B 항체에 의해 흔히 인식되는 적혈구 상에 존재하는 탄수화물 항원을 나타낸다. ABO(H) 혈액군 체제가 사람 수혈에서 가장 중요한 혈액형 체제이다. H-항원은 ABO(H) 혈액군 항원에 필수적인 전구체이며, 주로 단백질에 연결된 탄수화물 구조이며, 미량의 부분이 세라미드에 부착된다. 이것은 β-D-갈락토스, β-D-N-아세틸글루코사민, β-D-갈락토스, 및 2-연결된 a-L-푸코스의 쇄로 이루어진다. A-항원은 H-항원의 말단에서 D-갈락토스 잔기에 결합된 a-N-아세틸갈락토사민을 함유하는 반면, B-항원은 H-항원의 D-갈락토스에 결합된 a-D-갈락토스 잔기를 갖는다. 따라서, ABO(H) 혈액군 체제의 말단 당 잔기는 갈락토스, N-아세틸갈락토사민 및 푸코스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단량체성 사람 VWF와 재조합 사람 CLEC10A의 상호작용
재료 & 방법
표면 플라스몬 공명(SPR) 기술(Biacore T200, GE Healthcare Biosciences, Uppsala, Sweden)이, 정제된 단량체성 사람 VWF(분석물)와 수용체 단백질, 예를 들면, CLEC10A(리간드) 간의 실시간 생체분자 상호작용의 메카니즘을 평가하는데 사용되었다. Biacore T200과 같은 SPR 기반 기구는 리간드가 고정화되는 금속 센서 표면의 뒷면 가까이에서 굴절률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광학적 방법을 사용한다. 분석물은 고정화된 리간드 위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이동상에 있다. 리간드로 분석물을 포획하는 것은 표면 상의 분석물의 축적을 초래하고 반사광의 강도 변화를검출함으로써 실시간으로 SPR 반응으로 측정되는 굴절률의 증가를 야기한다. SPR 신호는 RU로 표현되며 경시적인 신호의 변화는 센서그램으로서 표시된다. 기준 플로우 셀로부터의 백그라운드 반응을 실험적 반응으로부터 공제한다. SPR 신호에 있어서의 변화의 크기는 고정화되거나 포획된 질량에 직접 비례하며, 표지 없는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결합 현상의 동력학적 분석 및 결합 상수의 검정을 가능케 한다(문헌 참조; Biacore Handbook, 2008; Schasfoort & Tudos, 2008; Biacore Handbook, 2012).
상호작용 실험은 샘플 희석 완충액으로도 사용되는 10mM HEPES, 150mM NaCl, 5mM CaCl2 및 0.05% (w/v) Tween-20을 함유하는 pH 7.4의 시험 완충액을 적용함으로써 +25℃의 플로우 셀 온도에서 수행하였다. 사용되는 단백질을 적용 전에 PD-10 탈염 컬럼(GE Healthcare Life Sciences, Freiburg, Germany)에 의해 시험 완충액으로 이동시켰다. 시약 및 완충 스톡 용액은 GE Healthcare Biosciences(Uppsala, Sweden)로부터 구입하였으며 완충 용액은 사용 전에 멸균 여과하였다(0.22㎛ Stericup filter units, Millipore, Massachusetts, USA). CLEC10A의 세포외 도메인은 R&D Systems(Wiesbaden, Germany)으로부터 획득하였다. 게다가, 사람 알부민(CSL Behring, Marburg, Germany)을 대조군 단백질로서 사용하였다. CLEC10A를 제조자의 지침에 따라 전처리된 Series S 센서 칩 C1(카복시메틸화된 플랫)에 포획하였다. CLEC10A의 조사는 목적하는 고정화 수준을 수득하는데 필요한 단백질의 양을 추정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고정화를 위한 최적의 pH 값을 결정하기 위해 예비-농축 단계로 출발하였다. 효율적인 고정화를 위해 고정화 완충액의 pH 값은 리간드의 등전점보다 낮아야 한다. 따라서, pH 스카우팅을 위해, CLEC10A를 먼저 1mg/mL의 농도로 되도록 WFI에 용해시키고 각각 pH 4.0, 4.5, 5.0 및 5.5의 10mM 나트륨 아세테이트 완충액 중에서 추가로 1:50 희석시켰다. 방법은 180초의 접촉 시간과 5㎕/min의 유량을 사용함으로써 Biacore 기기 제어 소프트웨어에서 고정화 pH 스카우팅 위저드에 따라 수행하였다. 분석 후, 공유 고정화가 시작되기 전에 표면을 50mM NaOH로 재생시켰다.
고정화 목적으로, 용해된 CLEC10A를 최적 pH 값(pH 5.0)의 10mM 나트륨 아세테이트로 20㎍/mL의 농도로 되도록 희석시켰다. 제조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아민 커플링 키트를 적용함으로써 리간드를 유리 아민 그룹을 통해 카복시메틸화 덱스트란 매트릭스에 공유적으로 고정화하였다. 0.05M EDC와 0.2M NHS의 1:1 혼합물로 7 min 동안 활성화시킨 후 칩 표면 상에 존재하는 유리 카복실산 그룹과 리간드의 1급 아민 그룹 사이에 커플링이 일어난다. 고정화는 +25℃에서 10㎕/min의 유량으로 수행되었다. 궁극적으로, 700 내지 1,500 RU의 표면 밀도 범위가 표적화되었다. 또한, 고정화된 단백질이 없는 블랭크 플로우 셀이 벌크 이동(bulk shift) 및 비특이적 결합 변화에 대한 칩 상의 기준 표면으로서 포함되었다. 리간드 고정화 후, 칩 표면 둘 다를 7 min 동안 1M 에탄올아민-HCl(pH 8.5)로 차단하였으며, 10mM NaOH로 25㎕/min의 유량으로 10초간 3회 세척함으로써 고정화 공정 동안 잠재적으로 형성된 비공유 비특이적 상호작용을 제거하였다. 각 경우에 시험 완충액으로 5회 스타트업 사이클을 수행함으로써 SPR 베이스라인을 컨디셔닝하였다.
증가하는 농도의 단량체성 VWF를 시험 완충액 중에서 2배 연속 희석 시리즈로서 제조하고, 단백질-리간드 상호작용을 특성화하기 위해 25㎕/min로 칩 표면을 가로질러 순차적으로 주입하였다. VWF 단량체의 농도는 4,000 내지 31.25nM 범위이며 단량체성 VWF의 MW에 기초하여 계산하였다. 모든 샘플은 완충제 조성의 변화에 대한 SPR 시스템의 높은 감도로 인해 유사한 완충제 조성을 함유하도록 설계되었다. 물질 전달 한계로 인한 잠재적인 재결합을 피하기 위해 비교적 높은 유량이 선택되었다. 상호작용 분석 사이클은 5 min 샘플 주입 단계(injection phase)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결합 단계(association phase)에서, CLEC10A에 결합된 VWF가 표면 상에 고정화되고, 표면 질량을 증가시켰다. 이 단계 이후에는 시험 완충액에서의 17 min 동안이 해리 단계(dissociation phase)가 뒤따른다. 해리 단계에서, 샘플을 시험 완충액으로 교체하고, 해리된 VWF를 표면으로부터 제거하여, 표면 질량을 감소시켰다. 모든 샘플은 반복 결정(repeat determination)으로 시험하였다. 표면-고정화된 CLEC10A로부터 결합된 VWF를 제거하기 위해 각 시험 사이에 10mM NaOH의 10초 펄스로 칩 표면과 대조군 표면 둘 다를 재생시켰으며, 이 단계를 시험 완충액으로의 최종 2 min 세척 단계 및 다른 수행을 시작하기 전에 3회 반복하였다. Biacore T200 평가 소프트웨어 버전 1.0(GE Healthcare Biosciences, Uppsala, Sweden)을 사용하여 동력학적 데이터를 분석하였지만, 데이터 세트는 단지 정보 목적으로만 사용되었다.
SPR은 대개 질량 검출기로서 사용되었다. VWF와 CLEC10A의 상호작용은 축적 질량의 증가에 의해 검출되었으며, 특이적 결합은 기록된 결합 반응을 대조군 표면으로부터 공제한 다음 완충액 블랭크 주입의 평균을 공제함으로써 확인하였다. 시점은 샘플 주입을 종료한지 20초 후에 두었으며, 관심의 대상인 안정한 단백질-리간드 상호작용에 대한 대표로서 평가하였다. 따라서, 이 시점이 VWF와 CLEC10A 간의 생체분자 상호작용의 평가 및 계산을 위해 사용되었다. 더욱이, 시험은 적어도 이중으로 수행되었으며 반응은 각 경우에 베이스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계산하였다. VWF-CLEC10A 상호작용의 일반적인 평가에 더하여, 친화도 상수(R50%)를 결정하였으며, 이것은 CLEC10A의 50%를 차지하는 총 VWF 농도의 반응을 나타낸다. 친화도 상수는 정의된 리포트 포인트를 적용함으로써 결합 친화도 추정을 위해 사용되었으며 소프트웨어에 의해 사전설정된 정상상태 친화도 피트를 사용하여 비선형 전역 곡선 맞춤으로부터 유도되었다. 더욱이, 해리도 상수(오프-속도)는 해리 단계 만을 피팅함으로써 계산하였다. 적합한 해리 모델을 확립하고(Biacore Training Courses, 2008) 앞서 정의된 리포트 포인트를 계산을 위해 사용하였다.
결과
SPR에 의해 특성화된 CLEC10A에 대해, VWF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량-의존적 방식으로 강한 결합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단량체성 사람 VWF 와 재조합 사람 CLEC10A CLEC10A 이종상동성 마우스 단백질 ( MGL1 MGL2 ) 둘 다와의 상호작용
재료 & 방법
CLEC10A, MGL1 및 MGL2를,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Series S 센서 칩 CM3(고정화를 위한 pH 값: CLEC10A 및 MGL1 둘 다에 대해 pH 5.0; MGL2에 대해 pH 5.5) 상에 고정화시켰다. 수용체 단백질의 고정화는 아민 커플링에 의해 수행하였지만, 6,000(±500) RU의 표면 밀도를 표적화하였다. 시험은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결과
결합 상호작용은 SPR 분석에 의해 조사하였다. 표 1과 도 2 및 3의 결과는 정제된 사람 VWF 단량체가 시험관내에서 용량-의존적 방식으로 사람 CLEC10A 및 뮤린 수용체 단백질 둘 다에 결합됨을 명백히 입증하였다. 일반적으로, 유사한 결합 특징이 세 가지 수용체 단백질 모두에 대해 관찰되었다.
VWF의 수용체 결합에 대한 친화도 상수(R50%)를 추정하였다. 또한, 해리도 상수(오프-속도)는 해리 단계 만을 피팅함으로써 계산하였다. 안정한 단백질-리간드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결합 반응(샘플 주입을 종료한지 20초 후)을 계산을 위해 사용하였다. 마우스 수용체 단백질 MGL1 및 MGL2에 대한 사람 단량체성 VWF의 보다 낮은 친화도를 사람 CLEC10A에 대한 VWF-결합과 비교하여 추정하였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3: 중화 항- MGL1 /2 항체의 존재하에서의 MGL2 에 대한 VWF -결합의 억제
재료 & 방법
VWF 결합에 대한 다클론성 염소 항-MGL1/2 항체(Prod. No. AF4297, R&D Systems, Wiesbaden, Germany)의 억제 효과를 SPR 분석으로 조사하였다. 동결건조된 항체를 시험 완충액 중에서 200㎍/mL의 농도로 되도록 용해시켰다. MGL1 및 MGL2를 각각 Series S 센서 칩 CM3 상에 고정화시켰다. 수용체 단백질의 고정화는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아민 커플링에 의해 수행하였다. 6,000(±500) RU의 표면 밀도를 표적화하였다. 시험 완충액 및 항-MGL1/2 항체를 각각 12 min 동안 주입한 다음 5 min 동안 단량체 VWF(2μM)의 이중 주입 및 8 min의 최종 해리 단계가 뒤따른다. SPR 분석은 +25℃에서 20㎕/min의 유량으로 수행하였다.
결과
예를 들면(도 4 참조), 중화 항-MGL1/2는 고정화된 MGL2에 대해 강한 결합을 보이며(도 4a 및 4b 참조), 질량 증가를 야기하였다. 분석물로서 사용된 VWF는, 중화 항체가 수용체의 각각의 결합 도메인을 차단하기 때문에, 고정화된 수용체 단백질에 결합하지 않았다. 그 결과, VWF-결합은 검출될 수 없었다. 반대도, VWF는 시험 완충액을 사용하여 대조군 샘플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이 중화 항체의 부재하에서 고정화된 MGL2에 강하게 결합되었다(도 4a 및 4c 참조).
결론적으로, 다클론성 항체의 수용체-차단 효과는 SPR 분석에 의해 명백히 검증되었다. 그 결과, SPR에 의한 분석으로, 항체가 각각 고정화된 MGL1 및 MGL2와 VWF의 상호작용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과적으로, 항체 둘 다는 MGL1 및 MGL2를 특이적으로 차단하는데 해당되는 것으로 정성적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4: 억제성 항체는 생체내에서 사람 CLEC10A의 마우스 이종상동성 수용체 단백질을 특이적으로 차단하여 마우스에서 VWF 생체내 소거율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되었다
두 개의 CLEC10A 이종상동성 수용체 단백질 MGL1 및 MGL2가 마우스에 존재한다. 다클론성 염소 항-MGL1/2 항체(Prod. No. AF4297, R&D Systems, Wiesbaden, Germany)를 생체내 수용체 차단을 위해 사용하였다. 더욱이, 혼주된 정상 염소 혈청으로부터 정제된 비특이적 항체(Prod. No. I5256, Sigma-Aldrich, St. Louis, USA)가 대조군 치료로서 사용되었다.
VWF-결핍 마우스에게 생체내 VWF 소거율에 대한 MGL1 및 MGL2 수용체의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b.w. kg당 특이적 억제성 항체 8mg을 정맥내 제공하였다. 이전에, 동결건조된 항체를 등장성 NaCl 용액(5mL/kg b.w.의 적용 용적)에 용해시켰다. 비특이적 항체를 대조군 치료로서 사용하였다. 10분 후, 마우스에게 사람 pdVWF(200IU/kg b.w.)를 단일 정맥내 주사(5 mL/kg b.w.의 적용 용적)로서 제공하였다. 연구 설계는 각 2마리 마우스 2개 그룹을 포함하였다. VWF의 투여 후 혈액 샘플을 수집하고(그룹 1: 5분 및 120분에 샘플링; 그룹 2: 60분 및 240분에 샘플링), 샘플을 혈장 샘플로 가공한 다음 VWF:Ag ELISA로 분석하였다. 수득된 데이터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통계적 분석의 개요가 표 2에 제공되어 있다.
PK 데이터의 분석 결과, 대조군 항체를 제공받은 그룹과 비교하는 경우, VWF-결핍 마우스의 항-MGL1/2 항체 처리가 사람 VWF의 소거율에 대해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억제 항-MGL1/2 항체의 존재하에서, AUC는 대조군 치료에 비해 대략 1.7배 더 높았으며, VWF의 혈장 소거율은 대략 1.7배 더 낮았다. 결론적으로, MGL1 및 MGL2는 생체내 VWF 소거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VWF의 흡수의 필수적인 매개인자일 수 있다.
요약하면, 억제성 항체는 VWF 소거율에 있어서 각각의 수용체 단백질의 관련성을 추가로 평가하기 위해 생체내에서 사람 CLEC10A의 마우스 이종상동성 수용체 단백질의 탄수화물 인식 도메인을 특이적으로 차단하는데 사용되었다. PK 데이터의 분석으로, VWF-결핍 마우스의 항-MGL1/2 항체 처리가, 비특이적 대조군 항체를 제공받은 그룹과 비교하는 경우, 사람 VWF의 소거율에 대해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MGL1/MGL2-지향성 항체는 사람 VWF의 분해를 상당한 정도로 억제하였으며, 이것은 MGL1/MGL2가 VWF의 결합에 기여하며 특이적 수용체-차단이 생체내 VWF의 흡수를 방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데이터는 VWF가 수용체-매개된 메카니즘을 통해 세포내흡수됨을 시사하며 VWF의 흡수에 있어서의 사람 CLEC10A의 관련을 확인시켜 준다.
표 2: MGL1 MGL2 둘 다의 수용체 기능을 중화시키는 항체의 존재하에 VWF-결핍 마우스에서의 사람 VWF의 생체내 소거율의 통계적 분석
항-MGL1/2 항체의 존재하에서 VWF 소거를 평가하기 위해, PK 데이터를 계산하였다. 억제 항-MGL1/2 항체의 존재하에서, VWF의 소거율은 감소되었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5: 사람 CLEC10A에 대한 차단 항체의 생성
당업계의 숙련가에게는 사람 재조합 또는 막-관련 CLEC10A에 대한 차단 항체를 발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다수의 항체 생성방법이 있다. 당해 실시예에서 항체 생성 및 예비 기능 스크리닝을 위해 재조합 CLEC10A와 항체 파지-디스플레이 기술을 사용한다. 항체 차단 활성의 확인은 적절한 모델에서 세포-기반 내재화 검정 또는 생체내 약동학적 연구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사람 Fab-기반 파지 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Dyax Corp. Cambridge, MA)는 이전에 기재된 방법들(제WO2013014092 A1호)을 사용하여 비오티닐화 사람 CLEC10A에 대해 스크리닝하는데 사용된다. 3 라운드의 패닝 후, 각각의 패닝 라운드로부터 다수의 대별 파지 클론을 선정하고 Fab-파지 ELISA를 사용하여 사람 CLEC10A로의 특이적 결합에 대해 스크리닝하였다. 임의의 CLEC10A 특이적 파지 클론에 대해, Fab 영역을 PCR을 사용하여 증폭시키고 가변 영역 서열(중쇄 및 경쇄)을 뉴클레오티드 서열분석으로 결정하였다. 추가의 평가를 위해, CLEC10A 특이적 Fab 항체를 무손상 사람 IgG4 항체로 재조작하고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제WO2013014092 A1호) 포유동물 발현 시스템을 사용하여 발현시켰다. CLEC10A로의 이들 IgG 항체의 특이적 결합은 ELISA로 확인한다. 사람 CLEC10A에 대해 결합 특이성을 갖는 독특한 IgG 항체 패널이 확인된다.
기능 차단 활성에 대한 CLEC10A 특이적 항체 스크리닝
CLEC10A-특이적 IgG 항체의 기능 차단 활성은 ELISA에 의해 CLEC10A에 대한 비오티닐화 bGalNAcPAA 또는 vWF의 결합을 억제하는 이들의 능력에 의해 평가된다. 그후, 이 검정에서 차단 활성을 보이는 항체를 유세포분석법을 사용하여 활성화된 대식세포에 의한 형광단-접합된 VWF의 내재화를 조절하는 능력에 대해 추가로 특성화하였다.
당해 실시예로부터 확인된 임의의 기능 차단 항체는 사실상 완전 사람 항체이므로, 이들은 사람에서 치료적 사용을 위해 쉽게 받아들여질 수 있다.
SEQUENCE LISTING <110> CSL BEHRING RECOMBINANT FACILITY AG <120> COMPOUNDS FOR IMPROVING THE HALF-LIFE OF VON WILLEBRAND FACTOR <130> A242 <150> EP 15158088.3 <151> 2015-03-06 <160> 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316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35)..(35) <223> Xaa is Cys or Arg <220> <221> MISC_FEATURE <222> (73)..(73) <223> Xaa is Arg or Lys <220> <221> MISC_FEATURE <222> (100)..(100) <223> Xaa is Thr or Met <220> <221> MISC_FEATURE <222> (203)..(203) <223> Xaa is Ala or Gly <400> 1 Met Thr Arg Thr Tyr Glu Asn Phe Gln Tyr Leu Glu Asn Lys Val Lys 1 5 10 15 Val Gln Gly Phe Lys Asn Gly Pro Leu Pro Leu Gln Ser Leu Leu Gln 20 25 30 Arg Leu Xaa Ser Gly Pro Cys His Leu Leu Leu Ser Leu Gly Leu Gly 35 40 45 Leu Leu Leu Leu Val Ile Ile Cys Val Val Gly Phe Gln Asn Ser Lys 50 55 60 Phe Gln Arg Asp Leu Val Thr Leu Xaa Thr Asp Phe Ser Asn Phe Thr 65 70 75 80 Ser Asn Thr Val Ala Glu Ile Gln Ala Leu Thr Ser Gln Gly Ser Ser 85 90 95 Leu Glu Glu Xaa Ile Ala Ser Leu Lys Ala Glu Val Glu Gly Phe Lys 100 105 110 Gln Glu Arg Gln Ala Gly Val Ser Glu Leu Gln Glu His Thr Thr Gln 115 120 125 Lys Ala His Leu Gly His Cys Pro His Cys Pro Ser Val Cys Val Pro 130 135 140 Val His Ser Glu Met Leu Leu Arg Val Gln Gln Leu Val Gln Asp Leu 145 150 155 160 Lys Lys Leu Thr Cys Gln Val Ala Thr Leu Asn Asn Asn Ala Ser Thr 165 170 175 Glu Gly Thr Cys Cys Pro Val Asn Trp Val Glu His Gln Asp Ser Cys 180 185 190 Tyr Trp Phe Ser His Ser Gly Met Ser Trp Xaa Glu Ala Glu Lys Tyr 195 200 205 Cys Gln Leu Lys Asn Ala His Leu Val Val Ile Asn Ser Arg Glu Glu 210 215 220 Gln Asn Phe Val Gln Lys Tyr Leu Gly Ser Ala Tyr Thr Trp Met Gly 225 230 235 240 Leu Ser Asp Pro Glu Gly Ala Trp Lys Trp Val Asp Gly Thr Asp Tyr 245 250 255 Ala Thr Gly Phe Gln Asn Trp Lys Pro Gly Gln Pro Asp Asp Trp Gln 260 265 270 Gly His Gly Leu Gly Gly Gly Glu Asp Cys Ala His Phe His Pro Asp 275 280 285 Gly Arg Trp Asn Asp Asp Val Cys Gln Arg Pro Tyr His Trp Val Cys 290 295 300 Glu Ala Gly Leu Gly Gln Thr Ser Gln Glu Ser His 305 310 315 <210> 2 <211> 316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 Met Thr Arg Thr Tyr Glu Asn Phe Gln Tyr Leu Glu Asn Lys Val Lys 1 5 10 15 Val Gln Gly Phe Lys Asn Gly Pro Leu Pro Leu Gln Ser Leu Leu Gln 20 25 30 Arg Leu Cys Ser Gly Pro Cys His Leu Leu Leu Ser Leu Gly Leu Gly 35 40 45 Leu Leu Leu Leu Val Ile Ile Cys Val Val Gly Phe Gln Asn Ser Lys 50 55 60 Phe Gln Arg Asp Leu Val Thr Leu Arg Thr Asp Phe Ser Asn Phe Thr 65 70 75 80 Ser Asn Thr Val Ala Glu Ile Gln Ala Leu Thr Ser Gln Gly Ser Ser 85 90 95 Leu Glu Glu Thr Ile Ala Ser Leu Lys Ala Glu Val Glu Gly Phe Lys 100 105 110 Gln Glu Arg Gln Ala Gly Val Ser Glu Leu Gln Glu His Thr Thr Gln 115 120 125 Lys Ala His Leu Gly His Cys Pro His Cys Pro Ser Val Cys Val Pro 130 135 140 Val His Ser Glu Met Leu Leu Arg Val Gln Gln Leu Val Gln Asp Leu 145 150 155 160 Lys Lys Leu Thr Cys Gln Val Ala Thr Leu Asn Asn Asn Ala Ser Thr 165 170 175 Glu Gly Thr Cys Cys Pro Val Asn Trp Val Glu His Gln Asp Ser Cys 180 185 190 Tyr Trp Phe Ser His Ser Gly Met Ser Trp Ala Glu Ala Glu Lys Tyr 195 200 205 Cys Gln Leu Lys Asn Ala His Leu Val Val Ile Asn Ser Arg Glu Glu 210 215 220 Gln Asn Phe Val Gln Lys Tyr Leu Gly Ser Ala Tyr Thr Trp Met Gly 225 230 235 240 Leu Ser Asp Pro Glu Gly Ala Trp Lys Trp Val Asp Gly Thr Asp Tyr 245 250 255 Ala Thr Gly Phe Gln Asn Trp Lys Pro Gly Gln Pro Asp Asp Trp Gln 260 265 270 Gly His Gly Leu Gly Gly Gly Glu Asp Cys Ala His Phe His Pro Asp 275 280 285 Gly Arg Trp Asn Asp Asp Val Cys Gln Arg Pro Tyr His Trp Val Cys 290 295 300 Glu Ala Gly Leu Gly Gln Thr Ser Gln Glu Ser His 305 310 315

Claims (16)

  1. 혈액 응고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사람 수용체 단백질 CLEC10A 또는 이의 오르소로그(ortholog)에 결합할 수 있는 항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CLEC10A로의 폰 빌레브란트 인자의 결합을 억제할 수 있는, 항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CLEC10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단클론 항체인, 항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LEC10A가 서열번호 1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항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폰 빌레브란트 인자의 반감기가 치료에 의해 증가되는, 항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 VIII의 반감기가 치료에 의해 증가되는, 항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가 인자 VIII, 폰 빌레브란트 인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펩티드를 투여함을 추가로 포함하는, 항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 및 상기 폴리펩티드가 별도로 투여되는, 항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응고 장애가 A형 혈우병 또는 폰 빌레브란트 질환인, 항체.
  11. (i)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항체 및 (ii) 인자 VIII, 폰 빌레브란트 인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키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 및 상기 폴리펩티드가 별도의 조성물에 함유되어 있는, 약제학적 키트.
  13. 혈액 응고 장애의 치료시, 동시에, 별도로 또는 순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i)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항체 및 (ii) 인자 VIII, 폰 빌레브란트 인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키트.
  14. 폰 빌레브란트 인자의 반감기를 증가시키거나 소거율(clearance)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항체의 용도.
  15. 인자 VIII의 반감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항체의 용도.
  1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료학적 치료시 폰 빌레브란트 인자의 반감기를 연장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항체.
KR1020177028209A 2015-03-06 2016-03-04 폰 빌레브란트 인자의 반감기 개선용 화합물 KR201701259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58088.3 2015-03-06
EP15158088 2015-03-06
PCT/EP2016/054650 WO2016142289A1 (en) 2015-03-06 2016-03-04 Compounds for improving the half-life of von willebrand fa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942A true KR20170125942A (ko) 2017-11-15

Family

ID=52629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8209A KR20170125942A (ko) 2015-03-06 2016-03-04 폰 빌레브란트 인자의 반감기 개선용 화합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80043012A1 (ko)
EP (1) EP3265489B1 (ko)
JP (1) JP6704420B2 (ko)
KR (1) KR20170125942A (ko)
CN (1) CN107428831A (ko)
AU (1) AU2016231328B2 (ko)
BR (1) BR112017017852A2 (ko)
CA (1) CA2978134A1 (ko)
DK (1) DK3265489T3 (ko)
ES (1) ES2755449T3 (ko)
SG (1) SG11201706657PA (ko)
WO (1) WO20161422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201315A1 (en) * 2020-11-24 2022-06-02 Band Therapeutic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bleeding disorder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0101A (en) * 1988-12-28 1996-06-25 Protein Design Labs, Inc. Humanized immunoglobulins
JP3987114B2 (ja) * 1996-04-24 2007-10-03 ザ・リージェンツ・オブ・ザ・ユニバーシティ・オブ・ミシガン 不活性化耐性第▲8▼因子
US7977460B2 (en) * 2003-05-19 2011-07-12 National Institute For Biological Standards And Control Compositions comprising coagulation factors IXA and VIII for the treatment of haemophilia A or B
JP2005132796A (ja) * 2003-10-31 2005-05-26 Tatsuro Irimura 肉芽組織形成性疾患の治療のための医薬組成物および方法
EP1593388A1 (en) * 2004-05-05 2005-11-09 ZLB Behring GmbH Therapeutic plasma protein-concentrates containing von willebrand factor as high molecular weight multimers
EP2662083A1 (en) * 2012-05-08 2013-11-13 CSL Behring GmbH Sugar compositions for treating hemophilia a and/or von willebrand disease
EP2669679A1 (en) * 2012-05-28 2013-12-04 Universitätsklinikum Hamburg-Eppendorf Method for the detection of glycans using polypeptides comprising the CD301 carbohydrate recognition domain
SG11201500045RA (en) * 2012-07-11 2015-02-27 Amunix Operating Inc Factor viii complex with xten and von willebrand factor protein, and uses thereof
CN113831415A (zh) * 2013-06-28 2021-12-24 比奥贝拉蒂治疗公司 具有xten的凝血酶可裂解连接子和其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706657PA (en) 2017-09-28
CA2978134A1 (en) 2016-09-15
JP6704420B2 (ja) 2020-06-03
CN107428831A (zh) 2017-12-01
DK3265489T3 (da) 2019-07-15
US20180043012A1 (en) 2018-02-15
WO2016142289A1 (en) 2016-09-15
AU2016231328A1 (en) 2017-10-26
EP3265489B1 (en) 2019-05-08
EP3265489A1 (en) 2018-01-10
AU2016231328B2 (en) 2018-07-05
BR112017017852A2 (pt) 2018-04-10
JP2018510213A (ja) 2018-04-12
ES2755449T3 (es)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73487B2 (ja) 第viii因子キメラおよびハイブリッドポリペプチドならびにその使用法
Stennicke et al. A novel B-domain O-glycoPEGylated FVIII (N8-GP) demonstrates full efficacy and prolonged effect in hemophilic mice models
EP3002298B1 (en) Anti-factor xi monoclonal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6336522B2 (ja) 細胞取込みが低下した第viii因子変異体
US8586538B2 (en) Method of treating a patient suffering from a bleeding disorder comprising administering an antibody against the A3-C1 of FVIII
JP6573989B2 (ja) 血友病を処置するための切断型フォン・ヴィルブランド因子ポリペプチド
TW201605904A (zh) 治療凝血病變之新穎方法及抗體
KR20190085021A (ko) 혈우병을 치료하기 위한 절단된 폰 빌레브란트 인자 폴리펩타이드
AU2016231327B2 (en) Modified von Willebrand factor having improved half-life
AU2016231328B2 (en) Compounds for improving the half-life of von Willebrand factor
JP2015522527A (ja) 血友病a及び/又はヴォン・ヴィレブランド病を処置するための糖組成物
KR20180095083A (ko) 응고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당단백질 v 억제제
FVIII A novel B-domain O-glycoPEGylated FVIII (N8-GP) demonstrates full efficacy and prolonged effect in hemophilic mice models
DK2616486T3 (en) FACTOR VIII VARIATIONS WITH DISABLED CELLULAR AD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