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5917A - 연료 전지 스택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 스택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5917A
KR20170125917A KR1020177027703A KR20177027703A KR20170125917A KR 20170125917 A KR20170125917 A KR 20170125917A KR 1020177027703 A KR1020177027703 A KR 1020177027703A KR 20177027703 A KR20177027703 A KR 20177027703A KR 20170125917 A KR20170125917 A KR 20170125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polar plate
contact pin
support structure
contact
fuel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4426B1 (ko
Inventor
마틴 베르그렌
로베르트 구스타프슨
Original Assignee
파워셀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워셀 스웨덴 에이비 filed Critical 파워셀 스웨덴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70125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H01M8/04552Voltage of the individual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G01R31/360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Battery terminal connectors with integrated measuring arrangements
    • G01R31/369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2Connection only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4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69Separators, collectors or interconnectors including a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H01M8/04559Voltage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04Processes or apparatus for grouping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83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characterised by internal manifo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적어도 지지 구조체(10) 및, 바이폴라 플레이트(8)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고 상기 지지 구조체(10)에 의해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핀(20)을 포함하며, 연료 전지 스택(2)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8)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1). 접촉 핀(20)은, 바이폴라 플레이트(8)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며 지지 구조체(1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지지 구조체(10)는 적어도 상기 연료 전지 스택(2)과 마주하는 후면(R)과, 후면(R)과 대향하는 전면(F), 및 제 1과 제 2측면(S1 ; S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후면(R)은 제 1 측면(S1)에서 제 2측면(S2)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이폴라 플레이트(8)를 수용하는 하나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하우징 슬릿을 포함하며, 그로 인해, 중간에 배치된 바이폴라 플레이트 하우징 슬릿(12)에 의해 분리되는, 지지 구조체 기저부(16)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두 개의 톱니(14)를 가지는 톱니-형태 지지 구조체(10)를 한정한다.
지지 구조체(10)는, 접촉 핀(2)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크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핀 수용 개구부(18)를 추가로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료 전지 스택용 전기 커넥터
본 발명은 연료 전지 스택 내의 적어도 하나의 바이폴라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의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연료 전지 스택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유닛 전지들을 수 많은 레이어들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된다. 유닛 전지들의 각각은 적어도 양극 및 음극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이온 교환 막과, 막 전극 조립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 MEA)의 외부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가지는 막 전극 조립체(MEA)를 포함한다.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통해 수소 연료와 산화제는, 전력을 생산하는 MEA에 공급된다. 니켈 전지 스택의 경우, 공급된 수소와 산소의 양을 조절하고/또는 손상되거나 또는 오동작하는 유닛 연료 전지을 제어하기 위해서, 각 유닛 전지의 발전 상태의 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관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각각의 유닛 전지에 대해 생성된 전압은 모니터되고, 이러한 모니터된 전압에 근거하여 제어가 실행된다. 전압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각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일반적으로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접촉 요소들을 지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에 연결된다.
최신 기술,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2003/054220에는, 지지 구조체 상에 지지되어 있으며, 톱니(teeth)가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어서,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톱니-모양의 전기 접촉 요소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의 단점은 다양하다. 첫째, 바이폴라 플레이트와 전기 접촉 요소를 연결하여 전기 접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용된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일정한 최소 두께를 갖는다. 두 번째는, 전기 커넥터는 바이폴라 플레이트로부터 쉽게 분리되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를 연료 전지 스택에 고정하기 위해 추가 고정 요소가 요구된다. 다른 문제점은 전기 접촉의 톱니 사이의 거리가 연료 전지 스택에 맞도록 신중하게 설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단지 최소한의 제조 공차(tolerances) 만이 허용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많은 비용과 시간을 소비하는 제조 공정을 초래한다.
미국 특허 출원 제 2008/003482 호에는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전기 접촉 요소들을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가 공지되어 있다. 각 접촉 요소는, 바이폴라 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있는, 외측을 향하는 구부러진 테일을 가지는 두 개의 편평한 직사각형 스트라이프를 가지고 있다.
이 기술의 단점은, 바이폴라 플레이트가 병렬로 배치된 접촉 요소들과 연결될 수 있도록 연료 전지 스택이 소정의 최소 크기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접촉 요소들 중에서 하나가, 얇은 연료 전지의 공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미 다른 접촉 요소들의 상부에 배치되더라도, 접촉 요소들은 여전히 상당한 공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전기 커넥터의 지지 하우징은 이용 가능한 공간에 적합하도록 특별한 설계가 필요하다.
공지된 전기 커넥터의 또 다른 문제점은 이들이 바이폴라 플레이트로부터 쉽게 분리되고, 일반적으로 연료 전지 스택에 클램프 또는 후크와 같은 부가적인 고정 장치(fasteners)에 의해 고정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전기 커넥터의 설계 및 제조는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 소모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얇은 유닛 연료 전지가 사용되더라도, 연료 전지 스택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고,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개선된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르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청구항 12에 따르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용 지지 구조체, 청구항 13에 따르는 연료 전지 스택 장치 및 제 14 항에 따르는 연료 전지 스택의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다음에, 연료 전지 스택 내의 적어도 하나의 바이폴라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이러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용 지지 구조체가 개시되며, 상기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적어도 지지 구조체 및 적어도 하나의 접촉 핀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 핀은 바이폴라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조립된 상태에서, 지지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지지 구조체 자체는 적어도, 연료 전지 스택에 대면하도록 구성된 후면(rear face), 후면에 대향하는 정면 및 적어도 두 개의 측면, 즉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을 포함한다. 또한, 지지 구조체의 후면은, 적어도 하나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하우징 슬릿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슬릿(slit)이라고 불리며, 제 1 측면으로부터 제 2 측면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지 구조체는 중간에 배치된 바이폴라 하우징 슬릿에 의해 분리되는, 지지 기저부(base)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2 개의 톱니(teeth)를 가지는 톱니 모양(comb-shaped)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지지 구조체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조립된 상태에서, 접촉 핀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핀 수용 개구부(opening)를 포함한다. 접촉 핀 수용 개구 자체는 정면으로부터 슬릿으로 연장되고 그리고/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으로 연장되는 측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서 연장되는 지지 기저부 내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지지 구조체 및 접촉 핀은 연료 전지 스택에 장착될 때에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조립되는, 별개의 요소로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접촉 핀이 접촉 핀 수용 개구부에 예비적으로 배치되고,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고정하기 위해 개구부로부터 제거되어 재삽입되거나, 또는 개구부에 더욱 깊게 삽입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톱니형 지지 구조체는 연료 전지 스택 또는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특별한 설계를 요구하지 않으면서, 지지 구조체를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연료 전지 스택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지 구조체가 연료 전지 스택에 배치된 후에 접촉 핀 수용 개구부 내부로 삽입된 접촉 핀은, 지지 구조체의 슬릿에 수용된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변형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슬릿에 고정되며, 차례로 연료 전지 스택에 대한 지지 구조체의 클램핑이 이루어진다. 후크 또는 노즈(nose)와 같은, 고정 요소와 같은 특수한 구현은 필요하지 않다. 그러므로 이것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가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접촉 핀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조립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에 삽입된다. 그러므로, 지지 기저부의 두께는 접촉 핀의 길이보다 더욱 작게 결정되므로, 조립된 상태에서 접촉 핀이 슬릿 내부로 돌출하여 바이폴라 플레이트와 접촉하게 된다. 이에 의해, 지지 구조체를 연료 전지에 배치한 후에는, 접촉 핀이 개구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접촉 핀의 삽입은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변형시켜 슬릿에 삽입시킨다. 이것은 지지 구조체 및 접촉 핀이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바이폴라 플레이트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결과가 얻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연료 전지 스택에 고정하기 위해서 연료 전지 및/또는 커넥터에 부가적인 고정 요소들을 제공하지 않아도 전기 커넥터가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접촉 핀 수용 개구부 및/또는 접촉 핀의 크기는 슬릿의 두께보다 더욱 크다. 그러므로, 슬릿과 바이폴라 플레이트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도록 바이폴라 플레이트가 슬릿의 벽과 삽입된 접촉 핀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접촉 핀이 접촉 핀 수용 개구부에 삽입될 때에, 바이폴라 플레이트가 가압될 수 있는 슬릿 홈(groove)의 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연료 전지 스택의 각각에 대한 전기 접촉 조립체의 고정을 개선시키게 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중심선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핀 수용 개구부가 중심선을 가진다면, 상기 접촉 핀 수용 개구부의 중심선은 상기 중심선에 대해 정렬되어 있지 않는 것이(misaligned)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접촉 핀은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대해 튀어나오지 않을 것이며(not bounced), 이는 조립 절차를 방해하지만,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위 또는 아래로 돌출하여 바이폴라 플레이트가 변형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복수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하우징 슬릿들과 복수의 접촉 핀 하우징 개구부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슬릿은 하나의 접촉 핀 수용 개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구조체의 톱니의 두께는 유닛 연료 전지의 적어도 막 전극 조립체에 적합하다. 따라서, 단일 바이폴라 플레이트 뿐만 아니라 복수의 바이폴라 플레이트가 단일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전기 접촉 프로세스를 가속화한다.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막 전극 조립체들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이폴라 플레이트 하우징 슬릿을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인접한 바이폴라 플레이트 하우징 슬릿의 접촉 핀 수용 개구 부가 바이폴라 플레이트 하우징 슬릿의 길이 방향 축선 방향에서 서로 오프셋 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이폴라 플레이트 하우징 슬릿은 길이 방향 축에 대해 각을 가지고 있는 라인, 바람직하게는 대각선을 따라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작은 크기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즉, 각각 유닛 연료 전지가, 연료 전지 스택에 존재하더라도 개구부에 삽입된 접촉 핀이 서로 방해하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것은 또한 매우 비용 효율적인, 두꺼운 표준화된 접촉 핀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허용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2 개의 인접한 접촉 핀 수용 개구 사이의 거리는 핀의 단락(short-circuiting)을 피하기 위해 2 개의 인접한 저촉 핀 사이의 최소 요구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적어도 2 개의 인접한 접촉 핀 수용 개구부 사이의 거리는 표준화된 수 플러그(male plug) 내에 포함된 적어도 2 개의 대응하는 인접 접촉 핀 사이의 필요한 거리에 의해 결정되고 그리고/또는 표준화된 암 소켓(female socket)에 접속 가능하도록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락을 회피하는 요건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격된(spaced) 암 소켓을 포함하는 표준 플러그에 의해 접촉 핀을 접촉하거나 또는, 접촉 핀을 접촉 핀 수용 개구부에 삽입하기 위한 접촉 핀을 포함하는 표준화된 수 플러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복수의 개별 접촉 핀 또는 접촉 핀 개구부는 동시에 접속될 수 있으므로, 연료 전지 스택 배선 프로세스의 속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표준화된 거리에서 접촉 핀 및/또는 접촉 핀 수용 개구부를 제공함으로써, 표준화된 암 소켓 및/또는 수 플러그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비용 효율적인 배선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분해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전술한 특징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용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가지는 연료 전지 스택 및 적어도 막 전극 조립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연료 전지 유닛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장치, 및 전술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조립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하우징 슬릿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구조체에 제공된 접촉 핀 수용 개구부에 삽입된 접촉 핀에 의해 가해진 클램핑 및/또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전기 접촉 조립체에 고정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전기 커넥터 지지 구조체의 각각의 슬릿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단일 바이폴라(single bipolar)를 배치하는 단계와, 접촉 핀이 슬릿 내부로 돌출하여 바이폴라 플레이트와 접촉되도록 접촉 핀을 각 접촉 핀 하우징 개구부로 가압함으로써, 접촉 핀이 변형되어 슬릿 내부 및 지지 구조체에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연료 전지 스택에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전기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고정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 전지 스택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해서 신속하고 비용 효율적인 가능성을 제공한다.
추가의 장점들 및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 개시된다.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보호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정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 전지 스택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해서 신속하고 비용 효율적인 가능성을 제공한다.
도 1은 연료 전지 스택에 배치되지만 조립 이전의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제 1 실시 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조립된 상태의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지지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제 2 실시 예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를 AA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조립 이전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제 3 실시 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조립된 상태의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다음에서는,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들에 의해 참조된다.
도 1 및 도 6은 연료 전지 스택 장치(100)를 형성하는, 연료 전지 스택(2)에 배열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1)의 2 개의 상이한 실시 예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1)는 그 측면(S1, S2) 중의 한 측면으로부터 관찰되며 전면(F) 및 연료 전지 스택(2)과 대향하는, 후면(R)을 가진다. 연료 전지 스택(2)은, 서로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는, 막 전극 조립체(6)와 바이폴라 플레이트(8)를 가지는 복수의 연료 전지 유닛(4)을 포함한다. 연료 전지 스택(2)은 종래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바이폴라 플레이트(8)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바이폴라 플레이트(8)는 연료 전지 스택으로부터 돌출되어, 전기 접촉 플래그(8-1)를 형성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1)는 다음과 같은 슬릿으로 지칭되는 복수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하우징 슬릿(12)을 가지는 지지 구조체(10)를 포함하며, 이는 톱니 모양의 구조를 한정하고, 바이폴라 플레이트(8)의 접촉 플래그(1-8)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슬릿(12) 사이에서, 지지 구조체(10)는 막 전극 조립체(6)의 두께와 유사한 두께의 톱니(14)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지지 구조체(10)는 톱니가 돌출되고 그 폭이 슬릿(12)의 깊이에 의해 한정된 지지 구조체 기저부(16)를 포함한다. 도시된 슬릿 또는 톱니의 개수는, 각각,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다른 개수도 또한 바람직하다. 단일한 슬릿(12)만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도 본 출원에 의해 포함된다.
도 1에 도시 된 실시 예에서, 지지 구조체 기저부(16)는 슬릿(12)과 정렬되고, 다음의 설명에서 개구부로 지칭되는 접촉 핀 수용 개구부(18)를 추가로 포함하며, 개구부(18)에 삽입되는, 접촉 핀(2)의 수용을 허용한다. 도 2에 도시된 조립 된 상태에서, 접촉 핀(20)은 슬릿(12) 내부로 돌출하여 전기적으로 바이폴라 플레이트(8)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접촉 핀(20)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1)가 연료 전지 스택(2)에 클램핑 및/또는 마찰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슬릿(12) 내부로 바이폴라 플레이트(8)를 고정시킨다.
도 3은 단지 전면(F)으로부터 지지 구조체(10)를 관찰한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구부(18) 사이의 확대된 거리 D를 제공하기 위해서, 개구부(18)는 서로 대각선으로 오프셋 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오프셋은 2 개의 슬릿들 사이의 거리(d)에 의해 정의되는 연료 전지 유닛(4)의 두께가 두꺼운 표준 접촉 핀(20)에 대해 필요한 최소 거리 보다 더욱 작더라도, 두꺼운 표준화된 접촉 핀(20) 및/또는 표준화된 수 플러그의 사용을 허용한다. 그러므로, 개구부(18)의 오프셋 정렬에 기인하는, 2 개의 개구부(18) 사이의 확대 거리(D)는, 슬릿(12)의 연장선에 수직인 라인을 따라 정렬된 개구부(18)에 의해 반드시 가능할 수 없었던 표준화된 접촉 핀(20)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 두꺼운 표준화된 접촉 핀을 쉽게 다룰 수 있다는 장점 외에도, 표준화된 접촉 핀을 표준화된 수 플러그에 연결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바이폴라 플레이트(8)에 대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1)의 응집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바이폴라 플레이트(8)를 슬릿(12) 내에서 변형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상이한 가능성들이 도 4 -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접촉 핀 수용 개구부(18)는 슬릿(12)과 동일한 크기는 아니지만, 슬릿보다 크고(도 4, 도 5), 슬릿보에서 오프셋(도 6, 도 7)되어 있다. 그러므로, 홈(22)은 바이폴라 플레이트가 변형되는, 지지 구조체(support structure)(10) 내에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정면 F에서 관찰된 AA 선을 따라 도시된 단면도는, 슬릿(12)의 하부(24)에 홈(22)이 형성되는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의해, 홈(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으므로, 슬릿(12)의 양측 벽(26, 28)에는 홈이 형성된다. 그러나 측벽 중 하나만이 홈(12)을 제공한다면 그것도 가능하다. 접촉 핀(20)을 삽입할 때에, 바이폴라 플레이트(8)는 도 5의 단면도 뿐만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22)의 내부에서 변형된다. 바이폴라 플레이트(8)의 변형부(8-2)는, 바이폴라 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하는 지지 구조체(10)의 분리 이동 뿐만 아니라(도 4 화살표 참조)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연료 전지 스택을 따라 측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게 된다(도 5에서 이중 화살표 참조). 그러므로, 전기 커넥터 조립체(1)는 바이폴라 플레이트(8)에 안전하게 고정된다. 홈(22) 자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원형 또는 타원형이 될 수도 있다. 또한, 홈(22)은 접촉 핀(20)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F)에서 접촉 핀(20)의 배열 외에도, 접촉 핀(20)은 또한 측면(S1, S2) 중의 한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도 7 참조). 이러한 실시 예들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홈(22)은 톱니(14)의 벽면(28) 중 하나(도 6의 상부 참조) 또는 측벽(26, 28)(도 6의 하부 참조)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홈(22)은 서로 오프셋 되거나 또는 서로 수직으로 정렬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홈(22)의 형상은 접촉 핀(20)의 형상과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측면(S1)에서 관찰한 사시도이다. 도면에서는, 접촉 핀(20-1, 20-2, 20-3)이 서로 오프셋 되어 정렬되어 있다. 중간 접촉 핀(20-2)은, 홈(22-2)이 슬릿(12) 내부로 단지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홈(22-2)의 하부 단부(32)를 한정하고, 접촉 핀(20)에 대한 단부 스톱(end stop)을 한정하고 있다는 것을 추가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접촉 핀(20)에 대한 한정된 삽입 깊이 및 그에 의해 한 측면(Si)으로부터 돌출되는 접촉 핀(20)의 한정된 돌출 길이가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암 플러그(female plug)에 연결될 수 있는 표준화된 전기 접촉부를 얻기 위한 지지 구조체 내부에 대한 핀(20)의 배치를 용이하게 한다.
한정된 하부 단부(32)는 또한 홈(22)이 한정된 깊이를 가지는, 다른 모든 실시 예들에서 실현될 수 있다(도 4 참조).
개시된 전기 접촉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연료 전지의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신속하고 비용 효율적인 전기 접속을 허용한다. 접촉 핀 수용 개구부 내부로 접촉 핀을 삽입하여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지지 구조체를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고정하게 되면, 연료 전지는 쉽게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연료 전지 스택이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고정하기 위한 특별한 방법으로 형성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와 접촉 핀 각각의 오프셋 배치는, 슬릿 사이의 세로 방향 거리가 접촉 핀을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열하기에 충분하지 않는 경우에, 박형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대해서도 표준화된 접촉 핀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1 전기 커넥터 조립체
2 연료 전지 스택
4 연료 전지 유닛
6 막 전극 조립체
8 바이폴라 플레이트
8-1 전기 접촉 플래그
8-2 변형
10 지지 구조체
12 바이폴라 플레이트 하우징 슬릿
14 톱니
16 지지 구조체 기저부
18 접촉 핀 수용 개구부
20 접촉 핀
22 홈
24 슬릿의 하부
26, 28 : 슬릿의 측벽
32 홈의 하부 단부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지지 구조체(10)와, 바이폴라 플레이트(8)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고 상기 지지 구조체(10)에 의해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핀(20)을 포함하며, 연료 전지 스택(2)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8)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체(10)는, 상기 연료 전지 스택(2)과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면(R), 상기 후면(R)에 대향하는 전면(F), 및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S1 ; S2)을 포함하며,

    상기 후면(R)은 상기 제 1 측면(S1)에서 상기 제 2측면(S2)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이폴라 플레이트(8)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하우징 슬릿(12)을 포함하며, 그로 인해, 중간에 배치된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 하우징 슬릿(12)에 의해 분리되는, 지지 구조체 기저부(16)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두 개의 톱니(14)를 가지는 톱니-형태의 상기 지지 구조체(10)를 한정하며,

    상기 지지 구조체(10)는, 상기 접촉 핀(2)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크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핀 수용 개구부(18)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접촉 핀 수용 개구부(18)는 상기 지지 구조체 기저부(16)에 배열되고, 적어도 상기 전면(F)에서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 하우징 슬릿(12)으로 연장되므로, 전면(F)에 접촉 핀 구멍을 형성하게 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
  3.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접촉 핀(20)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1)의 조립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접촉 핀 수용 개구부(18)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 구조체 기저부(16)의 폭이 상기 접촉 핀(20)의 길이 보다 더욱 작게 결정되므로, 상기 접촉 핀(20)의 폭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 하우징 슬릿(12) 내부로 돌출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
  4. 이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접촉 핀 수용 개구부(18)는 일 측면(S1 ; S2)에서 타 측면(S1 ; S2)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며, 상기 접촉 핀 수용 개구부(18)는 상기 톱니(14)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26; 28)에 홈(22)을 형성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
  5. 이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핀 수용 개구부(18) 및/또는 상기 접촉 핀(20)의 크기는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 하우징 슬릿(12)의 두께보다 더욱 크게 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
  6. 이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핀 수용 개구부(18)는 상기 지지 구조체 기저부(16)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 하우징 슬릿(12) 내부로 돌출하므로, 상기 홈(22)은 상기 톱니(14)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26; 28)에 형성되고,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 하우징 슬릿(12)의 하부(24)에 확장된 공간을 형성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
  7.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홈(22)은 상기 접촉 핀(20)이 상기 홈(22)에 삽입되는 최대 삽입 깊이를 한정하는 홈 하부(32)를 가지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
  8. 이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체(10)는 복수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하우징 슬릿(12)과 복수의 접촉 핀 수용 개구부(18)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 하우징 슬릿(12)은 단일 개구부(18)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 하우징 슬릿(12)은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인접한 슬릿(12)의 상기 접촉 핀 수용 개구부(18)는 서로 오프셋 되어 배치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인접한 2 개의 접촉 핀 수용 개구부(18) 사이의 거리(D)는 단락 접촉을 피하기 위해 2 개의 인접한 접촉 핀(20) 사이의 필요한 최소 거리에 의해 결정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 개의 인접한 접촉 핀 수용 개구부(18) 사이의 거리(D)는, 표준화된 수 플러그의 대응하는 적어도 2 개의 접촉 핀(20) 사이의 필요한 거리에 의해 결정되며, 그리고/또는 표준화된 암 플러그 소켓에 연결하기 위해서 결정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를 위한 지지 구조체(10).
  13. 연료 전지 스택 장치(100)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바이폴라 플레이트(8) 및 적어도 하나의 막 전극 조립체(6)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료 전지 유닛(4)을 가지는 적어도 한 개의 연료 전지 스택(2)과,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를 포함하며,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이폴라 플레이트(8)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하우징 슬릿(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접촉 핀(20)에 의해 가해진 클램핑 힘에 의해 고정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
  14.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를 제 13 항에 따르는 연료 전지 스택 장치(100)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지지 구조체(10)의 각각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하우징 슬릿(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단일 바이폴라 플레이트(8)를 배열하는 단계; 및
    접촉 핀(20)을 각각의 접촉 핀 수용 개구부(18) 내부로 가압하여, 접촉 핀(20)이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 하우징 슬릿(12) 내부로 돌출하여 상기 단일 바이폴라 플레이트(8)와 접촉하고, 그에 의해, 상기 단일 바이폴라 플레이트(8)를 변형시키며, 상기 단일 바이폴라 플레이트(8)를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 하우징 슬릿(12) 및 지지 구조체(10)에 고정시키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
KR1020177027703A 2015-04-16 2016-03-17 연료 전지 스택용 전기 커넥터 KR102074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550458A SE539507C2 (sv) 2015-04-16 2015-04-16 Electric connector for fuel cell stack
SE1550458-2 2015-04-16
PCT/SE2016/050224 WO2016167702A1 (en) 2015-04-16 2016-03-17 Electric connector for fuel cell sta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917A true KR20170125917A (ko) 2017-11-15
KR102074426B1 KR102074426B1 (ko) 2020-02-07

Family

ID=55755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703A KR102074426B1 (ko) 2015-04-16 2016-03-17 연료 전지 스택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10707498B2 (ko)
EP (2) EP3284127B1 (ko)
JP (1) JP6554179B2 (ko)
KR (1) KR102074426B1 (ko)
CN (1) CN107534120B (ko)
CA (1) CA2980701C (ko)
HK (1) HK1246505A1 (ko)
SE (1) SE539507C2 (ko)
WO (1) WO2016167702A1 (ko)
ZA (1) ZA2017068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70493B2 (ja) * 2017-06-22 2021-05-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コネクタ
DE102018216265A1 (de) * 2018-09-25 2020-03-26 Audi Ag Steckverbinder, Bipolarplatte und Kombination aus einem Steckverbinder und einem Brennstoffzellenstapel
CN112670674B (zh) * 2019-09-27 2022-06-14 四川顺驰科技有限公司 一种单体金属燃料电池及其构成电堆的结构
CN113093028B (zh) * 2019-12-23 2022-07-29 未势能源科技有限公司 用于燃料电池极片检测的连接装置、连接器、检测装置
CN111403764B (zh) * 2020-03-31 2021-05-18 西安交通大学 一种金属支撑型微管固体氧化物燃料电池堆结构
CN112201820A (zh) * 2020-09-23 2021-01-08 张家口市氢能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双极板燃料电池电堆电压采集结构及连接方法
CN113328126B (zh) * 2021-08-04 2021-10-26 爱德曼氢能源装备有限公司 用于解决部件容差差异的燃料电池板结构
CN113809352B (zh) * 2021-08-30 2023-05-09 深圳深科鹏沃科技有限公司 Cvm插针机构与燃料电池系统
CN113793945B (zh) * 2021-08-30 2023-05-05 深圳深科鹏沃科技有限公司 双极板机构与燃料电池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553A (ko) * 2007-07-12 2009-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4220A1 (en) * 2001-09-19 2003-03-20 Ballard Power Sytems Inc. Electrical contacting device for a fuel cell
JP4313128B2 (ja) * 2003-09-18 2009-08-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JP4494125B2 (ja) 2004-08-12 2010-06-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圧検出コネクタのセルへの接続構造および燃料電池
JP4911978B2 (ja) * 2006-01-25 2012-04-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及び燃料電池用コネクタ
KR20090000655A (ko) * 2007-03-16 2009-01-08 전자부품연구원 자동 감도 조절형 인간 행동 인지 시스템
WO2009006318A1 (en) 2007-06-29 2009-01-08 Artificial Muscle, Inc. Electroactive polymer transducers for sensory feedback applications
JP5188459B2 (ja) 2009-06-10 2013-04-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スタック
GB2486180B (en) 2010-12-03 2017-09-13 Intelligent Energy Ltd Connector system for a fuel cell stack
JP5928989B2 (ja) * 2013-10-30 2016-06-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セルモニタ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553A (ko) * 2007-07-12 2009-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05659A1 (en) 2020-02-05
US20190393516A1 (en) 2019-12-26
WO2016167702A1 (en) 2016-10-20
EP3284127A1 (en) 2018-02-21
EP3284127B1 (en) 2019-11-27
US20180090771A1 (en) 2018-03-29
JP6554179B2 (ja) 2019-07-31
SE539507C2 (sv) 2017-10-03
US10950873B2 (en) 2021-03-16
EP3605659B1 (en) 2021-03-03
CN107534120B (zh) 2021-03-02
CA2980701A1 (en) 2016-10-20
CN107534120A (zh) 2018-01-02
SE1550458A1 (en) 2016-10-17
KR102074426B1 (ko) 2020-02-07
HK1246505A1 (zh) 2018-09-07
ZA201706849B (en) 2018-08-29
US10707498B2 (en) 2020-07-07
JP2018515880A (ja) 2018-06-14
CA2980701C (en)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0873B2 (en) Electric connector for fuel cell stack
CA2636768C (en) Voltage detection connector for a fuel cell and a fuel cell adapted for same
JP4883653B2 (ja) 導電板用コネクタ組立体
EP2624376B1 (en) Cell voltage detecting connector
JP5584719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燃料電池
JP2009081144A (ja) 電力コネクタ
US9413095B2 (en) Connector
US7479046B2 (en) Fuel cell and fuel cell connecter
CN112864744A (zh) 可拆卸地安装到燃料电池的电池监测连接器
WO2023116807A1 (zh) 一种插接端子及插接端子安装结构
KR20200071415A (ko) 셀 모니터링 커넥터가 탈착 가능한 연료 전지
JP2006506794A (ja) 細長いエラストマー製コネクタ及び方法
JP6598779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組立体のためのコネクタシステム
CN210838234U (zh) 电连接器
CN220553621U (zh) 集成式端子位置保持装置及对应电连接器和电连接器套件
KR102496646B1 (ko) 연료전지 스택용 전압 측정 장치
JP5267686B2 (ja) 燃料電池の電圧検出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