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5515A - 안전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5515A
KR20170125515A KR1020160055282A KR20160055282A KR20170125515A KR 20170125515 A KR20170125515 A KR 20170125515A KR 1020160055282 A KR1020160055282 A KR 1020160055282A KR 20160055282 A KR20160055282 A KR 20160055282A KR 20170125515 A KR20170125515 A KR 20170125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portable
proximity sensor
subject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6225B1 (ko
Inventor
김태우
박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바텍
Priority to KR1020160055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225B1/ko
Publication of KR20170125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0Safety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6/107Protection against radiation, e.g. shie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2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control of expo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thereof
    • A61B6/589Setting distance between source unit and pat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안전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장치는 엑스선을 출사하는 엑스선 발생기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부, 상기 장치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근접 센서, 및 상기 측정된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엑스선 발생기에서의 엑스선 출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엑스선 출사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Portable X-ray Device Having a Safety Control Function}
본 발명은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전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엑스레이 장치는 오늘날 의료 분야에서 인체 내부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중요한 수단으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엑스레이 장치는 상호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엑스선 발생기와 엑스선 검출기를 포함하는데, 피사체의 후방에 엑스선 검출기를 배치하고 피사체의 전방에서 엑스선을 조사함으로써 피사체의 엑스선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의 경우 정해진 장소에서 사용되기 보다는 임의의 장소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그 사용 장소에는 방사선 피폭 방지를 위한 설비가 미흡한 경우가 상당하다. 더하여,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의 조작이 간단하고 쉽기 때문에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의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사용 교육 부족 등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방사선 조사가 일어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는 사용자 본인을 포함한 주변의 불특정 다수에게 엑스선 조사에 따른 방사선 피복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안전성 면에서의 문제를 안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엑스레이 조사를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보장해 줄 수 있는 안전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잘못된 사용 방법 또는 사용자 교육 부족 등에 의한 잘못된 사용을 방지함으로써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안전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일 특징에 따르면, 안전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장치는 엑스선을 출사하는 엑스선 발생기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부, 상기 장치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근접 센서, 및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엑스선 발생기에서의 엑스선 출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엑스선 출사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엑스선 출사 제어부는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사전 정의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엑스선 발생기에서 엑스선이 출사되지 않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는 상기 엑스선 발생기로부터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근접 센서는 레이저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또는 초음파 근접 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근접 센서는 레이저 빔, 적외선 빔 또는 초음파를 방사하도록 구성된 빔 발생부, 및 상기 방사된 레이저 빔, 적외선 빔 또는 초음파가 상기 피사체에 반사된 반사빔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빔 발생부에서 상기 레이저 빔 또는 상기 적외선 빔이 방사된 시간 및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반사빔을 검출한 시간에 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엑스선 촬영부 및 상기 엑스선 출사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엑스선 출사 제어부는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상기 사전 정의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스피커로 알람 신호를 출력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일 특징에 따르면, 안전 장치가 구비된 다른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장치는 엑스선을 출사하는 엑스선 발생기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부, 피사체가 상기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에 근접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근접 센서, 및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엑스선 발생기에서의 엑스선 출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엑스선 출사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일 특징에 따르면, 안전 장치가 구비된 또 다른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장치는 촬영 버튼, 엑스선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엑스선 발생기, 상기 촬영 버튼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피사체가 상기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에 근접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근접 센서, 및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엑스선 발생기에서의 엑스선 발생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엑스선 출사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전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엑스레이 조사를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안전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에 따르면, 잘못된 사용 방법 또는 사용자 교육 부족 등에 의한 잘못된 사용을 방지함으로써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고해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본체에 수용된 전자기계 모듈에 대한 블록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전 정의된 거리 내의 영역 안에 피사체가 있는 경우의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전 정의된 거리 내의 영역 안에 피사체가 없는 경우의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들과 특징들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 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 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적 부분을 의미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덧붙여,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100)는 본체(150), 본체(150)에 결합된 손잡이(120) 및 본체(150)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본체(150)에 결합된 콘 부(cone, 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콘 부(110)는 경통(body tube)의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으나, 콘 부(110)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콘 부(110)를 본체(150)와 가까워 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진(tapered) 형상으로 하여 본체(150)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체(150) 내부에는 사용자의 조작(사용자가 손잡이(120)를 손으로 잡고 손잡이(120)에 마련된 촬영 버튼(140)을 누르는 동작)에 응답하여 엑스선(X-Ray)을 발생시키는 엑스선 발생기(도시되지 않음)가 포함될 수 있는데, 발생된 엑스선이 콘 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에 의해 가이드되어 외부로 출사되도록 콘 부(110) 등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100)의 내부 구조를 설계할 수 있다. 본체(150) 내부에는 또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100)의 작동을 위해 필요한 전자기계 모듈(도시되지 않음)이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100)는 촬영자가 손으로 잡고 여러 방향으로 엑스선을 자유롭게 조사할 수 있도록 건(gun) 또는 카메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장치(100)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엑스선 발생기는 엑스선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엑스선 소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장치(100)를 사용함에 있어서 엑스선 검출기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엑스선 검출기는 피사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기 위한 구성이며, 엑스선 발생기와 대향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엑스선 발생기와 엑스선 검출기 사이에 피사체를 위치시키고 엑스선 발생기 및 엑스선 검출기가 상호 마주보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엑스선 발생기에 의해 피사체를 향해 엑스선이 조사될 수 있다. 엑스선 발생기 및 엑스선 검출기의 원리 및 구성 자체는 공지된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100)는 거리 측정용의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130)는 물체(피사체)가 접근해 온 것을 검출하는 센서로서, 장치(100) 또는 엑스선 발생기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접 센서(130)는 레이저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또는 초음파 근접 센서일 수 있다. 근접 센서(130)는 레이저 빔, 적외선 빔 또는 초음파를 방사하도록 구성된 빔 발생부 및 방사된 레이저 빔, 적외선 빔 또는 초음파가 피사체에 반사된 반사빔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접 센서(130)는 빔 발생부에서 레이저 빔 또는 적외선 빔이 방사된 시간 및 검출부에서 반사빔을 검출한 시간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근접 센서(130)는 상기 방사된 시간 및 상기 검출한 시간에 근거하여 장치(100) 또는 엑스선 발생기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계산된 거리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접 센서(130)는, 사용자가 손잡이(120)의 촬영 버튼(140)을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접 센서(130)는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100)에 탈착 가능하게 탑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접 센서(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5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나, 그 설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근접 센서(130)를 콘 부(110)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근접 센서(130)의 설치 위치에 따라 근접 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거리를 적절히 캘리브레이션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본체에 수용된 전자기계 모듈에 대한 블록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계 모듈(200)은 엑스선 발생기, 근접 센서(130) 및 촬영 버튼(140)과 통신 가능한 방식으로 접속된 엑스선 출사 제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촬영 버튼(140)을 누르면(촬영 버튼(140)의 활성화) 엑스선 출사 제어부(210)로 촬영 시작 신호가 입력될 수 있는데, 엑스선 출사 제어부(210)는 촬영 시작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근접 센서(130)로 센싱 시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엑스선 출사 제어부(210)는 장치(100) 또는 엑스선 발생기(230)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근접 센서(130)로부터 입력 받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엑스선 출사 제어부(210)는 근접 센서(130)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장치(100) 또는 엑스선 발생기와 피사체 간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엑스선 발생기에서의 엑스선 출사를 제어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엑스선 출사 제어부(210)는 근접 센서(130)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장치(100) 또는 엑스선 발생기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사전 정의된 값 이상인 경우 엑스선 발생기에서 엑스선이 출사되지 않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엑스선 출사 제어부(210)는 엑스선 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그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엑스선 발생기로부터 엑스선이 출사되거나 출사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으나, 엑스선 발생기로부터의 엑스선 출사를 제어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장치(100)의 촬영 버튼(140)을 의도하지 않게 잘못 누른 경우에도(이러한 경우는 대체로 장치(100)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사전 정의된 값 이상인 경우임) 장치(100)로부터 엑스선 출사가 방지되어 안전을 기할 수 있게 된다.
전자기계 모듈(200)은 엑스선 출사 제어부(210)와 인터페이스되어 있는 스피커(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엑스선 출사 제어부(210)는 장치(100) 또는 엑스선 발생기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근접 센서(130)로부터 입력 받아 장치(100) 또는 엑스선 발생기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사전 정의된 값 이상인 경우 스피커(220)로 알람 신호를 출력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장치(100)의 촬영 버튼(140)을 의도하지 않게 잘못 누른 경우에(이러한 경우는 대체로 장치(100)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사전 정의된 값 이상인 경우임) 스피커(220)를 통해 알람 음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100)의 전자기계 모듈(220)에 포함되는 모든 기능부를 반영한 것이 아니고 필수적인 것도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계 모듈(200)은 도시된 구성 요소들 보다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그 보다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전 정의된 거리 내의 영역 안에 피사체가 있는 경우의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100)를 이용하여 피사체(350)에 대해 엑스선 촬영을 할 경우, 근접 센서(130)는 장치(100)로부터 피사체(350)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엑스선 출사 제어부(210)는 근접 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거리가 사전 정의된 값 이내라고, 즉 피사체(350)가 사전 정의된 거리 내의 영역(310) 안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것이고 이에 따라 엑스선 발생기로부터 엑스선(320)이 출사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전 정의된 거리 내의 영역 안에 피사체가 없는 경우의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100)를 이용하여 피사체(350)에 대해 엑스선 촬영을 할 경우, 근접 센서(130)는 장치(100)로부터 피사체(350)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엑스선 출사 제어부(210)는 근접 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거리가 사전 정의된 값 이상이라고, 즉 피사체(350)가 사전 정의된 거리 내의 영역(310)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엑스선 출사 제어부(210)는 엑스선 발생기로부터 엑스선(320)이 출사되지 않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100)를 이용하면 의도하지 않은 방사선 조사를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를 포함한 주변인에 대한 방사선 피복의 위험을 줄이는 등 사용상의 안전성을 기할 수 있게 된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배치는 발명이 구현되는 환경 또는 요구 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일부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몇몇 구성 요소들이 통합되어 하나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 요소들의 배치 순서 및 연결이 변경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시스템, 서브시스템, 구성 요소들 또는 이들의 서브 구성 요소들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본 발명의 요소들은 필요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코드 세그먼트들이 될 수 있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와 같은 머신 판독가능 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 또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는 머신(예컨대, 프로세서, 컴퓨터 등)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정보를 저장 또는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실시예들은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와 별개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오직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
110: 콘 부
120: 손잡이
130: 근접 센서
140: 촬영 버튼
150: 본체
210: 엑스선 출사 제어부
220: 스피커

Claims (7)

  1.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로서,
    엑스선을 출사하는 엑스선 발생기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부,
    상기 장치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근접 센서, 및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엑스선 발생기에서의 엑스선 출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엑스선 출사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출사 제어부는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사전 정의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엑스선 발생기에서 엑스선이 출사되지 않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는 레이저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또는 초음파 근접 센서인,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촬영부 및 상기 엑스선 출사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본체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엑스선 출사 제어부는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상기 사전 정의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스피커로 알람 신호를 출력하도록 더 구성되는,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
  6.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로서,
    엑스선을 출사하는 엑스선 발생기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부,
    피사체가 상기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에 근접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근접 센서, 및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엑스선 발생기에서의 엑스선 출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엑스선 출사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
  7.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로서,
    촬영 버튼,
    엑스선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엑스선 발생기,
    상기 촬영 버튼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피사체가 상기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에 근접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근접 센서, 및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엑스선 발생기에서의 엑스선 발생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엑스선 출사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
KR1020160055282A 2016-05-04 2016-05-04 안전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 KR102576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282A KR102576225B1 (ko) 2016-05-04 2016-05-04 안전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282A KR102576225B1 (ko) 2016-05-04 2016-05-04 안전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515A true KR20170125515A (ko) 2017-11-15
KR102576225B1 KR102576225B1 (ko) 2023-09-08

Family

ID=60387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282A KR102576225B1 (ko) 2016-05-04 2016-05-04 안전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22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9382A (ko) * 2018-08-14 2020-02-24 오준호 휴대용 엑스선 촬영장치
KR20210109221A (ko) 2020-02-27 2021-09-06 주식회사 나노레이 사용자 인증이 가능한 치과용 포터블 엑스레이장치
KR20220037126A (ko) 2020-09-17 2022-03-24 주식회사 포스콤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
KR102378300B1 (ko) * 2021-08-05 2022-03-25 주식회사 포스콤 엑스선 촬영장치
KR20220140968A (ko) 2021-04-12 2022-10-19 주식회사 포스콤 흔들림을 감지하는 x선 촬영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4143A (ja) * 1988-11-04 1990-05-11 Yokogawa Medical Syst Ltd 放射線照射予定範囲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H07148159A (ja) * 1993-11-29 1995-06-13 Shimadzu Corp X線可動絞り装置
JPH08336518A (ja) * 1995-06-14 1996-12-24 Hitachi Medical Corp 医用x線透視装置
JP2001112750A (ja) * 1999-09-14 2001-04-24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X線装置
KR20140039419A (ko) * 2012-09-21 2014-04-02 (주)덱스코윈 휴대용 엑스레이의 촬영영역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4143A (ja) * 1988-11-04 1990-05-11 Yokogawa Medical Syst Ltd 放射線照射予定範囲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H07148159A (ja) * 1993-11-29 1995-06-13 Shimadzu Corp X線可動絞り装置
JPH08336518A (ja) * 1995-06-14 1996-12-24 Hitachi Medical Corp 医用x線透視装置
JP2001112750A (ja) * 1999-09-14 2001-04-24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X線装置
KR20140039419A (ko) * 2012-09-21 2014-04-02 (주)덱스코윈 휴대용 엑스레이의 촬영영역 표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9382A (ko) * 2018-08-14 2020-02-24 오준호 휴대용 엑스선 촬영장치
KR20210109221A (ko) 2020-02-27 2021-09-06 주식회사 나노레이 사용자 인증이 가능한 치과용 포터블 엑스레이장치
KR20220037126A (ko) 2020-09-17 2022-03-24 주식회사 포스콤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
KR20220140968A (ko) 2021-04-12 2022-10-19 주식회사 포스콤 흔들림을 감지하는 x선 촬영 장치
KR102378300B1 (ko) * 2021-08-05 2022-03-25 주식회사 포스콤 엑스선 촬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225B1 (ko) 2023-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5515A (ko) 안전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
EP2704622B1 (en) Light irradia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object 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US10455664B2 (en) Analyte-information acquisition apparatus
US2011019063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n-contact biometric sensing
JP2005040613A (ja) 医療技術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医療技術の検査および/または治療装置の操作方法
KR20200019382A (ko) 휴대용 엑스선 촬영장치
US20150105649A1 (en) Subject information acquisition apparatus
JP6745752B2 (ja) 放射線照射システム
WO2019206929A3 (en) A method and device for real time monitoring and prediction of bilirubin levels and associated notifications in neonates
KR102378300B1 (ko) 엑스선 촬영장치
KR20180027795A (ko)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용 레이저 지시장치
JP5570351B2 (ja) コンソール、入力端末、および、x線画像撮影システム
RU2724202C1 (ru) Формирователь рентгеновских изображений переносного типа
JPH04371144A (ja) 移動形x線装置
US20220088244A1 (en) Uv light monitoring system for a uv decontamination apparatus
JP2021029944A (ja) 光治療装置及び光治療装置の作動方法
US20080292051A1 (en) Imaging device
CN108734932B (zh) 报警装置及医疗设备系统
CN219536116U (zh) 一种通讯设备
CN110313926B (zh) 手持式放射线影像侦测系统以及其操作方法
JP2009291277A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KR20220142339A (ko) 3차원 스캐닝 시스템 및 3차원 스캐닝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220037126A (ko) 휴대용 엑스레이 촬영 장치
NZ780486A (en) UV light monitoring system for a UV decontamination apparatus
CN114468983A (zh) 激光防护方法、光声成像系统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022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201

Effective date: 20230613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