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5203A - 자화 및 탈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화 및 탈자방법 - Google Patents

자화 및 탈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화 및 탈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5203A
KR20170125203A KR1020160055185A KR20160055185A KR20170125203A KR 20170125203 A KR20170125203 A KR 20170125203A KR 1020160055185 A KR1020160055185 A KR 1020160055185A KR 20160055185 A KR20160055185 A KR 20160055185A KR 20170125203 A KR20170125203 A KR 20170125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distance
generating module
processed
field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7548B1 (ko
Inventor
김영철
김두휘
Original Assignee
김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철 filed Critical 김영철
Priority to KR1020160055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548B1/ko
Publication of KR20170125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gnetising or demagneti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gnetising or demagnetising
    • H01F13/006Methods and devices for demagnetising of magnetic bodies, e.g. workpieces, sheet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6Insulation of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자화 및 탈자장치는, 일측에 손잡이부가 마련되는 본체케이싱; 상기 본체케이싱에 마련되어 피처리대상을 자화 또는 탈자시키도록 전류에 따른 자기장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빈을 포함하는 자기장 발생모듈;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피처리대상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부; 및 상기 피처리대상과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 사이의 이격거리 또는 상기 피처리대상에 대한 상기 본체케이싱의 접근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화 및 탈자장치는, 피처리대상의 위치를 감지하여 자기장의 강도를 조절하며 동작되기 때문에 종래보다 탈자 효율이 증가되고 과열로 인한 고장이나 화재가 발생될 가능성이 저감될 수 있으며, 피처리대상의 형상 등의 특성 특히, 판면의 중앙 부분에 비해 모서리부나 단부 영역에 상대적으로 높은 자기장을 걸어주는 등 자기장을 조절할 수 있어 탈자 효율이 종래보다 증가되며 이로 인해 탈자비용이 감소되고 부품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화 및 탈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화 및 탈자방법{APPARATUS FOR MAGNETIZING AND DEGAUSSING OF ELECTRONIC COMPONENTS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자화 및 탈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화 및 탈자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리감지부의 이격거리 정보와 피처리대상의 접근방향의 입력정보를 통해 자기장의 제어모드를 조절하여 종래보다 효율적이고 간편하게 탈자가 가능한 자화 및 탈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화 및 탈자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또는 강재) 등은 가공 과정에서 의도치 않은 자성을 띄는 경우가 있다. 특히, 전자부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크기가 작고 정밀한 부품이 많아 가공 과정뿐만 아니라 보관/이송 공정에서 전자부품에 자성이 부여되게 되면 전자부품 자체의 생산 수율이 낮아짐은 물론 부품으로 이루어진 완제품에도 치명적인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후공정에서 불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또는 완제품의 품질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자부품의 공정 전반에서 부여된 자화 특성을 제거시켜줄 필요가 있다. 자성을 제거하는 것을 탈자화(이하, 탈자라 함)라 하며, 자성을 제거하거나 낮추는 일련의 단계를 탈자 공정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전자부품의 탈자 작업 또는 탈자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와 기능을 가진 탈자기가 개시된 바 있다. 자화가 유발된 전자부품인 피처리대상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예를 들면, 파이프용 탈자기, 터널형 탈자기, 대면적 평판 형태의 탈자기, 소형으로 마련되어 휴대가 간편한 탈자기 등 다양한 용도의 탈자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탈자기의 대부분은 간략 설명하면, 전원공급부 예를 들어 온/오프 스위치 등을 작동하여 전원이 켜지게 되고, 코일부에 마련된 코일에 전류가 통전되면서 탈자를 위한 자기장이 발생되며, 자기장이 피처리대상인 전자부품에 직접 접촉하여 탈자 공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탈자기는 전원을 수동으로 차단할 때까지 대부분 미리 설정된 균일한 자기장이 발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탈자기 자체가 통전되어 코일에 전류를 걸어주는 구조이기 때문에 지속적이고 일정시간 이상으로 동작시키게 되면 과열로 인한 고장이나 화재가 발생될 가능성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과열이 방지되면서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구조 또는 방법이 시급하다.
또한, 종래의 탈자기 대부분은 자기장 용량이 한정되거나 균일하여 탈자 효율이 감소되는데, 특히 판상 또는 판면 형태의 피처리대상의 경우 판면의 중앙 부분에 비해 모서리부나 단부 영역에 상대적으로 높은 자기장을 걸어주어야 함에도 탈자가 수행될 피처리대상의 형상에 대응되게 자기장이 변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제품 생산비용과 생산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피처리대상의 위치를 감지하여 자기장의 강도를 조절하며 동작되기 때문에 종래보다 탈자 효율이 증가되고 과열로 인한 고장이나 화재가 발생될 가능성이 저감될 수 있으며, 피처리대상의 형상 등의 특성 특히, 판면의 중앙 부분에 비해 모서리부나 단부 영역에 상대적으로 높은 자기장을 걸어주는 등 자기장을 조절할 수 있어 탈자 효율이 종래보다 증가되며 이로 인해 탈자비용이 감소되고 부품 생산성이 향상되는 자화 및 탈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화 및 탈자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화 및 탈자장치는, 일측에 손잡이부가 마련되는 본체케이싱; 상기 본체케이싱에 마련되어 피처리대상인 피처리대상을 자화 또는 탈자시키도록 전류에 따른 자기장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빈을 포함하는 자기장 발생모듈;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피처리대상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부; 및 상기 거리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피처리대상과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 사이의 이격거리 또는 상기 피처리대상에 대한 상기 본체케이싱의 접근방향에 따라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리감지부는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케이싱의 양단에 각각 1개씩 한쌍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피처리대상과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 사이의 이격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1 간격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피처리대상이 자화 또는 탈자가 진행되지 않는 유휴 자기장을 제공하는 제1제어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거리감지부 중 어느 하나라도 상기 제1 간격 이하인 경우 자화 또는 탈자가 진행되도록 상기 유휴 자기장보다 상대적으로 증가된 탈자 자기장을 제공하는 제2 제어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감지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피처리대상과의 이격거리가 제1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2 간격 이하를 감지할 때 상기 탈자 자기장보다 상대적으로 증가된 자기장을 제공하는 제3 제어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은 제1 보빈 및 제2 보빈의 총 2개이며, 상기 제1 보빈과 상기 제2 보빈 각각은, 보빈몸체; 상기 보빈몸체에 연속적으로 권취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로부터 통전되도록 연장되되, 상기 코일의 권선 수(number of winding wires) 또는 턴 수(number of turns)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제어모드 각각은, 상기 제1 보빈 또는 상기 제2 보빈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동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보빈의 상기 복수의 연결라인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한쌍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제어모드 각각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에 공급하는 상기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처리대상이 상기 본체케이싱을 기준으로 상기 거리감지부 중 어느 하나에 먼저 감지될 때 상기 피처리대상이 자화 또는 탈자되도록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에 공급되는 상기 전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의 온도를 체크하는 온도체크부; 및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이 일정시간 이상 동작 시 또는 상기 온도저감부에 설정된 온도 범위 이상 시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의 온도를 저감하는 온도저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저감부는,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의 상면에 이격 배치되며, 판면에 복수의 방열핀이 마련되어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을 발열시키는 발열플레이트; 및 상기 본체케이싱의 외면 상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개구되어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을 발열시키는 발열창(window)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내부에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의 연결라인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온도저감부는,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에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화 및 탈자방법은,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한쌍의 거리감지부에 의해 피처리대상을 감지하는 단계; 어느 하나의 상기 거리감지부에서 상기 피처리대상과의 이격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1 간격 초과가 감지될 때, 상기 피처리대상이 자화 또는 탈자가 진행되지 않는 유휴 자기장이 발생되는 제1 제어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어느 하나의 상기 거리감지부에서 상기 제1 간격 이하로 감지될 때, 자화 또는 탈자가 진행되도록 상기 유휴 자기장보다 상대적으로 증가된 탈자 자기장을 제공하는 제2 제어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다른 하나의 상기 거리감지부에서 상기 제1 간격 초과가 감지될 때 다시 제1 제어모드로 재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리감지부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피처리대상과의 이격거리가 제1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2 간격 이하가 감지될 때 상기 탈자 자기장보다 상대적으로 증가된 자기장을 제공하는 제3 제어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감지부 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피처리대상과의 이격거리가 제1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2 간격 이하가 감지될 때 다시 제2 제어모드로 재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제어모드로 동작되는 동안에,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동작 시 또는 온도 범위 이상 시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화 및 탈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화 및 탈자방법은, 피처리대상의 위치를 감지하여 자기장의 강도를 조절하며 동작되기 때문에 종래보다 탈자 효율이 증가되고 과열로 인한 고장이나 화재가 발생될 가능성이 저감될 수 있으며, 피처리대상의 형상 등의 특성 특히, 판면의 중앙 부분에 비해 모서리부나 단부 영역에 상대적으로 높은 자기장을 걸어주는 등 자기장을 조절할 수 있어 탈자 효율이 종래보다 증가되며 이로 인해 탈자비용이 감소되고 부품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화 및 탈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화 및 탈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화 및 탈자장치의 자기장 발생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화 및 탈자장치의 본체케이싱, 자기장 발생모듈 및 온도저감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화 및 탈자장치의 거리감지부의 제1 간격과 제2 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화 및 탈자장치의 접근방향에 따른 자화 또는 탈자 공정을 수행함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화 및 탈자장치의 제어부의 제1, 제2 및 제3 제어모드로 자기장 발생모듈의 동작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화 및 탈자장치의 피처리대상의 위치에 따른 각각의 제어모드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화 및 탈자장치를 이용한 피처리대상 자화 및 탈자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화 및 탈자장치를 이용한 피처리대상 자화 및 탈자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화 및 탈자장치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자화 및 탈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화 및 탈자방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피처리대상을 전자부품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자동차 부품, 휴대폰 부품 등 금속 재로 이루어진 부품류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전자부품류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화 및 탈자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화 및 탈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화 및 탈자장치의 자기장 발생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화 및 탈자장치의 자기장 발생모듈 및 이에 인접한 본체케이싱 부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화 및 탈자장치(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싱(10)과, 상기 본체케이싱(10)에 마련되어 전자부품(c)을 자화 또는 탈자시키도록 전류에 따른 자기장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빈(21, 22)을 포함하는 자기장 발생모듈(20)과,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전자부품(c)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부(40)와, 상기 전자부품(c)과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20) 사이의 이격거리 또는 상기 전자부품(c)에 대한 상기 본체케이싱(10)의 접근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20)을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케이싱(10)은 주로 도 1을 참조하면, 자기장 발생모듈(20)을 내부에 수납하는 수납실(미도시)이 형성된다. 본체케이싱(10)의 일면을 제외하고 나머지 면에는 자기장 발생모듈(20)의 온도를 저감시키도록 발열창(53)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케이싱(10)의 재질은 본 실시예에서는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재 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자기장 발생에 방해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본체케이싱(10)의 일측에는 손잡이부(1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11)는 본체케이싱(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마련되되 핸드몸체(13)와 본체케이싱(10)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몸체(12)가 마련될 수 있다. 핸드몸체(13)와 연결몸체(12)는 중공 타입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20)의 연결라인(25)이 연장되어 수납되는 수납공간(17)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핸드몸체(13)와 연결몸체(12)는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17)에는, 상기 연결라인(25)에 배치되어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20)에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전원을 차단하는 퓨즈(14)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몸체(12) 상면에는 전원 스위치(15)가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휴즈(14)가 손잡이부(11) 내로 배치되고, 본체케이싱(10)의 수납실 내부에는 자기장 발생모듈(20)이 배치될 수 있어 동일한 탈자장치의 크기로도 종래보다 더 높은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탈자 공정 수행중에 휴즈가 파손될 경우 핸드몸체(13)를 손잡이용 연결부로부터 탈거가 용이하여 휴즈 교체가 손쉽게 가능하며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자기장 발생모듈(20)은 전자부품(c)을 자화시키거나 탈자시키도록 전류에 따른 자기장을 발생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20)은 제1 보빈(21) 및 제2 보빈(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빈(21)과 상기 제2 보빈(22)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보빈몸체(23)와, 상기 보빈몸체(23)에 연속적으로 권취되는 코일(24)과, 상기 코일(24)의 권선 수(number of winding wires) 또는 턴 수(number of turns)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라인(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빈(22)은 주로 도 3을 참조하면, ‘ㄷ’자 형상의 보빈몸체(23)가 형성되고 보빈몸체(23) 중심부의 코어의 외면을 따라 코일(24)이 권취될 수 있도록 한다. 보빈몸체(23)는 판상으로 적층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보빈몸체(23)의 일단에는 복수의 연결라인(25) 마련될 수 있다. 연결라인(25) 중 하나는 전류가 인입되는 인입라인(25)이고, 나머지 2개는 출력라인(25)이 될 수 있으며, 각각의 출력라인(25)은 코일(24)의 권선 수(number of winding wires) 또는 턴 수(number of turns)가 변화되어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보빈(21)에 1개의 입력라인과 2개의 출력라인 등 총 3개의 연결라인(25)이 마련되며, 제2 보빈(22)에는 입력라인이 필요치 않으므로 2개의 출력라인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코일(24) 권선수나 턴수에 따라 연결라인(25)의 개수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거리감지부(40)는 상기 전자부품(c)과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20) 간의 이격거리를 감지하는 부분이다. 거리감지부(40)는 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자기장 발생모듈(20)에 인접하게 배치되되 본체케이싱(10)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거리감지부(40)는 각종 센서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거리감지센서를 상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거리감지부(40)의 구성도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거리감지부(40)는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20)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케이싱(10)의 양단에 각각 1개씩 한쌍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거리감지부(40)는 거리감지부(40)의 이격거리 정보와 전자부품(c)의 접근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30)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거리감지부(40)를 통한 제어부(30)의 동작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c) 자화 및 탈자장치는 추가적으로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20)의 온도를 체크하는 온도체크부(60, 도 2 참조)와,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20)이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이상 시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20)의 온도를 저감하는 온도저감부(50, 도 4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체크부(60)는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20)의 온도를 체크하는 부분이다. 온도체크부(60)도 각종 온도 측정용 센서류가 역할을 담당할 수 있으며, 자기장 발생모듈(20)의 온도 측정을 위해 자기장 발생모듈(20)에 인접 배치될 필요가 있다. 온도체크부(60)는 제어부(30)와 연결되어 온도 변화를 제어부(30)에 전달한다.
상기 온도저감부(40)는, 자기장 발생모듈(20)이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이상 시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20)의 온도를 저감하는 부분이다. 온도저감부(40)는 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20)의 상면에 이격 배치되며, 판면에 복수의 방열핀(52)이 마련되어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20)을 발열시키는 발열플레이트(51)와, 상기 본체케이싱(10)의 외면 상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개구되어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20)을 발열시키는 발열창(53)(window)을 포함할 수 있다.
발열플레이트(51)는 자기장 발생모듈(20)의 일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소정 간격 이격배치되어 자기장 발생모듈(20)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고, 발열플레이트(51)의 상면에 부착된 방열핀(52)이 발열플레이트(51)의 열을 외부로 발산하는 역할을 한다. 방열핀(52)은 열 방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발열플레이트(51)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방열핀(52)의 개수는 열 발생의 효율을 고려하여 달리 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케이싱(10)의 외면에 마련되는 발열창(53)이 열 발산을 보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c) 자화 및 탈자장치의 거리감지부의 제1 간격(D1)과 제2간격(D2)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화 및 탈자장치의 접근방향에 따른 자화 또는 탈자 공정을 수행함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화 및 탈자장치의 제어부의 제1, 제2 및 제3 제어모드로 자기장 발생모듈의 동작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화 및 탈자장치의 전자부품의 위치에 따른 각각의 제어모드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2,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어부(30)에 대해 상세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30)는 도 2를 주로 참조하면, 온도체크부와 거리감지부(40)에서 입력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자기장 발생모듈(20)과 온도저감부 이에 연결된 전원차단부(55)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 설명하면, 전자제품 자화 및 탈자장치에 전원이 온(ON)되는 경우, 거리감지부(40)가 제1 간격(D1) 여부를 감지한 다음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30)에 전달한다. 제어부(30)는 주로 도 8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거리감지부(40)에서 감지된 상기 전자부품(c)과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20) 사이의 이격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1 간격(D1)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비록 장치의 전원이 켜진 상태임에도, 상기 전자부품(c)이 자화 또는 탈자가 진행되지 않는 유휴 자기장(M_idle)()이 발생되도록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20)에 제1 제어모드로 전환한다.
제어부(30)는 도 5의 (a) 및 도 8의 (a)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간격(D1) 이하인 경우 자화 또는 탈자가 진행되도록 상기 유휴 자기장(M_idle)보다 상대적으로 증가된 탈자 자기장(M_demag1)을 제공하는 제2 제어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5의 (b)의 경우, 한쌍의 거리감지부(40) 모두, 어느 하나의 거리감지부(40)에서 여전히 제1 간격(D1) 이하가 감지되므로, 여전히 제2 제어모드 상태로 제어토록 한다.
도 5의 (c)에서처럼, 우측의 상기 거리감지부(40)에서 상기 제1 간격(D1) 초과가 감지될 때 다시 제1 제어모드로 재전환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부(30)의 구성을 통해, 전자부품(c)의 위치를 감지하여 자기장의 강도를 조절하며 동작되기 때문에 종래보다 과열로 인한 고장이나 화재가 발생될 가능성이 저감될 수 있다.
더불어, 전술한 제어부(30)의 제1 및 제2 제어모드에 추가로 제3 제어모드로 전환 가능한 구성을 마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처리대상의 전자부품(c)의 모서리부나 단부에 자화된 정도 또는 강도이 판면 중앙 구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현상을 보이는데, 제3 제어모드는 이러한 피처리대상의 형상이나 위치에 따라 불균일하게 자화된 정도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거리감지부(4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전자부품(c)과의 이격거리가 제1 간격(D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2간격(D2) 이하를 감지할 때 상기 탈자 자기장(M_demag1)보다 상대적으로 증가된 탈자 자기장(M_demag2)을 제공하는 제3 제어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제3 제어모드는 도 8의 (b)에 도시된 것처럼, 탈자 자기장(M_demag1)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탈자 자기장(M_demag2)이 걸리게 작동될 수 있다. 이 경우, 거리감지부(40)는 제1 간격(D1)뿐만 아니라 제2간격(D2)을 감지할 수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제3 제어모드를 통해, 피처리대상의 형상 등의 특성 특히, 판면의 중앙 부분에 비해 모서리부나 단부 영역에 상대적으로 높은 자기장을 걸어주는 등 자기장을 조절할 수 있어 탈자 효율이 종래보다 증가되며 이로 인해 탈자비용이 감소되고 부품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제어모드. 상기 제2 제어모드 또는 상기 제3 제어모드 각각은, 상기 제1 보빈(21) 또는 상기 제2 보빈(22)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동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보빈(22)의 상기 복수의 연결라인(25)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한쌍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을 참조할 때 제1 제어모드는 도 7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보빈(21)만이 구동될 수 있고, 제2 제어모드는 도 7의 (b)의 제1 보빈(21)과 제2 보빈(22)이 함께 구동되되 연결라인(25)이 도시된 것처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제어모드의 경우, 제1 보빈(21) 및 제2 보빈(22)이 함께 구동되되 연결라인(25)이 도 7의 (c)와 같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자기장 발생모듈(20)과 연결라인(25)의 변경을 통해 자기장을 조절하는 방식과 달리, 상기 제1 제어모드, 상기 제2 제어모드 또는 상기 제3 제어모드 각각은, 상기 제어부(30)가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20)에 공급하는 상기 전류량을 제어하여 상기 자기장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제어부(30)가 마련된 회로기판 상에서 구현된 회로 구성을 통해 구동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케이싱(10)을 기준으로 상기 거리감지부(40) 중 어느 하나에 먼저 감지될 때 상기 전자부품(c)이 자화/탈자되도록 상기 전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6을 상세 설명하면, 본체케이싱(10)을 기준으로 손잡이부(11) 측과 반대측 단부에 각각 1개씩의 거리감지부(40)가 마련될 때, 손잡이부(11) 측에 인접한 거리감지부(40)가 전자부품(c)을 미리 설정된 간격 이내의 진입을 먼저 감지할 때에는 탈자 공정이 수행되도록 전류 흐름을 구성하고, 이와 반대로 반대측 단부에 거리감지부(40)가 전자부품(c)의 진입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자화 공정이 수행되도록 탈자 공정 시의 전류 흐름과 반대방향의 전류 흐름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전자부품(c)의 위치를 감지하여 자기장 발생을 위한 전류 흐름을 조절하며 자동으로 동작되기 때문에 종래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자화 또는 탈자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화 및 탈자장치를 이용한 자화 및 탈자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화 및 탈자장치를 이용한 자화 및 탈자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자화 및 탈자장치(1)를 이용한 자화 및 탈자방법을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화 및 탈자방법은 도 2,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S10)와, 한쌍의 거리감지부(40)에 의해 피처리대상인 전자부품(c)을 감지하는 단계(S20)와, 어느 하나의 상기 거리감지부(40)에서 상기 전자부품(c)과의 이격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1 간격(D1) 초과가 감지될 때, 상기 전자부품(c)이 자화 또는 탈자가 진행되지 않는 유휴 자기장(M_idle)이 발생되는 제1 제어모드로 동작하는 단계(S30)와, 어느 하나의 상기 거리감지부(40)에서 상기 제1 간격(D1) 이하로 감지될 때, 자화 또는 탈자가 진행되도록 상기 유휴 자기장(M_idle)보다 상대적으로 증가된 탈자 자기장(M_demag1)을 제공하는 제2 제어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40)와, 상기 거리감지부(40) 모두에서 상기 제1 간격(D1) 초과가 감지될 때 다시 제1 제어모드로 재전환하는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자화 및 탈자장치에 전원스위치를 온(ON)시킨 다음(S10), 거리감지부(40)가 제1 간격(D1) 여부를 감지하고(S20)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30)에 전달한다. 제어부(30)는 주로 도 8의 (a)에 도시된 것처럼 거리감지부(40)에서 감지된 상기 전자부품(c)과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20) 사이의 이격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1 간격(D1)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비록 장치의 전원이 켜진 상태임에도, 상기 전자부품(c)이 자화 또는 탈자가 진행되지 않는 유휴 자기장(M_idle)이 발생되도록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20)에 제1 제어모드로 전환한다(S30). 본 실시예에서의 제1 제어모드는 도 7의 (a)와 같이, 제1 보빈(21)만 구동되게 제어될 수 있다.
다음으로, 거리감지부(40) 중 어느 하나에서 감지된 상기 전자부품(c)과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20) 사이의 이격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1 간격(D1) 이하를 감지한 경우, 제2 제어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S40). 제어부(30)는 도 7의 (b)와 같이, 제1 보빈(21)과 제2 보빈(22)을 모두 구동되게 제어하되, 표시된 연결라인(25)으로 전류가 흐르게 하여 도 8의 (a)에서처럼 탈자 자기장(M_demag1)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8의 (a)에서처럼 거리감지부(40) 모두에서 이격감지(제1 간격(D1) 초과)가 감지될 때 다시 제1 제어모드로 재전환하게 된다(S50).
이와 같은 상기 제1, 제2 제어모드 모두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동작 시 또는 온도 범위 이상 시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c) 자화 및 탈자방법은 도 2,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S10)와, 한쌍의 거리감지부(40)에 의해 피처리대상인 전자부품(c)을 감지하는 단계(S20)와, 어느 하나의 상기 거리감지부(40)에서 상기 전자부품(c)과의 이격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1 간격(D1) 초과가 감지될 때, 상기 전자부품(c)이 자화 또는 탈자가 진행되지 않는 유휴 자기장(M_idle)이 발생되는 제1 제어모드로 동작하는 단계(S30)와, 어느 하나의 상기 거리감지부(40)에서 상기 제1 간격(D1) 이하로 감지될 때, 자화 또는 탈자가 진행되도록 상기 유휴 자기장(M_idle)보다 상대적으로 증가된 탈자 자기장(M_demag1)을 제공하는 제2 제어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40)와, 상기 거리감지부(40)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전자부품(c)과의 이격거리가 제1 간격(D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2간격(D2) 이하가 감지될 때 상기 탈자 자기장(M_demag2)보다 상대적으로 증가된 자기장을 제공하는 제3 제어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41)와, 상기 거리감지부(40) 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전자부품(c)과의 이격거리가 제1 간격(D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2간격(D2) 이하가 감지될 때 다시 제2 제어모드로 재전환하는 단계(S4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및 제2 제어모드로의 전환 단계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 경우, 거리감지부(40) 중 어느 하나라도 제1 간격(D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이격거리인 제2간격(D2)이 감지되게 되면, 제어부(30)는 탈자 자기장(M_demag1)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탈자 자기장(M_demag2)이 제공되도록 제3 제어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S41).
다음으로, 거리감지부(40) 모두에서 제1 간격(D1) 이하와 제2간격(D2) 초과가 감지되면, 제어부(30)는 제2 제어모드로 재전환할 수 있다(S42).
상기 제1, 제2 및 제3 제어모드로 동작되는 동안에,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동작 시 또는 온도 범위 이상 시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43).
마지막으로, 거리감지부(40) 모두에서 제1 간격(D1) 초과가 감지되면, 제어부(30)는 제1 제어모드로 재전환하게 된다(S50).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 : 자화 및 탈자장치
10 : 본체케이싱 11 : 손잡이부
14 : 퓨즈 20 : 자기장 발생모듈
21, 22 : 제1 및 제2 보빈 23 : 보빈몸체
24 : 코일 25 : 연결라인
30 : 제어부 40 : 거리감지부
50 : 온도저감부 51 : 발열플레이트
52 : 방열핀 53 : 발열창
55 : 전원차단부 60 : 온도체크부

Claims (13)

  1. 일측에 손잡이부가 마련되는 본체케이싱;
    상기 본체케이싱에 마련되어 피처리대상을 자화 또는 탈자시키도록 전류에 따른 자기장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빈을 포함하는 자기장 발생모듈;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피처리대상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부; 및
    상기 거리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피처리대상과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 사이의 이격거리 또는 상기 피처리대상에 대한 상기 본체케이싱의 접근방향에 따라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 및 탈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감지부는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케이싱의 양단에 각각 1개씩 한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 및 탈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피처리대상과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 사이의 이격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1 간격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피처리대상이 자화 또는 탈자가 진행되지 않는 유휴 자기장을 제공하는 제1제어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거리감지부 중 어느 하나라도 상기 제1 간격 이하인 경우 자화 또는 탈자가 진행되도록 상기 유휴 자기장보다 상대적으로 증가된 탈자 자기장을 제공하는 제2 제어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 및 탈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감지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피처리대상과의 이격거리가 제1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2 간격 이하를 감지할 때 상기 탈자 자기장보다 상대적으로 증가된 자기장을 제공하는 제3 제어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 및 탈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은 제1 보빈 및 제2 보빈의 총 2개이며,
    상기 제1 보빈과 상기 제2 보빈 각각은,
    보빈몸체;
    상기 보빈몸체에 연속적으로 권취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로부터 통전되도록 연장되되, 상기 코일의 권선 수(number of winding wires) 또는 턴 수(number of turns)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 및 탈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제어모드 각각은,
    상기 제1 보빈 또는 상기 제2 보빈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동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보빈의 상기 복수의 연결라인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한쌍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 및 탈자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제어모드 각각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에 공급하는 상기 전류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 및 탈자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처리대상이 상기 본체케이싱을 기준으로 상기 거리감지부 중 어느 하나에 먼저 감지될 때 상기 피처리대상이 자화 또는 탈자되도록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에 공급되는 상기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 및 탈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의 온도를 체크하는 온도체크부; 및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이 일정시간 이상 동작 시 또는 상기 온도저감부에 설정된 온도 범위 이상 시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의 온도를 저감하는 온도저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저감부는,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의 상면에 이격 배치되며, 판면에 복수의 방열핀이 마련되어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을 발열시키는 발열플레이트; 및
    상기 본체케이싱의 외면 상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개구되어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을 발열시키는 발열창(window)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 및 탈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내부에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의 연결라인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온도저감부는,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자기장 발생모듈에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 및 탈자장치.
  11.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한쌍의 거리감지부에 의해 피처리대상을 감지하는 단계;
    어느 하나의 상기 거리감지부에서 상기 피처리대상과의 이격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1 간격 초과가 감지될 때, 상기 피처리대상이 자화 또는 탈자가 진행되지 않는 유휴 자기장이 발생되는 제1 제어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어느 하나의 상기 거리감지부에서 상기 제1 간격 이하로 감지될 때, 자화 또는 탈자가 진행되도록 상기 유휴 자기장보다 상대적으로 증가된 탈자 자기장을 제공하는 제2 제어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다른 하나의 상기 거리감지부에서 상기 제1 간격 초과가 감지될 때 다시 제1 제어모드로 재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 및 탈자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감지부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피처리대상과의 이격거리가 제1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2 간격 이하가 감지될 때 상기 탈자 자기장보다 상대적으로 증가된 자기장을 제공하는 제3 제어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감지부 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피처리대상과의 이격거리가 제1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2 간격 이하가 감지될 때 다시 제2 제어모드로 재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 및 탈자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제어모드로 동작되는 동안에,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동작 시 또는 온도 범위 이상 시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 및 탈자방법.
KR1020160055185A 2016-05-04 2016-05-04 자화 및 탈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화 및 탈자방법 KR101897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185A KR101897548B1 (ko) 2016-05-04 2016-05-04 자화 및 탈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화 및 탈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185A KR101897548B1 (ko) 2016-05-04 2016-05-04 자화 및 탈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화 및 탈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203A true KR20170125203A (ko) 2017-11-14
KR101897548B1 KR101897548B1 (ko) 2018-09-12

Family

ID=6038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185A KR101897548B1 (ko) 2016-05-04 2016-05-04 자화 및 탈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화 및 탈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5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2242B1 (ko) 2022-12-07 2024-06-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탈자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6607A (ja) * 1991-03-04 1992-10-01 Sumitomo Metal Ind Ltd 鋼材の脱磁装置及び脱磁方法
KR0119374Y1 (ko) * 1995-03-31 1998-07-15 김영철 탈자 및 자화기
KR100739381B1 (ko) * 2006-02-17 2007-07-24 김영철 소형탈자기
KR100750655B1 (ko) * 2005-12-16 2007-08-23 김영철 파이프용 탈자기
KR101530891B1 (ko) * 2014-08-06 2015-06-23 김영철 디지털 탈자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6607A (ja) * 1991-03-04 1992-10-01 Sumitomo Metal Ind Ltd 鋼材の脱磁装置及び脱磁方法
KR0119374Y1 (ko) * 1995-03-31 1998-07-15 김영철 탈자 및 자화기
KR100750655B1 (ko) * 2005-12-16 2007-08-23 김영철 파이프용 탈자기
KR100739381B1 (ko) * 2006-02-17 2007-07-24 김영철 소형탈자기
KR101530891B1 (ko) * 2014-08-06 2015-06-23 김영철 디지털 탈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548B1 (ko)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1396B2 (en) Magnetic coupling devices
JP6963659B2 (ja) 誘導電力送信器
JPH0233905A (ja) 残留磁束を除去するための回路を備えた磁気保持装置
JP2006224261A (ja) 永電磁式のマグネットチャックのチャッキング異常検出装置
US9164154B2 (en) Electro permanent magnetic system with magnetic state indicator
TWI452794B (zh) 非接觸式供電系統、非接觸式供電裝置及被供電裝置
JP2009289671A (ja) リレー制御装置
KR101614218B1 (ko) 비자성체 가공용 마그네틱 연장지그, 이를 이용한 비자성체 고정장치 및 그 고정방법
KR101897548B1 (ko) 자화 및 탈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화 및 탈자방법
WO2014156655A1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
JP7409697B2 (ja) 吸着力確認方法及び吸着力確認装置
KR100872953B1 (ko) 휴대용 평면 관통형 탈자기
KR101030669B1 (ko) 채널분리형 전자척 제어장치
KR101891443B1 (ko) 리프터용 영전자 자석의 안전도 검사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06212U (ko) 가우징 용접기의 절전장치
JPH09174559A (ja) 金型固定装置
TW201347348A (zh) 非接觸式供電裝置及非接觸式供電系統
KR102063847B1 (ko)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전자척 제어장치
KR102020456B1 (ko) 탈자 장치
KR101530891B1 (ko) 디지털 탈자 장치
JP2000182827A (ja) 電磁石用電源装置
JP4702672B2 (ja) 消磁装置および消磁方法
JP2006129657A (ja) 磁気吸着装置の異常検出装置
JP2013160647A (ja) 磁気探傷用磁化装置
JP2009006393A (ja) ラップシーム溶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