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891B1 - 디지털 탈자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탈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891B1
KR101530891B1 KR1020140101219A KR20140101219A KR101530891B1 KR 101530891 B1 KR101530891 B1 KR 101530891B1 KR 1020140101219 A KR1020140101219 A KR 1020140101219A KR 20140101219 A KR20140101219 A KR 20140101219A KR 101530891 B1 KR101530891 B1 KR 101530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obbin
time
digital
demagnet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철
김두휘
Original Assignee
김영철
김두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철, 김두휘 filed Critical 김영철
Priority to KR1020140101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gnetising or demagnetising
    • H01F13/006Methods and devices for demagnetising of magnetic bodies, e.g. workpieces, sheet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76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9/00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 H01F29/14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variable magnetic bias
    • H01F2029/143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variable magnetic bias with control winding for generating magnetic bi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탈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빈 하우징과, 상기 보빈 하우징을 지지하는 디지털 제어 하우징과, 상기 보빈 하우징에 위치한 원형 띠 형태의 보빈부와, 상기 보빈부의 탈자력과 탈자시간을 제어하는 디지털 제어부 및 장치의 동작 유무, 탈자력 및 탈자시간과 같은 디지털 제어값을 입력받는 제어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탈자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탈자 장치{DIGITAL DEMAGNETIZER}
본 발명은 디지털 탈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탈자력 조절 기능을 갖는 디지털 탈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합금뿐 아니라 대부분의 금속이 원자의 규칙적인 배열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각각의 원자는 자기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자기장 형성원인으로는 크게 핵스핀과 전자스핀, 전자궤도운동에 의한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자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전자스핀이며 보통 전자의 스핀은 방향이 무질서하게 분포되는데, 어떠한 이유로 모든 스핀이 같은 방향으로 정렬된다면, 그 물체 전체가 자성을 띠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성질을 갖는 물체를 강자성체라고 한다. 강자성체를 자화시켜 만든것이 우리가 일반적으로 보는 자석이라 한다.
이러한 강자성체의 자성을 없애는 방법은 가열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나, 환경에 따라 어려운 상황들이 매우 많아서 실천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다른 한 방법은 충격을 가하는 것이다. 즉 기계적인 충격에 의해 결정 구조를 바꾸어주는 것도 가능하기는 하지만, 결정 구조의 변경하기 위해서는 엄청나게 강하게 때려야하고 그렇게 되면 모양도 변하게 되고 결국 열도 발생하게 되어 가열하는 것이나 별반 차이가 없어지는 결과가 초래된다.
탈자기는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면서 물질의 자성을 없애주는 기기를 지칭한다. 즉, 가공중인 물체가 자성을 띄게 되었을 경우 다시 탈자를 하더라도 원래의 분자구조로는 되 돌릴 수 없지만 자력을 띄게 된 물체에 잔류하고 있는 자기력을 제거해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최근까지 탈자기는 기계나 설비의 전자척에 설치하여 가공물에 남아있는 잔류자기를 제거해 주는 형태로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리고, 그 종류로는 사용 용도에 따라 크게 표준형, 핸드형, 막대형, 터널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탈자기는 탈자 능력과 제품의 크기 등에 따라 가격이 다양하기 때문에, 용도에 맞는 정확한 탈자기를 선택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허 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292243호 (특허 문헌 2)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95619호 (특허 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2001-0089083호 (특허 문헌 4) 한국공개특허 제1995-002088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탈자력과 탈자 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다양한 제품에 대한 탈자를 진행할 수 있는 디지털 탈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빈 하우징과, 상기 보빈 하우징을 지지하는 디지털 제어 하우징과, 상기 보빈 하우징에 위치한 원형 띠 형태의 보빈부와, 상기 보빈부의 탈자력과 탈자시간을 제어하는 디지털 제어부 및 장치의 동작 유무, 탈자력 및 탈자시간과 같은 디지털 제어값을 입력받는 제어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탈자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와, 보빈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및 외부 전원을 인가받는 전원 인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제어부는 온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기존에 설정된 한계 온도보다 높을 경우에는 장치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감지된 온도가 정상 온도를 벗어나 허용 온도와 한계 온도 사이에 있는 경우에는 냉각부를 구동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빈부는 원형 링 형태의 보빈 몸체와 보빈 몸체에 감겨 있는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보빈 몸체에 감겨 있는 코일의 턴수는 2000 내지 5000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제어부는 탈자력을 제어하는 탈자력 제어부와, 동작 시간을 제어하는 동작 시간 제어부 및 장치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메인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자력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는 전류 입력부와, 제어 입력부의 입력 값에 따라 보빈부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변화시키는 전류량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동작 시간 제어부는 제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동작 시간을 저장하는 시간 저장부와, 저장된 시간을 카운팅하는 시간 카운팅부와, 시간 카운팅이 완료되면 전원을 차단하거나, 알람을 울리는 동작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탈자력 제어부의 전류 입력부와 전류량 제어부가 실장된 탈자력 제어 PCB와, 상기 동작 시간 제어부의 시간 저장부, 시간 카운팅부, 동작 제어부가 실장된 동작 시간 제어 PC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입력부는 탈자력을 입력받는 탈자 입력부와 시간을 입력받는 시간 입력부 그리고, 탈자 동작 진행 여부를 입력받는 동작 입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탈자 대상물을 보빈부 상에 배치하는 단계와, 탈자력과 탈자 시간을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된 탈자력에 해당하는 전류량을 보빈부에 제공하여 탈자를 진행하는 단계 및 탈자 시간이 완료되면 알람을 통해 탈자가 완료됨을 알고, 탈자가 완료된 대상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탈자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보빈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하여 탈자력과 탈자 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다양한 자력을 갖는 제품에 대한 탈자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탈자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탈자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탈자 장치의 측단면 개념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탈자 장치의 개념 블록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제어부의 블록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입력부의 블록도.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탈자 장치의 사시 개념도.
도 8은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디지털 탈자 장치의 개념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자 장치를 이용한 탈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디지털 탈자 장치의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상이해질 수 있음을 명확히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탈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탈자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탈자 장치의 측단면 개념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탈자 장치의 개념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입력부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탈자 장치의 사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탈자 장치는 보빈 하우징(100)과, 보빈 하우징(100)을 지지하는 디지털 제어 하우징(200)과, 보빈 하우징(100)에 위치한 원형 띠 형태의 보빈부(300)와, 보빈부(300)의 탈자력과 동작 시간(즉, 탈자시간)을 제어하는 디지털 제어부(400)와, 장치의 동작, 탈자력 및 탈자시간과 같은 디지털 제어값을 입력받는 제어 입력부(500)와, 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600)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700)와, 보빈부(300)를 냉각시키는 냉각부(800) 및 외부 전원을 인가받는 전원 인가부(900)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디지털 탈자 장치는 디지털 제어부(400)를 통해 보빈의 탈자력과 탈자 시간을 사용자의 입력 값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다용도 사용에 대한 탈자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단일의 디지털화된 탈자 장치를 통해 다수의 탈자 장치를 보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빈 하우징(1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원형 중공부을 갖는 원형 띠 형태의 통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오메가(Ω)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결합의 편의성과 내부 보빈등의 부품 수납을 위해 전, 후 2개의 몸체로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단 영역에 돌출부를 두어 온도 감지부(700)와 같은 부품의 수납이 가능한 것이 효과적이다.
디지털 하우징(200)은 일측에 경사면을 갖는 사각 통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디지털 하우징(200) 또한 전, 후 2개의 몸체로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디지털 하우징(200)은 내부에 디지털 제어부(400)가 수납되기 때문에 이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 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디지털 하우징(200)의 경사면 영역에 앞서 언급한 표시부(600)와 제어 입력부(500)가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이 용이하고, 장치의 표시 상황을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보빈 하우징(100)과 디지털 하우징(200)이 분리되어 결합되는 형태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빈 하우징(100)과 디지털 하우징(200)이 단일 몸체로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보빈 하우징(100)의 중공부의 크기는 제작 시점에 다양한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고, 이는 보빈부(300)의 크기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빈 하우징(100)을 지지하는 디지털 하우징(200)의 크기 또한 변화될 수 있다.
보빈부(300)는 원형 링 형태의 보빈 몸체(310)와 보빈 몸체(310)에 감겨 있는 코일(320)을 구비한다. 여기서, 보빈 몸체(310)에 감겨 있는 코일(320)의 턴수는 2000 내지 5000턴 범위로 감겨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상기 범위보다 작을 경우에는 최대 탈자력 즉, 탈자 용량이 500VA가 되지 않는 단점이 있고, 5000턴 이상인 경우에는 과대 용량이 되어 불필요한 코일의 낭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원형 링 형태의 보빈 몸체(310)가 보빈 하우징(100)에 배치됨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는 다수의 보빈 몸체(310) 즉, 2개 이상의 몸체가 보빈 하우징(100)에 원형 링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보빈 몸체(310)의 동작을 일체화시켜 단일 몸체처럼 구동시킬 수 있고, 각기 분리 또는 일부만 분리시켜 동작시킬 수도 있다.
더욱이 보빈부(300)를 원형 띠 형태로 제작하고, 이 원형 띠의 중앙 중공부에 물체를 접촉 또는 비접촉 시킴으로 인해 물체의 360도 방향 모두에서 자계가 형성되어 효과적인 탈자를 진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제어부(400)로 보빈부(300)에 인가되는 전력 즉, 효과적으로는 전류량을 제어하여 보빈부(300)의 탈자력을 제어하고, 보빈부(300)의 동작시간의 제어를 통해 탈자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디지털 제어부(400)는 탈자력을 제어하는 탈자력 제어부(410)와, 동작 시간을 제어하는 동작 시간 제어부(420) 및 장치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메인 제어부(430)를 구비한다.
탈자력 제어부(410)는 외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는 전류 입력부(411)와, 제어 입력부(500)의 입력 값에 따라 보빈부(300)의 코일(320)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변화시키는 전류량 제어부(412)를 구비한다. 이때, 탈자력 제어부(410)의 각 구성 요소는 회로화되고, 이 회로의 소자들이 탈자력 제어 PCB 상에 실장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탈자력 제어부(410)는 전류 입력부(411)와 전류량 제어부(412)가 실장된 탈자력 제어 PCB를 구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탈자력 제어부(410)를 통해 보빈부(300)에 제공되는 전류량을 제어함으로 인해 보빈부(300)에 의한 탈자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총 3단계로 탈자력을 가변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탈자 용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50VA와, 50 내지 150VA와, 300 내지 500VA로 분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치의 사용 목적과 최대 탈자 용량에 따라 상기 기준을 변화될 수 있다. 물론, 3 단계가 상, 중, 하로 분리되고, 이들은 최대 탈자 용량을 기준으로 각기 동일한 비율로 분리하되, 분류된 비율의 최대값을 출력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최대 탈자 용량이 90인 경우 상은 90이 되고, 중은 60이 되고, 하는 30이 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전류량을 제어하여 탈자력을 제어함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전력량의 제어 즉, 전류 뿐만 아니라 전압을 제어하여 탈자력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동작 시간 제어부(420)는 제어 입력부(500)를 통해 입력된 동작 시간을 저장하는 시간 저장부(421)와, 저장된 시간을 카운팅하는 시간 카운팅부(422)와, 시간 카운팅이 완료되면 전원을 차단하거나, 알람을 울리는 동작 제어부(423)를 구비한다. 동작 시간 제어부(420) 또한 각 회로 구성 요소가 PCB 상에 실장되기 때문에 시간 저장부(421), 시간 카운팅부(422), 동작 제어부(423)가 실장된 동작 시간 제어 PCB를 구비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탈자력 제어 PCB와 동작 시간 제어 PCB는 입력되는 신호의 세기가 다르기 때문에 각기 분리되어 제작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일의 PCB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동작 시간 제어부(420)에 의해 탈자가 완료됨을 사용자가 알 수 있게 된다. 동작 시간 제어부(420) 또한 3단계로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최대 시간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10초 내지 10분 간격으로 동작시간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도 있다.
메인 제어부(430)는 디지털 제어 하우징(200) 외측으로 돌출된 전원 스위치인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전원 스위치의 ON/OFF를 통해 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된다.
제어 입력부(500)는 탈자력을 입력받는 탈자 입력부(510)와 시간을 입력받는 시간 입력부(520) 그리고, 탈자 동작 진행 여부를 입력받는 동작 입력부(530)를 구비한다.
이때, 입력부(520)로는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탈자력과 동작 시간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표시부(600)는 사용자가 입력한 탈자력과 동작 시간을 보여주고, 동작 여부 또한 보여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입력한 값이 어떤 것인지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동작 유무도 편리하게 확인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부(600)는 다수의 LED 소자를 구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술한 제어 입력부(500)와 표시부(600)는 디지털 제어 하우징(200)의 경사면에 판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 조작이 간편하고, 탈자에 의한 자기적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다. 물론, 제어 입력부(500)와 표시부(600)가 이 판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 감지부(700)는 보빈부(300)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장치의 온도에 따른 장치 동작 제어가 가능하다.
냉각부(800)는 디지털 제어 하우징(200)의 일치에 설치된 냉각 팬을 구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장치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디지털 제어부(400)는 이 온도 감지부(700)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기존에 설정된 한계 온도보다 높을 경우에는 장치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도시되지 않았지만, 온도에 따라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온도 감지부(700)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정상 온도를 벗어나 허용 온도와 한계 온도 사이에 있는 경우에는 냉각부(800)를 구동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도시되지 않았지만, 온도에 따라 냉각부(800) 동작을 제어하는 냉각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전원 인가부(900)는 디지털 제어 하우징(200)의 후면에 위치하여 외부 전원과 접속하는 접속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전원 인가부(900)에는 과전류에 의한 장치 손상을 방지하는 회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실시예의 디지털 탈자 장치는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디지털 탈자 장치의 개념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 하우징(100)과, 보빈 하우징(100)을 지지하는 디지털 제어 하우징(200)과, 보빈 하우징(100)에 위치한 원형 띠 형태의 보빈부(300)와, 탈자 대상물의 자력을 측정하는 자력 측정부(1000)와, 자력 측정부(1000)의 결과에 따라 보빈부(300)의 탈자력과 탈자시간을 제어하는 디지털 제어부(400)와, 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600)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700)와, 보빈부(300)를 냉각시키는 냉각부(800) 및 외부 전원을 인가받는 전원 인가부(900)를 포함한다.
이때, 자력 측정부(1000)로는 가우스 메타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탈자 대상물의 자력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과 기구가 자력 측정부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력 측정부(1000)를 통해 탈자 대상물의 자력을 측정함으로 인해 디지털 제어부(400)에 따른 보빈부(300)의 탈자력을 해당 자력에 맞게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탈자 과장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장치를 이용한 탈자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자 장치를 이용한 탈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탈자 대상물을 보빈 하우징(100)의 중공 영역에 배치한다(S110).
이어서, 제어 입력부(500)를 통해 목표로 하는 탈자력과 탈자 시간을 입력하고, 동작 버튼을 누른다(S120).
이에 따라, 디지털 제어부(400)는 입력된 탈자력에 해당하는 전류량을 보빈부에 제공하여 탈자를 진행한다(S130).
이어서, 탈자 시간이 완료되면 알람을 통해 탈자가 완료됨을 알리게 된다(S140).
이어서, 탈자가 완료된 대상물을 제거한 다음 동작 버튼을 한번 더 누름으로 인해 종료한다(S150).
물론, 최초에는 메인 스위치를 온시켜 장치를 가동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보빈 하우징 200 : 디지털 제어 하우징
300 : 보빈부 400 : 디지털 제어부
410 : 탈자력 제어부 420 : 동작 시간 제어부
430 : 메인 제어부 500 : 제어 입력부
510 : 탈자 입력부 520 : 시간 입력부
530 : 동작 입력부 600 : 표시부
700 : 온도 감지부 800 : 냉각부
900 : 전원 인가부

Claims (8)

  1. 보빈 하우징;
    상기 보빈 하우징을 지지하는 디지털 제어 하우징;
    상기 보빈 하우징에 위치한 보빈부;
    상기 보빈부의 탈자력과 탈자시간을 제어하는 디지털 제어부; 및
    장치의 동작 유무, 탈자력 및 탈자시간과 같은 디지털 제어값을 입력받는 제어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탈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와, 보빈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및 외부 전원을 인가받는 전원 인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탈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제어부는 온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기존에 설정된 한계 온도보다 높을 경우에는 장치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감지된 온도가 정상 온도를 벗어나 허용 온도와 한계 온도 사이에 있는 경우에는 냉각부를 구동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탈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부는 원형 링 형태의 보빈 몸체와 보빈 몸체에 감겨 있는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보빈 몸체에 감겨 있는 코일의 턴수는 2000 내지 5000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탈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제어부는 탈자력을 제어하는 탈자력 제어부와, 동작 시간을 제어하는 동작 시간 제어부 및 장치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메인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탈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탈자력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는 전류 입력부와, 제어 입력부의 입력 값에 따라 보빈부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변화시키는 전류량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동작 시간 제어부는 제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동작 시간을 저장하는 시간 저장부와, 저장된 시간을 카운팅하는 시간 카운팅부와, 시간 카운팅이 완료되면 전원을 차단하거나, 알람을 울리는 동작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탈자력 제어부의 전류 입력부와 전류량 제어부가 실장된 탈자력 제어 PCB와, 상기 동작 시간 제어부의 시간 저장부, 시간 카운팅부, 동작 제어부가 실장된 동작 시간 제어 PC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탈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입력부는 탈자력을 입력받는 탈자 입력부와 시간을 입력받는 시간 입력부 그리고, 탈자 동작 진행 여부를 입력받는 동작 입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탈자 장치.
  8. 보빈 하우징과, 상기 보빈 하우징을 지지하는 디지털 제어 하우징과, 상기 보빈 하우징에 위치한 보빈부와, 상기 보빈부의 탈자력과 탈자시간을 제어하는 디지털 제어부 및 장치의 동작 유무, 탈자력 및 탈자시간과 같은 디지털 제어값을 입력받는 제어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탈자 장치를 이용하여 탈자를 수행하는 디지털 탈자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탈자 대상물을 보빈부 상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어 입력부를 통해 탈자력과 탈자 시간과 같은 디지털 제어값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디지털 제어부를 통해 입력된 탈자력에 해당하는 전류량을 보빈부에 제공하여 탈자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제어부의 동작 시간 제어부를 통해 탈자 시간이 완료되면 알람으로 탈자가 완료됨을 알리고, 사용자가 탈자가 완료된 대상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탈자 방법.
KR1020140101219A 2014-08-06 2014-08-06 디지털 탈자 장치 KR101530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219A KR101530891B1 (ko) 2014-08-06 2014-08-06 디지털 탈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219A KR101530891B1 (ko) 2014-08-06 2014-08-06 디지털 탈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0891B1 true KR101530891B1 (ko) 2015-06-23

Family

ID=53519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219A KR101530891B1 (ko) 2014-08-06 2014-08-06 디지털 탈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8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5203A (ko) * 2016-05-04 2017-11-14 김영철 자화 및 탈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화 및 탈자방법
KR20190061428A (ko) * 2017-11-28 2019-06-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탈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4087A (ko) * 2005-12-16 2007-06-20 김영철 파이프용 탈자기
KR100739381B1 (ko) * 2006-02-17 2007-07-24 김영철 소형탈자기
KR100872953B1 (ko) * 2007-08-13 2008-12-08 김영철 휴대용 평면 관통형 탈자기
KR20110045396A (ko) * 2009-10-26 2011-05-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능동형 탈자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4087A (ko) * 2005-12-16 2007-06-20 김영철 파이프용 탈자기
KR100739381B1 (ko) * 2006-02-17 2007-07-24 김영철 소형탈자기
KR100872953B1 (ko) * 2007-08-13 2008-12-08 김영철 휴대용 평면 관통형 탈자기
KR20110045396A (ko) * 2009-10-26 2011-05-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능동형 탈자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5203A (ko) * 2016-05-04 2017-11-14 김영철 자화 및 탈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화 및 탈자방법
KR101897548B1 (ko) * 2016-05-04 2018-09-12 김영철 자화 및 탈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화 및 탈자방법
KR20190061428A (ko) * 2017-11-28 2019-06-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탈자 장치
KR102020456B1 (ko) * 2017-11-28 2019-09-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탈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0708B2 (en) Magnetic coupling device with at least one of a sensor arrangement and a degauss capability
KR101530891B1 (ko) 디지털 탈자 장치
JPH0233905A (ja) 残留磁束を除去するための回路を備えた磁気保持装置
JP7354126B2 (ja) 可変場磁気結合器および強磁性ワークピースに係合するための方法
US20180053588A1 (en) Input device attachment/detachment mechanism for computing devices
AU20082038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agnostics of a lifting magnet system
KR101323129B1 (ko) 전자석을 이용한 금형 탈부착장치
JP5448154B2 (ja) 変圧器故障判定器
CN104253452A (zh) 一种无线充电系统
WO2020241090A1 (ja) 吸着力確認方法及び吸着力確認装置
JPWO2018200948A5 (ko)
US11426901B2 (en) Magnetic clamp device
EP2905597A1 (en) Vibration generator
CN103277648B (zh) 磁性表座
EP3821989A1 (en) Online automation measurement system for claw-pole overall magnetic property
KR101891443B1 (ko) 리프터용 영전자 자석의 안전도 검사장치 및 그 방법
JP2017093994A5 (ko)
JP2018055628A (ja) 移設検知システムと制御方法
JP5322340B2 (ja) 直流を用いた変圧器鉄心の消磁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15131090A5 (ko)
KR101897548B1 (ko) 자화 및 탈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화 및 탈자방법
KR101352968B1 (ko) 리프팅 마그네트 시스템
JP6471316B2 (ja) 遊技機
CN114080297B (zh) 便携式机床
JP2006088300A (ja) 永電磁式マグネットチャ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