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006A -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006A
KR20170123006A KR1020160052081A KR20160052081A KR20170123006A KR 20170123006 A KR20170123006 A KR 20170123006A KR 1020160052081 A KR1020160052081 A KR 1020160052081A KR 20160052081 A KR20160052081 A KR 20160052081A KR 20170123006 A KR20170123006 A KR 20170123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module
emergency
accident
emergency mode
mod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8205B1 (ko
Inventor
윤석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원
Priority to KR1020160052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205B1/ko
Publication of KR20170123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기 설정된 간격으로 도로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그룹을 형성하는 사고 알림 모듈 및 상기 사고 알림 모듈 그룹을 관리하는 알림 모듈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은, 충격을 감지하거나 사용자 조작에 의한 긴급 상황을 감지하면, 상기 알림 모듈 관리 장치 또는 인접한 사고 알림 모듈에 긴급 모드 신호를 전송하고,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사고 알림 모듈, 상기 사고 알림 모듈로부터 긴급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알림 모듈 관리 장치에 인접한 알림 모듈 관리 장치 및 중앙 관제 서버에 상기 긴급 모드 신호를 전송하고, 관리하는 그룹에 포함된 사고 알림 모듈을 긴급 모드로 동작시키는 알림 모듈 관리 장치, 상기 알림 모듈 관리 장치로부터 긴급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긴급 모드 신호를 이용하여 긴급 상황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중앙 관제 서버, 상기 긴급 상황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긴급 모드 신호는 상기 사고 알림 모듈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 사고를 후방 차량이 인지할 수 있게 되어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ALARM SYSTEM FOR INFORMING FRONT ACCIDEN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룹을 형성하는 사고 알림 모듈 및 사고 알림 모듈 그룹을 관리하는 알림 모듈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에는 운전자가 차선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운행 중인 차량이 차선을 침범하지 않도록 유도하고 안전운행을 도모하기 위해 설치되는 시설물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중앙 분리대, 가드 레일, 델리네이터 모듈이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시야 확보가 어려운 구간, 운전자의 저속 운행을 요하는 구간, 사고 위험이 높은 곳 등에는 사고 발생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시설물의 설치가 필수적이다.
종래에는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이를 축전지에 저장하고 야간이나 짙은 안개로 인한 기상 악화 시에는 조도 센서에 의해 자동적으로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이용, LED를 발광시키는 자체발광형 델리네이터 모듈이나 단순 평판 상에 반사지를 부착하여 주행 차량의 전조등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는 반사형 델리네이터 모듈이 차선 유도를 위해 널리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구축에 있어서 도로에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모듈을 활용하여, 차량의 안전 운행을 보다 지능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 10-2016-0031364호는 도로의 전방 주행 차량 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로의 중앙에 설치된 장치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차량이 중앙에 설치된 장치에 가까워지면 알람을 출력함으로써, 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이 중앙 분리대와의 안전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는 특정한 상황, 예를 들어 차량의 중앙 분리대 충돌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뿐, 차량 간 충돌 사고나 운전자가 위급한 상황에 놓인 경우 후방 차량에 전방 차량의 사고 사실을 알릴 수 없다.
고속도로와 같이 높은 속도로 운행되는 곳에서 전방 주행 차량이 급제동하거나 충돌 사고가 일어난 경우, 사고를 알지 못하고 속도를 유지하는 후방 주행 차량으로 인해 2차 추돌 사고가 일어나는 일이 빈번하다.
따라서, 도로에 설치 가능한 모듈을 이용하여 전방의 비상 상황을 후방 운전자에게 효율적으로 알려줌으로써, 후방 운전자가 상황을 인지하고 상황에 맞게 감속하거나 우회 도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방 사고를 후방 차량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2차 사고를 예방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운전자가 가지고 있는 단말 장치에 직접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사고 지점에서 멀리 떨어져있는 운전자도 쉽게 전방의 사고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로에 설치되는 모듈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도로 위의 안전 시설물의 유지 보수가 용이한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 설정된 간격으로 도로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그룹을 형성하는 사고 알림 모듈 및 상기 사고 알림 모듈 그룹을 관리하는 알림 모듈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충격을 감지하거나 사용자 조작에 의한 긴급 상황을 감지하면, 상기 알림 모듈 관리 장치 또는 인접한 사고 알림 모듈에 긴급 모드 신호를 전송하고,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사고 알림 모듈, 상기 사고 알림 모듈로부터 긴급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알림 모듈 관리 장치에 인접한 알림 모듈 관리 장치 및 중앙 관제 서버에 상기 긴급 모드 신호를 전송하고, 관리하는 그룹에 포함된 사고 알림 모듈을 긴급 모드로 동작시키는 알림 모듈 관리 장치, 상기 알림 모듈 관리 장치로부터 긴급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긴급 모드 신호를 이용하여 긴급 상황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중앙 관제 서버, 상기 긴급 상황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긴급 모드 신호는 상기 사고 알림 모듈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 설정된 간격으로 도로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그룹을 형성하는 사고 알림 모듈 및 상기 사고 알림 모듈 그룹을 관리하는 알림 모듈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고 알림 모듈이 충격을 감지하거나 사용자 조작에 의한 긴급 상황을 감지하면, 상기 알림 모듈 관리 장치 또는 인접한 사고 알림 모듈에 긴급 모드 신호를 전송하고,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제 1 단계, 상기 알림 모듈 관리 장치가 상기 사고 알림 모듈로부터 긴급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알림 모듈 관리 장치에 인접한 알림 모듈 관리 장치 및 중앙 관제 서버에 상기 긴급 모드 신호를 전송하고, 관리하는 그룹에 포함된 사고 알림 모듈을 긴급 모드로 동작시키는 제 2 단계, 중앙 관제 서버가 상기 알림 모듈 관리 장치로부터 긴급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긴급 모드 신호를 이용하여 긴급 상황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단말 장치가 상기 긴급 상황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긴급 모드 신호는 상기 사고 알림 모듈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방 사고를 후방 차량이 인지할 수 있게 되어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가지고 있는 단말 장치에 직접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사고 지점에서 멀리 떨어져있는 운전자도 쉽게 전방의 사고 사실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도로에 설치되는 모듈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도로 위의 안전 시설물의 유지 보수가 용이한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사고 알림 모듈이 파손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은 사고 알림 모듈(100),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 중앙 관제 서버(300)와 단말 장치(400)를 포함하며, 사고 알림 모듈(100)은 센서부(110), 모듈 제어부(130), 위치 추출부(150), 긴급 버튼(160), 알람부(170), 통신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는 통신부(230),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사고 알림 모듈(110)은 충격을 감지하거나 사용자 조작에 의한 긴급 상황을 감지하면, 알림 모듈 관리 장치 또는 인접한 사고 알림 모듈에 긴급 모드 신호를 전송하고, 긴급 모드로 동작한다. 이때, 긴급 모드 신호는 상기 사고 알림 모듈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사고 알림 모듈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고, 충격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10)는 조도 감지 센서(113), 충격 감지 센서(115), 단선 감지 센서(117)를 포함할 수 있다. 조도 감지 센서(113)는 야간 또는 주변 조도가 낮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조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충격 감지 센서(115)는 충격을 감지하여 충격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 감지 센서(115)는 사고 발생에 따른 충격량을 측정할 수 있는데, 만약 충격량이 일정 레벨 이하이면 모듈 제어부(130)는 충격 감지 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단선 감지 센서(117)는 사고 발생 시 충격에 의한 단선을 감지하여 단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조도 정보, 충격 감지 신호, 단선 정보는 모듈 제어부(130)에 제공된다.
모듈 제어부(130)는 충격 감지 신호 또는 상기 긴급 상황 신호가 발생하면, 긴급 모드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고 알림 모듈(100)이 긴급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긴급 모드 신호가 생성되면, 알람부(170)가 점등 또는 점멸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만약 특정 시간이 경과되거나 중앙 관제 서버(300) 또는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로부터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알람부(170)가 소등하도록 알람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위치 추출부(150)는 사고 알림 모듈의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위치 추출부(150)는 GPS 모듈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긴급 버튼(16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긴급 상황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도로 중간에서 충돌 사고가 발생하거나, 위급 사항에 처하여 차량이 도로 위에 멈춘 경우, 긴급 버튼(160)을 눌러 긴급 상황을 후방 차량에 인지시킬 수 있다.
알람부(170)는 급 모드 신호가 생성되면 점등 또는 점멸하고, 특정 시간이 경과되거나 상기 중앙 관제 서버 또는 상기 알림 모듈 관리 장치로부터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소등한다. 알람부(170)는 플래시, LED와 같은 발광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90)는 인접한 사고 알림 모듈,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 및 중앙 관제 서버(300)와 통신한다. 사고 알림 모듈(100)은 통신부(190)를 통해 긴급 모드 신호를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 및 중앙 관제 서버(300)로부터 종료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90)는 인접한 사고 알림 모듈 또는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와의 통신에 있어서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 RF 통신, IrDa, Ultra-wideband, 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중앙 관제 서버(300)와는 GSM, 3G, WiMax, LTE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도면에 표시되지는 않았으나, 사고 알림 모듈(100)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원 공급 장치로 태양광 패널을 이용하는 경우, 태양광 패널이 수집하는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는 사고 알림 모듈로부터 긴급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알림 모듈 관리 장치에 인접한 알림 모듈 관리 장치 및 중앙 관제 서버에 긴급 모드 신호를 전송하고, 관리하는 그룹에 포함된 사고 알림 모듈을 긴급 모드로 동작시킨다.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는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기 설정된 개수만큼의 사고 알림 모듈을 관리한다.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는 사고 알림 모듈의 위치 정보와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고 알림 모듈을 그룹화(Grouping)할 수 있다. 사고 알림 모듈의 위치 정보와 식별 정보는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에 등록될 수 있으며,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는 정기 또는 비정기적으로 자신이 관리하는 그룹의 사고 알림 모듈들에 위치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그에 대한 확인 신호(ACK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사고 알림 모듈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의 일 측면에 사고 알림 모듈을 일렬로 설치했는데 사고로 인해 일부 사고 알림 모듈이 손실되거나 위치가 변경된 경우,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는 정기/비정기적 위치 확인을 통해 대열에서 벗어난 사고 알림 모듈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중앙 관제 서버(300)로 송신하여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는 통신부(230),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인접한 알림 모듈 관리 장치, 사고 알림 모듈(100), 중앙 관제 서버(300) 및 단말 장치(4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사고 알림 모듈 또는 사고 알림 모듈(100)과의 통신에 있어서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 RF 통신, IrDa, Ultra-wideband, 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중앙 관제 서버(300)와는 GSM, 3G, WiMax, LTE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제어부(250)는 인접도로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한 알림 모듈 관리 장치로 긴급 모드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사고 알림 모듈로부터 긴급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알림 모듈 관리 장치에 인접한 다른 알림 모듈 관리 장치에 긴급 모드 신호를 전송하는데, 자신이 관리하는 도로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자신보다 후방에 있는 알림 모듈 관리 장치로 긴급 모드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 될 수 있다. 그 결과, 후방에 있는 알림 모듈 관리 장치들이 연속적으로 긴급 모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멀리 떨어져 있는 차량도 전방의 사고 사실을 인지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또한 자신이 관리하는 그룹의 사고 알림 모듈에 긴급 모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각 사고 알림 모듈이 긴급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중앙 관제 서버(300)는 알림 모듈 관리 장치로부터 긴급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긴급 모드 신호를 이용하여 긴급 상황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 만일 사고 알림 모듈(100)이 장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중앙 관제 서버(300)는 사고 알림 모듈(100)로부터 긴급 모드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긴급 모드 신호는 사고 알림 모듈의 위치 정보와 식별 정보를 포함하므로, 긴급 상황 알림 메시지는 후방 차량에게 전방의 사고 지점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중앙 관제 서버(300)는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날씨 정보를 긴급 상황 알림 메시지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에서 안개 등으로 인해 시야 확보가 어려워 사고가 발생한 경우, 후방 주행 차량에 날씨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단말 장치(400)는 긴급 상황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한다. 단말 장치(400)는 중앙 관제 서버으로부터 긴급 상황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지만,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와 통신하며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로부터 긴급 상황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400)는 텍스트, 그래픽 인터페이스, 경고음, 플래시 또는 LED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텍스트의 경우에는 팝업 메시지를 통해 긴급 상황 알림 메시지가 제공될 수 있다. 단말 장치(400)는 차량에 부착된 네비게이션, 휴대폰, 태블릿 등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사용자에게 소리, 문자 또는 그래픽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단말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서 사고 알림 모듈 1(100a) 및 사고 알림 모듈 2(100b)은 알림 모듈 관리 장치 1(200a)의 관리를 받으며, 알림 모듈 관리 장치 2(200b)는 알림 모듈 관리 장치 1(200a)과 인접하며 후방에 위치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사고 알림 모듈 1(100a)이 충격을 감지하거나 사용자 조작에 의한 긴급 상황을 감지하면(S100), 즉, 사고 알림 모듈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고 충격 감지 신호를 생성하거나 사용자 조작에 의해 긴급 상황 신호를 생성하면,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S200),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긴급 모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300). 다음으로, 사고 알림 모듈 1(100a)은 긴급 모드 신호를 인접한 사고 알림 모듈 2(100b)에 송신할 수 있으며, 사고 알림 모듈 1(100a)을 관리하는 알림 모듈 관리 장치 1(200a)에 송신할 수 있다(S400). 긴급 모드 신호를 수신한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a)는 긴급 모드 신호를 인접도로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한 알림 모듈 관리 장치 2(200b)로 송신할 수 있으며, 긴급 모드 신호를 중앙 관제 서버(300)로 송신할 수도 있다(S500). 긴급 모드 신호를 수신한 중앙 관제 서버(300)는 긴급 모드 신호를 이용하여 긴급 상황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S550), 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553). 단말 장치(400)는 긴급 상황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에게 알림을 표시하여 알림을 제공한다(S557). 단계 S557에서 단말 장치(400)는 텍스트, 그래픽 인터페이스, 경고음, 플래시 또는 LED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알림 모듈 관리 장치 1(200a)는 긴급 모드 신호를 자신이 관리하는 사고 알림 모듈에 송신할 수 있으므로, 사고 알림 모듈 2(100b)로 긴급 모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사고 알림 모듈 2(100b)이 긴급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관리하는 그룹에 포함된 사고 알림 모듈 중 사고 알림 모듈의 후방에 위치한 사고 알림 모듈에 긴급 모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 긴급 모드 신호를 생성한 사고 알림 모듈 1(100a)은 긴급 모드로 동작하므로 발광 유닛을 점등 또는 점멸(S700)함으로써 긴급 상황이 발생했다는 사실을 주위에 알릴 수 있다. 긴급 모드 신호를 수신한 사고 알림 모듈 2(100b)역시 긴급 모드로 동작하여 발광 유닛을 점등 또는 점멸(S700)시킨다. 이 때, 긴급 모드에서의 동작은 발광 유닛을 점등 또는 점멸하는 실시 예 이외에도,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외부에 출력하는 방식으로 긴급 상황을 주위에 알릴 수 있다.
특정 시간이 경과하면(S800), 사고 알림 모듈(100a)은 발광 유닛을 소등시킬 수 있다. 스피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경고음이 더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중앙 관제 서버(300) 또는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로부터 종료메시지가 수신되면(S900), 사고 알림 모듈은 발광 유닛을 소등할 수 있다(S950).
도 3은 사고 알림 모듈이 파손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서는 사고 알림 모듈 1(100a), 사고 알림 모듈 2(100b), 사고 알림 모듈 3(100c)이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의 관리 그룹에 포함된 것으로 가정한다.
만약 사고 알림 모듈 3(100c)이 파손된 경우(S1000), 정기적/비정기적으로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가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했을 때(S1100), 이상이 없는 사고 알림 모듈 1(100a)과 사고 알림 모듈 2(100b)는 ACK 신호를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로 송신할 것이다(S1200). 자신이 관리하는 사고 알림 모듈들로부터 확인 신호를 수신한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는 사고 알림 모듈 3(100c)의 파손을 인지할 수 있다(S1300). 파손을 인지한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는 관리하는 그룹의 사고 알림 모듈에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S1400), 사고 알림 모듈 1(100a)과 사고 알림 모듈 2(100b)로부터 위치 정보와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S1500), 이를 이용하여 관리 그룹을 재설정 할 수 있다(S16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실시 예에서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a)는 사고 알림 모듈(100a, 100b, 100c)를 관리하고,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b)는 사고 알림 모듈(100d, 100e, 100f)를 관리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행선에서 충돌 사고가 발생하여, 운전자가 사고 알림 모듈(100a)의 긴급 버튼을 눌러 사고 알림 모듈(100a)이 사용자 조작에 의한 긴급 상황 신호를 생성하고, 사고 알림 모듈(100a)의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거나 사고 알림 모듈(100a)에 기 저장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긴급 모드 신호를 생성한다. 긴급 모드 신호가 생성되면 사고 알림 모듈(100a)은 긴급 모드로 동작하고, 사고 알림 모듈(100a)은 인접한 사고 알림 모듈(100b)또는 사고 알림 모듈(100a)을 관리하는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a)에 긴급 모드 신호를 전송한다.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a)는 자신이 관리하는 모든 사고 알림 모듈(100a,100b,100c)에 긴급 모드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a)는 인접도로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한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b)와 중앙 관제 서버(300)에 긴급 모드 신호를 전송한다.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b)역시 후방에 위치한 알림 모듈 관리 장치에 긴급 모드 신호를 전달할 것이므로, 사고 알림 모듈(100a) 후방에 위치하는 사고 알림 모듈들(100a 내지 100f 등)은 긴급 모드로 동작하게 될 것이다. 전달 거리 및 전달 대상이 되는 모듈 관리 장치의 개수는 관리자의 설정에 의한다. 중앙 관제 서버(300)는 긴급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긴급 모드 신호를 이용하여 긴급 상황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단말 장치(400)로 전송한다. 이때 긴급 모드 신호에는 사고 알림 모듈(100a)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중앙 관제 서버(300)는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고 알림 모듈(100a)의 후방에 위치하는 단말 장치(400)로 긴급 상황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에 위치한 각 장치들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중앙 관제 서버(300)와 알림 모듈 관리 장치(200a, 200b), 단말 장치(400)는 장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사고 알림 모듈
200: 알림 모듈 관리 장치
300: 중앙 관제 서버
400: 단말 장치

Claims (7)

  1. 기 설정된 간격으로 도로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그룹을 형성하는 사고 알림 모듈 및 상기 사고 알림 모듈 그룹을 관리하는 알림 모듈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충격을 감지하거나 사용자 조작에 의한 긴급 상황을 감지하면, 상기 알림 모듈 관리 장치 또는 인접한 사고 알림 모듈에 긴급 모드 신호를 전송하고,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사고 알림 모듈;
    상기 사고 알림 모듈로부터 긴급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알림 모듈 관리 장치에 인접한 알림 모듈 관리 장치 및 중앙 관제 서버에 상기 긴급 모드 신호를 전송하고, 관리하는 그룹에 포함된 사고 알림 모듈을 긴급 모드로 동작시키는 알림 모듈 관리 장치;
    상기 알림 모듈 관리 장치로부터 긴급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긴급 모드 신호를 이용하여 긴급 상황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중앙 관제 서버; 및
    상기 긴급 상황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긴급 모드 신호는 상기 사고 알림 모듈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알림 모듈은
    인접한 사고 알림 모듈, 상기 알림 모듈 관리 장치 또는 상기 중앙 관제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사고 알림 모듈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고, 충격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사용자 조작에 의해 긴급 상황 신호를 생성하는 긴급 버튼;
    상기 충격 감지 신호 또는 상기 긴급 상황 신호가 발생하면, 긴급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모듈 제어부;
    상기 사고 알림 모듈의 위치를 측정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추출부;
    긴급 모드 신호가 생성되면 점등 또는 점멸하고, 특정 시간이 경과되거나 상기 중앙 관제 서버 또는 상기 알림 모듈 관리 장치로부터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소등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며,
    상기 알림 모듈 관리 장치는
    인접한 알림 모듈 관리 장치, 상기 사고 알림 모듈, 상기 중앙 관제 서버 및 상기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인접도로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한 알림 모듈 관리 장치로 상기 긴급 모드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중앙 관제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텍스트, 그래픽 인터페이스, 경고음, 플래시 또는 LED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 기 설정된 간격으로 도로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그룹을 형성하는 사고 알림 모듈 및 상기 사고 알림 모듈 그룹을 관리하는 알림 모듈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고 알림 모듈이 충격을 감지하거나 사용자 조작에 의한 긴급 상황을 감지하면, 상기 알림 모듈 관리 장치 또는 인접한 사고 알림 모듈에 긴급 모드 신호를 전송하고, 긴급 모드로 동작하는 제 1 단계;
    상기 알림 모듈 관리 장치가 상기 사고 알림 모듈로부터 긴급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알림 모듈 관리 장치에 인접한 알림 모듈 관리 장치 및 중앙 관제 서버에 상기 긴급 모드 신호를 전송하고, 관리하는 그룹에 포함된 사고 알림 모듈을 긴급 모드로 동작시키는 제 2 단계;
    중앙 관제 서버가 상기 알림 모듈 관리 장치로부터 긴급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긴급 모드 신호를 이용하여 긴급 상황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단말 장치가 상기 긴급 상황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긴급 모드 신호는 상기 사고 알림 모듈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의 동작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사고 알림 모듈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고 충격 감지 신호를 생성하거나, 사용자 조작에 의해 긴급 상황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고 알림 모듈의 위치를 측정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충격 감지 신호 또는 상기 긴급 상황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긴급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긴급 모드 신호를 상기 알림 모듈 관리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긴급 모드 신호가 생성되면 발광 유닛을 점등 또는 점멸하고, 특정 시간이 경과되거나 상기 중앙 관제 서버 또는 상기 알림 모듈 관리 장치로부터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발광 유닛을 소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사고 알림 모듈로부터 긴급 모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인접도로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한 알림 모듈 관리 장치로 상기 긴급 모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관리하는 그룹에 포함된 사고 알림 모듈 중 상기 사고 알림 모듈의 후방에 위치한 사고 알림 모듈에 긴급 모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고 알림 모듈의 후방에 위치한 단말 장치에 긴급 상황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의 동작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텍스트, 그래픽 인터페이스, 경고음, 플래시 또는 LED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의 동작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알림 모듈 그룹에 포함된 사고 알림 모듈 중 일부가 파손되면,
    상기 알림 모듈 관리 장치는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사고 알림 모듈에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 모듈 관리 장치는 하나 이상의 사고 알림 모듈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고 알림 모듈 그룹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160052081A 2016-04-28 2016-04-28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878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081A KR101878205B1 (ko) 2016-04-28 2016-04-28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081A KR101878205B1 (ko) 2016-04-28 2016-04-28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006A true KR20170123006A (ko) 2017-11-07
KR101878205B1 KR101878205B1 (ko) 2018-08-09

Family

ID=60384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081A KR101878205B1 (ko) 2016-04-28 2016-04-28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2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187B1 (ko) 2018-04-12 2018-08-02 융이건설(주) 교통사고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50249A (ko) * 2019-10-28 2021-05-07 지걸호 도로변 기둥을 이용한 안전운전 정보제공시스템
KR102433537B1 (ko) * 2022-02-09 2022-08-22 주식회사 누리온 센서 기반의 2차 교통사고 예방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6091A (ko) * 2011-10-27 2013-05-07 김민규 갓길용 차량안전 경고시스템
KR20130140331A (ko) * 2012-06-14 2013-12-24 백상은 차량 사고 관리 장치 및 차량 사고 관리 방법
KR20140129427A (ko) * 2013-04-29 2014-11-07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도로시설물 감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6091A (ko) * 2011-10-27 2013-05-07 김민규 갓길용 차량안전 경고시스템
KR20130140331A (ko) * 2012-06-14 2013-12-24 백상은 차량 사고 관리 장치 및 차량 사고 관리 방법
KR20140129427A (ko) * 2013-04-29 2014-11-07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도로시설물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187B1 (ko) 2018-04-12 2018-08-02 융이건설(주) 교통사고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50249A (ko) * 2019-10-28 2021-05-07 지걸호 도로변 기둥을 이용한 안전운전 정보제공시스템
KR102433537B1 (ko) * 2022-02-09 2022-08-22 주식회사 누리온 센서 기반의 2차 교통사고 예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8205B1 (ko)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12511A1 (en) Smart guardrail
KR101661553B1 (ko) 차량 사고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634131B1 (ko) 비상 알림 경고장치
KR101793920B1 (ko) 비상알림 경고시스템
KR100899118B1 (ko) 자동차전용도로의 경보장치와 경보방법
KR101681525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차량용 비상 경고 표시장치
KR101878205B1 (ko)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916199B1 (ko) 교통사고 자동 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0684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roximity alert to the operator of a vehicle
KR102129110B1 (ko) 사고 예방 기능을 갖는 농업용 기계 안전사고 감지장치
KR20180070019A (ko) 비상 상황 알림 및 경고장치
KR20130067152A (ko) 센서 노드 장치,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돌 정보 전달 방법
KR20200039065A (ko) 보행자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59663A (ko) 긴급차량 접근 알림 신호 시스템
KR101691751B1 (ko) Iot기능을 포함하는 안전 삼각대를 이용한 스마트 사고 접수 시스템 및 사고 접수 방법
KR101527932B1 (ko) 차량 급제동 또는 충돌 사고 경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JP2018055286A (ja) 路車間情報通信システム
KR101672099B1 (ko) 2차사고 예방을 위한 델리네이터 모듈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20140106338A (ko) 오토바이 사고 알림 장치
KR101371974B1 (ko) 차량의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18728A (ko) 비상차선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34733B1 (ko)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
KR102426775B1 (ko) 2차 사고를 방지하는 스마트 전광판
KR101742262B1 (ko) 스마트 안전 삼각대 시스템
KR101387446B1 (ko) 교통 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