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985A -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985A
KR20170122985A KR1020160052027A KR20160052027A KR20170122985A KR 20170122985 A KR20170122985 A KR 20170122985A KR 1020160052027 A KR1020160052027 A KR 1020160052027A KR 20160052027 A KR20160052027 A KR 20160052027A KR 20170122985 A KR20170122985 A KR 20170122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ccess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access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2847B1 (ko
Inventor
나유찬
이정운
윤정규
김태훈
임재균
Original Assignee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52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847B1/ko
Publication of KR20170122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03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13User authentication using a call-back technique via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07C9/00015
    • G07C9/00023
    • G07C9/00103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 등록된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한 사용자에게 출입인증에 필요한 일회성 인증코드를 제공하여, 이를 통해 무선통신 단말기나 앱에 대한 복잡한 조작 없이 상기 출입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높은 편의성과 강화된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AN ACCESS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건물에 출입하기 위한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한 사용자에게 일회성 인증코드를 제공하여,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용이하게 출입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높은 편의성과 강화된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발전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현대사회가 정보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수집되는 정보의 양이 방대해지고, 정보에 대한 질의 수준이 크게 향상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정보보호와 재산권보호를 위해 사용자에 대한 인증과 식별의 중요성도 점점 커지고 있으며, 빌딩, 사무실 또는 연구소에서는 기술보호, 정보보호 또는 보안등을 위해 외부인의 출입을 관리하는 출입인증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구비하여 적용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아파트 또는 오피스텔과 같은 주상복합형태의 주거생활이 보편화되면서 개인생활의 프라이버시와 외부로부터의 안정성 및 보안성을 확보하고자하는 출입인증 시스템의 역할과 기능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람들의 출입인증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상기 출입인증 시스템에 대한 기술의 발전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출입인증 시스템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의 건물 내 또는 주택 내의 출입을 인증하는 시스템으로써, 대표적으로 도어락 시스템이 있다.
상기 도어락 시스템은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통해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과거에는 물리적인 자물쇠와 열쇠의 조합을 이용하여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였다. 상기 열쇠의 조합을 이용한 과거의 도어락 시스템은 그 구성이 간편하고, 열쇠의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열쇠를 도난당하거나 분실할 위험성이 크며, 이러한 경우에 외부인의 침입에 대한 사용자의 즉각적인 대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특정 형상의 열쇠를 넣고 돌리는 과거의 도어락 시스템에 전기, 전자 또는 통신 기술을 접목하여 비밀번호 입력방식,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이 개발되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비밀번호 입력방식의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은 미리 설정하여 저장한 비밀번호를 상기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에 구비된 숫자패드에 입력하여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하고,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한다.
상기 비밀번호 입력방식의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은, 자물쇠를 항상 소지해야 되는 필요성이 없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으나, 항상 비밀번호를 기억하고 있어야 되며, 사용자가 외부에 있는 상태에서 가족이나 중요한 손님과 같이 방문자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미리 설정한 비밀번호를 알려주어야 하며, 상기 방문자가 다른 시간에 상기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을 사용자지 못하도록 비밀번호를 변경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NFC,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기존의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은 사용자가 구비하고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식별하여 자동으로 출입문을 개폐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상기 NFC 또는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하는 기존의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위해 항상 NFC 또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켜놓아야 하며, 이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배터리가 너무 빨리 소모되며, 사전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와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간의 상호인증(페어링) 과정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와이파이를 기반으로 하는 기존의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은 인증된 사용자의 무선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앱을 통해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앱(application, app)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일정 이상의 지식이 필요하며, 노인이나 어린아이 같은 경우에는 그 조작이 쉽지 않아 출입문 제어를 수행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출입인증 시스템의 출입인증 장치로 전화함으로써, 특정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패턴의 일회성 인증코드를 제공받아 상기 출입인증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쉽게 출입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높은 보안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일반 사용자뿐만 아니라 노인이나 어린아이도 쉽게 상기 출입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0624870호(2006.09.08.)는 통신망 연동 도어락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하여 저장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도어락이 해당 사용자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도어락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전화번호를 수신한 도어락 서버는 임시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해 임시 비밀번호를 상기 도어락에 입력하여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락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출입인증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항상 기억하고 있어야 되며, 도어락에 미리 설정하여 저장한 비밀번호와 도어락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임시 비밀번호를 두 차례 연속하여 입력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으며, 외부로 노출된 비밀번호 입력패드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되므로, 상기 비밀번호가 외부로 유출될 위험성이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등록된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한 사용자가 구비한 단말기로 일회성 인증코드를 제공하여, 상기 제공한 인증코드를 출입인증 시스템의 출입인증 장치가 구비한 카메라를 통해 간단하게 촬영하여 수집하여 출입인증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앱(Application, App)의 복잡한 조작 없이 노인이나 어린아이도 간편하게 출입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특정 정보를 담고 있는 특정 패턴으로 구성된 일회성 인증코드를 통해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하기 때문에 별도의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되는 절차가 없어 비밀번호의 노출에 대한 위험성을 사전에 차단하여 높은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570463호(2015.11.19.)는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되는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모듈에 부여된 맥 어드레스 값을 통해 출입을 인증하여, 출입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사용자의 단말기를 자동으로 식별하여, 이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고 출입문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본 발명과 일부분 유사한 점이 있으나, 상기 도어락과 무선통신 단말기의 페어링 절차가 필요하며, 항상 무선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온(ON)상태로 해놓아야 하기 때문에 배터리의 소모가 상당히 빠른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사용자가 외부에 있고 상기 도어락과의 페어링 절차를 수행하지 않은 방문자(예: 가족)가 있는 경우에는 즉각적인 대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등록된 사용자를 식별하여, 해당 사용자가 구비한 단말기로 인증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인증코드를 통해 간편하게 상기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가 외부에 있고, 방문자가 있는 경우에도, 상기 사용자를 통해 상기 방문자에게 인증코드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방문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 된 것으로서, 출입인증 시스템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를 식별하여, 해당 사용자가 구비한 단말기로 특정 패턴의 일회성 인증코드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공받은 인증코드를 통해 별도의 단말기에 대한 복잡한 조작 없이 출입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사용자뿐만 아니라 노인 또는 어린아이도 상기 출입인증 시스템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출입인증 시스템의 출입인증 장치를 주택 또는 건물의 출입문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외부의 전기적 또는 물리적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높은 보안성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인증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을 인식하는 단말기 인식부, 상기 인식한 접속에 따라 출입인증 서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와 출입인증 장치의 정보를 제공하여 인증코드를 요청하는 인증코드 요청부, 상기 출입인증 서버로부터 인증코드를 획득하는 인증코드 획득부 및 상기 획득한 인증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공한 인증코드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하는 출입 인증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입인증 서버는 출입인증 장치의 일부로써 내부에 구비되거나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로서 구비되며, 상기 인증코드는 재사용이 불가한 일회성 인증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특정 전화번호의 전화기로 전화를 걸면, 상기 전화기에 연결된 출입인증 장치가 전화를 송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인식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입인증 서버는, 상기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와 출입인증 장치의 정보를 이용하여 등록된 사용자인지에 대한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한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출입인증 장치로 인증코드를 동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증코드는, QR코드, 바코드, 이미지 패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엿보기로 인증코드의 유출이 불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입인증 장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증코드를 촬영하여, 출입인증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인증코드와 비교하여 상기 인증코드가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 다음 일치하면 출입문을 개방하고, 아니면 출입문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입인증 장치는, 상기 출입문의 개폐상태의 정보를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는 상기 출입인증을 수행한 사용자의 영상정보, 전화번호, 주변영상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인증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을 인식하는 단말기 인식단계, 상기 인식한 접속에 따라 출입인증 서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와 출입인증 장치의 정보를 제공하여 인증코드를 요청하는 인증코드 요청단계, 상기 출입인증 서버로부터 인증코드를 획득하는 인증코드 획득단계 및 상기 획득한 인증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공한 인증코드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하는 출입 인증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코드는 재사용이 불가한 일회성 인증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특정 전화번호의 전화기로 전화를 걸면, 상기 전화기에 연결된 출입인증 장치가 전화를 송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인식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입인증 방법은, 상기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와 출입인증 장치의 정보를 이용하여 등록된 사용자인지에 대한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한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출입인증 장치로 인증코드를 동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증코드는, QR코드, 바코드, 이미지 패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엿보기로 인증코드의 유출이 불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입인증 방법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증코드를 촬영하여, 출입인증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인증코드와 비교하여 상기 인증코드가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 다음 일치하면 출입문을 개방하고, 아니면 출입문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입인증 방법은, 상기 출입문의 개폐상태의 정보를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는 상기 출입인증을 수행한 사용자의 영상정보, 전화번호, 주변영상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 등록된 사용자를 자동으로 식별하여, 상기 사용자가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에 일회성 인증코드를 제공하여, 이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복잡한 조작 없이 간편하게 출입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밀번호를 항상 기억할 필요가 없는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패턴의 인증코드를 통해 출입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강화된 보안성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출입인증 시스템의 출입인증 장치를 출입문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외부의 전기적 또는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상기 출입인증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출입인증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방문자가 있는 경우에, 외부에 출타중인 사용자를 통해 상기 방문자가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에 출입인증에 필요한 인증코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방문자에 대한 대처를 즉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등록된 사용자의 가족 또는 기타 이용자의 출입상태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가족 또는 기타 이용자의 출입상태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인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인증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출입인증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도어락 시스템은 숫자패드를 이용한 비밀번호 입력방식, 전자카드 또는 전자키를 이용한 인증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상기 숫자패드를 이용한 비밀번호 입력방식은 미리 설정하여 저장한 비밀번호를 상기 숫자패드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하는 구조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숫자패드를 이용한 비밀번호 입력방식은 4개 ~ 12개의 숫자를 조합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비밀번호를 조합하는 숫자의 개수가 적을수록 보안에 취약해지며, 타인에게 쉽게 노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숫자패드를 이용한 비밀번호 입력방식은 상기 비밀번호에 대한 숫자의 조합을 최대 개수로 하여 구성하는 경우에는 보안성은 높아지지만 많은 숫자의 조합을 항상 기억하고 있어야 하며, 매번 출입 시 많은 숫자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러움과 불편함을 동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카드와 전자키를 이용한 출입인증방식은 상기 비밀번호 입력방식과는 달리 전자카드와 전자키를 상기 도어락 시스템의 몸체에 접촉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출입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출입인증만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전자카드와 전자키를 항상 소지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으며, 분실 또는 도난의 위험성이 다분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도어락 시스템은 몸체가 출입문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외부의 물리적 또는 전기적 충격을 통한 파손으로 외부의 침입에 대한 위험성도 배제될 수 없다. 이와 같이 방범과 직결되는 도어락 시스템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어야 하며, 사용자와 외부인을 식별하여, 이에 대한 출입의 제한을 두어야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출입인증 시스템의 출입인증 장치를 출입문 또는 건물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전기적 또는 물리적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향상된 보안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등록된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한 사용자에게 일회성 인증코드를 발급하여, 상기 발급한 인증코드를 통해 간편하게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게 편의성 및 더욱 강화된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출입인증 시스템(10)은 주택, 사무실, 건물 또는 빌딩 등의 출입문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하는 출입인증 장치(100) 및 상기 사용자의 출입인증에 필요한 일회성 인증코드를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 및 상기 사용자가 구비한 단말기에 동시에 제공하는 출입인증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는 주택, 사무실 또는 건물의 내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문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는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의 전기적 또는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높은 보안성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는 주택이나 건물 등 댁내에 구비되는 라우터와 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미도시)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는 네트워크상에서 출입인증 서버(200) 또는 사용자와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는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가 기 등록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단말기 정보와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의 장치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출입인증 서버(100)는 상기 제공받은 단말기 정보 및 장치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여 상기 사용자가 구비한 단말기 및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에 출입인증에 필요한 인증코드를 동시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는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가 제공한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댁내에 출입하기 위한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하며,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출입문을 자동으로 개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주택이나 건물에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에서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방법은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 및 장치정보와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에 등록된 사용자의 사용자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수행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는 해당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구성되며, 상기 장치정보는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의 ID, MAC주소, IP주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댁내의 특정 전화번호의 전화기로 전화를 걸면, 상기 전화기에 연결된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가 전화를 송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인식하여, 해당 단말기의 정보(전화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단말기 정보와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의 장치정보를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로 제공하면,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는 상기 제공받은 단말기 정보와 장치정보와 기 등록하여 저장한 사용자의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인지에 대한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가 구비한 단말기의 전화번호 의외에 상기 사용자가 구비한 단말기의 MAC주소를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는 상기 제공받은 MAC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또는 NFC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구비되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또는 NFC 통신 모듈 간의 통신 범위를 이용하여 자동연결 및 연결 상태의 감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한 MAC주소를 획득할 수 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가 설치되는 건물이나 주택이 위치하는 장소, 상기 사용자가 구비한 단말기(예: 스마트폰 또는 피쳐폰) 또는 댁내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연령범위 등에 따라 달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가 구비한 단말기 정보를 획득한 경우에는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의 장치정보와 함께 상기 획득한 단말기 정보를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에 제공하며,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여, 상기 사용자의 출입인증에 필요한 일회성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제공받은 장치정보와 단말기 정보에 따라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 및 상기 사용자가 구비한 단말기로 상기 생성한 인증코드를 동시에 전송한다.
한편 상기 생성한 인증코드는 출입인증에 필요한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흑백 격자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QR코드로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한 QR코드는, 상기 사용자가 구비한 단말기에 팝업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증코드는 QR코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굵기가 다른 흑백 막대에 대한 조합의 바코드로 구성되거나 특정 패턴으로 구성된 이미지 패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는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를 통해 출입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나타내는 사용자 ID(예: 가족이나 기타 거주자), 상기 사용자가 구비한 단말기의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 정보는 해당 출입인증 장치(100)의 장치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된다.
또한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에서 수행하는 출입인증은 상기 QR코드를 기반으로 수행되며, 상기 QR코드는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에 구비된 카메라(300)를 통해 수집된다. 즉, 상기 인증코드를 제공받은 사용자는 상기 카메라(400)가 상기 수신한 QR코드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QR코드가 팝업된 단말기를 상기 카메라(400)에 위치시켜,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가 상기 카메라(400)를 통해 상기 QR코드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인증코드가 QR코드가 아닌 바코드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400)가 아닌 바코드 리더기(미도시)를 통해 상기 인증코드를 수집할 수도 있으며, 상기 인증코드가 이미지 패턴인 경우에도 상기 카메라(400)를 통해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집한 인증코드와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인증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인증코드가 서로 동일한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출입인증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판단은 상기 각각의 인증코드를 해석하고, 상기 인증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수행된다.
즉, 상기 출입인증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집한 인증코드와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인증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각각 해석하여, 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여, 해당 사용자의 출입을 허용하고, 상기 비교결과가 상이한 경우에는 해당 상기 출입문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출입을 거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가 구비한 단말기에 자동으로 팝업된 인증코드를 단순히 카메라(400)의 렌즈부분에 위치시키는 것만으로도, 상기 사용자가 단말기 또는 출입인증에 필요한 앱의 복잡한 조작 없이 간편하게 출입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일반 사용자뿐만 아니라 노인이나 어린아이들도 용이하게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인증코드는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패턴으로 구성되며, 일회성으로써 한번 사용된 경우에는 재사용되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인증코드는 출입인증에 필요한 정보가 특정 패턴으로 구성되어, 상기 카메라(400)를 통해 수집되어 출입인증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엿보기 등과 같이 인증코드의 유출이 불가능하며, 이는 높은 보안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는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로부터 상기 인증코드를 수신한 경우에 일정 시간(예: 30분)이 경과되면 해당 인증코드를 자동으로 폐기하여, 해당 인증코드가 재사용되거나 사용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는 상기 일련의 출입인증 과정 또는 비정상적인 과정을 통해 출입문이 개폐된 경우, 상기 출입문의 개폐상태에 대한 알림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로 제공하고,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는 상기 출입인증을 수행한 상기 사용자의 정보(예: 전화번호와 사용자 ID)를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에 등록된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누가 출입하였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정상적인 개폐 및 상기 사용자의 출입여부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과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에서 생성한 알림 메시지는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에서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사용자는 출입인증 서버(100)에 사용자의 가족 또는 기타 거주자를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의 가족 또는 기타 거주자의 출입여부에 따른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족이나 기타 거주자의 출입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상기 사용자가 외부에 출타중인 경우에 노인이나 어린아이의 주택에 대한 출입 여부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편리성과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출입에 대한 정보는 상기 가족이나 기타 거주자의 기 등록된 정보 및 상기 카메라(400)로 촬영된 상기 가족이나 기타 거주자의 영상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에 등록되지 않은 다른 가족 또는 이용자(예: 타지에 사는 가족 또는 중요한 손님)와 같은 방문자가 상기 사용자의 주택 또는 사무실에 방문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는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에 직접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방문자의 단말기 정보(예: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해당 방문자의 단말기에 상기 인증코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방문자는 상기 사용자의 주택 또는 사무실에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코드는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으로부터 상기 방문자의 단말기로 직접 전송되거나,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출입인증 과정을 통해 상기 인증코드를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으로부터 전송받거나,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로부터 직접 전송받아 상기 방문자의 단말기로 제공할 수 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인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을 인식하는 단말기 인식부(110), 상기 인식한 접속에 따라 출인인증 서버에 인증코드를 요청하는 인증코드 요청부(120), 상기 요청한 인증코드를 상기 출입인증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인증코드 획득부(130), 카메라(400)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영상수집부(140),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하는 출입 인증부(150), 상기 출입인증에 대한 결과에 따라 출입문을 개방하는 출입문 개폐부(160),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또는 출입인증 서버(200)에게 전송하는 알림부(170), 메모리(180) 및 네트워크를 통해 출입인증 서버(200)와 상기 등록된 사용자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말기 인식부(110)는 댁내의 특정 전화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댁내의 특정 전화로 전화를 한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을 인식하여 해당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 인식부(110)는 상기 댁내의 특정 전화와 연결되거나, 상기 댁내에 구비되는 전화시스템 또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 인식부(11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를 획득한 경우에는 상기 인증코드 요청부(120)로 제공하여,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로부터 출입인증에 필요한 인증코드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항기 획득한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는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에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한 정보이거나,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예: 외부인)의 단말기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한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는 기 등록된 사용자의 사용자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에는 인증코드를 발급하고, 상이한 경우에는 인증코드를 발급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단말기 인식부(110)는 블루투스 모듈(미도시), NFC 통신 모듈(미도시) 또는 IR 태그 인식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가 일정한 거리 내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무선통신 단말기에 구성된 블루투스 모듈 또는 NFC 통신 모듈과 자동으로 연결되어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의 MAC주소를 인식하여, 상기 인증코드 요청부(120)를 통해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로 제공하거나, 상기 사용자가 IR 태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단말기를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에 접촉하면, 상기 IR 태그에 저장된 태그정보(예: 단말기의 전화번호, 사용자ID)를 추출하여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상기 사용자가 구비한 단말기의 정보를 획득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는 기 등록된 사용자를 식별하여, 인증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별은 기 등록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단말기의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상기 인증코드 요청부(120)는 상기 단말기 인식부(110)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와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의 장치정보를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로 전송하여, 출입인증에 필요한 인증코드를 요청한다.
한편 상기 단말기 정보는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가 구비된 댁내에 전화를 건 사용자, 방문자 또는 외부인의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에 등록되어 저장된 사용자 정보는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ID, 상기 사용자가 구비한 단말기의 정보, 단말기의 MAC주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의 장치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된다.
한편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는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의 인증코드 요청부(120)를 통해, 인증코드에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는 QR코드 또는 바코드 형태의 일회성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단말기정보 와 장치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와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로 동시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인증코드 획득부(130)는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인증코드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출입 인증부(150)로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영상수집부(140)는 상기 카메라(400)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코드를 촬영하여 수집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영상정보 또는 주변영상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수집한 사용자의 영상정보 또는 주변영상정보는 상기 메모리(180)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메모리(180)에 저장된 사용자의 영상정보는 특정 기간마다 삭제될 수 있다. 이는 고용량의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80)의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카메라(4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CMOS 카메라, CCD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수집부(14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인증코드를 수집하고, 이를 상기 출입 인증부(150)에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출입 인증부(150)는 상기 인증코드 획득부(130)를 통해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인증코드와 상기 영상수집부(140)로부터 수집된 인증코드를 상호 비교하고, 이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출입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출입인증은 상기 각 인증코드를 해석하여, 상기 해석한 각각의 인증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수행되며, 상기 인증코드에 포함된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ID와 전화번호, 비밀번호와 같은 일련의 숫자조합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문 개폐부(160)는 상기 출입 인증부(150)에 수행한 출입인증 결과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출입을 허용하는 경우,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가 장착된 출입문을 개방하여 해당 사용자가 출입문을 통해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출입인증 결과 상기 사용자의 출입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상기 출입문 개폐부(160)는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알림부(170)는 상기 출입문이 개방된 경우에는 개방상태에 대한 알림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출입인증을 수행한 사용자 의외의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또는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로 전송한다.
상기 출입문 개방은 정당한 출입인증을 통해 사용자의 출입을 허용하여 출입문이 개방된 경우 및 외부로부터 강제적으로 상기 출입문이 개방된 경우와 같이 상기 출입문이 비정상적으로 개방된 경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의 사무실 또는 주택에 대한 출입문의 개폐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정상적인 개폐 시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메시지가 전송되어 편리성 및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개방상태에 대한 알림메시지는, 출입인증을 수행한 사용자의 ID, 전화번호, 영상정보, 비정상적인 개방 시의 주변상황에 대한 영상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모리(180)는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의 장치정보,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인증코드, 상기 카메라(400)로부터 수집되는 사용자의 영상정보, 주변영상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저장한다.
한편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는 상기 각각의 출입인증 장치(100)가 구비되는 로컬에 구축되어,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를 각각 관리하거나,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출입인증 서버는 출입인증 장치 내의 한 모듈로 구비되어 상기 출입인증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출입인증 장치의 개인화로 인해서 외부에 자신의 비밀번호가 공개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 사용자를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는 네트워크상에 구축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인증 장치(100)를 관리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인증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는 사용자 및 출입인증 장치(100)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부(220), 상기 식별한 사용자와 출입인증 장치(100)로 인증코드를 제공하는 인증코드 처리부(230) 및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구비한 단말기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알림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로부터 출입인증에 필요한 인증코드에 대한 요청, 사용자의 단말기 정보 및 장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부(220) 및 상기 인증코드 처리부(230)로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한 사용자가 구비한 단말기와 상기 인증코드를 요청한 출입인증 장치(100)로 출입인증에 필요한 인증코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로부터 출입문의 개방상태에 대한 정보의 알림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식별부(220)는 상기 수신한 단말기 정보와 기 등록하여 저장한 사용자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를 구비한 사용자가 기 등록된 사용자인지에 대한 여부를 식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로부터 사용자가 구비한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정보의 전화번호와 상기 수신한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기 등록된 사용자를 식별하거나, 상기 사용자가 구비한 단말기의 MAC주소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정보의 MAC주소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MAC주소는 상기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코드 처리부(230)는 상기 사용자 식별부(220)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식별된 경우에는 일회성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한 단말기정보 또는 기 저장한 사용자 정보(즉,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구비한 단말기로 상기 생성한 인증코드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인증코드를 요청한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에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 동일한 인증코드가 동시에 전송되며, 상기 수신한 출입인증 장치(100)의 장치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출입인증 장치(100)로 상기 생성한 인증코드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알림부(240)는 상기 인증코드 처리부(230)를 통해 출입인증을 위한 인증코드를 생성한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의 정보에 대한 알림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기 등록된 다른 복수의 사용자에게 전송하며, 또한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으로부터 수신한 알림메시지를 기 등록된 다른 복수의 사용자에게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출입문의 개폐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출입문 개폐상태에 대한 알림메시지는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에서 직접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전송되거나,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300)는 복수의 출입인증 장치(100)에 대한 장치 정보 및 상기 각 출입인증 장치(100)를 이용하기 위한 등록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장치정보는 상호 매핑되어 저장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에 등록된 가족 또는 기타 이용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삭제, 변경 및 다른 사용자를 등록하기 위한 다른 사용자의 정보 등록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에 등록되지 않은 방문자(예: 가족 또는 손님)가 댁내에 출입하기를 원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에 직접 접속하여 상기 인증코드를 제공받아 상기 방문자에게 전송하거나,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에 전화를 걸어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인증코드를 상기 방문자에게 전송하여, 상기 방문자가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에 의해 출입인증을 수행하여 댁내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출입인증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대한 출입인증 절차는 우선, 댁내로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S110)에 단말기 인식부(11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를 획득한다(S120).
이 때 획득한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는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화번호는 댁내에 거주하는 거주자, 방문자 또는 외부인이 구비한 단말기에 대한 전화번호일 수 있다. 즉,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는 상기 댁내로 걸려오는 전화의 전화번호만을 수집할 뿐, 상기 수집한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댁내에 거주하는 거주자인지 방문자인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인증코드 요청부(120)를 통해 상기 수집한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와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의 장치정보를 출입인증 서버(200)로 전송하여, 출입인증에 필요한 인증코드를 요청한다(S130).
다음으로 인증코드 획득부(130)를 통해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로부터 출입인증 코드를 획득하여, 출입 인증부(150)로 제공하여 출입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S140).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는 상기 출입인증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수신한 전화번호를 기 등록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단말기를 구비한 사용자가 기 등록한 사용자인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를 식별한다. 또한 상기 비교결과 상기 사용자가 기 등록한 사용자인 경우에는 상기 수신한 전화번호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구비한 단말기로 인증코드를 전송한다. 이 때,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는 상기 수신한 장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로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한 동일한 인증코드를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로 동시에 전송한다.
한편 상기 인증코드는 QR코드, 바코드, 이미지 패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일회성으로써, 재사용될 수 없으며,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에 전송된 인증코드는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삭제된다.
다음으로 출입 인증부(150)를 통해 상기 인증코드 획득부(130)로부터 제공받은 인증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한다(S150).
상기 출입인증은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인증코드와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에 구비된 카메라(400)로부터 수집되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된 인증코드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인증코드를 상호 비교하는 것은, 상기 각각의 인증코드를 해석하여, 상기 해석한 정보가 동일한지에 대한 여부를 비교하는 것이며, 상기 비교결과,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에 대한 출입을 허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된 인증코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수신한 인증코드가 팝업된 무선단말기를 상기 카메라(400) 또는 바코드인식기에 위치시키는 것만으로 수집될 수 있으며, 이는 복잡한 앱이나 무선통신 단말기의 조작 없이 간편하게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인이나 어린아이들도 용이하게 상기 출입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출입인증 경과, 사용자 출입이 허용된 경우(S160), 출입문 개폐부(160)를 통해, 출입문을 개방한다(S170).
다음으로 알림부(170)를 통해 출입문 개폐상태의 정보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가 상기 출입인증을 수행한 사용자 이외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게 상기 수신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알림 메시지는 상기 출입인증 장치(100)에 의해 출입인증을 수행한 사용자의 정보(사용자 ID, 전화번호 또는 이들의 조합), 사용자의 영상정보, 주변영상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출입인증 서버(200)에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는 출입문 개폐상태와 누가 출입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인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등록된 사용자를 식별하여, 일회성 인증코드를 상기 식별한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는 단순히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카메라에 위치시켜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출입인증 장치에 수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단말기나 앱에 대한 별도의 복잡한 조작 없이 출입인증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위주로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 출입인증 시스템 100 : 출입인증 장치
110 : 단말기 인식부 120 : 인증코드 요청부
130 : 인증코드 획득부 140 : 영상수집부
150 : 출입 인증부 160 : 출입문 개폐부
170, 240 : 알림부 180 : 메모리
190, 210 : 통신 인터페이스부
200 : 출입인증 서버 220 : 사용자 식별부
230 : 인증코드 처리부 300 : 데이터베이스
400 : 카메라

Claims (12)

  1.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을 인식하는 단말기 인식부;
    상기 인식한 접속에 따라 출입인증 서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와 출입인증 장치의 정보를 제공하여 인증코드를 요청하는 인증코드 요청부;
    상기 출입인증 서버로부터 인증코드를 획득하는 인증코드 획득부; 및
    상기 획득한 인증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공한 인증코드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하는 출입 인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인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특정 전화번호의 전화기로 전화를 걸면, 상기 전화기에 연결된 출입인증 장치가 전화를 송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인식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인증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입인증 서버는, 출입인증 장치의 일부로써 내부에 구비되거나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별도의 서버로서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와 출입인증 장치의 정보를 이용하여 등록된 사용자인지에 대한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한 사용자 단말기와 출입인증 장치로 인증코드를 동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인증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증코드는, 상기 인증코드는 재사용이 불가한 일회성 인증코드이며, QR코드, 바코드, 이미지 패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엿보기로 인증코드의 유출이 불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인증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입인증 장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증코드를 촬영하여, 출입인증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인증코드와 비교하여 상기 인증코드가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 다음 일치하면 출입문을 개방하고, 아니면 출입문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인증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출입인증 장치는,
    상기 출입문의 개폐상태의 정보를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는 상기 출입인증을 수행한 사용자의 영상정보, 전화번호, 주변영상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인증 장치.
  7.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을 인식하는 단말기 인식단계;
    상기 인식한 접속에 따라 출입인증 서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와 출입인증 장치의 정보를 제공하여 인증코드를 요청하는 인증코드 요청단계;
    상기 출입인증 서버로부터 인증코드를 획득하는 인증코드 획득단계; 및
    상기 획득한 인증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공한 인증코드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하는 출입 인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인증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특정 전화번호의 전화기로 전화를 걸면, 상기 전화기에 연결된 출입인증 장치가 전화를 송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인식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인증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출입인증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와 출입인증 장치의 정보를 이용하여 등록된 사용자인지에 대한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한 사용자 단말기와 출입인증 장치로 인증코드를 동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인증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인증코드는, 재사용이 불가한 일회성 인증코드이며, QR코드, 바코드, 이미지 패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엿보기로 인증코드의 유출이 불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인증 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출입인증 방법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증코드를 촬영하여, 출입인증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인증코드와 비교하여 상기 인증코드가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 다음 일치하면 출입문을 개방하고, 아니면 출입문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인증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출입인증 방법은,
    상기 출입문의 개폐상태의 정보를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는 상기 출입인증을 수행한 사용자의 영상정보, 전화번호, 주변영상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인증 방법.
KR1020160052027A 2016-04-28 2016-04-28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72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027A KR101872847B1 (ko) 2016-04-28 2016-04-28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027A KR101872847B1 (ko) 2016-04-28 2016-04-28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985A true KR20170122985A (ko) 2017-11-07
KR101872847B1 KR101872847B1 (ko) 2018-06-29

Family

ID=60384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027A KR101872847B1 (ko) 2016-04-28 2016-04-28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8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332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디비아이엔씨 댁내 방문자 확인을 위한 신분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2268851B1 (ko) * 2021-01-08 2021-06-24 (주)더엠알네트웍스 코드 제어형 전자식 도어락
KR102292810B1 (ko) * 2021-01-11 2021-08-25 김종광 무인점포 운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891B1 (ko) * 2020-07-23 2022-04-12 주식회사 디지윌 신체 인식 기반의 출입 통제 관리 방법
KR102507696B1 (ko) * 2020-08-06 2023-03-09 이종명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관리 시스템
KR102597284B1 (ko) * 2020-12-07 2023-11-02 주식회사 에스원 블루투스 및 qr 코드를 기초로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609613B1 (ko) * 2021-08-25 2023-12-05 슈어엠주식회사 Qr 코드 및 비콘 기반의 실내출입통제시스템 및 방법
KR102644864B1 (ko) * 2021-11-26 2024-03-08 (주)트루엔 카메라를 이용하여 번호를 인식하는 도어 잠금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8613A (ko) * 2005-02-02 2006-08-07 (주) 콘텔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구 개폐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01477A (ko) * 2005-06-29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보안출입관리 시스템
KR101174700B1 (ko) * 2010-12-13 2012-08-17 (주)데이타비전 출입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8613A (ko) * 2005-02-02 2006-08-07 (주) 콘텔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구 개폐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01477A (ko) * 2005-06-29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보안출입관리 시스템
KR101174700B1 (ko) * 2010-12-13 2012-08-17 (주)데이타비전 출입관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332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디비아이엔씨 댁내 방문자 확인을 위한 신분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2268851B1 (ko) * 2021-01-08 2021-06-24 (주)더엠알네트웍스 코드 제어형 전자식 도어락
KR102292810B1 (ko) * 2021-01-11 2021-08-25 김종광 무인점포 운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847B1 (ko)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847B1 (ko)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Ha Security and usability improvement on a digital door lock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1268432B1 (ko) 스마트 커뮤니케이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인증 시스템 및방법
KR101960799B1 (ko)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출입통제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852599B1 (ko)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328402B1 (ko) 스마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2009265769A (ja) 生体認証装置および通行制御システム
KR101931867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관리시스템
KR20160072386A (ko) 특징점을 기반으로 한 얼굴 인식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9052279A (ja) 集合住宅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11917981A (zh) 隐私保护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4157770A1 (ko) 디지탈 도어락과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JP2004360200A (ja) 入退場管理システム
KR20170098778A (ko) 방문자 사전예약 시스템
KR101025830B1 (ko)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KR101236581B1 (ko) 자가 인증 등록기능을 갖춘 보안 시스템
KR101706041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방법 및 그의 도어락 장치
KR20160010009A (ko) 원격 방문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07108B1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6172286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101063751B1 (ko) 생체인식 기반 출입자 확인, 정보 전송 시스템
KR20150114618A (ko) 이동통신망의 m2m기반에서 nfc기능이 있는 스마트폰에 의한 현관카메라 및 도어락 제어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JP6662056B2 (ja) 認証システム、携帯情報装置、サーバー、および認証プログラム
KR102183174B1 (ko) 스마트 도어 시스템
KR100445368B1 (ko) 실시간암호발생기(rtp)를 이용한 도어락 보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