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696B1 -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696B1
KR102507696B1 KR1020200098807A KR20200098807A KR102507696B1 KR 102507696 B1 KR102507696 B1 KR 102507696B1 KR 1020200098807 A KR1020200098807 A KR 1020200098807A KR 20200098807 A KR20200098807 A KR 20200098807A KR 102507696 B1 KR102507696 B1 KR 102507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user
terminal
information
kiosk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8361A (ko
Inventor
이종명
Original Assignee
이종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명 filed Critical 이종명
Priority to KR1020200098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696B1/ko
Publication of KR20220018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설정된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 단말에 출력된 제1 QR 코드를 기반으로 출입인증여부를 판단하는 키오스크 단말, 관리자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QR 코드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키오스크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키오스크 단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QR 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관리자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관리 시스템{ELECTRONIC ACCESS CONTROL SYSTEM USING QR CODE}
본 발명은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입관리시스템은 허용된 출입자만을 출입시키도록 할 수 있고, 출입자의 신상에 관한 정보를 기록할 수도 있다. 특히, 최근 코로나 등의 전염병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확진자와 접촉한 사람들의 동선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해졌고, 그에 따라, 확진자가 방문한 장소에 출입한 사람의 명부를 확보하는 것 또한 중요해졌다.
종래에는 영업장 등 많은 사람이 출입하고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 등에 출입한 사람의 신상정보를 취득하기 위하여 출입자명부를 수기로 작성하고 있었으나, 자신의 신분을 밝히기 꺼려하는 출입자의 경우, 출입명부에 허위 신상정보를 기재함으로써, 출입명부를 무용하게 만들었고, 전염병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초기의 목적 또한 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에 따라, 최근에는 개인 신상정보가 담긴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시스템이 도입되어,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출입명부를 기록하고 있다.
이에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1571호는 QR코드를 활용한 출입자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관리자가 미리 입력시켜주는 외부 방문자의 방문자정보를 분석한후 그에 맞는 QR코드를 외부방문자가 방문하기 전의 설정된 시간에 생성하여 외부방문자의 휴대폰으로 그 생성된 QR코드를 전송하고 해당 외부 방문자에 대한 방문이력관리를 DB에 넣어 실행하는 QR코드관리서버와 상기 QR코드관리서버에 의해 적법하게 생성된 QR코드가 태그될시 출입을 허가하고 해당 QR정보를 QR코드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제한구역의 출입구 주변에 설치되는 QR코드인식단말기와 상기 OR코드관리서버의 기능제어에 의해 동작되고, QR코드관리서버에 의해 부정 사용된 QR코드의 사용자가 검출될 경우 해당 구역으로 보안요원이 이동하도록 유, 무선망을 통해 보안요원의 단말기로 구역 위치좌표와 관련정보를 전송해주는 알림서버를 포함하는 QR코드를 이용한 외부 출입자 관리시스템을 개시한다.
이에 본 발명은 보다 개선된(enhanced) 전자출입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1571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특정 위치에 설치된 키오스크 단말마다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전자출입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QR 코드의 스푸핑(Spoofing) 행위를 방지할 수 있는 전자출입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본 QR 코드의 위변조 방지 및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전자출입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관리 시스템은 기설정된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 단말에 출력된 제1 QR 코드를 기반으로 출입인증여부를 판단하는 키오스크 단말, 관리자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QR 코드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키오스크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키오스크 단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QR 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관리자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키오스크 단말은, 신분증에서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추출하는 신분증 스캐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핸드폰번호 및 상기 사용자의 신상정보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관리자 서버는 상기 키오스크 단말로부터 출입인증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좌표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좌표 및 현재 표준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제2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2 QR 코드를 상기 키오스크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QR 코드와 상기 제2 QR 코드를 기반으로 제1 오버레이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오버레이 QR 코드를 상기 키오스크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키오스크 단말은, 상기 제1 QR 코드와 상기 제2 QR 코드를 기반으로 제2 오버레이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오버레이 QR 코드와 상기 제2 오버레이 QR 코드를 비교하여 출인인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오버레이 QR 코드 및 상기 제2 오버레이 QR 코드는, 상기 제1 QR 코드 및 상기 제2 QR 코드의 위치 검출용 패턴을 동일축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1 QR 코드 및 상기 제2 QR 코드의 각 셀을 비교하여 동일한 셀은 흑색 셀로 설정하고, 동일하지 않은 셀은 백색 셀로 설정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키오스크 단말은, 기설정된 하나 이상의 특정 위치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키오스크 단말 각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1 QR 코드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개선된(enhanced) 전자출입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는 측면에서 기술적인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특정 위치에 설치된 키오스크 단말마다 생성하여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QR 코드의 스푸핑(Spoofing) 행위를 방지할 수 있는 전자출입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본 QR 코드의 위변조 방지 및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전자출입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단말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QR 코드 및 제2 QR 코드를 기반으로 스푸핑을 방지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오버레이 QR 코드를 생성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관리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관리 시스템(100)은 키오스크 단말(130), 사용자 단말(120) 및 관리자 서버(110)를 포함하여, 출입을 관리하고자 하는 장소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출입자의 신원정보를 기반으로 출입허용여부를 판단하여 출입구의 잠금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고, 또는 출입자의 신원정보를 기재하는 출입명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때, 키오스크 단말(130)은 기설정된 특정 위치에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고, 출입하려고 하는 출입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사용자 단말(120)에 출력된 제1 QR 코드를 기반으로 출입인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키오스크 단말(130)은 사전적 의미의 키오스크에 한정되지 않고, 컴퓨터, 스마트폰, 핸드폰, 스마트 TV, 셋톱박스(set-top box), 태블릿 PC 등 통신이 가능하고 사용자 단말(120)에 출력된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모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QR 코드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 서버(110)에서 생성된 것으로, 관리자 서버(110)로부터 사용자 단말(120)로 송신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 정보는 출입자의 신상을 파악할 수 잇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출입자의 핸드폰 번호 및 이름, 생년월일, 주소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기 위하여, 입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입력모듈은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 음성인식센서,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은 감압식 및/또는 정전식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예; 손가락)를 통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본인의 신상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경우, 수기로 기재하는 것과 크게 다를바가 없고, 거짓 신상정보를 입력할 우려가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원정보를 정확하게 추출하기 위하여, 키오스크 단말(130)은 사용자의 신분증을 식별할 수 있는 신분증 스캐너(30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신분증 스캐너(305)는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및 여권 등과 같이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을 스캔하여, 사용자의 신원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신분증 스캐너(305)는 OCR(Optical Character Reader)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신분증에서 사용자의 이름, 주소, 생년월일, 성별, 국적 및 여권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자 정보로써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 단말(130)은 사용자 단말(120)에 출력된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QR 코드 리더기(30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키오스크 단말(130)은 사용자 단말(120)에 출력된 제1 QR 코드를 해석하고, 상기 제1 QR 코드에 상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관리자 서버(110)에 요청할 수 있으며, 관리자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출입인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키오스크 단말이 설치된 장소를 고정적으로 출입하고자 하는 사람과 1회성으로 출입하고자 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음에도, 일괄적으로 사용자 단말(120)에 어플등을 설치하고 상기 제1 QR 코드를 저장하게 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고정적으로 출입하고자 하는 사람에게 제공할 고정 QR 코드와 1회성으로 출입하고자 하는 사람(타지역에서 온 방문자 또는 관광 온 외국인 등)에게 제공할 1회성 QR 코드를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위하여, 키오스크 단말(130)은 디스플레이(301)를 통해 고정 QR 코드와 1회성 QR 코드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고, 선택에 따라 아래 과정을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QR 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동일하나, 생성된 QR 코드를 제공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
먼저, 고정적 QR 코드를 선택한 경우, 키오스크 단말(130)은 제1 QR 코드를 다운받을 수 있는 URL을 포함하는 고정 QR 코드를 종이에 인쇄하여 출력하거나, 키오스크 단말(130)의 디스플레이(301)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상기 고정 QR 코드를 통해 상기 제1 QR 코드를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때는, 관리자 서버(110)에서 사용자 단말(120)로 직접 제1 QR 코드를 송신할 필요가 없다.
또한, 1회성 QR 코드를 선택한 경우, 키오스크 단말(130)은 상기 1회성 QR 코드를 종이에 인쇄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1회성 QR 코드는 상기 제1 QR 코드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상기 1회성 QR 코드가 인쇄된 종이를 소지한 사용자는 해당 종이를 출입하고자 하는 장소에 설치된 키오스크 단말(130)에 인식시킴으로써, 출입인증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1회성을 출입하고자 하는 사람은 상기 제1 QR 코드를 단말에 다운받거나, 다수의 QR 코드를 저장 및 관리할 어플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사용자 단말(120)은 관리자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제1 QR 코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20)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제1 QR 코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서버(110)로부터 상기 제1 QR 코드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20)은 휴대가 가능하고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20)은 컴퓨터, 스마트폰, 핸드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오디오, DVD 플레이어 등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출입자 명부만을 기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마다 하나의 QR 코드만을 생성하고 관리하면 되지만, 출입허용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각 출입장소마다 별개의 QR 코드를 생성하는 것이 보안상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단말(130)은 기설정된 특정 장소에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120)은 상기 키오스크 단말(130) 각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1 QR 코드를 구분하여 생성요청할 수 있고, 각각 구분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출입하고자 하는 장소의 입구에 설치된 키오스크 단말(130)에 해당 키오스크 단말(130)에 대응하는 제1 QR 코드를 인식시킴으로써, 출입명부 기록 또는 출입인증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서버(110)는 키오스크 단말(130)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키오스크 단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제1 QR 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1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키오스크 단말 정보는 상기 키오스크 단말(130) 고유의 식별자일 수 있고, 상기 키오스크 단말(130)이 위치하고 있는 장소에 대한 식별값 또는 상기 키오스크 단말(130)의 현재 좌표값일 수 있다. 이 때, 관리자 서버(110)는 상기 식별값 또는 상기 좌표값과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QR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120)로 송신하며, 상기 제1 QR 코드와 사용자 정보는 관리자 서버(110)의 저장 모듈(2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 정보는 유출 방지를 위하여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키오스크 단말(130)로부터 상기 제1 QR 코드에 대응하는 출입인증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1 QR 코드에 대응하는 암호화된 사용자 정보를 복호화하여 키오스크 단말(13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관리 시스템(100)은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의 출입을 관리할 수 있으며, 시스템(100)의 동작흐름과 관련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관리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자 서버(110)는 제1 제어 모듈(210), 제1 통신 모듈(220), 제1 입력 모듈(230), 제1 출력 모듈(240), 및/또는 저장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자 서버(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출입관리 플랫폼을 운용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 및 키오스크 단말(130) 각각은 제2 제어 모듈(260), 제2 통신 모듈(270), 제2 입력 모듈(280), 및/또는 제2 출력 모듈(29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10, 2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단계/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관리자 서버(110), 사용자 단말(120) 및/또는 키오스크 단말(130)을 직/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10, 26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처리 유닛(CPU)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처리 디바이스(GPU)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10, 260)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IoT(Internet of Things), IIoT(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에 기반하여 제어 정보(예; 명령어) 등을 생성하거나 및/또는 관리할 수 있다.
통신 모듈(220, 270)은 관리자 서버(110), 사용자 단말(120) 및/또는 키오스크 단말(130) 등과 각종 데이터, 신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20, 270)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20, 270)은 제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모듈(220)은 통신표준 기술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입력 모듈(230, 280)은 관리자 서버(110), 사용자 단말(120) 및/또는 키오스크 단말(130)의 구성요소(예: 제어 모듈(210) 등)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관리자 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의 외부(예: 사용자(예;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등), 관리자 서버(110)의 관리자 등)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230, 280)은 관리자 서버(110), 사용자 단말(120) 및/또는 키오스크 단말(130)에 설치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 음성인식센서,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은 감압식 및/또는 정전식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예; 손가락)를 통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출력 모듈(240, 290)은 관리자 서버(110), 사용자 단말(120) 및/또는 키오스크 단말(130)의 제어 모듈(210, 260)에 의해 생성되거나 통신 모듈(220, 270)을 통하여 획득된 신호(예; 음성 신호), 정보, 데이터, 이미지, 및/또는 각종 객체(object) 등을 표시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면, 출력 모듈(240, 29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표시부(displaying unit), 스피커 및/또는 발광장치(예; LED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모듈(250)은 관리자 서버(110), 사용자 단말(120) 및/또는 키오스크 단말(13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 모듈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모듈(250)은 관리자 서버(110), 사용자 단말(120) 및/또는 키오스크 단말(130)을 사용하는 고객(제1 사용자)의 개인정보, 관리자(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는 이름, 아이디(ID; identifier), 패스워드, 도로명 주소, 전화 번호, 휴대폰 번호, 이메일 주소, 및/또는 관리자 서버(110)에 의해 생성되는 리워드(reward)(예; 포인트 등)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10, 260)은 상기 저장 모듈(250)에 저장된 각종 이미지,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단말(130)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고,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터치가능한 디스플레이(301), 사용자 단말(120)에 출력된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QR 코드 리더기(303), 사용자의 신분증을 스캔하여 사용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신분증 스캐너(305), 출입인증결과가 인쇄된 종이를 출력할 수 있는 결과출력부(307), 사용자의 얼굴 등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309),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311) 및 촬영을 위한 조명장치(3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단말(130)은 사용자가 QR 코드를 신규 생성할 때, 카메라(309)를 통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촬상하고, 인공지능 기반의 안면인식 모듈을 통하여, 상기 촬상 이미지와 상기 신분증 스캐너(305)를 통해 추출된 사진을 비교하고, 그 결과값을 사용자 정보에 포함시킴으로써, QR 코드를 사용할 때, QR 코드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진정 사용자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인공지능 기반의 안면인식 모듈은 마스크착용 여부 또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어, 보다 엄격한 출입인증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출입을 원하는 사용자가 전염병의 우려가 있는 경우, 즉, 체온이 기설정된 임계온도(ex. 37.5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염병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키오스크 단말(130)은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311)를 통하여 출입을 원하는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체온을 기반으로 출입인증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단말(130)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20)에 출력된 QR 코드를 QR 코드 리더기(303)에 인식시키면, 디스플레이(301)에 사용자 정보와 출입인증결과(320)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관리 시스템(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20)은 제1 QR 코드를 생성하기 위하여 키오스크 단말(130)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다(S401). 이 때, 단계(S4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는 신분증을 키오스크 단말(130)의 신분증 스캐너(305)에 삽입 및/또는 거치 등으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신분증은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및 여권 등일 수 있다. 상기 신분증 스캐너(305)에 신분증을 삽입 및/또는 거치하는 경우, 키오스크 단말(130)은 상기 신분증을 스캔하여 사용자 정보를 추출 또는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신분증 스캐너(305)는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및 여권 등의 신분증의 부정사용(복사) 방지를 위하여 위변조 판별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분증을 기반으로 QR 코드를 생성하는 이유는 상기 사용자 단말(120)이 본인 명의의 단말이 아닌 경우에도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종래에는 사용자의 신원을 특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통신사의 본인인증이 주로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웹사이트의 회원가입 등에서 적용되고 있고, 블록체인 전자신분증(DID)의 경우에는 통신사의 본인인증을 유일한 본인확인의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네이버 등과 같은 QR 코드 발급기관에서도 QR 코드 발급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QR 코드 발급기관에 회원가입시 입력한 제1 개인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 단말(120)이 가입한 통신사의 본인인증을 통해 제2 개인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제1 개인정보와 상기 제2 개인정보의 비교결과에 기반하여 QR 코드를 발급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QR 코드 발급방식은 가족 명의로 개통한 단말인 경우나, 영업 등의 이유로 회사 명의로 개통한 단말의 경우에는 QR 코드를 발급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QR 코드 발급기관들은 QR 코드를 발급받기 원하는 사용자가 회원가입을 위해 입력한 개인정보와 통신사의 본인인증 결과를 기반으로 QR 코드를 발급하기 때문에, 허위정보에 대한 판단과 책임소재가 모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코로나(COVID-19)와 같은 전염병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에서 내외국인의 차이가 없어야 함에도, 통신사의 본인인증의 경우 외국인은 신청할 수 없어 상술한 방식으로는 QR 코드를 발급받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관리 시스템(100)은 QR 코드 발급기관의 회원가입 등과 같은 사전행위 없이도, 신분증의 위변조 판별기술을 기반으로 QR 코드를 발급할 수 있어, 내외국인에 대한 구별없이 QR 코드를 쉽게 발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신분증 스캐너(305)와 안면인식 기술, 홍채 인식 기술, 정맥 인식 기술 등 바이오 인증 수단과 결합되어, QR 코드를 발급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도 있다.
다만, 사용자 단말(120)이 가입한 통신사의 본인인증 방식도 배제할 순 없으므로, 신분증에 의한 본인확인과 바이오 인증을 결합하여 QR 코드를 생성하는 제1 방식과, 사용자 단말(120)의 통신사 본인인증과 QR 코드 발급기관의 회원정보를 기반으로 QR 코드를 생성하는 제2 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QR 코드 발급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본인인증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출입명부를 허위로 기재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단말(130)은 상기 사용자 정보와 본 키오스크 단말(130)의 위치 정보를 관리사 서버로 송신한다(S403). 이 때, 단계(S403)는 제1 QR 코드에 상기 사용자 정보와 키오스크 단말(130)에 관한 정보를 모두 반영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키오스크 단말(130)의 위치 정보는 상기 키오스크 단말(130)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값 또는 상기 키오스크 단말(130)의 좌표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서버(110)는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키오스크 단말(13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1 QR 코드를 생성한다(S405). 이 때, 관리자 서버(110)는 상기 제1 QR 코드와 상기 제1 QR 코드에 상응하는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키오스크 단말(130)의 위치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서버(110)는 상기 제1 QR 코드를 사용자 단말(120)로 송신한다(S407).
상술한 S401 내지 S407 단계는 사용자가 키오스크 단말(130)이 설치된 장소에 처음 출입하기 위하여 상기 키오스크 단말(130)에 대한 제1 QR 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며, 이하에서는 S409 내지 S417 단계를 통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1 QR 코드를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단말(130)이 설치된 장소에 출입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20)에 제1 QR 코드를 출력하고, 상기 제1 QR 코드를 키오스크 단말(130)에 있는 QR 코드 리더기(303)에 인식시킨다(S409).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단말(130)은 상기 제1 QR 코드를 해석한다(S411). 이 때, 단계(S411)는 제1 QR 코드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 및 키오스크 단말(13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제1 QR 코드가 본 키오스크 단말(130)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확인하고, 후술하는 S413 및 S415 단계를 통해 상기 제1 QR 코드가 관리자 서버(110)에 의하여 생성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단말(130)은 상기 제1 QR 코드를 기반으로 관리자 서버(110)에 출입인증요청을 송신하고(S413), 관리자 서버(110)는 상기 제1 QR 코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키오스크 단말(130)로 송신한다(S415).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단말(130)은 상기 단계(S411)를 통해 추출한 사용자 정보와 관리자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출입인증여부를 판단한다(S417). 이 때, 상기 단계(S417)를 통하여, 상기 제1 QR 코드가 사용자 단말(120) 및 키오스크 단말(130)에 대응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 서버(110)에서 생성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출입관리 시스템(100)은 상술한 동작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원정보를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고, 출입허용여부를 판단하거나 출입명부를 작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동작은 상기 제1 QR 코드가 상기 제1 QR 코드를 생성한 사용자 단말(120)에서 출력되지 않고, 종이에 인쇄되거나, 스크린 샷으로 저장된 파일을 다른 사용자 단말(120)에서 출력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스푸핑(Spoofing)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스푸핑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QR 코드 및 제2 QR 코드를 기반으로 스푸핑을 방지하는 흐름도이다.
스푸핑(Spoofing)이란, 의도적인 행위를 위해 타인의 신분으로 위장하는 것으로, 승인받은 사용자인 것처럼 시스템에 접근하거나 네트워크 상에서 허가된 주소로 가장하여 접근 제어를 우회하는 공격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을 예로 들면, 상기 제1 QR 코드가 관리자 서버(110)를 통해 생성된 진정한 것이라고 할지라도, 상기 제1 QR 코드를 키오스크 단말(130)에 인식시키는 사용자가 상기 제1 QR 코드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아닌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QR 코드 리더기(303)에서는 QR 코드가 사용자 단말(120)에서 출력되는 것인지, 종이에 인쇄된 것인지,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120)에서 출력되는 것인지 구분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반적인 QR 코드 리더기(303)를 통해서도 스푸핑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여, 스푸핑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단말(130)이 설치된 장소에 출입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20)에 제1 QR 코드를 출력하고, 상기 제1 QR 코드를 키오스크 단말(130)로 있는 QR 코드 리더기(303)에 인식시킨다(S501).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단말(130)은 상기 제1 QR 코드를 해석한다(S503). 이 때, 단계(S503)는 상기 제1 QR 코드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 및 키오스크 단말(13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1 QR 코드가 본 키오스크 단말(130)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단말(130)은 상기 제1 QR 코드를 기반으로 관리자 서버(110)에 출입인증요청을 송신한다(S505).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단말(130)은 상기 제1 QR 코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120)로 상기 사용자 단말(120)의 현재 위치좌표를 요청한다(S507).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20)은 현재 위치좌표를 관리자 서버(110)로 송신한다(S509). 이 때, 단계(S507 및 S509)는 상기 제1 QR 코드가 진정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20)에서 출력되는 것인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 관리자 서버(110)는 1차적으로, 사용자 단말(120)의 현재 위치좌표와 키오스크 단말(130)의 위치를 비교하여 임계치 이상 거리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제1 QR 코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120)에서 출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서버(110)는 현재 표준시간 정보 및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현재 위치좌표를 기반으로 제2 QR 코드를 생성한다(S511). 이 때, 단계(S511)는 현재 표준시간 정보 및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현재 위치좌표를 기반으로 제2 QR 코드를 생성하는데, 이는 제2 QR 코드를 무작위로 생성하되, 인증을 요청하는 시점의 정보를 반영하여 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단계(S511)에서 제2 QR 코드는 상기 제1 QR 코드와 동일한 버전 및 동일한 크기로 생성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QR 코드와 제2 QR 코드를 병합하여 오버레이 QR 코드를 생성할 때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서버(110)는 상기 제1 QR 코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제2 QR 코드를 키오스크 단말(130)로 송신하고(S515), 상기 제2 QR 코드를 사용자 단말(120)로 송신한다(S517).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단말(130)은 상기 제1 QR 코드 및 제2 QR 코드를 병합하여, 제2 오버레이 QR 코드를 생성하고(S51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20)은 상기 제1 QR 코드 및 제2 QR 코드를 병합하여, 제1 오버레이 QR 코드를 생성한다(S519).
이 때, 상기 제1 오버레이 QR 코드 및 상기 제2 오버레이 QR 코드는 상기 제1 QR 코드 및 상기 제2 QR 코드를 중첩시켜 생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제1 오버레이 QR 코드 및 상기 제2 오버레이 QR 코드는 상기 제1 QR 코드 및 상기 제2 QR 코드의 위치 검출용 패턴을 동일축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1 QR 코드 및 상기 제2 QR 코드의 각 셀을 비교하여 동일한 셀은 흑색 셀로 설정하고, 동일하지 않은 셀은 백색 셀로 설정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오버레이 QR 코드 및 상기 제2 오버레이 QR 코드는 랜덤하게 생성되되, 동일하게 생성되는 것이 목적으로써, 상기 제1 QR 코드와 상기 제2 QR 코드를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20)은 상기 제2 오버레이 QR 코드를 키오스크 단말(130)에 있는 QR 코드 리더기(303)에 인식시킨다(S521). 이 때, S521 단계는 S501단계와 별개의 단계로 구성되어 있지만, 상기 S501 단계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20)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제1 QR 코드를 QR 코드 리더기(303)에 인식시키고 있는 동안에, S503 내지 S519 단계가 수행되고 사용자 단말(120)의 디스플레이에 제1 오버레이 QR 코드가 출력됨으로써, 자연스럽게 인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단말(130)은 상기 단계(S503)를 통해 추출한 사용자 정보와 관리자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출입인증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제1 QR 코드가 사용자 단말(120) 및 키오스크 단말(130)에 대응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 서버(110)에서 생성된 것인지 판단하고, 상기 제1 오버레이 QR 코드 및 상기 제2 오버레이 QR 코드의 동일여부를 비교하여 스푸핑여부를 판단한다(S523).
만약, 상기 제1 QR 코드가 종이에 인쇄된 경우, 제1 오버레이 QR 코드를 키오스크 단말(130)에 인식시킬 수 없으므로, 스푸핑으로 판단하여 출입인증을 승인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서버(110)의 제어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관리자 서버(110)의 제어 모듈(210)은 인공지능 모듈(610) 및 블록체인 모듈(620)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듈(610)은 인공지능망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동선을 분석하고 스푸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모듈(610)은 저장 모듈(250)에 저장된 빅데이터(big data)에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선을 분석하고 스푸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모듈(610)은 관리자 서버(110)의 저장 모듈(250)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입력변수로 하여 인공지능망을 학습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인공지능 모듈(610)은 머신러닝의 한 분야인 딥러닝(Deep Learning) 기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상관 관계가 도출될 수 있도록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모듈은 딥러닝을 통하여 상기 함수에서의 복수 개의 입력들의 가중치(weight)를 학습을 통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학습을 위하여 활용되는 인공지능망 모델로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및 DRNN(Dynamic Recurrent Neural Network) 등 다양한 모델들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RNN은 현재의 데이터와 과거의 데이터를 동시에 고려하는 딥 러닝 기법으로서, 순환 신경망(RNN)은 인공 신경망을 구성하는 유닛 사이의 연결이 방향성 사이클(directed cycle)을 구성하는 신경망을 나타낸다. 나아가, 순환 신경망(RNN)을 구성할 수 있는 구조에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완전순환망(Fully Recurrent Network), 홉필드망(Hopfield Network), 엘만망(Elman Network), ESN(Echo state network), LSTM(Long short term memory network), 양방향(Bi-directional) RNN, CTRNN(Continuous-time RNN), 계층적 RNN, 2차 RNN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순환 신경망(RNN)을 학습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경사 하강법, Hessian Free Optimization, Global Optimization Method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블록체인 모듈(620)은, QR 코드가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여 다른 네트워크 노드(예; 사용자 단말(120))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QR 코드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반하여 QR 코드 블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모듈(620)에 의해 생성되는 QR 코드 블록 데이터는 통신 모듈(22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20)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 서버(110)는 상기 그룹화된 (QR 코드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QR 코드 블록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요소들을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블록 체인(block chain)은 P2P(peer-to-peer) 네트워크에 의해 생성되고 관리되는 위조 및/또는 변조 불가능한 분산 저장소이다. 블록 체인은 트랜잭션(쌍방간의 쪼갤 수 없는 단위 작업)으로 생성된 데이터 블록들을 체인(chain) 형태로 잇따라 연결한 모음을 의미한다. 이전 블록에 다름 블록을 연이어 암호화하고 과반수가 넘는 사용자가 동의한 데이터를 실제 데이터로 인정하기 때문에, 한번 기록된 데이터는 위조 및/또는 변조가 불가능하다. 블록 체인의 대표적인 응용사례는 암호화폐의 거래 과정을 기록하는 분산화된 전자 화폐인 비트코인(bitcoin)이 있다. 블록 체인에는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들 간에 발생되는 확정된 거래 내역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많은 사용자들은 블록 체인 사본을 각자 갖고 있으며, 거래 내역은 모두에게 공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과반수가 넘는 사용자가 동의한 거래 내역만 실제 데이터로 인정되고, 영구적으로 보관할 블록으로 묶여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관리자 서버(110), 사용자 단말(120) 및 또는 키오스크 단말(130) 각각은 블록체인을 포함하거나 블록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블록체인 노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자 서버(110)는 키오스크 단말(130)로부터 수신되는 QR 코드, 사용자 정보, 사용자 단말 정보, 키오스크 단말 정보 등을 그룹화 및/또는 해시(hash)하여 블록 체인에 저장한 후, QR 코드, 사용자 정보, 사용자 단말 정보, 키오스크 단말 정보 등에 대한 위조 및/또는 변조를 검증하거나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블록체인 모듈(620)은 QR 코드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반하여 머클 해쉬(Merkle hash)를 포함하는 QR 코드 블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머클 해쉬가 포함되도록 복수의 QR 코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그룹화할 수 있다.
관리자 서버(110)는 저장 모듈(250)에 저장할 내용(예; QR 코드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반하여 머클 해쉬를 포함하는 QR 코드 블록 데이터)을 블록체인 트랜잭션으로 만들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한 다른 블록체인 노드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에 저장할 QR 코드를 나타내는 정보는 머클 해쉬 식별자, 그룹 식별자 및/또는 이전 그룹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서버(110)는 미리 결정된 시간 및 상기 저장된 QR 코드를 나타내는 정보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요소와 상기 그룹화된 QR 코드를 나타내는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비교하여 상기 저장된 QR 코드를 나타내는 정보의 무결성을 검증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서버(110)는 상기 저장된 QR 코드를 나타내는 정보가 무결성하지 않는 경우, 출력 모듈(240)을 통해 상기 무결성 여부를 출력할 수 있다.
관리자 서버(110)는 상기 저장 모듈(250)에 저장된 QR 코드를 나타내는 정보가 위조 및/또는 변조되거나 손상된 경우, 상기 관리자 서버(110)를 관리하는 관리자(예; 제2 사용자)가 이러한 사항을 알 수 있도록 출력 모듈(240)을 통해 상기 무결성 여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210)은 상기 저장된 블록체인의 무결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증명서(certificate)를 생성하여 다른 블록체인 노드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증명서는,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QR 코드를 나타내는 정보의 정보, 상기 그룹화된 QR 코드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저장된 블록체인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명서는 관리자 서버(110)가 매칭 점수를 나타내는 정보의 무결성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어 모듈(210)은 상기 저장된 블록체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요소의 요청이 i) 본 발명의 QR 코드를 나타내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지원하는 웹사이트 및/또는 모바일앱을 통하여, 및/또는 ii) 다른 블록체인 노드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요청된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i) 상기 웹사이트 및/또는 모바일앱을 통하여 출력하거나, 및/또는 ii) 다른 블록체인 노드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시스템(100), 관리자 서버(110), 사용자 단말(120) 및/또는 키오스크 단말(130)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 관리자 서버(110), 사용자 단말(120) 및/또는 키오스크 단말(130) 등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특정 관점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와,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니 메모리(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제어 모듈(210, 260))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관리자 서버
120 : 사용자 단말
130 : 키오스크 단말

Claims (5)

  1. 기설정된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 단말에 출력된 제1 QR 코드를 기반으로 출입인증여부를 판단하는 키오스크 단말;
    관리자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QR 코드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키오스크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키오스크 단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QR 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관리자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 단말은, 신분증에서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추출하는 신분증 스캐너;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핸드폰번호 및 상기 사용자의 신상정보이고,
    상기 관리자 서버는,
    상기 키오스크 단말로부터 출입인증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좌표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좌표 및 현재 표준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제2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2 QR 코드를 상기 키오스크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QR 코드와 상기 제2 QR 코드를 기반으로 제1 오버레이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오버레이 QR 코드를 상기 키오스크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키오스크 단말은, 상기 제1 QR 코드와 상기 제2 QR 코드를 기반으로 제2 오버레이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오버레이 QR 코드와 상기 제2 오버레이 QR 코드를 비교하여 출인인증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버레이 QR 코드 및 상기 제2 오버레이 QR 코드는,
    상기 제1 QR 코드 및 상기 제2 QR 코드의 위치 검출용 패턴을 동일축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1 QR 코드 및 상기 제2 QR 코드의 각 셀을 비교하여 동일한 셀은 흑색 셀로 설정하고, 동일하지 않은 셀은 백색 셀로 설정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 단말은,
    기설정된 하나 이상의 특정 위치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키오스크 단말 각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1 QR 코드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관리 시스템.
KR1020200098807A 2020-08-06 2020-08-06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관리 시스템 KR102507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807A KR102507696B1 (ko) 2020-08-06 2020-08-06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807A KR102507696B1 (ko) 2020-08-06 2020-08-06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361A KR20220018361A (ko) 2022-02-15
KR102507696B1 true KR102507696B1 (ko) 2023-03-09

Family

ID=80325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807A KR102507696B1 (ko) 2020-08-06 2020-08-06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6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867B1 (ko) 2014-11-20 2015-11-30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버레이 기반 큐알 코드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시스템
KR101872847B1 (ko) * 2016-04-28 2018-06-29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7707A (ko) * 2016-09-06 2018-03-15 주식회사 에이치제이엠앤씨 관제센터 중심의 키오스크 기반 출입통제 시스템
KR102372191B1 (ko) * 2017-03-16 202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
KR20190021571A (ko) 2017-08-23 2019-03-06 주식회사 컴패니언시스템 Qr코드를 활용한 출입자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867B1 (ko) 2014-11-20 2015-11-30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버레이 기반 큐알 코드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시스템
KR101872847B1 (ko) * 2016-04-28 2018-06-29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361A (ko) 202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21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inspecting identification documents
US20200334681A1 (en) Hardware and token based user authentication
US20150317638A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Transaction Initiation
US200800055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eless biometric identification
US201001749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eless biometric identification with user selection
CN105765595B (zh) 用于验证标识令牌的系统和方法
SA110310576B1 (ar) جهاز، نظام وطريقة لتسجيل وتوثيق التواقيع المخطوطة باليد
US10257495B1 (en) Three dimensional composite images of digital identifications
US201302907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secure, searchable and sharable digital notary journal
KR20220061919A (ko) 안면인식 기반 전자서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JP2020013525A (ja) 認証装置、認証システム、および、認証方法
Abuhashim et al. Block-VC: a blockchain-based global vaccination certification
JP2022059626A (ja) チケット発券システム、検札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295169B (zh) 房地产实人登记信息安全监管方法及系统
KR102507696B1 (ko)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출입관리 시스템
Rejman-Greene Biometrics—real identities for a virtual world
Olorunsola et al. Assessment of privacy and security perception of biometric technology case study of Kaduna state tertiary academic institutions
KR102388781B1 (ko) 인공지능 딥러닝을 이용한 문서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20200142834A (ko) 암호화되어 인쇄된 암호화 이미지의 진위 여부 판정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암호화 이미지 판독 방법
JP2019102979A (ja) 生体情報を利用した個人識別に基づく取引に関する方法
Salem et al. Blockchain-based biometric identity management
KR101720273B1 (ko) 금융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Shareef et al. LightRing-MO: Light Sensor Static-Authentication Using a Semi-Biometric Interacting with a LightRing
KR102530343B1 (ko) 전화번호를 연계한 생체인증에 의한 앱(App) 형 모바일 디지털 카드의 생성방법 및 이를 가상화폐의 거래에 이용방법
KR102448850B1 (ko) 전화번호를 연계한 생체인증에 의한 앱(App) 형 모바일 디지털 문서의 생성방법 및 이의 거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