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0930A - 3d 프린터용 혼입방지형 듀얼 노즐 구조 - Google Patents

3d 프린터용 혼입방지형 듀얼 노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930A
KR20170120930A KR1020160049495A KR20160049495A KR20170120930A KR 20170120930 A KR20170120930 A KR 20170120930A KR 1020160049495 A KR1020160049495 A KR 1020160049495A KR 20160049495 A KR20160049495 A KR 20160049495A KR 20170120930 A KR20170120930 A KR 20170120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erial supply
supply channel
nozzle
materials
nozzl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머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머스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머스팜
Priority to KR1020160049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0930A/ko
Publication of KR20170120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18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filamentary material being melted, e.g. fused deposition modelling [FD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프린터용 혼입방지형 듀얼 노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면양측에는 2개의 재료공급채널이 형성되며 하단부 중앙에는 2개의 재료공급채널을 하나의 통로로 합류시키는 재료압출공이 형성되는 노즐몸체가 구비되며, 상기 노즐몸체의 2개의 재료공급채널이 합류되는 지점의 상측 모서리 부분에는 2개의 재료공급채널을 통해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물성을 갖는 2종류의 재료를 교대로 압출할 때 재료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한 유선형 돌기부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노즐로써 2종류의 재료를 교대로 출력할 경우 일측 재료에 가해지는 압출압력 중에서 타측 재료공급채널 측으로 분산되는 압력이 타측 재료공급채널의 출구단면에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게 하여 일측 재료의 압출시 타측 재료공급채널 내에 있는 용융된 재료가 흘러내려 혼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하므로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물성을 갖는 재료의 혼입으로 인한 성형불량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3D 프린터용 혼입방지형 듀얼 노즐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D 프린터용 혼입방지형 듀얼 노즐 구조{Dual nozzle structure for 3D printer}
본 발명은 3D 프린터용 혼입방지형 듀얼 노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면양측에는 2개의 재료공급채널이 형성되며 하단부 중앙에는 2개의 재료공급채널을 하나의 통로로 합류시키는 재료압출공이 형성되는 노즐몸체가 구비되며, 상기 노즐몸체의 2개의 재료공급채널이 합류되는 지점의 상측 모서리 부분에는 2개의 재료공급채널을 통해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물성을 갖는 2종류의 재료를 교대로 압출할 때 재료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한 유선형 돌기부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노즐로써 2종류의 재료를 교대로 출력할 경우 일측 재료에 가해지는 압출압력 중에서 타측 재료공급채널 측으로 분산되는 압력이 타측 재료공급채널의 출구단면에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게 하여 일측 재료의 압출시 타측 재료공급채널 내에 있는 용융된 재료가 흘러내려 혼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하므로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물성을 갖는 재료의 혼입으로 인한 성형불량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3D 프린터용 혼입방지형 듀얼 노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3차원의 물체를 성형할 수 있는 3D 프린터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는데, 3D 프린터는 제품성형방식에 따라 광경화성 재료에 레이저 광선을 주사하여 광주사된 부분을 물체로 성형하는 방식, 성형재료를 절삭하여 성형하는 방식, 열가소성 필라멘트를 용융하여 적층하는 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식의 3D 프린터 중에서 와이어 형태로 된 열가소성 필라멘트를 용융시켜 적층하는 방식, 즉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 방식의 3D 프린터가 다른 방식의 3D 프린터에 비해 생산 단가가 저렴함에 따라 가정용이나 공업용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FFF 방식의 3D 프린터는 하나의 색상이나 물성을 갖는 필라멘트로 제품을 성형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물성을 갖는 복수개의 필라멘트로 제품을 성형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즉, 기존의 FFF 방식의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물성을 갖는 복수개의 필라멘트로 제품을 성형하고자 할 경우에는, 색상이나 물성이 바뀔 때마다 필라멘트 공급릴을 일일이 교체한 후 이를 다시 노즐로 연결해야 하므로 필라멘트의 교체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필라멘트의 교체에 따른 대기시간 동안 이미 성형된 부분이 경화됨에 따라 다른 색상의 필라멘트가 용융되어 부착되는 부위에 불연속적인 이음매가 형성되므로 제품의 외관이나 일체성이 저하되거나 제품의 구조적 강도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필라멘트(12)를 개별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도입공(10a)이 형성되는 노즐바디(10)와, 상기 복수개의 도입공(10a)이 단일의 통로로 합류되어 배출되는 단일의 배출공(11a)이 형성된 노즐헤드(11)로 이루어진 3D 프린터용 노즐이 안출된 바 있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3D 프린터용 노즐은 색상이나 물성이 바뀔 때마다 필라멘트 공급릴을 일일이 교체할 필요 없이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물성을 갖는 복수개의 필라멘트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서로 다른 종류의 필라멘트가 이어지는 부분에서 불연속적인 이음매가 형성되지 않아 제품의 외관이나 일체성또는 구조적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3D 프린터용 노즐은 노즐바디(10)에 형성된 복수개의 도입공(10a)이 노즐헤드(11)에 형성된 하나의 배출공(11a)으로 합류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물성을 갖는 복수개의 필라멘트로 제품을 성형할 경우 필라멘트의 종류가 바뀔 때마다 현재 필라멘트에 이전 필라멘트가 혼입된 상태로 토출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서로 다른 색상 또는 서로 다른 물성을 갖는 필라멘트의 혼입으로 인한 성형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670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면양측에는 2개의 재료공급채널이 형성되며 하단부 중앙에는 2개의 재료공급채널을 하나의 통로로 합류시키는 재료압출공이 형성되는 노즐몸체가 구비되며, 상기 노즐몸체의 2개의 재료공급채널이 합류되는 지점의 상측 모서리 부분에는 2개의 재료공급채널을 통해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물성을 갖는 2종류의 재료를 교대로 압출할 때 재료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한 유선형 돌기부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노즐로써 2종류의 재료를 교대로 출력할 경우 일측 재료에 가해지는 압출압력 중에서 타측 재료공급채널 측으로 분산되는 압력이 타측 재료공급채널의 출구단면에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게 하여 일측 재료의 압출시 타측 재료공급채널 내에 있는 용융된 재료가 흘러내려 혼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하므로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물성을 갖는 재료의 혼입으로 인한 성형불량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노즐몸체의 상면양측에는 제 1재료공급채널과 제 2재료공급채널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노즐몸체의 하단부 중앙에는 제 1재료공급채널과 제 2재료공급채널을 하나의 통로로 합류시키는 재료압출공이 형성되는 3D 프린터용 듀얼 노즐 구조에 있어서, 상기 노즐몸체의 제 1재료공급채널과 제 2재료공급채널이 합류되는 지점의 상측 모서리 부분에는 제 1재료공급채널과 제 2재료공급채널을 통해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물성을 갖는 2종류의 재료를 교대로 압출할 때 재료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한 유선형 돌기부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재료공급채널과 제 2재료공급채널은 정원형태로 된 입구의 단면형상이 출구측으로 갈수록 타원형태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3D 프린터용 혼입방지형 듀얼 노즐 구조에 의하면, 하나의 노즐로써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물성을 갖는 2종류의 재료를 교대로 출력할 경우 일측 재료에 가해지는 압출압력 중에서 타측 재료공급채널 측으로 분산되는 압력이 타측 재료공급채널의 출구단면에 균일하게 전달되어 일측 재료의 압출시 타측 재료공급채널 내에 있는 용융된 재료가 흘러내려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물성을 갖는 재료의 혼입으로 인한 성형불량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3D 프린터용 노즐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3D 프린터용 혼입방지형 듀얼 노즐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3D 프린터용 혼입방지형 듀얼 노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의 (가)(나)는 종래기술에 의한 3D 프린터용 듀얼 노즐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5의 (가)(나)는 본 발명에 의한 3D 프린터용 혼입방지형 듀얼 노즐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3D 프린터용 혼입방지형 듀얼 노즐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면양측에는 제 1재료공급채널(3a)과 제 2재료공급채널(3b)이 각각 형성되고 하단부 중앙에는 제 1재료공급채널(3a)과 제 2재료공급채널(3b)을 하나의 통로로 합류시키는 재료압출공(4)이 형성되는 노즐몸체(2)가 구비된다.
상기 노즐몸체(2)의 상면양측에 형성되는 제 1재료공급채널(3a)과 제 2재료공급채널(3b)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원형태로 된 입구의 단면형상이 출구측으로 갈수록 타원형태로 변형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재료공급채널(3a)과 제 2재료공급채널(3b)의 단면형상을 정원형태에서 출구측으로 갈수록 타원형태로 변형되게 형성하면, 제 1재료공급채널(3a)과 제 2재료공급채널(3b)의 내부에서 용융된 재료를 보다 압밀(壓密)된 상태로 압출할 수 있게 되므로 성형품질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노즐몸체(2)의 설계시 제 1재료공급채널(3a)과 제 2재료공급채널(3b)의 곡률이나 각도를 보다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노즐몸체(2)를 더욱더 컴팩트하고 슬림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몸체(2)의 제 1재료공급채널(3a)과 제 2재료공급채널(3b)이 합류되는 지점의 상측 모서리 부분에는 유선형 돌기부(5)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유선형 돌기부(5)는 도 5의 (가)(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 재료를 압출할 경우 타측 재료공급채널 내에서 용융된 상태로 흘러내리는 재료를 타측 재료공급채널의 출구단면의 아래쪽으로 모이게 하는 동시에 일측 재료에 가해지는 압출압력 중에서 타측 재료공급채널 측으로 분산되는 압력이 타측 재료공급채널의 출구단면에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게 함으로써, 일측 재료의 압출시 타측 재료공급채널 내에 있는 용융된 재료가 흘러내려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3D 프린터용 혼입방지형 듀얼 노즐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듀얼 노즐은 노즐몸체(2)의 제 1재료공급채널(3a)과 제 2재료공급채널(3b)이 합류되는 지점의 상측 모서리 부분이 뾰족하게 형성됨으로 인해, 하나의 노즐로써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물성을 갖는 2종류의 재료를 교대로 압출할 경우 구조적으로 재료가 혼입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도 4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재료(6a)를 압출하기 위해 제 1재료공급채널(3a)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제 1재료(6a)에 가해지는 압출압력 중에서 제 2재료공급채널(3b) 측으로 분산되는 압력이 제 2재료공급채널(3b)의 출구단면에 균일하게 전달되지 못하고 상측 모서리 부분으로 갈수록 약해짐에 따라 제 1재료(6a)의 압출시 제 2재료공급채널(3b)의 상측 모서리 근처에 있는 용융상태의 제 2재료(6b)가 계속 흘러내리면서 제 1재료(6a)에 혼입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도 4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재료(6b)를 압출하기 위해 제 2재료공급채널(3b)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제 2재료(6b)에 가해지는 압출압력 중에서 제 1재료공급채널(3a) 측으로 분산되는 압력이 제 1재료공급채널(3a)의 출구단면에 균일하게 전달되지 못하고 상측 모서리 부분으로 갈수록 약해짐에 따라 제 2재료(6b)의 압출시 제 1재료공급채널(3a)의 상측 모서리 근처에 있는 용융상태의 제 1재료(6a)가 흘러내리면서 제 2재료(6b)에 혼입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3D 프린터용 혼입방지형 듀얼 노즐은 노즐몸체(2)의 제 1재료공급채널(3a)과 제 2재료공급채널(3b)이 합류되는 지점의 상측 모서리 부분에 유선형 돌기부(5)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도 5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재료(6a)를 압출하기 위해 제 1재료공급채널(3a)에 압력을 가할 경우 제 1재료(6a)에 가해지는 압출압력 중에서 제 2재료공급채널(3b) 측으로 분산되는 압력이 제 2재료공급채널(3b)의 출구단면에 균일하게 전달됨에 따라 제 2재료공급채널(3b)의 내부에 있는 용융상태의 제 2재료(6b)가 흘러내리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고, 도 4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재료(6b)를 압출하기 위해 제 2재료공급채널(3b)에 압력을 가할 경우 제 2재료(6b)에 가해지는 압출압력 중에서 제 1재료공급채널(3a) 측으로 분산되는 압력이 제 1재료공급채널(3a)의 출구단면에 균일하게 전달됨에 따라 제 1재료공급채널(3a)의 내부에 있는 용융상태의 제 1재료(6a)가 흘러내리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3D 프린터용 혼입방지형 듀얼 노즐은 노즐몸체(2)의 제 1재료공급채널(3a)과 제 2재료공급채널(3b)이 합류되는 지점의 상측 모서리 부분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유선형 돌기부(5)에 의해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물성을 갖는 2종류의 재료를 교대로 압출할 때 재료가 혼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3D 프린터용 혼입방지형 듀얼 노즐 구조에 의하면, 하나의 노즐로써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물성을 갖는 2종류의 재료를 교대로 출력할 경우 일측 재료에 가해지는 압출압력 중에서 타측 재료공급채널 측으로 분산되는 압력이 타측 재료공급채널의 출구단면에 균일하게 전달되어 일측 재료의 압출시 타측 재료공급채널 내에 있는 용융된 재료가 흘러내려 혼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물성을 갖는 재료의 혼입으로 인한 성형불량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여기에 개시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되는 여러 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개시된 실시예에만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한 것임을 밝혀 둔다.
1 : 듀얼 노즐
2 : 노즐몸체
3a : 제 1재료공급채널
3b : 제 2재료공급채널
4 : 재료압출공
5 : 유선형 돌기부
6a : 제 1재료
6b : 제 2재료

Claims (2)

  1. 노즐몸체의 상면양측에는 제 1재료공급채널과 제 2재료공급채널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노즐몸체의 하단부 중앙에는 제 1재료공급채널과 제 2재료공급채널을 하나의 통로로 합류시키는 재료압출공이 형성되는 3D 프린터용 듀얼 노즐 구조에 있어서,
    상기 노즐몸체의 제 1재료공급채널과 제 2재료공급채널이 합류되는 지점의 상측 모서리 부분에는 제 1재료공급채널과 제 2재료공급채널을 통해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물성을 갖는 2종류의 재료를 교대로 압출할 때 재료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한 유선형 돌기부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용 혼입방지형 듀얼 노즐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재료공급채널과 제 2재료공급채널은 정원형태로 된 입구의 단면형상이 출구측으로 갈수록 타원형태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용 혼입방지형 듀얼 노즐 구조.
KR1020160049495A 2016-04-22 2016-04-22 3d 프린터용 혼입방지형 듀얼 노즐 구조 KR201701209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495A KR20170120930A (ko) 2016-04-22 2016-04-22 3d 프린터용 혼입방지형 듀얼 노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495A KR20170120930A (ko) 2016-04-22 2016-04-22 3d 프린터용 혼입방지형 듀얼 노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930A true KR20170120930A (ko) 2017-11-01

Family

ID=60382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495A KR20170120930A (ko) 2016-04-22 2016-04-22 3d 프린터용 혼입방지형 듀얼 노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093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4933A (zh) * 2017-12-07 2018-05-18 汤庆佳 一种组合式喷染3d打印机的喷头系统
CN111168994A (zh) * 2019-12-31 2020-05-19 浙江大学 一种可换喷头的多材料3d打印装置
EP4144507A1 (de) * 2021-09-03 2023-03-08 Krause DiMaTec GmbH Temperier- und überführungseinrichtung für einen 3d-drucker, zur überführung mindestens eines kunststofffilaments von einem festen zustand in ein aufgeschmolzenes, zähflüssiges druckmaterial
CN116690979A (zh) * 2023-05-12 2023-09-05 杭州德硕智能科技有限公司 Fdm型增材打印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4933A (zh) * 2017-12-07 2018-05-18 汤庆佳 一种组合式喷染3d打印机的喷头系统
CN111168994A (zh) * 2019-12-31 2020-05-19 浙江大学 一种可换喷头的多材料3d打印装置
EP4144507A1 (de) * 2021-09-03 2023-03-08 Krause DiMaTec GmbH Temperier- und überführungseinrichtung für einen 3d-drucker, zur überführung mindestens eines kunststofffilaments von einem festen zustand in ein aufgeschmolzenes, zähflüssiges druckmaterial
CN116690979A (zh) * 2023-05-12 2023-09-05 杭州德硕智能科技有限公司 Fdm型增材打印机
CN116690979B (zh) * 2023-05-12 2024-04-05 杭州德硕智能科技有限公司 Fdm型增材打印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0930A (ko) 3d 프린터용 혼입방지형 듀얼 노즐 구조
US4548568A (en) Extrusion head
JP2553450B2 (ja) 吹き込みによるプラスチック容器作成のため中空管を射出成形後押出すプラスチック装置
JP5917721B2 (ja) 合成木材製造用押出ダイ、これを備える製造装置及び合成木材の製造方法
JPH0568339B2 (ko)
US5066444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ducing color contamination in the process recycle of zippered thermoplastic bags
CN104417083A (zh) 打印头组件以及立体打印装置
US3411179A (en) Extruder screw mixing section
CN105216254B (zh) 一种挤塑螺杆
JPS59188418A (ja) 樹脂成形用スクリユ
JP4254626B2 (ja) 射出成形機の射出装置および発泡射出成形方法
US20200340142A1 (en) Polymer coextrusion head with a dual-channel nozzle
JP3552119B2 (ja) 合成樹脂製中空パネルおよび合成樹脂製中空パネル押出し成形用金型
JP4254585B2 (ja) 射出成形用スクリュ
CN216860415U (zh) 射咀增熔阀芯
KR100910756B1 (ko) 안경다리용 압출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다색 안경다리
CN217373344U (zh) 屏障式混炼头、螺杆和注塑机
KR100971234B1 (ko) 이중 피복 금형
JP2018197401A (ja) ナノファイバー製造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ヘッド
JP6862746B2 (ja) ゴム押出物の製造方法
JP2792590B2 (ja) ブロー成形用ダイス
KR20120086596A (ko) 압출 성형용 다이
JP6366058B2 (ja) トーピードが設けられた溶融材料供給装置
JP2720367B2 (ja) ブロー成形機のダイス
JPH0550488A (ja) 成形機用スクリユ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