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9969A -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9969A
KR20170119969A KR1020160048343A KR20160048343A KR20170119969A KR 20170119969 A KR20170119969 A KR 20170119969A KR 1020160048343 A KR1020160048343 A KR 1020160048343A KR 20160048343 A KR20160048343 A KR 20160048343A KR 20170119969 A KR20170119969 A KR 20170119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unit
sleep mode
light emitting
sleep
ligh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1797B1 (ko
Inventor
김홍전
Original Assignee
김홍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전 filed Critical 김홍전
Priority to KR1020160048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797B1/ko
Priority to PCT/KR2017/004042 priority patent/WO2017183861A1/ko
Publication of KR20170119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166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05B37/0209
    • H05B37/027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H05B47/19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the transmission using visible or infrared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체 출입 구간의 좌우에 구비되는 수광부와 발광부로 구성되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 및 발광부 각각이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취침 모드로 동작하여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체의 출입 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수광부 및 발광부가 개별적으로 취침 모드에서 웨이크업되거나 다시 취침모드로 진입하면서 나타날 수 있는 동체의 출입 감지상의 오류를 해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WIRELESS SENSING APPARATUS FOR INCOMING AND OUTGOING MOVING BODY}
본 발명은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게 동체 출입 구간의 좌우에 구비되는 동체출입감지신호 수광부 및 발광부로 구성되고, 상기 수광부 및 발광부 각각이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취침 모드로 동작하여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정대상공간 내에 구비된 전기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공간으로의 무단 침입을 알리기 위해서 동체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는 여러 형태의 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동체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들은 특정대상공간의 출입 구간에서 이동하는 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서 동체출입감지신호를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를 발광하는 발광부가 각각 상기 출입 구간의 좌우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출입 구간을 동체가 통과할 때에 상기 동체에 의해 상기 수광부에 수광되던 동체출입감지신호가 차단되는 것을 이용하여 동체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동체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서, 상기 발광부는 동체출입감지신호를 지속적으로 발광시켜야 하고 상기 수광부 역시 동체출입감지신호를 항시 수광할 수 있도록 동작하여야 한다. 이 때문에,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가 유선을 통해서 전원을 공급받는 형태인 경우에는 전원 공급상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가 무선 장치로 구성되어 각각 구비된 배터리를 통해서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에는 배터리 소모전력을 줄이기 위한 절전 기능이 필요하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02-0069466호(공개일 : 2002.09.04)
본 발명은 동체 출입 구간의 좌우에 구비되는 수광부와 발광부로 구성되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 및 발광부 각각이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취침 모드로 동작하여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체의 출입 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수광부 및 발광부가 개별적으로 취침 모드에서 웨이크업되거나 다시 취침모드로 진입하면서 나타날 수 있는 동체의 출입 감지상의 오류를 해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는 동체출입감지신호를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를 수광하는 수광부가 동체 출입 구간의 좌우에 한 쌍으로 구비된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각각은, 모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부터 기 설정해 놓은 일정 시간동안 계속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모션 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내부 구성들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취침 모드에 진입하며, 상기 수광부에서 상기 취침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서 설정해 놓은 일정 시간은 상기 발광부에서 상기 취침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서 설정해 놓은 시간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광부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도 상기 발광부가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일 실시 예로, 상기 수광부는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때에 이를 알리는 취침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취침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취침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된 취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취침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취침신호 수신부에 취침 신호가 수신되는 때에도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취침신호 발생부 및 취침신호 수신부는 각각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와는 다른 IR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취침신호로 발생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는 동체출입감지신호를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를 수광하는 수광부가 동체 출입 구간의 좌우에 한 쌍으로 구비된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각각 모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광부는,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부터 기 설정해 놓은 일정 시간동안 계속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모션 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내부 구성들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취침 모드에 진입하고, 상기 수광부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발광부가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광부는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때에 이를 알리는 취침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취침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취침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된 취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취침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취침신호 수신부에 취침 신호가 수신되는 때에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취침신호 발생부 및 취침신호 수신부는 각각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와는 다른 IR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취침신호로 발생 및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에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각각은, 취침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취침 모드에서 웨이크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광부는 상기 취침 모드에서 웨이크업되는 경우에, 그 웨이크업된 시점부터 기 설정해 놓은 일정 시간동안에 수광되는 동체출입감지신호는 제외하고 나머지 웨이크업된 시간 동안에 수광되는 동체출입감지신호에 따라서 동체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가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취침 모드로 동작하여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를 구성하는 수광부와 발광부가 각각 배터리 소모 최소화를 위해서 취침 모드로 진입하거나 다시 웨이크업되면서 나타나는 동체 출입 감지 오류를 거의 발생되지 않도록 해 준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최소한의 배터리를 소모하면서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가 동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정확한 동체 출입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가 동체 출입 구간에 구비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가 동체 출입 구간에 구비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은 일 예로, 창문에서의 동체 출입 감지를 위해서 창문의 좌우에 동체출입감지신호를 발광하는 발광부(200)와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를 수광하는 수광부(100)가 한쌍으로 구비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발광부(200)와 수광부(100)는 동체가 창문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진입 또는 창문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진출하는지 여부를 동체출입감지신호의 발광 및 수광을 통해서 감지한다. 그리고, 그 감지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미도시)에 전달해 준다.
그에 따라, 외부 장치는 보안 경비업체와의 연계를 통해서 무단 침입을 방지하거나 대상 공간의 조명 시스템과 연계되어 조명 시스템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발광부(200) 및 수광부(100) 각각은 무선으로 동작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배터리(240,140)를 통해서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발광부(200) 및 수광부(100) 각각은 배터리 소모가 최소가 되도록 동작하거나 구성될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부(100)와 발광부(200) 각각이 모션 센서(110,210)를 구비한다. 그리고, 수광부(100)와 발광부(200)각각은 자신에 구비된 모션 센서(110,210)를 통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취침 모드로 동작하여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광부(100)와 발광부(20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광부(100)는 모션 센서(110), 수광 다이오드(120), 전원 제어부(130), 및 배터리(140)를 포함하고, 발광부(200)는 모션 센서(210), 발광 다이오드(220), 전원 제어부(230), 및 배터리(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광부(100) 및 발광부(200)에 각각 포함된 모션 센서들(110,210)은 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저전력 모션 센서가 바람직하고, 그러한 일 예로 PIR 센서(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일 수 있다.
발광부(200)의 발광 다이오드(220)는 동체출입감지신호를 발광하는 구성으로, IR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동체출입감지신호로 발광할 수 있다.
그리고, 수광부(100)의 수광 다이오드(120)는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를 수광하는 구성으로, 동체가 출입 구간에서 수광부(100)와 발광부(200) 사이로 진입 또는 진출하는 경우 동체에 의해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의 수광이 차단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그에 따라, 수광 다이오드(120)에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가 수광되는 동안에는 하이(H) 레벨의 신호가 감지되다가 동체가 진입 또는 진출하면서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의 수광이 차단되는 동안에는 로우(L) 레벨의 신호가 감지된다. 그리고, 동체가 수광부(100) 및 발광부(200) 사이를 빠져나가면 다시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가 수광되면서 하이(H) 레벨의 신호가 감지된다.
이와 같이, 수광 다이오드(120)를 통해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 그리고 다시 하이 레벨의 신호가 감지되면, 수광부(100)에서는 수광부(100) 및 발광부(200) 사이를 동체가 진입 또는 진출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외부 장치에 무선 모듈(미도시)을 통해 전송한다.
그리고, 수광부(100) 및 발광부(200) 각각에 포함된 전원 제어부들(130,230)은 배터리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구성들이다. 자세하게, 상기 전원 제어부들(130,230)은 각각의 모션 센서들(110,210)을 통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자신이 구비된 수광부(100) 또는 발광부(200)가 각각 취침 모드로 동작하도록 배터리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또한 수광부(100) 및 발광부(200)가 취침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 모션 센서들(110,210)을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각각 개별적으로 취침 모드에서 웨이크업되도록 해 준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 제어부들(130,230)은 취침 모드 시에 모션 센서들(110,210)을 제외한 나머지 내부 구성들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배터리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발광 다이오드(220) 및 수광 다이오드(120)에서의 전력 소모가 매우 큰 편이기 때문에, 수광부(100) 및 발광부(200)의 각 전원 제어부들(130,230)은 모션 센서들(110,210)을 통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취침 모드로 동작하여 모션 센서들(110,210)을 제외한 나머지 내부 구성들의 전원을 차단시켜 배터리 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키고, 취침 모드 상태에서도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모션 센서들(110,210)을 통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다시 웨이크업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전원 제어부들(130,230)을 통해서 발광부(200) 및 수광부(100)가 취침 모드를 진입하는 경우는, 각각 구비된 모션 센서들(110,210)을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부터 기 설정해 놓은 일정 시간 동안 계속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이다. 다시 말해서, 발광부(200) 및 수광부(100) 각각은 모션 센서들(110,210)을 통해서 일정 시간 동안 동체의 움직임이 계속해서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전원 제어부들(130,230)을 통해서 취침 모드로 진입한다. 여기서는, 발광부(200) 및 수광부(100) 각각에서 취침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서 기 설정해 둔 상기 동체의 움직임이 계속해서 감지되지 않는 일정 시간을 발광부측 자동 취침모드 진입 시간 및 수광부측 자동 취침모드 진입 시간으로 지칭하도록 하겠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를 구성하는 발광부(200) 및 수광부(100)는 각각 설정된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 및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 동안에 모션 센서들(110,210)을 통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계속해서 감지되지 않는 경우 취침 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수광부(1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서 기 설정해 놓은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이 발광부(2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서 기 설정해 놓은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는 수광부(100)의 수광 다이오드(120)에 동체출입감지신호가 수광 또는 수광이 차단됨에 따라서 감지되는 신호의 하이 또는 로우 레벨을 통해 동체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동체의 출입 여부와 상관없이, 수광부(100) 및 발광부(200)가 각각 취침 모드로 진입하였다가 다시 웨이크업 되는 경우, 발광부(200)의 발광 다이오드(220)에서 동체출입감지신호의 발광 동작이 멈추었다가 다시 수행되기 때문에 수광부(100)의 수광 다이오드(120)에 동체출입감지신호가 수광되는 상태에 변동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동체의 출입이 있는 것으로 출입 감지상에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동체의 출입 여부와 무관하게 수광부(100) 및 발광부(200) 각각이 취침 모드에서 웨이크업되거나 다시 취침모드로 진입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상기와 같은 동체의 출입 감지상의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이 상기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수광부(100)는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취침 모드에서 웨이크업되고 발광부(200)에 비해 짧은 시간 동안에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바로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수광부(100)가 취침 모드로 동작할 경우에는 발광부(2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거나 다시 웨이크업되면서 발광 다이오드(220)에서 동체출입감지신호의 발광 상태에 변경이 발생되더라도 수광부(100)의 수광 다이오드(120)가 이를 감지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은 동체 출입 감지상에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으로,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이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보다 긴 경우를 일 예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살펴보면, 우선 발광부(200)가 모션 센서(210)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을 먼저 감지하여 취침 모드에서 웨이크업되고, 수광부(100)는 일정 시간 지난 후 웨이크업된 경우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이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보다 더 길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광부(100)의 수광 다이오드(120)가 동체출입감지신호를 수광하여 동체 출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상태에서, 발광부(200)는 상기 설정해 놓은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동안 동체의 움직임이 계속해서 감지되지 않아서 취침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발광부(200)는 수광부(1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기 이전에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서 웨이크업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수광부(100)는 웨이크업되고 다시 취침 모드로 진입하기 전까지 수광 다이오드(120)를 통해 감지되는 동체출입감지신호의 수광 상태가 수광되었다가 수광이 차단되었다가 다시 수광되는 형태, 즉 신호가 하이(H) 레벨에서 로우(L) 레벨, 그리고 다시 하이(H) 레벨로 감지되면서 실질적으로 동체가 출입하지 않았지만 동체가 출입한 것으로 동체 출입 감지상에 오류가 발생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체 출입 감지상에 오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에에 따르면,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이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보다 가능한 짧게 설정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이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에 비해 짧은 경우에는, 도 3에서 발광부(200)가 다시 웨이크업 되는 때에 이미 수광부(100)가 취침 모드 상태일 것이기 때문에 발광부(200)에서 발광된 동체출입감지신호를 수광하지 못하여, 결국 동체 출입 감지상에 오류는 발생되지 않을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이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보다 짧게 설정된 경우라 할지라도 발생 가능한 동체 출입 감지상의 오류까지도 발생되지 않게 하는 구성을 가진다.
우선, 도 4를 살펴보면,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이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보다 가능한 짧게 설정된 경우일지라도 발생될 수 있는 동체 출입 감지상에 오류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부(100)가 두번째 웨이크업된 상태에서 발광부(200)가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에 따라 취침 모드로 진입하고 발광부(200)에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서 발광부(200)가 다시 웨이크업되는 경우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수광부(100)가 두번째 웨이크업된 상태에서 다시 취침 모드로 진입하기 전까지의 시간 동안 발광부(200)의 발광 다이오드(220)에서 동체출입감지신호의 발광 상태에 변경이 발생되고 그에 따라 수광부(100)의 수광 다이오드(120)에는 동체출입감지신호가 수광되어 하이(H) 레벨의 신호가 감지되었다가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의 수광이 차단되면서 로우(L) 레벨의 신호가 감지되고 다시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가 수광되어 하이(H) 레벨의 신호가 감지될 것이다.
결국, 비록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이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보다 가능한 짧게 설정되었다고 하더라도, 수광부(100) 및 발광부(200)가 각각 개별적으로 취침 모드로 진입 및 웨이크업되면서 도 4에 도시된 경우와 같이 동체 출입에 무관하게 동체가 출입된 것으로 잘못 감지되는 경우가 발생될 소지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이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보다 짧게 설정한다는 특징 이외에도,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동안 동체의 움직임이 계속해서 감지되지 않는 경우나 발광부(400)가 웨이크업된 상태에서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게 되는 경우에 발광부(4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을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보다 길게 설정해 놓고, 발광부(400)의 취침 모드 진입이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 동안 동체가 움직임이 계속해서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만 수행되도록 구성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200)에서 수광부(100)보다 비교적 늦은 취침 모드로의 진입 동작이 수행되게 됨으로써 발광부(2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때에 수광부(100)가 다시 웨이크업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그로 인해 발광부(200) 내 발광 다이오드(220)의 동체출입감지신호의 발광 상태 변경을 수광부(100) 내 수광 다이오드(120)가 감지하여 실질적으로 동체의 출입이 존재하지 않지만 동체의 출입이 있는 것으로 감지 오류를 발생시킬 여지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이러한 감지 오류도 발생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기 설정해 놓은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동안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뿐만 아니라 발광부(400)가 웨이크업된 상태에서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게 되는 경우에도 발광부(400)가 수광부(300)와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할 경우 발광부(400)가 이를 인식하여 수광부(300)와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형태나 방식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발광부(400)가 수광부(300)의 취침 모드 진입 여부를 인식하여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 발광부(400)가 수광부(300)와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나 방식이 발광부(400) 및 수광부(300)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발광부(400)가 웨이크업된 상태에서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할 경우 발광부(400)가 수광부(300)와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는 수광부(300) 및 발광부(400)를 포함하고, 수광부(300)는 모션 센서(310), 수광 다이오드(320), 취침 신호 발생부(330), 전원 제어부(340), 및 배터리(350)를 포함하고, 발광부(400)는 모션 센서(410), 발광 다이오드(420), 취침 신호 수신부(430), 전원 제어부(440), 및 배터리(450)를 포함한다.
수광부(300) 내 모션 센서(310), 수광 다이오드(320), 및 배터리(350)와, 발광부(400) 내 모션 센서(410), 발광 다이오드(420), 및 배터리(450)에 대해서는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 생략하도록 하겠다.
수광부(300) 내 취침신호 발생부(330)는 전원 제어부(340)의 동작을 통해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때에 이를 알리는 취침 신호를 발생시킨다.
수광부(300) 내 전원 제어부(340)는 기 설정해 놓은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동안 동체의 움직임이 계속해서 감지되지 않는 경우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에 진입하도록 전원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전원 제어부(340)는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할 때에 취침신호 발생부(330)에서 상기 취침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은 허용하고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동작할 수 있을 것이다.
발광부(400) 내 취침신호 수신부(430)는 상기 취침 신호 발생부(330)에서 출력된 취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구성이다.
발광부(400) 내 전원 제어부(440)는 기 설정해 놓은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동안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발광부(400)가 취침 모드에 진입하도록 전원 제어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발광부(400)가 웨이크업된 상태에서 상기 취침신호 수신부(430)에 취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도 발광부(4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발광부(400) 내 배터리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수광부(300)와 발광부(400)는 취침 신호 송수신을 통해서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할 경우 발광부(400)도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취침신호 발생부(330) 및 취침신호 수신부(430)는 각각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와는 다른 IR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취침신호로 발생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에서 2개의 무선 신호인 동체출입감지신호 및 취침신호를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서로 간에 주파수 간섭이 발생되어 동체 출입을 감지하는데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일 예로, 발광부(400) 내 발광 다이오드(420) 및 수광부(300) 내 수광 다이오드(320)는 38KHz 의 IR 주파수 대역의 동체출입감지신호를 발광 및 수광하도록 구성되는 반면에, 취침신호 발생부(330) 및 취침신호 수신부(430)는 32KHz의 IR 주파수 대역의 취침신호를 발생 및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 발광부(400)가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발광부(400)는 비록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에 따라서는 아직 취침 모드에 진입하는 때가 아닐지라도 수광부(300)로부터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에 진입한다는 것을 알리는 취침 신호를 전송받게 되는 경우에 수광부(300)와 함께 취침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황이 동일하게 발생될지라도 동체 출입 감지상에 오류는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이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보다 가능한 짧게 설정되었다고 하더라도, 수광부(300) 및 발광부(400)가 각각 개별적으로 취침 모드로 진입 및 웨이크업되면서 동체 출입에 무관하게 동체가 출입된 것으로 잘못 감지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가능성도 훨씬 줄어들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실시 예와 비교해 보았을 때에,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 예는 발광부(400)에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이 설정되지 않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에 포함된 수광부(300)와 발광부(400)는 각각 모션 센서(310,410)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수광부(300)는 모션 센서(310)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 동안에 계속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전원 제어부(340)를 통해 모션 센서(320)를 제외한 나머지 내부 구성들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취침 모드에 진입한다.
이에 반면, 발광부(400)는 자동적으로 취침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이 따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 다만, 발광부(400)는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 발광부(400)가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발광부(400)가 이미 취침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취침 모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구성될 것이며, 발광부(400)가 웨이크업 된 상태인 경우에는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발광부(400) 역시 수광부(300)와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라 발광부(400)과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형태나 방식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광부(400)가 수광부(300)의 취침 모드 진입을 인식하여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나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 따라서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때에 이를 알리는 취침 신호를 발광부(400)로 전송하고 발광부(400)가 이 취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 예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침 신호를 통해 수광부(300)와 발광부(400)가 동시에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수광부(300)는 도 5에서 살펴본 바와 동일하게 모션 센서(310), 수광 다이오드(320), 취침신호 발생부(330), 전원 제어부(340), 및 배터리(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발광부(400) 역시 도 5에서 살펴본 바와 동일하게 모션 센서(410), 발광 다이오드(420), 취침신호 수신부(430), 전원 제어부(440) 및 배터리(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도 5를 참조하여 앞서 살펴본 내용과 비교해 보았을 때에, 발광부(400) 내 전원 제어부(440)의 동작에는 차이가 있다.
발광부(400) 내 전원 제어부(440)는 기 설정해 놓은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발광부(400)가 웨이크업된 상태에서 취침신호 수신부(430)에 취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모션 센서(410)를 제외한 나머지 내부 구성들에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취침 모드에 진입하도록 동작할 것이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400)가 별도로 자동 취침 모드로 진입할 수는 없으나 수광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취침 신호를 통해서 발광부(400)도 수광부(300)와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에, 수광부(300) 및 발광부(400)가 개별적으로 취침 모드에서 웨이크업되거나 다시 취침모드로 진입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동체의 출입 감지상의 오류가 거의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도, 앞서 살펴본 제2 실시 예와 동일하게 취침 신호를 동체출입감지신호와 함께 이용하는 경우에는 2 개의 무선 신호 간에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IR 주파수 대역의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수광부(300) 내 취침신호 발생부(330)와 발광부(400) 내 취침신호 수신부(430)는 각각 동체출입감지신호와는 다른 IR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취침 신호로 발생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 내지 제3 실시 예는, 동체의 출입 감지상의 오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또 다른 기술적 특징으로, 수광부(100,300)가 취침 모드에서 웨이크업되는 경우에 그 웨이크업된 시점부터 기 설정해 놓은 일정 시간 동안에 수광되는 동체출입감지신호는 제외하고 나머지 웨이크업된 시간 동안에 수광되는 동체출입감지신호에 따라서만 동체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수광부(100,300)가 취침 모드에서 웨이크업되자마자 초기 일정 시간 동안은 수광 다이오드(120,320)로의 동체출입감지신호의 수광 상태가 불안정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수광부(100,300)에서 상기 초기 일정 시간 동안에 불안정한 동체출입감지신호의 수광 상태를 고려하여 동체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동체가 실질적으로 출입하지 않았지만 출입한 것으로 잘못 감지할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수광부(100,300)는 모션 센서(110,310)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어 취침 모드에서 웨이크업되는 경우, 그 웨이크업된 시점부터 기 설정해 놓은 일정 시간 동안에 수광되는 동체출입감지신호는 제외하고 나머지 웨이크업된 시간 동안에 수광되는 동체출입감지신호에 따라서 동체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광부(100,300)가 웨이크업 된 시점부터 기 설정해 놓은 일정 시간은 일 예로, 대략 100 ms 정도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동체 출입 구간의 좌우에 구비되는 수광부와 발광부로 구성되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 및 발광부 각각이 모션 센서를 구비하여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취침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동체 출입 구간을 실질적으로 동체가 출입하지 않은 경우라 할지라도, 수광부와 발광부가 각각 배터리 소모 최소화를 위해서 취침 모드로 진입하거나 다시 웨이크업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동체 출입 감지상의 오류가 거의 나타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최소한의 배터리를 소모하면서 동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체 출입 여부와 무관하게 발생될 수 있는 동체 출입 감지상에 오류가 거의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보다 정확한 동체 출입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300 : 수광부
200,400 : 발광부
110, 210, 310, 410 : 모션 센서
120, 320 : 수광 다이오드
130, 230, 340, 440 : 전원 제어부
140, 240, 350, 450 : 배터리
220, 420 : 발광 다이오드
330 : 취침신호 발생부
430 : 취침신호 수신부

Claims (9)

  1. 동체출입감지신호를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를 수광하는 수광부가 동체 출입 구간의 좌우에 한 쌍으로 구비된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각각은, 모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부터 기 설정해 놓은 일정 시간동안 계속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모션 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내부 구성들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취침 모드에 진입하며,
    상기 수광부에서 상기 취침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서 설정해 놓은 일정 시간은 상기 발광부에서 상기 취침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서 설정해 놓은 시간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도 상기 발광부가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때에 이를 알리는 취침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취침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취침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된 취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취침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취침신호 수신부에 취침 신호가 수신되는 때에도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취침신호 발생부 및 취침신호 수신부는 각각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와는 다른 IR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취침신호로 발생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5. 동체출입감지신호를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를 수광하는 수광부가 동체 출입 구간의 좌우에 한 쌍으로 구비된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각각 모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광부는,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부터 기 설정해 놓은 일정 시간동안 계속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모션 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내부 구성들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취침 모드에 진입하고,
    상기 수광부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발광부가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때에 이를 알리는 취침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취침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취침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된 취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취침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취침신호 수신부에 취침 신호가 수신되는 때에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취침신호 발생부 및 취침신호 수신부는 각각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와는 다른 IR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취침신호로 발생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8. 제1 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각각은, 취침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취침 모드에서 웨이크업되도록 구성되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상기 취침 모드에서 웨이크업되는 경우에, 그 웨이크업된 시점부터 기 설정해 놓은 일정 시간동안에 수광되는 동체출입감지신호는 제외하고 나머지 웨이크업된 시간 동안에 수광되는 동체출입감지신호에 따라서 동체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KR1020160048343A 2016-04-20 2016-04-20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KR101931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343A KR101931797B1 (ko) 2016-04-20 2016-04-20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PCT/KR2017/004042 WO2017183861A1 (ko) 2016-04-20 2017-04-14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343A KR101931797B1 (ko) 2016-04-20 2016-04-20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969A true KR20170119969A (ko) 2017-10-30
KR101931797B1 KR101931797B1 (ko) 2018-12-21

Family

ID=60116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343A KR101931797B1 (ko) 2016-04-20 2016-04-20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1797B1 (ko)
WO (1) WO20171838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9442A (zh) * 2020-09-10 2021-01-15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用于数据监测的方法及装置、传感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068Y1 (ko) * 2000-11-28 2001-05-02 낙원개발주식회사 방범 창호 시스템
US7286904B2 (en) * 2004-08-21 2007-10-23 Npd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ation to wireless remote control of irrigation valves from existing hardwired control devices
KR100753086B1 (ko) * 2006-03-16 2007-08-31 조갑훈 인체감지를 통한 절전장치
KR100949838B1 (ko) * 2007-12-28 2010-03-29 비경시스템주식회사 창문형 적외선 감지장치
KR100950923B1 (ko) * 2008-04-08 2010-04-01 주식회사 세명전자 옥외용 외곽 경계 침입 감지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9442A (zh) * 2020-09-10 2021-01-15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用于数据监测的方法及装置、传感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797B1 (ko) 2018-12-21
WO2017183861A1 (ko)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3361B2 (en) Wireless infrared safety sensor for garage door opener system
KR101931797B1 (ko)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KR100975480B1 (ko) 열선 무선 송신기 및 무선 수신기
US9922543B2 (en) Battery-powered security sensor system
KR100981449B1 (ko) 무선 경비 장치 및 방법
EP2897422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117648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102062030B1 (ko)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
KR20220033809A (ko) 자동문용 적외선 안전 센서와 이를 이용한 자동문 개폐 제어 방법
EP2902983B1 (en) Wireless system
JP2006222053A (ja) ネットワーク照明器具
EP3607347B1 (en) Optical wake-up detection for a user interface device
JP597954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597538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5520354B2 (ja) 火災警報システム
KR20120136218A (ko)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JP5681949B2 (ja) 人体感知センサを備えた負荷制御装置
JP4940100B2 (ja) リモコン式照明システム
KR20120133514A (ko) 전력 제어 시스템
KR100960354B1 (ko) 외란광 방지 빔 센서의 동작 방법
JP597538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319119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5672605B2 (ja) 人体感知センサを備えた負荷制御装置
KR20160021602A (ko) 센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JP5603270B2 (ja) 人体感知センサを備えた負荷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