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068Y1 - 방범 창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범 창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068Y1
KR200222068Y1 KR2020000033288U KR20000033288U KR200222068Y1 KR 200222068 Y1 KR200222068 Y1 KR 200222068Y1 KR 2020000033288 U KR2020000033288 U KR 2020000033288U KR 20000033288 U KR20000033288 U KR 20000033288U KR 200222068 Y1 KR200222068 Y1 KR 2002220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output
switch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2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중서
Original Assignee
낙원개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낙원개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낙원개발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32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0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0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068Y1/ko
Priority to AU2001278800A priority patent/AU2001278800A1/en
Priority to PCT/KR2001/001332 priority patent/WO2002045040A1/en
Priority to US10/399,378 priority patent/US6885301B2/en
Priority to CN01142922A priority patent/CN1359091A/zh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3Address allocation methods and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가구별 창호들을 통한 외부 침입을 사전 퇴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범 창호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건물의 각 창호(WD)마다 외부 침입자를 감지하는 인체감지 센서부(110), 적외선 센서부(120), 상기 센서부(110,120)의 감지신호를 연결하는 스위치부(130), 및 상기 스위치부(130)를 통해 전송된 신호를 부호화하여 무선 송신하는 무선송신부(140)로 이루어진 침입감지 발신시스템(100)을 구비하고, 건물 실내에는 상기 발신시스템(100)의 무선송신부(140)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복호화 처리하는 무선수신부(210) 및 상기 무선수신부(210)의 출력신호에 따라 홈오토메이션(400)의 작동과 경보싸이렌부(240)의 작동을 제어하는 홈스위치부(220)로 이루어진 중앙처리시스템(200)을 구비한다. 상기 중앙처리시스템(200)에서 침입 발생을 수신할 경우에 행해지는 작동은 상기 무선수신부(210)로 리모콘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리모콘송신부(300)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범 창호 시스템{ crime prevention system for a window }
본 고안은 가정용이나 오피스용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방범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건물의 다수 창호를 통한 외부 침입 상황을 매 창호 외부에 설치한 다 종류의 센서들에 의해 감지신호로 발생하고 무선 송수신에 의해 센서들의 감지신호를 실내의 중앙처리시스템으로 전송하여 통합 처리되게 하여 경보를 발하는 등 외부 침입을 사전에 퇴치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는 방범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창호는 알루미늄재나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며 아파트의 발코니 창호나 오피스 건물의 창호로 시공되어 단열 및 방음 작용에 의한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토록 하는 것이나, 최근에는 도어 외에 창호를 통한 침입에 의한 도난 등의 범죄사고가 빈번한 실정이다.
이와 같이 창호를 통한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어 뿐 아니라 창호에도 방범 경보 시스템을 설치할 필요성이 크다.
현재 알려진 공지의 방범 경보 시스템은 여러 종류가 있으나 크게 구분하여 방범경비 용역업체에 의한 온라인 실시간 감시장치와, 사용자가 적당한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단품의 경보기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온라인 실시간 감시장치는 사용기간 동안은 용역요금을 지속적으로 지불하여야 하는 등 경제적 부담이 큰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며, 상기 단품의 경보기는 감시 영역이 제한되어 신뢰성 높은 방범 경비를 구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방범 경보 시스템은 창호를 통해 침입이 발생한 이후에야 감지가 이루어지게 되는 바 사전에 침입 퇴치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건물에 다수 구비된 창호들을 통한 침입을 사전에 퇴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는 것으로서,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한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시스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센서들의 설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보인 창호의 평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두 센서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송신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6 는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 송신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수신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홈스위치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WD - 창호 SR1 - 초전형센서
SR2a - 송광소자 SR2b - 수광소자
100 - 침입감지 발신시스템 110 - 인체감지 센서부
120 - 적외선 센서부 130 - 스위치부
140 - 무선송신부 150 - 경보싸이렌부
200 - 중앙처리시스템 210 - 무선수신부
220 - 홈스위치부 230 - 외부연결단자부
240 - 경보싸이렌부 300 - 리모콘송신부
400 - 외부장치
도 1 은 본 고안의 시스템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센서들의 설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보인 창호의 평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건물에 다수 구비된 창호 개별적으로 외부 침입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통합 처리하여 경보를 발하는 방범 창호 시스템으로서, 상기 각 창호(WD)마다 침입감지 발신시스템(100)을 구비하고, 건물의 각 호(戶) 별 실내에는 상기 각각의 침입감지 발신시스템(100)의 발신신호들을 통합적 으로 수신하여 경보를 발생하는 동시에 외부장치(400)로 신호를 전송하는 중앙처리시스템(200)을 구비하며, 상기 중앙처리시스템의 작동을 온오프하기 위한 리모콘신호를 발생하여 무선 송신하는 리모콘송신부(300)를 구비한다.
상기 침입감지 발신시스템(100)은 상기 창호(WD)로 접근하는 외부 침입자의 인체 열을 감지하는 인체감지 센서부(110)와, 창호(WD)의 외부 양측에 설치되며 적외광을 송신하는 송신부(120a)와 상기 송신된 적외광을 수신하는 수신부(120b)로 이루어져 창호(WD)에 근접한 침입자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부(120)와,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감지설정 및 감지해제설정이 가능하도록 설정스위치를 가지며 상기 설정스위치의 감지설정 선택시에 상기 인체감지 센서부(110)의 감지신호 및 적외선 센서부(120)의 감지신호를 후단으로 출력하는 스위치부(130)와, 상기 스위치부(130)에서 출력된 감지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송신부(140)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처리시스템(200)은, 상기 각 창호(WD)와 연계 구성된 무선송신부(140) 및 사용자 조작을 송신하는 리모콘송신부(300)의 무선 송신신호를 수신 및 복조하여 상기 센서부(110,120)들의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무선수신부(210)와, 상기 무선수신부(210)의 출력신호를 상기 리모콘신호의 조작모드에 따라 후단으로 연결하는 홈스위치부(220)와, 상기 홈스위치부(220)에서 출력된 신호를 홈오토메이션과 같은 외부장치(400)로 연결하기 위한 외부연결단자부(230)와, 상기 홈스위치부(220)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경보싸이렌을 발하는 경보싸이렌부(240)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 스위치부(130)의 후단에 연결되는 경보싸이렌부(150)를 더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성의 경우 각 창호(WD)마다 개별적인 경보싸이렌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두 센서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인체감지 센서부(110) 및 적외선 센서부(120)의 회로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인체감지 센서부(110)는, 인체열 감지에 따라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초전형센서(SR1)와, 상기 초전형센서(SR1)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112)와, 상기 증폭부(112)의 출력신호를 기준전압(Vref1)과 비교하여 소정의 설정된 전압을 출력하는 설정전압 출력부(114)와, 상기 설정전압 출력부(114)에서 출력된 전압을 기준전압(Vref2)과 비교하여 안정화된 논리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116)와, 상기 비교부(116)의 출력에 따라 소정 전압의 전류를 후단으로 스위칭하는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된다. 상기 인체 감지 센서부(110)는 감지 신뢰성을 위해 통상적인 건물 창호의 크기상 하나의 창호(WD) 당 창호 양측 각각 하나씩 두개 한조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외선 센서부(120)의 송신부(120a)는, 소정 주파수(38KHZ)의 신호를 발진하는 발진부(122)와, 상기 발진부(122)에서 출력된 발진 신호에 따라 전류를 단속하여 공급하는 전류구동부(124)와, 상기 전류구동부(124)를 통해 공급된 전류에 의해 소정 파장의 적외광을 송광하는 송광소자(SR2a)로 구성되고, 상기 적외선 센서부(120)의 수신부(120b)는, 상기 송광소자(SR2a)에서 발사된 적외광을 수광하여 수광량에 비례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소자(SR2b)와, 상기 수광소자(SR2b)의 출력신호를 기준전압(Vref3)과 비교하여 논리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U5)로 구성된다.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상기 스위치부(130)는, 정전압부(132)에서 출력된 TTL 레벨의 주전원을 사용자 조작에 따라 후단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스위치(S1)와, 상기 인체감지 센서부(110)의 출력신호와 상기 적외선 센서부(120)의 출력신호를 사용자 조작에 따라 후단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스위치(S2)와, 상기 제2 스위치(S2)를 통해 인가되는 센서부(110,12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S1)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상기 무선송신부(140)로 연결하는 릴레이수단(K1)을 구비한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송신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도 5 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 송신부(14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무선 송신부(140)는, 다수 비트의 어드레스 코드를 생성하는 어드레스 코드 생성부(142)와, 상기 스위치부(130)에서 인가된 감지신호에 따라 외부침입 상황을 전송하기 위한 다수 비트로 이루어진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는 데이터 코드 생성부(144)와, 상기 데이터 코드 생성부(144)에서 생성된 데이터 코드를 상기 어드레스 코드와 조합하여 부호화하는 엔코더(IC3)와, 상기 부호화된 신호를 발진부(146)에서 발진된 소정의 고주파 신호와 변조하여 안테나(ANT1)를 통해 무선 송신하는 고주파 변조 및 송신부(148)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코드 생성부(144)에서 생성하는 데이터 코드는 딥스위치(DSW1)에 의해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딥스위치(DSW1)의 구성을 생략하고 비트라인 간을 단락하는 솔더링 연결에 의해 설정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LED2 는 침입 발생시에 스위치부(130)로부터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점등되는 램프이다.
도 6 는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 송신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상기 리모콘 송신부(300)는, 다수 비트의 어드레스 코드를 생성하는 어드레스 코드 생성부(302)와, 리모콘 스위치(S3,S4)의 조작에 따른 리모콘 온/오프 조작을 구분할 수 있는 다수 비트의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는 데이터 코드 생성부(304)와, 상기 데이터 코드 생성부(304)에서 생성된 데이터 코드를 상기 어드레스 코드와 조합하여 부호화하는 엔코더(IC4)와, 상기 엔코더(IC4)에서 부호화된 신호를 발진부(306)에서 발진된 소정의 고주파신호와 변조하여 안테나(ANT2)를 통해 무선 송신하는 고주파 변조 및 송신부(308)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무선 송신부(140)의 엔코더(IC3)와 리모콘 송신부(300)은 엔코더(IC3)는 동일한 내부 다이아그램을 갖는 것이되, 외부 침입 발생시에 무선 송신부의 엔코더(IC3)로 입력되는 다수 비트의 데이터 코드와, 온(on)신호용 리모콘스위치(S3)와 오프(off)신호용 리모콘 스위치(S3)를 조작하였을 때 엔코더(IC4)로 입력되는 다수 비트 데이터 코드는 개개가 서로 상이하며, 이와 같이 되어야 무선 수신부(210)에서 데이터 코드로서 리모콘의 온 또는 오프조작인지 침입 발생인지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무선 송신부(140)의 발진부(146)에서 발진된 고주파신호와 상기 리모콘 송신부(300)의 발진부(306)에서 발진된 고주파 신호는 동일주파수이다.
도 6에서 미설명부호 BAT는 밧데리이며, LED2 는 리모콘 온 또는 오프 조작시에 스위치(S3,S4)로부터 데이터 코드의 발생으로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점등되는 램프이다.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수신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수신부(210)는, 안테나(ANT3)를 통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 증폭부(212)와, 상기 고주파 증폭부(212)에서 증폭된 신호 중 상기 무선 송신부(140)의 고주파 변조 및 송신부(148)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와 상기 리모콘 송신부(300)의 고주파 변조 및 송신부(308)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를 동조하는 동조부(213)와, 상기 동조부(213)에서 동조되어 출력된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무선 송신부(140)의 엔코더(IC3) 및 상기 리모콘 송신부(300)의 엔코더(IC4)에서 생성된 부호화 신호를 도출하는 복조부(214)와, 상기 복조부(214)에서 복조된 부호화 신호를 증폭하는 저주파 증폭부(215)와, 상기 저주파 증폭부(215)에서 증폭된 부호화 신호를 어드레스 코드 생성부(216)에서 생성된 어드레스 코드에 기초로 복호화하여 상기 무선 송신부(140)의 데이터 코드 생성부(144)에서 생성된 데이터 코드의 유무에 따라 외부침입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경보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리모콘 송신부(300)의 데이터 코드 생성부(304)에서 생성된 데이터 코드의 유무에 따라 리모콘 온/오프 조작상태를 알리기 위한 리모콘조작신호를 출력하는 디코더(IC5)로 구성된다.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홈스위치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상기 홈스위치부(220)는 상기 무선 수신부(210)의 디코더(IC5)에서 출력된 리모콘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수신부(210)의 디코더(IC5)에서 출력된 외부침입 상황을 알리는 출력신호에 따라 외부장치(400)의 연결을 단속하는 릴레이수단(K3)을 갖춘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첨부 회로도들에 도시된 구체적 구성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창호(WD) 주변에 침입자가 없는 경우,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인체감지 센서부(110)의 초전형 센서(SR1)에서는 전기적 신호의 발생이 매우 미약하므로 증폭부(112)를 통해 설정전압 출력부(114)으로 인가되는 신호 전압도 미약하여 설정전압 출력부(114)에서는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비교부(116)의 출력도 로우레벨이 되어 턴오프된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에 연결된 출력단(a)의 전압은 로우레벨이 된다.
그러나, 침입자가 창호(WD)로 접근하게 되면, 인체감지 센서부(110)의 초전형 센서(SR1)에서는 접근하는 침입자의 인체에서 발산되는 열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러한 전기적 신호는 초전형 센서(SR1)의 후단에 접속된 증폭부(112)의 OP앰프(U1)의 비반전단자로 입력되어 반전단자에 연결된 저항(R6,R7)에 의해 설정된 이득만큼 고이득 증폭되어 출력된 후 커플링 콘덴서(C4)를 통해 설정전압 출력부(114)의 비교기(U2)의 반전단자로 입력된다. 이러한 입력신호가 상기의 침입자 감지로 인해 비교기(U2)의 비반전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Vref1)보다 크게 된 경우 비교기(U2)는 궤환 루프인 저항(R9,R10) 및 콘덴서(C5)에 의해 설정된 이득만큼 증폭된 고정 전압을 출력하게 되고, 이러한 출력전압이 비교부(116)를 이루는 비교기(U3)의 반전단자로 입력되는 기준전압(Vref2)보다 커지게 되므로 비교기(U3)는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측 전압은 에미터로 통전되므로 에미터에 연결된 출력단(a)의 전압은 하이레벨이 되는 것이다.
한편, 침입자가 유리창을 파손하는 등 창호(WD)에 매우 가까운 거리로 근접하게 되면, 적외선 센서부(120)의 송신부(120a)측 송광소자(SR2a)에서 발신되어 수신부(120b)측 수광소자(SR2b)로 수신되던 적외광이 침입자 신체에 의해 차단되어 수광소자(SR2b)에서는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비교기(U5)의 비반전단자로 인가하게 되고, 이러한 로우레벨의 신호는 비교기(U5)의 반전단자로 인가되는 기준전압(Vref3)보다 낮으므로 상기 비교기(U5)는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트랜지스터(Q4)를 턴온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측에 연결된 출력단(b)은 트랜지스터를 통전한 전압에 의해 하이레벨이 되는 것이다.
첨부 도면들에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과 이 출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은 도면 상호간의 연결성을 쉽게 이해시키기 위해 동일부호를 부여하였다.
이러한 센서부(110,120)의 출력단(a,b)의 신호는 도 4 에 도시된 스위치부(130)의 입력단(a,b)으로 입력된다. 스위치부(130)의 일입력단(a')으로는 도시 안된 제2 인체감지 센서부(110')의 출력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제2 인체감지 센서부(110')는 상기 인체감지 센서부의 구성에서 설명한 바 있듯이 창호(WD)에 설치되는 두 개의 인체감지센서 중 하나이다.
이러한 신호들은 순방향 접속된 다이오드(D1,D2,D3)를 통해 스위치(S2)의 일단에 인가되는 바, 센서부(110,110',120)의 신호들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하이 레벨인 경우에 스위치(S2)로 인가되는 신호는 하이 레벨이 된다. 이 하이레벨의 신호는 스위치(S2)의 온조작 상태에서 릴레이(K1)의 코일(K1a)을 자화시켜 가동접점(K1b)을 온(on) 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직류 12V 입력을 TTL 레벨의 정전압 직류 5V로 변압 출력하는 정전압회로(132)의 출력 전압은 상기 릴레이(K1)의 가동접점(K1b)을 경유하여 하이레벨의 논리 신호로서 출력단(d)을 통해 도 5 에 도시된 무선송신부(140)를 이루는 데이터 코드 생성부(144)의 딥스위치(DSW1)로 인가된다.
상기 데이터 코드 생성부(144)의 딥스위치(DSW1)는 설정 상태에 따라 엔코더(IC3)의 10,11,12 및 13번 핀으로 입력되는 논리 레벨을 다르게 하여 4비트의 코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데이터 코드 생성부(144)의 어드레스 코드 생성부(142)는 엔코더(IC3)의 1~8번 핀과의 연결상태에 준하여 소정의 어드레스 코드를 생성하고, 엔코더(IC3)는 이러한 어드레스 코드와 상기 데이터 코드를 조합하여 생성한 부호화 신호를 17번 핀으로 출력하여 고주파 변조 및 증폭부(148)를 이루는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인가하며, 고주파 변조 및 증폭부(148)는 상기 엔코더(IC3)에서 출력된 부호화 신호를 발진회로(146)에서 발진된 고주파 신호와 변조하여 안테나(ANT1)를 통해 무선 송신하게 된다. 상기 발진회로(146)는 트랜지스터(Q5)의 에미터, 베이스 간 접속된 다수 캐패시터(C14,C15,C16,VC1)에 의해 반송파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를 발진하게 되며, 상기 가변 캐패시터(VC1)에 의해 반송파 주파수를 가변 조절할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리모콘 송신부(300)에서 무선 신호가 송출되는 작동 또한 상기 무선 송신부(140)의 작동과 흡사하며, 단지 침입 발생시에 발생된 데이터 코드와는 다른 리모콘 조작을 구분할 수 있는 데이터 코드를 송출하는 점이 다르다.
이와 같이 무선 송신부(140)에서 송출된 무선 신호 또는 리모콘 송신부(300)에서 송출된 무선 신호는 도 7 에 도시된 무선 수신부(210)의 안테나(ANT1)를 통해 수신되어 고주파 증폭부(212)에서 증폭된 후 동조부(213)에서 동조되어 복조부(214)에서 복조되고 이렇게 복조된 신호는 저주파 증폭부(215)에서 증폭된 후 디코더(IC5)의 14번 핀으로 입력된다.
이렇게 입력된 부호화 신호를 상기 디코더(IC5)는 어드레스 코드 생성부(216)에서 생성된 어드레스 코드에 의해 복호화하여 상기 무선 송신부(140)의 데이터 코드 생성부(144)에서 생성된 데이터 코드의 유무에 따라 외부침입 상황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단(h)으로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리모콘 송신부(300)의 데이터 코드 생성부(304)에서 생성된 데이터 코드의 유무에 따라 리모콘 온/오프 조작상태를 알리기 위한 리모콘조작신호를 출력단(e,f)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렇게 출력된 디코더(IC5)의 출력신호들 중 리모콘 온(on) 신호는 출력단(e)을 통해 타이머집적소자(IC6)의 2번 핀으로 입력되고 리모콘 오프(off) 신호는 출력단(f)을 통해 도 8에 도시된 홈스위치부(220)를 이루는 타이머집적소자(IC6)의 5,6 및 7번 핀으로 입력된다.
상기 타이머집적소자(IC6)는 리모콘 온 신호가 입력된 경우, 3번 핀으로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트랜지스터(Q9)를 턴오프시킴에 따라 릴레이(K3)의 가동접점(K3a)은 무선수신부(210)의 출력단(h)을 통해 출력되는 침입경보 신호가 트랜지스터(Q10)의 베이스에 인가되게 하여 트랜지스터(Q10)를 턴온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릴레이(K4)는 가동접점(K4b)이 온되어 직류 12V 전원을 경보싸이렌부(240) 및 외부장치(400)인 홈오토메이션과 연결된 외부연결단자부(230)의 일측단자에 인가하게 됨으로써 외부침입을 알리는 경보 싸이렌이 발생되고 홈오토메이션에서 침입에 대처하는 소정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타이머집적소자(IC6)는 7번 핀으로 리모콘 오프 신호가 입력된 경우, 3번 핀으로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트랜지스터(Q9)를 턴온시킴에 따라 릴레이(K3)의 가동접점(K3a)을 통해 트랜지스터(Q10)의 베이스로 인가되던 무선수신부(210)의 출력신호가 차단되고, 이로 인해 경보싸이렌부(240)에서 발생되던 경보싸이렌을 중단시킴과 아울러 외부연결단자부(230)의 양측 단자는 단락되어 홈오토메이션의 작동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무선 수신부의 출력단(h)을 통해 침입발생을 알리는 경보 신호가 홈스위치부(220)의 릴레이(K3)로 입력되지 않는 평상의 경우에는 경보싸이렌 및 홈오토메이션이 작동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방범 창호 시스템은 아파트나 건물의 창호들을 통해 침입하려는 외부 침입자를 창호를 통과하기 이전인 침입 초기에 감지하여 경보함으로써 사전 퇴치가 가능하게 되며, 특히 각 창호마다 설치된 센서들의 감지신호를 중앙처리 시스템에서 통합 처리하여 경보싸이렌 및 홈오토메이션 등을 작동시킬 수 있게 된 것이므로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방범경보장치보다 신뢰성 높은 방범 경보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건물에 다수 구비된 창호 개별적으로 외부 침입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통합 처리하여 경보를 발하는 방범 창호 시스템으로서, 상기 각 창호(WD)마다 침입감지 발신시스템(100)을 구비하고, 건물의 실내에는 상기 각각의 침입감지 발신시스템(100)의 발신신호들을 통합적으로 수신하여 처리하는 중앙처리시스템(200)을 구비하며, 상기 중앙처리시스템의 작동을 온오프하기 위한 리모콘신호를 발생하여 무선 송신하는 리모콘송신부(300)를 구비하되,
    상기 침입감지 발신시스템(100)은, 상기 창호(WD)로 접근하는 외부 침입자의 인체 열을 감지하는 인체감지 센서부(110)와; 창호(WD)의 외부 양측에 설치되며 적외광을 송신하는 송신부(120a)와 상기 송신된 적외광을 수신하는 수신부(120b)로 이루어져 창호(WD)에 근접한 침입자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부(120)와;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감지설정 및 감지해제설정이 가능하도록 설정스위치를 가지며 상기 설정스위치의 감지설정 선택시에 상기 인체감지 센서부(110)의 감지신호 및 적외선 센서부(120)의 감지신호를 후단으로 출력하는 스위치부(130)와; 상기 스위치부(130)에서 출력된 감지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송신부(140)로 구성하고,
    상기 중앙처리시스템(200)은, 상기 각 창호(WD)와 연계 구성된 무선송신부(140) 및 사용자 조작을 송신하는 리모콘송신부(300)의 무선 송신신호를 수신 및 복조하여 상기 센서부(110,120)들의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무선수신부(210)와; 상기 무선수신부(210)의 출력신호를 상기 리모콘신호의 조작모드에 따라 후단으로 연결하는 홈스위치부(220)와; 상기 홈스위치부(220)에서 출력된 신호를 상기 외부장치(400)로 연결하기 위한 외부연결단자부(230)와; 상기 홈스위치부(220)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경보싸이렌을 발하는 경보싸이렌부(240)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창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 센서부(110)는, 인체열 감지에 따라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초전형센서(SR1)와, 상기 초전형센서(SR1)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112)와, 상기 증폭부(112)의 출력신호를 기준전압(Vref1)과 비교하여 소정의 설정된 전압을 출력하는 설정전압 출력부(114)와, 상기 설정전압 출력부(114)에서 출력된 전압을 기준전압(Vref2)과 비교하여 안정화된 논리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116)와, 상기 비교부(116)의 출력에 따라 소정 전압의 전류를 후단으로 스위칭하는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창호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센서부(120)의 송신부(120a)는,
    소정 주파수(38KHZ)의 신호를 발진하는 발진부(122)와, 상기 발진부(122)에서 출력된 발진 신호에 따라 전류를 단속하여 공급하는 전류구동부(124)와, 상기 전류구동부(124)를 통해 공급된 전류에 의해 소정 파장의 적외광을 송광하는 송광소자(SR1a)로 구성되고,
    상기 적외선 센서부(120)의 수신부(120b)는, 상기 송광소자(SR1a)에서 발사된 적외광을 수광하여 수광량에 비례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소자(SR2b)와, 상기 수광소자(SR2b)의 출력신호를 기준전압(Vref3)과 비교하여 논리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U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창호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130)는, 정전압부(132)에서 출력된 TTL 레벨의 주전원을 사용자 조작에 따라 후단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스위치(S1)와, 상기 인체감지 센서부(110)의 출력신호와 상기 적외선센서부(120)의 출력신호를 사용자 조작에 따라 후단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스위치(S2)와, 상기 제2 스위치(S2)를 통해 인가되는 센서부(110,12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S1)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상기 무선송신부(140)로 연결하는 릴레이수단(K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창호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부(140)는, 다수 비트의 어드레스 코드를 생성하는 어드레스 코드 생성부(142)와, 상기 스위치부(130)에서 인가된 감지신호에 따라 외부침입 상황을 전송하기 위한 다수 비트의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는 데이터 코드 생성부(144)와, 상기 데이터 코드 생성부(144)호에서 생성된 데이터 코드를 상기 어드레스 코드와 조합하여 부호화하는 엔코더(IC3)와, 상기 부호화된 신호를 발진부(146)에서 발진된 소정의 고주파 신호와 변조하여 안테나(ANT1)를 통해 무선 송신하는 고주파 변조 및 송신부(14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창호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송신부(300)는, 다수 비트의 어드레스 코드를 생성하는 어드레스 코드 생성부(302)와, 스위치(S3,S4)의 조작에 따른 리모콘 온/오프 조작을 구분할 수 있는 다수 비트의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는 데이터코드 생성부(304)와, 상기 데이터 코드 생성부(304)에서 생성된 데이터 코드를 상기 어드레스 코드와 조합하여 부호화하는 엔코더(IC4)와, 상기 엔코더(IC4)에서 부호화된 신호를 발진부(306)에서 발진된 소정의 고주파신호와 변조하여 안테나(ANT2)를 통해 무선 송신하는 고주파 변조 및 송신부(30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창호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부(210)는, 안테나(ANT3)를 통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 증폭부(212)와, 상기 고주파 증폭부(212)에서 증폭된 신호 중 상기 무선 송신부(140)의 고주파 변조 및 송신부(148)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와 상기 리모콘 송신부(300)의 고주파 변조 및 송신부(308)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를 동조하는 동조부(213)와, 상기 동조부(213)에서 동조되어 출력된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무선 송신부(140)의 엔코더(IC3) 및 상기 리모콘 송신부(300)의 엔코더(IC4)에서 생성된 부호화 신호를 도출하는 복조부(214)와, 상기 복조부(214)에서 복조된 부호화 신호를 증폭하는 저주파 증폭부(215)와, 상기 저주파 증폭부(215)에서 증폭된 부호화 신호를 어드레스 코드 생성부(216)에서 생성된 어드레스 코드를 기초로 복호화하여 상기 무선 송신부(140)의 데이터 코드 생성부(144)에서 생성된 데이터 코드의 유무에 따라 외부침입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경보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리모콘 송신부(300)의 데이터 코드 생성부(304)에서 생성된 데이터 코드의 유무에 따라 리모콘 온/오프 조작상태를 알리기 위한 리모콘조작신호를 출력하는 디코더(IC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창호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홈스위치부(220)는 상기 무선 수신부(210)의 디코더(IC5)에서 출력된 리모콘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수신부(210)의 디코더(IC5)에서 출력된 외부침입 상황을 알리는 출력신호에 따라 외부장치(400)의 연결을 단속하는 릴레이수단(K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창호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부(140)의 발진부(146)에서 발진된 고주파신호와 상기 리모콘 송신부(300)의 발진부(306)에서 발진된 고주파 신호는 동일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창호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130)의 출력신호에 따라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싸이렌부(150)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창호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감지 센서부(110)는 하나의 창호(WD)당 두 개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창호 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400)는 홈오토메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창호 시스템.
KR2020000033288U 2000-11-28 2000-11-28 방범 창호 시스템 KR2002220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288U KR200222068Y1 (ko) 2000-11-28 2000-11-28 방범 창호 시스템
AU2001278800A AU2001278800A1 (en) 2000-11-28 2001-08-06 A security system for windows
PCT/KR2001/001332 WO2002045040A1 (en) 2000-11-28 2001-08-06 A security system for windows
US10/399,378 US6885301B2 (en) 2000-11-28 2001-08-06 Security system for windows
CN01142922A CN1359091A (zh) 2000-11-28 2001-11-28 窗户防范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288U KR200222068Y1 (ko) 2000-11-28 2000-11-28 방범 창호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1784A Division KR100353495B1 (ko) 2000-11-30 2000-11-30 유무선 방범 창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068Y1 true KR200222068Y1 (ko) 2001-05-02

Family

ID=1967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288U KR200222068Y1 (ko) 2000-11-28 2000-11-28 방범 창호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85301B2 (ko)
KR (1) KR200222068Y1 (ko)
CN (1) CN1359091A (ko)
AU (1) AU2001278800A1 (ko)
WO (1) WO200204504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660A (ko) * 2002-11-04 2004-05-12 (주)태성엠아이에스 적외선 감지기
WO2017183861A1 (ko) * 2016-04-20 2017-10-26 김홍전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3039B2 (en) * 2005-12-22 2007-10-16 Ratner David L Window-attached alerting device
US8410923B2 (en) * 2008-11-25 2013-04-02 Randall Wang Single MCU-based motion detection, local alarm and supervisory arrangement for alarm system
JP5581467B2 (ja) * 2009-01-06 2014-09-03 オプテックス株式会社 防犯センサシステム
CN102273074B (zh) * 2009-04-28 2014-06-25 欧姆龙株式会社 非接触式开关
CN102278051A (zh) * 2011-05-16 2011-12-14 北京建筑工程学院 具有可隐护栏和自清洗功能的新型玻璃窗系统
CN102561926A (zh) * 2012-02-03 2012-07-11 无锡捷阳节能科技有限公司 带有红外线对射报警防盗系统的外遮阳卷帘窗
CN104453632A (zh) * 2014-11-29 2015-03-25 成都群侠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自报警防盗门装置
CN105298348B (zh) * 2015-11-10 2017-01-18 成都标建铝业有限公司 安全性较好的铝制窗
KR20170116472A (ko) * 2016-04-11 2017-10-19 주식회사 엘지화학 검전기 및 시그널 퓨즈를 이용한 모스펫 릴레이 보호 장치 및 보호 방법
KR102599895B1 (ko) * 2017-03-22 2023-11-07 언체인드 랩스 버퍼 교환을 위한 샘플 플레이트들 및 제조 방법
CN108199757B (zh) * 2018-01-15 2019-08-27 浙江大学 一种利用信道状态信息检测消费级无人机入侵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6517A (en) * 1989-04-06 1991-02-26 Assist, Inc. Household alarm system
US5570079A (en) * 1995-04-24 1996-10-29 Dockery; Devan Home security system for detecting an intrusion into a monitored area by an infrared detector
JP4092438B2 (ja) * 1999-08-19 2008-05-28 オプテックス株式会社 侵入検知方法および装置
JP2001222780A (ja) * 2000-02-07 2001-08-17 Intersocio System Kk 防犯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660A (ko) * 2002-11-04 2004-05-12 (주)태성엠아이에스 적외선 감지기
WO2017183861A1 (ko) * 2016-04-20 2017-10-26 김홍전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KR101931797B1 (ko) * 2016-04-20 2018-12-21 김홍전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12493A1 (en) 2004-01-22
CN1359091A (zh) 2002-07-17
AU2001278800A1 (en) 2002-06-11
WO2002045040A1 (en) 2002-06-06
US6885301B2 (en) 2005-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2068Y1 (ko) 방범 창호 시스템
JP3973689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US4994787A (en) Remote intrusion alarm condition advisory system
US4808995A (en) Accessory-expandable, radio-controlled, door operator with multiple security levels
JP4635731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US4970494A (en) Radio controlled home security system
JPH10124762A (ja) 監視領域への侵入を赤外線検出器により検出する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US6359558B1 (en) Low power audible alarm relay device for a rolling code security system
US20020093430A1 (en) Smoke detector system for a house
US5594428A (en) Combination security unit
US20010030607A1 (en) Child safety device
KR100353495B1 (ko) 유무선 방범 창호 시스템
JP2006285863A (ja) 戸締まり監視装置
JP3097616B2 (ja) 侵入監視装置、侵入センサ点検方法及び侵入監視システム
JP2011033345A (ja) 侵入者検知装置
JP2001309451A (ja) 開閉装置用リモコン送信機、開閉装置用リモコン受信機及び開閉装置用リモコンシステム
GB2218553A (en) Security system
US5801615A (en) Motor vehicle security system
KR200254696Y1 (ko) 공동주택용 방범시스템
CN2323418Y (zh) 带可编程扩展接口的遥控报警器
KR200180095Y1 (ko) 차량의 상태표시 장치
KR930004008Y1 (ko) 자동차의 도난방지용 경보기
JP3005005U (ja) 振動検知式防犯警報器
JP2008030670A (ja) 車両用セキュリティ装置
KR940001115B1 (ko) 무선 방범 송신회로 및 무선 방범감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