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83861A1 -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83861A1
WO2017183861A1 PCT/KR2017/004042 KR2017004042W WO2017183861A1 WO 2017183861 A1 WO2017183861 A1 WO 2017183861A1 KR 2017004042 W KR2017004042 W KR 2017004042W WO 2017183861 A1 WO2017183861 A1 WO 201718386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ight
sleep mode
sleep
signal
fusel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404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홍전
Original Assignee
김홍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전 filed Critical 김홍전
Publication of WO201718386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8386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H05B47/19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the transmission using visible or infrared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fuselage entry and detection device, and comprises a fuselage access detection signal receiving unit and a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entrance and exit section, each of the light receiving unit and the light emitting unit does not detect the movement of the body through the motion sensor.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fuselage access detection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battery consumption by operating in a sleep mode.
  • the apparatuse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uselage may include a light receiving unit receiving the fuselage entrance detection signal and a light emitting unit emitting the fuselage entrance detection signal in order to detect movement of the fuselage moving in an entrance section of a specific target space. It is common to be provided in pairs on either side. When the body passes through the entrance section, the body entrance detection signal received by the body through the light receiving unit is blocked by using the body.
  • the light emitting unit in order to detect whether the fuselage is in or out, the light emitting unit must continuously emit the body entrance detection signal,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must also operate to receive the body entrance detection signal at all times. For this reason, in the case where the light emitting portion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are supplied with power through a wire, there is no problem in power supply.
  •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are configured to be wireless devices and receive power through a battery provided therein, a power saving function is required to reduce battery power consump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fuselage entrance detection device including a light receiving unit and a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at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uselage access section, wherein each of the light receiving unit and the light emitting unit operates in the sleep mode when the movement of the fuselage is not detected through a motion senso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fuselage entry detection device that can minimize the consump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fuselage entry and exit configured to solve the error in the entrance detection of the fuselage, which may appear when the light-receiving unit and the light-emitting unit individually wakes up from the sleep mode or enters the sleep mode,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body of the fuselage.
  • the object is to provide a sensing device.
  • the wireless fuselage access detecting apparatus is a light emitting unit for emitting a fuselage entrance detection signal and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fuselage entrance detection signal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fuselage entry and exit section.
  • each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includes a motion sensor, the movement of the body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e when the movement of the body is detected through the motion sensor. If not detected, enters the sleep mode to cut off the power supply of the remaining components other than the motion sensor, the predetermined time set to enter the sleep mode in the light receiving unit to enter the sleep mode in the light emitting uni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shorter than the set time.
  • the light emitter may be configured to enter the sleep mode together.
  • the light receiving unit further comprises a sleep signal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sleep signal informing the user when entering the sleep mode
  • the light emitting unit is a sleep that can receive the sleep signal output from the sleep signal generator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receiver, and the light emitter may be configured to enter a sleep mode even when a sleep signal is received.
  • the sleep signal generator and the sleep signal receiving un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generate and receive a signal of an IR frequency band different from the fuselage entrance detection signal, respectively, as a sleep signal.
  • a wireless fuselage entrance / detection apparatus including a light emitting unit for emitting a fuselage entrance detection signal and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fuselage entrance detection signal in pair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uselage entrance section.
  •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each include a motion sensor,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if the movement of the body is not detected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e when the movement of the body is detected through the motion sensor, Enter the sleep mode to cut off the power supply of the remaining components other than the motion sensor, and when the light receiver enters the sleep mode is configured to enter the sleep mode together.
  • the light receiving unit further includes a sleep signal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sleep signal informing the user when the user enters the sleep mode
  • the light emitting unit includes a sleep signal receiving unit capable of receiving a sleep signal output from the sleep signal generation unit.
  • 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enter a sleep mode when a sleep signal is received in the sleep signal receiver.
  • the sleep signal generator and the sleep signal receiver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nd receive signals of an IR frequency band different from the fuselage entrance detection signal, respectively.
  • each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is configured to wake up in the sleep mode when the motion of the body is detected through the motion sensor while operating in the sleep mode,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is configured in the sleep mode.
  • the wake-up it is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body is in or out according to the fuselage entrance detection signal received during the remaining wake-up time except for the fuselage entrance detection signal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wake-up time. Can be.
  • the wireless fuselage entry detection device can be operated in the sleep mode when the movement of the fuselage is not detected through the motion sensor to minimize the battery consumption.
  • the light-receiving unit and the light-emitting unit constituting the wireless fuselage entrance detection device, respectively, so as to minimize the battery entry to the sleep mode or wake-up that appears while waking up again to minimize the occurrence.
  •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operate the wireless fuselage entrance detection device with minimal battery consumption, but also perform more accurate fuselage entrance detection.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rm in which a wireless fuselage access detecting apparatus is provided in a fuselage access section.
  • FIGS. 2 and 3 are views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wireless fuselage access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S. 4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wireless fuselage access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wireless fuselage access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 and 3 are views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wireless fuselage entrance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light emitting unit 200 for emitting a fuselage entrance detection signal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00 for receiving the fuselage entrance detection signal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ndow to detect the entry of the fuselage in the window is provided with a pair It is shown.
  • the light emitting unit 200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00 detect whether the fuselage enters from the outside of the window to the inside or exits from the inside of the window through the light emission and the light reception of the fuselage entrance detection signal.
  • the detection result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 the external device may prevent unauthorized intrusion through a connection with a security guard company or may be connected with a lighting system of a target space to control an on or off operation of the lighting system.
  • Each of the light emitting unit 200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00 is configured to receive power through the internal batteries 240 and 140, as shown in FIG. 2, to operate wirelessly. Accordingly, each of the light emitting unit 200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00 needs to be operated or configured to minimize battery consumption.
  • each of the light receiving unit 10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200 includes motion sensors 110 and 210.
  • Each of the light receiving unit 10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200 may operate in a sleep mode when the motion of the body is not detected through the motion sensors 110 and 210 provided therein, thereby minimizing battery consumption.
  • the light receiving unit 100 includes a motion sensor 110, a light receiving diode 120, a power control unit 130, and a battery 140
  • the light emitting unit 200 includes a motion sensor 210, a light emitting diode 220, And a power control unit 230 and a battery 240.
  • the motion sensors 110 and 210 included in the light receiving unit 10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200 are preferably low power motion sensors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body, and for example, may be a PIR sensor (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 have.
  • the light emitting diode 220 of the light emitting unit 200 emits a fuselage entrance detection signal, and emits an IR frequency band signal as the fuselage entrance detection signal.
  • the light-receiving diode 120 of the light-receiving unit 100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fuselage entry / detection signal, and when the body enters or exits between the light-receiving unit 100 and the light-emitting unit 200 in the entrance section, the fuselage by the fuselage. Occasionally, reception of an entrance / detection signal is blocked. Accordingly, a high level (H) level signal is sensed while the light source diod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diode 120, and a low level (L) level is detected while light reception of the body light exit detection signal is blocked while the body is entering or exiting. Signal is detected. When the body passes through the light receiving unit 10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200, the body entranc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again and a high level signal is detected.
  • H high level
  • L low level
  • the light receiving unit 100 determines that the body has entered or exited between the light receiving unit 10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200.
  • the determination result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wireless module (not shown).
  • the power control units 130 and 230 included in each of the light receiving unit 10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200 are components for controlling supply of battery power.
  • the power controllers 130 and 230 may operate the light-receiving unit 100 or the light-emitting unit 200 provided therein when the body movement is not detected through the motion sensors 110 and 210.
  • the battery power supply is controlled, and when the body is detected through the motion sensors 110 and 210 while the light receiving unit 10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200 operate in the sleep mode, the user wakes up from the sleep mode individually. give.
  • the power controllers 130 and 230 control the battery power supply to cut off power of the internal components except the motion sensors 110 and 210 in the sleep mode.
  • each of the power controllers 130 and 230 of the light receiving unit 10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200 may operate the motion sensors 110 and 210.
  • the motion body 110 and 210 of the fuselage are respectively provided. This is the case when the motion of the body is not detected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e when the motion is detected.
  • each of the light emitting unit 200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00 enters the sleep mode through the power controllers 130 and 230 when the movement of the body is not continuously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the motion sensors 110 and 210. .
  • each of the light emitting unit 200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00 enters the light emitting unit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side automatic sleep mode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which the movement of the body set in advance to enter the sleep mode is continuously detected. I will refer to it as time.
  • the light emitting unit 200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00 constituting the wireless fuselage entrance detecting apparatus each have a motion during the set light emitting unit side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and the light receiver side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If the motion of the fuselage is not continuously detected through the sensors 110 and 210, the device enters the sleep mode.
  • the light-receiving unit side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preset for the light-receiving unit 100 to enter the sleep mode is set in advance for the light-emitting unit 200 to enter the sleep mo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horter than the entry time of the auto side sleep mode.
  • the wireless fuselage entrance detection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the fuselage is entering or exiting through the high or low level of the signal that is detected as the body entranc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or blocked by the light receiving diode 120 of the light receiving unit 100. Configured to sense. However, when the light receiving unit 10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200 enter the sleep mode and wake up again, regardless of whether the body is in or out of the fuselage, the light emitting diode 220 of the light emitting unit 200 detects the body access signal. Since the light emitting operation is stopped and then performed again, a change occurs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entranc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diode 120 of the light receiving unit 100. Accordingly, there may be an error in the entrance detection as there is an entry and exit of the fuselage.
  • the light receiving part side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is shorter than the light emitting side side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 the light receiver 100 is configured to wake up in the sleep mode when the movement of the body is sensed, and to enter the sleep mode immediately if the movement of the body is not detected for a short time compared to the light emitter 200.
  • the reason is that when the light receiver 100 operates in the sleep mode, the light emitter 200 enters the sleep mode or wakes up again, even if a change occurs in the light emission state of the fuselage entrance / detection signal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220. This is because the light receiving diode 120 of 100 will not detect this.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n error occurs in the body entrance detection, and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light receiver side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is longer than the light emitter side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 the light emitter 200 first detects the movement of the body through the motion sensor 210 to wake up in the sleep mode, and the light receiver 100 wakes up after a predetermined time. As shown, since the light receiver side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is set longer than the light emitter side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the light-receiving diode 120 of the light receiver 100 receives the fuselage entrance detection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body is in or out. In the detectable state, the light emitter 200 may enter the sleep mode because the motion of the fuselage is not continuously detected during the set time of the auto light sleep mode side.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unit 200 may wake up while the light receiving unit 10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body before entering the sleep mode.
  • the light receiving unit 100 receives the light receiving state of the fuselage entrance /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light receiving diode 120 until it wakes up and enters the sleep mode again. As the signal is sensed from the high (H) level to the low (L) level, and again to the high (H) level, the body is not actually accessed but the body is in and out.
  • the light receiving part side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is set as short as possible than the light emitting side side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It is a technical feature to do.
  • the light receiver side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is shorter than the light emitter side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the light receiver 100 may already be in the sleep mode when the light emitter 200 wakes up again in FIG. 3. Since the fuselage entry / detection signal emitted by 200 may not be received, an error will not occur in the fuselage entrance detection.
  • FIGS. 4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light receiving unit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is set to be shorter than the light emitting unit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even an error in the fuselage entrance detection that may occur may not occur. It has a configuration that prevents it.
  • FIG. 4 there is shown an error in the fuselage entrance detection that may occur even when the light receiver side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is set as short as possible than the light emitter side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 the light emitting unit 200 enters the sleeping mode according to the light emitting unit side automatic sleeping mode entry time and the movement of the body is detected by the light emitting unit 200. As a resul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200 wakes up again. In this case, a change occurs in the light emitting state of the fuselage entrance detection signal in the light emitting diode 220 of the light emitting unit 200 for a time until the light receiving unit 100 enters the sleep mode from the second wake-up state.
  • a body entranc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diode 120 of the light receiving unit 100 to detect a high (H) level signal, and then the reception of the body entrance detection signal is blocked and a low (L) level signal is detected.
  • the fuselage entranc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and a high level signal will be detected.
  • the light receiver side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is set as short as possible than the light emitter side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the light receiver 100 and the light emitter 200 enter and wake up, respectively, in FIG. 4.
  • the fuselage is incorrectly detected as being in or out of the fuselage is irrelevant.
  • the light receiver side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is set to be shorter than the light emitter side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the movement of the body during the light emitting unit side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is not continuously detected.
  • the light emitting unit 400 enters the sleep mode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400 wakes up, the light emitting unit 400 is configured to enter the sleep mode.
  • the light emitting unit side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is set longer than the light receiving unit side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and the light emitting unit 400 does not continuously detect movement of the body during the light emitting unit side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 the light emitting unit 200 enters the sleep mode relatively later than the light receiving unit 100.
  • the light receiving unit 100 may be in a wake-up state.
  • the light-emitting diode 120 in the light-receiving unit 100 detects a change in the light emission state of the fuselage entrance detection signal of the light-emitting diode 220 in the light-emitting unit 200, so that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body is substantially absent.
  •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kes up the light emitting unit 400 as well as the case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body is not detected during the preset auto-sleep mode entry time. Even when the light receiver 300 enters the sleep mode in the set state, the light emitter 400 is configured to enter the sleep mode together with the light receiver 300.
  • the light emitter 400 recognizes this and is configured to enter the sleep mode together with the light receiver 300. If the light emitter 400 recognizes whether the light receiver 300 enters the sleep mode, and the light receiver 300 enters the sleep mode, the light emitter 400 enters the sleep mode together with the light receiver 300.
  • Various forms or methods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may be applied to the light emitting unit 400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300.
  • FIG 5 illustrates an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the light emitter 400 enters the sleep mode together with the light receiver 300 when the light receiver 300 enters the sleep mode while the light emitter 400 wakes up. Doing.
  • the wireless fuselage entrance detecting apparatus includes a light receiving unit 300 and a light emitting unit 400
  • the light receiving unit 300 includes a motion sensor 310, a light receiving diode 320, a sleeping signal generator 330, And a power control unit 340 and a battery 350
  • the light emitting unit 400 includes a motion sensor 410, a light emitting diode 420, a sleep signal receiving unit 430, a power control unit 440, and a battery 450. ).
  • the motion sensor 310, the light receiving diode 320, and the battery 350 in the light receiving unit 300, the motion sensor 410, the light emitting diode 420, and the battery 450 in the light emitting unit 400 are described above. Since it is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2, the description of these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here.
  • the sleep signal generation unit 330 in the light receiver 300 generates a sleep signal informing the receiver when the light receiver 300 enters the sleep mod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power controller 340.
  • the power control unit 340 in the light receiving unit 300 performs power control so that the light receiving unit 300 enters the sleep mode when the movement of the body is not continuously detected during the preset time of entering the light receiving unit side.
  • the power control unit 340 may allow the sleep signal generator 330 to generate the sleep signal and operate to enter the sleep mode.
  • the sleep signal receiver 430 in the light emitting unit 400 is configured to receive a sleep signal output from the sleep signal generator 330.
  • the power control unit 440 in the light emitting unit 400 not only performs power control to enter the sleeping mode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400 enters the sleep mode when the movement of the body is not detected during the preset time of entering the light emitting unit side.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the battery in the light emitting unit 400 so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400 enters the sleep mode even when a sleep signal is received by the sleep signal receiving unit 430 while the light emitting unit 400 wakes up. Do this.
  • the light receiver 300 and the light emitter 400 may be configured to enter the sleep mode along with the light emitter 400 when the light receiver 300 enters the sleep mode through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sleep signal.
  • the sleep signal generator 330 and the sleep signal receiver 430 are preferably configured to generate and receive a signal of an IR frequency band different from the body entrance detection signal as a sleep signal, respectively.
  • the wireless fuselage access detecting apparatus is configured to use two wireless signals, the body access detection signal and the sleep signal,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n error in detecting the body access due to frequency interference between each other.
  • the sleep signal generator The 330 and the sleep signal receiver 43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nd receive a sleep signal of an IR frequency band of 32 KHz.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light emitter 400 enters the sleep mode together when the light receiver 300 enters the sleep mod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light emitting unit 40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light receiving unit 300 from the light receiving unit 300 even if the light emitting unit side does not yet enter the sleep mode according to the automatic sleeping mode entry time.
  • the user may enter the sleep mode together with the light receiver 300. Accordingly, even if the situation as shown in FIG. 4 occurs in the same manner, no error occurs in the fuselage entrance detection.
  • the light-receiving unit 300 and the light-emitting unit 400 are each individually sleeping mode.
  • the fuselage is incorrectly detected as being in or out of the fuselage, and this possibility may be further reduced.
  •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fference in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side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is not set in the light emitting unit 400.
  • the light receiving unit 30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400 included in the wireless fuselage access detecting apparatus include motion sensors 310 and 410, respectively. Then, the light receiving unit 300 does not detect the movement of the body continuously during the preset time of entering the light receiving unit side automatic sleep mode from the time when the movement of the body through the motion sensor 310, the motion sensor through the power control unit 340 Enter the sleep mode to turn off the power of the remaining components other than 320.
  • the light emitting unit 400 does not set the light emitting unit side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for automatically entering the sleep mode.
  • the light emitting unit 4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400 enters the sleeping mode together when the light receiving unit 300 enters the sleeping mode. In this case,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400 is already operating in the sleep mode, it will be configured to maintain the sleep mode state. If the light emitting unit 400 is in the wake-up state, the light receiving unit 300 enters the sleeping mode.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400 also enters the sleep mode with the light receiving unit 300.
  • the form or the method configured to enter the sleep mode together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 the light emitting unit 400 may recognize that the light receiver 300 enters the sleep mode, and various forms or methods may be applied to enter the sleep mode together.
  • FIG. 7 transmits a sleep signal to the light emitting unit 400 informing the light receiver 300 when the light receiver 300 enters the sleep mo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and goes to sleep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400 receives the sleep signal. The case where it is configured to enter the mode is shown.
  • the light receiver 300 when the light receiver 300 and the light emitter 400 enter the sleep mode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sleep signal, the light receiver 300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the motion sensor 310, the light receiving diode 320, the sleep signal generator 330, the power controller 340, and the battery 350 may be formed.
  • the light emitting unit 400 may also include a motion sensor 410, a light emitting diode 420, a sleep signal receiving unit 430, a power control unit 440, and a battery 450 as shown in FIG. 5. .
  • the operation of the power control unit 440 in the light emitting unit 400 is different.
  • the power control unit 440 in the light emitting unit 400 does not have a preset light emitting unit side automatic sleep mode entry time, a sleep signal is received by the sleeping signal receiving unit 430 while the light emitting unit 400 is awake. If so, it will operate to enter the sleep mode to c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remaining internal components except the motion sensor 410.
  • the light emitting unit 400 may not enter the automatic sleep mode separately, but the light emitting unit 400 also includes the light receiving unit 300 through the sleep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ight receiving unit 300. Since the user can enter the sleep mode, the light receiving unit 30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400 individually prevent the error in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fuselage which may occur when the user wakes up from the sleep mode or enters the sleep mode again. Can be.
  • the sleep signal when used together with the fuselage access detection signal, the signals of different IR frequency bands may be used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wo wireless signals. It is preferable.
  • the sleep signal generating unit 330 in the light receiving unit 300 and the sleep signal receiving unit 430 in the light emitting unit 400 respectively generate and receive signals of IR frequency bands different from the fuselage entrance detection signal as sleep signals. It is preferred to be configured.
  •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technical feature for preventing an error in the entrance detection of the fuselage
  • the light receiving unit (100, 300) is a wake-up in the sleep mode
  • the fuselage entry detection signal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wake-up time it may be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fuselage is in or out only according to the fuselage entrance detection signal received during the remaining wake-up time.
  • the body light entrance detection that is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rom the wake-up point of time. Except for the signal, it may be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body is in or out according to the body entrance detection signal received during the remaining wake-up time.
  • the predetermined time set from the time at which the light receiving parts 100 and 300 wake up is, for example, about 100 ms.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wireless fuselage entrance detecting apparatus including a light receiving unit and a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a body access section, wherein each of the light receiving unit and the light emitting unit includes a motion sensor to move the body. If not detected, the device can be operated in sleep mode to minimize battery consumption.
  •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body entry section substantially does not enter the fuselage entry section, the light-receiving unit and 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generated by entering the sleep mode or wake up to minimize the battery consumption, respectively. It is configured so that little error in detection occurs.
  •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while consuming a minimum of battery, and is configured so that almost no error occurs in the fuselage entrance detection that can be generated regardless of whether the fuselage is in or out.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perform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체 출입 구간의 좌우에 구비되는 수광부와 발광부로 구성되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 및 발광부 각각이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취침 모드로 동작하여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체의 출입 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수광부 및 발광부가 개별적으로 취침 모드에서 웨이크업되거나 다시 취침모드로 진입하면서 나타날 수 있는 동체의 출입 감지상의 오류를 해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본 발명은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게 동체 출입 구간의 좌우에 구비되는 동체출입감지신호 수광부 및 발광부로 구성되고, 상기 수광부 및 발광부 각각이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취침 모드로 동작하여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정대상공간 내에 구비된 전기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공간으로의 무단 침입을 알리기 위해서 동체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는 여러 형태의 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동체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들은 특정대상공간의 출입 구간에서 이동하는 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서 동체출입감지신호를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를 발광하는 발광부가 각각 상기 출입 구간의 좌우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출입 구간을 동체가 통과할 때에 상기 동체에 의해 상기 수광부에 수광되던 동체출입감지신호가 차단되는 것을 이용하여 동체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동체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서, 상기 발광부는 동체출입감지신호를 지속적으로 발광시켜야 하고 상기 수광부 역시 동체출입감지신호를 항시 수광할 수 있도록 동작하여야 한다. 이 때문에,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가 유선을 통해서 전원을 공급받는 형태인 경우에는 전원 공급상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가 무선 장치로 구성되어 각각 구비된 배터리를 통해서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에는 배터리 소모전력을 줄이기 위한 절전 기능이 필요하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02-0069466호(공개일 : 2002.09.04)
본 발명은 동체 출입 구간의 좌우에 구비되는 수광부와 발광부로 구성되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 및 발광부 각각이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취침 모드로 동작하여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체의 출입 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수광부 및 발광부가 개별적으로 취침 모드에서 웨이크업되거나 다시 취침모드로 진입하면서 나타날 수 있는 동체의 출입 감지상의 오류를 해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는 동체출입감지신호를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를 수광하는 수광부가 동체 출입 구간의 좌우에 한 쌍으로 구비된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각각은, 모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부터 기 설정해 놓은 일정 시간동안 계속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모션 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내부 구성들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취침 모드에 진입하며, 상기 수광부에서 상기 취침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서 설정해 놓은 일정 시간은 상기 발광부에서 상기 취침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서 설정해 놓은 시간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광부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도 상기 발광부가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일 실시 예로, 상기 수광부는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때에 이를 알리는 취침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취침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취침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된 취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취침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취침신호 수신부에 취침 신호가 수신되는 때에도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취침신호 발생부 및 취침신호 수신부는 각각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와는 다른 IR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취침신호로 발생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는 동체출입감지신호를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를 수광하는 수광부가 동체 출입 구간의 좌우에 한 쌍으로 구비된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각각 모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광부는,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부터 기 설정해 놓은 일정 시간동안 계속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모션 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내부 구성들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취침 모드에 진입하고, 상기 수광부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발광부가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광부는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때에 이를 알리는 취침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취침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취침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된 취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취침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취침신호 수신부에 취침 신호가 수신되는 때에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취침신호 발생부 및 취침신호 수신부는 각각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와는 다른 IR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취침신호로 발생 및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에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각각은, 취침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취침 모드에서 웨이크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광부는 상기 취침 모드에서 웨이크업되는 경우에, 그 웨이크업된 시점부터 기 설정해 놓은 일정 시간동안에 수광되는 동체출입감지신호는 제외하고 나머지 웨이크업된 시간 동안에 수광되는 동체출입감지신호에 따라서 동체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가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취침 모드로 동작하여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를 구성하는 수광부와 발광부가 각각 배터리 소모 최소화를 위해서 취침 모드로 진입하거나 다시 웨이크업되면서 나타나는 동체 출입 감지 오류를 거의 발생되지 않도록 해 준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최소한의 배터리를 소모하면서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가 동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정확한 동체 출입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가 동체 출입 구간에 구비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가 동체 출입 구간에 구비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은 일 예로, 창문에서의 동체 출입 감지를 위해서 창문의 좌우에 동체출입감지신호를 발광하는 발광부(200)와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를 수광하는 수광부(100)가 한쌍으로 구비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발광부(200)와 수광부(100)는 동체가 창문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진입 또는 창문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진출하는지 여부를 동체출입감지신호의 발광 및 수광을 통해서 감지한다. 그리고, 그 감지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미도시)에 전달해 준다.
그에 따라, 외부 장치는 보안 경비업체와의 연계를 통해서 무단 침입을 방지하거나 대상 공간의 조명 시스템과 연계되어 조명 시스템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발광부(200) 및 수광부(100) 각각은 무선으로 동작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배터리(240,140)를 통해서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발광부(200) 및 수광부(100) 각각은 배터리 소모가 최소가 되도록 동작하거나 구성될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부(100)와 발광부(200) 각각이 모션 센서(110,210)를 구비한다. 그리고, 수광부(100)와 발광부(200)각각은 자신에 구비된 모션 센서(110,210)를 통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취침 모드로 동작하여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광부(100)와 발광부(20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광부(100)는 모션 센서(110), 수광 다이오드(120), 전원 제어부(130), 및 배터리(140)를 포함하고, 발광부(200)는 모션 센서(210), 발광 다이오드(220), 전원 제어부(230), 및 배터리(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광부(100) 및 발광부(200)에 각각 포함된 모션 센서들(110,210)은 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저전력 모션 센서가 바람직하고, 그러한 일 예로 PIR 센서(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일 수 있다.
발광부(200)의 발광 다이오드(220)는 동체출입감지신호를 발광하는 구성으로, IR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동체출입감지신호로 발광할 수 있다.
그리고, 수광부(100)의 수광 다이오드(120)는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를 수광하는 구성으로, 동체가 출입 구간에서 수광부(100)와 발광부(200) 사이로 진입 또는 진출하는 경우 동체에 의해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의 수광이 차단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그에 따라, 수광 다이오드(120)에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가 수광되는 동안에는 하이(H) 레벨의 신호가 감지되다가 동체가 진입 또는 진출하면서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의 수광이 차단되는 동안에는 로우(L) 레벨의 신호가 감지된다. 그리고, 동체가 수광부(100) 및 발광부(200) 사이를 빠져나가면 다시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가 수광되면서 하이(H) 레벨의 신호가 감지된다.
이와 같이, 수광 다이오드(120)를 통해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 그리고 다시 하이 레벨의 신호가 감지되면, 수광부(100)에서는 수광부(100) 및 발광부(200) 사이를 동체가 진입 또는 진출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외부 장치에 무선 모듈(미도시)을 통해 전송한다.
그리고, 수광부(100) 및 발광부(200) 각각에 포함된 전원 제어부들(130,230)은 배터리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구성들이다. 자세하게, 상기 전원 제어부들(130,230)은 각각의 모션 센서들(110,210)을 통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자신이 구비된 수광부(100) 또는 발광부(200)가 각각 취침 모드로 동작하도록 배터리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또한 수광부(100) 및 발광부(200)가 취침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 모션 센서들(110,210)을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각각 개별적으로 취침 모드에서 웨이크업되도록 해 준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 제어부들(130,230)은 취침 모드 시에 모션 센서들(110,210)을 제외한 나머지 내부 구성들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배터리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발광 다이오드(220) 및 수광 다이오드(120)에서의 전력 소모가 매우 큰 편이기 때문에, 수광부(100) 및 발광부(200)의 각 전원 제어부들(130,230)은 모션 센서들(110,210)을 통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취침 모드로 동작하여 모션 센서들(110,210)을 제외한 나머지 내부 구성들의 전원을 차단시켜 배터리 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키고, 취침 모드 상태에서도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모션 센서들(110,210)을 통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다시 웨이크업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전원 제어부들(130,230)을 통해서 발광부(200) 및 수광부(100)가 취침 모드를 진입하는 경우는, 각각 구비된 모션 센서들(110,210)을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부터 기 설정해 놓은 일정 시간 동안 계속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이다. 다시 말해서, 발광부(200) 및 수광부(100) 각각은 모션 센서들(110,210)을 통해서 일정 시간 동안 동체의 움직임이 계속해서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전원 제어부들(130,230)을 통해서 취침 모드로 진입한다. 여기서는, 발광부(200) 및 수광부(100) 각각에서 취침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서 기 설정해 둔 상기 동체의 움직임이 계속해서 감지되지 않는 일정 시간을 발광부측 자동 취침모드 진입 시간 및 수광부측 자동 취침모드 진입 시간으로 지칭하도록 하겠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를 구성하는 발광부(200) 및 수광부(100)는 각각 설정된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 및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 동안에 모션 센서들(110,210)을 통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계속해서 감지되지 않는 경우 취침 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수광부(1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서 기 설정해 놓은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이 발광부(2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서 기 설정해 놓은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는 수광부(100)의 수광 다이오드(120)에 동체출입감지신호가 수광 또는 수광이 차단됨에 따라서 감지되는 신호의 하이 또는 로우 레벨을 통해 동체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동체의 출입 여부와 상관없이, 수광부(100) 및 발광부(200)가 각각 취침 모드로 진입하였다가 다시 웨이크업 되는 경우, 발광부(200)의 발광 다이오드(220)에서 동체출입감지신호의 발광 동작이 멈추었다가 다시 수행되기 때문에 수광부(100)의 수광 다이오드(120)에 동체출입감지신호가 수광되는 상태에 변동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동체의 출입이 있는 것으로 출입 감지상에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동체의 출입 여부와 무관하게 수광부(100) 및 발광부(200) 각각이 취침 모드에서 웨이크업되거나 다시 취침모드로 진입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상기와 같은 동체의 출입 감지상의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이 상기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수광부(100)는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취침 모드에서 웨이크업되고 발광부(200)에 비해 짧은 시간 동안에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바로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수광부(100)가 취침 모드로 동작할 경우에는 발광부(2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거나 다시 웨이크업되면서 발광 다이오드(220)에서 동체출입감지신호의 발광 상태에 변경이 발생되더라도 수광부(100)의 수광 다이오드(120)가 이를 감지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은 동체 출입 감지상에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으로,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이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보다 긴 경우를 일 예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살펴보면, 우선 발광부(200)가 모션 센서(210)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을 먼저 감지하여 취침 모드에서 웨이크업되고, 수광부(100)는 일정 시간 지난 후 웨이크업된 경우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이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보다 더 길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광부(100)의 수광 다이오드(120)가 동체출입감지신호를 수광하여 동체 출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상태에서, 발광부(200)는 상기 설정해 놓은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동안 동체의 움직임이 계속해서 감지되지 않아서 취침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발광부(200)는 수광부(1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기 이전에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서 웨이크업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수광부(100)는 웨이크업되고 다시 취침 모드로 진입하기 전까지 수광 다이오드(120)를 통해 감지되는 동체출입감지신호의 수광 상태가 수광되었다가 수광이 차단되었다가 다시 수광되는 형태, 즉 신호가 하이(H) 레벨에서 로우(L) 레벨, 그리고 다시 하이(H) 레벨로 감지되면서 실질적으로 동체가 출입하지 않았지만 동체가 출입한 것으로 동체 출입 감지상에 오류가 발생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체 출입 감지상에 오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에에 따르면,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이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보다 가능한 짧게 설정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이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에 비해 짧은 경우에는, 도 3에서 발광부(200)가 다시 웨이크업 되는 때에 이미 수광부(100)가 취침 모드 상태일 것이기 때문에 발광부(200)에서 발광된 동체출입감지신호를 수광하지 못하여, 결국 동체 출입 감지상에 오류는 발생되지 않을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이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보다 짧게 설정된 경우라 할지라도 발생 가능한 동체 출입 감지상의 오류까지도 발생되지 않게 하는 구성을 가진다.
우선, 도 4를 살펴보면,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이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보다 가능한 짧게 설정된 경우일지라도 발생될 수 있는 동체 출입 감지상에 오류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부(100)가 두번째 웨이크업된 상태에서 발광부(200)가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에 따라 취침 모드로 진입하고 발광부(200)에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서 발광부(200)가 다시 웨이크업되는 경우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수광부(100)가 두번째 웨이크업된 상태에서 다시 취침 모드로 진입하기 전까지의 시간 동안 발광부(200)의 발광 다이오드(220)에서 동체출입감지신호의 발광 상태에 변경이 발생되고 그에 따라 수광부(100)의 수광 다이오드(120)에는 동체출입감지신호가 수광되어 하이(H) 레벨의 신호가 감지되었다가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의 수광이 차단되면서 로우(L) 레벨의 신호가 감지되고 다시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가 수광되어 하이(H) 레벨의 신호가 감지될 것이다.
결국, 비록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이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보다 가능한 짧게 설정되었다고 하더라도, 수광부(100) 및 발광부(200)가 각각 개별적으로 취침 모드로 진입 및 웨이크업되면서 도 4에 도시된 경우와 같이 동체 출입에 무관하게 동체가 출입된 것으로 잘못 감지되는 경우가 발생될 소지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이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보다 짧게 설정한다는 특징 이외에도,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동안 동체의 움직임이 계속해서 감지되지 않는 경우나 발광부(400)가 웨이크업된 상태에서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게 되는 경우에 발광부(4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을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보다 길게 설정해 놓고, 발광부(400)의 취침 모드 진입이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 동안 동체가 움직임이 계속해서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만 수행되도록 구성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200)에서 수광부(100)보다 비교적 늦은 취침 모드로의 진입 동작이 수행되게 됨으로써 발광부(2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때에 수광부(100)가 다시 웨이크업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그로 인해 발광부(200) 내 발광 다이오드(220)의 동체출입감지신호의 발광 상태 변경을 수광부(100) 내 수광 다이오드(120)가 감지하여 실질적으로 동체의 출입이 존재하지 않지만 동체의 출입이 있는 것으로 감지 오류를 발생시킬 여지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이러한 감지 오류도 발생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기 설정해 놓은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동안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뿐만 아니라 발광부(400)가 웨이크업된 상태에서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게 되는 경우에도 발광부(400)가 수광부(300)와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할 경우 발광부(400)가 이를 인식하여 수광부(300)와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형태나 방식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발광부(400)가 수광부(300)의 취침 모드 진입 여부를 인식하여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 발광부(400)가 수광부(300)와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나 방식이 발광부(400) 및 수광부(300)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발광부(400)가 웨이크업된 상태에서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할 경우 발광부(400)가 수광부(300)와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는 수광부(300) 및 발광부(400)를 포함하고, 수광부(300)는 모션 센서(310), 수광 다이오드(320), 취침 신호 발생부(330), 전원 제어부(340), 및 배터리(350)를 포함하고, 발광부(400)는 모션 센서(410), 발광 다이오드(420), 취침 신호 수신부(430), 전원 제어부(440), 및 배터리(450)를 포함한다.
수광부(300) 내 모션 센서(310), 수광 다이오드(320), 및 배터리(350)와, 발광부(400) 내 모션 센서(410), 발광 다이오드(420), 및 배터리(450)에 대해서는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 생략하도록 하겠다.
수광부(300) 내 취침신호 발생부(330)는 전원 제어부(340)의 동작을 통해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때에 이를 알리는 취침 신호를 발생시킨다.
수광부(300) 내 전원 제어부(340)는 기 설정해 놓은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동안 동체의 움직임이 계속해서 감지되지 않는 경우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에 진입하도록 전원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전원 제어부(340)는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할 때에 취침신호 발생부(330)에서 상기 취침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은 허용하고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동작할 수 있을 것이다.
발광부(400) 내 취침신호 수신부(430)는 상기 취침 신호 발생부(330)에서 출력된 취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구성이다.
발광부(400) 내 전원 제어부(440)는 기 설정해 놓은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동안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발광부(400)가 취침 모드에 진입하도록 전원 제어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발광부(400)가 웨이크업된 상태에서 상기 취침신호 수신부(430)에 취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도 발광부(4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발광부(400) 내 배터리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수광부(300)와 발광부(400)는 취침 신호 송수신을 통해서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할 경우 발광부(400)도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취침신호 발생부(330) 및 취침신호 수신부(430)는 각각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와는 다른 IR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취침신호로 발생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에서 2개의 무선 신호인 동체출입감지신호 및 취침신호를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서로 간에 주파수 간섭이 발생되어 동체 출입을 감지하는데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일 예로, 발광부(400) 내 발광 다이오드(420) 및 수광부(300) 내 수광 다이오드(320)는 38KHz 의 IR 주파수 대역의 동체출입감지신호를 발광 및 수광하도록 구성되는 반면에, 취침신호 발생부(330) 및 취침신호 수신부(430)는 32KHz의 IR 주파수 대역의 취침신호를 발생 및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 발광부(400)가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발광부(400)는 비록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에 따라서는 아직 취침 모드에 진입하는 때가 아닐지라도 수광부(300)로부터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에 진입한다는 것을 알리는 취침 신호를 전송받게 되는 경우에 수광부(300)와 함께 취침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황이 동일하게 발생될지라도 동체 출입 감지상에 오류는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이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보다 가능한 짧게 설정되었다고 하더라도, 수광부(300) 및 발광부(400)가 각각 개별적으로 취침 모드로 진입 및 웨이크업되면서 동체 출입에 무관하게 동체가 출입된 것으로 잘못 감지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가능성도 훨씬 줄어들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실시 예와 비교해 보았을 때에,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 예는 발광부(400)에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이 설정되지 않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에 포함된 수광부(300)와 발광부(400)는 각각 모션 센서(310,410)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수광부(300)는 모션 센서(310)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수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 동안에 계속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전원 제어부(340)를 통해 모션 센서(320)를 제외한 나머지 내부 구성들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취침 모드에 진입한다.
이에 반해, 발광부(400)는 자동적으로 취침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이 따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 다만, 발광부(400)는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 발광부(400)가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발광부(400)가 이미 취침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취침 모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구성될 것이며, 발광부(400)가 웨이크업 된 상태인 경우에는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발광부(400) 역시 수광부(300)와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라 발광부(400)과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형태나 방식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광부(400)가 수광부(300)의 취침 모드 진입을 인식하여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나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 따라서 수광부(300)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때에 이를 알리는 취침 신호를 발광부(400)로 전송하고 발광부(400)가 이 취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 예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침 신호를 통해 수광부(300)와 발광부(400)가 동시에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수광부(300)는 도 5에서 살펴본 바와 동일하게 모션 센서(310), 수광 다이오드(320), 취침신호 발생부(330), 전원 제어부(340), 및 배터리(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발광부(400) 역시 도 5에서 살펴본 바와 동일하게 모션 센서(410), 발광 다이오드(420), 취침신호 수신부(430), 전원 제어부(440) 및 배터리(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도 5를 참조하여 앞서 살펴본 내용과 비교해 보았을 때에, 발광부(400) 내 전원 제어부(440)의 동작에는 차이가 있다.
발광부(400) 내 전원 제어부(440)는 기 설정해 놓은 발광부측 자동 취침 모드 진입 시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발광부(400)가 웨이크업된 상태에서 취침신호 수신부(430)에 취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모션 센서(410)를 제외한 나머지 내부 구성들에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취침 모드에 진입하도록 동작할 것이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400)가 별도로 자동 취침 모드로 진입할 수는 없으나 수광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취침 신호를 통해서 발광부(400)도 수광부(300)와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할 수 있기 때문에, 수광부(300) 및 발광부(400)가 개별적으로 취침 모드에서 웨이크업되거나 다시 취침모드로 진입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동체의 출입 감지상의 오류가 거의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도, 앞서 살펴본 제2 실시 예와 동일하게 취침 신호를 동체출입감지신호와 함께 이용하는 경우에는 2 개의 무선 신호 간에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IR 주파수 대역의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수광부(300) 내 취침신호 발생부(330)와 발광부(400) 내 취침신호 수신부(430)는 각각 동체출입감지신호와는 다른 IR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취침 신호로 발생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 내지 제3 실시 예는, 동체의 출입 감지상의 오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또 다른 기술적 특징으로, 수광부(100,300)가 취침 모드에서 웨이크업되는 경우에 그 웨이크업된 시점부터 기 설정해 놓은 일정 시간 동안에 수광되는 동체출입감지신호는 제외하고 나머지 웨이크업된 시간 동안에 수광되는 동체출입감지신호에 따라서만 동체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수광부(100,300)가 취침 모드에서 웨이크업되자마자 초기 일정 시간 동안은 수광 다이오드(120,320)로의 동체출입감지신호의 수광 상태가 불안정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수광부(100,300)에서 상기 초기 일정 시간 동안에 불안정한 동체출입감지신호의 수광 상태를 고려하여 동체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동체가 실질적으로 출입하지 않았지만 출입한 것으로 잘못 감지할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수광부(100,300)는 모션 센서(110,310)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어 취침 모드에서 웨이크업되는 경우, 그 웨이크업된 시점부터 기 설정해 놓은 일정 시간 동안에 수광되는 동체출입감지신호는 제외하고 나머지 웨이크업된 시간 동안에 수광되는 동체출입감지신호에 따라서 동체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광부(100,300)가 웨이크업 된 시점부터 기 설정해 놓은 일정 시간은 일 예로, 대략 100 ms 정도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동체 출입 구간의 좌우에 구비되는 수광부와 발광부로 구성되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 및 발광부 각각이 모션 센서를 구비하여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취침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동체 출입 구간을 실질적으로 동체가 출입하지 않은 경우라 할지라도, 수광부와 발광부가 각각 배터리 소모 최소화를 위해서 취침 모드로 진입하거나 다시 웨이크업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동체 출입 감지상의 오류가 거의 나타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최소한의 배터리를 소모하면서 동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체 출입 여부와 무관하게 발생될 수 있는 동체 출입 감지상에 오류가 거의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보다 정확한 동체 출입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300 : 수광부
200,400 : 발광부
110, 210, 310, 410 : 모션 센서
120, 320 : 수광 다이오드
130, 230, 340, 440 : 전원 제어부
140, 240, 350, 450 : 배터리
220, 420 : 발광 다이오드
330 : 취침신호 발생부
430 : 취침신호 수신부

Claims (9)

  1. 동체출입감지신호를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를 수광하는 수광부가 동체 출입 구간의 좌우에 한 쌍으로 구비된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각각은, 모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부터 기 설정해 놓은 일정 시간동안 계속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모션 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내부 구성들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취침 모드에 진입하며,
    상기 수광부에서 상기 취침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서 설정해 놓은 일정 시간은 상기 발광부에서 상기 취침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서 설정해 놓은 시간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도 상기 발광부가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때에 이를 알리는 취침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취침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취침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된 취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취침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취침신호 수신부에 취침 신호가 수신되는 때에도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취침신호 발생부 및 취침신호 수신부는 각각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와는 다른 IR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취침신호로 발생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5. 동체출입감지신호를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를 수광하는 수광부가 동체 출입 구간의 좌우에 한 쌍으로 구비된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각각 모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광부는,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부터 기 설정해 놓은 일정 시간동안 계속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모션 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내부 구성들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취침 모드에 진입하고,
    상기 수광부가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발광부가 함께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취침 모드로 진입하는 때에 이를 알리는 취침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취침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취침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된 취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취침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취침신호 수신부에 취침 신호가 수신되는 때에 취침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취침신호 발생부 및 취침신호 수신부는 각각 상기 동체출입감지신호와는 다른 IR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취침신호로 발생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8. 제1 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각각은, 취침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취침 모드에서 웨이크업되도록 구성되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상기 취침 모드에서 웨이크업되는 경우에, 그 웨이크업된 시점부터 기 설정해 놓은 일정 시간동안에 수광되는 동체출입감지신호는 제외하고 나머지 웨이크업된 시간 동안에 수광되는 동체출입감지신호에 따라서 동체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PCT/KR2017/004042 2016-04-20 2017-04-14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WO201718386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343 2016-04-20
KR1020160048343A KR101931797B1 (ko) 2016-04-20 2016-04-20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83861A1 true WO2017183861A1 (ko) 2017-10-26

Family

ID=60116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4042 WO2017183861A1 (ko) 2016-04-20 2017-04-14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1797B1 (ko)
WO (1) WO20171838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9442B (zh) * 2020-09-10 2023-06-09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用于数据监测的方法及装置、传感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068Y1 (ko) * 2000-11-28 2001-05-02 낙원개발주식회사 방범 창호 시스템
US20060043208A1 (en) * 2004-08-21 2006-03-02 Graham Glen G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ation to wireless remote control of irrigation valves from existing hardwired control devices
KR100753086B1 (ko) * 2006-03-16 2007-08-31 조갑훈 인체감지를 통한 절전장치
KR20090072746A (ko) * 2007-12-28 2009-07-02 비경시스템주식회사 창문형 적외선 감지장치
KR20090107106A (ko) * 2008-04-08 2009-10-13 주식회사 세명전자 옥외용 외곽 경계 침입 감지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068Y1 (ko) * 2000-11-28 2001-05-02 낙원개발주식회사 방범 창호 시스템
US20060043208A1 (en) * 2004-08-21 2006-03-02 Graham Glen G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ation to wireless remote control of irrigation valves from existing hardwired control devices
KR100753086B1 (ko) * 2006-03-16 2007-08-31 조갑훈 인체감지를 통한 절전장치
KR20090072746A (ko) * 2007-12-28 2009-07-02 비경시스템주식회사 창문형 적외선 감지장치
KR20090107106A (ko) * 2008-04-08 2009-10-13 주식회사 세명전자 옥외용 외곽 경계 침입 감지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797B1 (ko) 2018-12-21
KR20170119969A (ko) 2017-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03409A1 (ko) 부가기능 확장형 화재감지기
WO2018207997A1 (ko) 오경보 방지를 위해 복수의 센서그룹을 가진 화재감지장치
WO2014042393A1 (ko) 다중 센서를 이용한 출입 카운트 장치 및 방법
WO2017135652A1 (ko) 조명 겸용 화재감지장치
WO2010064860A4 (ko) 조명등의 그룹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1027983A2 (ko) 도트 조명을 이용한 영상 침입 감지 시스템 및 방법
WO2013081286A1 (ko) 모션감지센서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059439A1 (ko) 재난경보 및 재난훈련 기능을 구비한 엘이디 조명등 시스템
WO2013151346A1 (ko) 출입 방향 인식 카운팅 장치 및 그 방법
US20100244569A1 (en) Fluorescent form factor lighting module with wireless alternating current detection system
WO2017183861A1 (ko)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WO2017122960A1 (ko) 도어벨 장치 및 그의 전원 공급 방법
KR100975480B1 (ko) 열선 무선 송신기 및 무선 수신기
WO2014092259A1 (ko) 무선충전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0981449B1 (ko) 무선 경비 장치 및 방법
WO2018230758A1 (ko) 외곽경계용 침입탐지센서, 그를 이용한 외곽경계시스템 및 외곽경계방법
WO2010117742A2 (en) Lighting module with wireless alternating current detection system
WO2018203606A1 (ko) 사물중계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iot 시스템
WO2017119699A1 (ko) 도어벨 장치 및 그의 전원 공급 방법
WO2021006492A1 (ko) 리모컨 통신을 이용한 절전 제어시스템
WO2012141446A2 (ko) Led조명용 ac-dc컨버터의 제어기
JP2006222053A (ja) ネットワーク照明器具
KR100690402B1 (ko) 알에프 시스템을 이용한 전원 공급 점검 장치
WO2018230839A1 (ko)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방법
WO2023080316A1 (ko) 저가로 구현이 가능한 휘도 측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861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7861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