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7694A -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7694A
KR20170117694A KR1020160045426A KR20160045426A KR20170117694A KR 20170117694 A KR20170117694 A KR 20170117694A KR 1020160045426 A KR1020160045426 A KR 1020160045426A KR 20160045426 A KR20160045426 A KR 20160045426A KR 20170117694 A KR20170117694 A KR 20170117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window
smartphone
cradle
hinged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3374B1 (ko
Inventor
이석원
한상필
Original Assignee
이석원
한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원, 한상필 filed Critical 이석원
Priority to KR1020160045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374B1/ko
Publication of KR20170117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케이스에 부착하는 크래들에 사용이 편리한 여닫이창을 구비하여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에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는 카메라 여닫이 찬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과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부에는 내창이 구비된 내측케이스; 상기 내측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내창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외창이 구비된 외측케이스; 상기 내측케이스와 상기 외측케이스의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여닫이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케이스{CRADLE AND CASE FOR SMARTPHONES WITH WINDOW}
본 발명은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케이스에 부착하는 크래들에 사용이 편리한 여닫이창을 구비하여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에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는 카메라 여닫이 찬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과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고가의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이 보급됨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케이스도 등달아 많이 출시되면서 하나의 큰 산업을 이루고 있다. 최근에 출시되는 스마트폰은 단순히 통신기능을 떠나서 다양한 기능이 통합된 고가의 장비이며, 특히 최근에 출시되는 스마트폰은 고가의 대형 액정화면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특성상 떨어뜨리거나 부딪혀서 기기 자체나 액정화면이 파손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스마트폰의 출시 주기가 짧아지고 개성을 중요시하는 소비자들이 많아짐에 따라 스마트폰용 케이스의 라이프사이클도 점점 짧아지고 다양한 디자인의 스마트폰용 케이스가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은 스마트폰용 케이스를 생산하는 입장에서 많은 어려움을 야기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스마트폰은 그 특성상 기본적인 형상이 동일하다. 따라서 케이스의 형상도 사용형태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되지만, 동일한 카테고리 내에서의 기본형상은 유사하다. 하지만, 스마트폰은 모델이나 제조사에 따라 카메라의 위치나 스피커의 위치 등에 있어서 다소의 차이가 있으며, 이는 새로운 모델이 출시될 때마다 새로운 케이스를 만들어야 하고, 이를 위하여 새로운 금형을 만들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스마트폰의 중요한 기능인 카메라는 모델에 따라 그 크기나 모양 및 설치위치가 달라지는 경우가 많은데, 소비자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 케이스라도 카메라 위치 등의 변화에 따라 항상 새롭게 리모델링하거나 리디자인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464076 Y1 KR 20-0467895 Y1 KR 20-0433625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폰용 케이스에 다양한 다양한 모델의 스마트폰에 부착된 카메라 위치를 모두 포괄할 수 있는 케이스 창을 만들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케이스 창에 대응하는 여닫이창이 구비된 크래들을 구비하여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에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크래들에 여닫이창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카메라도 보호할 수 있고, 여닫이창의 후면에는 거울과 같은 액세서리를 구비하여 다양한 기능과 미적 감각을 제공할 수 있는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부에는 내창이 구비된 내측케이스; 상기 내측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내창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외창이 구비된 외측케이스; 상기 내측케이스와 상기 외측케이스의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여닫이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여닫이문의 일측면 상부에는 손잡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외측케이스의 외창 하부테두리에는 하부로 함몰된 파지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가운데 부분이 하부로 돌출되도록 라운드지게 구성되고, 상기 외측케이스의 외창 하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대응하는 곡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파지홈은 상기 외창의 하부 중 일부가 함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여닫이문을 아래로 내리면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외측케이스의 외창 하부가 대면하면서 상기 파지홈에 의하여 상기 외창 하부와 상기 손잡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여닫이문의 측면에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여닫이문의 하부 양 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케이스는, 스마트폰이 부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스마트폰을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폰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는 개방창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면에는 스마트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부에는 내창이 구비된 내측케이스; 상기 내측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내창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외창이 구비된 외측케이스; 상기 내측케이스와 상기 외측케이스의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여닫이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케이스에 의하면 케이스창 및 크래들창이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카메라의 크기와 위치가 서로 다른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에 공동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크래들창의 여닫이문을 닫으면 카메라가 가려지기 때문에 상기 카메라가 충격 등으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보호할 수 있으며, 여닫이문의 후면에는 거울을 부착하여 상기 여닫이문이 닫힌 상태에서는 거울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의 분해사시도 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의 분해사시도의 정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의 분해사시도 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의 분해사시도의 정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케이스는, 케이스(200)와 상기 케이스(200)의 베이스부(230) 내측면에 구비되는 크래들(100)로 구성된다. 케이스(200)는 베이스부(230)와 덮개부(250)로 구성된다. 케이스(200)를 구성하는 베이스부(230)와 덮개부(250)는 종래에 지갑형 스마트폰용 케이스(200)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공지의 기술이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200)는 베이스부(230)의 상부에 개방창(210)이 구비된다. 개방창(210)은 후술하여 설명할 크래들(100)의 내창(113) 및 외창(133)에 대응하는 크기로 구성된다. 개방창(210)의 구체적인 크기와 기능 및 크래들(100)과의 관계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크래들(100)은 내측케이스(110)와 외측케이스(130) 및 상기 내측케이스(110)와 외측케이스(130) 사이에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여닫이문(1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내측케이스(110)는 스마트폰(27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대응하는 형상이란 내측케이스(110)에 스마트폰(270)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과 유사한 크기와 형상을 말한다. 스마트폰(270)은 세부적인 디자인은 다양하지만 몇 종류의 일정한 크기로 구성되며, 이는 스마트폰(270)의 화면크기에 의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래들(100)은 내측케이스(110)의 타면이 스마트폰(270)의 후면에 부착하거나 상기 내측케이스(110)의 타면 또는 그 테두리에 상기 스마트폰(270)이 장착되면서 결합할 수 있는 별도의 케이스나 고정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270)을 내측케이스(110)의 타면에 고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고정방법은 공지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크래들(100)은, 스마트폰(270)을 내측케이스(110)의 타면에 부착하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폰(270)을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내측케이스(110) 또는 크래들(100)이 상기 스마트폰(270)에 최대한 가려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외관상 바람직하다. 따라서 내측케이스(110) 또는 크래들(100)의 전체 크기는 스마트폰(27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스마트폰(270)과 동일하거나 다소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케이스(110)의 상부에는 내창(113)이 구비된다. 내창(113)은 후술하여 설명할 여닫이문(150) 및 외측케이스(130)에 의하여 스마트폰(270)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290)가 가려지거나 노출되도록 하는 창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카메라(290)의 형상과 크기보다 크면 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100)은 특정한 모델의 스마트폰(270)에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270)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내창(113)의 크기는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270)을 부착하더라도 카메라(290)가 상기 내창(113)의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크게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마트폰(270)의 카메라(290)는 모델에 따라 크기와 위치에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상기 스마트폰(270)의 후면 상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크래들(100)의 내창(113)은 폭 방향으로는 내측케이스(110)의 테두리와 최대한 인접하게 하고, 길이 방향으로는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1/4~1/2 정도의 크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정도의 길이로 구성되도록 한다. 이는 후술하여 설명할 여닫이문(150)이 움직이는 길이와 상기 여닫이문(150)의 후면에 거울(155) 등과 같은 부가적인 구성이나 장식을 부착하는 동시에, 모델에 따라 다양한 위치와 크기로 구성되는 카메라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외측케이스(130)는 내측케이스(110)와 대면하여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내측케이스(110)의 형상과 기본적으로 유사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외측케이스(130)는 스마트폰(27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부에는 내창(113)에 대응하는 위치에 외창(133)이 구비된다. 외창(133)은 내창(113)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외창(133)은 하부테두리에 파지홈(131)이 구비된다. 파지홈(131)은 외창(133)의 하부테두리 일부가 하부로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여닫이문(150)을 편리하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파지홈(131)의 역할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파지홈(131)은 외창(133)의 하부테두리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하여 설명한 내창(113)과 외창(133)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하트모양이나 둥근모양 등과 같이 디자인적인 특성을 살려서 다양하게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하여 설명한 내측케이스(110)는 일측면 테두리에 결합부가 구비되며, 외측케이스(130)는 타측면 테두리에 결합부가 구비된다. 그리하여 내측케이스(110)와 외측케이스(130)의 결합부를 결합하면 내측에 얇은 공간이 형성되면서 결합 되고, 내창(113)과 외창(133)은 최소한 상부 및 양측 테두리가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서로 연통한다. 외측케이스(130)의 하부테두리는 전술하여 설명한 파지홈(131)이 형성되고, 가운데로 갈수록 하부로 완만하게 함몰되면서 라운드 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여닫이문(150)을 닫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닫이문(150)은 내측케이스(110)와 외측케이스(130)의 사이 공간에 구비되어 상하방향(도면을 기준으로 한 방향표시임, 이하 동일)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여닫이문(150)을 상부로 올리면 내창(113)과 외창(133) 사이에 상기 여닫이문(150)이 위치하여 닫히게 되고, 상기 여닫이문(150)을 하부로 내리면 내창(113)과 외창(133)이 열리게 된다. 여닫이문(150)은 폭방향이 내측케이스(110)와 외측케이스(130) 사이의 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길이방향으로는 최소한 내창(113) 및 내창(113)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여닫이문(15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닫이문(150)의 일측면 상부에는 손잡이부(15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부(153)는 여닫이문(150)을 열거나 닫을 때 사용한다. 손잡이부(153)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에 적절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여닫이문(150)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하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조라면 세부적인 형상은 다양한 설계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손잡이부(153)는 여닫이문(150)의 상부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구비되되, 가운데 부분이 하부로 돌출되도록 완만하게 라운드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하여 설명한 외측케이스(130)의 외창(133) 하부도 여닫이문(150)의 손잡이부(153)에 대응하는 곡선으로 구성되며, 전술하여 설명한 파지홈(131)은 외창(133) 하부 중 일부가 하부로 함몰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여닫이문(150)을 개방할 때 손잡이부(153)가 외측케이스(130) 하부에 걸려서 특정 위치 이상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손잡이부(153)와 외창(133)의 하부가 밀착하도록 하며, 외창(133)과 내창(113)의 넓이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함이다.
한편, 여닫이문(150)의 일측면으로 전술하여 설명한 손잡이부(153)의 하부 공간에는 손거울(155)(15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여닫이문(150)을 닫으면 손거울(155)(155)이 외창을 통하여 노출되어 사용자가 간단히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여성의 경우에 손거울(155)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필수품이라고 할 수 있으며, 상당수의 여성이 거울이 없는 경우에 스마트폰의 전면카메라를 켜서 모니터를 거울처럼 사용한다. 하지만, 카메라를 켜서 보는 것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베터리를 소모하여야 하고, 거울(155)의 반사 이미지보다 깨끗한 영상을 제공하기 어렵다. 따라서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즉 여닫이문(150)을 닫은 상태에서는 상기 여닫이문(150)의 일면에 부착된 거울(155)을 활용할 수 있다. 거울(155)은 반사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의 다양한 종류와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케이스는 항상 휴대하여야 하기 때문에 낙하시 파손의 우려가 있고, 여닫이문(150)은 외측케이스(130)와 내측케이스(110)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필름형 거울(155)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크래들(100)은 여닫이문(150)이 부드럽게 열리면서도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크래들은 여닫이문(150)의 측면 가장자리 중 어느 한 부분에 탄성부재(1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115)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닫이문(150)의 양 측면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115)는 여닫이문(150)의 외측면으로 가볍게 돌출되면서 탄성력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외측케이스(130)와 내측케이스(110)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할 때 크래들(100)의 내측면을 가볍게 가압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외력을 제거하면 여닫이문(150)이 그 자리에 멈추게 된다. 그리고 탄성부재(115)에 의하여 여닫이문(150)과 크래들(100) 사이의 접촉면적이 작아져서 부드럽게 이동하게 된다.
다만, 상기와 같은 구성의 탄성부재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한 위치에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여닫이문(150)의 일측면과 외측케이스(130)의 타측면 사이에 판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케이스는 베이스부(230)의 타측면(내측면)에 외측케이스(130)의 일측면이 대면하도록 부착하여 여닫이문(150)의 손잡이부(153)가 개방창(210)의 외측에서 보이는 구조가 된다. 이때, 외측케이스(130)의 외창(133)이 케이스(200)의 개방창(210)에 대응하도록 하여 부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케이스는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소비자에게 제공되며, 소비자는 본인의 스마트폰 후면을 내측케이스(110)의 타측면에 대면하도록 하여 부착하거나 장착한다. 케이스(200)의 개방창(210)과 외창(133) 및 내창(113)은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 크기의 1/3정도를 차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모델이 다르고, 카메라의 위치가 달라도 대부분의 스마트폰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사용자는 카메라(29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여닫이문(150)을 올려서 상기 카메라(290)를 숨길 수 있다. 그리고 여닫이문(150)을 닫으면 표면에 있는 거울(155)이 개방창(210)에 위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카메라(29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여닫이문(150)을 항시 개방하여 둘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가 여닫이문(150)의 손잡이를 내리면 카메라(290)가 개방되어 촬영을 할 수 있다. 여닫이문(150)은 카메라(290)를 보호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크래들
110: 내측케이스
113: 내창
130: 외측케이스
131: 파지홈
133: 외창
150: 여닫이문
153: 손잡이부
155: 거울
200: 케이스
210: 개방창
130: 베이스부
150: 덮개부

Claims (7)

  1. 스마트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부에는 내창이 구비된 내측케이스;
    상기 내측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내창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외창이 구비된 외측케이스;
    상기 내측케이스와 상기 외측케이스의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여닫이문;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닫이문의 일측면 상부에는 손잡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측케이스의 외창 하부테두리에는 하부로 함몰된 파지홈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마트폰용 크래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가운데 부분이 하부로 돌출되도록 라운드지게 구성되고, 상기 외측케이스의 외창 하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대응하는 곡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파지홈은 상기 외창의 하부 중 일부가 함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여닫이문을 아래로 내리면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외측케이스의 외창 하부가 대면하면서 상기 파지홈에 의하여 상기 외창 하부와 상기 손잡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크래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닫이문의 측면에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크래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여닫이문의 하부 양 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크래들.
  7. 스마트폰이 부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스마트폰을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폰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는 개방창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면에는 스마트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부에는 내창이 구비된 내측케이스; 상기 내측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내창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외창이 구비된 외측케이스; 상기 내측케이스와 상기 외측케이스의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여닫이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이 상기 외창과 상기 개방창이 대응하도록 하여 부착되는 스마트폰용 케이스.
KR1020160045426A 2016-04-14 2016-04-14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케이스 KR101793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426A KR101793374B1 (ko) 2016-04-14 2016-04-14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426A KR101793374B1 (ko) 2016-04-14 2016-04-14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694A true KR20170117694A (ko) 2017-10-24
KR101793374B1 KR101793374B1 (ko) 2017-11-03

Family

ID=6029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426A KR101793374B1 (ko) 2016-04-14 2016-04-14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3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544B1 (ko) * 2017-11-22 2019-05-23 유의훈 스마트폰 몰래카메라 방지를 위한 카메라 덮개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KR102048237B1 (ko) * 2019-02-13 2019-11-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렌즈보호 및 여성안심용 핸드폰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236B1 (ko) 2013-05-22 2014-02-03 김대인 카메라 노출이 가능하면서 스마트폰을 휴대가능한 장지갑.
KR200480407Y1 (ko) * 2015-03-06 2016-05-20 손성현 카메라 노출공의 슬라이드 덮개를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544B1 (ko) * 2017-11-22 2019-05-23 유의훈 스마트폰 몰래카메라 방지를 위한 카메라 덮개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KR102048237B1 (ko) * 2019-02-13 2019-11-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렌즈보호 및 여성안심용 핸드폰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374B1 (ko) 2017-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40557B1 (en) Composite shaft assembly, multi-function keyboard, and tablet computer external component
KR101191867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60260Y1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KR101196608B1 (ko) 휴대폰 케이스
ITMI20110127U1 (it) Custodia per un dispositivo elettronico di tipo tablet, in particolare un tablet computer
KR101718084B1 (ko) 액정화면 보호필름 부착장치
KR200381964Y1 (ko) 덮개 일부가 슬라이딩 개폐되는 휴대폰 단말기용보호케이스
KR20190030111A (ko)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
KR101793374B1 (ko)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케이스
KR200468119Y1 (ko) 슬라이드 입출 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JP2016040898A (ja) 保護ケース
KR20200130901A (ko)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EP3046262A1 (en) Protector attatching case for mobile terminal
KR20130007175U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20130053681A (ko) 휴대전화 카메라용 렌즈보호장치
KR200468049Y1 (ko) 휴대단말기용 방수케이스
KR101687269B1 (ko) 휴대폰 커버구조체
KR200481246Y1 (ko) 슬라이딩 휴대전화 케이스
KR200478502Y1 (ko) 카메라 보호용 핸드폰 보호케이스
KR101331154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0467895Y1 (ko) 표시창 보호 부재를 구비한 수첩형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81933Y1 (ko) 링끼움구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US20070263350A1 (en) Protective apparatus for a portable device
KR200464932Y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1556061B1 (ko) 내부 케이스가 구비된 지갑 겸용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