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6475A - 유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6475A
KR20170116475A KR1020160044290A KR20160044290A KR20170116475A KR 20170116475 A KR20170116475 A KR 20170116475A KR 1020160044290 A KR1020160044290 A KR 1020160044290A KR 20160044290 A KR20160044290 A KR 20160044290A KR 20170116475 A KR20170116475 A KR 20170116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eed oil
oil
osteoporosis
extr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수일
이동은
황교열
이재연
박영식
김민후
김용현
장미란
송인규
박용일
이창원
신주희
조사랑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토피아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토피아,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바이오토피아
Priority to KR1020160044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6475A/ko
Publication of KR20170116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4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치료용 조성물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유차씨 오일 부산물을 용매와 혼합하여 추출한 유차씨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추출물은 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며 파골세포의 분화를 억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골다공증의 치료 및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OSTEOPOROSIS COMPRISING EXTRACTS OF CAMELLIA OLEIFERA SEED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유차씨 추출물의 골다공증 치료용도에 관한 것이다.
유차나무(Camellia oleifera)는 아열대 지역에서 많이 생산되는 식물로써, 해발고도 1,300 m의 덤불숲, 시냇가, 구릉지대 등에서 자생하는 상록관목으로 높이는 약 10 내지 20피트이다. 톱니가 있는 타원형 또는 사각난형으로 약 3 ㎝ 크기의 잎을 가지며, 이는 윤기가 나는 어두운 녹색이다. 향기가 있는 흰색 꽃은 지름이 약 2 인치이고, 10월에서 이듬해 1월에 핀다.
유차나무의 씨는 항염, 항균, 항암, 면역증강, 혈관 및 뇌혈관질환 예방, 및 호흡기질환 예방 등의 다양한 효능이 알려져 있다. 유차씨는 1~3%의 플라보노이드, 10~14%의 사포닌, 15~20%의 폴리사카라이드 및 60~65%의 셀룰로오즈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유차씨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차씨 추출물에서 캠페롤 아세틸화 글라이코사이드(kaemferol acetylated glycoside) 성분이 분리되었고, 상기 성분의 DPPH 소거능이 우수함이 보고되었다(Gao et al., Food chemistry, 124, 432-436, 2011). 또한, 우수한 항염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바이플라보노이드(biflavonoid) 성분도 분리되었다(Ye et al., Int . J. Mol . Sci ., 12401-12411, 2012).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다양한 효능으로 인해 유차씨 압착 추출물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압착 공정 후의 유차씨 오일 부산물이 매년 수백만 톤 생성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유차씨 오일 부산물을 재활용하고자 연구하던 중,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추출물이 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고, 파골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Gao et al., Food chemistry, 124, 432-436, 2011 Ye et al., Int. J. Mol. Sci., 12401-12411, 2012
본 발명의 목적은 유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차씨 추출물은 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고, 파골세포의 분화를 억제함으로써,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골다공증의 치료 및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유차씨 오일 부산물을 사용하여 온도별로 추출물을 제조한 뒤, 이를 분광광도계로 분석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은 유차씨 오일 부산물을 사용하여 온도별로 추출물을 제조한 뒤, 이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수추출물의 인테그린과 오스테오폰틴 사이의 상호작용 억제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주정추출물의 RANK 수용체와 이의 리간드 사이의 상호작용 억제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수추출물이 세포에 대한 독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추출물의 조골세포 분화 촉진 효과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수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차씨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1) 유차씨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상기 여과된 추출물을 농축 및 건조하는 단계.
상기 유차씨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차씨 추출물은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유차씨 오일 부산물"은 유차씨를 압착하여 유차씨 오일을 추출한 후 남은 부산물로, 유차씨 껍질을 의미한다. 상기 부산물을 분쇄 및 건조하여 수득된 유차씨 오일 부산물 분말이 본 발명의 유차씨 추출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차씨 오일 부산물 분말에는 15% 이상의 사포닌, 10% 이하의 수분, 2.2% 이하의 잔류오일, 8% 이상의 조단백, 12% 이하의 조섬유, 및 40% 내지 50%의 전분 및 당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추출은 진탕 추출, Soxhlet 추출 또는 환류 추출의 방법일 수 있다.
이때, 추출에 사용되는 용매는 물, 알코올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C1 내지 C2 저급 알코올일 수 있고,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일 수 있다. 이때, 추출율을 높이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1 내지 10 N 농도의 염산 또는 황산을 함께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용매 1 ℓ를 기준으로, 유차씨 분말이 5 내지 50 ㎏, 10 내지 40 ㎏, 15 내지 30 ㎏ 또는 18 내지 25 ㎏의 양으로 첨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차씨 분말이 20 ㎏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추출시, 온도는 20℃ 내지 130℃, 40℃ 내지 120℃ 또는 50℃ 내지 11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추출 온도는 60℃, 80℃ 또는 1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 시, 시간은 10 내지 48시간, 12 내지 36시간, 14 내지 30시간, 15 내지 25시간, 10 내지 30시간, 12 내지 25시간 또는 14 내지 25시간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추출은 1회 이상 반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추출물은 1 내지 40 brix, 5 내지 30 brix, 10 내지 20 brix, 1 내지 30 brix, 10 내지 30 brix, 10 내지 40 brix 또는 5 내지 40 brix까지 농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추출물은 15 brix까지 농축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추출물은 분무건조의 방법으로 건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제조방법은, 여과된 추출물을 농축한 뒤, 살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은 70℃ 내지 130℃, 80℃ 내지 120℃, 90℃ 내지 110℃, 70℃ 내지 110℃, 80℃ 내지 110℃ 또는 80℃ 내지 13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살균 시간은 5 내지 30분, 10 내지 20분, 12 내지 17분, 5 내지 17분, 10 내지 17분 또는 12 내지 20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부형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가 추가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골다공증 치료 효과가 있음이 공지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특히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채택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제형에 따라 적절한 투여방법을 선택하여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방법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를 포함하고, 그 예로는 진피내, 근육내, 복막내, 정맥내, 피하내, 코내 및 구강경로 등이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는 정제, 알약, 연질 또는 경질 캅셀제, 환제, 산제, 또는 과립제일 수 있다. 한편,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크림, 로션제, 연고제, 경고제, 액제, 패취제 또는 주사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 병증의 정도, 투여경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유차씨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골다공증 치료 효과가 있음이 공지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용으로 허용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예로는 물, 풍미제, 향미제, 착색제, 안정화제, 방부제, 알코올, 탄산화제, 과육, 중점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유기산, 미네랄, 영향제 등이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음료, 껌, 차, 과자, 비타민 복합체 또는 건강보조식품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유차씨 오 일 부산물의 제조
유차씨(Hangzhou Choisum Bio-Tech, 중국)를 압착하여 유차기름이 추출되면서 생성된 케이크를 수득하여 크러쉬한다. 상기 크러쉬된 케이크 알갱이를 스팀으로 연화시킨 후 분말로 분쇄, 건조 및 여과하여 60 내지 80 메쉬 크기 입자를 갖는 유차씨 오일 부산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유차씨 오 일 부산물의 수추출물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유차씨 오일 부산물을 이용하여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수추출물을 추출온도를 달리하여 제조하였다.
먼저, 10 ㎏의 유차씨 오일 부산물을 500 ℓ의 정제수와 혼합한 후, 60℃, 80℃ 또는 100℃에서 하룻밤 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고, 관형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15,000 rpm의 조건으로 약 18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상등액을 15 brix까지 농축한 후, 100℃에서 15분 동안 살균하였다. 살균된 농축액을 160℃ 내지 180℃ 주입 및 80℃ 내지 90℃ 배출의 조건으로 분무 건조하여 60℃, 80℃ 또는 100℃에서 추출된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분광광도계로 스캐닝하여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추출 온도에 따라 추출된 물질의 성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실시예 2. 유차씨 오 일 부산물의 주정추출물 제조
유차씨 오일 부산물을 5%(w/v)의 농도로 70%(v/v)의 에탄올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유차씨 오일 부산물 주정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알코올은 농축 과정에서 제거되었다.
실시예 3. 유차씨 오 일 부산물의 수추출물에 포함된 캠프페롤 함량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60℃에서 추출된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수추출물에 포함된 캠프페롤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먼저, 1 g의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수추출물에 5 ㎖의 메탄올(ACE grade, Honeywell)을 첨가하고, 5분 동안 초음파세척기(Powersonic 410, 화신테크)로 음파처리하였다. 여기에 10 ㎖의 증류수 및 2.5 ㎖의 염산(DAEJUNG, Cat.No. 4090-4400)을 첨가하고, 2분 동안 볼텍싱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끓는 물에 30분 동안 담가 반응시키고, 이를 상온에서 냉각시켰다. 최종 부피가 25 ㎖가 되도록 메탄올을 첨가하였고, 이들 중 일부를 취해 20배 희석하였다(총 500배 희석). 최종 희석된 시료를 0.45 ㎛ PTFE 주사기 필터로 여과하고, 바이알에 담아 HPLC 측정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한편, 1 ㎎의 캠프페롤(Sigma-Aldrich, Cat.No.96353, 미국)을 1 ㎖의 메탄올에 용해시켜, 이를 200, 100, 50, 25 및 12.5 ㎍/㎖의 농도가 되도록 희석하여 캠프페롤 표준시료를 준비하였다.
하기의 조건으로 HPLC(히타치 크로마스터, 일본)를 분석하였고, 이동상의 농도구배 조건은 표 1에 나타내었다.
- 컬럼: TSKgel ODS-100V 5 ㎛(4.5 ㎜ I.D x 15 ㎝)
- 유속: 0.3 ㎖/분
- 온도: 40℃
- 검출기: UV 375 ㎚
- 이동상: 용리액 A - 물에 용해된 1.5% 인산 용액
용리액 B - 70% 아세토니트릴 용액
- 주입량: 5 ㎕
시간(분) 용리액 A(%) 용리액 B(%)
0 100 0
20 50 50
35 50 50
40 100 0
45 100 0
그 결과,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수추출물에는 14 ㎎/g의 캠프페롤이 포함되어 있었다.
실험예 1. 유차씨 오 일 부산물의 추출물의 파골세포 억제 효과 확인
상기 시험예 1에서 제조된 60℃, 80℃ 또는 100℃에서 추출한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수추출물, 및 주정추출물이 파골세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파골세포 특이 유전자인 TRAP(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의 발현을 통해 확인하였다.
먼저, RAW264.7 세포(ATCC, TIB-71TM, 미국)를 10% FBS(Gibco, 미국)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Gibco, 미국)을 첨가한 DMEM 배지(Hyclone, Thermo scientific, 미국)를 사용하여 웰 당 1x104개가 되도록 24-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였다. 분주된 세포에 이틀 간격으로 5일간 60℃, 80℃ 또는 100℃에서 추출한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수추출물, 및 주정추출물을 첨가하였다. 이때, 상기 추출물은 10, 30 또는 50 ㎍/㎖의 농도로 첨가하였고, 분화 대조군으로서 50 ng/㎖의 RANKL(receptor activator of NF-κB ligand)를 첨가하였다. 첨가 5일 후, TRAP 염색 키트(sigma)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TRAP의 활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1 ㎖의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를 첨가한 뒤, 실온에서 30분 동안 방치하여 세포를 고정시켰다. 상기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를 제거하고 PBS로 3회 세척한 뒤 1 ㎖의 염색 용액을 첨가하여 37℃ 배양기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뒤 염색된 정도를 분석하였다. 이때, 대조군이 염색된 정도를 기준으로 각 시험군의 염색된 정도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파골세포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한편, 수추출물의 경우 60℃에서 추출한 추출물이 가장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유차씨 오 일 부산물의 추출물의 인테그린 오스테오폰틴 상호작용 억제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60℃에서 추출된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수추출물과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주정추출물이 골다공증의 지표인 인테그린 및 오스테오폰틴의 상호작용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단백질칩 스크리닝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먼저, 칩에 인테그린 수용체인 100 ng/㎖의 인간 인테그린 avβ3(Millipore, CC1021, 미국)을 첨가하여 4℃에서 하룻밤 동안 두어 이를 고정시켰다. 상기 칩을 0.5%의 트윈-20을 포함하는 1xPBS를 50 ㎕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세척하였다. 3%의 BSA(bovine serum albumin)를 포함하는 1xPBS를 50 ㎕ 첨가하여 3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면서 전처리하였다. 전처리된 칩에 Cy5가 표지된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PEPROTECH, 120-35-1000)을 40 ㎍/㎖의 농도로 첨가하고, 4℃에서 한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때, 양성 대조군은 40 ㎍/㎖의 농도의 에치스타틴(echistatin, Sigma-Aldrich, E1518-50UG, 미국)을 첨가하였다. 결과를 이미지 분석 스캐너로 촬영하여 GraphPad Prism4 소프트웨어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수추출물이 인테그린과 오스테오폰틴 사이의 상호작용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유차씨 오 일 부산물의 추출물의 RANK 수용체 및 RANK 리간드 상호작용 억제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60℃에서 추출된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수추출물과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주정추출물이 골다공증의 지표인 RANK(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κB) 수용체 및 RANK 리간드의 상호작용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단백질칩 스크리닝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먼저, 칩에 100 ㎍/㎖의 인간 RANK 수용체(PEPROTECH, 310-08-110)를 첨가하여 4℃에서 하룻밤 동안 두어 이를 고정시켰다. 상기 칩을 0.5%의 트윈-20을 포함하는 1xPBS를 50 ㎕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세척하였다. 3%의 BSA(bovine serum albumin)를 포함하는 1xPBS를 50 ㎕ 첨가하여 3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면서 전처리하였다. 전처리된 칩에, 최종 농도가 10 ㎍/㎖가 되도록 인간 sRANK 리간드(PEPROTECH, 301-01-10)를 첨가하고, 4℃에서 한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때, 양성 대조군은 최종 농도가 20 ㎍/㎖가 되도록 재조합 인간 오스테오프로테게린(osteoprotegerin, OPG, PEPROTECH, 450-14)을 첨가하였고, 음성 대조군은 RANK 리간드를 첨가하지 않았다.
리간드를 첨가한 칩을 상기와 동일하게 세척 및 전처리하였고, 여기에 RANK 리간드에 결합하는 Cy-5 표지된 항-인간 sRANKL 항체(PEPROTECH, 500-M46)를 40 ㎍/㎖의 농도로 첨가하여 37℃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를 상기와 같이 세척 및 전처리하고, 결과를 이미지 분석 스캐너로 촬영하여 GraphPad Prism4 소프트웨어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주정추출물이 RANK 수용체와 이의 리간드 사이의 상호작용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유차씨 오 일 부산물의 수추출물의 세포독성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60℃에서 추출된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수추출물이 세포독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예 1과 같이 RAW264.7 세포를 준비하고, 여기에 1, 10, 50 또는 100 ㎍/㎖의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수추출물을 첨가하였다. 첨가 24시간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MTT 분석을 하였다. MTT 분석 결과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을 기준으로,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물 추출물을 첨가한 군의 세포 생존율을 백분율로 계산하여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수추출물은 세포독성이 없었다.
실험예 5. 유차씨 오 일 부산물의 추출물의 조골세포 분화 촉진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60℃에서 추출된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수추출물과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주정추출물이 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먼저, 조골세포인 MC3T3-E1 세포주(ATCC, CRL-2593, 미국)를 10% FBS(Gibco, 미국)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Gibco, 미국)을 첨가한 α-MEM 배지(Hyclone, Thermo scientific, 미국)를 사용하여 웰 당 2x105개가 되도록 24-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였다. 분주된 세포에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수추출물 또는 주정추출물을 1 ㎎/㎖의 농도로 3일 간격으로 14일 동안 첨가하였다. 이때, 분화 대조군으로서 50 ㎍/㎖의 아스코르브산, 미분화 대조군으로서 10 mM의 β-글리세로포스페이트(β-glycerophosphate)를 첨가하였다. 14일 후, 상기 세포를 PBS로 세척한 뒤, 4% 포름알데하이드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 동안 세포를 고정시켰다. 이를 다시 PBS로 세척하고, 2% 알리자린 레드 S(alizarin red S)를 첨가하여 10분 동안 세포를 염색시킨 뒤, 이를 96-웰 플레이트에 옮겨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분화 대조군을 기준으로, 미분화 대조군,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수추출물 및 주정추출물의 흡광도 값을 백분율로 계산하여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추출물들이 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유차씨 오 일 부산물의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60℃에서 추출된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수추출물이 파골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50 또는 100 ㎍/㎖의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수추출물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 분화 대조군이 염색된 정도를 기준으로 미분화 대조군 및 각 시험군의 염색된 정도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또한, 염색된 정도를 촬영하여 확인하였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수추출물이 파골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100 ㎍/㎖의 농도로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수추출물을 처리하는 경우에는 분화 대조군과 비교하여 파골세포의 분화 억제를 약 60% 억제하였다.
결론적으로, 유차씨로부터 기름을 압착하고 수득되는 부산물을 사용하여 추출된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추출물은 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동시에 파골세포의 분화를 억제하여 골다공증의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8)

  1. 유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차씨 추출물이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추출물인,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물,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용매로 하여 추출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급 알코올이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차씨 추출물이 60℃ 내지 100℃에서 추출된 것인, 약학 조성물.
  6. 유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차씨 추출물이 유차씨 오일 부산물의 추출물인, 건강기능식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차씨 추출물이 60℃ 내지 100℃에서 추출된 것인, 건강기능식품.
KR1020160044290A 2016-04-11 2016-04-11 유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701164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290A KR20170116475A (ko) 2016-04-11 2016-04-11 유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290A KR20170116475A (ko) 2016-04-11 2016-04-11 유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475A true KR20170116475A (ko) 2017-10-19

Family

ID=60298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290A KR20170116475A (ko) 2016-04-11 2016-04-11 유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64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6943B2 (en) Composition comprising Wenguanguo extracts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CN102065711B (zh) 桉树提取物的制备方法
JP2020128439A (ja) 抗老化剤
US20180169166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and preventing myopathy, containing bean leaf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EP2131681B1 (en) Process for producing refined nutraceutic extracts from artichoke waste and from other plants of the cynara genus
KR101834745B1 (ko) 루틴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분말의 제조방법
KR20110090415A (ko) 고농축 마카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1404286B1 (ko) 신선초 녹즙 부산물로부터 칼콘 고함유 추출물 제조방법
US11104631B1 (en) Isopentenyl chalcone compoun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4647991B2 (ja) Scf発現阻害剤
CN101254217B (zh) 一种红豆杉树可再生部分的提取物的制备方法及该提取物在制备口服抗癌药物中的应用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2085774B1 (ko) 대장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982806B1 (ko) 마과 식물로부터 식품용 천연 항진균 소재의 제조방법
KR101823769B1 (ko) 인삼 경엽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170116475A (ko) 유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03467293B (zh) 化合物及其在制备具有抗肿瘤作用的医药品、食品或化妆品中的应用
JP5854674B2 (ja) ジペプチジルペプチダーゼiv阻害剤
KR101908342B1 (ko) 새싹인삼과 차풀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6023174A (ja) メイラード反応抑制機能または抗酸化機能を有する機能剤
KR101469961B1 (ko) 당뇨성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다시마 추출물로부터 폴피린계 화합물의 분리 방법
KR102313083B1 (ko)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Ali et al. Identification, Qunatitative Determination & Antidepressant Activity of Chlorogenic Acid & Gallic Acid from Morus alba Leaves
US11161829B1 (en) Dihydrofuran chalcone compoun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076808B1 (ko) 갈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