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6432A - Soap composition comprising red ginseng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oap composition comprising red ginseng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16432A KR20170116432A KR1020160044154A KR20160044154A KR20170116432A KR 20170116432 A KR20170116432 A KR 20170116432A KR 1020160044154 A KR1020160044154 A KR 1020160044154A KR 20160044154 A KR20160044154 A KR 20160044154A KR 20170116432 A KR20170116432 A KR 201701164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d ginseng
- weight
- parts
- extract
- soa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0—Mixing; Knead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11D13/16—Shaping in mould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44—Perfumes; Colouring materials; Brightening agents ; Bleach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발효분말, 복분자 추출물 및 병풍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d ginseng soap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bokbunja extract, and screened fermentation extract, and a method for preparing red ginseng soap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Description
본 발명은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d ginseng soap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환경이 갈수록 오염되면서 원인을 알 수 없는 피부질환, 대표적으로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라고 불리는 질환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주로 유아기 또는 소아기에 시작하여 성장하면서 장기간 지속되거나 재발하는데, 피부건조증, 습진, 피부염증, 홍반 및 가려움증 등이 나타난다. 이러한 아토피 피부염은 건조한 피부에 적절한 수분공급하고 가려움증 및 피부염을 감소시키기 위해, 보습제를 사용하거나 심한 경우 항히스타민제와 스테로이드제 연고를 사용한다. 하지만 항히스타민제와 스테로이드제 연고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내성이 생기거나, 피부의 과민성을 증가시켜 약한 자극에도 붉어지거나 붓고 여드름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시 면역체계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As the environment becomes increasingly polluted, skin diseases that are unknown cause, such as atopic dermatitis (atopic dermatitis) are rapidly increasing. It usually starts in infancy or childhood and grows for a long period of time or recurrence. Skin dryness, eczema, skin inflammation, erythema and itching are present. These atopic dermatitis use moisturizers or, in severe cases, antihistamines and steroid ointments to provide adequate hydration to dry skin and reduce itching and dermatitis. However, prolonged use of antihistamines and steroid ointments may result in tolerance or irritation of the skin, resulting in irritation, irritation, swelling and acne, which can lead to damage to the immune system during prolonged use.
이러한 아토피성 피부염 및 각종 피부질환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능성 비누가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비누는 세정력을 극대화하여 세척과정에서 피부의 유분을 필요이상으로 제거하여 피부를 예민하고 건조하게 만들거나, 보습, 항균, 항염 작용 등 피부 개선 작용이 효과적으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Various functional soaps have been introduced to prevent or ameliorate such atopic dermatitis and various skin diseases. However, the conventional soap maximizes the detergency and removes the oil of the skin unnecessarily in the washing process, thereby making the skin sensitive and dry, and the skin improving action such as moisturizing,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action is not effectively applied.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면역증강, 항염작용, 혈류 순환 개선 및 혈관이완반응 촉진 작용 등으로 각광받고 있는 홍삼의 부산물을 이용하여 비누를 제조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soaps using by-products of red ginseng, which is in the spotlight for immunosuppression, anti-inflammatory action, blood flow circulation improvement and vasodilatory action promotion.
홍삼(Korean red ginseng)은 인삼(Panax ginseng)의 껍질을 벗기지 않고 증기로 찌고 건조시켜 숙성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가공한 것으로 담황갈색 또는 담적갈색의 인삼을 말한다. 홍삼은 생리활성물질인 사포닌을 30여종 포함하고 있으며, 사포닌 중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b1, Rb2, Rh1, Rh2, Rg2, Rg3, Rg5 및 Rf 등의 14종의 홍삼 특유의 성분이 뛰어난 약리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홍삼은 사포닌 이외에도 다당체, 탄수화물, 질소화합물, 폴리아세틸렌, 페놀산 및 비타민 등의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Korean red ginseng is ginseng (panax ginseng) which is processed by repeating the process of fermentation with steam, drying and ripening without peeling the skin. Red ginseng contains 30 kinds of saponin which is a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and 14 kinds of ginsenosides such as ginsenoside Rb 1 , Rb 2 , Rh 1 , Rh 2 , Rg 2 , Rg 3 , Rg 5 and Rf It is known that a unique ingredient shows excellent pharmacological effect. In addition to saponin, red ginseng contains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such as polysaccharides, carbohydrates, nitrogen compounds, polyacetylenes, phenolic acids and vitamins.
특히 다당체는 주로 글루코스, 아라비노스, 갈락토스, 자일로스, 람노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항보체 활성(anti-complementary activity)이 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항보체 활성은 면역 세포들을 자극해, 외부의 감염 방어를 활성화시킨다. 또한 항암효과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Particularly, polysaccharides are mainly composed of glucose, arabinose, galactose, xylose and rhamnose, and it is known that anti-complementary activity is active. Anti - complement activity stimulates immune cells and activates external infection defense. It is also known to have excellent anti-cancer effect.
홍삼은 물 또는 알코올을 용매로 이용하여 통상적인 추출과정에 의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추출과정 후 남은 부산물인 홍삼박에도 상기와 같은 많은 생리활성물질들이 20 ~ 40% 정도 포함되어 있지만, 회수되지 못하고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홍삼전분도 농축액의 점성을 높인다는 이유로, 홍삼 추출 후 정제과정을 거쳐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Red ginseng can be obtained by conventional extraction using water or alcohol as a solvent. However, the red ginseng residue, which is a byproduct remaining after the extraction process, contains 20 to 40% of the above-mentioned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but it is not recovered and is abandoned. In addition, since the red ginseng starch also increases the viscosity of the concentrate, it is in the process of being refined after the extraction of red ginseng.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버려지고 있는 홍삼부산물을 조효소와 반응시켜, 홍삼부산물의 수율과 다당체의 함량이 증가된 홍삼발효분말을 제조한다. 상기 홍삼발효분말을 복분자추출물 및 병풍발효추출물과 함께 혼합하고 숙성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가려움증 및 피부염을 개선할 수 있는 홍삼비누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having increased yield of polysaccharide and red ginseng byproduct is prepared by reacting abandoned red ginseng by-product with coenzy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d ginseng soap composition capable of improving the itching and dermatitis caused by atopic dermatitis by mixing the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with the bokbunja extract and the screen fermentation extract and aging the mixtur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복분자 추출물, 프로폴리스, 꿀, 시어버터, 코코넛 밀크 및 천연오일과 함께 사용하여, 피부 보습, 항균 및 항염 작용이 뛰어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 조성물 및 비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d ginseng soap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which is excellent in skin moisturizing,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and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loe vera leaf extract, bokbunja extract, propolis, honey, shea butter, coconut milk,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홍삼발효분말, 복분자 추출물 및 병풍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d ginseng soap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red ginseng fermented powder, bokbunja extract, and screened fermented extract.
또한, 본 발명은 (a) 홍삼부산물에 물 및 조효소를 첨가하여 40 내지 60℃에서 30분 내지 30시간 반응시키고, 상등액을 감압농축 및 건조하여 홍삼발효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b) 병풍추출물에 균주를 첨가하여 20 내지 40℃에서 5 내지 50시간 반응시키고, 감압농축하고 발효하여 병풍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홍삼발효분말과, (b) 단계에서 제조된 병풍발효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30 내지 50℃에서 5시간 내지 20시간 숙성하는 단계, (d) 교반기에 비누베이스, 보습제 및 물을 넣고 가열하여 유화하고, (c) 단계의 숙성된 혼합물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비누틀에 주입 및 응고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a red ginseng fermented product, comprising the steps of: (a) adding water and a coenzyme to a red ginseng by-product, reacting the mixture at 40 to 60 ° C for 30 minutes to 30 hours, (C) a fermented red ginseng powder obtained in the step (a); and (b) a step of reacting the fermented red ginseng powder obtained in the step (a) (D) adding a soap base, a moisturizing agent and water to a stirrer, heating and emulsifying the mixture, and (c) stirring the mixture at a temperature of 30 to 50 ° C for 5 to 20 hours. And then injecting and coagulating the mixture into a soap bar.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red ginseng soap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 조성물은 조효소를 사용하여 홍삼부산물의 수율과 다당체의 함량이 증가된 홍삼발효분말을 제조해, 피부의 면역력을 증가시키고 항염과 항균 작용 등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홍삼발효분말을 복분자 추출물 및 병풍발효추출물을 혼합하고 숙성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인한 피부자극 완화, 상처 치유, 가려움증 및 피부염 완화가 효과적인 비누를 제조할 수 있다. The red ginseng soap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using coenzyme to produce red ginseng fermented powder having increased yield and polysaccharide content of red ginseng to increase the immunity of skin and to improve atopic dermatitis As shown in FIG. Since the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is mixed with the bokbunja extract and the screen fermentation extract and aged, it is possible to produce a soap which is effective in alleviating skin irritation, wound healing, itching and dermatitis relief due to atopic dermatitis.
또한, 홍삼파우더,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프로폴리스, 꿀, 시어버터, 코코넛 밀크 및 천연오일을 더 포함하여 비누를 제조함으로써 피부에 생기를 부여하고, 우수한 세정효과를 통해 피부를 매끄럽게 할 수 있고, 항균성과 항산화작용으로 피부에 탄력을 부여하여 피부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비누는 세안용도 및 바디워시는 물론 삼푸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ke the skin vigorous by producing soap containing red ginseng powder, aloe vera leaf extract, propolis, honey, shea butter, coconut milk and natural oil,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effect gives skin elasticity and prevents skin aging. The soap produc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shampoo as well as an eyewash and a body shampo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홍삼발효분말의 RAW 264.7 세포 생존율 측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홍삼발효분말의 RAW 264.7 세포에서 NO 생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홍삼발효분말의 RAW 264.7 세포에서 TNF-α 생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1 is a graph showing the RAW 264.7 cell viability of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graph showing NO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of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NF-a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of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red ginseng soap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prepar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홍삼발효분말, 복분자 추출물 및 병풍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d ginseng soap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which comprises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bokbunja extract, and folded fermentation extrac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조효소를 사용하여 홍삼부산물의 수율과 다당체의 함량이 증가된 홍삼발효분말을 제조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다당체의 항보체 활성으로 피부의 면역력을 증가시키고, 피부의 혈류 순환을 촉진하며, 항균과 항염 작용을 통해 아토피성 피부염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uses fermented red ginseng to produce fermented red ginseng powder with increased yield and polysaccharide content of red ginseng. Therefore, it increases the immunity of skin by enhancing the anticoagulant activity of polysaccharide and promotes blood circulation of skin , And there is a technical feature that can improve atopic dermatitis through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action.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병풍발효추출물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이제(Lactobacillus casei) 및 스트렙토코커스 락티스(Streptococcus lactis)를 포함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와 반응시켜 사용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의 자극성을 줄이고, 항염 효과 및 뛰어난 상처 치유력을 나타내는 병풍추출물의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screen-fungus fermented extract is mix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plantarum , Lactobacillus casei and Streptococcus lactis to reduce the irritation of atopic dermatitis, to exhibit anti-inflammatory effect and excellent wound healing power, There is a technical feature that maximizes the effect of the extract.
또한, 홍삼발효분말, 복분자 추출물 및 병풍발효추출물과 혼합한 혼합물을 숙성하여 비누조성물을 제조하기 때문에, 항염 및 항균성이 뛰어나 아토피 개선에 효과적이며, 상처치유에도 효과적이다. In addition, since the soap composition is prepared by aging the mixture of the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the bokbunja extract and the screen fermentation extract, the anti-inflammation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are excellent, which is effective for improving atopy and is also effective for wound healing.
또한, 홍삼파우더,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프로폴리스, 꿀, 시어버터, 코코넛 밀크 및 천연오일을 더 포함하여 비누를 제조함으로써 비누 사용시 자극감이 적고, 피부에 풍부한 수분 및 영양을 공급하여 생기를 부여하고, 피부 표면을 부드럽고 매끄럽게 만들 수 있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를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by producing soaps further containing red ginseng powder, aloe vera leaf extract, propolis, honey, shea butter, coconut milk and natural oil, the irritation feeling is small when using soap, and the skin is rich in moisture and nutrition, And a red ginseng soap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which can make the skin surface smooth and smooth.
본 발명에서 용어 ‘홍삼박’은 홍삼을 물 또는 알코올 등의 용매로 추출하고 남은 잔여물을 말한다. 홍삼박에는 사포닌을 비롯하여, 물에 녹지 않은 산성다당체, 탄수화물, 질소화합물, 폴리아세틸렌, 페놀산, 비타민 및 단백질 등의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The term " red ginseng roots "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residues of red ginseng extracted with a solvent such as water or alcohol. The red ginseng contains saponin as well as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such as acid polysaccharide, carbohydrate, nitrogen compound, polyacetylene, phenolic acid, vitamin and protein which are not soluble in water.
또한, 본 발명에서 용어 ‘홍삼전분’은 홍삼박에 주로 포함되어 있는 탄수화물을 의미한다. 홍삼전분은 홍삼을 물이나 에탄올로 추출하고 남은 잔여물을 말리지 않는 상태에서, 물에 넣고 갈아서 침전되는 부분만 얻은 물질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red ginseng starch' refers to a carbohydrate mainly contained in red ginseng roots. Red ginseng starch is a substance obtained by extracting red ginseng with water or ethanol and leaving the remaining residue in a dry state without adding any residue.
본 발명에서 용어 ‘홍삼 부산물’은 상기 홍삼박 및 홍삼전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The term " red ginseng byproduct "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ny one selected from the above red ginseng roots and red ginseng starch, or a mixture thereof.
본 발명에서 용어 ‘조효소’는 통상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효소 또는 엿기름에서 수득한 조효소를 사용할 수 있으나, 좋게는 엿기름에서 수득한 조효소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coenzyme' usually means a commercially available enzyme or coenzyme obtained from malt, but preferably means coenzyme obtained from malt.
본 발명에서 용어 ‘홍삼발효분말’은 홍삼부산물과 엿기름으로부터 수득된 조효소를 반응시켜 수득된 것이며, 홍삼 부산물을 효소처리를 통하여 얻은 홍삼 부산물 다당체이다.The term " red ginseng fermented powder " in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by reacting a red ginseng byproduct with a coenzyme obtained from malt, and a red ginseng by-product obtained by enzymatic treatment.
본 발명에서 용어‘병풍발효추출물’은 병풍추출물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이제(Lactobacillus casei) 및 스트렙토코커스 락티스(Streptococcus lactis)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균주와 반응시켜 수득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screening fermented extract" means a strain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screening-leaf extract,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casei and Streptococcus lactis ≪ / RTI >
본 발명에서 홍삼발효분말은 상기 홍삼부산물과 엿기름으로부터 수득된 조효소를 반응시켜 수득된 것이며, 홍삼 부산물을 효소처리를 통하여 얻은 홍삼 부산물 다당체이다. 구체적으로, 홍삼부산물에 조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을 건조하여 제조된 홍삼발효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is obtained by reacting the red ginseng byproduct with the coenzyme obtained from malt, and the red ginseng byproduct is obtained by enzymatic treatment. Specifically,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prepared by reacting a coenzyme with a by-product of red ginseng, and then drying the supernatant obtained by centrifuging can be used.
구체적으로, 조효소는 통상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효소 또는 엿기름에서 수득한 조효소를 사용할 수 있으나, 좋게는 엿기름에서 수득한 조효소를 사용하는 것이 홍삼발효분말의 다당체 수율이 더 증가할 수 있고, 피부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coenzyme can usually be a commercially available enzyme or coenzyme obtained from malt, but preferably using a coenzyme obtained from malt may further increase the polysaccharide yield of the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And therefore it is preferable.
상기 엿기름은 전분분해효소인 아밀라아제가 풍부하고, 효소를 30종 이상 포함하고 있다. 또한, 피부각질층의 수분을 유지시켜주는 레시틴과, 비타민 B, 비타민 C, 칼륨, 칼슘 및 각종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어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The malt is rich in amylase, a starch hydrolyzing enzyme, and contains more than 30 kinds of enzymes. In addition, it contains lecithin and vitamin B, vitamin C, potassium, calcium and various minerals that can maintain the moisture of the horny layer of the skin, which can help improve atopic dermatitis.
보다 구체적으로, 조효소는 물에 희석하여 0.01 내지 3 중량% 농도로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보다 좋게는 0.1 내지 1 중량% 농도로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홍삼부산물의 다당체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the coenzyme is preferably diluted with water to prepare the concentrate at a concentration of 0.01 to 3% by weight, more preferably 0.1 to 1% by weight, to increase the polysaccharide yield of the red ginseng by-product Do.
본 발명에서는 홍삼발효분말, 복분자추출물 및 병풍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하여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prepare a soap composition including a mixture containing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bokbunja extract, and screened fermentation extract.
상기 홍삼발효분말은 혼합물 중, 6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좋게는 65 내지 7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범위 내에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고, 비누의 표면이 거칠어지지 않아 바람직하다.The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is preferably used in an amount of 60 to 80% by weight, more preferably 65 to 75% by weight, of the mixtu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work to improve atopic dermatitis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and the surface of the soap is not roughened.
본 발명에서 복분자 추출물은 비타민, 폴리페놀, 안토시아닌, 케라틴 및 비타민 B, C 등 항산화에 좋은 성분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피부 노화를 방지하고 피부 탄력 유지에 효과적이다.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은 0.1 내지 5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kbunja extract contains a large amount of antioxidant components such as vitamin, polyphenol, anthocyanin, keratin and vitamin B and C, and is excellent in antioxidative effect, thereby preventing skin aging and maintaining skin elasticity. The solids content of the extract may be from 0.1 to 5% by we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 복분자 추출물은 혼합물 중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좋게는 2 내지 7 중량%를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의 범위 내에서 항산화 효과를 높여주고, 비누 제조시 점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아서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bokbunja extract preferably contains 1 to 10% by weight, more preferably 2 to 7% by weight, of the mixture. The antioxidant effect is enhanced within the above range and the viscosity is not affected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soap, which is preferable
본 발명에서 병풍추출물은 아시아트산(Asiatic acid), 마데카식애씨드(Madecassic Acid),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및 아시아티코시드(Asiaticoside)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피부 염증 치료, 피부 조직 회복 효과 및 피부 장벽의 강화는 물론 피부 진정에도 뛰어나기 때문에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인한 상처치유 및 피부염 개선에 효과적인 물질이다.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은 0.1 내지 5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ing leaves extract contains Asiatic acid, Madecassic Acid, madecassoside and Asiaticoside, and is useful for treating skin inflammation, It is an effective substance for healing wounds due to atopic dermatitis and improving dermatitis because it strengthens barrier as well as skin calming. The solids content of the extract may be from 0.1 to 5% by we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병풍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이제(Lactobacillus casei) 및 스트렙토코커스 락티스(Streptococcus lactis)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균주와 반응시켜 수득된 병풍발효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The folded-leaf extract was obtained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plantarum , Lactobacillus casei and Streptococcus lactis may be used as the screen-fermented extract obtained by reacting with a strain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casei and Streptococcus lactis .
구체적으로, 병풍발효추출물은 병풍추출물:균주가 1:9 내지 9:1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에서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피부자극성 및 상처 치유 효과가 더 증가된 병풍발효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folded-leaf-type fermented extract be mixed with the screenflow extract: strain at a weight ratio of 1: 9 to 9: 1. It is possible to obtain a screen-fed fermented extract in which the skin irritation and wound healing effects by atopic dermatitis are further increased within the above range.
구체적으로, 병풍발효추출물은 혼합물 중 10 내지 30 중량%, 좋게는 15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범위 내에서 비누조성물의 성분과 잘 어우러지며, 피부 회복효과 및 항염 작용 등의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에 효과적인 비누를 제조할 수 있다.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use the screen-fermented fermentation extract in an amount of 10 to 30% by weight, preferably 15 to 25% by weight, in the mixture. It is possible to produce a soap that is well-compatible with the ingredients of the soap composition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and is effective in improving atopic dermatitis, such as skin recovery effect and anti-inflammatory action.
본 발명에서 비누베이스는 C6 내지 C22의 고급지방산 및 염기성 용액을 포함한다. The soap base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higher fatty acids and basic solutions of C 6 to C 22 .
구체적으로, 상기 C6 내지 C22의 고급지방산은 카프로산(Caproic Acid), 에난틱산(Heptanoic Acid), 카프릴산(Caprylic Acid), 펠라르곤산(Pelargonic Acid), 카프릭산(Capric Acid), 운데칸산(Undecanoic Acid), 라우린산(Lauric Acid), 트리데칸산(Tridecanoic Acid),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펜타데카논(Pentadecanoic Acid), 팔미틴산(Palmitic Acid), 미리스틴산(Margaric Acid), 스테아린산(Stearic Acid), 아리킨산(Arachidic Acid) 및 베헤닌산(Behenic Acid)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 6 to C 22 higher fatty acid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proic Acid, Heptanoic Acid, Caprylic Acid, Pelargonic Acid, Capric Acid, Undecanoic Acid, Lauric Acid, Tridecanoic Acid, Myristic Acid, Pentadecanoic Acid, Palmitic Acid, Myristic Acid, Margaric Acid, Stearic Acid, Arachidic Acid, Behenic Acid, and the like may be used.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는 상기 고급지방산 중 염 형태의 소디움 라우레이트(Sodium laurate), 소디움 스테아레이트(Sodium stearate) 및 소디움 미리스테이트(Sodium myristate)를 모두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거품이 풍부하고, 세정력이 우수한 비누를 제조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sodium laurate, sodium stearate and sodium myristate in salt form in the higher fatty acid are mixed together, they are rich in foam, This excellent soap can be produced.
구체적으로, 상기 염기성 용액는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KOH) 및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TEA)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좋게는 자극성이 낮은 트리에탄올아민(TEA)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basic solution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sodium hydroxide (NaOH), potassium hydroxide (KOH), triethanolamine (TEA) and the like, preferably triethanolamine (TEA) .
상기 비누베이스는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soap base may further comprise a surfactant.
상기 계면활성제는 소디움 라우레스 설페이트(Sodium laureth sulfate), 알킬벤젠술폰산 나트륨 및 모노알킬인산 나트륨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좋게는 소디움 라우레스 설페이트(Sodium laureth sulfate)를 사용하는 것이 피부에 자극적이지 않고,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The surfactant may be selected from sodium laureth sulfate, sodium alkylbenzenesulfonate and sodium monoalkylphosphate, but preferably sodium laurate sulfate is used. Is not irritating to the ski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can be reduced.
구체적으로, 상기 비누베이스는 소디움 라우레이트 10 내지 30 중량%, 소디움 스테아레이트 15 내지 30 중량%, 소디움 미리스테이트 10 내지 30 중량%, 소디움 라우레스 설페이트 4 내지 15 중량% 및 염기성 용액 12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범위에서 세정력이 우수하고 풍부한 거품을 가지는 비누베이스를 제조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oap base comprises 10 to 30% by weight of sodium laurate, 15 to 30% by weight of sodium stearate, 10 to 30% by weight of sodium myristate, 4 to 15% by weight of sodium laureth sulfate and 12 to 30% It can be used including%. It is possible to produce a soap base having an excellent detergency and a rich foam in the above range.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홍삼발효분말, 복분자추출물 및 병풍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2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5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바람직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2 to 30 parts by weight of the mixture containing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brambone extract, and screened fermentation extract is contained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and 5 to 25 parts by weight is effective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It may be preferable.
본 발명에서 보습제(moisturizer)는 피부의 각질층에 수분을 침투하게 하고, 피부 표면에 유분막을 형성하여 피부표면의 수분증발을 막아줄 수 있는 성분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oisturizer is a component capable of penetrating moisture into the stratum corneum of the skin and forming an oil film on the surface of the skin to prevent evaporation of water on the skin surface.
구체적으로, 보습제는 글리세린(Glycerin), 솔비톨(Sorbit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세라마이드(ceramide) 및 히알루론산 나트륨(sodium hyaluronate)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좋게는 글리세린과 솔비톨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리세린(Glycerin)과 솔비톨(Sorbitol)은 피부에 수분을 당겨 보습을 유지시켜주는 기능이 뛰어나고, 피부에 부작용이 없으며, 쉽게 용해될 수 있어 매끄러운 감촉을 부여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oisturizing ag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ycerin, sorbitol, 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ceramide, and sodium hyaluronate.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may be used. Preferably, glycerin and sorbitol are mixed and used. Glycerin and Sorbitol can attract moisture to the skin, which helps maintain moisturizing, has no side effects on the skin, and can be easily dissolved to give a smooth feel.
구체적으로, 보습제는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4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좋게는 15 내지 2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범위 내에서 비누 제조시 비누 조성물의 점도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피부의 촉촉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humectant may be used in an amount of 10 to 4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5 to 2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Within the above range, the viscosity of the soap composition can be maintained stably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soap, and the skin can be kept mois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솔비톨 4:6 내지 8:2 중량비로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좋게는 글리세린:솔비톨 6:4 내지 7:3 중량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범위 내에서 피부의 보습 작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More specifically, the moisturizing agent is preferably used in a weight ratio of glycerin: sorbitol of 4: 6 to 8: 2, more preferably of 6: 4 to 7: 3 of glycerin: sorbitol. The moisturizing action of the skin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본 발명에서 홍삼파우더는 홍삼부산물을 건조한 후, 80 내지 100 메시로 분쇄하여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d ginseng powder can be prepared by drying the red ginseng by-product and pulverizing the red ginseng powder to 80-100 mesh.
구체적으로,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좋게는 1 내지 1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범위 내에서 홍삼부산물에 포함된 생리활성물질들이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고, 파우더의 질감으로 피부표면 각질개선에 효과적이며, 비누 표면이 거칠어지지 않아서 바람직하다.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use 0.1 to 15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Within the above range, the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contained in the red ginseng by-products are effective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horny surface of the skin due to the texture of the powder, and the surface of the soap is not roughened.
본 발명에서 천연오일은 올리브오일(Olive fruit oil), 조조바오일(Jojoba seed oil), 동백오일(Camellia seed oil), 현미오일(Brown rice oil) 및 아보카도 오일(Avocado oil)을 포함하는 천연오일이다. The natural oils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atural oils including olive fruit oil, Jojoba seed oil, Camellia seed oil, Brown rice oil and Avocado oil .
구체적으로, 올리브오일은 비타민E 및 리놀레산이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작용으로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폴리페놀 및 피토스테롤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천연오일이다. Specifically, olive oil contains vitamin E and linoleic acid. It is a natural oil that prevents skin aging by antioxidative action, and contains polyphenol and phytosterol ingredients to prevent skin damage.
조조바 오일은 사람의 피지구조와 가장 유사한 오일이기 때문에, 피부 친화력이 뛰어나다. 피부에 윤기를 부여해주고 보습효과가 좋으며, 피부진정 효과 및 항균 효능이 있어 아토피 피부 개선에 효과적인 천연오일이다. Jojoba oil is the oil most similar to human sebum structure, so it has excellent skin affinity. It is a natural oil that is gentle to the skin and moisturizes, has a soothing effect on the skin and has antimicrobial effect and is effective in improving atopic skin.
동백 오일은 천연 보습성분인 올레인산(oleic acid) 함량이 높으며, 비타민 E 및 페놀성 화합물인 티로솔(tyrosol), 하이드록시티로솔(hydroxytyrosol) 등이 포함되어 있어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피부의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황색포도상구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감마리놀렌산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의 가려움증 완화할 수 있는 천연오일이다. Camellia oil has a high oleic acid content, which is a natural moisturizing ingredient. It has excellent antioxidative effects because it contains vitamin E and phenolic compounds such as tyrosol and hydroxytyrosol. It also inhibits the growth of Staphylococcus aureus, which causes itching of the skin, and it is a natural oil that can alleviate itching of the skin because it contains gamma linolenic acid.
현미오일은 감마오리자놀, 비타민 E, 오메가 6 및 오메가 9의 불포화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노화 방지에 효과적이며, 토코페롤과 미네랄 성분이 많아 피부의 영양 공급 및 혈액순환에 좋은 천연오일이다.Brown rice oil contains gamma orizanol, vitamin E, omega-6 and omega-9 unsaturated fatty acids and is effective in preventing skin aging. It is rich in tocopherols and minerals and is a natural oil for skin nutrition and blood circulation.
아보카도 오일은 피부의 기미발생을 억제해 주는 스테롤린이 함유되어 있으며, 비타민 A,D,E가 풍부하여 피부노화 방지에 효과적이고, 단백질과 오메가 3등 불포화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를 촉촉하고 건강하게 하고 피부의 건조함과 가려움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인 천연오일이다.Avocado oil contains sterol linin that suppresses skin spots and is rich in vitamins A, D and E, effective for preventing skin aging, and contains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protein and omega 3, It is a natural oil effective to relieve the dryness and itching of the skin.
구체적으로, 상기 천연오일은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고, 더욱 좋게는 2 내지 4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천연오일의 성분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어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the natural oil is preferably used in an amount of 1 to 5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2 to 4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because it can effectively exhibit the components of the natural oil.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연오일 중에서, 올리브오일 20 내지 40 중량%, 조조바오일 20 내지 40 중량%, 동백오일 20 내지 30 중량%, 현미오일 10 내지 15 중량% 및 아보카도 오일 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범위 내에서 천연오일의 각 성분들이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피부의 보습 및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피부의 건조함과 가려움을 완화시켜 줄 수 있으며, 피부노화 방지에도 효과적이다. More specifically, 20 to 40% by weight of olive oil, 20 to 40% by weight of Jojoba oil, 20 to 30% by weight of camellia oil, 10 to 15% by weight of brown rice oil and 5 to 10% by weight of avocado oil Can be used. Within the above range, each component of the natural oil can be effectively retained, and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 dryness and itching of the skin caused by moisturizing and atopic dermatitis of the skin, and is also effective in preventing skin aging.
본 발명에서 알로에베라잎 추출물(Aloe Barbadensis Leaf Extract)은 펙틴산(pectic acid) 및 글루코만난(glucomannans)과 같은 다당체와 기타 여러 유기, 무기 화합물들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상처 치유효과가 있어 세포 재생 및 영양분 공급이 뛰어나고, 탁월한 보습력이 있으며, 멜라닌 색소 형성 억제효과가 있어 잡티를 제거하고 피부보호를 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알프로젠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알레르기 억제에 효과적이다.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은 0.1 내지 5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Aloe Barbadensis Leaf Extract contains polysaccharides such as pectic acid and glucomannans and various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In addition, it has wound healing effect, it is excellent in cell regeneration and nutrient supply, has excellent moisture retention, and has an effect of inhibiting melanin pigment formation. It also contains a component called alfrogen, which is effective in suppressing allergies. The solids content of the extract may be from 0.1 to 5% by we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 알로에베라잎 추출물은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좋게는 2 내지 4 중량부를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의 범위 내에서 피부의 알레르기 억제 및 보습력을 높여주고, 비누 제조시 점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아서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aloe vera leaf extract is preferably used in an amount of 1 to 5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2 to 4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referable that the allergen is suppressed and the moisturizing power of the skin is increased and the viscosity is not affected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soap.
본 발명에서 프로폴리스는 여러 가지 화합물로 미네랄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후라보노이드(Flavonoid)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서, 곰팡이, 세균, 바이러스 등에 강한 항균작용을 해 피부의 면역력을 높여줄 수 있기 때문에, 아토피성 피부염의 염증 완화 및 피부의 진정 효과에 뛰어난 물질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propolis is a variety of compounds and contains many minerals. In particular, it contains an abundance of Flavonoid, and it is an excellent material for alleviating the inflammation of atopic dermatitis and soothing the skin, because it can increase the immunity of the skin due to antibacterial action against fungi, bacteria and viruses.
구체적으로, 프로폴리스는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좋게는 2 내지 4 중량부를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의 범위에서 비누 조성물의 항균성을 높여줄 수 있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propolis may be used in an amount of 1 to 5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2 to 4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The antibacterial property of the soap composition can be increased within the above range.
본 발명에서 꿀은 각종 비타민, 미네랄, 아미노산 및 유기산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다. 꿀에 함유된 칼륨은 혈액 속 노폐물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데 도움을 준다. 꿀에는 화분과 효소가 그대로 녹아있기 때문에, 피부 염증 치료에 탁월한 효능을 발휘하고, 잡티 제거에도 좋다. 또한, 꿀의 무기질 성분이 거칠어진 피부를 부드럽게 만들어 줄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honey is rich in nutrients such as various vitamins, minerals, amino acids and organic acids. Potassium in honey helps to drain the waste of blood into the body. Since honey and potted plants and enzymes are intact, they excel in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of the skin and are also good for removing dirt. In addition, the mineral component of honey can make rough skin smooth.
구체적으로 꿀은 아카시아 꿀, 유채꿀, 밤꿀 및 잡화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좋게는 아카시아 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honey can be used including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acacia honey, oil honey, honey and sundried honey,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cacia honey.
보다 구체적으로, 꿀은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좋게는 2 내지 4 중량부를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의 범위 내에서 비누 조성물의 항염 작용과 보습력을 높여줄 수 있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honey is preferably used in an amount of 1 to 5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2 to 4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The anti-inflammatory action and the moisturizing power of the soap composition can be enhanced within the above range.
본 발명에서 시어버터는 천연 지방산이 풍부하여 식물 소재 중 가장 뛰어난 보습력을 가지고 있는 천연 보습 물질이다. 비타민 A, E, F 및 필수 산화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어서, 피부에 영양 및 탄력 공급을 하고 악건성 피부 보습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항산화 기능이 우수하여 피부노화를 억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hea butter is a natural moisturizing substance having abundant natural fatty acid and having the best moisture resistance among plant materials. It contains vitamins A, E, F and essential oxidized fatty acids, so it can supply nutrition and elasticity to the skin and effectively work on dry skin. In addition, it has excellent antioxidant function and can suppress skin aging.
구체적으로, 시어버터는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좋게는 2 내지 4 중량부를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의 범위 내에서 비누 조성물의 보습력과 피부의 매끄러움을 높여 줄 수 있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shea butter preferably contains 1 to 5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2 to 4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The moisture resistance of the soap composition and the smoothness of the skin can be increased within the above range.
본 발명에서 코코넛 밀크는 피부에 부작용 발생이 거의 없고, 피부 보습에도 효과적이기 때문에, 피부 관리를 위한 제품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건선, 습진 및 피부염 등 다양한 피부 질환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conut milk has little side effects on the skin and is effective for moisturizing the skin. Therefore, it is widely used as a skin care product. In addition, it is effective for treating various skin diseases such as psoriasis, eczema and dermatitis.
구체적으로, 코코넛 밀크는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좋게는 2 내지 4 중량부를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의 범위 내에서 비누조성물의 보습력을 높여줄 수 있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coconut milk is preferably used in an amount of 1 to 5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2 to 4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The moisture resistance of the soap composition can be increased within the above range.
본 발명에서 향료(Fragrance)는 홍삼향, 알로에향, 복분자향, 코코넛향, 아보카도향, 오렌지향, 레몬향 등의 과일향, 바닐라향, 초콜렛향, 버터향 및 벌꿀향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좋게는 홍삼향을 사용하는 것이 홍삼발효분말 함유를 강조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grance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fruit incense such as red ginseng, aloe incense, bergamot incense, coconut incense, avocado incense, orange incense, lemon incense, vanilla incense, chocolate incens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red ginseng flavor because the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can be emphasized.
구체적으로, 향료는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좋게는 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의 범위 내에서 비누의 향을 증가되어, 비누 사용시 만족감을 높여줄 수 있어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the perfume may be used in an amount of 0.5 to 3 parts by weight, preferably 1 to 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fragrance of the soap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reby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using the soap.
본 발명에서는 식물성 셀룰로오스를 더 포함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이드록시에틸 셀루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HPMC),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cellulose) 및 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MC) 등에서 선택하여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물질은 친수성이며, 알레르기를 유발하지 않는 소재이기 때문에 자극성이 적어 바람직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red ginseng soap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an be prepared by further containing vegetable cellulose. Concretely, one or more selected from hydroxyethyl cellulose,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HPMC), carboxymethylcellulose, methyl cellulose (MC) and the like, Can be used. The above-mentioned substances are hydrophilic and can be preferable because they are less irritating because they are materials that do not cause allergies.
보다 구체적으로,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물성 셀룰로오스를 0.1 내지 5 중량부, 좋게는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범위 내에서 세정력이 향상되어 각질제거에 효과적이며, 부드럽고 매끄러운 촉감이 향상된 비누를 제조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0.1 to 5 parts by weight, preferably 1 to 3 parts by weight, of vegetable cellulose is preferably used for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The detergency is improved within the above rang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duce a soap which is effective for removing keratin and improved smooth and smooth touch.
본 발명에서는 천연방부제를 더 포함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천연비타민 E(vitamin E), 자몽씨 추출물(Grapefruit seed extract), 토코페롤(tocopherols) 및 로즈마리오일추출물(rosemary oil extract, ROE) 등에서 선택하여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자몽씨 추출물은 고형분 함량은 0.1 내지 5 중량%일 수 있고, 자몽씨추출물:식물성 글리세린이 7:3 비율로 혼합된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red ginseng soap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an be prepared by further containing a natural preservative. Specifically, it may be selected from natural vitamin E, grapefruit seed extract, tocopherols and rosemary oil extract (ROE), and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 grapefruit seed extract may have a solid content of 0.1 to 5% by weight and a grapefruit seed extract: vegetable glycerin in a 7: 3 ratio.
보다 구체적으로,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천연방부제를 0.1 내지 5 중량부, 좋게는 0.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범위 내에서 비누의 항산화성, 항미생물성 등의 방부 효과로 비누의 보존기간을 연장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use 0.1 to 5 parts by weight, preferably 0.1 to 2 parts by weight, of a natural preservative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Within the above range, it may be effective to extend the shelf life of the soap by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 soap and antiseptic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 조성물에 천연색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천연색소는 베리류색소, 파프리카추출색소, 포도과피추출색소, 적양배추색소, 치자황색소, 오징어먹물색소, 코치닐색소 및 자주색고구마색소 등에서 선택하여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천연색소를 1 내지 5 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f necessary, the red ginseng soap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may further contain a natural pigment. Specifically, the natural coloring matter may be selected from beryllium coloring matter, paprika extracting color, grape skin extracting color, red cabbage coloring, gardenia yellowing color, squid ink coloring, cochineal coloring, purple sweet potato coloring and the like, . More specifically, 1 to 5 parts by weight of a natural pigment may be further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이와 같은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의 제조방법은 (a) 홍삼부산물에 물 및 조효소를 첨가하여 40 내지 60℃에서 30분 내지 30시간 반응시키고, 상등액을 감압농축 및 건조하여 홍삼발효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b) 병풍추출물에 균주를 첨가하여 20 내지 40℃에서 5 내지 50시간 반응시키고, 감압농축하고 발효하여 병풍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홍삼발효분말과, (b) 단계에서 제조된 병풍발효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30 내지 50℃에서 5시간 내지 20시간 숙성하는 단계, (d) 교반기에 비누베이스, 보습제 및 물을 넣고 가열하여 유화하고, (c)단계의 숙성된 혼합물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비누틀에 주입 및 응고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A) adding water and a coenzyme to a red ginseng by-product, reacting the mixture at 40 to 60 ° C for 30 minutes to 30 hours, concentrating the supernatant under reduced pressure and drying to obtain a red ginseng fermented powder (B) adding a strain to the screen wind extract, reacting the mixture at 20 to 40 ° C for 5 to 50 hours, and concentrating under reduced pressure and fermenting to prepare a screened fermented extract; (c) Aging the mixture of the fermentation powder and the mixture of the fermented extract of the screen-wind produced in step (b) and the bokbunja extract at 30 to 50 ° C for 5 to 20 hours, (d) adding a soap base, a humectant and water to the stirrer, Adding the aged mixture of step (c), stirring the mixture, and injecting and coagulating the mixture into a soap frame.
먼저, 상기 병풍추출물 및 복분자추출물은 통상적인 추출 방법을 사용하며, 구체적으로 물 추출법, 알코올 추출법, 유기용매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좋게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은 상온의 물 또는 열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방법으로는 진탕추출, Soxhlet 추출 및 환류추출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screening extract and the bokbule extract may be prepared by a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 Specifically, water extraction, alcohol extraction, organic solvent extraction, supercritical extraction and the like may be used. Preferably, water, alcohol, desirable. The water is preferably water or hot water at room temperature. As the extraction method,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shaking extraction, Soxhlet extraction, and reflux extraction may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a)단계에서는, 엿기름으로부터 수득된 조효소를 제조하는 단계를 먼저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엿기름을 물에 넣고 1 내지 3시간 동안 침출한다. 이때 물은 1차 내지 3차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출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증류수는 엿기름을 중량기준으로 2배 내지 5배를 사용하여 2회 이상 수회 반복할 수 있다. 침출 온도는 15 내지 35℃가 좋으며, 더욱 좋게는 20 내지 30℃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여과액을 모아 20 내지 30 시간동안 전분에 침전시킨다. 전분 침전을 통해 α-amylase 등의 효소 수득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후, 침전 용액을 감압여과하고, 얻어진 물질을 동결건조하여 조효소를 제조한다. 제조된 조효소는 증류수에 0.01 내지 3 중량% 농도로 희석하여, 홍삼발효분말 제조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의 범위 내에서 홍삼부산물의 다당체 수율을 증가시키는데 바람직하다.In the step (a), the step of producing the coenzyme obtained from the malt may be performed first. Specifically, the malt is immersed in water for 1 to 3 hours.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se distilled water of primary to tertiary water. To increase the leaching efficiency, distilled water can be repeated several times over two or more times using 2 to 5 times the weight of malt. The leach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15 to 35 占 폚, more preferably 20 to 30 占 폚. The filtrate is then pooled and precipitated in starch for 20 to 30 hours. The efficiency of obtaining enzymes such as α-amylase can be increased through the precipitation of starch. Thereafter, the precipitated solution is filter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the obtained substance is lyophilized to prepare a coenzyme. The prepared coenzyme may be diluted with distilled water to a concentration of 0.01 to 3% by weight and used for preparing fermented red ginseng powder.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polysaccharide yield of the red ginseng by-product within the above range.
상기 제조된 조효소 및 홍삼부산물을 증류수에 넣고, 40 내지 60℃의 쉐이킹 인큐베이터(shaking incubator)에서 반응시킨다. 이때 회전수는 100 내지 150 rpm이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30분 내지 30 시간동안 반응시킬 수 있다. 상기의 범위 내에서 반응시간이 증가할수록 다당체 수율이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홍삼부산물은 홍삼박 및 홍삼전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다.The produced coenzyme and red ginseng by-products are put into distilled water and reacted in a shaking incubator at 40 to 60 ° C. At this time, the number of revolutions is preferably 100 to 150 rpm. The reaction time can be from 30 minutes to 30 hours. As the reaction time increases within the above range, the polysaccharide yield can be increased. The by-products of red ginseng used herein include any one selected from red ginseng roots and red ginseng star or a mixture thereof.
증류수는 홍삼부산물 1 중량부 당 5 내지 15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조효소는 증류수에 0.01 내지 3 중량%의 농도로 희석한 후, 홍삼부산물:조효소 2:8 내지 8:2 중량비로 첨가하여 반응시켜 홍삼발효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The distilled water is preferably used in an amount of 5 to 15 parts by weight per 1 part by weight of the red ginseng by-product. The crude enzyme may be diluted with distilled water to a concentration of 0.01 to 3% by weight, and then added at a weight ratio of 2: 8 to 8: 2 of red ginseng byproduct to coenzyme to react to prepare red ginseng fermented powder.
홍삼부산물과 조효소의 반응 후, 조효소의 불활성화를 위해 오토클레이브(autoclave)에서 90 내지 100℃ 온도에서 5 내지 20분 동안 처리한다. 이후 처리된 용액은 원심분리한다. 원심분리는 원심분리기(centrifuge)를 사용하여 회전수 2500 내지 3000 rpm에서 10 내지 30분간 실시한다. 얻어진 상등액을 30 내지 40℃ 온도범위에서 감압농축기를 사용해 농축하여 중량대비 홍삼의 유효성분 함량을 높일 수 있다. After the reaction of the red ginseng by-product and the coenzyme, the autoclave is treated at 90 to 100 ° C for 5 to 20 minutes to deactivate the coenzyme. The treated solution is then centrifuged. The centrifugation is carried out using a centrifuge at a rotation number of 2500 to 3000 rpm for 10 to 30 minutes. The resulting supernatant can be concentrated using a vacuum concentrator at a temperature range of 30 to 40 ° C to increase the active ingredient content of red ginseng to a weight.
이때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이후 건조하여 홍삼발효분말을 제조한다. 이때 건조는 통상적인 건조방법인 동결, 분무 또는 열풍으로 건조하여 홍삼발효분말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se a vacuum decompression concentrator or a vacuum rotary evaporator for the decompression concentration,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n dried to prepare red ginseng fermented powder. In this case, the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can be prepared by freeze drying, spraying or hot air drying, but not limited thereto.
상기 (b) 단계에서는, 병풍추출물에 균주를 첨가하여 20 내지 40℃에서 5 내지 50시간 반응시키고, 감압농축하고 발효하여 병풍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In the step (b), the strain is added to the screen wind extract, reacted at 20 to 40 ° C for 5 to 50 hour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fermented to prepare a screen-fed fermented extract.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이제(Lactobacillus casei) 및 스트렙토코커스 락티스(Streptococcus lactis)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균주를 사용할 수 있다. 병풍발효추출물은 병풍추출물:균주가 1:9 내지 9:1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The strain is Lactobacillus plantarum plantarum , Lactobacillus casei , and Streptococcus lactis may be used as the strain. The screening fermentation extract can be produced by mixing the screening extract: strain at a weight ratio of 1: 9 to 9: 1.
제조된 병풍발효추출물은 균주의 불활성화를 위해 오토클레이브(autoclave)에서 90 내지 100℃ 온도에서 5 내지 20분 동안 처리한 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병풍발효추출물의 유효성분이 파괴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감압농축 할 수 있다. 30 ~ 40℃ 온도범위에서 감압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할 수 있다. The prepared screen-fermented extract can be used after being treated in an autoclave at 90 to 100 ° C for 5 to 20 minutes to inactivate the strain. In this range,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screen-fermented extract may not be destroyed. Thereafter, it is possible to concentrate under reduced pressure. It can be concentrated using a vacuum concentrator at a temperature range of 30 to 40 ° C.
이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여과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여과는 0.1 내지 10 ㎛ 필터를 사용하여 1회 이상 여과를 수행 할 수 있다.Thereafter, filtration may be further performed by a conventional method. Filtration can be performed one or more times using a 0.1 to 10 mu m filter.
상기 (c) 단계에서는, (a)단계에서 제조된 홍삼발효분말과 (b) 단계에서 제조된 병풍발효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30 내지 50℃의 온도에서 5시간 내지 20시간 숙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혼합은 교반기를 이용하여 30분 내지 2시간 동안 혼합하는 것이 좋으며, 혼합된 혼합물을 30 내지 50℃의 온도에서 5시간 내지 20시간 숙성한다.In the step (c), the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prepared in step (a) and the mixture of the fermentation extract and the bokbule extract prepared in step (b) are aged at a temperature of 30 to 50 ° C for 5 to 20 hours . The mixing is preferably carried out using a stirrer for 30 minutes to 2 hours, and the mixed mixture is aged at a temperature of 30 to 50 DEG C for 5 to 20 hours.
상기 혼합물은 하기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혼합물 2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mixture may be used in an amount of 2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following soap base.
상기 (d) 단계에서는, 교반기에 비누베이스, 보습제 및 물을 넣고 가열하여 유화하고, (c)단계의 숙성된 혼합물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비누틀에 주입 및 응고시키는 단계이다.In the step (d), a soap base, a moisturizing agent, and water are added to the stirrer, followed by heating and emulsification. The aged mixture of step (c) is added and stirred.
구체적으로, 비누 제조를 위한 교반기에 비누베이스, 보습제 및 물을 65 내지 80℃에서 가열하여 2 내지 3 시간동안 혼합하여 유화한다. 이때, 물은 정제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누베이스는 소디움 라우레이트, 소디움 스테아레이트, 소디움 미리스테이트, 소디움 라우레스 설페이트 및 염기성 용액을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a soap base, a humectant and water are heated at 65 to 80 DEG C and mixed for 2 to 3 hours to emulsify the mixture in an agitator for soap productio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se purified water as the water. The soap base is preferably used including sodium laurate, sodium stearate, sodium myristate, sodium laureth sulfate and a basic solution.
이후 반응기의 온도를 40 내지 50℃로 낮춘 후, 유화된 비누베이스에 (c) 단계에서 숙성된 혼합물을 첨가하고 교반한다. 이때, 홍삼파우더,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프로폴리스, 꿀, 천연오일, 시어버터, 코코넛 밀크 및 향료를 더 첨가하여 교반할 수 있다. 이때 교반시간은 1 내지 3시간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교반 온도범위에서 각 첨가 물질들의 성분이 파괴되지 않으며, 비누화 반응이 잘 일어날 수 있다.Thereafter,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is lowered to 40 to 50 DEG C, and then the aged mixture is added to the emulsified soap base and stirred in step (c). At this time, red ginseng powder, aloe vera leaf extract, propolis, honey, natural oil, shea butter, coconut milk and fragrance can be further added and stirred. The stirring time is preferably 1 to 3 hours. In the above stirring temperature range, the ingredients of each additive material are not destroyed, and the saponification reaction can occur well.
이후 교반된 비누 조성물을 비누틀(soap mold)에 주입 및 응고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2차 교반된 조성물을 비누틀에 주입하기 전에 110 내지 130 메시 철망으로 여과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여과된 비누조성물은 비누틀에 주입한 후 비누의 기포 및 수분 증발을 체크하며 15 내지 25℃에서 3일 내지 7일 건조하여 응고시킨다. The stirred soap composition can then be injected into a soap mold and solidified. At this time, the secondary agitated composition may be filtered by a wire mesh of 110 to 130 mesh before being injected into the soap frame to remove foreign matter. The filtered soap composition is injected into a soap frame and then dried at 15 to 25 DEG C for 3 to 7 days to check for the air bubbles and moisture evaporation of the soap.
상기 응고된 비누를 비누틀에서 배출하여, 비누절단기(cutting machine)를 이용하여 절단한 후, 비누금형에 넣어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비누는 70 내지 120 중량(g)으로 절단하여 제조한다. 절단한 비누는 비누금형에 넣고, 비누성형기를 이용하여 40 내지 150 kgf/㎠ 압력으로 압축하여 비누의 모양을 성형한다. 이후, 성형된 비누는 자동포장기를 이용하여, 불량품을 선별하고 랩으로 포장하는 단계 및 포장된 비누에 스티커를 붙이고, 케이스에 포장하여 아웃박스로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agulated soap may be discharged from the soap mold, cut using a soap cutting machine, and molded into a soap mold. At this time, the soap is prepared by cutting to 70 to 120 weight (g). The cut soap is put into a soap mold and compressed at a pressure of 40 to 150 kgf / cm 2 using a soap molding machine to form the shape of the soap. Thereafter, the molded soap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selecting and wrapping the defective product using an automatic packing machine, a step of sticking the packaged soap, and packaging the packaged product in an out-box.
이하 실시예를 통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 조성물 및 비누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red ginseng soap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for producing soap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또한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drawing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rawings,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nd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may be exaggerated in order to clarif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Also, the singular forms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include the plural forms as well,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제조예 1] 엿기름에서 수득된 조효소 제조[Preparation Example 1] Production of coenzyme obtained in malt
증류수 500 ㎖에 엿기름 200 g을 2시간 동안 침출시킨다. 이때 침출은 3회를 반복한다. 수득된 여과액은 24시간동안 전분에 침전한다. 이 후 침전액을 감압여과한 후 5시간 동안 동결건조 하여, 엿기름에서 수득된 조효소를 제조하였다. 200 g of malt was leached in 500 ml of distilled water for 2 hours. At this time, the leaching is repeated three times. The obtained filtrate is precipitated in starch for 24 hours. Thereafter, the precipitate was fil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then lyophilized for 5 hours to prepare crude enzyme obtained from malt.
[제조예 2] 효소처리에 의한 홍삼발효분말 제조[Preparation Example 2] Preparation of fermented red ginseng powder by enzyme treatment
증류수 900 ㎖에 홍삼부산물로 건조된 홍삼박 100 g 및 조효소 100 g를 첨가한다. 상기 조효소는,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조효소를, 증류수를 사용하여 농도 0.01 중량%(w/w)으로 희석한 후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50℃의 쉐이킹 인큐베이터에 넣고, 150 rpm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반응시간은 1시간, 3시간, 5시간, 7시간, 12시간, 24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조효소의 불활성화를 위해, 반응한 용액은 오토클레이브에 넣고 95℃에서 10분 동안 처리한다. 홍삼발효분말은 3000 rpm로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 10 ㎖을 -20℃에서 동결건조시켰다.100 g of red ginseng roots dried as a by-product of red ginseng and 100 g of coenzyme are added to 900 ml of distilled water. The crude enzyme was diluted to a concentration of 0.01% by weight (w / w) using distilled water and added to the crude enzyme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followed by addition. This solution is placed in a shaking incubator at 50 ° C and rotated at 150 rpm. At this time, the reaction time is 1 hour, 3 hours, 5 hours, 7 hours, 12 hours, 24 hours. For inactivation of the coenzyme, the reacted solution is placed in an autoclave and treated at 95 ° C for 10 minutes. The fermented red ginseng powder was centrifuged at 3000 rpm and 10 ml of the supernatant was lyophilized at -20 ° C.
[제조예 3] [Production Example 3]
조효소는 증류수를 사용하여 농도 0.1 중량%(w/w)으로 희석한 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공정을 제조예 2와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The crude enzyme was diluted with distilled water to a concentration of 0.1 wt% (w / w), and all the step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2.
[제조예 4] [Production Example 4]
조효소는 증류수를 사용하여 1 중량%(w/w)으로 희석한 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공정을 제조예 2와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제조예 4의 시료를 바탕으로 실험예 2의 면역활성 효과를 평가하였다.The crude enzyme was diluted to 1 wt% (w / w) using distilled water, and all the step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2. Based on the sample of Preparation Example 4, the immunological activity of Experimental Example 2 was evaluated.
[제조예 5] [Production Example 5]
조효소는 증류수를 사용하여 3 중량%(w/w)으로 희석한 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공정을 제조예 2와 동일하게 진행하였다.The crude enzyme was diluted with distilled water to 3 wt% (w / w), and all the step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2.
[제조예 6] [Production Example 6]
조효소는 증류수를 사용하여 5 중량%(w/w)를 희석한 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공정을 제조예 2와 동일하게 진행하였다.The coenzyme was diluted with 5 wt% (w / w) using distilled water, and all the step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2.
[제조예 7] [Production Example 7]
홍삼부산물로 홍삼전분 10 g를 사용하였고, 조효소는 증류수를 사용하여 1 중량부(w/w)으로 희석한 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공정을 제조예 2와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10 g of red ginseng starch was used as a by-product of red ginseng, and the coenzyme was diluted to 1 part by weight (w / w) using distilled water and all the step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2.
[제조예 8] 홍삼파우더 제조[Preparation Example 8] Preparation of red ginseng powder
40℃ 오븐에서 48시간 건조된 홍삼박 80 g 및 홍삼전분 20 g을 80 메시로 분쇄하여 홍삼파우더를 제조하였다.Red ginseng powder was prepared by pulverizing 80 g of red ginseng roots and 20 g of red ginseng starch in an oven at 40 ° C for 48 hours to 80 mesh.
[제조예 9] 복분자추출물 제조[Preparation Example 9] Preparation of bokbunja extract
복분자 500g에 에탄올:물이 5:5 부피비로 혼합된 용액 1000 ㎖를 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동안 환류냉각장치를 사용하여 60℃에서 3회 추출하였다. 여과지(Whatman No. 6)을 사용하여 여과한 후 감압농축하여 고형분 2 중량% 함량의 복분자추출물을 제조하였다. 1000 ml of a mixture of ethanol and water in a volume ratio of 5: 5 was added to 500 g of bokbunja, and the mixture was extracted three times at 60 캜 with a reflux condenser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After filtration using a filter paper (Whatman No. 6), the filtrate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prepare a brambly extract having a solid content of 2% by weight.
[제조예 10] 병풍발효추출물 제조[Production Example 10] Production of screen-fermented fermented extract
제주도에서 채취한 병풍(Centella asiatica) 500g에 에탄올:물이 5:5 부피비로 혼합된 용액 1000 ㎖를 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동안 환류냉각장치를 사용하여 60℃에서 3회 추출하였다. 여과지(Whatman No. 6)을 사용하여 여과한 후 감압농축하여 고형분 1 중량% 함량의 병풍추출물을 제조하였다.A folding screen ( Centella asiatica ) was added to 1000 ml of a mixed solution of ethanol and water in a volume ratio of 5: 5, and the mixture was extracted three times at 60 ° C using a reflux condenser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After filtration using a filter paper (Whatman No. 6), the filtrate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prepare a screen wind extract having a solid content of 1 wt%.
제조된 병풍추출물 90 중량%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균주 10 중량%를 첨가하여 30℃에서 10시간 반응시킨 후, 균주의 불활성화를 위해 오토클레이브(autoclave)에서 90℃ 온도에서 15분 동안 처리한 후, 감압농축기를 사용해 농축하하고, 5 ㎛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병풍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90% by weight of the prepared screen wind extract and 10% by weight of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 were added and reacted at 30 DEG C for 10 hours. Then, in order to inactivate the strain, the mixture was treated in an autoclave at 90 DEG C for 15 minutes Then, the mixture was concentrated using a vacuum concentrator and filtered using a 5 탆 filter to prepare a screen-dried fermented extract.
[비교 제조예 1] 효소처리에 의한 홍삼발효분말 [Comparative Production Example 1] Fermented red ginseng powder by enzyme treatment
조효소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공정을 제조예 2와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All the step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2, except that coenzyme was not used.
[실험예 1] 홍삼발효분말의 수율 측정[Experimental Example 1] Measurement of yield of fermented red ginseng powder
(1) 홍삼부산물의 효소처리에 의한 수율 측정(1) Determination of yield by enzymatic treatment of by-products of red ginseng
제조예 2 내지 7 및 비교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상등액 1 ㎖를 -20℃에서 동결건조 한 후 중량을 측정하여 수율을 계산하였다. 수율은 하기의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1 ml of the supernatant prepared in Preparative Examples 2 to 7 and Comparative Preparative Example 1 was lyophilized at -20 ° C, and the yield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weight. The yield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수율(%)= [(동결건조 후 무게 g)/(동결건조 전 무게 g)]×100Yield (%) = [(weight after freeze drying g) / (weight before freeze drying g)] × 100
(2) 다당체의 함량 측정 (2) Measurement of polysaccharide content
제조예 2 내지 7 및 비교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상등액 2 ㎖에 99%의 에탄올 8 ㎖를 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다당체를 침전시킨 후, 3,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침전된 다당체를 -20℃에서 동결건조 한 후 측정하여 수율을 계산하였다. 수율은 하기의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8 ml of 99% ethanol was added to 2 ml of the supernatant prepared in Preparative Examples 2 to 7 and Comparative Preparative Example 1, and the polysaccharide was precipitated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Then, the supernatant was removed by centrifugation at 3,000 rpm for 20 minutes, The resulting polysaccharide was lyophilized at -20 ° C and then the yield was calculated. The yield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수율(%)= [(동결건조 후 무게 g)/(제조된 상등액 무게 g)]×100Yield (%) = [(Weight after freeze drying g) / (Weight of supernatant prepared g)] × 100
(3) 실험결과(3) Experimental results
상기 표 1은 제조예 2 내지 7 및 비교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홍삼발효분말의 수율을 나타낸 표이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예 2 내지 6에서 조효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반응시간이 증가할수록, 홍삼박 수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제조예 7은 홍삼발효분말의 홍삼전분 수율을 나타내었다. 비교 제조예 1은 조효소를 사용하지 않아 수율이 높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Table 1 is a table showing the yields of fermented red ginseng powder prepared in Production Examples 2 to 7 and Comparative Production Example 1. As shown in Table 1, it can be seen that as the concentration of coenzyme increases in Production Examples 2 to 6 and the reaction time increases, the yield of red ginseng roots increases. Production Example 7 showed the yield of red ginseng starch from the red ginseng fermented powder. Comparative Production Example 1 shows that the yield is not high because no coenzyme is used.
상기 표 2은 제조예 2 내지 7 및 비교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홍삼발효분말의 다당체 수율을 나타낸 표이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예 2 내지 6은 조효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반응시간이 증가할수록, 홍삼박 다당체 수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제조예 6의 경우, 조효소 5 중량%가 첨가되었으나, 제조예 3에 비해 홍삼박 다당체 수율이 높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제조예 7은 홍삼발효분말의 홍삼전분 다당체 수율을 나타내었으며 홍삼박에 비해 홍삼전분이 다당체 수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 제조예 1은 조효소를 사용하지 않아 다당체 수율이 높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Table 2 shows the polysaccharide yields of red germ fermented powders prepared in Production Examples 2 to 7 and Comparative Production Example 1. As shown in Table 2, in Production Examples 2 to 6, the yield of the red ginseng polysaccharide was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the coenzyme increased and the reaction time increased. In the case of Production Example 6, 5% by weight of coenzyme was added, but the yield of red ginseng polysaccharide was not higher than that of Production Example 3. [ Production Example 7 shows the yield of the red ginseng starch polysaccharide in the fermented red ginseng powder and that the yield of the polysaccharide of the red ginseng star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red ginseng extract. Comparative Production Example 1 does not use a coenzyme and thu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olysaccharide yield is not high.
[실험예 2][Experimental Example 2] 홍삼발효분말의 면역활성 효과 평가Evaluation of Immune Activity of Fermented Red Ginseng Powder
24시간 반응한 제조예 4의 시료를 바탕으로 실험예 2의 면역활성 효과를 평가하였다.The immunological activity of Experimental Example 2 was evaluated on the basis of the sample of Preparation Example 4 which was reacted for 24 hours.
(1) 세포배양(1) Cell culture
마우스의 대식세포주인 Raw 264.7 cell은 한국세포주은행(KCLB)에서 분양 받았으며, 세포배양을 위해 10% FBS(Fetal Bovine Serum)과 1% penicillin-streptomycin을 포함하는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를 사용하였다. 세포는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Raw 264.7 cells, a mouse macrophage cell line, were purchased from Korean Cell Line Bank (KCLB) and used for DMEM (Dulbeco's Modified Eagle's Media) medium containing 10% FBS (Fetal Bovine Serum) and 1% penicillin-streptomycin Respectively. Cells were cultured at 37 ° C and 5% CO 2 .
(2) 세포 생존율 측정(2) Measurement of cell viability
세포에 대한 독성 측정은 MTT(3-(4,5-dimethylthiazol-2-yl)-Toxicity to cells was measured by MTT (3- (4,5-dimethylthiazol-2-yl) -
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Raw 264.7 세포 2×104 cells/㎖를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시료를 농도별 25, 50, 100, 200 ㎍/㎖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EZ-Cytox(Daeil, Korea)을 이용하여 Well당 10 ㎕ 용액을 첨가하여 37℃, 5% CO2 조건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USA)를 이용하여 450 ㎚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대조군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백분율로 표시하였다.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ethod. Raw 264.7 cells were plated at 2 × 10 4 cells / ml in 96-well plates and the samples were treated with 25, 50, 100, and 200 μg / ml for 24 hours. 10 μl of the solution was added to each well using EZ-Cytox (Daeil, Korea) and reacted at 37 ° C and 5% CO 2 for 30 minutes. Then,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USA) The change in absorbance at 450 nm was measured and the cell viability for the control group was expressed as a percentage.
(3) Nitric Oxide 생성량 측정(3) Measurement of nitric oxide production
NO의 농도는 배양액 내의 nitrite 농도를 NO assay kit (Intron, 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Raw 264.7 cell은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를 이용하여 2×104 cells/mL로 조절한 후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PBS(Phosphate-Buffered Saline)로 수세한 후 양성대조군으로 1 μg/mL의 LPS(Lipopolysaccharides)와 시료를 25, 50, 100, 200 ㎍/㎖을 첨가후 24시간 배양하였다. 일산화질소 측정기(Nitric oxide detection kit, Intron, Korea)를 사용하여 Sulfanilamide in the reaction buffer 50 μL를 넣고 10분 동안 반응 시켰다. 그 후 Naphthylethylenediamine in the stabilizer buffer를 50 ㎕을 넣고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ader (Molecular devices, USA)에서 흡광도 540 nm를 측정하여 아질산나트륨(sodium nitrite)의 검량선으로부터 NO 대사물인 nitrite의 생성정도를 산출하였다.NO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by using the NO assay kit (Intron, Korea). Raw 264.7 cells were adjusted to 2 × 10 4 cells / mL using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and then seeded in 96-well plates and cultured in a 5% CO 2 incubator at 37 ° C for 24 hours. After incubation, the cells were washed with PBS (Phosphate-Buffered Saline). LPS (Lipopolysaccharides) at 1 μg / mL and 25, 50, 100 and 200 ㎍ / ㎖ were added as a positive control and cultured for 24 hours. 50 μl of sulfanilamide in the reaction buffer was added using a nitrogen oxide detection kit (Intron, Korea) and reacted for 10 minutes. After incubation at room temperature for 10 minutes with 50 μl of Naphthylethylenediamine in the stabilizer buffer,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40 nm in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ader (Molecular devices, USA). The absorbance was measured from the calibration curve of sodium nitrite The production of nitrite, a metabolite of NO, was calculated.
(4) TNF-α 생성량 측정(4) Measurement of TNF-α production
세포배양액 내의 TNF-α 생성량은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Raw 264.7 cell은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를 이용하여 2×104 cells/㎖로 6 well plate에 분주하고, 37℃,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세포에 양성대조군으로 1 μg/mL의 LPS(Lipopolysaccharides) 및 0, 25, 50, 100, 200 ㎍/㎖의 시료를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배지를 취하여 TNF(Tumor necrosis factors)-α(BD, USA)를 ELISA reader(Molecular devices, USA)를 이용하여 450 ㎚에서 측정하였다.The amount of TNF-α produced in the cell culture was measured by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 Raw 264.7 cells were seeded in a 6-well plate at 2 × 10 4 cells / ml using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medium and cultured at 37 ° C and 5% CO 2 for 24 hours. Cells were treated with 1 μg / mL of LPS (Lipopolysaccharides) and 0, 25, 50, 100, 200 μg / mL samples as a positive control and cultured for 24 hours. TNF (Tumor necrosis factors) -α (BD, USA) was measured at 450 nm using an ELISA reader (Molecular devices, USA).
(5) 세포내 염증관련 단백질 발현 양상 측정(5) Measurement of inflammation-related protein expression patterns in cells
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염증과 관계되어진 iNOS, COX-2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였다. 대식세포주(Raw264.7)를 이용하여 2×104 cells/㎖로 6 well plate에 배양한 뒤 시료를 처리를 한 다음 24시간 후에 PBS(Phosphate-Buffered Saline)로 세척한 후 원심분리 하여 세포를 수집하고, RIPA buffer를 사용하여 세포 용해액(cell lysate)를 제조하였다. 세포 용해액(cell lysate)에 함유된 단백질의 양은 브래드포드(Bradford) 법으로 측정하였다. 단백질 20 ㎍을 10%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를 함유한 SDS-PAGE로 분리하고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막(membrane)으로 전기영동(electroblot)을 120 V에서 1시간을 실시하였다. 이어 PVDF 막(membrane)을 5% 탈지분유(skim milk)에서 1시간 방치한 후, 1차 항체(primary antibody)에서 4℃ 온도에서 overnight 반응하였다. 다시 tris-buffered saline and tween 20 (TBST)로 세 번 세척한 후, 2차 항체(secondary antibody)를 상온에서 1시간 반응 시킨 후, TBST로 세 번 세척하고 ECL(enhanced chemiluminescence) kit (Amersham-Pharmacia, USA)와 반응시켜 Chemidoc (Bio-rad, USA) 이용하여 밴드 현상을 측정하였다.To determine the inflammatory effect, the amount of iNOS and COX-2 protein associated with inflammation was measured. The cells were cultured on a 6-well plate at 2 × 10 4 cells / ml using a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treated with PBS, washed with PBS (Phosphate-Buffered Saline) 24 hours later, And cell lysate was prepared using RIPA buffer. The amount of protein contained in the cell lysate was measured by the Bradford method. 20 μg of the protein was separated by SDS-PAGE containing 10% polyacrylamide and electroblotted with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membrane at 120 V for 1 hour. The PVDF membrane was then left in 5% skim milk for 1 hour and then reacted overnight at 4 ° C in the primary antibody. After washing three times with tris-buffered saline and tween 20, secondary antibody was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washed three times with TBST, and then treated with ECL (Amersham-Pharmacia) , USA), and band phenomena were measured using Chemidoc (Bio-Rad, USA).
(6) 비장세포 증식 측정(6) Measurement of splenocyte proliferation
면역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생쥐의 비장세포를 이용하였다. 먼저 생쥐의 비장을 분리한 다음, mesh를 통하여 분쇄하고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여 비장세포를 회수하였다. 이후 RBC(Red Blood Cell) lysis buffer로 잔여 적혈구를 제거한 뒤 RPMI(Rosewell Park Memorial Institute) 1640 배지를 이용하여 2회 세척하였다. 분리한 비장세포는 5×106 cell/㎖으로 희석하였다. 이후 96 well plate에 넣고, T 세포의 활성화 유도물질인 lipopolysaccharide (LPS) 및 B 세포 활성화 유도물질인 concanavalin A(Con A)를 넣고 시료를 농도별로 희석한 것을 넣어, 48시간 5%, CO2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각 well당 10 ㎕의 CCK-8 kit (Dojindo Laboratories, Japan) 용액을 첨가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4시간 배양하고 45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활성을 비교하였다.Spleen cells of mice were used to measure the effect on the proliferation of immune cells. First, the spleen of the mouse was separated, and then pulverized through a mesh and centrifuged to remove the supernatant, and the spleen cells were recovered. The remaining red blood cells were removed with RBC (Red Blood Cell) lysis buffer and then washed twice with RPMI (Rosewell Park Memorial Institute) 1640 medium. The isolated splenocytes were diluted to 5 × 10 6 cells / ml. After placed in a 96 well plate, and put to one, insert the concanavalin A (Con A) is a lipopolysaccharide (LPS) and B cell activation inducer activated inducer T cell dilute the sample at different concentrations for 48 hours 5%, CO 2 incubator and cultured in an incubator. Then, 10 μl of CCK-8 kit (Dojindo Laboratories, Japan) solution was added to each well, incubated for 4 hours at 37 ° C in a 5% CO 2 incubator,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450 ㎚.
(7) 실험결과(7) Experimental results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4의 홍삼발효분말은 RAW 264.7 세포에 대한 세포생존율 측정에서 200 ㎍/㎖의 고농도에서 98.0%의 세포생존율을 보여 면역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도 1의 Control은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이다. As shown in FIG. 1, the fermented red ginseng powder of Preparation Example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cell viability of 98.0% at a high concentration of 200 μg / ml in RAW 264.7 cells, showing no toxicity to immune cells Respectively. The control in Fig. 1 is a control group in which the sample is not treated.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에서는 NO의 생성양이 8.9 uM이었고 LPS로 유도했을 경우 NO 생성량이 32.8 uM로 증가했다. 제조예 4의 홍삼발효분말을 25 ㎍/㎖, 50 ㎍/㎖, 100 ㎍/㎖로 처리한 군에서는 각각 16.1, 17.2, 18.0 uM로 NO의 생성을 p < 0.05로 유의하게 억제하여 대조군에 비해 염증억제 효과가 있었다.As shown in Fig. 2, the amount of NO produced was 8.9 uM in the control group without treatment, and the amount of NO production was increased to 32.8 uM when induced by LPS. In the group treated with 25 ㎍ / ㎖, 50 ㎍ / ㎖ and 100 ㎍ / ㎖ of red ginseng powder of Preparation Example 4, the production of NO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to 16.1, 17.2 and 18.0 uM in p <0.05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n anti-inflammatory effect.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RAW 264.7 세포에서 pro-inflammatory 사이토카인인 TNF-α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에서 64.1 ng/㎖이던 것이 LPS로 염증을 유도했을 때 195.0 ng/㎖로 증가했다. 제조예 4의 홍삼발효분말을 25 ㎍/㎖, 50 ㎍/㎖, 100 ㎍/㎖로 처리한 군에서 각각 88.2, 140.7, 154.3로 TNF-α생성이 억제되어 대조군에 비해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s shown in FIG. 3, the amount of pro-inflammatory cytokine TNF-α produced in RAW 264.7 cells was found to be 64.1 ng / ml in the control group without treatment, ng / ml. TNF-α production was inhibited at 88.2, 140.7, and 154.3 in the groups treated with 25 μg / ml, 50 μg / ml and 100 μg / ml of the red ginseng powder of Preparation Example 4, respectively, .
[실시예 1]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Example 1] Red ginseng soap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비누베이스로 소디움 라우레디트 20 중량%, 소디움 스테아레이트 20 중량%, 소디움 미리스테이드 20 중량%, 소디움 라우레스 설페이트 10 중량% 및 트리에탄올아민 30 중량%를 사용하였다.20% by weight of sodium laureate, 20% by weight of sodium stearate, 20% by weight of sodium premisteed, 10% by weight of sodium laureth sulfate and 30% by weight of triethanolamine were used as soap bases.
상기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조예 4에서 24시간 반응하여 제조된 홍삼발효분말 5 중량부, 제조예 9에서 제조된 복분자추출물 0.5 중량부 및 제조예 10에서 제조된 병풍발효추출물 1 중량부를 교반기에서 3분동안 혼합한 후, 10시간 동안 숙성하여 숙성물을 제조하였다.5 parts by weight of the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prepared by reacting in the production example 4 for 24 hour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0.5 part by weight of the bramble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9, and 1 part by weight of the fermentation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0 After mixing for 3 minutes on a stirrer, aging was performed for 10 hours to prepare aged material.
교반기에 상기 비누베이스를 투입하였다. 상기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습제로 글리세린 10 중량부 및 솔비톨 6 중량부를 투입하고, 정제수 10.5 중량부를 투입한다. 70℃에서 가열하여 1시간 동안 비누베이스를 유화한 후, 45℃에서 상기 숙성물 및 향료 1 중량부를 첨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The soap base was charged into a stirrer.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10 parts by weight of glycerin and 6 parts by weight of sorbitol were added as a humectant, and 10.5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as added. After heating at 70 DEG C to emulsify the soap base for 1 hour, 1 part by weight of the aged material and the perfume was added at 45 DEG C and the mixture was stirred for 2 hours.
교반된 비누 조성물을 120 메시(mesh) 철망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비누틀에 담고 4일 동안 건조하여 응고시켰다. 응고된 비누를 비누틀에서 꺼낸 후, 비누절단기를 이용하여 80 g으로 절단하였다. 절단된 비누는 비누금형에 넣고 비누성형기를 이용하여 100 kgf/㎠ 압력으로 압축하여 비누의 모양을 성형하였다. 제조된 비누는 실험예 3에 의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제조된 비누의 함량은 표 3에 나타내었다.The agitated soap composition was removed by using a 120-mesh wire net, and the soap frame was then dried for 4 days to solidify. The clotted soap was taken out from the soap mold and cut into 80 g using a soap cutter. The cut soap was placed in a soap mold and compressed at a pressure of 100 kgf / cm 2 using a soap molding machine to form the shape of the soap. The thus-produced soap was subjected to sensory evaluation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3,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 The content of the manufactured soap is shown in Table 3.
[실시예 2] [Example 2]
제조예 4에서 24시간 반응하여 제조된 홍삼발효분말, 제조예 9에서 제조된 복분자추출물 및 제조예 10에서 제조된 병풍발효추출물을 혼합한 후 숙성하지 않고, 비누 제조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공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이때, 상기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10.5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제조된 비누의 함량은 표 3에 나타내었다.The red ginseng fermented powder produced by the reaction in Production Example 4 for 24 hours, the bergamot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9 and the fermented fermentation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0 were mixed,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t this time, 10.5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as used for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The content of the manufactured soap is shown in Table 3.
[실시예 3][Example 3]
상기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조예 4에서 24시간 반응하여 제조된 홍삼발효분말 10 중량부 및 정제수 5.5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공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제조된 비누의 함량은 표 3에 나타내었다. All the step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10 parts by weight of fermented red ginseng produced by reacting in Production Example 4 for 24 hour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and 5.5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ere used. The content of the manufactured soap is shown in Table 3.
[실시예 4] [Example 4]
상기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조예 4에서 24시간 반응하여 제조된 홍삼발효분말 1 중량부 및 정제수 14.5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공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제조된 비누의 함량은 표 3에 나타내었다.All the step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1 part by weight of fermented red ginseng produced by reacting in Production Example 4 for 24 hours and 14.5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ere used for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The content of the manufactured soap is shown in Table 3.
[실시예 5] [Example 5]
상기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홍삼파우더 0.8 중량부를 더 첨가하고, 정제수 9.7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공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제조된 비누의 함량은 표 3에 나타내었다.Except that 0.8 parts by weight of red ginseng powder was further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and 9.7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as used. The content of the manufactured soap is shown in Table 3.
[실시예 6] [Example 6]
상기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형분 함량 0.1%의 알로에베라잎추출물 1 중량부를 더 첨가하고, 정제수 8.7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공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제조된 비누의 함량은 표 3에 나타내었다.All the step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1 part by weight of aloe vera leaf extract having a solid content of 0.1% was further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and 8.7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as used. The content of the manufactured soap is shown in Table 3.
[실시예 7] [Example 7]
상기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프로폴리스 1 중량부를 더 첨가하고, 정제수 7.7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공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제조된 비누의 함량은 표 3에 나타내었다.All the step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1 part by weight of propolis was further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and 7.7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as used. The content of the manufactured soap is shown in Table 3.
[실시예 8] [Example 8]
상기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카시아 꿀 1 중량부를 더 첨가하고, 정제수 6.7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공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제조된 비누의 함량은 표 3에 나타내었다.All the step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1 part by weight of acacia honey was further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and 6.7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as used. The content of the manufactured soap is shown in Table 3.
[실시예 9] [Example 9]
상기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시어버터 1 중량부를 더 첨가하고, 정제수 5.7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공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제조된 비누의 함량은 표 3에 나타내었다.All the step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1 part by weight of shea butter was further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and 5.7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as used. The content of the manufactured soap is shown in Table 3.
[실시예 10] [Example 10]
상기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코코넛밀크 1 중량부를 더 첨가하고, 정제수 4.7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공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제조된 비누의 함량은 표 3에 나타내었다.All the step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1 part by weight of coconut milk was further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and 4.7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as used. The content of the manufactured soap is shown in Table 3.
[실시예 11] [Example 11]
상기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천연오일 1 중량부를 더 첨가하고, 정제수 3.1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공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제조된 비누의 함량은 표 3에 나타내었다.All the step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1 part by weight of natural oil was further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and 3.1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as used. The content of the manufactured soap is shown in Table 3.
[실시예 12] [Example 12]
상기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물성 셀룰로오스 5 중량부를 더 첨가하고, 정제수 1.1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공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제조된 비누의 함량은 표 3에 나타내었다.Except that 5 parts by weight of vegetable cellulose was further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and 1.1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as used. The content of the manufactured soap is shown in Table 3.
[실시예 13][Example 13]
상기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조예 4에서 홍삼박을 사용하여 24시간 반응으로 제조된 홍삼발효분말 5 중량부 및 제조예 7에서 홍삼전분을 사용하여 24시간 반응으로 제조된 홍삼발효분말 5 중량부를 혼합한, 홍삼발효분말 10 중량부를 사용하고, 정제수 3.1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공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제조된 비누의 함량은 표 3에 나타내었다. 5 parts by weight of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prepared by the reaction of red ginseng in Production Example 4 for 24 hours and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5 Except that 10 parts by weight of fermented red ginseng powder was used and 3.1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as used. The content of the manufactured soap is shown in Table 3.
[실시예 14][Example 14]
상기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조예 9에서 제조된 복분자추출물 0.1 중량부 및 정제수 11.9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공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제조된 비누의 함량은 표 3에 나타내었다. All the step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0.1 part by weight of the bokbunja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9 and 11.9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ere used for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The content of the manufactured soap is shown in Table 3.
[실시예 15][Example 15]
상기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조예 10에서 제조된 병풍발효추출물 0.1 중량부 및 정제수 12.4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공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제조된 비누의 함량은 표 3에 나타내었다. All the step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0.1 part by weight of the screen-fermented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0 and 12.4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ere used for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The content of the manufactured soap is shown in Table 3.
[비교예 1]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Comparative Example 1] Red ginseng soap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제조예 9에서 제조된 복분자추출물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공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이때, 상기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3.6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All the step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brambone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9 was not used. At this time, 3.6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as used for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비교예 2] [Comparative Example 2]
제조예 4에서 제조된 홍삼발효분말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공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이때, 상기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8.1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제조된 비누의 함량은 표 3에 나타내었다.All the step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red ginseng fermented powder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4 was not used. At this time, 8.1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as used for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The content of the manufactured soap is shown in Table 3.
[비교예 3] [Comparative Example 3]
제조예 10에서 제조된 병풍발효추출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공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이때, 상기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4.1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제조된 비누의 함량은 표 3에 나타내었다.All the step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creen-fermented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0 was not used. At this time, 4.1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as used for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The content of the manufactured soap is shown in Table 3.
[비교예 4] [Comparative Example 4]
제조예 9에서 제조된 복분자 추출물 및 제조예 10에서 제조된 병풍발효추출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공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이때, 상기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4.6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제조된 비누의 함량은 표 3에 나타내었다. All the processe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bokbunja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9 and the screen-fermented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0 were not used. At this time, 4.6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as used for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The content of the manufactured soap is shown in Table 3.
[비교예 5] [Comparative Example 5]
제조예 4에서 제조된 홍삼발효분말 및 제조예 10에서 제조된 병풍발효추출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공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이때, 상기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9.1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제조된 비누의 함량은 표 3에 나타내었다.All processe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4 and the fermentation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0 were not used. At this time, 9.1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as used for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The content of the manufactured soap is shown in Table 3.
[비교예 6] [Comparative Example 6]
제조예 4에서 제조된 홍삼발효분말 및 제조예 9에서 제조된 복분자추출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공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이때, 상기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8.6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제조된 비누의 함량은 표 3에 나타내었다.All the processe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red ginseng fermented powder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4 and the bokbunja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9 were not used. At this tim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8.6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as used. The content of the manufactured soap is shown in Table 3.
[비교예 7] [Comparative Example 7]
제조예 4에서 제조된 홍삼발효분말, 제조예 9에서 제조된 복분자추출물 및 제조예 10에서 제조된 병풍발효추출물을 제외하고는 모든 공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이때, 상기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9.6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제조된 비누의 함량은 표 3에 나타내었다.All the processe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the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4, the bokbunja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9, and the fermentation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0. At this time, 9.6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as used for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The content of the manufactured soap is shown in Table 3.
[실험예 3] 아토피 피부염 환자 대상 관능평가[Experimental Example 3] Sensory evaluation for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1) 평가방법(1) Evaluation method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비누에 대한 시험을 하였다. 전국에서 무작위로 선정한 아토피성 피부염을 가지는 남성환자 110명, 여성환자 110명 총 220명을 대상으로, 남녀 각 5명씩 10명을 2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비누를 사용하여 효과를 평가하였다. 비누의 사용은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을 보이는 피부에, 아침저녁으로 두 번에 걸쳐, 20℃ 수돗물에서 1 내지 3분 동안 비누를 사용하였다. 시험시작일로부터 1개월 후 피부상태를 관찰하고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항목은 세정력, 보습력, 피부의 매끄러움, 피부자극, 상처치유력, 가려움증 완화 및 피부염 완화에 대해 평가하였다. 세정력은 피부 표면의 이물질, 각질, 화장품 등의 세정 효과를 평가하였다. 보습력은 비누 사용 후 해당 피부에 피부 수분측정기(Skin Analyzer-Moritex Corp.Japan)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피부의 매끄러움은 비누 사용 후 피부가 거칠음이나 매끄러움 정도를 사용자의 주관에 의해 평가하였다. 피부 자극은 비누 사용 후 피부 붉어짐, 피부 당김을 관찰한 후 평가하였다. 상처치유력은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해 건조하여 갈라진 피부의 치유효과를 관찰한 후 평가하였다. 가려움증은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피부 가려움증이 비누 사용 후 완화되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피부염 완화는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해 발생된 피부염이 비누 사용 후 완화되는 정도를 관찰한 후 평가하였다. 평가방법은 10점으로 나누어, 2점 매우 나쁨, 4점 나쁨, 6점 보통, 8점 좋음, 10점 매우 좋음으로 평가한 후, 전체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이에 따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The soaps prepared in Examples 1 to 1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7 were tested. A total of 220 male patients and 110 female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randomly selected from all over the country were divided into 22 groups of 5 male and 5 female patients, The effect was evaluated using the soap prepared in 7. The use of soap was applied to the skin showing symptoms of atopic dermatitis, twice daily in the morning and evening, and for 1 to 3 minutes in 20 ° C tap water. One month after the start of the test, the skin condition was observed and the effect was evaluated. The evaluation items were evaluated for cleansing power, moisturizing power, skin smoothness, skin irritation, wound healing power, itching relief and dermatitis relief. The detergency was evaluated by the cleaning effect of foreign substances on skin surface, keratin and cosmetics. The moisturizing power was evaluated by using a skin moisture meter (Skin Analyzer-Moritex Corp.Japan) on the skin after use of the soap. The smoothness of the skin was evaluated by the user's subjective degree of skin roughness and smoothness after use of the soap. Skin irritation was evaluated after observing skin redness and skin pulling after using soap. The wound healing power was evaluated by observing the healing effect of cracked skin dried by atopic dermatitis. Itching evaluated the degree to which skin itching caused by atopic dermatitis was alleviated after using soap. Dermatitis relief was assessed after observing the extent to which dermatitis caused by atopic dermatitis was alleviated after use of the soap. The evaluation method was divided into 10 points and evaluated as 2 points very poor, 4 points worse, 6 points average, 8 points good, 10 points very good, and then expressed as a whole average value.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2) 실험결과(2) Experimental results
발효분말Red ginseng
Fermented powder
추출물Bokbunja
extract
상기 표 3은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 내지 7에서 제조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의 조성을 나타낸 표이다.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 내지 7는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의 성분을 중량부로 나타내었으며, 각각 보습제 16 중량부 및 홍삼향 1 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조성표이다. 실시예 2는 홍삼발효분말, 복분자추출물 및 병풍발효추출물을 혼합 후 숙성 과정을 실시하지 않았다. 실시예 1 내지 12, 14 내지 15 및 비교예 1 내지 7은 홍삼박을 사용하여 추출된 홍삼발효분말을 사용하였으며, 실시예 13의 홍삼발효분말은 홍삼박과 홍삼전분을 사용하여 추출된 홍삼발효분말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Table 3 is a table showing compositions of red ginseng soap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prepared in Examples 1 to 1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7. As shown in Table 3, in Examples 1 to 1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7, each component was expressed in terms of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ap base, and 16 parts by weight of the moisturizer and 1 part by weight of red ginseng It is a composition table doing. In Example 2, the fermented red ginseng powder, the bokbunja extract and the screen-fungus fermentation extract were mixed, and the fermentation process was not performed. Examples 1 to 12, 14 to 1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7 used fermented red ginseng powder extracted from red ginseng roots. The fermented red ginseng powder of Example 13 contained red ginseng fermented red ginseng extract Powder were mixed and used.
완화dermatitis
ease
상기 표 4는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 내지 7에 따른 관능 검사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는 홍삼발효분말, 복분자추출물 및 병풍발효추출물의 숙성과정이 없기 때문에, 같은 함량의 실시예 1과 비교하였을 때 더 낮은 피부자극, 상처치유, 가려움증 완화 및 피부염 완화의 수치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Table 4 shows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according to Examples 1 to 1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7. As shown in Table 4, since the fermented red ginseng powder, the bokbule extract and the screen fermentation extract do not have a ripening process, as shown in Table 4, lower skin irritation, wound healing, itching relief and dermatitis It can be seen that the numerical value of the relaxation is shown.
실시예 1, 3 및 4는 홍삼발효분말 함량에 따른 평가를 나타내었다. 홍삼발효분말의 함량이 가장 많은 실시예 3이 전체적인 평가에서 높은 수치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Examples 1, 3 and 4 show th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content of fermented red ginseng powder. It can be seen that Example 3 in which the content of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is the highest is high in the overall evaluation.
실시예 5는 홍삼파우더가 더 함유되어 세정력과 매끄러움이 증가하였고, 가려움증 및 피부염 완화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은 알로에베라잎추출물이 더 함유되어 보습력과 매끄러움이 증가되어 피부자극 가려움증 및 피부염 완화에 도움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은 항균작용에 좋은 프로폴리스가 더 함유되어 상처치유, 가려움증 및 피부염 완화에 효과가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은 영양성분이 풍부한 꿀이 더 함유되어 보습력을 향상하고 상처치유, 가려움증 및 피부염 완화에도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9는 보습에 좋은 시어버터가 더 함유되어 피부의 보습력과 매끄러움을 향상시키고, 상처치유, 가려움증 및 피부염 완화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0은 보습과 피부질환 치료에 좋은 코코넛 밀크가 더 함유되어 전체적으로 향상된 수치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1은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고, 항균기능의 조조바 오일 및 가려움증 완화에 좋은 동백오일 등의 천연오일이 더 함유되어, 높은 보습력과 매끄러움을 보이며, 상처치유, 가려움증 및 피부염 완화에도 효과가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2는 식물성 셀룰로오스가 더 함유되어 있어 우수한 세정력을 보이며, 피부의 매끄러움도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3은 홍삼박을 사용하여 제조된 홍삼발효분말만 사용하지 않고, 다당체 함유량이 높은 홍삼전분을 사용하여 제조된 홍삼발효분말을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였기 때문에, 더 우수한 상처치유력, 가려움증 완화 및 피부염 완화에 효과를 확인 할 수 있다. In Example 5, red ginseng powder was further contained to increase cleansing power and smoothness, and it was found that it was also effective in relieving itching and dermatitis. Example 6 further shows that aloe vera leaf extract is further contained, which increases moisturizing power and smoothness, which is helpful for skin irritation itching and dermatitis relief. Example 7 further contains propolis which is excellent in antimicrobial activity, and it is found that it is effective for wound healing, itching and dermatitis relief. Example 8 further contains honey with a rich nutritional component, which shows improvement in moisturizing power and effect on wound healing, itching and dermatitis relief. Example 9 further contains shea butter, which is good for moisturizing, to improve the moisturizing power and smoothness of the skin, and is also effective for wound healing, itching and dermatitis relief. It can be seen that Example 10 contains more coconut milk which is good for moisturizing and treating skin diseases, and shows an improved value as a whole. Example 1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ich in unsaturated fatty acids and further contains natural oils such as Jojoba oil having antimicrobial function and camellia oil which is effective for alleviating itching, showing high moisture retention and smoothness, and being effective against wound healing, itching and dermatitis Able to know. It can be seen that Example 12 further contains vegetable cellulose and exhibits excellent washing power and skin smoothness. Example 13 was prepared by mixing red ginseng fermented powders prepared using red ginseng starch having a high polysaccharide content without using only red ginseng fermented powder prepared using red ginseng root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better wound healing power, The effect can be confirmed in mitigation.
실시예 14는 복분자추출물 함유량이 낮아 상대적으로 보습력, 매끄러움, 피부자극, 상처치유, 가려움증 및 피부염 완화에서 더 낮은 수치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In Example 14, the content of the bokbunja extract is low, which shows a relatively low value in moisturizing, smoothness, skin irritation, wound healing, itching and dermatitis relief.
실시에 15는 병풍발효추출물 함유량이 낮아 상대적으로 보습력, 매끄러움, 피부자극에서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상처치유, 가려움증 및 피부염 완화에서 특히 더 낮은 수치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In Example 15, the content of the fermented extract of the screen was low, which was relatively low in moisture, smoothness, and skin irritation, and was found to be particularly low in wound healing, itching and dermatitis relief.
비교예 1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피부자극, 상처치유, 가려움증 완화 및 피부염 완화에 효과적이지 못함을 알 수 있으며, 특히 가려움증 완화의 수치가 크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Since Comparative Example 1 is not included, it can be seen that it is not effective for skin irritation, wound healing, itching relief and dermatitis relief, and it can be seen that the number of itching relief is greatly reduced.
비교예 2는 홍삼발효분말이 포함되지 않아 피부자극, 상처치유, 가려움증 및 피부염 완화의 수치가 크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은 병풍발효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아 상처치유의 효과가 크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4는 복분자 추출물 및 병풍발효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아, 피부 매끄러움이 감소하고, 피부자극, 상처치유, 가려움증 및 피부염 완화의 효과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5는 홍삼발효분말 및 병풍발효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았고, 비교예 6은 홍삼발효분말 및 복분자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아, 상처치유, 가려움증 및 피부염 완화의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7은 홍삼발효분말, 복분자추출물 및 병풍발효추출물의 성분이 모두 포함되지 않아, 전체적인 평가에서 매우 낮은 수치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In Comparative Example 2, the number of skin irritation, wound healing, itching, and dermatitis relief was greatly reduced because no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was included. In Comparative Example 3, the effect of wound healing was greatly reduced because no screen-fermented extract was contained. In Comparative Example 4, it was found that the bacterium extract and the screen-fermented extract were not included, and the skin smoothness was reduced and the effect of skin irritation, wound healing, itching and dermatitis relief was reduced. Comparative Example 5 did not include the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and the screening fermentation extract, and Comparative Example 6 contained no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and bokbunja extract, showing little effect of wound healing, itching and dermatitis relief. Comparative Example 7 shows that the components of the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bokbunja extract, and screen fermentation extract are not all included and thus the overall evaluation shows a very low value.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홍삼발효분말을 포함하는 비누가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홍삼발효분말, 복분자추출물 및 병풍발효추출물을 모두 포함하여 숙성과정을 거쳐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홍삼파우더,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프로폴리스, 꿀, 시어버터 및 코코넛 밀크를 더 포함한 비누를 제조하여 사용하였을 때, 우수한 세정력, 보습력, 피부의 매끄러움, 상처치유, 가려움증 완화 및 피부염 완화 효과를 확인 할 수 있고, 식물성 셀룰로오스를 더 포함하였을 때 가장 효과가 좋으며, 이로부터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홍삼 비누가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oap containing the fermented red ginseng powder produc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atopic dermatiti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it is preferable that the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the bokbunja extract, and the screening fermentation extract are all included and aged. Also, when the soap containing red ginseng powder, aloe vera leaf extract, propolis, honey, shea butter and coconut milk is manufactured and used, excellent detergency, moisturizing power, smoothness of skin, wound healing, relieving itching,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ost effective when the vegetable cellulose is further contained. From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ed ginseng soap produc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the improvement of atopic dermatitis.
Claims (16)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홍삼발효분말, 복분자추출물 및 병풍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2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 조성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2. A red ginseng soap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100 parts by weight of a soap base, and 2 to 30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containing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bokbunja extract, and screened fermentation extract.
상기 혼합물은 홍삼발효분말 60 내지 80 중량%, 복분자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및 병풍발효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 조성물.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ixture comprises 60 to 80 wt% of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1 to 10 wt% of bokbunja extract, and 10 to 30 wt% of fennel fermentation extract.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습제 10 내지 40 중량부, 홍삼파우더 0.1 내지 15 중량부, 천연오일 1 내지 5 중량부,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프로폴리스 1 내지 5 중량부, 꿀 1 내지 5 중량부, 시어버터 1 내지 5 중량부, 코코넛 밀크 1 내지 5 중량부, 물 1 내지 20 중량부 및 향료 0.5 내지 3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 조성물.3. The method of claim 2,
10 to 40 parts by weight of a moisturizer, 0.1 to 15 parts by weight of red ginseng powder, 1 to 5 parts by weight of natural oil, 1 to 5 parts by weight of an aloe vera leaf extract, 1 to 5 parts by weight of propolis, 1 to 5 parts by weight of shea butter, 1 to 5 parts by weight of shea butter, 1 to 5 parts by weight of coconut milk, 1 to 20 parts by weight of water and 0.5 to 3 parts by weight of fragrance.
상기 홍삼발효분말은 홍삼부산물과 엿기름으로부터 수득된 조효소를 반응시켜 수득된 것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 조성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is obtained by reacting a by-product of red ginseng with a coenzyme obtained from malt.
상기 홍삼부산물은 홍삼박, 홍삼전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 조성물.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ginseng by-product comprises red ginseng root, red ginseng starch, or a mixture thereof.
상기 병풍발효추출물은 병풍추출물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이제(Lactobacillus casei) 및 스트렙토코커스 락티스(Streptococcus lactis)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균주와 반응시켜 수득된 것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 조성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bove screen-dried fermented extract was prepared by extracting the leaves of the leave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plantarum , Lactobacillus casei and Streptococcus lacti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d ginseng soap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물성 셀룰로오스, 천연방부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0.1 내지 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 조성물.3. The method of claim 2,
A red ginseng soap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which comprises 0.1 to 5 parts by weight of vegetable cellulose, a natural preservative or a mixture thereof,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 soap base.
(b) 병풍추출물에 균주를 첨가하여 20 내지 40℃에서 5 내지 50시간 반응시키고, 감압농축하고 발효하여 병풍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홍삼발효분말과, (b) 단계에서 제조된 병풍발효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30 내지 50℃에서 5시간 내지 20시간 숙성하는 단계,
(d) 교반기에 비누베이스, 보습제 및 물을 넣고 가열하여 유화하고, (c)단계의 숙성된 혼합물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교반된 비누 조성물을 비누틀에 주입 및 응고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의 제조방법.(a) adding water and a coenzyme to a red ginseng by-product, reacting the mixture at 40 to 60 ° C for 30 minutes to 30 hours, concentrating the supernatant under reduced pressure and drying to prepare a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b) adding a strain to the screen wind extract and reacting at 20 to 40 ° C for 5 to 50 hours, concentrating under reduced pressure and fermenting to prepare a screen-fed fermented extract,
(c) aging the mixture of the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prepared in the step (a) and the fermented extract of the screenworm prepared in the step (b) and the brambone extract at 30 to 50 ° C for 5 to 20 hours,
(d) adding a soap base, a moisturizing agent and water to the stirrer, heating and emulsifying the mixture, adding the aged mixture of step (c) and stirring, then injecting and solidifying the stirred soap composition into a soap mold,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상기 (c)단계에서 혼합물은 홍삼발효분말 60 내지 80 중량%, 복분자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및 병풍발효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의 제조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ixture comprises 60 to 80% by weight of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1 to 10% by weight of bokbunja extract, and 10 to 30% by weight of fermented extract of folded persimmon in the step (c).
상기 (a) 단계에서, 홍삼부산물은 홍삼박, 홍삼전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의 제조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step (a), the red ginseng by-product comprises red ginseng roots, red ginseng starch or a mixture thereof.
상기 (a) 단계에서, 조효소는 엿기름을 물에 침출한 후, 여과액을 20 내지 30시간 전분에 침전시키고, 감압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의 제조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step (a), the coenzyme is prepared by leaching malt into water, precipitating the filtrate for 20 to 30 hours in the starch, filtering under reduced pressure, and freeze-drying the red ginseng soap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Gt;
상기 (a) 단계에서, 조효소는 물에 0.01 내지 3 중량% 농도로 희석하여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의 제조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step (a), the coenzyme is diluted with water to a concentration of 0.01 to 3% by weight and added.
상기 (a) 단계에서, 홍삼발효분말은 홍삼부산물:조효소가 2:8 내지 8:2 중량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의 제조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red ginseng fermentation powder is used in a weight ratio of 2: 8 to 8: 2 by weight of the red ginseng by-product, and the coenzyme is used in the step (a).
상기 (b) 단계에서, 병풍발효추출물은 병풍추출물:균주가 1:9 내지 9: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의 제조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ethod for producing at least one red ginseng soap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step (b), the screenworm extract: strain is mixed at a weight ratio of 1: 9 to 9: 1.
상기 (d) 단계에서, 홍삼파우더,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프로폴리스, 꿀, 천연오일, 시어버터, 코코넛 밀크 및 향료를 더 첨가하여 교반하는 것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홍삼 비누의 제조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red ginseng powder, the aloe vera leaf extract, the propolis, the honey, the natural oil, the shea butter, the coconut milk and the perfume are further added and stirred in the step (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4154A KR101814100B1 (en) | 2016-04-11 | 2016-04-11 | Soap composition comprising red ginseng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4154A KR101814100B1 (en) | 2016-04-11 | 2016-04-11 | Soap composition comprising red ginseng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6432A true KR20170116432A (en) | 2017-10-19 |
KR101814100B1 KR101814100B1 (en) | 2018-01-30 |
Family
ID=60298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4154A KR101814100B1 (en) | 2016-04-11 | 2016-04-11 | Soap composition comprising red ginseng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4100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0926B1 (en) * | 2017-11-03 | 2019-01-21 | 한명애 | Natural soap using bamboo sal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190063886A (en) * | 2017-11-30 | 2019-06-10 | 주식회사 스튜디오비바베이비 | Soap ba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oap using the same |
KR20190074568A (en) * | 2017-12-20 | 2019-06-28 |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mprising Cacalia firma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
KR20200057879A (en) * | 2018-11-16 | 2020-05-27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Composition comprising high-pressure enzyme extract of red ginseng by-product |
KR20200061031A (en) * | 2018-11-23 | 2020-06-02 | 김명숙 | Method for manufacturing soap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9016B1 (en) * | 2019-12-18 | 2021-02-22 | 송선미 | Manufacturing method for natural soap comprising con-starch and centella extract and the soap using the same |
KR102502634B1 (en) | 2021-04-20 | 2023-02-23 | 김옥화 | Ginseng cosmetic soap composition comprising non-pesticide ginseng,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4285B1 (en) * | 2006-11-01 | 2008-04-24 | 주식회사 에이치 엔 비티 | Processes for preparing a saccharified ginseng and ginseng extracts |
-
2016
- 2016-04-11 KR KR1020160044154A patent/KR101814100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0926B1 (en) * | 2017-11-03 | 2019-01-21 | 한명애 | Natural soap using bamboo sal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190063886A (en) * | 2017-11-30 | 2019-06-10 | 주식회사 스튜디오비바베이비 | Soap ba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oap using the same |
KR20190074568A (en) * | 2017-12-20 | 2019-06-28 |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mprising Cacalia firma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
KR20200057879A (en) * | 2018-11-16 | 2020-05-27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Composition comprising high-pressure enzyme extract of red ginseng by-product |
KR20200061031A (en) * | 2018-11-23 | 2020-06-02 | 김명숙 | Method for manufacturing soa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4100B1 (en) | 2018-0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4100B1 (en) | Soap composition comprising red ginseng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KR101835486B1 (en) | Functional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plant cell fermentation nano extract and functional cosmetic comprising the same | |
KR102257342B1 (en) | Composition for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2144318B1 (en) |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comprising Ginseng berry polysaccharide | |
CN111083923A (en) | Soothing crea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KR101572155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Natural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Moringa oleifera | |
KR20110042851A (en) | Soap using orostachys japonic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140069469A (en) |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nano capsule containing natural complex extra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676292B1 (en) |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mixed extract of tangle, okra and y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532001B1 (en) | Cosmetics comprising fermented materials for preventing or improving skin wrinkle | |
KR20150081892A (en) |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Helianthus Tuberosus Root | |
CN112137919B (en) | Application of dictyophora indusiata egg extract in preparation of external beauty and skin care products and external beauty and skin care products based on same | |
KR20140141080A (en) |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using process of herbal medicine | |
WO2016195142A1 (en) | Method for producing natural nano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moringa extract | |
KR102165525B1 (en) | Composition for improving acne skin | |
KR20220009755A (en) | Method of Producing Plant Extracts with Enhanced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lant Extracts with Enhanced Physiological Activities | |
KR101662272B1 (en) | Natural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ing comprising Mixed extract of barley and germ and rice bran of black r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US11607437B2 (en) | Cosmetic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each containing aloe extract and upland rice extract | |
KR102142461B1 (en) |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comprising extract of korean fir | |
KR102561258B1 (en) | Composition for controlling sebum and improving pore comprising Jasminum Officinale, Salix Alba (willow) bark and Solanum melogena fruit extract | |
KR101881663B1 (en) | Earthworm fermented extracts and method for manuracturing thereof and natural cosmetics and functional health food comprising same | |
KR101605517B1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cne and cosmetic compostion thereof | |
JP4105498B2 (en) | A composition effective for prevention and alleviation of symptoms of atopic disease | |
KR101499296B1 (en) |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cne comprising nano capsule containing natural complex extra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180082058A (en) |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desquamation comprising natural complex extrac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