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5631A - 의료용 봉합사, 이의 제조 방법 및 의료용 봉합사가 결합된 의료용 시술 세트 - Google Patents

의료용 봉합사, 이의 제조 방법 및 의료용 봉합사가 결합된 의료용 시술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5631A
KR20170115631A KR1020160042691A KR20160042691A KR20170115631A KR 20170115631 A KR20170115631 A KR 20170115631A KR 1020160042691 A KR1020160042691 A KR 1020160042691A KR 20160042691 A KR20160042691 A KR 20160042691A KR 20170115631 A KR20170115631 A KR 20170115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medical
heating
winding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셀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셀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셀러
Priority to KR1020160042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5631A/ko
Publication of KR20170115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6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1Sutures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의료용 봉합사, 이의 제조 방법 및 의료용 봉합사가 결합된 의료용 시술 세트가 제공된다. 상기 의료용 봉합사의 제조 방법은, 원료 봉합사 중 적어도 일부를 소정의 외경을 가지는 권취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권취하는 단계; 및 상기 권취된 원료 봉합사를 가열하여, 나선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봉합사, 이의 제조 방법 및 의료용 봉합사가 결합된 의료용 시술 세트{MEDICAL THREA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EDICAL TREATMENT SET WITH MEDICAL THREAD}
본 발명은 의료용 봉합사, 이의 제조 방법 및 의료용 시술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피부 재생 및 주름 제거를 위한 리프팅실 시술에 사용되는 의료용 봉합사, 이의 제조 방법 및 의료용 봉합사가 결합된 의료용 시술 세트에 관한 것이다.
주름제거 시술로 가장 빈번하게 시술되고 있는 것은 안면 리프트(Face lift)이며, 다양한 시술 방법이 있어 왔다. 이 중, 가장 오래 전부터 시행해온 방법으로 피부를 위로 끌어당겨 여분의 피부를 절제한 뒤 꿰매서 피부를 탱탱하게 안면거상술을 들 수 있으나, 이 수술은 빠른 효과에 비해 수술 자체의 위험도가 크고, 귀 앞과 이마 라인에 흉터가 남을 수 있으며, 회복기간 또한 6주 정도가 걸리기 때문에 선뜻 선택할 수 있는 수술이 아니다. 게다가, 노화된 피부는 그대로이기 때문에 주름은 계속 진행되고, 오히려 피부가 얇아져 노화 진행이 빨라지는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근래 이러한 수술적 시술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인체에 무해한 의료용 봉합사를 피부 내부로 삽입하여, 피부 조직 자극을 가함으로써 피부 수축 및 재생을 촉진하거나, 또한, 실의 장력을 이용하여 피부 조직과 유착된 부분을 당겨 위쪽으로 고정함으로써 늘어진 피부 조직을 올려 고정하는 리프팅실 시술법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리프팅실 시술법은 기존의 수술적 시술에 비해 시술이 간단하고, 일상 생활에 거의 지장을 주지 않아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 리프팅실 시술은 외부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봉합사(일명, 돌기실)를 니들(neele)에 감아 시술 부위로 삽입하는 시술(일명, 회오리 리프링실 시술) 방식이 선호되고 있는데, 이러한 시술 방식은 봉합사 외면에 형성된 돌기에 의한 기계적 자극에 더하여, 꼬여진 봉합사가 피부 내부에서 원래의 형태로 회복되려는 힘이 피부 자극에 대한 기계적 자극을 보다 극대화함으로써, 시술의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돌기실 및 이를 이용한 종래의 시술 방식은 돌기로 인해 실의 두께가 두꺼워지며, 날카로운 돌기 끝부분이 신경조직을 자극하여, 시술 시 많은 통증을 발생시킬 수 있고, 구조상 실 자체의 탄성력이 제한됨으로써, 부자연스러운 표정이나 안면 형태를 가져올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시술 시마다, 시술자가 니들에 봉합사를 직접 권취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봉합사의 나선 형상 및 봉합사 외면의 함몰부를 통해 시술 효과를 극대화하고, 시술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는 의료용 봉합사, 이의 제조 방법 및 의료용 봉합사가 결합된 의료용 시술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의료용 봉합사가 제공된다. 상기 의료용 봉합사는, 상기 의료용 봉합사의 적어도 일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감긴 나선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료용 봉합사는 상기 나선 형상을 유지하는 탄성력 또는 복원력을 갖을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함몰부가 상기 의료용 봉합사의 일 측면과 상기 일 측면에 대응하는 타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는 중심면과 상기 중심면의 양 단으로부터 상기 중심면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의료용 봉합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원료 봉합사 중 적어도 일부를 소정의 외경을 가지는 권취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권취하는 단계; 및 상기 권취된 원료 봉합사를 가열하여, 나선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권취대는 니들(needle) 또는 캐뉼라(cannula)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형을 통해, 상기 원료 봉합사는 상기 나선 형상을 유지하는 탄성력 또는 복원력을 갖게 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형하는 단계는, 가열원을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원이 상기 권취된 원료 봉합사에 소정의 시간 동안 접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권취대는 전도체이고, 상기 성형하는 단계는,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권취부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사이를 통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형하는 단계는, 대기(atmosphere) 환경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환경에 상기 권취된 원료 봉합사를 소정의 시간 동안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권취대는 전도체이고, 상기 성형하는 단계는, 가열원을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권취대의 일 영역을 상기 가열원에 소정의 시간 동안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권취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권취대가 소정의 거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행되되, 상기 권취대는 상기 거치부로부터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원료 봉합사를 가열하여 압착 변형하는 단계; 및 상기 압착 변형된 원료 봉합사를 절개하여, 일 측면과 상기 일 측면에 대응하는 타 측면에 복수의 함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권취하는 단계는 상기 함몰부를 형성하는 단계에 이어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착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원료 봉합사를 단면의 폭의 길이가 높이의 길이보다 소정의 비율만큼 크도록 변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몰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절개틀을 통해 상기 압착 변형된 원료 봉합사를 수직 방향으로 절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의료용 시술 세트가 제공된다. 상기 세트는, 상기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의료용 봉합사; 및 상기 의료용 봉합사가 권취되는 니들 또는 캐뉼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용 봉합사의 적어도 일부가 나선 형상을 이루도록 구현함으로써, 피부 조직에 대한 기계적 자극이 증대되어 피부 수축, 피부 재생 및 탄력 회복 효과를 증대하고, 피부의 볼륨감을 높이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봉합사의 표면 외측으로 복수의 돌기가 돌출되는 종래의 봉합사의 형태와 달리, 표면 내측으로 함몰된 복수의 함몰부를 가지도록 봉합사를 구현함으로써, 피시술자의 통증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시술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함몰부의 내면이 소정 이상의 표면적을 갖도록 구현하여 함몰부의 내측으로 삽입 또는 함몰부에서 생착되는 피부 조직과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피부 재생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용 봉합사를 나선 형상으로 성형하는 과정만으로 의료용 봉합사가 일체로 권취된 의료용 시술 세트를 제조 가능하게 됨으로써, 제조상의 편의, 비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회오리 리프링 시술 등을 위해 시술자가 직접 바늘 등에 직선의 의료용 봉합사를 삽입 후 권취하여야 하는 불편함없이, 이러한 의료용 시술 세트를 이용하여 즉시 시술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시술 편의성이 보다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의 제조 장치를 도시한다.
도 2은 도 1의 압착부의 예시적으로 형상 및 동작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절개부의 예시적 형상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의 S440 단계의 수행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도 4의 S420 단계를 통해 생성되는 봉합사의 예시적인 형상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시술 세트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의 제조 장치를 도시한다. 또한, 도 2는 압착부의 예시적으로 형상 및 동작을 도시하고, 도 3은 절개부의 예시적 형상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의료용 봉합사의 제조 장치(100)는 공급부(110), 압착부(120), 절개부(130), 권취부(140), 성형부(150) 및 거치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110)는 원료 봉합사(210)가 권취된 스풀(spool)이 장착되어 원료 봉합사(210)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원료 봉합사(210)는 소정의 이송 수단(예를 들어, 롤러 등)을 통해 공급부(110)로부터 압착부(120), 절개부(130), 권취부(140), 성형부(150) 등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원료 봉합사(2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형 단면의 실로서, 바람직하게는, 생체 흡수성 의료용 고분자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료 봉합사(210)는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폴리카브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acid), 락틱산(Lactic Acid)과 글리콜릭산(Glycolic Acid)의 코폴리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원료 봉합사(21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나일론(nylon)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생체 비흡수성 의료용 고분자를 적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압착부(120)는 원형 단면의 원료 봉합사(210)를 가열하여 압착 변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압착부(120)는 상하로 대칭 배치되는 하판(220)과 상판(230)으로 구성된 가열판(220, 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열판(220, 230)의 가열 온도는 원료 봉합사(210)를 완전 용융시키지는 않고, 외부 자극(즉, 압착)에 의해 원료 봉합사(210)의 형상을 변형을 시키기 적합한 온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는 80 내지 110°C,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5°C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열 온도를 설정함으로써, 압착 변형 이후에도 원료 봉합사(210)가 일정 이상의 강도를 유지토록 하여 이송 시 등에 원료 봉합사(210)가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온에서도 빠르게 변형된 원료 봉합사(210)에 대한 냉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압착부(120)의 압착 변형을 통해 원료 봉합사(210)는 단면의 폭이 길이가 높이의 길이보다 소정의 비율만큼 큰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하판(220) 및 상판(230) 각각에는 원료 봉합사(210)의 거치를 용이하게 하고, 원료 봉합사(210)를 일정한 형상으로 반복 변형시키기 위해, 원료 봉합사(210)의 변형 형상에 대응하는 성형홈(240)이 각각 대칭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130)는 압착 변형된 원료 봉합사(210)를 절개하여 복수의 함몰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절개부(130)에는 절개틀(310, 3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틀(310, 320)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 1 절개틀(310) 및 제 2 절개틀(3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 제 2 절개틀(310, 320)의 대향면 각각에는 원료 봉합사(210)에 생성될 함몰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 돌기(330)가 형성될 수 있다. 절개 돌기(330)는, 바람직하게는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절개틀(310)의 대향면과 제 2 절개틀(320)의 대향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틀(310, 320)을 이용하는 경우, 원료 봉합사(210)의 일 측면과 타 측면에 교번하여 함몰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권취부(140)는 권취부(140)는 함몰부가 형성된 원료 봉합사(210)의 적어도 일부를 예를 들어, 니들(needle) 또는 캐뉼라(cannula) 등의 권취대에 소정의 간격으로 권취할 수 있다. 즉, 권취대가 거치부(160)에 결합되어 고정되면, 권취부(140)는 권취대를 중심으로 소정의 방향으로 직접 회전하면서 권취대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원료 봉합사(210)를 권취하거나, 거치부(160)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는 권취대의 외주면에 원료 봉합사(210)를 소정의 간격으로 권취할 수 있다.
성형부(150)는 권취대에 권취된 원료 봉합사(210)를 소정의 시간 동안 가열하여 나선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러한 성형은 접촉 가열, 전도 가열, 복사 가열 및 전기 가열 중 하나의 방법을 적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성형부(150)는, 적용되는 상기 성형 방식에 따라, 접촉 가열 또는 전도 가열을 수행하기 위한 가열원(예를 들어, 가열판 등), 복사 가열을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가열 공간, 전기 가열을 수행하기 위한 전원 및 와이어(wire)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성형부(150)의 보다 상세한 동작은 이하, 도 4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거치부(160)는 권취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권취대를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특히, 권취부(140)의 원료 봉합사(210) 권취 및/또는 성형부(150)의 원료 봉합사(210) 성형 시, 권취대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160)는 적어도 일부가 수평, 수직 이동 및/또는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거치부(160)는 권취부(140) 및/또는 성형부(150)와 연동하여 권취대를 이동 또는 회전시킴으로써, 원료 봉합사(210)의 권취 및/또는 원료 봉합사(210)의 나선 형상 성형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제조 장치(10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제조 장치(100)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의 S440 단계의 수행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조 방법(400)은 원료 봉합사의 압착 변형 단계(S410), 함몰부 형성 단계(S420), 원료 봉합사 권취 단계(S430) 및 성형 단계(S440)를 포함할 수 있다.
S410 단계에서, 압착부(120)는 가열판(220, 230)을 통해 공급부(410)로부터 전달된 원료 봉합사(210)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 및 압착하여, 원료 봉합사(210)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료 봉합사(210)에 대한 가열 온도는 80 내지 110°C,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5°C일 수 있다. S410 단계를 통해, 원료 봉합사(210)는 단면의 폭이 길이가 높이의 길이보다 소정의 비율만큼 큰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후, 변형된 원료 봉합사(210)는 상온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냉각될 수 있다.
S420 단계에서, 절개부(130)는 압착 변형된 원료 봉합사(210)를 절개하여, 복수의 함몰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S420 단계는, 원료 봉합사(210)에 대한 수직 방향 절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대향면에 소정의 형태의 절개 돌기(330)가 구비되는 절개틀(310, 320)의 하측으로 원료 봉합사(210)를 배치하고, 절개틀(310, 320)의 하향 이동에 따른 수직 절개를 통해 원료 봉합사(210)의 양 측면에 소정의 형상의 함몰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원료 봉합사(210)는 S410 단계를 통해, 폭이 높이보다 크도록 납작한 형상으로 압착 변형되었기 때문에, 절개부(130)는 원료 봉합사(210)에 대한 수직 절개를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400)은 원료 봉합사(210)의 표면에 1 이상의 통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공은 의료용 봉합사의 시술 부위에 삽입 후 피부 세포가 생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단계는 S410 단계와 동시 수행되거나, S420 단계에 이어서 수행될 수 있다.
S430 단계에서, 권취부(140)는 함몰부가 형성된 원료 봉합사(210)의 적어도 일부를 권취대(510)에 소정의 간격으로 권취할 수 있다. 여기서, 권취대(510)는 양 단이 개방되고 내부가 연통되는 니들 또는 캐뉼라일 수 있으며, 소정의 외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료 봉합사(210)는 권취대(510)의 개방된 일 단을 통해 권취대(510)의 내부로 삽입되어 권취대(510)의 다른 일 단을 통해 외부로 소정의 길이만큼 노출될 수 있다. 이후, 권취부(140)는 상기 노출된 원료 봉합사(210) 부분을 권취대(510)의 외면에 소정의 방향 및 간격으로 권취하게 된다.
S440 단계에서, 성형부(150)는 권취대(510)에 권취된 원료 봉합사(210)를 가열하여 나선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의료용 봉합사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S440 단계는, 도 5a 내지 도 5d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촉 가열, 전도 가열, 복사 가열 및 전기 가열 중 하나의 방법을 적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S440 단계는 접촉 가열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성형부(150)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가열판(520-1, 2)을 가열원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열판(520-1, 2) 각각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고, 원료 봉합사(210)가 권취된 권취대(510)를 2개의 가열판(520-1, 2) 사이에 배치한 후, 가열판(520-1, 2)을 이동하여 상하 방향에서 권취된 원료 봉합사(210)와 소정의 시간 동안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S44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S440 단계는 전도 가열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권취대(510)는 열의 전도가 가능한 전도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성형부(150)는 가열원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가열판(53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원인 가열판(530)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고, 가열판(530) 또는 권취대(510)를 이동하여, 원료 봉합사(210)가 권취되지 않은 권취대(510)의 일 영역(예를 들어, 권취대(510)의 일 측 선단)을 가열판(530)에 소정의 시간 동안 접촉시킴으로써, S440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도 5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S440 단계는 복사 가열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성형부(150)는 적어도 일 영역에 소정의 가열 공간(540)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가열 공간(540)에 포함된 대기(atmosphere) 환경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고, 이러한 환경에 소정의 시간 동안 원료 봉합사(210)가 권취된 권취대(510)를 노출시킴으로써, 대기 환경에서 전달되는 복사열을 통해 S440 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d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S440 단계는 전기 가열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권취대(510)는 전기 전도가 가능한 전도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성형부(150)는 권취대(510)에 전류를 통전하기 위한 전원(55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wire) 등을 통해 전원(550)의 양 단자를 권취대(510)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각각 접속시켜,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를 통전시킴으로써, 전기 저항을 통해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S440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원료 봉합사(210)는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에 권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각 실시예에 있어서, 가열원의 가열 온도는 80 내지 110°C일 수 있다. 또한, 가열원에의 접촉/노출 시간 또는 통전 시간은 원료 봉합사(210)가 끊어지거나, 과도하게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가열원의 가열 온도 또는 통전되는 전류 세기에 대응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S440 단계를 통해, 생성된 의료용 봉합사는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방향으로 감긴 나선 형상을 이루게 되며, 이러한 나선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일정 이상의 탄성력 또는 복원력을 갖게 될 수 있다.
한편, S430 및 S440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권취대(510)가 거치부(160)와 결합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권취대(510)는 거치부(160)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S430 및 S440 단계의 수행 시 권취대(510)가 거치부(160)에 결합 및 고정되고, S440 단계 완료 후, 거치부(160)로부터 분리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특히, 권취대(510)가 니들 또는 캐뉼라로 구현되는 경우, 분리된 권취대(510) 및 이에 결합된 의료용 봉합사가 하나의 의료용 시술 세트를 구성하게 되며, 이러한 세트가 하나의 유통 단위로 포장 및 판매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생성된 의료용 봉합사를 권취대(510)로부터 개별 분리하여 포장 및 판매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4의 S420 단계를 통해 생성된 봉합사의 예시적인 형상을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S420 단계를 통해, 원료 봉합사(210)에는 복수의 함몰부(612)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612)는 피부 조직에 대한 기계적 자극 및/또는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도 6a 및 도 6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료 봉합사(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 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타 측면에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교번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함몰부(612)를 양 측면에 교번하여 형성하는 경우, 완성되는 의료용 봉합사 자체의 신장력, 복원력 등이 강화되어, 얼굴 움직임이 부자연스럽게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고, 피부 손상, 비대칭 등 시술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함몰부(612) 각각은 중심면(614) 및 경사면(616)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면(614)은 원료 봉합사(210)의 일 측면 및/또는 타 측면이 절개틀(310, 320)에 의해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절개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심면(614)은 소정 이상의 표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시술 시 및/또는 시술 이후, 함몰부(612)의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함몰부(612)에서 생착되는 피부 조직과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피부 조직과 의료용 봉합사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피부 재생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경사면(616)은 함몰부(612)의 양 단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사면(616)은 절개틀(310, 320)에 의해 원료 봉합사(210)가 중심면(614)의 양 단으로부터 각각 중심면(614)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절개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경사면(616)을 통해, 함몰부(612) 각각에는 2개의 첨예한 돌기(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A)는 의료용 봉합사의 피부 내부로의 삽입 시 피부 조직에 대한 기계적 자극을 증대시켜, 피부 수축, 피부 재생 및 탄력 회복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봉합사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의료용 봉합사(700)는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방향으로 감긴 나선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나선 형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의 S430 단계 및 S440 단계를 통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의료용 봉합사(700)는 이러한 나선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일정 이상의 탄성력 또는 복원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나선 형상으로의 성형 과정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원료 봉합사(210)가 순간 가열된 후 냉각됨으로써, 일정 이상의 탄성력 또는 복원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나선 형상이 형성된 일 측 부분을 제외한 의료용 봉합사(700)의 타 측 일부는 직선 형상을 이루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직선 형상의 부분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의료용 봉합사(700)의 제조 과정에서 권취대(510)의 내부에 삽입된 부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나선 형상을 가진 의료용 봉합사(700)를 리프팅 시술에 이용함으로써, 시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즉, 의료용 봉합사(700)의 피부로의 최초 삽입 시, 이러한 나선 형상 부분은 피부 조직과의 마찰에 의해 직선 형상에 가깝게 펴진 상태를 이루게 되나, 삽입 완료 후 자체의 탄성력 및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나선 형상으로 회복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피부 조직에 대한 기계적 자극이 증대되어, 피부 수축, 피부 재생 및 탄력 회복 효과를 증대하고, 피부의 볼륨감을 높이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는 생략되어 있으나, 의료용 봉합사(70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함몰부(612)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시술 세트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의료용 봉합사(700)는 니들 또는 캐뉼라 등에 결합되어 의료용 시술 세트(8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의료용 시술 세트(800)는, 도 4의 S430 및 S440 단계에서 권취대(510)를 니들 또는 캐뉼라로 구성하고, 나선 형상으로의 성형 이후, 거치부(160)로부터 권취대(510)와 성형 완료된 의료용 봉합사(700)를 일체로 분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의료용 봉합사(700)를 나선 형상으로 성형하는 과정만으로 의료용 봉합사(700)가 일체로 니들 또는 캐뉼라에 권취된 의료용 시술 세트(800)를 제조 가능하게 됨으로써, 제조상의 편의, 비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또한, 종래, 회오리 리프링실 시술 등을 위해 시술자가 직접 바늘 등에 직선의 의료용 봉합사를 삽입 후 권취하여야 하는 불편함없이, 이러한 의료용 시술 세트(800)를 이용하여 즉시 시술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시술 편의성이 보다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의료용 시술 세트(800)에는 고정부(8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810)는 다양한 합성 수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의료용 봉합사(700)가 권취된 니들 또는 캐뉼라 부위에 끼움 결합되어, 의료용 봉합사(700)가 임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의료용 봉합사로서,
    상기 의료용 봉합사의 적어도 일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감긴 나선 형상을 형성하는, 의료용 봉합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봉합사는 상기 나선 형상을 유지하는 탄성력 또는 복원력을 갖는, 의료용 봉합사.
  3.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함몰부가 상기 의료용 봉합사의 일 측면과 상기 일 측면에 대응하는 타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는 중심면과 상기 중심면의 양 단으로부터 상기 중심면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의료용 봉합사.
  4. 의료용 봉합사의 제조 방법으로서,
    원료 봉합사 중 적어도 일부를 소정의 외경을 가지는 권취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권취하는 단계; 및
    상기 권취된 원료 봉합사를 가열하여, 나선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대는 니들(needle) 또는 캐뉼라(cannula)인,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을 통해, 상기 원료 봉합사는 상기 나선 형상을 유지하는 탄성력 또는 복원력을 갖게 되는,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하는 단계는, 가열원을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원이 상기 권취된 원료 봉합사에 소정의 시간 동안 접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대는 전도체이고,
    상기 성형하는 단계는,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권취부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사이를 통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하는 단계는, 대기(atmosphere) 환경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환경에 상기 권취된 원료 봉합사를 소정의 시간 동안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대는 전도체이고,
    상기 성형하는 단계는, 가열원을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권취대의 일 영역을 상기 가열원에 소정의 시간 동안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권취부가 소정의 거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행되되, 상기 권취대는 상기 거치부로부터 탈착 가능한, 방법.
  12. 제 4 항에 있어서,
    원료 봉합사를 가열하여 압착 변형하는 단계; 및
    상기 압착 변형된 원료 봉합사를 절개하여, 일 측면과 상기 일 측면에 대응하는 타 측면에 복수의 함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권취하는 단계는 상기 함몰부를 형성하는 단계에 이어서 수행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원료 봉합사를 단면의 폭의 길이가 높이의 길이보다 소정의 비율만큼 크도록 변형하는,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절개틀을 통해 상기 압착 변형된 원료 봉합사를 수직 방향으로 절개함으로써 수행되는, 방법.
  15. 제 4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의료용 봉합사; 및
    상기 의료용 봉합사가 권취되는 니들 또는 캐뉼라를 포함하는, 의료용 시술 세트.
KR1020160042691A 2016-04-07 2016-04-07 의료용 봉합사, 이의 제조 방법 및 의료용 봉합사가 결합된 의료용 시술 세트 KR201701156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691A KR20170115631A (ko) 2016-04-07 2016-04-07 의료용 봉합사, 이의 제조 방법 및 의료용 봉합사가 결합된 의료용 시술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691A KR20170115631A (ko) 2016-04-07 2016-04-07 의료용 봉합사, 이의 제조 방법 및 의료용 봉합사가 결합된 의료용 시술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631A true KR20170115631A (ko) 2017-10-18

Family

ID=60296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691A KR20170115631A (ko) 2016-04-07 2016-04-07 의료용 봉합사, 이의 제조 방법 및 의료용 봉합사가 결합된 의료용 시술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563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967A1 (ko) * 2018-09-20 2020-03-26 주식회사 네오닥터 탄성 실 삽입기
WO2022010385A1 (ru) * 2020-07-07 2022-01-1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птос" Нить для подтяжки мягких тканей лица и тела
CN114466622A (zh) * 2019-09-19 2022-05-10 创新医生株式会社 具有弹性可变部的提升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967A1 (ko) * 2018-09-20 2020-03-26 주식회사 네오닥터 탄성 실 삽입기
CN114466622A (zh) * 2019-09-19 2022-05-10 创新医生株式会社 具有弹性可变部的提升线
WO2022010385A1 (ru) * 2020-07-07 2022-01-1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птос" Нить для подтяжки мягких тканей лица и тела
RU2765861C2 (ru) * 2020-07-07 2022-02-0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ПТОС» Нить для подтяжки мягких тканей лица и тел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658B1 (ko) 의료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RU2701417C1 (ru) Шовная нить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170099747A (ko) 의료용 봉합사 및 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170115631A (ko) 의료용 봉합사, 이의 제조 방법 및 의료용 봉합사가 결합된 의료용 시술 세트
KR101779922B1 (ko) 의료용 봉합사 제조 장치 및 의료용 봉합사의 제조 방법
KR101806150B1 (ko) 의료용 봉합사 제조 장치 및 의료용 봉합사의 제조 방법
KR101581865B1 (ko) 의료용 봉합사 제조 장치 및 봉합사 제조 방법
KR102122764B1 (ko) 초음파에 의해 제작된 의료용 3차원 실
CN102869818A (zh) 表面上具有微齿的医用缝合线及其制造方法
JP6887528B2 (ja) 超音波により製作された医療用糸
KR102075782B1 (ko) 의료용 봉합사의 제조 장치
EP3209219B1 (en) Suture having a restraining element at an end and method of forming a suture
KR101941659B1 (ko) 의료용 봉합사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160044339A (ko) 형상 기억 생체 흡수성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의료용 매선로프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와 그 제품
JP7288252B1 (ja) ハニカム状ドットアレイ構造の美容器具
KR102111776B1 (ko) 관통부를 갖는 의료용 실
KR101781268B1 (ko) 돌기를 가진 매선로프 제조장치
KR102462710B1 (ko) 의료용 봉합사 제조 장치
KR101910163B1 (ko) 미늘 봉합사의 제조방법
KR200491562Y1 (ko) 리프팅 실
KR102382009B1 (ko)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
KR101543557B1 (ko) 두피자극기
KR20230125363A (ko) 인장강도를 향상시킨 이중 레이어 의료용 실 제조 방법
KR20230076164A (ko) 의료용 미늘 봉합사의 제조 방법
KR20200099657A (ko) 눈꺼풀용 접지 전극, 눈꺼풀 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눈꺼풀 치료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480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010

Effective date: 2019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