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5412A - Rack hooks for setting up plant cultivation flower pots for air purification and the flower po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rack hooks - Google Patents

Rack hooks for setting up plant cultivation flower pots for air purification and the flower po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rack hook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5412A
KR20170115412A KR1020160043077A KR20160043077A KR20170115412A KR 20170115412 A KR20170115412 A KR 20170115412A KR 1020160043077 A KR1020160043077 A KR 1020160043077A KR 20160043077 A KR20160043077 A KR 20160043077A KR 20170115412 A KR20170115412 A KR 20170115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haped body
fitting
flowerpot
poll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0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57401B1 (en
Inventor
강명헌
Original Assignee
테라아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라아미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테라아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3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401B1/en
Publication of KR20170115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4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4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4Mountings for wreaths, or the like; Racks or holders for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의 설치를 위한 화분 걸이구는 전체적으로 C자형으로 굴곡된 형상을 갖는 C형 몸체부(41), 상기 C형 몸체부(41)의 상부에서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2가닥으로 갈라져 형성된 상부돌출부(44) 및 전방돌출부(45), 상기 C형 몸체부(41)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꺾여져 올라간 하단돌출턱(46)을 포함하며, 상기 C형 몸체부(41)의 뒤쪽으로는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끼움홈(201a)안에 삽입 결합될 수 있는 레일 끼움부(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일 끼움부(43)와 C형 몸체부(41)의 사이는 폭이 좁은 네크(neck, 4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네크(42)가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끼움홈 턱에 걸림으로써 레일 끼움부(43)가 알루미늄 프로파일들의 끼움홈으로부터 분리되지 못하게 되며, 상기 레일 끼움부(43)는 정육면체 혹은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마치 사람의 발뒤꿈치를 연상시키는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The pot holder for installing the planting pot for air pur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shaped body portion 41 having a C-shaped bent shape as a whole, And a lower protruding protrusion 46 bent upward from a lower end of the C-shaped body portion 41. The C-shaped body portion 41 A rail fitting portion 43 is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of the rail fitting portion 43 and the C-shaped body portion 41 so that the rail fitting portion 43 can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201a of the aluminum profile. The neck 42 is formed on the rail 42 so that the neck 42 is caught by the groove of the aluminum profile so that the rail fitting portion 43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fitting groove of the aluminum profiles, (43) has a cube shape or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t may be made in block form and may be made as if the form is reminiscent of the heel of a person.

Figure P1020160043077
Figure P1020160043077

Description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의 설치를 위한 걸이구 및 상기 걸이구를 이용한 화분 설치 구조물 {Rack hooks for setting up plant cultivation flower pots for air purification and the flower po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rack hooks}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ying plant pot for air purifying plant pots,

본 발명은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의 설치를 위한 걸이구 및 상기 걸이구를 이용한 화분 설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정화용 식물재배 화분들을 알루미늄 프로파일 등으로 구성한 프레임 구조물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화분 걸이구 및 그 화분 걸이구를 사용하여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만들어진 화분 설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er for installing an air purifying plant cultivation flowerpot and a flowerpo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hang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erpot installation structure for an air purifying plant cultivated flowerpot, And a pollen installation structure formed in a vertically erected shape using the pollen hanger.

현시대의 실내공간은 어떤 재료로 만들어졌는가에 따라, 그곳에 사는 사람의 건강과 마음에 영향을 준다. 실내공기 중에는 각종 건축자재에서 나오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등과 같은 가스성 유해물질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휘발성 유기화합물들의 독성을 해결하기 위한 유일한 해법(solution)이 바로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 방법이다. The contemporary interior space influences the health and mind of the person living there, depending on what materials are made. The indoor air contains many gaseous harmful substances such a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from various building materials. The only solution to solve the toxicity of these volatile organic compounds is 'plant' Is an air purification method using air.

현대인이 아마존 밀림과 같은 청정 자연 속에 들어가서 살 수는 없는 일이므로, 현 시대의 상황에 맞게 자연의 지혜를 빌려 식물에게서 도움을 받을 방법을 연구할 수밖에 없다. 실내가 숲과 같은 환경으로 이루어진다면, 건물 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건강과 삶의 질이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Modern man can not live in the clean nature like the Amazon jungle and can not find a way to get help from the plant by borrowing the wisdom of nature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If the indoor environment is like a forest, the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people living in the building can be greatly improved.

1980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다양한 식물실험을 통해 식물의 공기정화 능력을 과학적으로 입증하였으며, 식물이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과 포름알데히드, 오존, 질소 화합물 등의 유해가스들을 흡수해서 공기를 맑게 하고, 또한 증산작용시 발생하는 음이온에 의해서 공기 중 미세먼지와 악취 등의 양이온 오염물질을 중화시켜 준다는 것이 밝혀졌다.In 1980, NASA scientifically proved the ability of plants to purify air through various plant experiments. Plants absorbed harmful gases such a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formaldehyde, ozone and nitrogen compounds, And it is found that neutralization of cationic pollutants such as fine dust and odor in the air is caused by anions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vaporizing.

실내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은 주로 의류와 카펫의 먼지, 단열재에서 방출되는 유해성분들, 그리고 가구에 존재하는 페인트와 사람의 호흡 등에서 유래되는데, 오염물질들에는 포름알데히드, 이산화탄소뿐만 아니라 가습기와 제습기 속의 곰팡이와 박테리아 같은 세균들 그리고 전자기파 등도 있어서 일일이 열거하기 힘들 정도이다. 이런 오염된 공기가 존재하는 실내환경에 식물을 두면, 식물은 광합성을 위해 오염공기를 흡수해서 소비하고 깨끗한 공기를 배출하므로 공기정화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Indoor pollutants are mainly derived from clothing and carpet dust, harmful substances released from insulation, and paint and human respiration in furniture. Contaminants include not only formaldehyde and carbon dioxide but also humidifiers and dehumidifiers And germs like bacteria, and electromagnetic waves, and so on. If plants are placed in an indoor environment where such polluted air exists, plants absorb air pollutants for photosynthesis, exhaust clean air, and perform air purifying functions.

일반적으로 식물의 광합성 운동은 인간의 호흡과정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소비하고 인간에 유익한 산소를 생산해 내므로, 사람이 주거하는 실내환경 내에서 식물을 재배하면 실내의 공기질을 개선하고 안정적인 정서적 환경을 만드는데 매우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general, the photosynthesis of plants consumes carbon dioxide emitted from the human breathing process and produces oxygen that is beneficial to humans. Therefore, when plants are grown in an indoor environment in which a person resides, the indoor air quality is improved and a stable emotional environment is created A very favorable effect can be obtained.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최근에는 건물 내부에서 식물들을 재배할 수 있는 실내정원 또는 녹화(綠化) 장치가 다수 개발되어 시공되고 있는데, 지금까지의 실내정원 장치에 사용되는 화분들은 식물의 잎의 기공을 통한 광합성 활동에 주로 의존하여 단순히 식물을 잘 재배하도록 하는 데만 주로 관심이 있었다. In view of this point, recently, many indoor gardens or greening devices capable of cultivating plants within the building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The pollen used in the indoor garden apparatuses until now can be obtained through the pores of the leaves of plants He was mainly interested in simply planting plants well depending on photosynthesis activity.

그러나 최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식물의 공기정화 능력은 잎의 호흡작용이나 광합성 작용에 의한 것보다 뿌리 부근에서 서식하는 토양 미생물에 의한 분해작용에 의한 것이 훨씬 더 활발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식물의 활동성은 뿌리에서 80%이상 발휘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However,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the ability of plants to purify air is much more active due to decomposition by soil microorganisms inhabiting the roots than by respiration or photosynthesis of leaves, Have been shown to exert more than 80% in their roots.

즉, 오염물질의 분해능력은 식물의 뿌리에서 최고이며, 식물이 식재된 화분의 토양은 공극과 유기물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식물의 성장을 돕고 식물 뿌리에서의 미생물 활동을 활발하게 하여 공기 중의 유해가스를 자연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식생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토양 속에 존재하는 공극은 일종의 필터 구실을 하므로 공기 또는 물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That is, the decomposition ability of pollutants is highest in the roots of the plants, and the soil of the pollen planted with the plants contains pores and organic substances, thereby helping the growth of plants and activating microorganisms in the roots of the plants, To provide a vegetation environment that can be naturally purified. In addition, since the pores existing in the soil are a kind of filter, they can also function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or water.

도1을 참고하여 식물(50)을 이용한 공기의 자연 정화 원리를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의 잎(51)의 작은 구멍(기공, 51a)으로는 공기 중의 유해물질들이 흡수되고, 식물(50)의 뿌리(53)에서는 토양(54)과 뿌리에 서식하는 미생물들(57)이 공기 중의 유해물질을 분해하여 공기정화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이 나타나 있다. 이때 공기는 식물의 잎(51)을 통해 흡수되기도 하고 토양(54)을 통해서 직접 뿌리에 흡수되기도 한다. 실내공기 중의 유해물질로는 포름알데히드, 일산화탄소, 암모니아, 벤젠, 톨루엔 등이 있는데, 애들 유해물질들은 식물의 잎과 특히 뿌리의 호흡작용에 의해서 탄소, 수소 등의 원자들로 분해되며, 이 과정에서 독성이 제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principle of air purification using the plant 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s shown in FIG. 1, harmful substances in the air are absorbed into small holes (pores) 51a of the plant leaves 51, and in the roots 53 of the plants 50, the soil 54 and the roots It is shown that the microorganisms 57 decompose harmful substances in the air to perform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At this time, the air may be absorbed through the leaves (51) of the plant or directly to the roots through the soil (54). Toxic substances in indoor air are formaldehyde, carbon monoxide, ammonia, benzene, and toluene. The harmful substances of children are decomposed into atoms such as carbon and hydrogen by the respiration of the leaves and especially the roots of the plants. The effect of eliminating toxicity can be obtained.

도1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52는 식물의 줄기를 가리키며, 56은 화분을 가리킨다. 1, reference numeral 52 denotes a stem of a plant, and 56 denotes a pot.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의 뿌리를 공기정화 기능에 적극 활용할 경우에는 토양의 공극을 통해서 오염된 공기를 걸러낼 뿐만 아니라 식물의 뿌리의 미생물들이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분해해서 대기의 공기를 깨끗하게 정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when the root of a plant is actively used for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not only the polluted air is filtered through the pores of the soil but also the microorganisms of the plant decompose pollutants in the air, The effect of cleansing can be obtained.

이러한 이유에서 식물의 뿌리와 토양 중의 미생물 및 토양 중의 공극들을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식물재배용 화분과 이러한 화분들을 이용한 실내정원 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For this reason, there has been a need to develop a new concept of plant pots for purifying indoor air using microbes and pores in soil roots and soil, and indoor gardening devices using such pots.

한편, 회사와 가정의 건물 내 주거환경에서 식물을 재배하기 위해 화분을 여러개 배치할 경우에는 화분들이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그렇지 않아도 별로 여유가 없는 실내공간을 더욱 비좁게 만드는 문제가 있었다. 즉, 기존의 화분들은 실내공간의 효율을 떨어뜨리게 되므로, 일반적인 방식과 구조의 화분들을 실내에 설치하는 것은 별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었다. On the other hand, when arranging a plurality of pots for planting in a residential environment in a building of a company and a hom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ots occupied a lot of space, thereby making the interior space which is not enough to be narrowed. In other words, conventional pots would reduce the efficiency of the indoor space, so it was not desirable to install the pots of the general method and structure indoors.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복수 개의 화분들을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적층하거나 연결하여 많은 수의 화분들을 공간효율적으로 집합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된 공기정화용 식물 재배 화분을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공기정화용 식물 재배 화분의 발명을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049481호 및 제10-2015-0091559호로 출원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eveloped a plant cultivation pot for air purification, which is capable of collecting a large number of pots space-efficiently by stacking or connecting a plurality of pot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The invention of an air purifying plant cultivar has been fil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s. 10-2014-0049481 and 10-2015-0091559.

그런데 이러한 적층가능한 구조의 공기정화용 식물 재배 화분들을 금속재질의 틀 혹은 알루미늄 프로파일 등의 구조물에 결합하여 화분들을 집합화시킬 때에 화분들을 구조물에 손쉽게 그리고 안정감 있게 장착할 수 있게끔 하는 전용의 화분 걸이구와 물받이 레일 등의 액세서리 도구들을 더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However, there is a special flower hanger and a water tray which can easily and stably mount the pollen on the structure when the planting pots for air purification for such a laminate structure are combined with the metal frame or the aluminum profile to collect the pollen There was a need to further develop accessory tools such as rails.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정화용 식물재배 화분을 다수 집합화하여 화분 설치 구조물(또는 식생큐브)을 구성할 때에 다수의 화분들(1)을 알루미늄 프로파일들로 이루어진 프레임 상에 효율적으로 간편한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화분 걸이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llen installation structure (or a vegetation cube) by collecting a large number of polle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분 걸이구를 사용하여 화분의 집합화 설치가 용이하고 언제든지 화분을 유지 관리의 필요에 의해 설치 구조물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에 매우 손쉬운 방식으로 화분을 분리하고 또 다시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공기정화용 화분의 설치를 위한 화분 걸이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separating and re-joining pots in a very easy manner when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pots from the installation structure by necessity of maintenan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wer pot hanger for installation of an air purifying pot.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화분 걸이구를 이용해서 제작하여 다수의 화분들을 최적의 환경에서 재배할 수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화분 설치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llen installation structure that can be manufactured using the pot catcher and cultivate a large number of pollen pots in an optimal environment and easy maintenan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의 설치를 위한 화분 걸이구는 전체적으로 C자형으로 굴곡된 형상을 갖는 C형 몸체부(41), 상기 C형 몸체부(41)의 상부에서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2가닥으로 갈라져 형성된 상부돌출부(44) 및 전방돌출부(45), 상기 C형 몸체부(41)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꺾여져 올라간 하단돌출턱(46)을 포함하며, 상기 C형 몸체부(41)의 뒤쪽으로는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끼움홈(201a)안에 삽입 결합될 수 있는 레일 끼움부(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일 끼움부(43)와 C형 몸체부(41)의 사이는 폭이 좁은 네크(neck, 4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네크(42)가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끼움홈 턱에 걸림으로써 레일 끼움부(43)가 알루미늄 프로파일들의 끼움홈으로부터 분리되지 못하게 되며, 상기 레일 끼움부(43)는 정육면체 혹은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마치 사람의 발뒤꿈치를 연상시키는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lowerpot hanger for installing an air purifying plant cultivating flowerpot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shaped body portion 41 having a C-shaped curved shape as a whole, An upper protruding portion 44 and a front protruding portion 45 formed by dividing into two strand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lower protruding protuberance 46 bent upward from a lower end of the C- A rail fitting portion 43 is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C-shaped body portion 41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201a of the aluminum profile. The rail fitting portion 43 and the C- The neck 42 is formed between the portion 41 and the neck 42 so that the neck 42 is engaged with the groove of the fitting groove of the aluminum profile so that the rail fitting portion 43 is separated from the fitting groove of the aluminum profiles And the rail fitting portion 4 3) can be made in the form of a cube or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lock, or it can be made in a shape reminiscent of a person's heel.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헤 제공된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의 설치를 위한 화분 걸이구는 레일 끼움부(43)가 약간 크기와 형상이 차이가 나는 상부 끼움부(43a)와 하부 끼움부(43b) 및 그 사이에서 약간 움푹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된 함몰부(43c)를 포함하며, 상기 네크(42)는 레일 끼움부(43)와 C형 몸체부(41)의 사이에서 위아래면이 모두 움푹 들어가게 되므로 제1오목부(42a)와 제2오목부(42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flowerpot hanger for installing an air purifying plant cultivating flower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l fitting portion 43 has an upper fitting portion 43a and a lower fitting portion 43a, 43b and a recessed portion 43c formed in a slightly recessed shape therebetween. The neck 42 is formed such that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dented between the rail fitting portion 43 and the C-shaped body portion 41 And has a first concave portion 42a and a second concave portion 42b.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의 설치를 위한 화분 걸이구는 공기정화용 식물재배 화분을 다수 집합화하여 화분 설치 구조물(또는 식생큐브)을 구성할 때에 다수의 화분들(1)을 알루미늄 프로파일들로 이루어진 프레임 상에 효율적으로 간편한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The flowerpot hanger for installing the air purifying plant cultivating flower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plurality of air purifying plant cultivated flowerpots are assembled into a flowerpot installation structure (or a vegetation cube), a large number of flowerpots (1)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installed in an efficient and simple manner on a frame formed.

그리고 본 발명에서 함께 제공하는 중간 물받이 레일 및 물받이 레일은 화분 설치 구조물에서 화분으로부터 물이 흘러나와 외부 환경 혹은 실내 환경을 더럽히는 일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므로 실내 환경을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tervening water-receiving rail and the water-receiving rail provided toge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 water from flowing out of the flowerpot from the flowerpot installation structure, it is possible to clean the indoor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걸이구를 이용하여 제작한 화분 설치 구조물은 다수의 화분들을 최적의 환경에서 재배할 수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ollen installation structure manufactured using the flowerpot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a large number of pollen can be cultivated in an optimal environment and maintenance is easy.

도1은 식물을 이용한 공기의 자연 정화 방식을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의 설치를 위한 걸이구를 이용하여 구성한 화분 설치 구조물(200)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걸이구가 사용되는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1)의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에 도시된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1)의 뚜껑(3)과 화분 본체(2)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결합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에 도시된 화분 본체(2)를 화분 몸체(10)와 밑판(20)로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은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1)의 식물포트들(11, 12)에 식물(50)을 식재하고 흙을 덮은 다음 뚜껑(3)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의 설치를 위한 화분 걸이구(4)의 사시도이고, 도8은 상기 화분 걸이구(4)의 단면 형태가 보이는 정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걸이구(4)를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1)에 적용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걸이구(4)를 사용하여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들(1)을 수직방향으로 적층하여 설치한 화분 설치 구조물(200)을 도시한다.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설치 구조물(200)의 예를 도시하는데, 제일 아래쪽에 위치한 화분(1)의 바닥면에 중간 물받이 레일(60)을 결합하여 물받이 기능을 제공하도록 한 것을 도시한다.
도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걸이구(4a)의 사시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걸이구(4, 4a)를 사용하여 화분 설치 구조물(200)을 만들 때에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1)의 아래쪽에 물받이 레일(600)을 설치한 예를 도시한다.
도14는 도11에 도시된 중간 물받이 레일(60)의 단면도이다.
도15는 도14에 도시된 중간 물받이 레일(60)의 단면 형상을 변형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중간 물받이 레일(60a)의 단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걸이구(4)와 그에 결합되는 연결장착구(400)의 결합관계를 도시한다.
도17은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1)에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걸이구(4)와 중간 물받이 레일(60)이 결합되어 프레임 중의 알루미늄 프로파일(201)에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다.
FIG. 1 illustrates a natural purification method of air using plants.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llen installation structure 200 constructed using a hook for installing an air purifying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purifying plant cultivating flowerpot 1 in which a flowerpot harvest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d 3 and the pollen body 2 of the air purifying plant cultivation flowerpot 1 shown in Fig. 3 separated.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ollen body 2 shown in FIG. 4 separated by a pollen body 10 and a bottom plate 20. FIG.
6 shows a process of planting plants 50 on plant pots 11 and 12 of an air purifying plant cultivation flowerpot 1 shown in Figs. 3 to 5, covering the soil, and then joining the lid 3 do.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catching tool 4 for installing an air purifying plant cultivating flower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front view showing a sectional shape of the flowerpot catching tool 4.
Fig. 9 shows an example of applying the flowerpot catching tool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air purifying plant cultivation pollen 1.
10 shows a pollen installation structure 200 in which air purifying plant cultivation pots 1 are stacked in a vertical direction by using a flowerpot hanger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shows an example of a pollen installation structur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intermediate water tray rail 60 is joi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ollen 1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ollen 1, .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catching tool 4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water-receiving rail 600 is installed below the air-purifying plant cultivation pot 1 when the pollen-installing structure 200 is made using the pot catching devices 4 and 4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4 is a sectional view of the intermediate-receiving rail 60 shown in Fig.
Fig. 15 is a sectional view of the intermediate water receiving rail 60a a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sectional shape of the intermediate water receiving rail 60 shown in Fig. 14 is modified.
FIG. 16 show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lowerpot catching tool 4 and the connection fitting 400 connected theret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shows a state in which the flowerpot catching tool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termediate water receiving rail 60 are joined to the planting pot for planting an air conditioner 1 and sandwiched in the aluminum profile 201 in the frame.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의 설치를 위한 걸이구 및 상기 걸이구를 이용한 화분 설치 구조물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의 설치를 위한 걸이구를 이용하여 구성한 화분 설치 구조물(200)의 사시도이다. 도2를 참고하면, 본 출원인이 이미 특허출원한 공기정화용 식물재배 화분들(1)을 수직방향으로 적층함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도 연장되게 설치함으로써 다수개의 화분들(1)이 프레임(220)에 결합되어 매달린 구조의 '공기정화용 화분의 설치구조물'(200)을 만들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용 화분의 설치구조물'(200)은 금속재질의 사각파이프 혹은 사각봉들이 결합되어 수직면을 형성하는 프레임(220)과 상기 프레임(200)의 하부에 상자 형태로 틀이 더 짜져서 그 안에 수조가 놓일 수 있게끔 된 수조 캐비넷 설치부(230)로 구성된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llen installation structure 200 constructed using a hook for installing an air purifying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a plurality of pollen pots 1 are attached to a frame 220 by vertically stacking air purifying plant pots 1, which have been already patented by the present applicant,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air purifying pot' 200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air purifying pot is coupled to the air purifier can be formed. The 'installation structure for air purifying pollen' 200 includes a frame 220 which is formed by joining square pipes or square rods made of metal to form a vertical plane, and a frame is further formed in a box shape below the frame 200, And a water tank cabinet mounting portion 230 in which a water tank can be placed.

상기 프레임(220)은 철, 알루미늄, 스텐레스 등의 금속재질로 된 사각파이프들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짜맞추고 볼트, 리벳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하거나 혹은 용접의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하부의 수족 캐비넷 설치부(23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태를 가져서 그 내부의 공간에 수조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20)의 일측은 금속 재질의 사각파이프 혹은 사각봉들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수직 지지부재들(202')을 형성하며, 상기 수직 지지부재들(20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의 수평 알루미늄 프로파일들(201)이 결합된다. 상기 수직 지지부재들(202')은 상기 프레임(220)의 높이를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수평 알루미늄 프로파일들(201)은 상기 수직 지지부재들(202')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됨으로써 각각의 수평 알루미늄 프로파일들(201)마다 공기정화용 식물 재배 화분들(1)이 결합되는데, 이때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걸이구(4, 4a)가 상기 공기정화용 식물재배 화분(1)과 수평 알루미늄 프로파일(201)의 사이에 설치된다. The frame 220 may be formed by assembling rectangular pipes made of metal such as iron, aluminum, or stainless steel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by using bolts, rivets, or the like, or by welding. The ankle cabinet installation part 23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a whole, so that a water tank can be installed in the space inside. One side of the frame 220 is formed by a square pipe or a square bar made of a metal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vertical support members 202 ' The horizontal aluminum profiles 201 are joined. The vertical support members 202 'provide the height of the frame 220 and the horizontal aluminum profiles 201 are provided at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support members 202' The planting pots 1 for air purification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horizontal aluminum profiles 201. The planting pots 4 and 4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are connected to the air- Is installed between the aluminum profiles (201).

또한 상기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의 설치구조물(200)은 집합화된 화분들(1)의 아래에 물받이 레일(700)과 배수안내판(710)이 설치된다. 상기 물받이 레일(700)은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면서 설치되어 상기 공기정화용 식물재배 화분들(1)로부터 흘러나오는 물을 모아서 프레임(200)의 일측으로 흘러나가게 할 수 있으며, 배수 안내판(710)은 상기 물받이 레일(700)의 낮은 쪽 끝에 설치되되 그 낮은 쪽 끝이 수조(210, 도10 참조)안에 위치하도록 하여, 화분들(1)로부터 흘러나온 물이 다른 곳으로 넘치거나 튀는 일 없이 안전하게 수조 안으로 흘러들어가 모이게 된다. In addition, a water receiving rail 700 and a water drain guide plate 710 are installed under the collecting pollen 1 in the installation structure 200 of the plant cultivation pot for air purification. The water receiving rail 700 may be installed at an oblique slope so as to collect the water flowing out from the air purifying plant cultivation pots 1 and flow out to one side of the frame 200. The water drain guide plate 710 is provided with a water- The lower end of the rail 700 is positioned in the water tank 210 (see FIG. 10) so that the water flowing out of the pollen 1 flows into the water tank safely without overflowing or splashing It is gathered in.

도2에서 도면부호 231은 프레임(220) 하부의 수조 캐비넷 설치부(230)를 구성하는 파이프들 중 수직 파이프를 가리키며, 도면부호 232는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되 위쪽에 위치한 상수평 파이프를 가리키고, 도면부호 233은 상수평 파이프보다 아래에 위치한 하수평 파이프를 가리킨다. 그리고 도면부호 234는 그 외의 수평방향으로 놓인 파이프들을 지시한다. In FIG. 2, reference numeral 231 denotes a vertical pipe among the pipes constituting the water tank cabinet installation portion 230 under the frame 220, reference numeral 232 denotes an upper horizontal pipe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eference numeral 233 denotes a lower horizontal pipe located below the upper horizontal pipe. And reference numeral 234 designates pipes lying in other horizontal directions.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의 설치구조물(200)을 구성하는 프레임(220)과 수조 캐비넷 설치부(230)의 사각 파이프 부재들은 금속재질의 사각봉 혹은 합성수지 재질의 사각봉 혹은 사각파이프로 대체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각봉, 사각파이프 뿐만 아니라 원형 기타 다각형의 단면을 가진 봉과 파이프들도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 알루미늄 프로파일들(20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걸이구(4)를 설치하기 위해서 알루미늄 압출공정에 의해 제작된 프로파일을 사용하되, 그 프로파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홈들(201a, 도9 참조)이 형성되어 있어서 알루미늄 프로파일들(201)의 끼움홈들 속으로 본 발명의 화분 걸이구(4)의 뒷부분이 쏙 들어가 단단히 결합됨으로써 화분들(1)을 지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quare pipe members of the frame 220 and the water tank cabinet installation part 230 constitut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200 of the planting pot for planting an air purifying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 rectangular rod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square rod or a square pipe made of synthetic resin And in some cases rods and pipes having cross-sections of circular or other polygons as well as square rods, square rods can also be used. The horizontal aluminum profiles 201 are formed by using the profile produced by the aluminum extrusion process in order to install the flowerpot fastener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tting grooves 201a,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part of the pot holder 4 of the present invention fits comfortably into the fitting grooves of the aluminum profiles 201 so as to support the pots 1.

그리고 수직 지지부재(202')로는 수평 알루미늄 프로파일들(201)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진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이와 달리 금속 혹은 합성수지 재질의 파이프나 봉을 사용하고 그 파이프나 봉에 상기 수평 알루미늄 프로파일들(201)을 볼트, 리벳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 vertical support member 202 'may be an aluminum profile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s the horizontal aluminum profiles 201. Alternatively, a pipe or rod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may be used, It is possible to join the aluminum profiles 201 using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rivets or the like.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걸이구가 사용되는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1)의 사시도이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purifying plant cultivating flowerpot 1 in which a flowerpot harvest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이하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1)은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 제10-2015-0091559호로 이미 출원한 발명인데, 본 발명 화분 걸이구(4; 도7, 도8 및 도12 참조)의 구조와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범위에서 상기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1)의 구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air purifying plant cultivated flower pot (1) shown in FIG. 3 to FIG. 6 is the invention already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in the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091559. The present invention flower pot 4 12), the structure of the air purifying plant cultivating flowerpot 1 will be described in the range necessary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the operation effect of the air purifying plant cultivating flowerpot 1.

우선 도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1)은 부채꼴 모양을 가지면서 전면부(14a)의 면적이 후면부(14b, 도4 참조)의 면적보다 훨씬 큰 형상을 가진 화분 본체(2)와 상기 화분 본체(2)의 상부에 얹혀 결합되는 뚜껑(3)을 포함한다. 3, the air purifying plant cultivating flowerpot 1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an shape and a shape of the front part 14a which is much larger than the area of the rear part 14b (see FIG. 4) (2) and a lid (3)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pollen body (2).

상기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1)은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한 개의 화분으로도 사용될 수 있지만, 그보다는 도2에 이미 도시된 것처럼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의 화분들이 적층되고 수평방향으로도 연장된 형태의 화분 조립체를 구성함으로써 많은 수의 식물들을 컴팩트한 공간 안에 효율적으로 집적하여 키울 수 있는 실내정원을 만드는 용도로 더 잘 활용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1)은 화분 1개가 단독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이든 또는 복수 개의 화분들을 집적한 화분 조립체로서 사용되는 경우이든 모두 마치 평지에서 식물이 자라는 것처럼 식물이 잘 생육할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이 제공하는 공기 정화 효과를 최대로 발휘할 수 있게끔 하는 효과가 있다. The air purifying plant cultivated flower pot 1 can also be used as a single flower pot as shown in Fig. 3, but rather a plurality of flower pots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lready shown in Fig. 2, Shaped pollen assemblies can be better utilized to create indoor gardens that can efficiently accumulate and grow large numbers of plants in a compact space. The planting pot (1) for air purifying plant (1) is a plant for growing plants such as a plant growing on a flat ground, even when one pot is used singly or when a plurality of pots are used as an integrated pot plant, So that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ect of air purification provided by the air purifier.

상기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1)의 화분 본체(2)는 화분 몸체(10)와 밑판(20)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것으로서,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분 몸체(10)의 하단 삽입부(19)에 형성된 키 삽입구멍(19a)이 밑판(20)의 내벽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키(25)와 잠금리브들(25a)에 의해 걸려 한번 잠겨지면 다시 분리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The pollen body 2 of the air purifying plant cultivation flowerpot 1 is made by combining the pollen body 10 and the bottom plate 20 and is provided with a lower insertion portion 19 (see FIG. 5) of the pollen body 10 Is locked by the protruding key 25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ottom plate 20 and the locking ribs 25a so that the key insertion hole 19a can not be detached once locked.

상기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1)의 전면부(14a)에는 2개의 식물포트들(11, 12)이 마련되어 있는데, 상기 전면부(14a)는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20~45°의 각도만큼 경사져 있다. 상기 식물포트들(11, 12)의 포트 벽(pot wall, 13)이 전면부(14a)의 표면으로부터 70~85°의 각도로 세워진 자세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식물이 상기 식물 포트들(11, 12)을 통해 화분(1)에 식재되게 되면, 뿌리와 줄기의 일부는 화분(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고, 줄기의 외측 부분과 잎 부분은 화분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식물이 가능한 한 세워진 자세를 유지하도록 만들 수 있다. Two plant ports 11 and 12 are provided on the front part 14a of the air purifying plant cultivation flowerpot 1 and the front part 14a has an angle of 20 to 45 degrees . Since the pot wall 13 of the plant pots 11 and 12 is formed at an angle of 70 to 85 degrees from the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portion 14a, 12, a part of the root and the stem are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lowerpot 1, and the outer part and the leaf part of the stem are located outside the flowerpot, You can make it stand upright.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1)은 전면부(14a)의 경사 각도를 높이에 따라 가변시킴으로써 전면부(14a)가 곡면형의 디자인을 가지고, 그 전면부(14a)로부터 제1 및 제2 식물포트들(11, 12)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식물포트들(11, 12)을 통해 식재된 식물들은 뿌리로부터 줄기까지가 가능한 한 세워진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1)에 식물을 식재할 경우 식물의 뿌리가 화분 속의 토양에서 잘 자리를 잡고 성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front part 14a has a curved surface design by vary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ront part 14a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lanting pot 1 for air purifying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plant pots 11 and 12 protrude from the plant pots 11 and 12, plants planted through the plant pots 11 and 12 can maintain a standing posture from the root to the stem as much as possible. As a result, when plants are planted in the planting po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ots of the plants can be well positioned and grow in the soil of the pots.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 몸체(10)는 그 하부에 밑판(20)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밑판(20)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배수공들이 형성된 배수판부(23)가 마련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1)은 화분 본체(2)의 밑판(20)에 형성된 배수판부(23)가 다수의 배수공들로 형성되어 있고, 또 화분 본체(2)의 위에 결합되는 뚜껑(3)에도 다수의 관수공들(34a)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위아래가 모두 뚫려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의 화분(1)은 뚜껑(3) 위로 떨어진 물이 뚜껑(3)의 관수공들(34a)을 통해 화분 본체(2)의 내부공간으로 흘러내리고, 화분 본체(2)에 있는 물은 배수판부(23)를 통해서 다시 그 아래쪽으로 흘러나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pollen body 10 has a bottom plate 20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pollen body 10, and a drain plate portion 23 hav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20. That is, in the air purifying plant cultivation pot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 pan portion (23) formed on the bottom plate (20) of the flowerpot body (2)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drain holes, And the lid 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tering holes 34a. The pollen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water falling on the lid 3 from flowing down into the inner space of the pollen body 2 through the water holes 34a of the lid 3, Is allowed to flow downward through the drain plate portion 23 again.

도3에서 도면부호 22는 화분 본체용 카본 필터(미도시)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필터 고정돌기이며, 도면부호 24는 필터판(111, 도4 참조)의 밑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이다. 그리고 도면부호 15는 화분 몸체(10)의 측면부(14c, 도4 참조)에 S자 형태로 형성된 흡기슬롯으로서, 상기 흡기슬롯(15)을 통해 화분 본체(2)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도면부호 11a 및 12a는 각각 제1포트홀 및 제2포트홀을 가리키는데, 제1 및 제2포트홀(11a, 12a)에 식물이 위치하게 된다. 3, reference numeral 22 denotes a filter fixing protrusion for fixing the position of a carbon filter (not shown) for the flowerpot body, and reference numeral 24 denotes a support protrusion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plate 111 (see Fig. 4). And 15 denotes an air intake slot formed in an S shape on the side portion 14c (see FIG. 4) of the pollen body 10 to allow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interior of the pollen body 2 through the air intake slot 15 . On the other hand, reference numerals 11a and 12a denote the first port hole and the second port hole, respectively, and plants are located in the first and second port holes 11a and 12a.

상기 화분 본체(2)의 상단부에 얹혀 결합되는 뚜껑(3)은 외곽평면부(32)의 가장자리 부분들이 제1테두리벽(31)으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뚜껑(3)의 위쪽으로부터 떨어지는 물을 외부로 넘치지 않게 잘 받아낼 수 있으며, 상기 외곽평면부(32)의 안쪽 영역에는 외곽평면부(32)보다 낮은 높이를 가진 관수판부(34)가 형성되어 있어서 관수공들(34a)을 통해 물이 화분 본체(2)로 내려갈 수 있다. The lid 3 which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pot body 2 has the edge portions of the outer flat surface portion 32 protruded upward by the first edge wall 31 so that the water fall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lid 3 And a water supply plate portion 34 having a lower height than the outer planar portion 32 is formed in the inner area of the outer planar portion 32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s 34a Water can descend to the pot body 2.

그리고 상기 뚜껑(3)의 외곽평면부(32)에는 4개의 다리 안착 돌출링들(35)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다리 안착 돌출링들(35)은 뚜껑(3) 위에 또 다른 화분 본체(2)가 적층될 때 그 위에 놓인 화분 본체(2)의 다리들(21)이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한다. Four leg-seating projecting rings 35 are formed on the outer flat surface portion 32 of the lid 3 and the leg-seating projecting rings 35 are provided on the lid 3 with another pot body 2 So that the legs 21 of the pollen body 2 placed thereon can be stably laid.

뚜껑(3)의 관수판부(34)에는 복수 개의 작은 관수공들(34a)이 뚫려져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수공들(34a)을 통해서 뚜껑(3)의 위에 있는 물이 아래의 화분 본체(2) 안으로 떨어지게 된다. A plurality of small irrigation holes 34a are formed in the irrigation plate portion 34 of the lid 3 so that the water on the lid 3 through the irrigation holes 34a passes through the lower potting body 34a 2).

본 발명의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1)을 구성하는 화분 몸체(10), 밑판(20) 및 뚜껑(3)은 모두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각각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해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pollen body 10, the base plate 20 and the lid 3 constituting the planting pot for planting an air purifying pla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ll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can be produced by plastic injection molding .

도4는 도3에 도시된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1)의 뚜껑(3)과 화분 본체(2)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결합 사시도이다.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d 3 and the pollen body 2 of the air purifying plant cultivation flowerpot 1 shown in Fig. 3 separated.

도4를 참고하면 상기 화분 본체(2)의 내부 공간의 모습을 보다 잘 살펴볼 수 있다. 상기 화분 본체(2)의 후면부(14b)에는 레일 랙(rail rack, 18)이 안쪽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레일 랙(18)은 송풍장치(100)를 안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구조물인데, 후면부(14b)와 나란하게 엔드레일(end rail, 18a)과 중간레일(18b)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에 삽입홈(18c, 도5 참조)이 존재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inside space of the flowerpot body 2 can be seen more clearly. A rail rack 18 protrudes inward from the rear part 14b of the pot body 2. [ The rail rack 18 is a structure for stably receiving the fan unit 100. An end rail 18a and a middle rail 18b ar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parallel with the rear portion 14b, There is an insertion groove 18c (see Fig. 5) therebetween.

상기 송풍장치(100)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된 팬모터 수납케이스(110)와 상기 팬모터 수납케이스(110)에 결합된 팬모터(120)를 포함한다. 상기 팬모터 수납케이스(110)는 상부에 PCB 함체(112)가 존재하고, 하부에 필터판(111)이 연결되어 있는데, PCB 함체(112)와 필터판(111)의 경계 부위는 노치선(notch line, 113)으로서 V자형의 파여진 홈 형상의 단면을 이루고 있다. The fan unit 100 includes a fan motor housing case 110 made of synthetic resin such as plastic and a fan motor 120 coupled to the fan motor housing case 110. The PCB housing 112 and the filter plate 11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an motor housing case 110. The boundary between the PCB housing 112 and the filter plate 111 is connected to the notch line notch line 113, which is a V-shaped wedge-shaped cross-section.

한편, 상기 팬모터 수납케이스(110)의 PCB 함체(112)에는 그 측면부들에 수직방향으로 끼움홈(112a)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홈(112a)에는 레일 랙(18)의 중간레일(18b)이 미끄러져 들어올 수 있다. 이렇게 팬모터 수납케이스(110)의 끼움홈(112a)과 레일 랙(18)의 엔드레일(18a) 및 중간레일(18b)의 구조에 의해서 팬모터 수납케이스(110)는 레일 랙(18) 안에 긴밀하게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으며, 상기 송풍장치(100)가 레일 랙(18)안에 결합되면, 팬모터(120)는 후면부(14b)의 팬모터용 구멍(16)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PCB 함체(112)의 후면부 쪽에 위치한 팬모터 스위치(미도시)와 전원잭들(미도시)은 후면부(14b)의 PCB 전원 연결용 구멍(17)에 위치하게 된다. The PCB housing 112 of the fan motor housing case 110 is provided with a fitting groove 112a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ide portions thereof and the middle rail 18b of the rail rack 18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12a. ) Can slip in. The fan motor housing case 110 is housed in the rail rack 18 by the structure of the fitting groove 112a of the fan motor housing case 110 and the end rail 18a and the middle rail 18b of the rail rack 18. [ And the fan motor 120 is positioned in the hole 16 for the fan motor of the rear portion 14b when the fan 100 is coupled into the rail rack 18, The fan motor switch (not shown) and the power jacks (not shown)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112 are positioned in the PCB power connection hole 17 of the rear portion 14b.

상기 팬모터 수납케이스(110)의 필터판(111)에는 복수 개의 통기공들(111a)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필터판(111)의 네 모서리 부분에는 팬모터(120)와의 볼트 체결 결합을 위한 볼트체결공들(111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PCB 함체(112)의 앞면 양측 가장자리에는 수직방향으로 파여진 제1장홈들(112b)이 마련되어 있다. A plurality of air vents 111a are formed in the filter plate 111 of the fan motor storage case 110. The four corners of the filter plate 111 are connected to the fan motor 120 for bolt- Bolt fastening holes 111b are formed. On the other han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CB housing 112, first grooves 112b are formed.

도5는 도4에 도시된 화분 본체(2)를 화분 몸체(10)와 밑판(20)로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ollen body 2 shown in FIG. 4 separated by a pollen body 10 and a bottom plate 20. FIG.

도5를 참고하면, 화분 몸체(10)와 밑판(20)은 별개의 부재로 각각 플라스틱 사출성형 공정에 의해서 제작되되, 화분 몸체(10)와 밑판(20)이 한번 결합된 이후에는 키 삽입구멍(19a)과 돌출키(25) 및 잠금리브(25a)에 의한 록킹구조에 의해 다시 분리하기가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5, the pollen body 10 and the bottom plate 20 are formed as separate members, respectively, by a plastic injection molding process. After the pollen body 10 and the base plate 20 are joined once, It is impossible to separate it again by the locking structure of the protruding key 19a, the protruding key 25 and the lock rib 25a.

밑판(20)의 바닥을 구성하는 배수판부(23)에는 복수 개의 배수공들(23a)이 형성되어 있다. A plurality of drain holes 23a are formed in the drain plate portion 23 constituting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20. [

도6은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1)의 식물포트들(11, 12)에 식물(50)을 식재하고 흙을 덮은 다음 뚜껑(3)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다.6 shows a process of planting plants 50 on plant pots 11 and 12 of an air purifying plant cultivation flowerpot 1 shown in Figs. 3 to 5, covering the soil, and then joining the lid 3 do.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의 설치를 위한 화분 걸이구(4)의 사시도이고, 도8은 상기 화분 걸이구(4)의 단면 형태가 보이는 정면도이다. 도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화분 걸이구(4)는 전체적으로 C자형으로 굴곡된 형상을 갖는 C형 몸체부(41), 상기 C형 몸체부(41)의 상부에서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2가닥으로 갈라져 형성된 상부돌출부(44) 및 전방돌출부(45), 상기 C형 몸체부(41)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꺾여져 올라간 하단돌출턱(46)을 포함하며, 상기 C형 몸체부(41)의 뒤쪽으로는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끼움홈(201a, 도9 참조)안에 삽입 결합될 수 있는 레일 끼움부(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 끼움부(43)와 C형 몸체부(41)의 사이는 폭이 좁은 네크(neck, 4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네크(42)가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끼움홈 턱에 걸림으로써 레일 끼움부(43)가 알루미늄 프로파일들의 끼움홈으로부터 분리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상기 레일 끼움부(43)는 정육면체 혹은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도12 참조), 도7에 도시된 것처럼 마치 사람의 발뒤꿈치를 연상시키는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catching tool 4 for installing an air purifying plant cultivating flower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front view showing a sectional shape of the flowerpot catching tool 4. 7, the flowerpot catching tool 4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shaped body 41 having a generally C-shaped bent shape, And a lower protruding protrusion 46 bent upward from a lower end of the C-shaped body portion 41. The C-shaped body portion 41 (See Fig. 9) of the aluminum profile is integrally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ront end portion. Since the neck 42 is formed between the rail fitting portion 43 and the C-shaped body portion 41, the neck 42 is caught by the groove of the fitting groove of the aluminum profile, 43 are not separated from the fitting grooves of the aluminum profiles. Meanwhile, the rail fitting portion 43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ube or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lock (see FIG. 12), or may be formed in a shape reminiscent of a human heel as shown in FIG.

도7에 도시된 화분 걸이구(4)의 경우에는 레일 끼움부(43)가 약간 크기와 형상이 차이가 나는 상부 끼움부(43a)와 하부 끼움부(43b) 및 그 사이에서 약간 움푹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된 함몰부(43c)를 포함한다. 상기 네크(42)는 레일 끼움부(43)와 C형 몸체부(41)의 사이에서 위아래면이 모두 움푹 들어가게 되므로 제1오목부(42a)와 제2오목부(42b)를 갖게 된다. 7, the rail fitting portion 43 includes an upper fitting portion 43a and a lower fitting portion 43b which are slightly different in size and shape, and a slightly recessed shape And a depressed portion 43c formed as a depression. The neck 42 has a first concave portion 42a and a second concave portion 42b since both the top and bottom surfaces are dented between the rail fitting portion 43 and the C-shaped body portion 41. [

도7의 화분 걸이구(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돌출부(44)와 전방 돌출부(45)에 화분의 밑면 뒤쪽 부분이 얹혀지게 되며, 하단 돌출턱(46)은 그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또 다른 화분의 후면부(14b, 도4)에 마련된 PCB 전원연결용 구멍(17)으로 들어가서 화분의 후면부(14b) 상단을 걸게 된다. 즉, 상기 화분 걸이구(4)는 위아래로 위치하는 2개의 화분을 함께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7, the rear portion of the flower pot is placed on the upper projecting portion 44 and the front projecting portion 45, and the lower projecting projecting portion 46 is projected on another lower portion And enters the PCB power supply connection hole 17 provided in the rear part 14b (FIG. 4) of the flowerpot to hook the upper end of the rear part 14b of the flowerpot. That is, the flowerpot holder 4 functions to support two pots located up and down together.

한편, 도8을 참고하여 상기 화분 걸이구(4)의 구체적인 사양을 설명하면, 화분 걸이구(4)의 전체적인 높이(H1)는 50~65㎜이고, 레일 끼움부(43)의 높이(H6)는 12~21㎜이며, C형 몸체부(41)에서 상부 돌출부(44)의 높이(H2)는 15~27㎜이고, 전면 돌출부(45)의 끝단의 두께(T5)는 1.5~3.5㎜이며, 상단 돌출부(44)의 상단 부분의 두께(T4)는 0.5~3㎜이고, 레일 끼움부(43)의 상면과 상단 돌출부(44)의 상단끝 간의 거리(H5)는 20~35㎜이며, 레일 끼움부(43)의 두께(T1)는 1.5~4.0㎜이다. 그리고 하단 돌출턱(46)의 꺾어진 전체 높이(H3)는 5~12㎜이고, 돌출된 높이(H4)는 2~9㎜이다. 8, the overall height H 1 of the pot catch 4 is 50 to 65 mm, and the height of the rail fitting portion 43 H 6) is 12 to 21㎜ is, the height of the upper projection 44 in the C-shaped body portion (41) (H 2) is 15 ~ 27㎜, and the end thickness of the front protrusion (45) (T 5) is The thickness T 4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projection 44 is 0.5 to 3 mm and the distance H 5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fitting portion 43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projection 44 is 1.5 to 3.5 mm. Is 20 to 35 mm, and the thickness (T 1 ) of the rail fitting portion 43 is 1.5 to 4.0 mm. And kkeokeojin entire height (H 3) of the lower projecting jaw 46 is 5 ~ 12㎜, the protruding height (H 4) is 2 ~ 9㎜.

한편, 본 발명자가 다수 실험 연구한 바에 의하면,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이 최적의 실용성을 발휘할 수 있는 화분 사이즈에 대응하는 본 발명 화분 걸이구(4)의 최적 사양은, 상기 화분 걸이구(4)의 전체적인 높이(H1)를 56.92㎜로 하고, 레일 끼움부(43)의 높이(H6)는 16.9㎜로 하며, 상부 돌출부(44)의 높이(H2)는 24.2㎜이고, 전면 돌출부(45) 끝단의 두께(T5)는 2.2㎜이며, 상단 돌출부(44)의 상단부 두께(T4)는 1.4㎜이고, 레일 끼움부(43)의 상면과 상단 돌출부(44)의 상단끝 간의 거리(H5)는 29.4㎜이며, 레일 끼움부(43)의 두께(T1)는 2.8㎜이다. 그리고 하단 돌출턱(46)의 꺾어진 전체 높이(H3)는 7.97㎜이고, 돌출된 높이(H4)는 4.97㎜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nducted various experiments and found that the optimum specification of the flowerpower hanger 4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ing to the flowerpot size in which the air purifying plant cultivated flowerpot can exhibit the optimum practicality is that the flowerpower hanger 4 the overall height of the height (H 1) to 56.92㎜ and rail fitting portion (43) (H 6) is a height (H 2) and of a 16.9㎜, upper projection 44 has 24.2㎜, the front protrusion ( 45), with a thickness (T 5) is 2.2㎜ the end, the distance between the top end of the upper end portion thickness (T 4) has an upper surface and the upper projection (44 1.4㎜ of a rail fitting portion 43) at the top of the protrusion 44 (H 5 ) is 29.4 mm, and the thickness (T 1 ) of the rail fitting portion 43 is 2.8 mm. And kkeokeojin entire height (H 3) of the lower projecting jaw 46 7.97㎜, and a projection height (H 4) obtained the result that it is desirable that 4.97㎜.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걸이구(4)를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1)에 적용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화분 걸이구(4)는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1)의 밑면 뒤쪽 모서리 부분을 받아 지지하게 된다. 이렇게 화분 걸이구(4) 하나만이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1)의 뒤쪽에서 걸치는 식으로 받치게 된다면, 화분은 자체의 중량에 의해서 그대로 앞쪽으로 쓰러져 버리게 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화분(1)의 후면부(14b) 상단에 위치한 PCB 전원연결용 구멍(17) 안으로 또 다른 위쪽에 위치한 화분 걸이구(4)의 하단 돌출턱(46)이 들어가 후크(hook)처럼 걸고 있게 되므로, 화분(1)은, 상하에 위치한 2개의 화분걸이구들(4)을 매개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알루미늄 프로파일(201)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Fig. 9 shows an example of applying the flowerpot catching tool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air purifying plant cultivation pollen 1. Referring to FIG. 9, the pot catcher 4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d supports the rear edg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nting pot 1 for air purification. If only one such flowerpot (4) is supported on the rear side of the air purifier (1), the flowerpot will fall forward due to its own weight. However, the lower protruding protuberance 46 of the flowerpot catching hole 4 located at the upper side is inserted into the hole 17 for connecting the PCB power supply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rear face portion 14b of the pollen 1 and hooked like a hook The pollen 1 can be stably bonded to the aluminum profile 201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via the two flowerpower hooks 4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도9에는 본 발명의 화분 걸이구(4)에 중간 물받이 레일(60)이 함께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중간 물받이 레일(60)은 공기정화용 식물재배 화분(1)의 밑판(20)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안정적으로 받아내서 필요한 경우 레일의 일측으로 흘러보내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공기정화용 식물재배 화분(1)을 다수개 설치한 경우 아래쪽에 별도의 물받이 또는 물통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중간 물받이 레일(60)을 화분 걸이구(4)에 결합하여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화분 조립체(식생 큐브)를 만들 때 훨씬 깔끔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g. 9 shows a state in which the intermediate catch rail 60 is coupled to the flower hatch 4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mediate water receiving rails 60 serve to stably receive the water flowing out from the bottom plate 20 of the planting pot 1 and flow the water to one side of the rail if necessary.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the air purifying plant cultivated flower pots (1) are provided, the intermediate water receiving rails (60)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flower pot catcher (4) Vegetation cube) can be made much cleaner when you make the advantage.

상기 중간 물받이 레일(60)은 도9에 도시된 단면 형상을 살펴볼 때, 둥근 형태의 물받이 홈통부(61)가 중앙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쭉 연장되어 있고, 물받이 홈통부(61)의 양측단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측단부(61a, 61b)는 위쪽으로 올라가 있어서 중앙의 홈통부(61)에 물이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게끔 하였다. 상기 제2측단부(61b)는 화분 걸이구(4)와의 결합을 위하여 그 끝이 상하 2갈래로 갈라져 있으며, 그렇게 갈라진 제2-1측단부(61b-1)과 제2-2측단부(61b-2))의 사이에 삽입홈(61b-3, 도14 참조)이 마련되어서, 그 삽입홈(61b-3)안에 화분 걸이구(4)의 전방 돌출부(45)가 들어가 끼워지게 된다. 9, a circular water-receiving recessed tube portion 61 is extended in the cent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the water-receiving recessed portion of the water- The first and second side end portions 61a and 61b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upper end portion. The second side end portion 61b is divided into two upper and lower ends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flower pot catch 4. The second side end portion 61b-1 and the second 2-2 side end portion The front protruding portion 45 of the flower pot holder 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61b-3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61b-3 (see FIG.

그리고 상기 중간 물받이 레일(60)의 물받이 홈통부(61)의 중앙 밑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하부 지지판부(61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하부 지지판부(61c)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제1꺾임부(61c-1)에서 수직 하방으로 꺾어져 수직판부(61c-2)로 연장되며, 상기 수직판부(61c-2)는 중간에서 다시 수평방향으로 갈라져서 돌출된 제1수평턱(61c-3)을 갖는다. 상기 중간 물받이 레일(60)을 화분(1)의 아래에 설치할 경우에는, 또 다른 화분을 화분 걸이구(4)의 하단 돌출턱(46)에 거는 대신, 바로 그 하단 돌출턱(46)에 중간 물받이 레일(60)의 제1수평턱(61c-3)과 수직판부(61c-2)가 접촉하도록 하여, 중간 물받이 레일(60)이 화분 걸이구(4)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A lower support plate portion 61c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integrally formed on a central bottom surface of the water receiver groove portion 61 of the intermediate receiver rail 60. The lower support plate portion 61c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2 extending from the middle of the first folded portion 61c-1 to the vertical plate portion 61c-2. The vertical plate portion 61c-2 has a first horizontal ledge 61c- 3). When the intermediate water receiving rail 60 is installed below the pollen 1, another pollen is placed on the lower protruding jaw 46 of the lower part of the pot catcher 4, The first horizontal protrusion 61c-3 of the water receiving rail 60 and the vertical plate portion 61c-2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intermediate water receiving rail 60 can be stably engaged with the flower pot catch 4 .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걸이구(4)를 사용하여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들(1)을 수직방향으로 적층하여 설치한 화분 설치 구조물(200)을 도시한다. 도10에는 화분들(1)이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되, 상하의 화분들(1)이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각각 상하에서 각각 결합된 2개씩의 화분 걸이구(4)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제일 아래의 화분(1) 밑에는 별도의 물받이 레일이 설치되지 않고, 그 밑에 곧바로 수조(210)가 위치하여, 화분들(1)에서 흘러내려온 물이 최종적으로는 수조(210) 안으로 들어가 수조 안의 물(W)과 합쳐지도록 하였다. 10 shows a pollen installation structure 200 in which air purifying plant cultivation pots 1 are stacked in a vertical direction by using a flowerpot hanger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0, pollen 1 is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and lower pollen 1 are not direct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re supported by the two flowerpower holders 4, which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llen 1. A water tray 210 is located immediately under the water tray 1 under the lowest pot 1 so that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pots 1 is finally introduced into the water tray 210, (W) in the water.

도10에서 도면부호 210은 프레임(200)과 일체 또는 결합되어 형성된 수조 캐비넷이고, 213은 수조(210) 안에 설치된 수중 펌프(213)이며, 212는 펌프(213)의 작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조작부 내지 제어부를 가리킨다. 그리고 수조 캐비넷(210)에는 상수관(215)을 통해서 물이 공급되며, 수조 캐비넷(210) 안의 물은 수중펌프(213)의 작동에 의해 물 공급관(214)을 타고 제일 위에 위치한 화분의 위쪽에서 분사노즐(214a)을 통해 화분들(1)로 공급된다. 10, reference numeral 210 denotes a water tank cabinet formed integrally with or coupled to the frame 200. Reference numeral 213 denotes an underwater pump 213 installed in the water tub 210. Reference numeral 212 denotes a water pump Refers to an operation unit or a control unit. The water in the water tank cabinet 210 is supplied to the water tank cabinet 210 through a water pipe 215. The water in the water tank cabinet 210 is supplied to the water tank 214 from above the pot And is supplied to the pollen pots 1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214a.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설치 구조물(200)의 예를 도시하는데, 제일 아래쪽에 위치한 화분(1)의 바닥면에 중간 물받이 레일(60)을 결합하여 물받이 기능을 제공하도록 한 것을 도시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물받이 레일(60)을 설치하면 제일 아래의 화분으로부터 물이 외부로 흘러나와 주변을 더럽히는 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중간 물받이 레일(60)은 양단 사이에 경사를 주어 중간 물받이 레일(60)을 통해 흐른 물이 곧바로 아래쪽의 수조 캐비넷(210)안으로 들어가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도11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 물받이 레일(60) 자체는 약간의 경사만을 주고, 그 레일의 중간 부분 또는 일측에 집수할 수 있는 구멍과 배수호스(21b)를 연결하여 그 배수호스(21b)를 통해 물(W)이 수조 안으로 리턴(return)하도록 할 수도 있다. Figure 11 shows an example of a pollen installation structur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intermediate water tray rail 60 is joi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ollen 1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ollen 1, . As shown in FIG. 11, when the intermediate water receiving rail 60 is installed,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out from the lowest flowerpot to the outside and to dirty the surroundings. At this time, the intermediate water receiving rail 60 may be inclined between the opposite ends so that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intermediate water receiving rails 60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lower water tank cabinet 210, or as shown in FIG. 11, The rail 60 is provided with only a slight inclination and a hole capable of collecting in the middle or one side of the rail is connected to the drain hose 21b so that the water W is returned into the water tank through the drain hose 21b (return).

도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걸이구(4a)의 사시도이다. 도12에 도시된 화분 걸이구(4a)는 앞서 도7 내지 도11에 도시된 화분 걸이구(4)와 비교하여 레일 끼움부(43)가 직육면체 혹은 정육면체의 블록(block) 뭉치 형태로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catching tool 4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t catching hole 4a shown in Fig. 12 is different from the pot catching hole 4 shown in Figs. 7 to 11 in that the rail fitting portion 43 is formed as a block bundl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or a cube There is a difference in point.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걸이구(4, 4a)를 사용하여 화분 설치 구조물(200)을 만들 때에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1)의 아래쪽에 물받이 레일(600)을 설치한 예를 도시한다.1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water-receiving rail 600 is installed below the air-purifying plant cultivation pot 1 when the pollen-installing structure 200 is made using the pot catching devices 4 and 4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13을 참고하면, 수평 알루미늄 프로파일들(201)을 추가로 설치하고 여기에 물받이 레일(600)을 결합하여 물받이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며, 화분(1)의 후면부 뒤쪽으로도 역시 같은 형상의 물받이 레일을 뒷판 레일(610)을 설치하여 화분의 식물 및 물에 의해 화분 설치 구조물(200)의 전면판(수직판) 부분이 오염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물받이 레일(600)과 뒷판 레일(610)은 수평 알루미늄 프로파일들(201)의 끼움홈(201a)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거나 빼낼 수 있으므로, 필요한 때마다 쉽게 분리해서 청소하고 다시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화분 설치 구조물(200)을 항상 깨끗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3, the horizontal aluminum profiles 201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nd the water-receiving rail 600 may be coupled to realize the water-receiving function. Also, behind the rear portion of the flowerpot 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ront plate (vertical plate) portion of the pollen installing structure 200 from being contaminated by the potted plants and water by providing the rear plate rails 610. The water receiving tray 600 and the rear plate rail 610 can be slidably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fitting grooves 201a of the horizontal aluminum profiles 201 so that they can be easily separa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llen installation structur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lways cleanly and hygienically managed.

도14는 도11에 도시된 중간 물받이 레일(60)의 단면도이다. 도11에 도시된 중간 물받이 레일(60)과 비교해서 도14의 중간 물받이 레일(60)은 제2-1측단부(61b-1)의 길이가 조금 짧게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렇듯 중간 물받이 레일(60)의 각 부분의 구체적인 사양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그러한 변경사항들이 적용된 중간 물받이 레일(60)은 전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14 is a sectional view of the intermediate-receiving rail 60 shown in Fig. The intermediate-receiving rail 60 shown in Fig. 14 differs from the intermediate-receiving rail 60 shown in Fig. 11 in that the length of the second-1-side end 61b-1 is slightly shortened. As such, the specific specifications of the respective portions of the intermediate-receiving rail 60 can be changed as necessary, and the intermediate-receiving rail 60 to which such changes are applied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5는 도14에 도시된 중간 물받이 레일(60)의 단면 형상을 변형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중간 물받이 레일(60a)의 단면도이다. 도15의 중간 물받이 레일(60a)은 도11 및 도14의 중간 물받이 레일(60)과 비교하여 물받이 홈통부(61)에 편평한 부분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Fig. 15 is a sectional view of the intermediate water receiving rail 60a a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sectional shape of the intermediate water receiving rail 60 shown in Fig. 14 is modified. The intermediate-water receiving rail 60a in Fig. 15 has a flat portion in the water-receiving groove portion 61 as compared with the intermediate-receiving rail 60 in Figs.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걸이구(4)와 그에 결합되는 연결장착구(400)의 결합관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화분 걸이구(4)의 레일 결합부(43)가 수평 알루미늄 프로파일들(201)의 끼움홈(201a)에 곧바로 결합되지 않고, 별도의 연결장착구(400)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 장착구(400)를 또 다른 설치 구조물의 결합장소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FIG. 16 show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lowerpot catching tool 4 and the connection fitting 400 connected theret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 engaging portion 43 of the flowerpot fastener 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irectly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201a of the horizontal aluminum profiles 201 but is coupled with the separate connecting fitting 400,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connection mount 400 to the joining place of another installation structure.

도16에 도시된 화분 걸이구는 앞서 설명된 화분 걸이구들과 비교하여 약간 형상의 차이가 있다. 즉 C형 몸체부(41)의 내측면에 삽입홈(47)이 파여져 형성되어 있고, 네트(42)의 형상이 연결장착구(400)의 'ㄷ'자형 홈의 형상에 맞춰져 변형되어 있다. The flower pot hangers shown in Fig. 16 are slightly different in shape compared to the flower pot hangers described above. In other words, an insertion groove 47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shaped body 41, and the shape of the net 42 is deformed to match the shape of the 'C' shaped groove of the connection fitting 400.

상기 연결장착구(400)는 'ㄷ'자형 단면을 가진 홈부(401)과 상기 'ㄷ'자형 홈부(401)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형성된 끼움홈(402a, 402b)을 포함하며, 'ㄷ'자형 홈부(401)의 뒷면은 아래로 더 연장되어 하부 연장부(403)를 가진다. The connection mount 400 includes fitting grooves 402a and 402b formed on upper and lower surfaces of a groove 401 having a U-shaped section and a groove 401, respectively, The back surface of the " D " -shaped groove portion 401 further extends downward and has a lower extension portion 403.

본 발명자의 다수의 실험과 연구에 의하면, 본 발명의 화분 걸이구(4)의 적합한 연결장착구(400)의 사양은, 그 높이(S1)가 25~40㎜이고, 하단부의 두께(S3)는 1.5~4.0㎜이고, 상단부의 두께(S2)는 7~13㎜인 것으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연결장착구(400)의 높이(S1)는 32㎜로 하고, 하단부의 두께(S3)는 2.8㎜로 하며, 상단부의 두께(S2)는 9.8㎜로 하는 것이 최적의 결과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According to a number of experiments and researches of the present inventor, the specification of the suitable connection fitting 400 of the flowerpot holder 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height S 1 is 25 to 40 mm and the thickness S 3 ) was 1.5 to 4.0 mm and the thickness (S 2 ) of the upper end was 7 to 13 mm. More specifically, the height S 1 of the connection mount 400 is 32 mm, the thickness S 3 of the lower end portion is 2.8 mm, and the thickness S 2 of the upper end portion is 9.8 mm It was found that the best results were obtained

도17은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1)에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걸이구(4)와 중간 물받이 레일(60)이 결합되어 프레임 중의 알루미늄 프로파일(201)에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17에 도시된 중간 물받이 레일(60)은 앞서 설명된 중간 물받이 레일(60, 도11, 도14, 도15 참조)과 비교하여 하부 지지판부(61c)의 형상이 변화된 것이 약간 차이가 난다. 도17의 경우에는 중간 물받이 레일(60)의 하부 지지판부(61c)가 수직으로 꺾어지지 않고 그대로 연장된 후에 화분 걸이구(4)의 C자형 몸체(41)에 형성된 삽입홈(47)에 꽂히듯이 삽입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17 shows a state in which the flowerpot catching tool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termediate water receiving rail 60 are joined to the planting pot for planting an air conditioner 1 and sandwiched in the aluminum profile 201 in the frame. 17, the shape of the lower support plate portion 61c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intermediate support rail 60 (see Figs. 11, 14, and 15) described above. 17, the lower support plate portion 61c of the intermediate water receiving rail 60 is extended vertically without being bent, and the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7 formed in the C-shaped body 41 of the flowerpot catching tool 4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걸이구는 본 출원인이 앞서 개발하여 특허출원을 완료한 공기정화용 식물재배 화분을 다수 집합화하여 화분 설치 구조물(또는 식생큐브)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액세서리 부품으로서, 화분 걸이구(4)를 사용하여 다수의 화분들(1)을 알루미늄 프로파일들로 이루어진 프레임 상에 효율적으로 간편한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분 걸이구를 적용하여 화분 설치 구조물에 집합화해서 설치한 화분은 언제든지 쉽게 프레임 혹은 알루미늄 프로파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화분과 식물의 유지보수가 매우 간편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The flowerpot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ccessory part necessary for constructing a flowerpot installation structure (or a vegetation cube) by collecting a large number of air purifying plant cultivated flower pots that the applicant has developed and patented in advanc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plurality of pollen pots 1 can be installed efficiently and easily on a frame made of aluminum profiles. In addition, since the pots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rame or aluminum profile at any time by applying the pot hold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len and the plant can be easily maintained.

1: 공기정화용 식물재배화분 2: 화분 본체
3: 뚜껑 4, 4a: 화분걸이구
10: 화분 몸체 11: 제1식물포트
11a: 제1포트홀 12: 제2식물포트
12a: 제2포트홀 13: 포트벽
14a: 전면부 14b: 후면부
14c: 측면부 15: 흡기슬롯
16: 팬모터용 구멍 17: PCB 전원연결용 구멍
18: 레일랙 18a: 엔드레일
18b: 중간레일 18c: 삽입홈
19: 하단 삽입부 19a: 키 삽입구멍
20: 밑판 21: 다리
22: 필터고정돌기 23: 배수판부
23a: 배수공 24: 지지돌기
25: 돌출키 25a: 잠금리브
26: 제2테두리벽 28: 제2경사면부
27: 제1평면부 31: 제1테두리벽
32: 외곽평면부 33: 제1경사면부
34: 관수판부 34a: 관수공
35: 다리안착 돌출링 41: C형 몸체부
41a: 상 경사부 41b: 하 경사부
42: 네크(neck) 42a: 제1오목부
42b: 제2오목부 43: 레일 끼움부
43a: 상부 끼움부 43b: 하부 끼움부
43c: 함몰부 44: 상부 돌출부
44a: 화분 뒷면 안착면 45: 전방 돌출부
45a: 하부 바닥 안착면 46: 하단 돌출턱
46a: 화분 상단 걸림면 50: 식물
51: 잎 51a: 기공
52: 식물줄기 53: 뿌리
54: 토양 56: 화분
57: 미생물 60, 60a: 중간 물받이 레일
61: 물받이 홈통부 61a: 제1측단부
61b: 제2측단부 61b-1: 제2-1측단부
61b-2: 제2-2측단부 61b-3: 삽입홈
61c: 하부 지지판부 61c-1: 제1꺾임부
61c-2: 수직판부 61c-3: 제1수평턱
65: 삽입단부 100: 송풍장치
110: 팬모터 수납케이스 111: 필터판
111a: 통기공 111b: 볼트체결공
112: PCB 함체 112a: 끼움홈
112b: 제1장홈 113: 노치선
120: 팬모터 140: 중앙 격리판부
141a: 제1어깨부 141b: 제2어깨부
142a: 제3-1어깨부 142b: 제3-2어깨부
200: 공기정화용 화분의 설치 구조물 201: 수평 알루미늄 프로파일
201a: 끼움홈
202: 수직 알루미늄 프로파일 202′: 수직 지지부재
210: 수조 캐비넷 210a: 상판
210b: 구멍 212: 조작부
213: 펌프 214: 물 공급관
214a: 분사노즐 215: 상수관
216: 배수호스 220: 프레임
230: 수조 캐비넷 설치부 231, 234: 수직파이프
232: 상 수평파이프 233: 하 수평파이프
400: 연결장착구 401: 홈부
402a, 402b: 끼움홈 403: 하부 연장부
600: 물받이 레일 601: 물받이면
602: 측단부 610: 뒷판 레일
700: 물받이 레일 710: 배수 안내판
W: 물
1: Plant for cultivation of air purification plants 2: pot body
3: Lid 4, 4a: Flower pot
10: pot body 11: first plant pot
11a: first port hole 12: second plant port
12a: second port hole 13: port wall
14a: front portion 14b: rear portion
14c: side portion 15: intake slot
16: Hole for fan motor 17: Hole for connecting PCB power
18: rail rack 18a: end rail
18b: intermediate rail 18c: insertion groove
19: lower insertion portion 19a: key insertion hole
20: Base plate 21: Leg
22: filter fixing projection 23: drain plate portion
23a: Drain hole 24: Support projection
25: protruding key 25a: locking rib
26: second edge wall 28: second inclined surface portion
27: first plane portion 31: first edge wall
32: outer flat surface portion 33: first inclined surface portion
34: Irrigation plate part 34a: Watering hole
35: leg rest projection ring 41: C-shaped body part
41a: Upper slope part 41b: Lower slope part
42: neck 42a: first concave portion
42b: second concave portion 43: rail fitting portion
43a: upper fitting portion 43b: lower fitting portion
43c: depression portion 44: upper protrusion
44a: a pollen rear surface seating surface 45: a front projection
45a: lower floor seating surface 46: lower protruding jaw
46a: Flower catch upper surface 50: Plants
51: leaf 51a: porcelain
52: Plant stem 53: root
54: soil 56: pollen
57: microorganism 60, 60a: intermediate water tray rail
61: water receiving groove portion 61a: first side end portion
61b: second side end 61b-1: second-first side end
61b-2: second-2-side end portion 61b-3:
61c: lower support plate portion 61c-1: first bending portion
61c-2: a vertical plate portion 61c-3: a first horizontal jaw
65: insertion end 100: blower
110: Fan motor housing case 111: Filter plate
111a: vent hole 111b: bolt fastening hole
112: PCB enclosure 112a: fitting groove
112b: first groove 113: notch line
120: Fan motor 140: Central separator plate
141a: first shoulder part 141b: second shoulder part
142a: 3rd-1st shoulder part 142b: 3rd-2nd shoulder part
200: installation structure of air purifying pollen 201: horizontal aluminum profile
201a: fitting groove
202: vertical aluminum profile 202 ': vertical support member
210: a water tank cabinet 210a: a top plate
210b: hole 212:
213: pump 214: water supply pipe
214a: injection nozzle 215: water pipe
216: drain hose 220: frame
230: water tub cabinet mounting portion 231, 234: vertical pipe
232: Upper horizontal pipe 233: Lower horizontal pipe
400: connection fitting 401: groove
402a, 402b: Fitting groove 403: Lower extension
600: Water receiving rail 601: Water receiving surface
602: side end portion 610: back plate rail
700: water receiver rail 710: drainage guide plate
W: Water

Claims (2)

전체적으로 C자형으로 굴곡된 형상을 갖는 C형 몸체부(41),
상기 C형 몸체부(41)의 상부에서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2가닥으로 갈라져 형성된 상부돌출부(44) 및 전방돌출부(45),
상기 C형 몸체부(41)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꺾여져 올라간 하단돌출턱(46)을 포함하며,
상기 C형 몸체부(41)의 뒤쪽으로는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끼움홈(201a)안에 삽입 결합될 수 있는 레일 끼움부(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일 끼움부(43)와 C형 몸체부(41)의 사이는 폭이 좁은 네크(neck, 4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네크(42)가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끼움홈 턱에 걸림으로써 레일 끼움부(43)가 알루미늄 프로파일들의 끼움홈으로부터 분리되지 못하게 되며,
상기 레일 끼움부(43)는 정육면체 혹은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마치 사람의 발뒤꿈치를 연상시키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의 설치를 위한 걸이구.
A C-shaped body portion 41 having a generally C-shaped bent shape,
An upper protruding portion 44 and a front protruding portion 45 formed by divi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shaped body portion 41 into two strand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lower protruding protrusion (46) bent upward from a lower end of the C-shaped body (41)
A rail fitting portion 43 is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of the C-shaped body portion 41 to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201a of the aluminum profile.
Since the neck 42 is formed between the rail fitting portion 43 and the C-shaped body portion 41, the neck 42 is caught by the groove of the fitting groove of the aluminum profile, 43 are not separated from the fitting grooves of the aluminum profiles,
The rail fitting part (43)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ube or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lock, or may be formed in a shape reminiscent of a person's heel.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수평 알루미늄 프로파일들; 및
상기 수평 알루미늄 프로파일들이 결합된 수직 지지부재들;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 알루미늄 프로파일들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는 화분의 설치를 위한 화분 걸이구가 결합되며,
상기 화분 걸이구는,
전체적으로 C자형으로 굴곡된 형상을 갖는 C형 몸체부(41),
상기 C형 몸체부(41)의 상부에서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2가닥으로 갈라져 형성된 상부돌출부(44) 및 전방돌출부(45),
상기 C형 몸체부(41)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꺾여져 올라간 하단돌출턱(46)을 포함하며,
상기 C형 몸체부(41)의 뒤쪽으로는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끼움홈(201a)안에 삽입 결합될 수 있는 레일 끼움부(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일 끼움부(43)와 C형 몸체부(41)의 사이는 폭이 좁은 네크(neck, 4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네크(42)가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끼움홈 턱에 걸림으로써 레일 끼움부(43)가 알루미늄 프로파일들의 끼움홈으로부터 분리되지 못하게 되며,
상기 레일 끼움부(43)는 정육면체 혹은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마치 사람의 발뒤꿈치를 연상시키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걸이구를 이용한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의 설치 구조물.
Horizontal aluminum profiles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nd vertical support members to which the horizontal aluminum profiles are coupled,
The horizontal aluminum profiles are formed with fitting gro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 catch hanger for installing a flowerpot is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The flowerpot hanger,
A C-shaped body portion 41 having a generally C-shaped bent shape,
An upper protruding portion 44 and a front protruding portion 45 formed by divi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shaped body portion 41 into two strand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lower protruding protrusion (46) bent upward from a lower end of the C-shaped body (41)
A rail fitting portion 43 is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of the C-shaped body portion 41 to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201a of the aluminum profile.
Since the neck 42 is formed between the rail fitting portion 43 and the C-shaped body portion 41, the neck 42 is caught by the groove of the fitting groove of the aluminum profile, 43 are not separated from the fitting grooves of the aluminum profiles,
The rail fitting portion 43 may be formed in a block shape of a cube or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or may be formed in a shape reminiscent of a human heel. Installation structure.
KR1020160043077A 2016-04-07 2016-04-07 Rack hooks for setting up plant cultivation flower pots for air purification and the flower po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rack hooks KR1022574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077A KR102257401B1 (en) 2016-04-07 2016-04-07 Rack hooks for setting up plant cultivation flower pots for air purification and the flower po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rack hoo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077A KR102257401B1 (en) 2016-04-07 2016-04-07 Rack hooks for setting up plant cultivation flower pots for air purification and the flower po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rack hoo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412A true KR20170115412A (en) 2017-10-17
KR102257401B1 KR102257401B1 (en) 2021-05-27

Family

ID=60297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077A KR102257401B1 (en) 2016-04-07 2016-04-07 Rack hooks for setting up plant cultivation flower pots for air purification and the flower po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rack hook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40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868B1 (en) * 2018-12-04 2019-07-24 주식회사 소노테크 Plant pot and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nt
KR102038523B1 (en) * 2019-01-28 2019-10-30 주식회사 소노테크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nt
KR20200131930A (en) * 2019-05-14 2020-11-25 테라아미주식회사 Air purifying device using pla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4136Y1 (en) * 1995-10-16 1999-02-01 이소일 Device for binding the flower basket to the stand
KR20060085730A (en) * 2005-01-25 2006-07-28 김오형 Flowerpot display frame
KR200436996Y1 (en) * 2007-05-28 2007-10-23 이덕일 Flowerpot hanging
KR20100010840U (en) * 2009-04-27 2010-11-04 주지영 Flowerpo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4136Y1 (en) * 1995-10-16 1999-02-01 이소일 Device for binding the flower basket to the stand
KR20060085730A (en) * 2005-01-25 2006-07-28 김오형 Flowerpot display frame
KR200436996Y1 (en) * 2007-05-28 2007-10-23 이덕일 Flowerpot hanging
KR20100010840U (en) * 2009-04-27 2010-11-04 주지영 Flowerpo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868B1 (en) * 2018-12-04 2019-07-24 주식회사 소노테크 Plant pot and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nt
KR102038523B1 (en) * 2019-01-28 2019-10-30 주식회사 소노테크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nt
KR20200131930A (en) * 2019-05-14 2020-11-25 테라아미주식회사 Air purifying device using 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401B1 (en)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248B1 (en) Plant cultivation flower pot for air purification
US6622425B2 (en) Portable greenhouse cart
KR101441040B1 (en) Wall-greening system for indoor air cleaning
KR101656751B1 (en) Plant cultivation flower pot for air purification and the indoor garden system using the flower pot
KR101737934B1 (en) Fabricated Multi-Function Flowerpot Assembly and Flowerpot and strut with the Same
US20120000128A1 (en) Modular hydroponic growing unit
US5533302A (en) Modular planting system
KR20170115412A (en) Rack hooks for setting up plant cultivation flower pots for air purification and the flower po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rack hooks
WO2008019247A2 (en) Base assembly for an air cleaner
KR200474733Y1 (en) Air filter using plants
US9015991B2 (en) Modular living wall system
KR20160080617A (en) System for purifying of indoor air using plants
KR101079974B1 (en) Framed wall hangings
TWI578899B (en) Multi-stacking decorative flowerpot unit
US20070261375A1 (en) Filter system for an air cleaner
KR101317471B1 (en) Vertical garden and air clea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250160B1 (en) Hydroponic Cultivation and Purification System Using the Ornamental Fish Tank
KR20160118529A (en) Wall garden
KR20130130200A (en) Fountain type flower pot for cleaning air
KR101596196B1 (en) Air-purification apparatus using plant-biofilter
KR100817549B1 (en) The multipurpose knockdown pollen
KR102038523B1 (en)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nt
KR20100079001A (en) Gap stand of a flowerpot
KR102002868B1 (en) Plant pot and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nt
KR101894368B1 (en) Pot capable of generating perfu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