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0617A - System for purifying of indoor air using plants - Google Patents

System for purifying of indoor air using pla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0617A
KR20160080617A KR1020140193153A KR20140193153A KR20160080617A KR 20160080617 A KR20160080617 A KR 20160080617A KR 1020140193153 A KR1020140193153 A KR 1020140193153A KR 20140193153 A KR20140193153 A KR 20140193153A KR 20160080617 A KR20160080617 A KR 20160080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uter case
case
supplied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1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24042B1 (en
Inventor
방성원
김정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든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든포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든포유
Priority to KR1020140193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042B1/en
Publication of KR20160080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6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0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door air purifying device utilizing a plant. The indoor air purifying device comprises: a body (12) closed excluding a front part in which a plant is disposed; a water tank (14) disposed in a lower side of the body (12); a pump (16) for pumping water of the water tank (14); a vertical pipe (11) and a horizontal pipe (13) for supplying pumped water to a side of an uppermost external case (18); a hose (15)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horizontal pipe (13) to the uppermost external case (18); a ventilating slit (17) formed on an upper surface or an upper end front surface of the body (12); a ventilating fan (17) installed in a lower side or a rear part of the ventilating slit (17); a filter (27) installed in a rear end of the ventilating fan (17); an external case (18) horizontally and/or vertically installed in at least two layers in an open part in an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14)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2), having a water discharging unit upwardly and downwardly protruding on the inner lower surface thereof, having a water feeding uni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ventilating hole formed in the rear surface thereof; and an internal case (20) fitted to and installed on the external case (18), having a plant planted therein by a soil, having a ventilating hole formed in the rear surface thereof, having an absorber penetrating and supporting unit (20 g) formed on the rear surface thereof, and supplying water su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xternal case (18) to the soil through osmotic pressure by means of an absorber installed through the absorber penetrating and supporting unit (20 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timal air purifying function can be performed.

Description

식물을 활용한 실내 공기 정화 장치 {System for purifying of indoor air using plants}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urifying indoor air using plants,

본 발명은 식물을 활용한 실내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식물의 생육 조건을 좋게 하여 실내의 녹화에 적합하면서도 이취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설계하여 최적한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식물을 활용한 실내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a plant capable of performing an optimal air purifying function by being designed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od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air cleaning apparatus.

종래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활용한 실내 공기 정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Conventionally, an indoor air purification apparatus utilizing various kinds of plants has been proposed.

이러한 장치의 일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3002호(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는 수직과 수평으로 다수 단으로 형성된 다수의 서랍식 화분에 공기 정화에 특성을 가진 식물을 재배하도록 구성하고 각 화분에 물을 공급하고 화분에서 흘러내린 물을 받아내는 물받이를 하단에 구비하며 물받이의 물을 펌핑하여 각 서랍식 화분에 공급하는 실내공기정화를 위한 벽면녹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장치는 각 화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다수의 수평 가지관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하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고, 직접 화분에 물을 공급하므로 화분을 통과한 물이 거름망을 통하여 물받이에 유입되더라도 물받이의 물에는 미세한 이물질과 각종 세균이 번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물이 썩게되어 물에서 이취가 나는 문제가 발생한다.As an example of such a devic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3002 (air purifier using plants) is configured to plant plants having characteristics of air purification in a plurality of drawer type pots formed at plural stages in vertical and horizontal stages, And a water receiver for receiving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flowerpot at a lower end thereof and pumping water from the water receiver to supply the water to the respective drawer-type flower pots. However, such a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it has a complicated structure because a plurality of horizontal branch pipes are required to supply water to each flowerpot. Since water is directly supplied to the flowerpot,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lowerpot flows into the waterpipe Even though the water in the water table is contaminated with microscopic foreign matter and various bacteria, it causes the water to be decayed and get out from the water.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4931호(벽면 녹화 및 공기정화를 위한 버티칼 가든)에도 다단으로 화분을 설치하고 최상단의 화분에 물을 공급하면 최상단 화분부터 하단의 화분으로 물이 공급되고 화분에서 넘친 물이 하단의 저수조에 모이고, 이 저수조의 물을 펌핑하여 최상단의 화분으로 공급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경우에는 최상단 화분을 기준으로 물을 공급하면 최하단 화분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부족하게 되고 최하단 화분을 기준으로 물을 공급하면 최상단 화분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과잉되어 화분에 심어진 식물의 생육조건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으며, 화분을 통과한 물이 저수조에 고이게 되므로 저수조의 물에는 미세한 이물질과 각종 세균이 번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물이 썩게 되어 물에서 이취가 나는 문제가 발생한다.In addition, Korean Patent No. 10-1074931 (Vertical Garden for Wall-side Greening and Air Purification) has a multi-stage potted plant, and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uppermost potted plant, water is supplied from the uppermost pot plant to the lower pot plant, The water is collected in the bottom tank and the water in the tank is pumped and supplied to the uppermost pot. However, in this case, when water is supplied based on the top po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bottom pot is insufficient When water is supplied based on the lowest polle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uppermost pollen is excessive, and the growth conditions of plants planted in the pollen are poor. Since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pollen becomes high in the water tank, The problem is that various bacteria will multiply and this will cause the water to decay and get out of the water.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1489호(공기 정화 장치)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4931호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No. 10-1111489 (air purification apparatus) also has a problem of Korean Patent No. 10-1074931 mentioned above.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4564호(벽면녹화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는 다단으로 배양토가 채워지는 부직포형태의 코코넛주머니를 설치하고 최상단의 코코넛주머니에 직접 물을 공급하면 최상단 코코넛주머니로부터 하단의 코코넛주머니로 물이 공급되고 코코넛주머니에서 넘친 물이 하단의 정화수집부에 모이고, 이 정화수집부의 물을 보조정화부와 여과기를 경유하여 펌핑에 의하여 최상단의 코코넛주머니로 공급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최상단 코코넛주머니를 기준으로 물을 공급하면 최하단 코코넛주머니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부족하게 되고 최하단 코코넛주머니를 기준으로 물을 공급하면 최상단 코코넛주머니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과잉되어 코코넛주머니에 심어진 식물의 생육조건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코코넛주머니를 통과한 물이 정화수집부에 고이게 되므로 정화수집부의 물에는 미세한 이물질과 각종 세균이 번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물이 썩게 되어 물에서 이취가 나는 문제도 발생한다.In addition, in Korean Patent No. 10-1214564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wall surface recording), a non-woven coconut bag filled with multi-stage culture soil is installed, and water is directly supplied to the uppermost coconut bag, Water is supplied into the coconut bag and water overflowed from the coconut bag collects in the lower collecting compartment and the water in the collecting compartment is supplied to the uppermost coconut bag by pumping via the auxiliary purifying unit and the filter . However, in this case, when water is supplied based on the uppermost coconut ba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lowest-end coconut bag becomes insufficient, and when water is supplied based on the lowest-end coconut ba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uppermost coconut bag becomes excessi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rowth conditions of plants planted in the coconut bag are bad, and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coconut bag becomes high in the purifying collecting part, so that the fine purifying collecting part reproduces fine foreign substances and various kinds of bacteria, I also have problems.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7471호(버티칼 가든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4564호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No. 10-1317471 (Vertical Garden and air purifier using the same) also has a problem in the above-mentioned Korean Patent No. 10-1214564.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7632호(가구 매립형 식물 재배장치)의 경우에는 화분에 유입되었던 물이 다음단의 화분으로 공급되었다가 다시 급수탱크로 수집되므로 급수탱크의 물에는 미세한 이물질과 각종 세균이 번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물에서 이취가 나는 문제가 발생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Korean Patent No. 10-1437632 (household planting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ince the water that has flowed into the pollen is supplied to the next stage of pollen and then collected into the water supply tank, water in the water supply tank is filled with fine foreign matter and various bacteria This causes the problem of getting out of the water.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1040호(공기 정화 장치)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1489호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Also, Korean Patent No. 10-1441040 (air purifier) has the same problem as the above-mentioned Korean Patent No. 10-1111489.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3598호(실내공기정화를 위한 벽면녹화장치)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3002호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In the case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1433598 (Wall Recording System for Indoor Air Purification), the same problem also arises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300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3002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3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4931호Korean Patent No. 10-107493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1489호Korean Patent No. 10-111148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4564호Korean Patent No. 10-121456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7471호Korean Patent No. 10-131747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7632호Korean Patent No. 10-143763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1040호Korean Patent No. 10-144104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3598호Korean Patent No. 10-143359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식물의 생육 조건을 좋게 하여 실내의 녹화에 적합하면서도 이취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설계하여 최적한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식물을 활용한 실내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Technical Problem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purifying devic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air purification apparatus utilizing plant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을 활용한 실내 공기 정화 장치는, 식물이 배치되는 전면부분을 제외하고 막혀 있는 바디(12)와; 바디(12)의 하부에 배치된 수조(14)와; 수조(14)의 물을 펑핑하기 위한 펌프(16)와; 펌핑된 물을 최상단 외부케이스(18)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직관(11) 및 수평관(13)과; 수평관(13)에서 최상단 외부케이스(18)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호스(15)와; 바디(12)의 상면 또는 상단 전면에 형성된 송풍 슬릿(17)과; 송풍슬릿(17)의 하단 또는 후단에 설치되는 송풍팬(17)과; 송풍팬(17)의 후단에 설치된 필터(27)와; 바디(12)의 전면에서 수조(14) 위쪽에 트여 있는 부분에서 수평 및/또는 수직으로 적어도 2단이상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 하면에 상하로 돌출된 물배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에 물유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후면에 통풍공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케이스(18)와; 상기 외부케이스(18)에 끼워 설치되면서 그 내부에 토양에 의하여 식물이 심어지는 것으로서, 그 후면에 통풍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에 흡수재 관통 지지부(20g)가 형성되어, 이 흡수재 관통 지지부(20g)를 통하여 설치된 흡수재에 의하여 외부케이스(18)의 하면에 공급된 물을 삼투압에 의하여 토양에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내부케이스(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n indoor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12) closed except for a front part where plants are placed; A water tank (14) disposed under the body (12); A pump (16) for pumping water in the water tank (14); A vertical tube (11) and a horizontal tube (13) for supplying the pumped water to the uppermost outer case (18) side; A hose 15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horizontal pipe 13 to the uppermost outer case 18; An air blowing slit 17 formed on an upper surface or an upper front surface of the body 12; A blowing fan 17 installed at a lower end or a rear end of the blowing slit 17; A filter 27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blowing fan 17; At least two or more stages are horizontally and / or vertically installed at a front portion of the body 12 above the water tub 14, and a water discharge portion protruding upward and downward is form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thereof. An outer case 18 formed with a ventilation hole on the rear surface thereof; The absorbent material penetration support portion 20g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case 18 and has a ventilation hole formed on the rear surface thereof. And an inner case 20 configured to supply water su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8 to the soil by osmotic pressure by an absorber installed through the inner case 20.

여기서, 상기 외부케이스(18)는 전면이 트여 있고 다른 면들이 막혀 있는 대략 사각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면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상부레일(18a)과, 이 상부레일(18a)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레일홈(18b)과, 하면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하부레일(18c)과, 이 하부레일(18c)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레일홈(18d)과, 후면부에 형성된 통풍공(18e)과, 상면부의 후방 형성된 물유입구(18f)와, 하면부의 후방 형성된 물배출부(18g)와, 후면부의 외측에 형성된 걸이부(18h)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outer case 18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tube shape having a front surface and a closed other surface, and includes an upper rail 18a protruding inward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A lower rail 18c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rail 18c so as to protrude inwardly and a lower rail groove 18d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rail 18c and a ventilation hole 18e A water inflow port 18f formed at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a water discharge port 18g formed at the rear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a hook 18h formed at the outer side of the rear surface.

또한, 상기 물배출부(18g)는 하면부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돌출형성되되, 상부의 돌출된 부분은 외부케이스(18)의 내부 후방 바닥에 공급된 물을 일정량 만큼 유지되도록 하고, 하부의 돌출된 부분은 하부 다음단의 외부케이스의 물유입구(18f)에 끼워져 과잉 공급된 물이 다음단의 외부케이스의 물유입구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ter discharge portion 18g protrudes from the upper and the lower portions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The protruded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discharge portion 18g maintains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inner rear floor of the outer case 18, Is inserted into the water inlet (18f) of the outer case at the next lower end so that the excess supply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inlet of the outer case at the next stage.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20)는 전면이 트여 있고 다른 면들이 막혀 있는 대략 사각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면부에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레일(18a)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상부레일홈(20a)과, 하면부에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부레일(18c)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하부레일홈(20b)과, 상면부의 전면과 하면부의 전면 또는 양 측면부에 각각 결합되며 내부에 토양에 의하여 식물을 심을때 열어놓고 심은 후에 식물과 토양의 이탈을 막기 위하여 닫혀지도록 형성된 전면 덮개(20c)(20d)와, 후면부에 형성된 통풍공(20f)과, 후면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흡수재 관통 지지부(20g)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ner case 2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tube shape having a front surface and a closed other surface, and has an upper rail groove 20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to be fitted to the upper rail 18a of the outer case, A lower rail groove 20b formed to be fitted to the lower rail 18c of the outer case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 lower rail groove 20b connected to a front surface or both side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The front cover 20c and the rear cover 20b are formed to be closed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plant and the soil, the ventilation hole 20f formed in the rear portion, and the absorbent material penetration support portion 20g protruding inward from the rear portion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을 활용한 실내 공기 정화 장치는, 대략 마름모꼴의 플레이트(24a)와, 플레이트(24a)의 상면부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되어 상단의 외부케이스(18)에 형성된 하부레일홈(18d)에 끼워지는 상부레일(24d)과, 플레이트(24a)의 하면부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되어 하단의 외부케이스(18)에 형성된 상부레일홈(18b)에 끼워지는 하부레일(24e)과, 플레이트(24a)의 상면부 전면에 수직하게 돌출된 걸림턱(24c)과, 플레이트(24a)의 후단 중앙부에 형성되어 외부케이스(18)의 물유입구(18f)와 물배출부(18g)가 끼워지는 홈(24d)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타이플레이트(2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door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the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ate 24a having a substantially diamond shape and a lower rail groove 24a formed in the upper case 18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24a, A lower rail 24e which is fitted to the upper rail groove 18b formed in the outer case 18 at the lower end and is formed to protrude perpendicular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24a, A catching protrusion 24c vertically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24a and a water inlet 18f and a water outlet 18g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ear end of the plate 24a And a tie plate 24 formed to include a groove 24d to be fit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조(14)의 물이 펌프(16)에 의하여 펌핑되어 수직관(11)과 수평관(13) 및 호스(15)를 통하여 최상단 외부케이스(18)에 공급되고, 과잉공급된 물은 물배출부(18g)를 통하여 하단의 외부케이스의 물유입구(18f)로 전달되며, 최하단 외부케이스에 과잉공급된 물은 물배출부를 통하여 수조(14)에 유입되도록 된다. 또한, 외부케이스(18)의 내부 하부면상에 공급된 물은 흡수재(20e)를 통하여 삼투압 형상에 의하여 내부케이스(20)의 내부에 있는 토양에 공급된다. 따라서 물이 내부케이스(20)에 있는 식물의 뿌리부분이나 토양에 직접 공급되지 않고 외부케이스(18)를 통해서만 순환되므로 순환되는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와 같이 식물이나 토양에 직접 물이 공급됨에 따라 식물의 생육을 저해하는 형상이나 순환되는 물의 오염에 의한 썩은 냄새와 같은 이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The water in the water tank 14 is pumped by the pump 16 and supplied to the uppermost outer case 18 through the vertical pipe 11, the horizontal pipe 13 and the hose 15, The over-supplied water is transferred to the water inlet 18f of the outer case at the lower end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ortion 18g and the water excessively supplied to the lowermost outer case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tub 14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ortion . The water supplied on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8 is supplied to the soil inside the inner case 20 by the osmotic shape through the absorbent 20e. Therefore, water can be circulated only through the outer case 18 without being supplied directly to the roots or soil of the plant in the inner case 20, thereby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circulating water. That is, as water is supplied directly to plants or soils as in the pas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odor such as a shape inhibiting plant growth or a rotten smell due to contamination of circulating water.

또한, 외부케이스(18)에 형성된 물배출부(18g)의 상부 돌출 부분의 높이를 적합하게 설정하면 외부케이스(18)의 내부 후방 바닥에 물이 오래 정체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하면 정체되지 않은 흐르는 산소량이 풍부한 물이 흡수재를 통하여 내부 케이스의 토양에 공급되므로 식물의 생육에 좋고 또한 순환되는 물이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f the height of the upper projecting portion of the water discharge portion 18g formed in the outer case 18 is appropriately set, wat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tagnated for a long time on the inner rear floor of the outer case 18, Water rich in the amount of flowing oxygen is supplied to the soil of the inner case through the absorber,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tten water from being rotten which is good for the growth of plants.

또한, 외부케이스(18)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흡수재를 통하여 삼투압에 의하여 내부케이스(20)의 토양에 공급하므로, 최상단과 최하단의 내부케이스(20)의 토양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극히 용이하여, 물 공급에 의한 상단과 하단의 식물 생육조건을 일정하게 맞추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outer case 18 is supplied to the soil of the inner case 20 through osmotic pressure through the absorben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soil of the inner case 20 at the uppermost stage and the lowermost stage So that it is easy to uniformly adjust the plant growth conditions of the upper and lower plants by water suppl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을 활용한 실내 공기 정화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공기 정화 장치의 요부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한 공기 정화 장치에 장착되는 외부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한 공기 정화 장치에 장착되는 내부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전면덮개를 열어 놓은 상태를 도시한 내부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3 및 도4의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를 결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타이플레이트에 대하여 위쪽 및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인접하는 외부케이스끼리 타이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최상단에 배치되는 외부케이스에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공기 정화 장치에서 외부케이스에 물이 공급되는 부분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공기 정화 장치에서 내부케이스에 물이 공급되는 부분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을 활용한 실내 공기 정화 장치의 단면도이다.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plant-based indoor air purif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a main part of the air purify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Fig. 3 (a) and Fig. 3 (b) are views showing an outer case mounted o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shown in Fig.
Figs. 4 (a) and 4 (b) are views showing an inner case mounted 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case showing a state in which a front cover is opened.
6 (a) and 6 (b)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of Figs. 3 and 4 are engaged with each other.
7 (a) and 7 (b)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tie plate as viewed from above and below, respectively.
8 (a) and 8 (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djacent outer cases are coupled to each other using a tie plate.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water is supplied to the outer case disposed at the uppermost stage.
10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where water is supplied to the outer case 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shown in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1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where water is supplied to the inner case 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shown in Fig.
13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lant-based indoor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물을 활용한 실내 공기 정화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lant-based indoor air purif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을 활용한 실내 공기 정화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공기 정화 장치의 요부에 대한 정면도이다.FIG.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plant-based indoor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of a main part of the air purifying apparatus shown in FIG. 1.

동 도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정화 장치(10)는 식물이 배치되는 전면부분을 제외하고 막혀 있는 바디(12)와, 바디(12)의 하부에 배치된 수조(14)와, 수조의 물을 펑핑하기 위한 펌프(16)와, 펌핑된 물을 최상단 외부케이스(18)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직관(11)과 수평관(13)과, 수평관(13)에서 최상단 외부케이스(18)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호스(15)와, 바디(12)의 상면에 형성된 송풍 슬릿(17) 및 키버튼부(19)와, 바디(12)의 하면에 설치된 바퀴(21)와, 바디(12)의 전면에서 수조(14) 위쪽에 트여 있는 부분에서 수평 및/또는 수직으로 적어도 2단이상 설치되는 외부케이스(18)와, 상기 외부케이스(18)에 끼워 설치되면서 그 내부에 토양에 식물이 심어지는 내부케이스(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 includes a body 12 which is closed except for the front part where plants are placed, a water tank 14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body 12, A vertical pipe 13 and a vertical pipe 13 for supplying the pumped water to the uppermost outer case 18 side and a horizontal pipe 13 for supplying the pumped water to the uppermost outer case 18, An air blowing slit 17 and a key button portion 19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2, a wheel 21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2, a hose 15 for supplying water to the body An outer case 18 installed at least two or more stages horizontally and / or vertically at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tank 14 which is positioned above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tank 12, and an outer case 18 fitted to the outer case 18, And an inner case 20 to be planted.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한 공기 정화 장치에 장착되는 외부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3 (a) and Fig. 3 (b) are views showing an outer case mounted o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shown in Fig.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8)는 전면이 트여 있고 전면을 제외한 다른 면들이 막혀 있는 대략 사각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면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상부레일(18a)과, 이 상부레일(18a)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레일홈(18b)과, 하면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하부레일(18c)과, 이 하부레일(18c)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레일홈(18d)과, 후면부에 형성된 통풍공(18e)과, 상면부의 후방 중앙부분에 형성된 물유입구(18f)와, 하면부의 후방 중앙부분에 형성된 물배출부(18g)와, 후면부의 외측에 형성된 걸이부(18h)를 포함하여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outer case 18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tube shape having a front surface and a closed surface except for the front surface, and includes two upper rails 18a protruding inward from the upper surface, An upper rail groove 18b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rail 18a, two lower rails 18c protruding i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rail 18c, A water inlet 18f formed in the rear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a water outlet 18g formed in the rear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a hook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rear surface portion,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for example, a plastic material including the portion 18h.

여기서, 상기 물배출부(18g)는 하면부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는데, 상부의 돌출된 부분은 외부케이스(18)의 내부 후방 바닥에 공급된 물을 일정량 만큼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하부의 돌출된 부분은 하부 다음단의 외부케이스의 물유입구(18f)에 끼워져 과잉 공급된 물이 다음단의 외부케이스의 물유입구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 물배출부(18g)의 상부 돌출 부분의 높이는 외부케이스(18)의 내부 후방 바닥에 물이 오래 정체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하면 정체되지 않은 흐르는 산소량이 풍부한 물이 후술하는 흡수재를 통하여 내부 케이스의 토양에 공급되므로 식물의 생육에 좋고 또한 순환되는 물이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water discharge portion 18g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ttom portion.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is for maintain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inner rear floor of the outer case 18,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is fitted to the water inlet 18f of the outer case at the next lower end so that the excess supply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inlet of the next stage outer case.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upper protruding portion of the water discharging portion 18g is such that the height is such that the water does not stay in the inner rear floor of the outer case 18 for a long time, The abundant water is supplied to the soil of the inner case through the absorber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tten water from being rotten which is good for the growth of the plant.

또한, 상기 걸이부(18h)는 후술하는 브라켓에 걸려지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면과 같이 후면부의 외측 양 사이드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ok portion 18h is configured to be hooked on a bracket described later, and is preferab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side of the rear portion as shown in the figure.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한 공기 정화 장치에 장착되는 내부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전면덮개를 열어 놓은 상태를 도시한 내부케이스의 사시도이다.Fig. 4A and Fig. 4B are views showing an inner case mounted 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shown in Fig. 1,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cas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cover is opened.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케이스(20)는 전면이 트여 있고 전면을 제외한 다른 면들이 막혀 있는 대략 사각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한 외부 케이스에 끼워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부에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레일(18a)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상부레일홈(20a)과, 하면부에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부레일(18c)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하부레일홈(20b)과, 상기 상면부의 전면과 상기 하면부의 전면에 각각 결합되며 내부에 토양에 의하여 식물을 심을때 열어놓고 심은 후에 식물과 토양의 이탈을 막기 위하여 닫혀지도록 형성된 전면 덮개(20c)(20d)와, 후면부에 형성된 통풍공(20f)와, 후면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흡수재 관통 지지부(20g)를 포함하여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inner case 2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tube shape having a front surface and a closed surface except for the front surface. The inner case 20 is fitted to the outer case, An upper rail groove 20a formed to be fitted to the rail 18a and a lower rail groove 20b formed to be fitted to the lower rail 18c of the outer case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A front cover 20c, 20d formed to be closed when the plant is planted by the soil and closed to prevent release of the plant and the soil after planting, a ventilation hole 20f formed in the rear portion,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for example, a plastic material including the protruding absorbent material penetration supporting portion 20g.

여기서, 상기 흡수재 관통 지지부(20g)에는 예를 들면 물의 흡수력이 우수한 극세사 심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재가 끼워진다. 또한, 상기 전면 덮개(20c)(20d)는 상면부의 전면과 상기 하면부의 전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측면부의 전면에 각각 결합되어 있어도 되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absorbent material penetration supporting portion 20g is fitted with an absorbent material, for example, a micro-woven fabric having excellent water absorbing ability. The front covers 20c and 20d may b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respectively, but may b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ide surface portion. You will understand.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외부케이스(18)과 내부케이스(20)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된다.The outer case 18 and the inner case 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combined as shown in Figs. 6 (a) and 6 (b).

도 7(a) 및 도 7(b)는 각각 타이플레이트에 대하여 위쪽 및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7 (a) and 7 (b)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tie plate as viewed from above and below, respectively.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같이 타이플레이트(24)는 대략 마름모꼴의 플레이트(24a)와, 플레이트(24a)의 상면부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되어 상단의 외부케이스(18)에 형성된 하부레일홈(18d)에 끼워지는 두 개의 상부레일(24d)과, 플레이트(24a)의 하면부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되어 하단의 외부케이스(18)에 형성된 상부레일홈(18b)에 끼워지는 두 개의 하부레일(24e)과, 플레이트(24a)의 상면부 전면에 수직하게 돌출된 걸림턱(24c)과, 플레이트(24a)의 후단 중앙부에 형성되어 외부케이스(18)의 물유입구(18f)와 물배출부(18g)가 끼워지는 홈(24d)을 포함하여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tie plate 24 includes a substantially diamond-shaped plate 24a, a lower rail groove 18d formed in the upper case 18 so as to protrude perpendicular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24a, Two upper rails 24d which are fitted in the upper rail grooves 18b formed in the outer case 18 at the lower end and are vertically protrud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24a, A catching protrusion 24c vertically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24a and a water inlet 18f and a water outlet 18g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ear end of the plate 24a, For example, a plastic material or the like, including a groove 24d into which the light-emitting element 22 is inser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타이플레이트(24)는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두 개의 외부케이스(18)를 서로 결합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고,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단의 두개의 외부케이스(18)를 결합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타이플레이트(24)는 도시는 생략했지만 상하단의 인접하는 네 개의 외부케이스(18)를 서로 결합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shown in Fig. 8 (a), the tie plate 24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to fix two adjacent outer cases 18 to each other, and as shown in Fig. 8 (b) And may be used to fix the two outer cases 18 of FIG. Further, although it is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tie plate 24 may be used to fix the four outer casings 18 adjoining the upper and lower ends to each other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be.

도 9는 최상단에 배치되는 외부케이스에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water is supplied to the outer case disposed at the uppermost stage.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관(13)에 관통연결된 호스(15)가 최 상단의 외부케이스(18)의 물유입구(18f)를 통하여 외부케이스(18)의 내부 하면부에 연장설치되어 수평관(13)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외부케이스(18)의 내부 하면부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렇게 외부케이스(18)의 내부 하면부에 과잉 공급된 물은 물배출부(18g)의 턱을 덤어서 물배출부(18g)를 통하여 하단의 외부케이스(18)의 물유입구로 전달된다.The hose 15 connected to the horizontal pipe 13 is extend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ase 18 through the water inlet 18f of the uppermost outer case 18 So that water supplied from the horizontal tube (13) is suppli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ase (18). The water excessively suppli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ase 18 is transferred to the water inlet of the outer case 18 at the lower end through the water discharging portion 18g by jowling the water discharging portion 18g.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공기 정화 장치에서 외부케이스에 물이 공급되는 부분인 외부케이스의 물유입구와 물배출부를 기준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air purifying apparatus shown in Fig. 1, which is cut along the water inlet and the water discharging portion of the outer case, which is a portion where water is supplied to the outer case, Fig.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8)는 걸이부(18h)가 브라켓(30)에 결려서 고정되며, 브라켓(30)은 행거(32)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송풍슬릿(17)의 직하부에는 송풍팬(26)이 설치되며, 송풍팬(26)의 하부측에는 필터(27)가 설치된다. 여기서 필터(27)는 항균 기능 가진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outer case 18 is fixed to the bracket 30 by being hooked on the bracket 30, the bracket 30 is fixed to the hanger 32, And a filter 27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blowing fan 26. [ The filter 27 preferably uses a filter having an antibacterial func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 정화 장치에서는 수조(14)의 물이 펌프(16)에 의하여 펌핑되어 수직관(11)과 수평관(13) 및 호스(15)를 통하여 최상단 외부케이스(18)에 공급되고, 과잉공급된 물은 물배출부(18g)를 통하여 하단의 외부케이스의 물유입구(18f)로 전달되며, 최하단 외부케이스에 과잉공급된 물은 물배출부를 통하여 수조(14)에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The water in the water tank 14 is pumped by the pump 16 and supplied to the uppermost outer case 18 through the vertical pipe 11, the horizontal pipe 13 and the hose 15 The excessively supplied water is transferred to the water inlet 18f of the outer case at the lower end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ortion 18g and the water excessively supplied to the lowermost outer case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tub 14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ortion .

또한, 도면에서 도면부호 25는 PCB 어셈블리를 도시한 것으로, 키버튼부(19)를 통하여 설정된 모드 등에 다라서 송풍팬(26)의 제어와 펌프(16)의 제어를 위한 회로 구성 등이 포함되며, 특히 펌프(16)의 동작 타이밍 제어를 위한 회로 구성을 포함한다.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25 denotes a PCB assembly, which includes a circuit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blower fan 26 and the pump 16 in a mode set through the key button unit 19, etc. , In particular, a circuit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pump 16.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공기 정화 장치에서 내부케이스에 물이 공급되는 부분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1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where water is supplied to the inner case 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shown in Fig. 1, and Fig. 13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8)의 내부 하부면상에 공급된 물은 흡수재(20e)를 통하여 삼투압 형상에 의하여 내부케이스(20)의 내부에 있는 토양에 공급된다. 따라서 물이 내부케이스(20)에 있는 식물의 뿌리부분이나 토양에 직접 공급되지 않고 외부케이스(18)를 통해서만 순환되므로 순환되는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와 같이 식물이나 토양에 직접 물이 공급됨에 따라 식물의 생육을 저해하는 형상이나 순환되는 물의 오염에 의한 썩은 냄새와 같은 이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water supplied on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8 is supplied to the soil inside the inner case 20 by the osmotic shape through the absorbing material 20e. Therefore, water can be circulated only through the outer case 18 without being supplied directly to the roots or soil of the plant in the inner case 20, thereby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circulating water. That is, as water is supplied directly to plants or soils as in the pas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odor such as a shape inhibiting plant growth or a rotten smell due to contamination of circulating wat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 정화 장치에서 송풍팬(26)이 회전하면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내부케이스(20)의 전면으로부터 실내공기가 식물의 잎과 토양 및 식물의 뿌리부분을 경유한 후에 내부케이스(20)와 외부케이스(18)의 통풍공 그리고 필터(27)를 통과하여 송풍슬릿(17)을 통하여 실내로 배출된다. 따라서 실내의 오염된 유해물질과 먼지를 함유한 공기가 식물의 잎과 줄기 및 뿌리, 토양 그리고 항균필터에 의하여 먼지와 유해물질이 정화된 후에 정화된 신선한 공기가 실내로 배출된다. When the air blowing fan 26 is rotated 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s indicated by the arrows in the figure, the indoor air flows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inner case 20 through the leaves of the plants, roots of the soil and plants, The ventilation holes of the case 20 and the outer case 18 pass through the filter 27 and are discharged to the room through the ventilation slits 17. [ Therefore, the air containing polluted harmful substances and dust in the room is purified by the leaves, stem, roots, soil and antibacterial filter of the plant, and purified air is discharged into the room.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을 활용한 실내 공기 정화 장치의 단면도이다.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서는 송풍팬이 공기 정화 장치의 상부 쪽으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설치되어 있지만 도 14의 예에서는 송풍팬이 공기 정화 장치의 상단 전면으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한 것이다.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lant-based indoor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pecific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blowing fan is provided to discharge the purified air to the upper side of the air purifier, but in the example of FIG. 14, the blower fan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purified air to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air purifier.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도시한 행거와 브라켓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케이스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으면서 송풍경로가 확보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른 형상 또는 구성을 채용하여도 되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hanger and the bracket shown 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but may adopt other shapes or configurations as long as the outer case can be securely fixed and the air passage can be secured. May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도시한 바디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한 공기의 순환 경로 이외에 공기의 출입이 밀폐되면서 외부케이스를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브라켓이 고정설치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른 형상 또는 구성을 채용하여도 되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the body shown in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but may be a structure in which a bracket capable of safely installing the outer case can be fixedly install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shapes or configurations may be employ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hat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included in the appended claims.

10 : 공기 정화 장치 11 : 수직관
12 : 바디 13 : 수평관
14 : 수조 15 : 호스
16 : 펌프 17 : 송풍슬릿
18 : 외부케이스 19 : 키버튼부
20 : 내부케이스 21 : 바퀴
24 : 타이플레이트 25 : PCB 어셈블리
26 : 송풍팬 27 : 필터
30 : 브라켓 32 : 행거
10: air purification device 11:
12: Body 13: Horizontal tube
14: Water tank 15: Hose
16: Pump 17: Ventilation slit
18: outer case 19: key button portion
20: inner case 21: wheel
24: tie plate 25: PCB assembly
26: blower fan 27: filter
30: Bracket 32: Hanger

Claims (5)

식물이 배치되는 전면부분을 제외하고 막혀 있는 바디(12)와;
바디(12)의 하부에 배치된 수조(14)와;
수조(14)의 물을 펑핑하기 위한 펌프(16)와;
펌핑된 물을 최상단 외부케이스(18)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직관(11) 및 수평관(13)과;
수평관(13)에서 최상단 외부케이스(18)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호스(15)와;
바디(12)의 상면 또는 상단 전면에 형성된 송풍 슬릿(17)과;
송풍슬릿(17)의 하단 또는 후단에 설치되는 송풍팬(17)과;
송풍팬(17)의 후단에 설치된 필터(27)와;
바디(12)의 전면에서 수조(14) 위쪽에 트여 있는 부분에서 수평 및/또는 수직으로 적어도 2단이상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 하면에 상하로 돌출된 물배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에 물유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후면에 통풍공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케이스(18)와;
상기 외부케이스(18)에 끼워 설치되면서 그 내부에 토양에 의하여 식물이 심어지는 것으로서, 그 후면에 통풍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에 흡수재 관통 지지부(20g)가 형성되어, 이 흡수재 관통 지지부(20g)를 통하여 설치된 흡수재에 의하여 외부케이스(18)의 하면에 공급된 물을 삼투압에 의하여 토양에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내부케이스(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을 활용한 실내 공기 정화 장치.
A body (12) closed except for the front part where the plant is placed;
A water tank (14) disposed under the body (12);
A pump (16) for pumping water in the water tank (14);
A vertical tube (11) and a horizontal tube (13) for supplying the pumped water to the uppermost outer case (18) side;
A hose 15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horizontal pipe 13 to the uppermost outer case 18;
An air blowing slit 17 formed on an upper surface or an upper front surface of the body 12;
A blowing fan 17 installed at a lower end or a rear end of the blowing slit 17;
A filter 27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blowing fan 17;
At least two or more stages are horizontally and / or vertically installed at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2 which is positioned above the water tub 14. The water discharge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discharge portion, An outer case 18 formed with a ventilation hole on the rear surface thereof;
The absorbent material penetration support portion 20g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case 18 and has a ventilation hole formed on the rear surface thereof. And an inner case (20) configured to supply water supplied to a low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8) to the soil by osmotic pressure by an absorber installed through the inner case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18)는 전면이 트여 있고 다른 면들이 막혀 있는 대략 사각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면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상부레일(18a)과, 이 상부레일(18a)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레일홈(18b)과, 하면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하부레일(18c)과, 이 하부레일(18c)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레일홈(18d)과, 후면부에 형성된 통풍공(18e)과, 상면부의 후방 형성된 물유입구(18f)와, 하면부의 후방 형성된 물배출부(18g)와, 후면부의 외측에 형성된 걸이부(18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을 활용한 실내 공기 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case 18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tube shape having a front surface and a closed other surface, and includes an upper rail 18a protruding in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and an upper rail 18a formed on the upper rail 18a. A lower rail groove 18d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rail 18c and a ventilation hole 18e form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lower rail 18c; , A water inlet port (18f) formed at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a water outlet port (18g) formed at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a hook portion (18h) formed at the outer side of the rear surface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배출부(18g)는 하면부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돌출형성되되, 상부의 돌출된 부분은 외부케이스(18)의 내부 후방 바닥에 공급된 물을 일정량 만큼 유지되도록 하고, 하부의 돌출된 부분은 하부 다음단의 외부케이스의 물유입구(18f)에 끼워져 과잉 공급된 물이 다음단의 외부케이스의 물유입구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을 활용한 실내 공기 정화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ater discharge portion 18g is protruded from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discharge portion 18g keeps water supplied to the inner rear floor of the outer case 18 by a predetermined amount, Is fitted into the water inlet (18f) of the outer case at the next lower end so that the excess supply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inlet of the outer case at the next sta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20)는 전면이 트여 있고 다른 면들이 막혀 있는 대략 사각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면부에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레일(18a)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상부레일홈(20a)과, 하면부에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부레일(18c)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하부레일홈(20b)과, 상면부의 전면과 하면부의 전면 또는 양 측면부에 각각 결합되며 내부에 토양에 의하여 식물을 심을때 열어놓고 심은 후에 식물과 토양의 이탈을 막기 위하여 닫혀지도록 형성된 전면 덮개(20c)(20d)와, 후면부에 형성된 통풍공(20f)과, 후면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흡수재 관통 지지부(20g)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을 활용한 실내 공기 정화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ner case 2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tube shape having a front surface and a closed other surface. The upper case 20a has an upper rail groove 20a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so as to be fitted into the upper rail 18a of the outer case, A lower rail groove 20b formed to be fitted to the lower rail 18c of the outer case, and a lower rail groove 20b connected to the front or both side portions of the front and lower surfaces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20c, 20d) formed to be closed to prevent the release of the soil, a ventilation hole (20f) formed in the rear portion, and an absorbent material penetration support portion (20g) projected inwardly in the rear portion. Indoor air purifier.
제2항에 있어서,
대략 마름모꼴의 플레이트(24a)와, 플레이트(24a)의 상면부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되어 상단의 외부케이스(18)에 형성된 하부레일홈(18d)에 끼워지는 상부레일(24d)과, 플레이트(24a)의 하면부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되어 하단의 외부케이스(18)에 형성된 상부레일홈(18b)에 끼워지는 하부레일(24e)과, 플레이트(24a)의 상면부 전면에 수직하게 돌출된 걸림턱(24c)과, 플레이트(24a)의 후단 중앙부에 형성되어 외부케이스(18)의 물유입구(18f)와 물배출부(18g)가 끼워지는 홈(24d)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타이플레이트(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을 활용한 실내 공기 정화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 upper rail 24d protruding perpendicularly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24a and fitted in a lower rail groove 18d formed in the upper outer case 18, A lower rail 24e protruding perpendicularly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8a and fitted in the upper rail groove 18b formed in the lower outer case 18, A tie plate 24 formed at the center rear end of the plate 24a and including a groove 24d into which the water inlet 18f of the outer case 18 and the water outlet 18g are fitted, Further comprising an indoor air purifying device for indoor use.
KR1020140193153A 2014-12-30 2014-12-30 System for purifying of indoor air using plants KR1017240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153A KR101724042B1 (en) 2014-12-30 2014-12-30 System for purifying of indoor air using pla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153A KR101724042B1 (en) 2014-12-30 2014-12-30 System for purifying of indoor air using pla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617A true KR20160080617A (en) 2016-07-08
KR101724042B1 KR101724042B1 (en) 2017-04-18

Family

ID=56502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153A KR101724042B1 (en) 2014-12-30 2014-12-30 System for purifying of indoor air using pla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042B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1896A (en) * 2017-09-19 2018-12-21 大韩民国(农村振兴厅长) Utilize the air cleaning unit of plant
CN110637633A (en) * 2019-08-15 2020-01-03 西北农林科技大学 Automatic irrigation vertical greening device based on porous filter material
KR102069737B1 (en) * 2019-06-04 2020-01-28 에스그린랩 주식회사 Multi function veretation apparatus
KR102136364B1 (en) * 2019-12-19 2020-07-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ir Cleaning System and Method having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Vegetation Filters
GB2582611A (en) * 2019-03-27 2020-09-30 Alexander Sabin Richard System for purifying ambient air by drawing air through planters
KR102167921B1 (en) * 2019-05-07 2020-10-20 남동규 Indoor air cleaning device of vertical cultivating type
KR102229646B1 (en) * 2021-01-04 2021-03-18 나홍식 Green wall vegetation structure
KR102262219B1 (en) * 2020-12-08 2021-06-09 여형구 Indoor typ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20220037242A (en) * 2020-09-17 2022-03-24 삼성물산 주식회사 Drwaer type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plant
KR102556884B1 (en) * 2022-12-02 2023-07-17 전태평 Vertical planter assembly for wall greening for wall green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415B1 (en) 2021-01-04 2021-07-01 주식회사 바이오크래프트 Indoor air purifying device using green plants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931B1 (en) 2011-03-11 2011-10-27 농업회사법인 캬라반지에스(주) Vertical garden for greening wall and air cleaning
KR101111489B1 (en) 2009-08-03 2012-02-22 주식회사 에코빅 Apparatus for purifying air
KR101214564B1 (en) 2012-03-15 2012-12-24 (주)유엔씨코리아 An air purifilter using wall greening
KR101317471B1 (en) 2013-01-08 2013-10-10 (주)유엔씨코리아 Vertical garden and air clea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473002Y1 (en) 2013-12-24 2014-06-03 정진수 air purifier using plant
KR101437632B1 (en) 2012-11-30 2014-09-05 주식회사 에코빅 Air cleaning apparatus
KR101433598B1 (en) 2014-02-06 2014-09-15 이진우 furniture insert type plants cultivation equipment
KR101441040B1 (en) 2012-08-13 2014-09-18 주식회사 세파란 Wall-greening system for indoor air clean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187B1 (en) * 2013-04-04 2014-08-08 박성열 Green wall system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489B1 (en) 2009-08-03 2012-02-22 주식회사 에코빅 Apparatus for purifying air
KR101074931B1 (en) 2011-03-11 2011-10-27 농업회사법인 캬라반지에스(주) Vertical garden for greening wall and air cleaning
KR101214564B1 (en) 2012-03-15 2012-12-24 (주)유엔씨코리아 An air purifilter using wall greening
KR101441040B1 (en) 2012-08-13 2014-09-18 주식회사 세파란 Wall-greening system for indoor air cleaning
KR101437632B1 (en) 2012-11-30 2014-09-05 주식회사 에코빅 Air cleaning apparatus
KR101317471B1 (en) 2013-01-08 2013-10-10 (주)유엔씨코리아 Vertical garden and air clea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473002Y1 (en) 2013-12-24 2014-06-03 정진수 air purifier using plant
KR101433598B1 (en) 2014-02-06 2014-09-15 이진우 furniture insert type plants cultivation equipment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700A (en) * 2017-09-19 2019-03-2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air purifying device using plant
CN109041896B (en) * 2017-09-19 2021-11-02 大韩民国(农村振兴厅长)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plants
CN109041896A (en) * 2017-09-19 2018-12-21 大韩民国(农村振兴厅长) Utilize the air cleaning unit of plant
WO2020193933A1 (en) * 2019-03-27 2020-10-01 Richard Alexander Sabin System for purifying ambient air by drawing air through planter/s
GB2582611A (en) * 2019-03-27 2020-09-30 Alexander Sabin Richard System for purifying ambient air by drawing air through planters
KR102167921B1 (en) * 2019-05-07 2020-10-20 남동규 Indoor air cleaning device of vertical cultivating type
KR102069737B1 (en) * 2019-06-04 2020-01-28 에스그린랩 주식회사 Multi function veretation apparatus
CN110637633A (en) * 2019-08-15 2020-01-03 西北农林科技大学 Automatic irrigation vertical greening device based on porous filter material
CN110637633B (en) * 2019-08-15 2022-04-05 西北农林科技大学 Automatic irrigation vertical greening device based on porous filter material
KR102136364B1 (en) * 2019-12-19 2020-07-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ir Cleaning System and Method having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Vegetation Filters
KR20220037242A (en) * 2020-09-17 2022-03-24 삼성물산 주식회사 Drwaer type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plant
KR102262219B1 (en) * 2020-12-08 2021-06-09 여형구 Indoor typ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102229646B1 (en) * 2021-01-04 2021-03-18 나홍식 Green wall vegetation structure
KR102556884B1 (en) * 2022-12-02 2023-07-17 전태평 Vertical planter assembly for wall greening for wall greening
WO2024117494A1 (en) * 2022-12-02 2024-06-06 전태평 Vertical planter assembly for greening wall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042B1 (en) 201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042B1 (en) System for purifying of indoor air using plants
KR101441040B1 (en) Wall-greening system for indoor air cleaning
KR200473002Y1 (en) air purifier using plant
US10694684B2 (en) Apparatus for the growing of plants and a growing device
KR100785930B1 (en) An automatic greenhouse system for interior air purge
KR101429678B1 (en) All-in-one indoor environmental improvement devices
KR101214564B1 (en) An air purifilter using wall greening
KR100750905B1 (en) Assembly type flower bed which is water supply it self
KR20140145494A (en) Air cleaner using plants
KR20180007503A (en) Vegetation Module for Indoor Garden
US20160192604A1 (en) Pressurized Growing Air System for Vertical and Horizontal Planting Systems
KR100377569B1 (en) Interior garden with air cleaning function
CN108211776B (en) Plant type air purifying device
KR102340390B1 (en) Eco-friendly air cleaning system with volatile organic compound removal function
KR20160111766A (en) vegetation interior structure having air and water purification
KR101460596B1 (en) pot for air-conditioning and air-conditioning system with the same
KR20160109661A (en) GreenPile System
KR20160118529A (en) Wall garden
KR101317471B1 (en) Vertical garden and air clea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389567B1 (en) Flower pot assembly being beneficial to grow and no smell
KR940018010A (en) Hydroponic Cultivation and Purification System Using the Ornamental Fish Tank
KR20120109909A (en) A wall greening structures
KR20020049840A (en) Interior garden with air cleaning function
CN210746744U (en) Automatic irrigate three-dimensional planting equipment
KR102067030B1 (en) Air filter using vegetation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