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996Y1 - Hanging flower pot - Google Patents
Hanging flower po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6996Y1 KR200436996Y1 KR2020070008704U KR20070008704U KR200436996Y1 KR 200436996 Y1 KR200436996 Y1 KR 200436996Y1 KR 2020070008704 U KR2020070008704 U KR 2020070008704U KR 20070008704 U KR20070008704 U KR 20070008704U KR 200436996 Y1 KR200436996 Y1 KR 20043699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il
- water
- fixed
- mudguard
- hang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3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173 Abies balsam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57 Bals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357 Cact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11976 Hoy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18716 Impatiens bifl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69908 Platichthys fles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63480 Vin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77 cochle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562 pear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15 pe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35 plant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광하협의 상면이 개구된 사각박스 형태로 화분본체 내측 상부에 흙이 수용되고 그 흙의 하부에 물이 수용되는 저수부를 갖고, 외측 일단에 상기 물이 배출되도록 된 배수구가 구비되며, 일측에 장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물에 상기 화분본체가 고정될 수 있도록 보강편이 형성되고, 상기 화분본체가 고정물에 더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화분본체 배면에 형성된 끼움고리에 블럭몸체를 연결하고 그 블럭몸체를 케이블타이로 고속도록 중앙분리대, 교량, 난간 및 베란다 등의 고정물에 연결하여 안정되게 고정 및 부양되게 하는 걸이식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servoir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strait is opened, the soil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plant body and water is received in the lower part of the soil, and the drain is provided to discharge the water at the outer end. Reinforcing pieces are formed so that the planter body can be fixed to the fixture by long bolts and nuts on one side, and the block body is connected to the fitting ring formed on the back of the planter body so that the planter body is more firmly fixed to the fix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ing pot that stably fixes and floats by connecting a block body to a fixture such as a center separator, a bridge, a railing, and a veranda so that a high speed can be achieved with a cable ti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걸이식화분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anging flow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화분본체의 흙과 물이 섞이지 않도록 그 흙과 물 사이에 구비되고, 격자의 판체형태로 된 흙받침부와 상기 흙받침부 하면 사방에 수직방향의 원기둥형태로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흙이 수용되도록 장공부가 형성되며, 외면에서 상기 장공부로 물이 스며들도록 다수개의 작은 통공이 구비되어 상기 흙받침부를 지지하도록 된 지지대와 사방으로 형성된 상기 지지대 사이에 사각블록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저수부에 수용된 물을 흡수하여 상기 흙받침부를 통해 상기 흙에 물이 스며들 수 있도록 된 플로랄폼과 상기 화분본체의 개구된 상면 테두리 중 일측은 수직 연장되고, 그 연장된 테두리의 양단에는 장볼트가 관통되는 볼트홈이 구비되며, 상기 관통된 장볼트가 너트에 의해 고정 되도록 된 판형태의 보강편과 상기 보강편의 하방 향 연장면인 상기 화분본체 배면의 상단과 하단에 가로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화분본체가 고정구조물에 고정 및 부양되도록 'ㄱ'형상이 상하로 마주보게 형성된 끼움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t is provided between the soil and water so that soil and water of the pollen body are not mixed, and when the mudguard portion of the grid body and the mudguard portion are connected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column in all directions, the soil is accommodated therein. A long hole is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small holes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so as to seep the water into the long hole,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block shape between the support formed to support the mudguard and the support formed in all directions. One side of the floral foam and the open top edge of the flower pot body are vertically extended so that water is absorbed into the soil through the mudguard, and long bolts penetrate through both ends of the extended edge. Is provided with a bolt groove, the bolster is a plate-shaped reinforcement piece and the downward extension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piece so that the long bolt is fixed by a nut It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back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and comprises a fitting ring formed to face the 'b' shape up and down so that the planter body is fixed and supported on the fixed structure.
고정구조물, 끼움고리, 장볼트, 너트, 보강편, 블럭몸체, 결합돌기, 케이블타이 Fixing structure, fitting ring, long bolt, nut, reinforcing piece, block body, coupling protrusion, cable tie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걸이식화분의 전체 사시도 이고,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hanging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걸이식화분의 전체 단면도 이며,2 is an overall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ging flow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걸이식화분의 결합돌기가 끼움고리에 결합 되는 것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 이고,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hanging potted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itting ring,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걸이식화분의 블럭몸체와 케이블타이에 의해 고정됨을 나타낸 측면도 이며,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fixed by the block body and the cable tie of the hanging flow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걸이식화분의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도 이고,5 is an embodiment showing an embodiment of a hanging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걸이식화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도 이며,6 is an embodi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ging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걸이식화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도 이다.7 is an embodi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ging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 : 걸이식화분 20 : 흙10: hanger pot 20: soil
30 : 물 50 : 고정구조물30: water 50: fixed structure
100 : 화분본체 110 : 저수부100: pollen body 110: reservoir
120 : 배수구 130 : 끼움고리120: drain hole 130: fitting ring
150 : 흙받침부 160 : 지지대150: mudguard 160: support
162 : 장공부 164 : 통공162: long hole 164: through hole
170 : 플로랄폼 180 : 보강편170: floral foam 180: reinforcement piece
182 : 볼트홈 184 : 장볼트182: bolt groove 184: long bolt
186 : 너트186: Nut
200 : 블럭몸체 210 : 결합돌기200: block body 210: coupling protrusion
220 : 연결홈 230 : 케이블타이220: connecting groove 230: cable tie
본 고안은 상광하협의 상면이 개구된 사각박스 형태로 화분본체 내측 상부에 흙이 수용되고 그 흙의 하부에 물이 수용되는 저수부를 갖고, 외측 일단에 상기 물이 배출되도록 된 배수구가 구비되며, 일측에 장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물에 상기 화분본체가 고정될 수 있도록 보강편이 형성되고, 상기 화분본체가 고정물에 더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화분본체 배면에 형성된 끼움고리에 블럭몸체를 연결하고 그 블럭몸체를 케이블타이로 고속도록 중앙분리대, 교량, 난간 및 베란다 등의 고정물에 연결하여 안정되게 고정 및 부양되게 하는 걸이식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servoir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strait is opened, the soil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plant body and water is received in the lower part of the soil, and the drain is provided to discharge the water at the outer end. Reinforcing pieces are formed so that the planter body can be fixed to the fixture by long bolts and nuts on one side, and the block body is connected to the fitting ring formed on the back of the planter body so that the planter body is more firmly fixed to the fix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ing pot that stably fixes and floats by connecting a block body to a fixture such as a center separator, a bridge, a railing, and a veranda so that a high speed can be achieved with a cable tie.
걸이식화분은 최근 실내의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이용되는 장식방법이다. 걸이식화분은 사방에서 감상할 수 있는 방법과 한쪽면만 감상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실내뿐 아니라 실외의 베란다, 처마 및, 창가, 무미건조한 담장 또는 고속도로의 중앙분리대, 교량난간 등에 배치하면 훌륭한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다.Hanging flowerpots are a decorative method recently used to efficiently use the narrow space in the room. Hanging flower pots can be viewed from all sides and only on one side. This can be achieved by placing it in verandas, cornices, windows, dry fences or highway dividers, bridge rails, as well as indoors.
걸이화분에 이용되는 식물 가운데 꽃식물은 햇빛이 잘 드는 창문 쪽에서 재배하는 것이 적당하고 반음지, 벽과 벽사이, 음지에서는 스킨답서스, 아이비류의 덩굴성 관엽이 적당하다. 꽃식물이라도 여름에 강한 직사광선은 막아 주는 것이 좋다.Among the plants used for hanging pots, flower plants are suitable for cultivation on the sunny window side, and halftone, between walls and walls, and in the shade are suitable for skin-aphus and ivy. Even flowers, it is good to block the direct sunlight in summer.
온도와 광선 요구도가 비슷한 식물끼리 같은 장소의 화분에 배치하는 것이 관리에 용이하다.Plants with similar temperature and light requirements in the same pot are easier to manage.
매달기 화분은 사람의 행동을 방해하지 않는 곳에 배치하는 것이 적당하며, 식물의 성장 모양에 따라 위로 자라는 식물은 낮게 배치하고 아래도 늘어지는 식물은 늘어지는 정도에 따라 적절한 높이로 식물을 배치한다Hanging pots should be placed where they do not interfere with human behavior.Place the plants that grow up lower,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plant's growth.
대부분 걸이화분은 거의 고리와 받침 접시가 있고 배수구가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구분한다. 배수구가 없는 용기는 테라리움이나 디쉬가든과 같이 밑에 배수층을 형성하는 자갈, 돌조각, 펄라이트 같은 배수 물질을 반드시 깔고 숯과 제오라이트를 조금 넣고 배양토에 식물을 심는다.Most hanger pots are divided into those with and without hooks, saucers, and drains. Containers without drainage must be drained with gravel, stone fragments, and pearlite, which form a drainage layer, such as terrarium or dish garden.
배수가 있는 용기는 보통 화분 식물과 같은 방법으로 심지만 공중은 바닥부분보다 건조하므로 피트모스나 부엽토 같은 위로 물이 넘치는 것을 막기 위해서 화분의 턱을 3cm 빈공간으로 남겨 놓는다.Containers with drainage are usually planted in the same way as potted plants, but the air is drier than the bottom, leaving the jaw of the pot 3 cm empty to prevent water from overflowing, such as peat moss or flounder.
철사 등을 이용한 그물 용기인 경우 우선 젖은 이끼를 용기 속에 넣은 후 배 양토를 넣고 식물을 넣는다. 이러한 용기는 건조가 심하므로 이끼를 많이 넣어서 어느 정도 수분을 유지시켜 준다.In the case of a net container using wire, put wet moss in the container first, and then put the cultivation soil into the container. These containers are very dry, so put a lot of moss to maintain some moisture.
매달기 화분 용기의 크기는 10 ~ 60cm까지로 다양하다. 공중에 걸려 있는 식물은 고나수를 자주 해주어야 할 뿐 아니라 햇빛이 잘 드는 창가에 위치한 매달기 화분은 주위 온도가 더욱 높아 뿌리보다 잎이 빨리 마르게 되므로 분무기로 물을 자주 뿌려 준다. 토양은 습한 잎이 마르는 현상이 자주 일어나면 장소가 적당치 않으니 옮기는 것이 적당하다.Hanging pots vary in size from 10 to 60 cm. Plants hanging in the air need to be frequently used as a tree, as well as hanging pots located near sunny windows, where the leaves are dried faster than the roots due to higher ambient temperatures. Soil leaves are often not suitable if the wet leaves are dry.
받침 접시에는 흘러내리는 물과 염분이 고이게 된다. 받침 접시에 고인 물은 곧바로 버려야야 하고 배수구가 없는 용기는 관수 문제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 뿌리 주변의 수분 함량이 지나치면 토양 공기가 줄어들어 뿌리가 상하기 쉽다. 새로 심은 식물을 1개월 후부터 시비해 주고 자진 관수로 양분이 부족하기 쉬우므로 자주 시비해 주어야 한다.The saucer collects dripping water and salt. Water accumulated in the saucer should be discarded immediately, and vessels without drains should be more concerned with watering. Excessive moisture content around the roots reduces soil air, which can damage roots. Fertilize newly planted plants after one month, and often have to fertilize because it is easy to run out of nutrients.
봄에는 아름다운 꽃들이 꽃시장에 많이 나온다. 지금까지는 꽃을 각종 화분에 아름답게 모아 심고 이를 베란다나 마당에 놓고 감상하거나 도로주변 플랜터에 심겨진 것을 오며 가며 즐겼을 것이다.In spring, many beautiful flowers come to the flower market. Until now, you may have planted flowers beautifully in various pots, put them on the veranda or yard, or enjoy them planted in planters around the road.
이제는 조금 새로운 방법으로 식물을 심고 가꾸어 보기로 하자. 식물을 단순히 심고 가르는 것뿐만 아니라 장식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면 일석이조일 것이다. 공중걸이나 벽걸이형은 주로 줄기나 잎이 늘어지는 습성을 지닌 초화류나 관엽식물을 이용하여 풍성하고 아름답게 공간을 장식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일반 화분 심기보다는 좀더 색다른 느낌을 줄 수 있다.Now, let's plant and grow plants in a new way. If you can get a decorative effect, as well as simply plant and split plants, it will be a couple of stones. Hanging hangers or wall hangings use decorative plants and plants that tend to stalk stems and leaves. This can give you a different look than normal planting.
벽걸이형화분은 화분의 한쪽 면이 벽에 부착할 수 있도록 평평하게 되어 있는 형태로 화분형과 바구니형이 있다. 화분형의 경우 밑에 물받침이 부착되어 있어 식물을 심고 물주기를 할 때 편하도록 고안되어 있으며, 식물을 화분의 위쪽 면에만 심을 수 있어서 밑으로 늘어지는 식물을 선택하여 심어야 한다. Wall-type potted plants have a flat shape so that one side of the flower pot can be attached to the wall. In case of pollen type, it is designed to be convenient when planting and watering plants because the bottom of water is attached. Plants can be planted only on the upper side of the pot, so the plant hanging down should be selected.
화분의 배수구를 굵은 돌로 막고 배양토를 넣은 후 식물을 모아 심는다. 식물은 러브체인, 달개비, 칼리시아, 호야, 개발선인장, 선란, 세네시오, 세덤류, 콜롬네아 등 늘어지는 성향이 강한 식물을 선택하여 심는 것이 바람직하다. Block the drain in the pot with coarse stone, add culture soil, and collect the plants. Plants are preferably planted by selecting plants with strong propensity, such as love chains, cochlea, calicia, hoya, cactus, eggs, senesio, sedomes, and colonies.
식물을 심은 후 물을 충분히 주고 물 빠짐이 완전히 되면 화분 받침에 있는 물을 제거하고 원하는 위치에 장식하여 놓는다. After planting, give enough water and when the water is completely drained, remove the water from the pot stand and decorate it in the desired position.
바구니형은 반달모양의 철재로 된 바구니 형태로 구멍이 크게 나 있어서 식물을 심을 때 수태를 적절히 이용하여 마감을 하면서 심을 수 있다. 식물을 바구니의 위쪽과 옆면에 모두 심을 수 있어 꼭 늘어지는 식물이 아니어도 관계없다.Basket type is a half moon-shaped basket made of steel with large holes, so when planting plants can be planted using the concept of appropriate finishing. Plants can be planted on both the top and side of the basket so it doesn't have to be a sagging plant.
바구니형의 경우 구멍이 많아 식물을 심을 때 어려움이 많을 수 있다. 이에 식물을 심을때에는 수태를 이용하여 바구니의 표면을 막고 식물의 모종을 적절한 크기로 나누어 바구니의 옆면과 위쪽에 식물을 나누어 심는다. Basket type can have a lot of difficulties when planting a lot of holes. When planting plants, use the conception to cover the surface of the basket, divide the seedlings of the plant into appropriate sizes and divide the plants on the sides and top of the basket.
식물은 화분형에 사용된 식물뿐만 아니라 아프리칸 봉선화, 뉴기니아 봉선화, 빈카(일일초), 로베리아, 비올라 프린세스, 코레우스, 필레야 등을 사용하면 좀더 화려하고 아름다운 벽걸이형 바구니를 만들 수 있다. 바구니형은 옆면의 구멍을 효과적으로 막지 않으면 흙이 밑으로 쏟아지는 경우가 있음으로 식물을 심을 때 촘촘히 마감을 잘해야 한다. In addition to the plants used in pots, African Balsam, New Guinea Balsam, Vinca (Lotusia), Loberia, Viola Princess, Correus, and Philea can be used to create more colorful and beautiful wall-hung baskets. Basket type may have soil to pour out if it does not block the hole in the side effectively, so it should be closely finished when planting plants.
공중걸이형 화분은 화분의 위쪽에 고리를 달아 공중에 걸 수 있도록 하게 만들어진 형태로 굵은 돌로 배수구를 막고 배양토를 이용하여 식물을 심는다. Hanging-type pots are made to hang on top of the pots so that they can be hung in the air.
공중걸이형 화분은 흙이 쉽게 마를 수 있음으로 보습성이 많은 토양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걸이형 화분에는 벽걸이형에 사용되는 모든 식물을 사용할 수 있다. Hanging-type pots are easy to dry soil, it is preferable to use a lot of moisturizing soil. Hanging pots can be used for all plants used for wall hanging.
종래의 화분은 다수 설치할 경우 공간부의 점유 면적이 넓고 이동이 불편함을 감안하여 크게 구성하지는 못하고 대부분 소형으로 구성되어 특정 화초에 국한하여 심는게 보통이고 따라서 다양한 화초를 재배하기 위해서는 여러개의 화분을 설치하여야 하는 경제적 부담과 또한 이와 같은 화분은 사람의 시야에 들어오기 위해서는 적정 높이의 받침대 등이 추가로 구성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 flower pots are not large because they are large and occupy a large area of space and are inconvenient to move, so they are usually small, so they are usually planted only on specific plants. In addition to the economic burden to be had, there was a problem that such a pot should be additionally configured, such as a pedestal of an appropriate height in order to enter the human view.
특히, 고속도로에 설치된 중앙분리대에 화분을 설치할 경우 현재는 화분을 올려놓기 위해 화분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철 구조물을 별도로 제작되어야 화분의 설치가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when installing a flower pot on the central separator installed on the highway,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current plant only when the steel structure is separately manufactured to put the flower pot to put the flower pot.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고안은 상광하협의 상면이 개구된 사각박스 형태로 화분본체 내측 상부에 흙이 수용되고 그 흙의 하부에 물이 수용되는 저수부를 갖고, 외측 일단에 상기 물이 배출되도록 된 배수구가 구비되어 물이 썩지 않도록 되며, 화분본체의 배면에 구비된 보강편에 장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고정물에 고정하고, 상기 보강편의 연장하면에 블럭몸체와 케이블타이를 구비하여 고정물에 고정 및 부양되기 때문에 별도의 받침대나 철 구조물이 없이도 고속도록 중앙분리대, 교량, 난간 및 베란다 등의 고정물에 연결하여 안정되게 고정 및 부양되게 하고 미려한 걸이식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servoir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strait is opened, the soil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plant body and water is received in the lower part of the soil, and the drain is provided to discharge the water at the outer end. The water does not decay, it is fixed to the fixture using a long bolt and nut on the reinforcement piece provided on the back of the planter body, and the block body and the cable tie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piece to be fixed and supported by the fixtur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beautiful hanging pot by stably fixing and supporting it by connecting to a fixture such as a central separator, a bridge, a railing, and a veranda so that a high speed can be achieved without a pedestal or a steel structu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걸이식화분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anging flow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화분본체의 흙과 물이 섞이지 않도록 그 흙과 물 사이에 구비되고, 격자의 판체형태로 된 흙받침부와 상기 흙받침부 하면 사방에 수직방향의 원기둥형태로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흙이 수용되도록 장공부가 형성되며, 외면에서 상기 장공부로 물이 스며들도록 다수개의 작은 통공이 구비되어 상기 흙받침부를 지지하도록 된 지지대와 사방으로 형성된 상기 지지대 사이에 사각블록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저수부에 수용된 물을 흡수하여 상기 흙받침부를 통해 상기 흙에 물이 스며들 수 있도록 된 플로랄폼과 상기 화분본체의 개구된 상면 테두리 중 일측은 수직 연장되고, 그 연장된 테두리의 양단에는 장볼트가 관통되는 볼트홈이 구비되며, 상기 관통된 장볼트가 너트에 의해 고정 되도록 된 판형태의 보강편과 상기 보강편의 하방향 연장면인 상기 화분본체 배면의 상단과 하단에 가로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화분본체가 고정구조물에 고정 및 부양되도록 'ㄱ'형상이 상하로 마주보게 형성된 끼움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t is provided between the soil and water so that soil and water of the pollen body are not mixed, and when the mudguard portion of the grid body and the mudguard portion are connected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column in all directions, the soil is accommodated therein. A long hole is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small holes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so as to seep the water into the long hole,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block shape between the support formed to support the mudguard and the support formed in all directions. One side of the floral foam and the open top edge of the flower pot body are vertically extended so that water is absorbed into the soil through the mudguard, and long bolts penetrate through both ends of the extended edge. Is provided with a bolt groove, the perforated long bolt is plate-shaped reinforcement piece so that it is fixed by a nut and the shoe is a downwardly extending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piece Are formed to be respectively protruded in the lateral direction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rear body, a "b" shape of the planter unit is to be fixed and dependent on the fixed structure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tting ring formed to face up and down.
더불어, 상기 끼움고리는, 'ㅏ'형태의 결합돌기가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결 합돌기와 연결되는 블럭몸체에 의해 상기 고정구조물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itting ring, 'ㅏ' type of the engaging projection is provided at one end, it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fixed structure by a block body connected to the engaging projection.
그리고, 상기 블럭몸체에는, 상기 고정구조물이 더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케이블타이로 묶을 수 있도록 하는 연결홈이 상기 블럭몸체의 일단에 더 형성된다.The block body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groove formed at one end of the block body so that the fixing structure can be more tightly fixed with a cable ti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걸이식화분의 전체 사시도 이고,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hanging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걸이식화분의 전체 단면도 이며,2 is an overall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ging flow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걸이식화분의 결합돌기가 끼움고리에 결합 되는 것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 이고,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hanging potted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itting ring,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걸이식화분의 블럭몸체와 케이블타이에 의해 고정됨을 나타낸 측면도 이며,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fixed by the block body and the cable tie of the hanging flow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걸이식화분의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도 이고,5 is an embodiment showing an embodiment of a hanging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걸이식화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도 이며,6 is an embodi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ging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걸이식화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도 이다.7 is an embodi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ging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걸이식화분은,As shown in Figure 1 to 7, the hanging flow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화분본체(100)의 흙(20)과 물(30)이 섞이지 않도록 그 흙(20)과 물(30) 사이에 구비되고, 격자의 판체형태로 된 흙받침부(150)와 상기 흙받침부(150) 하면 사 방에 수직방향의 원기둥형태로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흙(20)이 수용되도록 장공부(162)가 형성되며, 외면에서 상기 장공부(162)로 물(30)이 스며들도록 다수개의 작은 통공(164)이 구비되어 상기 흙받침부(150)를 지지하도록 된 지지대(160)와 사방으로 형성된 상기 지지대(160) 사이에 사각블록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저수부(110)에 수용된 물(30)을 흡수하여 상기 흙받침부(150)를 통해 상기 흙(20)에 물(30)이 스며들 수 있도록 된 플로랄폼(170)과 상기 화분본체(100)의 개구된 상면 테두리 중 일측은 수직 연장되고, 그 연장된 테두리의 양단에는 장볼트(184)가 관통되는 볼트홈(182)이 구비되며, 상기 관통된 장볼트(184)가 너트(186)에 의해 고정 되도록 된 판형태의 보강편(180)과 상기 보강편(180)의 하방향 연장면인 상기 화분본체(100) 배면의 상단과 하단에 가로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화분본체(100)가 고정구조물(50)에 고정 및 부양되도록 'ㄱ'형상이 상하로 마주보게 형성된 끼움고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더불어, 상기 끼움고리(130)는, 'ㅏ'형태의 결합돌기(210)가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돌기(210)와 연결되는 블럭몸체(200)에 의해 상기 고정구조물(50)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블럭몸체(200)에는, 상기 고정구조물(50)이 더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케이블타이(230)로 묶을 수 있도록 하는 연결홈(220)이 상기 블럭몸체(200)의 일단에 더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걸이식화분(10)을 작동상태에 따라 설명하 면,As described above, when the
도 1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광하협의 상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흙(20)과 물(30)이 수용되는 화분본체(100)는 상기 흙(20)과 물(30)이 섞이지 않도록 그 흙(20)과 물(30)사이에 합성수지 재인 격자의 판체형으로 된 흙받침부(150)가 구비되고, 상기 흙받침부(150)의 하면에는 흙받침부(150)를 지지하는 지지대(160)가 사방으로 구비되는데, 그 지지대(160)는 상기 흙(20)의 일부가 내부로 수용되도록 수직으로 된 장공부(162)와 상기 흙받침부(150)의 하부에 구비된 저수부(110)에 수용된 물(30)이 상기 지지대(160)의 외면으로 부터 내부인 상기 장공부(162)로 스며들도록 가로방향으로 다수개의 통공(164)이 형성되고, 사방의 상기 지지대(160) 사이에는 사각블록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저수부(110)에 수용된 물(30)을 흡수하여 상기 흙받침부(150)를 통해 상기 흙(20)에 물(30)이 스며들 수 있도록 된 플로랄폼(170)이 구비되며, 상기 화분본체(100)의 일단에는 저수부(110)의 물(30)이 흙(20)에 직접 닿아 흙이 부식되는 것을 방자하기 위한 배수구(120)가 형성되는데, 그 배수구(120)는 화분본체(100)의 외면으로부터 내면의 저수부(110)로 관통되도록 된 통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흙(20)과 흙받침부(150)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화분본체(100)의 개구된 상면 테두리 중 일측은 수직 연장되고 그 연장된 테두리의 양단에는 장볼트(184)가 관통되는 볼트홈(182)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된 장볼트(184)가 너트(186)에 의해 고정 되도록 된 판형태의 보강편(180)과 상기 보강편(180)의 하방향 연장면인 상기 화분본체(100) 배면의 상단과 하단에 가로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화분본체(100)가 고정구조 물(50)에 고정 및 부양되도록 'ㄱ'형상이 상하로 마주보게 형성된 끼움고리(130)가 형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 1 or 2,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straits is formed in the form of an open box, and the
도 3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끼움고리(130)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고정구조물(50)의 형상이나 결합상태에 따라 블럭몸체(200)에 구비된 'ㅏ'형태의 결합돌기(210)와 연결 및 결합 되고, 상기 블럭몸체(200)의 일단에는 블럭몸체(200)를 가로로 관통하는 통공인 연결홈(220)이 형성되어 케이블타이(230)가 그 연결홈(220)을 관통하여 고정구조물(50)에 묶여져 화분본체(100)와 고정구조물(50)을 더욱 견고하게 연결 및 고정되게 한다.3 to 7, the
더불어, 상기 고정구조물(50)은 고속도록 중앙분리대, 교량, 난간 및 베란다 그리고, 전봇대, 가로등에 용이하게 연결 및 결합 되고, 도 4에서와 같이, 블럭몸체(200)의 결합돌기(210)와 케이블타이(230)의 연결만으로도 고정구조물(50)에 연결 및 고정되는데, 상기 화분본체(100)의 배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끼움고리(130)에 'ㅏ'형태의 결합돌기(210)를 갖는 블럭몸체(200)가 결합 되고, 상기 블럭몸체(200)의 일단에 형성된 연결홈(220)에 케이블타이(230)가 연결되어 고정구조물(50)을 묶어 견고하게 고정된다.In addition, the fixed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기 다른 형태의 고정구조물(50)에 따라 블럭몸체(200)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화분몸체(100)의 개구된 상면 테두리 중 일측은 수직 연장되고, 그 연장된 테두리의 양단에는 장볼트(184)가 관통되는 볼트홈(182)이 구비되며, 상기 과통된 장볼트(184)가 너트(186)에 의해 고정 되도록 된 판형태의 보강편(180)에서 상기 장볼트(184)가 볼트홈(182)을 관통한 채로 너 트(186)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고정구조물(50)의 형태의 맞도록 장볼트(184)와 너트(186)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As shown in FIG. 5 or FIG. 7, one side of the open upper edge of the
또한, 상기 화분몸체(100)의 배면 중 상단에 형성된 끼움고리(130)는 사용하지 않고 하단에 형성된 끼움고리(130)에 결합돌기(210)를 끼워 블럭몸체(200)가 고정구조물(50)에 지지 되고, 보강편(180)은 장볼트(184)와 너트(186)를 사용하여 고정구조물(50)을 사이에 두고 그 양방향으로 대응되게 한쌍의 화분몸체(100)를 구비하여 유동 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가능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exemplifi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화분본체의 배면에 구비된 보강편에 장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고정물에 고정하고, 상기 보강편의 연장하면에 블럭몸체와 케이블타이를 구비하여 고정물에 고정 및 부양되기 때문에 별도의 받침대나 철 구조물이 없이도 고속도록 중앙분리대, 교량, 난간 및 베란다 등의 고정물에 연결하여 안정되게 고정 및 부양되고 외관상 미려하게 되며 별도의 구조물 비용을 절감하게 되고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여 사용상의 그 효과가 있다.The reinforcing piece provided on the back of the planter body is fixed to the fixture using a long bolt and a nut, and a block body and a cable tie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inforcing piece so that it is fixed and supported to the fixture so that a separate pedestal or steel structure is provided. It can be connected to fixtures such as central divider, bridge, railing and veranda so that it can be fast and stably fixed and buoyed, and the appearance is beautiful, and the cost of separate structure can be reduced and easily detachable.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8704U KR200436996Y1 (en) | 2007-05-28 | 2007-05-28 | Hanging flower po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8704U KR200436996Y1 (en) | 2007-05-28 | 2007-05-28 | Hanging flower po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6996Y1 true KR200436996Y1 (en) | 2007-10-23 |
Family
ID=41637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08704U Expired - Fee Related KR200436996Y1 (en) | 2007-05-28 | 2007-05-28 | Hanging flower po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6996Y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22359A3 (en) * | 2009-08-18 | 2011-06-23 | Garden-Aire, Llc | Hanging planter assembly |
KR200456170Y1 (en) | 2011-01-19 | 2011-10-17 | 유지호 | Hangable pot |
KR20170115412A (en) * | 2016-04-07 | 2017-10-17 | 테라아미주식회사 | Rack hooks for setting up plant cultivation flower pots for air purification and the flower po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rack hooks |
KR200497496Y1 (en) * | 2023-03-27 | 2023-11-29 | 윤세호 | Hydroponic grow holder for fish tank |
-
2007
- 2007-05-28 KR KR2020070008704U patent/KR200436996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22359A3 (en) * | 2009-08-18 | 2011-06-23 | Garden-Aire, Llc | Hanging planter assembly |
KR200456170Y1 (en) | 2011-01-19 | 2011-10-17 | 유지호 | Hangable pot |
KR20170115412A (en) * | 2016-04-07 | 2017-10-17 | 테라아미주식회사 | Rack hooks for setting up plant cultivation flower pots for air purification and the flower po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rack hooks |
KR102257401B1 (en) * | 2016-04-07 | 2021-05-27 | (주)대한콜크 | Rack hooks for setting up plant cultivation flower pots for air purification and the flower po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rack hooks |
KR200497496Y1 (en) * | 2023-03-27 | 2023-11-29 | 윤세호 | Hydroponic grow holder for fish tan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3608608U (en) | Water storage self-watering moisturizing flowerpot for planting scindapsus aureus | |
JP4399093B2 (en) | Support structure of cultivation shelf of vine plant | |
RU2576058C1 (en) | Design of wall flower bed and method of its manufacturing | |
CZ308191B6 (en) | Vertical garden | |
KR101301014B1 (en) | Flowerpot upper sides porous protective cover | |
KR200436996Y1 (en) | Hanging flower pot | |
CN203575200U (en) | Multifunctional vertical greening frame | |
KR101331404B1 (en) | Vertical plant cultivating apparatus | |
KR200444397Y1 (en) | Breathable Egg Planter | |
CN108781876A (en) | A kind of moisturizing garlic garden flowerpot | |
CN108811918A (en) | It is a kind of to pour heat preservation garlic garden flowerpot slowly | |
JP3416799B2 (en) | Tree growing device for concrete casting surface using tree fixing tool and its tree growing method | |
JP3784586B2 (en) | Planters planting trees | |
KR20070069244A (en) | Flowerpot | |
KR200451153Y1 (en) | Flowerpot having storage space of water | |
JP3932435B2 (en) | Suspended brine planter | |
CN203563442U (en) | Water-storage vertical pillar for potted climbing plant | |
KR200456170Y1 (en) | Hangable pot | |
KR101099546B1 (en) | Flowerpot for gardening with double planting space | |
CN201097524Y (en) | Plant stereoscopic planting pot | |
KR200417567Y1 (en) | Multistage Flower Pots | |
KR200412712Y1 (en) | Flowerpot | |
KR100638742B1 (en) | Landscaping Flower Pots | |
JP2003009687A (en) | Integrated bottom water supply planter with plant tray with water supply mat and water storage tank | |
KR200347930Y1 (en) | Fence structure having holding stand for flowerpo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528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9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8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0708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710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7101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109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