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523B1 -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nt - Google Patents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523B1
KR102038523B1 KR1020190010655A KR20190010655A KR102038523B1 KR 102038523 B1 KR102038523 B1 KR 102038523B1 KR 1020190010655 A KR1020190010655 A KR 1020190010655A KR 20190010655 A KR20190010655 A KR 20190010655A KR 102038523 B1 KR102038523 B1 KR 102038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ant
cup
ai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6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광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노테크
Priority to KR1020190010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52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5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 F24F2003/1653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a plant. In the present invention, a cup receiving portion (47) is provided in a housing (40), and an exchange cup (60) having a seedling pot shape is mounted in or separated from the cup receiving portion (47). The air purif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bstrate (70), wherein the substrate (70) includes: an upper connection piece (77) formed on an upper end thereof; and a lower connection piece (77′) formed on a lower end thereof. An upper stack hanger (30) and a lower stack hanger (32) are provided on a vertical wall (16) of a base (12) on which the substrate (70) is installed. The upper stack hanger (30) and the lower stack hanger (32) are used when the air purifying apparatuses are stacked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the air purifying apparatuses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connection piece (77) and the lower connection piece (77′) of the substrate (7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air purifying apparatuses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a flexible hose (25) can be used to allow water to be delivered effectively between the air purifying apparatuse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case, a drain pipe (24′) is provided in the base (12), and a communication hole (46′) is provided in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40), so that the drain pipe (24′) and the connection hole (4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lexible hose (2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ly water to plant ports without an additional water supply facility.

Description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nt}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nt

본 발명은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식물의 뿌리부분에서 이루어지는 공기 정화작용을 활용하여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고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using a plant, and relates to an air purifier using a plant that can purify polluted air in a room and remove fine dust by utilizing an air purifying action formed at the root of the plant.

사람들이 실내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실내 공기의 오염문제가 관심사가 되고 있다.As people spend more time indoors, indoor air pollution becomes a concern.

실내공간을 형성하는 건축자재에서는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같은 가스성 유해물질들이 나오게 되는데, 특히 새로 만들어진 건축물에서 많은 문제가 된다.In the building materials forming the interior space, gaseous harmful substances such as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me out, especially in newly constructed buildings.

그리고, 최근에는 미세먼지 등에 의해 대기의 질이 나빠져서 심한 경우에는 창문을 열고 환기를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In recent years, the air quality may be deteriorated due to fine dust, etc., and in some cases, windows may not be opened and ventilated.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기정화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공기속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건축자재 등에서 나오는 가스성 유해물질과 사람의 호흡에 의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등을 제거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가 필요하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ir purifiers are widely used, but it is also important to remov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but it is possible to remove gaseous harmful substances from building materials and carbon dioxide generated by human breathing. An air purifier is needed.

이와 같은 필요에 대해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는 식물이 가스성 유해물질과 이산화탄소 등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식물실험을 통해서 식물의 공기정화능력은 이미 과학적으로 입증되었고, 식물이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 오존, 질소 화합물 등의 유해가스를 흡수해서 공기를 맑게 하고, 증산작용시에 발생하는 음이온에 의해서 공기중에 있는 미세먼지와 양이온 오염물질을 중화시켜 준다는 것이 밝혀졌다.To meet this need, many air purifiers using plants have been developed. This is because plants can remove gaseous harmful substances and carbon dioxide. For reference, the plant's air purification ability has been scientifically proven through plant experiments. The plant absorbs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harmful gases such as formaldehyde, ozone, and nitrogen compounds to clear the air, Anions have been found to neutralize fine dust and cation contaminants in the air.

식물의 공기정화능력은 잎의 호흡작용이나 광합성 작용을 통해서도 이루어지고, 뿌리 부근에 서식하는 토양 미생물에 의한 분해작용에 의한 공기정화도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토양속에 존재하는 공극은 일종의 필터 역할을 하여 공기중의 이물질과 미세먼지 등을 걸러내는 기능도 할 수 있다. The air purification ability of plants is also achieved through the respiration of photosynthesis and photosynthesis, and the air purification by the decomposition of soil microorganisms in the vicinity of roots is also very large. In addition, the voids in the soil can act as a filter to filter foreign matter and fine dust in the air.

이와 같이 식물은 공기정화에 큰 역할을 하는데, 식물은 생물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식물을 사용하는 공기정화장치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식물이 일정 크기 이상으로 성장하는 것과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고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식물이 고사하지 않고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As such, plants play a large role in air purification. Since plants are living organisms, they need to be managed continuously. The biggest problem with air purifiers that use plants is that they grow beyond a certain size and die from various cau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plants can grow well without dying.

또한, 실내공간의 크기는 다양한데, 실내공간의 크기에 따라 정화에 필요한 식물의 양이 결정된다. 하지만 종래의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에서는 특정한 용량을 가진 프레임에 단위 식물들을 설치하는 형태여서 다양한 크기의 실내공간에 적합한 공기정화장치를 만들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indoor space is varied, the amount of plants required for purification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indoor space. However, in the conventional air purifier using plant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make an air purifier suitable for indoor spaces of various sizes because unit plants are installed in a frame having a specific capacity.

그리고, 식물을 사용하는 공기정화장치에서는 식물에 지속적으로 물이 공급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관수구조도 공기정화장치의 용량을 제한하는 요인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즉, 각각의 단위 식물들에 직접 물을 공급하는 방식의 관수시스템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관수시스템은 다양한 용량의 공기정화장치를 형성하는데 걸림돌이 된다.In addition, in the air purifier using a plant, water must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plant, and this watering structure also becomes one of the factors limiting the capacity of the air purifier. In other words, the watering system of the type of supplying water directly to each of the unit plants is used a lot, such a watering system is an obstacle to the formation of air purifiers of various capacitie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8033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73803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01487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01487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04190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0419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1040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41040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에서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plants can grow well in the air purifier using the pla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를 다수개 연결하여 공기정화장치의 용량을 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a plurality of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plant to determine the capacity of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연결된 공기정화장치 사이에서 물전달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re reliably transfer water between the air purifiers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식생토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컵수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내부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에서 상기 컵수용부에 위치되어 식물을 하우징에 위치시키고 컵수용부에서 분리되어 식물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교환컵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식생토공간의 하부를 형성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서 직립되는 수직벽을 포함하는 베이스와, 상기 수직벽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부에 있는 공기정화장치와 결합가능한 상부적층걸이와, 상기 수직벽의 하단에 구비되어 하부에 있는 공기정화장치와 결합가능한 하부적층걸이와, 상기 수직벽에 설치되고 상단이 상기 상부적층걸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고 전기적 연결을 위한 상부연결편이 상단에 설치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적층걸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고 전기적 연결을 위한 하부연결편이 하단에 설치되어 상하로 적층되는 공기정화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판과, 상기 베이스의 수직벽 배면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과 마주보게 설치되어 상기 수직벽 배면에 설치된 팬조립체에 의해 형성된 기류를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안내하는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연결편과 하부연결편중 적어도 일측에는 탄성변형부가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편과 하부연결편이 결합될 때 탄성변형되어 상부연결편과 하부연결편이 서로 밀착되게 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using having a cup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the vegetation soil space therein and the opening is formed therein, and the cup in a plant planted therein An exchange cup positioned at the receiving portion to position the plant in the housing and separated from the cup receiving portion so as to exchange the plants, and a bottom plate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coupled to the housing to form a lower portion of the vegetation soil space; And a base including a vertical wall upright from the bottom plate, an upper stacking hook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wall to be coupled to an air purifying devic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n air purification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wall. A lower stackable hook which can be combined with the device, the upper wall of which is mounted on the vertical wall and corresponding to the upper stacking hook, for electrical connection A substrat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n air purifying apparatus, in which an upper connection piece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lamination hanger, and a lower connection piece for electrical connection is installed at a lower part, and is stacked up and down; A duct for directing the airflow formed by the fan assembly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and the one side of the housing to the front of the housing, and at least one of the upper connection piece and the lower connection piece is elastically deformed. In addition, the upper connection piece and the lower connection piece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coupled to the upper connection piece and the lower connection piec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삭제delete

상기 식생토공간에서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수직벽에는 소정 영역에 통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공부에 해당되는 영역에는 팬조립체가 설치된다.A through-hole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vertical wall of the base to discharge the purified air from the vegetation soil space to the outside, and a fan assembly is installed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through-hole.

삭제delete

상기 기판은 상기 팬조립체와 통공부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된다.The substrate is installed across the fan assembly and the aperture.

상기 기판에는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커넥터가 설치된다.The substrate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connector for connection to the outside.

상기 수직벽의 상단 배면에는 장착걸이가 더 구비된다.A mounting hanger is further provided on the top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상기 베이스의 바닥판은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선단에는 안내경사부가 있고 상기 안내경사부에는 배수공이 형성된다.The base plate of the base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tip, the guide inclined portion is at the tip and the drain is formed in the guide slope.

상기 베이스의 바닥판 선단에는 배수관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관에는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진 호스의 일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호스의 타단부는 하부에 있는 공기정화장치의 하우징에 형성된 연통공에 연결된다.A drain pipe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bottom plate of the base, and one end of a hos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s coupled to the drain pipe, and the other end of the hose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the housing of the air purifier.

상기 베이스의 바닥판에 장착되는 물받이에는 하우징 내외부를 통해 전달된 물이 모여지고, 상기 물받이의 바닥에서 하부로 배수관이 연장되고, 상기 배수관에는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진 호스의 일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호스의 타단부는 하부에 있는 공기정화장치의 하우징에 형성된 연통공에 연결된다.Water received throug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housing is collected in the drip tray mount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base, a drain pipe extends from the bottom of the drip tray to the bottom, and one end of the hos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s coupled to the drain pipe.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the housing of the air purifier at the bottom.

본 발명에 의한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the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는 식물포트의 베이스에 기판이 설치되고 이 기판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연결편이 실장되어 있어서 식물포트를 상하방향으로 적층하면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전원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는 다수개의 식물포트를 적층하여 서로 연결하면 전체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제어되므로 이들 식물포트의 연결되는 갯수에 따라 전체 공기정화용량이 결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식물포트를 서로 전기적으로 쉽게 연결할 수 있어 공기정화장치의 용량을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bstrate is installed on the base of the plant port, and connecting pieces are mounted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substrate, respectively, so that the power connection is made by stacking the plant port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plant ports are stack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power is supplied and controlled as a whole, so that the total air purification capacity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nnected plant ports. In this way, the plant ports can be easily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apacity of the air purifier can be set as desired.

본 발명에서는 상부에서 전달된 물이 식생토공간 내부에서는 베이스의 바닥판 경사면을 따라 베이스의 하부 선단으로 모이고 식물포트의 하우징 외면에 떨어진 물은 하우징 외면을 따라 식물포트의 외면 하부로 전달되어 상기 베이스의 하부 선단 외부로 모여서 식생토공간에서 배수공을 통해 나온 물과 함께 하부로 전달되어 적층된 식물포트중 하부에 있는 식물포트로 전달되어 별도의 관수시설없이도 전체 식물포트 들에 물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delivered from the upper is collected in the vegetation soil space along the bottom plate slope of the base to the lower tip of the base and the water dropp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lant port of the plant port is transferred to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plant port along the housing surface Gathered outside the lower tip of the plant and delivered to the bottom with water from the vegetation soil space through the drainage hole, it is transferred to the plant port at the bottom of the stacked plant ports to supply water to the entire plant ports without a separate watering facility. Can be.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공기정화장치를 벽면에 설치할 때, 반드시 상하 일직선으로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되지 않더라도 유연한 호스를 사용하여 공기정화장치의 식재공간의 물을 하부의 공기정화장치로 보낼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공기정화장치 사이의 물전달이 확실하게 이루어져 별도의 관수시설을 둘 필요가 없게 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talling a plurality of air purifiers on the wall surface, even if the air purifiers are not necessarily installed in a straight line up and down so that the water in the planting space of the air purifier can be sent to the lower air purifier using a flexible hose It was.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ater transfer between the air purifier is surely mad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watering facilitie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식물포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식물포트에서 교환컵을 분리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베이스의 정면쪽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베이스의 배면쪽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의 베이스 배면에 기판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교환컵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하우징에 있는 하우징절단리브와 교환컵에 있는 컵절단리브가 맞닿아 있는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배면에서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례의 식물포트가 다수개 적층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변형례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변형례를 사용하는 것을 보인 분해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air purifier using a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lant po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change cup separated from the plant por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side configuration of the bas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side configuration of the bas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bstrate i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bas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xchange cup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housing cutting rib in the housing and the cup cutting rib in the exchange cup abut 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back.
Figure 11 is a use state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plant por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tacked.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of the modification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s to interfere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explaining the component of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terms, such as 1st, 2nd, A, B, (a),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between compon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례의 공기정화장치에는 식물포트(10)가 있다. 상기 식물포트(10)는 베이스(12)와 하우징(40) 그리고 교환컵(60)을 포함한다. 상기 식물포트(10)는 본 명세서에 제시된 도면에서와는 달리 독자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식물포트(10)만을 사용하여 일종의 화분과 같이 사용하는 것이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re is a plant port 10 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t port 10 includes a base 12, a housing 40, and an exchange cup 60. The plant port 10 may be used independently of the drawings shown herein. That is, using only the plant pot 10 is to use like a kind of pot.

상기 식물포트(10)의 하부와 후단의 골격을 상기 베이스(12)가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12)는 그 구성이 도 5와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2)에는 바닥판(14)이 있다. 상기 바닥판(14)은 식물포트(10)의 하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바닥판(14)의 후단에서 수직으로 세워져서 수직벽(16)이 있다. 상기 바닥판(14)과 상기 수직벽(16)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측벽(18)이 형성된다. 상기 측벽(18)은 위치에 따라서 돌출정도가 달리된다. 상기 측벽(18)은 상기 하우징(40)의 하우징측벽(42)과 협력하여 식물포트(10)의 외면을 형성한다. 상기 측벽(18)은 상기 수직벽(16)의 전면과 후면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base 12 forms the skeleton of the lower part and the rear end of the plant pot 10. The base 12 is well illustrated in FIGS. 5 and 6. The base 12 has a bottom plate 14. The bottom plate 14 forms a lower portion of the plant pot 10. Standing vertically at the rear end of the bottom plate 14 there is a vertical wall 16. Sidewalls 18 are formed along the edges of the bottom plate 14 and the vertical wall 16. The side wall 18 is protruded according to the position. The side wall 18 cooperates with the housing side wall 42 of the housing 40 to form the outer surface of the plant port 10. The side wall 18 is formed to protrude to both front and rear sides of the vertical wall 16.

상기 바닥판(14)은 그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20)이다. 상기 경사면(20)은 상기 바닥판(14)의 선단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만들어진다. 상기 바닥판(14)의 선단에 해당되는 측벽(18)의 일부에는 안내경사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부(22)는 상기 하우징(40)의 외면에 형성되는 경사곡면(58)과 같은 경사를 가지도록 된다. 상기 안내경사부(22)는 인접한 측벽(18)보다는 더 경사지게 만들어진다. 상기 안내경사부(22)에는 배수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공(24)은 식물포트(1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닥판(14)이 선단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경사면(20)이 형성되므로 대부분의 물은 상기 배수공(24)을 통해서 배출된다. 상기 배수공(24)의 위치는 상기 바닥판(14)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 있어서 바닥판(14)에 수분이 남아 있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배수공(24)의 위치는 아래에서 설명될 수평레그(38)와 같거나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bottom plate 14 is an inclined surface 20 whose upper surface is inclined. The inclined surface 20 is made lower toward the tip of the bottom plate (14). A guide inclined portion 22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side wall 18 corresponding to the tip of the bottom plate 14. The guide inclined portion 22 has the same slope as the inclined curved surface 58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40. The guide slope 22 is made more inclined than the adjacent side wall 18. A drain hole 24 is formed in the guide slope 22. The drain hole 24 serves to discharge the water in the plant port 10 to the outside. Since the inclined surface 20 is formed such that the bottom plate 14 is lowered toward the tip, most of the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hole 24. The drain hole 24 is positioned at the lowest position in the bottom plate 14 so that water does not remain in the bottom plate 14 and is smoothly discharged. The location of the drain hole 24 is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equal to or lower than the horizontal leg 38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수직벽(16)에는 통공부(26)가 형성된다. 상기 통공부(26)는 상기 수직벽(16)의 높이방향 중간부 정도에 소정 면적을 가지는 영역에 걸쳐서 형성된다. 상기 통공부(26)를 통해서는 팬조립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가 통과한다.Through holes 26 are formed in the vertical wall 16. The through part 26 is formed over an area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bout the middle part of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rtical wall 16. The air flow formed by the fan assembly (not shown) passes through the through part 26.

상기 베이스(12)의 수직벽(16)에는 장착걸이(28)가 있다. 상기 장착걸이(28)는 상기 수직벽(16)의 상단 양측에 있는데, 대략 봉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선단에 걸이디스크가 있어서 벽에 설치된 걸이레일(도시되지 않음)에 걸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장착걸이(28)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2개가 나란히 있다. 상기 장착걸이(28)는 식물포트(10)의 구성에 따라서는 없을 수도 있다. 즉 바닥에 놓아 적층하는 형태로 식물포트(10)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없어도 상관없다.The vertical wall 16 of the base 12 has a mounting hanger 28. The mounting hook 28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wall 16, and is made substantially in the shape of a rod, and has a hook disk at its tip to allow it to be hooked to a hook rail (not shown) mounted on the wall. The mounting hangers 28 are two side by sid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mounting hook 28 may not be present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plant pot 10. In other words, if the plant pot 10 is used in the form of laying on the floor, it does not matter.

상기 수직벽(16)의 상단에는 상부적층걸이(30)가 있다. 상기 상부적층걸이(30)는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된 것으로 양측의 것이 서로 마주보게 된다. 상기 상부적층걸이(30)는 식물포트(10)를 적층하는 경우에 상부에 위치하는 식물포트(10)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상기 상부적층걸이(30)에는 상부걸이턱(30')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부걸이턱(30')은 상기 수직벽(16)의 후방측 단부에 급격한 경사가 있고 수직벽(16)의 전방을 향하는 전방측 단부로 가면서 완만한 경사가 있다. 상기 급격한 경사 부분은 아래에서 설명될 하부적층걸이(32)의 하부걸이턱(32')에 걸어지는 부분이고, 상기 완만한 경사 부분은 하부걸이턱(32')이 안내되는 부분이다.At the top of the vertical wall 16 there is an upper stack hanger (30). The upper stacking hanger 30 is a cross-section of the 'b' shape of the two sides facing each other. The upper stacking hook 30 is for coupling with the plant port 10 located in the upper case when the plant pot 10 is stacked. The upper stacking hook 30 is formed to protrude an upper hook chin (30 '). The upper hanger jaw 30 'has a steep inclination at the rear end of the vertical wall 16 and a gentle inclination as it goes to the front end toward the front of the vertical wall 16. The abrupt inclined portion is a portion that is hooked on the lower hooking jaw 32 'of the lower stacking hook 32 to be described below, and the gentle inclined portion is a portion on which the lower hooking jaw 32' is guided.

상기 수직벽(16)의 배면 하단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적층걸이(32)가 있다. 상기 하부적층걸이(32)도 한쌍이 있는데, 하부에 설치되는 식물포트(10)의 상부적층걸이(30)가 걸어진다. 상기 하부적층걸이(32)는 선단의 단면형상이 'ㄷ'형상으로 되는데, 양측에 있는 하부적층걸이(32)는 상부를 향해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적층걸이(32)의 내부에는 하부걸이턱(32')이 있다. 상기 하부걸이턱(32')에는 상기 상부걸이턱(30')이 걸어진다.At the bottom of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16, there is a lower stacking hook 32, as shown in FIG. There is also a pair of the lower stacking hanger 32, the upper stacking hanger 30 of the plant port 10 is installed on the bottom is hanged. The lower stacking hook 32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ront end of the 'c' shape, the lower stacking hook 32 on both sides is formed to open toward the top. There is a lower hook jaw 32 ′ in the lower stacking hook 32. The upper hanger jaw 30 'is hanged on the lower hanger jaw 32'.

상기 수직벽(16)에서 상기 통공부(26)가 형성된 배면에는 팬설치부(34)가 있다. 상기 팬설치부(34)에는 팬조립체(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팬조립체와 팬설치부(34)의 수직벽(16) 배면 사이에는 다수개의 필터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 필터는 식생토공간(44)에서 오는 이물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There is a fan mounting portion 34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16, the through hole 26 is formed. The fan installation unit 34 is installed with a fan assembly (not shown). Of course, a plurality of filters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an assembly and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16 of the fan installation part 34. This filter serves to filter foreign matter coming from the vegetation soil space (44).

상기 베이스(12)의 하단 양측에는 수평리브(36)가 있다. 상기 수평리브(36)는 상기 식물포트(10)가 바닥에 세워져 설치되는 경우에 전체 식물포트(10)가 넘어지지 않고 세워지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12)의 바닥판(14) 두께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평리브(36)가 필요하지만, 상기 바닥판(14)의 두께를 후단에서는 두껍고 선단으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하면 상기 수평리브(36)가 필요없다. 상기 수평리브(36)는 상기 측벽(18)이 연장된 것으로 볼 수 있다.There are horizontal ribs 36 on both lower ends of the base 12. The horizontal ribs 36 allow the entire plant port 10 to stand without falling when the plant port 10 is installed on the floor. The horizontal ribs 36 are necessary to make the base plate 14 have a constant thickness, but the horizontal ribs 36 are thicker at the rear end and thinner at the tip end thereof. ) Is not required. The horizontal ribs 36 may be viewed as extending from the side wall 18.

상기 바닥판(14)의 선단 양측에는 수평레그(38)가 있다. 상기 수평레그(38)의 바닥은 상기 수평리브(36)의 바닥과 동일한 평면상에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레그(38)와 상기 수평리브(36)가 협력하여 베이스(12) 즉, 식물포트(10)가 수평으로 세워지게 한다.Horizontal legs 38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ottom plate 14.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leg 38 is on the same plane as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rib 36. Accordingly, the horizontal leg 38 and the horizontal rib 36 cooperate to cause the base 12, that is, the plant pot 10, to stand horizontally.

상기 하우징(40)은 상기 베이스(12)와 결합하여 식물포트(10)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40)이 상기 베이스(12)와 결합되는 것은 다양한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2)와 하우징(40)은 합성수지여서 탄성을 가지는 걸이후크나 걸이턱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베이스(12)와 상기 하우징(40)이 결합되는 구성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housing 40 is combined with the base 12 to form an appearance of the plant pot 10. The housing 40 may be coupled to the base 12 in various ways. The base 12 and the housing 40 are made of synthetic resin and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hook hook or hook jaw having elasticity. In this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base 12 and the housing 40 are coupled will be omitted.

상기 하우징(40)은 본 실시례에서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된다. 상기 하우징(40)은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원통형의 구성이 소정의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housing 40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the housing 40 has a cylindrical configuration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하우징(40)의 외측면을 하우징측벽(42)이 구성한다. 상기 하우징측벽(42)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이어서 상기 베이스(12)의 바닥판(14)과 협력하여 식물포트(10)의 내부에 식생토공간(44)을 형성한다. 상기 식생토공간(44)에는 식물의 식재를 위한 식생토가 채워진다. 상기 하우징측벽(42)중에서 상기 하우징(40)의 정면 부분은 수평면에 대해서 예각의 경사를 가지도록 된다. 상기 하우징측벽(42)의 하우징(40) 정면부분 경사는 상기 하우징(40)의 외면을 따라 물이 흘러가도록 설정된다. 이는 도 2에서 잘 알 수 있다.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housing 40 constitutes the housing side wall 42. The housing side wall 42 is generally cylindrical in shape, and cooperates with the bottom plate 14 of the base 12 to form a vegetation soil space 44 inside the plant port 10. The vegetation soil space 44 is filled with vegetation soil for planting plants. The front part of the housing 40 of the housing side wall 42 has an acut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The inclination of the front portion of the housing 40 of the housing side wall 42 is set such that water flows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40. This can be seen well in FIG.

상기 하우징(40)의 상면에는 개구부(46)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6)는 상기 식생토공간(44)을 외부와 연통시킨다. 상기 개구부(46)는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데, 상기 하우징(40)을 도 2에서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상기 개구부(46)가 지면에 대해서 형성하는 각도는 식생토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안식각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An opening 46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40. The opening 46 communicates the vegetation soil space 44 with the outside. The opening 46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When the housing 40 is viewed from the side as shown in FIG. 2, the angle formed by the opening 46 with respect to the ground is such that vegetation soil does not flow down. It is good to have a repose angle.

상기 하우징(40)의 개구부(46) 내측에는 컵수용부(47)가 있다. 상기 컵수용부(47)는 상기 교환컵(60)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컵수용부(47)의 구성을 살펴본다. 상기 컵수용부(47)의 상부에는 상부연결테두리(48)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연결테두리(48)의 내면에는 나사부(50)가 형성되어 있다.There is a cup accommodating portion 47 inside the opening 46 of the housing 40. The cup accommodating part 47 is a portion where the exchange cup 60 is seated. Look at the configuration of the cup receiving portion 47. The upper connection border 48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t the top of the cup receiving portion 47. The threaded portion 5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onnecting edge 48.

상기 상부연결테두리(48)에서 연장되어 다수개의 하우징절단리브(52)가 있다. 상기 하우징절단리브(52)는 교환컵(60)을 회전시켜서 식물을 식생토공간(44)에서 빼낼 때, 식물의 뿌리를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절단리브(52)는 도 4 등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있다. 상기 하우징절단리브(52)는 본 실시례에서는 상부연결테두리(48)에서 경사지게 상기 식생토공간(44) 내부로 연장되다가 방향을 틀어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절단리브(52)는 각각이 'V'자 형상을 가진다. 상기 하우징절단리브(52)들이 전체적으로 형성하는 모양은 모종화분의 외관과 동일하게 된다.There are a plurality of housing cutting ribs 52 extending from the upper connecting edge 48. The housing cutting rib 52 serves to cut the root of the plant when the plant is removed from the vegetation soil space 44 by rotating the exchange cup 60. As shown in FIG. 4 and the like, the housing cutting ribs 52 have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intervals. The housing cutting rib 52 extends in the vegetation soil space 44 inclined from the upper connecting edge 48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ccordingly, the housing cutting ribs 52 each have a 'V' shape. The shape of the housing cutting ribs 52 as a whole is the same as the appearance of the seedlings.

상기 하우징절단리브(52)의 끝부분들은 하부연결테두리(5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하부연결테두리(54)의 직경은 상기 상부연결테두리(48)의 직경보다 작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컵수용부(47)는 일명 4치포트라고 부르는 모종화분과 모양은 같고 크기는 약간 크도록 된다. 상기 컵수용부(47)에 안착되는 교환컵(60)은 상기 모종화분과 동일한 모양과 크기로 된다.Ends of the housing cutting ribs 5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lower connecting edge 54. The diameter of the lower connecting border 54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connecting border 48. By such a configuration, the cup accommodating portion 47 is the same shape as the seedling pollen, which is called a four tooth pot, and is slightly larger in size. The exchange cup 60 seated on the cup accommodating portion 47 has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seedling pot.

상기 하우징(40)의 선단에는 선단편(56)이 있다. 상기 선단편(56)은 상기 개구부(46)의 가장자리중 일부가 더 돌출된 것으로 식생토공간(44)의 흙이 하우징(40)의 상부 선단을 통해 낙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선단편(56)에서 시작해서 상기 하우징(40)의 하부로 경사곡면(58)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곡면(58)은 상기 하우징측벽(42)의 외면과 같은 곡면이고, 상기 베이스(12)의 안내경사부(22)와 연속되는 곡면이다.At the tip of the housing 40 is a tip piece 56. The tip piece 56 is a part of the edge of the opening 46 to further protrude so that the soil of the vegetation soil space 44 does not fall through the upper tip of the housing 40. Starting from the tip piece 56, an inclined curved surface 58 is formed below the housing 40. The inclined curved surface 58 is the same curved surface as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side wall 42, and is a curved surface continuous with the guide inclined portion 22 of the base 12.

상기 교환컵(60)은 상기 하우징(40)의 컵수용부(47)에 수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식물이 식생토와 함께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식물은 모종화분에 심겨져서 자라던 것으로, 모종화분에 있는 식생토와 함께 교환컵(60)에 넣어서 상기 교환컵(60)을 컵수용부(47)에 회전시켜 안착시키도록 한다.The exchange cup 60 is accommodated in the cup accommodating portion 47 of the housing 40, the plant is located with the vegetation soil. Here, the plant is grown by being planted in seedling pots, and placed in the exchange cup 60 together with the vegetation soil in the seedling pots to rotate the exchange cup 60 in the cup accommodating part 47.

상기 교환컵(60)의 형상은 모종화분의 형상과 동일하다. 상기 교환컵(60)의 형상은 도 8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교환컵(60)의 골격을 컵몸체(62)가 형성한다. 상기 컵몸체(62)의 상단을 둘러서는 입구테두리(64)가 있다. 상기 입구테두리(64)는 링형상으로 된 것으로 외면에는 나사부(66)가 있다. 상기 입구테두리(64)의 나사부(66)는 상기 컵수용부(47)의 나사부(50)와 결합된다.The shape of the exchange cup 60 is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seedling pot. The shape of the exchange cup 60 is shown well in FIG. 8. The cup body 62 forms the skeleton of the exchange cup 60. There is an entrance border 64 surrounding the upper end of the cup body 62. The inlet edge 64 has a ring shape and has a threaded portion 66 on its outer surface. The threaded portion 66 of the inlet edge 64 is coupled to the threaded portion 50 of the cup receiving portion 47.

상기 입구테두리(64)에서 연장되어서 컵절단리브((68)가 있다. 상기 컵절단리브(68)는 상기 입구테두리(64)에서 시작해서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다가 중간부에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컵절단리브(68)의 반대쪽 단부들은 기저부테두리(69)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기저부테두리(69)도 상기 입구테두리(64)와 같은 형상인데, 단지 내경이 작다.There is a cup cutting rib 68 extending from the inlet edge 64. The cup cutting rib 68 extends inclined in one direction starting from the inlet edge 64 and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e middle portion. Opposite ends of the cup cutting rib 6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ase border 69. The base border 69 is also shaped like the inlet border 64, but with a small inner diameter.

여기서 상기 컵절단리브(68)는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는데, 위의 하우징절단리브(52)의 구성과 같이 'V'자 형상을 가진다. 하지만, 상기 컵절단리브(68)와 하우징절단리브(52)의 연장방향은 반대로 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컵절단리브(68)와 하우징절단리브(52)는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교차되게 만들어진다. 상기 컵절단리브(68)들이 전체적으로 형성하는 모양은 모종화분의 외관과 동일하게 된다.Here, the plurality of cup cutting ribs 68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have a 'V' shape a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cutting ribs 52. However,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up cutting rib 68 and the housing cutting rib 52 is reversed. In other words, the cup cutting rib 68 and the housing cutting rib 52 are made to cross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shape of the cup cutting ribs 68 as a whole is the same as the appearance of the seedlings.

참고로, 상기 컵절단리브(68)와 하우징절단리브(52)가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상으로 되지 않고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직선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컵절단리브(68)와 하우징절단리브(52)는 접촉되는 부분에서 교차되도록 하면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컵절단리브(68)와 하우징절단리브(52)의 연장방향을 달리하면 된다.For reference, the cup cutting rib 68 and the housing cutting rib 52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straight line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without being shaped as 'V'. Also in this case, the cup cutting rib 68 and the housing cutting rib 52 may be intersected at the contact portion. To this end, the cup cutting ribs 68 and the housing cutting ribs 52 may be extended in different directions.

한편, 도 9에는 하우징절단리브(52)와 컵절단리브(68)의 단면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절단리브(52)의 일측면과 컵절단리브(60)의 대응되는 일측면에는 각각 평면인 절단면(52',68')이 형성되어 서로 밀착된다. 이와 같이 절단면(52',68')이 밀착되어 있음으로 인해서 보다 넓은 면에서 접촉이 일어나면서 교환컵(60)의 내부와 외부 사이로 연장된 식물의 뿌리가 잘 절단될 수 있다. 상기 절단면(52',68')의 반대쪽으로는 단면이 아치형 곡면으로 되도록 하여 하우징절단리브(52)와 컵절단리브(68)의 강도를 상대적으로 높여주는 것이 좋다.9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ousing cutting rib 52 and the cup cutting rib 68. On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cutting rib 52 and a corresponding side surface of the cup cutting rib 60 are formed with plane cutting surfaces 52 'and 68', respectively,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s the cutting surfaces 52 ′ and 68 ′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roots of the plants extending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exchange cup 60 may be cut well while contact occurs on a wider surface. Opposite sides of the cutting surfaces 52 'and 68' may be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housing cutting ribs 52 and the cup cutting ribs 68 so that the cross section is an arcuate curved surface.

상기 하우징절단리브(52)는 상기 하우징(40)의 컵수용부(47)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되는데, 이에 의해 컵수용부(47)를 통해서 뿌리가 자유롭게 뻗을 수 있고 물의 통과 또한 자유롭게 된다. 상기 컵절단리브(68)도 역시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교환컵(60)에 구비되는데, 이에 의해 교환컵(60)의 내외부로 뿌리가 자유롭게 뻗을 수 있고 물의 통과 또한 자유롭게 된다.The housing cutting rib 52 is formed in a pluralit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up receiving portion 47 of the housing 40, whereby the root can be freely extended through the cup receiving portion 47 and also the passage of water Free The cup cutting ribs 68 are also provided in the exchange cup 60 so that a plurality of them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whereby the root can freely extend into and out of the exchange cup 60 and the passage of water is also free.

상기 베이스(12)의 수직벽(16) 배면에는 기판(70)이 설치된다. 상기 기판(70)은 상기 수직벽(16)의 상부에서 하부로 길게 연장되는데, 상기 통공부(26)와 팬설치부(34) 사이를 통과한다. 상기 기판(70)의 상단은 상기 상부적층걸이(30) 사이에 있고, 상기 기판(70)의 하단은 상기 하부적층걸이(32) 사이에 있다.The substrate 70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16 of the base 12. The substrate 70 extends lo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vertical wall 16 and passes between the through part 26 and the fan mounting part 34. An upper end of the substrate 70 is between the upper lamination hangers 30, and a lower end of the substrate 70 is between the lower lamination hangers 32.

상기 기판(70)에는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되어 본 발명 장치에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판(70)의 일측에는 usb연결커넥터(72)가 있다. 상기 usb연결커넥터(72)에는 본 발명 장치에서 필요한 광을 제공하는 조명등(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판(70)에는 전원잭 연결커넥터(74)도 있다. 상기 전원잭 연결커넥터(74)는 직류전원의 분배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가 수직으로 적층된 열 들끼리에서 직류전원의 분배를 하는 경우에 전원잭 연결커넥터(74)가 사용된다. 상기 기판(70)에는 팬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팬모터연결부(76)도 있다.Various components are installed on the substrate 70 to supply power and control necessary for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substrate 70 is a usb connector 72. The usb connection connector 72 may be connected to a lamp (not shown) that provides the light required by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trate 70 also has a power jack connection connector 74. The power jack connection connector 74 is used when DC power distribution is necessary. The power jack connection connector 74 is used whe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istributes DC power in vertically stacked rows. The substrate 70 also has a fan motor connector 76 for supplying power to the fan assembly.

상기 기판(70)의 상단에는 상부연결편(77)이 있고, 상기 기판(70)의 하단에는 하부연결편(78)이 있다. 상기 상부연결편(77)은 상대적으로 상부에 적층되어 있는 식물포트(10)의 하부연결편(78)과 접촉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즉, 상기 상부연결편(77)과 하부연결편(78)을 통해 수직으로 적층된 식물포트(10) 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상부연결편(77)이나 하부연결편(78)은 모두 도전성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적어도 일측에 탄성변형가능한 부분이 있어서 서로 접촉되었을 때 밀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상부연결편(77)이나 하부연결편(78)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탄성변형부가 있어서, 상부연결편(77)과 하부연결편(78)이 서로 결합되었을 때 탄성변형된 상태로 상대측에 밀착 접촉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An upper connection piece 77 is located at an upper end of the substrate 70, and a lower connection piece 78 is located at a lower end of the substrate 70. The upper connection piece 77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connection piece 78 of the plant port 10 which is relatively stacked on the top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That is,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plant ports 10 stacked vertically through the upper connection piece 77 and the lower connection piece 78. The upper connection piece 77 and the lower connection piece 78 are both made of a conductive metal and have at least on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at one side thereof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At least one side of the upper connection piece 77 or the lower connection piece 78 has an elastic deformation portion, when the upper connection piece 77 and the lower connection piece 78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in an elastically deformed stat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Do this.

상기 식물포트(10)의 베이스(12) 하부에는 물받이(8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80)는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가장 하부에 놓여지는 식물포트(10)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바닥에 식물포트(10)를 안착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이 주변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물받이(80)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The drip tray 8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base 12 of the plant port 10. The drip tray 80 is not necessarily used, but may be used for the plant pot 10 placed at the bottom. In particular, when using the plant port 10 seated on the floor it is preferable to use the water tray 80 so that water is not transferred to the surroundings.

상기 베이스(12)의 수직벽(16) 배면과 상기 하우징(40)의 일측면을 덮도록 안내덕트(82)가 설치된다. 상기 안내덕트(82)는 상기 팬설치부(34)에 있는 팬조립체에 의해 발생된 기류를 식물포트(10)의 전방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내덕트(82)에는 베이스안착부(84)가 있다. 상기 베이스안착부(84)는 상기 베이스(12)의 수직벽(16) 배면에 장착되어 상기 통공부(26)를 빠져나온 공기가 누설되지 않고 안내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안착부(84)는 상기 팬안착부(34)를 덮어서 정해진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되게 한다.The guide duct 82 is installed to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16 of the base 12 and one side of the housing 40. The guide duct 82 serves to deliver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fan assembly in the fan installation part 34 to the front of the plant port 10. The guide duct 82 has a base seating portion 84. The base seating part 84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16 of the base 12 so that the air exiting the through part 26 is guided without leakage. The base seating portion 84 covers the fan seating portion 34 to allow air to flow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상기 베이스장착부(84)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40)의 일측 하우징측벽(4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안내날개부(86)가 있다. 상기 안내날개부(86)는 상기 베이스장착부(84)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안내날개부(86)에 의해 상기 식생토공간에서 정화된 공기가 식물포트(10)의 전방으로 전달된다.The guide blade portion 86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se mounting portion 84 and faces the housing side wall 42 of the housing 4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guide blade 86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base mounting portion 84. The purified air in the vegetation soil space by the guide blade portion 86 is delivered to the front of the plant port (10).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공기정화장치를 적층하거나 벽에 걸어서 사용하는데, 관수는 최상부의 공기정화장치에 점적관수를 하여 차례로 하부의 공기정화장치로 물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상하로 위치되는 공기정화장치가 일직선으로 배치가 되지 않을 경우에는 하부의 공기정화장치로 물의 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air purifier is stacked or used on a wall. The irrigation water is drip irrigated to the upper air purifier so that water can be transferred to the lower air purifier in turn. However, when the air purifiers that are positioned up and down are not arranged in a straight line, water is not properly supplied to the lower air purifiers.

따라서, 변형된 실시례가 도 13과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상하로 배치되는 공기정화장치가 정확하게 상하로 일직선이 되지 않는 경우에 상부의 공기정화장치에서 하부의 공기정화장치로 물이 제대로 갈 수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상하로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사용하여도 상관없다.Thus, a modified embodiment is shown in FIGS. 13 and 14. This is to be used in such a case because the water can not go properly from the upper air purifier to the lower air purifier when the air purifier arranged up and down is not exactly straight up and down. Of course, you may use when it arrange | positions up and down in a straight line.

도 13과 14에 따르면, 상기 배수공(24)에 해당되는 위치에 배수관(24')을 일체로 상기 베이스(12)에 형성한다. 상기 배수관(24') 에는 유연한 호스(25)의 일단부가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0)의 상면중 상기 개구부(46)의 후단쪽, 즉 수직벽(16)에 인접한 위치에 연통공(46')을 형성한다. 상기 연통공(46')은 상기 호스(25)의 갯수와 같은 갯수가 만들어진다. 상기 연통공(46')은 상기 식생토공간(44)과 연통되어 상기 호스(25) 통해 온 물이 직접 식생토공간(44)으로 전달될 수 있다.13 and 14, a drain pipe 24 ′ is integrally formed in the base 1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rain hole 24. One end of the flexible hose 25 is fitted into the drain pipe 24 '. A communication hole 46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opening 46, that is, adjacent to the vertical wall 16,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40. The number of communication holes 46 'is made equal to the number of the hoses 25. The communication hole 46 ′ communicates with the vegetation soil space 44 so that water from the hose 25 may be directly transferred to the vegetation soil space 44.

한편, 상기 배수관(24')을 상기 베이스(12)에 일체로 형성하는 대신에 상기 물받이(80)와 유사하나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구성품(실질적으로 물받이)을 상기 베이스(12)의 하단에 장착하고, 이에 상기 호스(25)가 장착될 수 있는 배수관(24')을 둘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물받이(80)와 유사한 구성에 상부의 공기정화장치를 통과한 물이 모이고 이 물이 배수관(23')과 호스(25)를 통해 아래에 있는 공기정화장치의 연통공(46')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는 상하로 설치되는 공기정화장치 사이의 물전달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nstead of integrally forming the drain pipe 24 ′ on the base 12, a component (substantially drip tray) similar to the drip tray 80 but having a relatively small size is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base 12. In this case, the hose 25 may be provided with a drain pipe 24 ′. In this way,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upper air purifier in the configuration similar to the drip tray 80 collects and the water communicates with the drain pipe 23 'and the hose 25 through the bottom of the communication hole 46'. ) Can be entered. This ensures the water transfer between the air purifiers installed up and dow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ir purifier using the plant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used in detail.

먼저 식물포트(10)에 식물을 식재하는 것을 설명한다. 식물포트(10)의 식생토공간(44)에는 식생토가 채워져 있다. 식생토공간(44)에서 상기 컵수용부(47)의 내부를 제외한 영역에 주로 식생토가 채워진다. First, planting plants in the plant port 10 will be described. The vegetation soil space 44 of the plant pot 10 is filled with vegetation soil. In the vegetation soil space 44, the vegetation soil is mainly filled in an area except the inside of the cup receiving portion 47.

이 상태에서 모종화분에 있는 식생토와 식물을 꺼내어 상기 교환컵(60)내에 식생토가 위치되도록 하고 외부로는 식물이 돌출되어 있게 한다. 식물이 식재된 상기 교환컵(60)을 이 상태에서 상기 컵수용부(47) 내로 넣는다. 상기 컵수용부(47)의 내부로 상기 교환컵(60)이 거의 들어가서 상기 입구테두리(64)의 나사부(66)가 상기 컵수용부(47)의 상부연결테두리(48)에 있는 나사부(50)와 만나게 되면 상기 교환컵(60)을 회전시킨다. 상기 교환컵(60)이 회전되면서 상기 나사부(50,66)들이 서로 결합되어 체결된다. 상기 나사부(50,66) 사이의 연동에 의해 상기 교환컵(60)은 컵수용부(47) 내부로 밀려들어가면서 상기 컵수용부(47) 내에 있는 식생토를 상기 컵수용부(47) 외부로 밀어준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교환컵(60)은 상기 컵수용부(47) 내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40)에 결합된다.In this state, the vegetation soil and plants in the seedling pot are taken out so that the vegetation soil is positioned in the exchange cup 60 and the plants protrude outward. The exchange cup 60 in which the plant is planted is put into the cup accommodating part 47 in this state. The exchange cup 60 almost enters into the cup receiving portion 47 so that the threaded portion 66 of the inlet edge 64 is located on the upper connecting edge 48 of the cup receiving portion 47. When it meets with) rotates the exchange cup (60). As the exchange cup 60 is rotated, the screw portions 50 and 66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fastened. The exchange cup 60 is pushed into the cup accommodating part 47 by the interlocking between the screw parts 50 and 66, and the vegetation soil in the cup accommodating part 47 is moved out of the cup accommodating part 47. Push it up. In this way, the exchange cup 60 is coupled to the housing 40 in a state seated in the cup receiving portion 47.

식물포트(10)에 식재된 식물은 처음에는 뿌리가 상기 교환컵(60)내에만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상기 교환컵(60)과 컵수용부(47)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식생토공간(44) 내에 있는 식생토내로 뻗게 된다.Plants planted in the plant pot 10 initially have roots only in the exchange cup 60, but as time passes, the plant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exchange cup 60 and the cup receiving portion 47. 44) into the vegetation soil within.

식물이 너무 커지거나 식물이 고사한 경우에는 상기 교환컵(60)을 하우징(40)의 컵수용부(47)에서 빼내면 된다. 이때, 상기 교환컵(60)은 상기 컵수용부(47) 내에서 회전되게 하여야 한다. 이는 상기 나사부(50,66)가 서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나사부(50,66)가 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교환컵(60)을 회전시키면 상기 교환컵(60)이 상기 컵수용부(47)에서 밀려나와 상기 컵수용부(47)의 외부로 돌출된다.If the plant becomes too large or the plant dies, the exchange cup 60 may be removed from the cup accommodating part 47 of the housing 40. At this time, the exchange cup 60 should be rotated in the cup receiving portion 47. This is because the screw parts 50 and 66 are coupled to each other. When the exchange cup 6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crew portions 50 and 66 are loosened, the exchange cup 60 is pushed out of the cup receiving portion 47 and protrudes out of the cup receiving portion 47. .

한편, 상기 교환컵(60)이 상기 컵수용부(47) 내에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교환컵(60) 내에서 상기 컵수용부(47)를 관통하여 식생토공간(44) 내측의 연장된 뿌리들은 상기 하우징절단리브(52)와 컵절단리브(68)의 상대 이동에 의해 절단된다. 특히 하우징절단리브(52)와 컵절단리브(68)의 절단면(52',68') 들이 서로 밀착되어 상대 이동되면서 뿌리들이 절단된다.Meanwhile,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exchange cup 60 in the cup receiving portion 47, the exchange cup 60 extends inside the vegetation soil space 44 through the cup receiving portion 47 in the exchange cup 60. The roots are cut by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housing cutting rib 52 and the cup cutting rib 68. In particular, the cutting surfaces 52 'and 68' of the housing cutting rib 52 and the cup cutting rib 68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roots are cut.

상기 교환컵(60)과 컵수용부(47)를 통과해서 연장되어 있던 뿌리들이 절단되면 상기 교환컵(60)을 상기 컵수용부(47)에서 분리해 내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이는 교환컵(60) 내부에 있는 식생토와 식물의 뿌리가 상기 컵수용부(47) 외부에 있는 식생토 및 뿌리와 분리되기 때문이다. 상기 나사부(50,66)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상기 교환컵(60)을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교환컵(60) 내에 있는 식생토 및 뿌리가 컵수용부(47) 외부에 있는 식생토 및 뿌리와 상기 하우징절단리브(52)와 컵절단리브(68)의 상대 이동에 의해 분리되기 때문이다.When the roots extending through the exchange cup 60 and the cup accommodating part 47 are cut, the work of separating the exchange cup 60 from the cup accommodating part 47 becomes very easy. This is because the roots of vegetation soil and plants in the exchange cup 60 are separated from the vegetation soil and roots outside the cup accommodating portion 47. Vegetation soil and roots in the exchange cup 60 are rotated by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exchange cup 60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screw portions 50 and 66 is outside the cup receiving portion 47. And the housing cutting rib 52 and the cup cutting rib 68 are separated by relative movement.

이와 같이 하여 교환컵(60)을 하우징(40)에서 분리한 후에는 교환컵(60) 내에 있는 식생토와 식물을 제거하고 모종화분에 있는 새로운 식물을 교환컵(60)에 넣고 상기 컵수용부(47)에 교환컵(60)을 위치시키면 식물의 교체가 이루어진다.In this manner, after separating the exchange cup 60 from the housing 40, the vegetation soil and plants in the exchange cup 60 are removed, and the new plant in the seedling pot is placed in the exchange cup 60, and the cup receiving portion Placing the exchange cup 60 in the (47) is a replacement of the plant.

상기 식물포트(10)의 하우징(40)에 식재된 식물은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자라게 된다. 식물이 자라기 위해서는 물이 필요한데, 이 물은 다양한 방식으로 공급될 수 있다. 다수개의 식물포트(10) 또는 이 식물포트(10)를 구비한 공기정화장치의 최상부에서 물이 공급되면 상기 식생토공간(44)으로 물이 전달되고, 식생토공간(44) 내부에 있는 식생토 내에서 물이 흘러서 상기 베이스(12)의 바닥판(14)을 따라 흘러 상기 배수공(24)을 통해 빠져나간다. 상기 배수공(24)을 통해 빠져나간 물은 하부에 있는 다른 식물포트(10)의 식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물은 최상부의 식물포트(10)에서 최하부의 식물포트로 전달될 수 있다.Plants planted in the housing 40 of the plant port 10 will grow inclined upward toward the front. Plants need water to grow, which can be supplied in a variety of ways. When water is supplied from the plurality of plant ports 10 or the top of the air purifier having the plant ports 10, the water is transferred to the vegetation soil space 44, and the vegetation is in the vegetation soil space 44. Water flows in the soil along the bottom plate 14 of the base 12 and exits through the drain hole 24. Water exiting through the drain hole 24 is delivered to the plant of the other plant port 10 in the lower portion. In this manner, water may be transferred from the uppermost plant port 10 to the lowermost plant port.

한편, 공급된 물중에서 상기 식물에 묻었다가 상기 하우징(40)의 외면 즉 하우징측벽(42)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40)의 하우징측벽(42)으로 물이 전달되면 상기 하우징(40)이 가지는 경사 때문에 경사곡면(58)을 따라 흐르거나 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낙하하여 하부에 있는 식물 또는 식물포트(10)로 전달된다.Meanwhile, the plant may be buried in the supplied water and transfer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40, that is, the housing side wall 42. When water is transferred to the housing side wall 42 of the housing 40, the water flows along the inclined curved surface 58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housing 40, or when the amount of water is large, the plant or plant port may fall down. 10) is delivered.

상기 식생토공간(44)에 있는 식생토 내에서 식물의 뿌리의 작용에 의해 공기정화작용이 일어나는데, 이 정화된 공기는 상기 팬조립체의 동작에 의해 식생토공간(44)에서 통공부(26)를 지나 상기 안내날개부(86)에 의해 안내되어 식물포트(10)의 전방으로 전달된다.The air purification occurs by the action of the roots of the plant in the vegetation soil in the vegetation soil space 44, the purified air is a hole (26) in the vegetation soil space 44 by the operation of the fan assembly It is guided by the guide wing 86 passing through the front of the plant port 10.

본 발명에서 상기 식물포트(10)는 다수개가 차례로 적층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상부에 있는 식물포트(10)의 하부적층걸이(32)와 하부에 있는 식물포트(10)의 상부적층걸이(30)가 서로 결합됨에 의해 적층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상부적층걸이(30)의 상부걸이턱(30')의 완만한 경사부분이 상기 하부적층걸이(32)의 하부걸이턱(32')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상부적층걸이(30)가 탄성변형되고, 상기 상부걸이턱(30')의 가장 돌출된 부분이 상기 하부걸이턱(32')을 통과하면 급격한 경사부분이 상기 하부걸이턱(32')에 걸어지면서 상부적층걸이(30)와 하부적층걸이(32) 사이의 결합이 완성된다. 식물포트(10)가 다수개 적층된 상태는 도 11에 잘 도시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t pot 10 may be us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plants in sequence. This can be maintained in a stacked state by the lower stacking hanger 32 of the plant pot 10 in the upper portion and the upper stacking hanger 30 of the plant pot 10 in the lower portion is coupled to each other. The gentle inclined portion of the upper hanger jaw 30 'of the upper stacked hanger 30 is guided along the lower hanger jaw 32' of the lower stacked hanger 32 and the upper stacked hanger 30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most protruding portion of the upper hanger jaw 30 'passes through the lower hanger jaw 32', an abrupt inclined portion hangs on the lower hanger jaw 32 'and the upper stacked hanger 30 and the lower portion. Bonding between the stacking hooks 32 is completed. The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plant pots 10 are stacked is well illustrated in FIG. 11.

상기 식물포트(10)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될 때, 상기 기판(70)은 적층된 식물포트(10)들의 것이 차례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는 상기 기판(70)에 상부연결편(77)과 하부연결편(78)이 있어서, 상부의 기판(70)과 하부의 기판(70)이 상기 상부연결편(77)과 하부연결편(78)에 의해 서로 접촉되기 때문이다. 즉, 상부연결편(77)과 하부연결편(78)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탄성변형가능한 부분이 탄성변형된 상태로 상기 상부연결편(77)과 하부연결편(78) 사이가 밀착되도록 하여 기판(70)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연결은 상하로 연결되는 공기정화장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여 어느 하나의 기판(70)으로만 전원이 공급되면 전체 기판(70)으로 전원이 공급된다.When the plant pots 10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ubstrate 7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tacked plant pots 10 in turn. The substrate 70 has an upper connection piece 77 and a lower connection piece 78, so that the upper substrate 70 and the lower substrate 7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upper connection piece 77 and the lower connection piece 78. Because it is contacted. That is, the substrate 70 may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connection piece 77 and the lower connection piece 78 while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of at least one of the upper connection piece 77 and the lower connection piece 78 is elastically deformed. Make electrical connections. Such a connection is performed by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air purifiers connected up and down, and when only one substrate 70 is supplied with power, power is supplied to the entire substrate 70.

상기 기판(70)에 있는 USB연결커넥터(72)에는 USB커넥터를 사용하여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악세사리들을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조명등을 상기 USB연결커넥터(72)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DC잭 연결커넥터에는 하나의 공기정화장치의 좌우에 위치에는 다른 공기정화장치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DC잭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DC잭연결커넥터가 있음으로 해서 인접한 공기정화장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팬모터연결부(76)에는 각각의 공기정화장치에 있는 팬조립체의 커넥터를 연결하여 팬조립체를 구동시킬 수 있다.The USB connection connector 72 on the substrate 70 may use various accessories that can be connected using the USB connector. Representatively, a lamp may be used by connecting to the USB connection connector 72. A DC jack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another air purifier may be connected to the DC jack connection connector at left and right positions of one air purifier. As such, the presence of the DC jack connection connector facilitates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djacent air purifiers. The fan motor connection unit 76 may connect the connector of the fan assembly in each air purifier to drive the fan assembly.

그리고, 도 1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는데, 하나의 식물포트(10)에 교환컵(60)이 2개 사용되는 것이다. 물론, 교환컵(60)의 갯수는 더 많이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교환컵(60)들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기판(70)을 설치할 수 있어서 기판(70)이 통공부(26)를 가리지 않게 된다. 참고로 도 12에는 2개의 교환컵(60)이 사용되고 있으나, 하나의 공기정화장치에 교환컵(60)을 3개 등 다수개 사용할 수도 있다.12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wo exchange cups 60 are used in one plant port 10. Of course, the number of exchange cups 60 may be more. In this case, the substrate 70 may be install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exchange cups 60 so that the substrate 70 does not cover the through hole 26. For reference, although two exchange cups 60 are used in FIG. 12, a plurality of exchange cups 60 may be used in one air purifier.

또한, 도 13에 도시된 변형례에서는 상하로 배치되는 공기정화장치가 일직선을 이루지 않고 벗어난 경우에 확실한 관수를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호스(25)를 유연한 것으로 사용하고 상부에 있는 공기정화장치의 배수관(24')을 통해서 물이 빠짐없이 호스(25)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공기정화장치가 상하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배치된 경우에도 배수관(24'), 호스(25), 연통공(46')을 사용하여 관수를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odified example shown in FIG. 13, when water purifying arrangement | positioning up and down does not form a straight line, reliable watering can be performed. This is because the hose 25 is used as a flexible material and water can be delivered to the hose 25 without draining out through the drain pipe 24 'of the air purifier in the upper portion. Of course, even when the air purifier is disposed in a straight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water can be drained using the drain pipe 24 ', the hose 25, the communication hole 46'.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described that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or operated in on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In other word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In addition, the terms "comprise",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nd thus excludes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instea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used generally,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상기 베이스(12)의 구성을 달리하여 식물포트(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베이스(12)에는 바닥판(14)에 해당하는 구성만이 있어서, 상기 하우징(40)의 하부를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12)를 하우징(40)과 분리되게 하면 하우징(40) 내부에서 식생토공간(44)중 컵수용부(47) 외측에 있는 식생토의 교환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된다.For reference, the plant port 10 may be configured by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se 12. That is, the base 12 has only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plate 14, so as to configure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40. When the base 12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40, the vegetation soil in the cup receiving portion 47 outside of the vegetation soil space 44 in the housing 40 is relatively easy.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하우징(40)에 상기 컵수용부(47)가 일체로 되어 있으나, 별개로 만들어져 하우징(40)에 결합될 수도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up receiving portion 47 is integral with the housing 40, but may be made separately and coupled to the housing 40.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하우징(40)의 컵수용부(47)에 교환컵(60)이 장착되고 분리될 때 나사부(50,66)를 사용하였으나, 반드시 나사부(50,66)를 사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교환컵(60)이 컵수용부(47)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 회전하여 교환컵(60)과 컵수용부(47) 측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걸림구조들이 걸어지는 방식으로 장착되고 분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걸림구조들은 상기 교환컵(60)이 컵수용부(47)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걸어주는 역할을 한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when the exchange cup 60 is mounted to and removed from the cup receiving portion 47 of the housing 40, the screw portions 50 and 66 are used, but the screw portions 50 and 66 must be used. Instead, the locking cups are rotated at an angle in a state where the exchange cup 60 is inserted into the cup receiving portion 47 so that the locking structures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exchange cup 60 and the cup receiving portion 47 are walked. It can also be mounted and detached. The locking structures serve to hang the exchange cup 60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cup receiving portion 47.

10 : 식물포트 12: 베이스
14: 바닥판 16: 수직벽
18: 측벽 20: 경사면
22: 안내경사부 24: 배수공
24': 배수관 25: 호스
26: 통공부 28: 장착걸이
30: 상부적층걸이 30': 상부걸이턱
32: 하부적층걸이 32': 하부걸이턱
34: 팬설치부 36: 수평리브
38: 수평레그 40: 하우징
42: 하우징측벽 44: 식생토공간
46: 개구부 46': 연통공
47: 컵수용부 48: 상부연결테두리
50: 나사부 52: 하우징절단리브
52': 절단면 54: 하부연결테두리
56: 선단편 58: 경사곡면
60: 교환컵 62: 컵몸체
64: 입구테두리 66: 나사부
68: 컵절단리브 68': 절단면
69: 기저부테두리 70: 기판
72: USB연결커넥터 74: DC잭 연결커넥터
76: 팬모터연결부 77: 상부연결편
78: 하부연결편 80: 물받이
82: 덕트 84: 베이스장착부
86: 안내날개부
10: plant pot 12: base
14: bottom plate 16: vertical wall
18: side wall 20: slope
22: guide slope 24: drain hole
24 ': drain pipe 25: hose
26: through hole 28: mounting hook
30: upper laminated hanger 30 ': upper hanger jaw
32: lower stacking hook 32 ': lower stacking jaw
34: fan mounting part 36: horizontal rib
38: horizontal leg 40: housing
42: housing side wall 44: vegetation soil space
46: opening 46 ': communication hole
47: cup receiving portion 48: upper border
50: thread 52: housing cutting rib
52 ': Cutting surface 54: Bottom connection frame
56: tip 58: sloped surface
60: exchange cup 62: cup body
64: entrance border 66: thread
68: cup cutting rib 68 ': cutting surface
69: base border 70: substrate
72: USB connector 74: DC jack connector
76: fan motor connector 77: upper connecting piece
78: lower connecting piece 80: drip tray
82: duct 84: base mounting portion
86: guide wing

Claims (10)

내부에 식생토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컵수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내부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에서 상기 컵수용부에 위치되어 식물을 하우징에 위치시키고 컵수용부에서 분리되어 식물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교환컵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식생토공간의 하부를 형성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서 직립되는 수직벽을 포함하는 베이스와,
상기 수직벽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부에 있는 공기정화장치와 결합가능한 상부적층걸이와,
상기 수직벽의 하단에 구비되어 하부에 있는 공기정화장치와 결합가능한 하부적층걸이와,
상기 수직벽에 설치되고 상단이 상기 상부적층걸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고 전기적 연결을 위한 상부연결편이 상단에 설치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적층걸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고 전기적 연결을 위한 하부연결편이 하단에 설치되어 상하로 적층되는 공기정화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판과,
상기 베이스의 수직벽 배면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과 마주보게 설치되어 상기 수직벽 배면에 설치된 팬조립체에 의해 형성된 기류를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안내하는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연결편과 하부연결편중 적어도 일측에는 탄성변형부가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편과 하부연결편이 결합될 때 탄성변형되어 상부연결편과 하부연결편이 서로 밀착되게 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A housing having a cup receiving portion having a vegetation soil space formed therein and an opening formed thereon;
An exchange cup which is located in the cup receiving part while the plant is planted therein so that the plant is placed in the housing and separated from the cup receiving part so as to exchange plants;
A base including a bottom plate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coupled to the housing to form a lower portion of the vegetation soil space, and a vertical wall standing upright from the bottom plate;
An upper lamination hanger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wall to be coupled to an air purifying devic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lower lamination hange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wall to be able to be combined with an air purifying device at a lower part thereof;
It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wall and the upper end is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laminated hanger, the upper connecting piece for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installed at the top, the lower end is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laminated hanger, and the lower connecting piece for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at the bottom A substrate which is install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air purifiers stacked up and down,
A duct installed to face the vertical wall rear surface of the base and on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to guide air flow formed by a fan assembly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to the front of the housing,
At least one side of the upper connection piece and the lower connection piece has an elastic deformation portion when the upper connection piece and the lower connection piece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upper connection piece and the lower connection piece using the plan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토공간에서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수직벽에는 소정 영역에 통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공부에 해당되는 영역에는 팬조립체가 설치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The air of claim 1, wherein a through-hole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a vertical wall of the base to discharge the purified air from the vegetation soil space to the outside, and a fan assembly is install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hole. Purifier.
삭제dele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팬조립체와 통공부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The air purifier of claim 3, wherein the substrate is installed between the fan assembly and the through ho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커넥터가 설치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The air purifier of claim 5, wherein the substrate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connector for connection to the outsi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벽의 상단 배면에는 장착걸이가 더 구비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Th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further includes a mounting hook.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바닥판은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선단에는 안내경사부가 있고 상기 안내경사부에는 배수공이 형성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Th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bottom plate of the base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tip, and a guide slope is formed at the tip and a drain hole is formed at the guide slope.
제 1 항, 제 3 항, 제 5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바닥판 선단에는 배수관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관에는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진 호스의 일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호스의 타단부는 하부에 있는 공기정화장치의 하우징에 형성된 연통공에 연결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5 to 8, the bottom end of the bottom plate of the base is provided with a drain pipe, the drain pipe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hos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e other end of the air purifier using a plan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the housing of the air purifier in the lower portion.
제 1 항, 제 3 항, 제 5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바닥판에 장착되는 물받이에는 하우징 내외부를 통해 전달된 물이 모여지고, 상기 물받이의 바닥에서 하부로 배수관이 연장되고, 상기 배수관에는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진 호스의 일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호스의 타단부는 하부에 있는 공기정화장치의 하우징에 형성된 연통공에 연결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5 to 8, the drip tray mount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base collects the water delivered throug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housing, the drain pipe from the bottom of the drip tray to the bottom The extended, the drain pipe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hos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e other end of the hose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a plan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the housing of the air purification device at the bottom.
KR1020190010655A 2019-01-28 2019-01-28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nt KR1020385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655A KR102038523B1 (en) 2019-01-28 2019-01-28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655A KR102038523B1 (en) 2019-01-28 2019-01-28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523B1 true KR102038523B1 (en) 2019-10-30

Family

ID=68463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655A KR102038523B1 (en) 2019-01-28 2019-01-28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52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513B1 (en) * 2020-11-20 2021-03-15 (주)에코피플 Plant cultivation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040B1 (en) 2012-08-13 2014-09-18 주식회사 세파란 Wall-greening system for indoor air cleaning
KR101460596B1 (en) * 2014-03-18 2014-11-12 (주)새텍 pot for air-conditioning and air-conditioning system with the same
KR20170001487A (en) 2015-06-26 2017-01-04 테라아미주식회사 Plant cultivation flower pot for air purification
KR20170004190A (en) 2015-07-01 2017-01-11 테라아미주식회사 Vegetated wall filtration apparatus and a natural air supplying heat exchange ventilation effect system using the same
KR101738033B1 (en) 2014-03-06 2017-05-22 (주)에코시티 Tray for greening, pot for greening and gree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70115412A (en) * 2016-04-07 2017-10-17 테라아미주식회사 Rack hooks for setting up plant cultivation flower pots for air purification and the flower po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rack hook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040B1 (en) 2012-08-13 2014-09-18 주식회사 세파란 Wall-greening system for indoor air cleaning
KR101738033B1 (en) 2014-03-06 2017-05-22 (주)에코시티 Tray for greening, pot for greening and gree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460596B1 (en) * 2014-03-18 2014-11-12 (주)새텍 pot for air-conditioning and air-conditioning system with the same
KR20170001487A (en) 2015-06-26 2017-01-04 테라아미주식회사 Plant cultivation flower pot for air purification
KR20170004190A (en) 2015-07-01 2017-01-11 테라아미주식회사 Vegetated wall filtration apparatus and a natural air supplying heat exchange ventilation effect system using the same
KR20170115412A (en) * 2016-04-07 2017-10-17 테라아미주식회사 Rack hooks for setting up plant cultivation flower pots for air purification and the flower po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rack hook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513B1 (en) * 2020-11-20 2021-03-15 (주)에코피플 Plant cultiv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09581B (en) Vertical wall flowerpot and flowerpot scaffold thereof
KR101441040B1 (en) Wall-greening system for indoor air cleaning
US9578819B2 (en) Pressurized growing air system for vertical and horizontal planting systems
KR100771486B1 (en) Planter assembly structure
KR101975248B1 (en) Plant cultivation flower pot for air purification
KR102103923B1 (en) Plant cultivating device and air purifying device using thereof
KR101656751B1 (en) Plant cultivation flower pot for air purification and the indoor garden system using the flower pot
KR102076358B1 (en) Wall greening system and air purification system
KR20140145494A (en) Air cleaner using plants
KR20210108647A (en) Apparatus for purifying air with plant and mist
KR101460596B1 (en) pot for air-conditioning and air-conditioning system with the same
JP6745626B2 (en) Air purification greening device
KR102038523B1 (en)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nt
KR101510463B1 (en) Multi layer flowerpot
KR20150141308A (en) Humidifier-type air cleaner
KR102257401B1 (en) Rack hooks for setting up plant cultivation flower pots for air purification and the flower po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rack hooks
US20230059821A1 (en) Automated growing systems
KR20190140127A (en) Wall garden equipment
KR101128824B1 (en) Port apparatus for air cleaner using plant and multi filter
KR102002868B1 (en) Plant pot and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nt
KR101817508B1 (en) wall afforestation flower pot assembly for improved indoor environment using rhizosphere of plants
KR200493876Y1 (en) Ceiling greening system
KR102384078B1 (en) Vertical Type Modular Planter Capable of Fine Dust Removing Function
KR20160058505A (en) Wall afforestation flower pot assembly for improved indoor environment using rhizosphere of plants
KR101368186B1 (en) Sloped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