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033B1 - Tray for greening, pot for greening and gree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ray for greening, pot for greening and gree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033B1
KR101738033B1 KR1020150031692A KR20150031692A KR101738033B1 KR 101738033 B1 KR101738033 B1 KR 101738033B1 KR 1020150031692 A KR1020150031692 A KR 1020150031692A KR 20150031692 A KR20150031692 A KR 20150031692A KR 101738033 B1 KR101738033 B1 KR 101738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water
chamber
partition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16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05253A (en
Inventor
김석우
야스시 우에다
최정훈
홍성수
Original Assignee
(주)에코시티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시티,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에코시티
Priority to PCT/KR2015/00221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133871A1/en
Publication of KR20150105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2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0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01G1/00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포트실과 연통하는 개구의 가장자리로부터 오르막 경사지게 돌출된 포트 삽입관 및 상측의 급수실로부터 포트실에 물을 공급하는 낙수부를 갖는 트레이, 포트 삽입관에 바닥 측부터 진입되어 트레이의 개구에 입구가 상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삽입되며 내부로의 물 유입을 위한 다공 구조 및 유입된 물을 받는 집수커버를 갖는 포트, 출구가 포트에 수용되는 식생배지와 접촉하도록 낙수부로부터 연장된 유도관을 이용하는 물 공급구조, 이러한 트레이, 포트 및 물 공급구조를 포함하는 녹화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y having a port insertion tube protruding up and down from an edge of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a port chamber and a water dropping portion for supplying water to the port chamber from an upper water supply chamber, A port having an inlet facing upward and having a porous structure for water inflow into the inside and a water collecting cover for receiving inflow water, and a guide pipe extending from the water dropping portion to come in contact with the vegetation medium in which the outlet is received in the port A water supply structure, a tray, a port, and a water supply structure.

Figure R1020150031692
Figure R1020150031692

Description

녹화용 트레이,녹화용 포트 및 이를 포함하는 녹화장치 {TRAY FOR GREENING, POT FOR GREENING AND GREE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rding tray, a recording port, and a recording apparatus including the recording tray,

본 발명은 녹화(綠化, greening)에 이용되는 트레이, 포트 및 이를 포함하는 녹화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y, a port, and a record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hich are used for greening.

근래 들어, 공업개발이나 택지개발 따위로 파괴되는 자연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벽면녹화, 옥상녹화 등의 녹화산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protect the natural environment, such as industrial development and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the greening industry such as the wall greening and the roof greening is actively proceeding.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5186617호에는 직사각형의 패널(12)과 복수의 포켓(14)으로 구성된 벽면녹화용 식재패널(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이 제시되어 있다.(도 1 참조)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5186617 discloses a planting panel for wall surface record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rior art) composed of a rectangular panel 12 and a plurality of pockets 14. (See Fig. 1)

패널(12)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개구(16)를 갖고, 패널(12)의 배면에는 복수의 개구(16)와 연통하는 격자형의 홈(18)이 형성된다. 복수의 포켓(14)은 패널(12)의 정면에 설치된다. 복수의 포켓(14)은 각각 개구(16)의 하부를 감싼 상태로 전방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각각의 포켓(14)에는 식물이 식재된다. 패널(12)의 배면 측에서 물을 공급하면, 공급된 물은 격자형의 홈(18)과 연통하는 개구(16)를 통하여 포켓(14)에 제공된다.The panel 12 has a plurality of openings 16 spaced from each other and a grid-shaped groove 18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openings 16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panel 12. [ A plurality of pockets (14) are provided on the front face of the panel (12). Each of the plurality of pockets 14 has a structure in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16 is surrounded and projected forward. Plants are planted in each pocket 14. When the water is supplied from the back side of the panel 12, the supplied water is supplied to the pockets 14 through the openings 16 communicating with the lattice-shaped grooves 18.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복수의 포켓(14)에 물을 균일한 양으로 공급하기 어렵고 공급된 물이 장시간 고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관리가 요구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식물이 포켓(14)의 상측으로 식재되므로 녹화 후에도 포켓(14)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is difficult to supply water in a uniform amount to the plurality of pockets 14, and the supplied water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so that there is a need for management of the user. Also, since the plant is pla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pocket 14,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cket 14 is exposed to the outside even after the record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관수, 식생 및 시공 면에서 보다 유리한 녹화용 트레이, 녹화용 포트 및 이를 포함하는 녹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ording tray, a recording port, and a recording apparatus including the recording tray, which are more advantageous in watering, vegetation and construc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matter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식물의 식재를 위한 포트(pot)가 삽입되는 개구 및 상기 개구와 연통되어 상기 개구에 삽입된 포트를 수용하는 포트실을 갖고, 상기 포트실의 상측에 배치된 급수실을 가지며, 상기 급수실과 상기 포트실 사이에서 상기 급수실에 공급되는 물을 낙하시켜 상기 포트실에 제공하는 낙수부를 갖는 녹화용 트레이(tray)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ttery having an opening into which a pot for planting a plant is inserted and a port chamber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to receive a port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a water drop tray provided between the water supply chamber and the port chamber for dropping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chamber and providing the water to the port chamb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화용 트레이는, 빈 내부공간을 갖는 트레이 바디(tray body) 및 상기 트레이 바디의 빈 내부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칸막이를 포함하고, 상기 상, 하부공간을 각각 상기 급수실과 상기 포트실로 하며, 상기 트레이 바디의 정면에 상기 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칸막이에 상기 낙수부가 마련될 수 있다.The recording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y body having an empty internal space and a partition dividing the empty internal space of the tray body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Respectively, and the opening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ray body, and the water dropp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partition.

상기 낙수부는 상기 칸막이에 관통되어 상기 급수실과 상기 포트실을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낙수구멍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낙수구멍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고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두 가로방향 슬릿(slit)과; 상기 두 가로방향 슬릿 사이에서 상기 두 가로방향 슬릿을 연결하는 세로방향 슬릿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water dropping portion may have at least one or more first water drop holes penetrating the partition to communicate the water supply chamber and the port chamber. The first drop hole includes two lateral slits spaced apart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form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 longitudinal slit connecting the two lateral slits between the two lateral slits.

상기 급수실의 바닥을 구성하는 칸막이의 상면은 상기 제1낙수구멍을 향하여 내리막 경사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forming the bottom of the water supply chamber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irst drop hole.

상기 포트실의 천장을 구성하는 칸막이의 하면에는 상기 제1낙수구멍에 연결되어 상기 제1낙수구멍으로부터의 물을 상기 포트실에 수용되는 포트 측으로 유도하는 제1유도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도관은 상기 포트의 개방영역(바닥이나 벽체의 다공 구조에 의하여 마련된 개방부)을 통하여 상기 포트의 내부공간으로 진입되어 끝이 상기 포트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식생배지와 접촉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유도관은 관로가 입구에서 출구 측으로 갈수록 확장될 수 있다.And a first induction pipe connected to the first drop hole and guiding water from the first drop hole to a port side accommodated in the port chamber may b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partition forming the ceiling of the port chamber. The first induction pipe has a length that is in contact with the vegetation medium which enter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port through the open area of the port (the opening formed by the porous structure of the floor or the wall) Lt; / RTI > The first induction pipe can be extended as the conduit goes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상기 낙수부는 상기 칸막이에 관통되어 상기 급수실과 상기 포트실을 연통시키는 제2, 제3 및 제4낙수구멍을 가질 수 있다.The water dropping portion may have second, third, and fourth drop holes penetrating the partition to communicate the water supply chamber and the port chamber.

상기 제1낙수구멍은 두 개가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낙수구멍은 상기 전방과 후방의 제1낙수구멍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3낙수구멍은 상기 후방의 제1낙수구멍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4낙수구멍은 두 개가 상기 제2낙수구멍의 좌우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outlet port is disposed at a distan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second outlet port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first outlet ports, and the third outlet port is disposed at the rear first outlet port And two of the fourth drop holes may be disposed at the left and right of the second drop hole, respectively.

상기 포트실의 천장을 구성하는 칸막이의 하면에는 상기 제2 내지 제4낙수구멍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2 내지 제4낙수구멍으로부터의 물을 상기 포트실에 수용되는 포트 측으로 유도하는 제2, 제3 및 제4유도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와 제3유도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포트의 개방영역을 통하여 상기 포트의 내부공간으로 진입되어 끝이 상기 포트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식생배지와 접촉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And second and fourth drainage holes connected to the second through fourth drainage holes for guiding water from the second through fourth drainage holes to a port side accommodated in the port chamber, respectively, on a lower surface of a partition forming a ceiling of the port chamber, 3 and a fourth induction pipe may be provided.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and third induction pipes may have a length in contact with the vegetation medium which enters the inner space of the port through the open area of the port and the end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po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화용 트레이는 상기 칸막이에 관통된 상태로 상기 칸막이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버플로관(overflow pip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관은, 상기 제2낙수구멍에 연결된 1차 오버플로관, 상기 제3낙수구멍에 연결된 2차 오버플로관 및 상기 제4낙수구멍에 연결된 3차 오버플로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recording tr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verflow pipe protruding upward from the partition wall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partition. The overflow pipe may be composed of a first overflow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hole, a second overflow pipe connected to the third water hole, and a third overflow pipe connected to the fourth water hole.

상기 2차 오버플로관은 입구의 위치가 상기 1차 오버플로관의 입구에 비하여 높고, 상기 3차 오버플로관은 입구의 위치가 상기 2차 오버플로관의 입구에 비하여 높을 수 있다. 상기 1차 오버플로관 및 상기 2차 오버플로관은 입구가 상기 1차 오버플로관의 상단 및 상기 2차 오버플로관의 상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1차 오버플로관의 상단과 상기 2차 오버플로관의 상단은 후방을 향하여 오르막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inlet of the second overflow pipe may be higher than the inlet of the first overflow pipe and the position of the inlet of the third overflow pipe may be higher than the inlet of the second overflow pipe. Wherein the first overflow pipe and the second overflow pipe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an inlet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overflow pipe an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overflow pipe, The upper end of the overflow pipe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upwards toward the rea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포트 입구를 갖는 테두리부재와; 상기 테두리부재와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된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와 상기 테두리부재 사이에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된 상태로 상기 바닥부재와 상기 테두리부재에 양쪽이 각각 연결되어 물의 유입 및 유출이 가능한 포트 벽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녹화용 포트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iner comprising: a frame member having a port inlet; A bottom member disposed so as to face the frame member at an interval;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constituting a port wall which is connected to both the bottom member and the frame member so as to be able to flow in and out of the water, while being arranged between the bottom member and the frame member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recording port may be provided.

상기 바닥부재는 다공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재, 상기 바닥부재 및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에 의하여 한정된 내부공간은 식생배지가 수용되는 식생실이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식생실 측을 향하는 내측에 상기 식생실에 수용되는 식생배지와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볼록부가 마련될 수 있다.The bottom member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orous structure. Wherein the inner space defined by the rim member, the bottom member,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is a vegetation room in which the vegetation medium is accommodated,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is located inside the vegetation room A convex portion for reduc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accommodated vegetation medium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하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복수의 트레이를 갖고, 벽면에 한쪽방향으로 연속으로 설치된 복수의 트레이 어셈블리(tray assembly)와; 상기 트레이에 각각 거치되며, 식물이 식재되는 포트와; 상기 포트에 식재된 식물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관수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의 각 트레이는, 정면에 상기 포트가 바닥 측부터 삽입되는 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개구와 연통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트레이 바디와; 상기 트레이 바디의 내부공간을 상기 개구와 연통되어 상기 포트를 수용하는 하측의 포트실과 상측의 급수실로 구획하는 칸막이와; 상기 칸막이에 구비되고, 상기 급수실에 공급되는 물을 낙하시켜 상기 포트실에 제공하는 낙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수기구는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의 최상측 트레이의 급수실에 각각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최상측 트레이의 급수실에 공급된 물은 상기 최상측 트레이의 하측으로 위치되는 트레이에 순차적으로 전달되는 녹화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y assembly comprising: a plurality of tray assemblies having a plurality of tray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A tray to which the plants are planted; Wherein each tray of the tray assembly is provided with an opening in which the port is inserted from the bottom side and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pening and which has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A tray body having an open interior space; A partition for communicating the inner space of the tray body with the lower port chamber for receiving the port and the upper water supply chamber in communication with the opening; And a water dropping unit provided in the partition and dropping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chamber to provide the water to the port chamber, wherein the watering mechanism is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supply chamber of the uppermost tray of the tray assembly,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chamber of the uppermost tray may be sequentially delivered to the tray positioned below the uppermost tra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의 각 트레이는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오르막 경사지게 돌출된 포트 삽입관을 더 포함하여, 상기 포트는 상기 개구에 포트 입구가 상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삽입되고, 상기 포트는 포트 바닥 및 포트 벽체가 다공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Each tray of th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ort insertion tube protruding upwardly from an edge of the opening in an upward direction so that the port is inclinedly inserted into the opening such that the port inlet faces upward , The por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ort bottom and the port wall have a porous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의 포트는, 상기 포트 입구를 갖는 테두리부재와; 상기 다공 구조의 포트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와 상기 테두리부재 사이에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된 상태로 상기 바닥부재와 상기 테두리부재에 양쪽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다공 구조의 포트 벽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 port of a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member having the port entrance; A bottom member constituting a port bottom of the porous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which are connected to the bottom member and the frame membe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bottom member and the frame member to constitute the port wall of the porous structure ha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의 포트는 상기 개구에 경사지게 삽입된 때 상기 테두리부재, 상기 바닥부재 및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에 의하여 한정된 내부공간의 하부에 집수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포트 바닥과 상기 포트 벽체의 일부에 걸쳐 상기 포트 바닥과 상기 포트 벽체의 다공 구조를 형성하는 구멍을 차폐하는 집수커버가 마련될 수 있다.The port of th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port is inclinedly inserted into the opening, a collecting space is formed below the inner space defined by the frame member, the bottom member, A water collecting cover for shielding a hole forming a porous structure of the port bottom and the port wall may be provided over a part of the port wall.

상기 집수커버는, 상기 포트 바닥에 구비된 바닥 커버 및 상기 바닥 커버와 연결되며 상기 포트 벽체에 구비된 벽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 커버의 외측 중앙부에는 상기 포트 바닥의 중심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배수홈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 커버의 내측 중앙부에는 상기 포트 벽체의 길이방향으로 집수홈부가 마련될 수 있다.Wherein the water collecting cover includes a bottom cover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port and a wall cover connected to the bottom cover, the wall cover being provided at an outer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cover in a radial direction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port, An additional portion may be provided. In addition, a water collecting groove may b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t wall at an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wall cov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는 상기 개구를 통한 상기 포트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for limiting an insertion depth of the port through the opening.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최상측 트레이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급수실을 덮는 트레이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ay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tray cover coupled to an open upper portion of the uppermost tray to cover the water supply chamber.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는 최하측 트레이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된 드레인 커버(drain cov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수기구는 상기 드레인 커버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회수하여 상기 최상측 트레이의 급수실에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Wherein the tray assembly further includes a drain cover coupled to an open lower portion of the lowermost tray, wherein the irrigation mechanism is adapted to recover the water drained from the drain cover and to supply the water to the water supply chamber of the uppermost tray Lt; / RTI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식물의 식재를 위한 포트와; 정면에 상기 포트가 바닥 측부터 삽입되는 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와 연통되어 상기 개구에 삽입된 포트를 수용하는 포트실 및 상기 포트실의 상측에 배치된 급수실을 가지며, 상기 급수실과 상기 포트실 사이에서 상기 급수실에 공급되는 물을 낙하시켜 상기 포트실에 제공하는 낙수부가 구비된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오르막 경사지게 돌출된 포트 삽입관을 가져, 상기 포트는 상기 개구에 포트 입구가 상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삽입되고, 상기 포트는 포트 바닥 및 포트 벽체가 다공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 녹화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lant for planting; A port chamber which is provided at the front surface with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port is inserted from the bottom side and which receives the port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communicates with the opening and a water supply chamber arranged above the port chamber, And a tray provided with a water dropping section for dropping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chamber between the chambers and providing the water to the port chamber, wherein the tray has a port insertion tube protruding upward from the edge of the opening in an upward direction, The port may be inclinedly inserted into the opening such that the port entrance faces upward, and the port may be provided with a recording device configured such that the port bottom and the port wall have a porous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포트 입구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포트 입구와 연통하는 식생실이 마련되고,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연속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포트와; 상기 각 식생실에 수용되며,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배지와; 상기 복수의 포트를 서로 결속시켜 모듈화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녹화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ports provided with a vegetation room having a port inlet and communicating with the port inlet, the ports being arranged continuously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 vegetation medium accommodated in each vegetation room and in which plants are planted; And connection means for coupling the plurality of ports to each other and modularizing the ports.

상기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녹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포트는 상기 포트 입구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마련된 복수의 걸림구멍을 가지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이웃한 복수의 포트의 어느 한 걸림구멍에 각각 끼워질 수 있게 마련된 복수의 후크(hook)와; 상기 복수의 후크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판체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each of the ports has a plurality of engagement holes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ort entrance, and the connecting means has a plurality of engagement holes, A plurality of hooks, respectively, And a connecting plate bod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hooks to each other.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언급한 해결 수단 이외의 다양한 해결 수단이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will be more specifically and clarified through the embodiments, drawings, and the like described below. In addition, various solution means other than the above-mentioned solution means may be further proposed.

도 1은 종래기술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의 트레이 어셈블리와 관수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의 트레이와 포트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의 트레이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트레이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트레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의 이웃한 트레이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드레인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의 포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의 포트를 정면에서 본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연결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ior art.
2 is a front view showing a tray assembly and an irrigation mechanism of th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ray and the port of th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ray assembly of a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tray shown in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tray shown in Fig.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neighboring trays of the video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ain cover shown in Fig.
11 and 1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ort of a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ectional view of the port of th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1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ng means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하는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크기나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는 주로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해석하는 것이 마땅하겠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ize of elements and the thickness of line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understanding. Further, the terms us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ain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intentions and customs of the user and the operator. Therefore, the terminology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roughout.

본 발명에 따른 녹화용 트레이와 포트는 벽면녹화(wall greening), 옥상녹화(roof greening) 등의 녹화산업에 이용될 수 있는 것이나 벽면녹화에 더 적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벽면녹화에 적용되는 것을 중심으로 살펴본다.The recording tray and the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recording industry such as wall greening and roof greening, or may be more suitable for wall-painting. Therefor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as applied to the wall surface recording.

여기에서, 벽면은 건물 등의 구조물을 구성하는 벽체의 내벽 또는 외벽일 수 있다.Here, the wall surface may be an inner wall or an outer wall of a wall constituting a structure such as a building.

도 2 내지 도 14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가 도시되어 있다.2 to 14 show a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는 복수의 트레이 어셈블리(1), 복수의 식생모듈(2) 및 관수기구(3)를 포함한다. 각 식생모듈(2)은, 포트(2A) 및 포트(2A)에 수용된 식생배지(2B)를 포함한다.Th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ray assemblies 1, a plurality of vegetation modules 2, and an irrigation mechanism 3. Each vegetation module 2 includes a vegetation medium 2B accommodated in a port 2A and a port 2A.

복수의 트레이 어셈블리(1)는 벽멱에 좌우방향으로 연속하도록 설치된다. 각 트레이 어셈블리(1)는 복수의 트레이(1A),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레이 어댑터(1B), 트레이 커버(1C) 및 드레인 커버(1D)를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tray assemblies 1 are installed so as to be continuous in the left-right direction on the wall. Each tray assembly 1 includes a plurality of trays 1A, at least one tray adapter 1B, a tray cover 1C, and a drain cover 1D.

각 트레이(1A)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트레이 바디(100), 트레이 바디(100)의 빈 내부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칸막이(200)를 포함한다.Each of the trays 1A includes a tray body 100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therein and a partition 200 partitioning the empty interior space of the tray body 100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트레이(1A)는 구획된 상부공간을 집수실(13)로 하고 구획된 하부공간을 포트실(12)로 한다. 트레이(1A)는 정면에 포트실(12)과 연통하는 개구(11)가 마련된다.The tray 1A has a partitioned upper space as a water collecting chamber 13 and a divided lower space as a port chamber 12. The tray 1A is provided with an opening 11 communicating with the port chamber 12 on the front surface.

포트(2A)는, 포트 입구를 갖는 테두리부재(21), 테두리부재(21)와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된 바닥부재(22), 테두리부재(21)와 바닥부재(22) 사이에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된 상태로 테두리부재(21)와 바닥부재(22)에 양단 부분이 각각 연결된 복수의 연결부재(23)를 포함한다.The port 2A includes a frame member 21 having a port inlet, a bottom member 22 disposed so as to face the frame member 21 with a gap therebetween,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23 connected at both ends to the frame member 21 and the bottom member 22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바닥부재(22)는 포트 바닥을 구성한다. 바닥부재(22)는 물의 유입 및 유출이 자유로운 다공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연결부재(23)는 물의 유입 및 유출이 자유로운 다공 구조를 갖는 포트 벽체를 구성한다.The bottom member 22 constitutes the bottom of the port. The bottom member (22) is configured to have a porous structure free from inflow and outflow of water.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23 constitute a port wall having a porous structure free from inflow and outflow of water.

포트(2A)는 테두리부재(21), 바닥부재(22) 및 복수의 연결부재(23)에 의하여 한정된 내부공간을 식생실로 한다.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배지(2B)는 식생실에 수용된다. 식생배지(2B)로는 이미 공지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식생배지(2B)로는 수분에 대한 흡수성이 우수하고 탄성을 갖는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rt 2A defines an internal space defined by the frame member 21, the bottom member 22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23 as a vegetation room. The vegetation medium (2B) in which the plant is planted is housed in the vegetation room. As the vegetation medium (2B), those already known can be applied. The vegetation medium (2B) preferably has an excellent water absorbing property and elasticity.

개구(11)에는 포트(2A)가 그 포트 바닥 측부터 삽입된다. 트레이(1A)의 정면에는 개구(11)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오르막 경사지게 돌출된 포트 삽입관(300)이 구비된다. 포트(2A)는 포트 삽입관(300)을 따라 진입되어 포트 벽체의 대부분이 포트실(12)에 수용되고 포트 입구가 상측을 향하도록 개구(11)에 경사지게 삽입된다. 물론, 포트 입구는 외부로 노출된다.In the opening 11, the port 2A is inserted from the bottom side of the por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ray 1A, a port insertion tube 300 protruding upward from the edge of the opening 11 toward the front is provided. The port 2A enters along the port insertion tube 300 such that the majority of the port wall is received in the port chamber 12 and the port inlet is obliquely inserted into the opening 11 so as to face upward. Of course, the port inlet is exposed to the outside.

도면부호 500은 개구(11)를 통한 포트(2A)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로, 스토퍼(500)는 걸림돌기(510)와 걸림홈부(520)로 구성된다. 걸림돌기(510)는 개구(11) 측에 마련되고, 걸림홈부(520)는 포트(2A)의 포트 벽체에 걸림돌기(510)가 끼워질 수 있게 마련된다. 걸림돌기(510)와 걸림홈부(520)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Reference numeral 500 denotes a stopper for limit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port 2A through the opening 11. The stopper 500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510 and a locking groove 520. [ The latching protrusion 51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opening 11 and the latching groove 520 is provided such that the latching protrusion 510 can be fitted to the port wall of the port 2A. The positions of the latching protrusion 510 and the latching groove 520 can be changed.

칸막이(200)에는 급수실(13)에 공급되는 물을 낙하시켜 포트실(12)에 제공하는 낙수부(400)가 마련된다.The partition 200 is provided with a water dropping section 400 for dropping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chamber 13 and providing the water to the port chamber 12.

낙수부(400)는 제1 내지 제4낙수구멍(410, 420, 430, 440)을 갖는다. 제1 내지 제4낙수구멍(410, 420, 430, 440)은 칸막이(200)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급수실(13)과 포트실(12)을 연통시킨다. 복수의 낙수구멍(410, 420, 430, 440)에 의하면, 어느 하나의 낙수구멍이 이물질 등에 의하여 막히더라도 다른 낙수구멍을 통하여 포트실(12)에 계속적으로 물을 제공할 수 있다.The water drop portion 400 has first to fourth water drop holes 410, 420, 430, and 440. The first through fourth water drop holes 410, 420, 430, and 440 pass through the partition 200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communicate the water supply chamber 13 and the port chamber 12.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water drop holes 410, 420, 430, 440, even if one of the water drop holes is clogged by foreign matter or the like, water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port chamber 12 through the other water drop holes.

제1낙수구멍(410)은 두 개가 구비된다. 두 제1낙수구멍(410)은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2낙수구멍(420)은 전방과 후방의 두 제1낙수구멍(410) 사이에 배치된다. 제3낙수구멍(430)은 후방의 제1낙수구멍(410)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제4낙수구멍(440)은 두 개가 구비되고 제2낙수구멍(420)으로부터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Two first through-holes 410 are provided. The two first drop holes 4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ore-and-aft direction. The second outlet port (42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outlet port (410) and the front outlet port (410). The third water drop hole 430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rearward from the first water drop hole 410 at the rear. Fourth dropping holes 440 are provided and are disposed at positions separated from the second dropping holes 420 leftward and rightward, respectively.

급수실(13)의 바닥을 구성하는 칸막이(200)의 상면은 두 제1낙수구멍(410)을 향하여 내리막 경사진 경사면을 가져, 급수실(13)에 공급되는 물은 두 제1낙수구멍(410) 측으로 모인다. 이에 의하면, 급수실(13)에 공급되는 물이 칸막이(200)의 상면의 경사면을 따라 이 경사면의 아래 쪽으로 흘러내리므로 급수실(13)에 공급되는 물을 수평면인 경우에 비하여 빠른 속도로 두 제1낙수구멍(410) 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200 constituting the bottom of the water supply chamber 13 ha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two first water drop holes 410 so that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chamber 13 flows into the two first water drop holes 410). Since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chamber 13 flows down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200 toward the water supply chamber 13, It can be guided toward the first drop hole 410 side.

각 제1낙수구멍(410)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고 좌우방향으로 긴 두 가로슬릿(411), 두 가로슬릿(411) 사이에서 두 가로슬릿(411)을 연결하는 세로슬릿(412)으로 구성된다. 슬릿(411, 412)으로 구성된 제1낙수구멍(410)은 이물이 물과 함께 포트실(12)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체가 이물에 의하여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drop holes 410 is constituted by two horizontal slits 411 which are spaced apart in the back and forth direction and which are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vertical slits 412 which connect the two horizontal slits 411 between the two horizontal slits 411 do. The first drop hole 410 constituted by the slits 411 and 412 can prevent the foreign matter from being supplied to the port chamber 12 together with the water and prevent the whole from being clogged by foreign matter.

포트실(12)의 천장을 구성하는 칸막이(200)의 하면에는 제1 내지 제4낙수구멍(410, 420, 430, 440)으로부터 각각 포트실(12)에 수용된 포트(2A) 측으로 연장되어 제1 내지 제4낙수구멍(410, 420, 430, 440)으로부터의 물을 포트실(12)에 수용된 포트(2A) 측으로 유실됨이 없이 유도하는 제1 내지 제4유도관(415, 425, 435, 445)이 연결된다.The bottom of the partition 200 constituting the ceiling of the port chamber 12 is extended from the first to fourth outlet ports 410, 420, 430 and 440 toward the port 2A accommodated in the port chamber 12, The first to fourth induction pipes 415, 425, 435 (not shown) for guiding water from the first through fourth drain holes 410, 420, 430, 440 toward the port 2A accommodated in the port chamber 12 without being lost, , 445 are connected.

제1낙수구멍(410)에 연결된 제1유도관(415)은 그 관로가 입구(상단)에서 출구(하단) 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낙수구멍(410)으로부터의 물은 제1유도관(415)을 따라 포트실(12)에 수용된 포트(2A) 측으로 보다 원활히 유도된다. 또, 제1낙수구멍(410)의 관로가 출구 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상에 의하면, 제1유도관(415)에 이물질이 물과 함께 유입되더라도 이물질이 제1유도관(415)의 관로를 따라 그대로 배출되므로 제1유도관(415)의 관로가 이물질에 의하여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induction pipe 415 connected to the first drop hole 410 is formed in such a shape that the pipe extends from the inlet (upper end) toward the outlet (lower end) side, Is guided more smoothly toward the port 2A accommodated in the port chamber 12 along the first induction pipe 415.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channel of the first drop hole 410 extends toward the outlet side, even if the foreign matter flows into the first guide pipe 415 together with water, the foreign matter flows along the pipe of the first guide pipe 415 So that the channel of the first induction pipe 415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logged by the foreign substance.

제2 내지 제4유도관(425, 435, 445)의 관로도 제1유도관(415)의 관로와 마찬가지로 출구 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duits of the second to fourth induction pipes 425, 435, and 445 may be formed so as to expand toward the outlet side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duits of the first induction pipe 415.

제1 내지 제3유도관(415, 425, 435)은 포트(2A)의 개방영역(포트 벽체에 다공 구조로 인하여 마련된 개방부)을 통하여 포트(2A)의 내부공간으로 진입됨으로써 출구 쪽인 하단이 포트(2A)에 수용된 식생배지(2B)와 직접 접촉되어 식생배지(2B)를 압박하는 길이를 갖는다. 식생배지(2B)에 대한 제1 내지 제3유도관(415, 425, 435)의 압박작용에 따르면, 식생배지(2B)는 제1 내지 제3유도관(415, 425, 435)에 의하여 압박된 부분이 압축됨에 따라, 제1 내지 제3유도관(415, 425, 435)으로부터의 물은 식생배지(2B)의 내부로 용이하게 침투된다.The first to third induction pipes 415, 425 and 435 enter the inner space of the port 2A through the open area of the port 2A (an opening provided for the port wall by the porous structure) And has a length in direct contact with the vegetation medium 2B accommodated in the port 2A to press the vegetation medium 2B. According to the pressing action of the first to third induction tubes 415, 425 and 435 on the vegetation medium 2B, the vegetation medium 2B is pressed by the first to third induction tubes 415, 425 and 435, The water from the first to third induction pipes 415, 425 and 435 is easily permeated into the inside of the vegetation medium 2B.

칸막이(200)의 상면에는 제2 내지 제4낙수구멍(420, 430, 440)으로부터 상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단에 입구가 위치한 1차, 2차 및 3차 오버플로관(426, 436, 446)이 연결된다. 2차 오버플로관(436)은 입구의 위치(H2)가 1차 오버플로관(426)의 입구의 위치(H1)에 비하여 높고, 3차 오버플로관(446)은 입구의 위치(H3)가 2차 오버플로관(436)의 입구의 위치(H2)에 비하여 높게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급수실(13)에 공급되는 물의 낙하순서(제1, 제2, 제3, 제4낙수구멍의 순), 낙하위치 등이 결정된다. 또, 제1 내지 제4낙수구멍(410, 420, 430, 440)의 크기에 따라 낙수량이 결정될 수 있다.Second, third and fourth overflow pipes 426, 436, 446, which extend upward from the second through fourth drain holes 420, 430, 440, respective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200, Lt; / RTI > The position of the inlet H2 in the second overflow pipe 436 is higher than the position H1 of the inlet of the first overflow pipe 426 and the position of the inlet H3 in the third overflow pipe 446, Is higher than the position (H2) of the inlet of the second overflow pipe (436). According to this, the descending order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chamber 13 (in order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falling water holes), drop position, and the like are determined. Also, the drop quantity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s of the first to fourth drop holes 410, 420, 430, 440.

1차, 2차 및 3차 오버플로관(426, 436, 446)은 급수실(13)에 공급된 물의 높이(수위)가 입구 높이를 상회하면 물을 배출하므로 비중이 물에 비하여 큰 이물질에 의하여 막히는 현상이 최소화된다.Since the first, second and third overflow pipes 426, 436 and 446 discharge water when the height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chamber 13 exceeds the inlet height, The clogging phenomenon is minimized.

바람직하게는, 1차 오버플로관(426)의 상단과 2차 오버플로관(436)의 상단은 후방을 향하여 오르막 경사지게 형성되어, 1차 오버플로관(426)의 입구와 2차 오버플로관(436)의 입구는 경사진다.The upper end of the first overflow pipe 426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overflow pipe 436 are formed so as to be inclined upwardly to the rear so that the inlet of the first overflow pipe 426, And the inlet of the second chamber 436 is inclined.

제1 내지 제3유도관(415, 425, 435)과는 달리 출구가 식생배지(2B)와 접촉되지 않는 제4유도관(445)은 물이 제1 내지 제3유도관(415, 425, 435)에 비하여 빠른 속도로 통과된다. 때문에, 제4유도관(445) 및 이와 연통하는 3차 오버플로관(446)은 급수실(13)에 공급된 물의 높이가 3차 오버플로관(446)의 입구 높이를 상회하는 경우 물을 신속히 배출하여 급수실(13)에 물을 넘침 현상 없이 원활한 공급을 위한 적정의 필요량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배수관의 역할을 한다.Unlike the first to third induction pipes 415, 425 and 435, the fourth induction pipe 445, whose outlet is not in contact with the vegetation medium 2B, is connected to the first to third induction pipes 415, 425, 435). ≪ / RTI > Therefore, the fourth induction pipe 445 and the third overflow pipe 446 communicating with the fourth induction pipe 445 are arranged such that when the height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chamber 13 exceeds the height of the inlet of the third overflow pipe 446, And serves as a drain pipe for quickly discharging the water to the water supply room 13 so as to maintain a proper amount of water for smooth supply without overflowing.

트레이 어셈블리(1)의 복수의 트레이(1A)는 트레이 어댑터(1B)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서로 연결된다. 트레이 어댑터(1B)는 상측과 하측의 트레이(1A) 사이에 각각 개재된다. 트레이 어댑터(1B)는, 상단 측은 상측에 위치하는 트레이 어댑터(1B)의 개방된 하부에 끼워지고, 하단 측은 하측에 위치하는 트레이 어댑터(1B)의 개방된 상부에 끼워지며, 중앙부는 상하로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The plurality of trays 1A of the tray assembly 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tray adapter 1B. The tray adapter 1B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rays 1A. The lower end of the tray adapter 1B is fitted to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tray adapter 1B located at the lower side and the middle portion thereof is opened upwardly and downwardly. .

이와 같은 트레이 어셈블리(1)에 있어서, 최상측 트레이(1A)의 급수실(13)에 물이 공급되면, 공급된 물은 최상측 트레이(1A)의 하측으로 위치되는 트레이(1A)에 순차적으로 전달된다.In this tray assembly 1,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chamber 13 of the uppermost tray 1A, the supplied water is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tray 1A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most tray 1A .

트레이 커버(1C)는 최상측 트레이(1A)의 트레이 바디(10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어 최상측 트레이(1A)의 급수실(13)을 덮음으로써 최상측 트레이(1A)의 급수실(13)에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tray cover 1C is engaged with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tray body 100 of the uppermost tray 1A and covers the water supply chamber 13 of the uppermost tray 1A to feed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chamber 13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드레인 커버(1D)는 최하측 트레이(1A)의 트레이 바디(100)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된다. 드레인 커버(1D)는 하방으로 돌출된 배수관(102)을 갖는다.The drain cover 1D is coupled to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tray body 100 of the lowermost tray 1A. The drain cover 1D has a drain pipe 102 protruding downward.

각 트레이(1A)의 트레이 바디(100)의 배면에는 급수실(13)에 위치하도록 설치구멍(14)이 형성된다. 트레이 어셈블리(1)는 설치구멍(14)에 의하여 못이나 앵커볼트 등의 정착수단을 이용하여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On the rear surface of the tray body 100 of each tray 1A, mounting holes 14 are formed so as to be positioned in the water supply chambers 13. The tray assembly 1 can be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by fixing means such as a nail or an anchor bolt by the mounting hole 14. [

각 트레이(1A)의 트레이 바디(100)의 좌측 및 우측에는 급수실(13)에 위치하고 서로 대향하도록 체결구멍(15)이 형성된다. 이웃한 트레이 어셈블리(1)는 체결구멍(15)에 의하여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체결될 수 있다.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ay body 100 of each tray 1A, fastening holes 15 are formed in the water supply chamber 13 so as to face each other. The neighboring tray assemblies 1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and nuts by means of fastening holes 15. [

포트(2A)에 있어서, 복수의 연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식생실 측을 향하는 내측에 식생실에 수용되는 식생배지(2B)와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볼록부(231)가 마련된다. 볼록부(231)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식생실에 수용되는 식생배지(2B)는 볼록부(231)와 접촉하는 부분이 볼록부(231)에 의하여 압축되어 볼록부(231)와의 접촉면적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식생배지(2B)와 볼록부(231)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되고, 포트(2A)에 공급되는 물은 식생배지(2B)와 볼록부(231)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식생배지(2B)에 흡수된다.At the port 2A,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is provided with a convex portion 231 for reduc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vegetation medium 2B accommodated in the vegetation room on the inner side toward the vegetation room side. The convex portion 231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The portion of the vegetation medium 2B accommodated in the vegetation room is compressed by the convex portion 231 in contact with the convex portion 231 so that the contact area with the convex portion 231 is reduced, And the water supplied to the port 2A is absorbed by the vegetation medium 2B through the clearance between the vegetation medium 2B and the convex portion 231. [

포트(2A)는 개구(11)에 경사지게 삽입된 때 식생실의 하부에 집수공간(241)이 형성되도록 포트 바닥과 상기 포트 벽체의 일부에 걸쳐 포트 바닥과 포트 벽체의 다공 구조를 형성하는 구멍을 차폐하는 집수커버(24)가 마련된다. 포트(2A)에 공급된 물은 모두 배수되지 않고 집수공간(241)에 일부가 저장된다. 식생배지(2B)는 집수공간(241)에 저장된 물은 흡수하여 식재되는 식물에 공급한다.The port 2A is provided with a hole for forming a porous structure of the port bottom and the port wall over the bottom of the port and a part of the port wall so as to form a collecting space 241 at the lower part of the vegetation room when the port 2A is slantedly inserted into the opening 11 A water collecting cover 24 for shielding is provided. All the water supplied to the port 2A is not drained and partly is stored in the catchment space 241. [ The vegetation medium (2B) absorbs the water stored in the catchment space (241) and supplies it to the plant to be planted.

집수커버(24)는 포트 바닥에 구비된 바닥 커버 및 상기 바닥 커버와 연결되며 상기 포트 벽체에 구비된 벽체 커버를 포함한다.The water collecting cover 24 includes a bottom cover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port and a wall cover connected to the bottom cover and provided in the port wall.

바닥 커버의 외측 중앙부에는 포트 바닥의 중심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배수홈부(242)가 마련된다. 배수홈부(242)는 집수공간(241)으로부터 넘치는 물을 포트 바닥의 저부 쪽으로 유도하고 주변으로 분산됨이 없이 하측의 트레이(1A)에 정확히 전달되게 한다.At the center of the outside of the bottom cover, drainage grooves 242 are provided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port bottom. The drainage groove portion 242 guides the overflowing water from the water collecting space 241 toward the bottom of the port bottom so as to be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lower tray 1A without being dispersed to the periphery.

벽체 커버의 내측 중앙부에는 포트 벽체의 길이방향으로 집수홈부(243)가 마련된다. 집수홈부(243)는 집수공간(241)으로 모이는 물이 주변으로 분산되지 않고 집수공간(241)의 중심부 쪽에 집중되도록 한다. 이에 따르면, 포트(2A)에 제공되는 물을 한층 더 포트(2A)의 중심 쪽으로 유도할 수 있다.At the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wall cover, a collecting groove portion 243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t wall. The water collecting groove portion 243 allows the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space 241 to be concentrat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water collecting space 241 without being dispersed to the periphery. According to this, the water provided to the port 2A can be further directed toward the center of the port 2A.

집수공간(241), 배수홈부(242) 및 집수홈부(243)에 의하면, 물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ater collecting space 241, the drainage trench 242, and the water collecting groove 243, water can be efficiently used.

관수기구(3)는 급수관(31), 분배관(32) 및 회수관(33)을 포함한다. 급수관(31)은 이웃한 어느 두 트레이 어셈블리(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분배관(32)은 급수관(31)에 연결되어 급수관(31)으로부터의 물을 각 트레이 어셈블리(1)의 최상측 트레이(1A)의 급수실(13)에 각각 공급한다. 분배관(32)은 이웃한 트레이 어셈블리(1)의 최상측 트레이(1A)와 트레이 커버(1B)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회수관(33)은 각 드레인 커버(1D)의 배수관(102)에 연결된다.The water supply mechanism 3 includes a water supply pipe 31, a distribution pipe 32 and a return pipe 33. The water supply pipe 31 may be disposed between any two neighboring tray assemblies 1. The distribution pipe 32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31 to supply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ipe 31 to the water supply chamber 13 of the uppermost tray 1A of each tray assembly 1. The distribution pipe 32 may be arranged to pass between the uppermost tray 1A of the adjacent tray assembly 1 and the tray cover 1B. The recovery pipe 33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102 of each drain cover 1D.

도시된 바는 없으나, 관수기구(3)는, 회수관(33)에 의하여 회수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급수관(31)으로 압송하는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급수관(31)에 의하여 공급되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watering mechanism 3 may further include 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recovered by the recovery pipe 33, and a pump for feed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to the water supply pipe 31. Further, it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for filtering the water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pipe (31).

각 트레이(1A)의 트레이 바디(100)는 좌측 및 우측에 상하방향으로 급수관(31)용 수용홈부(16)가 마련된다. 트레이 어댑터(1B), 트레이 커버(1C) 및 드레인 커버(1D)의 좌측 및 우측에도 상하방향으로 급수관(31)용 수용홈부(104, 103, 105)가 각각 마련된다. 이에 따라, 이웃한 두 트레이 어셈블리(1) 사이에는 서로 대향하는 급수관(31)용 수용홈부(16, 104, 103, 105)에 의하여 급수관(31)용 수용통로가 마련된다.The tray body 100 of each tray 1A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a receiving groove portion 16 for the water supply pipe 31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eceiving grooves 104, 103 and 105 for the water supply pipe 31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ay adapter 1B, the tray cover 1C and the drain cover 1D, respectively. Accordingly, a receiving passage for the water supply pipe 31 is provided between the adjacent two tray assemblies 1 by the receiving groove portions 16, 104, 103 and 105 for the water supply pipes 31 facing each other.

각 트레이(1A)의 트레이 바디(100)는 상단의 좌측 및 우측에 분배관(32)용 지지홈부(17)가 마련된다. 트레이 커버(1C)의 좌우에도 분배관(32)용 지지홈부(17)와 짝을 이루어 분배관(32)을 지지하는 분배관(32)용 지지홈부(101)가 마련된다.The tray body 100 of each tray 1A is provided with a support groove portion 17 for the distribution pipe 32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end thereof. A support groove portion 101 for a distribution pipe 32 for supporting the distribution pipe 32 in pairs with the support groove portion 17 for the distribution pipe 32 is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of the tray cover 1C.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를 나타낸다.15 shows a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작용효과는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트레이 어셈블리(1)가 제외된 구성을 갖고, 복수의 포트(2A)를 서로 결속시켜 모듈화하는 제1연결클립(4)을 포함하는 점만이 상이하다.As shown in FIG. 15, th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effec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tray assembly 1 is omitted And a first connecting clip 4 for modulating the plurality of ports 2A by coupling them to each other.

복수의 포트(2A)는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연속하도록 배열된다. 각 포트(2A)의 테두리부재(21)는 포트 입구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마련된 복수의 걸림구멍(211)을 갖는다.The plurality of ports 2A are arranged so as to be continuou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The frame member 21 of each port 2A has a plurality of engagement holes 211 provid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ort inlet.

제1연결클립(4)은, 이웃한 복수의 포트(2A)의 어느 한 걸림구멍(211)에 각각 끼워질 수 있게 마련된 복수의 후크(42), 복수의 후크(42)를 연결시키는 연결판체(41)를 포함한다. 도면에는 후크(42)가 네 개 구비되어 하나의 제1연결클립(4)이 네 개의 포트(2A)를 결속시킬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후크(42)는 다섯 개 이상 구비되고, 이에 따라 제1연결클립(4)은 다섯 개 이상의 포트(2A)를 결속시킬 수도 있다.The first connection clip 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oks 42 that can be fitted into any one of the engagement holes 211 of the plurality of adjacent ports 2A and a plurality of hooks 42, (41). Although four hooks 42 are shown in the figure so that one first connecting clip 4 can bind four ports 2A, the hooks 42 are provided in five or more, The first connecting clip 4 may bind five or more ports 2A.

도시된 바는 없으나, 모듈화된 포트(2A)는 벽면에 포트 바닥이 정착되는 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관수기구는 공지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modularized port 2A can be installed in such a manner that the port bottom is fixed on the wall surface. Also, a well-known irrigation device can be used.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를 나타낸다.16 and 17 show a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녹화장치는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작용효과는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제1연결클립(4) 대신 제2연결클립(5)을 적용한 점만이 상이하다.As shown in FIGS. 16 and 17, th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embodiment in that the recording and / Except that the second connecting clip 5 is used instead.

제2연결클립(5)은,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후크(51), 대향하는 두 후크(51)를 연결시키는 연결판체(52)를 포함한다. 즉, 제3실시예는 두 포트(2A)를 결속시키기 위하여 제2연결클립(5)을 이용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The second connecting clip 5 includes two hooks 51 opposed to each other and a connecting plate body 52 connecting the two hooks 51 facing each other. That is, the third embodiment illustrates that the second connection clip 5 can be used to bind the two ports 2A.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Further, the technical idea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two or more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1 : 트레이 어셈블리 1A : 트레이
1B : 트레이 어댑터 1C : 트레이 커버
1D : 드레인 커버 2A : 포트
2B : 식생배지 3 : 관수기구
4 : 제1연결클립 5 : 제2연결클립
21 : 테두리부재 22 : 바닥부재
23 : 연결부재 24 : 집수커버
100 : 트레이 바디 200 : 칸막이
300 : 포트 삽입관 400 : 낙수부
1: Tray assembly 1A: Tray
1B: Tray adapter 1C: Tray cover
1D: drain cover 2A: port
2B: Vegetation badge 3: Irrigation equipment
4: first connection clip 5: second connection clip
21: rim member 22: bottom member
23: connecting member 24: collecting cover
100: Tray body 200: Partition
300: port insertion tube 400:

Claims (27)

식물의 식재를 위한 포트가 삽입되는 개구 및 상기 개구와 연통되어 상기 개구에 삽입된 포트를 수용하는 포트실을 갖고, 상기 포트실의 상측에 배치된 급수실을 가지며, 상기 급수실과 상기 포트실 사이에서 상기 급수실에 공급되는 물을 낙하시켜 상기 포트실에 제공하는 낙수부를 갖되,
빈 내부공간을 갖는 트레이 바디 및 상기 트레이 바디의 빈 내부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칸막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공간을 상기 포트실로 하고, 상기 상부공간을 상기 급수실로 하며, 상기 트레이 바디의 정면에 상기 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칸막이에 상기 낙수부가 마련되며,
상기 낙수부는 상기 칸막이에 관통되어 상기 급수실과 상기 포트실을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낙수구멍을 갖고, 상기 칸막이에 관통된 상태로 상기 칸막이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버플로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낙수구멍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고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두 가로슬릿과; 상기 두 가로슬릿 사이에서 상기 두 가로슬릿을 연결하는 세로슬릿을 포함하는,
녹화용 트레이.
And a port chamber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to receive a port inserted in the opening and having a water supply chamber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port chamber, wherein the water supply chamber is provided between the water supply chamber and the port chamber, And a water dropping portion for dropp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chamber to provide the water to the port chamber,
A tray body having an empty internal space and a partition dividing an empty internal space of the tray body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wherein the lower space is made into the port chamber, the upper space is made into the water supply chamber, The opening is provided in front of the partition, the partition is provided with the water dropping portion,
The water dropp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verflow pipes penetrating the partition and having at least one or more first water drop holes communicating the water supply chamber and the port chamber and protruding upward from the partition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partition In addition,
The first outlet hole includes two lateral slits spaced apart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form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 longitudinal slit connecting the two lateral slits between the two lateral slits.
Recording tra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수실의 바닥을 구성하는 칸막이의 상면은 상기 제1낙수구멍을 향하여 내리막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녹화용 트레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forming the bottom of the water supply chamber ha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irst outlet port,
Recording tray.
식물의 식재를 위한 포트가 삽입되는 개구 및 상기 개구와 연통되어 상기 개구에 삽입된 포트를 수용하는 포트실을 갖고, 상기 포트실의 상측에 배치된 급수실을 가지며, 상기 급수실과 상기 포트실 사이에서 상기 급수실에 공급되는 물을 낙하시켜 상기 포트실에 제공하는 낙수부를 갖되,
빈 내부공간을 갖는 트레이 바디 및 상기 트레이 바디의 빈 내부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칸막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공간을 상기 포트실로 하고, 상기 상부공간을 상기 급수실로 하며, 상기 트레이 바디의 정면에 상기 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칸막이에 상기 낙수부가 마련되며,
상기 낙수부는 상기 칸막이에 관통되어 상기 급수실과 상기 포트실을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낙수구멍을 갖고, 상기 칸막이에 관통된 상태로 상기 칸막이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버플로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포트실의 천장을 구성하는 칸막이의 하면에는 상기 제1낙수구멍에 연결되어 상기 제1낙수구멍으로부터의 물을 상기 포트실에 수용되는 포트 측으로 유도하는 제1유도관이 구비되고, 상기 제1유도관은 관로가 입구에서 출구 측으로 갈수록 확장된,
녹화용 트레이.
And a port chamber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to receive a port inserted in the opening and having a water supply chamber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port chamber, wherein the water supply chamber is provided between the water supply chamber and the port chamber, And a water dropping portion for dropp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chamber to provide the water to the port chamber,
A tray body having an empty internal space and a partition dividing an empty internal space of the tray body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wherein the lower space is made into the port chamber, the upper space is made into the water supply chamber, The opening is provided in front of the partition, the partition is provided with the water dropping portion,
The water dropp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verflow pipes penetrating the partition and having at least one or more first water drop holes communicating the water supply chamber and the port chamber and protruding upward from the partition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partition In addition,
A first induction pipe connected to the first drop hole and guiding water from the first drop hole to a port side accommodated in the port chamber i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a partition forming the ceiling of the port chamber, The induction tube is an extension of the conduit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Recording tray.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관은 상기 포트의 개방영역을 통하여 상기 포트의 내부공간으로 진입되어 상기 포트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식생배지와 접촉되는 길이를 갖는,
녹화용 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induction pipe has a length that enters the inner space of the port through the open area of the port and contacts the vegetation medium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port,
Recording tray.
삭제delete 삭제delete 식물의 식재를 위한 포트가 삽입되는 개구 및 상기 개구와 연통되어 상기 개구에 삽입된 포트를 수용하는 포트실을 갖고, 상기 포트실의 상측에 배치된 급수실을 가지며, 상기 급수실과 상기 포트실 사이에서 상기 급수실에 공급되는 물을 낙하시켜 상기 포트실에 제공하는 낙수부를 갖되,
빈 내부공간을 갖는 트레이 바디 및 상기 트레이 바디의 빈 내부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칸막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공간을 상기 포트실로 하고, 상기 상부공간을 상기 급수실로 하며, 상기 트레이 바디의 정면에 상기 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칸막이에 상기 낙수부가 마련되며,
상기 낙수부는 상기 칸막이에 관통되어 상기 급수실과 상기 포트실을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낙수구멍을 갖고, 상기 칸막이에 관통된 상태로 상기 칸막이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버플로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낙수부는 상기 칸막이에 관통되어 상기 급수실과 상기 포트실을 연통시키는 제1, 제2, 제3 및 제4낙수구멍을 갖되,
상기 제1낙수구멍은 두 개가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낙수구멍은 상기 전방과 후방의 제1낙수구멍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3낙수구멍은 상기 후방의 제1낙수구멍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4낙수구멍은 두 개가 상기 제2낙수구멍의 좌우에 각각 배치된,
녹화용 트레이.
And a port chamber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to receive a port inserted in the opening and having a water supply chamber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port chamber, wherein the water supply chamber is provided between the water supply chamber and the port chamber, And a water dropping portion for dropp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chamber to provide the water to the port chamber,
A tray body having an empty internal space and a partition dividing an empty internal space of the tray body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wherein the lower space is made into the port chamber, the upper space is made into the water supply chamber, The opening is provided in front of the partition, the partition is provided with the water dropping portion,
The water dropp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verflow pipes penetrating the partition and having at least one or more first water drop holes communicating the water supply chamber and the port chamber and protruding upward from the partition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partition In addition,
Wherein the water dropping portion has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drop holes penetrating the partition to communicate the water supply chamber and the port chamber,
Wherein the first outlet port is disposed at a distan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second outlet port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first outlet ports, and the third outlet port is disposed at the rear first outlet port And two of the fourth drop holes are dispos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drop hole,
Recording tray.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급수실의 바닥을 구성하는 칸막이의 상면에는 상기 제2낙수구멍에 연결된 1차 오버플로관, 상기 제3낙수구멍에 연결된 2차 오버플로관 및 상기 제4낙수구멍에 연결된 3차 오버플로관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2차 오버플로관은 입구의 위치가 상기 1차 오버플로관의 입구에 비하여 높으며,
상기 3차 오버플로관은 입구의 위치가 상기 2차 오버플로관의 입구에 비하여 높은,
녹화용 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10,
A first overflow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drop hole, a second overflow pipe connected to the third water drop hole, and a third overflow pipe connected to the fourth water drop hole ar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forming the bottom of the water supply chamber, Respectively,
The position of the inlet of the second overflow pipe is higher than the inlet of the first overflow pipe,
Wherein the inlet of the third overflow pipe is higher than the inlet of the second overflow pipe,
Recording tray.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1차 오버플로관 및 상기 2차 오버플로관은 입구가 상기 1차 오버플로관의 상단 및 상기 2차 오버플로관의 상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1차 오버플로관의 상단과 상기 2차 오버플로관의 상단은 후방을 향하여 오르막 경사지게 형성된,
녹화용 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overflow pipe and the second overflow pipe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an inlet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overflow pipe and an upper end of the second overflow pipe,
Wherein an upper end of the first overflow pipe and an upper end of the second overflow pipe are inclined upwardly toward the rear,
Recording tray.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포트실의 천장을 구성하는 칸막이의 하면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낙수구멍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낙수구멍으로부터의 물을 상기 포트실에 수용되는 포트 측으로 유도하는 제1, 제2, 제3 및 제4유도관이 구비된,
녹화용 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lower portion of a partition forming the ceiling of the port chamber is connected to the first to fourth water drop holes to guide water from the first to fourth water drop holes to the port side accommodated in the port chamber, 2, third and fourth induction pipes,
Recording tray.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유도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포트의 개방영역을 통하여 상기 포트의 내부공간으로 진입되어 상기 포트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식생배지와 접촉되는 길이를 갖는,
녹화용 트레이.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induction pipes has a length that come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port through the open area of the port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vegetation medium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port,
Recording tra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031692A 2014-03-06 2015-03-06 Tray for greening, pot for greening and gree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7380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2213 WO2015133871A1 (en) 2014-03-06 2015-03-06 Tray for greening, pot for greening, and green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6692 2014-03-06
KR1020140026692 2014-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253A KR20150105253A (en) 2015-09-16
KR101738033B1 true KR101738033B1 (en) 2017-05-22

Family

ID=54244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692A KR101738033B1 (en) 2014-03-06 2015-03-06 Tray for greening, pot for greening and gree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03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0740A (en) * 2017-10-17 2018-03-20 肇庆高新区国专科技有限公司 The connector of planting groove
KR102002868B1 (en) 2018-12-04 2019-07-24 주식회사 소노테크 Plant pot and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nt
KR102038523B1 (en) 2019-01-28 2019-10-30 주식회사 소노테크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nt
KR20200017077A (en) * 2018-08-08 2020-02-18 주식회사 예안산업 Plant cultivating device and air purifying device using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8806B (en) * 2016-08-29 2019-06-18 山东国舜建设集团有限公司 A kind of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solid greens system
CN106171620A (en) * 2016-09-04 2016-12-07 苏州家宜居家日用品有限公司 A kind of Multifunction plant planting module and combinations thereof structure
KR101856472B1 (en) * 2017-06-15 2018-05-10 박요성 Laminated plant cultivation equipment
KR101873200B1 (en) * 2017-07-18 2018-07-31 박요성 Prefabricated Plant Cultivation equipment
KR102163153B1 (en) * 2020-05-20 2020-10-08 (주)비오시스 Wall greening module and wall gree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802B1 (en) * 2012-09-28 2013-05-20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Flowerport and wall surface afforestation system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802B1 (en) * 2012-09-28 2013-05-20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Flowerport and wall surface afforestation system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0740A (en) * 2017-10-17 2018-03-20 肇庆高新区国专科技有限公司 The connector of planting groove
KR20200017077A (en) * 2018-08-08 2020-02-18 주식회사 예안산업 Plant cultivating device and air purifying device using thereof
KR102103923B1 (en) * 2018-08-08 2020-04-24 주식회사 예안산업 Plant cultivating device and air purifying device using thereof
KR102002868B1 (en) 2018-12-04 2019-07-24 주식회사 소노테크 Plant pot and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nt
KR102038523B1 (en) 2019-01-28 2019-10-30 주식회사 소노테크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253A (en) 201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033B1 (en) Tray for greening, pot for greening and gree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EP3155892B1 (en) Modular container and modular irrigation system
EP3095317A1 (en) Planting unit and planter
KR20140145494A (en) Air cleaner using plants
KR20160111766A (en) vegetation interior structure having air and water purification
WO2015133871A1 (en) Tray for greening, pot for greening, and green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CN109562331A (en) Hydrocone type air diffusion apparatus, film separated activated sludge apparatus, method for treating water
US20210144930A1 (en) Container for plant cultivation with sloping fertigation troughs
KR101646575B1 (en) Underground water supply-drain system using water supply-drain type water bel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water supply-drain system
US20220264807A1 (en) Plant container for greening walls and a greening wall
KR101643363B1 (en) Greening apparatus
US9011679B2 (en) Apparatus for waste water treatment
JP2015522299A (en) Vertical planter device with built-in irrigation system
US6217760B1 (en)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CN210292263U (en) Water collector and air conditioner
KR20170104093A (en) Sub-irrigation System
RU2280977C1 (en) Drop irrigation tube
KR102061546B1 (en) Round type wall greening system
KR20090056752A (en) Stackable pollen
CN220529009U (en) Filter for aquarium
KR101768684B1 (en) Vertical Water Culture Device
US10744465B2 (en) Filtration unit
US20230189719A1 (en) Vertical garden
CN218388876U (en) Integral type planting device
CN220674856U (en) Regional fish po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