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4093A - Sub-irrigation System - Google Patents

Sub-irrig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4093A
KR20170104093A KR1020160026534A KR20160026534A KR20170104093A KR 20170104093 A KR20170104093 A KR 20170104093A KR 1020160026534 A KR1020160026534 A KR 1020160026534A KR 20160026534 A KR20160026534 A KR 20160026534A KR 20170104093 A KR20170104093 A KR 20170104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rt
collecting channel
frame
cultur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5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기명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알투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알투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알투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6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4093A/en
Publication of KR20170104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09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base irrigation system, provided is a base irrigation system, which comprises: a mother plant port for growing a mother plant; a first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mother plant pot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 stock plant tray having a plurality of stock plant pots disposed on at least one of both sides of the mother plant pot and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at a lower portion and capable of cultivating the stock plant; a support container supporting the seedling tray and capable of receiving water or a culture solution; a second supporting part for supporting the stock plant tray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nd a water collecting channel for collecting water or the culture solution drained from the mother plant pot and the support container, wherein the support container includes a frame which forms an edge frame of the support container and has a side portion and a bottom portion; a plate-shaped member supported by the bottom portion of the frame; and a first waterproof vinyl disposed on the plate-shaped member to cover an uppe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and a side surface portion of the fram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the base irrigation system which has a simple structure, is easily installed, and is capable of cultivating crops in a low-cost base irrigation manner.

Description

저면관수 시스템 {Sub-irrigation System}Sub-irrigation System

본 발명은 저면관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딸기 등의 작물의 육묘를 저면관수 방식으로 도입함으로써 딸기의 육묘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탄저병을 예방할 수 있고 또한 비용효율성이 뛰어난 구조의 저면관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ttom wate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ttom watering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the most problematic anthrax disease in strawberry seedlings by introducing the seedling of a crop such as strawberry into a bottom watering system, ≪ / RTI >

일반적으로 딸기 모종을 비롯한 각종 농작물이나 원예용 모종은 시설 하우스 내부에서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두상 관수 방식을 이용하여 육묘하여 왔으나, 스프링클러를 이용하는 경우 물방울에 의해 탄저병균을 비산시켜 탄저병의 급속한 확산을 야기하며 또한 불필요하게 물을 낭비하는 문제가 있었다. In general, strawberry seedlings, various crops, and gardening seedlings have been cultivated using a sprinkler-type headwatering system in a facility house. However, when sprinklers are used, water droplets scatter the anthrax bacteria to cause rapid spread of anthrax. There was a problem of unnecessarily wasting water.

저면 관수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육묘 방식으로, 저면 급수에 의해 포트(화분)의 아래쪽에서 물을 공급함으로써 탄저병의 확산을 차단하고 물이나 배양액을 절약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저면 관수 시스템을 설치하는 경우, 자묘 트레이를 받치는 받침대(받침용기)의 가격이 비싸고 이 받침대에 급수와 배수 구조물을 설치하면 구조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모주 포트나 자묘 트레이의 받침대 하부에 별도의 배수 시설을 하지 않는 경우 모주 포트와 자묘 트레이에서 배수되는 물이나 배양액이 그대로 바닥으로 흘러버리므로 바닥이 지저분해지고 사람이 걸어다니기 불편한 문제가 있다.The bottom watering system is a seedling method to solve this problem. By supplying the water from the bottom of the pot (pollen) by the bottom water supply, it can prevent diffusion of anthrax and save water and culture liquid. However, in general, when the bottom watering system is installed, the cost of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consignment tray (the support container) is high and the installation of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structure on the support is complicated and costly. Furthermore, when the drain port or the drain tray is not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tray, water or culture liquid drained from the drain port and the gravest seed tray flows to the floor as it is, which makes the floor dirty and inconvenient for people to walk around.

특허문헌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05610호 (2012년 1월 17일 공개)Patent Document 1: Korean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2012-0005610 (published on Jan. 17, 2012) 특허문헌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81670호 (2014년 7월 1일 공개)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4-0081670 (published on July 1, 201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저비용으로 저면관수 방식으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저면관수 시스템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ottom watering system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and easy to install and can be cultivated in a low-watering bottom-watering mann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면관수 시스템에 있어서, 모주를 재배하기 위한 모주 포트; 상기 모주 포트를 지상에서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모주 포트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고,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자묘를 재배할 수 있는 자묘 포트를 복수개 구비하는 자묘 트레이; 상기 자묘 트레이를 지지하며 물 또는 배양액을 수용할 수 있는 받침용기; 상기 자묘 트레이를 지상에서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모주 포트와 상기 받침용기에서 배수되는 물 또는 배양액을 집수하는 집수 채널;을 포함하고, 이 때 상기 받침용기는, 상기 받침용기의 테두리 틀을 형성하며 측면부 및 저면부를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저면부에 의해 지지되는 판상부재; 및 상기 판상부재 위에 배치되어 상기 판상부재의 상면과 상기 프레임의 측면부를 커버하는 제1 방수비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 시스템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ottom watering system comprising: a main port for growing a mainstream; A first support for supporting the mother liquor port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 seedling tray having a plurality of seedling pots disposed on at least one of both sides of the seedling pot and formed with at least one through hole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capable of cultivating the seedlings; A support vessel for supporting the graffiti tray and capable of receiving water or a culture solution; A second support for supporting the artificial tray at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ground; And a collecting channel for collecting water or a culture liquid drained from the receiving port and the receiving port, wherein the receiving container comprises a frame which forms a frame of the receiving container and has a side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portion; A plate-like member supported by a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rame; And a first waterproofing vinyl disposed on the plate-shaped member and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shaped member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rame.

이 때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집수 채널이, 상기 모주 포트와 상기 제1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모주 포트에서 배수되는 물 또는 배양액을 수용하는 제1 집수 채널; 및 적어도 상기 모주 포트와 상기 받침용기 사이의 이격 공간 아래를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받침용기에서 배수되는 물 또는 배양액을 수용하는 제2 집수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one embodiment, the catchment channel includes a first catchment channel interposed between the forehead port and the first support and receiving water or culture liquid drained from the forehead port; And a second collection channel arranged to cover at least a space below the separation port between the forehead port and the receiving container and accommodating water or culture liquid drained in the receiving container.

이 때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집수 채널과 제2 집수 채널이 일체로 연결된 하나의 제2 방수비닐로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collecting channel and the second collecting channel may be formed of one second waterproofing vinyl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 때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의 측면부 중 상기 모주 포트를 향하는 쪽의 측면부에 적어도 일부가 절제되어 측면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개방부도 상기 제1 방수비닐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at least a part of the side portion of the frame facing the forehead port is cut off to form a side opening portion, and the side opening portion can also be covered by the first waterproofing vinyl.

이 때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방수비닐 중 상기 측면 개방부를 커버하는 방수비닐 영역의 높이가 적어도 상기 프레임의 상기 측면부의 높이와 같거나 높아서 상기 받침용기 내에 수용된 물 또는 배양액이 외부로 배수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소정 압력이 상기 방수비닐 영역에 가해지면, 상기 방수비닐 영역의 높이가 낮아짐으로써 상기 받침용기 내의 물 또는 배양액이 상기 제2 집수 채널로 낙하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waterproof vinyl region covering the side opening portion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ide portion of the frame of the first waterproofing vinyl, so that the water or the culture liquid contained in the support container is not drained to the outside And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waterproof vinyl region, the height of the waterproof vinyl region is lowered so that the water or the culture liquid in the receiving container can fall into the second collecting channel.

이 때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집수 채널과 제2 집수 채널의 각각의 하부에 배수용 배관 및 이 배관을 개폐시키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a drain pipe and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ipe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each of the first collecting channel and the second collecting channel.

이 때 일 실시예에서, 저면관수 시스템이 상기 모주 포트에 물 또는 배양액을 공급하는 제1 점적 튜브; 및 상기 받침용기에 물 또는 배양액을 공급하는 제2 점적 튜브 또는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one embodiment, the bottom drainage system supplies a water or a culture medium to the drain port; And a second drip tube or pipe for supplying water or a culture liquid to the support container.

이 때 일 실시예에서, 저면관수 시스템이 상기 제1 점적 튜브 및 제2 점적 튜브 또는 파이프와 연결된 공통배관; 상기 공통배관에서 분기되고 물탱크와 연결된 제1 공급배관; 및 상기 공통배관에서 분기되고 배양액 탱크와 연결된 제2 공급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one embodiment, a bottom piped water system is connected to the first drip tube and the second drip tube or pipe; A first supply pipe branched from the common pipe and connected to the water tank; And a second supply pipe branched from the common pipe and connected to the culture liquid tank.

이 때 일 실시예에서, 저면관수 시스템이 상기 제1 공급배관에 설치된 제1 개폐밸브; 및 상기 제2 공급배관에 설치된 제2 개폐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a bottom opening water system is provided in the first supply pipe, a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And a second on-off valve installed on the second supply pipe.

이 때 일 실시예에서, 저면관수 시스템이 상기 공통배관에서 분기되고 마이크로버블수 탱크와 연결된 제3 공급배관; 및 상기 제3 공급배관에 설치된 제3 개폐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one embodiment, the bottom watering system is branched from the common pipe and connected to the microbubble water tank; And a third open / close valve installed in the third supply pi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 시스템은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특히 자묘 트레이 및 받침용기를 급수관 및 배수관을 복잡하게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높은 비용효율성을 갖는 육묘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bottom wat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in structure and easy to install, and in particular,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 water supply pipe and a drain pipe complicatedly in a grape seedling tray and a support vessel, hav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도3은 일 실시예에 다른 저면관수 시스템의 분해 단면도,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그물망, 및 방수비닐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 채널의 배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관수 시스템의 전체 배관의 블록도,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 시스템의 예시적 배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bottom wat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ottom water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3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bottom water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relation of a frame, a mesh, and a waterproof vinyl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ainage structure of a catchment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block diagram of an entire piping of a front water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piping configuration of a bottom water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의 도면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길이, 두께, 넓이 등의 수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하여 표시될 수 있다. In the drawings, numerical values such as length, thickness, width, etc. of the components can be exaggerated for an effective explanation of technical contents.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를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contents have been set forth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o aid understanding. 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such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it should be mentioned in advance that it is common knowledge in describing an invention, and that part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confusion in describing the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2는 저면관수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3은 분해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wat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ottom watering system, and FIG. 3 is an exploded sectional view.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 시스템은 모주 포트(10), 자묘 트레이(20), 받침용기(30), 집수 채널(40), 제1 지지부(50), 및 제2 지지부(60)를 포함한다. 1 to 3, a bottom water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main port 10, a captive tray 20, a support vessel 30, a collecting channel 40, a first support 50,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60).

모주 포트(10)는 모주를 재배하기 위한 화분으로, 위에서 볼 때 대략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화분일 수 있다. 모주 포트(10)는 제1 지지부(50)에 의해 지상에서 소정 높이로 지지될 수 있다. 제1 지지부(50)는 임의의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50)는 적어도 4개의 세로 지지대(51), 세로 지지대(51)의 상부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고 모주 포트(10)의 하부를 지지하는 가로 지지대(63), 및 세로 지지대(51) 사이를 연결하며 제1 지지부(50) 구조에 강성과 안정성을 부여하는 가로빔(55)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도면에 도시한 것에 외에 더 많은 수의 세로 지지대(51), 가로 지지대(53), 및/또는 가로빔(55)이 추가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The forehead port 10 is a pot for cultivating seedlings and may be a pot with a rectangular shape that is substantially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viewed from above. The forehead port 10 can be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ground by the first support portion 50. The first support portion 50 may be implemented by any means. For examp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50 includes at least four vertical supports 51, a transverse support (not shown) that connects the top of the vertical support 5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upports the bottom of the forehead port 10 63, and a vertical support 51 to provide rigidity and stability to the first support 50 structure.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add a greater number of vertical supports 51, transverse supports 53 and / or transverse beams 55 in addition to those shown in the figures, in accordance with a specific embodiment.

모주 포트(10)와 제1 지지부(50) 사이에 집수 채널(40)이 배치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집수 채널(40)은 방수 비닐로 구현될 수 있고, 모주 포트(10)와 제1 지지부(50)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될 수 있다. 집수 채널(40)은 모주 포트(10)에서 배수되는 물 및/또는 배양액을 모아서 배수하는 역할을 가진다. 집수 채널(40)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A collecting channel (40) is disposed between the damper port (10) and the first support part (5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llecting channel 40 may be embodied as a waterproof plastic, and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ping port 10 and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50 and fixed. The water collecting channel (40) has a role of collecting and discharging water and / or a culture liquid drained from the mother liquor port (10).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collecting channel 40 will be described later.

자묘 트레이(20)는 자묘를 육성하기 위한 연결포트이다. 예컨대 딸기 육묘의 경우 모주로부터 뻗어나온 줄기(런너)를 받아서 자묘 포트에 런너를 고정하여 육성하여야 하므로, 자묘 트레이(20)는 모주 포트(10)의 좌우 측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묘 트레이(20)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개의 자묘 포트(21)가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자묘 포트(21)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원통 형상 또는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 형상을 가지며, 일 실시예에서 트레이(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자묘 포트(21)의 하단부에는 저면 관수를 위해 물이나 배양액이 자묘 포트(21) 내부로 스며들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23)가 형성되어 있다. The embryo tray 20 is a connection port for cultivating the seedlings. For example, in the case of strawberry seedlings, it is preferable that the seedling tray 2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ther liquor port 10, since the runner extending from the mother liquor must be received and the runner is fixed to the seedling pot. The embryo tray 2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he embryo ports 21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Each of the peritoneal pots 21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empty space therein or a conical shape having its diameter becoming narrower toward the bottom,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tray 20 in one embodiment. At the lower end of the caption port 21, at least one through-hole 23 is formed so that water or a culture liquid can permeate into the caption port 21 for bottom surface water.

받침용기(30)는 자묘 트레이(20)를 지지하는 받침대 역할을 함과 동시에 자묘 포트(21)에 물 및/또는 배양액을 공급하기 위해 물 및/또는 배양액을 일정 높이만큼 수용하는 수조로서 역할도 할 수 있다. The support vessel 30 serves a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caption tray 20 and is a water tank for accommodating water and / or a culture liquid at a predetermined height for supplying water and / or culture liquid to the caption port 21, can do.

도2와 도3에 잘 나타나 있듯이,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용기(30)는 프레임(31), 그물망(33), 및 방수비닐(3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1)은 받침용기(30)의 테두리 틀을 정의하고 형성하는 부재이고, 예컨대 금속이나 플라스틱 수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31)은 사각형 틀 형상을 가지며, 상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측면부(311) 및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저면부(313)를 포함한다. 이 때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부(311) 중 모주 포트(10)를 향하는 쪽의 측면부(311)의 적어도 일부가 절제되어 측면 개방부(315)가 형성되어 있다. 그물망(33)은 프레임(31)의 저면부(313)에 의해 지지되며 프레임(31)의 상부에 놓여진다. 그물망(33)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물망(33)의 상부에는 1겹 이상의 방수비닐(35)이 놓여진다. 도3에 도시한 것처럼 방수비닐(35)은 그물망(33)의 상부면 뿐만 아니라 프레임(31)의 측면부(311)도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가지며, 이 때 상기 측면 개방부(315)도 방수비닐(35)에 의해 커버된다. 2 and 3, the receiving container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rame 31, a mesh 33, and a waterproofing vinyl 35. The frame 31 is a member defining and forming the frame of the base 30, and may be made of, for example, metal or plastic resin. In one embodiment, the frame 31 has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includes a side portion 31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upward direction and a bottom portion 313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is time, at least a part of the side surface portion 311 of the side surface portion 311 facing the mother liquor port 10 is cut off and the side surface opening portion 315 is formed as shown in Fig. The mesh 33 is supported by the bottom portion 313 of the frame 31 and placed on top of the frame 31. The mesh 33 may be formed of a metal or plastic resin. At least one layer of waterproof vinyl 35 is placed on the top of the mesh 33. 3, the waterproofing vinyl 35 has an area sufficient to cover not only the upper surface of the mesh 33 but also the side surface 311 of the frame 31, Is also covered by the waterproof vinyl 35.

도4는 이와 같이 구성된 받침용기(3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수비닐(35) 중 측면 개방부(315)를 커버하는 방수비닐 영역의 높이가 적어도 프레임(31)의 측면부(311)의 높이와 같거나 높도록 구성하여, 받침용기(30)가 물이나 배양액을 수용하고 있을 경우에도 측면 개방부(315)로 인해 물 또는 배양액이 외부로 배수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만일 소정 압력으로 이 측면 개방부(315)를 커버하는 방수비닐 영역을 누르면, 방수비닐 영역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어 이 낮아진 영역을 통해 받침용기(30) 내의 물이나 배양액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이 때 배수되는 물이나 배양액은 상술한 집수 채널(40)에 낙하하여 집수될 수 있다. Fig. 4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ceiving container 3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of the waterproof vinyl area covering the side opening 315 of the waterproof vinyl 35 is set to b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ide part 311 of the frame 31, Even when the container 30 accommodates water or a culture liquid, the side opening portion 315 prevents the water or the culture liquid from being drained to the outside. However, if the waterproof vinyl region covering the side opening portion 315 is pressed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height of the waterproof vinyl region is lowered so that the water or the culture liquid in the support container 30 can be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wered region have. At this time, the water or the culture liquid to be drained can fall on the collecting channel 40 and collected.

한편 도1과 도4에서는 방수비닐(35)이 투명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그 아래의 프레임(31)과 그물망(33)의 구성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실제 실시 형태에 따라 투명 또는 불투명 방수 비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프레임(31) 위에 배치되어 자묘 트레이(20)를 지지하는 부재로서 판상형의 그물망(33)을 사용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것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이고, 대안적으로 그물망(33) 대신 판상형의 철판이나 플라스틱판 등 임의의 판상부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Although the waterproofing vinyl 35 is shown as being transparent in FIGS. 1 and 4, it is for the purpose of indicating the structure of the frame 31 and the mesh 33 under the waterproofing vinyl 35, and according to actual embodiments, a transparent or opaque waterproofing vinyl Can be use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plate-like mesh 33 is used as a member disposed on the frame 31 to support the trajectory tray 20. However, this is an exemplary embodiment, and alternatively, Instead, any plate member such as a plate-like iron plate or a plastic plate may be used.

받침용기(30)는 제2 지지부(60)에 의해 지지되며, 이에 따라 자묘 트레이(20)가 제2 지지부(60)에 의해 지상에서 소정 높이로 지지될 수 있다. 제1 지지부(50)와 마찬가지로 제2 지지부(60)도 임의의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2 지지부(60)는 적어도 4개의 세로 지지대(61), 세로 지지대(61)의 상부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고 받침용기(30)의 하부를 지지하는 가로 지지대(63), 및 세로 지지대(61) 사이를 연결하며 제2 지지부(60) 구조에 강성과 안정성을 부여하는 가로빔(65)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도면에 도시한 것에 외에 더 많은 수의 세로 지지대(61), 가로 지지대(63), 및/또는 가로빔(65)이 추가될 수 있다. The support vessel 30 is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portion 60 so that the embroidery tray 20 can be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ground by the second support portion 60. [ Like the first support portion 50, the second support portion 60 may be implemented by any mean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econd support portion 60 includes at least four vertical supports 61, a horizontal support 63 for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support 6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vessel 30, And a transverse beam 65 connecting between the vertical supports 61 and imparting stiffness and stability to the structure of the second support 60. Also, in accordance with a specific embodiment, a greater number of vertical supports 61, transverse supports 63, and / or transverse beams 65 than those shown in the figures may be added.

이제 집수 채널(40)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집수 채널(40)은 모주 포트(10)와 받침용기(30)에서 배수되는 물 및/또는 배양액을 집수하는 수용부로서, 일 실시예에 집수 채널(40)은 제1 집수 채널(41)과 제2 집수 채널(4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llecting channel 40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The water collecting channel 40 includes a first collecting channel 41 and a second collecting channel 40. The water collecting channel 40 collects the water and / or the culture liquid drained from the forehead port 10 and the receiving container 30, And a second collection channel (42).

제1 집수 채널(41)은 모주 포트(10)와 제1 지지부(50) 사이에 개재되어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제1 집수 채널(41)은 제1 지지부(50)의 가로 지지대(53)의 사이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제1 집수 채널(41)은 예를 들어 한겹 이상의 방수 비닐로 구성될 수 있고, 2개의 가로 지지대(53)의 이격 거리보다 더 큰 폭을 갖는 방수 비닐을 가로 지지대(53)에 고정시킴으로써, 도3에 도시한 것처럼 골짜기 형상으로 채널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모주 포트(10)에서 배수되는 물을 일정량까지 수용할 수 있다. The first collecting channel (41) is interposed between the main port (10) and the first supporting part (50). Specifically,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rst collecting channel 41 is sandwiched between the transverse supports 53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50 and fixed. The first collection channel 41 may be made of, for example, one or more waterproof vinyls, and by fixing the waterproof vinyl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two lateral supports 53 to the lateral supports 53, As shown in FIG. 3, the channel may be formed in a valley shape, so that the water drained from the main port 10 can be accommodated up to a certain amount.

제2 집수 채널(42)은 적어도 모주 포트(10)와 받침용기(30) 사이의 이격 공간 아래를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받침용기(30)에서 배수되는 물 또는 배양액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제2 집수 채널(42)의 폭방향의 한쪽 단부는 제1 지지부(50)의 가로 지지대(53)에 고정되고 제2 집수 채널(42)의 다른쪽 단부는 제2 지지부(60)의 가로 지지대(63)에 고정된다. 제2 집수 채널(42)도, 2개의 가로 지지대(63)의 이격 거리보다 더 큰 폭을 갖는 한 겹 이상의 방수 비닐을 가로 지지대(53,63)에 고정시켜서 도3에 도시한 것처럼 골짜기 형상의 채널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집수 채널(41)과 제2 집수 채널(42)은 각기 별개의 방수 비닐로 제작될 수도 있고 하나의 방수비닐로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방수 비닐로 제1 집수 채널(41)과 제2 집수 채널(42)를 일체로 제작한 모습을 나타낸다. The second collection channel 42 is configured to receive water or culture fluid drained from the backing vessel 30 disposed at least below the spacing space between the forehead port 10 and the backing vessel 30. Specifically,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collecting channel 42 is fixed to the transverse support 53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5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llecting channel 42 And is fixed to the transverse support 63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60. The second collecting channel 42 is also formed by fixing one or more waterproof vinyls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two transverse supports 63 to the transverse supports 53 and 63 to form valley- Channel. Meanwhile, the first collecting channel 41 and the second collecting channel 42 may be made of separate waterproof vinyls or may be integrally made of one waterproofing vinyl.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3, the first collecting channel 41 and the second collecting channel 42 are integrally made of one waterproofing vinyl.

집수 채널(40)은 각 채널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5는 집수 채널(40)의 예시적인 배수 구조를 아래에서 위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5를 참조하면, 제1 집수 채널(41)과 제2 집수 채널(42)의 각각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씩 배수용 배관(43)이 연결되어 있고, 각 배관(43)은 배관을 개폐시키는 밸브(45)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용 배관(43)의 바로 아래에는 각 배관(43)에서 떨어지는 물을 담는 용기(46)가 설치되고 용기(46)의 바닥면에 통합 배수관(47)이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각 집수 채널(41,42)에 물이 일정량 만큼 수용되어 있으면 해당 밸브(43)를 열어서 물을 배수관(47)으로 배출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각각의 배수용 배관(43)과 통합 배수관(47)이 직접 연결되고 용기(46)가 생략되어도 무방하고, 그 외에 다른 구조의 실시예가 채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water collecting channel 40 may further include a drain pipe for draining the water accommodated in each channel to the outside. In this regard, FIG. 5 shows a view of the exemplary drainage structure of the catchment channel 40 from the top to the bottom. 5, at least one drain pipe 43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each of the first collecting channel 41 and the second collecting channel 42. Each pipe 43 is connected to a valve (45). A container 46 for storing water falling from each pipe 43 may be provided immediately below the drain pipe 43 and an integrated drain pipe 47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46.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water is received in the water collecting channels 41 and 42 by a predetermined amount, the valve 43 can be opened to discharge the water to the water drain pipe 47.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it is needless to say that each of the drainage pipe 43 and the integrated drainage pipe 47 may be directly connected and the container 46 may be omitted, and other embodiments of the structure may be employed.

한편 도1 내지 도3에서는 하나의 모주 포트(10) 및 이의 길이방향의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의 자묘 트레이(20)가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제 구현할 때에는 예컨대 도1에 도시한 저면 관수 시스템이 길이방향으로 수 내지 수십 개 연결되어 설치되어, 딸기 등의 작물을 대량으로 육묘할 수 있다. 1 to 3 show that one trapezoidal tray 10 and one trapezoidal tray 20 are dispos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trail pot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However, in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system is installed several to several tens 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crops such as strawberries can be grown in large quantities.

이제 도6과 도7을 참조하여 저면관수 시스템의 배관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The piping structure of the bottom watering system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FIG.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 시스템의 전체 배관의 블록도로서, 일 예로서 제1 저면관수 시스템(100)에 물 및 배양액을 공급하는 배관의 예시적 구조를 나타낸다. 도6에서 제1 저면관수 시스템(100)은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저면관수 시스템일 수 있다. 도6의 실시예는 제1 저면관수 시스템(100)에 물과 배양액을 공급하기 위해 물탱크(81)와 배양액 탱크(83)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마이크로버블수를 수용하는 마이크로버블수 탱크(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IG. 6 is a block diagram of an entire piping of a bottom water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llustrating, by way of example, an exemplary structure of piping that supplies water and culture fluid to a first bottoming watering system 100. In Figure 6, the first bottom watering system 100 may be the bottom watering system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1-5. The embodiment of FIG. 6 includes a water tank 81 and a culture tank 83 for supplying water and a culture liquid to the first bottom watering system 100, and a microbubble water tank (not shown) 85).

제1 저면관수 시스템(100)에는 물과 배양액 공급을 위한 공통배관(77)의 한쪽 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 단부에는 제1 저면관수 시스템(100)의 모주 포트(10)과 받침용기(30)에 각각 점적(drip) 방식으로 물과 배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점적 튜브가 연결되어 있다. 공통배관(77)의 다른쪽 단부에는 배관이 물탱크(81), 배양액 탱크(83), 및 마이크로버블수 탱크(85)로 각각 갈라지도록 노드(870)가 설치되어 있다. 편의상 노드(870)에서 물탱크(81)까지 연결된 배관을 제1 공급배관(811), 노드(870)에서 배양액 탱크(83)까지 연결된 배관을 제2 공급배관(831), 그리고 노드(870)에서 마이크로버블수 탱크(85)까지 연결된 배관을 제3 공급배관(851)이라 칭하기로 한다. In the first bottom watering system 100, one end of a common pipe 77 for supplying water and a culture liquid is connected. At this end, a drip tube for supplying water and a culture liquid in a dripping manner is connected to the main port 10 of the first bottom watering system 100 and the receiving container 30, respectively. A node 870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ommon pipe 77 so that the pipe is divided into a water tank 81, a culture liquid tank 83 and a micro bubble water tank 85, respectively. A pipe connected from the node 870 to the water tank 81 is referred to as a first supply pipe 811 and a pipe connected from the node 870 to the culture tank 83 is referred to as a second supply pipe 831 and a node 870, To the micro bubble water tank 85 will be referred to as a third supply pipe 851. [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공급배관(811, 831, 851)의 각각은 제1 내지 제3 펌프(813, 833, 853) 및 제1 내지 제3 개폐밸브(815, 835, 855)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요에 따라 물, 배양액, 및 마이크로버블수 중 하나를 제1 저면 관수 시스템(100)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을 공급하는 경우, 제2 및 제3 개폐밸브(835,855)에 의해 제2 및 제3 공급배관(831,851)을 폐쇄하고 제1 개폐밸브(815)에 의해 제1 공급배관(811)을 개방한 후 제1 펌프(813)를 가동하여 물을 제1 저면 관수 시스템(100)에 공급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pply pipes 811, 831, 851 is connected to the first to third pumps 813, 833, 853 and the first to third open / close valves 815, 835, 855 ) So that one of the water, the culture liquid, and the microbubble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bottom watering system 100 as needed. The second and third supply pipes 831 and 851 are closed by the second and third open / close valves 835 and 855 and the first supply pipe 811 is closed by the first open / close valve 815, The first pump 813 can be operated to supply the water to the first bottom watering system 100.

그리고 도6에 점선으로 도시한 것처럼 본 발명의 저면관수 시스템은 제1 저면관수 시스템(100) 뿐만 아니라 제2, 제3 등 복수개의 저면관수 시스템을 포함하고, 이들에 각각 물과 배양액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저면관수 시스템은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6, the bottom wate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ot only the first bottom watering system 100 but also a plurality of second and third bottom watering systems such as water and a culture medium, have. At this time, each bottom watering system may have a structur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한편 도6은 제1 저면관수 시스템(100)에 물과 배양액을 공급하는 일 예시적인 배관도를 나타내며, 배관의 구성이나 펌프, 밸브 등 배치에는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6에서는 제1 내지 제3 공급배관(811,831,851)이 노드(870)에서 합쳐져서 공통배관(77)에 연결되어 있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예컨대 제2 공급배관(831)이나 제3 공급배관(851)이 제1 저면관수 시스템(10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이 경우 펌프나 밸브의 개수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Meanwhile, FIG. 6 shows an exemplary piping diagram for supplying water and culture liquid to the first bottom watering system 100, and various constructions may be applied to the arrangement of the piping, the arrangement of the pumps, the valves, and the like. For example, although the first to third supply pipes 811, 831 and 851 are connected to the common pipe 77 at the node 870 in FIG. 6,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for example, the second supply pipe 831 and / 3 feed pipe 851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bottom watering system 100, in which case the number or position of the pump or valve may vary.

이와 관련하여 도7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 시스템의 구체적 배관 구성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모주 포트(10)와 받침용기(30)는 각각 물과 배양액을 점적 방식으로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점적 튜브(71,73)를 각각 포함한다. 점적 튜브(71)는 모주 포트(10)의 상부에 배치되어 모주에 물과 배양액을 공급하며, 점적 튜브(73)는 저면 관수 방식으로 물과 배양액을 공급하기 위해 받침용기(30)의 상부면에 물과 배양액을 공급하도록 배치된다. 이 때 점적 튜브(73)는 파이프로 대체할 수도 있고, 그 외 기타 물이나 배양액을 점적 방식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과 재질을 갖는 부재로 대체할 수도 있다. In this regard, Figure 7 illustrates a concrete piping configuration of a bottom watering system according to one exemplary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mother liquor port 10 and the receiving container 30 each include one or more drip tubes 71, 73 for supplying water and the culture liquid in a dripping manner, respectively. The drip tube 71 is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drip port 10 to supply water and a culture liquid to the drip tray and the drip tube 73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container 30 for supplying water and culture liquid in a bottom- To supply water and a culture medium. At this time, the drip tube 73 may be replaced with a pipe, or may be replaced with a member having any shape and material capable of supplying other water or culture liquid in a dripping manner.

점적 튜브(71,73)는 호스 등의 연결관(75)을 거쳐 공통배관(77)에 모두 결합되고, 공통배관(77)에서 배관이 분기되어 각각 물탱크(81), 배양액 탱크(83), 및 마이크로버블수 탱크(85)로 이어진다. 도7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물탱크(81)는 제1 공급배관(811)을 통해 공통배관(77)과 연결되고, 배양액 탱크(83)는 제2 공급배관(831)을 통해 공통배관(77)과 연결되고, 마이크로버블수 탱크(85)는 제3 공급배관(851)을 통해 공통배관(77)과 연결되어 있다. The drip tubes 71 and 73 are all connected to a common pipeline 77 via a connection pipe 75 such as a hose and the piping is branched from the common pipeline 77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81 and the culture liquid tank 83, , And a micro bubble water tank (85). The water tank 81 is connected to the common pipe 77 through the first supply pipe 811 and the culture liquid tank 83 is connected to the common pipe 771 through the second supply pipe 831. [ And the micro bubble water tank 85 is connected to the common pipe 77 through the third supply pipe 851. [

이상과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저면관수 시스템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bottom water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0: 모주 포트
20: 자묘 트레이
30: 받침용기
40: 집수 채널
50: 제1 지지부
60: 제2 지지부
10: Morain port
20: Concretion tray
30: Support container
40: Collecting channel
50: first supporting part
60: second support portion

Claims (10)

저면관수 시스템에 있어서,
모주를 재배하기 위한 모주 포트;
상기 모주 포트를 지상에서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모주 포트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고,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자묘를 재배할 수 있는 자묘 포트를 복수개 구비하는 자묘 트레이;
상기 자묘 트레이를 지지하며 물 또는 배양액을 수용할 수 있는 받침용기;
상기 자묘 트레이를 지상에서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모주 포트와 상기 받침용기에서 배수되는 물 또는 배양액을 집수하는 집수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용기는,
상기 받침용기의 테두리 틀을 형성하며 측면부 및 저면부를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저면부에 의해 지지되는 판상부재; 및
상기 판상부재 위에 배치되어 상기 판상부재의 상면과 상기 프레임의 측면부를 커버하는 제1 방수비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 시스템.
In a bottom watering system,
Mosquito port for cultivating mosquito;
A first support for supporting the mother liquor port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 seedling tray having a plurality of seedling pots disposed on at least one of both sides of the seedling pot and formed with at least one through hole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capable of cultivating the seedlings;
A support vessel for supporting the graffiti tray and capable of receiving water or a culture solution;
A second support for supporting the artificial tray at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ground; And
And a collecting channel for collecting the water or the culture liquid drained from the receiving port and the receiving container,
The support container includes:
A frame which forms a frame of the receiving container and has a side portion and a bottom portion;
A plate-like member supported by a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rame; And
And a first waterproofing vinyl disposed on the plate member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채널이,
상기 모주 포트와 상기 제1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모주 포트에서 배수되는 물 또는 배양액을 수용하는 제1 집수 채널; 및
적어도 상기 모주 포트와 상기 받침용기 사이의 이격 공간 아래를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받침용기에서 배수되는 물 또는 배양액을 수용하는 제2 집수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 시스템.
The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collecting channel interposed between the fore and aft ports and the first support for receiving water or a culture liquid drained from the fore port; And
And a second collecting channel arranged to cover at least a space below the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forehead port and the receiving container and to receive water or culture liquid drained from the receiving contain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수 채널과 제2 집수 채널이 일체로 연결된 하나의 제2 방수비닐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water collecting channel and the second water collecting channel are formed of one second waterproofing vinyl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측면부 중 상기 모주 포트를 향하는 쪽의 측면부에 적어도 일부가 절제되어 측면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개방부도 상기 제1 방수비닐에 의해 커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frame is cut off at a side surface portion facing the forehead port to form a side surface opening portion and the side surface opening portion is also covered with the first waterproofing viny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비닐 중 상기 측면 개방부를 커버하는 방수비닐 영역의 높이가 적어도 상기 프레임의 상기 측면부의 높이와 같거나 높아서 상기 받침용기 내에 수용된 물 또는 배양액이 외부로 배수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소정 압력이 상기 방수비닐 영역에 가해지면, 상기 방수비닐 영역의 높이가 낮아짐으로써 상기 받침용기 내의 물 또는 배양액이 상기 제2 집수 채널로 낙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eight of the waterproof vinyl region covering the side surface opening portion of the first waterproofing vinyl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frame so that the water or the culture liquid contained in the receiving container is not drained to the outside,
Wherein when the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waterproof vinyl region, the height of the waterproof vinyl region is lowered so that the water or the culture liquid in the receiving container drops to the second collecting channe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수 채널과 제2 집수 채널의 각각의 하부에 배수용 배관 및 이 배관을 개폐시키는 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drain pipe and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ipe ar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each of the first collecting channel and the second collecting chan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주 포트에 물 또는 배양액을 공급하는 제1 점적 튜브; 및
상기 받침용기에 물 또는 배양액을 공급하는 제2 점적 튜브 또는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drip tube for supplying water or a culture liquid to the main port; And
And a second scavenging tube or pipe for supplying water or a culture liquid to the support contain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적 튜브 및 제2 점적 튜브 또는 파이프와 연결된 공통배관;
상기 공통배관에서 분기되고 물탱크와 연결된 제1 공급배관; 및
상기 공통배관에서 분기되고 배양액 탱크와 연결된 제2 공급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A common piping connected to the first drip tube and the second drip tube or pipe;
A first supply pipe branched from the common pipe and connected to the water tank; And
And a second supply pipe branching from the common pipe and connected to the culture liquid tank.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배관에 설치된 제1 개폐밸브; 및
상기 제2 공급배관에 설치된 제2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A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provided on the first supply pipe; And
And a second on-off valve installed on the second supply pip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배관에서 분기되고 마이크로버블수 탱크와 연결된 제3 공급배관; 및
상기 제3 공급배관에 설치된 제3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A third supply pipe branched from the common pipe and connected to the micro bubble water tank; And
And a third opening / closing valve installed on the third supply pipe.
KR1020160026534A 2016-03-04 2016-03-04 Sub-irrigation System KR201701040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534A KR20170104093A (en) 2016-03-04 2016-03-04 Sub-irrig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534A KR20170104093A (en) 2016-03-04 2016-03-04 Sub-irrig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093A true KR20170104093A (en) 2017-09-14

Family

ID=59926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534A KR20170104093A (en) 2016-03-04 2016-03-04 Sub-irrig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409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400A (en) 2017-11-06 2019-05-1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유니플랜텍 Bottom irrigation type plant cultivation box
KR20220126102A (en) 2021-03-08 2022-09-15 나송희 Seedling pot type of drop and bottom watering and Seedling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400A (en) 2017-11-06 2019-05-1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유니플랜텍 Bottom irrigation type plant cultivation box
KR20220126102A (en) 2021-03-08 2022-09-15 나송희 Seedling pot type of drop and bottom watering and Seedling method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5833B2 (en) Grotube
US10531615B2 (en) Modular container and modular irrigation system
EP2983463B1 (en) Vertical garden system
US10070600B2 (en) Aeroponic system
US20210251163A1 (en) Hybrid aeroponic/hydroponic growing system
US20100037517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with Open Channel Irrigation System
EP3148316B1 (en) Vertical planter for growing plants
JP2008253165A (en) Cultivation container and cultivation device using the same
US20210144930A1 (en) Container for plant cultivation with sloping fertigation troughs
KR20140081651A (en) A Pot tray for under water supply system
US20110179710A1 (en) Plant Containment Device For Irrigation And Fertigation And Associated Methods
KR20170104093A (en) Sub-irrigation System
KR20130047375A (en) Plant cultivation device
JP2015522299A (en) Vertical planter device with built-in irrigation system
JP2007330227A (en) Cultivation device for hydroponics
KR101999327B1 (en) Bottom irrigation type plant cultivation box
KR101643649B1 (en) Wall planter for recording
KR102141572B1 (en) Hydroponic bed
KR101248497B1 (en) Plant system in water
KR20170001235U (en) Potting basin and double pots for supplying liquid with air passage
KR101188207B1 (en) Multi stage culture system of solid plant
US20190261588A1 (en) Plant growth system with root barrier
KR101318394B1 (en) Nutrient solution culture system using rainwater
CN211881052U (en) Automatic millet irrigation system
US20230189719A1 (en) Vertical gard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