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5361A -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5361A
KR20170115361A KR1020160042921A KR20160042921A KR20170115361A KR 20170115361 A KR20170115361 A KR 20170115361A KR 1020160042921 A KR1020160042921 A KR 1020160042921A KR 20160042921 A KR20160042921 A KR 20160042921A KR 20170115361 A KR20170115361 A KR 20170115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member
mesh
unit
bracket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배
Original Assignee
박찬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배 filed Critical 박찬배
Priority to KR1020160042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5361A/ko
Publication of KR20170115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3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43Applying springy clips around bag n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2Packag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 B65B25/04Packaging fruit or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6Packaging slices or specially-shaped pieces of meat, cheese, or other plastic or tacky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2Jigging conveyors comprising helical or spiral channels or conduits for elevation of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속부재 어셈블리 및 그물망 자동포장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결속부재를 공급하는 결속부재공급부와, 상기 결속부재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결속부재를 이송시키는 결속부재이송부와, 상기 결속부재이송부에서 공급된 결속부재를 상기 그물망으로 가력하는 결속부재가압부와, 상기 결속부재가압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결속부재를 상기 결속부재가압부와 같이 가압하여 상기 그물망의 입구를 상기 결속부재로 클램핑하는 가압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COUPLING MEMBER SUPPLYING ASSEMBLY}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 및 채소 등의 보관을 위해 봉지에 과일 및 채소 등을 자동으로 포장할 수 있는 포장장치가 다수 발명되어 사용 중에 있다. 하지만 공기의 통풍이 필요한 양파와 같은 과일 및 채소 등을 수작업으로 포장하거나, 이송 수단과 각종 기계 장치를 이용하여 포장하였다. 완전 수작업 또는 일부 수작업에 따른 과다한 인건비 또는 여러 기계를 사용하여 신속하게 전자동으로 포장하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농산물의 원산지 및 공급자의 신용을 나타내는 표시기를 그물망 외측에 부착하는 단순한 작업도 작업자가 일일이 손으로 부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 작업비용이 증가한다.
특허 10-1506199 (2015.03.26)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결속부재를 공급하는 결속부재공급부와, 상기 결속부재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결속부재를 이송시키는 결속부재이송부와, 상기 결속부재이송부에서 공급된 결속부재를 상기 그물망으로 가력하는 결속부재가압부와, 상기 결속부재가압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결속부재를 상기 결속부재가압부와 같이 가압하여 상기 그물망의 입구를 상기 결속부재로 클램핑하는 가압지지부를 포함하는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재공급부는 진동으로 상기 결속부재를 승강시켜 상기 결속부재이송부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재이송부는, 상기 결속부재이송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결속부재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 결속부재이송부와, 상기 제1 결속부재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결속부재를 상기 제1 결속부재이송부의 이송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 결속부재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재이송부는,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롤러와, 상기 롤러를 감싸도록 설치된 벨트와, 상기 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재이송부는, 상기 결속부재가 안착하는 안착브라켓과, 상기 안착브라켓 상에 배치되며, 상기 안착브라켓 측으로 돌출되도록 가력돌기를 구비한 이동브라켓과, 상기 이동브라켓과 연결되는 연결블록과, 상기 연결블록이 선형 운동하는 연결블록가이드와, 상기 연결블록가이드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블록 가이드를 승하강시키는 연결블록승하강구동부와, 상기 연결블록가이드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블록을 선형 운동시키는 연결블록선형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재가압부는, 선형 운동가능한 선형운동플레이트와, 상기 선형운동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선형운동플레이트를 선형 운동시키는 선형운동플레이트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재가압부는, 상기 선형운동플레이트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결속부재가 안착되는 가압고정브라켓과, 상기 가압고정브라켓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결속부재를 가압하는 가압선형운동브라켓과, 상기 가압고정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선형운동브라켓을 선형 운동시키는 가압선형운동브라켓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재가압부는, 상기 선형운동플레이트 및 상기 가압고정브라켓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제1 그물망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지지부는, 상기 결속부재가압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선형운동하는 가압지지브라켓과, 상기 가압지지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지지브라켓을 선형 운동시키는 가압지지브라켓선형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지지브라켓에는 상기 결속부재가압부 일부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물건이 투입되는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물건이 삽입되는 구물망을 복수개 보관하는 그물망보관부와, 상기 그물망보관부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그물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흡착하여 상기 호퍼부로 이송시키는 제1 그물망이송부와, 상기 제1 그물망이송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그물망이송부에 흡착된 상기 그물망의 입구를 벌리는 제2 그물망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물망은, 메쉬 형태로 형성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그물망이송부 및 상기 제2 그물망이송부에 흡착되는 흡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퍼부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 호퍼와,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호퍼가 승하강 가능하도록 내부에 삽입되는 제2 호퍼와, 상기 제1 호퍼와 상기 제2 호퍼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호퍼를 승하강시키는 호퍼선형구동부와, 상기 제2 호퍼의 개구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호퍼의 하강 시 상기 제2 호퍼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퍼부는, 상기 제2 호퍼의 개구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그물망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호퍼 및 상기 제1 파지부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파지부를 회동시키는 제1 파지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퍼부는, 상기 제1 파지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2 호퍼의 개구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파지부와 함께 상기 그물망을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제2 파지부와, 상기 제2 호퍼 및 상기 제2 파지부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 파지부를 회동시키는 제2 파지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물망보관부는, 상기 그물망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상기 그물망을 보관하는 그물망고정부와, 상기 그물망고정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물망고정부는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물망보관부는,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그물망고정부의 일부와 접촉하여 상기 그물망고정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그물망이송부는, 상기 그물망과 접촉하여 상기 그물망의 일부를 흡착하는 제1 흡착부와, 상기 제1 흡착부가 고정되는 제1 흡착부고정브라켓과, 상기 제1 흡착부고정브라켓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흡착부고정브라켓을 선형 운동시키는 제1 선형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그물망이송부는, 상기 그물망보관부의 일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그물망과 접촉하여 상기 그물망의 일부를 흡착하는 제2 흡착부와, 상기 제2 흡착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흡착부를 선형 운동시키는시키는 제2 선형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선형구동부는, 상기 제2 흡착부를 제1 방향으로 선형 운동시키는 제1 방향선형구동부와, 상기 제1 방향선형구동부 및 상기 제2 흡착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방향선형구동부를 선형 운동시키는 제2 방향선형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흡착부는, 제1 서브흡착부와, 상기 그물망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서브흡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퍼부가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물건이 삽입된 그물망을 선형 운동시키는 그물망이동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물망이동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선형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브라켓과, 상기 이동브라켓에 상하 운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선형운동브라켓과, 상기 선형운동브라켓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그물망파지부와, 상기 선형운동브라켓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그물망파지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그물망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그물망파지부 및 상기 제2 그물망파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그물망이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물망이동부는, 상기 선형운동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그물망파지부와 상기 제2 그물망파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그물망파지부와 상기 제2 그물망파지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퍼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퍼부에서 공급되는 물건이 수납된 상기 그물망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그물망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자동으로 포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자동포장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그물망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그물망보관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그물망이송부 및 제2 그물망이송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호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호퍼부, 고정브라켓 및 그물망이동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그물망이동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그물망정렬부와 컨베이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자동포장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그물망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그물망 자동포장기(10)는 그물망보관부(100), 제1 그물망이송부(210), 제2 그물망이송부(220), 호퍼부(300), 고정브라켓(400), 그물망이동부(500), 그물망정렬부(600), 컨베이어부(700), 결속부재 어셈블리(800) 및 지지프레임(90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900)은 외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900)은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조립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호퍼부(300)는 고정브라켓(40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호퍼부(300)의 상측에서 물건이 투입될 수 있으며, 하측에는 그물망(M)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인 호퍼부(300)에 투입되는 물건은 야채, 과일, 생선 등과 같은 농수산물 뿐만 아니라 축산물, 공산품 등 다양한 형태의 물건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물건이 양파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물건을 별도의 그물망에 수납된 상태에서 그물망(M)에 수납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와 같은 물건은 낱개로 그물망(M)에 수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와 같은 물건은 별도의 그물망에 수납된 상태에서 그물망(M)에 다시 수납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물망(M)은 메쉬 형태로 형성되는 바디부(M1)와, 바디부(M1)에 형성되는 흡착부재(M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디부(M1)에는 그물망보관부(100)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홀(M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흡착부재(M2)는 제1 그물망이송부(210) 및 제2 그물망이송부(220)가 흡착되도록 비닐 등과 같은 합성수지,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흡착부재(M2)는 바디부(M1)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물망보관부(100)는 호퍼부(300)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그물망보관부(100)는 복수개의 그물망(M)이 보관될 수 있다.
호퍼부(300)는 고정브라켓(4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브라켓(400)은 지지프레임(90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그물망이송부(210)가 고정브라켓(4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물망이동부(500)도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고정브라켓(4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그물망이송부(220)는 일부가 지지프레임(90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물망이동부(500)는 물건이 삽입된 그물망(M)을 선형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그물망이동부(500)는 호퍼부(300)의 양측에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2개의 그물망이동부(500)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순차적으로 서로 교번하여 작동할 수 있다.
그물망이동부(500)의 측면에는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8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800)는 그물망이동부(500)로부터 이동하는 그물망(M)의 입구부를 클립 등과 같은 결속부재를 통하여 클램핑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800)는 2개가 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800)는 각 그물망이동부(5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물망정렬부(600)는 고정브라켓(400)의 하측에 배치되어 그물망(M) 내부의 물건을 정렬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물망정렬부(600)는 물건이 삽입된 그물망(M)이 안착된 후 그물망(M)을 흔듦으로써 물건을 그물망(M) 내부에서 정렬시킬 수 있다.
컨베이어부(700)는 물건이 삽입된 그물망(M)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컨베이어부(700)는 2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 컨베이어부(700)는 각 그물망이동부(5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그물망 자동포장기(10)의 작동을 살펴보면, 제2 그물망이송부(220)가 그물망(M)을 그물망보관부(100)로부터 흡착하여 호퍼부(300) 하측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후 제2 그물망이송부(220)가 제1 그물망이송부(210)에 대향하도록 선형 운동한 후 제1 그물망이송부(210)과 제2 그물망이송부(220)를 통하여 그물망(M)의 입구를 개방시킬 수 있다.
호퍼부(300)가 작동하여 그물망(M)을 파지한 후 호퍼부(300)를 통하여 그물망(M) 내부로 물건을 투입한 후 그물망이동부(500)를 통하여 그물망(M) 입구부를 조인 상태에서 그물망(M)을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8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그물망(M)에 물건이 투입되는 동안 그물망정렬부(600)에서 그물망(M) 내부의 물건을 정렬한 후 그물망이동부(500)를 통하여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8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800)에서는 결속부재를 통하여 그물망(M)의 입구부를 결속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부(700)는 클램핑이 완료된 그물망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그물망이동부(500),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800) 및 컨베이어부(700)는 호퍼부(300)을 중심으로 2개씩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어 상기와 같은 작업을 교번하여 수행함으로써 작성 능률을 향상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그물망보관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그물망보관부(100)는 그물망(M)을 복수개 보관할 수 있다. 이때, 그물망보관부(100)는 그물망(M)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그물망(M)을 보관하는 그물망고정부(110) 및 그물망고정부(11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물망고정부(11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지지부(120)에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물망고정부(110)는 4개가 구비되어, 각 그물망고정부(110)가 지지부(120)를 중심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그물망고정부(110)는 한 쌍의 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그물망고정부(110)는 지지부(120)에 고정되는 그물망지지브라켓(111) 및 그물망지지브라켓(111)에 설치되는 그물망가이드바(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그물망가이드바(112)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2 그물망이송부(미표기)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특히 그물망가이드바(112)는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그물망가이드바(112)는 그물망지지브라켓(111)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그물망지지브라켓(111)에는 그물망(M)의 크기에 따라 그물망가이드바(11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그물망가이드바(112)를 다양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물망지지브라켓(111)은 지지부(1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20)에는 그물망지지브라켓(111)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120)는 외부의 장치 또는 지지프레임(9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그물망고정부(110)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구동부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부는 지지부(120)와 직결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구동부는 지지부(120)와 연결되는 감속기, 상기 감속기와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 및 지지부(120)에 각각 연결되는 풀리, 풀리에 설치되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동부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120)와 연결되어 지지부(120)를 회전 운동시키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지지부(120)는 하나의 그물망고정부(110)의 그물망(M)이 소진되는 경우 그물망고정부(110)을 회전시킴으로써 새로운 그물망고정부(110)를 제1 그물망이송부(미도시)과 대향하도록 배치시킴으로써 그물망(M)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그물망고정부(110) 중 사용하지 않는 그물망고정부(110)는 지지부(120)를 중심으로 접힘으로써 그물망가이드바(112)가 하측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그물망이송부 및 제2 그물망이송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그물망이송부(210)와 제2 그물망이송부(220)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그물망이송부(210)는 고정브라켓(40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그물망이송부(220)는 지지프레임(900)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그물망이송부(210)는 제1 지지브라켓(211), 제1 흡착부(212), 제1 흡착부고정브라켓(213) 및 제1 선형구동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브라켓(211)은 고정브라켓(40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브라켓(211)은 그물망고정부(110)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선형구동부(214)가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흡착부(212)는 제1 흡착부고정브라켓(213)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흡착부고정브라켓(213)은 제1 선형구동부(214)와 연결되어 선형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흡착부고정브라켓(213)은 제1 지지브라켓(211)과 가이드 등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1 흡착부(212)는 흡착부재(M2)가 흡착되도록 빨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흡착부재(M2)를 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흡착부(212)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착물질이 도포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흡착부(212)는 진공 상태를 형성함으로써 흡착부재(M2)를 흡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1 흡착부(212)에는 빨판 형태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과 연통하도록 배관 및 배관에 설치되는 진공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흡착부(212)가 탄성재질의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선형구동부(214)는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어 제1 흡착부고정브라켓(213)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선형구동부(214)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선형구동부(214)는 제1 흡착부고정브라켓(213)과 연결되는 볼스크류 및 상기 볼스크류와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선형구동부(214)는 제1 흡착부고정브라켓(213)과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선형구동부(214)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흡착부고정브라켓(213)과 연결되어 제1 흡착부고정브라켓(213)을 선형 운동시키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선형구동부(214)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그물망이송부(210)는 상기의 구성 이외에도 제1 흡착부고정브라켓(213)에 연결되며, 제1 지지브라켓(211)에 삽입되는 제1 가이드핀(2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핀(215)는 제1 선형구동부(214)가 작동할 때 제1 흡착부고정브라켓(213)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브라켓(211)은 고정브라켓(40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그물망이송부(220)는 제2 흡착부(222) 및 제2 선형구동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흡착부(222)는 제1 서브흡착부(222a)와 제2 서브흡착부(22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브흡착부(222a)와 제2 서브흡착부(222b)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서브흡착부(222a)는 제1 흡착부(212)를 향하고, 제2 서브흡착부(222b)는 그물망보관부(10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서브흡착부(222a)와 제2 서브흡착부(222b)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흡착부(212)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그물망이송부(220)는 제1 그물망이송부(210)와 유사하게 제2 흡착부고정브라켓(2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흡착부고정브라켓(223)은 제1 흡착부고정브라켓(213)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선형구동부(224)는 제2 흡착부(222)를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선형구동부(224)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선형구동부(214)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선형구동부(214)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흡착부(222)와 연결되어 제2 흡착부(222)를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선형 운동시키는 모든 장치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선형구동부(224)는 제1 방향선형구동부(224a) 및 제2 방향선형구동부(22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선형구동부(224a)는 제2 흡착부(222)를 제1 방향(그물망의 이동 방향 또는 그물망보관부의 길이 방향)으로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그물망이송부(220)는 제2 지지브라켓(2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지지브라켓(221)은 지지프레임(90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제1 방향선형구동부(224a)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방향선형구동부(224b)는 제1 방향선형구동부(224a)와 제2 흡착부고정브라켓(223)을 연결하여 제2 흡착부(222)를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상하 방향 또는 그물망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방향선형구동부(224b)와 제2 흡착부고정브라켓(223)은 제2 흡착부연결브라켓(22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2 흡착부고정브라켓(223)은 일부 구간에서 그물망가이드바(112)와 접촉하여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이때, 제2 흡착부고정브라켓(223)에는 그물망가이드바(112)가 삽입되도록 그물망가이드바삽입홈(112a)이 형성되어 선형 운동 시 그물망가이드바(112)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선형구동부(224)는 제2 흡착부(222)를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선형구동부(214)를 통하여 그물망(M)의 이동 시 경로에 배치되어 그물망(M)의 이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1 그물망이송부(210)와 제2 그물망이송부(220)의 작동을 살펴보면, 제2 그물망이송부(220)가 작동 초기에 그물망을 흡착하여 호퍼부(300)의 하측으로 그물망(M)을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서브흡착부(222b)가 작동하여 그물망(M)을 흡착한 후 제1 방향선형구동부(224a)를 작동시켜 그물망(M)을 이송시킬 수 있다. 이후 그물망(M)을 제2 서브흡착부(222b)로부터 이탈시킨 후 제1 방향선형구동부(224a)를 계속 작동시켜 그물망(M)과 제2 서브흡착부(222b)를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선형구동부(224a)를 상기와 반대로 이송시켜 그물망(M)과 제2 서브흡착부(222b)을 근접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흡착부고정브라켓(223)에는 그물망가이드바(112)의 상면에 접촉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1 방향선형구동부(224a)의 운동에 따라서 제2 방향선형구동부(224b)가 이동하고, 제2 방향선형구동부(224b)와 연결된 제2 흡착부연결브라켓(225) 및 제2 흡착부연결브라켓(225)과 연결된 제2 흡착부고정브라켓(223)을 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그물망(M)과 제2 서브흡착부(222b)가 근접하는 경우 제2 방향선형구동부(224b)를 작동시켜 제2 흡착부고정브라켓(223)과 제2 흡착부연결브라켓(225)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흡착부고정브라켓(223)은 그물망가이드바(112)로부터 이탈하고, 그물망가이드바(112)의 중간에 있는 그물망(M)을 회피하여 그물망가이드바(112)의 중간에 있는 그물망(M)과 지지부(120)에 근접한 그물망(M)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치가 완료되면, 제1 방향선형구동부(224a)를 작동시켜 제2 서브흡착부(222b)를 그물망(M)에 접촉시켜 그물망(M)을 구속한 상태에서 제1 방향선형구동부(224a)가 다시 제2 흡착부고정브라켓(223)을 그물망가이드바(112)에서 접촉한 상태로 전진시킬 수 있다. 이때, 그물망가이드바(112)의 중앙 부분에 있던 다른 그물망(M)은 제1 서브흡착부(222a)에 접촉하여 전진할 수 있다. 이때, 제2 서브흡착부(222b)에 흡착된 그물망(M)은 제2 흡착부고정브라켓(223)의 운동 시 그물망가이드바(112)의 중앙 부분에서 제2 서브흡착부(222b)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서브흡착부(222a)에 흡착된 그물망(M)은 호퍼부(300)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물망(M)이 호퍼부(300) 하측에 배치되면, 제1 선형구동부(214)가 작동하여 제1 흡착부고정브라켓(213)을 이동시키고, 제1 흡착부고정브라켓(213)은 제2 흡착부고정브라켓(223)과 근접할 수 있다.
이후 제1 흡착부(212)에 그물망(M)의 일부가 흡착되면, 제1 선형구동부(214)가 제1 흡착부고정브라켓(213)을 이동시킴으로써 그물망(M)의 입구부를 벌릴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제1 그물망이송부(210) 및 제2 그물망이송부(22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물망(M)을 이송한 후 그물망(M)의 입구를 벌리게 하는 장치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호퍼부(3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호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호퍼부(300)는 제1 호퍼(310), 제2 호퍼(320), 호퍼선형구동부(330), 개폐부(340), 제1 파지부(350), 제1 파지구동부(360), 제2 파지부(370) 및 제2 파지구동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호퍼(310)는 내부가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호퍼(310)의 상측은 개방되어 물건이 투입될 수 있으며, 하측도 개방되어 물건이 낙하할 수 있다. 또한, 제1 호퍼(310)의 하단은 일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개폐부(3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2 호퍼(320)는 내부가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호퍼(310)는 제2 호퍼(320) 내부에 삽입되어 선형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호퍼(320)의 상단에는 제2 호퍼(32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제2 호퍼(320)의 하단에는 개폐부(340)가 설치될 수 있다.
호퍼선형구동부(330)는 제1 호퍼(310)와 제2 호퍼(320)에 연결되어 제1 호퍼(310)를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호퍼선형구동부(330)는 길이 가변하는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호퍼선형구동부(330)는 일단이 제2 호퍼(320)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타단은 제1 호퍼(310)와 별도의 브라켓 등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개폐부(340)는 제2 호퍼(3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개폐부(340)는 경첩 형태로 제2 호퍼(320)에 연결될 수 있다. 개폐부(34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개폐부(340)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개폐부(340)의 끝단은 원형 형태로 말리도록 형성됨으로써 그물망(M)의 내부에 삽입되어 그물망을 벌리거나 지지할 수 있다. 이때, 개폐부(340)는 제1 호퍼(310)의 선형 운동 시 제2 호퍼(32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호퍼(310)가 제2 호퍼(320) 내부에서 하강하는 경우 제1 호퍼(310)의 돌출된 부분이 개폐부(340)를 가력함으로써 개폐부(340)가 회전하여 제2 호퍼(320)를 개방할 수 있으며, 그물망(M)의 입구를 개방할 수 있다.
제1 파지부(350)는 복수개의 개폐부(3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파지부(35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제1 파지부(350)는 끝단이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그물망(M)의 내부에서 그물망(M)을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파지부(35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제1 파지부(350)의 표면은 주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파지부(35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물망(M)의 일부를 고정시키거나 그물망(M)을 파지할 수 있는 모든 구조 및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파지부(35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파지부(350)는 제2 호퍼(3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파지구동부(36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파지부(350)는 중심이 아닌 부분이 제2 호퍼(3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파지부(350)는 일부가 제2 호퍼(320)를 관통하도록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파지구동부(360)는 길이가 가변할 수 있다. 이때, 제1 파지구동부(360)는 제2 호퍼(320)의 외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파지부(35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제1 파지구동부(360)는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어 제2 호퍼(320)의 외면에 설치되어 길이가 가변할 수 있다. 이때, 제1 파지부(350)는 제1 파지구동부(360)의 길이 가변에 따라서 제2 호퍼(320)의 개구부 부분에서 회동할 수 있다.
제2 파지부(370)는 제2 호퍼(3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파지부(370)는 회전하는 경우 제1 파지부(350)와 대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그물망(M)을 파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파지부(370)는 제1 파지부(35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지구동부(380)는 제1 파지구동부(36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어 제2 파지부(37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개폐부(340), 제1 파지부(350) 및 제2 파지부(370)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호퍼부(3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그물망(M)이 호퍼부(300)의 하측에 배치되는 경우 호퍼선형구동부(330)가 작동하여 제1 호퍼(310)를 하강시켜 개폐부(340)를 개방시킬 수 있다.
개폐부(340)의 끝단은 그물망(M) 내부로 진입하면서 그물망(M)의 입구를 벌리게 되고, 제1 호퍼(310)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제2 호퍼(320)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물망(M) 입구를 벌린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후 제1 호퍼(310)를 통하여 물건이 낙하하고 물건이 그물망(M) 내부로 진입한 후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대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또는 전에 그물망(M)이 호퍼부(3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파지구동부(360) 및 제2 파지구동부(380)가 자동하여 제1 파지부(350) 및 제2 파지부(370)를 회전시키고, 제1 파지부(350) 및 제2 파지부(370)는 그물망(M)을 잡은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특히 제1 파지부(350)는 그물망(M)의 내면에서 그물망(M)과 접촉하고 제2 파지부(370)는 그물망(M)의 외면에서 그물망(M)과 접촉함으로써 그물망(M)의 양면에서 그물망(M)을 파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후 후술할 그물망이동부(500)를 통하여 그물망(M)의 입구가 결속한 상태에서 외부로 호퍼부(300)로부터 분리되어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고정브라켓(400) 및 그물망이동부(5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호퍼부, 고정브라켓 및 그물망이동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그물망이동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고정브라켓(400)은 지지프레임(90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물망이동부(500)는 고정브라켓(400)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그물망이동부(50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2개가 구비되어 호퍼부(300)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물망이동부(500)는 이동브라켓(510), 선형운동브라켓(520), 제1 그물망파지부(530), 제2 그물망파지부(540) 및 거리조절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브라켓(510)은 고정브라켓(400)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브라켓(510)은 고정브라켓(400)의 일 방향으로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동브라켓(510)과 고정브라켓(400) 사이에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가 설치될 수 있다.
선형운동브라켓(520)은 이동브라켓(510)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형운동브라켓(520)은 이동브라켓(510)의 상하 방향으로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동브라켓(510)과 선형운동브라켓(520)은 별도의 가이드가 설치되어 이동브라켓(510)의 선형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이동브라켓(510)과 선형운동브라켓(520) 사이에는 브라켓선형구동부(56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브라켓선형구동부(560)는 이동브라켓(510) 및 선형운동브라켓(52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브라켓선형구동부(560)는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그물망파지부(530)와 제2 그물망파지부(540) 중 적어도 하나는 그물망(M)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그물망파지부(530)에 홈이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그물망파지부(530)와 제2 그물망파지부(540)는 서로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그물망파지부(530) 또는 제2 그물망파지부(540) 중 하나가 상측에 배치되고, 제1 그물망파지부(530) 또는 제2 그물망파지부(540) 중 다른 하나가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그물망파지부(530) 또는 제2 그물망파지부(540) 중 하나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제1 그물망파지부(530) 또는 제2 그물망파지부(540) 중 다른 하나가 단차진 부분에 삽입되거나 안착하는 형태인 경우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을 위하여 제1 그물망파지부(530)의 일부가 단차지게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제1 그물망파지부(530) 및 제2 그물망파지부(54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그물망파지부(530) 및 제2 그물망파지부(540)가 서로 근접함으로써 그물망(M)을 파지할 수 있는 모든 구조 및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물망파지부(530)는 중심 부분에 삽입홈(53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홈(530a)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홈(530a)은 입구 부분으로부터 제1 그물망파지부(530)의 내측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홈(530a)에 그물망(M)이 삽입되는 경우 그물망(M)은 내부로 진입하면서 모아질 수 있다.
제1 그물망파지부(530)는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홈(530a)은 제1 그물망파지부(530)의 단차진 부분의 하측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그물망파지부(540)는 제1 그물망파지부(53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그물망(M)을 파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그물망파지부(540)는 제1 그물망파지부(530)와 거리가 가변함으로써 그물망을 파지할 수 있다. 특히 제2 그물망파지부(540)는 제1 그물망파지부(530)의 돌출된 부분과 접촉함으로써 그물망을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그물망파지부(54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거리조절부(550)는 제1 그물망파지부(530)와 제2 그물망파지부(540)와 연결되어 제2 그물망파지부(540)와 제2 그물망파지부(54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거리조절부(550)는 선형운동브라켓(520)에 설치되는 모터(551)와, 모터(551)에 연결되는 샤프트(552)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552)에는 제1 그물망파지부(530)와 제2 그물망파지부(540)가 연결되어 회전 시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샤프트(552)는 볼스크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모터(551)와 샤프트(552) 사이는 벨트, 기어모듈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물망이동부(500)는 상기의 구성 이외에도 이동브라켓(510) 및 선형운동브라켓(52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형 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면, 그물망이동부(500)는 이동브라켓(510) 및 선형운동브라켓(52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이동브라켓(510) 및 선형운동브라켓(52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형 운동시키는 이동브라켓선형구동부(5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동브라켓선형구동부(570)는 모터와 기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브라켓선형구동부(57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브라켓(510) 및 선형운동브라켓(52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형 운동시키는 모든 구조 및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그물망이동부(500)의 작동을 살펴보면, 그물망(M)에 물건이 삽입된 후 그물망(M)을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800)로 이송할 수 있다. 이때, 그물망이동부(500)는 거리조절부(550)가 작동하여 제1 그물망파지부(530)와 제2 그물망파지부(540)를 서로 근접시켜 그물망(M)을 파지할 수 있다. 이때, 선형운동브라켓(520)은 상하로 선형 운동함으로써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그물망(M)은 그물망정렬부(600)에 안착되어 내부의 물건을 정렬할 수 있다.
이동브라켓(510)이 이동하여 그물망(M)을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8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이동브라켓(510)은 고정브라켓(400)의 일 방향으로 이동할 있다. 또한, 컨베이어부(700)가 작동하여 그물망(M)의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그물망정렬부(600)와 컨베이어부(7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그물망정렬부와 컨베이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그물망정렬부(600)는 그물망(M) 내부의 물건을 정렬할 수 있다. 이때, 그물망정렬부(600)는 그물망(M)을 상하로 이동시키거나 흔듦으로써 그물망(M) 내부의 물건을 정렬할 수 있다.
컨베이어부(700)는 물건이 담긴 그물망(M)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컨베이어부(700)는 벨트와, 롤러, 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물망정렬부(600)는 정렬부고정프레임(610), 안착부(620), 정렬구동부(630), 구동부안착플레이트(640), 플레이트구동부(650) 및 낙하방지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부고정프레임(610)은 지지프레임(90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정렬부고정프레임(610)은 복수개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620)는 안착플레이트(621)와, 정렬가이드(622)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플레이트(621)는 평평하게 형성되어 상부에 물건이 삽입된 그물망(M)이 안착할 수 있다. 이때, 안착플레이트(621)는 정렬구동부(6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정렬가이드(622)는 낙하방지부(66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안착플레이트(621)의 상하 운동 시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정렬구동부(630)는 안착플레이트(62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정렬구동부(630)와 안착플레이트(621)는 별도의 선형 운동하는 선형운동샤프트(670)로 연결될 수 있다.
선형운동샤프트(670)는 정렬구동부(630)에 편심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렬구동부(630)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터의 샤프트에 편심되도록 연결되는 회전체(63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선형운동샤프트(670)는 상기 회전체(631)의 표면과 접촉하거나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 시 상하로 선형운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정렬구동부(630)는 모터와,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캠을 포함하고, 선형운동샤프트(670)는 상기 캠과 접촉하거나 연결됨으로써 모터의 구동 시 상하로 선형 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부안착플레이트(640)는 정렬부고정프레임(610)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안착플레이트(640)는 정렬부고정프레임(610)의 상하 방향으로 운동 가능할 수 있다.
플레이트구동부(650)는 정렬부고정프레임(610)에 연결되며, 구동부안착플레이트(64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구동부(650)는 모터와, 모터와 연결되는 볼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볼스크류와 구동부안착플레이트(640)는 서로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에 따라서 구동부안착플레이트(640)가 선형 운동할 수 있다.
낙하방지부(660)는 구동부안착플레이트(64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낙하방지부(660)는 구동부안착플레이트(640)의 상측으로 설치되어 그물망(M)이 외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낙하방지부(660)는 서로 대향하도록 한쌍을 구비할 수 있으며, 한쌍의 낙하방지부(660) 내부에서는 안착플레이트(621)가 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그물망정렬부(600)의 작동을 살펴보면, 호퍼부(300)로부터 공급된 물건이 그물망(M) 내부에 삽입되는 동안, 정렬구동부(6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정렬구동부(630)의 작동에 따라서 안착플레이트(621)는 상하로 진동하면 그물망(M) 내부의 물건이 그물망(M) 내부에서 정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플레이트구동부(650)가 작동하여 구동부안착플레이트(640)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8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800)는 결속부재공급부(810), 결속부재이송부(820), 결속부재가압부(830) 및 가압지지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
결속부재공급부(810)는 결속부재(C)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결속부재(C)는 클립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결속부재공급부(810)는 진동을 통하여 결속부재(C)를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결속부재공급부(810)는 진동을 통하여 결속부재(C)를 승강시키거나 전진시킬 수 있다.
결속부재이송부(820)는 결속부재공급부(810)로부터 공급되는 결속부재(C)를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결속부재이송부(820)는 결속부재(C)의 이송 방향을 가변시키는 제1 결속부재이송부(820a) 및 제2 결속부재이송부(8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속부재이송부(820a)는 결속부재공급부(810)와 연결되어 결속부재공급부(810)로부터 공급되는 결속부재(C)를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결속부재이송부(820a)는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롤러(미도시) 및 상기 제1 롤러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1 벨트(82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롤러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상기 제1 롤러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벨트(822a)는 복수개의 상기 제1 롤러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롤러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롤러에는 상기 제1 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 롤러구동부(82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롤러구동부(823a)는 상기 제1 롤러와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롤러구동부(823a)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든 장치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속부재이송부(820b)는 제1 결속부재이송부(820a)로부터 이송되는 결속부재(C)를 제1 결속부재이송부(820a)와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제2 결속부재이송부(820b)는 결속부재(C)를 결속부재가압부(83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제2 결속부재이송부(820b)는 결속부재(C)가 안착하는 제2 안착브라켓(82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안착브라켓(821b)은 결속부재(C)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속부재이송부(820b)는 제2 안착브라켓(821b) 상에 배치되며, 제2 안착브라켓(821b)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2 가력돌기(822b-1)를 구비한 제2 이동브라켓(82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이동브라켓(822b)은 제2 안착브라켓(821b)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2 안착브라켓(821b)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가력돌기(822b-1)는 제2 이동브라켓(822b)의 배면으로부터 제2 안착브라켓(821b)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가력돌기(822b-1)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2 가력돌기(822b-1)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인접하는 제2 가력돌기(822b-1) 사이의 거리는 결속부재(C)의 폭 또는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속부재이송부(820b)는 제2 이동브라켓(822b)과 연결되는 제2 연결블록(823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블록(823b)은 복수개 구비되어 제2 이동브라켓(822b)에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결속부재이송부(820b)는 제2 연결블록(823b)이 선형 운동하는 제2 연결블록가이드(82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블록가이드(824b)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결속부재이송부(820b)는 제2 연결블록가이드(824b)와 연결되어 제2 연결블록가이드(824b)를 승하강시키는 제2 연결블록승하강구동부(825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블록승하강구동부(825b)는 실린더, 모터 및 블스크류, 리니어 모터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속부재이송부(820b)는 제2 연결블록(823b)과 연결되며, 제2 연결블록(823b)을 선형 운동시키는 제2 연결블록선형구동부(826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블록선형구동부(826b)는 제2 연결블록승하강구동부(825b)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결속부재가압부(830)는 선형 운동 가능한 선형운동플레이트(8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선형운동플레이트(831)는 지지프레임(900)에 선형 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있다. 특히 선형운동플레이트(831)와 지지프레임(900) 사이에는 별도의 가이드(예를 들면, 리니어 모션 가이드 등)가 배치되어 선형운동플레이트(831)와 지지프레임(900)을 연결할 수 있다.
결속부재가압부(830)는 선형운동플레이트(831)와 연결되는 선형운동플레이트구동부(8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선형운동플레이트구동부(832)는 지지프레임(9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일부가 지지프레임(900)을 관통하여 선형운동플레이트(831)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지지프레임(900)에는 선형운동플레이트구동부(832)의 일부가 관통되도록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결속부재가압부(830)는 선형운동플레이트(831)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결속부재(C)가 안착되는 가압고정브라켓(8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압고정브라켓(833)의 내부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압고정브라켓(833)에는 결속부재(C)가 안착하는 안착플레이트 등이 별도로 구비되어 결속부재(C)가 안착할 수 있다.
결속부재가압부(830)는 가압고정브라켓(833)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결속부재(C)를 가압하는 가압선형운동브라켓(8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압선형운동브라켓(834)은 끝단에 홈이 형성되고 일부만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압선형운동브라켓(834)의 끝단은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속부재가압부(830)는 가압고정브라켓(833)에 설치되어 가압선형운동브라켓(834)을 선형 운동시키도록 가압선형운동브라켓(834)과 연결되는 가압선형운동브라켓구동부(8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압선형운동브라켓구동부(835)는 상기에서 설명한 각종 구동부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결속부재가압부(830)는 가압선형운동브라켓(834) 및 가압고정브라켓(833)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제1 그물망가이드부(8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그물망가이드부(836)에는 그물망(M)이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그물망가이드부(836)는 가압고정브라켓(833)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가압지지부(840)는 결속부재가압부(83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선형 운동하는 가압지지브라켓(84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압지지브라켓(841)은 가압선형운동브라켓(834)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지지부(840)는 가압지지브라켓(841)과 연결되어 가압지지브라켓(841)을 선형 운동시키는 가압지지브라켓구동부(8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압지지브라켓구동부(842)도 상기에서 설명한 각종 구동부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8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그물망이동부(500)에 의하여 물건이 수납된 그물망(M)이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그물망이동부(500)는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80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그물망(M)이 이송되면, 결속부재공급부(810) 및 결속부재이송부(820)가 결속부재(C)를 결속부재가압부(830)로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속부재공급부(810)가 작동하면 결속부재(C)는 결속부재공급부(810)에서 승강한 후 이동하여 제1 결속부재이송부(820a)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제1 결속부재이송부(820a)는 제1 롤러구동부(823a)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1 롤러가 회전하면서 제1 벨트를 회전시켜 결속부재(C)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결속부재(C)가 제1 결속부재이송부(820a)를 통과하면 결속부재(C)는 제2 결속부재이송부(820b)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속부재(C)가 제2 결속부재이송부(820b)로 공급되면, 제2 연결블록승하강구동부(825b)가 작동하여 제2 연결블록가이드(824b)를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블록선형구동부(826b)가 작동하여 제2 연결블록(823b)을 후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연결블록(823b)은 제2 연결블록가이드(824b)를 따라 후진하고, 제2 연결블록(823b)의 운동에 따라 제2 이동브라켓(822b)이 후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제2 연결블록승하강구동부(825b)가 작동하여 제2 연결블록가이드(824b)를 하강시켜 제2 가력돌기(822b-1) 사이에 결속부재(C)를 삽입할 수 있다. 이후 제2 연결블록선형구동부(826b)가 작동하여 제2 연결블록(823b)을 전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결속부재(C)는 제2 안착브라켓(821b)에서 전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2 이동브라켓(822b)의 끝단에 있는 결속부재(C)가 가압고정브라켓(833)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하여 수행됨으로써 제2 안착브라켓(821b)에 있는 결속부재(C)는 가압고정브라켓(833) 측으로 순차적으로 전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속부재(C)가 가압고정브라켓(833)에 배치되면, 선형운동플레이트구동부(832)가 작동하여 선형운동플레이트(831)을 이동시키고, 선형운동플레이트(831)에 고정된 가압고정브라켓(833)은 선형운동플레이트(831)의 운동에 따라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그물망가이드부(836)도 동시에 선형 운동함으로써 그물망(M)의 상부가 제1 그물망가이드부(836)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가압지지브라켓구동부(842)가 작동하여 가압지지브라켓(841)을 선형 운동시킴으로써 가압지지브라켓(841)은 가압고정브라켓(833)과 근접할 수 있다. 그물망(M)은 제1 그물망가이드부(836)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그물망이동부(500)는 그물망(M)의 상측으로 이동시켜 제1 그물망가이드부(836)내부에서 그물망(M)을 잡아당길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진행된 후 그물망(M)이 제1 그물망가이드부(836)에 삽입되면, 가압선형운동브라켓구동부(835)가 작동하여 가압선형운동브라켓(834)이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이때, 가압선형운동브라켓(834)은 가압고정브라켓(833) 상의 결속부재(C)를 그물망(M)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결속부재(C)의 홈에 그물망(M)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결속부재(C)는 가압지지브라켓구동부(842)가 가압지지브라켓(841)를 전진과 후진을 반복하여 수행시킬 수 있다.
이후 선형운동플레이트구동부(832)가 작동하여 선형운동플레이트(831)을 그물망(M)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가압선형운동브라켓구동부(835)와 가압지지브라켓구동부(842)가 작동하여 제1 그물망가이드부(836)를 그물망(M)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때, 그물망이동부(500)가 작동하여 제1 그물망파지부(530) 및 제2 그물망파지부(540)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켜 그물망(M)의 파지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파지가 해제된 그물망(M)은 컨베이어부(700)가 작동하여 그물망(M)을 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그물망 자동포장기(10)는 그물망(M)에 물건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납하여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그물망 자동포장기(10)는 모든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 선형 운동하는 모든 구조 및 장치에는 모터, 실린더 등과 같은 구동부가 연결될 수 있으며, 고정된 장치와 운동하는 장치 사이에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 등과 같은 가이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그물망 자동포장기 100: 그물망보관부
210: 제1 그물망이송부 220: 제2 그물망이송부
300: 호퍼부 400: 고정브라켓
500: 그물망이동부 600: 그물망정렬부
700: 컨베이어부 800: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
900: 지지프레임

Claims (10)

  1. 결속부재를 공급하는 결속부재공급부;
    상기 결속부재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결속부재를 이송시키는 결속부재이송부;
    상기 결속부재이송부에서 공급된 결속부재를 그물망으로 가력하는 결속부재가압부; 및
    상기 결속부재가압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결속부재를 상기 결속부재가압부와 같이 가압하여 상기 그물망의 입구를 상기 결속부재로 클램핑하는 가압지지부;를 포함하는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공급부는 진동으로 상기 결속부재를 승강시켜 상기 결속부재이송부로 공급하는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이송부는,
    상기 결속부재이송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결속부재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 결속부재이송부; 및
    상기 제1 결속부재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결속부재를 상기 제1 결속부재이송부의 이송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 결속부재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이송부는,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롤러;
    상기 롤러를 감싸도록 설치된 벨트; 및
    상기 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이송부는,
    상기 결속부재가 안착하는 안착브라켓;
    상기 안착브라켓 상에 배치되며, 상기 안착브라켓 측으로 돌출되도록 가력돌기를 구비한 이동브라켓;
    상기 이동브라켓과 연결되는 연결블록;
    상기 연결블록이 선형 운동하는 연결블록가이드;
    상기 연결블록가이드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블록 가이드를 승하강시키는 연결블록승하강구동부; 및
    상기 연결블록가이드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블록을 선형 운동시키는 연결블록선형구동부;를 포함하는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가압부는,
    선형 운동가능한 선형운동플레이트; 및
    상기 선형운동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선형운동플레이트를 선형 운동시키는 선형운동플레이트구동부;를 포함하는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가압부는,
    상기 선형운동플레이트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결속부재가 안착되는 가압고정브라켓;
    상기 가압고정브라켓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결속부재를 가압하는 가압선형운동브라켓; 및
    상기 가압고정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선형운동브라켓을 선형 운동시키는 가압선형운동브라켓구동부;를 포함하는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가압부는,
    상기 선형운동플레이트 및 상기 가압고정브라켓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제1 그물망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지지부는 ,
    상기 결속부재가압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선형운동하는 가압지지브라켓; 및
    상기 가압지지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지지브라켓을 선형 운동시키는 가압지지브라켓선형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지지브라켓에는 상기 결속부재가압부 일부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된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
KR1020160042921A 2016-04-07 2016-04-07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 KR201701153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921A KR20170115361A (ko) 2016-04-07 2016-04-07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921A KR20170115361A (ko) 2016-04-07 2016-04-07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361A true KR20170115361A (ko) 2017-10-17

Family

ID=60297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921A KR20170115361A (ko) 2016-04-07 2016-04-07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536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5566A (ja) * 2003-10-09 2005-08-25 Schutte Holding Bv 可撓包装の結束方法、その目的のための装置、および結束された可撓包装
KR20100035325A (ko) * 2008-09-26 2010-04-05 배병태 가이드앵커용 피스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5566A (ja) * 2003-10-09 2005-08-25 Schutte Holding Bv 可撓包装の結束方法、その目的のための装置、および結束された可撓包装
KR20100035325A (ko) * 2008-09-26 2010-04-05 배병태 가이드앵커용 피스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9616B1 (ko) 유연성백의처리방법및장치
KR101821582B1 (ko) 내용물 자동 포장시스템
KR102115419B1 (ko)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
JPH0747409B2 (ja) コンベヤ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方法
CN109335125B (zh) 自动装袋机
KR101323532B1 (ko) 각티슈 케이스의 자동패커 포장장치
KR20170115361A (ko)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
KR20170115355A (ko) 결속부재 공급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CN110625375B (zh) 一种上下壳组装机
KR20100117933A (ko) 파우치 제품 공급 및 적재장치
KR20160144221A (ko) 그물망 자동포장기
US8307862B2 (en) Bag loader
KR100656155B1 (ko) 트레이 이송장치
KR101962809B1 (ko) 마스크팩 포장시스템
JPH0753046A (ja) カップケ−キ用カップの分離方法と分離装置
JP5694050B2 (ja) ベルト袋詰め装置
CN116198796B (zh) 一种自动套袋机
CN114313496B (zh) 鞋子包装袋折叠及鞋子包装盒装配系统
CN114435664B (zh) 自动放小包装料和自动折叠鞋子包装袋系统
CN216581445U (zh) 鞋子包装袋折叠及鞋子包装盒装配系统
KR102463889B1 (ko) 마스크 포장장치
JP2004359243A (ja) イチゴ自動充填装置とそれに用いる充填用容器
EP1743840A1 (en) Conveyor for adjusting to different sized containers
JP3538217B2 (ja) 長尺物箱詰め装置
KR101160939B1 (ko) 매듭끈 삽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