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809B1 - 마스크팩 포장시스템 - Google Patents

마스크팩 포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809B1
KR101962809B1 KR1020180155950A KR20180155950A KR101962809B1 KR 101962809 B1 KR101962809 B1 KR 101962809B1 KR 1020180155950 A KR1020180155950 A KR 1020180155950A KR 20180155950 A KR20180155950 A KR 20180155950A KR 101962809 B1 KR101962809 B1 KR 101962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pack
fabric
unit
mask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성
Original Assignee
삼성금박카드라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금박카드라인(주) filed Critical 삼성금박카드라인(주)
Priority to KR1020180155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8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14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 B65B25/145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packaging fo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02Supply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6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0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grippers engaging opposed walls, e.g. suction-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4Packaging single articles
    • B65B5/045Packaging single articles in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57/0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and operating to control, or to stop, the feed of such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63/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for folding or winding articles, e.g. gloves or stock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2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by needles or the like engag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assisting separation or preventing double feed
    • B65H2301/4234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assisting separation or preventing double feed separating stack from the sheet separating means after separation 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마스크팩 포장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시스템은 마스크팩 원단이 안착되며 마스크팩 원단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마스크팩 이송장치; 마스크팩 이송장치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마스크팩 원단들이 높이방향으로 적재된 마스크팩 적재장치; 마스크팩 적재장치와 마스크팩 이송장치 사이에 마련되며 마스크팩 적재장치에 적재된 마스크팩 원단들 중 최상부에 위치한 마스크팩 원단을 파지하고 이송하여 마스크팩 이송장치에 안착시키는 마스크팩 안착장치; 마스크팩 원단의 이송경로 상에 마련되어 마스크팩 원단을 접지하는 마스크팩 접지장치; 및 마스크팩 원단의 이송경로 상에 마련되어 접지된 마스크팩 원단을 파우치에 삽입하는 마스크팩 삽입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스크팩 포장시스템{MASK PACK PACKAGING SYSTEM}
본 발명은 마스크팩 포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스크팩 포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팩은 얼굴 표면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써, 마스크 팩의 원단이 되는 부직포에 팩 제(劑)를 흠뻑 발라두는 것을 가리킨다.
즉, 피부가 거칠어졌을 때나, 햇볕에 검게 탓을 때, 혹은 피로해 졌을 때 등에 마스크팩을 주로 사용하며, 주목적에 따라 적당한 팩 제를 선택하여 얼굴을 덮어 일시적으로 외기를 차단하여 보습에 의해 피부 축적된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이러한 마스크팩의 포장공정을 살펴보면 마스크팩의 원단이 되는 부직포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여러 번 접은 다음 파우치에 담고,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파우치 내부에 담겨진 부직포에 팩 제를 충진한 다음 파우치를 밀봉하여 완성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마스크 팩 포장공정에 의하면, 여러 명의 작업자들이 수작업으로 부직포를 접어 파우치에 담아야 하므로 작업속도가 매우 느려 마스크팩의 개당 제작에 소요되는 인건비의 비중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1802호(2016.08.26.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마스크팩 원단의 포장을 자동화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마스크팩 원단을 파우치에 포장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스크팩 포장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마스크팩 원단이 안착되며 상기 마스크팩 원단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마스크팩 이송장치; 상기 마스크팩 이송장치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마스크팩 원단들이 높이방향으로 적재된 마스크팩 적재장치; 상기 마스크팩 적재장치와 상기 마스크팩 이송장치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마스크팩 적재장치에 적재된 상기 마스크팩 원단들 중 최상부에 위치한 상기 마스크팩 원단을 파지하고 이송하여 상기 마스크팩 이송장치에 안착시키는 마스크팩 안착장치;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이송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마스크팩 원단을 접지하는 마스크팩 접지장치; 및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이송경로 상에 마련되어 접지된 상기 마스크팩 원단을 파우치에 삽입하는 마스크팩 삽입장치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포장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팩 안착장치는 상기 마스크팩 원단을 상기 마스크팩 이송장치에 안착시키도록 상기 마스크팩 적재장치에 적재된 상기 마스크팩 원단들 중 최상부에 위치한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상면을 파지하는 파지유닛; 및 상기 파지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파지유닛을 상기 마스크팩 이송장치와 상기 마스크팩 적재장치 사이에서 왕복이송하는 이송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에 연결되어 이송되며 높이방향으로 승강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호 이격됨에 따라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상면에 걸림결합되어 상기 마스크팩 원단을 파지하고 상호 접근됨에 따라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상면에서 걸림해제되어 상기 마스크팩 원단을 파지해제하는 적어도 한 쌍의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몸체부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수평 이동블록; 및 상기 수평 이동블록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의 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상면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수평 이동블록의 하부에 연결되며 하면에 상기 걸림돌기가 결합된 파지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는 일단이 상기 수평 이동블록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파지블록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파지블록에 걸림결합되는 제1 지지바; 및 상기 제1 지지바에 외삽되어 상기 파지블록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고 상기 수평 이동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이동블록이 수평이동시키는 제1 실린더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몸체부에 승강가능하게 연결되되, 적어도 한 쌍의 상기 파지부가 상기 마스크팩 원단을 파지해제하는 경우에 상기 마스크팩 원단을 적어도 한 쌍의 상기 파지부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마스크팩 이송장치에 안착시키도록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몸체부에 승강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플레이트; 및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2 실린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마스크팩 적재장치와 상기 마스크팩 이송장치 사이에 마련되는 제1 가이드레일; 상기 제1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3 실린더부재가 마련된 이송블록; 및 상기 이송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블록을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팩 적재장치는 상기 마스크팩 원단들이 높이방향으로 적재된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와 상기 마스크팩 원단에 형성된 제1 관통홀들을 각각 관통하는 제2 지지바를 구비한 적재유닛; 및 상기 적재부가 안착되는 제1 승강블록과, 상기 제1 승강블록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 승강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승강블록을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1 승강구동부를 구비한 제1 승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재유닛은 상기 제2 지지바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되, 상기 마스크팩 안착장치가 최상부에 위치한 상기 마스크팩 원단을 파지하여 이송하는 동안 상기 마스크팩 원단에 형성된 상기 제1 관통홀의 테두리에 접촉되어 최상부에 위치한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하면에 밀착된 상기 마스크팩 원단을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팩 접지장치는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회전됨에 따라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폭방향 양측부를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중심부 방향으로 접지하는 한 쌍의 접지유닛; 및 한 쌍의 상기 접지유닛에 연결되어 한 쌍의 상기 접지유닛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유닛은 상기 회전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이송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회전바; 및 상기 회전바의 일측에 상호 나란하게 결합되고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하부에 배치된 복수의 핑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바가 회전되는 경우에 복수의 상기 핑거부재가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측부를 감싸면서 회전되어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폭방향 측부를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중심부 방향으로 접지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팩 삽입장치는 상기 마스크팩 이송장치에 형성된 제2 관통홀의 상부에 마련되며 양측부가 접지된 상기 마스크팩 원단이 상기 제2 관통홀의 상부에 위치되는 경우에 하강되어 입구가 개봉된 파우치에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길이방향 중심부를 접지하여 삽입하는 삽입부재; 및 상기 삽입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삽입부재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2 승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팩 이송장치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파우치들이 적재된 파우치 적재장치; 상기 마스크팩 이송장치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관통홀의 하부에 상기 파우치가 위치되게 이송하는 파우치 이송장치; 및 상기 마스크팩 이송장치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파우치의 양측부를 흡착하여 상기 파우치의 입구를 개봉하는 파우치 개봉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팩 이송장치에 안착된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이상유무를 검출하는 마스크팩 검출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팩 검출장치는 상기 마스크팩 이송장치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마스크팩 원단을 촬영하는 촬영유닛; 및 상기 촬영유닛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마스크팩 원단 상의 이물질 및 상기 마스크팩 원단이 2개 이상 적층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스크팩 원단을 파지하여 마스크팩 이송장치에 안착시키고 마스크팩 원단을 접지하여 파우치에 삽입하는 일련의 포장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안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안착장치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접지장치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삽입장치의 동작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안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안착장치의 동작상태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접지장치의 동작상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삽입장치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시스템(100)은 마스크팩 원단(M)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마스크팩 이송장치(110)와, 마스크팩 이송장치(110)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마스크팩 원단(M)들이 높이방향으로 적재된 마스크팩 적재장치(120)와, 마스크팩 적재장치(120)와 마스크팩 이송장치(110) 사이에 마련되어 마스크팩 적재장치(120)에 적재된 마스크팩 원단(M)을 마스크팩 이송장치(110)에 한 장씩 안착시키는 마스크팩 안착장치(130)와, 마스크팩 이송장치(110)에 안착된 마스크팩 원단(M)의 이상유무를 검출하는 마스크팩 검출장치(140)와, 마스크팩 원단(M)의 이송경로 상에 마련되어 마스크팩 원단(M)을 접지하는 마스크팩 접지장치(150)와, 마스크팩 원단(M)의 이송경로 상에 마련되어 접지된 마스크팩 원단(M)을 파우치(P)에 삽입하는 마스크팩 삽입장치(1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시스템(100)은 마스크팩 원단(M)을 접지하여 파우치(P)에 삽입하는 일련의 공정들이 자동화되어 있어 신속하고 정확하게 마스크팩 원단(M)을 파우치(P)에 포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시스템(100)은 자동화를 통해 마스크팩 원단(M)을 파우치(P)에 삽입하므로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이송장치(110)는 마스크팩 원단(M)이 안착되며 마스크팩 원단(M)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마스크팩 원단(M)이 마스크팩 이송장치(1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안 일련의 접지 및 포장공정 등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이송장치(110)는 지지프레임(111)과, 지지프레임(111)에 마련된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컨베이어벨트는 지지프레임(111)의 폭방향(Y방향)으로 소정간격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벨트(113)로 구성될 수 있다(도 7 내지 도 11 참조).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벨트(113)의 이격거리는 후술할 마스크팩 접지장치(150)의 핑거부재(153)의 길이보다 크게 마련되어 단위 컨베이어벨트(113)에 의해 핑거부재(153)가 회전이 제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마스크팩 이송장치(110)에 연속하여 마스크팩 원단(M)을 제공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마스크팩 이송장치(110)에 인접하게 마스크팩 적재장치(120)가 마련된다.
마스크팩 적재장치(120)는 복수의 마스크팩 원단(M)을 마스크팩 이송장치(11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마스크팩 원단(M)은 부직포 등 다양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눈부분과 입부분이 절취된 제1 관통홀(H1)들이 형성된 둥근형태로 제조된다.
마스크팩 적재장치(120)는 마스크팩 원단(M)들이 높이방향으로 적재된 적재유닛(121)과, 적재유닛(121)을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1 승강유닛(126)을 포함한다.
적재유닛(121)은 회전테이블(122)과, 마스크팩 원단(M)들이 높이방향으로 적재된 적재부(124)와, 일단이 회전테이블(122)에 결합되고 타단이 적재부(124)와 마스크팩 원단(M)에 형성된 제1 관통홀(H1)을 각각 관통하는 제2 지지바(123)를 포함한다.
마스크팩 원단(M)에 형성된 제1 관통홀(H1)들에 각각 제2 지지바(123)가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적재부(124)에 복수의 마스크팩 원단(M)들이 높이방향으로 적재된다.
그리고 마스크팩 안착장치(130)를 이용하여 적재부(124)에 적재된 마스크팩 원단(M)들을 마스크팩 이송장치(110)로 이송 및 안착하여 적재부(124)에 적재된 마스크팩 원단(M)의 개수가 감소되는 경우에 마스크팩 안착장치(130)에 의한 마스크팩 원단(M)의 파지를 위해 적재부(124)를 상승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제1 승강유닛(126)은 적재부(124)가 안착되는 제1 승강블록(126a)과, 제1 승강블록(126a)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가이드레일(126b)과, 제1 승강블록(126a)에 연결되어 제1 승강블록(126a)을 제2 가이드레일(126b)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1 승강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제1 승강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제1 승강블록(126a)이 제2 가이드레일(126b)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상승됨에 따라 제1 승강블록(126a)에 안착된 적재부(124)도 높이방향으로 상승된다.
한편,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적재유닛(121)은 제2 지지바(123)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와이어(125)를 더 포함한다.
탄성와이어(125)는 후술할 마스크팩 안착장치(130)가 적재부(124)의 최상부에 위치한 마스크팩 원단(M)을 파지하여 이송하는 동안 마스크팩 원단(M)에 형성된 제1 관통홀(H1)의 테두리에 접촉되어 최상부에 위치한 마스크팩 원단(M)의 하면에 밀착된 다른 마스크팩 원단(M)을 분리한다. 즉, 마스크팩 안착장치(130)로 적재부(124)에 적재된 마스크팩 원단(M)을 하나씩 마스크팩 이송장치(110)로 이송하기 위해 탄성와이어(125)가 마련되는 것이다(도 5 참조).
마스크팩 안착장치(130)로 적재부(124)의 최상부에 위치한 마스크팩 원단(M)을 파지하는 경우에 최상부 마스크팩 원단(M)의 하면에 다른 마스크팩 원단(M)이 함께 파지되는 경우에 마스크팩 원단(M)이 제1 지지바(133e)의 상부로 상승되는 동안 탄성와이어(125)가 제1 관통홀(H1)에 테두리에 밀착되고 상방으로 변형된 후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최상부 마스크팩 원단(M)의 하면에 부착된 또 다른 마스크팩 원단(M)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하나의 마스크팩 원단(M)만이 마스크팩 이송장치(110)로 이송 및 안착되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적재부(124)에 적재된 마스크팩 원단(M)은 마스크팩 안착장치(130)에 의해 파지된 후 마스크팩 이송장치(110)로 이송되어 안착된다.
도 2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팩 안착장치(130)는 마스크팩 적재장치(120)와 마스크팩 이송장치(110) 사이에 마련되어 마스크팩 적재장치(120)에 적재된 마스크팩 원단(M)을 하나씩 마스크팩 이송장치(110)에 이송 및 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마스크팩 안착장치(130)는 마스크팩 적재장치(120)에 적재된 마스크팩 원단(M)들 중 최상부에 위치한 마스크팩 원단(M)의 상면을 파지하는 파지유닛(131)과, 파지유닛(131)에 연결되어 파지유닛(131)을 마스크팩 이송장치(110)와 마스크팩 적재장치(120) 사이에서 왕복이송하는 이송유닛(136)을 포함한다.
파지유닛(131)은 마스크팩 적재장치(120)의 적재부(124)에 적재된 마스크팩 원단(M)들 중 최상부에 위치한 마스크팩 원단(M)의 상면을 파지하고 마스크팩 원단(M)을 마스크팩 이송장치(110)의 단위 컨베이어벨트(113)에 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파지유닛(131)은 이송유닛(136)에 연결되어 높이방향으로 승강되는 몸체부(132)와, 몸체부(132)의 하부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마스크팩 원단(M)을 파지 및 파지해제하는 적어도 한 쌍의 파지부(133)를 포함한다.
몸체부(132)는 후술할 이송유닛(136)의 이송블록(136a)에 결합되며, 몸체부(132)는 이송블록(136a)이 제1 가이드레일(136c)을 따라 마스크팩 적재장치(120)의 적재부(124)와 마스크팩 이송장치(110)의 지지프레임(111) 사이에서 수평 왕복운동함에 따라 마스크팩 적재장치(120)의 적재부(124)와 마스크팩 이송장치(110)의 지지프레임(111) 사이에서 수평 왕복운동한다.
그리고 이송블록(136a)의 하부에는 제3 실린더부재(136b)가 마련되고 제3 실린더부재(136b)에 몸체부(132)가 결합된다. 몸체부(132)는 제3 실린더부재(136b)의 신축에 의해 높이방향으로 승강된다. 즉, 적재부(124)에 적재된 마스크팩 원단(M)을 파지하기 위해 이송블록(136a)이 적재부(124)의 상부로 이동되는 경우에 제3 실린더부재(136b)가 신장되어 몸체부(132)를 적재부(124)의 상부로 하강시키고 적재부(124)에 적재된 마스크팩 원단(M)을 파지한 후에 제3 실린더부재(136b)가 수축되어 몸체부(132)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마스크팩 원단(M)을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벨트(113)에 안착시키기 위해 이송블록(136a)이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벨트(113)의 상부로 이동된다.
그리고 적재부(124)에 적재된 마스크팩 원단(M)을 파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부(132)의 하부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한 쌍의 파지부(133)를 포함한다. 한 쌍의 파지부(133)는 몸체부(132)의 하부에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다.
한 쌍의 파지부(133)는 상호 이격됨에 따라 마스크팩 원단(M)의 상면에 걸림결합되어 마스크팩 원단(M)을 파지하고 상호 접근됨에 따라 마스크팩 원단(M)의 상면에서 걸림해제되어 마스크팩 원단(M)을 파지해제한다.
구체적으로, 파지부(133)는 몸체부(132)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수평 이동블록(133a)과, 몸체부(132)에 마련되고 수평 이동블록(133a)에 결합되어 수평 이동블록(133a)을 수평이동시키는 제1 실린더부재(133b)와, 수평 이동블록(133a)의 하부에 연결된 파지블록(133c)과, 파지블록(133c)의 하면에 결합되며 몸체부(132)의 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마스크팩 원단(M)의 상면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133d)와, 일단이 수평 이동블록(133a)에 결합되고 타단이 파지블록(133c)에 관통 삽입되어 파지블록(133c)에 걸림결합되는 제1 지지바(133e)와, 제1 지지바(133e)에 외삽되어 파지블록(133c)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부재(133f)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적재부(124)에 적재된 마스크팩 원단(M)을 파지하기 위해 이송블록(136a)이 적재부(124)의 상부로 이동되는 경우에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린더부재(136b)가 신장되어 몸체부(132)를 적재부(124)의 상부로 하강시킨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32)가 적재부(124)의 상부로 하강되어 파지블록(133c)이 마스크팩 원단(M)의 상면에 접촉되는 경우에 제1 실린더부재(133b)가 신장되어 수평 이동블록(133a)이 몸체부(132)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수평 이동되고 제1 지지바(133e)를 매개로 수평 이동블록(133a)에 연결된 파지블록(133c)도 함께 몸체부(132)의 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 수평 이동된다.
파지블록(133c)이 몸체부(132)의 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는 경우에 파지블록(133c)의 하면에 결합되어 몸체부(132)의 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쐐기형상의 걸림돌기(133d)는 마스크팩 원단(M)의 상면에 걸림결합된다. 한편, 파지블록(133c)의 하면이 마스크팩 원단(M)의 상면에 접촉되는 경우에 제1 지지바(133e)에 외삽된 스프링부재(133f)에 의해 탄력지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으로 적어도 한 쌍의 파지부(133)가 마스크팩 원단(M)을 파지한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팩 원단(M)을 파지한 후에 제3 실린더부재(136b)가 수축되어 몸체부(132)가 상승되고, 제2 지지바(123)의 상단에 결합된 탄성와이어(125)가 마스크팩 원단(M)에 형성된 제1 관통홀(H1)의 테두리에 밀착되어 변형된 후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하나의 마스크팩 원단(M)만이 파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팩 원단(M)을 파지한 후 마스크팩 원단(M)을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벨트(113)에 안착시키기 위해 이송블록(136a)은 이송유닛(136)의 제1 가이드레일(136c)을 따라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벨트(113)의 상부로 이송된다. 그리고 이송블록(136a)이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벨트(113)의 상부로 이동된 경우에 파지된 마스크팩 원단(M)을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벨트(113)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마스크팩 원단(M)을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벨트(113)의 상면에 안착시키기 위한 일 실시예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파지유닛(131)은 몸체부(132)에 승강가능하게 연결되되 적어도 한 쌍의 파지부(133)가 마스크팩 원단(M)을 파지해제하는 경우에 마스크팩 원단(M)을 한 쌍의 파지부(133)로부터 분리시키고 마스크팩 이송장치(110)에 안착시키도록 마스크팩 원단(M)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135)는 몸체부(132)에 승강가능하게 연결되어 마스크팩 원단(M)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플레이트(135a)와, 몸체부(132)에 마련되고 가압플레이트(135a)에 결합되어 가압플레이트(135a)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3 실린더부재(136b)를 포함한다.
마스크팩 원단(M)을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벨트(113)의 상부에 안착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2 실린더부재(135b)를 수축하여 수평 이동블록(133a)이 몸체부(132)의 외측에서 중심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면 제1 지지바(133e)를 매개로 수평 이동블록(133a)에 연결된 파지블록(133c)도 함께 몸체부(132)의 외측에서 중심방향으로 수평이동된다.
이러한 경우에 파지블록(133c)이 몸체부(132)의 외측에서 중심방향으로 수평이동되므로 파지블록(133c)의 하면에 결합된 쐐기형상의 걸림돌기(133d)는 마스크팩 원단(M)의 상면에서 걸림해제된다.
마스크팩 원단(M)이 걸림돌기(133d)에서 해제되는 경우에 이와 동시에 제3 실린더부재(136b)를 신장시켜 가압플레이트(135a)를 하강시키면 가압플레이트(135a)의 하면이 마스크팩 원단(M)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하강되어 마스크팩 원단(M)을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벨트(113)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마스크팩 원단(M)이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벨트(113)의 상면에 안착된 경우에 제3 실린더부재(136b)를 수축하여 가압플레이트(135a)를 상승시킨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마스크팩 원단(M)을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벨트(113)의 상면에 안착시키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써, 마스크팩 원단(M)을 파지하는 경우와 유사하게 제1 실린더부재(133b)가 신장되어 몸체부(132)를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벨트(113)의 상부로 하강시킨다.
그리고 몸체부(132)가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벨트(113)의 상부로 하강되어 마스크팩 원단(M)이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벨트(113)의 상면에 접촉되는 경우에 제2 실린더부재(135b)가 수축되어 수평 이동블록(133a)이 몸체부(132)의 외측에서 중심방향으로 수평 이동되고 제1 지지바(133e)를 매개로 수평 이동블록(133a)에 연결된 파지블록(133c)도 함께 몸체부(132)의 외측에서 중심방향으로 수평이동된다.
파지블록(133c)이 몸체부(132)의 외측에서 중심방향으로 수평이동되는 경우에 파지블록(133c)의 하면에 결합된 쐐기형상의 걸림돌기(133d)는 마스크팩 원단(M)의 상면에서 걸림해제된다.
한편, 이송유닛(136)은 파지유닛(131)을 마스크팩 이송장치(110)의 상부와 마스크팩 적재장치(120)의 상부 사이에서 왕복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이송유닛(136)은 마스크팩 적재장치(120)와 마스크팩 이송장치(110) 사이에 마련되는 제1 가이드레일(136c)과, 제1 가이드레일(136c)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 몸체부(132)에 결합되어 몸체부(132)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3 실린더부재(136b)가 마련된 이송블록(136a)과, 이송블록(136a)에 연결되어 이송블록(136a)을 제1 가이드레일(136c)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송구동부에 의해 이송블록(136a)이 제1 가이드레일(136c)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경우에 파지유닛(131)은 마스크팩 적재장치(120)의 적재부(124) 상부와 마스크팩 이송장치(110)의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벨트(113) 상부 사이에서 왕복운동하게 된다.
마스크팩 안착장치(130)에 의해 적재부(124)에 적재된 최상부 마스크팩 원단(M)이 마스크팩 이송장치(110)의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벨트(113)의 상면에 안착된 경우에, 마스크팩 원단(M)은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벨트(113)에 의해 마스크팩 접지장치(150)로 이송된다.
한편, 마스크팩 원단(M)이 마스크팩 접지장치(150)로 이송되는 동안 마스크팩 검출장치(140)는 마스크팩 원단(M)의 이상유무를 검출한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팩 검출장치(140)는 마스크팩 이송장치(110)의 상부에 마련되어 마스크팩 원단(M)을 촬영하는 촬영유닛(141)과, 촬영유닛(141)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마스크팩 원단(M) 상의 이물질 및 마스크팩 원단(M)이 2개 이상 적층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촬영유닛(141)은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벨트(113)의 상면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마스크팩 원단(M)을 촬영하고, 검출유닛은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마스크팩 원단(M)의 표면에 이물질이 묻어있는지 여부 및 마스크팩 원단(M)이 2개 이상 적층되어 있는 지를 검출한다.
그리고 마스크팩 원단(M)에 이물질이 묻어있거나 마스크팩 원단(M)이 2개 이상 적층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후술할 마스크팩 접지장치(150)에 의한 마스크팩 원단(M)의 접지동작을 생략하고 마스크팩 원단(M)을 이송하여 배출시킨다.
마스크팩 검출장치(140)에 의해 마스크팩 원단(M)에 이물질이 묻어있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거나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벨트(113)의 상면에 안착된 마스크팩 원단(M)이 하나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마스크팩 원단(M)이 이송된 후 마스크팩 접지장치(150)는 마스크팩 원단(M)을 접지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마스크팩 접지장치(150)는 마스크팩 원단(M)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회전됨에 따라 마스크팩 원단(M)의 폭방향(Y방향) 양측부를 마스크팩 원단(M)의 중심부 방향으로 접지하는 한 쌍의 접지유닛(151)과, 한 쌍의 접지유닛(151)에 연결되어 한 쌍의 접지유닛(151)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접지유닛(151)은 회전구동부에 연결되고 마스크팩 원단(M)의 하부에 배치되며 마스크팩 원단(M)의 이송방향(X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회전바(152)와, 회전바(152)의 일측에 상호 나란하게 결합되고 마스크팩 원단(M)의 하부에 배치된 복수의 핑거부재(153)를 포함한다.
회전바(152)는 마스크팩 원단(M)의 하부 및 단위 컨베이어벨트(113)들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복수의 핑거부재(153)는 회전바(152)에 결합되며 회전바(1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다.
회전구동부는 회전바(152)의 끝단에 결합된 제1 기어(미도시)와, 제1 기어에 치합된 제2 기어(미도시)와, 제2 기어에 결합되어 제2 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팩 원단(M)이 한 쌍의 회전바(152)의 상부 및 단위 컨베이어벨트(113)의 상면에 배치되면, 구동모터의 동작에 의해 제2 기어와 제1 기어가 순차로 회전되고 제1 기어에 결합된 회전바(152)가 회전된다.
그리고 도 8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회전바(152)에 결합된 복수의 핑거부재(153)는 마스크팩 원단(M)의 측부를 감싸면서 회전되어 마스크팩 원단(M)의 폭방향(Y방향) 양측부를 마스크팩 원단(M)의 중심부 방향으로 순차로 접지한다.
한편, 단위 컨베이어벨트(113)들의 폭방향(Y방향) 간격은 핑거부재(153)의 길이보다 크므로 복수의 핑거부재(153)가 단위 컨베이어벨트(113)들 사이에서 상부로 회전되어 마스크팩 원단(M)의 양측부를 중심부 방향으로 접지할 수 있다.
마스크팩 접지장치(150)에 의해 폭방향(Y방향) 양측부가 중심부 방향으로 접지된 마스크팩 원단(M)은 단위 컨베이어벨트(113)들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마스크팩 삽입장치(160)로 이송된다.
마스크팩 삽입장치(160)는 양측부가 중심부방향으로 접지된 마스크팩 원단(M)을 길이방향 중심부를 접지함과 동시에 파우치(P)에 삽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마스크팩 삽입장치(160)는 마스크팩 이송장치(110)에 형성된 제2 관통홀(H2)의 상부에 마련되며 양측부가 접지된 마스크팩 원단(M)이 제2 관통홀(H2)의 상부에 위치되는 경우에 하강되어 입구가 개봉된 파우치(P)에 마스크팩 원단(M)의 길이방향 중심부를 접지하여 삽입하는 삽입부재(161)와, 삽입부재(161)에 연결되어 삽입부재(161)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2 승강유닛(163)을 포함한다. 삽입부재(161)은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승강유닛(163)은 삽입부재(161)가 결합되는 제2 승강블록(163a)과, 제2 승강블록(163a)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가이드레일(163b)과, 제2 승강블록(163a)에 연결되어 제2 승강블록(163a)을 제3 가이드레일(163b)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2 승강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제2 승강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제2 승강블록(163a)이 제3 가이드레일(163b)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상승됨에 따라 제2 승강블록(163a)에 연결된 삽입부재(161)가 높이방향으로 상승된다.
마스크팩 원단(M)을 이송하는 경로 상에서 삽입부재(161)가 하강하여 마스크팩 원단(M)의 길이방향 중심부를 접지하고 동시에 파우치(P)에 삽입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서는 마스크팩 이송장치(110)의 지지프레임(111)에 폭방향(Y방향)으로 제2 관통홀(H2)을 형성한다.
마스크팩 삽입장치(160)의 동작을 살펴보면,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팩 접지장치(150)에 의해 양측부가 중심부방향으로 접지된 마스크팩 원단(M)의 길이방향 중심부가 제2 관통홀(H2)의 상부에 위치되게 이송된다.
그리고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승강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삽입부재(161)가 하강되어 마스크팩 원단(M)의 길이방향 중심부를 접지하면서 제2 관통홀(H2)에 삽입되면 제2 관통홀(H2)의 하부에 마련된 입구가 개봉된 파우치(P)로 마스크팩 원단(M)을 삽입한다.
한편, 도 1,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시스템(100)은 마스크팩 삽입장치(160)에 의해 마스크팩 원단(M)을 파우치(P)에 삽입할 수 있도록 마스크팩 이송장치(110)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파우치(P)들이 적재된 파우치 적재장치(170)와, 마스크팩 이송장치(110)의 하부에 마련되며 제2 관통홀(H2)의 하부에 파우치(P)가 위치되게 이송하는 파우치 이송장치(180)와, 마스크팩 이송장치(110)의 하부에 마련되며 파우치(P)의 양측부를 흡착하여 파우치(P)의 입구를 개봉하는 파우치 개봉장치(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우치 적재장치(170)에 적재된 파우치(P)들은 파우치 이송장치(180)에 의해 하나씩 제2 관통홀(H2)의 하부로 이송된다. 그리고 제2 관통홀(H2)의 하부에 마련된 파우치 개봉장치(190)가 파우치(P)의 양측부를 흡착하여 파우치(P)의 입구를 개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마스크팩 포장시스템 110: 마스크팩 이송장치
111: 지지프레임 113: 단위 컨베이어벨트
120: 마스크팩 적재장치 121: 적재유닛
122: 회전테이블 123: 제2 지지바
124: 적재부 125: 탄성와이어
126: 제1 승강유닛 126a: 제1 승강블록
126b: 제2 가이드레일 130: 마스크팩 안착장치
131: 파지유닛 132: 몸체부
133: 파지부 133a: 수평 이동블록
133b: 제1 실린더부재 133c: 파지블록
133d: 걸림돌기 133e: 제1 지지바
133f: 스프링부재 135: 가압부
135a: 가압플레이트 135b: 제2 실린더부재
136: 이송유닛 136a: 이송블록
136b: 제3 실린더부재 136c: 제1 가이드레일
140: 마스크팩 검출장치 150: 마스크팩 접지장치
151: 접지유닛 152: 회전바
153: 핑거부재 160: 마스크팩 삽입장치
161: 삽입부재 163: 제2 승강유닛
163a: 제2 승강블록 163: 제3 가이드레일
170: 파우치 적재장치 180: 파우치 이송장치
190: 파우치 개봉장치

Claims (17)

  1. 마스크팩 원단이 안착되며 상기 마스크팩 원단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마스크팩 이송장치;
    상기 마스크팩 이송장치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마스크팩 원단들이 높이방향으로 적재된 마스크팩 적재장치;
    상기 마스크팩 적재장치와 상기 마스크팩 이송장치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마스크팩 적재장치에 적재된 상기 마스크팩 원단들 중 최상부에 위치한 상기 마스크팩 원단을 파지하고 이송하여 상기 마스크팩 이송장치에 안착시키는 마스크팩 안착장치;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이송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마스크팩 원단을 접지하는 마스크팩 접지장치; 및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이송경로 상에 마련되어 접지된 상기 마스크팩 원단을 파우치에 삽입하는 마스크팩 삽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팩 안착장치는,
    상기 마스크팩 원단을 상기 마스크팩 이송장치에 안착시키도록 상기 마스크팩 적재장치에 적재된 상기 마스크팩 원단들 중 최상부에 위치한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상면을 파지하는 파지유닛; 및
    상기 파지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파지유닛을 상기 마스크팩 이송장치와 상기 마스크팩 적재장치 사이에서 왕복이송하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에 연결되어 이송되며 높이방향으로 승강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호 이격됨에 따라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상면에 걸림결합되어 상기 마스크팩 원단을 파지하고 상호 접근됨에 따라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상면에서 걸림해제되어 상기 마스크팩 원단을 파지해제하는 적어도 한 쌍의 파지부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포장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몸체부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수평 이동블록; 및
    상기 수평 이동블록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의 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상면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포장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수평 이동블록의 하부에 연결되며 하면에 상기 걸림돌기가 결합된 파지블록을 더 포함하는 마스크팩 포장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일단이 상기 수평 이동블록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파지블록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파지블록에 걸림결합되는 제1 지지바; 및
    상기 제1 지지바에 외삽되어 상기 파지블록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팩 포장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고 상기 수평 이동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이동블록이 수평이동시키는 제1 실린더부재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팩 포장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몸체부에 승강가능하게 연결되되, 적어도 한 쌍의 상기 파지부가 상기 마스크팩 원단을 파지해제하는 경우에 상기 마스크팩 원단을 적어도 한 쌍의 상기 파지부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마스크팩 이송장치에 안착시키도록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팩 포장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몸체부에 승강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플레이트; 및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2 실린더부재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포장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마스크팩 적재장치와 상기 마스크팩 이송장치 사이에 마련되는 제1 가이드레일;
    상기 제1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3 실린더부재가 마련된 이송블록; 및
    상기 이송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블록을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구동부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포장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팩 적재장치는,
    상기 마스크팩 원단들이 높이방향으로 적재된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와 상기 마스크팩 원단에 형성된 제1 관통홀들을 각각 관통하는 제2 지지바를 구비한 적재유닛; 및
    상기 적재부가 안착되는 제1 승강블록과, 상기 제1 승강블록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 승강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승강블록을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1 승강구동부를 구비한 제1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포장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유닛은,
    상기 제2 지지바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되, 상기 마스크팩 안착장치가 최상부에 위치한 상기 마스크팩 원단을 파지하여 이송하는 동안 상기 마스크팩 원단에 형성된 상기 제1 관통홀의 테두리에 접촉되어 최상부에 위치한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하면에 밀착된 상기 마스크팩 원단을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팩 포장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팩 접지장치는,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회전됨에 따라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폭방향 양측부를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중심부 방향으로 접지하는 한 쌍의 접지유닛; 및
    한 쌍의 상기 접지유닛에 연결되어 한 쌍의 상기 접지유닛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포장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유닛은,
    상기 회전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이송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회전바; 및
    상기 회전바의 일측에 상호 나란하게 결합되고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하부에 배치된 복수의 핑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바가 회전되는 경우에 복수의 상기 핑거부재가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측부를 감싸면서 회전되어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폭방향 측부를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중심부 방향으로 접지하는 마스크팩 포장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팩 삽입장치는,
    상기 마스크팩 이송장치에 형성된 제2 관통홀의 상부에 마련되며 양측부가 접지된 상기 마스크팩 원단이 상기 제2 관통홀의 상부에 위치되는 경우에 하강되어 입구가 개봉된 파우치에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길이방향 중심부를 접지하여 삽입하는 삽입부재; 및
    상기 삽입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삽입부재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2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포장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팩 이송장치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파우치들이 적재된 파우치 적재장치;
    상기 마스크팩 이송장치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관통홀의 하부에 상기 파우치가 위치되게 이송하는 파우치 이송장치; 및
    상기 마스크팩 이송장치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파우치의 양측부를 흡착하여 상기 파우치의 입구를 개봉하는 파우치 개봉장치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팩 포장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팩 이송장치에 안착된 상기 마스크팩 원단의 이상유무를 검출하는 마스크팩 검출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팩 검출장치는,
    상기 마스크팩 이송장치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마스크팩 원단을 촬영하는 촬영유닛; 및
    상기 촬영유닛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마스크팩 원단 상의 이물질 및 상기 마스크팩 원단이 2개 이상 적층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유닛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포장시스템.
  16. 삭제
  17. 삭제
KR1020180155950A 2018-12-06 2018-12-06 마스크팩 포장시스템 KR101962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950A KR101962809B1 (ko) 2018-12-06 2018-12-06 마스크팩 포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950A KR101962809B1 (ko) 2018-12-06 2018-12-06 마스크팩 포장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2809B1 true KR101962809B1 (ko) 2019-03-28

Family

ID=65908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950A KR101962809B1 (ko) 2018-12-06 2018-12-06 마스크팩 포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8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363A (ko) 2019-08-02 2021-02-10 이명수 마스크팩 포장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482B1 (ko) * 2015-03-09 2016-02-12 (주)에프티코스메틱 마스크팩 포장장치
KR101651802B1 (ko) 2016-03-03 2016-08-26 최정회 마스크팩 포장용 마스크팩 접지장치
CN205602253U (zh) * 2016-02-26 2016-09-28 黎焰峰 一种真空抖动式面膜折叠机
KR20180011383A (ko) * 2016-07-21 2018-02-01 메이드테크(주) 시트 마스크 패킹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482B1 (ko) * 2015-03-09 2016-02-12 (주)에프티코스메틱 마스크팩 포장장치
CN205602253U (zh) * 2016-02-26 2016-09-28 黎焰峰 一种真空抖动式面膜折叠机
KR101651802B1 (ko) 2016-03-03 2016-08-26 최정회 마스크팩 포장용 마스크팩 접지장치
KR20180011383A (ko) * 2016-07-21 2018-02-01 메이드테크(주) 시트 마스크 패킹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363A (ko) 2019-08-02 2021-02-10 이명수 마스크팩 포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0884B2 (en) Finger and disk for separating plate-shaped objects, particularly battery plates
JP5931605B2 (ja) 容器供給装置
US4383795A (en) Bag transfer apparatus
KR101962809B1 (ko) 마스크팩 포장시스템
TWI670486B (zh) 一種用於處理板片形式元件之處理機之用來檢測樣本空版的檢測設備、一種用於處理板片形式元件之處理機的樣本空版之品質控制的方法、一種用於處理板片形式元件之處理機與用於此處理機的廢料移除站
JPH08217236A (ja) 袋自動解荷供給方法並びにその装置、及び該装置で使用される袋輸送コンテナ、解束装置、トレー
US54413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trays
JPH0680249A (ja) 平面部材、特にブリスタパックをタブレットのコンベアからマガジン等へ搬送する装置
JP7157446B2 (ja) 果菜箱詰方法、包装箱積重ね方法、包装箱排出方法、果菜箱詰装置、包装箱積重ね装置、包装箱排出装置
JP7318940B2 (ja) 添付物の供給装置
JP3790003B2 (ja) 板材搬送装置
KR101646974B1 (ko) 베어칩 포장 장치
JPH0624567A (ja) 簡易デパレタイザー
KR101461124B1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장치용 트레이 오프로더
EP0916578A2 (en) Bag filling machine for packaging small knitwear items in bags, particularly for packaging hosiery items
CN116552942B (zh) 一种包装成型设备的纸垛上料方法
JP7220953B2 (ja) 製品積み重ね装置
CN219341056U (zh) 一种片体上料装置、分选机、开槽机、丝印机
JPH02152605A (ja) 包装体の自動詰め込み搬送装置
KR20190103842A (ko) 다공마대 개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설비
JP2017065779A (ja) 箱詰め装置
JP2022115431A (ja) 袋状容器処理装置
JP3017714U (ja) 果菜物箱詰め装置
JPH0460895B2 (ko)
JP2022135124A (ja) 物品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