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5215A -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5215A
KR20170115215A KR1020160042440A KR20160042440A KR20170115215A KR 20170115215 A KR20170115215 A KR 20170115215A KR 1020160042440 A KR1020160042440 A KR 1020160042440A KR 20160042440 A KR20160042440 A KR 20160042440A KR 20170115215 A KR20170115215 A KR 20170115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levator
hall
time
car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0893B1 (ko
Inventor
박환성
김창영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주)이엠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엠씨씨 filed Critical (주)이엠씨씨
Priority to KR1020160042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893B1/ko
Publication of KR20170115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53Procedure or protocol for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은, 카 무선 장치가 장착된 엘리베이터가 도어 개방 선택의 특정 층에 도착할 때, 상기 특정 층이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인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층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일 때, 상기 카 무선 장치가 도어 개방에 따라 페어링을 수행하여 외부의 홀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카 무선 장치가 상기 홀 무선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획득하는 정보 수신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DATA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에 장착된 카 무선 장치가 외부의 홀 무선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상가용 빌딩, 업무용 빌딩 혹은 아파트 등과 같은 고층 건물들에서는 사람들의 층간 이동 또는 화물 등의 층간 이송을 위해 다수의 엘리베이터(또는 카)가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모니터 등을 연결하여, 예컨대 날짜, 시간, 날씨, 문자 뉴스, 광고 등의 각종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
따라서, 실시간 정보 제공을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내부에 인터넷 등을 연결할 수 있는 통신 설비가 반드시 필요한데, 엘리베이터의 특성상 외부의 무선 전파가 침투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인 무선 방식의 데이터 전송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실정이다.
즉, 기존에는 광케이블이나 UTP케이블 등의 유선 네트워크를 연결할 수 있는 유선 설비를 구축함으로써, 엘리베이터와 기계실 사이를 유선 연결하는 방식으로 실시간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위해,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내부와 외부의 일반적인 데이터 통신을 위해 카 덕트 내의 이동 케이블에 별도의 통신 선로를 구비하고, 상단 제어실과 엘리베이터 상부에 케이블 모뎀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선 연결 방식은 카 덕트 내의 시공을 필요로 하고, 또한 층고에 따라 네트워크 케이블을 포설해야 하는 등 설치 시간이나 비용 등의 측면에서 상당한 어려움이 수반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유선 설비의 유지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종래의 유선 연결 방식은 엘리베이터 설치, 보수를 시행하는 전문가들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안정상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엘리베이터 제조사, 설치 시행사, 보수 시행사, 네트워크 설치 업체 간의 유기적인 협업을 필요로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여러 업체 간의 협업은 엘리베이터의 유지 관리비를 과도하게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05579호(공개일 : 2013. 01. 16.)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가 도어 개방 선택의 특정 층에 도착하고, 특정 층이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일 때, 도어 개방에 따라 페어링을 수행하여 홀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함으로써, 홀 무선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가 도어 개방 선택의 특정 층에 도착하여 도어가 개방될 때, 홀 무선 ID를 포함하는 장치 탐색 신호의 무선 송출 및 응답을 통한 페어링을 수행하여 홀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함으로써, 홀 무선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카 무선 장치가 장착된 엘리베이터가 도어 개방 선택의 특정 층에 도착할 때, 상기 특정 층이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인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층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일 때, 상기 카 무선 장치가 도어 개방에 따라 페어링을 수행하여 외부의 홀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카 무선 장치가 상기 홀 무선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획득하는 정보 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홀 무선 장치는,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데이터는,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할 대상 데이터의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할 때, 상기 홀 무선 장치에 의해 상기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에 전송 가능한 사이즈로 분할된 부분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데이터 통신 방법은, 상기 대상 데이터가 분할된 경우, 상기 카 무선 장치와 상기 홀 무선 장치 간에 후속의 무선 접속이 이루어질 때, 상기 부분 데이터에 이어지는 이후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후속 정보 수신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데이터는,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할 대상 데이터의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할 때, 도어의 개방 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한 시간 연장 메시지와 함께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시간 연장 메시지는, 상기 대상 데이터가 실시간 전송 우선순위를 갖는 데이터일 때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데이터는,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할 대상 데이터의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하고, 상기 대상 데이터가 비실시간 전송 분류의 데이터일 때, 상기 홀 무선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예약 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 정보 메시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데이터 통신 방법은, 상기 예약 전송 메시지가 존재하고, 현재 시간이 기 설정된 예약 통신 시간에 도달할 때, 상기 엘리베이터를 상기 특정 층으로 운행시켜 상기 홀 무선 장치에 무선 접속함으로써 상기 대상 데이터를 예약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 따라, 운행 중인 엘리베이터가 도착한 도어 개방 선택의 특정 층이 기 설정된 통신 대상 층일 때, 도어의 개방에 따른 페어링의 수행을 통해 외부의 홀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 무선 장치와, 상기 페어링을 통해 상기 카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될 때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홀 무선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카 무선 장치는, 상기 홀 무선 장치의 층별 설치 여부를 나타내는 설치 층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엘리베이터가 상기 특정 층에 도착할 때 상기 설치 층 정보의 탐색을 통해 상기 특정 층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인지를 체크하는 층별 대상 탐지부와,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일 때, 상기 페어링을 수행하여 상기 홀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는 접속 실행부와, 무선 접속 상태에서 상기 홀 무선 장치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데이터 수신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카 무선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및 환경 정보 관련의 카 내부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내부 정보 관리부와, 상기 무선 접속 상태에서 상기 카 내부 데이터를 인출하여 상기 홀 무선 장치로 무선 전송하는 내부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카 무선 장치는, 상기 홀 무선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예약 전송의 대상 데이터가 존재할 때 현재 시간을 체크하여 기 설정된 예약 통신 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엘리베이터를 상기 특정 층으로 운행시켜 상기 홀 무선 장치에 무선 접속함으로써 상기 대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예약 데이터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카 무선 장치는, 사용자 선택에 따른 온 상태의 층 버튼 조명이 층 도착에 따라 자동 오프되는 것을 감지하는 버튼 조명 감지부와, 상기 자동 오프가 감지되고, 도어 개방신호가 감지되는 조건이 충족될 때 상기 특정 층을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으로 검출하는 대상층 검출부와,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이 검출될 때, 상기 페어링을 수행하여 상기 홀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는 접속 실행부와, 무선 접속 상태에서 상기 홀 무선 장치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데이터 수신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카 무선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층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스위치를 가지며, 각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 설정에 의해 홀 무선 장치의 층별 설치 여부를 분류하는 딥스위치와, 상기 특정 층이 상기 딥스위치에 의해 설치 층으로 식별되고, 도어 개방신호가 감지되는 조건이 충족될 때 상기 특정 층을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으로 검출하는 대상층 검출부와,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이 검출될 때, 상기 페어링을 수행하여 상기 홀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는 접속 실행부와, 무선 접속 상태에서 상기 홀 무선 장치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데이터 수신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홀 무선 장치는, 상기 페어링을 통해 상기 카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는 접속 실행부와,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할 대상 데이터의 사이즈에 의거하여 예상 전송 시간을 산출하는 전송 시간 관리부와, 산출된 상기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할 때, 상기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에 전송 가능한 부분 데이터로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 데이터를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홀 무선 장치는, 상기 페어링을 통해 상기 카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는 접속 실행부와,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할 대상 데이터의 사이즈에 의거하여 예상 전송 시간을 산출하는 전송 시간 관리부와, 산출된 상기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할 때, 도어의 개방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한 시간 연장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대상 데이터와 함께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홀 무선 장치는, 상기 페어링을 통해 상기 카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는 접속 실행부와,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할 대상 데이터의 사이즈에 의거하여 예상 전송 시간을 산출하는 전송 시간 관리부와, 산출된 상기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하고, 상기 대상 데이터가 비실시간 전송 분류의 데이터일 때, 상기 대상 데이터를 예약 전송하기 위한 예약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홀 무선 장치는, 상기 카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 상태일 때 데이터 통신을 위한 활성화 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카 무선 장치와의 무선 접속이 해제될 때 절전 대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카 무선 장치가 장착된 엘리베이터가 도어 개방 선택의 특정 층에 도착하여 도어가 개방될 때, 홀 무선 ID를 포함하는 장치 탐색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홀 무선 ID를 갖는 외부의 홀 무선 장치로부터의 응답에 기반한 페어링의 수행을 통해 상기 카 무선 장치가 상기 홀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카 무선 장치가 상기 홀 무선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획득하는 정보 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홀 무선 장치는, 상기 특정 층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데이터는,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할 대상 데이터의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할 때, 상기 홀 무선 장치에 의해 상기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에 전송 가능한 사이즈로 분할된 부분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데이터 통신 방법은, 상기 대상 데이터가 분할된 경우, 상기 카 무선 장치와 상기 홀 무선 장치 간에 후속의 무선 접속이 이루어질 때, 상기 부분 데이터에 이어지는 이후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후속 정보 수신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데이터는,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할 대상 데이터의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할 때, 도어의 개방 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한 시간 연장 메시지와 함께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시간 연장 메시지는, 상기 대상 데이터가 실시간 전송 우선순위를 갖는 데이터일 때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데이터는,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할 대상 데이터의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하고, 상기 대상 데이터가 비실시간 전송 분류의 데이터일 때, 상기 홀 무선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예약 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 정보 메시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데이터 통신 방법은, 상기 예약 전송 메시지가 존재하고, 현재 시간이 기 설정된 예약 통신 시간에 도달할 때, 상기 엘리베이터를 상기 특정 층으로 운행시켜 상기 홀 무선 장치에 무선 접속함으로써 상기 대상 데이터를 예약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운행 중인 엘리베이터가 도어 개방 선택의 특정 층에 도착하여 도어가 개방될 때, 홀 무선 ID를 포함하는 장치 탐색 신호의 무선 송출 및 응답에 기반한 페어링을 통해 외부의 홀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 무선 장치와, 상기 페어링을 통해 상기 카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될 때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홀 무선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카 무선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방을 검출하는 도어 개방 검출부와, 상기 도어 개방이 검출될 때, 상기 장치 탐색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홀 무선 장치로 무선 송출하는 홀 장치 탐색부와, 상기 장치 탐색 신호의 응답에 기반한 상기 페어링을 통해 상기 홀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는 접속 실행부와, 무선 접속 상태에서 상기 홀 무선 장치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수신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카 무선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및 환경 정보 관련의 카 내부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내부 정보 관리부와, 상기 무선 접속 상태에서 상기 카 내부 데이터를 인출하여 상기 홀 무선 장치로 무선 전송하는 내부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카 무선 장치는, 상기 홀 무선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예약 전송의 대상 데이터가 존재할 때 현재 시간을 체크하여 기 설정된 예약 통신 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엘리베이터를 상기 특정 층으로 운행시켜 상기 홀 무선 장치에 무선 접속함으로써 상기 대상 데이터를 전송받는 예약 데이터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홀 무선 장치는, 상기 페어링을 통해 상기 카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는 접속 실행부와,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할 대상 데이터의 사이즈에 의거하여 예상 전송 시간을 산출하는 전송 시간 관리부와, 산출된 상기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할 때, 상기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에 전송 가능한 부분 데이터로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 데이터를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홀 무선 장치는, 상기 페어링을 통해 상기 카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는 접속 실행부와,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할 대상 데이터의 사이즈에 의거하여 예상 전송 시간을 산출하는 전송 시간 관리부와, 산출된 상기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할 때, 도어의 개방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한 시간 연장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대상 데이터와 함께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홀 무선 장치는, 상기 페어링을 통해 상기 카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는 접속 실행부와,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할 대상 데이터의 사이즈에 의거하여 예상 전송 시간을 산출하는 전송 시간 관리부와, 산출된 상기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하고, 상기 대상 데이터가 비실시간 전송 분류의 데이터일 때, 상기 대상 데이터를 예약 전송하기 위한 예약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홀 무선 장치는, 상기 카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 상태일 때 데이터 통신을 위한 활성화 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카 무선 장치와의 무선 접속이 해제될 때 절전 대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가 도어 개방 선택의 특정 층에 도착하고, 특정 층이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일 때, 도어 개방에 따라 페어링을 수행하여 외부의 홀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엘리베이터 내의 카 무선 장치가 홀 무선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가 도어 개방 선택의 특정 층에 도착하여 도어가 개방될 때, 홀 무선 ID를 포함하는 장치 탐색 신호의 무선 송출 및 응답을 통한 페어링을 수행하여 외부의 홀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엘리베이터 내의 카 무선 장치가 홀 무선 장치로부터 무선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1의 변형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카 무선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1의 다른 변형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카 무선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개방될 때 카 무선 장치가 홀 무선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개방될 때 홀 무선 장치가 카 무선 장치에게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개방될 때 카 무선 장치가 홀 무선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개방될 때 홀 무선 장치가 카 무선 장치에게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구성도로서, 엘리베이터 내에 장착(설치)되는 카 무선 장치(110)와 엘리베이터가 운행되는 건물의 층 도어의 외측에 장착(설치)되는 홀 무선 장치(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카 무선 장치(110)와 홀 무선 장치(120) 간의 무선 통신은, 예컨대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해 하나의 홀 무선 장치(120)만을 도시하였으나, 본 실시 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유의 홀 무선 ID를 각각 가지고 서로 다른 층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홀 무선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 무선 장치(110)는 사용자(또는 탑승자)에 의해 도어 개방이 선택된 임의의 층에 엘리베이터가 도착(또는 접근)하고, 도착된 임의의 층이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일 때 도어의 개방에 따른 페어링의 수행을 통해 홀 무선 장치(120)와 무선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 카 무선 장치(110)는 저장부(111), 층별 대상 탐지부(112), 접속 실행부(113), 데이터 수신 처리부(114), 내부 정보 관리부(115), 내부 정보 전송부(116) 및 예약 데이터 관리부(11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저장부(111)는, 예컨대 메모리와 메모리 관리기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홀 무선 장치(120)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제공받은 각종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으며, 또한 외부의 엘리베이터 제어부로부터 제공받은 홀 무선 장치의 설치 층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저장부(111)에 저장되는 각종 데이터는, 예컨대 날짜 및 시간, 현재 날씨, 온도, 습도, 환경 정보(미세먼지 농도, 자외선량 등), 긴급 뉴스, 속보, 관리 공지사항, 엘리베이터의 운행 관제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홀 무선 장치의 설치 층 정보는, 예컨대 어떤 층에 홀 무선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별 장치 식별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다음에, 층별 대상 탐지부(112)는 운행 중인 엘리베이터가 도어 개방이 선택된 임의의 층에 도착(또는 접근)할 때 저장부(111)에 기 저장된 홀 무선 장치의 설치 층 정보를 탐색함으로써, 해당 층이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인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 통신 대상층일 때 이를 접속 실행부(113)로 통지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 실행부(113)는 엘리베이터가 도착한 층이 도어 개방이 선택된 통신 대상층인 것으로 층별 대상 탐지부(112)로부터 통지될 때,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방에 따른 페어링을 수행(접속 요청 및 승인 응답 등)함으로써, 홀 무선 장치(120)와 무선 접속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실행부(113)는 후술하는 내부 정보 전송부(116)로부터 도어 닫힘에 의한 무선 접속 해제가 통지될 때 홀 무선 장치(120)와의 무선 접속을 해제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수신 처리부(114)는 카 무선 장치(110)와 홀 무선 장치(120)가 페어링을 통해 무선 접속 상태를 유지할 때 홀 무선 장치(120)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를 획득(수신)하여 저장부(111)에 저장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때 획득되는 데이터는, 예컨대 도어의 개방시간 이내에 수신 가능한 데이터, 홀 무선 장치의 홀 무선 ID를 포함하는 부분 데이터, 시간 연장 메시지를 포함하는 데이터, 예약 전송 메시지, 전송 대상 데이터 비존재 메시지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에서, 홀 무선 ID를 포함하는 부분 데이터는 홀 무선 장치(120)에서 카 무선 장치(110)로 전송해야 할 데이터의 사이즈(양)가 엘리베이터의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동안 전송할 수 있는 사이즈를 초과할 때 도어 개방 유지 시간에 전송 가능한 만큼의 사이즈로 분할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으며, 분할된 부분 데이터 이후의 데이터는 카 무선 장치(110)와 홀 무선 장치(120) 간에 후속의 무선 접속이 이루어질 때 카 무선 장치(110)로 전송될 수 있다.
예컨대,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이 10초이고, 카 무선 장치(110)와 홀 무선 장치(120) 간의 무선 접속에 2초가 소요되며, 홀 무선 장치(120)에서 카 무선 장치(110)로 전송해야 할 데이터의 사이즈가 12초 분량인 경우라고 가정할 때, 해당 데이터는 2개의 부분 데이터(예컨대, 8초 분량의 부분 데이터와 4초 분량의 부분 데이터)로 분할되어 2회의 무선 접속을 통해 카 무선 장치(11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시간 연장 메시지를 포함하는 데이터는 카 무선 장치(110)로 전송해야 할 데이터의 사이즈가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하지만 실시간 전송 우선순위를 갖는 데이터인 경우일 때 수신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이 10초이고, 카 무선 장치(110)와 홀 무선 장치(120) 간의 무선 접속에 2초가 소요되며, 홀 무선 장치(120)에서 카 무선 장치(110)로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실시간 전송 우선순위를 갖는 데이터이면서 그 사이즈가 10초 분량인 경우라고 가정할 때, 홀 무선 장치(120)로부터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2초 더 연장하라는 시간 연장 메시지와 함께 해당 데이터가 카 무선 장치(110)의 데이터 수신 처리부(114)로 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수신 처리부(114)로 수신되는 예약 전송 메시지는, 예컨대 홀 무선 ID 정보, 층 구분 정보, 데이터 ID 정보 등의 예약 전송 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는 것으로, 카 무선 장치(110)로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실시간 전송을 필요로 하지 않는 대용량의 데이터(예컨대, 펌웨어 업그레이드, 이미지, 동영상 등의 비실시간 전송 분류의 데이터)일 때, 홀 무선 장치(120)로부터 무선 송출되어 카 무선 장치(110) 내의 데이터 수신 처리부(114)로 수신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수신 처리부(114)는 예약 전송 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 전송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를 후술하는 예약 데이터 관리부(117)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처리부(114)로 수신되는 전송 대상 데이터 비존재 메시지는 홀 무선 장치(120)에서 카 무선 장치(110)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메시지로서, 이러한 메시지가 수신되면 카 무선 장치(110)는 홀 무선 장치(120)와의 무선 접속을 해제한 후 현재의 활성화 모드(데이터 통신 모드)를 절전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다음에, 내부 정보 관리부(115)는 엘리베이터의 운행 정보(예컨대, 시간별 정지층, 정지시간, 운행 거리, 설비 노후화 정도 등) 및 카 내의 환경 정보(예컨대, 카 내의 먼지 농도, 온도, 습도 등) 등의 카 내부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부(111)에 저장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정보 전송부(116)는 카 무선 장치(110)와 홀 무선 장치(120)가 페어링을 통해 무선 접속 상태로 될 때 저장부(111)에 저장되어 있는 수집된 카 내부 데이터를 인출하여 홀 무선 장치(120)로 무선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각종 센서를 통해 수집된 카 내부 데이터를 홀 무선 장치(120)로 전송하는 것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엘리베이터의 운행 패턴 등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엘리베이터의 원격 운행 관제(예컨대, 오후 12시부터 오후 1시 사이에는 식당층에 무조건 정차하도록 자동 카콜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내부 정보 전송부(116)는 도시 생략된 카 무선 장치의 제어부로부터 통신 종료 또는 통신 완료가 감지가 전달될 때 홀 무선 장치(120) 측으로 통신 종료 또는 통신 완료 신호를 무선 전송하고, 접속 실행부(113)로 통신 종료 또는 통신 완료에 의한 무선 접속 해제를 통지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 종료는 사용자의 도어 닫힘 버튼에 의해 도어가 강제로 닫힐 때를 의미하고, 통신 완료는 기 설정된 도어 개방시간이 모두 경과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닫힐 때를 의미할 수 있으며, 통신 종료 또는 통신 완료 단계는 도어 개방 제어신호에 오버라이드(override) 되었던 카 무선 장치의 도어 개방 지령이 해제되어 도어가 닫힐 수 있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다음에, 예약 데이터 관리부(117)는 홀 무선 장치(120)로부터 수신된 예약 전송 메시지(또는 예약 전송의 통지)가 존재할 때 현재 시간을 체크하여 기 설정된 예약 통신 시간에 도달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기 설정된 예약 통신 시간에 도달할 때 엘리베이터를 해당 층으로 운행시켜 해당 홀 무선 장치에 무선 접속함으로써 이전의 무선 접속에서 예약 전송을 통지 받았던 데이터를 획득하여 저장부(111)에 저장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예약 통신 시간은, 예컨대 새벽 등과 같이 트래픽 또는 사람의 유동이 상대적으로 한산한 새벽 시간대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1의 변형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카 무선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버튼 조명 감지부(211), 대상층 검출부(212), 접속 실행부(213), 데이터 수신 처리부(214), 내부 정보 관리부(215), 내부 정보 전송부(216) 및 예약 데이터 관리부(21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변형 실시 예의 카 무선 장치는, 도 1의 저장부(111)와 층별 대상 탐지부(112)를 버튼 조명 감지부(211)와 대상층 검출부(212)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 그 이외의 각 구성부재들은 도 1의 대응 구성부재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접속 실행부(213)는 도 1의 접속 실행부(113)에, 데이터 수신 처리부(214)는 도 1의 데이터 수신 처리부(114)에, 내부 정보 관리부(215)는 도 1의 내부 정보 관리부(115)에, 내부 정보 전송부(216)는 도 1의 내부 정보 전송부(116)에, 예약 데이터 관리부(217)는 도 1의 예약 데이터 관리부(117)에 각각 대응하는 것으로서, 대응되는 동일의 각 구성부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명세서의 간결화를 위한 불필요한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하기에서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버튼 조명 감지부(211)는 사용자 선택(층 버튼의 조작)에 따라 해당 층 버튼의 조명(예컨대, LCD 조명, LED 조명, OLED 조명 등)이 전원 온으로 켜진 상태에서 해당 층으로의 도착(또는 접근)에 따라 전원 오프로 자동 전환될 때 이를 감지하고, 이 자동 오프 감지신호를 대상층 검출부(212)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버튼 조명 감지부(211)는 층 버튼 조명(도시 생략)으로 인가되는 전원 라인(비반전(+) 전원 라인과 반전(-) 전원 라인)에 전기 회로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대상층 검출부(212)는 버튼 조명 감지부(211)로부터 층 버튼 조명에 대한 자동 오프 감지신호가 전달되고, 이와 더불어 도시 생략된 도어 감지 센서 또는 엘리베이터 제어부로부터 도어 개방신호가 감지 또는 입력되는 조건이 충족(성립)될 때 엘리베이터가 도착하여 도어가 개방된 해당 층을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으로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를 접속 실행부(213)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상층 검출부(212)는 엘리베이터 내 버튼 제어부(도시 생략)의 일부 구성요소로서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페어링이 수행되어 카 무선 장치(110)와 홀 무선 장치(120)가 무선 접속됨으로써, 카 무선 장치(110)와 홀 무선 장치(120)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에 기반한 데이터의 무선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변형 실시 예의 카 무선 장치는, 비록 도 1의 저장부(111)와 층별 대상 탐지부(112)를 버튼 조명 감지부(211)와 대상층 검출부(212)로 일부 변경한 점에 있어서 구성적인 차이를 갖기는 하지만, 도 1의 카 무선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 및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며, 오히려 외부의 엘리베이터 제어부와 연동하지 앉는 독립적인 제어 형태를 갖기 때문에 외부의 엘리베이터 제어부와 연동되는 기능을 갖지 않은 기존의 엘리베이터 설비에도 적용 가능한 확장성을 실현할 수 있는 추가적인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1의 다른 변형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카 무선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딥스위치(311), 대상층 검출부(312), 접속 실행부(313), 데이터 수신 처리부(314), 내부 정보 관리부(315), 내부 정보 전송부(316) 및 예약 데이터 관리부(31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변형 실시 예의 카 무선 장치는, 도 1의 저장부(111)와 층별 대상 탐지부(112)가 딥스위치(311)와 대상층 검출부(312)로 변경된 점을 제외하고 그 이외의 각 구성부재들은 도 1의 대응 구성부재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접속 실행부(313)는 도 1의 접속 실행부(113)에, 데이터 수신 처리부(314)는 도 1의 데이터 수신 처리부(114)에, 내부 정보 관리부(315)는 도 1의 내부 정보 관리부(115)에, 내부 정보 전송부(316)는 도 1의 내부 정보 전송부(116)에, 예약 데이터 관리부(317)는 도 1의 예약 데이터 관리부(117)에 각각 대응하는 것으로서, 대응되는 동일의 각 구성부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명세서의 간결화를 위한 불필요한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하기에서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딥스위치(311)는, 예컨대 엘리베이터가 운행되는 건물의 층수에 대응되는 다수의 개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각 개별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 설정을 통해 홀 무선 장치가 설치된 층을 기 지정(선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홀 무선 장치의 설치 층 정보는 후술하는 대상층 검출부(312)로 전달될 수 있다.
예컨대, 엘리베이터가 운행되는 건물의 층수가 총 12개 층이고, 1층, 3층, 9층에 각각 홀 무선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라고 가정할 때, 딥스위치 내 12개의 개별 스위치 중 해당 층들에 대응하는 1번, 3번, 9번의 스위치가 온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설정된 홀 무선 장치의 설치 층 정보는 대상층 검출부(312)로 전달된다.
그리고, 대상층 검출부(312)는 딥스위치(311)로부터 전달된 홀 무선 장치의 설치 층 정보에 기반하여 엘리베이터가 도착한 해당 층이 홀 무선 장치의 설치 층으로 식별(판별)되고, 이와 더불어 도시 생략된 도어 감지 센서 또는 엘리베이터 제어부로부터 도어 개방신호가 감지 또는 입력되는 조건이 충족(성립)될 때, 엘리베이터가 도착하여 도어가 개방된 해당 층을 통신 대상층으로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를 접속 실행부(313)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상층 검출부(312)는 엘리베이터 제어부(도시 생략)의 일부 구성요소로서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페어링이 수행되어 카 무선 장치(110)와 홀 무선 장치(120)가 무선 접속됨으로써, 카 무선 장치(110)와 홀 무선 장치(120)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에 기반한 데이터의 무선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변형 실시 예의 카 무선 장치는, 비록 도 1의 저장부(111)와 층별 대상 탐지부(112)를 딥스위치(311)와 대상층 검출부(312)로 일부 변경한 점에 있어서 구성적인 차이를 갖기는 하지만, 도 1의 카 무선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 및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며, 오히려 외부의 엘리베이터 제어부와 연동하지 앉는 독립적인 제어 형태를 갖기 때문에 외부의 엘리베이터 제어부와 연동되는 기능을 갖지 않은 기존의 엘리베이터 설비에도 적용 가능한 확장성을 실현할 수 있는 추가적인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홀 무선 장치(120)는 엘리베이터 내 카 무선 장치(110)의 접속 요청에 기반한 페어링의 수행을 통해 카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통신)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 홀 무선 장치(120)는 접속 실행부(121), 전송 시간 관리부(122), 데이터 전송 관리부(123), 데이터 수신 처리부(124) 및 저장부(12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접속 실행부(121)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방에 따른 페어링을 엘리베이터 내 카 무선 장치(110)와 수행(접속 요청 및 승인 응답 등)함으로써, 카 무선 장치(110)와 무선 접속하는 등의 기능, 즉 카 무선 장치(110)로부터 무선 송출된 접속 요청이 수신될 때 현재 모드를 절전 대기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시킨 후 무선 접속의 허락 여부를 승인하고, 접속 승인으로 인증될 때 승인 응답을 발생하여 카 무선 장치(110)로 무선 송출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홀 무선 장치(120)가 카 무선 장치(110)와 무선 접속되지 않는 상황일 때 절전 대기 모드로 유지시키는 것은 불필요한 전력 모소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며, 접속 승인으로 인증되지 않을 경우 접속 실행부(121)는 불승인 응답을 생성하여 카 무선 장치(110)로 무선 송출한 후 자신의 모드를 절전 대기 모드로 다시 복귀시키게 될 것이다. 여기에서, 접속 실행부(121)는 홀 무선 장치(120)내 제어부(도시 생략)의 일부 구성요소로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전송 시간 관리부(122)는, 페어링의 수행을 통해 카 무선 장치(110)와 홀 무선 장치(120)가 무선 접속될 때, 저장부(125)의 탐색을 통해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해야 할 대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 전송해야 할 대상 데이터가 존재할 때 대상 데이터의 사이즈(데이터 양)에 의거하여 예상 전송 시간을 산출하고, 그 산출 결과를 데이터 전송 관리부(123)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125)에는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된 카 무선 장치 측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예컨대 날짜 및 시간, 현재 날씨, 온도, 습도, 환경 정보(미세먼지 농도, 자외선량 등), 긴급 뉴스, 속보, 관리 공지사항, 엘리베이터의 운행 관제 정보 등과 같은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들은 유선 네트워크 또는 유무선 네트워크 등을 통해 외부 서버 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획득되어 저장부(125)에 저장 또는 갱신 저장될 수 있다.
다음에, 데이터 전송 관리부(123)는 전송 시간 관리부(122)를 통해 산출된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하지 않을 때 전송해야 할 대상 데이터를 저장부(125)로부터 인출하여 카 무선 장치(110) 측으로 무선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 관리부(123)는,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할 때, 전송해야 할 대상 데이터를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에 전송 가능한 부분 데이터로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 데이터(홀 무선 장치의 홀 무선 ID를 포함하는 부분 데이터)를 카 무선 장치(110)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전송 관리부(123)는,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하면서 전송해야 할 대상 데이터가 실시간 전송 우선순위를 갖는 데이터일 때, 도어의 개방 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한 시간 연장 메시지를 생성한 후 대상 데이터와 함께 카 무선 장치(110) 측으로 무선 전송할 수 있으며, 분할되어 전송된 부분 데이터 이후의 데이터는 카 무선 장치(110)와 홀 무선 장치(120) 간에 후속의 무선 접속이 이루어질 때 카 무선 장치(11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 관리부(123)는,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하면서 전송해야 할 대상 데이터가 비실시간 전송 분류의 데이터일 때, 예컨대 홀 무선 ID 정보, 층 구분 정보, 데이터 ID 정보 등의 예약 전송 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여 카 무선 장치(110)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 관리부(123)는 저장부(125)에서의 탐색 결과 카 무선 장치(110)로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때 그에 상응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 비존재 메시지를 생성하여 카 무선 장치(110)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더욱이, 데이터 전송 관리부(123)는 데이터 또는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될 때, 홀 무선 장치(120)의 현재 모드(활성화 모드)가 절전 대기 모드로 복귀될 수 있도록 접속 실행부(121)로 데이터 또는 메시지의 전송 완료를 통지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수신 처리부(124)는 카 무선 장치(110)와 무선 접속 상태가 유지될 때 카 무선 장치(11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획득(수신)하여 저장부(125)에 저장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때 획득되는 데이터는, 예컨대 엘리베이터의 운행 정보(예컨대, 시간별 정지층, 정지시간, 운행 거리, 설비 노후화 정도 등) 및 카 내의 환경 정보(예컨대, 카 내의 먼지 농도, 온도, 습도 등) 등의 카 내부 데이터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카 내부 데이터는 엘리베이터의 운행 패턴 분석 및 엘리베이터의 원격 운행 관제 등에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접속 실행부(121)는 카 무선 장치(110)로부터 통신 종료 또는 통신 완료 신호가 수신될 때, 홀 무선 장치(120)가 절전 대기 모드로 복귀될 수 있도록 이를 홀 무선 장치의 제어부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카 무선 장치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의 홀 무선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일련의 과정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개방될 때 카 무선 장치가 홀 무선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운행 중인 엘리베이터가 도어 개방이 선택된 임의의 층에 도착(또는 접근)하면(단계 402), 카 무선 장치(110) 내의 층별 대상 탐지부(112)에서는 저장부(111)에 기 저장된 홀 무선 장치의 설치 층 정보를 탐색함으로써, 해당 층이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404).
상기와는 달리, 엘리베이터가 해당 층에 도착(또는 접근)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해당 층의 층 버튼 조명이 자동 오프되고, 이와 더불어 도어 개방신호가 감지 또는 입력되는 조건이 충족(성립)될 때 해당 층이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딥스위치로부터 전달된 홀 무선 장치의 설치 층 정보에 기반하여 엘리베이터가 도착한 해당 층이 홀 무선 장치의 설치 층으로 식별(판별)되고, 이와 더불어 도어 개방신호가 감지 또는 입력되는 조건이 충족(성립)될 때 해당 층이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단계(404)에서의 체크 결과, 엘리베이터가 도착한 임의의 층이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인 것으로 결정될 때, 접속 실행부(113)에서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방에 따른 페어링을 수행(홀 무선 장치로의 접속 요청 및 홀 무선 장치로부터의 승인 응답 등)함으로써, 홀 무선 장치(120)와 무선 접속한다(단계 406).
그 결과, 홀 무선 장치(120)에서는 후술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련의 프로세서를 진행함으로써, 데이터, 시간 연장 메시지를 포함하는 데이터, 홀 무선 ID를 포함하는 부분 데이터, 예약 전송 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 전송 메시지, 전송 대상 데이터 비존재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무선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예약 전송 내역 정보는, 예컨대 홀 무선 ID 정보, 층 구분 정보, 데이터 ID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카 무선 장치(110)에서는 홀 무선 장치(120)로부터 선택적으로 무선 송출되는 데이터, 시간 연장 메시지를 포함하는 데이터, 홀 무선 ID를 포함하는 부분 데이터, 예약 전송 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 전송 메시지, 전송 대상 데이터 비존재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먼저, 홀 무선 장치(120)로부터 데이터 또는 홀 무선 ID를 포함하는 부분 데이터가 획득(수신)되면(단계 408), 데이터 수신 처리부(114)에서는 획득된 데이터 또는 부분 데이터를 저장부(111)에 저장하며(단계 410), 이후의 처리는 단계(단계 422)로 진행된다.
그리고, 홀 무선 장치(120)로부터 시간 연장 메시지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획득(수신)되면(단계 412), 데이터 수신 처리부(114)에서는 도어의 개방 시간을 소정시간 만큼 연장하여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부(111)에 저장하며(단계 414), 이후의 처리는 단계(단계 422)로 진행된다.
다음에, 홀 무선 장치(120)로부터 예약 전송 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 전송 메시지가 획득(수신)되면(단계 416), 데이터 수신 처리부(114)에서는, 기 설정된 예약 통신 시간(예컨대, 트래픽 및 사람의 유동이 상대적으로 적은 새벽 시간대 등)에 해당 데이터가 예약 획득될 수 있도록, 수신된 예약 전송 메시지를 예약 데이터 관리부(117)로 전달하며(단계 418), 이후의 처리는 단계(단계 422)로 진행된다.
또한, 홀 무선 장치(120)로부터 전송 대상 데이터 비존재 메시지가 획득(수신)되면(단계 420), 데이터 수신 처리부(114)에서는 이를 접속 실행부(113)로 통지하며, 이에 응답하여 접속 실행부(113)에서는 홀 무선 장치(120)와의 무선 접속을 해제시킨다(단계 424).
이후, 내부 정보 전송부(116)에서는 도시 생략된 카 무선 장치의 제어부로부터 통신 종료 또는 통신 완료가 감지가 전달될 때 홀 무선 장치(120) 측으로 통신 종료 또는 통신 완료 신호를 무선 전송하고(단계 422), 이와 더불어 접속 실행부(113)로 통신 종료 또는 통신 완료에 의한 무선 접속 해제를 통지하며, 그 결과 접속 실행부(113)에서는 홀 무선 장치(120)와의 무선 접속을 해제시킨다(단계 424).
여기에서, 통신 종료는 사용자의 도어 닫힘 버튼에 의해 도어가 강제로 닫힐 때를 의미하고, 통신 완료는 기 설정된 도어 개방시간이 모두 경과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닫힐 때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통신 종료 또는 통신 완료 단계는 도어 개방 제어신호에 오버라이드(override) 되었던 카 무선 장치의 도어 개방 지령이 해제되어 도어가 닫힐 수 있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본 실시 예의 데이터 통신 방법에 따르면, 카 무선 장치(110)와 홀 무선 장치(120)가 무선 접속된 상황일 때, 내부 정보 전송부(116)에서는 내부 정보 관리부(115)를 통해 수집되어 저장부(111)에 저장되어 있는 카 내부 데이터를 인출하여 홀 무선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카 내부 데이터는 엘리베이터의 운행 정보(예컨대, 시간별 정지층, 정지시간, 운행 거리, 설비 노후화 정도 등) 및 카 내의 환경 정보(예컨대, 카 내의 먼지 농도, 온도, 습도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개방될 때 홀 무선 장치가 카 무선 장치에게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홀 무선 장치(120) 내의 접속 실행부(121)에서는 카 무선 장치(110)로부터 접속 요청이 수신될 때(단계 502), 현재의 절전 대기 모드가 활성화 모드로 전환되도록 이를 도시 생략된 홀 무선 장치의 제어부로 전달하며, 그 결과 홀 무선 장치(120)는 절전 대기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된다(단계 504).
이후, 접속 실행부(121)에서는 접속 요청에 대한 승인 응답을 생성하여 카 무선 장치(110) 측으로 전송하는 페어링을 수행함으로써 카 무선 장치(110)와 무선 접속된다(단계 506).
그리고, 전송 시간 관리부(122)에서는 저장부(125)의 탐색을 통해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해야 할 대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 전송해야 할 대상 데이터가 존재할 때 대상 데이터의 사이즈(데이터 양)에 의거하여 예상 전송 시간(t)을 산출한다(단계 508).
다음에, 데이터 전송 관리부(123)에서는 산출된 예상 전송 시간(t)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n)을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고(단계 510), 체크 결과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면 전송해야 할 대상 데이터를 저장부(125)로부터 인출하여 카 무선 장치(110) 측으로 전송한다(단계 512).
상기 단계(510)에서의 체크 결과,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할 때, 데이터 전송 관리부(123)에서는 전송해야 할 대상 데이터가 실시간 전송 우선순위를 갖는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514).
상기 단계(514)에서의 체크 결과, 대상 데이터가 실시간 전송 우선순위를 갖는 데이터이면, 데이터 전송 관리부(123)에서는 도어의 개방 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한 시간 연장 메시지를 생성한 후 대상 데이터와 함께 카 무선 장치(110) 측으로 전송한다(단계 516).
상기 단계(514)에서의 체크 결과, 대상 데이터가 실시간 전송 우선순위를 갖는 데이터가 아니면, 데이터 전송 관리부(123)에서는 전송해야 할 대상 데이터가 비실시간 전송 분류의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518).
상기 단계(518)에서의 체크 결과, 대상 데이터가 비실시간 전송 분류의 데이터이면, 예컨대 홀 무선 ID 정보, 층 구분 정보, 데이터 ID 정보 등의 예약 전송 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 전송 메시지를 생성한 후 카 무선 장치(110) 측으로 전송한다(단계 520).
상기 단계(518)에서의 체크 결과, 대상 데이터가 비실시간 전송 분류의 데이터가 아니면, 데이터 전송 관리부(123)에서는 전송해야 할 대상 데이터를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에 전송 가능한 부분 데이터로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 데이터(홀 무선 ID를 포함하는 부분 데이터)를 카 무선 장치(110) 측으로 전송한다(단계 522).
다음에, 접속 실행부(121)에서는 카 무선 장치(110)로부터 통신 종료 또는 통신 완료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데, 모니터링 결과 통신 종료 또는 통신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단계 524), 홀 무선 장치(120)가 절전 대기 모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이를 홀 무선 장치의 제어부로 전달하며, 그 결과 홀 무선 장치(120)는 활성화 모드에서 절전 대기 모드로 복귀된다(단계 526).
[실시 예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카 무선 장치(610)는 도어 개방 검출부(611), 홀 장치 탐색부(612), 접속 실행부(613), 데이터 수신 처리부(614), 내부 정보 관리부(615), 내부 정보 전송부(616), 저장부(617) 및 예약 데이터 관리부(618)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홀 무선 장치(620)는 접속 실행부(621), 전송 시간 관리부(622), 데이터 전송 관리부(623), 데이터 수신 처리부(624) 및 저장부(62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카 무선 장치(610)는, 도 1의 층별 대상 탐지부(112)가 도어 개방 검출부(611)와 홀 장치 탐색부(612)로 대체된 점을 제외하고 그 이외의 각 구성부재들은 도 1의 대응 구성부재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접속 실행부(613)는 도 1의 접속 실행부(113)에, 데이터 수신 처리부(614)는 도 1의 데이터 수신 처리부(114)에, 내부 정보 관리부(615)는 도 1의 내부 정보 관리부(115)에, 내부 정보 전송부(616)는 도 1의 내부 정보 전송부(116)에, 저장부(617)는 도 1의 저장부(111)에, 예약 데이터 관리부(618)는 도 1의 예약 데이터 관리부(117)에 각각 대응하는 것으로서, 대응되는 동일의 각 구성부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명세서의 간결화를 위한 불필요한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하기에서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도어 개방 검출부(611)는 목적 층에 도착한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를 홀 장치 탐색부(612)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도어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홀 장치 탐색부(612)는 도어 개방 검출부(611)로부터 도어 개방이 통지될 때, 홀 무선 ID를 포함하는 장치 탐색 신호를 생성하여 홀 무선 장치(620) 측으로 무선 송출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접속 실행부(613)는 홀 무선 장치(620)로부터 장치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이 수신될 때 페어링을 수행함으로써, 홀 무선 장치(620)와 무선 접속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페어링이 수행되어 카 무선 장치(610)와 홀 무선 장치(620)가 무선 접속됨으로써, 전술한 실시 예1에서와 동일하게, 카 무선 장치(610)와 홀 무선 장치(620)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에 기반한 데이터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의 카 무선 장치는, 비록 도 1의 층별 대상 탐지부(112)를 도어 개방 검출부(611)와 홀 장치 탐색부(612)로 대체된 점에 점에 있어서 구성적인 차이를 갖기는 하지만, 도 1의 카 무선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홀 무선 장치(620)는 카 무선 장치(610)로부터 무선 송출된 장치 탐색 신호가 수신될 때 자신의 절전 대기 모드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며, 접속 실행부(621)가 장치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을 카 무선 장치(610)로 전송하는 페어링의 수행을 통해 카 무선 장치(610)와 무선 접속하는 점을 제외하고 그 이외의 각 구성부재들은 도 1의 대응 구성부재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접속 실행부(621)는 도 1의 접속 실행부(121)에, 전송 시간 관리부(622)는 도 1의 전송 시간 관리부(122)에, 데이터 전송 관리부(623)는 도 1의 데이터 전송 관리부(123)에, 데이터 수신 처리부(624)는 도 1의 데이터 수신 처리부(124)에, 저장부(625)는 도 1의 저장부(125)에 각각 대응하는 것으로서, 대응되는 동일의 각 구성부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장치 탐색 신호에 기반한 페어링을 통해 카 무선 장치(610)와 홀 무선 장치(620)가 무선 접속됨으로써, 전술한 실시 예1에서와 동일하게, 카 무선 장치(610)와 홀 무선 장치(620)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에 기반한 데이터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카 무선 장치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의 홀 무선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일련의 과정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개방될 때 카 무선 장치가 홀 무선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운행 중인 엘리베이터가 임의의 층에 도착하여 도어가 개방되면, 도어 개방 검출부(611)에서는 도어 개방을 검출하여 홀 장치 탐색부(612)로 전달한다(단계 702).
그리고, 홀 장치 탐색부(612)에서는 도어 개방 검출부(611)를 통해 도어 개방이 검출될 때, 홀 무선 ID를 포함하는 장치 탐색 신호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장치 탐색 신호를 홀 무선 장치(620) 측으로 송출한다(단계 704).
또한, 접속 실행부(613)에서는 홀 무선 장치(620)로부터 장치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데, 응답이 수신될 때 페어링을 수행하여 홀 무선 장치(620)와 무선 접속한다(단계 708). 이때, 엘리베이터가 도착하여 도어가 개방된 층에 홀 무선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 접속 실행부(613)는 장치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을 받지 못하게 될 것이다.
이후, 단계 710 내지 724의 과정을 선택적으로 순차 수행하는데, 이러한 단계 710 내지 724의 각 과정은 도 4의 대응되는 단계 408 내지 424에서의 각 과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명세서의 간결화를 위한 불필요한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단계들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지만, 카 무선 장치(610)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1의 카 무선 장치(110)에서와 동일한 결과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개방될 때 홀 무선 장치가 카 무선 장치에게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카 무선 장치(610)로부터 홀 무선 ID를 포함하는 장치 탐색 신호가 수신되면(단계 802), 홀 무선 장치(620)는 현재의 절전 대기 모드를 활성화 모드(데이터 통신 모드)로 전환시킨다(단계 804).
그리고, 접속 실행부(621)에서는 장치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을 생성하여 카 무선 장치(610)로 전송하며(단계 806), 이러한 페어링의 수행을 통해 홀 무선 장치(620)는 카 무선 장치(610)와 무선 접속된다(단계 808).
이후, 단계 810 내지 828의 과정을 선택적으로 순차 수행하는데, 이러한 단계 810 내지 828의 각 과정은 도 5의 대응되는 단계 508 내지 526에서의 각 과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명세서의 간결화를 위한 불필요한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단계들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지만, 홀 무선 장치(620)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1의 홀 무선 장치(120)에서와 동일한 결과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610 : 카 무선 장치
111, 125, 617, 625 : 저장부
112 : 층별 대상 탐지부
113, 121, 613, 621 : 접속 실행부
114, 124, 614, 624 : 데이터 수신 처리부
115, 615 : 내부 정보 관리부
116, 616 : 내부 정보 전송부
117, 618 : 예약 데이터 관리부
120. 620 : 홀 무선 장치
122, 622 : 전송 시간 관리부
123, 623 : 데이터 전송 관리부

Claims (34)

  1. 카 무선 장치가 장착된 엘리베이터가 도어 개방 선택의 특정 층에 도착할 때, 상기 특정 층이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인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층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일 때, 상기 카 무선 장치가 도어 개방에 따라 페어링을 수행하여 외부의 홀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카 무선 장치가 상기 홀 무선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획득하는 정보 수신 단계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 무선 장치는,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할 대상 데이터의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할 때, 상기 홀 무선 장치에 의해 상기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에 전송 가능한 사이즈로 분할된 부분 데이터인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방법은,
    상기 대상 데이터가 분할된 경우, 상기 카 무선 장치와 상기 홀 무선 장치 간에 후속의 무선 접속이 이루어질 때, 상기 부분 데이터에 이어지는 이후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후속 정보 수신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할 대상 데이터의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할 때, 도어의 개방 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한 시간 연장 메시지와 함께 획득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연장 메시지는,
    상기 대상 데이터가 실시간 전송 우선순위를 갖는 데이터일 때 획득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할 대상 데이터의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하고, 상기 대상 데이터가 비실시간 전송 분류의 데이터일 때, 상기 홀 무선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예약 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 정보 메시지인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방법은,
    상기 예약 전송 메시지가 존재하고, 현재 시간이 기 설정된 예약 통신 시간에 도달할 때, 상기 엘리베이터를 상기 특정 층으로 운행시켜 상기 홀 무선 장치에 무선 접속함으로써 상기 대상 데이터를 예약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9. 운행 중인 엘리베이터가 도착한 도어 개방 선택의 특정 층이 기 설정된 통신 대상 층일 때, 도어의 개방에 따른 페어링의 수행을 통해 외부의 홀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 무선 장치와,
    상기 페어링을 통해 상기 카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될 때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홀 무선 장치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카 무선 장치는,
    상기 홀 무선 장치의 층별 설치 여부를 나타내는 설치 층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엘리베이터가 상기 특정 층에 도착할 때 상기 설치 층 정보의 탐색을 통해 상기 특정 층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인지를 체크하는 층별 대상 탐지부와,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일 때, 상기 페어링을 수행하여 상기 홀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는 접속 실행부와,
    무선 접속 상태에서 상기 홀 무선 장치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데이터 수신 처리부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카 무선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및 환경 정보 관련의 카 내부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내부 정보 관리부와,
    상기 무선 접속 상태에서 상기 카 내부 데이터를 인출하여 상기 홀 무선 장치로 무선 전송하는 내부 정보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카 무선 장치는,
    상기 홀 무선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예약 전송의 대상 데이터가 존재할 때 현재 시간을 체크하여 기 설정된 예약 통신 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엘리베이터를 상기 특정 층으로 운행시켜 상기 홀 무선 장치에 무선 접속함으로써 상기 대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예약 데이터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카 무선 장치는,
    사용자 선택에 따른 온 상태의 층 버튼 조명이 층 도착에 따라 자동 오프되는 것을 감지하는 버튼 조명 감지부와,
    상기 자동 오프가 감지되고, 도어 개방신호가 감지되는 조건이 충족될 때 상기 특정 층을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으로 검출하는 대상층 검출부와,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이 검출될 때, 상기 페어링을 수행하여 상기 홀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는 접속 실행부와,
    무선 접속 상태에서 상기 홀 무선 장치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데이터 수신 처리부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카 무선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층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스위치를 가지며, 각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 설정에 의해 홀 무선 장치의 층별 설치 여부를 분류하는 딥스위치와,
    상기 특정 층이 상기 딥스위치에 의해 설치 층으로 식별되고, 도어 개방신호가 감지되는 조건이 충족될 때 상기 특정 층을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으로 검출하는 대상층 검출부와,
    상기 기 설정된 통신 대상층이 검출될 때, 상기 페어링을 수행하여 상기 홀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는 접속 실행부와,
    무선 접속 상태에서 상기 홀 무선 장치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데이터 수신 처리부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홀 무선 장치는,
    상기 페어링을 통해 상기 카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는 접속 실행부와,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할 대상 데이터의 사이즈에 의거하여 예상 전송 시간을 산출하는 전송 시간 관리부와,
    산출된 상기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할 때, 상기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에 전송 가능한 부분 데이터로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 데이터를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관리부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홀 무선 장치는,
    상기 페어링을 통해 상기 카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는 접속 실행부와,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할 대상 데이터의 사이즈에 의거하여 예상 전송 시간을 산출하는 전송 시간 관리부와,
    산출된 상기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할 때, 도어의 개방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한 시간 연장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대상 데이터와 함께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관리부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홀 무선 장치는,
    상기 페어링을 통해 상기 카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는 접속 실행부와,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할 대상 데이터의 사이즈에 의거하여 예상 전송 시간을 산출하는 전송 시간 관리부와,
    산출된 상기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하고, 상기 대상 데이터가 비실시간 전송 분류의 데이터일 때, 상기 대상 데이터를 예약 전송하기 위한 예약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관리부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홀 무선 장치는,
    상기 카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 상태일 때 데이터 통신을 위한 활성화 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카 무선 장치와의 무선 접속이 해제될 때 절전 대기 모드로 전환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19. 카 무선 장치가 장착된 엘리베이터가 도어 개방 선택의 특정 층에 도착하여 도어가 개방될 때, 홀 무선 ID를 포함하는 장치 탐색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홀 무선 ID를 갖는 외부의 홀 무선 장치로부터의 응답에 기반한 페어링의 수행을 통해 상기 카 무선 장치가 상기 홀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카 무선 장치가 상기 홀 무선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획득하는 정보 수신 단계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홀 무선 장치는,
    상기 특정 층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할 대상 데이터의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할 때, 상기 홀 무선 장치에 의해 상기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에 전송 가능한 사이즈로 분할된 부분 데이터인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방법은,
    상기 대상 데이터가 분할된 경우, 상기 카 무선 장치와 상기 홀 무선 장치 간에 후속의 무선 접속이 이루어질 때, 상기 부분 데이터에 이어지는 이후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후속 정보 수신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할 대상 데이터의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할 때, 도어의 개방 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한 시간 연장 메시지와 함께 획득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연장 메시지는,
    상기 대상 데이터가 실시간 전송 우선순위를 갖는 데이터일 때 획득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2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할 대상 데이터의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하고, 상기 대상 데이터가 비실시간 전송 분류의 데이터일 때, 상기 홀 무선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예약 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 정보 메시지인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방법은,
    상기 예약 전송 메시지가 존재하고, 현재 시간이 기 설정된 예약 통신 시간에 도달할 때, 상기 엘리베이터를 상기 특정 층으로 운행시켜 상기 홀 무선 장치에 무선 접속함으로써 상기 대상 데이터를 예약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27. 운행 중인 엘리베이터가 도어 개방 선택의 특정 층에 도착하여 도어가 개방될 때, 홀 무선 ID를 포함하는 장치 탐색 신호의 무선 송출 및 응답에 기반한 페어링을 통해 외부의 홀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 무선 장치와,
    상기 페어링을 통해 상기 카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될 때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홀 무선 장치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카 무선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방을 검출하는 도어 개방 검출부와,
    상기 도어 개방이 검출될 때, 상기 장치 탐색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홀 무선 장치로 무선 송출하는 홀 장치 탐색부와,
    상기 장치 탐색 신호의 응답에 기반한 상기 페어링을 통해 상기 홀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는 접속 실행부와,
    무선 접속 상태에서 상기 홀 무선 장치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수신 처리부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카 무선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및 환경 정보 관련의 카 내부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내부 정보 관리부와,
    상기 무선 접속 상태에서 상기 카 내부 데이터를 인출하여 상기 홀 무선 장치로 무선 전송하는 내부 정보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카 무선 장치는,
    상기 홀 무선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예약 전송의 대상 데이터가 존재할 때 현재 시간을 체크하여 기 설정된 예약 통신 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엘리베이터를 상기 특정 층으로 운행시켜 상기 홀 무선 장치에 무선 접속함으로써 상기 대상 데이터를 전송받는 예약 데이터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홀 무선 장치는,
    상기 페어링을 통해 상기 카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는 접속 실행부와,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할 대상 데이터의 사이즈에 의거하여 예상 전송 시간을 산출하는 전송 시간 관리부와,
    산출된 상기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할 때, 상기 대상 데이터를 상기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에 전송 가능한 부분 데이터로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 데이터를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관리부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홀 무선 장치는,
    상기 페어링을 통해 상기 카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는 접속 실행부와,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할 대상 데이터의 사이즈에 의거하여 예상 전송 시간을 산출하는 전송 시간 관리부와,
    산출된 상기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할 때, 도어의 개방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한 시간 연장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대상 데이터와 함께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관리부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33.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홀 무선 장치는,
    상기 페어링을 통해 상기 카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하는 접속 실행부와,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할 대상 데이터의 사이즈에 의거하여 예상 전송 시간을 산출하는 전송 시간 관리부와,
    산출된 상기 예상 전송 시간이 기 설정된 도어 개방 유지 시간을 초과하고, 상기 대상 데이터가 비실시간 전송 분류의 데이터일 때, 상기 대상 데이터를 예약 전송하기 위한 예약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카 무선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관리부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34.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홀 무선 장치는,
    상기 카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 상태일 때 데이터 통신을 위한 활성화 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카 무선 장치와의 무선 접속이 해제될 때 절전 대기 모드로 전환되는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KR1020160042440A 2016-04-06 2016-04-06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1890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440A KR101890893B1 (ko) 2016-04-06 2016-04-06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440A KR101890893B1 (ko) 2016-04-06 2016-04-06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215A true KR20170115215A (ko) 2017-10-17
KR101890893B1 KR101890893B1 (ko) 2018-08-23

Family

ID=60297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440A KR101890893B1 (ko) 2016-04-06 2016-04-06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8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0950A (zh) * 2019-07-19 2019-10-18 上海小澜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内联网优化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KR20240005496A (ko) 2022-07-05 2024-01-12 주식회사 보아스에스이 엘리베이터 데이터 수집장치의 데이터 전송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0887A (ja) * 2004-03-29 2005-10-13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200402763Y1 (ko) * 2005-09-27 2005-12-05 (주)드림애드코리아 독립형 엘리베이터 광고 장치
JP2012214262A (ja) * 2011-03-31 2012-11-08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情報伝送システム
KR20130005579A (ko) 2011-07-06 2013-01-16 (주)엠파트너스 엘리베이터의 정보제공 및 표출장치
KR20160020919A (ko) * 2014-08-14 2016-02-24 윤일식 엘리베이터용 무선통신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0887A (ja) * 2004-03-29 2005-10-13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200402763Y1 (ko) * 2005-09-27 2005-12-05 (주)드림애드코리아 독립형 엘리베이터 광고 장치
JP2012214262A (ja) * 2011-03-31 2012-11-08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情報伝送システム
KR20130005579A (ko) 2011-07-06 2013-01-16 (주)엠파트너스 엘리베이터의 정보제공 및 표출장치
KR20160020919A (ko) * 2014-08-14 2016-02-24 윤일식 엘리베이터용 무선통신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0950A (zh) * 2019-07-19 2019-10-18 上海小澜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内联网优化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KR20240005496A (ko) 2022-07-05 2024-01-12 주식회사 보아스에스이 엘리베이터 데이터 수집장치의 데이터 전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893B1 (ko)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1548B2 (en) Sensor-based elevator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US20130048436A1 (en) Automated elevator car call prompting
WO2013033879A1 (en)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serving elevators in response to each prompted car call
JP6747626B1 (ja) エレベーターの自動呼び登録システム
JP7294988B2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制御システム
KR20160148478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35557B1 (ko) 엘리베이터 사물 인터넷 기반 부지중 자율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266775B1 (ko) 정보 표시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격 관리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JP6841379B2 (ja) エレベーターの自動呼び登録システム
US113191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elevators and other devices
CN103523620B (zh) 电梯用显示装置
US2022001732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elevators and other devices
WO2021177377A1 (ja) 設備サーバ、機器サーバ、通信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構造
US117807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elevators and other devices
CN105306560A (zh) 分布式终端实施动态管理平台
CN105227365A (zh) 基于安卓平台的物联网终端管控系统
EP2984529A1 (en) Building automation system control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control signalling
KR101890893B1 (ko)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42346A (ko) 조명 제어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 장치, 건물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2201381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elevators and other devices
JP7408850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20240158202A1 (en) Detecting a probe request i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elevator car
JP7408852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7362883B1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エレベー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110366B2 (ja) エレベータ監視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