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5195A - 천연칼슘 및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육제품. - Google Patents

천연칼슘 및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육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5195A
KR20170115195A KR1020160042011A KR20160042011A KR20170115195A KR 20170115195 A KR20170115195 A KR 20170115195A KR 1020160042011 A KR1020160042011 A KR 1020160042011A KR 20160042011 A KR20160042011 A KR 20160042011A KR 20170115195 A KR20170115195 A KR 20170115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calcium
calcium
egg
phosphat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호
Original Assignee
(주)티오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오에프 filed Critical (주)티오에프
Priority to KR1020160042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5195A/ko
Publication of KR20170115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1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2Additives other than enzymes or microorganisms in meat products or meat meals
    • A23L13/432Addition of inorganic compounds, e.g. minerals;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2Preserving by means of inorganic salts
    • A23B4/023Preserving by means of inorganic salts by kitchen salt or mixtures thereof with inorganic or organic compounds
    • A23B4/0235Preserving by means of inorganic salts by kitchen salt or mixtures thereof with inorganic or organic compounds with organic compounds or biochemical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2Preserving by means of inorganic salts
    • A23B4/027Preserving by means of inorganic salts by inorganic salts other than kitchen salt, or mixtures thereof with organic compounds, e.g. biochemical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2Additives other than enzymes or microorganisms in meat products or meat meals
    • A23L13/424Addition of non-meat animal protein material, e.g. blood, egg, dairy products, fish; Proteins from microorganisms, yeasts or fungi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2Replac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578Calci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42Animal Protein
    • A23V2250/5422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42Animal Protein
    • A23V2250/5424Dairy protein
    • A23V2250/54252Whey prote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42Animal Protein
    • A23V2250/5428Egg prote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48Vegetable protein
    • A23V2250/5488Soybean prote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천연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합성 인산염을 대체하는 동시에 육제품의 품질특성을 유지 된 육제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난각 및 패각의 유용한 성분인 칼슘, 칼륨 및 마그네슘을 포함함으로써, 천연 미네랄이 강화 된 육제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폐기처리 시 비용이 발생하며, 매립성토재로 활용되던 패각 및 계란을 이용한 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의 부산물로 발생하는 난각을 기능성 소재로써 활용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천연칼슘 및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육제품.{PHOSPHATE-SUBSTITUTE INCLUDING NATURAL CALCIUM AND NATURAL BINDING-AGENT, AND MEAT PRODUCTS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산염 대체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육제품에 관한 것이다.
결착제는 육제품이나 수산연제품의 결착성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식품첨가물이다. 결착제의 용도로 산성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피로인산칼륨 등의 합성인산염이 사용된다. 상기 합성인산염은 식육, 가금육, 해산물, 과일 및 야채 등을 포함한 제품에 있어서 중요한 기능성 식품 첨가제이다. 특히, 육제품 제조에서 인산염은 보수력 증대, 육색발현 촉진, 이상취의 발현억제, 조직감 향상, 유화안정성 부여 등 육제품 가공 및 최종제품의 품질에 많은 영향을 준다. 그러나 과도한 인산염의 섭취는 체내의 칼슘, 철, 마그네슘 균형에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 뼈와 관련된 질병 및 고인산혈증(Hyperphostemia)의 발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인산염을 대체하기 위한 대체제 개발이 필요하다.
천연칼슘은 패각칼슘(굴, 꼬막, 가리비, 조개, 전복, 재첩), 난각칼슘, 해조칼슘, 유청칼슘 등이 있으며, 이들은 인산염의 대체제 후보물질로서 주목받고 있다. 난각칼슘과 패각칼슘은 석회석과 같은 광물성 천연칼슘과는 달리 비광물성 천연칼슘에 해당된다.
난각칼슘은 계란을 이용한 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의 부산물로서 난각(계란껍질)을 가공하여 분말화한 것이다. 종래 난각칼슘은 가축의 사료첨가제, 칼슘 보충을 위한 식품첨가제 또는 농작물의 비료로 사용되었다. 상기 난각칼슘은 체내에서 뼈의 무게, 길이 성장 및 강도에 기여하며, 상기 난각칼슘의 칼슘보충제 또는 칼슘강화식품으로 개발가능성이 보고(한국영양학회지 36(7) 684-690, 2003)되었다.
패각칼슘은 굴, 가리비, 꼬막, 조개 등의 패각을 소성하여 분말화한 것이다. 패각은 분쇄하여 폐기하는데, 패각에 남아있는 육질의 부패로 환경오염 유발 및 패각의 폐기처리 비용의 문제가 있다. 종래 패각은 공유수면 매립 성토재로 재활용 되며, 칼슘 보충을 위한 목적으로 식품에 첨가 되었다. 최근 패각에 대한 연구에서, 패각의 주요성분은 탄산칼슘(CaCO3)이고, 이것을 열처리하면 산화칼슘(CaO)으로 전환되어 항 미생물 효과가 있다고 보고(한국수산과학회지 48(2) 168-177, 2015)되었다. 굴패각 분말을 첨가한 소시지가 인산염을 첨가한 소시지보다 가공특성을 향상시키며 실제 육가공제품에 인산염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한국축산식품학회지 31(3) 469-476, 2011)되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80158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02731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합성인산염을 대체함과 동시에 육제품의 품질특성의 유지 및 천연 미네랄이 강화 된 육제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천연 결착제는 대두단백, 분리대두단백, 카라기난, 곤약카라기난, 콜라겐파우더, 난백분말 또는 유청농축단백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산염 대체 조성물은 난각칼슘 6 내지 30 중량부, 패각칼슘 4 내지 30중량부 및 천연결착제 5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천연 결착제는 대두단백, 분리대두단백, 카라기난, 곤약카라기난, 콜라겐파우더, 난백분말 또는 유청농축단백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산염 대체 조성물은 육제품의 중량 대비 난각칼슘 0.06 내지 0.3중량%; 패각칼슘 0.04 내지 0.3중량%; 및 천연결착제 0.05 내지 0.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제조방법은 (1) 원료육을 분쇄하여 분쇄육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1)에서 제조한 분쇄육에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천연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혼합하여 혼합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2)의 천연 결착제는 대두단백, 분리대두단백, 카라기난, 곤약카라기난, 콜라겐파우더, 난백분말 또는 유청농축단백 중 하나 이상 선택 될 수 있다.
상기 단계(2)의 천연 결착제는 난백분말이며, 상기인산염 대체 조성물은 제조 된 육제품의 중량 대비 난각칼슘 0.06 내지 0.3중량%; 패각칼슘 0.04 내지 0.3중량%; 및 난백분말 0.25 내지 0.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2)의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은 제조 된 육제품의 중량 대비 0.15 내지 1.1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합성 인산염을 대체하는 동시에 육제품의 품질특성을 유지 된 육제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난각 및 패각의 유용한 성분인 칼슘, 칼륨 및 마그네슘을 포함함으로써, 천연 미네랄이 강화 된 육제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폐기처리 시 비용이 발생하며, 매립성토재로 활용되던 패각 및 계란을 이용한 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의 부산물로 발생하는 난각을 기능성 소재로써 활용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도 1 은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한 육제품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난각칼슘 및 패각칼슘은 석회석과 같은 광물성 천연칼슘과는 달리, 비광물성 천연칼슘에 해당한다. 상기 난각칼슘은 계란을 이용한 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의 부산물로서 계란껍질을 가공하여 분말화 한 것이다. 상기 패각칼슘은 굴, 가리비, 꼬막, 조개 등의 패각을 소성하여 분말화한 것이다.
상기 천연 결착제는 대두단백, 분리대두단백, 카라기난, 곤약카라기난, 콜라겐파우더, 난백분말 또는 유청농축단백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인산염 대체 조성물은 난각칼슘 6 내지 30 중량부, 패각칼슘 4 내지 30중량부 및 천연결착제 5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따르면,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육제품은 쇠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닭고기 등으로 만들어진 햄, 소시지, 살라미 소시지 등과 같은 축육제품 및 어묵 등과 같은 어육제품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축육 및 어육제품을 사용하여 제조한 식품 및 사료가 상기 의미에 포함 된다.
상기 천연 결착제는 대두단백, 분리대두단백, 카라기난, 곤약카라기난, 콜라겐파우더, 난백분말 또는 유청농축단백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산염 대체 조성물은 육제품의 중량 대비 난각칼슘 0.06 내지 0.3중량%; 패각칼슘 0.04 내지 0.3중량%; 및 천연결착제 0.05 내지 0.5중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형태에 따르면,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천연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제조방법을 하기 단계 (1) 내지 (2)를 포함한다. 상기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제조방법은 (1) 원료육을 분쇄하여 분쇄육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1)에서 제조한 분쇄육에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천연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혼합하여 혼합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1)의 분쇄육을 제조하는 단계에 있어서, 원료육 및 지방을 분쇄하여 준비할 수 있다. 상기 단계(1)에서 원료육을 분쇄하는 것은 단계(2)에서 원료육과 인산염 대체조성물 및 부재료를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부재료는 얼음, 설탕, 겨자가루, 후추, 소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2)의 혼합육을 제조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단계(1)에서 분쇄한 원료육 및 지방, 난각칼슘 및 패각칼슘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 부재료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혼합육 제조 시 지방을 혼합하는 것은 육제품의 열처리 시 열에 의한 수축을 억제하고, 보수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방은 육제품에 있어서 향, 맛, 조직, 식감, 다즙성, 색상, 지방산패에 기인한 저장성, 열 전도성과 같은 육제품 품질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지방은 돼지 등지방 또는 목지방이 육제품의 원료로서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돼지 등지방 또는 목지방은 다른 부위보다 융점이 높아 단단하다.
상기 단계(2)의 천연 결착제는 대두단백, 분리대두단백, 카라기난, 곤약카라기난, 콜라겐파우더, 난백분말 또는 유청농축단백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계(2)의 천연 결착제는 난백분말이며, 인산염 대체 조성물은 제조 된 육제품의 중량 대비 난각칼슘 0.06 내지 0.3중량%; 패각칼슘 0.04 내지 0.3중량%; 및 난백분말 0.25 내지 0.5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2)의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제조 된 육제품의 중량 대비 0.15 내지 1.1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다양한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제조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다양한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의 배합비는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상기 육제품의 제조과정은 도 1에 도시하였다.
돈육 후지 부위의 지방조직을 제거하여 원료육을 준비 하였으며, 지방은 돼지 등지방을 준비하였다(도1, S110).
돈육 후지부위 및 돼지 등지방을 각각 8mm plate가 장착된 분쇄기로 분쇄하였으며, 분쇄한 돈육 후지와 등지방은 3mm plate가 장착 된 분쇄기로 다시 분쇄하여 분쇄육을 제조하였다(도1, S120).
육제품 제조 시 일반적인 배합 순서에 따라, 상기 원료육에 소금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냉수를 투입하면서 기타 부재료; 표 1에 따른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다양한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첨가하여 분쇄 돈육 혼합물을 제조하였다(도1, S130).
상기 분쇄 돈육 혼합물은 충진기를 사용하여 conical centrifuge tube에 각각 충진 하였다(도1, S140).. 상기 충진 된 돈육 혼합물은 내부의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원심분리기에서 10분간 원심분리를 실시하였으며, 예열된 항온수조에 넣어 가열하였다(도1, S150).. 가열이 완료 된 육제품은 즉시 slurry ice 상에서 냉각시켰다(도1, S160).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다양한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조성물의 배합비
재 료
(육제품 대비 중량%)
대조구1 처리구
1-1
처리구
1-2
처리구
1-3
처리구
1-4
처리구
1-5
처리구
1-6
처리구
1-7
합성
인산염
0.3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0.2중량%
+
난백분말 0.2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0.2중량%
+
유청농축단백 0.2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0.2중량%
+
농축대두단백 0.2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0.2중량%
+
분리대두단백 0.2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0.2중량%
+
카라기난 0.2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0.2중량%
+
곤약카라기난 0.2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0.2중량%
+
콜라겐파우더 0.25중량%
복합인산염 0.30 - - - - - - -
패각칼슘 - 0.20 0.20 0.20 0.20 0.20 0.20 0.20
난각칼슘 - 0.30 0.30 0.30 0.30 0.30 0.30 0.30
난백분말 - 0.25 - - - - - -
유청농축단백 - - 0.25 - - - - -
농축대두단백 - - - 0.25 - - - -
분리대두단백 - - - - 0.25 - - -
가라기난 - - - - - 0.25 - -
곤약카라기난 - - - - - - 0.25 -
콜라겐파우더 - - - - - - - 0.25
실시예 2.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난백분말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제조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난백분말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배합비는 표 2에 나타내었으며, 상기 육제품의 제조과정은 도 1에 도시하였다.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난백분말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은 상기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표 2의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난백분말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조성물의 배합비에 따라,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첨가하였다.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난백분말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의 배합비
재 료 대조구2 처리구
2-1
처리구
2-2
처리구
2-3
처리구
2-4
처리구
2-5
합성인산염
0.3중량%
난각칼슘 0.2중량%+
패각칼슘 0.3중량%
난각칼슘 0.2중량%
+
패각칼슘 0.3중량%
+ 난백분말 0.25중량%
난각칼슘 0.2중량%+
패각칼슘 0.3중량%
+
난백분말 0.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 0.2중량%
+
난백분말 0.2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 0.2중량%
+
난백분말 0.5중량%
복합인산염 0.30 - - - - -
패각칼슘 - 0.30 0.30 0.30 0.20 0.20
난각칼슘 - 0.20 0.20 0.20 0.30 0.30
난백분말 - - 0.25 0.50 0.25 0.50
실시예 3.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유청농축단백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제조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유청농축단백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배합비는 표 3에 나타내었으며, 상기 육제품의 제조과정은 도 1에 도시하였다.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유청농축단백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은 상기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표 3의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유청농축단백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조성물의 배합비에 따라,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첨가하였다.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유청농축단백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 제조 배합비
재 료 대조구
3-1
대조구
3-2
처리구
3-1
처리구
3-2
처리구
3-3
처리구
3-4
처리구
3-5
합성
인산염
0.3중량%
무첨가구 난각칼슘0.06중량%
+
패각칼슘0.04중량%
+
유청농축단백0.05중량%
난각칼슘0.12중량%
+
패각칼슘0.08중량%
+
유청농축단백0.10중량%
난각칼슘0.18중량%
+
패각칼슘0.12중량%
+
유청농축단백0.15중량%
난각칼슘0.24중량%
+
패각칼슘0.16중량%
+
유청농축단백0.20중량%
난각칼슘0.30중량%
+
패각칼슘0.20중량%
+
유청농축단백0.25중량%
복합인산염 0.30 - - - - - -
패각칼슘 -   0.04 0.08 0.12 0.16 0.20
난각칼슘 -   0.06 0.12 0.18 0.24 0.30
유청농축단백 -   0.05 0.10 0.15 0.20 0.25
실시예4.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다양한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품질특성 조사
4-1 pH측정
상기 실시예1에서 제조한 육제품과 증류수 20ml을 혼합하고 균질기를 사용하여 8,000rpm에서 1분간 균질한 후 유리전극 pH meter를 사용 하여 pH를 측정하였다.
4-2 일반성분 분석 (Proximal analysis)
상기 실시예1에서 제조한 육제품의 일반성분은 AOAC(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법(1995)에 따라, 105℃ 상압건조법으로 수분함량을 분석하였다.
4-3 가열감량 측정 (Cooking loss determination)
상기 실시예1에서 제조한 육제품을 conical centrifuge tube에 충진 한 후 90℃ water bath에서 최종내부온도가 75℃가 되도록 가열하였다. 상기 가열 된 tube를 ice water에서 20분 및 2~3℃의 냉장실에서 overnight하여 냉각한 후 무게를 측정하여 가열전 중량과 가열 후 중량의 비율로서 다음과 같이 산출하였다.
Figure pat00001
4-4 색도 측정 (CIE color measurement)
상기 실시예1에서 제조한 육제품의 표면을 색차계(Chroma meter)를 사용하여 명도(lightness)를 나타내는 L*-값, 적색도(redness)를 나타내는 a*-값 및 황색도(yellowness)를 나탄는 b*-값을 측정하였다. 이때의 표준색은 L*-값이 +94.90, a*-값이 0.39, b*-값이 +3.88인 calibration plate를 사용하였다.
4-5 조직감 측정 (Texture profile analysis)
상기 실시예1에서 제조한 육제품을 각각 2.5cm 폭으로 잘라 준비한다. 50mm diameter cylinder aluminium이 장착 된 Texture analyser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1에서 제조한 육제품의 경도(hardness), 탄력성(springiness), 응집성(cohesiveness), 검성(gumminess), 씹음성(Chewiness)을 측정하였다. 이때의 cross head speed는 5mm/sec이었다.
4-6 통계처리 (Statistical analysis)
상기 결과는 SAS(Statistics Analytical System) package program의 GLM(Generalized Linear Model)과정으로 통계처리를 실시하였으며,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처리구간의 유의성(p<0.05)을 검정하였다.
4-7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다양한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품질특성 조사 결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다양한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pH, 수분 함량 및 가열감량은 표 4에 도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다양한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가열 전 pH는 천연 칼슘염(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 0.2중량%)에 첨가물들을 혼합한 처리구들이 합성 인산염 처리구인 대조구1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며(p<0.05), 가열 후에도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처리구 1-1 내지 1-7은 콜라겐파우더>곤약카라기난>카라기난>난백분말=분리대두단백>유청농축단백=농축대두단백의 순으로 pH가 높게 유지되었다(p<0.05).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다양한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수분함량은 대조구1과 처리구들 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가열감량은 처리구 1-1 내지 1-7이 1.15~2.21% 수준으로 대조구1(2.79%)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나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다양한 천연 결착제의 혼합사용이 보수력의 상승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다양한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가열 감량은 처리구1-4가 가장 높은 가열 감량을 보였고(p<0.05), 처리구1-2 및 처리구1-7이 다른 처리구들보다 낮은 가열감량을 나타내었다.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다양한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pH, 수분함량, 가열감량
항 목 대조구1 처리구
1-1
처리구
1-2
처리구
1-3
처리구
1-4
처리구
1-5
처리구
1-6
처리구
1-7
합성
인산염
0.3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0.2중량%
+
난백분말 0.2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0.2중량%
+
유청농축단백 0.2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0.2중량%
+
농축대두단백 0.2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0.2중량%
+
분리대두단백 0.2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0.2중량%
+
카라기난 0.2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0.2중량%
+
곤약카라기난 0.2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0.2중량%
+
콜라겐파우더 0.25중량%
pH
(가열 전)
6.37±0.02B 7.47±0.05A 7.53±0.04A 7.56±0.05A 7.80±0.24A 7.68±0.00A 7.64±0.02A 7.82±0.34A
pH
(가열 후)
6.65±0.01F 7.63±0.01D 7.56±0.01E 7.57±0.01E 7.63±0.01D 7.69±0.01C 7.75±0.01B 7.83±0.02A
수분함량
(%)
68.87±0.09A 69.05±0.19A 69.23±0.24A 68.91±0.04A 69.00±0.13A 69.41±0.07A 68.98±0.49A 69.06±0.10A
가열감량
(%)
2.79±0.11A 1.66±0.07CD 1.41±0.11DE 1.36±0.10E 2.21±0.10B 1.80±0.12C 1.72±0.08C 1.15±0.09E
**모든수치는 평균±표준오차
**A-F : 같은 행에서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성이 있음 (p<0.05)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다양한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색도는 표 5에 도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다양한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명도(lightness)를 나타내는 L*-값은 대조구1과 처리구들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적색도(redness)를 나타내는 a*-값은 대조구1과 처리구 1-1, 1-2, 1-5, 1-6 및 1-7간에 차이가 없었으나(p>0.05), 처리구1-3와 처리구1-4가 대조구1보다 낮은 a*-값을 보였다(p<0.05). 황색도(yellowness)를 나타내는 b*-값은 대조구1과와 모든 처리구들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다양한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색도 비교
항 목 대조구1 처리구
1-1
처리구
1-2
처리구
1-3
처리구
1-4
처리구
1-5
처리구
1-6
처리구
1-7
합성
인산염
0.3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0.2중량%
+
난백분말 0.2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0.2중량%
+
유청농축단백 0.2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0.2중량%
+
농축대두단백 0.2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0.2중량%
+
분리대두단백 0.2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0.2중량%
+
카라기난 0.2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0.2중량%
+
곤약카라기난 0.2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0.2중량%
+
콜라겐파우더 0.25중량%
색도
CIE-L*
69.02±0.22A 69.69±0.29A 69.44±0.18A 69.14±0.29A 69.48±0.28A 69.46±0.12A 69.38±0.26A 69.18±0.06A
색도
CIE-a*
5.95±0.11A 5.54±0.14AB 5.55±0.12AB 5.21±0.19B 5.21±0.16B 5.39±0.40AB 5.90±0.34AB 5.44±0.07AB
색도
CIE-b*
8.18±0.09A 8.21±0.11A 7.98±0.24A 8.31±0.24A 8.29±0.10A 8.25±0.35A 8.20±0.31A 8.49±0.09A
**모든수치는 평균±표준오차
**A-B : 같은 행에서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성이 있음 (p<0.05)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다양한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조직감 측정 결과는 표 6에 도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다양한 천연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경도(hardness)는 대조구1과 처리구 1-2, 1-6 및 1-7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다양한 천연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탄력성(springiness)과 점탄성(cohesiveness)은 대조구1과 처리구 1-1 내지 1-7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고,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다양한 천연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검성(gumminess)과 씹음성(chewiness)은 처리구 1-1, 1-3 및 1-5이 대조구1보다 낮게 나타난 반면, 처리구1-2, 1-6 및 1-7은 대조구1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다양한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조직감
항 목 대조구1 처리구
1-1
처리구
1-2
처리구
1-3
처리구
1-4
처리구
1-5
처리구
1-6
처리구
1-7
합성
인산염
0.3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0.2중량%
+
난백분말 0.2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0.2중량%
+
유청농축단백 0.2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0.2중량%
+
농축대두단백 0.2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0.2중량%
+
분리대두단백 0.2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0.2중량%
+
카라기난 0.2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0.2중량%
+
곤약카라기난 0.2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0.2중량%
+
콜라겐파우더 0.25중량%
Hardness (g) 5739.67±172.88A 4815.59±150.21C 5328.75±164.02ABC 4888.53±227.31C 4995.87±217.91C 5041.94±221.56BC 5338.67±110.05ABC 5595.22±165.42AB
Springiness 0.93±0.00A 0.93±0.00A 0.93±0.00A 0.94±0.00A 0.93±0.00A 0.93±0.00A 0.93±0.01A 0.93±0.00A
Cohesiveness 0.73±0.00A 0.74±0.00A 0.73±0.00A 0.73±0.00A 0.74±0.00A 0.74±0.00A 0.74±0.00A 0.74±0.00A
Gumminess (g) 4180.58±125.88A 3545.68±115.22C 3868.84±113.53ABC 3588.90±155.82BC 3693.38±152.64BC 3746.59±151.35BC 3970.45±87.60AB 4162.79±119.15A
Chewiness (g) 3906.53±119.88A 3297.93±100.33D 3599.77±111.01ABCD 3363.52±150.57CD 3436.43±140.20CD 3481.35±136.72BCD 3695.23±81.12ABC 3858.72±113.42AB
**모든수치는 평균±표준오차
**A-D : 같은 행에서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성이 있음 (p<0.05)
실시예5.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난백분말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품질특성 조사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난백분말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품질특성 조사는 상기 실시예4의 4-1 내지 4-6에 기재 된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난백분말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pH, 수분 함량 및 가열감량은 표 7에 도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난백분말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가열 전 pH는 합성 인산염을 첨가한 대조구2보다 처리구 2-1 내지 2-5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p<0.05). 상기 처리구 2-1 내지 2-5 중에서 처리구 2-2 및 2-3이 서로 유사한 pH를 나타내었고, 처리구 2-4 및 2-5의 pH가 유의적으로 상승하였다(p<0.05).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난백분말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가열 후 pH도 가열 전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난백분말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pH, 수분함량, 가열감량
항 목 대조구2 처리구
2-1
처리구
2-2
처리구
2-3
처리구
2-4
처리구
2-5
합성인산염
0.3중량%
난각칼슘 0.2중량%+
패각칼슘 0.3중량%
난각칼슘 0.2중량%
+
패각칼슘 0.3중량%
+ 난백분말 0.25중량%
난각칼슘 0.2중량%+
패각칼슘 0.3중량%
+
난백분말 0.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 0.2중량%
+
난백분말 0.2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 0.2중량%
+
난백분말 0.5중량%
pH - 가열 전 6.46±0.02D 7.12±0.02C 7.05±0.01C 7.10±0.03C 7.70±0.03A 7.60±0.02B
pH - 가열 후 6.62±0.02C 7.26±0.04B 7.24±0.03B 7.23±0.03B 7.63±0.02A 7.68±0.02A
수분함량(%) 69.11±0.22A 68.41±0.21A 67.43±0.19A 68.07±0.11A 68.22±0.05A 68.16±0.16A
가열감량(%) 1.82±0.12A 1.59±0.06A 1.11±0.07B 1.32±0.05B 1.73±0.14A 1.72±0.11A
**모든 수치는 평균±표준오차.
**A-D 같은 행에서 서로 다른 머리글자는 유의성이 있음(p<0.05).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난백분말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색도는 표 8에 도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난백분말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명도(lightness)를 나타내는 L*-값은 처리구2-2 및 2-3은 대조구2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그러나, 처리구 2-4 및 2-5는 L*-값이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p<0.05), 21일 동안 저장기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적색도(redness)를 나타내는 a*-값은 제조당일 합성 인산염을 첨가한 대조구2와 비교할 때, 모든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난백분말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 처리구의 적색도는 높게 나타났으며(p<0.05), 저장기간에 따라서도 이러한 경향은 유지되었다.
황색도(yellowness)를 나타내는 b*-값은 처리구2-4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들이 대조구2보다 낮게 나타났으나(p<0.05), 상기 처리구2-4는 대조구2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난백분말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색도 비교
항 목 대조구2 처리구
2-1
처리구
2-2
처리구
2-3
처리구
2-4
처리구
2-5
합성인산염
0.3중량%
난각칼슘 0.2중량%+
패각칼슘 0.3중량%
난각칼슘 0.2중량%
+
패각칼슘 0.3중량%
+ 난백분말 0.25중량%
난각칼슘 0.2중량%+
패각칼슘 0.3중량%
+
난백분말 0.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 0.2중량%
+
난백분말 0.2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 0.2중량%
+
난백분말 0.5중량%
색도 CIE-L* 당일 69.39±0.25Ax 68.73±0.22ABx 69.22±0.21Ax 68.73±0.18ABx 68.26±0.19Bx 68.49±0.25Bx
색도 CIE-L* 7일 69.41±0.17Ax 68.40±0.23BCx 68.64±0.32Bx 68.66±0.22Bx 67.83±0.27Cx 68.18±0.27BCx
색도 CIE-L* 14일 69.22±0.20Ax 68.49±0.21BCx 68.89±0.21ABx 68.77±0.29ABx 67.98±0.18Cx 68.28±0.27BCx
색도 CIE-L* 21일 69.11±0.21Ax 68.60±0.23ABCx 68.80±0.25ABx 68.64±0.28ABCx 67.88±0.19Cx 68.31±0.33BCx
색도 CIE-a* 당일 4.60±0.22Bx 6.14±0.11Ax 6.09±0.16Axy 6.30±0.09Ax 5.89±0.18Ax 6.05±0.09Ax
색도 CIE-a* 7일 4.10±0.21Bx 5.99±0.27Ax 5.56±0.29Ay 5.80±0.27Axy 5.51±0.30Ax 5.42±0.26Ax
색도 CIE-a* 14일 4.11±0.18C,x 6.44±0.17Ax 6.34±0.14Ax 5.42±0.29By 5.56±0.27Bx 5.36±0.28Bx
색도 CIE-a* 21일 4.23±0.19Bx 6.13±0.17Ax 6.28±0.16Ax 6.00±0.28Axy 5.73±0.27Ax 5.58±0.30Ax
색도 CIE-b* 당일 9.27±0.09Ay 8.95±0.11By 8.77±0.08By 8.68±0.09Bz 8.98±0.18ABx 8.78±0.08By
색도 CIE-b* 7일 9.79±0.09Ax 9.06±0.13By 9.36±0.20ABx 9.16±0.13By 9.35±0.23ABx 9.24±0.15Bx
색도 CIE-b* 14일 9.63±0.11Ax 9.06±0.12By 9.10±0.11Bxy 9.70±0.18Ax 9.31±0.18ABx 9.48±0.15ABx
색도 CIE-b* 21일 9.78±0.10Ax 9.43±0.07ABx 9.10±0.07Bxy 9.28±0.16By 9.18±0.26Bx 9.21±0.12Bx
**모든 수치는 평균±표준오차.
**A-C 같은 행에서 서로 다른 머리글자는 유의성이 있음(p<0.05).
**x-z 같은 열에서 서로 다른 머리글자는 유의성이 있음(p<0.05).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난백분말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조직감 측정 결과는 표 9에 도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난백분말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경도(hardness)는 처리구2-1 내지 2-5 모두 대조구2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상기 인산염 대체조성물 처리구 중에서 난각칼슘의 비율이 높았던 처리구2-4 및 2-5가 가장 낮은 경도를 보였다(p<0.05).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난백분말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탄력성(springiness)은 0.92~0.94 수준으로 대조구2와 처리구 2-1 내지 2-5 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난백분말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점탄성(cohesiveness)은 처리구 2-1과 처리구 2-2가 대조구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난백분말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조직감
항 목 대조구2 처리구
2-1
처리구
2-2
처리구
2-3
처리구
2-4
처리구
2-5
합성인산염
0.3중량%
난각칼슘 0.2중량%+
패각칼슘 0.3중량%
난각칼슘 0.2중량%
+
패각칼슘 0.3중량%
+ 난백분말 0.25중량%
난각칼슘 0.2중량%+
패각칼슘 0.3중량%
+
난백분말 0.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 0.2중량%
+
난백분말 0.25중량%
난각칼슘 0.3중량%
+
패각칼슘 0.2중량%
+
난백분말 0.5중량%
Hardness (g) 6313.27±205.13A 5388.18±112.61B 5398.97±97.95B 5408.34±122.31B 4763.92±110.42C 4902.34±121.22C
Springiness 0.94±0.01A 0.93±0.01A 0.93±0.01A 0.92±0.01A 0.93±0.01A 0.93±0.01A
Cohesiveness 0.76±0.01A 0.72±0.01B 0.72±0.01B 0.73±0.01AB 0.73±0.01AB 0.74±0.01AB
Gumminess (g) 4777.77±155.00A 3878.16±80.67B 3941.68±73.03B 3905.10±81.45B 3485.37±74.71C 3618.45±75.69BC
Chewiness (g) 4485.45±148.49A 3619.55±77.50B 3686.02±75.50B 3581.88±73.92BC 3226.77±74.63C 3354.25±66.90C
**모든 수치는 평균±표준오차.
**A-C 같은 행에서 서로 다른 머리글자는 유의성이 있음(p<0.05).
실시예6.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유청농축단백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품질특성 조사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유청농축단백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품질특성 조사는 상기 실시예4의 4-1 내지 4-6에 기재 된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유청농축단백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pH, 수분 함량 및 가열감량은 표 10에 도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유청농축단백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가열 전·후 pH는 가열전·후 pH는 대조구 3-2를 제외한 처리구 3-2 내지 3-5 모두 대조구 3-1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이러한 결과는 난각칼슘과 패각칼슘의 pH가 높았기 때문으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유청농축단백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제의 첨가비율이 높아질수록 pH가 증가하였다(p<0.05).
수분함량은 대조구들 및 처리구들 간에 차이가 없었다(p>0.05). 가열감량은 대조구 3-2가 7.03%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p<0.05), 처리구 3-2 내지 3-5는 대조구 3-1보다 낮은 가열감량을 보였다. 또한 처리구 3-3 내지 3-5 간에는 가열감량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유청농축단백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pH, 수분함량, 가열감량
항 목 대조구
3-1
대조구
3-2
처리구
3-1
처리구
3-2
처리구
3-3
처리구
3-4
처리구
3-5
합성
인산염
0.3중량%
무첨가구 난각칼슘0.06중량%
+
패각칼슘0.04중량%
+
유청농축단백0.05중량%
난각칼슘0.12중량%
+
패각칼슘0.08중량%
+
유청농축단백0.10중량%
난각칼슘0.18중량%
+
패각칼슘0.12중량%
+
유청농축단백0.15중량%
난각칼슘0.24중량%
+
패각칼슘0.16중량%
+
유청농축단백0.20중량%
난각칼슘0.30중량%
+
패각칼슘0.20중량%
+
유청농축단백0.25중량%
pH - 가열 전 6.42±0.01F 6.23±0.02G 6.51±0.00E 6.73±0.01D 6.95±0.01C 7.16±0.03B 7.43±0.02A
pH - 가열 후 6.69±0.01E 6.60±0.02F 6.57±0.02F 6.80±0.02D 6.96±0.02C 7.19±0.03B 7.53±0.02A
수분함량(%) 69.70±0.12A 68.25±0.03A 68.19±0.04A 67.93±0.10A 68.81±0.12A 68.52±0.04A 67.64±0.07A
가열감량(%) 2.24±0.28C 7.03±0.15A 3.29±0.09B 1.91±0.11C 1.43±0.10D 1.36±0.14D 1.15±0.08D
**모든 수치는 평균±표준오차.
**A-G 같은 행에서 서로 다른 머리글자는 유의성이 있음(p<0.05).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유청농축단백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색도는 표 11에 도시하였다.
명도(lightness)를 나타내는 L*-값은 대조구3-1과 처리구 3-1 내지 3-5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적색도(redness)를 나타내는 a*-값도 5.17~5.84 수준으로 대조구3-1과 처리구 3-1 내지 3-5이 유사하게 나타났다(p>0.05). 황색도(yellowness)를 나타내는 b*-값은 처리구들 간에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대조구 3-1과 비교할 때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처리구 3-1 내지 3-5에 있어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유청농축단백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의 첨가 비율이 상승함에 따라 황색도(yellowness)가 감소하였다(p<0.05).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유청농축단백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색도 비교
항 목 대조구
3-1
대조구
3-2
처리구
3-1
처리구
3-2
처리구
3-3
처리구
3-4
처리구
3-5
합성
인산염
0.3중량%
무첨가구 난각칼슘0.06중량%
+
패각칼슘0.04중량%
+
유청농축단백0.05중량%
난각칼슘0.12중량%
+
패각칼슘0.08중량%
+
유청농축단백0.10중량%
난각칼슘0.18중량%
+
패각칼슘0.12중량%
+
유청농축단백0.15중량%
난각칼슘0.24중량%
+
패각칼슘0.16중량%
+
유청농축단백0.20중량%
난각칼슘0.30중량%
+
패각칼슘0.20중량%
+
유청농축단백0.25중량%
색도 CIE-L* 71.17±0.05A 71.97±0.81A 71.77±0.39A 70.46±0.14A 70.10±0.27A 70.86±0.53A 71.15±0.27A
색도 CIE-a* 5.29±0.01A 5.23±0.32A 5.32±0.07A 5.17±0.07A 5.33±0.16A 5.84±0.15A 5.30±0.28A
색도 CIE-b* 8.95±0.06AB 9.22±0.18A 9.32±0.20A 8.66±0.06AB 7.85±0.15B 8.07±0.16B 8.96±0.24AB
**모든 수치는 평균±표준오차.
**A,B 같은 행에서 서로 다른 머리글자는 유의성이 있음(p<0.05).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유청농축단백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조직감 측정결과는 표 12에 도시하였다.
경도(hardness)는 대조구 3-1에 비해 처리구 3-2 내지 3-5가 대부분 낮게 나타났으나, 처리구3-5는 대조구3-1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탄력성(springiness)과 점탄성(cohesiveness)에 있어서, 처리구 3-1 내지 3-5는 대조구 3-1과 유사한 수치를 나타내었다(p>0.05). 검성(gumminess)과 씹음성(chewiness)은 대조구3-1에 비해 처리구3-1 내지 3-5들이 낮은 값을 보였는데, 이것은 대조구 3-1의 높은 경도에 의한 영향일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처리구 3-1 내지 3-5에 있어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유청농축단백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의 첨가된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검성과 씹음성이 상승하여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유청농축단백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조직감
항 목 대조구
3-1
대조구
3-2
처리구
3-1
처리구
3-2
처리구
3-3
처리구
3-4
처리구
3-5
합성
인산염
0.3중량%
무첨가구 난각칼슘0.06중량%
+
패각칼슘0.04중량%
+
유청농축단백0.05중량%
난각칼슘0.12중량%
+
패각칼슘0.08중량%
+
유청농축단백0.10중량%
난각칼슘0.18중량%
+
패각칼슘0.12중량%
+
유청농축단백0.15중량%
난각칼슘0.24중량%
+
패각칼슘0.16중량%
+
유청농축단백0.20중량%
난각칼슘0.30중량%
+
패각칼슘0.20중량%
+
유청농축단백0.25중량%
Hardness (g) 6407.20±129.61A 5658.26±66.46BC 5416.15±103.36C 5724.90±140.27BC 6011.63±85.07BC 6037.82±108.29B 6332.33±55.36A
Springiness 0.93±0.00A 0.88±0.04B 0.92±0.01A 0.92±0.01A 0.91±0.01A 0.92±0.01A 0.91±0.01A
Cohesiveness 0.74±0.00A 0.58±0.01B 0.70±0.03A 0.72±0.03A 0.71±0.02A 0.72±0.02A 0.72±0.03A
Gumminess (g) 4754.50±87.79A 3301.20±99.43E 3903.40±68.64D 4116.26±91.35CD 4284.25±54.87BC 4334.06±75.11BC 4450.01±58.77B
Chewiness (g) 4432.85±85.38A 2918.63±92.31E 3553.75±62.11D 3788.47±80.75C 3919.12±52.94BC 3968.32±84.55BC 4080.02±66.39B
**모든 수치는 평균±표준오차.
**A-E 같은 행에서 서로 다른 머리글자는 유의성이 있음(p<0.05).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결착제는 대두단백, 분리대두단백, 카라기난, 곤약카라기난, 콜라겐파우더, 난백분말 또는 유청농축단백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염 대체 조성물은 난각칼슘 6 내지 30 중량부, 패각칼슘 4 내지 30중량부 및 천연결착제 5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
  4.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결착제는 대두단백, 분리대두단백, 카라기난, 곤약카라기난, 콜라겐파우더, 난백분말 또는 유청농축단백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염 대체 조성물은 육제품의 중량 대비 난각칼슘 0.06 내지 0.3중량%; 패각칼슘 0.04 내지 0.3중량%; 및 천연결착제 0.05 내지 0.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
  7. (1) 원료육을 분쇄하여 분쇄육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1)에서 제조한 분쇄육에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천연결착제를 혼합하여 혼합육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육제품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2)의 천연 결착제는 대두단백, 분리대두단백, 카라기난, 곤약카라기난, 콜라겐파우더, 난백분말 또는 유청농축단백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2)의 천연 결착제는 난백분말이며, 인산염 대체 조성물은 제조 된 육제품의 중량 대비 난각칼슘 0.06 내지 0.3중량%; 패각칼슘 0.04 내지 0.3중량%; 및 난백분말 0.25 내지 0.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제조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2)의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제조 된 육제품의 중량 대비 0.15 내지 1.1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육제품의 제조방법.
KR1020160042011A 2016-04-06 2016-04-06 천연칼슘 및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육제품. KR20170115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011A KR20170115195A (ko) 2016-04-06 2016-04-06 천연칼슘 및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육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011A KR20170115195A (ko) 2016-04-06 2016-04-06 천연칼슘 및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육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195A true KR20170115195A (ko) 2017-10-17

Family

ID=6029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011A KR20170115195A (ko) 2016-04-06 2016-04-06 천연칼슘 및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육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51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19904A1 (en) Meat emulsion products, methods of making such products, and pet foods containing such products
JP2017508447A (ja) 小麦グルテンを含まない肉製ペットフード製品
BRPI1015346B1 (pt) análogos de peixe em lascas e seu método de produção
EP3187054A1 (en) Pet food
JP6871172B2 (ja) 複合肉製品を含むウェットタイプのペットフード製品
Sałek et al. The effects on the quality of poultry meat of supplementing feed with zinc-methionine complex
Hafeez et al. Effect of milling method, thermal treatment, and particle size of feed on exterior and interior egg quality in laying hens
JP6280562B2 (ja) 食品組成物の調製方法
WO2011113984A1 (es) Procedimiento de obtención de productos cárnicos saludables con algas
AU2019229838B2 (en) Meat analogs comprising thin flakes for food compositions
KR20170115194A (ko) 천연칼슘을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육제품.
KR20170115195A (ko) 천연칼슘 및 천연 결착제를 포함하는 인산염 대체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육제품.
Tabak et al. Evaluation of phosphate replacement with natural alternatives in chicken patties as a novel approach
US20220110341A1 (en) A petfood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JPWO2018092685A1 (ja) 畜肉様食感を有するタンパク質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EP2556754A1 (en) Use of skin connective tissue material for the preparation of oil-containing food products
KR20070112907A (ko) 생선 뼈를 함유하는 생선패티 및 그 가공방법
RU2560068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уриного фарша с добавками
RU2781997C2 (ru) Аналоги мяса для композиций корма, содержащие тонкие пластинки
Kurćubić et al. The effect of sodium reduction on the physico-chemical quality and safety of hot dogs.
RU2663608C1 (ru) Полуфабрикат куриный обогащенный для питания беременных женщин
WO2024003643A1 (en) Methods of enhancing palatability and/or reducing sugar in wet pet foods
WO2024003645A1 (en) Wet pet foods having at least one of enhanced palatability or reduced sugar provided by at least one of spinach or tomato
KR20220110101A (ko) 사골곰탕을 이용한 소시지 제조방법
Zamuz et al.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Fresh Sausage Enriched with Different Prote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