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5001A - 목받침대 - Google Patents

목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5001A
KR20170115001A KR1020170069748A KR20170069748A KR20170115001A KR 20170115001 A KR20170115001 A KR 20170115001A KR 1020170069748 A KR1020170069748 A KR 1020170069748A KR 20170069748 A KR20170069748 A KR 20170069748A KR 20170115001 A KR20170115001 A KR 20170115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dy member
longitudinal direction
neck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쉬즈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쉬즈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쉬즈원
Priority to KR1020170069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5001A/ko
Publication of KR20170115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r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한 판상의 본체부재(110)와, 상기 본체부재(110)를 감싸며 본체부재(110)에 박음질되어 결합되는 플렉시블한 시트상의 커버부(131)로 이루어진 커버부재(130)와, 길이 방향 양측에 이격되어 커버부재(130)에 구비되며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150)로 이루어져; 목둘레에 감고 길이 방향 양측에 구비된 연결부재(150)를 결합시켜 폐회로를 형성하여 착용하는 목받침대(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목받침대{The neck prop}
본 발명은 목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부피가 작아 보관과 휴대가 용이하면서도 착용성이 우수한 목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받침용 쿠션은 가정, 직장 또는 자동차 운전 시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여 목의 좌, 우측부분과 뒷부분을 안정적으로 받쳐주어 피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목받침용 쿠션(1)은 대략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커버 내측에 솜이나 스폰지 등의 쿠션재료가 내장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목받침용 쿠션(1)에는 커버 내측에 부피가 큰 솜이나 스폰지 등의 쿠션재료가 내장되어 이동시 부피가 커 휴대가 불편하며 보관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478499호 등록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슬릿이 형성된 판상의 플렉시블한 본체부재와 플렉시블한 시트상의 신축성 소재인 커버부재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부피가 작아 보관과 휴대가 용이하면서도 착용성이 우수한 목받침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플렉시블한 판상의 본체부재와, 상기 본체부재를 감싸며 본체부재에 박음질되어 결합되는 플렉시블한 시트상의 커버부로 이루어진 커버부재와, 길이 방향 양측에 이격되어 커버부재에 구비되며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져; 목둘레에 감고 길이 방향 양측에 구비된 연결부재를 결합시켜 폐회로를 형성하여 착용하는 목받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렉시블한 판상의 본체부재와, 상기 본체부재를 감싸며 본체부재에 박음질되어 결합되는 플렉시블한 시트상의 커버부로 이루어진 커버부재와, 양측이 커버부재와 결합되어 커버부재와 함께 폐회로를 형성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져 연결부재를 신장시켜 머리를 삽입하여 목에 착용하는 목받침대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본체부재에는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슬릿이 이격 형성되어 복수의 상부 돌기가 구비되고, 하부에도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슬릿이 이격 형성되어 복수의 하부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는 스판소재로 이루어지며 본체부재보다 더 플렉시블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본체부재의 하부의 길이 방향 양측에는 하향 돌출된 하부 돌출부가 구비되어; 중심부보다 하부 돌출부가 형성된 부분에서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커버부의 외향하는 외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플렉시블한 밴드부재가 박음질되어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밴드부재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연결부재 사이에서 본체부재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는 각 본체부재를 감싸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이웃하는 커버부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진 중간부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는 부피가 작고 접을 수 있으므로 보관과 휴대가 용이하면서도, 플렉시블한 판상인 본체부재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와 하부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변형이 용이하며 본체부재보다 더 플렉시블 하며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진 커버부재가 돌기를 감싸므로 신축성에 의해 본체부재의 변형이 탄성 지지되어 착용시 착용성이 우수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착용시 상하방향으로 목을 당겨주는 리프팅 효과가 있다.
착용시 본체부재에 의하여 커버부재의 윗부분이 흘러내리지 않고 아랫 부분도 올라가지 않게 되며 커버부재에 의하여 목부분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구조이므로 본체부재를 판상으로 하면서도 착용감이 우수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목받침용 쿠션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를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의 본체부재의 변형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의 변형 예를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 목받침대를 접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를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의 본체부재의 변형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의 변형 예를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 목받침대를 접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착용시 목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방향인 도 2의 가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도 2의 세로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100) 착용시 피부를 향하는 쪽을 "내측" 또는 "내향"이라 하고, 그 반대쪽을 "외측" 또는 "외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착용시 머리를 향하는 쪽을 "상부"로 하고 반대쪽을 하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100)는 본체부재(110)와, 본체부재(110)를 감싸는 커버부재(130)와, 연결부재(150)로 이루어진다.
본체부재(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체부재(110)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재(110)는 길이 방향 길이가 폭보다 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재(110)의 모서리는 라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재(110)는 플렉시블(flexible) 한 천연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재(110)는 연질 PVC나 EVA 레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들어, 100중량의 염화비닐 수지(Polyvinyl Chloride)에 수십 중량의, 예를 들면 40∼80중량, 가소제가 혼합된 연질 PVC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재(110)의 두께는 1∼3㎜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재(110)의 상부에는 상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슬릿(111a)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111a)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슬릿(111a)에 의하여 상단은 절개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슬릿(111a)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부재(110)의 상부에는 복수의 상부 돌기가 형성된다. 슬릿(111a)은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길이 방향 중심부로 갈수록 깊이가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111a)에 의해 분리되는 부분은 서로 접할수도 있고 이격될 수도 있다.
본체부재(100)의 상단이 복수의 슬릿(111a)에 의하여 절개된 구조가 됨으로써 착용시 외력이 작용할 때 변형이 용이하게 된다. 착용감이 향상된다.
상기 본체부재(110)의 하부에도 하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된 슬릿(111b)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111b)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슬릿(111b)에 의하여 하단은 절개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슬릿(111b)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부재(110)의 하부에는 복수의 하부 돌기가 형성된다. 슬릿(111b)은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길이 방향 중심부로 갈수록 깊이가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111b)에 의해 분리되는 부분은 서로 접할 수도 있고 이격될 수도 있다.
본체부재(110)의 하단이 복수의 슬릿(111b)에 의하여 절개된 구조가 됨으로써 착용시 외력이 작용할 때 변형이 용이하게 된다. 착용감이 향상된다.
상부에 형성된 슬릿(111a)의 하단은 하부에 형성된 슬릿(111b)의 상단과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상기 슬릿(111b, 111a)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고, 나란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부재(110)의 상부와 하부에 슬릿(111a, 111b)이 형성됨으로써 착용시 본체부재(110)의 상부와 하부의 변형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슬릿(111a, 111b)이 형성되어 변형이 자유로우나 커버부재(130)의 신축성에 의해 상기 본체부재(110)가 지지되므로, 착용시 접촉되는 부분의 변형이 용이하면서도 탄성 지지되어 착용성이 향상된다. 커버부재(130)는 천 등과 같이 플렉시블한 시트 재질로 이루어지나 커버부재(130) 내에 구비되는 본체부재(110)에 의하여 지지되어 착용시 상부가 흘러 내리거나 하부와 흘러 올라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본체부재(110)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길이 방향 일부분에서 하향 돌출된 하부돌출부(113)가 구비된다. 길이 방향 양단부에 구비된 하부돌출부(113)는 서로 이격된다.
상기 하부돌출부(113)는 하향 연장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하부돌출부(113)가 구비됨으로써, 본체부재(110)는 중심부 부분보다 하부돌출부(113)가 형성된 길이 방향 양단부에서 폭이 큰 형태로 된다.
상기 본체부재(110)의 하부에 형성된 슬릿(111b)은 하부돌출부(113)에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슬릿(111b)이 형성됨으로써 하부돌출부(113)의 하단도 절개된 형태로 된다. 상기 하부돌출부(113)는 착용시 목 앞으로 위치하게 되며, 상기 하부돌출부(113)가 형성됨에 따라 착용시 어깨 쪽으로는 내려오지 않으면서 신체의 쇄골 부분을 하부돌출부(113)가 덮을 수 있게 되어 압박감이 감소하여 착용감이 향상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재(110)는 상부돌출부(11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부돌출부(115)는 본체부재(110)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길이 방향 일부분에서 상향 돌출된다. 상기 상부돌출부(115)가 구비됨으로써, 본체부재(110)는 중심부 부분보다 상부돌출부(115)가 형성된 길이 방향 양단부에서 폭이 큰 형태로 된다.
상기 본체부재(110)의 상부에 형성된 슬릿(111a)은 상부돌출부(115)에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슬릿(111a)이 형성됨으로써 상부돌출부(115)의 상단도 절개된 형태로 된다. 상기 상부돌출부(115)는 착용시 목 앞으로 위치하게 되며, 상기 상부돌출부(115)가 형성됨에 따라 착용시 귀에는 접촉되지 않으면서 턱의 앞 부분이 지지되어 압박감이 감소하여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다.
커버부재(1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커버부재(130)는 본체부재(110)를 감싸며 본체부재(110)에 박음질되어 구비되는 플렉시블한 시트상의 커버부(131)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131)는 2겹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재(110)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상기 커버부(131)는 본체부재(110)의 전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본체부재(110)의 일부가 노출될 수도 있다.
커버부(131)를 2겹이 되도록 박음질하고 본체부재(110)를 삽입하여 제조할 수도 있고, 본체부재(110)에 커버부(131)를 감싸고 커버부(131)와 본체부재(110)를 일체로 박음질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커버부(131)를 2겹이 되도록 박음질하고 일부분에 지퍼를 설치하여 지퍼가 설치된 부분으로 본체부재(110)를 삽입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커버부(131)와 본체부재(110)를 일체로 박음질하는 경우, 본체부재(110)에 형성된 슬릿(111a, 111b)이 형성된 부분에는 슬릿(111a, 111b)이 형성된 부분의 변형이 억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박음질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131)로 본체부재(110)를 감싸도록 하고 상하 방향으로 중심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박음질하여 제조할 수 있다.
커버부(131)로 본체부재(110)를 감싸도록 하고 커버부(131)의 양단이 폭 방향 중심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맞닿거나 일부 오버랩되도록 하고, 이 부분을 이하에서 설명하는 밴드부재(133)로 덮고 길이 방향을 따라 커버부(131), 본체부재(110) 및 밴드부재(133)가 일체로 박음질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부(131)는 본체부재(110)보다 더 플렉시블하다. 상기 커버부(131)를 이루는 소재는 본체부재(110)를 이루는 소재보다 더 얇은 것이 사용된다.
상기 커버부(131)는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부(131)는 스판덱스와 같은 신축성이 양호한 소재(이하에서 "신축성 소재"라 한다)로 이루어진다.
커버부(131)를 이루는 소재의 구체적인 예로 온라인에서 상품명 "벨벳-진레드"(판매자: 천마트)로 판매되는 스판덱스 벨벳, 상품명 "기모 케블라"(판매자: 천도매몰(영남상사))로 판매되는 스판 소재를 들 수 있다.
상기 커버부(131)는 일부분이 신축성이 좋은 소재(이하에서 "신축성 소재"라 한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부(131)의 일부가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 신축성 소재 부분이 상부 돌기와 하부 돌기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커버부(131)의 신축성 소재 부분은 상부 돌기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하부 돌기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착용시 상부 돌기들과 하부 돌기들이 외측으로 밀리면서 슬릿(111a, 111b)의 단부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변형되고 상부 돌기와 하부 돌기를 감싸는 커버부(131)도 늘어나면서 탄성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 돌기들과 하부 돌기들의 적어도 일부는 신축성 소재 부분으로 감싸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131)의 일부가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 내측이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목받침대(100) 착용시 내측이 피부 쪽을 향하고 착용되면 외측으로 변형되도록 하중이 작용하고 상부 돌기와 하부 돌기가 외측으로 밀리게 되며 슬릿(111a, 111b)의 단부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변형되고, 내면 쪽의 커버부(131)에 인장력이 발생하게 따라서 내면 쪽에 위치하는 부분을 신축성 소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내면 쪽 중에서 상부 돌기들의 적어도 전면 일부를 덮는 부분과 하부 돌기들의 적어도 전면 일부를 덮는 부분이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체부재(110)는 상부와 하부에 복수의 상부 돌기와 하부 돌기가 구비되도록 슬릿(111a, 111b)이 형성되므로 착용 시 변형이 용이하게 되는 한편,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진 커버부(131)가 탄성 변형되면서 신체 접촉부를 감싸듯 지지하게 되어, 신체 부분을 지지하면서도 착용감은 향상된다.
상기 연결부재(150)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150)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벨크로나 똑딱단추(snap)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벨크로나 똑딱단추의 어느 하나는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구비되고, 다른 하나는 길이 방향 타측 단부에 구비되어, 목에 두르고 양단부의 연결부재(150)를 서로 결합시켜 착용하게 된다. 연결부재(150)의 어느 하나는 내향하는 면에 부착되고 다른 하나는 외향하는 면에 부착된다. 상기 연결부재(150)는 커버부(131)에 박음질되어 구비된다.
커버부(131)가 본체부재(110)를 감싸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연결부재(150)는 커버부(131)에 박음질 되는 방법 등에 의해서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131)가 본체부재(110)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150)는 커버부(131)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고, 노출된 본체부재(110)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150)는 끈 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150)가 끈 부재로 구비된 경우, 상기 연결부재(150)는 상기 커버부재(130)의 길이 방향 단부에 각각 박음질되어 구비된다. 착용시 양단의 끈부재를 묶어서 착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50)는 상기 목받침대(100)의 길이 방향 양단부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목받침대(100)를 목둘레에 감고 길이 방향 양측에 구비된 연결부재(150)를 서로 결합시켜 폐회로를 형성하여 착용한다.
상기 커버부재(130)는 커버부(131)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밴드부재(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밴드부재(133)는 상기 커버부(131)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밴드부재(133)는 커버부(131)의 외향하는 면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밴드부재(133)는 플렉시블한 시트상 소재로 이루어진다. 밴드부재(133)의 예로 천 소재를 들 수 있다. 상기 밴드부재(133)의 폭은 본체부재(110)의 폭보다 작으며, 폭 방향으로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밴드부재(133)는 커버부(131)와 함께 본체부재(110)에 박음질되어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131)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밴드부재(133)가 구비되는 경우, 연결부재(150)의 어느 하나는 밴드부재(133)의 돌출된 부분에 구비되고, 다른 하나는 길이 방향 반대 쪽 단부에서 커버부(131)에 구비되며, 본체부재(110)가 노출된 경우 본체부재(1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밴드부재(133)는 폭 방향 중심부에서 커버부(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커버부(131)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밴드부재(133)의 타측 단부는 상기 커버부(131)의 타측 단부와 대략 일치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밴드부재(133)의 단부와 커버부(131)의 단부가 일치된다는 의미는 제조시 발생할 수 있는 밴드부재(133)의 단부와 커버부(131)의 단부 사이의 미세한 이격 거리를 포함한다. 상기 밴드부재(133)는 폭 방향 중심부에서 커버부(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박음질(131a; 박음질부)되어 상기 커버부(131) 및 본체부재(110)와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재(150)의 어느 하나는 밴드부재(133)의 돌출된 부분에 구비되고, 다른 하나는 길이 방향 반대 쪽 단부에서 밴드부재(133)에 구비된다.
길이 방향으로 중심부 부분에서 외향하는 면에 제2 연결부재(151)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151)는 커버부(131)에 구비된다. 상기 제2 연결부재(151)는 내향하는 면에 구비된 연결부재(150)와 착탈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재(150)가 서로 착탈 결합되는 벨크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2 연결부재(151)는 내향하는 면에 구비되는 연결부재(150)와 착탈 결합되는 벨크로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150)가 서로 착탈 결합되는 똑딱단추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2 연결부재(151)는 내향하는 면에 구비되는 연결부재(150)와 착탈 결합되는 똑딱단추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연결부재(151)가 구비됨으로써 보관시 또는 휴대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어서 내향하는 면에 구비된 연결부재(150)를 제2 연결부재(151)에 결합시킨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50)는 양단이 커버부재(130)에 결합되어 커버부재(130)와 함께 폐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50)는 시트상의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양단이 커버부재(130)에 박음질되어 결합될 수 있다. 착용시 연결부재(150)를 신장시켜 머리를 삽입시켜 목에 착용한다. 상기 연결부재(150)는 커버부(131)보다 신축이 잘 되는 소재로 이루어져, 외력 작용시 커버부(131)보다 연결부재(150)의 신장량이 크게 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50) 사이에서 본체부재(110)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131)는 각 본체부재(110)를 감싸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각 본체부재(110)를 감싸며 구비되는 이웃하는 커버부(131)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진 중간부재(140)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재(140)는 시트상으로서 신축성이 있는 스판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간부재(140)가 구비됨으로써 연결부재(150) 사이에서 신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100)는 상기 본체부재(110)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변형이 용이하며, 상기 커버부재(130)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져 인장되면서 본체부재(110)의 변형을 탄성 지지함으로써 목을 편안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어서 휴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 목받침대
110 : 본체부재
113 : 하부돌출부 115 : 상부돌출부
130 : 커버부재 131 : 커버부
133 : 밴드부재 140: 중간부재
150 : 연결부재 151: 제2 연결부재

Claims (6)

  1. 플렉시블한 판상의 본체부재(110)와, 상기 본체부재(110)를 감싸며 본체부재(110)에 박음질되어 결합되는 플렉시블한 시트상의 커버부(131)로 이루어진 커버부재(130)와, 길이 방향 양측에 이격되어 커버부재(130)에 구비되며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150)로 이루어져; 목둘레에 감고 길이 방향 양측에 구비된 연결부재(150)를 결합시켜 폐회로를 형성하여 착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100).
  2. 플렉시블한 판상의 본체부재(110)와, 상기 본체부재(110)를 감싸며 본체부재(110)에 박음질되어 결합되는 플렉시블한 시트상의 커버부(131)로 이루어진 커버부재(130)와, 양측이 커버부재(130)와 결합되어 커버부재(130)와 함께 폐회로를 형성하는 연결부재(150)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150)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져 연결부재(150)를 신장시켜 머리를 삽입하여 목에 착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100).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110)에는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슬릿(111a)이 이격 형성되어 복수의 상부 돌기가 구비되고, 하부에도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슬릿(111b)이 이격 형성되어 복수의 하부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131)는 스판소재로 이루어지며 본체부재(110)보다 더 플렉시블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100).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110)의 하부의 길이 방향 양측에는 하향 돌출된 하부 돌출부가 구비되어; 중심부보다 하부 돌출부가 형성된 부분에서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100).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131)의 외향하는 외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플렉시블한 밴드부재(133)가 박음질되어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150)는 밴드부재(133)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100).
  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50) 사이에서 상기 본체부재(110)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131)는 각 본체부재(110)를 감싸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이웃하는 커버부(131)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진 중간부재(140)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100).
KR1020170069748A 2017-06-05 2017-06-05 목받침대 KR20170115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748A KR20170115001A (ko) 2017-06-05 2017-06-05 목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748A KR20170115001A (ko) 2017-06-05 2017-06-05 목받침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946A Division KR20170114646A (ko) 2016-03-02 2016-04-05 목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001A true KR20170115001A (ko) 2017-10-16

Family

ID=60295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748A KR20170115001A (ko) 2017-06-05 2017-06-05 목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50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0376B2 (en) Headband cover for a headband of a headphone
US4858248A (en) Combined hat and earphones device
CN101732807B (zh) 呼吸器设备
KR20180116759A (ko) 헤드셋 액세서리
WO2010015030A1 (en) Headband headphones
TW201311312A (zh) 泳鏡/水鏡結構
JP5879009B1 (ja) マットレス
KR200484976Y1 (ko) 목받침대
US9808064B2 (en) Headband
US6845534B1 (en) Support pillow
KR20170114646A (ko) 목받침대
US10448145B1 (en) Protective headphone cover
KR20170003854U (ko) 목받침대
KR20170115001A (ko) 목받침대
JP2022144931A (ja) マスクフレームおよびマスク
JP2005058582A (ja) クッション材
US11284185B2 (en) Protective headphone cover
US20190364356A1 (en) Protective Headphone Cover
CA2801797A1 (en) Expandable joint and universal fit headband
KR20170102607A (ko) 목받침대 및 목받침대 제조 방법
KR20170101503A (ko) 목받침대 및 목받침대 제조 방법
KR20170100373A (ko) 목받침대
KR20200017159A (ko) 목 착용 기구
KR101621845B1 (ko) 매트리스의 5면형 매트리스 시트커버
CN220459495U (zh) 一种多功能耳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