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4158A - 목 착용 기구 - Google Patents

목 착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4158A
KR20230154158A KR1020230148261A KR20230148261A KR20230154158A KR 20230154158 A KR20230154158 A KR 20230154158A KR 1020230148261 A KR1020230148261 A KR 1020230148261A KR 20230148261 A KR20230148261 A KR 20230148261A KR 20230154158 A KR20230154158 A KR 20230154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ing
neck
coupling
wearing part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8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쉬즈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쉬즈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쉬즈원
Priority to KR1020230148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4158A/ko
Publication of KR20230154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4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5Cervical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 A61F13/128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specially adapted for the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목 착용 기구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에 구비되며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착용부를 목에 감고 결합부를 결합시켜 착용하며;
상기 착용부는 판상의 제1착용부와, 판상이며 제1착용부의 길이보다 길이가 짧은 제2착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는 폭이 작은 연결부로 연결되어 연결부의 폭 방향 양측에서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는 서로 분리되고,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비대칭형을 형성하며;
상기 제1착용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의 반대쪽 단부에서 돌출된 연장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연장부의 내면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와, 착용부의 외면에서 제1결합부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2착용부의 외면과 연결부의 외면을 지나 제1착용부의 외면까지 연장된 제2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착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목 착용 기구{A Neck Wearing Device}
본 발명은 목 착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에 착용함으로써 목의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수면 시 목의 꺽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목 착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목쿠션과 같은 목 착용 기구는 가정, 직장 또는 자동차 운전 시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여 목을 안정적으로 받쳐주어 피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구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목 착용 기구인 목 쿠션(1)은 대략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커버 내측에 솜이나 스폰지 등의 쿠션재료가 내장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목 쿠션(1)은 커버 내측에 부피가 큰 솜이나 스폰지 등의 쿠션재료가 내장되어 이동시 부피가 커 휴대가 불편하며 보관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목 쿠션(1)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가 고안한 것으로, 종래 다른 기술에 의한 목 지지를 위한 목 착용 기구(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목 착용 기구(100)는 플렉시블한 판상으로써 접을 수 있는 연질 PVC나 천연고무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슬릿(111a)이 형성되고,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슬릿(111b)이 형성된 본체부재(110)와; 신축성 소재(예, 천)이며 2겹의 시트상으로 상기 본체부재(110)가 삽입되어 본체부재(110)를 감싸는 커버부(131)와, 폭이 상기 본체부재(110)의 폭보다 작으며 폭 방향 중심부에 구비되어 본체부재(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길이 방향 일측 단부는 커버부(131)의 길이 방향 단부로부터 돌출된 플렉시블한 시트상 소재로 형성된 연장부재(133)로 이루어진 커버부재(130)와; 벨크로로 이루어져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나는 연장부재(133)의 돌출된 부분에 구비되고 다른 하나는 길이 방향 반대쪽 단부에서 연장부재(133)에 구비되는 연결부재(150)로 이루어진다. 연결부재(150)는 서로 착탈 결합되는 암,수 벨크로로 이루어진 벨크로파스너이다.
상기 본체부재(110)에는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하부로 돌출된 하부 돌출부가 구비되어 하부 돌출부가 형성된 부분에서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하부 돌출부가 구비됨으로써 착용시 정면 양측에서 목 아래 쪽의 몸 부분에 접촉되어 목 부분에 가압되는 하중을 분산하여 착용감이 좋게 된다.
상기 연장부재(133)는 폭 방향 중심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커버부(131)를 덮도록 구비되며, 커버부(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부(131), 본체부재(110) 및 연장부재(133)가 일체로 박음질(131a; 박음질부)되어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재(150)인 밸크로파스너를 이루는 암벨크로(150-2)는 연장부재(133)의 돌출된 단부의 내면에 부착되고, 수벨크로(150-1)는 길이 방향 반대쪽의 단부의 외면에 부착된다. 본체부재(110)를 목둘레에 감고 길이 방향 양측에 구비된 연결부재(150)를 이루는 수벨크로(150-1)와 암벨크로(150-2)를 결합시켜 착용한다.
도 3은 목 착용 기구(100)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목 정면에서 본체부재(110)의 길이 방향 양단부 사이의 간격(t)은 착용자의 목 둘레와 같은 신체 사이즈에 따라 다르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추어 본체부재(110)의 길이(L)를 달리하여 제조하여야 하며, 착용자는 자신의 신체 사이즈를 알고 있는 경우에만 자신에 맞는 목 착용 기구(100)를 선택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20-0484976호 등록실용신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관계없이 예민한 목 정면에서의 간격이 일정하게 되어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편안한 착용감으로 착용될 수 있는 목 착용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목 착용 기구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에 구비되며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착용부를 목에 감고 결합부를 결합시켜 착용하며;
상기 착용부는 판상의 제1착용부와, 판상이며 제1착용부의 길이보다 길이가 짧은 제2착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는 폭이 작은 연결부로 연결되어 연결부의 폭 방향 양측에서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는 서로 분리되고,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비대칭형을 형성하며;
상기 제1착용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의 반대쪽 단부에서 돌출된 연장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연장부의 내면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와, 착용부의 외면에서 제1결합부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2착용부의 외면과 연결부의 외면을 지나 제1착용부의 외면까지 연장된 제2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착용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목 착용 기구(200)는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관계없이 예민한 목 정면에서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목 둘레에 관계없이 편안한 착용감이 유지되고, 착용자의 목 둘레와 같은 정보를 모르는 경우에도 선택하여 착용할 수 있으며, 크기가 작거나 크기가 너무 크다는 불편함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목받침용 쿠션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 다른 기술에 의한 목받침을 위한 목 착용 기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목 착용 기구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목 착용 기구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목 착용 기구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목 착용 기구의 착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목 착용 기구의 일부를 분리한 분리 정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목 착용 기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목 착용 기구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목 착용 기구의 착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목 착용 기구의 일부를 분리한 분리 정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5의 가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세로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여 기재하고, 착용시 목을 향하는 면을 "내면"으로 그 반대를 "외면"으로, 목을 향하는 쪽을 "내측"으로 그 반대 방향을 "외측"으로 기재한다. 그리고 길이 방향으로 연결부(230)를 향하는 쪽을 "길이 방향 내향"으로, 그 반대 방향을 "길이 방향 외향"으로 하여 기재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목 착용 기구(200)는 착용부(201)와 착용부(201)에 구비되는 결합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착용부(20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250)는 상기 착용부(201)에 구비되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250)는 상기 착용부(201)의 길이 방향 일측 내면에 구비된 제1 결합부(251)와, 착용부(201)의 길이 방향 타측 외면에서 제1결합부(251)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부(2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결합부(251)는 수벨크로, 제2결합부(253)는 암벨크로로서 박음질되어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목 착용 기구(200)는 상기 착용부(201)를 목에 감고 제1결합부(251)와 제2결합부(253)를 결합시켜 착용한다. 상기 목 착용 기구(200)는 상기 제1결합부(251)와 제2결합부(253)가 결합되며 폐회로를 이룬다.
상기 착용부(201)는 판상의 제1착용부(210)와 판상의 제2착용부(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착용부(210)와 제2착용부(220)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분리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착용부(210)의 길이 방향 길이는 36∼38㎝ 범위로 할 수 있고, 폭은 9∼10㎝ 범위로 할 수 있다. 제1하부돌출부(210a)가 돌출된 부분의 길이 방향 길이는 6∼9㎝ 범위로 할 수 있고, 폭은 11∼13㎝ 범위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착용부(220)의 길이 방향 길이는 13∼15㎝ 범위로 할 수 있고, 폭은 9∼10㎝ 범위로 할 수 있다. 제2하부돌출부(220a)가 돌출된 부분의 길이 방향 길이는 6∼9㎝ 범위로 할 수 있고, 폭은 11∼13㎝ 범위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착용부(210)와 제2착용부(220) 및 제1하부돌출부(210a)와 제2하부돌출부(220a)의 폭과 길이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1착용부(210)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착용부(210)는 코너 부분이 라운드된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착용부(210)의 길이 방향 내측에는 하향 돌출되며 폭이 증가된 제1하부돌출부(210a)가 형성된다. 상기 제1하부돌출부(210a)의 길이 방향 외측은 길이 방향 외향 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하부돌출부(210a)는 이웃하는 제2착용부(220)의 제2하부돌출부(220a)와 인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1착용부(210)는 제1본체부재(211)와 제1커버부재(2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본체부재(211)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본체부재(211)의 길이 방향 내측에는 하향 돌출된 제1본체돌출부(21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본체부재(211)는 플렉시블한 재질(예; 연질PVC)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본체부재(211)의 두께는 0.5∼1.5㎜ 범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부재(211)의 두께가 0.5㎜보다 얇으면 목을 지지해주지 못해 목쿠션의 역할을 할 수 없고, 1.5㎜보다 두꺼우면 착용감이 딱딱하여 불편하다.
상기 제1본체부재(211)에는 슬릿인 제1본체슬릿(2113)이 형성된다. 상기 제1본체슬릿(2113)은 제1본체부재(211)의 폭 방향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제1커버부재(213)는 스판 재질의 천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주)충남섬유의 '라미네이팅'원단, 대성섬유의 '에어매쉬'원단, 핑크스푼의 '기모케블라'원단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부재(213)는 복겹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커버부재(213)는 예를 들어 2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부재(213)는 상기 제1본체부재(211)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도 6에서 도면부호 213a는 제1커버부재(213)의 외면이고, 213b는 제1커버부재(213)의 내면이다. 상기 제1커버부재(213)의 외면(213a)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절개부(2131)가 형성된다. 상기 제1절개부(2131)는 제1커버부재(213)의 대략 폭 방향 중심부에 형성된다. 제1절개부(2131)를 통하여 제1본체부재(211)가 제1커버부재(213)로 삽입되며 구비된다.
상기 제2착용부(220)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착용부(220)는 코너 부분이 라운드된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착용부(220)의 길이 방향 내측에는 하향 돌출되며 폭이 증가된 제2하부돌출부(220a)가 형성된다. 상기 제2하부돌출부(220a)의 길이 방향 외측은 길이 방향 외향 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하부돌출부(220a)는 상기 제1 하부돌출부(210a)와 인접하여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2하부돌출부(220a)와 제1하부돌출부(210a)는 제1착용부(210)와 제2착용부(220)가 분리된 부분을 중심으로 길이 방향 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착용부(220)는 제2본체부재(221)와 제2커버부재(2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본체부재(221)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본체부재(221)의 길이 방향 내측에는 하향 돌출된 제2본체돌출부(2211)가 형성된다. 상기 제2본체부재(221)는 플렉시블한 재질(예; 연질PVC)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본체부재(211)의 두께는 0.5∼1.5㎜ 범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부재(211)의 두께가 0.5㎜보다 얇으면 목을 지지해주지 못해 목쿠션의 역할을 할 수 없고, 1.5㎜보다 두꺼우면 착용감이 딱딱하여 불편하다.
상기 제2본체부재(221)에는 슬릿인 제2본체슬릿(2213)이 형성된다. 상기 제2본체슬릿(2213)은 제2본체부재(221)의 폭 방향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제2커버부재(223)는 스판 재질의 천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주)충남섬유의 '라미네이팅'원단, 대성섬유의 '에어매쉬'원단, 핑크스푼의 '기모케블라'원단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제2커버부재(223)는 복겹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커버부재(223)는 예를 들어 2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부재(223)는 상기 제2본체부재(221)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도 6에서 도면부호 223a는 제2커버부재(223)의 외면이고, 223b는 제2커버부재(223)의 내면이다. 상기 제2커버부재(223)의 외면(223a)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2절개부(2231)가 형성된다. 상기 제2절개부(2231)는 제2 커버부재(223)의 대략 폭 방향 중심부에 형성된다. 제2절개부(2231)를 통하여 제2본체부재(221)가 제2커버부재(223) 내로 삽입되며 구비된다.
상기 제1착용부(210)와 제2착용부(220)는 연결부(230)로 연결되어 연결부(230)의 폭 방향 양측에서 서로 분리되어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230)는 상기 제1착용부(210)와 제2착용부(22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30)는 상기 제1착용부(210)와 제2착용부(220)의 폭 방향 중심부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착용부(210)와 제2착용부(220)가 연결부(230)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착용부(210)의 길이 방향 내측 단부와 제2착용부(220)의 길이 방향 내측 단부는 연결부(230)의 상부와 하부에서 분리되어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230)의 상부와 하부에서 분리된 제1착용부(210)의 길이 방향 내측 단부와 제2착용부(220)의 길이 방향 내측 단부는 서로 이격될 수도 있고 접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착용부(210)의 길이 방향 내측 단부와 제2착용부(220)의 길이 방향 내측 단부 사이의 간격(t)은 1.5㎝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1착용부(210)와 제2착용부(22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부(230)가 정면으로 오도록 착용하면, 연결부(230)의 하부로 형성된 공간인 공간부(231)에 의해 예민한 목 정면 부분에서 답답한 느낌이 덜하여 편한 착용감을 가진다. 그리고 착용자의 신체 치수와 관계없이 연결부(230)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편한 착용감이 유지된다.
상기 연결부(230)는 길이 방향 양측이 제1본체부재(211) 및 제2본체부재(221)와 일체로 되어 폭이 작은 부분으로 연결되고, 제1커버부재(213)와 제2커버부재(223)가 일체로 되어 연결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밴드부재(240)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착용부(210)의 길이는 상기 제2착용부(2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착용부(210)의 길이가 제2 착용부(220)의 길이보다 길어 상기 연결부(230)를 중심으로 제1 착용부(210)와 제2 착용부(220)는 비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착용부(210)와 제2 착용부(220)가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목 착용 기구(200) 착용시 상기 연결부(230)가 정면을 향하고 일측 제1착용부(210)가 목을 감고, 타측의 제2착용부(220)도 목을 감으면서, 제1착용부(210)가 제2착용부(220)의 외면으로 오버랩된다. 상기 제2착용부(220)는 제1착용부(210)의 내측으로 위치한다.
상기 제1착용부(210)와 제2착용부(220)는 상기 연결부(230)와 이격된 위치에서 오버랩되며, 착용자의 신체 치수(목 둘레 등)에 따라 오버랩되는 길이는 달라진다. 상기 제1착용부(210)를 제2착용부(220)보다 길게 함으로써, 착용시 착용자의 목 측방에서 제1착용부(210)와 제2 착용부(220)가 오버랩되어 착용이 용이하게 된다.
목 착용 기구(200)는 착용시 연결부(230)가 정면을 향하도록 하고 제1결합부(251)와 제2결합부(253)가 결합되어 착용된다. 상기 제1결합부(251)는 제1착용부(210)의 내면(213b)에 구비되고 제2 결합부(253)는 제2착용부(220)의 외면(223a)에 구비된다.
상기 제1착용부(210)의 길이 방향 외측에는 연장부(241)가 더 포함된다.
상기 연장부(241)는 상기 제1착용부(210)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부(230)의 반대쪽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241)는 상기 제1착용부(210)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고 길이 방향 외향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251)는 상기 연장부(241)의 내면에 결합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2결합부(253)는 제2착용부(220) 외면과 연결부(230) 외면을 지나 제1착용부(210) 외면까지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결합부(251)는 상기 연장부(2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1결합부(251)의 길이 방향 내측 단부는 제1착용부(210)의 길이 방향 외측 단부로부터 길이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착용부(220)에 위치하는 제2결합부(253)의 길이 방향 외측 단부는 제2착용부(220)의 길이 방향 외측 단부로부터 길이 방향 내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결합부(253)의 길이 방향 외측 단부와 제2착용부(220)의 길이 방향 외측 단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결합부(251)의 길이 방향 내측 단부와 제1착용부(210)의 길이 방향 외측 단부 사이의 간격보다 넓거나 같게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부(253)의 길이 방향 외측 단부와 제2착용부(220)의 길이 방향 외측 단부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고 상기 제1결합부(251)의 길이 방향 내측 단부와 제1착용부(210)의 길이 방향 외측 단부 사이의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목 착용 기구(200) 착용 시 제1착용부(210)의 길이 방향 외측 단부 일부와 제2착용부(220)의 길이 방향 외측 단부 일부가 일정 길이 이상 오버랩된다.
목 착용 기구(200) 착용 시 제1착용부(210)와 제2착용부(220)가 일정 길이 이상 오버랩되도록 착용하면 오버랩된 부분에서 목을 지지하는 강도가 유지되어 착용감이 편하게 유지된다.
상기 제1착용부(210)에 위치하는 제2결합부(253)의 길이는 대략 연장부(241)의 길이만큼 형성된다. 제1 착용부(210)에 위치하는 제2결합부(253)의 길이를 연장부(241)의 길이 만큼으로 형성하는 것은 목 착용 기구(200) 착용시 제1착용부(210)가 연결부(230)와 중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장부(241)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밴드부재(240)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목 착용 기구(200)에는 밴드부재(240)가 더 포함되어 형성된다.
상기 밴드부재(240)는 상기 착용부(201)의 외면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밴드부재(240)는 제1커버부재(213)나 제2커버부재(223)를 이루는 재질보다 두꺼운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다. 밴드부재(240)는 섬유 재질이나, 천연가죽 또는 인조 가죽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예를 들면, 폭이 2.5㎝이고 두께가 2㎜인 것으로 한다.
상기 밴드부재(240)는 제1착용부(210)와 제2착용부(220)의 외면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밴드부재(240)의 폭은 제1착용부(210) 및 제2착용부(220)의 폭보다 작아, 제1 착용부(210) 및 제2 착용부(220)가 밴드부재(240)의 폭 방향 양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밴드부재(240)는 상기 제1커버부재(213)의 제1절개부(2131)와 제2커버부재(223)의 제2절개부(2231)를 덮는 위치에 구비되고, 제1 절개부(2131)와 제2절개부(2231)의 폭 방향 양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박음질되어 착용부(201)에 결합된다. 도 5 및 도 7에서 250a는 밴드부재(240)의 박음질선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밴드부재(240)가 제1착용부(210) 부분에서 박음질될 때, 제1본체부재(211)와, 제1커버부재(213)와, 밴드부재(240)가 일체로 박음질된다. 상기 제1착용부(210)에서 박음질선(250a)은 제1착용부(210)에 위치하는 밴드부재(240)의 둘레를 따라 폐회로를 형성하며 박음질된다.
상기 밴드부재(240)가 제2착용부(220) 부분에서 박음질될 때, 제2본체부재(221)와, 제2커버부재(223)와, 밴드부재(240)가 일체로 박음질된다. 상기 제2착용부(220)에서 박음질선(250a)은 제2착용부(220)에 위치하는 밴드부재(240)의 둘레를 따라 폐회로를 형성하며 박음질된다.
상기 제1착용부(210)와 제2착용부(220)를 연결하는 연결부(230)는 밴드부재(240)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밴드부재(240)는 일측 단부가 제2착용부(210)의 외측 단부 또는 외측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위치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절개부(2231)와 제1절개부(2131)를 덮고, 타측 단부는 제1착용부(210)의 단부보다 돌출되어, 돌출된 부분이 연장부(241)를 형성하고, 제2착용부(220)와 제1착용부(210) 사이 부분이 연결부(230)를 형성한다. 상기 연장부(241)의 내면에는 결합부(250)의 제1결합부(251)가 박음질되어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250)의 제2결합부재(253)는 밴드부재(240)의 외면에 결합되며, 일측 단부는 제2착용부(220)에 결합된 밴드부재 부분에 위치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부(230)를 지나 타측 단부는 제1착용부(210)에 결합된 밴드부재 부분에 위치한다.
상기 밴드부재(240)는 제1착용부(210)의 제1절개부(2131)를 덮는 부분과, 제2착용부(220)의 제2절개부(2231)를 덮는 부분이 분리되어 2개의 밴드부재로 분할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1절개부(2131)를 덮는 밴드부재 부분이 길이 방향으로 연결부(230)의 반대쪽에서 제1착용부(210)로부터 돌출되어, 돌출된 부분이 연장부(241)를 형성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르는 목 착용 기구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 목 착용 기구
201 : 착용부 210 : 제1 착용부
220 : 제2 착용부 230 : 연결부
240 : 밴드부재 250 : 결합부

Claims (1)

  1. 착용부(201)와 상기 착용부(201)에 구비되며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250)를 포함하며, 착용부(201)를 목에 감고 결합부(250)를 결합시켜 착용하며;
    상기 착용부(201)는 판상의 제1착용부(210)와, 판상이며 제1착용부(210)의 길이보다 길이가 짧은 제2착용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착용부(210)와 제2착용부(220)는 폭이 작은 연결부(230)로 연결되어 연결부(230)의 폭 방향 양측에서 제1착용부(210)와 제2착용부(220)는 서로 분리되고, 상기 연결부(230)를 중심으로 비대칭형을 형성하며;
    상기 제1착용부(210)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230)의 반대쪽 단부에서 돌출된 연장부(241)가 더 포함되며;
    상기 결합부(250)는 상기 연장부(241)의 내면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251)와, 착용부(201)의 외면에서 제1결합부(251)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2착용부(220)의 외면과 연결부(230)의 외면을 지나 제1착용부(210)의 외면까지 연장된 제2결합부(2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착용 기구(200).
KR1020230148261A 2018-08-30 2023-10-31 목 착용 기구 KR20230154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8261A KR20230154158A (ko) 2018-08-30 2023-10-31 목 착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381A KR20200025270A (ko) 2018-08-30 2018-08-30 목 착용 기구
KR1020230148261A KR20230154158A (ko) 2018-08-30 2023-10-31 목 착용 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381A Division KR20200025270A (ko) 2018-08-30 2018-08-30 목 착용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4158A true KR20230154158A (ko) 2023-11-07

Family

ID=698010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381A KR20200025270A (ko) 2018-08-30 2018-08-30 목 착용 기구
KR1020230148261A KR20230154158A (ko) 2018-08-30 2023-10-31 목 착용 기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381A KR20200025270A (ko) 2018-08-30 2018-08-30 목 착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02527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976Y1 (ko) 2016-02-29 2017-11-14 주식회사 쉬즈원 목받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976Y1 (ko) 2016-02-29 2017-11-14 주식회사 쉬즈원 목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270A (ko)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0212B2 (ja) 体型補正機能を持つズボン
KR101989880B1 (ko) 유아용 캐리어
US2425728A (en) Mattress
US6845534B1 (en) Support pillow
KR102077347B1 (ko) 체형 보정용 바지
KR101900598B1 (ko) 조임부를 구비한 의류
JP2005058582A (ja) クッション材
KR102169310B1 (ko) 목 착용 기구
KR20230154158A (ko) 목 착용 기구
KR200484976Y1 (ko) 목받침대
JP7141539B2 (ja) 背負いカバン用ショルダーベルト及び背負いカバン
KR101912048B1 (ko) 인체 맞춤형 매트리스
JP2021101052A (ja) マスク用サポート部材及びマスクセット
KR101837910B1 (ko) 개선된 기능성 베개
JP3210961U (ja) 首用サポーター
KR200497025Y1 (ko) 아기띠
KR102028090B1 (ko) 유아용 캐리어 및 유아용 캐리어 사용 방법
JP3200774U (ja) ズボン
KR20170003854U (ko) 목받침대
US20080052800A1 (en) Wearable holder pad for a mobile computing device
KR102628400B1 (ko) 장착 구조의 변형이 가능한 아기 띠
KR102225861B1 (ko) 패드 고정 구조
JP7483284B1 (ja) 鞄用ベルト
KR102493205B1 (ko) 착용감이 향상된 한 쌍의 음낭밴드를 구비한 남성용 기능성 팬티
JP2005281935A (ja) 腰部保護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