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205B1 - 착용감이 향상된 한 쌍의 음낭밴드를 구비한 남성용 기능성 팬티 - Google Patents

착용감이 향상된 한 쌍의 음낭밴드를 구비한 남성용 기능성 팬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205B1
KR102493205B1 KR1020220101741A KR20220101741A KR102493205B1 KR 102493205 B1 KR102493205 B1 KR 102493205B1 KR 1020220101741 A KR1020220101741 A KR 1020220101741A KR 20220101741 A KR20220101741 A KR 20220101741A KR 102493205 B1 KR102493205 B1 KR 102493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tum
band
fixed
bands
ver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종일
Original Assignee
백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일 filed Critical 백종일
Priority to KR1020220101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2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41B9/023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with separate spaces for 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01Under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2Breathability, i.e. being vapour permeable and waterp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낭밴드는, 상변(L3)이 고정된 좌측 음낭밴드(30L)의 하변(L1)을 상기 팬티 본체의 회음부 부위(25)에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상변(L3)이 고정된 상기 좌측 음낭밴드(30L)를 시계방향으로 180도 비틀어서 상기 좌측 음낭밴드(30L)의 제1면(31)은 안쪽을 향하게, 제2면(32)은 바깥쪽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하변(L1)의 양단 두 꼭지점(P1)(P2)을 각각 제1 재봉점(P1') 및 제2 재봉점(P2')에 고정시킨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기능성 팬티는, 착용이 매우 간편하고, 좌우측 음낭밴드의 각 장변이 음낭과 허벅지 사이 사타구니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사타구니에서의 발한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음낭 아래 부분에서의 착용감과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음낭의 팽창 이완 시에도 음낭에 압박감을 주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음낭을 지지할 수 있는 우수한 작용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착용감이 향상된 한 쌍의 음낭밴드를 구비한 남성용 기능성 팬티{UNDERWEAR FOR MALE HAVING FUNCTIONAL IMPROVEMENT}
본 발명은 남성용 기능성 팬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팬티 본체와, 남성의 음낭 좌측을 받쳐주는 좌측 음낭밴드와 음낭 우측을 받쳐주는 우측 음낭밴드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음낭밴드로 구성되는데, 상기 각 음낭밴드의 상변은 좌측 또는 우측 서혜부에 각각 재봉되고, 각 음낭밴드의 하변은 회음부 위치에 각각 결합되어,
음낭의 좌우 양 측면을 받쳐주고, 사타구니와 허벅지로부터 음낭을 완전히 분리시키면서 음낭 표면의 땀을 흡수하고 통기를 향상시키는 남성용 기능성 팬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남성용 팬티는 단순히 피복의 기능 및 효과만 있기 때문에 남성의 음낭이 사타구니 피부에 밀착됨으로 인해 서로 간에 압력이 가해져 항상 불편한 상태가 될 뿐 아니라 통풍이 원활하지 못하여 각종 피부질환, 악취 등의 위생상 문제들이 노출되었다.
특히 외부에 착용되는 바지가 조이거나 유연성이 없는 경우에는 음낭과 음경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되어 상기의 문제들이 심각하였다.
이에 따라 허벅지에 살이 많고 사타구니와 음낭에 땀이 많이 차는 남성들에게 음낭을 적절히 분리해 주고 땀을 잘 흡수 발산해 주는 팬티는 오랜 염원이자 숙제이다.
남성용 기능성 팬티는 음낭의 좌우 측면을 허벅지로부터 분리시키면서 땀을 흡수하고 통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음낭을 독립적으로 분리시키거나 수용하기 위한 구조물의 위치와 구조는 그 기능의 특성상 모양이 유사할 수 있으나 어떤 모양으로 어디에 어떻게 적절히 부착하는지에 따라서 그 기능의 효과와 성취도가 달라지며 그 효용성의 차이가 천양지차로 커진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551364호 “남성용 기능성 팬티”(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 등록특허 제10-1987604호 “남성용 팬티”(이하 ‘종래기술2’라 함.), 등록특허 제10-2075867호 “기능성 팬티”(이하 ‘종래기술3’이라 함.), 실용신안등록 제20-0252493호 “남성용 팬티”(이하 ‘종래기술4’라 함.), 특허등록 제10-1269887호 “남성용 기능성 팬티”(이하 ‘종래기술5’라 함.)를 들 수 있다.
먼저, 상기 종래기술1은 전면에 음경이 외부로 노출되는 개구부를 갖는 팬티 본체와, 상기 팬티 본체의 전방 내면에 봉제되어 음낭이 수용되는 음낭 포켓과, 상기 음낭 포켓의 상측에 배치되고 음경이 수용되는 음경포켓을 포함하고, 상기 음낭 포켓 및 음경 포켓의 후면은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접합되어 음경 포켓에 수용된 음경이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음경과 음낭을 보다 편안하게 수용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1은 음낭포켓의 상단이 팬티 상단 허리밴드까지 올라가서 부착되어 있어서 음낭의 분리가 정교하게 되지 못하고 자세변화나 활동 시 그리고 음낭의 수축이완 시에 음낭이 이탈되어 착용불편하다.
상기 종래기술2는 팬티의 전면부의 내측에서, 몸통 구멍의 가장자리, 좌측 다리 구멍의 가장자리 및 우측 다리 구멍의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팬티의 전면부의 내면과의 사이에 음경을 위한 공간인 음경 공간을 형성하는 내측 시트; 및 팬티의 전면부에 부착되되, 내측 시트의 아래쪽에 위치되고, 좌측 다리 구멍의 가장자리 및 우측 다리 구멍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탄성 밴드를 포함하되, 착용자의 음경은 좌측 다리 구멍의 가장자리와 우측 다리 구멍의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한 내측 시트의 하부 가장자리가 전면부의 내면과의 사이에 형성한 개방 공간인 하부 삽입구로 삽입되고, 탄성 밴드는 착용자의 음경과 음낭이 만나는 부분을 누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2는 팬티 2장을 겹쳐 입은 느낌이 들어 답답하고 통풍성이 취약하여 땀이 차며, 속 팬티를 하나 더 입은 것과 유사하여 음낭과 사타구니 사이가 끼어 답답하고, 음낭이 팬티 밴드에 끼이는 경우가 빈번하여 불편하다.
상기 종래기술3은 중앙의 절개부를 중심으로 위, 아래로 음경 및 음낭을 수용하는 공간을 각각 별도로 형성하며, 또한 음낭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보호원단의 하단부가 앞쪽으로 출몰하도록 하여 음낭수용공간에 다시 별도의 음낭 삽입공간이 더 형성되도록 하여 음경과 음낭의 접촉을 최소화시키도록 한 기능성 팬티를 제시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3은 음경과 음낭이 함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음낭과 음경 사이를 분리시키지 못함에 따라 음낭과 음경 분리효과가 미비한 한계가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기술4에는 팬티의 내부 전면에 남성의 음경과 음낭을 각각 격리시켜 넣을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음경집과 음낭집을 형성하되, 상기 음낭집은 음낭을 격리시키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볼록하게 형성하여 음낭을 감싸듯 받쳐주는 볼록부로 형성하고, 상기 음낭집의 양측에는 통풍구를 형성한 남성용 팬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4는 팬티를 착용할 때에 음낭을 음낭집 안으로 강제로 집어넣어야 하는 구조여서 착용의 번거로움이 크고, 음낭집의 상부 가장자리에 의해 음낭이 타이트하게 조여질 뿐만 아니라, 음낭집의 상부 가장자리에 의해 음낭과 회음부 사이가 강제로 이격되어 음낭에 강한 압박감이 발생되고, 나아가 음낭의 이완 및 수축에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5에서의 기능성 팬티는, 팬티 본체의 전면판 내부에 브이(V)자 형태로 탄성밴드를 고정 설치하여 상기 탄성밴드가 음낭과 사타구니 사이에 끼워져 음낭과 사타구니 사이의 땀 흡수와 흡수된 땀을 배출하는 통기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5의 탄성밴드는 팬티 본체의 전면판에 평면적으로 부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탄성밴드의 표면이 음낭의 좌우 양 측면에 충분한 면적으로 접촉하기 어렵고, 탄성밴드의 수축력으로 인해 음낭에 강한 압박감을 야기하여, 특히 음낭이 커지고 이완되는 때에는 착용감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 특허출원의 발명자가 선출원하여 등록 받은 한국특허 제10-2198590호(2020년07월27일 출원, 2020년12월29일 등록)의 기능성 팬티(이하 ‘종래기술6’이라 함.)가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6은 좌/우측 서혜부에 음낭밴드의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고 팬티의 회음부 위치에 음낭밴드 중앙부가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음낭 하부 즉 회음부에 인접한 부분에서 팬티 본체와 음낭밴드가 겹쳐져서 2겹의 두터워짐으로 인하여 음낭 하부의 통풍성이 떨어지고, 체형에 잘 맞지 않거나 음낭이 팽창될 때에 음낭밴드가 팽팽해지면서 음낭에 압박을 가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상기 종래기술6의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 특허출원의 발명자가 선출원하여 등록 받은 한국특허 제10-2291104호(2021년04월16일 출원, 2021년08월11일 등록)의 기능성 팬티(이하 ‘종래기술7’이라 함.)가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7에 개시된 한 쌍의 좌우 음낭밴드는, 체형의 차이에 따른 유연성이 낮아, 밴드의 장변이 착용자의 사타구니 사이에 긴밀하게 밀착되지 못하거나 또는 이와 반대로 밴드의 장변이 팽팽해지면서 착용자의 사타구니를 과도하게 압박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나아가, 착용자의 다양한 체형에도 편안한 착용감을 제고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KR 10-1551364 B KR 10-1987604 B KR 10-2075867 B KR 20-0252493 Y KR 10-1269887 B KR 10-2198590 B KR 10-2291104 B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팬티 본체와, 상기 팬티 본체 전면 내측에 좌우측 서혜부를 따라 구비되는 한쌍의 음낭밴드를 구비하여, 땀 흡수성과 통기성을 향상시킨 남성용 기능성 팬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착용자의 다양한 체형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착용감을 향상시킨 남성용 기능성 팬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음낭의 이완 및 수축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음낭을 지지할 수 있는 남성용 기능성 팬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팬티 본체의 전면에 고정되어 착용자의 좌측 허벅지와 음낭 좌측부를 분리시키는 좌측 음낭밴드(30L)와, 상기 팬티 본체의 전면에 고정되어 착용자의 우측 허벅지와 음낭 우측부를 분리시키는 우측 음낭밴드(30R)로 구성되는 음낭밴드(30)를 구비하되;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는 제1 장변(L4)과 제2 장변(L2), 그리고 상기 제1 장변(L4)과 제2 장변(L2)보다 길이가 짧은 상변(L3)과 하변(L1)으로 구성되는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상변(L3)은 상기 팬티 본체의 좌우측 서혜부 라인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각각 고정되고,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하변(L1)은 각각 상기 팬티 본체의 회음부 부위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팬티 본체의 좌우측 서혜부 라인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각각 고정되는 남성용 기능성 팬티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제1 장변(L4)과 하변(L1)이 만나는 점을 제1 꼭지점(P1)이라 하고,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제2 장변(L2)과 하변(L1)이 만나는 점을 제2 꼭지점(P2)이라 하고,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제2 장변(L2)과 상변(L3)이 만나는 점을 제3 꼭지점(P3)이라 하고,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제1 장변(L4)과 상변(L3)이 만나는 점을 제4 꼭지점(P4)이라 할 때,
상기 상변(L3)의 제3 꼭지점(P3) 또는 제4 꼭지점(P4) 둘 중의 어느 한 꼭지점이 상기 팬티 본체의 서혜부 라인 상의 제3 재봉점(P3')에 고정되고;
상기 상변(L3)의 또다른 한 꼭지점은 상기 제3 재봉점(P3')에서 상기 서혜부 라인을 따라 상기 상변(L3)의 길이만큼 회음부 쪽으로 이동된 제4 재봉점(P4')에 고정되고;
상기 제4 재봉점(P4')에 고정된 꼭지점과 제1 장변을 공유하는 다른 한 꼭지점은 상기 서혜부 라인과 회음부 라인이 만나는 제1 재봉점(P1')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재봉점(P1')에 고정된 꼭지점과 하변(L1)을 공유하는 다른 한 꼭지점은 상기 제1 재봉점(P1')에서 상기 서혜부 라인을 따라 상기 하변(L1)의 길이만큼 허리밴드 쪽으로 이동된 제2 재봉점(P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기능성 팬티는, 상기한 좌우 두 음낭밴드(30L,30R)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밴드(40)를 더 구비함으로써, 좌우측 음낭밴드 사이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밴드로써 음낭과 음경을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욱 더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기능성 팬티는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착용이 매우 간편하고, 착용자의 체형에 관계없이 좌우 음낭밴드의 각 장변이 음낭과 허벅지 사이의 좌우 각 사타구니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고, 특히 회음부에 근접한 음낭, 즉 음낭 아래 부분에는 팬티 본체 그대로 형성되므로 음낭 아래 부분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없애면서도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착용상태에서도 좌우 음낭밴드의 각 장변에는 느슨한 주름이 형성되어 음낭의 팽창 이완 시에도 음낭에 압박감을 주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음낭을 지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본원 특허출원 발명자의 선출원 한국특허 제10-2291104호인 종래기술7과 대비할 때, 착용자의 다양한 체형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낭의 팽창 이완 시에도 음낭에 압박감을 주지 않고 안정적으로 음낭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낭밴드는 음낭 후하부와 음낭 측면부 그리고 회음부에 고이는 땀을 효과적으로 흡수 발산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아울러,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공정이 간단하고, 재료도 절약되고, 표준사이즈에서 벗어나는 체형의 차이가 있어도 적절히 올려 입거나 내려입으면 편안하게 입을 수 있으며, 신축성 높은 탄성재질이 아닌, 팬티 본체와 동일한 섬유소재로 음낭밴드를 형성하더라도 착용자의 사타구니에 안정적으로 밀착이 가능하고, 음낭의 팽창 이완 시에도 음낭에 압박감을 주지 않고 안정적으로 음낭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음낭밴드를 연결하는 연결밴드를 더 구비함으로써, 좌우측 음낭밴드 사이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밴드로써 음낭과 음경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되므로 음경 하부와 음낭 사이의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기능성 팬티를 구성하는 음낭밴드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낭밴드가 팬티의 전면 내측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기능성 팬티의 내측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팬티의 실물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기능성 팬티의 음낭밴드가 착용자의 체형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될 수 있음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낭밴드가 팬티의 전면 내측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기능성 팬티의 전면 내측 사시도 및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낭밴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에 연결밴드가 결합된 실시예의 전면 내측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따른 기능성 팬티의 전면 내측을 촬영한 실물 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낭밴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에 연결밴드가 결합된 실시예의 전면 내측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좌측 음낭밴드와 우측 음낭밴드는 서로 대칭으로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명칭도 동일하게 표기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서로 대칭을 이루어서 구비되는 음낭밴드에 관한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체(10)의 전면(11) 내측에 음낭이 수용되는 음낭수용부(20)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음낭수용부(20)를 향하는 방향을 '내측방향' 또는 안쪽'으로 표현하고, 그 반대방향을 '외측방향' 또는 '바깥쪽'으로 표현한다. 그리고 팬티 본체의 허리밴드 쪽을 '상부방향'으로, 회음부 쪽을 '아래방향'으로 표현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기능성 팬티의 음낭밴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 보는 2개의 장변(L2, L4)과 상부와 하부의 두 단변(L1, L3)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상으로, 제1면과 반대쪽의 제2면을 갖는 쉬트형(sheet type)이다. 상기 장변은 편의상 제1 장변(L4) 및 제2 장변(L2)으로 구분하고, 상기 단변은 상변(L3)과, 하변(L1)으로 각각 구분하여 표현한다.
그리고, 상기 하변(L1)의 양쪽 단부 꼭지점 중에서, 제1 장변(L4)에 연결된 꼭지점을 제1 꼭지점(P1)이라 하고, 제2 장변(L2)에 연결된 꼭지점을 제2 꼭지점(P2)이라 하고, 상기 상변(L3)의 양쪽 단부 꼭지점 중에서, 제2 장변(L2)에 연결된 꼭지점을 제3 꼭지점(P3)이라 하고, 제1 장변(L4)에 연결된 꼭지점을 제4 꼭지점(P4)이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팬티는 허리 고정용 밴드가 구비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서혜부 봉제선(15)이 사타구니 위치에 형성되어 착용감을 높일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전면(11)과 후면(미도시)으로 구분되어 재봉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전면(11) 내측에는 음낭을 수용할 수 있는 음낭수용부(20)를 형성하기 위한 음낭수용부 봉제선(2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인 팬티의 형상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도면은 팬티 본체(10)의 내면, 음경과 음낭이 밀착되는 팬티 본체(10)의 내부의 전면(11)이 보이도록 뒤집거나 팬티 본체(10)가 벌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음낭밴드(30, 30L, 30R)는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음낭밴드(30)로 구성되는데, 남성의 음낭 좌측을 받쳐주는 좌측 음낭밴드(30L)와, 음낭 우측을 받쳐주는 우측 음낭밴드(30R)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측 두 음낭밴드(30L, 30R)의 각 상변(L3)은 좌측 또는 우측 서혜부 라인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재봉되어 고정되고, 좌우측 두 음낭밴드의 각 하변(P1)은 회음부 부위(25)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각각 팬티 본체에 고정된다.
이 때, 상기 음낭밴드(30)의 상변(L3)은 내구성 향상을 위해, 서혜부 봉제선(15)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재봉질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제1 실시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2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측 음낭밴드(30L)와 우측 음낭밴드(30R)을 통칭하여, 음낭밴드(30) 또는 한 쌍의 음낭밴드(30L,30R)로 표현하기로 한다.
먼저, 음낭밴드와 팬티 본체와의 결합관계에 관한 제1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6를 기준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팬티 착용자의 신체를 좌우로 수직 분할하는 가상면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 음낭밴드(30L)와 우측 음낭밴드(30R)는 서로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좌측 음낭밴드(30L)를 중심으로 팬티 본체와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좌측 음낭밴드(30L) 상변(L3)의 양쪽 단부 꼭지점을 각각 제3 꼭지점(P3) 및 제4 꼭지점(P4)로 정의할 때, 상기 제3 꼭지점(P3) 또는 제4 꼭지점(P4) 중의 어느 한 꼭지점이 상기 서혜부 봉제선(15)의 상부 쪽에 위치되도록 배치하고, 나머지 한 꼭지점이 상기 서혜부 봉제선(15)의 하부 쪽에 위치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좌측 음낭밴드(30L)의 상변(L3)이 서혜부 봉제선(15)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재봉질에 의해 고정된다.
예를 들어, 도 2를 기준으로 하면, 상기 제3 꼭지점(P3)이 상기 서혜부 봉제선(15)의 상부 쪽에 위치한 제3 재봉점(P3')에, 제4 꼭지점(P4)이 상기 서혜부 봉제선(15)의 하부 쪽에 위치한 제4 재봉점(P4')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좌측 음낭밴드(30L)의 상변(L3)이 서혜부 봉제선(15)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고정된다. 상기 제3 재봉점(P3')과 제4 재봉점(P4') 사이의 간격은 상기 좌측 음낭밴드(30L)의 상변(L3)의 길이와 동일하다.
좌측 서혜부 봉제선을 따라 상변(L3)이 고정되고 하변(L1)이 고정되지 않은 상기 좌측 음낭밴드(30L)는, 그 좌측면(이하 '제1면(31)'이라 한다)은 바깥쪽을 향하게 되고, 그 우측면(이하 '제2면(32)'이라 한다)이 안쪽을 향하게 된다. 좌측 음낭밴드(30L)와 대칭되는 우측 음낭밴드(30R)는 그 우측면(이하 '제1면(31)'이라 한다)은 바깥쪽을 향하게 되고, 그 좌측면(이하 '제2면(32)'이라 한다)이 안쪽을 향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상변(L3)이 고정된 좌측 음낭밴드(30L)의 하변(L1)을 상기 팬티 본체의 회음부 부위(25)에 고정함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변(L3)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좌측 음낭밴드(30L)를 시계방향으로 180도 비틀어서,
상기 좌측 음낭밴드(30L) 하변(L1)의 제1 꼭지점(P1)은 상기 서혜부 라인과 회음부 라인이 만나는 제1 재봉점(P1')에 위치되게 하고,
하변(L1)의 제2 꼭지점(P2)은 상기 제1 재봉점(P1')에서 상기 서혜부 라인을 따라 상기 하변(L1)의 길이만큼 허리밴드 쪽으로 이동된 제2 재봉점(P2')에 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좌측 음낭밴드(30L)의 하변(L1)이 상기 서혜부 봉제선(15)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다른 표현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상변(L3)이 고정된 좌측 음낭밴드(30L)의 하변(L1)을 상기 팬티 본체의 회음부 부위(25)에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상변(L3)이 고정된 상기 좌측 음낭밴드(30L)를 시계방향으로 180도 비틀어서 상기 좌측 음낭밴드(30L)의 제1면(31)은 안쪽을 향하게, 제2면(32)은 바깥쪽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하변(L1)의 양단 두 꼭지점(P1)(P2)을 각각 제1 재봉점(P1') 및 제2 재봉점(P2')에 고정시킨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재봉점(P1')의 위치는 상기 서혜부 라인과 회음부 라인이 만나는 지점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팬티 본체를 참고로 설명하면, 팬티 본체의 전면판과 후면판을 결합한 회음부 재봉선과 서혜부 봉제선이 만나는 지점에 제1 재봉점(P1')이 위치한다.
그러나, 상기 제1 재봉점(P1')의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예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팬티 본체의 회음부 부위에서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두 하변(L1) 사이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두 하변(L1) 사이의 이격거리는, 음낭 하부 즉 회음부에 인접한 부분에서 팬티 본체와 음낭밴드의 겹침을 최소화하면서 착용감을 저해하지 않는 정도가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두 하변(L1) 사이의 이격거리가 너무 좁으면 음낭 하부의 통풍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음낭이 팽창될 때에 음낭밴드가 팽팽해지면서 음낭에 압박감을 줄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하변(L1)이 먼저 고정된 음낭밴드(30)의 상변(L3)을 상기 팬티 본체의 서혜부 라인(15)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좌측 음낭밴드(30L)의 하변(L1) 두 꼭지점이 각각 제1 재봉점(P1') 및 제2 재봉점(P2')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좌측 음낭밴드(30L)의 제1면(31)은 바깥쪽을 향하게, 제2면(32)은 안쪽을 향하도록 상기 좌측 음낭밴드(30L)를 반시계방향으로 180도 비틀어서, 상기 상변(L3)의 양단 두 꼭지점(P3)(P4)을 각각 제3 재봉점(P3') 및 제4 재봉점(P4')에 고정심으로써, 도 3에 도시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대칭적 구성으로서, 상기 우측 음낭밴드(30R)의 제1면(31)도 상변에서는 바깥쪽을 향하게 재봉(고정)되지만, 상기 좌측 음낭밴드(30L)에 대칭되는 구조의 상기 우측 음낭밴드(30R)는 반시계방향으로 180도 뒤틀려서 상기 우측 음낭밴드(30R)의 제1면(31)이 안쪽을 향하게, 제2면(32)이 바깥쪽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하변(L1)의 양단 두 꼭지점(P1)(P2)들이 각각 제1 재봉점(P1') 및 제2 재봉점(P2')에 고정된다.
즉, 상기 좌측 음낭밴드(30L)는 시계방향으로 180도 뒤틀리고, 상기 우측 음낭밴드(30R)는 반시계방향으로 180도 뒤틀린 상태로,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각 하변(L1)의 양단 두 꼭지점(P1)(P2)들이 각각 제1 재봉점(P1') 및 제2 재봉점(P2')에 각각 고정된다.
도 3과 도 4,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낭밴드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낭밴드(30L,30R)는, 제1면(31)과 제2면(32)이 180도로 비틀어진 상태로 음낭밴드의 상변(L3)과 하변(L1)이 서혜부 봉제선(15)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된 구조이다.
따라서, 음낭수용부(20)에서 바깥쪽으로 가해지는 밀착력에 의해, 상기 음낭밴드는 바깥쪽으로 눌리게 되므로, 상변과 하변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꼬임에 의한 접힘선(3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접힘선(33)이 형성됨에 따라, 좌측 음낭밴드(30L)의 제1면(31)은 상변에 근접한 위치에서 '바깥면'을 형성하다가, 하변으로 내려가면서 상기 접힘선(33)을 경계선으로 하여 '안쪽면'으로 바뀌게 되어, 착용자의 음낭 좌측에 밀착된다.
이와 대칭적으로, 우측 음낭밴드(30R)의 제1면(31) 또한 마찬가지로 상변에 근접한 위치에서는 상기 제1면(31)이 '바깥'을 향하다가, 하변으로 내려가면서 상기 접힘선(33)을 경계선으로 하여 '안쪽'을 향하게 되어, 착용자의 음낭 우측에 밀착된다.
만약, 착용자의 체형이 크거나 음낭이 팽창하는 경우 또는 팬티를 치켜 올려 입는 경우에는, 회음부에 근접한 음낭수용부에서 넓고 큰 밀착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가장 높은 위치의 재봉점(도 3의 P3')에서부터 상기 접힘선(33)이 시작하여, 바깥쪽으로 드러나는 접힘선이 비스듬하게 형성되고, 음낭수용부의 하부 위치에서 음낭밴드가 넓은 면적으로 음낭의 하부쪽 좌우면을 긴밀하게 밀착, 지지하게 된다.
이와 달리, 착용자의 체형이 작거나 음경이 발달한 경우에는 음낭수용부의 상부 위치에서 밀착력이 음낭밴드에 가해지므로, 가장 낮은 위치의 재봉점(도 4의 P1')에서부터 상기 접힘선(33)이 시작하며, 음낭수용부의 중간에서부터 상부위치까지 음낭밴드가 넓은 면적을 형성하게 되어 음낭의 상부쪽 좌우면을 밀착, 지지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낭밴드가 구비된 남성용 기능성 팬티의 실물 사진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도면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티 본체 전면 내측에 좌우측 서혜부를 따라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한쌍의 음낭밴드는, 땀 흡수성과 통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착용자의 다양한 체형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음낭의 이완 및 수축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음낭을 지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2 및 도 3에서의 음낭밴드의 비틀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비틀어진 음낭밴드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변(L3)이 고정된 좌측 음낭밴드(30L)의 하변(L1)을 상기 팬티 본체의 회음부 부위(25)에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상변(L3)이 고정된 상기 좌측 음낭밴드(30L)를 반시계방향으로 180도 비틀었다는 점 이외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음낭밴드(30L)의 바깥쪽 제1면(31)은 안쪽을 향하게, 안쪽 제2면(32)은 바깥쪽을 향하게 반바퀴 꼰 상태에서, 상기 하변(L1)의 양단 두 꼭지점(P1)(P2)을 각각 제1 재봉점(P1') 및 제2 재봉점(P2')에 고정시킨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좌측 음낭밴드(30L)는 반시계방향으로 180도 뒤틀리고, 상기 우측 음낭밴드(30R)는 시계방향으로 180도 뒤틀린 상태로,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각 하변(L1)의 양단 두 꼭지점(P1)(P2)들이 각각 제1 재봉점(P1') 및 제2 재봉점(P2')에 각각 고정된다.
도2 및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낭밴드의 작용효과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봉점(P1')과 제4 재봉점(P4') 사이의 이격거리, 그리고 상기 제2 재봉점(P2')과 제3 재봉점(P3') 사이의 이격거리는, 당연히 상기 제1 장변(L4) 및 제2 장변(L2)의 길이보다 짧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음낭밴드(30L)(30R)와 상기 서혜부 라인(또는 팬티의 내부 전면) 사이에 여유공간(도면부호 35 참조)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음낭밴드(30L)(30R)는 착용자의 사타구니와 음낭 사이에 위치되는 구성이므로, 당연히 팬티의 내부 전면(서혜부 라인)에 밀착되지 않고 느슨함이 구비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티 본체의 서혜부 라인(15)에 대해 충분하게 이격되어 생기는 여유공간(도면부호 35 참조)에 의해 통기공(35)이 형성되므로, 음낭 표피의 통기가 원활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팬티 본체의 사이즈에 적합한 음낭밴드의 규격 치수를 간략히 설명하면 하기 [표1]과 같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팬티
사이즈
재봉점(P1'-P4')의
이격거리
음낭밴드의 규격 (단위:cm)
장변(L4)(L2) 단변(L1)(L3) 폭(W)
95 10.5~11.5 cm 12 cm 3 cm 단변과 동일
100~105 11.5~12.5 cm 13 cm 3~4 cm 단변과 동일
110 12.5~13.5 cm 14 cm 3~4 cm 단변과 동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팬티 본체의 사이즈 규격에 따라 음낭밴드의 장변(L4)(L2) 길이와, 해당 장변을 잇는 두 재봉점(P1'-P4')(P2'-P3') 사이의 이격거리의 비율은, 1 : 0.85 ~ 1 : 0.93 정도의 범위에서 최적의 착용감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대로 적용되는 범위 내에서, 음낭밴드의 재질(신축성)과 착용자의 체형특성에 따라, 본 발명의 설명에서 기재한 '장변과 재봉점 이격거리의 비율'이 증감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음낭밴드를 구비한 남성용 기능성 팬티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음낭밴드를 구비한 남성용 기능성 팬티는, 착용이 매우 간편하고, 좌우측 음낭밴드의 장변이 음낭과 허벅지 사이 사타구니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낭 아래 부분에서의 착용감과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음낭의 팽창 이완 시에도 음낭에 압박감을 주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음낭을 지지할 수 있는 우수한 작용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팬티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된 한 쌍의 음낭밴드를 반바퀴 비틀어서 서혜부 봉제선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과 하변을 고정한 것으로서, 그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공정이 간단하고, 짜투리 원단(특히, 팬티 본체를 재단하고 남은 짜투리)과 동일한 소재로 음낭밴드를 제작하더라도 착용자의 사타구니에 안정적으로 밀착이 가능하므로 생산원가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기능성 팬티는, 좌측 음낭밴드와 우측 음낭밴드를 연결하는 연결밴드(40)를 더 구비함으로써, 좌우측 음낭밴드 사이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밴드로써 음낭과 음경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되므로 음경 하부와 음낭 사이의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팬티는, 상기 좌측 음낭밴드(30L)와 우측 음낭밴드(30R)를 연결하는 연결밴드(40)를 더 구비하되,
상기 연결밴드(40)는, 착용자의 음낭과 음경이 분리되는 위치에서 착용자의 음낭이 밀착하는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면에 상기 연결밴드(40)의 좌우 양 단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낭밴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에 연결밴드가 결합된 실시예의 전면 내측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따른 기능성 팬티의 전면 내측을 촬영한 실물 사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우측 음낭밴드(30L,30R)는 연결밴드(40)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연결밴드(40)의 좌측 봉제선(40L)은 좌측 음낭밴드(30L)의 제1면(31)에서 상기 좌측 음낭밴드의 장변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밴드(40)의 우측 봉제선(40R)은 우측 음낭밴드(30R)의 제1면(31)에서 상기 좌측 음낭밴드의 장변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좌우측 음낭밴드에 연결된 상기 연결밴드(40)는, 상기 연결밴드(40)의 양면이 상하를 향하게 되는 입체구조, 즉 상기 연결밴드(40)의 양면이 상기 팬티 전면에 평행하지 않고 세워지는 입체구조를 형성하게 되므로, 착용감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연결밴드(40)는 착용자의 음낭과 음경의 경계 부위에서 대략적으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성인 남성의 평균 체형을 기준으로 하면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상변(L3)으로부터 2.5 ~ 3.5 cm 정도 하변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한 연결밴드(40)가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상변(L3)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는 착용자의 체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밴드(40)의 폭은, 좌우측 음낭밴드 사이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고 착용자의 음경 하부와 음낭 사이의 통기성을 향상시키고 착용감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가변될 수 있으나, 제품의 미관을 고려할 때 상기 연결밴드(40)의 폭은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의 폭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기 연결밴드(40)의 길이는, 좌측 음낭밴드와 우측 음낭밴드의 간격이 적정하도록, 즉 좌우측 음낭밴드가 각각 착용자의 음낭 좌측과 음낭 우측을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길이면 충분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팬티 사이즈 105를 기준할 때, 좌측 서혜부 봉제선과 우측 서혜부 봉제선 사이의 간격이 대개 12.5 ~ 13.5 cm 정도로 제조되는데, 이러한 105 사이즈 규격의 팬티인 경우에 상기 연결밴드(40)의 길이는 약 9.5 ~ 10.5 cm 정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한 좌우측 음낭밴드 및 연결밴드의 치수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팬티 원단의 신축성, 착용자의 체형 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낭밴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에 연결밴드가 결합된 실시예의 전면 내측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연결밴드(40)의 좌측 봉제선(40L)은 좌측 음낭밴드(30L)의 제2면(32)에서 상기 좌측 음낭밴드의 장변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밴드(40)의 우측 봉제선(40R)은 우측 음낭밴드(30R)의 제2면(32)에서 상기 좌측 음낭밴드의 장변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밴드(40)는, 도 9의 예시에서는 제1면(31)에 고정된 반면, 도 11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제2면(32)에 고정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도 9의 예시에서는 제1면(31)이 착용자 음낭이 밀착하는 면이고, 도 11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제2면(32)이 착용자 음낭이 밀착하는 면이라는 점에서,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연결밴드의 기능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상기 연결밴드(40)의 좌우 양 단은 착용자 음낭이 밀착하는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남성용 기능성 팬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 팬티 본체 11 : 전면
15 : 서혜부 봉제선
20 : 음낭수용부 21 : 음낭수용부 봉제선
25 : 회음부
30 : 음낭밴드 (30L: 좌측 음낭밴드, 30R: 우측 음낭밴드)
31 : 제1면(내측면), 32 : 제2면(외측면), 33 : 접힘선
40: 연결밴드 (40L: 좌측 봉제선, 40R: 우측 봉제선)
W : 음낭밴드의 폭
L12 : 하변 L34 : 상변
L13 : 제1장변 L24 : 제2장변
P1 : 제1 꼭지점 P1': 제1 재봉점
P2 : 제2 꼭지점 P2': 제2 재봉점
P3 : 제3 꼭지점 P3': 제3 재봉점
P4 : 제4 꼭지점 P4': 제4 재봉점
35 : 통기공

Claims (5)

  1. 삭제
  2. 팬티 본체(10)와;
    상기 팬티 본체의 전면에 고정되어 착용자의 좌측 허벅지와 음낭 좌측부를 분리시키는 좌측 음낭밴드(30L)와, 상기 팬티 본체의 전면에 고정되어 착용자의 우측 허벅지와 음낭 우측부를 분리시키는 우측 음낭밴드(30R)로 구성되는 음낭밴드(30)를 구비하되;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는 제1 장변(L4)과 제2 장변(L2), 그리고 상기 제1 장변(L4)과 제2 장변(L2)보다 길이가 짧은 상변(L3)과 하변(12)으로 구성되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상변(L3)은 상기 팬티 본체의 좌우측 서혜부 라인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각각 고정되고,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하변(L1)은 각각 상기 팬티 본체의 회음부 부위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팬티 본체의 좌우측 서혜부 라인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각각 고정되는 남성용 기능성 팬티로서,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제1 장변(L4)과 하변(L1)이 만나는 점을 제1 꼭지점(P1)이라 하고,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제2 장변(L2)과 하변(L1)이 만나는 점을 제2 꼭지점(P2)이라 하고,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제2 장변(L2)과 상변(L3)이 만나는 점을 제3 꼭지점(P3)이라 하고,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제1 장변(L4)과 상변(L3)이 만나는 점을 제4 꼭지점(P4)이라 할 때,
    상기 상변(L3)의 제3 꼭지점(P3) 또는 제4 꼭지점(P4) 둘 중의 어느 한 꼭지점이 상기 팬티 본체의 서혜부 라인 상의 제3 재봉점(P3')에 고정되고;
    상기 상변(L3)의 또다른 한 꼭지점은 상기 제3 재봉점(P3')에서 상기 서혜부 라인을 따라 상기 상변(L3)의 길이만큼 회음부 쪽으로 이동된 제4 재봉점(P4')에 고정되고;
    상기 제4 재봉점(P4')에 고정된 꼭지점과 동일한 장변을 공유하는 다른 한 꼭지점(P1)을 상기 서혜부 라인과 회음부 라인이 만나는 제1 재봉점(P1')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재봉점(P1')에 고정된 꼭지점과 하변을 공유하는 다른 한 꼭지점(P2)을, 상기 제1 재봉점(P1')에서 상기 서혜부 라인을 따라 상기 하변(L1)의 길이만큼 허리밴드 쪽으로 이동된 제2 재봉점(P2')에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좌측 음낭밴드(30L)는 시계방향으로 180도 뒤틀리고, 상기 우측 음낭밴드(30R)는 반시계방향으로 180도 뒤틀린 상태로,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각 하변(L1)의 양단 두 꼭지점(P1)(P2)들이 각각 제1 재봉점(P1') 및 제2 재봉점(P2')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기능성 팬티.
  3. 팬티 본체(10)와;
    상기 팬티 본체의 전면에 고정되어 착용자의 좌측 허벅지와 음낭 좌측부를 분리시키는 좌측 음낭밴드(30L)와, 상기 팬티 본체의 전면에 고정되어 착용자의 우측 허벅지와 음낭 우측부를 분리시키는 우측 음낭밴드(30R)로 구성되는 음낭밴드(30)를 구비하되;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는 제1 장변(L4)과 제2 장변(L2), 그리고 상기 제1 장변(L4)과 제2 장변(L2)보다 길이가 짧은 상변(L3)과 하변(12)으로 구성되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상변(L3)은 상기 팬티 본체의 좌우측 서혜부 라인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각각 고정되고,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하변(L1)은 각각 상기 팬티 본체의 회음부 부위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팬티 본체의 좌우측 서혜부 라인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각각 고정되는 남성용 기능성 팬티로서,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제1 장변(L4)과 하변(L1)이 만나는 점을 제1 꼭지점(P1)이라 하고,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제2 장변(L2)과 하변(L1)이 만나는 점을 제2 꼭지점(P2)이라 하고,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제2 장변(L2)과 상변(L3)이 만나는 점을 제3 꼭지점(P3)이라 하고,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제1 장변(L4)과 상변(L3)이 만나는 점을 제4 꼭지점(P4)이라 할 때,
    상기 상변(L3)의 제3 꼭지점(P3) 또는 제4 꼭지점(P4) 둘 중의 어느 한 꼭지점이 상기 팬티 본체의 서혜부 라인 상의 제3 재봉점(P3')에 고정되고;
    상기 상변(L3)의 또다른 한 꼭지점은 상기 제3 재봉점(P3')에서 상기 서혜부 라인을 따라 상기 상변(L3)의 길이만큼 회음부 쪽으로 이동된 제4 재봉점(P4')에 고정되고;
    상기 제4 재봉점(P4')에 고정된 꼭지점과 동일한 장변을 공유하는 다른 한 꼭지점(P1)을 상기 서혜부 라인과 회음부 라인이 만나는 제1 재봉점(P1')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재봉점(P1')에 고정된 꼭지점과 하변을 공유하는 다른 한 꼭지점(P2)을, 상기 제1 재봉점(P1')에서 상기 서혜부 라인을 따라 상기 하변(L1)의 길이만큼 허리밴드 쪽으로 이동된 제2 재봉점(P2')에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좌측 음낭밴드(30L)는 반시계방향으로 180도 뒤틀리고, 상기 우측 음낭밴드(30R)는 시계방향으로 180도 뒤틀린 상태로,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각 하변(L1)의 양단 두 꼭지점(P1)(P2)들이 각각 제1 재봉점(P1') 및 제2 재봉점(P2')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기능성 팬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음낭밴드의 장변(L4)(L2) 길이는,
    상기 제1 재봉점(P1')과 제4 재봉점(P4') 사이의 이격거리 또는 상기 제2 재봉점(P2')과 제3 재봉점(P3')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팬티 본체의 좌우측 서혜부 라인에 대해 여유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기능성 팬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음낭밴드(30L)와 우측 음낭밴드(30R)를 연결하는 연결밴드(40)를 더 구비하되,
    상기 연결밴드(40)는, 착용자의 음낭과 음경이 분리되는 위치에서 착용자의 음낭이 밀착하는 상기 좌우측 음낭밴드(30L)(30R)의 면에 상기 연결밴드(40)의 좌우 양 단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1020220101741A 2022-08-16 2022-08-16 착용감이 향상된 한 쌍의 음낭밴드를 구비한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102493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741A KR102493205B1 (ko) 2022-08-16 2022-08-16 착용감이 향상된 한 쌍의 음낭밴드를 구비한 남성용 기능성 팬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741A KR102493205B1 (ko) 2022-08-16 2022-08-16 착용감이 향상된 한 쌍의 음낭밴드를 구비한 남성용 기능성 팬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205B1 true KR102493205B1 (ko) 2023-01-30

Family

ID=85106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741A KR102493205B1 (ko) 2022-08-16 2022-08-16 착용감이 향상된 한 쌍의 음낭밴드를 구비한 남성용 기능성 팬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205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841U (ko) * 1998-06-05 1998-10-07 류시완 팬츠
JP2000129502A (ja) * 1998-10-16 2000-05-09 Fujitani Akio 男性用パンツ
KR200252493Y1 (ko) 2001-08-08 2001-11-23 이영숙 남성용 팬티
KR20120132009A (ko) * 2011-05-27 2012-12-05 문종웅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101551364B1 (ko) 2014-01-24 2015-09-08 주식회사 좋은사람들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101987604B1 (ko) 2018-01-23 2019-06-12 유제우 남성용 팬티
KR102075867B1 (ko) 2019-07-03 2020-02-10 김태영 기능성 팬티
WO2020120958A1 (en) * 2018-12-11 2020-06-18 Uber Active Limited Fabric garment for men
KR102198590B1 (ko) 2020-07-27 2021-01-05 백종일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20210001338U (ko) * 2019-12-06 2021-06-16 (주)바디사이언스 남성용 팬티
KR102291104B1 (ko) 2021-04-16 2021-08-19 백종일 한 쌍의 음낭밴드를 구비한 남성용 기능성 팬티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841U (ko) * 1998-06-05 1998-10-07 류시완 팬츠
JP2000129502A (ja) * 1998-10-16 2000-05-09 Fujitani Akio 男性用パンツ
KR200252493Y1 (ko) 2001-08-08 2001-11-23 이영숙 남성용 팬티
KR20120132009A (ko) * 2011-05-27 2012-12-05 문종웅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101269887B1 (ko) 2011-05-27 2013-05-31 문종웅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101551364B1 (ko) 2014-01-24 2015-09-08 주식회사 좋은사람들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101987604B1 (ko) 2018-01-23 2019-06-12 유제우 남성용 팬티
WO2020120958A1 (en) * 2018-12-11 2020-06-18 Uber Active Limited Fabric garment for men
KR102075867B1 (ko) 2019-07-03 2020-02-10 김태영 기능성 팬티
KR20210001338U (ko) * 2019-12-06 2021-06-16 (주)바디사이언스 남성용 팬티
KR102198590B1 (ko) 2020-07-27 2021-01-05 백종일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102291104B1 (ko) 2021-04-16 2021-08-19 백종일 한 쌍의 음낭밴드를 구비한 남성용 기능성 팬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4997A (en) Disposable garments of pants type
JP3478722B2 (ja) 使い捨ておむつ
CA2043016C (en) Disposable garments of pants type
US5797824A (en) Disposable diaper with padded waistband and legholes
US6428524B1 (en) Panty-type sanitary napkin
CN108348365B (zh) 吸收性物品
US20060162052A1 (en) Male undergarment with protective pouch
MY122338A (en)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having stretchable side waist regions
CZ98596A3 (en) Sanitary pad
KR102291104B1 (ko) 한 쌍의 음낭밴드를 구비한 남성용 기능성 팬티
JP2002209938A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KR102555430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CA2528775A1 (en) Folding structure of disposable pants, and disposable pants
KR102198590B1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US8016804B2 (en) Hygienic band hav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430682Y1 (ko) 기능성 팬티
KR102493205B1 (ko) 착용감이 향상된 한 쌍의 음낭밴드를 구비한 남성용 기능성 팬티
CN211131730U (zh) 一种裤型卫生巾
JP3171813B2 (ja) 使い捨て紙おむつ
KR20020033423A (ko)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
CN107708630A (zh) 吸收性物品
JPH11197179A (ja) 生理用品
KR200485849Y1 (ko) 분리형 남성속옷
CN219920324U (zh) 一种男士无痕内裤
KR102495571B1 (ko) 고환의 정자 활성화 및 배눌림 방지 남성 기능성 속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