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0985A - 목받침대 및 목받침대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목받침대 및 목받침대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0985A
KR20170100985A KR1020160023584A KR20160023584A KR20170100985A KR 20170100985 A KR20170100985 A KR 20170100985A KR 1020160023584 A KR1020160023584 A KR 1020160023584A KR 20160023584 A KR20160023584 A KR 20160023584A KR 20170100985 A KR20170100985 A KR 20170100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member
cover
longitudinal direction
extension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쉬즈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쉬즈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쉬즈원
Priority to KR1020160023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0985A/ko
Publication of KR20170100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9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는 플렉시블한 판상의 본체부재와, 상기 본체부재를 감싸는 천으로 이루어진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길이 방향 양단에 서로 착탈 가능한 연결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목받침대 및 목받침대 제조 방법{The neck prop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목받침대 및 목받침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부피가 작아 보관과 휴대가 용이하며 착용성이 우수한 목받침대 및 목받침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받침용 쿠션은 가정, 직장 또는 자동차 운전 시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여 목의 좌, 우측부분과 뒷부분을 안정적으로 받쳐주어 피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목받침용 쿠션(1)은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목받침용 쿠션(1)은 커버 내측에 솜이나 스폰지 등의 쿠션재료가 내장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목받침용 쿠션(1)에는 커버 내측에 부피가 큰 솜이나 스폰지 등의 쿠션재료가 내장되어 이동시 부피가 커 휴대가 불편하며 보관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5947호(2014.12.17)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부피가 작아 보관과 휴대가 용이하며, 슬릿이 형성된 판상의 플렉시블한 본체부재와 신축성있는 스판 소재의 천인 커버부재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착용성이 우수한 목받침대 및 목받침대 제조 방법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는 플렉시블한 판상의 본체부재와, 상기 본체부재를 감싸는 천으로 이루어진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길이 방향 양단에 서로 착탈 가능한 연결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는 플레시블한 판상의 본체부재와, 상기 본체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천으로 이루어진 커버부재와, 상기 본체부재 또는 커버부재의 양단에 서로 착탈 가능한 연결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본체부재에 접착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어느 하나는 본체부재에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는 길이 방향 반대쪽으로 상기 커버부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본체부재의 상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의 제1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는 신축성 있는 스판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본체부재의 하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의 제2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본체부재의 하부에는 하향 돌출된 하부돌출부가 형성되어 길이 방향 양단의 폭이 증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본체부재의 상부에는 상향 돌출된 상부돌출부가 형성되어 길이 방향 양단의 폭이 증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본체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연장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의 어느 하나는 상기 연장부에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는 길이 방향 반대쪽으로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커버부의 폭 방향 양단부로부터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연장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일측 단부가 상기 커버부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장부재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 제조 방법은 플렉시블한 판상의 본체부재와, 신축성있는 스판 소재의 천으로 이루어진 커버부재가 준비되는 단계(재료 준비 단계)와;
상기 본체부재와 커버부재가 재단되는 단계(재단단계)와;
상기 본체부재가 커버부재로 감싸지도록 봉제되는 단계(봉제 단계)와;
상기 커버부재의 양단에 서로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단계(연결부재 결합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재단단계에서는 상기 본체부재의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상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슬릿이 형성(슬릿 형성단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슬릿 형성단계 전에 상기 본체부재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폭 방향으로 하부에 하향 돌출된 하부돌출부가 형성(하부돌출부 형성단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슬릿 형성단계와 하부돌출부 형성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연결부재 결합단계 전에 상기 본체부재에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커버부재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측 단부로 돌출된 연장부재를 더 결합시키는 단계(연장부재 결합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 결합단계에서 연결부재는 상기 연장부재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에 구비되도록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연결부재 결합단계는 상기 봉제단계 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연장부재가 상기 커버부재에 결합(연장부재 결합단계)되기 전에 상기 연장부재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에 연결부재가 결합(연결부재 결합단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봉제단계에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본체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접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봉제단계는 재단단계 전에 이루어지며;
상기 봉제단계에서는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본체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접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 및 목받침대 제조 방법는 부피가 작아 보관과 휴대가 용이하고, 플렉시블한 판상인 본체부재에 슬릿이 형성되어 변형이 가능하며 신축성 스판 소재의 천로 이루어진 커버부재의 신축성에 의해 본체부재의 변형이 탄성 지지되어 착용시 착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착용시 상하 방향으로 목의 피부를 팽팽하게 하여 주름을 펴주는 리프팅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목받침용 쿠션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의 전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의 후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의 본체부재의 변형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 및 목받침대 제조 방법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의 전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의 후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의 본체부재의 변형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에서 가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세로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100) 착용시 피부를 향하는 쪽을 "전면"으로 하고, 그 반대 쪽을 "후면"으로 하여 기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100)는 본체부재(110)와, 본체부재(110)를 감싸는 커버부재(130)와, 연결부재(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재(110)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재(11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재(110)의 길이 방향 길이는 폭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재(110)의 모서리는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재(110)는 플렉시블(flexible)한 천연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합성수지로는 연성 PVC(예:우레탄, 비닐 등) 등이 있다. 상기 본체부재(110)의 두께는 1∼3㎜로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재(110)의 예로 온라인 마켓인 "주연상사"에서 판매하는 유리대용 투명매트(두께 예: 1㎜, 2㎜)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재(110)는 커버부재(130) 내에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재(110)는 본체(111)와 하부돌출부(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1)는 대략 사각형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본체(111)의 상단과 하단은 나란하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111)의 상부에는 상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제1 슬릿(111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슬릿(111a)의 하단은 상기 본체(111)의 하부에 형성된 제2 슬릿(111b)의 상단과 상하 방향으로 이격 형성된다. 상기 제1 슬릿(111a)에 의하여 상단은 절개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슬릿(111a)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슬릿(111a)은 서로 이격 형성된다. 복수로 형성된 제1 슬릿(111a)은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길이 방향 중심부로 갈수록 깊이가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슬릿(111a)에 의해 분리되는 부분은 서로 접할수도 있고 이격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11)에는 제1 슬릿(111a)과 제2 슬릿(111b)이 형성되어 착용시 변형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상기 슬릿이 형성되어 변형이 자유로우나 커버부재(130)의 스판성에 의해 상기 본체부재(110)가 지지된다.
상기 본체(111)의 하부에는 하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된 제2 슬릿(111b)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슬릿(111b)이 형성되어 하단은 절개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슬릿(111b)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슬릿(111b)은 서로 이격 형성된다. 상기 제2 슬릿(111b)의 상단은 상기 제1 슬릿(111a)의 하단과 이격 형성된다. 상기 제2 슬릿(111b)은 상기 제1 슬릿(111a)과 일치되거나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슬릿(111b)에 의해 분리되는 부분은 서로 접할수도 있고 이격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돌출부(113)는 상기 본체(111)의 하단의 길이 방향 양측에 구비된다. 상기 하부돌출부(113)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향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재(110)는 길이 방향 양단에 상기 하부돌출부(113)가 형성되어 길이 방향 양단의 폭이 증가된다.
상기 하부돌출부(113)에는 제2 슬릿(111b)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슬릿(111b)은 하단으로부터 상향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2 슬릿(111b)이 형성되어 하단은 절개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슬릿(111b)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슬릿(111b)은 서로 이격 형성된다. 상기 제2 슬릿(111b)의 상단은 상기 제1 슬릿(111a)의 하단과 이격 형성된다. 상기 제2 슬릿(111b)은 상기 제1 슬릿(111a)과 일치되거나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슬릿(111b)에 의해 분리되는 부분은 서로 접할수도 있고 이격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돌출부(113)가 형성됨에 따라 착용시 신체의 쇄골 측이 지지되어 압박감 없이 착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1)에는 상부돌출부(11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부돌출부(115)는 상기 본체(111)의 상단의 길이 방향 양측에 구비된다. 상기 상부돌출부(115)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향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재(110)는 길이 방향 양단에 상기 상부돌출부(115)가 형성되어 길이 방향 양단의 폭이 증가된다.
상기 상부돌출부(115)에는 제1 슬릿(111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슬릿(111a)은 상단으로부터 하향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1 슬릿(111a)이 형성되어 상단은 절개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슬릿(111a)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슬릿(111a)은 서로 이격 형성된다. 상기 제1 슬릿(111a)의 하단은 상기 제2 슬릿(111b)의 상단과 이격 형성된다. 상기 제1 슬릿(111a)은 상기 제2 슬릿(111b)과 일치되거나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슬릿(111a)에 의해 분리되는 부분은 서로 접할수도 있고 이격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돌출부가 형성됨에 따라 착용시 신체의 귀밑이 지지되며 얼굴의 일부를 감싸도록 위치되어 압박감 없이 착용된다.
상기 본체부재(110)는 플렉시블한 재질이며, 상기 제1 슬릿(111a)과 제2 슬릿(111b)이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접어서 보관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 커버부재(130)는 섬유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재(130)는 2겹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재(110)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30)의 가장자리 형상은 상기 본체부재(110)의 가장자리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재(130)는 상기 본체부재(110)의 전방에만 구비되어 본체부재(110)의 후방이 노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부재(130)는 신축성있는 스판 섬유(예:스판덱스(spandex))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온라인 상으로 "천마트"에서 판매하는 벨벳-진레드, "원단1번지"에서 판매하는 면10수스판-심플머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30)는 커버부(131)와 연장부재(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131)는 신축성있는 스판소재의 천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131)는 2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부(131)는 상기 본체부재(110)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상기 커버부(131)는 폭 방향 중심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박음질(131a)되어 상기 본체부재(110)와 서로 고정된다. 상기 커버부(131)는 상기 본체부재(110)의 전면에 적층되어 접착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연장부재(133)는 상기 커버부(131)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재(133)는 상기 커버부(131)의 폭 방향 양단부로부터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재(133)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일측 단부가 상기 커버부(131)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133)의 타측 단부는 상기 커버부(131)의 타측 단부와 일치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재(133)의 단부와 커버부(131)의 단부가 일치된다는 의미는 제조시 발생할 수 있는 연장부재(133)의 단부와 커버부(131)의 단부 사이의 미세한 이격 거리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재(133)는 커버부(131)의 폭 방향 중심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박음질(131a)되어 상기 커버부(131) 및 본체부재(110)와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재(110)의 전면으로 커버부재(130)와 본체부재(110) 사이에는 쿠션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쿠션부재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쿠션부재의 가장자리는 상기 본체부재(110)의 가장자리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쿠션부재의 상단은 상기 본체부재(110)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쿠션부재의 가장자리는 상기 본체부재(110)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재(110)는 상기 쿠션부재에 의해 전방의 일부만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쿠션부재는 폼(foam)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쿠션부재는 스펀지나 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50)는 상기 커버부재(13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150)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재(150)로는 벨크로, 똑딱단추(snap) 등이 사용된다. 상기 연결부재(150) 중 하나는 상기 연장부재(133)의 전면에 고정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는 길이 방향 반대쪽으로 커버부(131)의 후면에 고정 구비된다.
상기 커버부재(130)가 상기 본체부재(110)의 전면만 적층되어 부착 구비된 경우, 상기 연결부재(150)는 길이 방향 양단에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150) 중 하나는 상기 연장부재(133)의 전면에 고정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는 길이 방향 반대쪽으로 본체부재(110)의 후면에 고정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150)는 서로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100)는 폐회로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150)는 상기 본체부재(110)의 양단이 오버랩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150)는 상기 목받침대(100)의 길이 방향 양단부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부재(150)는 끈 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150)가 끈 부재로 구비된 경우, 상기 연결부재(150)는 상기 커버부재(130)의 길이 방향 단부에 각각 박음질되어 구비된다. 착용시 양단의 끈부재를 묶어서 착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100)는 슬릿이 형성된 플렉시블한 재질인 판상의 고무인 본체부재(110)와 신축성 스판 섬유인 커버부재(130)의 결합에 의해 착용시 목이 편하게 지지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100)는 신체의 목 둘레를 따라 감싸며 결합부재(150)가 서로 결합되며 착용된다. 착용에 있어서, 상기 목받침대(100)의 하부돌출부(113)의 단부는 신체의 쇄골로부터 하향 이격 위치되어 쇄골을 지지하고, 상부돌출부(115)의 단부는 신체의 턱 및 볼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돌출부(115)의 전면이 턱부분을 지지하며 착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돌출부(115)의 단부는 귀로부터 하향 이격된 곳에 위치되도록 착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100)는 상기 본체부재(110)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변형이 용이하며, 상기 커버부재(130)는 신축성 스판 섬유로 이루어져 신축되면서 본체부재(110)의 변형을 탄성 지지하며 목을 편안하게 지지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받침대(100)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목받침대(100)는 재료 준비 단계(ST-110)와, 재단단계(ST-130)와, 봉제 단계(ST-150)와, 연결부재 결합 단계(ST-1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재료 준비 단계(ST-100) 에서는 플렉시블한 판상의 본체부재(110)와 신축성있는 스판 소재의 천으로 이루어진 커버부재(130)가 준비된다.
상기 재단단계(ST-130)에서는 상기 본체부재(110)와 커버부재(130)가 재단된다. 상기 재단단계(ST-130)에서는 상기 본체부재(110)의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상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슬릿이 형성(슬릿 형성단계)된다. 상기 슬릿 형성단계 전에 상기 본체부재(11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폭 방향으로 하부에 하향 돌출된 하부돌출부(113)가 형성(하부돌출부 형성단계)될 수 있다. 상기 슬릿 형성단계와 하부돌출부 형성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봉제단계(ST-150)에서는 상기 본체부재(110)가 커버부재(130)로 감싸지도록 봉제된다. 상기 봉제단계(150)에서 상기 커버부재(130)는 상기 본체부재(1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상기 봉제단계(ST-150)에서는 상기 커버부재(130)가 상기 본체부재(1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접착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봉제단계(ST-150)는 재단단계(ST-130) 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 결합 단계(ST-170)에서는 상기 커버부재(130)의 양단에 서로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부재(150)가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재 결합단계(ST-170)에서 연결부재(150)는 상기 연장부재(133)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에 구비되도록 결합시킨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 결합단계(ST-170)는 상기 봉제단계(ST-150) 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 결합단계(ST-170) 전에는 연장부재 결합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 결합단계에서는 상기 본체부재(110)에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커버부재(130)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측 단부로 돌출된 연장부재(133)가 더 결합된다. 상기 연장부재 결합단계에서는 상기 연장부재(133)가 상기 커버부재(130)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재(150)가 커버부재(130)에 결합되기 전에 상기 연장부재(133)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에 연결부재(150)가 결합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목받침대 및 목받침대 제조 방법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목받침대
110 : 본체부재 111 : 본체
113 : 하부돌출부 115 : 상부돌출부
130 : 커버부재 131 : 커버부
133 : 연장부재 150 : 연결부재

Claims (17)

  1. 플렉시블한 판상의 본체부재(110)와, 상기 본체부재(110)를 감싸는 천으로 이루어진 커버부재(130)와, 상기 커버부재(130)의 길이 방향 양단에 서로 착탈 가능한 연결부재(150)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
  2. 플레시블한 판상의 본체부재(110)와, 상기 본체부재(1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천으로 이루어진 커버부재(130)와, 상기 본체부재(110) 또는 커버부재(130)의 양단에 서로 착탈 가능한 연결부재(150)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부재(130)는 상기 본체부재(110)에 접착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150)의 어느 하나는 본체부재(110)에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는 길이 방향 반대쪽으로 상기 커버부재(13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110)의 상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의 제1 슬릿(111a)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130)는 신축성 있는 스판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110)의 하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의 제2 슬릿(111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110)의 하부에는 하향 돌출된 하부돌출부(113)가 형성되어 길이 방향 양단의 폭이 증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110)의 상부에는 상향 돌출된 상부돌출부(115)가 형성되어 길이 방향 양단의 폭이 증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30)는 상기 본체부재(1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커버부(131)와, 상기 커버부(131)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연장부재(133)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150)의 어느 하나는 상기 연장부(133)에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는 길이 방향 반대쪽으로 상기 커버부(131)에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재(133)는 상기 커버부(131)의 폭 방향 양단부로부터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33)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일측 단부가 상기 커버부(131)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150)는 상기 연장부재(133)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
  9. 플렉시블한 판상의 본체부재(110)와, 신축성있는 스판 소재의 천으로 이루어진 커버부재(130)가 준비되는 단계(ST-110;재료 준비 단계)와;
    상기 본체부재(110)와 커버부재(130)가 재단되는 단계(ST-130;재단단계)와;
    상기 본체부재(110)가 커버부재(130)로 감싸지도록 봉제되는 단계(ST-150;봉제 단계)와;
    상기 커버부재(130)의 양단에 서로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부재(150)가 결합되는 단계(ST-170;연결부재 결합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 제조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재단단계(ST-130)에서는 상기 본체부재(110)의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상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슬릿이 형성(슬릿 형성단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 제조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 형성단계 전에 상기 본체부재(11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폭 방향으로 하부에 하향 돌출된 하부돌출부(113)가 형성(하부돌출부 형성단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 제조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 형성단계와 하부돌출부 형성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 제조 방법.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결합단계(ST-170) 전에 상기 본체부재(110)에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커버부재(130)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측 단부로 돌출된 연장부재(133)를 더 결합시키는 단계(연장부재 결합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 결합단계(ST-170)에서 연결부재(150)는 상기 연장부재(133)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에 구비되도록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 제조 방법.
  14. 제9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결합단계(ST-170)는 상기 봉제단계(ST-150) 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 제조 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133)가 상기 커버부재(130)에 결합(연장부재 결합단계)되기 전에 상기 연장부재(133)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에 연결부재(150)가 결합(연결부재 결합단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 제조 방법.
  16. 제9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단계(150)에서 상기 커버부재(130)는 상기 본체부재(1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접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 제조 방법.
  17. 제9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단계(ST-150)는 재단단계(ST-130) 전에 이루어지며;
    상기 봉제단계(ST-150)에서는 상기 커버부재(130)가 상기 본체부재(1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접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 제조 방법.
KR1020160023584A 2016-02-26 2016-02-26 목받침대 및 목받침대 제조 방법 KR201701009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584A KR20170100985A (ko) 2016-02-26 2016-02-26 목받침대 및 목받침대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584A KR20170100985A (ko) 2016-02-26 2016-02-26 목받침대 및 목받침대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985A true KR20170100985A (ko) 2017-09-05

Family

ID=59924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584A KR20170100985A (ko) 2016-02-26 2016-02-26 목받침대 및 목받침대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09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M495193U (zh) 可調式腰背矯正減壓護具
KR101730124B1 (ko) 입체형 접이식 방진 마스크의 제조방법
US6775851B1 (en) Structure of chest protector
KR102570172B1 (ko) 마스크
WO2020171485A1 (ko) 무재봉 덧신의 제조방법
KR20170100373A (ko) 목받침대
KR200484976Y1 (ko) 목받침대
KR20170100985A (ko) 목받침대 및 목받침대 제조 방법
KR101803506B1 (ko) 폴더형 방진 마스크
US20200404999A1 (en) Head spin cap
KR20230141427A (ko) 슬립 방지 패드를 가진 골프 장갑
KR20170003025U (ko) 휴대용 목받침대
JP6806458B2 (ja) マスク
KR20170003854U (ko) 목받침대
KR20170102607A (ko) 목받침대 및 목받침대 제조 방법
KR20170114646A (ko) 목받침대
JP3117743U (ja) ドレーピングアイマスク
JP4570538B2 (ja) 立体型マスク
KR20170101503A (ko) 목받침대 및 목받침대 제조 방법
KR20170115001A (ko) 목받침대
TW201929796A (zh) 眼罩
JP3228164U (ja) マスク
CN201189389Y (zh) 护具
CN218869668U (zh) 一种vr头显便捷携带装置
KR200170212Y1 (ko) 정강이 보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