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915A - 압축기 모터 및 압축기 모터용 회전자의 착자 방법 - Google Patents

압축기 모터 및 압축기 모터용 회전자의 착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915A
KR20170114915A KR1020170015368A KR20170015368A KR20170114915A KR 20170114915 A KR20170114915 A KR 20170114915A KR 1020170015368 A KR1020170015368 A KR 1020170015368A KR 20170015368 A KR20170015368 A KR 20170015368A KR 20170114915 A KR20170114915 A KR 20170114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magnet
magnets
magnetizing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9774B1 (ko
Inventor
이동범
김경돈
류영주
최종현
황인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473,028 priority Critical patent/US10547221B2/en
Priority to ES17164595T priority patent/ES2756702T3/es
Priority to EP17164595.5A priority patent/EP3229347B1/en
Publication of KR20170114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1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06Inner rotors
    • H02K1/272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 H02K1/274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 H02K1/2753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the rotor consisting of magnets or groups of magnets arranged with alternating polarity
    • H02K1/278Surface mounted magnets; Inset 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2Compressor arrangements of motor-compressor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gnetising or demagnetising
    • H01F13/003Methods and devices for magnetis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06Inner rotors
    • H02K1/272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 H02K1/274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 H02K1/2753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the rotor consisting of magnets or groups of magnets arranged with alternating polarity
    • H02K1/276Magnets embedded in the magnetic core, e.g. interior permanent magnets [IP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rmanent Field Magnets Of Synchronous Machinery (AREA)

Abstract

압축기 모터 및 압축기 모터용 회전자의 착자방법이 개시된다.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자는, 코어; 상기 코어 내에 삽입된 복수의 마그네트; 및 상기 코어의 양단부를 덮고, 상기 코어와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들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메우도록 사출 성형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축기 모터 및 압축기 모터용 회전자의 착자 방법{COMPRESSOR MOTOR AND MAGNETIZATION METHOD OF ROTOR FOR COMPRESSOR MOTOR}
본 발명은 압축기 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자에 복수의 마그네트가 삽입된 압축기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사이클의 일요소를 이루는 압축기에는 압축기 모터가 구비되며, 이러한 압축기 모터는 구동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된다. 일예로 능력 가변형 압축기는 브러시리스 모터를 사용하며,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인버터를 포함한다. 이 경우, 이러한 가변형 압축기는 인버터에 구비된 스위칭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전압을 모터 권선에 인가하여 압축기 모터를 구동하는 방식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압축기 모터는 고정자와 회전자로 구성되는데, 회전자는 고정자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되고, 자기장과 코일에 흐르는 전류 사이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회전한다.
회전자는 그 결합구조에 따라 회전자 주위를 마그네트가 둘러싸는 SPM형(surface permanent magnet type)과 회전자에 마그네트가 매입되어 고정되는 IPM형(interior permanent magnet type)으로 크게 구분한다.
SPM형 회전자는 자기저항(reluctance)이 균일한 마그네트가 둘러싸고 있어 자기저항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아 순수하게 마그네트에 의해 발생하는 토크에 의존하기 때문에 단위전류당 발생하는 토크가 적어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SPM형 회전자는 마그네트의 접착 공정 등 조립공수가 복잡해지며, 고속 회전 시 코어에서 마그네트가 이탈하여 간극이 형성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비자성체에 와전류(eddy current)가 흐르게 되어 전력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자에 마그네트가 매입되어 고정되는 IPM형 회전자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모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회전자를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환경에 따라, 모터에서는 회전자가 일정한 속도 예를 들면, 저속으로 회전하는 동안 마그네트가 유동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그네트가 유동하게 되면 마그네트와 코어와의 마찰에 의해 마그네트가 변형, 또는 파손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의 마모에 따라 발생하는 미세 분말이 압축기의 압축실로 유입되는 냉매와 함께 토출되는 경우에는 실린더와 피스톤 및 밸브장치 등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마그네트의 마모에 따른 분말이 계속해서 냉매와 함께 냉동사이클을 순환하게 되면 팽창밸브가 막히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회전자에 삽입되는 마그네트가 삽입 전에 이미 착자된 상태라면 회전자에 마그네트를 삽입할 때 그 극성을 판단하여 서로 교차되게 배치해야 한다. 이에 따라 일일이 마그네트의 극성을 확인해서 회전자에 삽입해야 하므로 회전자 제조 공정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회전자 제조 공정이 지연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회전자를 용이하게 제작 하기 위해 회전자에 미착자된 마그네트를 삽입한다. 최초 극성이 없는 마그네트는 회전자에 삽입된 상태에서 착자 과정을 거쳐 극성을 갖게 된다. 마그네트가 극성을 가짐으로써 회전자는 고정자 내부에서 고정자와의 전기적인 상호 작용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자의 회전으로 모터의 구동력을 압축기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미착자된 마그네트의 자극이 되는 부분을 착자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의 자극 위치에 대응시키도록 회전자의 위치를 착자 장치에 정합시켜야 한다. 착자 장치에 대한 회전자의 착자 위치 맞춤을 위해 종래에는 회전자의 상부에 가이드 홀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홀에 핀을 삽입하여 회전자를 착자 위치에 맞추었다. 또한 착자 시 핀이 회전자를 착자 위치에 고정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가이드 홀과 핀을 이용하여 회전자의 착자 위치를 맞추고 회전자를 착자 위치에 고정함에 있어서, 핀이 삽입홀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아 커버가 깨져 이물질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착자 시에 착자 충격에 의해 핀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핀이 파손되면 착자 과정에서 형성되는 회전자장에 의해 회전자가 회전하게 되어 착자 위치가 틀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마그네트의 착자가 실패되거나 불충분하게 착자되면 이러한 회전자를 포함하는 모터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회전자가 회전하는 동안 코어 내부에 삽입된 마그네트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압축기 모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마그네트의 착자 전에 회전자를 착자 위치에 용이하고 정확하게 위치시키고, 마그네트의 착자 시에 회전자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압축기 모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정자 및 회전자를 구비한 압축기 모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코어; 상기 코어 내에 삽입된 복수의 마그네트; 및 상기 코어의 양단부를 덮고, 상기 코어와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들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메우도록 사출 성형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공간은 각 마그네트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와,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가 각각 삽입되는 상기 코어의 복수의 삽입홀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수용공간을 점유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단면이 삼각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은 각 마그네트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곳의 에지(edge)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은, 각 마그네트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곳의 에지(edge)를 따라 형성된 경사면과, 각 마그네트가 각각 삽입되는 상기 코어의 복수의 삽입홀의 내주면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각 마그네트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의 에지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마그네트의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마그네트는 C형 마그네트일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 착자 시 상기 회전자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가이드는 상기 코어의 일단부를 덮는 상기 커버의 일부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가이드는 상기 코어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정자 및 회전자를 구비한 압축기 모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상단부 및 하단부의 에지를 따라 경사면이 형성된 복수의 마그네트;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홀을 형성하는 코어; 및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코어의 양단부를 덮는 제1 및 제2 커버와, 상기 제1 및 제2 커버에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복수의 삽입홀의 내주면과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들의 경사면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면은 마그네트의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마그네트는 C형 마그네트일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제2 커버와 일체로 사출 성형된 회전방지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가이드는 상기 마그네트 착자 시 상기 회전자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가이드는 상기 회전자를 착자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가이드는 코어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회전자의 내측에 삽입된 복수의 마그네트의 착자 방법에 있어서, 고정지그를 직선 이동시켜 상기 회전자의 착자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착자 요크의 복수의 돌기가 각각 상기 회전자의 복수의 마그네트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회전자가 삽입되도록 상기 착자 요크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착자 요크에 착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를 착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압축기 모터용 회전자의 착자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회전자의 착자 위치 설정 단계는, 상기 고정지그를 상기 회전자의 일단부에 회전자의 축방향으로 돌출된 회전방지가이드를 밀어서 상기 회전자를 착자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지그는 착자 중에 상기 회전방지가이드를 지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모터에 적용하는 회전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모터의 회전자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표시된 Ⅲ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표시된 Ⅳ-Ⅳ 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Ⅴ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모터의 회전자에 매입된 마그네트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에 착자 장치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하부 커버에 형성된 회전방지가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의 회전방지가이드가 고정 지그에 의해 지지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의 회전방지가이드가 고정 지그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에 착자 장치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모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모터에 적용하는 회전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모터는 고정자(미도시)와 회전자(1)를 포함한다. 이 경우, 회전자(1)는 고정자의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자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자(1)가 고정자 내에 배치된 구조로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고정자가 회전자의 내측에 고정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회전자는 고정자를 둘러싼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회전자(1)는 중앙에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회전축(1a)이 삽입된다. 이경우 회전축(1a)은 양단이 압축기 모터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은 회전자(1)는 자성체인 금속으로 이루어진 코어(100), 코어(100) 에 삽입된 복수의 마그네트(300) 및 코어(100)의 양단부를 덮는 사출 성형된 커버(200)를 포함한다.
코어(100)는 소정 두께의 낱장 박판을 다수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코어(100)의 내부 중심에는 회전축(1a)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홀(110)이 형성되고, 낱장 철심들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어(100)는 고정홀(110) 주위에 원주방향(P방향, 도 3 참조)을 따라 복수의 유입홀(133)과 표시홀(135)이 축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고, 복수의 마그네트(300)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삽입홀(150)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홀(133)에는 커버(200)의 사출 성형 시에 수지가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입홀(133)로 유입된 수지는 후술하는 코어(100)의 상단부를 덮는 상부 커버(210)와 코어(100)의 하단부를 덮는 하부 커버(230)를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사출 성형된 커버(200)는 코어(100)의 양단부를 덮기 때문에 복수의 마그네트(3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 경우 표시홀(135)은 사용자로 하여금 복수의 마그네트(300)의 배치를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복수의 삽입홀(150)은 마그네트(3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고정홀(110)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삽입홀(150)은 회전자(1)의 외측에 최대한 가까이 형성되는 데 이는 복수의 마그네트(300)가 고정자에 인접하도록 배치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코어(100)는 복수의 마그네트(300)으로부터 발생되는 자로(magnetic path)를 형성한다.
복수의 마그네트(300)는 복수의 삽입홀(150)에 각각 삽입되며, 이에 따라 회전축(1a)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마그네트(300)가 배열된 예를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마그네트의 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마그네트(300)는 일면이 코어(100)의 중심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마그네트(300)가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종래의 일자형태의 막대형상의 마그네트 보다 단면적이 커져 마그네트의 토크가 증가될 수 있고, 자구방향을 집중시켜 자기저항 토크가 증가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표시된 Ⅲ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표시된 Ⅳ-Ⅳ 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Ⅴ를 확대한 도면이다.
한편, 커버(200)는 코어(100)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각각 덮는 상부 커버(210) 및 하부 커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커버(2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유입홀(133)로 수지가 삽입된 후 성형됨에 따라 하부 커버(230)와 일체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200)를 형성하는 수지는 사출 성형 시 복수의 삽입홀(150)의 내주면과 복수의 마그네트(300)들 사이에는 수용공간(160, 도 3b 참조)이 형성된다. 이 수용공간(160)은 각 마그네트(300)를 각 삽입홀(150)에 삽입 시 조립을 용이하게 하도록 각 마트네트(300)의 양단에 가공된 후술하는 각 경사면(320, 330, 340, 350)과 각 삽입홀(150)의 내주면(15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커버(210) 및 하부 커버(230)는 각각 수용공간(160)을 메우는 연장부(250, 도 5 참조)가 형성된다.
복수의 마그네트(300)는 코어(100)의 각 삽입홀(150)에 삽입된 상태로 커버(200)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에 배치된다. 이어서, 진행되는 사출 공정을 통해 커버(200)는 코어(100) 및 복수의 마그네트(300)와 함께 일체로 형성된다.
상부 및 하부 커버(210, 230)는 코어(10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결합 형성된다. 상부 및 하부 커버(210, 230)는 복수의 마그네트(300)가 회전자(1)의 각 삽입홀(150)로부터 축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부 및 하부 커버(210, 230)는 회전자(1)에 불균형이 존재하는 경우에 균형을 맞추기 위해 형상을 적절히 변형하도록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각 커버(210, 230)에 형성된 연장부(250)는 수용공간(160)을 메우도록 대략 수용공간(16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수용공간(160)이 연장부(250)에 의해 메워짐에 따라, 각 마그네트(300)는 회전자(1)가 고속 회전 시는 물론이고 저속 회전 시에도 각 삽입홀(150) 내에서의 회전자(1)의 반경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회전자(1)는 회전 시 마그네트의 유동으로 인한 진동이 방지되고, 구조적 강도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코어(100)의 삽입홀(150)에 삽입된 C자 형상의 복수의 마그네트(300)는 코어(100) 내부에 대칭구조로 배치되며, 양단이 코어(100) 외측을 향해 돌출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각 마그네트(300)는 회전축(1a, 도 9a 참조)을 향해 배치된 제1 측면(360)과 제1 측면(360)의 반대편을 향하는 제2 측면(370)을 포함하고, 제1 측면(360)과 제2 측면(370)을 연결하는 제3 측면(380) 및 제4 측면(390)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300)의 제1 측면(360)의 상단과 제2 측면(370) 상단의 각 길이는 제3 측면(380) 및 제4 측면(390)의 상단보다 길게 형성된다.
각 마그네트(300)는 각 측면(360, 370, 380, 390)과 상단면(310)의 연결 부분인 에지(edge)를 따라 마그네트(300)의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320, 330, 340, 350)이 형성될 수 있다. 각 경사면은 제1 측면(360) 상단을 따라 형성된 제1 경사면(320)과, 제2 측면(370) 상단을 따라 형성된 제2 경사면(330)과, 제3 측면(380)의 상단을 따라 형성된 제3 경사면(340)과, 제4 측면(390)의 상단을 따라 형성된 제4 경사면(3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경사면(320, 330, 340, 350)을 가지는 마그네트(300)를 삽입홀(150)에 삽입하면, 삽입홀(150)의 내주면과 제1 내지 제4 경사면(320, 330, 340, 350) 사이에는 수용공간(16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상부 및 하부 커버(210, 230)에 형성된 연장부(250)는 커버(200)를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수지가 상기 수용공간(160)으로 밀려들어 수용공간(16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연장부(250)는 각 삽입홀(150)의 내주면과 마그네트(300)의 각 경사면(320, 330, 340, 350) 사이에 형성됨에 따라, 회전자(1)가 회전할 때(예를 들면, 저속 회전할 때) 원심력에 의해 각 삽입홀(150) 내에서 각 마그네트(300)가 회전자(1)의 반경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마그네트(300)는 각 삽입홀(150) 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 회전자(1)의 구조적 강도 및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회전자(1)의 회전에 따라 마그네트(300)가 삽입홀(150)에 내에서 유동에 의해 코어(100)와 마찰하면서 마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연장부(250)를 형성하기 위한 수용공간(160)을 마련하기 위해 코어(100)의 일부(예를 들면, 삽입홀(150)의 상단 에지)를 절삭 가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누설 자속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3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추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회전자(1)의 반경이 불필요하게 커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압축기 모터의 소형화에 유리하다.
한편, 마그네트(300)는 각 경사면을 마그네트(300)의 상단 에지 뿐만 아니라 마그네트(300)의 하단 에지를 따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마그네트(300)의 경사면(320, 330)과 삽입홀(150)의 내주면(151)과의 거리(A1, A2)는 마그네트(300)의 두께(T)의 0.1배 보다 크고 0.5배보다 작을 수 있다. 경사면(320, 330)과 내주면(151)의 거리(A1, A2)는 두께(T)의 0.1배와 0.5배 사이뿐만 아니라, 마그네트(300)과 삽입홀(150)의 내주면(151) 사이에 수용공간(160)이 형성될 수 있을 정도로 경사면(320, 330)과 삽입홀(150)의 내주면(151)이 이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최대한으로 마그네트(300) 두께의 반(T/2)인 점(315)에서부터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최소한으로 마그네트 두께의 T/10인 점에서부터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면(320)과 삽입홀(150)의 내벽(151)과의 거리(A1)는 제2 경사면(330)과 삽입홀(150)의 내주면(151)과의 거리(A2)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형성되는 수용공간(160)의 단면적의 크기도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네트의 경사면(320)과 마그네트(300)의 상단면(310)의 연장선과 이루는 각(θ1)은 0도 보다 크고, 90도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경사면(320)과 상단면(310)의 연장선과 이루는 각(θ1)은 제2 경사면(330)과 상단면(310)의 연장선과 이루는 각(θ2)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과 삽입홀(150)의 내주면(151)과의 거리 및 경사면과 상단면(310)의 연장선과 이루는 각의 차이에 따라 마그네트(300)의 경사면과 삽입홀(150)의 내주면(151)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60)의 단면적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네트(300)를 코어(100)의 내부에 원활하게 삽입하도록, 삽입홀(150)의 내주면(151)과 마그네트(300) 사이에 소정의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갭(G)은 0.05mm~0.2mm 로 매우 좁게 형성됨에 따라, 커버(200)의 사출 성형 시에 수지가 갭(G)으로 인입될 염려가 없다.
한편, 연장부(250)는 경사면(320, 330, 340, 350)에 의해 그 단면이 대략 삼각형상(예를 들면, 쐐기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장부(250)의 단면 형상은 경사면(320, 330, 340, 350)의 형상에 영향을 받는다. 즉, 경사면(320, 330, 340, 350)이 곡면이거나 다단 절곡면을 이루면 상기 경사면에 대응하는 연장부(250) 의 일면은 경사면의 형상을 따르게 된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모터의 회전자에 매입된 마그네트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6a 내지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301,302,303)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따라 형성되는 수용공간(160)의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마그네트(301)는 상단면(310)과 제1 측면(360) 및 제2 측면(370)을 연결하는 에지에만 경사면(320, 3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공간(160)은 제1 및 제2 경사면(320, 330)과 삽입홀(150)의 내주면(151) 사이에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연장부(250) 역시 수용공간(160)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마그네트(302)는 제3 및 제4 경사면(340, 350)만 형성될 수 있고, 도 6c를 참조하면, 마그네트(303)는 제1 및 제3 경사면(320, 340)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그네트(300)의 경사면의 위치를 다양하게 설정함에 따라, 커버(200)를 사출 성형할 때 마그네트(3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의 연장부(25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에 착자 장치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에 따른 회전자(1) 제조 공정이 지연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회전자(1)를 용이하게 제작 하기 위해 회전자(1)에 미착자된 마그네트(300)를 삽입한다. 최초 극성이 없는 마그네트(300)는 회전자(1)에 삽입된 상태에서 착자 과정을 거쳐 극성을 갖게 된다. 이때 미착자된 마그네트의 자극이 되는 부분을 착자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의 자극 위치에 대응시키도록 회전자의 위치를 착자 장치에 정합시켜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에 착자 장치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마그네트(300)의 착자는 별도의 착자 요크(11)에 착자 전원을 인가하여 이루어진다.
착자 장치(10)는 착자 요크(11)와 몸체부(15, 도 10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착자 요크(11)는 환형 외주부를 형성하고, 착자 요크(11)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13)를 포함한다. 돌기(13)는 복수의 마그네트(300)의 외부면에 대향하여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복수의 돌기(13)는 각각의 돌기(13)에 대응되는 각각의 마그네트(300)를 착자하여 마그네트(300)에 극성을 형성한다.
착자 요크(11)에 순간적으로 높은 착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각 돌기(13) 주위에 형성되는 자장의 범위 내에 있는 마그네트(300)의 자구가 일정방향으로 배열되면서 마그네트(300)가 극성을 갖게 된다.
각 마그네트(300)와 각 돌기(13)가 어긋나게 위치한 채로 착자가 되면, 착자량이 불충분하게 되어 모터(미도시)의 운전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미착자된 각 마그네트(300)는 착자 요크(11)의 각 돌기(13)에서 발생하는 자계에 대응되도록 회전자(1)의 위치를 착자 요크(11)에 정합시켜야 한다. 착자 요크(11)에 대한 회전자(1)의 착자 위치 맞춤을 위해 회전자(1)는 한 쌍의 회전방지가이드(270)를 구비할 수 있다.
한 쌍의 회전방지가이드(270)는 코어(100)의 일단부(103)를 덮는 하부 커버(23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한 쌍의 회전방지가이드(270)는 복수의 마그네트(300) 중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마그네트(30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출 성형된 커버(200)는 코어(100)의 양단부(101, 103)를 덮기 때문에 복수의 마그네트(3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마그네트의 위치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없으나, 회전방지가이드(270)의 위치를 통해 간접적으로회전자(1)의 내측에 삽입된 마그네트(300)의 위치를 알 수 있다.
한 쌍의 회전방지가이드(270)를 복수의 돌기(13) 중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돌기(13)에 대응되도록 회전자(1)를 회전시켜 회전자(1)의 착자 위치를 설정하면, 복수의 마그네트(300)의 위치는 착자 요크(11)의 복수의 돌기(13)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회전자(1)를 착자 위치로 회전하기 위해서 후술하는 고정 지그(도 9a참조, 20)를 사용한다. 고정 지그(20)에 대해서는 도 9a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회전방지가이드(27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회전방지가이드(270a)와 제2 회전방지가이드(270b)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방지가이드(270a, 270b)는 코어(100)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회전방지가이드(270b) 및 코어(100)의 중심은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제1 회전방지가이드(270a)는 제1 마그네트(300)가 삽입된 위치에 형성되고, 제2 회전방지가이드(270b)는 제2 마그네트(300)가 삽입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마그네트(300a, 300b)는 코어(100)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다.
도 7에 도시된 일직선(Hy)은 코어 중심과 코어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돌기(13a, 13b)의 중심을 연결한 선으로 회전자의 착자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선(Hy)이다. 제1 회전방지가이드(270a)의 중심 및 제2 회전방지가이드(270b)의 중심이 연결되는 중심선(Hr)이 기준선(Hy)과 일치할 때 회전자(1)의 위치를 착자 위치라고 한다. 회전자(1)가 착자 위치에 있을 때, 복수의 마그네트(300)는 복수의 돌기(13)에 각각 대응되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회전자(1)의 착자 위치에서 마그네트(300)는 충분하게 착자될 수 있다.
회전자(1)가 착자 위치에서 소정의 각도만 회전하여도 마그네트(300)의 착자 각도가 틀어지게 된다. 이 때, 중심선(Hx)과 기준선(Hy)은 일치하지 않게 된다. 회전자(1)가 착자 위치에서 소정 각도라도 회전한 상태로 착자되면 마그네트(300)에 미착자된 부분이 발생될 수 있다. 회전방지가이드(270)는 마그네트(300)의 충분한 착자를 위해 후술하는 고정 지그(20)를 통해 회전자(1)를 착자 위치에 맞춰주고, 착자 시 회전자(1)를 착자 위치에 고정시킨다.
한편, 마그네트(300)의 착자 시에 착자 요크(11)에 인가되는 높은 착자 전원으로 인해 회전자에 과도하게 큰 회전자장이 형성되면, 회전자장에 의해 회전자(1)가 회전하거나 흔들리면서 유동될 수 있다. 착자 시에 회전자(1)가 회전하면 마그네트(300)에 자성이제대로 착자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마그네트(300)의 착자 중에는 회전자(1)가 유동이 방지되도록 고정 지지되어야 한다.
회전자는 회전방지가이드(270)와 후술하는 고정 지그(20)에 의해 착자 위치에서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다.
도 8은 하부 커버에 형성된 회전방지가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회전자(1)는 코어(100)의 일단부를 덮는 커버(20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회전방지가이드(270)를 포함한다. 이 경우, 회전방지가이드(270)는 하부 커버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방지가이드(270)는 마그네트(300)의 착자 전에 회전자(1)를 착자 위치에 위치시키고, 마그네트(300)의 착자 시에 회전자(1)를 착자 위치에 고정 지지한다.
회전방지가이드(270)는 커버(20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커버(200)에 회전방지가이드(270)를 일체형으로 사출함에 따라 회전자(1) 제작에 필요한 부품의 수가 감소된다. 이에 따라, 회전자(1)의 제작 비용이 감소하고, 회전자(1)의 제작 공정이 간소화된다.
회전방지가이드(270)는 하부 커버(230)의 일부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회전방지가이드(270)는 하부 커버(230)로부터 코어(100)의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회전방지가이드(270)는 후술하는 고정 지그(20)로부터 고정 지지되기 위해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회전방지가이드(270)는 대략 1mm 이상 20mm 이하의 높이를 갖도록 하부 커버(230)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방지가이드(270)는 코어(100)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 제1 회전방지가이드(270a)와 제2 회전방지가이드(270b)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회전방지가이드(270a, 270b)는 각각 후술하는 고정 지그(20)와 접촉하는 지지면(273a, 273b)을 포함한다. 고정 지그(20)의 제1 고정부(도 9a 참조, 22) 는 제1 회전방지가이드(270a)의 제1 지지면(273a)에 면 접촉하고, 고정 지그(20)의 제2 고정부(도 9a 참조, 24)는 제2 회전방지가이드(270b)의 제2 지지면(273b)과 면 접촉한다. 회전방지가이드(270)와 고정 지그(20)는 착자 전에 회전자(1)를 착자 위치로 회전시키고, 착자 시에 회전자(1)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 지지한다.
제1 및 제2 회전방지가이드(270b)는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및 제2 회전방지가이드(270a, 270b)가 서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회전자(1)의 내부에 삽입된 마그네트(300)를 착자하기 위해 회전자(1)가 착자 위치에 맞춰지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의 회전방지가이드가 고정 지그에 의해 지지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회전자가 착자 위치에 설정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의 회전방지가이드가 고정 지그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회전자가 착자 위치로 설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마그네트(300)의 착자 전에 회전자(1)의 각 마그네트(300)의 위치를 착자 요크(11)의 각 돌기(13)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회전자(1)의 착자 위치를 설정해야 한다. 회전자(1)를 착자 위치에 맞추기 위해 별도의 고정 지그(20)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 지그(20)는 회전자(1)를 향해 연장된 제1 고정부(22)와, 제2 고정부(24)와, 회전자(1)의 반대방향을 향해 연장된 길이부(21)를 갖는다.
제1 고정부(22)와 제2 고정부(24)는 길이부(21)의 일단으로부터 분지되며 길이부(21)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22)는 회전자(1)의 제1 회전방지가이드(270a)를 지지하고, 제2 고정부(24)는 회전자(1)의 제2 회전방지가이드(270b)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고정부(22)는 제1 회전방지가이드(270a)의 제1 지지면(273a)과 면 접촉하는 제1 고정면(23a)을 포함하고, 제2 고정부(24)는 제2 회전방지가이드(270b)의 제2 지지면(273b)과 면 접촉하는 제2 고정면(23b)을 포함한다.
길이부(21)는 고정 지그(20)를 X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하도록 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된다. 여기서 구동부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고정 지그(20)를 통해 회전자(1)의 착자 위치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착자 위치 설정되기 전의 회전자(1)는 도 9a와 같이 기준선(Hy)으로부터 중심선(Hx)이 소정 각도(θ)만큼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위치에 있는 것을 가정한다. 이 때, 제2 회전방지가이드(270b)는 제1 회전방지가이드(270a) 보다 고정 지그(20)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이 경우 고정 지그(20)가 회전자(1)를 향해 X축 방향으로 따라 직선 이동하면 고정 지그(20)의 제2 고정면(23b)과 제2 회전방지가이드(270b)의 제2 지지면(273b)이 먼저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계속 고정 지그(20)를 X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면, 제2 회전방지가이드(270b)가 제2 고정부(24)에 의해 밀려 회전자(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자(1)가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θ)만큼 회전하면, 제1 회전방지가이드(270a)의 제1 지지면(273a)과 제1 고정부(22)의 제1 고정면(23a)은 접촉하게 되면서 회전자의 중심선(Hx)이 기준선(Hy)과 일치된다. 따라서, 회전자(1)는 도 9b와 같이 착자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자(1)의 내부에 삽입된 복수의 마그네트(300)를 착자하기 위해 고정 지그(20)가 회전방지가이드(270)를 지지함으로써, 회전자(1)는 착자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자의 착자 위치 설정 방법을 통해서는, 커버 또는 코어의 일부가 충격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정확하고 용이하게 회전자의 착자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300)가 착자가 진행되는 동안 고정 지그(20)는 회전방지가이드(270)를 지속적으로 지지하여 회전자(1)의 회전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착자 과정 중에 회전자(1)의 착자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에 착자 장치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고정 지그(20)는 회전자(1)를 고정 지지하여 회전자장의 영향에 의해 회전자(1)가 착자 요크(11) 내에서 회전하거나 흔들리면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마그네트(300)의 착자 시 마그네트(300)의 극성 배열이 정확하고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착자 장치(10)는 착자 요크(11)와 착자 요크(11)를 감싸는 요크 몸체(15)를 포함한다. 요크 몸체(15)는 내부에 배치된 착자 요크(11)의 상부로부터 착자 요크(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요크 몸체(15)는 상하로(Z축 방향)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요크 몸체(15) 하부에는 회전자(1)가 통과하도록 통공(17)이 형성된다.
착자 장치(10)가 회전자(1) 방향으로 하강하면 회전자(1) 내부에 삽입된 마그네트(300)의 착자 과정이 수행된다. 이하에서 마그네트(300)의 착자 과정을 설명한다.
회전자(1)는 고정자(미도시)의 내부에서 고정자(미도시)와의 전기적인 상호작용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회전자(1)는 회전자(1)와 함께 회전하도록 회전자(1)의 중앙에 압입되는 회전축(1a)을 구비하도록 조립된다.
회전축(1a)은 상단과 하단이 회전자(1)의 상부와 하부로 소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회전자(1)의 하부로 연장된 회전축(1a)은 저널베어링(3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저널베어링(30)에 지지되는 회전자(1)의 착자 위치를 맞추기 위해 고정 지그(20)가 회전자(1)의 회전방지가이드(270)와 접촉한다. 고정 지그(20)와 회전방지가이드(270)의 접촉함에 따라 회전자(1)의 착자 위치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 또한, 고정 지그(20)의 직선 운동만으로 용이하게 회전자(1)의 착자 위치를 맞출 수 있다.
회전자(1)가 착자 위치에 위치한 후, 회전자(1)의 상부에 위치되는 착자 장치(10)를 하부로 이동시킨다. 착자 장치(10)의 하강으로 착자 요크(11)의 내부에 회전자(1)가 배치된다. 착자 요크(11)는 회전자(1)를 감싼 상태가 되고, 회전자(1)의 상단은 요크 몸체(15)의 상단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요크 몸체(15)를 하부로 가압하게 되면, 회전자(1)는 고정 지그(20)에 의해 저널베어링(30)과 착자 요크(11)사이에서 유동이 방지되도록 고정 지지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마그네트(300)가 착자되도록 상기 착자 요크(11)에 착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마그네트(300)가 착자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회전자장에 의한 회전자(1)의 유동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마그네트(300)는 자성의 극성 배열이 균일하게 착자된다. 이렇게 착자된 마그네트(300)는 종래의 착자 방법에 비해 더 큰 자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모터는 다양한 가전기기 예를 들면, 세탁기, 의류건조기, 에어컨, 냉장고, 압축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 회전자 10 : 착자 장치
11 : 착자 요크 20 고정지그
30 : 저널 베어링 100 : 코어
110 : 고정홀 150 : 삽입홀
160 : 수용공간 200 : 커버
210 : 상부 커버 230 : 하부 커버
250 : 연장부 270 : 회전방지가이드
273 : 접촉면 300 : 마그네트
310 : 상단면 320 : 제1 경사면
330 : 제2 경사면 340 : 제3 경사면
350 : 제4 경사면

Claims (20)

  1.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자는,
    코어;
    상기 코어 내에 삽입된 복수의 마그네트; 및
    상기 코어의 양단부를 덮고, 상기 코어와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들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메우도록 사출 성형된 커버;를 포함하는, 압축기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각 마그네트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와,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가 각각 삽입되는 상기 코어의 복수의 삽입홀 사이에 마련되는, 압축기 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수용공간을 점유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압축기 모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단면이 삼각형상인, 압축기 모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각 마그네트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곳의 에지(edge)를 따라 형성되는, 압축기 모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각 마그네트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곳의 에지(edge)를 따라 형성된 경사면과, 각 마그네트가 각각 삽입되는 상기 코어의 복수의 삽입홀의 내주면 사이에 마련되는, 압축기 모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각 마그네트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의 에지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압축기 모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마그네트의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압축기 모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마그네트는 C형 마그네트인, 압축기 모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를 착자하는 동안 상기 회전자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가이드를 포함하는, 압축기 모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가이드는 상기 코어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압축기 모터.
  12.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자는,
    상단부 및 하단부의 에지를 따라 경사면이 형성된 복수의 마그네트;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홀을 형성하는 코어; 및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코어의 양단부를 덮는 제1 및 제2 커버와, 상기 제1 및 제2 커버에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복수의 삽입홀의 내주면과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들의 경사면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점유하는, 압축기 모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마그네트의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압축기 모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마그네트는 C형 마그네트인, 압축기 모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제2 커버와 일체로 사출 성형된 회전방지가이드를 포함하는, 압축기 모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가이드는 상기 마그네트 착자 시 상기 회전자를 고정시키는, 압축기 모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가이드는 상기 회전자를 착자 위치에 위치시키는, 압축기 모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가이드는 코어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된, 압축기 모터.
  19. 압축기 모터용 회전자의 착자 방법에 있어서,
    회전자 커버에 마련된 회전 방지 가이드에 고정지그를 밀착시켜 상기 회전자를 착자 위치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착자 위치에 고정된 회전자 방향으로 착자 요크를 이동시켜, 상기 회전자를 상기 착자 요크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착자 요크에 착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회전자 내의 복수의 마그네트를 착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압축기 모터용 회전자의 착자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는 착자 중에 상기 회전방지가이드를 지속적으로 지지하는, 압축기 모터용 회전자의 착자방법.
KR1020170015368A 2016-04-05 2017-02-03 압축기 모터 및 압축기 모터용 회전자의 착자 방법 KR102629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473,028 US10547221B2 (en) 2016-04-05 2017-03-29 Compressor motor and method for magnetizing rotor thereof
ES17164595T ES2756702T3 (es) 2016-04-05 2017-04-03 Motor de compresor y procedimiento de magnetización de su rotor
EP17164595.5A EP3229347B1 (en) 2016-04-05 2017-04-03 Compressor motor and method for magnetizing rotor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41806 2016-04-05
KR1020160041806 2016-04-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915A true KR20170114915A (ko) 2017-10-16
KR102629774B1 KR102629774B1 (ko) 2024-01-29

Family

ID=60295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368A KR102629774B1 (ko) 2016-04-05 2017-02-03 압축기 모터 및 압축기 모터용 회전자의 착자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29774B1 (ko)
ES (1) ES2756702T3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9730A (ja) 1999-08-31 2001-03-16 Imura Zairyo Kaihatsu Kenkyusho:Kk 回転子の製造方法
US20060220485A1 (en) 2005-04-04 2006-10-05 Lg Electronics Inc. Motor
KR20070053123A (ko) 2005-11-18 2007-05-23 아스콜 홀딩 에스.알.엘. 산업 및 가정용 세탁기 등의 펌프에 사용되는 동기식모터용 영구자석 로터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로터
KR20080045981A (ko) 2006-11-21 2008-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우터 로터형 모터 어셈블리
US20100141074A1 (en) 2006-12-01 2010-06-10 Marcus Podack Permanent Magnet Rotor With Projections For Fixing The Permanent Magnets Of The Rotor Packe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9730A (ja) 1999-08-31 2001-03-16 Imura Zairyo Kaihatsu Kenkyusho:Kk 回転子の製造方法
US20060220485A1 (en) 2005-04-04 2006-10-05 Lg Electronics Inc. Motor
KR20070053123A (ko) 2005-11-18 2007-05-23 아스콜 홀딩 에스.알.엘. 산업 및 가정용 세탁기 등의 펌프에 사용되는 동기식모터용 영구자석 로터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로터
KR20080045981A (ko) 2006-11-21 2008-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우터 로터형 모터 어셈블리
US20100141074A1 (en) 2006-12-01 2010-06-10 Marcus Podack Permanent Magnet Rotor With Projections For Fixing The Permanent Magnets Of The Rotor Pac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9774B1 (ko) 2024-01-29
ES2756702T3 (es) 2020-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29347B1 (en) Compressor motor and method for magnetizing rotor thereof
EP2618462B1 (en) Motor and rotor thereof
JP5900528B2 (ja) 内包磁石型インナーロータの製造装置
CN104300712B (zh) 电机
US20130061640A1 (en) Mo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711136B1 (ko) 스포크 영구 자석 로터
US20060066173A1 (en) Brushless direct-current motor of radial core type having a structure of double rotor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130061641A1 (en) Mo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JP5602938B2 (ja) ロータ
EP2677643B1 (en) Rotary solenoid
JP2004270544A (ja) 着磁治具および電動圧縮機ならびに回転子の組み立て方法および電動圧縮機の組み立て方法
KR20080023456A (ko) 압축기 모터의 마그네트 착자방법
EP2892128A2 (en) Rotor and motor including the same
JP6179396B2 (ja) 回転電機のロ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ロータ
US20190097504A1 (en) Permanent magnet rotor,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ing a magnetizing fixture
KR20130027417A (ko) 모터와 이를 가지는 세탁기
WO2017057479A1 (ja) 電動過給機
EP2722971A2 (en) Motor and washing maching having the same
JP2016116433A (ja) クローポール型モータ、クローポール型モータの製造方法
KR20170114915A (ko) 압축기 모터 및 압축기 모터용 회전자의 착자 방법
KR20170138105A (ko) 스포크 타입 로터
JP5829895B2 (ja) ロータの永久磁石固定方法
KR20190074957A (ko) 모터
JP5929147B2 (ja) 回転電機のロータ構造
KR102351726B1 (ko) 스포크 타입 로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