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3992A - 스티로폼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스티로폼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3992A
KR20170113992A KR1020160038869A KR20160038869A KR20170113992A KR 20170113992 A KR20170113992 A KR 20170113992A KR 1020160038869 A KR1020160038869 A KR 1020160038869A KR 20160038869 A KR20160038869 A KR 20160038869A KR 20170113992 A KR20170113992 A KR 20170113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ofoam
axis
conveyor
conveyors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7138B1 (ko
Inventor
문광식
Original Assignee
(주) 다보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다보정밀 filed Critical (주) 다보정밀
Priority to KR1020160038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138B1/ko
Publication of KR20170113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3/00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pparatus therefor
    • B26F3/06Severing by using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15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sheet material or piles of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3/00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pparatus therefor
    • B26F3/06Severing by using heat
    • B26F3/08Severing by using heat with heated members
    • B26F3/12Severing by using heat with heated members with heated wi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로폼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스티로폼 절단장치는 스티로폼을 X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X축 컨베이어(1,2,5)와; X축 컨베이어(1,2,5)상에 배치되어 스티로폼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하는 수직 절단기(7)와; X축 컨베이어(1,2,5)에 대하여 Y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X축 방향으로 이송된 스티로폼을 Y축 방향으로 전환하여 이송시키는 복수의 Y축 컨베이어(9,11)와; X축 컨베이어(1,2,5)와 복수의 Y축 컨베이어(9,11)의 사이에 배치되어 X축 컨베이어(1,2,5)상의 스티로폼을 Y축 컨베이어(9,11)로 넘겨주는 복수의 정렬기(13,15)와; 그리고 Y축 컨베이어(9,11)상에 배치되어 이송된 스티로폼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하는 복수의 수평 절단기(17,19)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티로폼 절단장치{Apparatus for cutting styrofoam}
본 발명은 스티로폼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로폼을 길이방향으로 절단 한 후 두께방향으로 절단할 때의 흐름 구조를 병렬방식으로 개선함으로써 스티로폼의 절단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로폼(styrofoam)은 단열재, 방음재, 완충재 등으로 사용되며, 발포 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발포 스티렌, 스티로폴(styropor) 등으로 불린다.
이러한 스티로폼은 스티렌의 중합체(重合體)로, 무색투명한 열가소성 물질로, 100℃ 이상에서 부드러워지고 185℃ 정도가 되면 점성의 액체가 되며, 산, 알칼리, 기름, 알코올 등에 강한 특성을 갖는다.
그리고, 스티로폼은 폴리스티렌 수지에 펜탄이나 부탄 등 탄화수소가스를 주입시킨 뒤 이를 증기로 발포시켜서 제조하며, 체적의 98%가 공기이고, 나머지 2%가 수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스티로폼은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판매되는 바, 적절한 크기로 절단할 필요가 있다.
스티로폼 절단공정에 있어서, 먼저 스티로폼을 컨베이어 등에 의하여 절단기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수직 절단기에 도달한 스티로폼은 고온의 열이 발생하는 수직 와이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수직방향인 두께방향으로 절단된다.
두께방향으로 절단된 다수의 스티로폼은 컨베이어에 의하여 연속하여 이송됨으로써 수평 절단기에 도달한다. 그리고 수평 절단기에 도달한 스티로폼은 선두의 스티로폼들이 먼저 수평 절단기의 수직 와이어를 통과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절단되고, 곧이어 컨베이어에 의하여 중간부의 스티로폼이 이송됨으로써 수직 와이어를 통과하면서 절단되며, 후단의 스티로폼들이 마지막으로 절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티로폼 절단공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스티로폼이 1차로 수직절단기를 통과한 수평 절단기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절단될 때, 수평 절단기가 스티로폼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하게 되는 바, 선단부가 절단되는 동안 중간부 및 후단부는 대기하고, 선단부가 절단된 후 컨베이어가 추가적으로 구동하면서 절단된 선단부는 배출하고, 그 위치로 중간부가 이송되어 수평 절단되고, 또한 중간부가 절단된 후 컨베이어가 추가적으로 구동하면 중간부가 배출되고 그 위치로 후단부가 이동하여 절단되므로, 결국 스티로폼에 대한 절단공정은 1열의 직렬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절단공정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단부의 절단작업시 오작동이 발생하면 직렬방식이므로 중간부 및 후단부는 정지하게 되므로 더더욱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1994-17879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티로폼의 수평 절단공정을 병렬방식으로 개선함으로써 절단이 각 수평 절단기에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서 절단효율이 향상되는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스티로폼을 X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X축 컨베이어(1,2,5)와;
X축 컨베이어(1,2,5)상에 배치되어 스티로폼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하는 수직 절단기(7)와;
X축 컨베이어(1,2,5)에 대하여 Y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X축 방향으로 이송된 스티로폼을 Y축 방향으로 전환하여 이송시키는 복수의 Y축 컨베이어(9,11)와;
X축 컨베이어(1,2,5)와 복수의 Y축 컨베이어(9,11)의 사이에 배치되어 X축 컨베이어(1,2,5)상의 스티로폼을 Y축 컨베이어(9,11)로 넘겨주는 복수의 정렬기(13,15)와; 그리고
Y축 컨베이어(9,11)상에 배치되어 이송된 스티로폼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하는 복수의 수평 절단기(17,19)를 포함하는 스티로폼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로폼 절단장치는 스티로폼을 수직으로 절단한 후, 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하여 수평 절단기에서 절단하는 공정을 병렬방식으로 개선함으로써 절단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로폼 절단장치의 외관을 일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티로폼 절단장치의 외관을 타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스티로폼을 X축 컨베이어에서 정렬기에 의하여 방향을 전환한 후 병렬의 Y축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로폼 절단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스티로폼 절단장치는 스티로폼을 X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X축 컨베이어(1,2,5)와;
X축 컨베이어(1,2,5)상에 배치되어 스티로폼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하는 수직 절단기(7)와;
X축 컨베이어(1,2,5)에 대하여 Y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X축 방향으로 이송된 스티로폼을 Y축 방향으로 전환하여 이송시키는 복수의 Y축 컨베이어(9,11)와;
X축 컨베이어(1,2,5)와 복수의 Y축 컨베이어(9,11)의 사이에 배치되어 X축 컨베이어(1,2,5)상의 스티로폼을 Y축 컨베이어(9,11)로 넘겨주는 복수의 정렬기(13,15)와; 그리고
Y축 컨베이어(9,11)상에 배치되어 이송된 스티로폼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하는 복수의 수평 절단기(17,19)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스티로폼 절단장치에 있어서,
X축 컨베이어(1,2,5)는 라인 입구에 배치되어 스티로폼을 수직 절단기(7)로 이송하는 제 1컨베이어(1)와; 수직 절단기(7)의 하부에 배치되어 수직 절단된 스티로폼을 배출하는 컨베이어(2)와; 수직 절단기(7)의 출측에 배치되어 수직 절단된 스티로폼을 배출시키는 제 2컨베이어(5)로 구성된다.
제 1컨베이어(1)는 다수의 이송롤러(35) 및 체인을 이용한 통상적인 방식의 컨베이어로서 스티로폼을 수직 절단기(7)로 이송한다.
수직 절단기(7)는 이송된 스티로폼을 상하방향인 수직으로 절단한다. 이러한 수직 절단기(7)는 열선 고정 프레임(21)과; 열선 고정 프레임(21)을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25)과; 열선 고정 프레임(21)에 다수개 배치된 지지롤러(23)와; 지지롤러(23)에 연결되어 고온의 열에 의하여 스티로폼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하는 수직 와이어(W1)와; 수직 프레임(25)에 배치되어 열선 고정 프레임(21)을 상하로 승하강시킴으로써 수직 와이어(W1)가 스티로폼을 수직으로 절단하도록 하는 수직 승하강부(27)와; 스티로폼을 이송시키는 다수개의 이송롤러(3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수직 절단기(7)에 있어서, 열선 고정 프레임(21)은 사각틀형상으로서 그 내측에는 다수의 지지롤러(23)가 배치된다. 그리고, 이 지지롤러(23)는 열선 고정 프레임(21)의 내측에서 맞은편 지지롤러(23)와 서로 대응되며, 수직 와이어(W1)가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다수의 수직 와이어(W1)가 열선 고정 프레임(21)의 내측을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 와이어(W1)는 전원 공급장치(도시안됨)에 연결됨으로써 전원 공급시 고온의 열을 발생함으로써 스티로폼을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승하강부(27)는 수직 프레임(25)의 일측에 장착된 LM가이드를 의미한다. 즉, LM가이드는 통상적인 구조의 LM가이드로서, 레일이 수직 프레임(25)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이 레일에 베어링 및 볼 스크류가 내재된 LM 블록이 이송가능하게 장착된 구조이다. 그리고, LM블록은 열선 고정 프레임(21)에 장착됨으로써 결국 열선 고정 프레임(21)은 수직 프레임(25)을 따라 상하로 승하강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티로폼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하는 경우, 제어부(6)는 LM가이드를 제어하여 하강시킴으로써 고온의 와이어(W1)가 스티로폼의 상부로부터 하강하면서 열에 의하여 절단하게 된다.
이때, 수직 와이어(W1)는 복수개이고 또한 서로 일정 간격 떨어진 상태이므로 스티로폼도 복수개로 절단된다.
이와 같이, 수직 절단기(7)에 의하여 여러 부분으로 절단된 스티로폼은 X축 컨베이어(1,2,5)에 의하여 X축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 다수개의 조각으로 절단된 스티로폼은 제 2컨베이어(5)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이송되고, 후술하는 제 3컨베이어(9)와 제 4컨베이어(11)로 이송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한다.
예를 들면, 다수개 조각으로 절단된 스티로폼의 일부 스티로폼은 제 4컨베이어(11)로 전환되어 이송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고, 나머지 스티로폼은 제 3컨베이어(9)로 전환되어 이송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한다.
혹은, 스티로폼의 전체 길이가 작은 경우에는 먼저 수직 절단된 스티로폼 전체가 제 4컨베이어(11)로 전환 이송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고, 나중에 수직 절단된 스티로폼 전체가 제 3컨베이어(9)로 전환 이송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한다.
따라서, 제 2이송 컨베이어(5)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이송된 스티로폼은 병렬로 배치된 제 3 및 제 4컨베이어(9,11)에 의하여 동시에 수평 절단기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스티로폼이 제 2이송 컨베이어(5)상의 소정 위치로 이송되는 것은 제어부(6)에 의하여 제어되는 이송롤러(35)에 의하여 가능하다.
즉, 제 2이송 컨베이어(5)는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획되며, 각 구역은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개의 이송롤러(35)와; 이 이송롤러(35)의 스프로켓을 서로 연결하는 체인(33)과; 다수의 스프로켓 중 하나의 스프로켓을 회전시키는 구동체인(32)과; 구동체인(32)을 회전시키는 모터(35)를 포함한다.
그리고, 모터(35)는 제어부(6)에 연결됨으로써 회전수 및 속도가 조절가능하다.
따라서, 제어부(6)는 모터(35)를 제어함으로써 이송롤러(35)의 회전을 제어하여 스티로폼의 이송위치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이송 컨베이어(5)의 제 1구역 및 제 2구역 모드의 이송롤러(35)를 회전시키면, 스티로폼이 제 2이송 컨베이어(5)의 선단까지 이송될 수 있으며, 제 1구역만 회전시키고 제 2구역은 회전시키지 않는 경우, 스티로폼은 제 3컨베이어(9) 위치까지만 도달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스티로폼이 제 2이송 컨베이어(5)상에 도달하면, 복수의 정렬기(13,15)에 의하여 제 3컨베이어(9) 및 제 4컨베이어(11)로 전환 이송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정렬기(13,15)는 제 2컨베이어(5)와 제 3컨베이어(9)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스티로폼을 정렬하는 제 1 및 제 2정렬기(39,41)와; 제 2컨베이어(5)와 제 4컨베이어(11)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스티로폼을 정렬하는 제 3 및 제 4정렬기(43,45)를 포함한다.
먼저 제 1 및 제 2정렬기(39,41)에 있어서,
제 1정렬기(39)는 수직바(49)와 수평바(47)로 각각 이루어짐으로써 "ㄱ"자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회전바(47,49)와; 복수개의 회전바(47,49)가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회전축(51)과; 회전축(51)을 회전시키는 실린더 조립체(5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 1정렬기(39)에 있어서, 수직바(49)와 수평바(47)는 일정한 각도로 벌어지며, 예를 들면 90도 각도로 형성된다. 그리고, 다수개의 회전바(47,49)는 제 2컨베이어(5)의 이송롤러(35) 사이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회전바(47,49)가 제 1수평 절단기(17)의 반대방향으로 젖혀진 경우에는, 수평바(47)가 이송롤러(35)의 사이로 배치되며 그 상면이 이송롤러(35)의 상면보다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스티로폼이 제 2컨베이어(5)에 의하여 이송될 때, 스티로폼이 수평바(47)에 간섭됨이 없이 그 위로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51)에는 아암(54)이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이 아암(54)의 단부에는 상기한 실린더 조립체(53)가 연결된다.
따라서, 실린더 조립체(53)의 피스톤이 상향으로 전진하는 경우에는 피스톤이 아암(54)을 제 1수평절단기(17) 방향인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축(51)도 회전하여 수평바(47)가 직립상태로 된다.
반면에 직립상태인 수직바(49)는 제 1수평 절단기(17)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 1정렬기(39)와 제 2정렬기(41)의 사이에 마련된 버퍼구역(B)에 수평으로 눕게된다.
그리고, 제 2정렬기(41)도 제 1정렬기(39)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즉, 제 2정렬기(41)는 수직바(57)와 수평바(55)로 각각 이루어짐으로써 "ㄱ"자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회전바(55,57)와; 복수개의 회전바(55,57)가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회전축(61)과; 회전축(61)을 회전시키는 실린더 조립체(59)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2정렬기(41)의 구조는 제 1정렬기(39)와 유사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 2정렬기(41)의 회전바(55,57)는 제 1정렬기(39)의 회전바(47,49)와 서로 동일선상이 아닌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 1정렬기(39)와 제 2정렬기(41)가 서로 회전하는 경우, 서로 간섭됨이 없이 회전할 수 있다.
제 3 및 제 4정렬기(43,45)는 제 4컨베이어(11)와 제 2컨베이어(5)의 사이에 배치되어 스티로폼을 이송시킨다.
그리고, 제 3 및 제 4정렬기(43,45)는 제 1 및 제 2정렬기(39,4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1 및 제 2정렬기(39,41)에 의하여 스티로폼이 제 2컨베이어(5)에서 제 3컨베이어(9)로 이송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정렬기(39)가 제 1수평 절단기(7)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수평바(47)가 제 2컨베이어(5)의 복수개 이송롤러(35)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이때 수평바(47)의 상면은 이송롤러(35)의 상면보다 아래에 위치된다.
그리고 수직바(49)는 직립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실린더 조립체(53)가 구동하여 피스톤이 사선방향을 따라 상부로 전진함으로써 아암(54) 및 회전축(51)을 회전시키게 된다.
회전축(51)이 회전함에 따라 수평바(47)가 직립하게 되고 수직바(49)는 버퍼구역(B)으로 눕혀진다.
이때, 수평바(47)에 얹혀진 스티로폼은 수평바(47)와 같이 회전하게 되고 수직바(49)에 얹혀진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로폼이 수직바(49)에 얹혀진 상태로 버퍼구역(B)에 도달하여 수평상태로 안착되고, 이때 제 2정렬기(41)의 수평바(55)가 버퍼구역(B)에 수평상태로 눕혀진 상태이다.
따라서, 제 1정렬기(39)의 수직바(49)가 버퍼구역(B)에 수평으로 눕혀지면 제 2정렬기(41)의 수평바(55)와 간섭됨이 없이 그 사이로 눕혀진다.
결국, 스티로폼의 저면에는 제 1정렬기(39)의 수직바(49)와 제 2정렬기(41)의 수평바(55)가 겹쳐서 배치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정렬기(41)의 실린더 조립체(59)가 구동함으로써 실린더가 사선 방향을 따라 상부로 전진하는 경우, 버퍼구역(B)의 수평바(55)가 직립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 2정렬기(41)는 버퍼구역(B)에서 제 1정렬기(39)로부터 스티로폼을 인계받아서 제 3컨베이어(9)상에 안착시킨다.
결국 제 2컨베이어(5)상의 스티로폼은 180도 회전하여 상하가 뒤바뀐 상태로 제 3컨베이어(9)상에 안착된다.
그리고, 제 3컨베이어(9)에 의하여 스티로폼은 제 1수평 절단기(17) 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에서는 제 1 및 제 2정렬기(39,41)에 의하여 스티로폼이 이송되는 과정을 설명하였는 바, 제 3 및 제 4정렬기(43,45)에 의하여 이송하는 과정도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그리고, 제 3 및 제 4컨베이어(9,11)는 다수개의 이송롤러와, 스프로켓과, 체인과, 모터로 구성되는 통상적인 컨베이어를 의미한다.
그리고, 스티로폼은 제 3 및 제 4컨베이어(9,11)에 의하여 각각 이송되어 복수의 수평 절단기(17,19)로 이송되며, 수평방향으로 절단되어 여러 겹으로 분리된다.
이러한 복수의 수평 절단기(17,19)는 제 3컨베이어(9)상에 배치되는 제 1수평 절단기(17)와; 제 4컨베이어(11)상에 배치되는 제 2수평 절단기(19)를 포함한다.
먼저 제 1수평 절단기(17)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프레임(61)과; 프레임(61)의 내측에 가로 방향으로 배선되어 고온의 열에 의하여 스티로폼을 절단하는 수평 와이어(W2)와; 프레임(61)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어 스티로폼의 절단시 스티로폼을 상부에서 가압하여 들뜨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롤러(63)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 와이어(W2)는 1개 혹은 그 이상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스티로폼의 절단규격에 따라 적절하게 그 간격을 조절한다.
제 3컨베이어(9)상에 안착된 스티로폼이 이송롤러에 의하여 제 1수평 절단기(17)로 진입하는 경우, 가압롤러(63)가 스티로폼의 상면에 접촉하여 아래 방향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스티로폼은 들뜨지 않은 상태에서 수평 와이어(W2)에 접촉하게 되고 제 3컨베이어(9)의 이송롤러의 회전에 의하여 전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스티로폼은 선단부터 절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티로폼은 수평으로 배치된 다수의 수평 와이어(W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절단되어 여러 겹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 4컨베이어(11)에 의하여 제 2수평 절단기(19)로 이송된 스티로폼이 절단되는 과정도 이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직 절단기(7)에 의하여 다수개의 조각으로 분리된 스티로폼은 제 2컨베이어(5)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이송되며, 병렬로 배치된 제 3 및 제 4컨베이어(9,11)를 따라 Y축 방향으로 각각 이송되어 제 1 및 제 2수평 절단기(17,19)에 의하여 절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X축 방향으로 1열로 이송된 스티로폼은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컨베이어에 의하여 Y축 방향으로 각각 이송되어 수평절단됨으로써 절단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Claims (6)

  1. 스티로폼을 X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X축 컨베이어(1,2,5)와;
    X축 컨베이어(1,2,5)상에 배치되어 스티로폼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하는 수직 절단기(7)와;
    X축 컨베이어(1,2,5)에 대하여 Y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X축 방향으로 이송된 스티로폼을 Y축 방향으로 전환하여 이송시키는 복수의 Y축 컨베이어(9,11)와;
    X축 컨베이어(1,2,5)와 복수의 Y축 컨베이어(9,11)의 사이에 배치되어 X축 컨베이어(1,2,5)상의 스티로폼을 Y축 컨베이어(9,11)로 넘겨주는 복수의 정렬기(13,15)와; 그리고
    Y축 컨베이어(9,11)상에 배치되어 이송된 스티로폼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하는 복수의 수평 절단기(17,19)를 포함하는 스티로폼 절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X축 컨베이어(1,2,5)는 라인 입구에 배치되어 스티로폼을 수직 절단기(7)로 이송하는 제 1컨베이어(1)와; 수직 절단기(7)의 출측에 배치되어 수직 절단된 스티로폼을 배출시키는 제 2컨베이어(5)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컨베이어(1,5)는 다수개의 회전구역으로 구성되며, 각 회전구역은 이송롤러(35)와, 이송롤러(35)의 단부에 구비되는 스프로켓과, 스포로켓을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재(33)와, 모터(35)로 구성되는 스티로폼 절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수직 절단기(7)는 열선 고정 프레임(21)과; 열선 고정 프레임(21)을 승하강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25)과; 열선 고정 프레임(21)에 다수개 배치된 수직 와이어(W1)를 지지하는 지지롤러(23)와; 지지롤러(23)에 연결되어 고온의 열에 의하여 스티로폼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하는 수직 와이어(W1)와; 수직 프레임(25)에 배치되어 열선 고정 프레임(21)을 상하로 승하강시킴으로써 수직 와이어(W1)가 스티로폼을 수직으로 절단하도록 하는 수직 승하강부(27)를 포함하는 스티로폼 절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Y축 컨베이어(9,11)는 X축 컨베이어(1,2,5)의 측방 선단측에 배치되어 수직 절단된 스티로폼을 측방으로 이송하는 제 3컨베이어(9)와;
    X축 컨베이어(1,2,5)의 측방 후단측에 배치되어 수직 절단된 스티로폼을 측방으로 이송하는 제 4컨베이어(11)를 포함하는 스티로폼 절단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복수의 정렬기(13,15)는 X축 컨베이어(1,2,5)와 제 3컨베이어(9)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스티로폼을 정렬하는 제 1 및 제 2정렬기(39,41)와;
    X축 컨베이어(1,2,5)와 제 4컨베이어(11)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스티로폼을 정렬하는 제 3 및 제 4정렬기(43,45)를 포함하며,
    제 1 내지 제 4정렬기(39,41,43,45)는 수직바(57)와 수평바(55)로 각각 이루어짐으로써 "ㄱ"자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회전바(47,49)와; 복수개의 회전바(47,49)가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회전축(51,61)과; 회전축(51,61)을 회전시키는 실린더 조립체(53,59)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정렬기(39,41)의 복수개의 회전바(47,49)는 서로 어긋남으로써 회전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 3 및 제 4정렬기(43,45)의 복수개의 회전바(47,49)는 서로 어긋남으로써 회전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티로폼 절단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복수의 수평 절단기(17,19)는 제 3컨베이어(9)상에 배치되는 제 1수평 절단기(17)와; 제 4컨베이어(11)상에 배치되는 제 2수평 절단기(19)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수평 절단기(19)는 프레임(62)과; 프레임(62)의 내측에 가로 방향으로 배선되어 고온의 열에 의하여 스티로폼을 절단하는 수평 와이어(W2)와; 프레임(62)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어 스티로폼의 절단시 스티로폼을 상부에서 가압하여 들뜨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롤러(63)를 포함하는 스티로폼 절단장치.
KR1020160038869A 2016-03-31 2016-03-31 스티로폼 절단장치 KR101837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869A KR101837138B1 (ko) 2016-03-31 2016-03-31 스티로폼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869A KR101837138B1 (ko) 2016-03-31 2016-03-31 스티로폼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992A true KR20170113992A (ko) 2017-10-13
KR101837138B1 KR101837138B1 (ko) 2018-03-12

Family

ID=60139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869A KR101837138B1 (ko) 2016-03-31 2016-03-31 스티로폼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1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526B1 (ko) * 2018-11-20 2019-02-28 김병주 요철형 소음 완충재 제조 장치
KR102254672B1 (ko) * 2020-12-16 2021-05-20 양해진 자동 커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739B1 (ko) * 2019-03-22 2019-07-16 에스아이텍 주식회사 스티로폼 성형기에서 배출된 직육면체 성형물을 열선 재단기에 공급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336Y1 (ko) * 2010-08-12 2011-10-26 주식회사 아이케이케미칼 난연제가 함유된 eps 보드용 절단 장치
KR101444055B1 (ko) * 2014-05-12 2014-09-23 주식회사 미트하임 다수의 열선을 구비한 스티로폼 가공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526B1 (ko) * 2018-11-20 2019-02-28 김병주 요철형 소음 완충재 제조 장치
KR102254672B1 (ko) * 2020-12-16 2021-05-20 양해진 자동 커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138B1 (ko) 2018-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138B1 (ko) 스티로폼 절단장치
CN204078909U (zh) 一种袋装弹簧条切断推进装置
JP2014511808A (ja) 二本ベルト式の受動ローラの箱回転装置
JP2002321133A (ja) 棒状加工材料から切断機を用いて切断された材料片を搬送する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KR100977946B1 (ko) 포켓스프링 공급장치
KR200481991Y1 (ko) 패널의 절단장치
CN105776835A (zh) 一种玻璃分切流水线
US10723568B2 (en) Bottom up lumber stacker
US5472077A (en) Article transfer apparatus
CN105479603B (zh) 一种陶粒块自动切割线
CA2394560C (en) Log merchandiser
CN204644148U (zh) 平板显示玻璃的切割系统
CN210213706U (zh) 一种运输机构
KR102229370B1 (ko) 박스 제함 장치
CN105858082A (zh) 一种塑料制品输送机构
CN104290117B (zh) 板材切断装置
CN203738374U (zh) 加热器的ptc发热芯自动装配装置
CN207684606U (zh) 一种包装纸连续裁切装置
CN113247581B (zh) 一种收料装置及切割设备
CN205771509U (zh) 一种塑料制品输送机构
CN103878586A (zh) Ptc发热芯自动装配机用的电极片供给机构
NL2014552B1 (en) Cutting station for a tire building machine.
CN207983463U (zh) 一种pvc塑料地板用定长切割装置
JP2009190852A (ja) 定形品の運搬装置
CN104044298A (zh) 盒体侧面割开机构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