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3503A - 롤러유닛을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 - Google Patents

롤러유닛을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3503A
KR20170113503A KR1020170117018A KR20170117018A KR20170113503A KR 20170113503 A KR20170113503 A KR 20170113503A KR 1020170117018 A KR1020170117018 A KR 1020170117018A KR 20170117018 A KR20170117018 A KR 20170117018A KR 20170113503 A KR20170113503 A KR 20170113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unit
ground
excavator
main body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열
박종무
박경훈
Original Assignee
(주) 대동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동이엔지 filed Critical (주) 대동이엔지
Priority to KR1020170117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3503A/ko
Publication of KR20170113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503A/ko
Priority to PCT/KR2018/010794 priority patent/WO201905478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02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 E02F3/405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using vibr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07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ejecting or other unloading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1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with several digging elements or tools mounted on one machin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7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compacting-type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롤러유닛을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에 관한 것으로, 일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토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지반과 접촉하는 굴삭면을 가지는 본체 및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상에서 폭 방향으로 회전축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둘레에 따른 외측면의 일부가 상기 굴삭면에서 돌출되어 회전하는 롤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유닛은 지반과 접촉한 상태로 상기 굴삭기에 의해 가압되며 회전하여 별도의 교체 없이 다짐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롤러유닛을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롤러유닛을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Excavator bucket with roller unit}
본 발명은 굴삭기의 암에 연결되어 흙이나 바위 들을 굴삭 또는 다지는 버킷에 관한 것으로, 버킷의 외측면에 별도의 롤러가 구비되어 굴착작업 과 동시에 지반을 다지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롤러유닛을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암의 끝단부에 다양한 어테치먼트들이 결합되며, 각각을 교체하여 파쇄, 굴삭, 다짐, 선별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굴삭작업의 경우 일반적인 버킷이 결합되어 지반에 굴삭작업을 수행하고, 해당 작업의 완료 후 다시 지반을 다지는 다짐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굴삭기에 장착된 버킷을 통해 지반을 가압함으로써 지반을 다지거나, 또는 버킷을 별도의 롤러로 교체하여 다짐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이외에 토사의 선별작업이나 바위 등의 파쇄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이에 해당하는 장비들로 암에 교체 장착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각각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어테치먼트들을 모두 준비해 작업장소로 이동함으로써 다양한 작업을 수행한다.
하지만,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각각의 장비들을 교체 장착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며, 이에 따라 전체적인 작업 시간이 증가하고,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단순히 지반을 굴삭한 후 해당지반의 보강을 위해 다짐작업을 수행하는 것 만으로도, 굴삭작업용, 토사 선별작업용 및 다짐작업용에 해당하는 각각의 어테치먼트들을 교체해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예상치 않은 추가 작업이 발생한 경우 해당 작업을 위한 설비가 준비되지 않는다면, 작업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굴삭기에서 굴착작업과 다짐작업 등을 수행하는 경우 상황에 따라 버킷이나 롤러 등으로 교체하는 불편함을 해소함과 동시에 버킷에 진동을 발생시켜 작업이 원활하게 가능하도록 하는 롤러유닛을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굴삭기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롤러유닛을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에 관한 것으로, 일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토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지반과 접촉하는 굴삭면을 가지는 본체 및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상에서 폭 방향으로 회전축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둘레에 따른 외측면의 일부가 상기 굴삭면에서 돌출되어 회전하는 롤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유닛은 지반과 접촉한 상태로 상기 굴삭기에 의해 가압되며 회전하여 별도의 교체 없이 다짐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굴삭면은 상하방향을 따라 일부가 굴곡진 커브영역을 가지며, 상기 커브영역에 상기 롤러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유닛은 굴삭작업 시 상기 지반과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여 상기 지반과 상기 굴삭면의 마찰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가 상기 롤러유닛과 연통되지 않도록 차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유닛 내부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구동하며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유닛은 상기 롤러유닛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진동모터, 상기 진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하며 진동을 발생시키는 편심회전체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롤러유닛의 내면에 고정되며, 상기 편심회전체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진수단을 가지며, 상기 방진수단을 통해 상기 롤러유닛의 내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면들 중 적어도 일부는 기 설정된 크기의 다공을 가지거나 매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토사를 배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유닛은 별도의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지반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지반을 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롤러유닛을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버킷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상에서 일부가 돌출된 롤러유닛을 구비하여 별도의 교체 없이 굴삭작업의 수행과 함께 지반을 보강하거나 다지는 다짐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롤러유닛은 굴삭작업 시 지반과 슬립이 발생하는 굴삭면상에 구비되어 회전함으로써 굴삭면과 지반의 직접적인 슬립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을 저감시켜 본체의 파손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롤러유닛 내부에 별도의 진동발생유닛이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다짐작업과 굴삭작업 시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체상에 복수 개의 다공이 형성되어 수용공간 내부의 토사를 외부로 배출하고, 배출 시 진동발생유닛에 의해 상기 롤러유닛이 진동함으로써, 토사의 배출 및 선별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이 굴삭기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버킷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굴삭기용 버킷에서 롤러유닛이 돌출되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의 굴삭기용 버킷에서 롤러유닛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의 굴삭기용 버킷을 이용하여 지반을 굴삭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2의 굴삭기용 버킷에서 롤러유닛을 통해 다짐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버킷에서 본체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8은 도 7의 굴삭기용 버킷에서 진동이 발생하며 토사를 분사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롤러유닛을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은 굴삭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굴삭작업과 다짐작업을 별도의 장비 교체 없이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유닛을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에 대해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이 굴삭기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버킷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굴삭기용 버킷에서 롤러유닛이 돌출되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굴삭기용 버킷에서 롤러유닛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버킷은 굴삭기(30)에서 암(20)의 끝단부에 연결되며, 굴삭기(30)에 구비된 암(20)과 피스톤(20)의 조작에 의해 틸팅 되어 굴삭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버킷은 크게 본체(100), 롤러유닛(200) 및 진동발생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일반적인 굴삭용 버킷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나 내부로 별도의 함몰된 영역이 구비되어 상기 롤러유닛(200)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100)는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개구부를 통해 토사(D2)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120)의 하부에는 지반(D1)과 접촉하는 굴삭면(11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본체(100)는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20)의 바닥을 이루는 굴삭면(110) 및 상기 굴삭면(110)의 양측에 측면(130)이 형성되어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수용공간(12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굴삭면(110)의 끝단부에는 별도의 투스(14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반(D1)의 굴삭 시 용이하게 작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본체(100)는 상기 투스(140)가 구비된 부분을 이용하여 상기 지반(D1)을 굴삭하고, 굴삭된 토사(D2)를 상기 수용공간(120) 내부에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굴곡진 형태로 상기 굴삭면(110)을 형성하고 있으며, 굴삭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굴삭면(110)은 상기 지반(D1)과 직접적인 마찰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굴삭면(110)은 L자 형태로 특정 영역이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굴곡정도가 크게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해당 영역을 커브영역(A)으로 지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굴삭면(110)은 상기 커브영역(A)은 상기 본체(100)를 이용해서 상기 지반(D1)의 굴삭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반(D1)과의 마찰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영역에 해당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0)는 상기 커브영역(A)을 가지는 상기 굴삭면(110)과 측면(130)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120)을 가지며 상기 굴삭면(110)의 끝단부에서 돌출 형성된 상기 투스(140)에 의해 상기 지반(D1)을 굴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롤러유닛(200)은 상기 굴삭면(110)에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된 형태 구성되며, 상기 본체(100)상에서 회전축(L1)을 중심으로 상대회전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롤러유닛(200)은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상에서 폭 방향으로 회전축(L1)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유닛(200)은 둘레에 따른 외측면의 일부가 상기 굴삭면(110)에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되어 회전한다.
즉, 상기 롤러유닛(200)은 상기 본체(100)상에서 함몰된 형태로 회전축(L1)을 가지며 결합되고, 외측면의 일부가 상기 굴삭면(110)에서 외부로 돌출 배치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유닛(200)은 상기 본체(100)를 이용해 굴삭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지반(D1)과 상기 굴삭면(110)의 마찰이 발생하는 방향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L1)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100)를 이용해 상기 지반(D1)의 굴삭 시 상기 굴삭면(110)에 발생하는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롤러유닛(2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롤러유닛(200)은 상기 굴삭면(110)의 상하방향을 따라 굴곡 형성된 상기 커브영역(A)에 구비되며, 상기 롤러유닛(200)의 회전축(L1)이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수용공간(120)의 일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롤러유닛(200)의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12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100)는 상기 굴삭면(110)에서 상기 커브영역(A)이 함몰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해당 위치에 상기 롤러유닛(200)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수용공간(120) 내부로 함몰되어 상기 롤러유닛(200)의 둘레에 다른 외측면의 일부만 상기 굴삭면(110)으로 노출되고 나머지는 상기 본체(100)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수용공간(120)의 내면은 상기 롤러유닛(200)과 연통되지 않도록 차단되어 형성된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수용공간(120)이 상기 롤러와 직접적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롤러유닛(200)이 상기 굴삭면(110)상에서 일부만 노출되며 굴삭작업의 수행 시 상기 굴삭면(110)과 상기 지반(D1)의 마찰 방향을 따라 간섭 없이 회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커브영역(A)의 마모를 최소화시켜 내구성의 떨어지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롤러유닛(200)이 상기 본체(100)상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굴삭면(110)의 마찰저감과 동시에 추가적인 다짐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킷에서 상기 본체(100)상에 상기 롤러유닛(200)이 구비됨으로써, 굴삭작업의 완료 후 상기 롤러유닛(200)을 이용해 지반(D1)을 다지거나 평탄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굴삭기(30)를 이용하여 별도로 추가적인 장비를 장착하지 않고, 상기 지반(D1)에서 다짐작업이 필요한 위치에 상기 롤러유닛(200)을 접촉시킨다.
그리고 상기 굴삭기(30)의 암(20)을 이용해 상기 지반(D1)을 가압하며 전후 방향으로 상기 롤러를 회전시켜 다짐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버킷은 상기 본체(100)상에 상기 롤러유닛(200)이 구비됨으로써, 단순히 굴삭작업만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별도의 장비 교체 없이 다짐작업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인 굴삭기용 버킷의 경우 단순히 버킷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다짐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버킷의 외측 평탄한 면을 이용해 상기 지반(D1)을 눌러주거나 별도의 롤러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버킷과 같이 상기 본체(100)와 상기 롤러유닛(200)을 포함함으로써, 굴삭작업 시 상기 본체(100)에서 상기 굴삭면(110)이 마모되는 것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추가적인 장비교체 없이 다짐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진동발생유닛(300)은 상기 롤러유닛(200) 내부에 구비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크게 진동모터(310), 편심회전체(320) 및 지지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모터(310)는 상기 롤러유닛(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동모터(310)는 일반적인 모터로 회전하여 상기 편심회전체(320)를 회전시킨다.
상기 편심회전체(320)는 상기 롤러유닛(20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롤러유닛(200)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L1)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회전한다.
이때, 상기 편심회전체(320)는 상기 진동모터(310)에 의해 회전하도록 연결되며, 회전축(L1)을 중심으로 일부가 편심 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편심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진동모터(31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편심회전체(320)는 상기 회전축(L1)을 중심으로 무게중심의 위치를 변화시켜 진동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편심회전체(320)의 회전축(L1)은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축(L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달리 별도로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편심회전체(320)는 T자 형태의 단면 형태를 가지며 상기 회전축(L1)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진동모터(310)와 결합된다.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회전체(320)가 상기 진동모터(310)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기어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330)는, 상기 롤러유닛(200) 내부에서 상기 편심회전체(32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적어도 일부가 상기 롤러유닛(200)의 내면에 고정되며, 상기 편심회전체(320)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330)는 상기 편심회전체(320)를 일부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롤러유닛(200)의 중앙에 배치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돌출되어 상기 롤러유닛(200)의 내면에 고정 결합된다.
즉, 상기 지지부(330)는 상기 편심회전체(320)가 상기 롤러유닛(200) 내부에서 내면과 이격된 상태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330)는 상기 롤러유닛(200)의 중앙에 배치되며 복수개가 방사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롤러유닛(200)의 내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30)는 상기 롤러유닛(200)의 내면과 결합되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진수단(332)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지지부(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유닛(200)의 중앙에서 복수 개의 상기 방진수단(332)이 돌출된 형태로 배치되며, 각각이 상기 롤러유닛(200)의 내면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진동모터(310)에 의해 상기 편심회전체(320)가 회전하여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편심회전체(320)와 함께 상기 지지부(330)도 함께 회전을 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방진수단(332)이 상기 롤러유닛(20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킨다.
여기서, 상기 방진수단(332)은 일반적으로 탄성을 가지며 진동을 완충시킬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고무나 유연한 소재의 합성수지 또는 탄성을 가지는 용수철 등의 금속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진동발생유닛(300)은 상기 롤러유닛(200)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버킷은 상기 본체(100). 상기 롤러유닛(200) 및 상기 진동발생유닛(300)을 포함하며, 별도의 장비 교체 없이 지반(D1)에 대해 굴삭작업 및 다짐작업을 각각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작업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버킷을 이용하여 굴삭작업 및 다짐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2의 굴삭기용 버킷을 이용하여 지반(D1)을 굴삭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굴삭기용 버킷에서 롤러유닛(200)을 통해 다짐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버킷을 이용하여 굴삭작업을 하는 과정으로, 상기 굴삭기(30)의 암(20)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상기 투스(140)가 상기 지반(D1)을 향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투스(140)를 통해 상기 지반(D1)을 가압하며 상기 본체(100)를 일부 회전하여 상기 토사(D2)를 상기 수용공간(120) 내부로 유입시킨다.
이때, 상기 투스(140)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지반(D1)이 굴삭되고, 상기 토사(D2)의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120)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굴삭면(110)은 상기 지반(D1)과 접촉한 상태로 슬립이 발생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유닛(200)은 자유회전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굴삭면(110)상에서 상기 커브영역(A)에 배치되며, 상기 지반(D1)과 접촉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굴삭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굴삭면(110)과 상기 지반(D1)의 슬립에 의한 마찰을 최소화시키며 상기 커브영역(A)이 마모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유닛(200)은 자유회전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굴삭면(110)과 상기 지반(D1) 사이의 슬립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회전하여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버킷을 이용하여 다짐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굴삭작업과 달리 상기 투스(140) 부분을 지반(D1)에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암(20)상에서 상기 본체(100)를 상부방향으로 틸팅 시켜 상기 롤러유닛(200)이 하부방향으로 항하도록 한다.
그리고 평탄화 되지 않은 지반(D1)에 상기 롤러유닛(200)을 접촉시킨 후 상기 암(20)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롤러유닛(200)을 당기거나 밀면서 상기 지반(D1)을 따라 이동시켜 다짐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롤러유닛(200)은 자유회전 상태로 상기 지반(D1)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암(20)이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지반(D1)을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롤러유닛(200)이 상기 지반(D1)을 가압하여 다지거나 평탄화를 시켜 지반(D1)을 보강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굴삭작업을 완료한 후 해당 지점을 복구하는 과정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과 같이 본체(100)를 교체하지 않고 상기 롤러유닛(200)만으로 다짐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버킷은 상기 본체(100)상에 상기 롤러유닛(200)이 구비됨으로써, 굴삭작업과 다짐작업을 하나의 장비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롤러유닛(200)은 별도의 구동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롤러유닛(200)은 별도의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지반(D1)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지반(D1)을 다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다짐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롤러유닛(200)이 자유회전상태가 되어 상기 지반(D1)을 가압하며 상기 암(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지반(D1)과 상대회전을 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상기 롤러유닛(200)에 별도의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암(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롤러유닛(200)이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롤러유닛(200) 자체가 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지반(D1)의 다짐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진동발생유닛(300)이 선택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상기 굴삭작업이나 상기 다짐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롤러유닛(200)과 상기 본체(100)에 진동을 발생시켜 작업 효율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버킷은 상기 본체(100), 상기 롤러유닛(200) 및 상기 진동발생유닛(300)을 포함하며, 굴삭작업과 다짐작업을 모두 수행함과 동시에 진동에 의해 각각의 작업 효율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킷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버킷에서 본체(100)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굴삭기용 버킷에서 진동이 발생하며 토사(D2)를 분사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상기 본체(100)의 형상이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수용공간(120)을 형성하는 면들 중 적어도 일부에 기 설정된 크기의 다공(112)을 가지거나 매쉬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20) 내부에서 토사(D2)를 배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100)가 굴삭작업의 수행 시 상기 수용공간(120) 내부로 상기 토사(D2)가 유입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굴삭면(110) 및 측면(130)에 형성된 다공(1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100)는 굴삭작업과 동시에 토사(D2)에서 큰 돌이나 바위 등을 분류하여 선별작업을 수행하거나, 상기 토사(D2)를 고르게 분할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0)는 상부에 개방된 개구부와 별도로 상기 수용공간(120)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는 다공(112)을 가지며, 상기 다공(112)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120) 내부에의 토사(D2)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다공(1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삭면(110)에 형성되어 있으나, 추가적으로 측면(130)에도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다공(112)을 통해 상기 토사(D2)를 고르게 분할하여 외부로 배출 시킴으로써 상기 본체(100)는 단순 굴삭작업 뿐만 아니라 채와 같은 구조를 이용해 선별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버킷을 이용해 선별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진동발생유닛(300)이 구동하여 상기 본체(100)에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20)에 수용된 상기 토사(D2)를 빠르게 상기 다공(112)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굴삭면(110)에 복수 개의 상기 다공(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추가적으로 상기 본체(100)상에 결합되어 상기 다공(112)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수용공간(120) 내부에서 상기 굴삭면(110)의 반대방향에 위치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복수 개의 부재로 분할되어 각각이 상기 수용공간(120) 내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의 결합방식은 슬라이드형태 또는 볼트 체결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차단부의 결합 및 분리 여부에 의해 상기 본체(100)가 굴삭작업 또는 선별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버킷은 상기 본체(100), 상기 롤러유닛(200) 및 상기 진동발생유닛(300)을 포함하며, 별도의 장비 교체 없이 상술한 굴삭작업과 다짐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별도의 선별작업도 함께 수행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암
20: 피스톤
30: 굴삭기
100: 본체
110: 굴삭면
120: 수용공간
130: 측면
140: 투스
200: 롤러유닛
300: 진동발생유닛
310: 진동모터
320: 편심회전체
330: 지지부

Claims (9)

  1. 굴삭기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롤러유닛을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에 있어서,
    일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토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지반과 접촉하는 굴삭면을 가지는 본체; 및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상에서 폭 방향으로 회전축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둘레에 따른 외측면의 일부가 상기 굴삭면에서 돌출되어 회전하는 롤러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유닛은 지반과 접촉한 상태로 상기 굴삭기에 의해 가압되며 회전하여 별도의 교체 없이 다짐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롤러유닛을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삭면은,
    상하방향을 따라 일부가 굴곡진 커브영역을 가지며, 상기 커브영역에 상기 롤러유닛이 구비되는 롤러유닛을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유닛은,
    굴삭작업 시 상기 지반과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여 상기 지반과 상기 굴삭면의 마찰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유닛을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가 상기 롤러유닛과 연통되지 않도록 차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유닛을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유닛 내부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구동하며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유닛을 더 포함하는 롤러유닛을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유닛은,
    상기 롤러유닛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진동모터;
    상기 진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하며 진동을 발생시키는 편심회전체;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롤러유닛의 내면에 고정되며, 상기 편심회전체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롤러유닛을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진수단을 가지며, 상기 방진수단을 통해 상기 롤러유닛의 내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유닛을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면들 중 적어도 일부는 기 설정된 크기의 다공을 가지거나 매쉬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토사를 배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롤러유닛을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유닛은,
    별도의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지반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지반을 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유닛을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
KR1020170117018A 2017-09-13 2017-09-13 롤러유닛을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 KR2017011350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018A KR20170113503A (ko) 2017-09-13 2017-09-13 롤러유닛을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
PCT/KR2018/010794 WO2019054785A1 (ko) 2017-09-13 2018-09-13 롤러유닛을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018A KR20170113503A (ko) 2017-09-13 2017-09-13 롤러유닛을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503A true KR20170113503A (ko) 2017-10-12

Family

ID=60140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018A KR20170113503A (ko) 2017-09-13 2017-09-13 롤러유닛을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113503A (ko)
WO (1) WO201905478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5137A (zh) * 2017-12-20 2018-05-08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隧道施工用挖掘臂
KR20210041764A (ko) * 2019-10-08 2021-04-16 유한회사 도원산업기계 롤러를 부착한 빔 그레이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07586B (zh) * 2023-04-07 2024-04-05 江西恒晟达精密铸造有限公司 一种小型挖掘机用挖斗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6746B2 (ja) * 1997-03-04 2002-07-02 日立建機株式会社 掘削転圧作業機
KR200265082Y1 (ko) * 1999-03-02 2002-02-25 김종만 분쇄수단을 갖는 굴삭기용 버킷
JP2003193505A (ja) * 2001-12-28 2003-07-09 Mitsuru Maruyama 掘削作業と不整地の地ならし作業かつ、締め固め作業を一連に行なう土木機械
KR200382838Y1 (ko) * 2005-01-27 2005-04-25 김재식 굴삭기용 회전식 버켓
KR101366423B1 (ko) * 2011-11-16 2014-02-24 상진옥 회전식 스크린 버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5137A (zh) * 2017-12-20 2018-05-08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隧道施工用挖掘臂
KR20210041764A (ko) * 2019-10-08 2021-04-16 유한회사 도원산업기계 롤러를 부착한 빔 그레이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4785A1 (ko)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3503A (ko) 롤러유닛을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
JP6735035B2 (ja) 土工ローラ
EP0865543B1 (en) Pipeline padding apparatus
KR101355629B1 (ko) 굴삭기용 진동리퍼
KR101030675B1 (ko) 굴삭기 버킷의 진동장치
US4043694A (en) Vibratory compactor
CN211340943U (zh) 全回转式多用途挖掘机铲斗
KR20130063166A (ko) 진동 리퍼
JP3730748B2 (ja) ふるい装置付きスケルトンバケット
CN211057890U (zh) 一种环境整治土方开挖用挖掘设备
KR20210098836A (ko) 굴삭기용 평탄화 작업장치
KR102289487B1 (ko) 롤러를 부착한 빔 그레이더
CN212223996U (zh) 工程机械
KR101270524B1 (ko) 성토재 살포장치
CN214423437U (zh) 应用于挖掘机中的搅拌铲斗
CN219386440U (zh) 一种牵引式回转挖掘机
KR102286267B1 (ko) 암반 수거용 장치
JP2002309609A (ja) パワーショベルの振動バケット
JP3128895U (ja) 多機能型バケット
CN210177568U (zh) 一种前趾开挖装置
JP3075136U (ja) ふるい機能付きバケット
JP4031372B2 (ja) 建設機械の排土装置
KR20100034598A (ko) 작업방향을 전환가능한 유압식 진동 콤팩터
JPH02266030A (ja) 振動掘削・輾圧・破砕機
KR20200095806A (ko) 굴삭기용 갈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