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2687A - 자동차의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2687A
KR20170112687A KR1020160040112A KR20160040112A KR20170112687A KR 20170112687 A KR20170112687 A KR 20170112687A KR 1020160040112 A KR1020160040112 A KR 1020160040112A KR 20160040112 A KR20160040112 A KR 20160040112A KR 20170112687 A KR20170112687 A KR 20170112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ash panel
packing
cap
dust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60040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2687A/ko
Publication of KR20170112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6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20Connecting steering column to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하측은 랙하우징에 결합되며, 상측은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더스트캡, 더스트캡과 대시패널 사이에서 탄성지지하며, 하측단은 플랜지부를 지지하고 상측단은 대시패널을 지지하되 상측단에 자석부재가 일체로 구비되어 대시패널에 밀착되는 더스트패킹을 포함하여 더스트캡과 대시패널 사이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완충할 뿐만 아니라 수밀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조향장치{Steering apparatus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더스트패킹이 마모되거나 영구적으로 변형되어도 탄성부재와 자석부재의 지지력으로 더스트캡과 대시패널 사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으며, 더스트캡과 대시패널 사이의 지지력이 향상되어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완충함에 따라 운전자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고 자석부재로 인해 더스트패킹의 상단이 대시패널에 밀착되며, 탄성부재가 자석부재와 더스트패킹을 대시패널쪽으로 지지함에 따라 더스트패킹의 조립성이 향상되며 캡부재가 구비되어 탄성부재의 조립성이 향상되고, 더스트패킹의 상측단과 대시패널 사이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여 간극을 없애고 이에 따라 랙하우징 내부에 먼지 또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조향축(101)으로부터 회전운동을 입력받으며 조향축 하부에는 피니언 기어(105)가 형성되며, 피니언 기어(105)에 치합되어 조향축으로부터 입력받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랙바(107)를 구비한다.
또한, 랙바(107) 및 피니언 기어(105)을 둘러싸는 랙하우징(103), 랙하우징(103)의 내부에 구비되며 조향축(10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조향축(101)을 지지하는 베어링(109), 상측이 조향축(101)의 외주면에 안착되고 타측이 베어링(109)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압입됨으로써, 베어링(109)을 지지하는 스톱링(108), 랙하우징(103)의 상측 내주면에 결합되되 베어링(109)의 상부에 구비되며 조향축(101)이 관통되는 플러그(102), 조향축(101)을 감싸도록 플러그(102)의 상부 내주면에 구비되는 더스트씰(173), 플러그(102)와 랙하우징(103) 사이에 구비되어 누유를 방지하는 오링(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랙하우징(103)의 상부에는 주행 또는 정차 중에 외부로부터 랙하우징(103) 내부로 먼지 또는 물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더스트 캡(110)과 대시패널(106)을 지지하는 더스트패킹(170)을 장착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랙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더스트패킹의 지지력에 의해 충분히 완충되지 않아, 차체로 진동 및 소음이 전해지며 운전자가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더스트패킹에만 의존하여 수밀성을 확보함에 따라 더스트패킹의 마모 및 영구 변형에 따라 더스트캡과 대시패널 사이를 탄성지지하는 더스트패킹의 지지력이 저하되어, 대시패널을 지지하는 더스트패킹이 들뜨면서 간극이 생기고, 랙하우징 내부에 먼지 또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더스트캡과 대시패널 사이에 더스트패킹의 지지력을 보조해주는 탄성부재와 자석부재가 구비되어 더스트패킹이 마모되거나 영구적으로 변형되어도 탄성부재와 자석부재의 지지력으로 더스트캡과 대시패널 사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으며, 더스트캡과 대시패널 사이의 지지력이 향상되어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랙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어서 운전자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는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자석부재로 인해 더스트패킹의 상단이 대시패널에 밀착되며, 탄성부재가 자석부재와 더스트패킹을 대시패널쪽으로 지지함에 따라 더스트패킹의 조립성이 향상되며 캡부재가 구비되어 탄성부재의 조립성이 향상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더스트패킹의 상측단에 자석부재가 구비되며 자석부재가 대시패널에 밀착됨에 따라 더스트패킹의 상측단과 대시패널 사이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여 간극을 없애고 이에 따라 랙하우징 내부에 먼지 또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측은 랙하우징에 결합되며, 상측은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더스트캡, 더스트캡과 대시패널 사이에서 탄성지지하며, 하측단은 플랜지부를 지지하고 상측단은 대시패널을 지지하되 상측단에 자석부재가 일체로 구비되어 대시패널에 밀착되는 더스트패킹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더스트캡과 대시패널 사이에 더스트패킹의 지지력을 보조해주는 탄성부재와 자석부재가 구비되어 더스트패킹이 마모되거나 영구적으로 변형되어도 탄성부재와 자석부재의 지지력으로 더스트캡과 대시패널 사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으며, 더스트캡과 대시패널 사이의 지지력이 향상되어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랙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어서 운전자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석부재로 인해 더스트패킹의 상단이 대시패널에 밀착되며, 탄성부재가 자석부재와 더스트패킹을 대시패널쪽으로 지지함에 따라 더스트패킹의 조립성이 향상되며 캡부재가 구비되어 탄성부재의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더스트패킹의 상측단에 자석부재가 구비되며 자석부재가 대시패널에 밀착됨에 따라 더스트패킹의 상측단과 대시패널 사이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여 간극을 없애고 이에 따라 랙하우징 내부에 먼지 또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일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부분확대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일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부분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하측은 랙하우징(203)에 결합되며, 상측은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211)가 구비되어 있는 더스트캡(210), 더스트캡(210)과 대시패널(201) 사이에서 탄성지지하며, 하측단은 플랜지부(211)를 지지하고 상측단은 대시패널(201)을 지지하되 상측단에 자석부재(250)가 일체로 구비되어 대시패널(201)에 밀착되는 더스트패킹(230)을 포함한다.
랙하우징(203)의 상측으로 개구되는 개구부(303a)의 내주면에는 조향축(101)을 감싸는 베어링(109)과 베어링(109)을 지지하는 플러그(102)가 결합되며, 랙하우징(203)의 개구부(303a)에는 더스트캡(210)이 결합되어 고정된다.
베어링(109)은 랙하우징(203)의 내측에 결합되되 조향축(10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조향축(101)을 지지한다.
이러한 베어링(109)을 지지하는 스톱링(108)은 일측이 조향축(101)의 외주면에 안착되고 타측이 베어링(109)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압입된다.
플러그(102)는 베어링(109)을 지지하도록 베어링(109)의 상부에 구비되며 랙하우징(203)의 개구부(303a) 내주면에 결합되고 조향축(101)이 관통된다.
또한, 더스트씰(173)은 조향축(101)을 감싸도록 플러그(102)의 상부 내주면에 구비되며, 오링(180)은 플러그(102)와 랙하우징(203) 사이에 구비되어 누유를 방지한다.
한편, 랙하우징(203)의 하측은 조향축(101)의 끝단에 구비되는 피니언기어(105)와, 피니언기어(105)와 치합되어 조향축(101)으로부터 입력받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랙바(107)를 둘러싼다.
이처럼, 랙하우징(203) 내부에는 자동차를 조향하는 피니언기어(105)와 랙바(107) 등이 구비되어 있어, 먼지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면 부품이 파손될 수 있으며, 진동 및 소음으로 인해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랙하우징(203) 내부에 먼지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더스트패킹(230)의 상단에 자석부재(250)를 일체로 구비함에 따라 더스트패킹(230)과 대시패널(201) 사이를 밀착시키며 조향장치의 수밀성을 향상시키고,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랙하우징(203) 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완충한다.
더스트캡(210)은 내측에 조향축(101)이 관통되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측이 랙하우징(203)에 결합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면서 조향축(101)이 관통되는 제1관통홀(217)이 형성된다.
또한, 더스트캡(210)은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211)가 구비되어 더스트패킹(230)의 하측단이 플랜지부(211)에 결합된다.
더스트패킹(230)은 더스트캡(210)과 대시패널(201) 사이에 구비되어 각각을 탄성지지하며, 랙하우징(203) 내측으로 먼지 또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더스트패킹(230)은 하측단에 더스트캡(210)의 내주면에 요홈 형상으로 함몰형성된 플랜지부결합부(231)가 구비되어 플랜지부(211)를 지지하며 상측단에 자석부재(250)가 일체로 구비되어 대시패널(201)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자석부재(250)는 자성을 띠고 있어서 스틸재질인 대시패널(201)과 밀착될 수밖에 없으며, 즉, 더스트패킹(230)의 상측단이 대시패널(201)에 밀착되어 그 사이의 틈새를 없애며 들뜨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자석부재(250)는 자성을 띠며 탄성이 있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스틸재질인 대시패널(201)과 밀착된 상태에서 부딪침이나 충격으로 인해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자석부재(250)가 자성을 띠는 성질로 인해 대시패널(201)과의 밀착이 증대되어 더스트패킹(230)의 상측단과 대시패널(201) 사이의 들뜸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이러한 자석부재(250)는 일예로 고무 또는 플라스틱 등에 자성을 띠는 페라이트 분말 등을 혼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자석부재(250)는 더스트패킹(230)의 상측단에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구비되어 더스트패킹(230)과 대시패널(201) 사이를 밀착시킨다.
또한, 자석부재(25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대시패널(201)의 상측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자석부재(250)의 자성이 센 경우에는 더스트패킹(230)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더스트패킹(230)은 더스트캡(210)과 대시패널(201) 사이를 탄성지지하는데, 더스트패킹(230)의 하측단은 플랜지부결합부(231)가 더스트캡(210)의 플랜지부(211)에 결합되어 더스트캡(210)과 더스트패킹(230)이 틈새없이 결합되며, 더스트패킹(230)의 상측단은 자석부재(250)가 구비되어 대시패널(201)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더스트캡(210), 더스트패킹(230), 대시패널(201) 사이가 밀착되며, 동시에 더스트패킹(230)이 더스트캡(210)과 대시패널(201) 사이를 탄성지지하여 진동 및 소음을 완충한다.
이러한 자석부재(250)와 대시패널(201) 사이가 더욱 밀착될 수 있도록, 더스트패킹(230) 내측에는 캡부재(270)와 탄성부재(290)가 구비된다.
여기서, 탄성부재(290)의 상측단은 캡부재(270)를 지지하는데, 탄성부재(290)의 하측단은 후술할 더스트패킹(230)의 지지부(235)를 지지하거나 더스트패킹(230)을 통과하여 더스트캡(210)의 플랜지부(211)를 지지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290)의 하측단이 더스트패킹(230)의 지지부(235)를 지지하는 예를 먼저 설명한다.
더스트패킹(230)은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플랜지부(211)에 안착되는 지지부(235)가 형성되며, 지지부(235)에는 조향축(101)이 관통하는 제2관통홀(237)이 형성된다.
캡부재(270)는 조향축(101)이 관통하는 제3관통홀(277)이 형성되며 더스트패킹(230)에 일체로 형성되는 자석부재(250)를 상측으로 지지하도록 더스트패킹(230)의 내측을 누르면서 결합되어 캡부재(270)의 상측단이 자석부재(250)의 하측단을 대시패널(201)쪽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캡부재(270)는 더스트패킹(230)의 내측면을 누르면서 결합되어 내측면이 함몰되게 변형시키며, 더스트패킹(230)의 상측에 위치하여 자석부재(250)를 대시패널(201)쪽으로 지지해주게 된다.
탄성부재(290)는 지지부(235)와 캡부재(270) 사이에 구비되어 캡부재(270)를 대시패널(201)쪽으로 탄성지지하며 더스트캡(210)과 대시패널(201) 사이의 진동을 완충한다.
이러한 탄성부재(290)가 더스트패킹(230)의 지지부(235)와 캡부재(270) 사이에서 탄성지지함에 따라 더스트캡(210)과 대시패널(201) 사이의 지지력이 향상되며 더스트패킹(230)이 마모되거나 영구적으로 변형되는 경우에도 더스트패킹(230)의 캡부재(270)를 대시패널(201)쪽으로 지지해주어 내구가 증대된다.
또한, 탄성부재(290)는 더스트패킹(230)과 캡부재(270) 사이에 압축되어 탄성지지하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290)가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플랜지부(211)와 캡부재(270) 중에 적어도 어느 한곳에는 탄성부재(29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13,273)가 형성된다.
이때, 탄성부재(290)가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경우 가이드부(513,273)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으로 돌출되는 걸림부(515,575)가 형성되어 탄성부재(290)가 걸림부(515,575)에 감겨 더스트패킹(230) 내측에서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더스트패킹(230)의 상측단에 구비되는 자석부재(250)는 자성을 띠기 때문에 스틸재질인 대시패널(201)에 밀착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 자석부재(250)와 일체로 형성되는 더스트패킹(230)과 대시패널(201) 사이는 들뜨지 않게 된다.
또한, 탄성부재(290)의 탄성지지력으로 자석부재(250)를 대시패널(201)쪽으로 밀어주는 캡부재(270)가 구비되어 자석부재(250)와 대시패널(201) 사이가 더욱 밀착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기존의 더스트패킹(230)에만 의존하던 더스트캡(210)과 대시패널(201) 사이의 진동이 더스트패킹(230)의 지지력, 자석부재(250)의 지지력, 탄성부재(290)의 지지력으로 완충될 수 있어서 지지력이 향상된다.
도 5에는 탄성부재(290)의 하측단이 더스트패킹(230)을 통과하여 더스트캡(210)의 플랜지부(211)를 지지하는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캡부재(270)는 자석부재(250)를 상측으로 지지하도록 더스트패킹(230)의 내측에 결합되며 캡부재(270)가 더스트패킹(230)의 내측면을 누르면서 결합되어 상측면이 자석부재(250)에 지지된다.
또는 더스트패킹(230)의 내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그루브(533)가 구비되며, 그루브(533)에 캡부재(270)가 결합되어 캡부재(270)의 위치가 고정되며 자석부재(2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탄성부재(290)는 일측이 캡부재(270)를 지지하며 타측이 더스트패킹(230)을 통과하여 플랜지부(211)를 지지함에 따라 캡부재(270)와 플랜지부(211) 사이를 탄성지지한다.
이러한 탄성부재(290)가 더스트캡(210)과 캡부재(270)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플랜지부(211)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탄성부재(290)의 일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13)가 구비된다.
또한, 캡부재(270)에는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탄성부재(290)의 타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73)가 구비되어 탄성부재(290)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탄성부재(290)가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경우 플랜지부(211)의 가이드부(513)는 외주면에서 나선형으로 돌출되는 걸림부(515)가 형성되어 걸림부(515)에 스프링이 감겨 탄성부재(290)의 일측단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캡부재(270)의 가이드부(273)에는 외주면에서 나선형으로 돌출되는 걸림부(575)가 형성되어 걸림부(575)에 스프링이 감겨 탄성부재(290)의 타측단이 결합되어 탄성부재(290)가 더스트캡(210)과 캡부재(27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즉, 탄성부재(290)는 일측단이 플랜지부(211)의 걸림부(515)에 지지되며 타측단이 캡부재(270)의 걸림부(575)에 지지되어 더스트캡(210)과 캡부재(270)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된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더스트캡과 대시패널 사이에 더스트패킹의 지지력을 보조해주는 탄성부재와 자석부재가 구비되어 더스트패킹이 마모되거나 영구적으로 변형되어도 탄성부재와 자석부재의 지지력으로 더스트캡과 대시패널 사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으며, 더스트캡과 대시패널 사이의 지지력이 향상되어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랙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어서 운전자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석부재로 인해 더스트패킹의 상단이 대시패널에 밀착되며, 탄성부재가 자석부재와 더스트패킹을 대시패널쪽으로 지지함에 따라 더스트패킹의 조립성이 향상되며 캡부재가 구비되어 탄성부재의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더스트패킹의 상측단에 자석부재가 구비되며 자석부재가 대시패널에 밀착됨에 따라 더스트패킹의 상측단과 대시패널 사이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여 간극을 없애고 이에 따라 랙하우징 내부에 먼지 또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1: 대시패널 203: 랙하우징
210: 더스트캡 211: 플랜지부
217: 제1관통홀 230: 더스트패킹
231: 플랜지부결합부 235: 지지부
237: 제2관통홀 250: 자석부재
270: 캡부재 273: 가이드부
277: 제3관통홀 290: 탄성부재
513: 가이드부 515: 걸림부
533: 그루브 575: 걸림부

Claims (8)

  1. 하측은 랙하우징에 결합되며, 상측은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더스트캡; 및
    상기 더스트캡과 대시패널 사이에서 탄성지지하며, 하측단은 상기 플랜지부를 지지하고 상측단은 상기 대시패널을 지지하되 상측단에 자석부재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대시패널에 밀착되는 더스트패킹;
    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재는 상기 더스트패킹의 상측단에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패킹 내측에서 상기 자석부재를 상기 대시패널쪽으로 지지하는 캡부재와,
    상기 더스트패킹 내측에서 상기 캡부재를 상기 대시패널쪽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캡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는 상기 탄성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패킹은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플랜지부에 안착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캡부재와 지지부 사이를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패킹의 내측면에는 그루브가 형성되어 상기 캡부재가 상기 그루브에 결합되어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패킹의 하측단에는 내주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는 플랜지부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20160040112A 2016-04-01 2016-04-01 자동차의 조향장치 KR201701126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112A KR20170112687A (ko) 2016-04-01 2016-04-01 자동차의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112A KR20170112687A (ko) 2016-04-01 2016-04-01 자동차의 조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687A true KR20170112687A (ko) 2017-10-12

Family

ID=60140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112A KR20170112687A (ko) 2016-04-01 2016-04-01 자동차의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26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945A (ko) * 2018-08-27 2020-03-06 주식회사 만도 더스트 캡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945A (ko) * 2018-08-27 2020-03-06 주식회사 만도 더스트 캡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1080A (ko) 자력을 이용한 테일게이트 가이드 범퍼구조
KR20170112687A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1468772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로워 샤프트의 소음 및 진동 차단구조
KR20180067848A (ko) 차량용 현가장치
JP5005707B2 (ja) シール・システム
US9927282B2 (en) Magnet float liquid level detector with guided locking case
JP5914233B2 (ja) コラムホールカバー
KR100793370B1 (ko) 차량용 윈도우 리프트 모터의 하우징에 구비된 댐핑 수단
KR20180127715A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KR20100115084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더스트 커버
JPH0323748B2 (ko)
KR100435273B1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트
CN205468370U (zh) 一种水陆两栖车扭杆的密封装置
CN205273604U (zh) 转向油壶总成及汽车的转向系统
FR2917443B1 (fr) Dispositif de prepositionnement d'une gache destinee a cooperer avec une serrure d'un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au moins un tel dispositif
JP2007163487A (ja) ホイール支承部の回転運動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
CN215435896U (zh) 悬架装置
KR20070080418A (ko) 자동차용 멀티미디어기의 방진구조
KR100794938B1 (ko) 요크 스프링용 완충 부재를 구비한 조향장치
KR100579971B1 (ko) 자동차용 플립업 글래스의 리어 와이퍼 마운팅 구조
JP2003148553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
KR100310733B1 (ko) 현가장치의스트럿고정부용캡구조
KR20160015009A (ko) 랙과 피니언 방식의 조향장치
KR100535574B1 (ko) 차량용 로고 고정구조
JP6510386B2 (ja) 車載用電子機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