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2577A -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2577A
KR20170112577A KR1020160039753A KR20160039753A KR20170112577A KR 20170112577 A KR20170112577 A KR 20170112577A KR 1020160039753 A KR1020160039753 A KR 1020160039753A KR 20160039753 A KR20160039753 A KR 20160039753A KR 20170112577 A KR20170112577 A KR 20170112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polymer
elastic block
melting point
low
rational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환
최중현
한송정
차국진
김도현
Original Assignee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9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2577A/ko
Publication of KR20170112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57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 the absence of monomers, e.g. block polymers
    • C08G81/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 the absence of monomers, e.g. block polymers at least one of the polymers being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G81/024Block or graft polymers containing sequences of polymers of C08C or C08F and of polymers of C08G
    • C08G81/025Block or graft polymers containing sequences of polymers of C08C or C08F and of polymers of C08G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 the absence of monomers, e.g. block polymers
    • C08G81/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 the absence of monomers, e.g. block polymers at least one of the polymers being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G81/024Block or graft polymers containing sequences of polymers of C08C or C08F and of polymers of C08G
    • C08G81/027Block or graft polymers containing sequences of polymers of C08C or C08F and of polymers of C08G containing polyester or polycarbonat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25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3Morphological aspects
    • C08G2261/134Rod and coil building blo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과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탄성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및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화합물이 사슬연장제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중합도가 우수하고 안정적인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Low-melting elastic block copolymer, composition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블록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저융점 탄성 블록공중합체,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첨단산업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고분자 재료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경제적이면서도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방법 중에 한가지로 고분자 블랜드 기술이 있다. 고분자 블랜드는 새로운 고분자의 합성과 그 제조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쉽고 싸게 새로운 고분자 재료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화학 구조가 다른 두 가지 고분자를 혼합할 경우 상분리가 일어나 오히려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물리/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균일한 특성을 갖도록 고분자를 블랜딩할 필요가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합성섬유는 융점이 높아 용도가 제한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특히 섬유 등의 접착용도에 있어서 심지 등의 용도나 테이프상의 직물 사이에 삽입하여 가압 접착하게 되는 접착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가열에 의해 섬유 직물 자체가 열화되는 일이 있고, 고주파미싱 같은 특수한 장비를 사용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특수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도 통상의 간단한 가열 프레스에 의해 용이하게 접착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종래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는 매트리스, 자동차용 내장재 또는 각종 부직포 패팅 용도로 제조시 사용되는 상호 섬유구조물에 있어 이종의 섬유를 접착하는 목적으로 핫멜트(Hot Melt)형 바인더 섬유가 폭넓게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수지에 있어서 저융점화한 것의 요구가 높고, 바인더(binder) 섬유나 접착제 등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용도에는, 일반적으로 공중합한 폴리에스테르(Polyester)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합중국 등록특허 4,129,675호에는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과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을 이용하여 공중합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가 소개되어 있으나,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은 고가의 재료로 대량의 이소프탈산을 이용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는 생산단가가 높아 경쟁성이 떨어지고, 상기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의 중합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미합중국 등록특허 4,129,67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중합도가 높고 균일한 특성을 가지며, 저융점 특성이 우수한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1 : 1 ~ 5의 몰비로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 P1 및 P2
Figure pat00003
또는
Figure pat00004
이고, R1 및 R2는 C3 ~ C5의 알킬렌기이고, n은 400 ~ 4000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고, x는 25 ~ 90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고, y는 10 ~ 75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며, R3 및 R4는 C1 ~ C3의 알킬렌기이고, a는 70 ~ 90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고, b는 10 ~ 30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피로멜리틱 디안하이드라이드(Pyromellitic dianhydride), 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Trimellitic dnhydride), 카르보닐 비스(1-카프로락탐)(Carbonyl bis(1-caprolactam)), 디에폭시드 비스페놀 에이-디글리시딜 에테르(Diepoxide bisphenol A-diglycidyl ether), 및 디에폭시드 비스페놀 에프-디글리시딜 에테르(Diepoxide bisphenol F-diglycid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사슬연장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융점이 110℃ ~ 14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융점이 130℃ ~ 136℃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ASTM D638에 의하여 측정시 탄성회복률은 9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고, 140 ~ 160 ℃의 융점을 갖는 탄성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고, 60 ~ 100 ℃의 연화점을 갖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사슬연장제;를 포함한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3에서 P1 및 P2
Figure pat00006
또는
Figure pat00007
이고, R1 및 R2는 C3 ~ C5의 알킬렌기이고, n은 400 ~ 4000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고, x는 25 ~ 90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고, y는 10 ~ 75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4에서 R3 및 R4는 C1 ~ C3의 알킬렌기이고, a는 70 ~ 90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고, b는 10 ~ 30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사슬연장제는 피로멜리틱 디안하이드라이드(Pyromellitic dianhydride), 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Trimellitic dnhydride), 카르보닐 비스(1-카프로락탐)(Carbonyl bis(1-caprolactam)), 디에폭시드 비스페놀 에이-디글리시딜 에테르(Diepoxide bisphenol A-diglycidyl ether), 및 디에폭시드 비스페놀 에프-디글리시딜 에테르(Diepoxide bisphenol F-diglycid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고융점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 35 ~ 50 중량부, 및 상기 사슬연장제 5 ~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은 1차 산화방지제 및 2차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1차 산화방지제 및 2차 산화방지제는 서로에 관계 없이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디페닐아민계 산화방지제, 금속 착화합물 산화방지제 및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상기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을 반응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반응 압출은 160 ~ 200℃의 온도에서, 100 ~ 200 rpm 스크류 속도로, 1 ~ 5 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중합도가 높고 균일한 특성을 가지며, 저융점 특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1 : 1 ~ 5 의 몰비로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1 ~ 3,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 ~ 2로 포함한다. 상기 몰비가 1 : 1 미만일 경우 탄성 특성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9
[화학식 2]
Figure pat00010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 P1 및 P2
Figure pat00011
또는
Figure pat00012
이고, R1 및 R2는 C3 ~ C5의 알킬렌기이고, n은 400 ~ 4000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고, x는 25 ~ 90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고, y는 10 ~ 75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며, R3 및 R4는 C1 ~ C3의 알킬렌기이고, a는 70 ~ 90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고, b는 10 ~ 30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다.
본 발명의 반응압출 단계에서 융점을 조절하기 위해 압출기에 사슬연장제를첨가할 수 있다. 사슬연장제는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의 말단 카르복실기(Carboxyl group) 또는 하이드록시기(Hydroxy group)와 반응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사슬연장제는 피로멜리틱 디안하이드라이드(Pyromellitic dianhydride), 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Trimellitic dnhydride), 카르보닐 비스(1-카프로락탐)(Carbonyl bis(1-caprolactam)), 디에폭시드 비스페놀 에이-디글리시딜 에테르(Diepoxide bisphenol A-diglycidyl ether), 및 디에폭시드 비스페놀 에프-디글리시딜 에테르(Diepoxide bisphenol F-diglycid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의 융점은 110 ~ 140 ℃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 ~ 136℃일 수 있다. 상기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의 융점이 110℃ 미만일 경우 내열성 저하, 경도, 인장강도, 탄성률 등의 기계적 성질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140℃를 초과할 경우 공정 온도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는 ASTM D638에 의거하여 인장시편을 제조하여 인스트론(Instron)으로 측정시 탄성회복률은 9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고, 140℃ ~ 160℃의 융점을 갖는 탄성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고, 60℃ ~ 100℃의 연화점(Softening Point)을 갖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사슬연장제;를 포함한다.
[화학식 3]
Figure pat00013
상기 화학식 3에서 P1 및 P2
Figure pat00014
또는
Figure pat00015
이고, R1 및 R2는 C3 ~ C5의 알킬렌기이고, n은 400 ~ 4,000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고, x는 25 ~ 90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고, y는 10 ~ 75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다.
[화학식 4]
Figure pat00016
상기 화학식 4에서 R3 및 R4는 C1 ~ C3의 알킬렌기이고, a는 70 ~ 90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고, b는 10 ~ 30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다.
상기 사슬연장제는 피로멜리틱 디안하이드라이드(Pyromellitic dianhydride), 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Trimellitic dnhydride), 카르보닐 비스(1-카프로락탐)(Carbonyl bis(1-caprolactam)), 디에폭시드 비스페놀 에이-디글리시딜 에테르(Diepoxide bisphenol A-diglycidyl ether), 및디에폭시드 비스페놀 에프-디글리시딜 에테르(Diepoxide bisphenol F-diglycid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 10 ~ 50 중량부, 및 상기 사슬연장제 0.1 ~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 30 ~ 50 중량부, 및 상기 사슬연장제 0.1 ~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반응시간과 중합물의 겔화를 최소화하는 측면에서 하기 관계식으로 함량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계식]
사슬연장제 함량(wt%) = (사슬연장제 중량편균분자량(Mw)×중합물의 카르복실 말단 함량) ÷ (2×104)
상기 점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을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융점 저하 특성이 미미할 수 있고,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탄성 회복률이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은 열노화 방지의 목적으로 산화방지제를 0.1 ~ 3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디페닐아민계 산화방지제, 금속 착화합물 산화방지제 및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전술된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을 반응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반응압출 공정을 활용하여 제품 제조시 기존 중합 공정 대비 반응 시간이 짧으며, 중합 단계에서 다양한 모노머 및 첨가제를 투입/회수하기 위한 설비의 투자가 필요 없어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고분자의 종류와 구성비에 따라 다양한 그레이드의 제품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반응 압출 단계에서 중합물이 압출기 내에서 용융물 상태로 체류하는 시간과 압출기의 온도를 최적 범위로 조절하여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용융 상태에서의 체류 시간이 1분 미만이면 반응시간이 부족하여 융점의 변화가 미비하거나 미반응 사슬연장제로인해 후가공 시에 제품의 물성에 영향을 주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체류 시간이 5분을 초과하여 탄성 특성과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응압출 단계에서 체류 시간은 1 ~ 5분 정도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온도는 160℃ ~ 200℃에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온도가 너무 낮으면 반응이 느려 미반응 사슬연장제가 발생하게 되고, 반대로 너무 높으면 열분해에 의해 원하는 물성을 얻을 수 없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 실시예 ]
< 실시예 1>
용융중합 방법으로 제조되고, 경도 40D, 융점 155℃, 유동지수 7g/10min(250℃, 2.16kg), SK케미칼에서 제조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탄성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TPEE-A)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co-PET)를 스크류 직경이 16mm이고 L/D=40인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반응압출을 실시하였다.
[화학식 3]
Figure pat00017
상기 화학식 3에서 P1 및 P2
Figure pat00018
이고, R1 및 R2는 C4의 알킬렌기이고, n은 2000, x는 60, y는 45이다.
[화학식 4]
Figure pat00019
상기 화학식 4에서 R3 및 R4는 C2의 알킬렌기이고, a는 80, b는 20이다.
이후, 상기 탄성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TPEE-A) 65.8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co-PET) 28.2 중량부, 상기 사슬연장제로 비스페놀 A형 에폭시 화합물 5.0 중량부, 1차 산화방지제로 장애 페놀성 산화방지제 0.5 중량부, 및 2차 산화제로 아인산염 산화방지제 (phosphite antioxidant) 0.5 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물을 제조했다.
다음으로, 상기 조성물을 압출기에 투입하여 반응압출을 실시하였다. 이때 이축 압출기 내의 조건은 온도 160~200℃, 스크류 rpm 100~200rpm, 체류 시간 1~3분이 되도록 조절하여 실시하였으며, 제조된 수지 조성물은 냉각 후 펠렛화 하였다.
< 실시예 2 ~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제조하되, 하기 표 1과 같이 각 성분의 조성을 달리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여 반응 압출을 수행했다.
<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제조하되, 탄성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을 LG화학사의 용융중합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주쇄가 p-phenyl(Terephthali acid, TPA)로 이루어짐)를 사용했다. 상기 엘라스머는 경도 40D, 융점 170℃, 유동지수 15g/10min(200℃, 2.16kg) 특성을 나타낸다.
< 비교예 2 ~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제조하되, 하기 표 1과 같이 각 성분의 조성을 달리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여 반응 압출을 수행했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4의 펠렛에 열을 가해 융점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그 결과를 나타냈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4의 펠렛을 ASTM D638에 의거하여 인장 시편을 제조하여 인스트론(Instron)을 이용하여 탄성회복률과 탄성계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4의 펠렛을 ASTM D2240의 방법으로 쇼어 D 타입으로 경도를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TPEE-A
(중량%)
65.8 47.0 28.2 65.8 0 69.3 49.5 29.7
TPEE-B
(중량%)
0 0 0 0 65.8 0 0 0
co-PET
(중량%)
28.2 47.0 65.8 28.2 28.2 29.7 49.5 69.3
사슬
연장제
(중량%)
5 5 5 2 5 0 0 0
1차 산화
방지제
(중량%)
0.5 0.5 0.5 0.5 0.5 0.5 0.5 0.5
2차 산화
방지제
(중량%)
0.5 0.5 0.5 0.5 0.5 0.5 0.5 0.5
Tm(℃) 132.4 142.4 149.6 149.3 165.5 154.0 152.9 158.9
탄성
회복률(%)
93 90 - 93 92 94 90 -
탄성
계수(GPa)
0.296 1.667 - 0.331 0.345 0.371 1.675 -
쇼어
경도D
45 50 60 45 45 45 50 60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은 탄성회복률이 90% 이상으로 우수한 물성을 가지며, 사슬연장제를 넣은 경우 융점의 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1 : 1 ~ 5의 몰비로 포함하는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화학식 1]
    Figure pat00020

    [화학식 2]
    Figure pat00021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 P1 및 P2
    Figure pat00022
    또는
    Figure pat00023
    이고, R1 및 R2는 C3 ~ C5의 알킬렌기이고, n은 400 ~ 4000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고, x는 25 ~ 90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고, y는 10 ~ 75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며, R3 및 R4는 C1 ~ C3의 알킬렌기이고, a는 70 ~ 90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고, b는 10 ~ 30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피로멜리틱 디안하이드라이드(Pyromellitic dianhydride), 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Trimellitic dnhydride), 카르보닐 비스(1-카프로락탐)(Carbonyl bis(1-caprolactam)), 디에폭시드 비스페놀 에이-디글리시딜 에테르(Diepoxide bisphenol A-diglycidyl ether), 및 디에폭시드 비스페놀 에프-디글리시딜 에테르(Diepoxide bisphenol F-diglycid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사슬연장제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융점이 110℃ ~ 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4. 제2항에 있어서,
    융점이 130℃ ~ 13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ASTM D638에 의하여 측정시 탄성회복률은 90% 이상인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6.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고, 140℃ ~ 160℃의 융점을 갖는 탄성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고, 60℃ ~ 100℃의 연화점을 갖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사슬연장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pat00024

    상기 화학식 3에서 P1 및 P2
    Figure pat00025
    또는
    Figure pat00026
    이고, R1 및 R2는 C3 ~ C5의 알킬렌기이고, n은 400 ~ 4000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고, x는 25 ~ 90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고, y는 10 ~ 75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며,
    [화학식 4]
    Figure pat00027

    상기 화학식 4에서 R3 및 R4는 C1 ~ C3의 알킬렌기이고, a는 70 ~ 90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고, b는 10 ~ 30 범위를 갖는 유리수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슬연장제는 피로멜리틱 디안하이드라이드(Pyromellitic dianhydride), 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Trimellitic dnhydride), 카르보닐 비스(1-카프로락탐)(Carbonyl bis(1-caprolactam)), 디에폭시드 비스페놀 에이-디글리시딜 에테르(Diepoxide bisphenol A-diglycidyl ether), 및 디에폭시드 비스페놀 에프-디글리시딜 에테르(Diepoxide bisphenol F-diglycid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 35 ~ 50 중량부, 및 상기 사슬연장제 5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은 1차 산화방지제 및 2차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1차 산화방지제 및 2차 산화방지제 각각은 독립적으로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디페닐아민계 산화방지제, 금속 착화합물 산화방지제 및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을 반응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압출은 160℃ ~ 200℃의 온도에서, 100 ~ 200 rpm 스크류 속도로, 1 ~ 5 분 동안 수행되는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20160039753A 2016-03-31 2016-03-31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125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753A KR20170112577A (ko) 2016-03-31 2016-03-31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753A KR20170112577A (ko) 2016-03-31 2016-03-31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577A true KR20170112577A (ko) 2017-10-12

Family

ID=60140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753A KR20170112577A (ko) 2016-03-31 2016-03-31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25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09395A (zh) * 2022-07-15 2022-09-27 华润化学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聚酯工程塑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09395A (zh) * 2022-07-15 2022-09-27 华润化学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聚酯工程塑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8705B2 (ja) 流動性が向上した全芳香族液晶ポリエステル樹脂コンパウンド
CN108034204B (zh) 一种耐低温冲击聚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0903612A (zh) 一种液晶聚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
EP2418249A2 (en) Wholly aromatic liquid crystalline polyester resin compound with improved flowability,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20210150422A (ko) 전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20120004782A (ko) 전기절연 특성이 향상된 전방향족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 컴파운드
CN111073258A (zh) 聚苯醚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819723B1 (ko) 친환경 핫멜트 접착제용 수지 조성물
KR20170112577A (ko) 저융점 탄성 블록 공중합체,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35398B1 (ko) 연신 재료용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연신 재료,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767132B1 (ko)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
KR20160142429A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생분해성 시트
CN109627702B (zh) 一种可降解环保高分子复合材料
KR101717835B1 (ko)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는 변성 폴리(아릴렌 에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선
KR102179471B1 (ko) 전도성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CN115340751A (zh) 一种低介电常数pbt共聚酯/聚烯烃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KR20220048537A (ko)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02888084A (zh) 一种光纤二次被覆料pbt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80047090A (ko)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방법
KR20100080085A (ko) 점도 안정성이 향상된 전방향족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컴파운드
KR20220056346A (ko)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44126A (ko)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접착 파우더를 이용한 고강도 목재 플라스틱 복합재
KR102541749B1 (ko)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14456597B (zh) 一种低热膨胀系数热塑性聚酰亚胺树脂材料及制备方法
KR102297622B1 (ko) 접착력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