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0307A -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용 단말기의 메탈 프레임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용 단말기의 메탈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0307A
KR20170110307A KR1020160034522A KR20160034522A KR20170110307A KR 20170110307 A KR20170110307 A KR 20170110307A KR 1020160034522 A KR1020160034522 A KR 1020160034522A KR 20160034522 A KR20160034522 A KR 20160034522A KR 20170110307 A KR20170110307 A KR 20170110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metal frame
base
reinforcing
injection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5491B1 (ko
Inventor
윤진만
Original Assignee
(주)신영프레시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영프레시젼 filed Critical (주)신영프레시젼
Priority to KR1020160034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491B1/ko
Publication of KR20170110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2Die forging; Trimming by making use of special dies ; Punching during fo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26Making machine elements housings or supporting parts, e.g. axle housings, engine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2045/1486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4868Pretreatment of the insert, e.g. etching,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용 단말기의 메탈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리브가 돌출된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을 제조함에 있어 단조 프레스로 금속 재질의 메탈 프레임 성형체를 성형한 후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합성수지 재질의 인서트 사출성형체를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형성하되 단조 프레스로 상기 리브 중 일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리브를 형성하고,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상기 리브 중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는 사출성형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제조과정을 단순화하고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하며,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리브를 기설계된 치수로 정확하고 용이하게 성형하며, 리브의 강성을 증대시켜 불량률을 저하시키고,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용 단말기의 메탈 프레임{Manufacturing Method of Metal Frame for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and Metal Frame for Portable terminal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용 단말기의 메탈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플레이트 형상의 모재를 단조로 가공하여 리브를 일부 형성하고, 리브의 나머지 부분을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조과정을 단순화하고,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하는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용 단말기의 메탈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PC 등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PC는 디스플레이 패널, 카메라모듈, 기판, 배터리 등이 장착되는 메인 프레임으로 금속 재질의 메탈 프레임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메탈 프레임은 알루미늄 소재를 주로 이용하고 있으며, 상기 알루미늄 소재는 가벼운 장점뿐만 아니라 미려한 외관 색상을 구현하거나 열전도성이 우수한 특성이 있어 휴대용 단말기를 경량화하고, 휴대용 단말기의 방열효과와 미관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메탈 프레임은 전면과 후면이 함몰된 형태를 가지도록 양면의 테두리에 리브가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전면과 후면에 각각 디스플레이 장착공간, 카메라 모듈 장착공간, 배터리 장착공간 등의 모듈장착공간을 구분하는 복수의 리브가 돌출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메탈 프레임은 다수의 리브가 평면 상에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통상 마그네슘 합금을 사용한 다이캐스팅 방법으로 일체로 주조하거나, 다이캐스팅 방법으로 주 패널을 주조한 후 인서트 사출성형법을 통해 합성수지재로 테두리 패널과 리브를 형성하여 일체화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더 상세하게 종래 메탈 프레임 제조방법은 주조로 1차 주조 프레임을 형성하고, 주조로 1차 제조된 주조 프레임을 NC가공, 트리밍, 사상, 배럴(Barrel), 방청 등의 다수의 추가 가공공정으로 가공한 후 인서트 사출성형하고 있어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메탈 프레임 제조방법에서 주조에 사용되는 금형의 짧은 수명은 메탈 프레임의 제조원가를 추가로 상승시키는 원인이며, 주조로 제조되는 메탈 프레임은 리브 부분이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해서만 형성되므로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기 어려워 제품불량률이 높고, 안정적인 제품 품질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국내특허공개 제2015-0121828호 '전자기기용 프레임'(2015년 10월 30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조 프레스 가공 후 사출 성형을 통해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를 제조함으로써 제조과정을 단순화하고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하며, 리브의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용 단말기의 메탈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은 다수의 리브가 돌출된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메탈 플레이트소재를 단조 프레스금형으로 가열 가압하여 메탈 프레임 성형체를 성형하는 단조 프레스단계, 상기 단조 프레스단계로 성형된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를 인서트 사출하여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인서트 사출성형체를 형성하는 인서트 사출성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조 프레스단계는 설계된 상기 리브 중 일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리브를 돌출 성형하고, 상기 인서트 사출성형단계는 상기 베이스 리브의 측면 또는 상부를 감싸며 상기 리브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는 사출성형 리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은 상기 단조 프레스단계 후 상기 인서트 사출성형단계 이전에 상기 베이스 리브에 보강 리브를 용접해서 고정시키는 리브보강 용접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리브보강 용접단계는 상기 보강 리브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바닥에 용접하여 고정하고 상기 보강 리브의 양단부 중 다른 하나를 상기 베이스 리브의 측면에 용접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리브보강 용접단계는 양단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상기 보강 리브를 준비하고, 상기 보강 리브의 절곡된 일단부를 상기 베이스 리브의 측면에 용접하여 고정하고, 상기 보강 리브의 타단부를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바닥에 용접시켜 고정함으로써 상기 보강 리브와 상기 베이스 리브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단계는 상기 보강 리브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사출성형 리브를 형성하며 상기 보강 리브와 상기 베이스 리브 사이에 합성수지를 채워 상기 사출성형 리브의 일부가 상기 보강 리브와 상기 베이스 리브 사이에 채워져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은 상기 리브 보강용접단계 후 상기 인서트 사출성형단계 이전에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를 표면 처리하여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표면에 접합용 요철부를 형성하는 표면처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면처리단계는 직류전압을 이용한 아노다이징 공정을 통해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요철 형성과정, 교류 전압을 이용한 아노다이징 공정을 통해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을 확장하는 요철 확장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조 프레스단계는 순송금형을 이용하여 메탈 플레이트소재를 이송하며, 상기 메탈 플레이트 소재를 가열하고 가압해서 상기 메탈 플레이트 소재 상에 베이스 리브를 돌출시키는 단조 프레스과정, 상기 단조 프레스과정 후 다수의 홀을 형성하는 피어싱 과정, 상기 피어싱 과정 후 상기 메탈 플레이트 소재를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형상에 맞게 일부분 절단 가공하는 노칭 과정, 상기 노칭 과정을 거친 상기 메탈 플레이트 소재를 분리시키기 위한 파팅라인을 형성하는 파팅 과정 및 상기 파팅 과정을 거친 상기 메탈 플레이트 소재를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형상에 대응되게 절단시켜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를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은, 다수의 리브가 돌출된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이며, 단조 프레스로 성형되며 금속 재질의 메탈 프레임 성형체 및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며 합성수지 재질의 인서트 사출성형체를 포함하며, 상기 리브는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에 일체로 돌출 성형되는 베이스 리브, 및 상기 베이스 리브의 측면 또는 상부를 감싸며 상기 인서트 사출성형체에 포함되는 사출성형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체는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외측 테두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출성형 리브는 상기 외측 테두리부와 함께 인서트 사출 성형되며 상기 베이스 리브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한 측면과 상기 베이스 리브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 리브 또는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바닥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 리브의 측면을 지지하여 보강하는 보강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 리브는 하단부가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바닥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 리브의 측면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 리브의 표면과 상기 보강 리브의 표면에는 접합용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출 성형리브의 일부는 상기 접합용 요철부 내로 삽입되어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베이스 리브에 이격되게 세워지며 상기 베이스 리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대응되게 형성되는 리브 본체부, 상기 리브 본체부의 하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바닥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제1고정부, 상기 리브 본체부의 상단부에서 절고되어 상기 베이스 리브의 측면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리브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구비되어 사이 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 리브와 상기 리브 본체부는 서로 세워져 대향된 면 사이에 상기 사출성형 리브의 일부가 상기 보강 리브와 상기 베이스 리브 사이에 채워져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출성형 리브는 상기 베이스 리브의 양측면과 상기 베이스 리브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보강 리브가 매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 리브가 상기 베이스 리브의 양 측면에 각각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사출성형 리브는 상기 베이스 리브의 양측면과 상기 베이스 리브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보강 리브가 매입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리브의 양측에서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바닥을 일부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조 프레스 가공 후 사출 성형을 통해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을 제조함으로써 제조과정을 단순화하고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하며,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리브의 강성을 증대시켜 불량률을 저하시키고,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리브를 기설계된 치수로 정확하고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어 제조 시 불량률을 더 저하시키고, 제조 시 치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에서 보강 리브를 용접하고 표면 처리 후 인서트 사출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리브에 대한 서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리브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리브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을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은 다수의 리브가 돌출된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은 메탈 플레이트소재를 단조 프레스금형으로 가열 가압하여 메탈 프레임 성형체를 성형하는 단조 프레스단계(S100) 및 상기 단조 프레스단계(S100)로 성형된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를 인서트 사출하여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인서트 사출성형체를 형성하는 인서트 사출성형단계(S600)를 포함하여 다수의 리브가 돌출된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를 제조한다.
상기 메탈 플레이트소재는 알루미늄(Al),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합금, SUS, 구리(Cu), 구리(Cu)를 포함하는 합금 등의 재질을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단조 프레스단계(S100)는 설계된 상기 리브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는 베이스 리브를 돌출 성형하고, 상기 인서트 사출성형단계(S600)는 상기 베이스 리브의 측면과 상부를 감싸도록 사출성형 리브를 형성하여 설계된 최종 상기 리브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즉, 상기 단조 프레스단계(S100)는 설계된 상기 리브 중 일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리브를 돌출 성형하고, 상기 인서트 사출성형단계(S600)는 상기 베이스 리브의 측면 또는 상부를 감싸며 상기 리브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는 사출성형 리브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은 상기 단조 프레스단계(S100) 후 상기 인서트 사출성형단계(S600) 이전에 상기 베이스 리브에 보강 리브를 용접해서 고정시키는 리브보강 용접단계(S3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은 상기 단조 프레스단계(S100) 더 상세하게는 상기 리브 보강용접단계 후 상기 인서트 사출성형단계(S600) 이전에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를 표면 처리하여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표면에 접합용 요철부를 형성하는 표면처리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단계(S400)는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 중 상기 인서트 사출성형되는 부분 즉, 상기 인서트 사출성형체가 사출 성형되는 부분의 표면에 접합용 요철부를 형성하여 별도의 접착재를 도포하지 않고도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와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체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단계(S400)는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은 상기 단조 프레스단계(S100) 후 상기 리브보강 용접단계(S300) 이전에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평탄도를 보정하는 평탄 보정단계(S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탄 보정단계(S200)는 상기 단조 프레스단계(S100)로 제조된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를 열을 이용하여 압착함으로써 평탄도를 보정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일반적은 평탄 보정작업을 통해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평탄도를 보정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은 상기 인서트 사출 전에 최종적으로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평탄도를 검사하는 평탄 검사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탄 검사단계(S500)는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 진행 시 치수 항정성 및 인서트 사출 성형체의 품질 확보를 위해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평탄도를 재검사하는 것이다.
상기 평탄 검사단계(S500)는 3차원 접촉 또는 비접촉 측정기, 레이저 측정기, 하이트 게이지 등의 공지의 평탄도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평탄도를 검사한다.
상기 평탄 검사단계(S500)에서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평탄도가 기준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상기 평탄 보정단계(S200)를 한번 더 수행하여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평탄도를 보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단조 프레스단계(S100)는 순송금형을 이용하여 메탈 플레이트소재(2)를 이송하면서 여러가지 형상을 단계적으로 구현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순송금형은 프로금형 또는 프로그레시브금형이라고도 하며 이송되는 소재에 여러가지 형상을 단계적으로 구현 가능한 금형이며 공지의 금형으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상기 단조 프레스단계(S100)는 상기 메탈 플레이트소재(2)를 가열하고 가압해서 상기 메탈 플레이트소재(2) 상에 베이스 리브(11)를 돌출시키는 단조 프레스과정(S110);
상기 단조 프레스과정(S110) 후 다수의 홀을 형성하는 피어싱 과정(S120);
상기 피어싱 과정(S120) 후 상기 메탈 플레이트소재(2)를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의 형상에 맞게 일부분 절단 가공하는 노칭 과정(S130);
상기 노칭 과정(S130)을 거친 상기 메탈 플레이트소재(2)를 분리시키기 위한 파팅라인을 형성하는 파팅 과정(S140); 및
상기 파팅 과정(S140)을 거친 상기 메탈 플레이트소재(2)를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의 형상에 대응되게 절단시켜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를 분리하는 과정(S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하는 과정(S150)을 통해 분리된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는 상기 인서트 사출성형단계(S600) 이전에 상기 표면처리단계(S400)를 거쳐 상기 인서트 사출성형단계(S600) 시 인서트 사출 성형체(20)와의 접합력을 확보한다.
상기 표면처리단계(S400)는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체(20)가 형성되는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의 표면에 접합용 요철부를 형성한다.
상기 메탈 플레이트소재(2)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표면처리단계(S400)는 직류전압을 이용한 아노다이징 공정을 통해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요철 형성과정, 교류 전압을 이용한 아노다이징 공정을 통해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을 확장하는 요철 확장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처리단계(S400)는 상기 요철 형성과정 이전에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를 탈지하는 과정, 탈지된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를 에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지하는 과정은 알루미늄 판 표면의 유분 및 이물을 제거하기 위해 알루미늄 판을 황산(H2SO4) 용액으로 탈지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에칭 과정은 크게 알칼리 에칭과 산 에칭으로 구분되며, 알칼리 에칭은 생성되는 요철의 크기가 작고 부드러우며, 산 에칭은 생성되는 요철의 크기가 크고 거칠다. 산 에칭은 강한 요철 효과가 필요할 때 사용되며 이종 재질 간의 접합력이 우수하다.
상기 탈지하는 과정과 상기 에칭 과정은 상기 요철 형성과정 전의 전처리 과정으로 상기 요철 형성과정에서 요철이 더 고르고 미세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아노다이징(Anodizing) 공정은 금속을 양극으로 하여 전해질 수용액의 전기 분해를 통해 금속 표면에 내식성 산화 피막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며, 일반적인 아노다이징 공법에는 황산법, 인산법, 수산법 및 크롬산법 등이 있다.
상기 요철 형성과정은 황산 용액을 이용한 황산법을 이용하거나 인산 용액을 이용한 인산법을 이용할 수 있다.
황산법은 전해액으로서 120~170g/L의 황산 용액을 이용하고, 15~25도의 온도로 40~50분 동안 10~20V의 직류 전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산법은 전해액으로서 250~300g/L의 인산 용액을 이용하고, 25~35도의 온도로 20~25분 동안 20~30V의 직류 전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 확장과정은 요철이 형성된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에 아노다이징 공정 즉, 다종 양극산화를 실시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요철 확장과정은 기형성된 요철을 확장하기 위한 것으로 교류 전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교류 전압만으로는 미세한 크기의 요철을 형성할 수 없으며, 직류 전압으로 미세한 크기의 요철을 형성한 다음, 교류 전압을 이용하여 형성된 요철을 확장시켜 이종재질 간의 접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요철 형성과정에 의해 형성된 요철은 3~5μm의 직경과 10~15μm의 깊이를 가지거나 6~7μm의 직경과 15~17μm의 깊이를 가지며, 상기 요철 확장과정에 의해 형성된 요철은 8~12μm의 직경과 30~33μm의 깊이를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인서트 사출성형단계(S600)는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외측 테두리부(21) 및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측면과 상부를 감싸 설계된 최종 상기 리브(1a)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사출성형 리브(22)를 포함하는 인서트 사출 성형체(20)를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형성하여 다수의 리브(1a)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1)을 제조한다.
즉, 상기 인서트 사출성형단계(S600)에서 형성되는 인서트 사출 성형체(20)는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외측 테두리부(21) 및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측면과 상부를 감싸 설계된 최종 상기 리브(1a)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사출성형 리브(22)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인서트 사출성형단계(S600)로 성형되는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체(20)는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에 의해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와 견고하게 접합 고정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에서 보강 리브(30)를 용접하고 표면 처리 후 인서트 사출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개략도로써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리브보강 용접단계(S300)를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리브보강 용접단계(S300)는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측면 즉,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 즉, 양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보강 리브(30)를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보강 리브(30)는 상기 베이스 리브(11)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고, 하단부가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의 바닥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 리브(11)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브보강 용접단계(S300)는 상기 베이스 리브(11)보다 얇게 형성된 보강 리브(30)의 양단부를 각각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의 바닥과 상기 베이스 리브(11)에 용접으로 고정시킨다.
상기 보강 리브(30)의 상단부는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측면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리브보강 용접단계(S300)는 상기 베이스 리브(11)보다 얇게 형성된 보강 리브(30)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의 바닥에 용접하여 고정하고 상기 보강 리브(30)의 양단부 중 다른 하나를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측면에 용접하여 고정시킴으로써 기준치 이상의 뒤틀림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리브보강 용접단계(S300)는 양단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상기 보강 리브(30)를 준비하고, 상기 보강 리브(30)의 절곡된 일단부를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측면에 용접하여 고정하고, 상기 보강 리브(30)의 타단부를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의 바닥에 용접시켜 고정함으로써 상기 보강 리브(30)와 상기 베이스 리브(11) 사이에 간격을 형성한다.
상기 리브보강 용접단계(S300)에서 용접은 상기 보강 리브(30)를 상기 베이스 리브(11)와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에 각각 고정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단계에서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체(20)와의 접합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리브보강 용접단계(S300) 후에는 상기 표면처리단계(S400)가 이루어지며 상기 표면처리단계(S400)로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표면과 상기 보강 리브(30)의 표면에도 접합용 요철부(10a)가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단계에서 형성되는 사출성형 리브(22)와의 접합력을 크게 향상시킨다.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단계는 상기 보강 리브(30)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사출성형 리브(22)를 형성하며 상기 보강 리브(30)와 상기 베이스 리브(11) 사이에 합성수지를 채워 상기 사출성형 리브(22)의 일부가 상기 보강 리브(30)와 상기 베이스 리브(11) 사이에 채워져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단계는 상기 사출성형 리브(22)의 일부가 상기 보강 리브(30)와 상기 베이스 리브(11) 사이에 채워지도록 하여 상기 사출성형 리브(22), 상기 보강 리브(30), 상기 베이스 리브(11) 사이의 결합력을 크게 증대시키고, 상기 보강 리브(30), 상기 베이스 리브(11), 상기 사출성형 리브(22)를 포함하는 리브(1a)의 강성을 더 크게 증대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단계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한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기설계된 정확한 치수로 형성되는 다수의 리브(1a)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1)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은 상기한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은, 다수의 리브(1a)가 돌출된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1)이며, 단조 프레스로 성형되며 금속 재질의 메탈 프레임 성형체(10) 및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며 합성수지 재질의 인서트 사출 성형체(20)를 포함한다.
상기 리브(1a)는 설계 시 설정된 치수 즉, 두께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리브(1a)는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에 일체로 돌출 성형되는 베이스 리브(11), 및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측면 또는 상부를 감싸며 상기 인서트 사출성형체에 포함되는 사출성형 리브(22)를 포함한다.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체(20)는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외측 테두리부(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의 표면 즉, 적어도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체(20)가 형성되는 부분의 표면에는 접합용 요철부(10a)가 형성되어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체(20)와의 접합 강도를 확보하며 별도의 접착제 없이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와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체(20) 간의 접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체(20)는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외측 테두리부(21) 및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측면 또는 상부를 감싸 설계된 최종 상기 리브(1a)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사출성형 리브(2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리브(11)는 상기 리브(1a) 즉, 기설계된 최종 리브(1a)보다 작은 치수 즉, 얇은 두께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사출성형 리브(22)는 상기 인서트 사출성형단계(S600)에서 상기 외측 테두리부(21)와 함께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한 측면과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상부를 감싸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두께와 높이를 보상하여 기설계된 최종 리브(1a)의 치수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리브(1a)는 상기 베이스 리브(11)와 상기 사출성형 리브(22)를 통해 원하는 치수 즉, 기설계된 치수로 정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1)에서 기설계된 리브(1a)는 상기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에 일체로 돌출 성형되는 베이스 리브(11) 및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측면 또는 상부를 감싸며 상기 인서트 사출성형체에 포함되는 사출성형 리브(22)를 포함하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1)의 리브(1a)에 대한 서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상기 베이스 리브(11) 또는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의 바닥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측면을 지지하여 보강하는 보강 리브(30)를 더 포함한 리브(1a)에 대한 서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표면과 상기 보강 리브(30)의 표면에는 접합용 요철부(10a)가 형성되어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사출 성형리브(22)와 견고하게 접합된다. 상기 사출 성형리브(22)의 일부는 상기 접합용 요철부(10a) 내로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표면과 상기 보강 리브(30)와 견고하게 접합되는 것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보강 리브(30)는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측면에 밀착되며,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측면에 용접되어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의 바닥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상기 사출성형 리브(22)는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측면만 감싸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보강 리브(30)가 매입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보강 리브(30)는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일측면에 밀착되고 상단이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상부를 덮어 커버하는 형상 즉, ㄱ자 형상을 가지며 하단부가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의 바닥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측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상기 사출성형 리브(22)는 상기 보강 리브(30)의 상면에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출성형 리브(22)는 상기 보강 리브(30)의 상면에만 적층 형성되어 상기 리브(1a)를 형성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상기 보강 리브(30)의 측면과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타측면 중 어느 하나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보강 리브(30)의 측면과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타측면 모두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보강 리브(30)는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측면에 밀착되며,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측면에 용접되어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의 바닥에 용접되어 고정되며, 상기 사출성형 리브(22)는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양측면과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보강 리브(30)가 매입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보강 리브(30)는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측면에 용접되어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의 바닥에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상기 보강 리브(30)가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양 측면에 각각 경사지게 배치되는 예이고, 상기 사출성형 리브(22)는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양측면과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보강 리브(30)가 매입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양측에서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의 바닥을 일부 커버하도록 형성된 예이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양 측을 기울어진 상기 보강 리브(30)로 지지하여 보강하고 상기 사출성형 리브(22)는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양측면과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상부를 감쌀 뿐만 아니라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양측에서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의 바닥을 일부 커버하므로 리브(1a)의 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1)의 리브(1a)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1)의 리브(1a)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상기 인서트 사출성형단계(S600) 이전 즉, 상기 리브보강 용접단계(S300) 후 상기 보강 리브(30)만 용접되어 고정된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2는 상기 인서트 사출성형단계(S600) 이후 즉, 상기 사출성형 리브(22)가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보강 리브(30)는 하단부가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의 바닥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측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므로써 리브(1a)의 강도를 증대시키고, 특히 리브(1a)가 기준치 이상의 뒤틀림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더 상세하게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보강 리브(30)는 상기 베이스 리브(11)에 이격되게 세워지며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대응되게 형성되는 리브 본체부(31), 상기 리브 본체부(31)의 하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10)의 바닥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제1고정부(32), 상기 리브 본체부(31)의 상단부에서 절고되어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측면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부(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부(32)와 상기 제2고정부(33)는 상기 리브 본체부(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구비되어 사이 간격을 형성하여 상기 인서트 사출성형단계(S600)에서 합성수지재가 상기 리브 본체부(31)와 상기 베이스 리브(11)의 사이로 유입될 수 있는 유입로를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 리브(11)와 상기 리브 본체부(31)는 서로 세워져 대향된 면 사이에 상기 사출성형 리브(22)의 일부가 상기 보강 리브(30)와 상기 베이스 리브(11) 사이에 채워져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사출성형 리브(22), 상기 보강 리브(30), 상기 베이스 리브(11) 사이의 결합력을 크게 증대시키고, 상기 보강 리브(30), 상기 베이스 리브(11), 상기 사출성형 리브(22)를 포함하는 리브(1a)의 강성을 더 크게 증대시킨다.
본 발명은 단조 프레스 가공 후 사출 성형을 통해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1)를 제조함으로써 제조과정을 단순화하고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하며,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리브(1a)의 강성을 증대시켜 불량률을 크게 저하시키고,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1)의 리브(1a)를 기설계된 치수로 정확하고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어 제조 시 불량률을 더 저하시키고, 제조 시 치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 1a : 리브
2 : 메탈 플레이트 소재 10 : 메탈 프레임 성형체
11 : 베이스 리브 20 : 인서트 사출 성형체
21 : 외측 테두리부 22 : 사출성형 리브
30 : 보강 리브 31 : 리브 본체부
32 : 제1고정부 33 : 제2고정부
S100 : 단조 프레스단계 S110 : 단조 프레스과정
S120 : 피어싱 과정 S130 : 노칭 과정
S140 : 파팅 과정 S150 : 분리하는 과정
S200 : 평탄 보정단계 S300 : 리브보강 용접단계
S400 : 표면처리단계 S500 : 평탄 검사단계
S600 : 인서트 사출성형단계

Claims (15)

  1. 다수의 리브가 돌출된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메탈 플레이트소재를 단조 프레스금형으로 가열 가압하여 메탈 프레임 성형체를 성형하는 단조 프레스단계;
    상기 단조 프레스단계로 성형된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를 인서트 사출하여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인서트 사출성형체를 형성하는 인서트 사출성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조 프레스단계는 설계된 상기 리브 중 일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리브를 돌출 성형하고, 상기 인서트 사출성형단계는 상기 베이스 리브의 측면 또는 상부를 감싸며 상기 리브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는 사출성형 리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조 프레스단계 후 상기 인서트 사출성형단계 이전에 상기 베이스 리브에 보강 리브를 용접해서 고정시키는 리브보강 용접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브보강 용접단계는 상기 보강 리브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바닥에 용접하여 고정하고 상기 보강 리브의 양단부 중 다른 하나를 상기 베이스 리브의 측면에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브보강 용접단계는 양단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상기 보강 리브를 준비하고, 상기 보강 리브의 절곡된 일단부를 상기 베이스 리브의 측면에 용접하여 고정하고, 상기 보강 리브의 타단부를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바닥에 용접시켜 고정함으로써 상기 보강 리브와 상기 베이스 리브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단계는 상기 보강 리브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사출성형 리브를 형성하며 상기 보강 리브와 상기 베이스 리브 사이에 합성수지를 채워 상기 사출성형 리브의 일부가 상기 보강 리브와 상기 베이스 리브 사이에 채워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브 보강용접단계 후 상기 인서트 사출성형단계 이전에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를 표면 처리하여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표면에 접합용 요철부를 형성하는 표면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단계는,
    직류전압을 이용한 아노다이징 공정을 통해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요철 형성과정, 교류 전압을 이용한 아노다이징 공정을 통해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을 확장하는 요철 확장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조 프레스단계는 순송금형을 이용하여 메탈 플레이트소재를 이송하며,
    상기 메탈 플레이트 소재를 가열하고 가압해서 상기 메탈 플레이트 소재 상에 베이스 리브를 돌출시키는 단조 프레스과정;
    상기 단조 프레스과정 후 다수의 홀을 형성하는 피어싱 과정;
    상기 피어싱 과정 후 상기 메탈 플레이트 소재를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형상에 맞게 일부분 절단 가공하는 노칭 과정;
    상기 노칭 과정을 거친 상기 메탈 플레이트 소재를 분리시키기 위한 파팅라인을 형성하는 파팅 과정; 및
    상기 파팅 과정을 거친 상기 메탈 플레이트 소재를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형상에 대응되게 절단시켜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를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
  8. 다수의 리브가 돌출된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이며, 단조 프레스로 성형되며 금속 재질의 메탈 프레임 성형체; 및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며 합성수지 재질의 인서트 사출성형체를 포함하며,
    상기 리브는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에 일체로 돌출 성형되는 베이스 리브, 및 상기 베이스 리브의 측면 또는 상부를 감싸며 상기 인서트 사출성형체에 포함되는 사출성형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체는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외측 테두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출성형 리브는 상기 외측 테두리부와 함께 인서트 사출 성형되며 상기 베이스 리브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한 측면과 상기 베이스 리브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리브 또는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바닥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 리브의 측면을 지지하여 보강하는 보강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하단부가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바닥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 리브의 측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리브의 표면과 상기 보강 리브의 표면에는 접합용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출 성형리브의 일부는 상기 접합용 요철부 내로 삽입되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베이스 리브에 이격되게 세워지며 상기 베이스 리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대응되게 형성되는 리브 본체부, 상기 리브 본체부의 하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바닥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제1고정부, 상기 리브 본체부의 상단부에서 절고되어 상기 베이스 리브의 측면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리브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구비되어 사이 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 리브와 상기 리브 본체부는 서로 세워져 대향된 면 사이에 상기 사출성형 리브의 일부가 상기 보강 리브와 상기 베이스 리브 사이에 채워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사출성형 리브는 상기 베이스 리브의 양측면과 상기 베이스 리브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보강 리브가 매입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가 상기 베이스 리브의 양 측면에 각각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사출성형 리브는 상기 베이스 리브의 양측면과 상기 베이스 리브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보강 리브가 매입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리브의 양측에서 상기 메탈 프레임 성형체의 바닥을 일부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
KR1020160034522A 2016-03-23 2016-03-23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용 단말기의 메탈 프레임 KR101795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522A KR101795491B1 (ko) 2016-03-23 2016-03-23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용 단말기의 메탈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522A KR101795491B1 (ko) 2016-03-23 2016-03-23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용 단말기의 메탈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307A true KR20170110307A (ko) 2017-10-11
KR101795491B1 KR101795491B1 (ko) 2017-12-01

Family

ID=60139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522A KR101795491B1 (ko) 2016-03-23 2016-03-23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용 단말기의 메탈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4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01154A (zh) * 2018-06-29 2018-11-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中框制作方法、中框及电子装置
KR101981537B1 (ko) * 2017-11-23 201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탈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메탈 케이스의 제조 방법
CN110524790A (zh) * 2019-08-30 2019-12-03 广东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中框制作方法、中框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39753A (zh) 2014-11-06 2015-04-2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手机电池壳及其成型工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537B1 (ko) * 2017-11-23 201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탈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메탈 케이스의 제조 방법
CN108901154A (zh) * 2018-06-29 2018-11-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中框制作方法、中框及电子装置
CN108901154B (zh) * 2018-06-29 2020-06-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中框制作方法、中框及电子装置
CN110524790A (zh) * 2019-08-30 2019-12-03 广东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中框制作方法、中框及电子设备
CN110524790B (zh) * 2019-08-30 2023-03-10 广东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中框制作方法、中框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491B1 (ko) 2017-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4405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metallic housing of electronic device
KR101795491B1 (ko) 휴대 단말기용 메탈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용 단말기의 메탈 프레임
EP2226185B1 (en) Metal-resin compound member
KR102002551B1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하우징 제조방법 및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커버 접합용 구조물
JP3694506B2 (ja) プレス加工を用いた電池用負極缶の製造方法
US8460039B2 (en) Terminal blo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KR10166788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탈 플레이트 단조금형,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용 메탈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용 단말기의 메탈 플레이트
CN104244642A (zh) 移动终端的壳体结构及其移动终端
JPH0482799A (ja) Icカードの製造方法およびicカード
CN109759780B (zh) 制备中框的方法、中框及移动终端
US20170078460A1 (en) Fram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21086813A (ja) 密閉型電池
CN102858119A (zh) 超声波焊接型线结构及焊接方法、产品壳体和电子产品
US10695963B2 (en) Housing,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2038238B (zh) 框架的制造方法、模组的塑封方法及sip模组的制作方法
CN111355832B (zh) 不等厚壳体、其加工方法及终端设备
EP3751826B1 (en) Intermediate frame and terminal device
CN112272479A (zh) 中框、移动终端及中框的制造方法
US2013017150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shell applicable to an electronic device
CN112654456A (zh) 便携式终端用机架结构物的制备方法
CN103181718A (zh) 带复合底的铝锅及其制造方法
CN106657506A (zh) 金属‑塑胶双层手机壳及其制造方法
US8865059B2 (en) Case for rolling powder alloy and method for producing rolled material
JP2010167474A (ja) リベット端子の製造方法
JP2009099420A (ja) コネクタ部付きの回路基板搭載用ケース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