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0091A - 방향족 폴리케톤 및 그 제조 방법, 방향족 폴리케톤 조성물, 방향족 폴리케톤막, 광학 소자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방향족 폴리케톤 및 그 제조 방법, 방향족 폴리케톤 조성물, 방향족 폴리케톤막, 광학 소자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0091A
KR20170110091A KR1020177021487A KR20177021487A KR20170110091A KR 20170110091 A KR20170110091 A KR 20170110091A KR 1020177021487 A KR1020177021487 A KR 1020177021487A KR 20177021487 A KR20177021487 A KR 20177021487A KR 20170110091 A KR20170110091 A KR 20170110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l formula
group
carbon atoms
hydrocarbon group
hydrogen a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1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나코 미즈구치
히로시 마츠타니
사토시 아사카
미사오 이나바
가츠야 마에야마
Original Assignee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0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0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oxygen or oxygen and carb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2/00 - C08G65/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oxygen or oxygen and carbon in the main chain,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59/00 - C08L71/00;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oxygen or oxygen and carbon in the main chain,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D159/00 - C09D171/00;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yether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구조 단위 중에, 1개 이상의 지환 골격 및 회전 가능한 2개의 단결합에 의해 결합된 1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폴리케톤, 또는, 하기 일반식(1), 하기 일반식(2) 혹은 하기 일반식(4)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와, 하기 일반식(5)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방향족 폴리케톤.
Figure pct00050

Figure pct00051

Figure pct00052

Description

방향족 폴리케톤 및 그 제조 방법, 방향족 폴리케톤 조성물, 방향족 폴리케톤막, 광학 소자 및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은, 방향족 폴리케톤 및 그 제조 방법, 방향족 폴리케톤 조성물, 방향족 폴리케톤막, 광학 소자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소62-7730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주쇄에 방향환와 카르보닐기를 갖는 방향족 폴리케톤은, 우수한 내열성과 기계 특성을 갖고 있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방향족 폴리케톤에 속하는 고분자의 대부분은, 구핵 방향족 치환 반응을 이용하여 중합된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이며, 주쇄에 에테르 결합도 갖고 있다. 이에 대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72728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주쇄에 에테르 결합을 갖지 않는 방향족 폴리케톤은,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보다 더욱 우수한 내열성 및 내약품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13-53194호 공보에는, 지환식 디카르복실산과 2,2'-디알콕시비페닐 화합물을 Friedel-Crafts 아실화에 의해 직접 중합함으로써, 높은 투명성과 내열성을 양립시킨 방향족 폴리케톤을 얻을 수 있는 것이 보고되어, 광학 부품에 대한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수지 재료를 광학 부품에 응용할 때에는, 무기 재료에서는 얻을 수 없는 특성을 얻는 것이 기대된다. 예컨대, 경량인 것 및 무기 재료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부드러운 것이다. 수지 재료의 적응처로서는, 경량감을 살린 포터블 디바이스의 유리 대체재, 코팅재, 유연함을 살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실현은 최근 특히 주목되고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13-53194호 공보에 기재된 지환식 디카르복실산과 2,2'-디알콕시비페닐 화합물로부터 중합되는 방향족 폴리케톤은, 우수한 내열성과 투명성을 갖는 한편, 성형품이 딱딱해지기 쉽다. 이에 따라, 절곡 가능한 유연한 막을 얻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우수한 내열성과 투명성을 가지며, 또한 유연한 막을 형성할 수 있는 방향족 폴리케톤, 이 방향족 폴리케톤을 포함하는 방향족 폴리케톤 조성물 및 방향족 폴리케톤막, 및 이 방향족 폴리케톤막을 갖는 광학 소자 및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우수한 내열성과 투명성을 가지며, 또한 유연한 막을 형성할 수 있는 방향족 폴리케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기 <1>∼<7>의 양태를 포함한다.
<1> 구조 단위 중에, 1개 이상의 지환 골격 및 회전 가능한 2개의 단결합에 의해 결합된 1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폴리케톤.
<2> 하기 일반식(1), 하기 일반식(2) 또는 하기 일반식(4)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와, 하기 일반식(5)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방향족 폴리케톤.
Figure pct00001
(일반식(1) 중,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일반식(2) 중,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X는 산소 원자 또는 하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일반식(3) 중,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일반식(4) 중,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일반식(5) 중, Y는 하기 일반식(6)으로 표시되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일반식(6) 중, 아다만탄 골격의 수소 원자는, 탄화수소기, 아미노기, 옥소기, 수산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Z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10의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3> 하기 일반식(1'), 하기 일반식(2') 또는 하기 일반식(4')로 표시되는 방향족 모노머와, 하기 일반식(5')로 표시되는 디카르복실산 모노머를, 산성 매체 중에 있어서 축합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방향족 폴리케톤.
Figure pct00007
(일반식(1') 중,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8
(일반식(2') 중,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X는 산소 원자 또는 하기 일반식(3')로 표시되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9
(일반식(3') 중,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0
(일반식(4') 중,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1
(일반식(5') 중, Y는 하기 일반식(6')로 표시되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2
(일반식(6') 중, 아다만탄 골격의 수소 원자는, 탄화수소기, 아미노기, 옥소기, 수산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Z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10의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4>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향족 폴리케톤과, 용매를 포함하는 방향족 폴리케톤 조성물.
<5>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향족 폴리케톤을 포함하는 방향족 폴리케톤막.
<6> <5>에 기재된 방향족 폴리케톤막을 갖는 광학 소자.
<7> <5>에 기재된 방향족 폴리케톤막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
<8> 하기 일반식(1'), 하기 일반식(2') 또는 하기 일반식(4')로 표시되는 방향족 모노머와, 하기 일반식(5')로 표시되는 디카르복실산 모노머를, 산성 매체 중에 있어서 축합 반응시키는 방향족 폴리케톤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13
(일반식(1') 중,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4
(일반식(2') 중,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X는 산소 원자 또는 하기 일반식(3')로 표시되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5
(일반식(3') 중,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6
(일반식(4') 중,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7
(일반식(5') 중, Y는 하기 일반식(6')로 표시되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8
(일반식(6') 중, 아다만탄 골격의 수소 원자는, 탄화수소기, 아미노기, 옥소기, 수산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Z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10의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하면, 우수한 내열성과 투명성을 가지며, 또한 유연한 막을 형성할 수 있는 방향족 폴리케톤, 이 방향족 폴리케톤을 포함하는 방향족 폴리케톤 조성물 및 방향족 폴리케톤막, 및 이 방향족 폴리케톤막을 갖는 광학 소자 및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하면, 우수한 내열성과 투명성을 가지며, 또한 유연한 막을 형성할 수 있는 방향족 폴리케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폴리케톤 PK1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그 구성 요소(요소 스텝 등도 포함)는, 특별히 명시한 경우, 원리적으로 명확하게 필수라고 생각되는 경우 등을 제외하고, 필수적이지 않다. 수치 및 그 범위에 관해서도 동일하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를 이용하여 표시된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각각 최소치 및 최대치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 중에 단계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 있어서, 하나의 수치 범위에서 기재된 상한치 또는 하한치는, 다른 단계적인 기재의 수치 범위의 상한치 또는 하한치로 치환해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 있어서, 그 수치 범위의 상한치 또는 하한치는,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값으로 치환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막」이란, 평면도로서 관찰했을 때에,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형상의 구성에 더하여,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형상의 구성도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공정」이란, 독립된 공정뿐만 아니라, 다른 공정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그 공정의 소기의 작용이 달성되면 본 용어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층」이라는 말은, 평면도로서 관찰했을 때에,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형상의 구성에 더하여,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형상의 구성도 포함된다. 「적층」이라는 말은, 층을 겹쳐서 쌓는 것을 나타내며, 2 이상의 층이 결합되어 있어도 좋고, 2 이상의 층이 착탈 가능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투명성」이란, 가시광의 투과성을 말하며, 적어도 파장 400 nm의 가시광의 투과성이 80% 이상(막두께 1 ㎛ 환산)인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내열성」이란, 본 발명의 방향족 폴리케톤을 포함하는 부재에 있어서, 가열에 의한 황변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방향족 폴리케톤 및 그 제조 방법>
본 실시형태의 방향족 폴리케톤은, 구조 단위 중에, 1개 이상의 지환 골격 및 회전 가능한 2개의 단결합에 의해 결합된 1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지환 골격으로서는, 시클로프로판 골격, 시클로부탄 골격, 시클로펜탄 골격, 시클로헥산 골격, 시클로헵탄 골격, 시클로옥탄 골격, 큐베인 골격, 노르보난 골격, 트리시클로[5.2.1.0]데칸 골격, 아다만탄 골격, 디아다만탄 골격, 비시클로[2.2.2]옥탄 골격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열성 및 용해성의 관점에서, 아다만탄 골격이 바람직하다.
구조 단위가 갖는 1개 이상의 탄소 원자는, 2가의 탄화수소기여도 좋다. 그리고, 이 2가의 탄화수소기가, 회전 가능한 2개의 단결합에 의해, 지환 골격을 갖는 기 및 카르보닐기와 결합되어도 좋다. 이 2가의 탄화수소기로서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10의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여도 좋다. 또한, 지환 골격을 갖는 기에서의 지환 골격의 구체예는 전술한 바와 같다.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10의 2가의 포화 탄화수소로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트리메틸렌기, 메틸에틸렌기, 테트라메틸렌기, 1-메틸트리메틸렌기, 2-메틸트리메틸렌기, 에틸에틸렌기, 1,1-디메틸에틸렌기, 1,2-디메틸에틸렌기, 펜틸렌기, 1-메틸테트라메틸렌기, 2-메틸테트라메틸렌기, 1-에틸트리메틸렌기, 2-에틸트리메틸렌기, 1,1-디메틸트리메틸렌기, 2,2-디메틸트리메틸렌기, 1,2-디메틸트리메틸렌기, 프로필에틸렌기, 에틸메틸에틸렌기, 헥실렌기, 1-메틸펜틸렌기, 2-메틸펜틸렌기, 3-메틸펜틸렌기, 1-에틸테트라메틸렌기, 2-에틸테트라메틸렌기, 1-프로필트리메틸렌기, 2-프로필트리메틸렌기, 부틸에틸렌기, 1,1-디메틸테트라메틸렌기, 2,2-디메틸테트라메틸렌기, 1,2-디메틸테트라메틸렌기, 1,3-디메틸테트라메틸렌기, 1,4-디메틸테트라메틸렌기, 1,2,3-트리메틸트리메틸렌기, 1,1,2-트리메틸트리메틸렌기, 1,1,3-트리메틸트리메틸렌기, 1,2,2-트리메틸트리메틸렌기, 1-에틸-1-메틸트리메틸렌기, 2-에틸-2-메틸트리메틸렌기, 1-에틸-2-메틸트리메틸렌기, 2-에틸-1-메틸트리메틸렌기, 헵틸렌기, 옥틸렌기, 노닐렌기, 데실렌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방향족 폴리케톤은, 하기 일반식(1), 하기 일반식(2) 또는 하기 일반식(4)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와, 하기 일반식(5)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파선을 붙인 부분은 결합수를 의미한다. 이후, 일반식 중의 파선에 관해서는 동일하다.
Figure pct00019
일반식(1) 중,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내열성의 관점에서, R1로 표시되는 탄화수소기는, 탄소수 1∼10의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고, 반응 제어의 관점에서, 탄소수 1∼5의 탄화수소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R1로 표시되는 탄화수소기로서는,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 지환식 탄화수소기 등을 들 수 있다.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 및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직쇄형이어도 좋고 분기쇄형이어도 좋다. 또한, R1로 표시되는 탄화수소기는, 이들 탄화수소기를 조합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치환기로서는, 할로겐 원자, 탄소수 1∼5의 알콕시기, 탄소수 2∼5의 아실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탄화수소기가 치환기를 갖는 경우, 탄화수소기의 탄소수에는, 치환기의 탄소수를 포함시키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이후, 동일하다.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이소펜틸기, sec-펜틸기, neo-펜틸기, t-펜틸기, n-헥실기, n-헵틸기, n-옥틸기, n-노닐기, n-데실기, n-이코사닐기, n-트리아콘타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는, 비닐기, 알릴기 등의 알케닐기, 에티닐기 등의 알키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식 탄화수소기로서는,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시클로옥틸기, 노르보닐기 등의 시클로알킬기, 시클로헥세닐기 등의 시클로알케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1) 중, 내열성의 관점에서, R2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화수소기로서는, 일반식(1) 중의 R1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치환기로서는, 할로겐 원자, 탄소수 1∼5의 알콕시기, 탄소수 2∼5의 아실기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20
일반식(2) 중,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X는 산소 원자 또는 하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 일반식(2) 중의 R1의 상세는, 일반식(1) 중의 R1과 동일하다.
Figure pct00021
일반식(3) 중,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내열성의 관점에서, R3 및 R4로서는, 탄소수 1∼5의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화수소기로서는, 일반식(1) 중의 R1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치환기로서는, 할로겐 원자, 탄소수 1∼5의 알콕시기, 탄소수 2∼5의 아실기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22
일반식(4) 중,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내열성의 관점에서, R5로서는, 탄소수 1∼5의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화수소기로서는, 일반식(1) 중의 R1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치환기로서는, 할로겐 원자, 탄소수 1∼5의 알콕시기, 탄소수 2∼5의 아실기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23
일반식(5) 중, Y는 하기 일반식(6)으로 표시되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4
일반식(6) 중, 아다만탄 골격의 수소 원자는, 탄화수소기, 아미노기, 옥소기, 수산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Z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10의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내열성의 관점에서, Z는 탄소수 1∼5의 포화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Z의 존재에 의해, 후술하는 방향족 폴리케톤막이 유연해진다.
Z로 표시되는 2가의 탄화수소기로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트리메틸렌기, 메틸에틸렌기, 테트라메틸렌기, 1-메틸트리메틸렌기, 2-메틸트리메틸렌기, 에틸에틸렌기, 1,1-디메틸에틸렌기, 1,2-디메틸에틸렌기, 펜틸렌기, 1-메틸테트라메틸렌기, 2-메틸테트라메틸렌기, 1-에틸트리메틸렌기, 2-에틸트리메틸렌기, 1,1-디메틸트리메틸렌기, 2,2-디메틸트리메틸렌기, 1,2-디메틸트리메틸렌기, 프로필에틸렌기, 1-에틸-2-메틸에틸렌기, 1-에틸-1-메틸에틸렌기, 헥실렌기, 1-메틸펜틸렌기, 2-메틸펜틸렌기, 3-메틸펜틸렌기, 1-에틸테트라메틸렌기, 2-에틸테트라메틸렌기, 1-프로필트리메틸렌기, 2-프로필트리메틸렌기, 부틸에틸렌기, 1,1-디메틸테트라메틸렌기, 2,2-디메틸테트라메틸렌기, 1,2-디메틸테트라메틸렌기, 1,3-디메틸테트라메틸렌기, 1,4-디메틸테트라메틸렌기, 1,2,3-트리메틸트리메틸렌기, 1,1,2-트리메틸트리메틸렌기, 1,1,3-트리메틸트리메틸렌기, 1,2,2-트리메틸트리메틸렌기, 1-에틸-1-메틸트리메틸렌기, 2-에틸-2-메틸트리메틸렌기, 1-에틸-2-메틸트리메틸렌기, 2-에틸-1-메틸트리메틸렌기, 헵틸렌기, 옥틸렌기, 노닐렌기, 데실렌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방향족 폴리케톤은, 구조 단위 중에, 1개 이상의 지환 골격 및 회전 가능한 2개의 단결합에 의해 결합된 1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거나, 또는, 상기 일반식(1), 상기 일반식(2) 혹은 상기 일반식(4)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와, 상기 일반식(5)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고 있으면,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방향족 폴리케톤은, 예컨대, 하기 일반식(1'), 하기 일반식(2') 또는 하기 일반식(4')로 표시되는 방향족 모노머와, 하기 일반식(5')로 표시되는 디카르복실산 모노머를, 산성 매체 중에 있어서 축합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방향족 폴리케톤의 제조 방법은, 하기 일반식(1'), 하기 일반식(2') 또는 하기 일반식(4')로 표시되는 방향족 모노머와, 하기 일반식(5')로 표시되는 디카르복실산 모노머를, 산성 매체 중에 있어서 축합 반응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Figure pct00025
일반식(1') 중,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일반식(1') 중의 R1 및 R2 각각의 상세는, 일반식(1) 중의 R1 및 R2와 동일하다.
Figure pct00026
일반식(2') 중,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X는 산소 원자 또는 하기 일반식(3')로 표시되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 일반식(2') 중의 R1의 상세한 것은, 일반식(1) 중의 R1과 동일하다.
Figure pct00027
일반식(3') 중,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일반식(3') 중의 R3 및 R4의 상세는, 일반식(3) 중의 R3 및 R4와 동일하다.
Figure pct00028
일반식(4') 중,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일반식(4') 중의 R5의 상세는, 일반식(4) 중의 R5와 동일하다.
Figure pct00029
일반식(5') 중, Y는 하기 일반식(6')로 표시되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30
일반식(6') 중, 아다만탄 골격의 수소 원자는, 탄화수소기, 아미노기, 옥소기, 수산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Z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10의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일반식(6') 중의 Z의 상세는, 일반식(6) 중의 Z와 동일하다.
축합 반응에 이용하는 산성 매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염화알루미늄의 유기 용매 용액, 트리플루오로알칸술폰산의 유기 용매 용액, 폴리인산, 오산화이인과 유기 술폰산의 혼합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반응성과 취급 용이성의 관점에서, 산성 매체에는 오산화이인과 유기 술폰산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유기 술폰산으로서는 메탄술폰산이 바람직하다.
오산화이인과 유기 술폰산의 혼합비는, 혼합비의 제어 및 반응성의 관점에서, 질량비로 오산화이인:유기 술폰산=1:5∼1:20이 바람직하고, 1:5∼1:10이 보다 바람직하다.
방향족 모노머와 디카르복실산 모노머의 합계량에 대한 산성 매체의 배합량은, 방향족 모노머와 디카르복실산 모노머를 용해할 수 있는 양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촉매량으로부터 용매량까지의 범위에서 이용할 수 있다. 반응성과 취급 용이성의 관점에서, 디카르복실산 모노머 1 질량부에 대하여 5 질량부∼100 질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방향족 모노머와 디카르복실산 모노머의 축합 반응에서의 반응의 온도는, 반응 생성물인 방향족 폴리케톤의 착색 및 부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10℃∼100℃가 바람직하고, 반응 속도를 높여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20℃∼100℃가 보다 바람직하다.
방향족 모노머와 디카르복실산 모노머의 축합 반응에서의 반응의 분위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개방계에서 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수분의 존재에 의해 산성 매체의 반응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건조 공기, 질소, 아르곤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정외의 부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질소 또는 아르곤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방향족 모노머와 디카르복실산 모노머와 산성 매체를 포함하는 반응액을 교반함으로써, 방향족 모노머와 디카르복실산 모노머의 축합 반응을 촉진할 수 있다. 교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마그네틱 스터러, 미케니컬 스터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방향족 모노머와 디카르복실산 모노머의 축합 반응에서의 반응 시간은, 반응 온도, 목표로 하는 방향족 폴리케톤의 분자량, 반응에 이용하는 모노머의 종류 등에 따라 변동할 수 있다. 충분히 분자량이 높은 방향족 폴리케톤을 얻기 위해, 반응 시간은 1시간∼120시간 정도가 바람직하고, 생산성의 관점에서 1시간∼72시간이 보다 바람직하다.
방향족 모노머와 디카르복실산 모노머의 축합 반응에서의 반응의 압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압하, 가압하 또는 감압하의 어디 것으로 행해도 좋다. 비용의 관점에서, 상압하에 반응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모노머와 디카르복실산 모노머의 축합 반응을 끝낸 후, 반응액과 방향족 폴리케톤의 빈용매를 접촉시켜 불순물을 빈용매층에 추출하고, 방향족 폴리케톤을 석출시킬 수 있다. 석출된 방향족 폴리케톤은, 여과, 디캔테이션, 원심 분리 등의 방법으로 액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그 후, 분리한 방향족 폴리케톤을 다시 방향족 폴리케톤의 양용매에 용해시키고, 다시 방향족 폴리케톤의 빈용매와 접촉시켜 방향족 폴리케톤을 석출시키고, 불순물을 빈용매층에 추출하고, 석출된 방향족 폴리케톤을 여과, 디캔테이션, 원심 분리 등의 방법으로 액체로부터 분리하는 공정을 반복해도 좋다.
<방향족 폴리케톤 조성물>
본 실시형태의 방향족 폴리케톤을 용매에 용해시키는 것 등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방향족 폴리케톤과 용매를 포함하는 방향족 폴리케톤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방향족 폴리케톤을 용매에 용해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해당 기술분야에서 알려져 있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용해후에 불용 성분을 여과 분리해도 좋다.
방향족 폴리케톤 조성물의 구체적인 양태로서는, 바니시, 슬러리, 혼합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방향족 폴리케톤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매의 예로서는, γ-부티로락톤, 락트산에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벤질, 에톡시에틸프로피오네이트, 3-메틸메톡시프로피오네이트, N-메틸-2-피롤리돈, N-시클로헥실-2-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헥사메틸포스포릴아미드, 테트라메틸렌술폰, 디에틸케톤, 디이소부틸케톤, 메틸아밀케톤, 시클로헥사논,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크실렌, 메시틸렌, 에틸벤젠, 프로필벤젠, 쿠멘, 디이소프로필벤젠, 헥실벤젠, 아니솔, 디글림, 디메틸술폭시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클로로벤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1종 단독으로 또는 복수종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방향족 폴리케톤 조성물은, 방향족 폴리케톤 및 용매 이외에, 첨가제 등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첨가제로서는, 접착 조제, 계면 활성제, 레벨링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열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폴리케톤막>
본 실시형태의 방향족 폴리케톤막은, 본 실시형태의 방향족 폴리케톤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방향족 폴리케톤막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의 방향족 폴리케톤 조성물을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의 방향족 폴리케톤막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방향족 폴리케톤을 포함하는 방향족 폴리케톤막은, 지환식 디카르복실산과 2,2'-디알콕시비페닐 화합물로부터 중합되는 종래의 방향족 폴리케톤을 포함하는 방향족 폴리케톤막보다 유연하다.
방향족 폴리케톤막을 얻기 위해, 방향족 폴리케톤 조성물을 기재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에 부여하여 조성물층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기재와, 이 기재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는 본 실시형태의 방향족 폴리케톤막을 갖는 방향족 폴리케톤막 부착 기재를 얻을 수 있다.
방향족 폴리케톤 조성물을 기재에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조성물층을 기재 상의 임의의 장소에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 가능한 수법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침지법, 스프레이법, 스크린 인쇄법 및 회전 도포법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방향족 폴리케톤 조성물을 부여하는 기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유리 기판, 반도체 기판, 금속 산화물 절연체 기판(예컨대, 산화티탄 기판 및 산화규소 기판), 질화규소 기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투명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계 수지, 시클로올레핀 수지 등의 투명 수지 기판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기재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판형 또는 필름형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방향족 폴리케톤 조성물을 기재에 부여(도포)하여 조성물층을 형성한 후, 건조 공정에 있어서 이 조성물층을 건조시킨다. 이 조성물층을 건조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핫플레이트, 오븐 등을 이용한 가열을 들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건조시킨 방향족 폴리케톤막을, 기재로부터 박리한 상태로 이용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 건조시킨 방향족 폴리케톤막을 더 열처리해도 좋다. 열처리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자형 건조기, 열풍식 컨베이어형 건조기, 석영 튜브로, 핫플레이트, 래피드 서멀 어닐, 종형 확산로, 적외선 경화로, 전자선 경화로, 마이크로파 경화로 등의 오븐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열처리 공정에서의 분위기 조건으로서는, 대기중 또는 질소 등의 불활성 분위기중의 어느 것을 선택할 수도 있다.
<광학 소자 및 화상 표시 장치>
본 실시형태의 광학 소자 및 화상 표시 장치는, 본 실시형태의 방향족 폴리케톤막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 소자 및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본 실시형태의 방향족 폴리케톤막은, 기재와 이 기재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는 본 실시형태의 방향족 폴리케톤막을 갖는 전술한 방향족 폴리케톤막 부착 기재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의 방향족 폴리케톤막을 갖는 방향족 폴리케톤막 부착 기재는, 전술한 필름형의 투명 수지 등의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본 실시형태의 방향족 폴리케톤막을 갖고 있어도 좋다. 혹은, 필름형의 투명 수지 등의 기재의 양면에, 본 실시형태의 방향족 폴리케톤막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방향족 폴리케톤막 부착 기재에 있어서, 방향족 폴리케톤막은, 1층이어도 좋고, 2층 이상이 적층된 복수층 구조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 소자 및 화상 표시 장치는, 예컨대 방향족 폴리케톤막 부착 기재를 구성하는 투명 수지 필름 등의 기재측을, 점착제, 접착제 등을 통해 LCD(액정 디스플레이), ELD(일렉트로 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 등에 이용되고 있는 부재에 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방향족 폴리케톤막 및 이것을 이용한 편광판 등의 각종 광학 소자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각종 화상 표시 장치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화상 표시 장치는, 본 실시형태의 방향족 폴리케톤막을 이용하는 것 외에는, 종래의 화상 표시 장치와 동일한 구성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화상 표시 장치가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는, 액정셀, 편광판 등의 광학 소자, 및 필요에 따라서 조명 시스템(백라이트 등) 등의 각 구성 부품을 적절하게 조립하여 구동 회로를 설치하는 것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액정셀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액정셀은, TN형, STN형, π형 등의 여러가지 타입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화상 표시 장치는, 임의의 적절한 용도로 사용된다. 그 용도는, 데스크탑 PC, 노트북 컴퓨터, 복사기 등의 OA 기기, 휴대 전화, 시계, 디지털 카메라, 휴대 정보 단말(PDA), 휴대 게임기 등의 휴대 기기, 비디오 카메라, 텔레비젼, 전자 레인지 등의 가정용 전기 기기, 백모니터,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용 모니터, 카 오디오 등의 차재용 기기, 상업 점포용 인포메이션용 모니터 등의 전시 기기, 감시용 모니터 등의 경비 기기, 간호용 모니터, 의료용 모니터 등의 간호ㆍ의료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부」 및 「%」는 질량 기준이다.
(실시예 1) 폴리케톤 PK1의 합성
2,2'-디메톡시비페닐 10 mmol과 1,3-아다만탄이아세트산 10 mmol이 들어 있는 플라스크에, 오산화이인과 메탄술폰산의 혼합액물(질량비 1:10)을 30 ml 가하고, 질소 풍선을 붙여 60℃에서 40시간 교반했다. 반응후, 반응액을 메탄올 500 ml 중에 투입하고, 생성된 석출물을 여과하여 취했다. 얻어진 고체를 증류수와 메탄올로 세정한 후 건조시켜 폴리케톤 PK1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케톤 PK1의 13C-NMR 스펙트럼을 도 1에 나타낸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은 80,000, 수평균 분자량은 20,000이었다.
(실시예 2) 폴리케톤 PK1을 이용한 바니시의 조제
실시예 1에서 얻은 폴리케톤 PK1을, N-메틸-2-피롤리돈(NMP)에 농도가 20%가 되도록 용해하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제의 멤브레인 필터(구멍 직경 5 ㎛)로 여과하여, 폴리케톤 PK1의 바니시를 얻었다.
(실시예 3) 폴리케톤 PK1의 바니시를 이용한 막의 제작
실시예 2에서 얻어진 폴리케톤 PK1의 바니시를, 바코트법에 의해 유리 기판 상 및 캡톤 필름 상에 도포하여, 폴리케톤 PK1의 막이 부착된 기재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케톤 PK1의 막이 부착된 기재를 각각, 120℃로 가열한 핫플레이트 상에서 3분간 건조시킨 후, 투명성, 내열성 및 내굴곡성을 후술하는 수법으로 평가했다.
(비교 합성예) 폴리케톤 PK2의 합성
1,3-아다만탄이아세트산 대신에 1,3-아다만탄디카르복실산을 이용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케톤 PK2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케톤 PK2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90,000, 수평균 분자량은 20,000이었다.
(비교 조제예) 폴리케톤 PK2를 이용한 바니시의 조제
폴리케톤 PK1 대신에 폴리케톤 PK2를 이용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케톤 PK2를 이용한 바니시를 얻었다.
(비교예) 폴리케톤 PK2의 바니시를 이용한 막의 제작
폴리케톤 PK1의 바니시 대신에 폴리케톤 PK2의 바니시를 이용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케톤 PK2의 바니시를 이용한 막을 얻어 평가를 행했다.
(분자량의 측정)
분자량은, 용리액으로서, 질산테트라부틸암모늄(TBAㆍNO3)을 0.1% 용해시킨 테트라히드로푸란(THF)을 이용하고, GPC법에 의해 측정하고,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하여 구했다. 상세한 것은 다음과 같다.
ㆍ장치명 : RI-8020(검출기), DP-8020(펌프), SD-8022(디개서)(도소 주식회사)
ㆍ컬럼 : Gelpack GL-A150, GL-A160, GL-A170(제품명, 히타치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ㆍ검출기 : RI 검출기
ㆍ유속 : 1 ml/min
(투명성의 평가)
실시예 3 또는 비교예에서 얻은 폴리케톤막 부착 유리 기판의 400 nm에서의 자외광의 투과율을, 자외가시 분광 광도계(「U-3310 Spectrophotometer」 히타치 하이테크 주식회사)를 이용한 자외가시 흡수 스펙트럼법에 의해 측정했다. 막이 부착되지 않은 유리 기판을 기준으로 하여, 막두께 1 ㎛로 환산한 투과율을 표 1에 나타낸다.
(내열성의 평가)
실시예 3 또는 비교예에서 얻은 폴리케톤막 부착 유리 기판을 200℃의 오븐에 24시간 정치하고, 400 nm에서의 자외광의 투과율을, 자외가시 분광 광도계(「U-3310 Spectrophotometer」 히타치 하이테크 주식회사)를 이용한 자외가시 흡수 스펙트럼법에 의해 측정했다. 또한, 막의 크랙의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했다. 막이 부착되지 않은 유리 기판을 기준으로 하여, 막두께 1 ㎛로 환산한 투과율과, 막의 크랙의 유무를 표 1에 나타낸다.
(내굴곡성의 평가)
실시예 3 또는 비교예에서 얻은 방향족 폴리케톤막 부착 캡톤 필름을, 맨드럴 시험(원통형 맨드럴법)에 의해 평가했다. 시험은 JIS K 5600-5-1:1999에 따라서 행했다. 맨드럴의 직경은 25 mm부터 3 mm까지 바꿔, 크랙의 발생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했다. 크랙이 발생하지 않은 맨드럴의 최소 직경을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3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방향족 폴리케톤은, 종래의 방향족 폴리케톤과 동등한 투과율 및 내열성을 발휘하고, 또한 내굴곡성이 우수하다.
2015년 2월 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5-20442호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도입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 출원 및 기술 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 출원 및 기술 규격이 참조에 의해 도입되는 것이 구체적이고 개별적으로 기재된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해 도입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하면, 투명성, 내열성 및 내굴곡성이 우수한 방향족 폴리케톤막을 얻을 수 있고, 플렉시블한 투명 내열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8)

  1. 구조 단위 중에, 1개 이상의 지환 골격 및 회전 가능한 2개의 단결합에 의해 결합된 1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폴리케톤.
  2. 하기 일반식(1), 하기 일반식(2) 또는 하기 일반식(4)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와, 하기 일반식(5)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갖는 방향족 폴리케톤.
    Figure pct00032

    (일반식(1) 중,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33

    (일반식(2) 중,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X는 산소 원자 또는 하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34

    (일반식(3) 중,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35

    (일반식(4) 중,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36

    (일반식(5) 중, Y는 하기 일반식(6)으로 표시되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37

    (일반식(6) 중, 아다만탄 골격의 수소 원자는, 탄화수소기, 아미노기, 옥소기, 수산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Z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10의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3. 하기 일반식(1'), 하기 일반식(2') 또는 하기 일반식(4')로 표시되는 방향족 모노머와, 하기 일반식(5')로 표시되는 디카르복실산 모노머를, 산성 매체 중에 있어서 축합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방향족 폴리케톤.
    Figure pct00038

    (일반식(1') 중,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39

    (일반식(2') 중,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X는 산소 원자 또는 하기 일반식(3')로 표시되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40

    (일반식(3') 중,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41

    (일반식(4') 중,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42

    (일반식(5') 중, Y는 하기 일반식(6')로 표시되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43

    (일반식(6') 중, 아다만탄 골격의 수소 원자는, 탄화수소기, 아미노기, 옥소기, 수산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Z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10의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향족 폴리케톤과, 용매를 포함하는 방향족 폴리케톤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향족 폴리케톤을 포함하는 방향족 폴리케톤막.
  6. 제5항에 기재된 방향족 폴리케톤막을 갖는 광학 소자.
  7. 제5항에 기재된 방향족 폴리케톤막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
  8. 하기 일반식(1'), 하기 일반식(2') 또는 하기 일반식(4')로 표시되는 방향족 모노머와, 하기 일반식(5')로 표시되는 디카르복실산 모노머를, 산성 매체 중에 있어서 축합 반응시키는 방향족 폴리케톤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44

    (일반식(1') 중,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45

    (일반식(2') 중,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X는 산소 원자 또는 하기 일반식(3')로 표시되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46

    (일반식(3') 중,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47

    (일반식(4') 중,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48

    (일반식(5') 중, Y는 하기 일반식(6')로 표시되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49

    (일반식(6') 중, 아다만탄 골격의 수소 원자는, 탄화수소기, 아미노기, 옥소기, 수산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Z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10의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KR1020177021487A 2015-02-04 2016-01-27 방향족 폴리케톤 및 그 제조 방법, 방향족 폴리케톤 조성물, 방향족 폴리케톤막, 광학 소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701100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20442 2015-02-04
JP2015020442 2015-02-04
PCT/JP2016/052363 WO2016125660A1 (ja) 2015-02-04 2016-01-27 芳香族ポリケトン及びその製造方法、芳香族ポリケトン組成物、芳香族ポリケトン膜、光学素子並びに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091A true KR20170110091A (ko) 2017-10-10

Family

ID=5656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1487A KR20170110091A (ko) 2015-02-04 2016-01-27 방향족 폴리케톤 및 그 제조 방법, 방향족 폴리케톤 조성물, 방향족 폴리케톤막, 광학 소자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51670B2 (ko)
JP (1) JP6785423B2 (ko)
KR (1) KR20170110091A (ko)
CN (1) CN107207723B (ko)
TW (1) TWI703175B (ko)
WO (1) WO20161256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11141A1 (en) * 2016-06-10 2019-07-11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Aromatic polyketone having two different structural units
KR20190109433A (ko) * 2017-01-31 2019-09-25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폴리케톤 조성물, 폴리케톤막, 폴리케톤막 부착 기재, 광학 소자, 화상 표시 장치, 피복 부재, 및 성형체
JP2018168270A (ja) * 2017-03-29 2018-11-01 日立化成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ケトン及びその製造方法、芳香族ポリケトン組成物、芳香族ポリケトン硬化物、光学素子並びに画像表示装置
KR102345854B1 (ko) * 2018-01-22 2022-01-03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폴리아릴렌에테르케톤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성형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3382A (ja) * 1984-11-30 1986-06-20 Kobe Steel Ltd Al又はAl合金材への銅被膜形成方法
JPS627730A (ja) 1985-07-05 1987-01-14 Asahi Chem Ind Co Ltd 結晶性芳香族ポリエ−テルケトンの製造方法
US4826947A (en) * 1987-07-09 1989-05-02 Raychem Corporation Preparation of poly(arylene ether ketones)
JPH04298531A (ja) * 1991-01-30 1992-10-22 Nkk Corp 芳香族ポリケトン及びその製造方法
DE4205811A1 (de) * 1992-02-26 1993-11-18 Hoechst Ag Polyetherketone und Polyethersulfone auf Basis Phenylindan und ihre Verwendung für optische Systeme
JP3435843B2 (ja) * 1994-10-06 2003-08-11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重合体
JP2000290365A (ja) 1999-04-02 2000-10-17 Mitsui Chemicals Inc ポリケト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39729B2 (ja) 2004-03-25 2009-10-07 Tdk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ケトン及びその中間体、芳香族ポリケトンの製造方法、電気化学素子用ガスケット、電気化学素子用セパレータ、並びに、電気化学素子
JP6218059B2 (ja) * 2011-09-01 2017-10-25 国立大学法人山形大学 芳香族ポリケトンの製造方法と芳香族ポリケト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37588A1 (en) 2018-08-23
TW201700535A (zh) 2017-01-01
CN107207723A (zh) 2017-09-26
US10351670B2 (en) 2019-07-16
WO2016125660A1 (ja) 2016-08-11
TWI703175B (zh) 2020-09-01
CN107207723B (zh) 2020-03-03
JPWO2016125660A1 (ja) 2017-11-16
JP6785423B2 (ja)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9830B2 (ja) 新規な構造を有するジアミンモノマーを適用したポリアミック酸溶液及びこれを含むポリイミドフィルム
KR20170110091A (ko) 방향족 폴리케톤 및 그 제조 방법, 방향족 폴리케톤 조성물, 방향족 폴리케톤막, 광학 소자 및 화상 표시 장치
JP6547747B2 (ja) 芳香族ポリケトン膜の製造方法、芳香族ポリケトン膜、芳香族ポリケトン膜付基材、光学素子及び画像表示装置
KR20190109433A (ko) 폴리케톤 조성물, 폴리케톤막, 폴리케톤막 부착 기재, 광학 소자, 화상 표시 장치, 피복 부재, 및 성형체
JP6879303B2 (ja) 異なる二種類の構造単位を有する芳香族ポリケトン
JP6778377B2 (ja) 主鎖中にアルキレン基を有する芳香族ポリケトン、芳香族ポリケトンワニス、芳香族ポリケトン膜及び芳香族ポリケトンの製造方法
JP6759682B2 (ja) 分岐型芳香族ポリケトン、分岐型芳香族ポリケトンの製造方法、分岐型芳香族ポリケトン組成物、分岐型芳香族ポリケトン膜、光学素子、画像表示装置及び分岐型芳香族ポリケトン膜付基材
JP6520495B2 (ja) 芳香族ポリケトンの製造方法
US10759937B2 (en) Polyketone composition including epoxy compound, cured polyketone, optical element,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20193276A (ja) 主鎖に脂環骨格とフルオレン骨格とを有するポリアリーレンである重合体、重合体の製造方法、組成物、膜、膜付基材、光学素子、画像表示装置、被覆材料及び成形体
JP6769075B2 (ja) 芳香族ポリケトン、芳香族ポリケトンの製造方法、芳香族ポリケトン組成物、芳香族ポリケトン膜、芳香族ポリケトン膜付基材、光学素子、画像表示装置及び被覆材料
JP6874470B2 (ja) ポリケトン樹脂組成物、ポリケトン硬化物、光学素子、画像表示装置、被覆材料及び成形体
JPWO2018025673A1 (ja) 含窒素化合物を含有するポリケトン組成物、ポリケトン硬化物、光学素子及び画像表示装置
JP2020105286A (ja) 芳香環及び鎖状基を有する構造単位を含むポリケトン、ポリケトン組成物、ポリケトン膜、光学素子、画像表示装置、及びポリケトンの製造方法
JP2017197687A (ja) 芳香環及び四級炭素原子含有脂環を含む重合体、重合体の製造方法、組成物、膜、膜付基材、光学素子、画像表示装置、被覆材料及び成形体
KR20200024778A (ko) 히드라지드 화합물을 함유하는 폴리케톤 조성물, 폴리케톤 경화물, 광학 소자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20105517A (ja) 鎖状基を有する構造単位を含むポリケトンとヒドラジド化合物とを含有するポリケトン組成物、ポリケトン硬化物、光学素子、及び画像表示装置
JP2020105287A (ja) ヒドラジド化合物を含有するポリケトン組成物、ポリケトン硬化物、光学素子、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9052301A (ja) 主鎖に脂環骨格を有するポリアリーレンである重合体、重合体の製造方法、組成物、膜、膜付基材、光学素子、画像表示装置、被覆材料及び成形体
JP2018168270A (ja) 芳香族ポリケトン及びその製造方法、芳香族ポリケトン組成物、芳香族ポリケトン硬化物、光学素子並びに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