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9981A - 방열특성이 우수한 방열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열특성이 우수한 방열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9981A
KR20170109981A KR1020160034285A KR20160034285A KR20170109981A KR 20170109981 A KR20170109981 A KR 20170109981A KR 1020160034285 A KR1020160034285 A KR 1020160034285A KR 20160034285 A KR20160034285 A KR 20160034285A KR 20170109981 A KR20170109981 A KR 20170109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layer
radiating
thermally conductive
conductiv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0644B1 (ko
Inventor
민의홍
이동원
김민성
노현수
한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루에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루에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루에타
Priority to KR1020160034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644B1/ko
Priority to US16/087,221 priority patent/US20190168486A1/en
Priority to PCT/KR2016/002897 priority patent/WO2017164437A1/ko
Publication of KR20170109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 B32B9/00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comprising carbon, e.g. graphite, composite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met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45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 coupling element being an additional piece, e.g. thermal standoff
    • H05K7/20472Sheet interfa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45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 coupling element being an additional piece, e.g. thermal standoff
    • H05K7/20472Sheet interfaces
    • H05K7/20481Sheet interfac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composition exhibiting specific thermal propert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509Multiple-component heat spreaders; Multi-component heat-conducting support plates; Multi-component non-closed heat-conducting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3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2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12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3/00Elements other than metals
    • B32B2313/04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83Hard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특정 기공도를 갖으며, 우수한 수평열전도도를 나타내는 동시에 박리강도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방열특성이 우수한 방열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방열특성이 우수한 방열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Heat releasing sheet having an excellent heat releasing proper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 of}
본 발명은 방열특성이 우수한 방열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기공도를 갖으며, 우수한 수평열전도도를 나타내는 동시에 박리강도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방열특성이 우수한 방열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제품을 구동하는 경우 전자 제품에 포함되어 있는 전자 소자 내부에서는 열이 발생하며, 상기와 같이 발생하는 열을 최대한 신속하게 외부로 방출시키지 않는 경우 열이 전자 소자에 영향을 미쳐 전자 소자가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결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열로 인하여 주변의 부품 또는 기기에 노이즈와 오작동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며, 또한 제품의 수평이 단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자 제품들이 고성능화와 고기능화 및 경박 단소화를 지향하게 됨에 따라 그에 따른 전자 소자들의 대용량화와 고집적화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전자 제품들의 부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방출하느냐는 제품의 성능과 품질을 좌우하는 핵심적인 요소하고 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핀팬(Finfan) 냉각방식, 열전소자(Peltier) 냉각방식, 액체분사(Water-jet)냉각방식, 잠수(Immersion) 냉각방식, 히트파이트(Heat pipe) 냉각방식 등을 이용하여 전자 소자들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제거하였으나, 최근 슬림화되고 소형화 되어가는 전자 제품들의 추세에 맞는 전자 소자들에 대한 냉각 장치 및 방열장치가 요구된다.
특히 최근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노트북, 모바일폰 등의 이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들의 초경량화, 초경박화 추세에 따라 이들 제품에 방열시트를 포함하여 열을 제거하는 방식이 선호되게 되었다.
한편, 종래에는 방열특성을 위하여 테이프 형태로 제조하여 EMI 차폐 열 수축성 테이프는 열 수축성층과 EMI 차폐층을 포함하는 열 수축성 테이프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구성은 방열층에 점착층을 포함하기 때문에 방열 효율이 떨어지고, 제조공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정 기공도를 갖으며, 우수한 수평열전도도를 나타내는 동시에 박리강도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4-009204(2014.01.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특정 기공도를 갖으며, 우수한 수평열전도도를 나타내는 동시에 박리강도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방열특성이 우수한 방열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탄소 재료를 포함하는 방열 강화층 및 상기 방열 강화층의 일면에 형성된 열전도성 기재층을 포함하며, 상기 탄소 재료는 그래핀 및 그라파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수평열전도도가 420 ~ 620 W/mK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특성이 향상된 방열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예에 따르면, 상기 방열 강화층은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예에 따르면, 상기 방열 강화층은 두께가 2 ~ 20 ㎛일 수 있고, 상기 열전도성 기재층은 두께가 13 ~ 4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전도성 기재층은 전해동박 및 압연동박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탄소재료, 바인더 수지 및 용매를 포함하는 방열 강화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 열전도성 기재층의 일면에 상기 방열 강화 코팅액을 도포하여 방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방열층 및 열전도성 기재층을 1차 캘렌더링시키는 단계, 1차 캘렌더링한 방열층 및 열전도성 기재층을 열처리하여 방열 강화층 및 열전도성 기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방열 강화층 및 열전도성 기재층을 2차 캘렌더링시켜서 방열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열특성이 향상된 방열시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예에 따르면, 상기 바인더 수지는 고형분 함량 28 ~ 32중량% 인 제1우레탄 수지 및 고형분 함량 34 ~ 38 중량% 인 제2우레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인더 수지는 제1우레탄 수지 및 제2우레탄 수지를 1 : 0.5 ~ 0.85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열 강화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탄소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인더 수지 80 ~ 120 중량부 및 용매 180 ~ 220 중량부를 30 ~ 60 분 동안 혼합 및 교반시켜서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액을 20℃ ~ 30℃에서 30 ~ 60 분 동안 안정화시켜서 방열 강화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매는 톨루엔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1 : 0.7 ~ 1.4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열전도성 기재층은 전해동박 및 압연동박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방열층의 두께를 상기 방열 강화층의 두께에 비하여 1.2 ~ 2.0 배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열 강화층은 상기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차 캘렌더링은 35 ~ 45 ton의 하중으로 60℃ ~ 80℃에서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열처리는 400℃ ~ 500℃에서 0.5 ~ 4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2차 캘렌더링은 45 ~ 55 ton의 하중으로 120℃ ~ 140℃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열특성이 우수한 방열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은 우수한 수평열전도도를 나타내는 동시에 박리강도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열시트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방열특성을 위하여 테이프 형태로 제조하여 EMI 차폐 열 수축성 테이프는 열 수축성층과 EMI 차폐층을 포함하는 열 수축성 테이프를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구성은 방열층에 점착층을 포함하기 때문에 방열 효율이 떨어지고, 제조공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우수한 수평열전도도를 나타내는 동시에 박리강도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탄소 재료를 포함하는 방열 강화층 및 상기 방열 강화층의 일면에 형성된 열전도성 기재층을 포함하며, 상기 탄소 재료는 그래핀 및 그라파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수평열전도도가 420 ~ 620 W/mK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특성이 향상된 방열시트를 제공하여 상술한 문제의 해결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종래의 발명과는 달리 특정 기공도를 갖으며, 우수한 수평열전도도를 나타내는 동시에 박리강도가 우수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열시트의 단면도로써, 방열 강화층(110) 및 상기 방열 강화층(110)의 일면에 형성된 열전도성 기재층(120)을 포함하는 방열시트(100)를 나타낸다.
먼저, 상기 방열 강화층(110)을 설명한다.
상기 방열 강화층(110)은 수평열전도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방열 강화층(110)을 포함하지 않을 경우 수평열전도도가 과하게 낮아질 수 있다.
상기 방열 강화층(110)은 상기 방열 강화층은 통상적으로 방열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재료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래핀 및 그라파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 강화층(110)은 통상적으로 수평열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과하지 않은 두께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2 ~ 20 ㎛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3 ~ 15 ㎛일 수 있다. 만일 상기 방열 강화층(110)의 두께가 2 ㎛ 미만이면 수평열전도도의 향상이 미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두께가 20 ㎛를 초과하면 방열 강화층 및 열전도성 기재층 간의 박리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다음, 상기 열전도성 기재층(120)을 설명한다.
상기 열전도성 기재층(120)은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열전도성 기재층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동박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해동박 및 압연동박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성 기재층(12)은 통상적으로 방열시트에 사용하기에 과하지 않은 두께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13 ~ 40 ㎛ 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15 ~ 38 ㎛ 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열전도성 기재층(120)의 두께가 13 ㎛ 미만이면 수평열전도도가 낮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두께가 40 ㎛를 초과하면 추후 제품 적용 시 박리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열 강화층(110) 및 열전도성 기재층(120)을 포함하는 방열시트(100)는 수평열전도도가 420 ~ 620 W/mK, 바람직하게는 수평열전도도가 430 ~ 560 W/mK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 강화층은 상기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방열시트의 수평열전도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방열시트를 제조방법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방열시트는 탄소재료, 바인더 수지 및 용매를 포함하는 방열 강화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 열전도성 기재층의 일면에 상기 방열 강화 코팅액을 도포하여 방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방열층 및 열전도성 기재층을 1차 캘렌더링시키는 단계, 1차 캘렌더링한 방열층 및 열전도성 기재층을 열처리하여 방열 강화층 및 열전도성 기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방열 강화층 및 열전도성 기재층을 2차 캘렌더링시켜서 방열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열특성이 향상된 방열시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다.
먼저 방열 강화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상기 방열 강화 코팅액은 탄소재료, 바인더 수지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재료에 대한 설명은 상기 상술한 탄소재료의 설명과 동일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고형분 함량 28 ~ 32중량% 인 제1우레탄 수지, 바람직하게는 고형분 함량 29 ~ 31중량% 인 제1우레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1우레탄 수지의 고형분 함량이 28 중량% 미만이면 방열 강화 코팅액이 묽어지고, 추후 층간 박리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고형분 함량이 32 중량%를 초과하면 추후 바인더 수지가 잔존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 수지는 고형분 함량 34 ~ 38 중량% 인 제2우레탄 수지를, 바람직하게는 고형분 함량 34.5 ~ 36.5 중량% 인 제2우레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2우레탄 수지의 고형분 함량이 34 중량% 미만이면 방열 강화 코팅액이 묽어지고, 추후 층간 박리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고형분 함량이 38 중량%를 초과하면 추후 바인더 수지가 잔존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인더 수지는 제1우레탄 수지 및 제2우레탄 수지를 1 : 0.5 ~ 0.85의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1 : 0.55 ~ 0.75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1우레탄 수지 및 제2우레탄 수지의 중량비가 1 : 0.5 미만이면 캘렌더링 후 밀착력이 약해지고 기공도가 높아져, 이로 인해 수평열전도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중량비가 1 : 0.85를 초과하면 내열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통상적으로 방열층을 형성할 수 있는 용매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톨루엔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매는 톨루엔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1 : 0.7 ~ 1.4 의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1 : 0.8 ~ 1.2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톨루엔 및 에틸아세테이트의 중량비가 1 : 0.7 미만이면 교반 시 균일한 혼합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중량비가 1 : 1.4를 초과하면 용매 중 에틸아세테이트가 빠르게 기화되어 상대적으로 용매의 함량이 적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방열 강화 코팅액은 상기 탄소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인더 수지 80 ~ 120 중량부 및 용매 180 ~ 220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탄소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인더 수지 90 ~ 110 중량부 및 용매 190 ~ 2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탄소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인더 수지가 80 중량부 미만이면 추후 층간 박리가 발생할 수 있고, 120 중량부를 초과하면 추후 열처리 공정에서 바인더가 모두 소각되지 않고 남아있기 때문에 수평열전도도가 좋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상기 탄소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매가 180 중량부 미만이면 열전도성 기재층에 적정두께로 코팅(도포)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220 중량부를 초과하면 추후 열처리 공정 후에도 잔존 용매가 생기고, 적정두께로 코팅(도포)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열 강화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탄소재료, 바인더 수지 및 용매를 30 ~ 60 분 동안, 바람직하게는 30 ~ 50 분 동안 혼합 및 교반시켜서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액을 20℃ ~ 30℃에서 30 ~ 60 분 동안, 바람직하게는 22℃ ~ 28℃에서 40 ~ 50 분 동안 안정화시켜서 방열 강화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혼합 및 교반하는 시간이 30 분 미만이면 균일한 혼합이 되지 않기 때문에 구성 성분들의 분포가 균일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60 분을 초과하면 용매가 기화되어 상대적으로 용매의 함량이 적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상기 안정화시키는 온도가 20℃ 미만이거나 30 분 미만이면 혼합액이 용이하게 안정화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30℃를 초과하거나 60 분을 초과하면 용매가 기화되어 상대적으로 용매의 함량이 적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열전도성 기재층의 일면에 상기 방열 강화 코팅액을 도포하여 방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상기 열전도성 기재층에 대한 설명은 상기 상술한 열전도성 기채층의 설명과 동일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방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추후 열처리 및 캘렌더링 공정에서 용제 및 바인더가 증발 또는 소각되어 감소하는 두께를 감안하여, 방열층의 두께를 상기 방열 강화층의 두께에 비하여 1.2 ~ 2.0 배로, 바람직하게는 1.3 ~ 1.9 배로 형성할 수 있다. 만일 상기 방열층의 두께가 방열 강화층의 두께에 비하여 1.2 배 미만이면, 방열 강화층을 목적하는 두께 보다 작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2.0 배를 초과하면 방열 강화층의 두께가 목적하는 두께보다 과하게 커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방열층 및 열전도성 기재층을 1차 캘렌더링시키는 단계를 설명한다.
상기 1차 캘렌더링은 35 ~ 45 ton의 하중으로 60℃ ~ 80℃에서, 바람직하게는 37 ~ 43 ton의 하중으로 65℃ ~ 75℃에서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캘렌더링의 하중이 35 ton 미만이면 추후 방열 강화층 및 열전도성 기재층의 박리강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45 ton을 초과하면 열전도성 기재층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상기 캘렌더링의 온도가 60℃ 미만이면 추후 방열 강화층 및 열전도성 기재층의 박리강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80℃를 초과하면 캘렌더링 시 방열 강화층이 캘렌더링 롤에 붙어 기재층 간에 박리가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1차 캘렌더링한 방열층 및 열전도성 기재층을 열처리하여 방열 강화층 및 열전도성 기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상기 열처리는 열처리는 400℃ ~ 500℃에서 0.5 ~ 4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430℃ ~ 470℃에서 1 ~ 3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열처리 온도가 400℃ 미만이면 바인더 수지가 잘 소각되지 않기 때문에 방열특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500℃를 초과하면 온도가 과하게 높기 때문에 박리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상기 열처리 시간이 0.5 시간 미만이면 바인더 수지가 잘 소각되지 않기 때문에 방열특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4 시간을 초과하면 공정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처리 공정을 통해 바인더 수지가 소각되지 때문에, 열처리후 형성된 방열 강화층은 상기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만일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게 되면, 기공도가 목적하는 범위를 벗어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방열특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방열 강화층 및 열전도성 기재층을 2차 캘렌더링시켜서 방열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상기 2차 캘렌더링은 45 ~ 55 ton의 하중으로 120℃ ~ 140℃에서, 바람직하게는 47 ~ 53 ton의 하중으로 125℃ ~ 135℃에서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캘렌더링을 수행하는 하중이 45 ton 미만이면 방열 강화층 및 열전도성 기재층의 박리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하중이 55 ton을 초과하면 열전도성 기재층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캘렌더링의 온도가 범위를 벗어나면 방열 강화층 및 열전도성 기재층의 박리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한다. 이때, 하기 실시예들은 발명을 예시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방열시트의 제조
(1) 방열 강화 코팅액 제조
방열 강화 코팅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평균입경이 5 ㎛인 그라파이트 파우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형분 ?t랑 30 중량%인 우레탄 수지 및 고형분 함량 35 중량%인 우레탄 수지를 1 : 0.67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및 톨루엔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1 :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용매 2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45 분 동안 고속 교반기를 통하여 균일하게 분산시켜서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혼합액을 25℃에서 45 분 동안 안정화시켜서 방열 강화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2) 방열층 형성
열전도성 기재층의 일면에 콤마코터(제품명, 회사명)를 이용하여 상기 방열 강화 코팅액을 7 ㎛의 두께로 도포하여 방열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열전도성 기재층은 두께가 35 ㎛인 전해동박을 사용하였다.
(3) 방열시트 제조
상기 방열층 및 열전도성 기재층을 40 ton의 하중으로 70℃에서 롤프레스를 이용해 1차 캘렌더링을 수행하여 층간 밀착성을 높이고, 1차 캘렌더링을 수행한 방열층 및 열전도성 기재층을 450℃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상기 방열층에 포함된 바인더 수지를 모두 소각하고 방열 강화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방열 강화층 및 열전도성 기재층을 50 ton의 하중으로 130℃에서 롤프레스를 이용해 2차 캘렌더링을 수행하여 다시 한 번 층간 밀착성을 높였다. 제조공정을 마친 방열 강화층의 두께는 5 ㎛ 였고, 방열시트의 총 두께는 40 ㎛였다.
실시예 2 ~ 22 및 비교예 1 ~ 6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하기 표 1과 같이 탄소재료 종류, 바인더 함량, 열전도성 기재층 종류, 두께 및 공정조건 등을 달리하여 방열시트를 제조하였다.
구분 방열 강화층 열전도성
기재층
열처리
공정
캘렌더링 유무
탄소재료
(종류)
바인더수지 두께
(㎛)
종류 온도(℃)
함량(중량부)1 ) 중량비
실시예1 그라파이트 100 1:0.67 35 전해동박 450
실시예2 그라파이트 75 1:0.67 35 전해동박 450
실시예3 그라파이트 85 1:0.67 35 전해동박 450
실시예4 그라파이트 115 1:0.67 35 전해동박 450
실시예5 그라파이트 125 1:0.67 35 전해동박 450
실시예6 그라파이트 100 1:0.67 10 전해동박 450
실시예7 그라파이트 100 1:0.67 45 전해동박 450
실시예8 그라파이트 100 1:0.67 35 전해동박 390
실시예9 그라파이트 100 1:0.67 35 전해동박 410
실시예10 그라파이트 100 1:0.67 35 전해동박 490
실시예11 그라파이트 100 1:0.67 35 전해동박 510
실시예12 그라파이트 100 1:0.67 18 전해동박 450
실시예13 그라파이트 100 1:0.67 25 압연동박 450
실시예14 그라파이트 100 1:0.67 16.5 압연동박 450
실시예15 그래핀 100 1:0.67 35 전해동박 450
실시예16 그래핀 100 1:0.67 18 전해동박 450
실시예17 그래핀 100 1:0.67 25 압연동박 450
실시예18 그래핀 100 1:0.67 16.5 압연동박 450
실시예19 그라파이트 100 1:0.45 35 전해동박 450
실시예20 그라파이트 100 1:0.55 35 전해동박 450
실시예21 그라파이트 100 1:0.80 35 전해동박 450
실시예22 그라파이트 100 1:0.90 35 전해동박 450
비교예1 - - - 35 전해동박 - -
비교예2 - - - 18 전해동박 - -
비교예3 - - - 25 압연동박 - -
비교예4 - - - 16.5 압연동박 - -
비교예5 그라파이트 100 - 35 전해동박 -
비교예6 그라파이트 100 - 35 전해동박 450 ×
1) 상기 중량부는 탄소재료 100 중량부에 대한 바인더의 중량부이다.
< 실험예 >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방열시트에 대해 하기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박리강도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방열시트 각각에 대하여 만능재료시험기(H5KT, Tinius Olsen)을 통해 상온(25℃)에서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2. 수평열전도도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방열시트 각각에 대하여 열전도도 측정기(LFA, NETZSCH)를 통하여 레이저플래시법으로 수평열전도도를 측정 하였다.
구분 박리강도(N/m2) 수평열전도도(W/mK)
실시예1 497
실시예2 412
실시예3 422
실시예4 421
실시예5 398
실시예6 401
실시예7 481
실시예8 387
실시예9 431
실시예10 440
실시예11 481
실시예12 441
실시예13 498
실시예14 475
실시예15 602
실시예16 498
실시예17 589
실시예18 550
실시예19 402
실시예20 422
실시예21 431
실시예22 419
비교예1 - 344
비교예2 - 313
비교예3 - 356
비교예4 - 329
비교예5 376
비교예6 × 412
◎ - 매우 높음, ○ - 높음, △ - 보통, × - 낮음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탄소재료 종류, 바인더 함량, 열전도성 기재층 종류, 두께 및 공정조건 등을 모두 만족하는 실시예 1,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2 ~ 18, 실시예 20 및 실시예 21이, 이 중 하나라도 누락된 실시예 2,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11, 실시예 19 및 실시예 22 및 비교예 1 ~ 6에 비하여 박리강도가 우수하였고, 수평열전도도가 우수하였다.
100 : 방열시트 110 : 방열 강화층
120 : 열전도성 기재층

Claims (12)

  1. 탄소 재료를 포함하는 방열 강화층; 및
    상기 방열 강화층의 일면에 형성된 열전도성 기재층;을 포함하며,
    상기 탄소 재료는 그래핀 및 그라파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수평열전도도가 420 ~ 620 W/mK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특성이 향상된 방열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강화층은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특성이 향상된 방열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강화층은 두께가 2 ~ 20 ㎛이고,
    상기 열전도성 기재층은 두께가 13 ~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특성이 향상된 방열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기재층은 전해동박 및 압연동박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특성이 향상된 방열시트.
  5. 탄소재료, 바인더 수지 및 용매를 포함하는 방열 강화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
    열전도성 기재층의 일면에 상기 방열 강화 코팅액을 도포하여 방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방열층 및 열전도성 기재층을 1차 캘렌더링시키는 단계;
    1차 캘렌더링한 방열층 및 열전도성 기재층을 열처리하여 방열 강화층 및 열전도성 기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방열 강화층 및 열전도성 기재층을 2차 캘렌더링시켜서 방열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열특성이 향상된 방열시트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고형분 함량 28 ~ 32중량% 인 제1우레탄 수지 및 고형분 함량 34 ~ 38 중량% 인 제2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특성이 향상된 방열시트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제1우레탄 수지 및 제2우레탄 수지를 1 : 0.5 ~ 0.8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특성이 향상된 방열시트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강화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탄소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인더 수지 80 ~ 120 중량부 및 용매 180 ~ 220 중량부를 30 ~ 60 분 동안 혼합 및 교반시켜서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액을 20℃ ~ 30℃에서 30 ~ 60 분 동안 안정화시켜서 방열 강화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특성이 향상된 방열시트 제조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톨루엔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1 : 0.7 ~ 1.4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열전도성 기재층은 전해동박 및 압연동박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특성이 향상된 방열시트의 제조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방열층의 두께를 상기 방열 강화층의 두께에 비하여 1.2 ~ 2.0 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특성이 향상된 방열시트의 제조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강화층은 상기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특성이 향상된 방열시트의 제조방법.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캘렌더링은 35 ~ 45 ton의 하중으로 60℃ ~ 80℃에서 수행하고,
    상기 열처리는 400℃ ~ 500℃에서 0.5 ~ 4 시간 동안 수행하며,
    상기 2차 캘렌더링은 45 ~ 55 ton의 하중으로 120℃ ~ 140℃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특성이 향상된 방열시트의 제조방법.
KR1020160034285A 2016-03-22 2016-03-22 방열특성이 우수한 방열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0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285A KR101870644B1 (ko) 2016-03-22 2016-03-22 방열특성이 우수한 방열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US16/087,221 US20190168486A1 (en) 2016-03-22 2016-03-23 Heat Dissipation Sheet Having Excellent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PCT/KR2016/002897 WO2017164437A1 (ko) 2016-03-22 2016-03-23 방열특성이 우수한 방열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285A KR101870644B1 (ko) 2016-03-22 2016-03-22 방열특성이 우수한 방열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981A true KR20170109981A (ko) 2017-10-10
KR101870644B1 KR101870644B1 (ko) 2018-06-25

Family

ID=59899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285A KR101870644B1 (ko) 2016-03-22 2016-03-22 방열특성이 우수한 방열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168486A1 (ko)
KR (1) KR101870644B1 (ko)
WO (1) WO201716443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6731A1 (ko) * 2018-05-11 2019-11-14 주식회사 솔루에타 탄소 재료를 포함하는 고방열 박막, 및 그 제조 방법
KR102068315B1 (ko) 2018-07-27 2020-01-20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열 확산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12491A (ko) 2018-07-27 2020-02-05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열 확산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0454B (zh) * 2017-11-22 2022-05-17 东莞市明骏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烯-碳纳米管复合材料的电磁屏蔽帐篷的制造工艺
WO2020198593A1 (en) * 2019-03-27 2020-10-01 Warwick Mills, Inc. Flexible and foldable electromagnetic shielding
WO2020227466A1 (en) 2019-05-07 2020-11-12 Warwick Mills, Inc. Camouflage cover having a visual appearance and visible and ir spectral signatures that closely match a vegetative environment
KR102047831B1 (ko) 2019-07-09 2019-11-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자파 차폐 기능 및 방열 기능을 갖는 액체 금속 입자 코팅 시트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07103A (ko) 2019-07-10 2021-01-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액체 금속 입자를 포함하는 필름 부재
US10863654B1 (en) * 2019-09-20 2020-12-08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CN111867323B (zh) * 2020-06-19 2022-07-12 杭州浸客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增加固体表面散热效率的新型散热片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38835A1 (en) * 2004-04-24 2005-10-27 Chien-Min Sung Graphite composite thermal sealants and associated methods
JP4532219B2 (ja) 2004-09-15 2010-08-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放熱シート
CN202135433U (zh) 2008-07-10 2012-02-01 格拉弗技术国际控股有限公司 散热器以及使用该散热器的电子装置和光伏太阳能面板
KR101189990B1 (ko) * 2010-07-05 2012-10-12 율촌화학 주식회사 방열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WO2012148219A2 (ko) * 2011-04-28 2012-11-01 ㈜솔루에타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방열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CN103563505B (zh) * 2011-04-28 2017-03-08 索略得 水平热电胶带及其制备方法
WO2013020106A1 (en) * 2011-08-03 2013-02-07 Anchor Science Llc Dynamic thermal interface material
KR101229058B1 (ko) * 2011-09-23 2013-02-04 임동영 휴대폰 전자파 차단 및 방열용 필름
KR101465419B1 (ko) * 2012-12-17 2014-12-01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흑연 시트의 제조 방법
KR20140128158A (ko) * 2013-04-26 2014-11-0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방열 시트
CN105765713A (zh) * 2013-11-12 2016-07-13 捷恩智株式会社 散热器
JP6393902B2 (ja) * 2014-12-15 2018-09-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複合材料と電子機器
US20170043553A1 (en) * 2015-01-06 2017-02-16 Fuji Polymer Industries Co., Ltd. Heat-storage, thermally conductive shee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6731A1 (ko) * 2018-05-11 2019-11-14 주식회사 솔루에타 탄소 재료를 포함하는 고방열 박막,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129771A (ko) * 2018-05-11 2019-11-20 주식회사 솔루에타 탄소 재료를 포함하는 고방열 박막, 및 그 제조 방법
KR102068315B1 (ko) 2018-07-27 2020-01-20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열 확산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12491A (ko) 2018-07-27 2020-02-05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열 확산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68486A1 (en) 2019-06-06
KR101870644B1 (ko) 2018-06-25
WO2017164437A1 (ko) 201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644B1 (ko) 방열특성이 우수한 방열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7227B1 (ko) 전자파 차폐 및 방열 기능 일체형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14169B1 (ko) 수평열전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JP4893415B2 (ja) 放熱性フィルム
KR101810315B1 (ko) 방열 시트용 점착제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방열 시트
KR101189990B1 (ko) 방열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JP2016523734A (ja) 熱放散シート
KR20170020700A (ko) 전자파 차폐 및 방열 기능 일체형 다층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29195B1 (ko) 금속 베이스 기판의 제조방법 및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JP6594799B2 (ja) 熱伝導性接着剤組成物、熱伝導性接着剤シート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WO2019150994A1 (ja) 樹脂組成物、樹脂付銅箔、誘電体層、銅張積層板、キャパシタ素子及びキャパシタ内蔵プリント配線板
JPWO2018235919A1 (ja) 放熱シート、放熱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積層体
JP2012087250A (ja) 熱伝導性樹脂組成物、樹脂シート、プリプレグ、金属積層板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
JP7352173B2 (ja) 組成物、硬化物、多層シート、放熱部品、並びに電子部品
JP2002164481A (ja) 熱伝導性シート
KR20130117909A (ko)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열전도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983673B1 (ko) 방열 시트
JP2013082873A (ja) Bステージフィルム及び多層基板
US20230151258A1 (en) Thermally Conductive Composit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919654B1 (ko) 열 처리 및 초음파 처리된 팽창흑연을 포함하는 방열 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방열 구조물
JP5712488B2 (ja) 絶縁性樹脂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板、配線板
KR20180075137A (ko) 절연성 방열 무기재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55014A (ko) 수평열전도가 우수한 방열솔루션용 그라파이트 시트, 이를 포함하는 방열솔루션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2144687A (ja) 樹脂シート、樹脂付金属箔、基板材料および部品実装基板
JP2020180216A (ja) 樹脂組成物および電子部品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