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9876A - 싱크대 상판 - Google Patents

싱크대 상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9876A
KR20170109876A KR1020160034028A KR20160034028A KR20170109876A KR 20170109876 A KR20170109876 A KR 20170109876A KR 1020160034028 A KR1020160034028 A KR 1020160034028A KR 20160034028 A KR20160034028 A KR 20160034028A KR 20170109876 A KR20170109876 A KR 20170109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rim
rim portion
edge portion
sink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5903B1 (ko
Inventor
전영완
김주회
Original Assignee
전영완
김주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완, 김주회 filed Critical 전영완
Priority to KR1020160034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903B1/ko
Publication of KR20170109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adaptation of compartments or drawers for receiving or holding foodstuffs; by provision of rotatable or extensible containers f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 상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상부로 개방된 싱크 공간부를 구비한 싱크 보울(10); 상기 싱크 보울(10)에 연결된 테두리부(20); 상기 싱크 보울(10)의 싱크 공간부 상단부와 상기 테두리부(20)의 안쪽 단부 사이에 구비된 걸침홈(122);을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20)의 코너부는 스폿 용접(SW)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테두리부(20)는, 상기 싱크 보울(10)의 전방 측벽 위에 배치되는 프론트 테두리부(22); 상기 싱크 보울(10)의 좌우 측벽 위에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테두리부(24); 상기 싱크 보울(10)의 후방 측벽 위에 배치되는 리어 테두리부(26);을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테두리부(22)와 상기 사이드 테두리부(24)와 상기 리어 테두리부(26)의 안쪽단에는 걸침홈 포밍편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걸침홈 포밍편들이 상기 싱크 보울(10)의 상단부에 용접부에 의해 접합되고, 상기 리어 테두리부(26)의 양단부는 상기 사이드 테두리부(24)의 후단부와 인접되어 상기 스폿 용접(SW)에 의해 서로 접합되고, 상기 사이드 테두리부(24)의 전단부와 상기 프론트 테두리부(22)의 양단부는 상기 스폿 용접(SW)에 의해 서로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싱크대 상판{Sink upper panel assembly}
본 발명은 싱크대 상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작시 용접에 의한 뒤틀림을 방지하고 피세척물 세척시에 도마 등을 옮겨서 작업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여러 가지 유용한 기능이 있는 새로운 싱크대 상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일반 가정이나 식당 등의 주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싱크대는 그릇 등을 세척하거나 과일이나 채소 등을 세척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업소에는 일반 가정용 싱크대와 달리 좌우 폭이 상대적으로 더 큰 대형 싱크대가 많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싱크대는 바닥판에 배술홀을 구비한 싱크 보울과, 이 싱크 보울의 후단부에서 상향 연장된 상향 벽부를 구비하며, 상향 벽부는 벽체 등에 밀착 설치되고, 싱크 보울의 바닥판에 형성된 배출홀에는 요리나 설거지 후 음식물 쓰레기가 하수구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러내는 걸음통이 설치되며, 걸음통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걸러진 물은 배수관을 통해 배출된다.
그런데, 기존의 싱크대의 경우, 식재료를 세척할 때에 싱크 보울에 세척된 식재료를 거치할 수 있는 수단이 미비하고, 식재료를 썰어서 싱크 보울에 임시로 거치 보관하는 수단 역시 미비하며, 식기 등을 세척하여 역시 싱크 보울에 임시 거치하는 기능이 미비하여 사용성이 그다지 좋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식재료 세척과 보관, 식재료 손질과 보관 또는 식기 세척과 보관과 같이 여러 가지 일을 싱크대에서 실시하는데 있어서 미비하여 사용시 편리성이 낮다는 등의 여러 가지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에는 싱크대 아래의 수납장에 칼을 넣어놓았다가 칼이 필요할 때에는 수납장의 문을 열어서 칼을 꺼내서 써야하기 때문에 사용시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에는 싱크대를 만들기 위하여 싱크대 판재를 재단하고, 싱크대 판재를 절곡 및 용접하게 되는데, 싱크대의 용접 부위가 많기 때문에, 싱크대 용접 중에 용접열 등에 의한 비틀림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싱크대의 비틀림이 발생하면 추후에 비틀림을 따로 잡아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싱크대의 비틀림으로 인하여 싱크대의 품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4603호(2014.08.06. 공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65273호(2013.02.04. 등록)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56408호(2011.10.24.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시 용접에 의한 뒤틀림을 방지하여 제작시 신속 용이하고 피세척물 세척시에 도마 등을 옮겨서 작업할 수 있어서 편리성이 있는 것과 같이 여러 가지 유용한 기능을 구비한 새로운 싱크대 상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상부로 개방된 싱크 공간부를 구비한 싱크 보울; 상기 싱크 보울에 연결된 테두리부; 상기 싱크 보울의 싱크 공간부 상단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안쪽 단부 사이에 구비된 걸침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상판이 제공된다.
상기 테두리부의 코너부는 스폿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싱크 보울의 전방 측벽 위에 배치되는 프론트 테두리부; 상기 싱크 보울의 좌우 측벽 위에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테두리부; 상기 싱크 보울의 후방 측벽 위에 배치되는 리어 테두리부;을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테두리부와 상기 사이드 테두리부와 상기 리어 테두리부의 안쪽단에는 걸침홈 포밍편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걸침홈 포밍편들이 상기 싱크 보울의 상단부에 용접부에 의해 접합되고, 상기 리어 테두리부의 양단부는 상기 사이드 테두리부의 후단부와 인접되어 상기 스폿 용접에 의해 서로 접합되고, 상기 사이드 테두리부의 전단부와 상기 프론트 테두리부의 양단부는 상기 스폿 용접에 의해 서로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싱크대 상판은 싱크대 함체의 위에 설치되어 사용하게 된다. 싱크 보울의 바닥판에 형성된 배출홀에 배출관이 연결되고, 상기 리어 프레임부의 이렉트 패널은 주로 벽체에 밀착되어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주요부인 싱크 보울과 테두리부가 스폿 용접에 의해 접합되고, 테두리부를 구성하는 프론트 테두리부와 좌우 사이드 테두리부 및 리어 테두리부들도 스폿 용접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용접시의 뒤틀림을 방지하므로, 싱크대 상판 자체의 품질을 높일 수 있고, 용접 작업이 편리하고 신속한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 이외에 여러 가지 효과가 있으며, 상기 효과는 본 발명의 주요 효과에 해당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배면도
도 4와 도 5는 도 1의 측면도
도 6은 도 1의 평면도
도 7은 도 1의 저면도
도 8은 도 1의 측단면도
도 9는 도 1의 정단면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싱크 보울(10)의 상단부에 테두리부(20)가 연결되고, 상기 싱크 보울(10) 내부에 구비된 싱크 공간부의 상단부와 테두리부(20) 안쪽 단부 사이에 걸침홈(122)이 구비된 것을 기본적인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싱크 보울(10)은 내부에 상부로 개방된 싱크 공간부를 구비한다. 싱크 보울(10)은 사각통 형상으로 구성된다. 싱크 보울(10) 내부의 싱크 공간부는 세척 대상물이 담기는 공간이다. 상기 싱크 보울(10)의 코너부에는 싱크 보울(10)의 측벽부에서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 코너 접합 지지편(CS)이 구비된다. 싱크 보울(10)은 사각통 형상이어서 네 군데의 코너부가 구비되는데, 코너 접합 지지편(CS)이 싱크 보울(10)의 네 군데 코너부에 구비된다. 싱크 보울(10)의 측벽부를 상하 방향이라고 하면, 코너 접합 지지편(CS)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싱크 보울(10)의 코너 접합 지지편(CS) 이외에 싱크 보울(10)의 상단부에는 접합 지지편(CS)이 구비된다. 싱크 보울(10)의 측벽부를 상하 방향이라고 하면 접합 지지편(CS)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싱크 보울(10)의 바닥부에는 배출관이 연결되기 위한 배출홀이 구비된다.
상기 테두리부(20)의 코너부는 스폿 용접(SW)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테두리부(20)는, 싱크 보울(10)의 전방 측벽 위에 배치되는 프론트 테두리부(22)와, 싱크 보울(10)의 좌우 측벽 위에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테두리부(24)와, 싱크 보울(10)의 후방벽 위에 배치되는 리어 테두리부(26)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테두리부(22)와 사이드 테두리부(24)와 리어 테두리부(26)의 안쪽단에는 걸침홈 포밍편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걸침홈 포밍편들이 싱크 보울(10)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리어 테두리부(26)의 양단부는 사이드 테두리부(24)의 후단부와 인접되어 스폿 용접(SW)에 의해 서로 접합되고, 상기 사이드 테두리부(24)의 전단부와 프론트 테두리부(22)의 양단부는 스폿 용접(SW)에 의해 서로 접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테두리부(20)는 프론트 테두리부(22)와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테두리부(24) 및 리어 테두리부(26)를 포함하고, 싱크 보울(10)의 전방 측벽 위에 프론트 테두리부(22)가 배치되고, 싱크 보울(10)의 좌우 측벽 위에 한 쌍의 사이드 테두리부(24)가 배치되고, 싱크 보울(10)의 후방벽 위에 리어 테두리부(26)가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 테두리부(22)와 사이드 테두리부(24)와 리어 테두리부(26)의 안쪽단에는 걸침홈 포밍편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걸침홈 포밍편들이 싱크 보울(10)의 상단부에 접합된다. 상기 걸침홈 포밍편은 수평 걸침홈 포밍편(122A)과 수직 걸침홈 포밍편(122B)을 포함하는데, 상기 싱크 보울(10)의 외곽 접합 지지편(CS)의 상면에 상기 수평 걸침홈 포밍편(122A)이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싱크 보울(10)의 코너부와 상기 테두리부(20)의 수평 걸침홈 포밍편(122A)이 시임 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한편, 상기 리어 테두리부(26)의 양단부는 사이드 테두리부(24)의 후단부와 인접되어 스폿 용접(SW)에 의해 서로 접합되고, 상기 사이드 테두리부(24)의 후단부와 프론트 테두리부(22)의 양단부는 스폿 용접(SW)에 의해 서로 접합된다.
상기 프론트 테두리부(22)와 사이드 테두리부(24) 및 리어 테두리부(26)의 양단부에는 경사단부가 구비되어, 상기 경사단부끼리 맞닿아서 스폿 용접(SW)에 의해 서로 접합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프론트 테두리부(22)의 프론트 수평 패널편 양단부와 사이드 테두리부(24)의 사이드 수평 패널편의 전단부는 경사단부(45도 각도의 경사면)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론트 테두리부(22)의 프론트 수평 패널편 양단부 또는 사이드 테두리부(24)의 사이드 수평 패널편의 전단부에는 경사단부에서 더 연장된 접합 지지편(CS)이 구비되는데, 상기 접합 지지편(CS)이 프론트 테두리부(22)의 프론트 수평 패널편에 구비된 경우 프론트 수평 패널편의 양단부에 구비된 접합 지지편(CS)이 좌우 사이드 테두리부(24)의 사이드 수평 패널편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스폿 용접(SW)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사이드 테두리부(24)의 경사단부와 프론트 테두리부(22)의 경사단부가 맞닿은 상태에서 서로 접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한편 상기 접합 지지편(CS)이 한 쌍의 사이드 테두리부(24)의 사이드 수평 패널편에 구비된 경우 사이드 수평 패널편의 접합 지지편(CS)이 프론트 테두리부(22)의 프론트 수평 패널편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스폿 용접(SW)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사이드 테두리부(24)의 경사단부와 프론트 테두리부(22)의 경사단부가 맞닿은 상태에서 서로 접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 테두리부(22)의 프론트 수직 패널편의 양단부에도 접합 지지편(CS)이 구비되어, 프론트 수직 패널편의 접합 지지편(CS)도 좌우 사이드 테두리부(24)의 사이드 수직 패널편의 표면에 접촉되어 스폿 용접(SW)으로 접합도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론트 테두리부(22)와 좌우 사이드 테두리부(24) 사이의 접합 강도가 더 높아진다. 스폿 용접(SW)으로 접합되므로 프론트 테두리부(22)와 사이드 테두리부(24)의 뒤틀림도 방지된다.
또한, 리어 테두리부(26)의 리어 수평 패널편 양단부와 사이드 테두리부(24)의 사이드 수평 패널편의 후단부는 경사단부(45도 각도의 경사면)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어 테두리부(26)의 리어 수평 패널편 양단부 또는 사이드 테두리부(24)의 사이드 수직 패널편의 후단부에는 경사단부에서 더 연장된 접합 지지편(CS)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접합 지지편(CS)이 리어 테두리부(26)의 리어 수직 패널편에 구비된 경우 리어 수직 패널편의 접합 지지편(CS)이 좌우 사이드 테두리부(24)의 사이드 수평 패널편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스폿 용접(SW)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사이드 테두리부(24)의 경사단부와 리어 테두리부(26)의 경사단부가 맞닿은 상태에서 서로 접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한편 상기 접합 지지편(CS)이 한 쌍의 사이드 테두리부(24)의 사이드 수평 패널편에 구비된 경우 사이드 수평 패널편의 접합 지지편(CS)이 리어 테두리부(26)의 리어 수평 패널편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스폿 용접(SW)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사이드 테두리부(24)의 경사단부와 리어 테두리부(26)의 경사단부가 맞닿은 상태에서 서로 접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싱크 보울(10)과 테두리부(20)가 스폿 용접(SW)에 의해 서로 접합되는 것이 첫 번째 구성의 특징이 된다.
상기 싱크 보울(10)의 싱크 공간부 상단부와 테두리부(20) 안쪽 단부 사이에 걸침홈(122)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싱크 보울(10)에 프론트 테두리부(22)와 한 쌍의 좌우 사이드 테두리부(24) 및 리어 테두리부(26)의 안쪽 단부에는 각각 수직 걸침홈 포밍편(122B)과 수평 걸침홈 포밍편(122A)에 의해 걸침홈(122)이 구비되는데, 상기 수평 걸침홈 포밍편(122A)이 얹혀진 상태에서 싱크 보울(10)의 코너 접합 지지편(CS)이 테두리부(20)의 수평 걸침홈 포밍편(122A)에 스폿 용접(SW)에 의해 접합되기 때문에, 상기 싱크 보울(10)의 상단부와 테두리부(20)의 안쪽 단부 사이에 오목한 홈 형태의 걸침홈(122)이 구비된다. 싱크 보울(10)과 테두리부(20)가 위에서 볼 때에 사각형이므로, 걸침홈(122)도 위에서 볼 때에 사각형 홈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걸침홈(122)은 프론트 걸침홈(122)과 좌우 한 쌍의 사이드 걸침홈(122) 및 리어 걸침홈(122)을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테두리부(22)와 사이드 테두리부(24)의 둘레부에는 상하 연장편이 구비되고, 상기 상하 연장편들에는 프론트 테두리부(22)와 사이드 테두리부(24)의 외표면을 향하여 연장된 교차 연장편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테두리부(22)의 상단부를 바깥 방향으로 절곡시켜서 상단 교차 연장편을 형성하고, 상기 상단 교차 연장편의 일부를 다시 하향 절곡시켜서 프론트 테두리부(22)와 마주하는 상하 연장편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 연장편을 다시 상단 수평 연장편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하여 교차 연장편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테두리부(24)의 상단부를 바깥 방향으로 절곡시켜서 상단 교차 연장편을 형성하고, 상기 상단 교차 연장편의 일부를 다시 하향 절곡시켜서 사이드 테두리부(24)와 마주하는 상하 연장편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 연장편을 다시 상단 수평 연장편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하여 교차 연장편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테두리부(26)에는 나이프 행거 슬롯(29)(칼꽂이 구멍)이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리어 테두리부(26)에는 이렉트 패널(28)가 구비되고, 상기 이렉트 패널(28)는, 상단부에서 뒤쪽으로 연장된 후방 수평 연장편; 좌우 측단부에서 뒤쪽으로 연장된 한 쌍의 후방 사이드 연장편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 수평 연장편에 나이프 행거 슬롯(29)이 형성된다.
상기 나이프 행거 슬롯(29)은 장공 형상으로 구성된다. 리어 테두리부(26)의 후방 수평 연장편의 좌우 폭 방향으로 나이프 행거 슬롯(29)이 길게 연장되어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나이프 행거 슬롯(29)의 안쪽단에는 하향 연장된 나이프 받침편(29NP)이 더 구비된다. 나이프 받침편(29NP)은 나이프 행거 슬롯(29)에서 아래로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나이프 행거 슬롯(29)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프론트 나이프 받침편(29NP)과 리어 나이프 받침편(29NP)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나이프 받침편(29NP)이 나이프 행거 슬롯(29)의 전체 안쪽단에서 하향 연장된 폐루프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리어 테두리부(26)를 구성하는 이렉트 패널(28)의 후방 수평 연장편의 양단부에는 후방 사이드 연장편과 맞닿도록 하향 연장된 접합 지지편(CS)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접합 지지편(CS)이 후방 사이드 연장편에 스폿 용접(SW)으로 접합된다. 상기 이렉트 패널(28)의 후방 수평 연장편 양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좌우 접합 지지편(CS)이 리어 테두리부(26)의 후방 사이드 연장편에 맞닿은 상태에서 스폿 용접(SW)으로 접합된다.
또한, 상기 리어 테두리부(26)에는 이렉트 패널(28)가 구비되고, 상기 이렉트 패널(28)는, 상단부에서 뒤쪽으로 연장된 후방 수평 연장편과, 좌우 측단부에서 뒤쪽으로 연장된 한 쌍의 후방 사이드 연장편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테두리부(22)와 사이드 테두리부(24)의 둘레부에는 상하 연장편이 구비되고, 상기 이렉트 패널(28)의 후방 사이드 연장편의 하단부와 사이드 패널의 상하 연장편의 후단부 사이에는 코너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코너 개방부는 후방 사이드 연장편과 상하 연장편에 스폿 용접(SW)으로 접합된 코너캡(32)에 의해 마감된다. 코너캡(32)의 상단부와 전단부에는 코너캡(32)의 외표면보다 옆으로 더 오목하게 들어간 상단 캡접합 지지편(CS)과 전단 캡접합 지지편(CS)이 구비되고, 상기 상단 캡접합 지지편(CS)과 전단 캡접합 지지편(CS)이 각각 리어 테두리부(26)의 후방 사이드 연장편의 안쪽면과 좌우 사이드 테두리부(24)의 하향 사이드 연장편의 안쪽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스폿 용접(SW)에 의해 접합된다. 따라서, 상기 이렉트 패널(28)의 후방 사이드 연장편의 하단부와 사이드 패널의 상하 연장편의 후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코너 개방부가 마감캡에 의해 마감되면서 스폿 용접(SW)에 의해 서로 접합된 구조를 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리어 테두리부(26)를 구성하는 이렉트 패널(28)의 후방 수평 연장편의 후단부와 상기 후방 사이드 연장편의 후단부에는 각각 보조 연장편(28A)이 더 구비되며, 상기 후방 수평 연장편의 후단부에 구비된 상기 보조 연장편(28A)에는 이렉트 패널(28) 쪽으로 연장된 2차 보강 연장편(28B)이 더 구비된다. 또한, 사이드 테두리부(24)와 프론트 테두리부(22)의 수직 연장편에도 보조 연장편이 구비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싱크대 상판은 싱크대 함체의 위에 설치되어 사용하게 된다. 싱크 보울(10)의 바닥판에 형성된 배출홀에 배출관이 연결되고, 상기 리어 프레임부의 이렉트 패널(28)은 주로 벽체에 밀착되어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부인 싱크 보울(10)과 테두리부(20)가 스폿 용접(SW)에 의해 접합되고, 테두리부(20)를 구성하는 프론트 테두리부(22)와 좌우 사이드 테두리부(24) 및 리어 테두리부(26)들도 스폿 용접(SW)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용접시의 뒤틀림을 방지하므로, 싱크대 상판 자체의 품질을 높일 수 있고, 용접 작업이 편리하고 신속한 등의 효과가 있다. 즉, 스폿 용접(SW)에 의해 용접부를 최소화함으로써 용접에 의한 뒤틀림을 방지하며, 이로 인하여 싱크대 상판 자체의 품질이 향상되고 용접 작업 시간도 줄어들고 작업도 편리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나아가, 사람이 용접하는 수작업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수작업에 따른 작업 시간 지연과 인건비 소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싱크 보울(10)과 테두리부(20)가 시임 용접에 의해 접합, 다시 말해, 싱크 보울(10) 상단부의 플랜지부와 테두리부(20)의 수평 걸침홈 포밍편(122A)이 시임 용접에 의해 접합되고, 상기 싱크 보울(10)과 테두리부(20)의 시임 용접 부분은 그라인딩 작업에 의해 매끈하게 갈아내는데, 상기 테두리부(20)에서 시임 용접이 불필요한 부분(예들 들어, 상기 프론트 테두리부(22)와 사이드 테두리부(24)가 만나는 45° 각도의 코너부)은 과감하게 스폿 용접(W)으로 접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상기 싱크 보울(10)과 테두리부(20)는 접합 지지편(CS)에 의해 지지되고, 싱크 보울(10)과 테두리부(20)의 코너 접합 지지편(CS)이 스폿 용접(SW)에 의해 서로 접합되므로, 싱크 보울(10)과 테두리부(20) 사이의 스폿 용접(SW) 부분의 접합 지지력이 보다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 싱크 보울(10)과 테두리부(20) 사이에 확보된 걸침홈(122)에는 도마나 채반 등의 필요한 물품을 거치시켜 놓고 싱크 보울(10)의 싱크 공간부 안에서 피세척물의 세척 작업을 할 수 있고 걸침홈(122)에 걸쳐진 도마나 채반 등을 이용하여 다른 작업도 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아주 편리하다. 예를 들어, 도마가 걸침홈(122)에 거치된 상태에서는 싱크 보울(10) 안에서 야채를 세척할 경우 도마를 걸리적거리지 않는 위치로 옮겨놓고 야채를 세척하고, 세척된 야채는 바로 도마에서 썰어서 필요한 용기에 담아줄 수 있어서 편리하며, 채반이 걸침홈(122)에 거치된 상태에서는 싱크 보울(10) 안에서 식기를 세척하고 세척된 식기를 채반 위에 올려놓으면 되므로 역시 편리하다. 특히, 본 발명의 싱크대 상판이 업소용 싱크대로 채용될 경우 업소에서 쓰기가 굉장히 편리하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넷째, 상기 나이프 행거 슬롯(29)에는 필요한 칼을 꼽아 놓을 수 있어서 요리 중에 필요한 칼을 나이프 행거 슬롯(29)에서 뽑아서 쓸 수 있으므로, 칼을 사용할 때에 아주 편리하다. 싱크대 상판의 아래에 있는 싱크대 함체에 칼을 집어넣고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나이프 행거 슬롯(29)에 칼을 꽂아놓고 가까운 곳에서 칼을 꺼내서 쓸 수 있으므로, 기존에 비하여 칼을 쓰는 것이 아주 편리하다. 즉, 필요한 칼들을 사용자와 가까운 나이프 행거 슬롯(29)에 꼽아놓고 필요할 때마다 바로 앞에서 칼을 꺼내서 쓸 수 있으므로, 칼을 사용할 때에 매우 편리한 효과를 가진다.
여섯째, 상기 나이프 행거 슬롯(29)에는 하부로 연장된 나이프 받침편(29NP)이 더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나이프 행거 슬롯(29)에 꼽아져 있는 칼의 양면을 전후 나이프 받침편(29NP)이 받쳐서 칼이 똑바로 세워져 있도록 하므로, 칼을 나이프 행거 슬롯(29)에서 뽑아서 쓰려고 할 때에 칼을 더 편리하게 뽑을 수 있다. 상기 나이프 받침편(29NP)은 칼이 나이프 행거 슬롯(29)의 주위벽에 걸리지 않고 똑바로 세워져 있도록 하므로, 사용자가 칼을 나이프 행거 슬롯(29)에서 뽑을 때에 칼이 나이프 행거 슬롯(29)의 주위에 걸려서 잘 안빠지는 경우가 방지되므로, 칼을 뽑아 쓰기가 더욱 편한 것이다.
일곱째, 리어 테두리부(26)를 구성하는 이렉트 패널(28)에는 보조 연장편(28A)이 더 구비되며, 상기 후방 수평 연장편의 후단부에 구비된 보조 연장편(28A)에는 이렉트 패널(28) 쪽으로 연장된 2차 보강 연장편(28B)이 더 구비되므로, 상기 리어 테두리부(26)의 뒤틀림에 대한 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사이드 테두리부(24)와 프론트 테두리부(22)의 수직 연장편에도 보조 연장편이 구비되어, 역시 뒤틀림에 대한 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싱크 보울(10)과 테두리부(20)가 시임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데, 테두리부(20)에서 시임 용접이 불필요한 부분(예들 들어, 상기 프론트 테두리부(22)와 사이드 테두리부(24)가 만나는 45° 각도의 코너부)은 과감하게 스폿 용접(W)으로 접합함으로써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싱크 보울 20. 테두리부
22. 프론트 테두리부 24. 사이드 테두리부
26. 리어 테두리부 26. 이렉트 패널
29. 나이프 행거 슬롯 29NP. 나이프 받침편
32. 코너캡 CS. 접합 지지편
SW. 스폿 용접

Claims (10)

  1. 내부에 상부로 개방된 싱크 공간부를 구비한 싱크 보울(10);
    상기 싱크 보울(10)에 연결된 테두리부(20);
    상기 싱크 보울(10)의 싱크 공간부 상단부와 상기 테두리부(20)의 안쪽 단부 사이에 구비된 걸침홈(12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상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20)의 코너부는 스폿 용접(SW)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상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20)는,
    상기 싱크 보울(10)의 전방 측벽 위에 배치되는 프론트 테두리부(22);
    상기 싱크 보울(10)의 좌우 측벽 위에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테두리부(24);
    상기 싱크 보울(10)의 후방 측벽 위에 배치되는 리어 테두리부(26);을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테두리부(22)와 상기 사이드 테두리부(24)와 상기 리어 테두리부(26)의 안쪽단에는 걸침홈 포밍편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걸침홈 포밍편들이 상기 싱크 보울(10)의 상단부에 용접부에 의해 접합되고, 상기 리어 테두리부(26)의 양단부는 상기 사이드 테두리부(24)의 후단부와 인접되어 상기 스폿 용접(SW)에 의해 서로 접합되고, 상기 사이드 테두리부(24)의 전단부와 상기 프론트 테두리부(22)의 양단부는 상기 스폿 용접(SW)에 의해 서로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상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테두리부(22)와 상기 사이드 테두리부(24) 및 상기 리어 테두리부(26)의 양단부에는 경사단부가 구비되어, 상기 경사단부끼리 맞닿아서 상기 스폿 용접(SW)에 의해 서로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상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테두리부(22)와 상기 사이드 테두리부(24)의 둘레부에는 상하 연장편이 구비되고, 상기 상하 연장편들에는 상기 프론트 테두리부(22)와 상기 사이드 테두리부(24)의 외표면을 향하여 연장된 교차 연장편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상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테두리부(26)에는 나이프 행거 슬롯(29)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상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테두리부(26)에는 이렉트 패널(28)가 구비되고,
    상기 이렉트 패널(28)은,
    상단부에서 뒤쪽으로 연장된 후방 수평 연장편;
    좌우 측단부에서 뒤쪽으로 연장된 한 쌍의 후방 사이드 연장편;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 수평 연장편에 상기 나이프 행거 슬롯(2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상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 행거 슬롯(29)은 장공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나이프 행거 슬롯(29)의 안쪽단에는 하향 연장된 나이프 받침편(29NP)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상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수평 연장편의 양단부에는 상기 후방 사이드 연장편과 맞닿도록 하향 연장된 접합 지지편(CS)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접합 지지편(CS)이 상기 후방 사이드 연장편에 스폿 용접(SW)으로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상판.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테두리부(26)에는 이렉트 패널(28)이 구비되고,
    상기 이렉트 패널(28)은,
    상단부에서 뒤쪽으로 연장된 후방 수평 연장편;
    좌우 측단부에서 뒤쪽으로 연장된 한 쌍의 후방 사이드 연장편;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테두리부(22)와 상기 사이드 테두리부(24)의 둘레부에는 상하 연장편이 구비되고,
    상기 이렉트 패널(28)의 상기 후방 사이드 연장편의 하단부와 상기 사이드 패널의 상하 연장편의 후단부 사이에는 코너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코너 개방부는 상기 후방 사이드 연장편과 상기 상하 연장편에 스폿 용접(SW)로 접합된 코너캡(32)에 의해 마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상판.
KR1020160034028A 2016-03-22 2016-03-22 싱크대 상판 KR101805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028A KR101805903B1 (ko) 2016-03-22 2016-03-22 싱크대 상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028A KR101805903B1 (ko) 2016-03-22 2016-03-22 싱크대 상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876A true KR20170109876A (ko) 2017-10-10
KR101805903B1 KR101805903B1 (ko) 2018-01-10

Family

ID=60190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028A KR101805903B1 (ko) 2016-03-22 2016-03-22 싱크대 상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9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6748A (zh) * 2021-01-26 2021-04-30 杭州宅兜兜科技有限公司 多功能水槽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210Y1 (ko) * 2005-05-16 2005-08-19 서성창 금속제 개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6748A (zh) * 2021-01-26 2021-04-30 杭州宅兜兜科技有限公司 多功能水槽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5903B1 (ko) 201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54024C (en) Dishwasher basket
US7624745B2 (en) Drawer-type dishwasher having modular support body
KR101805903B1 (ko) 싱크대 상판
KR20200055460A (ko) 랙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JP4770573B2 (ja) 食器洗浄機
KR20170114127A (ko) 식기선반
KR101818835B1 (ko) 식기선반
CN209474077U (zh) 一种高灵敏打荷工作台
JP3501092B2 (ja) 流し台シンク装置
KR20160044182A (ko) 주방용 다용도 서랍
KR101240801B1 (ko) 수저류 수납 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CN211748055U (zh) 五角橱柜
JP4797678B2 (ja) 食器洗浄機
CN209032270U (zh) 碗架和碗篮
JP3333820B2 (ja) キッチンのカウンター構造
KR102626826B1 (ko) 주방가구
CN210216605U (zh) 一种清洗、沥水集成设置的水槽
KR200496552Y1 (ko) 세척된 식기의 물기 건조가 가능하며 주방용품 거치가 가능한 싱크볼 어셈블리
KR200493719Y1 (ko) 이중결합홈이 형성된 비닐봉지 거치대
CN211883459U (zh) 烹饪器具
JP4692320B2 (ja) 食器洗浄機
FR2685619A1 (fr) Amenagement de cuisines.
JP2022024678A (ja) 食器洗浄機
JP3405150B2 (ja) 流し用シンク取付構造
JP2007215811A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