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826B1 - 주방가구 - Google Patents

주방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826B1
KR102626826B1 KR1020230091126A KR20230091126A KR102626826B1 KR 102626826 B1 KR102626826 B1 KR 102626826B1 KR 1020230091126 A KR1020230091126 A KR 1020230091126A KR 20230091126 A KR20230091126 A KR 20230091126A KR 102626826 B1 KR102626826 B1 KR 102626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nk
collection
support frame
dish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1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자인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자인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자인캐인
Priority to KR1020230091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8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47B77/022Work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8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apparatus operated by power, including water power; for incorporating apparatus for cooking, cooling, or laundry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20Grids, racks or other supports removably mounted in, on or over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된 식기가 식기수납부로 거치되면서 식기로부터 낙하되는 세척물이 포집되며 개수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식기수납부나 테이블에 대한 청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주방가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방가구{KITCHEN FURNITURE}
본 발명은 주방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된 식기가 식기수납부로 거치되면서 식기로부터 낙하되는 세척물이 포집되며 개수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식기수납부나 테이블에 대한 청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주방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은 요리와 식사를 할 수 있도록 마련된 공간으로서, 최근에는 식생활 환경이 개선되면서 주방을 단순히 식사를 위한 공간이 아닌 또 다른 생활공간으로 인식하는 등 그 의식구조가 많이 바뀌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주방가구는 주방 인테리어의 효과를 높이고 주방 분위기를 아름답게 연출시킬 수 있도록 고급화되고 있다.
즉, 주방가구는 식기나 컵 등을 보관하던 종전의 씽크대 또는 찬장 개념에서 탈피하여 새롭고 독립된 수납공간의 개념으로 빠르게 전환되면서 전자레인지나 밥통 또는 다양한 주방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예를 들면, 주방가구는 싱크대와 조리대 및 수납가구 등을 모두 포함하는데, 그 중에서 싱크대는 음식을 만들기 전에 재료를 준비하는 과정이나 아니면 식사 후에 설거지를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상부측으로 개구된 개수대를 포함하는 테이블이 설치되고, 개수대로 수돗물과 같은 세척수를 공급하는 수전이 설치되며 개수대의 바닥에는 사용된 세척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 등이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주방가구는 세척된 식기에서 낙하되는 세척수가 식기수납대에 그대로 방치되면서 물때나 곰팡이 등이 발생되는 것은 물론, 테이블로 떨어지면서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74420호(2005.01.29.) '식기 세척장치를 구비하는 복합 주방가구'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된 식기가 식기수납부로 거치되면서 식기로부터 낙하되는 세척물이 포집되며 개수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식기수납부나 테이블에 대한 청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주방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개수대가 구비되는 테이블; 상기 개수대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는 수전; 상기 개수대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테이블로 안착되며 식기가 수납되는 식기수납부; 및 식기 세척 후, 상기 식기수납부로 안착되는 식기나 상기 식기수납부에서 낙하되는 세척수를 포집하는 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기수납부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 및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나 상기 측벽에는 세척수가 통과하는 통공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포집부는 상기 개수대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테이블로 안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식기수납부가 안착되는 포집판; 상기 포집판의 타측을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절첩부재;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포집판의 일측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울기조절수단; 및 상기 포집판으로 포집되는 세척수가 상기 개수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유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기울기조절수단은 상기 포집판의 일측에 전후 방향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승강바; 하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한 쌍의 승강바의 사이를 통과하는 지주; 및 상기 한 쌍의 승강바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주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한 쌍의 승강바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포집판은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에 따라 일측이 상기 절첩부재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개수대로의 기울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포집판은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판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유도수단은 상기 포집판의 타측 상부에 위치되도록 전,후단부 및 타측단부가 상기 측판에 고정되면서 상기 포집판과의 사이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포집공간을 형성하는 이탈방지판; 및 일단부가 상기 포집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측판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개수대에 위치되는 배출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테이블은 상기 개수대의 일측 상면에 'T'자 형태를 이루는 한 쌍의 결합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후면을 관통하는 통풍홀이 형성되는 가로바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중앙부가 상기 가로바의 양단부에 고정되며 하부면에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T'자 형태의 결합홈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세로바를 포함하면서 전후 방향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결합홈으로 상기 결합돌기가 인입, 결합되면서 상기 테이블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출유도수단은 상기 개수대의 내부 일측면에 고정되면서 상기 배출호스를 결속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된 식기가 식기수납부로 거치되면서 식기로부터 낙하되는 세척물이 포집되며 개수대로 배출될 수 있음으로써 식기수납부나 테이블에 대한 청결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가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가구에서 식기수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가구에서 포집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지지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포집판 및 배출유도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3에서 포집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주방가구는 본체(110), 본체(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개수대(121)가 구비되는 테이블(120), 테이블(120)에 설치되는 수전(130), 개수대(121)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테이블(120)로 안착되며 식기가 수납되는 식기수납부(140) 및 식기 세척 후, 식기수납부(140)로 안착되는 식기나 식기수납부(140)에서 낙하되는 세척수를 포집하는 포집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조리도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다수의 수납공간을 가지며 각 수납공간은 서랍이나 수납도어 등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테이블(120)은 일자형, 'ㄴ'자형, 'ㄷ'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수대(121)는 싱크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전(130)은 개수대(121)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테이블(120)의 상부면에 설치되면서 개수대(121)로 수돗물 등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체(110), 테이블(120), 개수대(121) 및 수전(130)은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식기수납부(140)는 플레이트(141), 테이블(120)로부터 플레이트(141)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바(142) 및 플레이트(14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143)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41)나 측벽(143)에는 세척수 등이 통과하는 구멍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141)나 측벽(143)은 망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바(142)는 4개로 이루어져 플레이트(141)의 네 모서리부에 배치될 수 있다.
포집부(150)는 개수대(121)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테이블(120)로 안착되는 지지프레임(151), 지지프레임(151)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면으로 식기수납부(140)가 안착되는 포집판(152), 포집판(152)의 타측을 지지프레임(15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절첩부재(153), 지지프레임(151)으로부터 포집판(152)의 일측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울기조절수단(154) 및 포집판(152)으로 포집되는 세척수가 개수대(121)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유도수단(155)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5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세로바(151a)와, 한 쌍의 세로바(151a)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가로바(151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51)은 한 쌍의 세로바(151a)와 가로바(151b)가 일체로 연결되면서 'H'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가로바(151b)를 중심으로 한 쌍의 세로바(151a) 중 타측에 배치되는 세로바는 개수대(151)에 이웃하고 일측에 배치되는 세로바는 개수대(151)와 일정거리 이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측과 타측은 우측과 좌측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가로바(151b)에는 전,후면을 관통하는 통풍홀(151c)이 형성될 수 있다.
통풍홀(151c)은 포집판(152)과 테이블(120) 간으로 통풍이 이루어지면서 물때나 곰팡이 등이 쉽게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120)은 개수대(121)의 일측 상면에 'T'자 형태를 이루는 한 쌍의 결합돌기(122)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세로바(151a)는 하부면에 결합돌기(122)가 결합되는 'T'자 형태의 결합홈(151d)이 양단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22)는 접착제 등에 의해 테이블(12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세로바(151a)가 결합되면서 지지프레임(151)이 테이블(12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51)은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결합홈(151d)으로 결합돌기(122)가 인입, 결합되면서 테이블(120)로 고정될 수 있다.
포집판(152)은 사각 형태를 이루며, 상면에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지지바(142)가 인입되는 고정바(156)가 형성될 수 있다.
절철부재(153)는 경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포집판(152)의 타측을 지지프레임(151)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즉, 포집판(152)은 절첩부재(153)에 의해 한 쌍의 세로바(151b) 중 개수대(121)에 이웃하는 세로바에 고정될 수 있다.
포집판(152)은 수평인 상태로부터 일측이 절첩부재(153)를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개수대(121)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으며, 일측이 하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수평 상태로 진행될 수 있다
포집판(152)은 개수대(121)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상면으로 포집된 세척수가 포집판(152)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배출유도수단(155)을 통해 개수대(121)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기울기조절수단(154)은 포집판(152)의 일측에 전후 방향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승강바(157), 하부가 지지프레임(151)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한 쌍의 승강바(157)의 사이를 통과하는 지주(158) 및 한 쌍의 승강바(158)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지주(158)로 나사결합되면서 한 쌍의 승강바(157)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59)를 포함할 수 있다.
지주(158)는 한 쌍의 세로바(151a) 중 일측에 배치되는 세로바에 고정되면서 포집판(152)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지주(158)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지지부재(159)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지주(158)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재(159)는 회전에 따라 지주(158)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되면서 한 쌍의 승강바(157)가 승강되도록 하거나 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집판(15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부재(153)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개수대(121)로의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다.
포집판(152)는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판(152a)이 형성될 수 있다. 식기수납부(140)는 측판(152a)의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포집판(152)으로 안착될 수 있다.
측판(152a)은 설거지 즉, 식기 세척 후에 식기수납부(140)로 안착되는 식기 등으로부터 포집판(152)으로 낙하되는 세척수가 포집판(152)의 외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배출유도수단(155)은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판(152)의 타측 상부에 위치되도록 전,후단부 및 타측단부가 측판(152a)에 고정되면서 포집판(152)과의 사이로 일측이 개방되며 내측으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포집공간(A)을 형성하는 이탈방지판(160) 및 일단부가 포집공간(A)과 연통되도록 측판(152a)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개수대(121)에 위치되는 배출호스(161)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판(160)은 포집판(152)의 타측 상부에 위치되면서 전,후단부 및 타측단부가 측판(152a)에 고정될 수 있다.
배출호스(161)는 포집공간(A)으로 포집되는 세척수가 개수대(121)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배출유도수단(155)은 개수대(121)의 내부 일측면에 고정되면서 배출호스(161)를 결속하는 고정링(162)을 더 포함할 수 잇다.
고정링(162)은 개수대(121)의 내부 일측면에 고정되면서 배출호스(161)의 타단부가 통과되며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배출호스(161)는 타단부가 고정링(162)을 통과하면서 외력 등에 의한 흔들림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주방가구는 설거지된 식기가 식기수납부(140)로 거치되면서 식기 등으로부터 낙하되는 세척물이 포집되며 개수대(121)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기수납부(140)나 테이블(120)에 대한 청결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가구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주방가구 110 : 본체
120 : 테이블 121 : 개수대
130 : 수전 140 : 식기수납부
150 : 포집부 151 : 지지프레임
152 : 포집판 153 : 절첩부재
154 : 기울기조절수단 155 : 배출유도수단

Claims (6)

  1.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개수대가 구비되는 테이블; 상기 개수대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는 수전; 상기 개수대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테이블로 안착되며 식기가 수납되는 식기수납부; 및 식기 세척 후, 상기 식기수납부로 안착되는 식기나 상기 식기수납부에서 낙하되는 세척수를 포집하는 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기수납부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 및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나 상기 측벽에는 세척수가 통과하는 통공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포집부는 상기 개수대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테이블로 안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식기수납부가 안착되는 포집판; 상기 포집판의 타측을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절첩부재;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포집판의 일측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울기조절수단; 및 상기 포집판으로 포집되는 세척수가 상기 개수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유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조절수단은
    상기 포집판의 일측에 전후 방향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승강바;
    하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한 쌍의 승강바의 사이를 통과하는 지주; 및
    상기 한 쌍의 승강바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주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한 쌍의 승강바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포집판은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에 따라 일측이 상기 절첩부재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개수대로의 기울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판은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판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유도수단은
    상기 포집판의 타측 상부에 위치되도록 전,후단부 및 타측단부가 상기 측판에 고정되면서 상기 포집판과의 사이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포집공간을 형성하는 이탈방지판; 및
    일단부가 상기 포집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측판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개수대에 위치되는 배출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
  5. 삭제
  6. 삭제
KR1020230091126A 2023-07-13 2023-07-13 주방가구 KR102626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1126A KR102626826B1 (ko) 2023-07-13 2023-07-13 주방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1126A KR102626826B1 (ko) 2023-07-13 2023-07-13 주방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826B1 true KR102626826B1 (ko) 2024-01-18

Family

ID=89716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1126A KR102626826B1 (ko) 2023-07-13 2023-07-13 주방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82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862U (ja) * 1993-01-27 1994-08-16 信司 中沢 食器乾燥籠の水切り台
KR200374420Y1 (ko) 2004-11-04 2005-01-29 이제완 식기 세척장치를 구비하는 복합 주방가구
KR20090131473A (ko) * 2008-06-18 2009-12-29 하순옥 식기건조대
KR20110010334U (ko) * 2010-04-27 2011-11-02 주식회사 성우통상 회전 가능한 배수대가 구비된 식기 건조대
KR20140004603U (ko) * 2013-01-29 2014-08-06 이영철 싱크대에 설치되는 식기건조대용 물받이대
KR200474776Y1 (ko) * 2013-08-02 2014-10-14 (주)영인정공 식기 건조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862U (ja) * 1993-01-27 1994-08-16 信司 中沢 食器乾燥籠の水切り台
KR200374420Y1 (ko) 2004-11-04 2005-01-29 이제완 식기 세척장치를 구비하는 복합 주방가구
KR20090131473A (ko) * 2008-06-18 2009-12-29 하순옥 식기건조대
KR20110010334U (ko) * 2010-04-27 2011-11-02 주식회사 성우통상 회전 가능한 배수대가 구비된 식기 건조대
KR20140004603U (ko) * 2013-01-29 2014-08-06 이영철 싱크대에 설치되는 식기건조대용 물받이대
KR200474776Y1 (ko) * 2013-08-02 2014-10-14 (주)영인정공 식기 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29010B (zh) 具有可调流出槽和可移动的水盘的餐盘架
US7578401B2 (en) Sink rack
US8168006B2 (en) Utensil holder assembly for a dishwasher
US3694046A (en) Space saving kitchen unit
KR102626826B1 (ko) 주방가구
US7954913B2 (en) Molded plastic support frame for a drawer-type dishwasher
JPS58121911A (ja) ユニツト式台所戸棚
CN208798856U (zh) 一种新型厨具柜
KR200484814Y1 (ko) 식기건조대
CN105124947B (zh) 可移动的厨房及组合柜
KR102104549B1 (ko) 식기 건조기
GB2267429A (en) Dishwashers
KR200476306Y1 (ko) 주방용품 수납장
KR20200103345A (ko) 벽면 고정식 상판과 인출식 하부 수납장을 포함하는 싱크대
CN220529978U (zh) 用于厨房电器的筷笼和厨房电器
CN211748055U (zh) 五角橱柜
KR102357151B1 (ko) 식기 건조대가 구비된 식기 건조기
CN216628318U (zh) 一种厨卫用置物层架
JP3235736U (ja) 流し台
JP2013242067A (ja) グリル
KR101527235B1 (ko) 식기 세척기
JP6418467B2 (ja) 厨房装置
KR102383730B1 (ko) 식기 건조기
JPH0324096Y2 (ko)
US911159A (en) Kitchen-cabi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