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9606A -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9606A
KR20170109606A KR1020177023930A KR20177023930A KR20170109606A KR 20170109606 A KR20170109606 A KR 20170109606A KR 1020177023930 A KR1020177023930 A KR 1020177023930A KR 20177023930 A KR20177023930 A KR 20177023930A KR 20170109606 A KR20170109606 A KR 20170109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layer
sheet
region
elastic film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3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9506B1 (ko
Inventor
아야 다카하시
유키나 후루하시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17498A external-priority patent/JP598035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67325A external-priority patent/JP5999790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70295A external-priority patent/JP670955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95459A external-priority patent/JP633119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220312A external-priority patent/JP6288564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109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344Stretching or tensioning the joint area during jo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99Forming webs by bringing together several webs, e.g. by laminating or folding several webs, with or without additional treatment of the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39Sealing, e.g. involving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placed longitudinally, transversely or diagonally over the art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29C65/083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using a rotary sonotrode or a rotary anvil
    • B29C65/08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using a rotary sonotrode or a rotary anvil using a rotary anv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82Testing the joint
    • B29C65/8253Testing the joint by the use of waves or particle radiation, e.g. visual examina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r X-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2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 B29C66/21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formed by a single dot or dash or by several dots or dashes, i.e. spot joining or 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3Casing-in, i.e. enclosing an element between two sheets by an outlined s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9Textile or other fibrous material made from plastics
    • B29C66/7294Non woven mats, e.g. f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27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ridge, e.g. for making a weakening line; comprising a single tooth
    • B29C66/81429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ridge, e.g. for making a weakening line; comprising a single tooth comprising a single to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33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toothed, i.e. comprising several teeth or pins, or being patter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51Jaws mounted on rollers, cylinders, drums, bands, belts or chains; Flying jaws
    • B29C66/83511Jaws mounted on rollers, cylinders, drums, bands, belts or chains; Flying jaws jaws mounted on rollers, cylinders or dru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2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6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 A61F2013/1587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by thermal bo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2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being elastomeric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29C66/8341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 B29C66/83415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the contact angle between said rollers, cylinders or drums and said parts to be joined being a non-zero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4871Underwear
    • B29L2031/4878Diapers, napk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과제] 높은 통기성과 높은 박리 강도를 양립한다. [해결 수단] 상기 과제는, 외장체(20)에 적어도 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 영역(80)을 구비한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신축 영역(80)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1 시트층(20A)과,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2 시트층(20B) 사이에 탄성 필름(30)이 적층됨과 동시에, 탄성 필름(30)이 신축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이, 신축 방향 및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시트 접합부(40)에서, 탄성 필름(30)에 형성된 관통홀(31)을 통해서 접합되어 있고, 시트 접합부(40)에서는, 적어도,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에 걸치는 탄성 필름(30)의 용융 고화물(30m)에 의해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이 접합되어 있는 것에 의해 해결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탄성 필름을 시트층 사이에 두어 이루어지는 탄성 필름 신축 구조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물품에서는, 신체 표면에 대한 피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리 둘레나 몸통 둘레 등의 적소에 신축성을 부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종래, 실고무 등의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신축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신장한 상태로 다수 늘어놓고 고정하는 방법이 널리 채용되고 있지만, 어느 정도의 폭으로 신축성을 부여하고 싶은 경우에는, 실고무를 폭으로 간격을 두고 늘어놓아 배치한 상태로 고정하는 태양(態樣)이 채용되고 있다. 또한, 전체적인 피트성이 더욱 뛰어난 것으로서, 탄성 필름을 신축성의 부여 방향으로 신장한 상태로 부착하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탄성 필름을 시트층 사이에 둔 신축 구조(이하, 탄성 필름 신축 구조라고도 한다)는, 신축 영역이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1 시트층과,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2 시트층 사이에 탄성 필름이 적층되어 이루어짐과 동시에, 탄성 필름이 그들 표면을 따르는 신축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이, 신축 방향 및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시트 접합부에서, 탄성 필름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서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탄성 필름 신축 구조는, 자연 길이 상태에서는, 시트 접합부 사이에서 탄성 필름이 수축함에 따라, 시트 접합부의 간격이 좁아져,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에서의 시트 접합부 사이에 신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늘어나는 수축주름이 형성된다. 반대로 신장시에는, 접합부 사이에서 탄성 필름이 신장함에 따라, 시트 접합부의 간격 및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에서의 수축주름이 펴져,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의 완전 전개 상태까지 탄성 신장이 가능해진다. 이 탄성 필름 신축 구조는, 전체적인 피트성이 뛰어난 것은 물론,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과 탄성 필름과의 접합이 없고, 또한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의 접합도 극히 적기 때문에 매우 유연하고, 또한, 탄성 필름의 관통홀이 통기성 향상에도 기여한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기재의 방법에서는, 탄성 필름의 관통홀을 압출에 의해 형성하고, 그 관통홀의 위치에서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을 직접 용착에 의해 접합하기 때문에, 박리 강도가 낮고, 강한 힘이 가해지면 벗겨질 우려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은, 탄성 필름의 관통홀을 압출에 의해 형성하기 때문에, 도 8의 (b)에 나타내듯이,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 사이에 탄성 필름(30)이 남지 않고, 관통홀(31)의 주위에 도시하지 않는 압출 파편이 이동 가능하게 남을 우려가 있었다.
또한, 도 8의 (c)에 나타내듯이, 탄성 필름(30)에 관통홀을 형성하지 않고, 탄성 필름(30)을 통하여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을 접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그 경우는 박리 강도가 더욱 낮은 것이 될 뿐만 아니라, 관통홀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통기성이 극히 낮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다른 한편, 상기 종래의 탄성 필름 신축 구조는, 관통홀을 가지지 않는 부분에서의 통기성은 거의 기대할 수 없고, 따라서, 관통홀에서의 통기성의 향상이 전체의 통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매우 중요하다. 흡수성 물품에서, 통기성의 저하는, 땀이 차는 것에 의한 불쾌감을 초래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 점에 관하여, 특허문헌 1에서는, 별도의 실시 형태로서, 시트 접합부를 용착에 의해 형성한 후에, 신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시트 접합부를 단열(斷裂)시켜 통기홀을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으나, 단열 부분의 가장자리가 예리한 촉감이 되기 때문에, 손에 들어 신체에 장착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바람직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특허문헌 1: 일본 공표특허공표 2004-532758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9-285487호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16163호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과제는, 높은 통기성과 높은 박리 강도를 양립시키는 것에 있다.
또한, 제2 과제는, 탄성 필름 신축 구조에서, 촉감을 해치지 않고 통기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상기 제1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
적어도 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 영역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신축 영역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1 시트층과,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2 시트층 사이에 탄성 필름이 적층되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탄성 필름이 상기 신축 영역의 신축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이, 상기 신축 방향 및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시트 접합부에서, 상기 탄성 필름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서 접합되어 있고,
상기 시트 접합부에서는, 적어도, 상기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에 걸친 탄성 필름의 용융 고화물에 의해 상기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본 발명의 신축 영역에서는, 탄성 필름의 자연 길이 상태에서는, 시트 접합부 사이의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이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부풀어 올라, 신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늘어나는 수축주름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탄성 필름의 관통홀과 시트 접합부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있으면 그 틈새에 의해, 또한, 이 상태에서 탄성 필름의 관통홀과 시트 접합부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폭 방향으로 어느 정도 신장한 장착 상태에서는, 시트 접합부가 신장하지 않는 것에 대해 탄성 필름의 관통홀이 신장하기 때문에, 탄성 필름에서의 시트 접합부의 관통홀과, 시트 접합부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탄성 필름의 소재가 무공(無孔)의 필름이나 시트여도, 이 틈새에 의해 통기성이 부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축 영역은 통기성이 높은 것이 된다. 또한, 시트 접합부에서는, 적어도, 상기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에 걸친 탄성 필름의 용융 고화물에 의해 상기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이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실시예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박리 강도가 높은 것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통기성과 높은 박리 강도를 양립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
상기 시트 접합부 내에, 상기 시트 접합부의 주위로부터 연속하는 상기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의 섬유가 남아 있고, 상기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에 걸쳐 침투하여 고화한 상기 탄성 필름의 용융 고화물에 의해 상기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이 접합되어 있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이러한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에 대한 탄성 필름의 용융 고화물의 달라붙음이 양호해질 뿐만 아니라,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의 강도가 저하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한층더 박리 강도가 뛰어난 것이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
상기 신축 영역에서의 상기 시트 접합부의 면적은 0.14~3.5mm2이며,
자연 길이 상태에서의 상기 관통홀 개구의 면적은, 상기 시트 접합부 면적의 1~1.5배이며,
상기 신축 영역에서의 상기 시트 접합부의 면적율은 1.8~22.5%인,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시트 접합부의 면적 및 관통홀 개구의 면적, 및 시트 접합부의 면적율은 적절히 정하면 좋지만, 통상의 경우, 상기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
앞몸판 및 뒷몸판을 구성하는 외장체와, 이 외장체의 내면에 고정된, 흡수체를 포함하는 내장체를 구비하고, 앞몸판에서의 외장체의 양측부와 뒷몸판에서의 외장체의 양측부가 각각 접합되어 사이드 실링부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몸통 둘레 영역이 환 모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웨이스트 개구 및 좌우 한 쌍의 다리 개구가 형성된,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외장체에 상기 신축 영역을 가지고 있는,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이러한 구조의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외장체는, 광범위하게 신축성을 가지고 있는 것, 및 통기성이 뛰어난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특히 적합하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
적어도 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 영역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축 영역을 형성할 때에,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1 시트층과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2 시트층 사이에, 탄성 필름을 상기 신축 영역의 신축 방향으로 신장하면서 끼운 상태로, 그들을 상기 신축 방향 및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 개소(箇所)에서 용착(溶着)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다수 개소에서 상기 탄성 필름을 용융하여 관통홀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관통홀의 위치에서 적어도 상기 탄성 필름의 용융물의 고화에 의해 상기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을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작용 효과)
이와 같이,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 사이에 탄성 필름을 끼운 상태로, 시트 접합부의 배열 패턴으로 히트 실링이나 초음파 실링 등에 의해 용착하면, 탄성 필름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그 관통홀을 통하여 탄성 필름의 용융물의 고화에 의해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을 접합할 수 있어, 간소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게다가 제조되는 신축 영역은, 청구항 1에 기재한 것과 마찬가지로, 높은 통기성과 높은 박리 강도를 양립한 것이 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
상기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의 융점이 상기 탄성 필름의 융점보다 높고, 상기 용착 개소에서 상기 탄성 필름을 용융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의 일부 또는 전부를 용융하지 않는, 청구항 5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작용 효과)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이점을 가지면서,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의 신축 영역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의 사이에 탄성 필름이 적층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이,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시트 접합부에서 상기 탄성 필름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통하여 접합된 탄성 필름 신축 구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탄성 필름 신축 구조를 가지는 영역은, 적어도 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 영역을 가지고 있고,
상기 신축 영역은, 상기 탄성 필름의 수축력에 의해 상기 신축 방향으로 수축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신축 방향으로 신장 가능하고,
상기 신축 영역에서는, 상기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의 적어도 한쪽에서의 상기 시트 접합부 이외의 부분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기홀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본 발명에서는, 탄성 필름의 관통홀과,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의 적어도 한쪽의 통기홀에 의해 두께 방향의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의 적어도 한쪽에서의 시트 접합부 이외의 부분에 통기홀이 천공되어 있기 때문에, 특허문헌 1의 기재와 같이 시트 접합부의 단열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와 달리, 촉감을 해치는 경우도 없다. 또한, 통기홀은 천공되는 것이며, 소재 본래가 가지는 통기성을 위한 통로를 포함하지 않고, 예를 들면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이 부직포 등의 통기성 섬유 소재인 경우, 섬유 간극은 본 발명의 「통기홀」에 포함되지 않는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
상기 신축 영역의 신장 상태에서, 상기 통기홀의 일부 또는 전체가 상기 관통홀과 겹치도록, 상기 관통홀에 대하여 상기 통기홀이 배치되어 있는, 청구항 7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신축 영역이 사용시에 신장 될 때, 탄성 필름에 형성된 관통홀은 확대되기 때문에, 이 확대된 관통홀에 통기홀의 일부 또는 전체가 겹치도록 배치하면, 관통홀을 통한 통기성이 특히 향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
상기 신축 영역의 신축 상태에 관계없이, 상기 통기홀의 전체가 상기 관통홀과 겹치지 않는, 청구항 7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신축 영역이 사용시에 신장될 때, 탄성 필름에 형성된 관통홀은 확대되기 때문에, 이 확대된 관통홀에 통기홀의 일부 또는 전체가 겹치도록 배치하면, 통기성은 향상되지만, 투과성의 향상에 의해 피부의 노출도가 증가하거나, 누출 방지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항의 기재와 같이 구성하는 것도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이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
상기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이 부직포이며, 상기 통기홀의 단위면적당 수가, 상기 관통홀의 단위면적당 수보다 적은, 청구항 7~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은 탄성 필름을 감싸는 층이고, 내마찰성 등의 내구성이 요구되는 부재이다. 또한,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을 부직포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 소재 자체의 통기성이 있기 때문에, 통기홀의 수는 과도하게 증가시키지 않아도 좋다. 한편, 탄성 필름의 관통홀은,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및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을 균등하게 일체화하기 위해서는 상당수 필요하다. 따라서, 통기홀의 수를 관통홀의 수보다 적게 하는 것은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이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
상기 통기홀은, 상기 시트 접합부의 상기 신축 방향 양측에 적어도 1개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7~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신축 영역이 사용시에 신장 될 때, 탄성 필름에 형성된 관통홀은 시트 접합부의 신축 방향 양측으로 확대되기 때문에, 통기홀이 본항 기재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면,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보다도 통기성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
상기 통기홀의 면적이 0.34~3.5mm2이며, 상기 통기홀의 면적율이 4.4~19.1%인, 청구항 7~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통기홀의 면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너무 작거나, 너무 적거나 하면 통기성 향상 작용이 부족해지고, 너무 크거나, 너무 많거나 하면, 시트층의 강도 저하나, 볼품의 악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본항 기재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
상기 탄성 필름 신축 구조를 가지는 영역은, 상기 신축 영역의 적어도 신축 방향 한쪽 측에 설치된 비신축 영역을 가지고 있고,
상기 비신축 영역은, 상기 신축 방향의 탄성 한계 신장이 130% 이하인 영역이며,
상기 신축 영역에 상기 통기홀을 형성함과 동시에, 또는 상기 신축 영역에 상기 통기홀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비신축 영역에 상기 통기홀이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7~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통기홀의 면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너무 작거나, 너무 적거나 하면 통기성 향상 작용이 부족해지고, 너무 크거나, 너무 많거나 하면, 시트층의 강도 저하나, 볼품의 악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본항 기재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
앞몸판 및 뒷몸판을 구성하는 외장체와, 이 외장체에 고정된, 흡수체를 포함하는 내장체를 구비하고, 앞몸판에서의 외장체의 양측부와 뒷몸판에서의 외장체의 양측부가 각각 접합되어 사이드 실링부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몸통 둘레 영역이 환 모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웨이스트 개구 및 좌우 한 쌍의 다리 개구가 형성된,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앞몸판 및 뒷몸판의 적어도 한쪽에서의 상기 외장체의 몸통 둘레 영역에, 상기 탄성 필름 신축 구조를, 그 신축 방향이 폭 방향이 되도록 구비하고 있는,
청구항 7~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본 발명의 탄성 필름 신축 구조는, 통기성이 뛰어난 것이기 때문에, 특히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외장체에 적합하다.
이상과 같이, 제1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통기성과 높은 박리 강도를 양립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초래된다. 또한, 제2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필름 신축 구조에 있어서, 촉감을 해치지 않고 통기성을 향상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초래된다.
도 1은 완전 전개 상태의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평면도(내면측)이다.
도 2는 완전 전개 상태의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평면도(외면측)이다.
도 3의 (a)는 외장체의 주요부 평면도, (b)는 (a)의 D-D 단면도, (c)는 장착 상태에서의 단면도, (d)는 자연 길이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1 및 도 31의 C-C 단면도, (b)는 도 1 및 도 31의 E-E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0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20의 B-B 단면도이다.
도 7은 완전 전개 상태의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주요부만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폭 방향으로 어느 정도 신장한 외장체의 주요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완전 전개 상태의 외장체의 주요부 개략 평면도이다.
도 10은 시트 접합부의 패턴을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11은 완전 전개 상태의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평면도(외면측)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샘플의 자연 길이 상태에서의 사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샘플의 신장 상태에서의 사진이다.
도 14는 탄성 필름이 단열한 후의 자연 길이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5는 용착 공정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시트 접합부의 확대 사진이다.
도 17은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을 박리한 상태의 시트 접합부의 확대 사진이다.
도 18은 박리 시험의 개요 설명도이다.
도 19는 시트 접합부의 각종 배열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전개 상태의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평면도(내면측)이다.
도 21은 전개 상태의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평면도(외면측)이다.
도 22의 (a)는 도 20의 C-C 단면도, (b)는 도 1의 E-E 단면도이다.
도 23의 (a)는 신축 영역의 주요부 평면도, (b)는 (a)의 D-D 단면도, (c)는 장착 상태에서의 단면도, (d)는 자연 길이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참고 샘플의 신축 영역의 (a) 평면 방향에서의 현미경 사진, (b) 평면 방향에서의 고배율 현미경 사진, (c) 사시 방향에서의 고배율 현미경 사진이다.
도 25의 (a)는 신축 영역의 주요부 평면도, (b)는 (a)의 D-D 단면도, (c)는 장착 상태에서의 단면도, (d)는 자연 길이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참고 샘플의 신축 영역의 (a)평면 방향에서의 현미경 사진, (b)평면 방향에서의 고배율 현미경 사진, (c)사시 방향에서의 고배율 현미경 사진이다.
도 27의 (a)는 비신축 영역의 주요부 평면도, (b)는 (a)의 D-D 단면도, (c)는 장착 상태에서의 단면도, (d)는 자연 길이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참고 샘플의 비신축 영역의 사진이다.
도 29는 비신축 영역의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30은 비신축 영역의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31은 전개 상태의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평면도(외면측)이다.
도 32는 어느 정도 신장한 외장체의 주요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3은 어느 정도 신장한 외장체의 주요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4의 (a)는 제1 용착 형태로 형성된 시트 접합부의 평면 사진, (b)는 제3 용착 형태로 형성된 시트 접합부의 평면 사진이다.
도 35는 초음파 실링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단면도 중의 점 모양 부분은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합 수단을 나타내고 있다.
<공통적 사항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7은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를 나타내고 있다. 이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이하, 단순히 기저귀라고도 한다.)는, 앞몸판(F) 및 뒷몸판(B)을 구성하는 일체적인 외장체(20)와, 이 외장체(20)의 내면에 고정되어 일체화된 내장체(10)를 가지고 있고, 내장체(10)는 액투과성의 탑 시트(11)와 액불투과성 시트(12) 사이에 흡수체(13)가 개재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조시에는, 외장체(20)의 내면(상면)에 대하여 내장체(10)의 이면이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합 수단에 의해 접합된 후에, 내장체(10) 및 외장체(20)가 앞몸판(F) 및 뒷몸판(B)의 경계인 전후 방향(세로 방향) 중앙에서 접혀져, 그 양측부가 서로 열용착 또는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되어 사이드 실링부(21)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웨이스트 개구 및 좌우 한 쌍의 다리 개구가 형성된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가 된다.
(내장체의 구조예)
내장체(10)는,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듯이,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탑 시트(11)와, 폴리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액불투과성 시트(12) 사이에, 흡수체(13)를 개재시킨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탑 시트(11)를 투과한 배설액을 흡수 유지하는 것이다. 내장체(10)의 평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시 형태와 같이 약 직사각형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흡수체(13)의 표면측(피부와 맞닿는 면쪽)을 감싸는 탑 시트(11)로서는, 유공(有孔) 또는 무공의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등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소재 섬유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로 할 수 있고, 스펀레이스법, 스펀본드법, 써멀 본드법, 멜트블로운법, 니들펀치법 등의 적절한 가공법에 의해 얻어진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이들 가공법 중, 스펀레이스법은 유연성, 드레이프성이 풍부한 점에서 뛰어나며, 써멀 본드법은 부피가 크고 소프트한 점에서 뛰어나다. 탑 시트(11)에 다수의 스루홀을 형성한 경우에는, 오줌 등이 신속하게 흡수되게 되어, 드라이 터치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탑 시트(11)는, 흡수체(13)의 옆테두리부를 말아 넣어 흡수체(13)의 이면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흡수체(13)의 이면측(피부와 맞닿지 않는 면쪽)을 감싸는 액불투과성 시트(12)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액불투과성 플라스틱 시트가 이용되지만, 최근은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는 점에서 투습성을 가지는 것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이 차수·투습성 시트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 수지 중에 무기 충전재를 용융 혼련하여 시트를 형성한 후, 1축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미다공성 시트이다.
흡수체(13)로서는, 공지의 것, 예를 들면 펄프 섬유의 적섬체(積纖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등의 필라멘트의 집합체, 혹은 부직포를 기본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서 고흡수성 폴리머를 혼합, 고착 등을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 흡수체(13)는, 형상 및 폴리머 유지 등을 위해, 필요에 따라서 크레이프지 등의, 액투과성 및 액유지성을 가지는 포장 시트(14)에 의해 포장할 수 있다.
흡수체(13)의 형상은, 가랑이부에 전후 양측보다 폭이 좁은 잘록 부분(13N)을 가지는 약 모래시계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직사각형 모양 등, 적절히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잘록 부분(13N)의 치수는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잘록 부분(13N)의 전후 방향 길이는 기저귀 전체 길이의 20~50% 정도로 할 수 있고, 그 가장 좁은 부분의 폭은 흡수체(13)의 전체 폭의 40~60% 정도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잘록 부분(13N)을 가지는 경우에, 내장체(10)의 평면 형상이 약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면, 내장체(10)에서의 흡수체(13)의 잘록 부분(13N)과 대응하는 부분에, 흡수체(13)를 가지지 않는 나머지 부분이 형성된다.
내장체(10)의 양측부에는 다리 둘레에 피트하는 입체 개더(BS)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입체 개더(BS)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듯이, 내장체 이면의 측부에 고정된 고정부와, 이 고정부로부터 내장체의 측방을 거쳐 내장체 표면의 측부까지 연장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전후 단부가 도복(倒伏) 상태로 내장체 표면의 측부에 고정되어 형성된 도복 부분과, 이 도복 부분 사이가 비고정으로 되어 형성된 자유 부분이, 되접힘에 의해 이중 시트로 된 개더 부직포(15)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중 시트 사이에는, 자유 부분의 선단부 등에 가늘고 긴 형상의 개더 탄성 부재(16)가 마련되어 있다. 개더 탄성 부재(16)는, 제품 상태에서 도 5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듯이, 탄성 신축력에 의해 자유 부분을 기립시켜 입체 개더(BS)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액불투과성 시트(12)는, 탑 시트(11)와 함께 흡수체(13)의 폭 방향 양측에서 안쪽으로 되접혀져 있다. 이 액불투과성 시트(12)로서는, 대변이나 오줌 등의 갈색이 나오지 않도록 불투명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투명화로서는, 플라스틱 중에, 탄산칼슘, 산화 티탄, 산화 아연, 화이트 카본, 점토, 활석, 황산바륨 등의 안료나 충전재를 안에 첨가하여 필름화한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개더 탄성 부재(16)로서는, 통상 사용되는 스티렌계 고무, 올레핀계 고무, 우레탄계 고무, 에스테르계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 실리콘, 폴리에스테르 등의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외측으로부터 잘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해, 굵기는 925dtex 이하, 텐션은 150~350%, 간격은 7.0mm 이하하여 마련하는 것이 좋다. 또한, 개더 탄성 부재(16)로서는, 도시한 형태와 같은 실 모양 외에, 어느 정도의 폭을 가지는 테이프 모양의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개더 부직포(15)를 구성하는 소재 섬유도 탑 시트(11)와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로 할 수 있으며, 스펀본드법, 써멀 본드법, 멜트블로운법, 니들펀치법 등의 적절한 가공 방법으로 얻어진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으나, 특히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평량을 억제하여 통기성이 뛰어난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개더 부직포(15)에 관해서는, 오줌 등의 투과를 방지함과 동시에, 발진을 방지하고 또한 피부에 대한 감촉성(드라이감)을 높이기 위해서, 실리콘계, 파라핀 금속계, 알킬염화크롬계 발수제 등을 코팅한 발수 처리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나타내듯이, 내장체(10)는 그 이면이, 내외 고정 영역(10B, 사선 영역)에서, 외장체(20)의 내면에 대하여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 내외 고정 영역(10B)은, 한쪽의 무흡수체 측부(17)로부터 다른 한쪽의 무흡수체 측부(17)에 걸치는 폭으로, 무흡수체 측부(17)의 전후 양측에 걸쳐 연장된다. 내외 고정 영역(10B)의 옆테두리는, 무흡수체 측부(17)의 폭 방향 중간보다 측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내장체(10)의 폭 방향의 약 전체, 및 전후 방향의 약 전체에 걸쳐 외장체(20)에 고정되고 있으면 보다 바람직하다.
(전후 누름 시트)
도 1 및 도 4에도 나타내듯이, 외장체(20)의 내면 위에 장착된 내장체(10)의 전후 단부를 커버하며, 또한 내장체(10)의 전후 가장자리로부터 새는 것을 막기 위해, 전후 누름 시트(50, 60)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도시 형태에 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앞 누름 시트(50)는, 앞몸판(F) 외장체(20)의 내면 중 웨이스트 단부 영역(23)의 되접음 부분(20C)의 내면으로부터 내장체(10)의 전단부와 겹치는 위치까지 폭 방향 전체에 걸쳐 연장하고 있고, 뒤 누름 시트(60)는, 뒷몸판(B) 외장체(20)의 내면 중 웨이스트 단부 영역(23)의 되접음 부분(20C)의 내면으로부터 내장체(10)의 후단부와 겹치는 위치까지 폭 방향 전체에 걸쳐 연장하고 있다. 전후 누름 시트(50, 60)의 가랑이 측 테두리부에 폭 방향의 전체에 걸쳐(중앙부만이어도 된다) 약간의 비접착 부분을 설치하면, 접착제가 비어져 나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 부분을 탑 시트로부터 약간 띄워 방루벽으로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 형태와 같이, 전후 누름 시트(50, 60)를 별체로서 장착하면, 소재 선택의 자유도가 높아지는 이점이 있지만, 자재나 제조 공정이 증가하는 등의 단점도 있다. 그 때문에, 외장체(20)를 기저귀 내면으로 되접어 이루어지는 되접음 부분(20C)을, 내장체(10)와 겹치는 부분까지 연장시켜, 상술한 누름 시트(50, 60)와 동등한 부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과제를 해결하는 형태에 관하여>
우선, 도 1 내지 도 19를 이용하여, 제1 과제를 해결하는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외장체(20)는, 도 4 내지 도 6에도 나타나듯이,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 사이에, 탄성 필름(30) 및 폭 방향을 따르는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부재(24)가 마련되고, 폭 방향의 신축성이 부여되어 있다. 외장체(20)의 평면 형상은, 중간 양측부에 각각 다리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형성된 오목한 모양의 다리 둘레 라인(29)에 의해, 전체로서 유사 모래시계 모양을 이루고 있다. 외장체(20)는, 전후로 둘로 분할하여, 양자가 가랑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간하도록 배치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시 형태의 외장체(20)에서는, 앞몸판(F)과 뒷몸판(B)이 접합된 사이드 실링부(21)의 세로 방향 범위로서 정해지는 몸통 둘레 영역(T) 중, 웨이스트 단부 영역에 웨이스트부 탄성 부재(24)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 형태의 웨이스트부 탄성 부재(24)는,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실고무 등의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 부재이며, 신체의 몸통 둘레를 단단히 조이도록 신축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웨이스트부 탄성 부재(24)는, 간격을 조밀하게 하여 실질적으로 한 다발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신축 존을 형성하도록 3~8mm 정도의 간격을 두고, 3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5개 이상 배치된다. 웨이스트부 탄성 부재(24)의 고정시의 신장율은 적절히 정할 수 있으나, 통상의 성인용의 경우 230~320% 정도로 할 수 있다. 웨이스트부 탄성 부재(24)로서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띠모양 탄성 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웨이스트부 탄성 부재(24)는, 도시예에서는 실고무를 이용했지만, 예를 들면 테이프 모양의 신축 부재를 이용해도 되고, 또한 이를 대신하여, 후술하는 탄성 필름을 웨이스트 단부 영역까지 연장시켜도 된다. 도시 형태의 웨이스트부 탄성 부재(24)는, 제2 시트층(20B)의 구성재를 웨이스트 개구 테두리에서 내면 측으로 되접어져 이루어지는 되접음 부분(20C)에 끼워져 있으나, 제1 시트층(20A)의 구성재와 제2 시트층(20B)의 구성재의 사이에 끼워도 된다.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구성재는, 시트 모양의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나, 통기성 및 유연성의 관점에서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는, 그 원료 섬유가 무엇인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 등이나, 이들로부터 2종 이상이 사용된 혼합 섬유, 복합 섬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는, 어떤 가공에 의해 제조된 것이어도 좋다. 가공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스펀레이스법, 스펀본드법, 써멀 본드법, 멜트블로운법, 니들펀치법, 에어스루법, 포인트 본드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부직포를 이용하는 경우, 그 평량은 10~25g/m2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은, 그 일부 또는 전부가 한 장의 자재를 되접어 대향시킨 한 쌍의 층이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듯이, 외장체(20)에서의 앞몸판(F)의 몸통 둘레 영역(T), 뒷몸판(B)의 몸통 둘레 영역(T), 및 그들 사이의 중간 영역(L)에, 탄성 필름 신축 구조(20X)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외장체(20)의 신축 구조(20X)에서는, 흡수체(13)와 겹치는 부분을 포함하는 폭 방향 중간 부분(겹치는 부분의 일부여도 전부여도 좋고, 내장체 고정부(10B)의 약 전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에 비신축 영역(70)이 설치됨과 동시에, 그 폭 방향 양측에서의 사이드 실링부(21)까지의 부분이 신축 영역(80)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신축 영역(80) 및 비신축 영역(70)의 전체에 걸쳐, 도 3에 나타내듯이, 제1 시트층(20A)과, 제2 시트층(20B) 사이에 탄성 필름(30)이 적층되어 이루어짐과 동시에, 탄성 필름(30)이 폭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이, 신축 방향 및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시트 접합부(40)에서, 탄성 필름(30)에 형성된 관통홀(31)을 통해서 접합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과 탄성 필름(30, 후술하는 용융 고화물을 제외함)은 접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나, 접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탄성 필름 신축 구조(20X)에서는, 기본적으로, 시트 접합부(40)의 면적률이 높아질수록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이 탄성 필름(30)에 의해 수축하는 부분이 적어지기 때문에, 탄성 한계 신장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고, 또한 그에 따라, 탄성 필름(30)에서의 관통홀(31)의 개구의 면적률도 높아져, 신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점유하는 탄성 필름(30)의 신축 방향 연속 부분의 비율이 줄어들기 때문에, 신장시에 발생하는 수축력이 작아짐과 동시에 탄성 필름(30)이 단열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비신축 영역(70)에서는, 시트 접합부(40)의 면적률이 신축 영역(80)보다도 높은 것에 의해, 신축 방향의 탄성 한계 신장이 130% 이하(바람직하게는 1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로 하는 한편, 신축 영역(80)에서는, 시트 접합부(40)의 면적률이 비신축 영역(70)보다도 낮은 것에 의해, 신축 방향의 탄성 한계 신장이 200% 이상(바람직하게는 265~295%)으로 할 수 있다.
신축 영역(80)에서는, 도 3의 (d)에 나타내듯이, 탄성 필름(30)의 자연 길이 상태에서는, 시트 접합부 사이의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이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부풀어 올라, 신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늘어나는 수축주름(25)이 형성되고, 도 3의 (c)에 나타내듯이, 폭 방향으로 어느 정도 신장한 장착 상태에서도, 수축주름(25)은 늘려지지만, 남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 형태와 같이,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은, 적어도 시트 접합부(40)에서의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 사이 이외에서는 탄성 필름(30)과 접합되어 있지 않으면, 장착 상태를 상정한 도 3의 (c) 및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완전 전개 상태를 상정한 도 3의 (a)(b)으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이들의 상태에서는, 탄성 필름(30)에서의 시트 접합부의 관통홀(31)과, 시트 접합부(40)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탄성 필름(30)의 소재가 무공인 필름이나 시트여도, 이 틈새에 의해 통기성이 부가된다. 또한, 장착 상태 및 자연 길이 상태의 수축주름(25)의 상태는, 도 12 내지 도 14의 샘플 사진에도 나타나 있다.
비신축 영역(70)에서는, 도 12 내지 도 14의 샘플 사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시트 접합부(40) 사이에 줄무늬 모양으로 부풀어오른 부분 혹은 극히 미소한 주름이 형성되지만, 시트 접합부(40)의 면적률이 매우 높기 때문에 신축성은 실질적으로 죽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9의 (a)에 나타내듯이, 신축 영역(80)에서의 비신축 영역(70)측의 단부가, 해당 단부를 제외한 주 신축 부분(81)보다도 시트 접합부(40)의 면적률이 낮은 완충 신축 부분(82)이 된다. 이 완충 신축 부분에 의해 신장시에 다음과 같은 변화가 일어난다고 생각된다. 즉, 지금 자연 길이 상태로부터 서서히 힘을 가해 신장해가는 것을 생각하면, 완충 신축 부분(82) 및 주 신축 부분(81)이 함께 신장하지만, 완충 신축 부분(82)이 주 신축 부분(81)보다도 먼저 탄성 한계까지 다 늘어나 완전 전개 상태(도 3의 (b) 상태)가 되고, 주 신축 부분(81)은 불완전 전개 상태(도 3의 (c) 상태)로 있는 제1 단계와, 그 후에 주 신축 부분(81)이 탄성 한계까지 다 늘어나 완전 전개 상태(도 3의 (b) 상태)가 되는 제2 단계가 존재한다. 제1 단계에서는, 완충 신축 부분(82)은 늘려지지만 그 탄성 한계 신장은 적고, 따라서 그때에 탄성 필름(30)에서의 완충 신축 부분(82) 및 비신축 영역(70)의 경계에 가해지는 장력도 작기 때문에, 완충 신축 부분(82) 및 비신축 영역(70)의 경계에서의 탄성 필름(30)의 단열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제2 단계에서는, 주 신축 부분(81)이 완전 전개 상태까지 늘어나는 과정에서, 그 신장에 따른 장력이 주 신축 부분(81), 완충 신축 부분(82) 및 비신축 영역(70)에 가해진다. 그러나, 완충 신축 부분(82)은 제1 단계 이상으로 늘어나지 못하고, 비신축 영역(70) 및 완충 신축 부분(82)에 가해지는 장력은, 비신축 영역(70) 및 완충 신축 부분(82)의 전체에 걸쳐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이 지탱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탄성 필름(30)에서의 완충 신축 부분(82) 및 비신축 영역(70)의 경계에 가해지는 장력은 제1 단계의 탄성 한계 신장 이상이 되지 않기 때문에, 제1 단계와 마찬가지로, 완충 신축 부분(82) 및 비신축 영역(70)의 경계에서의 탄성 필름(30)의 단열은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것이다.
이에 대해, 도 9의 (b)에 나타내듯이, 완충 신축 부분(82)을 가지지 않는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 경우, 신축 영역(80)의 탄성 한계 신장이 크고, 탄성 한계까지 다 늘어나 완전 전개 상태가 될 때까지, 탄성 필름(30)에서의 신축 영역(80) 및 비신축 영역(70)의 경계에 가해지는 장력이 계속 증가하여 커지기 때문에,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신축 영역(80) 및 비신축 영역(70)의 경계를 따르는 탄성 필름(30)의 단열(도면 중의 2점 쇄선이 단열 후의 탄성 필름의 테두리를 나타내고 있다)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상의 원리를 고려하면, 비신축 영역(70)에서의 신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탄성 필름(30)의 관통홀(31) 사이의 간격과 같은 폭에서의 탄성 필름(30)의 신축 방향의 인장 신도보다, 완충 신축 부분(82)의 탄성 한계 신장이 작으면, 신축 영역(80) 및 비신축 영역(70)의 경계에서의 탄성 필름(30)의 단열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개개의 시트 접합부(40) 및 관통홀(31)의 자연 길이 상태에서의 형상은, 진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등의 다각형(선 모양이나 모서리를 둥글린 것도 포함), 별 모양, 구름 모양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개개의 시트 접합부(40)의 크기는, 적절히 정하면 되지만, 너무 크면 시트 접합부(40)의 경도가 감촉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너무 작으면 접합 면적이 적고 자재끼리를 충분히 접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통상의 경우, 개개의 시트 접합부(40)의 면적은 0.14~3.5mm2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개의 관통홀(31)의 개구의 면적은, 관통홀(31)을 통하여 시트 접합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시트 접합부 이상이면 좋지만, 시트 접합부 면적의 1~1.5배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영역에서의 개개의 시트 접합부(40)의 면적 및 면적률은, 통상의 경우 다음과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신축 영역(70))
시트 접합부(40)의 면적: 0.14~3.5mm2(특히 0.25~1.0mm2)
시트 접합부(40)의 면적률: 16~45%(특히 25~45%)
(주 신축 부분(81))
시트 접합부(40)의 면적: 0.14~3.5mm2(특히 0.14~1.0mm2)
시트 접합부(40)의 면적률: 1.8~19.1%(특히 1.8~10.6%)
(완충 신축 부분(82))
시트 접합부(40)의 면적: 0.14~3.5mm2(특히 0.25~1.0mm2)
시트 접합부(40)의 면적률: 8~22.5%(특히 12.5~22.5%)
이와 같이 3개소(비신축 영역(70), 주 신축 부분(81) 및 완충 신축 부분(82))의 시트 접합부(40)의 면적률을 상이한 것으로 하려면, 도 10의 (a)에 나타내듯이 단위면적당 시트 접합부(40)의 수를 바꾸거나, 도 10의 (b)에 나타내듯이 개개의 시트 접합부(40)의 면적을 바꾸거나 하면 된다. 전자의 경우, 시트 접합부(40)의 면적을, 비신축 영역(70), 주 신축 부분(81) 및 완충 신축 부분(82) 중 2개소 이상에서 동일하게 하는 것 외에, 전체 개소에서 상이한 것으로 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단위면적당의 시트 접합부(40)의 수를, 비신축 영역(70), 주 신축 부분(81) 및 완충 신축 부분(82) 중의 2개소 이상에서 동일하게 하는 것 외에 전체 개소에서 상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시트 접합부(40) 및 관통홀(31)의 평면 배열은 적절히 정할 수 있으나,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배열이 바람직하고, 도 19의 (a)에 나타내는 것 같은 마름모꼴 격자 모양이나, 도 19의 (b)에 나타내는 것 같은 육각 격자 모양(이들은 지그재그 모양이라고도 한다), 도 19의 (c)에 나타내는 것 같은 정사각형 격자 모양, 도 19의 (d)에 나타내는 것 같은 직사각형 격자 모양, 도 19의 (e)에 나타내는 것 같은 평행체 격자(도시와 같이, 다수의 평행한 경사 방향의 열의 군(群)이 서로 교차하도록 2군 설치되는 형태) 모양 등(이들이 신축 방향에 대해 90도 미만의 각도로 경사진 것을 포함한다)과 같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것 외에, 시트 접합부(40)의 군(군 단위의 배열은 규칙적이어도 불규칙이어도 좋고, 모양이나 문자 모양 등이어도 좋다)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시트 접합부(40) 및 관통홀(31)의 배열 형태는, 주 신축 부분(81), 완충 신축 부분(82), 및 비신축 영역(70)에서 동일한 것으로 하는 것 외에, 다른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1에 나타내듯이, 흡수체(13)와 겹치는 부분 이외에도, 예를 들면 시트 접합부(40)를 표시(71) 모양으로 배치하는 등으로 한 비신축 영역(70)을 설치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비신축 영역(70)으로부터 이어지는 신축 영역(80)에서, 완충 신축 부분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표시(71)로서는, 흡수성 물품의 분야에서 공지의 표시, 예를 들면 장식을 위한 모양(원포인트의 그림이나 캐릭터를 포함한다), 사용 방법이나 사용 보조, 사이즈 등의 기능 표시, 혹은 제조자나 제품명, 특징적 기능 등의 표장 표시 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시 형태에서는, 식물 모양인 꽃 무늬의 표시(71)가 부가되어 있지만, 추상 모양이나 동물 모양, 자연 현상 모양 등, 각종의 모양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탄성 필름(30)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자체 탄성을 가지는 수지 필름이면 특별히 한정 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 및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브렌드물을, T 다이법이나 인플레이션법 등의 압출 성형에 의해 필름 모양으로 가공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탄성 필름(30)으로서는, 무공의 것 이외에, 통기를 위해 다수의 구멍이나 슬릿이 형성된 것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신축 방향에서의 인장 강도가 8~25N/35mm, 신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인장 강도가 5~20N/35mm, 신축 방향에서의 인장 신도가 450~1050%, 및 신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인장 신도가 450~1400%인 탄성 필름(30)이면 바람직하다. 탄성 필름(3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40㎛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 필름(30)의 평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30~45g/m2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0~35g/m2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징적으로는, 도 8의 (a)에 나타내듯이, 시트 접합부(40)에서의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접합이, 적어도,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에 걸친 탄성 필름(30)의 용융 고화물(30m)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탄성 필름(30)의 용융 고화물(30m)을 접착제로 하여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을 접합하면, 후술하는 실시예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박리 강도가 높은 것이 되어, 높은 통기성과 높은 박리 강도를 양립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접합 구조는,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듯이, 제1 시트층(20A)과 제2 시트층(20B) 사이에, 탄성 필름(30)을 신축 방향으로 신장하면서 사이에 둔 상태로, 소정의 시트 접합부(40)의 패턴으로 용착하는 것에 의해, 다수 개소에서 탄성 필름(30)을 용융하여 관통홀(31)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관통홀(31)의 위치에서 적어도 탄성 필름(30)의 용융물의 고화에 의해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을 접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간소하면서 또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연 길이 상태에서는, 개개의 시트 접합부(40)의 형상·면적과 개개의 관통홀(31)의 형상·면적이 거의 같아진다. 또한, 도 15는, 히트 실링 장치를 이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술한 시트 접합부(40)의 패턴에 배열된 다수의 가압 볼록부(60p)를 외주면에 구비한 실링 롤(60)과, 이에 대향 배치된 표면이 평활한 앤빌 롤(61)에 의해,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 사이에 탄성 필름(30)을 끼운 상태의 가공 대상을 끼우고, 가압 볼록부(60p)를 가열하는 것에 의해, 가압 볼록부(60p)와 앤빌 롤(61)의 외주면 사이에 두께 방향으로 가압되는 부위만, 탄성 필름(30)을 용융하여 관통홀(31)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관통홀(31)의 위치에서 적어도 탄성 필름(30)의 용융물의 고화에 의해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을 접합하고 있으나, 원하는 패턴으로 탄성 필름(30)을 용융하여 관통홀(31)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관통홀(31)의 위치에서 적어도 탄성 필름(30)의 용융물의 고화에 의해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을 접합할 수 있는 것이면, 초음파 실링 등의 다른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탄성 필름(30)의 융점, 및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융점, 용착 개소에서의 가공 온도의 고저 관계는 적절히 정할 수 있으나,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융점이 탄성 필름(30)의 융점 이하가 되고, 용착 개소에서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 전체 및 탄성 필름(30) 전체가 용융·혼련하여, 시트 접합부(40)가 형성되는 것보다도,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융점이 탄성 필름(30)의 융점보다 높고, 용착 개소에서 탄성 필름(30)이 용융함과 동시에,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일부 또는 전부가 용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후자의 경우, 도 16 및 도 17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시트 접합부(40)의 주위로부터 연속하는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섬유(20f)가 남아 있고,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에 걸쳐 침투하여 고화한 탄성 필름(30)의 용융 고화물(30m)에 의해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이 접합된 구조가 되어,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에 대한 탄성 필름(30)의 용융 고화물(30m)의 달라붙음이 양호해질 뿐만 아니라,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강도가 저하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한층 더 박리 강도가 뛰어난 것이 된다. 또한,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일부가 용융하지 않는 것에는, 시트 접합부의 전체 섬유에 관하여 심(복합 섬유에서의 심뿐만이 아니라 단성분 섬유의 중심부분을 포함한다)은 남지만 그 주위 부분(복합 섬유에서의 덮개뿐만 아니라 단성분 섬유의 표층측의 부분을 포함한다)은 용융하는 형태나, 일부의 섬유는 전혀 용융하지 않지만, 나머지 섬유는 전부가 용융하는 또는 심은 남지만 그 주위 부분은 용융하는 형태를 포함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탄성 필름(30)의 융점은 80~14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융점은 85~190℃ 정도, 특히 150~19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융점과 탄성 필름(30)의 융점의 차이는 60~8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예는, 외장체(20)의 웨이스트 단부 영역 이외의 신축 구조에 탄성 필름 신축 구조(20X)를 적용한 예이지만, 후술하는 도 20 내지 도 22에 나타내는 형태와 같이, 웨이스트 단부 영역도 포함하여 적용하거나 앞몸판(F)의 몸통 둘레 영역(T)와 뒷몸판(B)의 몸통 둘레 영역(T) 사이의 중간 영역(L)에는 탄성 필름 신축 구조(20X)를 설치하지 않는 형태로 하거나 하는 등,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신축 구조(20X)는,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뿐만 아니라,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몸통 둘레나 패스닝 테이프, 흡수성 물품 전반에 범용되어 있는 입체 개더, 평면 개더 등, 다른 신축부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비신축 영역을 가지는 것이지만, 탄성 필름 신축 구조의 전체를 신축 영역으로 하고, 비신축 영역을 가지지 않는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또한, 도시예는 신축 방향이 폭 방향으로 되어 있지만, 전후 방향으로 하거나 폭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양방향으로 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박리 시험>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으로서, PE/PP 복합 섬유(심: 폴리프로필렌(융점 165℃), 덮개: 폴리에틸렌(융점 130℃))을 원료로 하는 평량 17g/m2의 스펀본드 부직포를, 또한 탄성 필름으로서 평량 35g/m2, 두께: 35㎛, 융점: 110~120℃인 것을 사용했다. MD 방향이 가지런해지도록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 사이에 탄성 필름을 자연 길이 상태(박리 강도의 상대적인 비교에서는 자연 길이인지 신장 상태인지는 무관계)로 끼우고, 스테플러형 초음파 실링 장치(스즈키사제 하루루「SUH-30」)를 사용하여, 도 18의 (a)에 나타내듯이, MD 방향을 따르는 긴 변을 가지는 직사각형 시트 접합부(40)(짧은 변 1.0mm, 긴 변 1.5mm)를, MD 방향과 직교하는 CD 방향으로 1mm 간격, 및 MD 방향으로 17mm 간격으로 직사각형 격자 모양으로 형성하고, CD 방향 길이(100y) 80mm, MD 방향 길이(100x)가 50mm인 탄성 필름이 있는 샘플(100)을 제작했다(실시예). 초음파 실링은 가압 시간을 약 3초로 하고, 동일인이 동일 압력이 되도록,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사진과 같은 접합 상태가 되도록 실시했다. 또한, 부직포의 MD 방향은 부직포의 섬유 배향 방향(부직포의 섬유가 따르는 방향)이며, 예를 들면, TAPPI 표준법 T481의 영거리 인장 강도에 의한 섬유 배향성 시험법에 준한 측정 방법이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의 인장 강도비로부터 섬유 배향 방향을 결정하는 간이적 측정 방법에 의해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탄성 필름을 제외하고 2층 구조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게 하여 탄성 필름 없는 샘플을 제작했다(비교예). 이 탄성 필름 없는 샘플은, 박리 강도라는 점에서는, 탄성 필름을 통하지 않고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이 접합된 특허문헌 1의 구조와 마찬가지가 된다고 생각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탄성 필름 신축 구조의 샘플을 이용하여, 도 18의 (b)에 나타내듯이, 샘플(100)의 CD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101z:30mm만큼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을 손으로 떼어, 이 박리 부분(101)을 각각 인장 시험기의 척으로 잡아, 척 간격 50mm, 인장 속도 300mm/min의 조건으로, 상술한 떼어낸 곳으로부터 신축 방향으로 나머지 50mm의 길이를 박리하여, 측정되는 인장 응력의 최대값을 박리 강도로 했다. 인장 시험으로서는, ORIENTEC사제 텐시론 만능 시험기 RTC-1210A를 사용했다.
그 결과, 비교예 샘플의 박리 강도가 2.7N인 것에 대해, 실시예 샘플의 박리 강도는 10.2N로, 현저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다.
<제2 과제를 해결하는 형태에 관하여>
그 다음, 도 3 내지 도 7, 도 19 내지 도 30을 이용하여, 제2 과제를 해결하는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외장체(20)는 흡수체(13)의 옆테두리로부터 측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를 끝으로, 외장체(20)는 도시 형태와 같이 가랑이부에서 외장체(20)의 옆테두리가 내장체(10)의 옆테두리보다 폭 방향 중앙 측으로 위치하고 있어도, 또한 폭 방향 외측으로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외장체(20)는, 사이드 실링부(21)와 대응하는 전후 방향 범위인 몸통 둘레 영역(T)과, 앞몸판(F)의 몸통 둘레 영역(T) 및 뒷몸판(B)의 몸통 둘레 영역(T) 사이의 전후 방향 범위인 중간 영역(L)을 가진다. 그리고, 도시 형태의 외장체(20)에서는, 그 중간 영역(L)의 전후 방향 중간을 제외하고, 도 22에 나타나듯이,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 사이에 탄성 필름(30)이 적층됨과 동시에, 도 23에 나타나듯이,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이,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시트 접합부(40)에서 탄성 필름(30)을 관통하는 관통홀(31)을 통해서 접합된, 신축 방향이 폭 방향으로 된 탄성 필름 신축 구조(20X)를 가지고 있다. 외장체(20)의 평면 형상은, 중간 영역(L)의 폭 방향 양측 테두리가 각각 다리 개구를 형성하도록 오목한 모양의 다리 둘레 라인(29)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유사 모래시계 모양을 이루고 있다. 외장체(20)는, 전후로 이분할하여, 양자가 가랑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간하듯이 배치해도 좋다.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형태는, 탄성 필름 신축 구조(20X)가 웨이스트 단부 영역(23)까지 연장되어 있는 형태이지만, 웨이스트 단부 영역(23)에 탄성 필름 신축 구조(20X)를 이용하면, 웨이스트 단부 영역(23)의 조임이 불충분하게 되는 등, 필요에 따라, 도 31이나,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형태와 같이, 웨이스트 단부 영역(23)에는 탄성 필름 신축 구조(20X)를 설치하지 않고, 종래의 가늘고 긴 형상의 웨이스트부 탄성 부재(24)에 의한 신축 구조를 설치할 수도 있다. 웨이스트부 탄성 부재(24)는,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실고무 등의 가늘고 긴 형상 탄성 부재이며, 신체의 몸통 둘레를 조이도록 신축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웨이스트부 탄성 부재(24)는, 간격을 조밀하게 하여 실질적으로 한 다발로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신축 존을 형성하듯이 3~8mm 정도의 간격을 두고, 3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5개 이상 배치된다. 웨이스트부 탄성 부재(24)의 고정시 신장율은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통상 성인용의 경우 230~320% 정도로 할 수 있다. 웨이스트부 탄성 부재(24)는, 도시예에서는 실고무를 이용했지만, 예를 들면 납작 고무 등, 다른 가늘고 긴 형상의 신축 부재를 이용해도 좋다.
다른 형태로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앞몸판(F)의 몸통 둘레 영역(T)과 뒷몸판(B)의 몸통 둘레 영역(T) 사이의 중간 영역(L)에는 탄성 필름 신축 구조(20X)를 설치하지 않는 형태로 하거나, 앞몸판(F)의 몸통 둘레 영역(T) 내에서 중간 영역(L)을 거쳐 뒷몸판(B)의 몸통 둘레 영역(T) 내까지 전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신축 구조(20X)를 설치하거나, 앞몸판(F) 및 뒷몸판(B) 중 어느 한쪽에만 탄성 필름 신축 구조(20X)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개개의 시트 접합부(40) 및 관통홀(31)의 자연 길이 상태에서의 형상은,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진원형(도 23, 도 24 참조), 타원형, 삼각형, 직사각형(도 25 내지 도 28 참조), 마름모꼴(도 29의 (b) 참조) 등의 다각형, 혹은 볼록 렌즈형(도 29의 (a) 참조), 오목 렌즈형(도 30의 (a) 참조), 별 모양, 구름 모양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개개의 시트 접합부의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최대 길이는 0.5~3.0mm, 특히 0.7~1.1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최대폭(40x)은 0.1~3.0mm, 특히 신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긴 형상의 경우에는 0.1~1.1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개의 시트 접합부(40)의 크기는, 적절히 정하면 좋지만, 너무 크면 시트 접합부(40)의 경도가 감촉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너무 작으면 접합 면적이 적고 자재끼리를 충분히 접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통상의 경우, 개개의 시트 접합부(40)의 면적은 0.14~3.5mm2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개의 관통홀(31) 개구의 면적은, 관통홀(31)을 통하여 시트 접합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시트 접합부 이상이면 좋지만, 시트 접합부 면적의 1~1.5배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통홀(31)의 개구의 면적은, 탄성 필름(30) 단독의 상태가 아니라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과 일체화한 상태로, 또한 자연 길이의 상태에서의 값을 의미하고, 관통홀(31)의 개구의 면적이, 탄성 필름(30)의 겉과 뒤에서 다른 등, 두께 방향으로 균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최소값을 의미한다.
시트 접합부(40) 및 관통홀(31)의 평면 배열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평면 배열이 바람직하고, 도 19의 (a)에 나타내는 것 같은 마름모꼴 격자 모양이나, 도 19의 (b)에 나타내는 것 같은 육각 격자 모양(이들은 지그재그 모양이라고도 한다), 도 19의 (c)에 나타내는 것 같은 정사각형 격자 모양, 도 19의 (d)에 나타내는 것 같은 직사각형 격자 모양, 도 19의 (e)에 나타내는 것 같은 평행체 격자(도시와 같이, 다수의 평행한 경사 방향의 열의 군이 서로 교차하듯이 2군 설치되는 형태) 모양 등(이들이 신축 방향에 대해 90도 미만의 각도로 경사진 것을 포함한다)과 같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것 외에, 시트 접합부(40)의 군(군 단위의 배열은 규칙적이어도 불규칙이어도 좋고, 모양이나 문자 모양 등이어도 좋다)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시트 접합부(40)에서의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접합은, 탄성 필름(30)에 형성된 관통홀(31)을 통해서 접합된다. 이 경우, 적어도 시트 접합부(40)에 있어서의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 사이 이외에서는 탄성 필름(30)과 접합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 접합부(40)에서의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접합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접합부(40)에서의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접합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이루어져 있어도, 히트 실링이나 초음파 실링 등의 소재 용착에 의한 접합 수단에 의해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시트 접합부(40)이 소재 용착에 의해 형성되는 형태는, 시트 접합부(40)에서의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적어도 한쪽의 대부분 또는 일부의 용융 고화물(20m)만에 의해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이 접합되는 제1 용착 형태(도 32의 (a) 참조), 시트 접합부(40)에서의 탄성 필름(30)의 전부 혹은 대부분 또는 일부의 용융 고화물(30m)만에 의해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이 접합되는 제2 용착 형태(도 32의 (b) 참조), 및 이들 양자가 조합된 제3 용착 형태(도 32의 (c) 참조)의 어느 하나여도 좋지만, 제2, 제3 용착 형태가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일부의 용융 고화물(20m)과, 시트 접합부(40)에서의 탄성 필름(30)의 전부 혹은 대부분의 용융 고화물(30m)에 의해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이 접합되는 형태이다. 또한, 도 34의 (b)에 나타나는 제3 용착 형태에서는, 흑색으로 찍힌 제1 시트층(20A) 또는 제2 시트층(20B)의 섬유 용융 고화물(20m) 사이에, 백색으로 찍힌 탄성 필름(30)의 용융 고화물(30m)을 볼 수 있는 것에 대해, 도 34의 (a)에 나타나는 제1 용착 형태에서는, 제1 시트층(20A) 또는 제2 시트층(20B)의 섬유 용융 고화물(20m) 사이에 탄성 필름의 용융 고화물은 볼 수 없다(백색 부분은 섬유 용융 고화물(20m)의 경계와, 섬유 용융 고화물(20m)의 난반사이다).
제1 접착 형태나 제3 접착 형태와 같이,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적어도 한쪽의 대부분 또는 일부의 용융 고화물(20m)을 접착제로 하여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을 접합하는 경우,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일부는 용융하지 않는 것이 시트 접합부(40)이 경질화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이 부직포일 때는,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일부가 용융하지 않는 것에는, 시트 접합부(40)의 전체 섬유에 관하여 심(복합 섬유에서의 심뿐만 아니라 단성분 섬유의 중심 부분을 포함한다)은 남지만 그 주위 부분(복합 섬유에서의 덮개뿐만 아니라 단성분 섬유의 표층측의 부분을 포함한다)은 용융하는 형태나, 일부의 섬유는 전혀 용융하지 않지만, 나머지의 섬유는 전부가 용융하는 또는 심은 남지만 그 주위 부분은 용융하는 형태를 포함한다.
제2 용착 형태 및 제3 용착 형태와 같이, 탄성 필름(30)의 용융 고화물(30m)을 접착제로 하여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을 접합하면, 박리 강도가 높은 것이 된다. 제2 용착 형태에서는,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적어도 한쪽의 융점이 탄성 필름(30)의 융점 및 시트 접합부(40) 형성시의 가열 온도보다 높은 조건하에서,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 사이에 탄성 필름(30)을 끼워, 시트 접합부(40)가 되는 부위를 가압·가열하고, 탄성 필름(30)만을 용융 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제3 용착 형태에서는,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적어도 한쪽의 융점이 탄성 필름(30)의 융점보다 높은 조건하에서,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 사이에 탄성 필름(30)을 끼워, 시트 접합부(40)가 되는 부위를 가압·가열하고,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적어도 한쪽과 탄성 필름(30)을 용융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탄성 필름(30)의 융점은 80~14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융점은 85~190℃ 정도, 특히 150~19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융점과 탄성 필름(30)의 융점의 차이는 60~9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온도는 100~15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용착 형태 및 제3 용착 형태에서는,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이 부직포일 때는, 탄성 필름(30)의 용융 고화물(30m)은, 도 33의 (c)에 나타내듯이 시트 접합부(40)에서의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두께 방향 전체에 걸쳐 섬유 사이에 침투하고 있어도 좋지만, 도 32의 (b)(c) 및 도 33의 (a)에 나타내듯이 두께 방향 중간까지 섬유 사이에 침투하는 형태, 또는 도 33의 (b)에 나타내듯이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섬유 사이에 거의 침투하지 않는 형태가, 시트 접합부(40)의 유연성이 높은 것이 된다.
도 35는, 제2 용착 형태 및 제3 용착 형태를 형성하는데 적합한 초음파 실링 장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초음파 실링 장치에서는, 시트 접합부(40)의 형성시에, 외면에 시트 접합부(40)의 패턴으로 형성한 돌기부(60a)를 가지는 앤빌 롤(60)과 초음파 혼(61) 사이에, 제1 시트층(20A), 탄성 필름(30) 및 제2 시트층(20B)을 송출한다. 이때, 예를 들면 상류측의 탄성 필름(30)의 송출 구동 롤(63) 및 닙 롤(62)에 의한 송출 이송 속도를, 앤빌 롤(60) 및 초음파 혼(61) 이후의 이송 속도보다 늦게 하는 것에 의해, 송출 구동 롤(63) 및 닙 롤(62)에 의한 닙 위치에서 앤빌 롤(60) 및 초음파 혼(61)에 의한 실링 위치까지의 경로에서, 탄성 필름(30)을 MD 방향(머신 방향, 흐름 방향)으로 소정의 신장율까지 신장한다. 이 탄성 필름(30)의 신장율은, 앤빌 롤(60) 및 송출 구동 롤(63)의 속도차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300%~500% 정도로 할 수 있다. 62는 닙 롤이다. 앤빌 롤(60)과 초음파 혼(61) 사이에 송출된, 제1 시트층(20A), 탄성 필름(30) 및 제2 시트층(20B)은, 이 순서로 적층된 상태로, 돌기부(60a)와 초음파 혼(61) 사이에서 가압되면서, 초음파 혼(61)의 초음파 진동 에너지에 의해 가열되어, 탄성 필름(30)만을 용융하거나, 또는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적어도 한쪽과 탄성 필름(30)을 용융하는 것에 의해, 탄성 필름(30)에 관통홀(31)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관통홀(31)을 통하여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을 접합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앤빌 롤(60)의 돌기부(60a)의 크기, 형상, 이간 간격, 롤 길이 방향 및 롤 둘레 방향의 배치 패턴 등을 선정하는 것에 의해, 시트 접합부(40)의 면적율을 선택할 수 있다.
관통홀(31)이 형성되는 이유는 반드시 명확하지는 않지만, 탄성 필름(30)에서의 앤빌 롤(60)의 돌기부(60a)와 대응하는 부분이 용융하여 주위로부터 이탈하는 것에 의해 개공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때, 탄성 필름(30)에서의, 신축 방향으로 늘어선 인접 관통홀(31) 사이의 부분은, 도 23의 (a), 도 25의 (a) 및 도 27의 (a)에 나타내듯이, 관통홀(31)에 의해 신축 방향 양측의 부분으로부터 절단되고, 수축 방향 양측의 지지를 잃게 되기 때문에,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신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중앙측만큼 신축 방향 중앙 측에 적합할 때까지 수축하고, 관통홀(31)이 신축 방향으로 확대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신축 영역(80)과 같이 탄성 필름(30)이 신축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속하는 부분이 남는 패턴으로 시트 접합부(40)를 형성하면, 도 23의 (a) 및 도 25의 (a)에 나타내듯이, 개별의 제품으로 절단하는 것 등에 의해 자연 길이 상태까지 수축할 때에, 관통홀(31) 확대 부분의 신축 방향 길이는, 관통홀(31)과 시트 접합부(40)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게 될 때까지 수축하게 된다. 한편, 후술하는 비신축 영역(70)과 같이 탄성 필름(30)이 신축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속하는 부분이 없는 패턴으로 시트 접합부(40)를 형성하면, 도 27의 (a)에 나타내듯이, 개별의 제품으로 절단하는 것 등에 의해 자연 길이 상태까지 수축할 경우에 거의 수축하지 않기 때문에, 관통홀(31)과 시트 접합부(40) 사이에 틈새가 크게 남겨지게 된다.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구성재는, 시트 모양의 것이면 특별히 한정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통기성 및 유연성의 관점에서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는, 그 원료 섬유가 무엇인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 등이나, 이들로부터 2종 이상이 사용된 혼합 섬유, 복합 섬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는, 어떠한 가공에 의해 제조된 것이어도 괜찮다. 가공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스펀레이스법, 스펀본드법, 써멀 본드법, 멜트블로운법, 니들펀치법, 에어스루법, 포인트 본드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부직포를 이용하는 경우, 그 평량은 12~20g/m2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한 장의 자재를 되접어 대향시킨 한 쌍의 층에서 만나도 좋다. 예를 들면, 도시 형태와 같이, 웨이스트 단부 영역(23)에서는, 외측에 위치하는 구성재를 제2 시트층(20B)으로 하고, 또한 그 웨이스트 개구 테두리에서 내면 측으로 되접어져 이루어지는 되접음 부분(20C)을 제1 시트층(20A)으로 하여, 그 사이에 탄성 필름(30)을 개재시킴과 동시에, 그 이외의 부분에서는 내측에 위치하는 구성재를 제1 시트층(20A)으로 하고, 외측에 위치하는 구성재를 제2 시트층(20B)으로 하여, 그 사이에 탄성 필름(30)을 개재시킬 수 있다. 물론, 전후 방향의 전체에 걸쳐 제1 시트층(20A)의 구성재 및 제2 시트층(20B)의 구성재를 개별적으로 설치하고, 구성재를 되접는 일 없이, 제1 시트층(20A)의 구성재 및 제2 시트층(20B)의 구성재 사이에 탄성 필름(30)을 개재시킬 수도 있다.
탄성 필름(30)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자체 탄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면, 무공의 것의 이외에, 통기를 위해 다수의 구멍이나 슬릿이 형성된 것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폭 방향(신축 방향, MD 방향)에서의 인장 강도가 8~25N/35mm, 전후 방향(신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CD 방향)에서의 인장 강도가 5~20N/35mm, 폭 방향에서의 인장 신도가 450~1050%, 및 전후 방향에서의 인장 신도가 450~1400%인 탄성 필름(30)이면 바람직하다. 탄성 필름(3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4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 영역 및 비신축 영역)
외장체(20)에서의 탄성 필름 신축 구조(20X)를 가지는 영역은, 비신축 영역(70)과, 이 비신축 영역(70)의 적어도 폭 방향 한쪽 측에 설치된,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 영역(80)을 가지고 있다. 이들 신축 영역(80) 및 비신축 영역(70)의 배치는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은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외장체(20)의 경우, 흡수체(13)와 겹치는 부분은 신축이 불필요한 영역이기 때문에, 도시 형태와 같이, 흡수체(13)와 겹치는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내외 고정 영역(10B)의 거의 전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를 비신축 영역(70)으로 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물론, 흡수체(13)와 겹치는 영역으로부터 그 폭 방향 또는 전후 방향에 위치하는 흡수체(13)와 겹치지 않는 영역에 걸쳐 비신축 영역(70)을 설치할 수도 있고, 흡수체(13)와 겹치지 않는 영역에만 비신축 영역(70)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신축 영역)
신축 영역(80)에서는, 탄성 필름(30)이 폭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속하는 부분(32)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탄성 필름(30)의 수축력에 의해 폭 방향으로 수축하고 있음과 동시에, 폭 방향으로 신장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성 필름(30)을 폭 방향으로 신장한 상태에서, 폭 방향 및 이와 직교하는 전후 방향(신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탄성 필름(30)의 관통홀(31)을 통하여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을 접합하고, 다수의 시트 접합부(40)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신축 영역(80) 및 비신축 영역(70)의 양자를 포함하는 탄성 필름 신축 구조(20X) 전체를 형성함과 동시에, 신축 영역(80)에서는 탄성 필름(30)이 폭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속하는 부분을 가지도록 관통홀(31)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이러한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신축 영역(80)에서는, 자연 길이 상태에서는, 도 23의 (d) 및 도 25의 (d)에 나타내듯이, 시트 접합부(40) 사이의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이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부풀어 올라,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는 수축주름(25)이 형성되고, 도 23의 (c) 및 도 25의 (c)에 나타내듯이, 폭 방향으로 어느 정도 신장한 장착 상태에서도, 수축주름(25)은 늘려지지만, 남게 되어 있다. 또한, 도시 형태와 같이,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은, 적어도 시트 접합부(40)에서의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 사이 이외에서는 탄성 필름(30)과 접합되어 있지 않으면, 장착 상태를 상정한 도 23의 (c) 및 도 25의 (d) 및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전개 상태를 상정한 도 23의 (a)(b) 및 도 25의 (a)(b)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이들 상태에서는, 탄성 필름(30)에서의 관통홀(31)과, 시트 접합부(40)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탄성 필름(30)의 소재가 무공의 필름이나 시트여도, 이 틈새에 의해 통기성이 부가된다. 또한, 도 23의 (d) 및 도 25의 (d)에 나타내는 자연 길이 상태에서는, 탄성 필름(30)의 수축에 의해 관통홀(31)이 오무라들어, 관통홀(31)과 시트 접합부(40) 사이에 틈새가 거의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장착 상태 및 자연 길이 상태의 수축주름(25) 상태는, 도 24 및 도 26의 참고 샘플 사진(통기홀(27)이 천공되어 있지 않은 샘플)에도 나타나 있다.
신축 영역(80)의 폭 방향 탄성 한계 신장은 200% 이상(바람직하게는 265~295%)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 영역(80)의 탄성 한계 신장은, 제조시의 탄성 필름(30)의 신장율에 의해 거의 정해지지만 이를 기본으로 하여, 폭 방향의 수축을 저해하는 요인에 의해 저하한다. 이러한 저해 요인의 주된 것은, 폭 방향에서 단위길이당 점유하는 시트 접합부(40)의 길이(40x)의 비율이며, 이 비율이 커질수록 탄성 한계 신장이 저하한다. 통상의 경우, 시트 접합부(40)의 길이(40x)는 시트 접합부(40)의 면적율과 상관이 있기 때문에, 신축 영역(80)의 탄성 한계 신장은 시트 접합부(40)의 면적율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신축 영역(80)의 신장 응력은, 주로 탄성 필름(30)이 폭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속하는 부분(32)의 폭(32w)의 총합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탄성 필름(30)이 폭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속하는 부분(32)의 폭(32w)은, 해당 연속하는 부분(32)의 양측 테두리에 접하는 관통홀(31)의, 전후 방향의 간격(31d)과 동등하고, 해당 관통홀(31)의 간격(31d)은, 전후 방향에서의 관통홀(31)의 길이(31y)와, 전후 방향에서의 시트 접합부(40)의 길이(40y)가 동등할 때(상술한 관통홀(31) 및 시트 접합부(40)의 동시 형성 수법을 채용하는 경우 등)에는, 해당 연속하는 부분의 양측 테두리에 접하는 시트 접합부(40)의, 전후 방향의 간격(40d)과 동등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전후 방향에서 단위길이당 점유하는 시트 접합부(40)의 길이(40y)의 비율에 의해, 신축 영역(80)의 신장 응력을 조정할 수 있고, 통상의 경우, 시트 접합부(40)의 길이(40y)는 시트 접합부(40)의 면적율과 상관이 있기 때문에, 신축 영역(80)의 신장 응력은 시트 접합부(40)의 길이는 시트 접합부(40)의 면적율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신축 영역(80)의 신장 응력은, 탄성 한계의 50%까지 신장했을 때의 신장 응력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신축 영역(80)에서의 시트 접합부(40)의 면적율 및 개개의 시트 접합부(40)의 면적은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통상의 경우, 다음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 접합부(40)의 면적: 0.14~3.5mm2(특히 0.14~1.0mm2)
시트 접합부(40)의 면적율: 1.8~19.1%(특히 1.8~10.6%)
이와 같이, 신축 영역(80)의 탄성 한계 신장 및 신장 응력은 시트 접합부(40)의 면적에 의해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도 31에 나타내듯이, 신축 영역(80) 내에 시트 접합부(40)의 면적율이 다른 복수의 영역을 설치하여, 부위에 따라 피트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31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앞몸판(F)에서의 서혜부를 따라 경사 방향으로 늘어나는 영역(81), 및 다리 개구의 테두리부 영역(82)은, 그 이외의 영역과 비교하여 시트 접합부(40)의 면적율이 높고, 따라서 신장 응력이 약하며, 유연하게 신축하는 영역으로 되어 있다. 또한, 뒷몸판(B)에서의 엉덩이뼈 대향 영역(83), 및 다리 개구의 테두리부 영역(82)도, 그 이외의 영역과 비교하여 시트 접합부(40)의 면적율이 높고, 따라서 신장 응력이 약하고, 유연하게 신축하는 영역으로 되어 있다.
(비신축 영역)
한편, 비신축 영역(70)은, 탄성 필름(30)은 폭 방향으로 연속하지만, 관통홀(31)의 존재에 의해 폭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속하는 부분을 가지지 않는 영역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 필름(30)을 폭 방향으로 신장한 상태에서, 폭 방향 및 이와 직교하는 전후 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탄성 필름(30)의 관통홀(31)을 통하여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을 접합하고, 다수의 시트 접합부(40)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신축 영역(80) 및 비신축 영역(70)의 양자를 포함하는 탄성 필름 신축 구조(20X) 전체를 형성한다고 해도, 도 27에 나타내듯이, 비신축 영역(70)에서는, 탄성 필름(30)이 폭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속하지 않기 때문에, 탄성 필름(30)의 수축력이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에 거의 작용하지 않고, 신축성이 거의 소실하여, 탄성 한계 신장은 100%에 가깝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비신축 영역(70)에서는,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이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시트 접합부(40)로 접합되어 있고, 시트 접합부(40)가 연속적으로 되지 않기 때문에, 유연성의 저하는 방지된다. 다시 말하면, 탄성 필름(30)이 폭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속하지 않는 부분의 유무에 의해 신축 영역(80) 및 비신축 영역(7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비신축 영역(70)에서도 탄성 필름(30)의 연속성이 남아 있고, 도 28에 나타나는 참고 샘플 사진(통기홀(27)이 천공되어 있지 않은 샘플)으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탄성 필름(30)의 독립 절단편이 남는 경우도 없고, 또한 주름도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극히 볼품이 좋으며, 또한 관통홀(31)에 의한 두께 방향의 통기성이 확보된다. 비신축 영역(70)은, 폭 방향의 탄성 한계 신장이 120% 이하(바람직하게는 1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이면 바람직하다.
비신축 영역(70)에서의 탄성 필름(30)에서의 관통홀(31)의 배열 패턴은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도 27 내지 도 30에 나타내듯이 지그재그 모양 배치로 하고, 관통홀(31)의 전후 방향의 중심 간격(31e)이 관통홀(31)의 전후 방향의 길이(31y)보다 짧은 패턴으로 하면, 탄성 필름(30)의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폭 방향의 직선 연속성을 거의 완전하게 없앨 수 있어, 볼품도 도 28에 나타내듯이 바람직한 것이 된다. 이 경우, 관통홀(31)의 폭 방향의 중심 간격(31f)이 관통홀(31)의 폭 방향의 길이(31x)보다 짧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통상의 경우, 그 중에서도 탄성 필름(30)을 폭 방향으로 4배로 신장했을 때의 신장 응력이 2.5~4.5N/35mm인 경우, 비신축 영역(70)을 폭 방향으로 탄성 한계까지 늘린 상태에서, 관통홀(31)의 전후 방향 중심 간격(31e)이 0.3~2.7mm, 또한 관통홀(31)의 전후 방향 길이(31y)가 0.5~3.0mm, 특히 0.7~1.1mm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관통홀(31)의 폭 방향의 중심 간격(31f)이, 관통홀(31)의 전후 방향 길이(31y)의 3.5~5.5배, 특히 3.5~4.5배이면 바람직하고, 관통홀(31)의 폭 방향 길이(31x)가, 관통홀(31)의 폭 방향 중심 간격(31f)의 1.0~4.0배, 특히 1.5~3.0배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비신축 영역(70)을 폭 방향으로 탄성 한계까지 늘린 상태(다시 말하면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이 완전하게 전개한 상태)에서는, 관통홀(31)의 폭 방향 중심 간격(31f)은 시트 접합부(40)의 폭 방향 중심 간격(40f)과 동등하고, 관통홀(31)의 전후 방향 중심 간격(31e)은 시트 접합부(40)의 전후 방향 중심 간격(40e)과 동등하고, 관통홀(31)의 전후 방향 길이(31y)는 시트 접합부(40)의 전후 방향의 길이(40y)와 동등하다.
비신축 영역(70)에서는, 시트 접합부(40)에서의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사이 이외에서는,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과 탄성 필름(30)이 접합되어 있지 않고, 또한 자연 길이 상태로 시트 접합부(40)의 폭 방향 양측으로 탄성 필름(30)의 관통홀(31)의 주연 및 시트 접합부(40)가 이간되어 형성된 틈새를 가지고 있으면, 탄성 필름(30)의 소재가 무공의 필름이나 시트여도, 이 틈새에 의해 항상 통기성이 부가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술한 관통홀(31) 및 시트 접합부(40)의 동시 형성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시트 접합부(40)의 형상 등에 관계없이, 자연스럽게 이 상태가 된다.
개개의 시트 접합부(40) 및 관통홀(31)의 자연 길이 상태에서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연성의 관점에서는 면적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탄성 필름(30) 폭 방향의 직선 연속성을 없애기 위해서는, 전후 방향으로 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전후 방향으로 긴 타원형, 직사각형(도 27 참조), 마름모꼴(도 29의 (b) 참조), 볼록 렌즈형(도 29의 (a) 참조), 오목 렌즈형(도 30의 (a) 참조)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마름모꼴과 같이 모서리가 예각이면, 탄성 필름(30)이 파단하기 쉽다. 이에 대하여, 볼록 렌즈형은 시트 접합부(40)의 용착이 안정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오목 렌즈형은 면적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비신축 영역에서의 시트 접합부(40)의 면적율 및 개개의 시트 접합부(40)의 면적은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통상의 경우, 다음의 범위 내로 하면, 각 시트 접합부(40)의 면적이 작고 또한 시트 접합부(40)의 면적율이 낮은 것에 의해 비신축 영역(70)이 단단해지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시트 접합부(40)의 면적: 0.10~0.75mm2(특히 0.10~0.35mm2)
시트 접합부(40)의 면적율: 4~13%(특히 5~10%)
이와 같이, 비신축 영역(70)의 탄성 한계 신장은, 관통홀(31)의 배열 패턴이나, 개개의 관통홀(31)의 치수 및 중심 간격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시하지 않지만, 이들을 신축 영역(80) 내의 복수 개소, 또는 복수의 비신축 영역(70) 사이에서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앞몸판(F)의 비신축 영역(70)에서의 탄성 한계 신장을 뒷몸판(B)의 비신축 영역(70)에서의 탄성 한계 신장보다 크게 하는 것은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이다.
비신축 영역(70)은, 신축 영역과 마찬가지로 폭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속하는 부분을 가지지만, 시트 접합부의 면적율이 신축 영역보다 높은 것에 의해 탄성 한계 신장이 현저하고, 구체적으로는 130% 이하로 되어 있는 형태, 종래의 실고무를 이용하는 신축 구조와 같이 폭 방향으로 한 개소 또는 복수 개소에서 절단하는 형태 등, 다른 신축성을 죽이는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통기홀)
특징적으로는, 도 7 및 도 9, 그리고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듯이, 신축 영역(80)에서,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에서의 시트 접합부(40) 이외의 부분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기홀(27)이 천공되어 있다. 그 결과, 탄성 필름(30)의 관통홀(31)과,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적어도 한쪽의 통기홀(27)에 의해, 촉감을 해치는 일 없이, 두께 방향의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 중 어느 한쪽에만 통기홀(27)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신축 영역(80)에 통기홀(27)을 형성함과 동시에, 또는 신축 영역(80)에 통기홀(27)을 형성하지 않고, 도 11,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듯이, 비신축 영역(70)에 통기홀(27)을 형성할 수도 있다.
통기홀(27)은, 펀칭 가공이나 바늘로 찌르는 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시트 접합부(40)의 형성 전, 즉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단독 상태로 가공해도, 또한 시트 접합부(40)의 형성 후에 제1 시트층(20A), 탄성 필름(30) 및 제2 시트층(20B)이 적층된 상태로 가공해도 좋다. 다만, 시트 접합부(40) 형성 후에는 탄성 필름(30)이 존재하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성 필름(30)의 관통홀(31)과 겹치는 위치에서 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1 시트층(20A), 탄성 필름(30) 및 제2 시트층(20B)이 적층된 상태로, 탄성 필름(30)도 함께 천공할 수도 있지만, 그 경우에는 해당 천공에 의한 신장 응력이나 탄성 한계 신장에 대한 영향, 탄성 필름(30)의 절단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통기홀(27)의 형성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신축 영역(80)이 사용시에 신장 될 때, 탄성 필름(30)에 형성된 관통홀(31)은 시트 접합부(40)의 폭 방향 양측으로 확대하기 때문에, 및 비신축 영역(70)에서는 자연 길이 상태에서도 관통홀(31)은 시트 접합부(40)의 폭 방향 양측으로 퍼져 있기 때문에, 도시 형태와 같이, 신축 영역(80) 및 비신축 영역(70)의 어느 한 영역에서도, 통기홀(27)은 시트 접합부(40)의 폭 방향 양측에 적어도 1개 형성되고 있으면,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보다도 통기성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내듯이, 신축 영역(80)의 신장 상태, 즉 자연 길이 상태 이외의 탄성 한계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통기홀(27)의 일부 또는 전체가 관통홀(31)과 겹치도록, 관통홀(31)에 대하여 통기홀(27)이 배치되어 있는 것은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이다. 신축 영역(80)이 사용시에 신장 될 때, 탄성 필름(30)에 형성된 관통홀(31)은 폭 방향으로 확대되기 때문에, 이 확대된 관통홀(31)에 통기홀(27)의 일부 또는 전체가 겹치도록 배치하면, 관통홀(31)을 통한 통기성이 특히 향상한다. 또한, 도 23의 (a) 및 도 25의 (a)는, 탄성 한계에서의 겹쳐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탄성 한계까지 신장하는 과정에서 겹치기 시작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따라서 장착 상태를 상정하여, 신장율이 150~200%인 범위에서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통기홀(27)이 탄성 필름(30)의 관통홀(31)과 겹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 이유에서, 도 27,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내듯이, 비신축 영역(70)에 통기홀(27)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비신축 영역의 자연 길이 상태에서, 통기홀(27)의 일부 또는 전체가 관통홀(31)과 겹치도록, 관통홀(31)에 대하여 통기홀(27)이 배치되어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 도 30의 (b)에 나타내듯이, 하나의 통기홀이 복수의 관통홀에 걸쳐 겹치도록 배치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도 30의 (b)에 나타내는 형태는, 비신축 영역(70)에 관한 것이지만, 신축 영역(80)에서도 마찬가지의 형태를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신축 영역(80) 및 비신축 영역(70)에서, 사용 중에 통기홀(27)의 일부 또는 전체가 관통홀(31)과 겹쳐지도록 배치하면, 통기성은 향상하지만, 투과성 향상에 의해 피부의 노출도가 증가하거나 누출 방지성이 저하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는 경우는, 도시하지 않지만 신축 영역(80)의 신축 상태에 관계없이, 통기홀(27)의 전체가 관통홀(31)과 겹치지 않도록, 통기홀(27) 및 관통홀(31)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는 탄성 필름(30)을 감싸는 층이며, 내마찰성 등의 내구성이 요구되는 부재이다. 또한,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을 부직포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 소재 자체의 통기성이 있기 때문에, 통기홀(27)의 수는 과도하게 증가시키지 않아도 좋다. 한편, 탄성 필름(30)의 관통홀(31)은,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및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을 균등하게 일체화하기 위해서는 상당수 필요하다. 따라서,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이 부직포인 경우에는, 도 29의 (b) 및 도 30의 (b)에 나타내듯이, 통기홀(27)의 단위면적당의 수를 관통홀(31)의 단위면적당의 수보다 줄이는 것도,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이다. 또한, 도 29의 (b) 및 도 30의 (b)에 나타내는 형태는, 비신축 영역(70)에 관한 것이지만, 신축 영역(80)에서도 마찬가지의 형태를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통기홀(27)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진원형(도시 형태), 타원형, 삼각형, 직사각형, 마름모꼴 등의 다각형, 혹은 별 모양, 구름 모양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개개의 통기홀(27)의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너무 작거나, 너무 적거나 하면 통기성 향상 작용이 부족해지고, 너무 크거나, 너무 많거나 하면, 제1 시트층(20A) 및 제2 시트층(20B)의 강도 저하나, 볼품 악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통상의 경우, 통기홀(27)의 면적은 0.34~3.5mm2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통기홀(27)의 면적율은 4.4~19.1%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홀(27)의 평면 배열은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도 23, 도 25, 도 27,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내듯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평면 배열이 바람직하고, 도 19에 나타나는 시트 접합부(40)의 배열 형태와 마찬가지로, 마름모꼴 격자 모양, 육각 격자 모양(이들은 지그재그 모양이라고도 한다), 정사각형 격자 모양, 직사각형 격자 모양, 평행체 격자(도시와 같이, 다수의 평행한 경사 방향의 열의 군이 서로 교차하도록 2군 설치되는 형태) 모양 등(이들이 폭 방향에 대해서 90도 미만의 각도로 경사진 것을 포함한다)과 같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것 이외에, 통기홀(27)의 군(군 단위의 배열은 규칙적이어도 불규칙이어도 좋고, 모양이나 문자 모양 등이어도 좋다)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기타>
상기 제1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형태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제2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형태에 적용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제2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형태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제1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형태에 적용할 수도 있다.
<명세서 중의 용어의 설명>
명세서 중의 이하의 용어는, 명세서 중에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이하의 의미를 가지는 것이다.
·「앞몸판」 「뒷몸판」은,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전후 방향 중앙을 경계로 하여 각각 앞 측 및 뒤 측의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가랑이부는,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전후 방향 중앙을 포함하는 전후 방향 범위를 의미하고, 흡수체가 잘록부를 가지는 경우에는 해당 잘록부를 가지는 부분의 전후 방향 범위를 의미한다.
·「탄성 한계 신장」이란, 신축 방향에서의 탄성 한계(다시 말하면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이 완전하게 전개한 상태)의 신장을 의미하고, 탄성 한계시의 길이를 자연 길이를 100%로 했을 때의 백분율로 나타내는 것이다.
·「면적율」이란 단위면적을 점유하는 대상 부분의 비율을 의미하고, 대상 영역(예를 들면 신축 영역(80), 비신축 영역(70))에서의 대상 부분(예를 들면 시트 접합부(40), 관통홀(31)의 개구, 통기홀)의 총합 면적을 해당 대상 영역의 면적으로 나누어 백분율로 나타내는 것이며, 특히 신축 구조를 가지는 영역에서의 면적율(예를 들면 시트 접합부의 면적율)이란, 신축 방향으로 탄성 한계까지 늘린 상태의 면적율을 의미하는 것이다. 대상 부분이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는 형태에서는, 대상 부분이 10개 이상 포함되는 것과 같은 크기로 대상 영역을 설정하여, 면적율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홀의 개구의 면적은, 탄성 필름 신축 구조가 자연 길이 상태에서의 값을 의미하고, 관통홀의 개구의 면적이, 탄성 필름의 겉과 뒤에서 다른 등, 두께 방향으로 균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최소값을 의미한다.
·MD 방향이란 머신 디렉션, 즉 라인 흐름 방향을 의미하고, CD 방향이란 MD 방향과 직교하는 가로 방향을 의미한다.
·「신장율」은, 자연 길이를 100%로 했을 때의 값을 의미한다.
·「평량」는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시료 또는 시험편을 예비 건조한 후, 표준 상태(시험 장소는, 온도 20±5℃, 상대습도 65% 이하)의 시험실 또는 장치 내에 방치하고, 항량이 된 상태로 한다. 예비 건조는, 시료 또는 시험편을 상대습도 10~25%, 온도 50℃를 넘지 않는 환경에서 항량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공정 수분율이 0.0%의 섬유에 관해서는, 예비 건조를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항량이 된 상태의 시험편으로부터 미터 평량판(200mm×250mm, ±2mm)을 사용하여, 200mm×250mm(±2mm)의 치수의 시료를 잘라낸다. 시료의 중량을 측정하여, 20배로 하여 1 평방 미터당의 무게를 산출하여, 평량으로 한다.
·흡수체의 「두께」는, 가부시키가이샤 오자키세이사쿠쇼의 두께 측정기(피콕, 다이얼 시크니스 게이지 대형 타입, 형식 J-B(측정 범위 0~35mm) 또는 형식 K-4(측정 범위 0~50mm))를 이용하여, 시료와 두께 측정기를 수평으로 하여, 측정한다.
·상기 이외의 「두께」는, 자동 두께 측정기(KES-G5 핸디 압축 계측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하중: 10gf/cm2, 및 가압 면적: 2cm2의 조건하에서 자동 측정한다.
·「인장 강도」 및 「인장 신도(파단 신장)」는, 시험편을 폭 35mm×길이 80mm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하는 이외는, JIS K7127: 1999 「플라스틱-인장 특성의 시험 방법-」에 준하여, 초기 척 간격(표선간 거리)을 50mm로 하고, 인장 속도를 300mm/min로 하여 측정되는 값을 의미한다. 인장 시험기로서는, 예를 들면 SHIMADZU사제의 AOUTGRAPHAGS-G100N를 이용할 수 있다.
·「신장 응력」이란, JIS K7127: 1999 「플라스틱-인장 특성의 시험 방법-」에 준하여, 초기 척 간격(표선간 거리)을 50mm로 하고, 인장 속도를 300mm/min로 하는 인장 시험에 의해, 탄성 영역 내에서 신장할 때에 측정되는 인장 응력(N/35mm)을 의미하고, 신장의 정도는 시험 대상에 의해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시험편은 폭 35mm, 길이 80mm 이상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폭 35mm의 시험편을 자를 수 없는 경우에는, 자를 수 있는 폭으로 시험편을 작성하여, 측정값을 폭 35mm로 환산한 값으로 한다. 또한, 대상 영역이 작고, 충분한 시험편을 채취할 수 없는 경우여도, 신장 응력의 대소를 비교하는 것이라면, 적절히 작은 시험편이라도 같은 치수의 시험편을 이용하는 한 적어도 비교는 가능하다. 인장 시험기로서는, 예를 들면 SHIMADZU사제의 AOUTGRAPHAGS-G100N를 이용할 수 있다.
·「전개 상태」란, 수축이나 늘어짐 없이 평탄하게 전개된 상태를 의미한다.
·각부의 치수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자연 길이 상태가 아니라 전개 상태에서의 치수를 의미한다.
·시험이나 측정에서의 환경조건에 관한 기재가 없는 경우, 그 시험이나 측정은, 표준 상태(시험장소는, 온도 20±5℃, 상대습도 65% 이하)의 시험실 또는 장치 내에서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예와 같은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 외에, 테이프 타입, 패드 타입 등의 각종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 등, 신축 구조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 전반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B: 뒷몸판 F: 앞몸판
T: 몸통 둘레 영역 L: 중간 영역
10: 내장체 11: 탑 시트
12: 액불투과성 시트 13: 흡수체
13N: 잘록부분 14: 포장 시트
15: 개더 부직포 16: 개더 탄성 부재
20: 외장체 20A: 제1 시트층
20B: 제2 시트층 20C: 되접음 부분
20X: 탄성 필름 신축 구조 21: 사이드 실링부
23: 웨이스트 단부 영역 24: 웨이스트부 탄성 부재
25: 수축주름 27: 통기홀
29: 다리 주위 라인 30: 탄성 필름
31: 관통홀 40: 시트 접합부
70: 비신축 영역 71: 표시
80: 신축 영역 81: 주 신축 부분
82: 완충 신축 부분.

Claims (14)

  1. 적어도 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 영역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신축 영역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1 시트층과,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2 시트층 사이에 탄성 필름이 적층되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탄성 필름이 상기 신축 영역의 신축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이, 상기 신축 방향 및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시트 접합부에서, 상기 탄성 필름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서 접합되어 있고,
    상기 시트 접합부에서는, 적어도, 상기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에 걸친 탄성 필름의 용융 고화물에 의해 상기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접합부 내에, 상기 시트 접합부의 주위로부터 연속하는 상기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의 섬유가 남아 있고, 상기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에 걸쳐 침투하여 고화한 상기 탄성 필름의 용융 고화물에 의해 상기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이 접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영역에서의 상기 시트 접합부의 면적은 0.14~3.5mm2이고,
    자연 길이 상태에서의 상기 관통홀 개구의 면적은, 상기 시트 접합부 면적의 1~1.5배이며,
    상기 신축 영역에서의 상기 시트 접합부의 면적율은 1.8~22.5%인,
    흡수성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앞몸판 및 뒷몸판을 구성하는 외장체와, 이 외장체의 내면에 고정된, 흡수체를 포함하는 내장체를 구비하고, 앞몸판에서의 외장체의 양측부와 뒷몸판에서의 외장체의 양측부가 각각 접합되어 사이드 실링부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몸통 둘레 영역이 환 모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웨이스트 개구 및 좌우 한 쌍의 다리 개구가 형성된,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외장체에 상기 신축 영역을 가지고 있는, 흡수성 물품.
  5. 적어도 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 영역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축 영역을 형성할 때에,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1 시트층과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2 시트층 사이에, 탄성 필름을 상기 신축 영역의 신축 방향으로 신장하면서 끼운 상태로, 그들을 상기 신축 방향 및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 개소에서 용착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다수 개소에서 상기 탄성 필름을 용융하여 관통홀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관통홀의 위치에서 적어도 상기 탄성 필름의 용융물의 고화에 의해 상기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을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의 융점이 상기 탄성 필름의 융점보다 높고, 상기 용착 개소에서 상기 탄성 필름을 용융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의 일부 또는 전부를 용융하지 않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7.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의 사이에 탄성 필름이 적층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이,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시트 접합부에서 상기 탄성 필름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통하여 접합된 탄성 필름 신축 구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탄성 필름 신축 구조를 가지는 영역은, 적어도 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 영역을 가지고 있고,
    상기 신축 영역은, 상기 탄성 필름의 수축력에 의해 상기 신축 방향으로 수축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신축 방향으로 신장 가능하고,
    상기 신축 영역에서는, 상기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의 적어도 한쪽에서의 상기 시트 접합부 이외의 부분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기홀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영역의 신장 상태에서, 상기 통기홀의 일부 또는 전체가 상기 관통홀과 겹치도록, 상기 관통홀에 대하여 상기 통기홀이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영역의 신축 상태에 관계없이, 상기 통기홀의 전체가 상기 관통홀과 겹치지 않는, 흡수성 물품.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층 및 제2 시트층이 부직포이며, 상기 통기홀의 단위면적당 수가, 상기 관통홀의 단위면적당 수보다 적은, 흡수성 물품.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홀은, 상기 시트 접합부의 상기 신축 방향 양측에 적어도 1개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홀의 면적이 0.34~3.5mm2이며, 상기 통기홀의 면적율이 4.4~19.1%인, 흡수성 물품.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필름 신축 구조를 가지는 영역은, 상기 신축 영역의 적어도 신축 방향 한쪽 측에 설치된 비신축 영역을 가지고 있고,
    상기 비신축 영역은, 상기 신축 방향의 탄성 한계 신장이 130% 이하인 영역이며,
    상기 신축 영역에 상기 통기홀을 형성함과 동시에, 또는 상기 신축 영역에 상기 통기홀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비신축 영역에 상기 통기홀이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4. 제7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앞몸판 및 뒷몸판을 구성하는 외장체와, 이 외장체에 고정된, 흡수체를 포함하는 내장체를 구비하고, 앞몸판에서의 외장체의 양측부와 뒷몸판에서의 외장체의 양측부가 각각 접합되어 사이드 실링부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몸통 둘레 영역이 환 모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웨이스트 개구 및 좌우 한 쌍의 다리 개구가 형성된,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앞몸판 및 뒷몸판의 적어도 한쪽에서의 상기 외장체의 몸통 둘레 영역에, 상기 탄성 필름 신축 구조를, 그 신축 방향이 폭 방향이 되도록 구비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KR1020177023930A 2015-01-30 2016-01-29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25195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17498A JP5980355B2 (ja) 2015-01-30 2015-01-30 吸収性物品の伸縮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JP-P-2015-017498 2015-01-30
JPJP-P-2015-067325 2015-03-27
JP2015067325A JP5999790B1 (ja) 2015-03-27 2015-03-27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JP-P-2015-070295 2015-03-30
JP2015070295A JP6709550B2 (ja) 2015-03-30 2015-03-30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5-195459 2015-09-30
JP2015195459A JP6331199B2 (ja) 2015-09-30 2015-09-30 吸収性物品
JPJP-P-2015-220312 2015-11-10
JP2015220312A JP6288564B2 (ja) 2015-11-10 2015-11-10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PCT/JP2016/052806 WO2016121976A1 (ja) 2015-01-30 2016-01-29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606A true KR20170109606A (ko) 2017-09-29
KR102519506B1 KR102519506B1 (ko) 2023-04-06

Family

ID=56543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3930A KR102519506B1 (ko) 2015-01-30 2016-01-29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103389B2 (ko)
EP (2) EP3808320A1 (ko)
KR (1) KR102519506B1 (ko)
CN (1) CN107205859B (ko)
BR (1) BR112017016325B1 (ko)
RU (1) RU2707674C2 (ko)
WO (1) WO20161219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08320A1 (en) * 2015-01-30 2021-04-21 Daio Paper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6240701B2 (ja) * 2016-03-30 2017-11-29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454664B2 (ja) * 2016-08-19 2019-01-16 大王製紙株式会社 伸縮シートの製造方法
JP6240733B1 (ja) * 2016-09-30 2017-11-29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371422B2 (ja) * 2017-01-07 2018-08-08 株式会社光洋 吸収性物品
JP6396549B1 (ja) * 2017-07-19 2018-09-26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6442017B1 (ja) * 2017-09-27 2018-12-19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EP3689311B1 (en) * 2017-09-27 2023-11-08 Daio Paper Corporation Elastic member, disposable wearable item using this elastic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elastic member
CN110868976B (zh) * 2017-09-27 2021-07-30 大王制纸株式会社 伸缩部件和具有该伸缩部件的一次性穿着物品
WO2019065572A1 (ja) * 2017-09-27 2019-04-04 大王製紙株式会社 伸縮部材及びこの伸縮部材を有する使い捨て着用物品
JP6546237B2 (ja) 2017-09-27 2019-07-17 大王製紙株式会社 伸縮部材及びこの伸縮部材を有する使い捨て着用物品
CN208974339U (zh) * 2018-07-06 2019-06-14 维达纸业(中国)有限公司 一次性吸湿用品
CN209075166U (zh) * 2018-08-02 2019-07-09 维达纸业(中国)有限公司 一次性吸湿用品
WO2020164060A1 (en) 2019-02-14 2020-08-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nt-type wearable article
JP2022521165A (ja) * 2019-02-14 2022-04-0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パンツ型着用可能物品
US20200261281A1 (en) * 2019-02-14 2020-08-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nt-type wearable article
US20220183902A1 (en) * 2019-04-15 2022-06-16 Zuiko Corporation Wearable article production method, wearable article, and wearable article production device
CN113715459B (zh) * 2021-08-25 2022-08-16 泉州市汉威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弹性片材制造装置
CN113681995B (zh) * 2021-08-25 2023-01-13 泉州市汉威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弹性腰围无纺布及其生产方法
CN113665184B (zh) * 2021-08-25 2022-08-16 泉州市汉威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弹性片材及其制造方法
CN113662751B (zh) * 2021-08-25 2022-08-16 泉州市汉威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弹性腰围制造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5487A (ja) 1996-04-23 1997-11-04 Kao Corp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H11216163A (ja) 1998-02-05 1999-08-10 Oji Paper Co Ltd パンツ型使いすておむつ
JP2004532758A (ja) 2001-06-21 2004-10-2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弾性のある積層ウェブ
JP2008260131A (ja) * 2007-04-10 2008-10-30 Zuiko Corp 積層伸縮シートの製造方法
US20100168705A1 (en) * 2008-12-30 2010-07-01 Stabelfeldt Sara J Disposable Absorbent Garments Employing Elastomeric Film Laminates With Deactivated Regions
EP2223796A1 (en) * 2009-02-24 2010-09-01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Elastic film laminates with tapered point bonds
WO2012036599A1 (en) * 2010-09-14 2012-03-22 Sca Hygiene Products Ab Elastic laminate material and an absorbent article containing the elastic laminate
WO2013002691A1 (en) * 2011-06-30 2013-01-03 Sca Hygiene Products Ab Method of forming an elastic laminate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8759A (en) * 1986-09-02 1990-07-03 Alza Corporation Transdermal delivery device having a rate controlling adhesive
US4938753A (en) * 1987-12-16 1990-07-03 Kimberly-Clark Corporation Seam construction in a disposable training pant, incontinence garment, or diaper
US5151092A (en) * 1991-06-13 1992-09-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dynamic elastic waist feature having a predisposed resilient flexural hinge
US5567501A (en) * 1994-06-15 1996-10-22 International Paper Company Thermally apertured nonwoven product
US5567507A (en) * 1995-02-28 1996-10-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Ink-receptive sheet
JP3054930B2 (ja) 1996-07-17 2000-06-19 花王株式会社 積層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884494B1 (en) * 1999-12-21 2005-04-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minate web
US6572595B1 (en) 2000-05-30 2003-06-03 Associated Hygienic Products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such as a diaper or training pants and a process of making the same
JP4508885B2 (ja) * 2005-01-20 2010-07-2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TWI363693B (en) * 2005-11-28 2012-05-11 Tredegar Film Prod Corp Elastic laminat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DE112007001584T5 (de) * 2006-06-30 2009-07-09 Pliant Corporation, Schaumburg Geprägtes dehnbares Elastiklamina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US7803244B2 (en) 2006-08-31 2010-09-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composite containing an apertured elastic film
CN101652115B (zh) 2007-04-10 2013-07-24 株式会社瑞光 一次性穿着物品的制造方法
JP5022107B2 (ja) 2007-05-31 2012-09-12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型の紙おむつ
JP5430178B2 (ja) 2009-03-03 2014-02-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20110098668A1 (en) 2009-10-23 2011-04-28 Thorson Russell E Disposable absorbent garments employing elastomeric film laminate body panels
JP5992609B2 (ja) 2012-05-15 2016-09-1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吸収性物品のための積層体の製造方法
JP6290538B2 (ja) 2013-02-07 2018-03-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おむつ
US10226388B2 (en) * 2014-04-21 2019-03-12 Medline Industries, Inc. Stretch breathable protective absorbent article using tri-laminate
CN106460275A (zh) * 2014-05-02 2017-02-22 3M创新有限公司 制备可透气的弹性膜层合体的方法和从其衍生的制品
JP6008408B2 (ja) * 2014-09-30 2016-10-19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CN111494095B (zh) * 2015-01-30 2022-02-18 大王制纸株式会社 吸收性物品及其制造方法
EP3808320A1 (en) * 2015-01-30 2021-04-21 Daio Paper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6383712B2 (ja) 2015-09-30 2018-08-29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JP5964477B1 (ja) 2015-03-27 2016-08-0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6121982A1 (ja) * 2015-01-30 2016-08-04 大王製紙株式会社 伸縮シートの製造方法
JP5980355B2 (ja) 2015-01-30 2016-08-3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伸縮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049222B2 (ja) * 2015-03-30 2016-12-2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730984B2 (ja) * 2015-05-19 2020-07-29 株式会社瑞光 伸縮積層シートおよび使い捨て着用物品
JP6240701B2 (ja) * 2016-03-30 2017-11-29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454664B2 (ja) * 2016-08-19 2019-01-16 大王製紙株式会社 伸縮シートの製造方法
JP6240733B1 (ja) * 2016-09-30 2017-11-29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371422B2 (ja) * 2017-01-07 2018-08-08 株式会社光洋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5487A (ja) 1996-04-23 1997-11-04 Kao Corp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H11216163A (ja) 1998-02-05 1999-08-10 Oji Paper Co Ltd パンツ型使いすておむつ
JP2004532758A (ja) 2001-06-21 2004-10-2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弾性のある積層ウェブ
JP2008260131A (ja) * 2007-04-10 2008-10-30 Zuiko Corp 積層伸縮シートの製造方法
JP4934835B2 (ja) * 2007-04-10 2012-05-23 株式会社瑞光 積層伸縮シートの製造方法
US20100168705A1 (en) * 2008-12-30 2010-07-01 Stabelfeldt Sara J Disposable Absorbent Garments Employing Elastomeric Film Laminates With Deactivated Regions
EP2223796A1 (en) * 2009-02-24 2010-09-01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Elastic film laminates with tapered point bonds
WO2012036599A1 (en) * 2010-09-14 2012-03-22 Sca Hygiene Products Ab Elastic laminate material and an absorbent article containing the elastic laminate
WO2013002691A1 (en) * 2011-06-30 2013-01-03 Sca Hygiene Products Ab Method of forming an elastic lamin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07352B2 (en) 2023-03-21
EP3251643A4 (en) 2018-10-31
WO2016121976A1 (ja) 2016-08-04
CN107205859B (zh) 2021-07-20
EP3251643A1 (en) 2017-12-06
US20180008481A1 (en) 2018-01-11
BR112017016325B1 (pt) 2023-02-28
RU2707674C2 (ru) 2019-11-28
RU2017127112A3 (ko) 2019-05-31
RU2017127112A (ru) 2019-03-01
KR102519506B1 (ko) 2023-04-06
EP3251643B1 (en) 2021-09-08
BR112017016325A2 (pt) 2020-10-27
EP3808320A1 (en) 2021-04-21
US20200397623A1 (en) 2020-12-24
CN107205859A (zh) 2017-09-26
US11103389B2 (en) 202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9606A (ko)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JP5980355B2 (ja) 吸収性物品の伸縮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KR101789482B1 (ko) 일회용 기저귀
JP6636855B2 (ja) 吸収性物品
KR20170109031A (ko)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JP5964477B1 (ja) 吸収性物品
JP5967736B1 (ja) 吸収性物品
JP6331199B2 (ja) 吸収性物品
JP5980367B1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6049228B1 (ja) 吸収性物品
JP2016193199A5 (ko)
JP2017064225A5 (ko)
JP5999790B1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918877B1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709550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189826A5 (ko)
JP2016190031A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967735B1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082418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276215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956667B1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918876B1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WO2016121977A1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2016187387A5 (ko)
JP6288564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