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8379A - 전기조리기 - Google Patents

전기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8379A
KR20170108379A KR1020160032172A KR20160032172A KR20170108379A KR 20170108379 A KR20170108379 A KR 20170108379A KR 1020160032172 A KR1020160032172 A KR 1020160032172A KR 20160032172 A KR20160032172 A KR 20160032172A KR 20170108379 A KR20170108379 A KR 20170108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inner pot
holder bracket
hous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9064B1 (ko
Inventor
김원영
김승윤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2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064B1/ko
Priority to CN201610821342.9A priority patent/CN107198434B/zh
Publication of KR20170108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5Locking devices where vessel and lid have adapted shapes to provide for the lock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솥을 덮도록 뚜껑의 하면부에 구비된 내솥커버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착탈시 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뚜껑; 상기 뚜껑의 하면부에 구비되되, 상기 내솥의 증기가 유동되는 연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연통홀에 연결되어 상기 내솥 내부공간 압력의 높낮이에 따라 작동되는 압력대응 작동수단이 구비된 컨트롤플레이트; 상기 컨트롤플레이트의 하부에 착탈되도록 결합되되,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내솥커버; 및 상기 컨트롤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홀더브라켓과,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를 구속하도록 상기 홀더브라켓의 반경방향을 따라 탄발 이동되는 스토퍼와, 상기 홀더브라켓에 결합시 결합 방향이 안내되도록 정렬돌출부가 내주에 돌설되며 가압시 상기 관통홀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스토퍼를 내부로 수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원터치 홀더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조리기{electric cooker}
본 발명은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솥을 덮도록 뚜껑의 하면부에 구비된 내솥커버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착탈시 편의성이 개선되는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조리기는 음식을 조리하는데 쓰는 기구로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이 내장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전기조리기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조리기 뚜껑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조리기(1)는 내부에 내솥(미도시)이 수용되되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이 구비된 본체(미도시)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개폐되는 뚜껑(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뚜껑(2)의 하부에는 내솥커버(3)가 구비되며, 상기 내솥커버(3)의 테두리에는 내솥의 밀폐를 위한 내솥패킹(3b)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내솥커버(3)는 음식물이 직접 닿는 부분으로 위생 및 청결을 위해 분리 세척가능하도록 뚜껑(2)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뚜껑(2)에는 상기 내솥커버(3)의 결합을 위한 홀더브라켓(4)이 결합되며, 상기 내솥커버(3)의 관통홀(3a)을 통과한 상기 홀더브라켓(4)에 커버홀더(5)가 결합되면 상기 내솥커버(3)가 상기 뚜껑(2)의 하면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커버홀더(5)의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내솥커버(3)가 뚜껑(2)에서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세척 등을 위한 내솥커버(3)의 분리시 상기 커버홀더(5)가 홀더브라켓(4)으로부터 분리되어 별도로 보관되므로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커버홀더(5)의 분실시에는 내솥커버(3)가 뚜껑(2)에 정확하고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해 내솥커버(3)를 통한 내솥의 밀폐 유지가 힘들고 증기가 누설됨에 따라 취반 품질의 저하 및 화상이나 누전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 홀더브라켓(4)에는 상기 커버홀더(5)의 풀림 방지를 위한 구속부(4a)가 구비되는데, 구속부(4a)의 방향에 맞게 커버홀더(5)가 삽입 및 결합되어야 하므로 한손으로 내솥커버(3)를 지지한 상태에서 다른 한손으로 커버홀더(5)를 방향에 맞춘 후 끼워 넣고 회전시키는 등 내솥커버(3)의 착탈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사용자의 오사용으로 상기 커버홀더(5)가 완전하게 결합되지 않는 상태에서 뚜껑(2)의 개폐시 금속재의 상기 커버홀더(5)가 내솥(미도시) 내부에 떨어져 코팅을 찍거나 긁어내는 등 내솥(미도시)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0235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솥을 덮도록 뚜껑의 하면부에 구비된 내솥커버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착탈시 편의성이 개선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뚜껑; 상기 뚜껑의 하면부에 구비되되, 상기 내솥의 증기가 유동되는 연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연통홀에 연결되어 상기 내솥 내부공간 압력의 높낮이에 따라 작동되는 압력대응 작동수단이 구비된 컨트롤플레이트; 상기 컨트롤플레이트의 하부에 착탈되도록 결합되되,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내솥커버; 및 상기 컨트롤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홀더브라켓과,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를 구속하도록 상기 홀더브라켓의 반경방향을 따라 탄발 이동되는 스토퍼와, 상기 홀더브라켓에 결합시 결합 방향이 안내되도록 정렬돌출부가 내주에 돌설되며 가압시 상기 관통홀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스토퍼를 내부로 수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원터치 홀더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한다.
상기 뚜껑의 하면부에는 상기 연통홀 및 상기 홀더브라켓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내솥커버의 상면을 하측으로 탄발 지지하는 컨트롤패킹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뚜껑의 하면부에는 상기 내솥커버의 상면을 하측으로 탄발 지지하는 푸시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에는 상기 스토퍼의 일단부가 관통되어 돌출되는 스토퍼관통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홀더브라켓의 하면에는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슬라이드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홀더브라켓의 외주에는 상기 스토퍼관통부 및 상기 슬라이드홈부의 단부가 상호 정렬되도록 상기 정렬돌출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안내홈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내홈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정렬돌출부가 걸림되는 걸림단턱이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홀더브라켓의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드홈부를 커버하는 커버플레이트가 결합되되,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외주에는 상기 정렬돌출부에 대응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결합가이드홈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전기조리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홀더브라켓에 하우징의 가압에 따라 탄발 이동되는 스토퍼가 구비되므로 내솥커버를 뚜껑의 하면부측으로 밀어 넣기만 하면 관통홀의 테두리가 스토퍼에 걸림되어 장착되고, 하우징을 가압하기만 하면 스토퍼의 구속이 해제되어 내솥커버가 분리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슬라이드홈부에 배치된 스토퍼가 스토퍼관통부를 통과하여 돌출되도록 정렬돌출부 및 안내홈부가 정렬된 상태에서만 하우징 및 홀더브라켓이 조립될 수 있으므로 오조립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 및 취반 품질 저하가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 및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정렬돌출부가 걸림단턱에 억지 끼움되며 안내홈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홀더브라켓에 조립된 하우징의 인위적인 분리가 방지되므로 반복적인 분리/재조립에 따른 부품의 분실/파손이 최소화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뚜껑의 하면부 및 내솥커버 간의 결합간격을 초과하는 높이의 탄성체로 구비된 컨트롤패킹과 함께 뚜껑의 상면부를 탄발 지지하는 푸시부가 구비되므로 하우징의 가압시 내솥커버가 뚜껑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되 컨트롤패킹의 탄성 저하시에도 푸시부의 탄성력으로 내솥커버의 용이한 분리가 가능하여 제품의 사용편의성 및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관통홀을 구속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의 조작을 위한 하우징이 상기 홀더브라켓에 결합되어 뚜껑의 하면부에 일체로 고정됨에 따라 내솥커버만 분리되므로 종래와 같이 별품을 보관하는 불편함이 제거되고 별품의 낙하로 인한 내솥의 손상이 차단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에 형성된 라운드부가 내솥커버의 장착시 경사부를 따라 부드럽게 이동되며 스토퍼의 내측 방향 이동을 유도하므로 하우징의 별도 조작 없이도 내솥커버가 손쉽게 스토퍼를 통과하여 장착될 수 있으며, 내솥커버의 불완전 장착시에도 소정의 증기압만 가해지면 내솥커버가 부드럽게 상승하여 완전하게 장착될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곱째, 상기 홀더장치의 각 구성 부품이 뚜껑의 하면부에 순차적으로 조립되는 것이 아니라 홀더브라켓에 일체로 조립되어 모듈화된 상태에서 한번의 작업으로 뚜껑에 설치될 수 있어 제품의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운반 및 포장시 구성 부품의 분실이 방지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덟째, 상기 관통홀이 내솥커버의 테두리로부터 이격된 내부에 위치됨에 따라 내솥커버의 분리시 하우징을 가압하는 사용자 손에 내솥커버의 테두리가 자연스럽게 지지될 수 있으므로 분리된 내솥커버가 내솥 내지는 본체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낙하된 내솥커버로 인한 찍힘이나 충격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조리기 뚜껑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원터치 홀더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원터치 홀더장치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원터치 홀더장치를 통한 내솥커버의 착탈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원터치 홀더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원터치 홀더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하우징의 하면부를 제거하여 원터치 홀더장치의 분해과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원터치 홀더장치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원터치 홀더장치의 분해과정을 나타낸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원터치 홀더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원터치 홀더장치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원터치 홀더장치를 통한 내솥커버의 착탈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기조리기(100)는 본체(미도시), 뚜껑(20), 컨트롤플레이트(60), 내솥커버(40), 그리고 원터치 홀더장치(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미도시) 내부에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미도시)이 착탈되며, 상기 내솥(미도시)의 가열을 위한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의 온도 조절을 위한 제어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은 상기 본체(미도시)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며, 하면부에 컨트롤플레이트(6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플레이트(60)에는 상기 내솥(미도시)의 증기가 유동되는 연통홀(61)이 구비되되, 상기 연통홀(61)에는 압력추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비복귀형 증기배출장치, 뚜껑열림방지부 등 내솥(미도시) 내부공간의 압력 높낮이에 따라 작동되는 압력대응 작동수단(미도시)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내솥커버(40)는 상기 컨트롤플레이트(60)의 하부에 착탈되도록 결합되되, 일측에 관통홀(41)이 형성되고 관통홀(41)의 외곽 영역을 따라 내솥(미도시)의 증기가 유동되는 유동홀(4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플레이트(60)의 일측에는 홀더브라켓(53)이 결합되며, 상기 내솥커버(40)의 관통홀(41)은 상기 홀더브라켓(53)에 결합된 하우징(51)이 통과 가능한 크기로 상기 홀더브라켓(53) 내지 하우징(51)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플레이트(60)는 별도의 추가 부재 없이 내부식성 재질로 구비되거나 상기 내솥커버(40)의 관통홀(41) 내지 유동홀(43)과 대면되는 부분이 내부식성 재질로 코팅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관통홀(41) 내지 유동홀(43)과 대면되는 하면부에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내부식성 재질로 구비된 리드플레이트(30)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리드플레이트(30)는 상기 컨트롤플레이트(60)에서 상기 관통홀(41) 및 유동홀(43)과 대면되는 하면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컨트롤플레이트(60) 및 상기 홀더브라켓(53)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연통홀(61)과 대응되는 부분에 증기배출홀(31)이 형성되며, 내솥(미도시) 내부의 증기는 상기 증기배출홀(31) 및 상기 연통홀(61)을 거쳐 압력대응 작동수단(미도시)으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뚜껑(20)의 하면부에는 상기 연통홀(61) 및 상기 홀더브라켓(53)을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내솥커버(40)의 상면을 하측으로 탄발 지지하는 컨트롤패킹(32)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뚜껑(20)의 하면부는 컨트롤플레이트(60) 및 리드플레이트(30) 중 상기 내솥커버(40)의 상면과 대면되는 어느 하나의 하면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컨트롤패킹(32)의 직경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홀더브라켓(53)은 상기 연통홀(61)과 인접한 위치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컨트롤패킹(32)은 상기 리드플레이트(30)의 하부에 구비된 경우에 증기배출홀(31)과 홀더브라켓(53)의 외곽 영역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플레이트(60)의 하부에 직접 구비되는 경우에는 연통홀(61)과 홀더브라켓(53)의 외곽 영역을 감싸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컨트롤패킹(32)의 하단부는 내솥커버(40)의 장착시 상기 내솥커버(40)의 유동홀(43)의 외곽에 형성된 단차부(42)에 접촉되며, 상기 내솥(미도시)의 증기가 컨트롤플레이트(60)의 외곽으로 누출되지 않고 증기배출홀(31) 및 연통홀(61)을 거쳐 압력대응 작동수단(미도시)으로 정확하게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킹(32)은 고온에 안정하되 탄성적인 소재인 실리콘 등으로 구비되고 상기 뚜껑(20)의 하면부 및 상기 내솥커버(40) 간의 결합간격을 초과하는 높이로 구비되어 내솥커버(40)의 장착시 내솥커버(40)의 상면에 밀착되되, 내솥커버(40)에 하측 방향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간격이라는 말은 상기 뚜껑(20)의 하면부에 상기 내솥커버(40)가 완전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컨트롤패킹(32)이 장착된 부분에 대응되는 뚜껑(20)의 하면부로부터 내솥커버(40) 상면까지의 간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 내지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뚜껑(20)의 하면부에는 상기 내솥커버(40)의 상면을 하측으로 탄발 지지하는 푸시부(70)가 구비되되, 상기 푸시부(70)는 증기에 대한 노출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컨트롤패킹(32)의 반경방향 외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푸시부(70)는 내부에 상하방향의 중공부(71a)가 형성된 몸체프레임(71)과, 상기 중공부(71a)에 장착되되 탄성부재(72)에 의해 하측으로 탄발 지지되는 푸시로드(73)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탄성부재(72)는 상기 몸체프레임(71)과 푸시로드(73) 외주에 돌설된 돌기(73a)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몸체프레임(71)은 상기 중공부(71a)의 하단부가 상기 리드플레이트(30)에 형성된 푸시홀(33)에 대향 배치되도록 고정된다.
이때, 상기 푸시홀(33)을 통과하여 상기 리드플레이트(30)의 하부로 돌출되는 푸시로드(73)의 하부(73b)를 통해 내솥커버(40)의 상면이 하측으로 탄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원터치 홀더장치(50)는 홀더브라켓(53), 스토퍼(52), 그리고 하우징(5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홀더브라켓(53)은 상기 뚜껑(20)의 하면부와 대향되는 상면 중앙부에 체결홈(53d)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53d)에 상기 컨트롤플레이트(60)의 나사홀(s)을 관통하는 나사(p)의 단부가 체결됨에 따라 컨트롤플레이트(60)에 상기 홀더브라켓(53)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홈(53d)의 외곽에는 나사홀(s)을 통한 증기 누설을 방지하도록 결합패킹(56)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홀더브라켓(53)의 하면에는 스토퍼(52)가 삽입되는 슬라이드홈부(53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홈부(53a)는 상기 홀더브라켓(53)의 하면 중앙부가 일측 및 타측 외주까지 상측으로 함몰되어 양단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52)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삽입된 스토퍼(52)가 반경방향으로 안내되어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브라켓(53)의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드홈부(53a)를 커버하도록 상기 홀더브라켓(53)의 하면부에 대응되는 면적의 원판형 커버플레이트(55)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홈부(53a)는 상기 스토퍼(52)의 상하방향 두께에 대응되는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52)는 상기 커버플레이트(55) 및 슬라이드홈부(53a) 사이에 결합되어 반경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토퍼(52)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타단부가 상호 대향되도록 상기 슬라이드홈부(53a)에 배치되되, 각 스토퍼(52)의 일단부가 슬라이드홈부(53a)의 양단부측 개구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각 스토퍼(52)가 상호 대향되는 대향면 사이에 탄성부재(54)가 구비되고, 상기 각 스토퍼(52)의 대향면에는 삽입홈(52c)이 형성되어 직선형 스프링부재로 구비된 탄성부재(54)의 양단부가 상기 삽입홈(52c)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각 스토퍼(52)가 안정적으로 탄발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스토퍼(52)의 하면부에는 탈락방지돌기(52d)가 돌설되되, 상기 커버플레이트(55)에는 상기 스토퍼(52)의 이동거리가 제한되도록 상기 탈락방지돌기(52d)가 삽입되는 구속홈부(55c)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탈락방지돌기(52d)는 상기 스토퍼(52)의 타단부측 하면부에 돌설되며, 상기 구속홈부(55c)는 상기 커버플레이트(55)의 상면부가 상기 탈락방지돌기(52d)의 돌설 높이에 대응되도록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홈부(55c)는 상기 커버플레이트(55)의 상면 중앙부로부터 스토퍼(52)의 이동방향에 대응되는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구속홈부(55c)의 단부는 상기 커버플레이트(55)의 테두리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단차를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구속홈부(55c)의 단부측 단차를 통해 상기 탈락방지돌기(52d)가 걸림되어 상기 스토퍼(52)가 상기 슬라이드홈부(53a)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탄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속홈부(55c)의 반경방향 길이는 탈락방지돌기(52d)가 단차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52)의 일단부가 상기 내솥커버(40)의 관통홀(41) 테두리(41b)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속홈부(55c)의 폭은 상기 스토퍼(52)의 탄발 이동시 상기 스토퍼(52)가 구속홈부(55c)에 삽입되지 않도록 상기 스토퍼(52)의 폭 미만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탈락방지돌기(52d)는 상기 구속홈부(55c)에 삽입될 수 있는 폭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속홈부(55c)의 일측에는 내부배수홀(55d)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취사시 발생된 증기는 상기 홀더브라켓(53) 및 하우징(51) 사이의 틈을 통해 장치 내부로 침투될 수 있으며, 침투된 증기는 밥물의 끈적임 등으로 스토퍼(52) 및 슬라이드홈부(53a) 사이에 점성 마찰을 발생시켜 제품의 오동작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이때, 침투된 증기의 액화로 발생된 수분이 중력으로 인해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구속홈부(55c)의 내부로 원활하게 수집되고, 구속홈부(55c)의 최하부에 형성된 내부배수홀(55d)을 통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51)은 상부가 개구된 용기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홀더브라켓(53)의 하면부 및 측면부를 감싸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1)의 측면부에는 상기 스토퍼(52)의 일단부가 관통되어 돌출되는 스토퍼관통부(51a)가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관통부(51a)는 상기 각 스토퍼(52)에 대응하여 한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토퍼관통부(51a)는 상기 하우징(51)의 상단 테두리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51)의 상부 개구로 홀더브라켓(53)이 삽입되면, 반경 방향 내측에서 외측으로 탄발 지지된 스토퍼(52)가 하우징(51)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스토퍼관통부(51a)의 테두리에 걸림됨에 따라 별도의 고정 부재 없이도 상기 하우징(51)이 홀더브라켓(53)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두 스토퍼(52)의 반경방향 길이 합은 탄성부재(54)의 축소 변형시 스토퍼(52)의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51)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슬라이드홈부(53a)의 반경방향 길이 내지는 하우징(51)의 직경 미만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1)의 하면부에는 증기 침투 등으로 인한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외부배수홀(51c)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토퍼(52)의 일단부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52e)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향은 뚜껑(20)의 하면부에서 먼쪽으로부터 뚜껑(20)의 하면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내솥뚜껑(40)의 장착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스토퍼(52)의 일단부는 상기 홀더브라켓(53)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51)의 외부로 노출되는 스토퍼돌기부(52a)를 의미한다. 즉, 상기 스토퍼(52)는 사각블록 형상의 몸체부(52b)와, 상기 몸체부(52b)의 일단부에 뒤집어진 직각삼각형에 대응되는 측단면을 갖도록 돌설된 스토퍼돌기부(52a)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돌기부(52a)의 상면부(52f)는 평탄하게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52b)의 하면부 일단으로부터 상기 스토퍼돌기부(52a)의 상면부(52f) 일단으로 연결되는 부분에 경사부(52e)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52e) 및 상기 몸체부(52b)의 연결부는 상기 스토퍼관통부(51a)의 원호형 테두리에 대응하여 라운드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토퍼돌기부(52a)의 반경방향 길이는 내솥커버(40)가 뚜껑(20)의 하면부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51)의 측면부 내주로부터 상기 관통홀(41) 테두리(41b)까지의 거리를 초과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41)은 하측으로 돌출된 테두리(41b)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된 테두리(41b)의 상부를 따라 상기 스토퍼(52)의 경사부(52e)에 슬라이드되도록 라운드진 내면을 갖는 라운드부(41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52)는 외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관통부(51a)를 통과하여 상기 탄성부재(54)의 탄성력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내솥커버(40)를 뚜껑(20)의 하면부측으로 밀어 넣으면 상기 관통홀(41)의 라운드부(41a)가 상기 경사부(52e)를 가압함에 따라 스토퍼돌기부(52a)가 하우징(51)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내솥커버(40)가 스토퍼(52)를 통과하면, 탄성부재(5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돌기부(52a)가 하우징(51)의 외부로 복원 이동되고, 상기 스토퍼돌기부(52a)의 상면부(52f)를 통해 상기 관통홀(41)의 테두리(41b)가 구속되어 내솥커버(40)가 뚜껑(20)의 하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홀(41)의 테두리(41b) 양측이 각 스토퍼(52)의 평탄한 상면부(52f)를 통해 안정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이처럼, 내솥커버(40)의 장착시 라운드부(41a)가 경사부(52e)를 따라 부드럽게 이동되며 스토퍼(52)의 반경 방향 내측 이동을 유도하므로 하우징(51)의 별도 조작 없이 상기 내솥커버(40)를 뚜껑(20)의 하면부측으로 밀어 넣기만 하면 스토퍼(52)가 자동으로 후퇴 및 돌출되고 내솥커버(40)가 뚜껑(20)의 하면부에 장착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내솥커버(40)가 완전하게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내솥 내부의 증기압이 상승하면 증기압에 의해 내솥커버(40)가 부드럽게 밀려 올라가 관통홀(41)의 테두리(41b)가 스토퍼(52)의 상면부(52f)에 걸림되도록 완전하게 장착될 수 있으므로 불완전한 장착으로 인한 내솥커버(40) 및 컨트롤패킹(32)의 사이의 증기 누설이 최소화되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경사부(52e)는 상기 내솥커버(40)가 뚜껑(20)의 하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관통부(51a)의 하부 테두리와 대향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1)을 상측으로 가압하면, 스토퍼관통부(51a)의 하부 테두리에 의해 경사부(52e)가 가압됨에 따라 스토퍼(52)가 반경 방향으로 후퇴되어 하우징(51)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41)의 하부 테두리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어 장착된 내솥커버(40)가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뚜껑(20)의 하면부에 구비된 컨트롤패킹(32)이 상기 내솥커버(40)를 하측 방향으로 탄발 지지함에 따라 관통홀(41)의 구속해제시 컨트롤패킹(32)의 복원력으로 내솥커버(40)가 뚜껑(20)의 하면부로부터 자동으로 이격되므로 하우징(51)을 가압하는 원터치만으로 내솥커버(40)가 분리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컨트롤패킹(32)과 함께 상기 컨트롤패킹(32)의 외곽부에 구비된 푸시부(70)가 장착된 내솥커버(40)의 상면을 하측으로 탄발 지지하므로, 컨트롤패킹(32)의 노후 및 경화에 따른 탄성 저하시에도 내솥커버(40)의 용이한 분리가 가능하여 제품의 내구성 및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41)이 내솥커버(40)의 테두리로부터 이격된 내부에 위치됨에 따라 내솥커버(40)의 분리시 하우징(51)을 가압하는 사용자 손에 내솥커버(40)의 테두리가 자연스럽게 지지될 수 있으므로 분리된 내솥커버(40)가 내솥(미도시) 내지는 본체(미도시)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낙하된 내솥커버(40)로 인한 찍힘이나 충격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52) 및 상기 하우징(51)이 상기 홀더브라켓(53)에 결합되어 뚜껑(20)의 하면부에 일체로 고정되므로 내솥커버(40)만 독립적으로 분리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별품(도 1의 5 참조)을 보관하는 불편함이 제거되고 별품의 낙하로 인한 내솥(미도시)의 손상이 차단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홀더장치(50)의 각 구성 부품이 상기 뚜껑(20)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조립되는 것이 아니라, 커버플레이트(55)를 통해 홀더브라켓(53)과 스토퍼(52)가 조립되고 스토퍼(52)를 통해 홀더브라켓(53)과 하우징(51)이 조립되어 모듈화될 수 있으므로, 모듈화된 장치가 한번의 작업으로 설치될 수 있어 조립성의 개선과 함께 운반 및 포장에 따른 구성 부품의 분실이 방지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51)의 내주에는 상기 하우징(51) 및 홀더브라켓(53)의 결합 방향이 안내되도록 정렬돌출부(51b)가 돌설된다. 이때, 상기 정렬돌출부(51b)는 스토퍼관통부(51a)의 상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하우징(51)의 내주로부터 홀더브라켓(53)의 외주까지의 간격을 초과하는 높이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홀더브라켓(53)의 외주에는 상기 정렬돌출부(51b)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안내홈부(53b)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홈부(53b)는 상기 하우징(51)의 내주로부터 돌출된 정렬돌출부(51b)가 통과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정렬돌출부(51b) 및 상기 안내홈부(53b)는 상기 스토퍼관통부(51a) 및 상기 슬라이드홈부(53a)의 단부가 상호 정렬되는 하우징(51) 및 홀더브라켓(53) 간의 결합 각도에서 상호 대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정렬돌출부(51b) 및 안내홈부(53b)는 상기 하우징(51)의 양측 및 상기 홀더브라켓(53)의 양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가공편의성을 위해 상기 정렬돌출부(51b) 및 상기 안내홈부(53b)가 상기 스토퍼관통부(51a) 및 슬라이드홈부(53a)의 단부에 연결된 것을 예로써 설명하지만 각각은 스토퍼관통부(51a) 및 슬라이드홈부(53a)의 단부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세히, 상기 정렬돌출부(51b)는 스토퍼관통부(51a)의 상부테두리 중앙으로부터 하우징(51)의 상단까지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51)의 승강방향에 대응되는 수직한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내홈부(53b)는 상기 홀더브라켓(53)의 외주와 연결된 상기 슬라이드홈부(53a)의 단부측 상단 중앙부로부터 상측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51)의 승강방향에 대응되는 수직한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정렬돌출부(51b)는 상기 안내홈부(53b)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안내홈부(53b)의 상하 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52)의 수납 및 인출을 위한 하우징(51)의 승강시 정렬돌출부(51b)가 상기 안내홈부(53b)의 상부로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안내홈부(53b)의 길이는 상기 정렬돌출부(51b)의 길이에 하우징(51)의 승강 간격을 더한 값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우징(51)에서 정렬돌출부(51b) 및 스토퍼관통부(51a) 간의 원주방향 배치 각도에 따라 상기 홀더브라켓(53)에서 안내홈부(53b) 및 슬라이드홈부(53a)의 단부 간의 원주방향 배치 각도가 설정되며, 상기 하우징(51)의 정렬돌출부(51b) 및 상기 홀더브라켓(53)의 안내홈부(53b)가 상호 정렬되어 결합되면 상기 스토퍼관통부(51a) 및 슬라이드홈부(53a)의 단부가 상호 정렬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정렬돌출부(51b)에 의해 하우징(51)의 상부 개구가 원형에서 양측 외주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변경되고, 상기 안내홈부(53b)에 의해 상기 홀더브라켓(53)의 단면 형상이 원형에서 양측 외주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변경되므로 상기 하우징(51) 및 상기 홀더브라켓(53)이 기설정된 결합 방향으로 정확하게 결합되어 제품의 오조립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51) 및 상기 홀더브라켓(53)의 결합시 상기 스토퍼관통부(51a) 및 슬라이드홈부(53a)가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토퍼돌기부(52a)가 상기 스토퍼관통부(51a)에 대향 배치되어 하우징(5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51) 및 홀더브라켓(53)의 오조립으로 인해 내솥커버(40)를 고정하는 스토퍼(52)의 일단부가 하우징(51)의 측면부 내측에 구속되어 미돌출되는 등의 오동작이 예방될 수 있다.
즉, 스토퍼(52)의 오동작으로 인해 내솥커버(40)가 스토퍼(52)에 걸림되지 못하고, 취반시 내솥커버(40)가 뚜껑(20)으로부터 분리되어 증기가 누설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취반 품질 저하가 원천적으로 예방될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 및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돌출부(51b)가 상기 안내홈부(53b)에 삽입되어 안내되므로 상기 하우징(51)이 상하방향으로만 조작될 수 있어 스토퍼(52)가 스토퍼관통부(51a)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하우징(51)의 회전과 같은 오조작이 예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플레이트(55)의 외주에는 상기 정렬돌출부(51b)에 대응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결합가이드홈부(55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합가이드홈부(55b)는 상기 정렬돌출부(51b)와 동일하게 커버플레이트(55)의 양측에 대칭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커버플레이트(55)에는 상기 결합가이드홈(55b) 및 상기 안내홈부(53b)가 정렬되어 상기 홀더브라켓(53)에 나사 체결되도록 정렬체결공(55a)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홀더브라켓(53)에는 슬라이드홈부(53a)를 중심으로 양측부에 나사홈(53c)이 형성되며, 상기 정렬체결공(55a)은 구속홈부(55c)의 형성방향과 슬라이드홈부(53a)의 형성방향이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홈(53c)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플레이트(55) 및 상기 홀더브라켓(53)이 나사(59)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플레이트(55) 및 상기 홀더브라켓(53)의 결합시 상기 결합가이드홈부(55b)는 상기 안내홈부(53b)와 정렬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홈부(53b)의 하단부에는 상기 정렬돌출부(51b)가 걸림되는 걸림단턱(53e)이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걸림단턱(53e)은 상기 안내홈부(53b) 및 슬라이드홈부(53a)가 연결되는 부분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정렬돌출부(51b) 및 상기 안내홈부(53b) 사이의 간격을 초과하는 높이로 돌설되고 상기 걸림단턱(53e)의 상부(53g)는 평탄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정렬돌출부(51b)는 하우징(51)을 강제적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걸림단턱(53e)에 억지 끼움되며 통과하여 상기 안내홈부(53b)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정렬돌출부(51b)의 하향 이동시 걸림단턱(53e)의 상부(53g)에 걸림되어 상기 홀더브라켓(53)에 조립된 하우징(51)이 분리되지 않으므로 하우징(51)의 인위적인 분리 및 재조립에 따른 부품의 분실/파손이 최소화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단턱(53e)의 하부(53f)는 상기 정렬돌출부(51b)가 슬라이드되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51) 및 상기 홀더브라켓(53)의 조립시, 정렬돌출부(51b)가 커버플레이트(55)의 결합가이드홈부(55b)를 통과하며 1차 정렬된 상태에서 홀더브라켓(53)의 안내홈부(53b) 방향으로 안내되되, 억지 끼움시 상기 걸림단턱(53e) 하부(53f)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며 용이하게 통과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원터치 홀더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걸림단턱(도 3의 53e 참조)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로 도시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척 등을 위해 하우징(51)이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안내홈부(253b)의 하단부(253e)는 걸림단턱(도 3의 53e 참조)과 같은 돌출부 없이 상기 슬라이드홈부(253a)의 단부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51) 및 상기 홀더브라켓(253)이 조립된 상태에서, 스토퍼(52)를 인위적으로 스토퍼관통부(51a)의 테두리 내측으로 완전히 밀어 넣고 하우징(51)을 하측으로 당기면 상기 하우징(51) 및 상기 홀더브라켓(253)이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원터치 홀더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하우징의 하면부를 제거하여 원터치 홀더장치의 분해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원터치 홀더장치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며,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원터치 홀더장치의 분해과정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홀더브라켓(353), 하우징(351), 커버플레이트(355) 간의 조립 및 분해 및 그를 위한 각 부품의 구조를 제외한 스토퍼(352)를 통한 하우징(351) 및 홀더브라켓(353)의 결합, 하우징(351)의 가압에 따른 스토퍼(352)의 수납 및 인출 등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홀더브라켓(353)의 하부 외주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피난홈부(353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피난홈부(353b)는 상기 홀더브라켓(353)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드홈부(353a)의 상단에 대응되는 홀더브라켓(353)의 하부 외주가 협관화되어 형성되며, 상기 홀더브라켓(353)의 상부 외주(353d)는 피난홈부(353b)가 형성된 하부 외주와 단차를 이루며 넓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10a를 참조하면, 상기 홀더브라켓(353)의 상부 외주(353d)는 상기 하우징(351)의 상부 내주(351e)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351)의 가압시 하우징(351)의 상부 내주(351e)가 상기 홀더브라켓(353)의 상부 외주(353d)에 지지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즉, 홀더브라켓(353)의 상부 외주(353d)가 하부 외주(353b)와 동일한 좁은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에 하우징(351)의 상부 내주(351e) 및 홀더브라켓(353)의 외주 사이의 넓은 유격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편심이나 비틀림 등 하우징(351)의 가압시 동작성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정렬돌출부(351b)는 하우징(351)의 내주로부터 홀더브라켓(353)의 상부 외주(353d)까지의 간격을 초과하는 높이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피난홈부(353b)의 함몰 깊이는 정렬돌출부(351b)의 돌출 높이에 대응되도록 설정되어 정렬돌출부(351b)가 피난홈부(353b)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플레이트(355)의 외주에는 상기 정렬돌출부(351b)에 대응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되, 상기 정렬돌출부(351b)가 기설정된 분리각도로 회전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확장된 분해제어홈부(355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플레이트(355)는 상기 구속홈부(355c)의 형성방향과 상기 슬라이드홈부(353a)의 형성방향이 정렬되도록 상기 홀더브라켓(353)의 하면부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분해제어홈부(355b)는 상기 홀더브라켓(353)에 결합된 커버플레이트(355)의 외주에서 상기 스토퍼관통부(351a) 및 상기 슬라이드홈부(353a) 단부가 상호 정렬되도록 홀더브라켓(353)에 결합된 하우징(351)의 정렬돌출부(351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정렬돌출부(351b)는 상기 스토퍼관통부(351a)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이격된 부분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분해제어홈부(355b)는 상기 슬라이드홈부(353a)의 단부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렬돌출부(351b) 및 상기 분해제어홈부(355b)는 상기 하우징(351) 및 커버플레이트(355)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해제어홈부(355b)는 상기 정렬돌출부(351b)가 통과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되, 상기 커버플레이트(355)에서 분해제어홈부(355b)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외주는 상기 홀더브라켓(353)의 상부 외주(353d)에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정렬돌출부(351b)가 상기 분해제어홈부(355b)와 대향 배치된 상태에서만 상기 커버플레이트(355)를 통과하여 상기 피난홈부(353b)에 삽입되어 하우징(351) 및 홀더브라켓(353)이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분해제어홈부(355b)를 통해 하우징(351) 및 홀더브라켓(353)의 결합 가능 방향이 한정됨에 따라 오조립 가능성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토퍼(352)가 상기 스토퍼관통부(351a)를 통과하여 하우징(35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정확한 방향으로의 조립이 유도되어 제품의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렬돌출부(351b)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스토퍼(352)의 수납을 위한 하우징(351)의 승강시 상기 정렬돌출부(351b)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분해제어홈부(355b) 내부에 배치되도록 커버플레이트(355)의 두께 및 상기 스토퍼(352)의 상하방향 두께를 고려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해제어홈부(355b)는 스토퍼관통부(351a) 및 슬라이드홈부(353a)의 단부가 상호 정렬되는 정렬돌출부(351b)의 위치로부터 원주방향 일측 및 타측을 향해 분리각도에 대응되는 크기로 확장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정렬돌출부(351b)가 상기 분해제어홈부(355b)의 내부에서 유동되며 하우징(351)이 제한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각도는 스토퍼(352)가 스토퍼관통부(351a)를 통해 하우징(351) 외부로 돌출되도록 스토퍼관통부(351a) 및 슬라이드홈부(353a)의 단부가 상호 정렬된 위치로부터 스토퍼(352)가 스토퍼관통부(351a)의 원주방향 내측면(351h)에 구속되도록 스토퍼관통부(351a) 및 슬라이드홈부(353a)의 단부가 상호 어긋나게 배치된 위치까지의 각도를 의미한다.
즉, 상기 정렬돌출부(351b)가 상기 분해제어홈부(355b)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351) 및 홀더브라켓(353)이 결합되면, 상기 스토퍼관통부(351a) 및 상기 슬라이드홈부(353a)의 단부가 정렬되어 스토퍼(352)가 하우징(35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렬돌출부(351b)가 상기 분해제어홈부(355b)의 양단 중 하나(355e)에 위치되도록 하우징(351)이 회전되면, 스토퍼(352)가 스토퍼관통부(351a)로부터 이탈되어 스토퍼관통부(351a)의 원주방향 내측면(351h)에 구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토퍼(352)의 일단부 측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협소화되도록 라운드진 삽입유도부(352g)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삽입유도부(352g)는 상기 스토퍼돌기부(352a)의 측면부를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측면부 중 하나에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양측면부에 모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관통부(351a)의 원주방향 양측 테두리 내주(351d)는 상기 삽입유도부(352g)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도 10a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정렬돌출부(351b)는 상기 스토퍼관통부(351a)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351)의 하면부 테두리로부터 스토퍼관통부(351a)의 하단 테두리에 대응되는 높이범위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스토퍼관통부(351a)를 통과하여 하우징(351)의 외부로 노출된 스토퍼(352)는 상기 하우징(351)의 가압시 스토퍼관통부(351a)의 하단 테두리를 통해 가압되어 하우징(351)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후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351)이 상승되어 상기 정렬돌출부(351b)의 상단부가 상기 피난홈부(353b)의 상부 단차에 걸림되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퇴된 스토퍼(352)의 삽입유도부(352g)가 상기 스토퍼관통부(351a)의 원주방향 양측단에 대향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351)을 회전시키면, 상기 스토퍼관통부(351a)의 원주방향 테두리 내주(351d) 경사를 따라 상기 삽입유도부(352g)의 곡면이 슬라이드되며 상기 스토퍼(352)가 스토퍼관통부(351a)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도록 부드럽게 후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51)이 회전되어 상기 정렬돌출부(351b)가 상기 분해제어홈부(355b)의 끝단(355e)에 걸림되면,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토퍼(352)가 스토퍼관통부(351a)의 원주방향 내측면(351h)에 구속되고, 이때 하우징(351)을 하측으로 당겨 분리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하우징(351)을 가볍게 가압하며 소정각도 회전시킴으로써 손쉬운 분리가 가능하므로 세척 및 부품 교환 등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돌출부(351b)가 상기 피난홈부(353b)의 단차에 걸림되며 하우징(351)의 가압 후 회전 조작 시점이 쉽게 파악될 수 있으며, 상기 정렬돌출부(351b)가 분해제어홈부(355b)의 끝단(355e)에 걸림되며 하우징(351)을 당겨 분리할 수 있는 시점이 쉽게 파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351)의 분리를 위한 가압 및 회전 조작이 최소한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100: 전기조리기 2,20: 뚜껑
3,40: 내솥커버 4,53,253,353: 홀더브라켓
5: 커버홀더 30: 리드플레이트
31: 증기배출홀 32: 컨트롤패킹
41: 관통홀 43: 유동홀
50,350: 원터치 홀더장치 51,351: 하우징
51a,351a: 스토퍼관통부 51b,351b: 정렬돌출부
51c,351c: 외부배수홀 52,352: 스토퍼
52a,352a: 스토퍼돌기부 52b,352b: 몸체부
52c,352c: 삽입홈 52d,352d: 탈락방지돌기
52g,352g: 삽입유도부 53a,253a,353a: 슬라이드홈부
53b,253b: 안내홈부 53c,253c,353c: 나사홈
54,354: 탄성부재 55,355: 커버플레이트
55a,355a: 정렬체결공 55b: 결합가이드홈부
55c,355c: 구속홈부 55d,355d: 내부배수홀
p,59,359: 나사 60: 컨트롤플레이트
70: 푸시부 353b: 피난홈부
355b: 분해제어홈부

Claims (23)

  1.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뚜껑;
    상기 뚜껑의 하면부에 구비되되, 상기 내솥의 증기가 유동되는 연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연통홀에 연결되어 상기 내솥 내부공간 압력의 높낮이에 따라 작동되는 압력대응 작동수단이 구비된 컨트롤플레이트;
    상기 컨트롤플레이트의 하부에 착탈되도록 결합되되,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내솥커버; 및
    상기 컨트롤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홀더브라켓과,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를 구속하도록 상기 홀더브라켓의 반경방향을 따라 탄발 이동되는 스토퍼와, 상기 홀더브라켓에 결합시 결합 방향이 안내되도록 정렬돌출부가 내주에 돌설되며 가압시 상기 관통홀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스토퍼를 내부로 수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원터치 홀더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하면부에는 상기 연통홀 및 상기 홀더브라켓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내솥커버의 상면을 하측으로 탄발 지지하는 컨트롤패킹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킹은 상기 내솥커버 및 상기 뚜껑의 하면부 간의 결합간격을 초과하는 높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플레이트 및 상기 홀더브라켓 사이에는 상기 컨트롤플레이트의 하면부를 커버하되, 상기 연통홀과 대응되는 증기배출홀이 형성된 리드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패킹은 상기 증기배출홀 및 상기 홀더브라켓을 감싸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하면부에는 상기 내솥커버의 상면을 하측으로 탄발 지지하는 푸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에는 상기 스토퍼의 일단부가 관통되어 돌출되는 스토퍼관통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브라켓의 하면에는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슬라이드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홀더브라켓의 외주에는 상기 스토퍼관통부 및 상기 슬라이드홈부의 단부가 상호 정렬되도록 상기 정렬돌출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안내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정렬돌출부가 걸림되는 걸림단턱이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턱의 하부는 상기 정렬돌출부가 슬라이드되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브라켓의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드홈부를 커버하는 커버플레이트가 결합되되,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외주에는 상기 정렬돌출부에 대응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결합가이드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에는 상기 결합가이드홈부가 상기 안내홈부와 정렬되어 상기 홀더브라켓에 나사 체결되도록 정렬체결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에는 상기 스토퍼의 일단부가 관통되어 돌출되는 스토퍼관통부가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의 일단부 측면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협소화되도록 라운드진 삽입유도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관통부의 원주방향 테두리 내주는 상기 삽입유도부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브라켓의 외주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정렬돌출부가 회전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피난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브라켓의 하면에는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슬라이드홈부를 커버하도록 커버플레이트가 결합되되,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외주에는 상기 정렬돌출부에 대응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되, 상기 정렬돌출부가 기설정된 분리각도로 회전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확장된 분해제어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제어홈부의 끝단은 상기 스토퍼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스토퍼관통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회전된 상기 하우징의 정렬돌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하면부에는 탈락방지돌기가 돌설되되,
    상기 홀더브라켓의 하부에 결합되는 커버플레이트에는 상기 스토퍼의 이동거리가 제한되도록 상기 탈락방지돌기가 삽입되는 구속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홈부의 일측에는 내부배수홀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면부에는 외부배수홀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일단부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는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돌출된 테두리의 상부를 따라 상기 스토퍼의 경사부에 슬라이드되도록 라운드진 내면을 갖는 라운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각 스토퍼가 대향되는 대향면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토퍼의 대향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KR1020160032172A 2016-03-17 2016-03-17 전기조리기 KR102359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172A KR102359064B1 (ko) 2016-03-17 2016-03-17 전기조리기
CN201610821342.9A CN107198434B (zh) 2016-03-17 2016-09-13 电饭煲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172A KR102359064B1 (ko) 2016-03-17 2016-03-17 전기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379A true KR20170108379A (ko) 2017-09-27
KR102359064B1 KR102359064B1 (ko) 2022-02-07

Family

ID=59904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172A KR102359064B1 (ko) 2016-03-17 2016-03-17 전기조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59064B1 (ko)
CN (1) CN107198434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9428A (ko) * 2007-06-13 2008-12-17 쿠쿠전자주식회사 안전장치가 구비된 내솥 뚜껑 분리형 전기 압력 조리기
KR20120103822A (ko) * 2011-03-11 2012-09-20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조리기
KR20140002356A (ko) 2012-06-29 2014-01-08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조리기
CN103598809A (zh) * 2013-11-21 2014-02-26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可拆内锅盖的电压力锅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5298A (ja) * 1996-12-12 1998-06-23 Studio Noa:Kk 電子レンジ使用の炊飯器
JP2008012089A (ja) * 2006-07-06 2008-0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JP2008036190A (ja) * 2006-08-08 2008-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CN201182518Y (zh) * 2007-12-05 2009-01-21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电饭煲锅盖
CN201308406Y (zh) * 2008-11-12 2009-09-16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饭煲锅盖
CN202341742U (zh) * 2011-10-27 2012-07-25 九阳股份有限公司 内盖可拆的电热锅
CN103654468B (zh) * 2012-09-07 2016-02-10 福库电子株式会社 电子料理机
CN203016645U (zh) * 2012-11-20 2013-06-26 九阳股份有限公司 锅盖易拆洗的电热锅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9428A (ko) * 2007-06-13 2008-12-17 쿠쿠전자주식회사 안전장치가 구비된 내솥 뚜껑 분리형 전기 압력 조리기
KR20120103822A (ko) * 2011-03-11 2012-09-20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조리기
KR20140002356A (ko) 2012-06-29 2014-01-08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조리기
CN103598809A (zh) * 2013-11-21 2014-02-26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可拆内锅盖的电压力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98434B (zh) 2019-03-08
KR102359064B1 (ko) 2022-02-07
CN107198434A (zh) 201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8024B1 (ko) 음료용기의 마개체
US8297467B2 (en) Slow cooker
EP3537936B1 (en) Container with automatic lid closure
US9392892B2 (en) Lid assembly and drink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EP2781465B1 (en) Detachable sealable li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and sealing ring for use with the lid
US20100212509A1 (en) Safety and guide type brewing kettle
CN106102529B (zh) 饮料泡制装置
KR20130136405A (ko) 음료 용기의 마개체
US20070257143A1 (en) Food mill including a removable blade assembly
KR20170071130A (ko)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 뚜껑
NO783647L (no) Sikkerhets-lukke.
US20210007532A1 (en) Electric pressure cooker discharging internal steam when lid is opened
KR20170108379A (ko) 전기조리기
KR101693341B1 (ko) 전기조리기
KR101433097B1 (ko) 조리용 진공냄비
JP2008029698A (ja) 食材調製器
KR101436886B1 (ko) 진공 가능한 냄비의 뚜껑용 패킹
KR20130113141A (ko) 진공 가능한 냄비
KR102481813B1 (ko) 전기조리기
KR101379755B1 (ko)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KR101568168B1 (ko)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KR20180024457A (ko) 전기조리기
KR102166514B1 (ko) 압력솥
KR102380952B1 (ko) 전기조리기
JP5600281B2 (ja) キャップ付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