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813B1 - 전기조리기 - Google Patents

전기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813B1
KR102481813B1 KR1020160088126A KR20160088126A KR102481813B1 KR 102481813 B1 KR102481813 B1 KR 102481813B1 KR 1020160088126 A KR1020160088126 A KR 1020160088126A KR 20160088126 A KR20160088126 A KR 20160088126A KR 102481813 B1 KR102481813 B1 KR 102481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inner pot
hole
electric cooker
po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201A (ko
Inventor
김원영
손수호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8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813B1/ko
Priority to CN201610810399.9A priority patent/CN106510435B/zh
Publication of KR20180007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솥을 덮도록 뚜껑의 하면부에 구비된 내솥커버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착탈시 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뚜껑; 상기 뚜껑의 하면부에 구비되되, 상기 내솥의 증기가 유동되는 연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연통홀에 연결되어 상기 내솥 내부공간 압력의 높낮이에 따라 작동되는 압력대응 작동수단이 구비된 컨트롤플레이트; 상기 컨트롤플레이트의 하부에 착탈되도록 결합되되,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에 조립가이드부가 형성된 내솥커버; 및 상기 컨트롤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홀더브라켓과,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를 구속하도록 상기 홀더브라켓의 반경방향을 따라 탄발 이동되는 스토퍼와, 외주에 상기 조립가이드부와 형합되는 정렬결합부가 구비되되 가압시 상기 관통홀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스토퍼를 내부로 수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원터치 홀더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조리기{electric cooker}
본 발명은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솥을 덮도록 뚜껑의 하면부에 구비된 내솥커버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착탈시 편의성이 개선되는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조리기는 음식을 조리하는데 쓰는 기구로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이 내장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전기조리기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조리기 뚜껑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조리기(1)는 내부에 내솥(미도시)이 수용되되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이 구비된 본체(미도시)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개폐되는 뚜껑(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뚜껑(2)의 하부에는 내솥커버(3)가 구비되며, 상기 내솥커버(3)의 테두리에는 내솥의 밀폐를 위한 내솥패킹(3b)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내솥커버(3)는 음식물이 직접 닿는 부분으로 위생 및 청결을 위해 분리 세척가능하도록 뚜껑(2)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뚜껑(2)에는 상기 내솥커버(3)의 결합을 위한 홀더브라켓(4)이 구비되어 상기 내솥커버(3)의 관통홀(3a)을 통과한 상기 홀더브라켓(4)에 커버홀더(5)가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결합 및 결합해제됨에 따라 상기 내솥커버(3)가 상기 뚜껑(2)의 하면부에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세척 등을 위한 내솥커버(3)의 분리시 홀더브라켓(4)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커버홀더(5)를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커버홀더(5)의 분실상태에서는 내솥커버(3)를 뚜껑(2)의 정위치에 고정하지 못하므로 내솥커버(3)를 통한 내솥의 밀폐 유지가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 제품 동작시 증기가 누설되어 취반 품질의 저하 내지는 소비자의 화상, 누전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 홀더브라켓(4)에는 상기 커버홀더(5)의 풀림 방지를 위한 구속부(4a)가 구비되는데, 구속부(4a)의 방향에 맞게 커버홀더(5)가 삽입 및 결합되어야 하므로 한손으로 내솥커버(3)를 지지한 상태에서 다른 한손으로 커버홀더(5)를 방향에 맞춘 후 끼워 넣고 회전시키는 등 내솥커버(3)의 착탈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사용자의 오사용으로 상기 커버홀더(5)가 완전하게 결합되지 않는 상태에서 뚜껑(2)의 개폐시 금속재의 상기 커버홀더(5)가 내솥(미도시) 내부에 떨어져 코팅을 찍거나 긁어내는 등 내솥(미도시)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0235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솥을 덮도록 뚜껑의 하면부에 구비된 내솥커버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착탈시 편의성이 개선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뚜껑; 상기 뚜껑의 하면부에 구비되되, 상기 내솥의 증기가 유동되는 연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연통홀에 연결되어 상기 내솥 내부공간 압력의 높낮이에 따라 작동되는 압력대응 작동수단이 구비된 컨트롤플레이트; 상기 컨트롤플레이트의 하부에 착탈되도록 결합되되,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에 조립가이드부가 형성된 내솥커버; 및 상기 컨트롤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홀더브라켓과,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를 구속하도록 상기 홀더브라켓의 반경방향을 따라 탄발 이동되는 스토퍼와, 외주에 상기 조립가이드부와 형합되는 정렬결합부가 구비되되 가압시 상기 관통홀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스토퍼를 내부로 수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원터치 홀더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에는 상기 스토퍼의 일단부가 관통되어 돌출되는 스토퍼관통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홀더브라켓의 하면에는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슬라이드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정렬결합부는 상기 스토퍼관통부 및 상기 슬라이드홈부의 단부 간 정렬시 상기 내솥커버의 기설정된 장착각도에서 상기 조립가이드부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전기조리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홀더브라켓에 하우징의 가압에 따라 탄발 이동되는 스토퍼가 구비되므로 내솥커버를 뚜껑의 하면부측으로 밀어 넣기만 하면 관통홀의 테두리가 스토퍼에 걸림되어 장착되고, 하우징을 가압하기만 하면 스토퍼의 구속이 해제되어 내솥커버가 분리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관통홀의 조립가이드부 및 하우징의 정렬결합부가 정렬된 상태에서만 내솥커버가 뚜껑에 조립될 수 있으므로 슬라이드홈부의 단부 및 스토퍼관통부가 어긋난 하우징 오조립 상태에서의 제품 사용이 예방되고, 취반 중 내솥커버 및 뚜껑 사이의 증기 누출로 인한 취반 품질 저하 및 안전사고 발생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 및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뚜껑의 하면부 및 내솥커버 간의 결합간격을 초과하는 높이의 탄성체로 구비된 컨트롤패킹과 함께 뚜껑의 상면부를 탄발 지지하는 푸시부가 구비되므로 하우징의 가압시 내솥커버가 뚜껑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되 컨트롤패킹의 탄성 저하시에도 푸시부의 탄성력으로 내솥커버의 용이한 분리가 가능하여 제품의 사용편의성 및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넷째, 상기 관통홀을 구속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의 조작을 위한 하우징이 상기 홀더브라켓에 결합되어 뚜껑의 하면부에 일체로 고정됨에 따라 내솥커버만 분리되므로 종래와 같이 별품을 보관하는 불편함이 제거되고 별품의 낙하로 인한 내솥의 손상이 차단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에 형성된 라운드부가 내솥커버의 장착시 경사부를 따라 부드럽게 이동되며 스토퍼의 내측 방향 이동을 유도하므로 하우징의 별도 조작 없이도 내솥커버가 손쉽게 스토퍼를 통과하여 장착될 수 있으며, 조립가이드부 및 정렬결합부의 정렬로 하우징이 관통홀의 내부에 삽입되었으나 스토퍼가 관통홀을 완전하게 통과하지 못한 내솥커버의 불완전 장착시 뚜껑을 덮거나 내솥을 가열하면 내솥 상단 내지는 증기압을 통해 내솥커버가 부드럽게 상승하여 완전하게 장착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홀더장치의 각 구성 부품이 뚜껑의 하면부에 순차적으로 조립되는 것이 아니라 홀더브라켓에 일체로 조립되어 모듈화된 상태에서 한번의 작업으로 뚜껑에 설치될 수 있어 제품의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운반 및 포장시 구성 부품의 분실이 방지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곱째, 상기 관통홀이 내솥커버의 테두리로부터 이격된 내부에 위치됨에 따라 내솥커버의 분리시 하우징을 가압하는 사용자 손에 내솥커버의 테두리가 자연스럽게 지지될 수 있으므로 분리된 내솥커버가 내솥 내지는 본체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낙하된 내솥커버로 인한 찍힘이나 충격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조리기 뚜껑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내솥커버가 결합된 뚜껑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하우징의 오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원터치 홀더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원터치 홀더장치를 통한 내솥커버의 착탈 과정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원터치 홀더장치의 분해과정을 나타낸 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뚜껑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내솥커버가 결합된 뚜껑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하우징의 오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원터치 홀더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원터치 홀더장치를 통한 내솥커버의 착탈 과정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원터치 홀더장치의 분해과정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기조리기(100)는 본체(미도시), 뚜껑(20), 컨트롤플레이트(60), 내솥커버(40), 그리고 원터치 홀더장치(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미도시) 내부에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미도시)이 착탈되며, 상기 내솥(미도시)의 가열을 위한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의 온도 조절을 위한 제어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은 상기 본체(미도시)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며, 하면부에 컨트롤플레이트(6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플레이트(60)에는 상기 내솥(미도시)의 증기가 유동되는 연통홀(61)이 구비되되, 상기 연통홀(61)에는 압력추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비복귀형 증기배출장치, 뚜껑열림방지부 등 내솥(미도시) 내부공간의 압력 높낮이에 따라 작동되는 압력대응 작동수단(미도시)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내솥커버(40)는 상기 컨트롤플레이트(60)의 하부에 착탈되도록 결합되되, 일측에 관통홀(4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41)의 외곽 영역을 따라 내솥(미도시)의 증기가 유동되는 유동홀(4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플레이트(60)의 일측에는 홀더브라켓(53)이 결합되며, 상기 내솥커버(40)의 관통홀(41)은 상기 홀더브라켓(53)에 결합된 하우징(51)이 통과 가능한 크기로 상기 홀더브라켓(53) 내지 하우징(51)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플레이트(60)는 별도의 추가 부재 없이 내부식성 재질로 구비되거나 상기 내솥커버(40)의 관통홀(41) 내지 유동홀(43)과 대면되는 부분이 내부식성 재질로 코팅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관통홀(41) 내지 유동홀(43)과 대면되는 하면부에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내부식성 재질로 구비된 리드플레이트(30)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리드플레이트(30)는 상기 컨트롤플레이트(60)에서 상기 관통홀(41) 및 유동홀(43)과 대면되는 하면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컨트롤플레이트(60) 및 상기 홀더브라켓(53)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연통홀(61)과 대응되는 부분에 증기배출홀(31)이 형성되며, 내솥(미도시) 내부의 증기는 상기 증기배출홀(31) 및 상기 연통홀(61)을 거쳐 압력대응 작동수단(미도시)으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뚜껑(20)의 하면부에는 상기 연통홀(61) 및 상기 홀더브라켓(53)을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내솥커버(40)의 상면을 하측으로 탄발 지지하는 컨트롤패킹(32)이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패킹(32)의 직경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홀더브라켓(53)은 상기 연통홀(61)과 인접한 위치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뚜껑(20)의 하면부는 컨트롤플레이트(60) 및 리드플레이트(30) 중 상기 내솥커버(40)의 상면과 대면되는 어느 하나의 하면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컨트롤패킹(32)은 상기 리드플레이트(30)의 하부에 구비된 경우에 증기배출홀(31)과 홀더브라켓(53)의 외곽 영역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플레이트(60)의 하부에 직접 구비되는 경우에는 연통홀(61)과 홀더브라켓(53)의 외곽 영역을 감싸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컨트롤패킹(32)의 하단부는 내솥커버(40)의 장착시 상기 내솥커버(40)의 유동홀(43)의 외곽에 형성된 밀폐단차부(42)에 접촉되며, 상기 내솥(미도시)의 증기가 컨트롤플레이트(60)의 외곽으로 누출되지 않고 증기배출홀(31) 및 연통홀(61)을 거쳐 압력대응 작동수단(미도시)으로 정확하게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킹(32)은 고온에 안정하되 탄성적인 소재인 실리콘 등으로 구비되고 상기 뚜껑(20)의 하면부 및 상기 내솥커버(40) 간의 결합간격을 초과하는 높이로 구비되어 내솥커버(40)의 장착시 내솥커버(40)의 상면에 밀착되되, 내솥커버(40)에 하측 방향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간격이라는 말은 상기 뚜껑(20)의 하면부에 상기 내솥커버(40)가 완전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컨트롤패킹(32)이 장착된 부분에 대응되는 뚜껑(20)의 하면부로부터 내솥커버(40) 상면까지의 간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a 내지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뚜껑(20)의 하면부에는 상기 내솥커버(40)의 상면을 하측으로 탄발 지지하는 푸시부(70)가 구비되되, 상기 푸시부(70)는 증기에 대한 노출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컨트롤패킹(32)의 반경방향 외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푸시부(70)는 내부에 상하방향의 중공부(71a)가 형성된 몸체프레임(71)과, 상기 중공부(71a)에 장착되되 탄성부재(72)에 의해 하측으로 탄발 지지되는 푸시로드(73)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탄성부재(72)는 상기 몸체프레임(71)과 푸시로드(73) 외주에 돌설된 돌기(73a)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몸체프레임(71)은 상기 중공부(71a)의 하단부가 상기 리드플레이트(30)에 형성된 푸시홀(33)에 대향 배치되도록 고정된다.
이때, 상기 푸시홀(33)을 통과하여 상기 리드플레이트(30)의 하부로 돌출되는 푸시로드(73)의 하부(73b)를 통해 내솥커버(40)의 상면이 하측으로 탄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원터치 홀더장치(50)는 홀더브라켓(53), 스토퍼(52), 그리고 하우징(5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홀더브라켓(53)은 상기 뚜껑(20)의 하면부와 대향되는 상면 중앙부에 체결홈(53d)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53d)에 상기 컨트롤플레이트(60)의 나사홀(s)을 관통하는 나사(p)의 단부가 체결됨에 따라 컨트롤플레이트(60)에 상기 홀더브라켓(53)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홈(53d)의 외곽에는 나사홀(s)을 통한 증기 누설을 방지하도록 결합패킹(56)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홀더브라켓(53)의 하면에는 스토퍼(52)가 삽입되는 슬라이드홈부(53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홈부(53a)는 상기 홀더브라켓(53)의 하면 중앙부가 일측 및 타측 외주까지 상측으로 함몰되어 양단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52)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삽입된 스토퍼(52)가 반경방향으로 안내되어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브라켓(53)의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드홈부(53a)를 커버하도록 상기 홀더브라켓(53)의 하면부에 대응되는 면적의 원판형 커버플레이트(55)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홈부(53a)는 상기 스토퍼(52)의 상하방향 두께에 대응되는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52)는 상기 커버플레이트(55) 및 슬라이드홈부(53a) 사이에 결합되어 반경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토퍼(52)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타단부가 상호 대향되도록 상기 슬라이드홈부(53a)에 배치되되, 각 스토퍼(52)의 일단부가 슬라이드홈부(53a)의 양단부측 개구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각 스토퍼(52)가 상호 대향되는 대향면 사이에 탄성부재(54)가 구비되고, 상기 각 스토퍼(52)의 대향면에는 삽입홈(52c)이 형성되어 직선형 스프링부재로 구비된 탄성부재(54)의 양단부가 상기 삽입홈(52c)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각 스토퍼(52)가 안정적으로 탄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스토퍼(52)의 하면부에는 탈락방지돌기(52d)가 돌설되되, 상기 스토퍼(52)의 이동거리가 제한되도록 상기 커버플레이트(55)의 상면부에는 상기 탈락방지돌기(52d)의 돌설높이에 대응되도록 하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탈락방지돌기(52d)가 삽입되는 구속홈부(55c)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속홈부(55c)는 상기 커버플레이트(55)의 상면 중앙부로부터 스토퍼(52)의 이동방향에 대응되는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구속홈부(55c)의 단부는 상기 커버플레이트(55)의 테두리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단차를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커버플레이트(55)에는 상기 구속홈부(55c) 및 상기 슬라이드홈부(53a)의 형성 방향이 상호 정렬되도록 상기 홀더브라켓(53)에 나사 체결되는 정렬체결공(55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홀더브라켓(53)에는 슬라이드홈부(53a)를 중심으로 양측부에 나사홈(53c)이 형성되며, 상기 정렬체결공(55a)은 구속홈부(55c)의 형성방향과 슬라이드홈부(53a)의 형성방향이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홈(53c)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정렬체결공(55a) 및 상기 나사홈(53c)이 나사(59)를 통해 체결되면, 상기 스토퍼(52)가 상기 슬라이드홈부(53a)를 따라 이동되되 상기 스토퍼(52)의 탈락방지돌기(52d)가 상기 구속홈부(55c)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속홈부(55c)의 단부측 단차를 통해 상기 탈락방지돌기(52d)가 걸림되어 상기 스토퍼(52)가 상기 슬라이드홈부(53a)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탄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속홈부(55c)의 반경방향 길이는 탈락방지돌기(52d)가 단차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52)의 일단부가 상기 내솥커버(40)의 관통홀(41) 테두리(41b)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속홈부(55c)의 폭은 상기 스토퍼(52)의 탄발 이동시 상기 스토퍼(52)가 구속홈부(55c)에 삽입되지 않도록 상기 스토퍼(52)의 폭 미만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탈락방지돌기(52d)는 상기 구속홈부(55c)에 삽입될 수 있는 폭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51)은 상부가 개구된 용기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홀더브라켓(53)의 하면부 및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1)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토퍼(52)의 일단부가 관통되어 돌출되는 스토퍼관통부(51a)가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관통부(51a)는 상기 각 스토퍼(52)에 대응하여 한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토퍼관통부(51a)는 상기 하우징(51)의 상단 테두리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51)의 상부 개구로 홀더브라켓(53)이 삽입되면, 반경 방향 내측에서 외측으로 탄발 지지된 스토퍼(52)가 하우징(51)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스토퍼관통부(51a)의 테두리에 걸림됨에 따라 별도의 고정 부재 없이도 상기 하우징(51)이 홀더브라켓(53)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두 스토퍼(52)의 반경방향 길이 합은 탄성부재(54)의 축소 변형시 스토퍼(52)의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51)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슬라이드홈부(53a)의 반경방향 길이 내지는 하우징(51)의 직경 미만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토퍼(52)는 사각블록 형상의 몸체부(52b)와, 상기 몸체부(52b)의 일단부에 뒤집어진 직각삼각형에 대응되는 측단면을 갖도록 돌설된 스토퍼돌기부(52a)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토퍼(52)의 일단부는 상기 슬라이드홈부(53a)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51)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스토퍼돌기부(52a)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토퍼(52)의 일단부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52e)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향은 뚜껑(20)의 하면부에서 먼쪽으로부터 뚜껑(20)의 하면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내솥뚜껑(40)의 장착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스토퍼돌기부(52a)의 상면부(52f)는 평탄하게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52b)의 하면부 일단으로부터 상기 스토퍼돌기부(52a)의 상면부(52f) 일단으로 연결되는 부분에 경사부(52e)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돌기부(52a)의 반경방향 길이는 내솥커버(40)가 뚜껑(20)의 하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51)의 내주로부터 상기 관통홀(41) 테두리(41b)까지의 거리를 초과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41)은 하측으로 돌출된 테두리(41b)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된 테두리(41b)의 상부를 따라 상기 스토퍼(52)의 경사부(52e)에 슬라이드되도록 라운드진 내면을 갖는 라운드부(41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52)는 외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관통부(51a)를 통과하여 상기 탄성부재(54)의 탄성력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52)의 경사부(52e)는 상기 내솥커버(40)의 장착시 라운드부(41a)와 대향 배치되며, 상기 내솥커버(40)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라운드부(41a)가 경사부(52e)에 접촉하여 슬라이드됨에 따라 스토퍼(52)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되어 스토퍼돌기부(52a)가 하우징(51)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내솥커버(40)가 스토퍼(52)를 통과하면, 탄성부재(5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돌기부(52a)가 하우징(51)의 외부로 복원 이동되고, 상기 스토퍼돌기부(52a)의 상면부(52f)를 통해 상기 관통홀(41)의 테두리(41b)가 구속되어 내솥커버(40)가 뚜껑(20)의 하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홀(41)의 테두리(41b) 양측이 각 스토퍼(52)의 평탄한 상면부(52f)를 통해 안정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이처럼, 내솥커버(40)의 장착시 라운드부(41a)가 경사부(52e)를 따라 부드럽게 이동되며 스토퍼(52)의 반경 방향 내측 이동을 유도하므로 하우징(51)의 별도 조작 없이 상기 내솥커버(40)를 뚜껑(20)의 하면부측으로 밀어 넣기만 하면 스토퍼(52)가 자동으로 후퇴 및 돌출되고 내솥커버(40)가 뚜껑(20)의 하면부에 장착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관통홀(41)의 조립가이드부(44) 및 하우징(51)의 정렬결합부(51b)가 정렬되어 하우징(51)이 관통홀(41)의 내부에 삽입되었으나 스토퍼(52)가 관통홀(41)을 완전하게 통과하지 못한 내솥커버(40)의 불완전 장착시에도 뚜껑(20)을 덮거나 내솥(미도시)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내솥커버(40)가 부드럽게 상승하여 완전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솥커버(40)가 상기 뚜껑(20)을 덮는 과정에서 내솥(미도시) 상단부에 의해 가압되거나, 내솥(미도시)의 가열시 발생된 증기압에 의해 가압되어 뚜껑(20)의 하면부측으로 부드럽게 밀려 올려갈 수 있으며, 관통홀(41)의 테두리(41b)가 스토퍼(52)의 상면부(52f)에 걸림되도록 완전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솥커버(40)의 불완전한 장착으로 인한 내솥커버(40) 및 컨트롤패킹(32) 사이의 증기 누설이 최소화되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경사부(52e) 및 상기 몸체부(52b)의 연결부는 상기 스토퍼관통부(51a)의 원호형 테두리에 대응하여 라운드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경사부(52e)는 상기 내솥커버(40)가 뚜껑(20)의 하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관통부(51a)의 하부 테두리와 대향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1)을 상측으로 가압하면, 스토퍼관통부(51a)의 하부 테두리에 의해 경사부(52e)가 가압됨에 따라 스토퍼(52)가 반경 방향으로 후퇴되어 하우징(51)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41)의 하부 테두리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어 장착된 내솥커버(40)가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뚜껑(20)의 하면부에 구비된 컨트롤패킹(32)이 상기 내솥커버(40)를 하측 방향으로 탄발 지지함에 따라 관통홀(41)의 구속해제시 컨트롤패킹(32)의 복원력으로 내솥커버(40)가 뚜껑(20)의 하면부로부터 자동으로 이격되므로 하우징(51)을 가압하는 원터치만으로 내솥커버(40)가 분리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컨트롤패킹(32)과 함께 상기 컨트롤패킹(32)의 외곽부에 구비된 푸시부(70)가 장착된 내솥커버(40)의 상면을 하측으로 탄발 지지하므로 컨트롤패킹(32)의 노후 및 경화에 따른 탄성 저하시에도 내솥커버(40)의 용이한 분리가 가능하여 제품의 내구성 및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41)이 내솥커버(40)의 테두리로부터 이격된 내부에 위치됨에 따라 내솥커버(40)의 분리시 하우징(51)을 가압하는 사용자 손에 내솥커버(40)의 테두리가 자연스럽게 지지될 수 있으므로 분리된 내솥커버(40)가 내솥(미도시) 내지는 본체(미도시)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낙하된 내솥커버(40)로 인한 찍힘이나 충격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52) 및 상기 하우징(51)이 상기 홀더브라켓(53)에 결합되어 뚜껑(20)의 하면부에 일체로 고정되므로 내솥커버(40)만 독립적으로 분리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별품(도 1의 5 참조)을 보관하는 불편함이 제거되고 별품의 낙하로 인한 내솥(미도시)의 손상이 차단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홀더장치(50)의 각 구성 부품이 상기 뚜껑(20)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조립되는 것이 아니라, 커버플레이트(55)를 통해 홀더브라켓(53)과 스토퍼(52)가 조립되고 스토퍼(52)를 통해 홀더브라켓(53)과 하우징(51)이 조립되어 모듈화될 수 있으므로, 모듈화된 장치가 한번의 작업으로 설치될 수 있어 조립성의 개선과 함께 운반 및 포장에 따른 구성 부품의 분실이 방지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내솥커버(40)의 분리 후 상기 하우징(51)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부재(54)의 탄성력에 의해 스토퍼(52)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복원 이동되고, 스토퍼(52)의 경사부(52e)에 의해 상기 스토퍼관통부(51a)의 하부 테두리가 가압됨에 따라 하우징(51)이 하측으로 복원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토퍼(52)의 일단부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협소화되며 측면부에 라운드진 삽입유도부(52g)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삽입유도부(52g)는 상기 스토퍼돌기부(52a)의 측면부를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측면부 중 하나에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양측면부에 모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스토퍼관통부(51a)의 원주방향 양측 테두리 내주(51d)는 상기 삽입유도부(52g)가 슬라이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51) 및 상기 홀더브라켓(53)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52)가 후퇴되어 상기 삽입유도부(52g) 및 상기 스토퍼관통부(51a)의 원주방향 테두리가 대향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51)을 상측으로 가압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51)을 회전시키면, 상기 삽입유도부(52g)의 곡면을 따라 상기 스토퍼관통부(51a)의 원주방향 테두리 내주(51d)가 슬라이드되며 상기 스토퍼(52)가 상기 스토퍼관통부(51a)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도록 후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52)가 스토퍼관통부(51a)의 원주방향 내측면(51h)에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51)을 하측으로 당기면, 하우징(51)이 홀더브라켓(53)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하우징(51)을 가볍게 가압하며 소정각도 회전시킴으로써 손쉬운 분리가 가능하므로 용이한 세척이 가능하며, 고장시 손쉬운 부품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속홈부(55c)의 일측에는 내부배수홀(55d)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내부배수홀(55d)을 통해 홀더장치(50) 내부로 침투된 증기 및 세척 후 잔존 수분이 손쉽게 배출될 수 있다.
상세히, 취사시 발생된 증기는 상기 홀더브라켓(53) 및 하우징(51) 사이의 틈을 통해 홀더장치(50)의 내부로 침투될 수 있으며, 침투된 증기는 밥물의 끈적임 등으로 스토퍼(52) 및 슬라이드홈부(53a) 사이에 점성 마찰을 발생시켜 제품의 오동작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이때, 침투된 증기의 액화로 발생된 수분이 중력으로 인해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구속홈부(55c)의 내부로 원활하게 수집되고, 구속홈부(55c)의 최하부에 형성된 내부배수홀(55d)를 통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1)의 하면부에는 내부배수홀(55d)을 따라 유입된 수분과 세척시 잔존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외부배수홀(51c)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관통홀(41)의 테두리에는 조립가이드부(44)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51)의 외주에는 상기 조립가이드부(44)와 형합되는 정렬결합부(51b)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조립가이드부(44) 및 상기 정렬결합부(51b)는 상호 형합되는 홀 및 돌기 구조로 구비되되 이러한 홀/돌기 구조는 상호 반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조립가이드부(44)가 상기 관통홀(41)의 테두리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개구된 홀로 구비되고 상기 정렬결합부(51b)가 상기 하우징(51)의 외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된 돌기로 구비된 것을 예로써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정렬결합부(51b)는 하우징(51)의 외주로부터 상기 관통홀(41)의 내주까지의 간격을 초과하는 높이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조립가이드부(44)는 상기 정렬결합부(51b)가 통과 가능한 크기로 구비된다.
즉, 상기 하우징(51)의 정렬결합부(51b) 및 상기 관통홀(41)의 조립가이드부(44)가 상호 정렬된 상태에서만 상기 하우징(51)이 상기 관통홀(41)을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렬결합부(51b)는 상기 내솥커버(40)의 장착방향에 대응되는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51)의 외주 상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51)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스토퍼관통부(51a)의 상단까지의 간격을 초과하는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관통홀(41)의 테두리가 스토퍼(52)에 걸림되도록 상기 내솥커버(40)가 상기 뚜껑(20)의 하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정렬결합부(51b)가 상기 관통홀(41)의 조립가이드부(44)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여 하우징(51)의 회전이 제한되므로 하우징(51)의 회전으로 인해 관통홀(41)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스토퍼(52)가 후퇴되어 내솥커버(40)가 분리되는 등의 오동작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렬결합부(51b)는 상기 스토퍼관통부(51a) 및 상기 슬라이드홈부(53a)의 단부 간 정렬시 상기 내솥커버(40)의 기설정된 장착각도에서 상기 조립가이드부(44)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관통부(51a) 및 상기 슬라이드홈부(53a)의 단부가 정렬된다는 말은 상기 스토퍼(52)의 일단부가 상기 스토퍼관통부(51a)를 통해 하우징(51)의 외부로 돌출 가능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우징(51)이 오조립되어 상기 스토퍼관통부(51a) 및 상기 슬라이드홈부(53a)의 단부가 어긋난 상태에서는 스토퍼(52)가 하우징(51)의 내면에 구속되어 스토퍼(52)를 통한 내솥커버(40)의 고정, 그에 따른 컨트롤패킹(32)과 단차부(42)의 밀착 등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내솥커버(40)는 기설정된 하나의 장착각도로만 상기 뚜껑(20)의 하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솥커버(40)의 테두리 및 상기 뚜껑(20)의 하면부 테두리가 정렬되되, 상기 관통홀(41) 및 원터치 홀더장치(50)의 위치가 정렬되거나 내솥커버손잡이(45) 및 내솥커버장착확인홈(35)의 위치가 정렬된 상태에서만 상기 내솥커버(40)가 뚜껑(20)의 하면부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각도로 배치된 내솥커버(40)의 조립가이드부(44) 및 컨트롤플레이트(60)에 결합된 홀더브라켓(53)의 슬라이드홈부(53a) 단부 사이의 각도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51)에서 상기 정렬결합부(51b) 및 상기 스토퍼관통부(51a) 사이의 각도가 설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관통부(51a) 및 상기 슬라이드홈부(53a)의 단부가 상호 정렬되도록 상기 하우징(51)이 상기 홀더브라켓(53)에 조립되면, 상기 정렬결합부(51b)가 상기 장착각도로 배치된 내솥커버(40)의 조립가이드부(44)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관통부(51a) 및 상기 슬라이드홈부(53a)의 단부가 어긋난 상태에서는 상기 정렬결합부(51b)가 상기 조립가이드부(44)의 위치로부터 이탈되므로 내솥커버(40)를 상기 장착각도로 조립하면, 관통홀(41)의 테두리가 정렬결합부(51b)에 걸림되어 내솥커버(40)의 장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원터치 홀더장치(50)의 세척 및 유지보수를 위한 분리/재조립 후 하우징(51)이 홀더브라켓(53)에 정확하게 조립된 상태에서만 내솥커버(40)의 장착이 가능하므로 조립가이드부(44)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정렬결합부(51b) 위치의 일치 여부를 통해 하우징(51)의 오조립이 용이하게 감지될 수 있으며, 하우징(51)의 오조립으로 인한 내솥커버(40)의 불완전한 장착, 취반 중 내솥커버(40) 및 컨트롤패킹(32) 사이의 증기 누출로 인한 취반품질 저하 및 안전사고 발생 등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41)의 테두리를 통한 정렬결합부(51b)의 가압시 하우징(51)이 비틀림되어 파손되거나 홀더브라켓(53)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정렬결합부(51b)는 상기 하우징(51)의 양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립가이드부(44)는 상기 각 정렬결합부(51b)에 대응하여 상기 관통홀(41)의 양측에 대칭되도록 구비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100: 전기조리기 2,20: 뚜껑
3,40: 내솥커버 4,53: 홀더브라켓
5: 커버홀더 30: 리드플레이트
31: 증기배출홀 32: 컨트롤패킹
41: 관통홀 43: 유동홀
44: 조립가이드부 50: 원터치 홀더장치
51: 하우징 51a: 스토퍼관통부
51b: 정렬결합부 52: 스토퍼
52a: 스토퍼돌기부 52b: 몸체부
52c: 삽입홈 52d: 탈락방지돌기
52g: 삽입유도부 53a: 슬라이드홈부
54: 탄성부재 55: 커버플레이트
55a: 정렬체결공 55c: 구속홈부
60: 컨트롤플레이트 70: 푸시부

Claims (15)

  1.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뚜껑;
    상기 뚜껑의 하면부에 구비되되, 상기 내솥의 증기가 유동되는 연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연통홀에 연결되어 상기 내솥 내부공간 압력의 높낮이에 따라 작동되는 압력대응 작동수단이 구비된 컨트롤플레이트;
    상기 컨트롤플레이트의 하부에 착탈되도록 결합되되,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에 조립가이드부가 형성된 내솥커버; 및
    상기 컨트롤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홀더브라켓과,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를 구속하도록 상기 홀더브라켓의 반경방향을 따라 탄발 이동되는 스토퍼와, 외주에 상기 조립가이드부와 형합되는 정렬결합부가 구비되되 가압시 상기 관통홀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스토퍼를 내부로 수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원터치 홀더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하면부에는 상기 연통홀 및 상기 홀더브라켓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내솥커버의 상면을 하측으로 탄발 지지하는 컨트롤패킹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킹은 상기 내솥커버 및 상기 뚜껑의 하면부 간의 결합간격을 초과하는 높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플레이트 및 상기 홀더브라켓 사이에는 상기 컨트롤플레이트의 하면부를 커버하되, 상기 연통홀과 대응되는 증기배출홀이 형성된 리드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패킹은 상기 증기배출홀 및 상기 홀더브라켓을 감싸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하면부에는 상기 내솥커버의 상면을 하측으로 탄발 지지하는 푸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에는 상기 스토퍼의 일단부가 관통되어 돌출되는 스토퍼관통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 상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스토퍼관통부의 상단까지의 간격을 초과하는 길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브라켓의 하면에는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슬라이드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정렬결합부는 상기 스토퍼관통부 및 상기 슬라이드홈부의 단부 간 정렬시 상기 내솥커버의 기설정된 장착각도에서 상기 조립가이드부 위치에 대응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일단부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협소화되며 측면부에 라운드진 삽입유도부가 구비되되,
    상기 스토퍼관통부의 원주방향 테두리 내주는 상기 삽입유도부가 슬라이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일단부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는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돌출된 테두리의 상부를 따라 상기 스토퍼의 경사부에 슬라이드되도록 라운드진 내면을 갖는 라운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각 스토퍼가 대향되는 대향면 사이에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각 스토퍼의 대향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하면부에는 탈락방지돌기가 돌설되되,
    상기 홀더브라켓의 하부에 결합되는 커버플레이트에는 상기 스토퍼의 이동거리가 제한되도록 상기 탈락방지돌기가 삽입되는 구속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브라켓의 하면에는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슬라이드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커버플레이트에는 상기 구속홈부 및 상기 슬라이드홈부의 형성 방향이 상호 정렬되도록 상기 홀더브라켓에 나사 체결되는 정렬체결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홈부의 일측에는 내부배수홀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의 하면부에는 외부배수홀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KR1020160088126A 2015-09-10 2016-07-12 전기조리기 KR102481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126A KR102481813B1 (ko) 2016-07-12 2016-07-12 전기조리기
CN201610810399.9A CN106510435B (zh) 2015-09-10 2016-09-08 电饭煲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126A KR102481813B1 (ko) 2016-07-12 2016-07-12 전기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201A KR20180007201A (ko) 2018-01-22
KR102481813B1 true KR102481813B1 (ko) 2022-12-27

Family

ID=61094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126A KR102481813B1 (ko) 2015-09-10 2016-07-12 전기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8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723949U (zh) 2013-12-02 2014-07-23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组装便捷的内盖及电热锅
KR101565885B1 (ko) 2014-05-15 2015-11-04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조리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116Y1 (ko) * 2007-02-22 2008-10-10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
KR101292769B1 (ko) * 2011-03-11 2013-08-02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조리기
KR101904403B1 (ko) 2012-06-29 2018-10-04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723949U (zh) 2013-12-02 2014-07-23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组装便捷的内盖及电热锅
KR101565885B1 (ko) 2014-05-15 2015-11-04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201A (ko) 2018-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350B1 (ko) 마이크로웨이브 압력 쿠커
JP6297779B2 (ja) 垂直に押下可能なガスケットおよびそのようなガスケットを備えた圧力調理器
KR101018017B1 (ko) 커버 모듈을 구비한 압력 조리 기구
EP3009053B1 (en) Lid assembly and drink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AU2014319872B2 (en) Pressure cooker
KR20170071130A (ko)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 뚜껑
JP2014526337A (ja) ゴムパッキングのない電気圧力炊飯器及び圧力式調理器具
US20200323380A1 (en) Pressure Cooker
US20070075078A1 (en) Container lid for preventing overbrimming
CN110063658A (zh) 用于至少部分封闭烹饪器皿开口的装置、烹饪器皿系统和电动厨房多用机
KR102481813B1 (ko) 전기조리기
KR101690687B1 (ko) 휴대용 조리용기
KR101225101B1 (ko) 전기 압력밥솥
KR102427182B1 (ko) 전기조리기
KR101693341B1 (ko) 전기조리기
KR102359064B1 (ko) 전기조리기
KR102380952B1 (ko) 전기조리기
KR102355784B1 (ko) 전기조리기
KR101303835B1 (ko) 압력조리기의 뚜껑개폐 안전장치
CN107303131B (zh) 烹饪器具
KR102166514B1 (ko) 압력솥
KR102291876B1 (ko) 가스 조리와 인덕션을 겸비한 이중조리용기
KR20210037303A (ko) 전기조리기
KR101939681B1 (ko) 휴대용 조리용기
KR102344077B1 (ko) 전기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