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8158A - 척 조립체 유지보수 모듈을 구비한 웨이퍼 프로세싱 시스템 - Google Patents

척 조립체 유지보수 모듈을 구비한 웨이퍼 프로세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8158A
KR20170108158A KR1020177024737A KR20177024737A KR20170108158A KR 20170108158 A KR20170108158 A KR 20170108158A KR 1020177024737 A KR1020177024737 A KR 1020177024737A KR 20177024737 A KR20177024737 A KR 20177024737A KR 20170108158 A KR20170108158 A KR 20170108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huck assembly
rotor plate
assembly
contact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4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5251B1 (ko
Inventor
제이슨 라이
마리오 데이비드 실버티
랜디 에이. 해리스
브라이언 푸치
빈센트 스테판 프란시쉬티
사티쉬 선다르
Original Assignee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08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5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vertical transfer of a singl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edge clamping, e.g. clamping 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2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2203/0229Suction chambers for aspirating the sprayed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Robotics (AREA)

Abstract

웨이퍼 프로세싱 시스템은, 웨이퍼들을 척 조립체 내로 로딩하기 위한, 그리고 시스템의 전기도금 프로세서들에 사용되는 척 조립체를 세정하고 검사하기 위한 링 유지보수 모듈을 갖는다. 샤프트가 로터 플레이트에 부착된다. 회전 모터는 샤프트 및 샤프트 상의 로터 플레이트를 회전시킨다. 샤프트의 상부 단부 상의 척 클램프는 척 조립체를 로터 플레이트 상에 홀딩한다. 리프트 모터는, 웨이퍼 로딩 및 언로딩을 위해 척 조립체를 개방되게 이동시키기 위해, 그리고 척 조립체를 상이한 프로세스 포지션들 내로 이동시키기 위해, 로터 플레이트 및 샤프트를 상승 및 하강시킨다. 척 조립체를 세정하기 위해, 스프레이 노즐들을 갖는 스윙 아암(swing arm)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척 조립체 유지보수 모듈을 구비한 웨이퍼 프로세싱 시스템
[0001] 마이크로전자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반도체 웨이퍼 또는 다른 유형의 기판 또는 작업물 상에 형성된다. 전형적인 제조 프로세스에서, 마이크로전자 디바이스들을 생성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디바이스들 사이에 전도성 라인들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얇은 금속 층들이 웨이퍼 상에 형성된다.
[0002] 금속 층들은 일반적으로, 전기도금 프로세서에서 전기화학 도금을 통해 웨이퍼들에 적용된다. 전형적인 전기도금 프로세서는, 전기도금 용액을 홀딩하기 위한 용기, 전기도금 용액과 접촉하는, 보울 내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애노드들, 및 웨이퍼를 터칭하는 다수의 전기 컨택들을 구비한 접촉 링을 갖는 헤드를 포함한다. 작업물의 전방 표면이 전기도금 용액에 침지되고, 전기장은 전기도금 용액의 금속 이온들이 웨이퍼 상에 도금되게 하여, 금속 층을 형성한다.
[0003] 소위 건식(dry) 컨택 전기도금 프로세서들은, 도금 용액들을 컨택들의 부분들로부터 떨어져 유지시키기 위해 시일(seal)을 사용한다. 시일은,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그리고 작업물을 오염시키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반드시 주기적으로 세정되어야 한다. 컨택들 및 시일을 유지보수할 필요성은 전기도금 시스템의 처리량 또는 사용 효율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개선된 설계들이 필요하다.
[0004] 웨이퍼 프로세싱 시스템은, 웨이퍼들을 척 조립체 내로 로딩하기 위한, 그리고 시스템의 전기도금 프로세서들에 사용되는 척 조립체를 세정하고 검사하기 위한 링 유지보수 모듈을 갖는다. 링 유지보수 모듈은 엔클로져(enclosure) 내에 리프트(lift)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모터는 리프트 조립체를 상승 및 하강시킨다. 샤프트가 로터 플레이트에 부착된다. 척 클램프는 샤프트의 상부 단부에 부착된다.척 조립체를 세정하기 위해, 스프레이 노즐들을 갖는 스윙 아암(swing arm)이 제공될 수 있다. 링 유지보수 모듈은 웨이퍼를 척 조립체 내로 로딩 및 언로딩할 수 있고, 척 조립체를 세정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척 조립체의 접촉 링 상의 링 시일에 대한 압력 확인 및 자동화된 육안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0005] 도 1은, 프로세싱 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0006]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링 유지보수 모듈들 중 하나의 전방, 정상부, 및 좌측 사시도이다.
[0007]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링 유지보수 모듈의, 바닥부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바닥부, 후방, 및 우측 사시도이다.
[0008] 도 4는, 척 조립체 로드 및 언로드 포지션에서의, 도 2 및 3에 도시된 링 유지보수 모듈의 단면도이다.
[0009]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척 조립체의 분해 측 사시도이다.
[0010] 도 6은, 도 5의 척 조립체의 바닥부 사시도이다.
[0011] 도 7은, 도 5 및 6에 도시된 척 조립체의 접촉 링의 확대 사시 단면도이다.
[0012] 도 8은, 척 조립체 클램핑 포지션에서의, 도 2-4의 링 유지보수 모듈의 단면도이다.
[0013] 도 9는, 웨이퍼 로딩 및 언로딩 포지션에서 도시된, 도 8의 링 유지보수 모듈의 단면도이다.
[0014] 도 10은, 척 조립체 세정 프로세스에서의 링 유지보수 모듈의 정상부, 후방 및 우측 사시도이다.
[0015] 도 11은, 시일 검사 포지션에서의 링 유지보수 모듈의 정상부, 후방 및 우측 사시도이다.
[0016] 도 12는, 척 조립체 개방 포지션에서의 링 유지보수 모듈의 정상부, 후방 및 우측 사시도이다.
[0017] 도 13은, 링 유지보수 모듈의 시일 테스트 조립체의 바닥부 및 좌측 사시도이다.
[0018] 도 14는, 링 유지보수 모듈의 로터 플레이트 상의 접촉 링 스탠드오프들(standoffs)에 의해 맞물리는, 도 5-7에 도시된 접촉 링의 단면도이다.
[0019]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접촉 링 스탠드오프의 확대 상세 단면도이다.
[0020] 도 16은, 시일 테스트 포지션에서 도 5-6에 도시된 척 조립체와 맞물리는 도 13의 시일 테스트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0021] 도 17은, 척 조립체와 맞물리는 시일 테스트 조립체의 압력 플레이트의 확대 단면도이다.
[0022]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 시스템(20)은, 엔클로져(22) 내의 수평 데크(34) 상에 장착된 모듈들 또는 서브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웨이퍼 또는 기판 컨테이너들(24)은 엔클로져(22)의 전방에서 로드/언로드 스테이션(26)에 도킹될(docked) 수 있다. 사용되는 서브시스템들은, 시스템(20)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제조 프로세스들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시스템(20)은 전방 인터페이스(28)를 포함하며, 전방 인터페이스(28)는 시스템(20)의 안으로 또는 밖으로 웨이퍼들이 이동되도록 임시 저장소를 제공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다른 기능들도 제공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링 유지보수 모듈들(50) 및 전기도금 프로세서들(42)이 전방 인터페이스(28) 뒤에서 엔클로져(22)와 배열된다. 어닐 모듈(30) 및 린스/건조(rinse/dry) 모듈들(32)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0023] 로봇들은 웨이퍼들(114)을 서브시스템들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예컨대, 웨이퍼 로봇(48)은 웨이퍼들을 어닐 모듈(30) 및 린스/건조 모듈(32)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와 링 유지보수 모듈(50)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포지셔닝될 수 있다. 프로세스 로봇(44)은, 웨이퍼를 홀딩하는 척 조립체를 링 유지보수 모듈(50)과 전기도금 프로세서(42)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포지셔닝된다. 기본 형태에서, 시스템(20)은 오직 전기도금 프로세서(42) 및 링 유지보수 모듈(50)만을 포함할 수 있다.
[0024]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유지보수 모듈(50)은, 데크(34) 상에 지지될 수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68)를 갖는다. 엔클로져(70)는 베이스 플레이트(68)에 부착된다. 스핀 모터(74) 및 리프트 모터(76)는 베이스 플레이트(68) 아래에 포지셔닝된다. 전기 커넥터(56)는, 데크(34) 아래에 라우팅된(routed) 케이블로부터 모터들(74 및 76)에 전력을 제공한다. 스윙 아암 조립체(60) 및 분배 컵(58)은 베이스 플레이트(68)의 대향 코너들 상에 지지된다. 환형 위어(weir)(64)는 엔클로쳐(70) 내에 포지셔닝되고, 위어 리프트 액츄에이터들(66)을 통해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선택적인 시일 테스트 조립체(52)는, 링 유지보수 모듈(50) 위에 정렬된, 엔클로져(22)의 캐비넷(138) 상에 지지될 수 있다. 여전히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스윙 아암 조립체(60) 상의 스윙 아암(80)은 스프레이 헤드(82) 상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프레이 노즐들(84)을 갖는다. 브러시(86)가 또한 선택적으로 스프레이 헤드(82) 상에 제공될 수 있다.
[0025]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exhaust) 및 배출(drain) 파이프(78)는 베이스 플레이트(68)를 통과하며, 링 유지보수 모듈(50)의 베이스(136)의 배출 채널(94)에 연결된다. 스핀 모터(74)는, 척 클램프(62)가 샤프트(102)의 정상부 단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샤프트(102)를 회전시킨다.
[0026] 인장 스프링(104)은 샤프트(102)를 아래로 당긴다. 하부 로터 플레이트(106)는 샤프트(102)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하부 로터 플레이트(106)에 고정된 웨이퍼 스탠드오프들(128)은 상부 로터 플레이트(100)의 내측 클리어런스 홀들(clearance holes)과 정렬된다. 마찬가지로, 컨택 링 스탠드오프들(130)은 상부 로터 플레이트(100)의 외측 클리어런스 홀들과 정렬된다.
[0027]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상부 로터 플레이트(100)는 샤프트(102) 및 하부 로터 플레이트(106)와 함께 회전하고, 하부 로터 플레이트(106)에 대해 수직으로 변위 가능하다. 리프트 모터(76)는, 베이스 플레이트(68)에 부착된 트랙(92) 상에서 트랜섬(transom; 91)을 수직으로 구동한다. 샤프트 컵(108)은 트랜섬(91) 상에서 지지되며, 트랜섬(91)에 의해 수직으로 시프팅된다. 작동될 때, 리프트 모터(76)는 트랜섬을 위로 또는 아래로 이동시키며, 이는 대응하여 샤프트(102) 및 상부 플레이트(100)를 수직으로 이동시킨다. 리프트 모터(76), 트랜섬(91), 샤프트 컵(108), 및 샤프트(102)는 함께 리프트 조립체를 형성하며, 리프트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90으로 표시되고, 상부 로터 플레이트(100)를 리프팅하고 하강시킨다. 하부 로터 플레이트(106)는 샤프트 및 상부 로터 플레이트에 의해 회전하지만, 하부 로터 플레이트(106)는 고정된 수직 포지션에 있다. 웨이퍼 스탠드오프들(128) 및 접촉 링 스탠드오프들(130)은, 고정된 길이들을 갖는 하부 로터 플레이트(106)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0028]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레이 캡(96)은, 배기 및 배출 파이프(78)로 이어지는 배출 채널(94) 위에서 링 유지보수 모듈(50)의 베이스(136)에 부착된다. 벨로우즈(134)는 상부 로터 플레이트(100)와 하부 로터 플레이트(106)를 연결할 수 있고, 벨로우즈(134) 및 스프레이 캡(96)은 액체들을 모터들(74 및 76) 및 내부 컴포넌트들로부터 떨어져 유지시키는 것을 돕는다.
[0029] 웨이퍼가 척 조립체(110) 내에 홀딩되는 동안, 전기화학 도금 프로세서들(42)이 전도성 필름을 웨이퍼(114) 상에 전기도금한다. 이는, 유지보수 기능들이 프로세서들(42)에서보다 링 유지모수 모듈(50)에서 수행되는 것을 허용한다. 결과적으로, 접촉 링 유지보수에 요구되는 지연들 없이 프로세서들(42)이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20)의 생산성이 증가된다.
[0030]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 조립체(110)는 접촉 링(112) 및 백킹(backing) 플레이트(116)를 갖는다. 접촉 링(112)은, 접촉 링(112)과 백킹 플레이트(116) 사이에 웨이퍼(114)가 있는 상태로, 접촉 링을 백킹 플레이트(116) 상에 홀딩하기 위한 자석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31] 척 끼워맞춤부(fitting)(120)가 백킹 플레이트(116)의 후면에 부착된다. 샤프트(102)의 정상부의 척 클램프(62)가 척 끼워맞춤부(120)와 맞물린다. 접촉 링(112) 상의 정렬 핀들(118)은, 척 조립체(110)를 도금 프로세서(42)의 로터와 정렬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프로세서(42)에 위치될 때, 척 조립체(110)는 도 5 및 6에 도시된 포지션으로부터 반전된다(invert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링(112)은, 웨이퍼의 외측 둘레 주위에서, 웨이퍼(114) 상의 시드 층(seed layer)과의 전기 컨택들을 만들도록 이루어진 다수의 접촉 핑거들(fingers)(124)을 갖는다. 전형적으로, 접촉 핑거들은 웨이퍼의 에지로부터 약 1 내지 3mm 만큼 웨이퍼를 터칭한다. 접촉 링 상의 링 시일(122)은 전기도금 동안 웨이퍼에 대해 밀봉하며, 전해질을 접촉 핑거들(124)로부터 떨어져 밀봉하여 소위 건식 접촉 링을 제공한다. 접촉 핑거들(124) 및 링 시일(122)은, 공지된 전기화학 프로세싱 프로세서들에 사용되는 것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0032] 링 유지보수 모듈(50)은 웨이퍼(114)를 척 조립체(110) 내외로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해, 그리고 또한, 척 조립체의 세정, 린싱, 및 건조를 포함하는 유지보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동작할 수 있다. 링 유지보수 모듈(50)은 또한, 척 조립체(110)의 링 접촉 시일이 웨이퍼에 대해 충분하게 밀봉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시일 압력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링 유지보수 모듈은 또한 선택적으로, 광학 시일 검사를 제공할 수 있다.
[0033] 링 유지보수 모듈(50)은 이하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웨이퍼(114)를 척 조립체(110) 내로 로딩하기 위해, 링 유지보수 모듈(50)은, 위어(64)가 아래 포지션에 있고, 스윙 아암(80)이 주차(park) 포지션에 있으며, 리프트 조립체(90)가 완전히 위인 포지션에 있는 상태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포지션에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로봇(44)은 비어 있고 깨끗한 척 조립체(110)를 링 유지보수 모듈(50) 내로 이동시키고, 척 끼워맞춤부(120)는 척 클램프(62)와 맞물린다. 접촉 링(112) 상의 정렬 핀들(118)은 백킹 플레이트(116)의 홀들과 정렬되고 이 홀들을 통해 연장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조립체(90)는 리프트 모터(76)를 통해 하강되고, 척 조립체(110)는 상부 로터 플레이트(100) 상에 클램핑된다. 스프링(104)은, 척 조립체에 대해 일정한 클램핑력을 가하기 위해, 샤프트(102)를 아래로 당긴다. 정렬 핀들(118)은 상부 로터 플레이트(100)의 클리어런스 홀들을 통해 돌출된다.
[0034] 도 9를 참조하면, 리프트 조립체(90)가 아래로 계속 이동하여 접촉 링(112)은 접촉 링 스탠드오프들(130) 상에 놓이게 된다. 리프트 조립체(90)가 아래로 더 이동함에 따라, 상부 로터 플레이트(100)의 하향 당김이, 백킹 플레이트(116)와 접촉 링(112)을 함께 홀딩하는 자력을 극복하기 때문에, 백킹 플레이트(116)는 접촉 링(112)으로부터 분리된다. 리프트 조립체(90)는 백킹 플레이트(116)와 함께, 도 9에 도시된 완전히 아래인 포지션으로 이동한다. 웨이퍼 로봇(48)은 웨이퍼(114)를 새로운 개방된 척 조립체(110) 내로 이동시키고, 웨이퍼는 웨이퍼 스탠드오프들(128)의 정상부 상에 위치되며, 웨이퍼는 백킹 플레이트(116)에 대해서 센터링된다(centered).
[0035] 웨이퍼(114)가 척 조립체(110) 내에 로딩된 상태에서, 그런 다음에 링 유지보수 모듈(50)은, 리프트 조립체(90)를 상승시키고 백킹 플레이트(116)를 위로 이동시켜 웨이퍼(114)와 접촉시킴으로써 척 조립체를 폐쇄한다. 웨이퍼가 백킹 플레이트(116) 상에 놓인 상태로, 리프트 조립체(90)는 계속 위로 이동하여, 도 14(이 단계에서 사용되지 않거나 존재하지 않는, 도 16의 시일 테스트 조립체(52)는 제외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킹 플레이트(116)가 자석의 인력(magnetic attraction)을 통해 접촉 링(112)과 다시 결합하게(rejoin) 한다.
[0036] 이제, 프로세싱되지 않은 웨이퍼(114)가 척 조립체(110) 내로 로딩되었고, 링 유지보수 모듈(50)은 척 조립체(110)를, 도 4에 도시된 포지션인 링 유지보수 모듈(50)의 가장 높은 또는 완전히 위인 포지션으로 리프팅한다. 그런 다음에 프로세스 로봇(44)은 척 조립체(110)를 픽업하고 척 조립체(110)를 도금 프로세서(42) 내로 이동시킨다. 웨이퍼는 전기도금되어 전도성 재료의 필름이 웨이퍼 상에 적용된다. 전기도금이 완료된 이후, 프로세스 로봇(44)은, 도금된 웨이퍼(114)를 홀딩하는 척 조립체(110)를 다시 링 유지보수 모듈(50)로 복귀시킨다. 척 조립체(110) 및 웨이퍼(114)는 전기도금 액체로 습윤될(wet) 수 있다.
[0037] 이제, 도금된 웨이퍼(114)를 제거하기 위해, 리프트 조립체(90)가 하강되고 백킹 플레이트(116)는 접촉 링(112)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킹 플레이트(116)가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웨이퍼(114)는 웨이퍼 스탠드오프 핀들(128) 상에 놓이게 된다. 웨이퍼(114)는, 백킹 플레이트가 하강될 때 시일(122)에 들러붙을 수 있다. 웨이퍼(114)가 백킹 플레이트와 함께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웨이퍼를 백킹 플레이트에 홀딩하도록, 그리고 웨이퍼를 시일(122)에 홀딩하는 어떠한 접착력들도 극복하도록 웨이퍼의 후면에 진공이 적용될 수 있다. 로봇(48)은 웨이퍼(114)를 링 유지보수 모듈(50)로부터 제거하고, 웨이퍼를 다시 컨테이너(24)로 운반한다. 그런 다음에, 프로세싱되지 않은 또는 도금되지 않은 후속 웨이퍼(114)가 척 조립체(110) 내로 로딩될 수 있고, 상기 설명된 프로세스가 반복될 수 있다.
[0038] 링 유지보수 모듈(50)은 척 조립체(110)를 세정하고, 린싱하며, 건조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척 조립체(110)는, 양호한 동작 조건으로 유지된다. 일반적으로, 척 조립체는 각각의 사용 이후에 세정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비어 있는 척 조립체(110)는 리프트 조립체(90)를 완전히 위인 포지션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세정될 수 있다. 백킹 플레이트(116)는 접촉 링(112)과 맞물린다. 스윙 아암(80)은 베이스(136) 및 위어(64)에 의해 형성된 챔버 위로 피봇팅되며, 위어(64)는 액츄에이터들(66)을 통해 위 포지션으로 리프팅된다. 스윙 아암의 헤드(82)에 있는 노즐들(84)은 세정 또는 에칭 액체 화학물질(chemical), 물, 및/또는 질소와 같은 가스를 스프레잉한다. 링 유지보수 모듈(50)은, 척 조립체의 표면들을 세정 스프레이에 더 잘 노출시키기 위해, 척 조립체(110)를 천천히 회전시킬 수 있다. 스윙 아암은 또한 선택적으로, 이러한 단계 동안 앞뒤로 스위핑할(sweep) 수 있다.
[0039] 노즐들(84)로부터의 스프레이는 주로, 오염 가능성이 더 큰 시일(122)에 조준될(aimed) 수 있다. 시일(122)을 브러싱하기 위해 브러시 또는 다른 기계적 접촉 엘리먼트가 스윙 아암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세정 액체 화학물질을 적용한 이후에, 링 유지보수 모듈(50)은 린싱 단계 동안 물을 스프레잉할 수 있고, 이어서 건조 단계에서는 공기 또는 가스를 스프레잉할 수 있다. 척 조립체(110)는 선택적으로, 세정 단계들 동안, 리프트 조립체(90)의 수직 포지션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부분적으로 개방되거나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004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 프로세스 이후, 위어(64)는 다시 아래 포지션으로 하강되고 스윙 아암은 홈(home) 포지션으로 복귀되며, 노즐들(84)은 분배 컵(58) 위에 있다. 척 조립체(110)가 이러한 포지션에 있는 상태에서, 링 유지보수 모듈(50)은 시일(122)의 광학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조립체(90)는 접촉 링(112)으로부터 백킹 플레이트(116)를 분리시키기 위해 하강된다. 레이저(160)는 접촉 링(112)을 가로질러 투사되어, 링 시일(122) 상에 포커싱될(focused) 수 있다. 반사된 또는 산란된 레이저 광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검출기들(162)을 통해 감지되며, 시일(122) 상의 금속의 부재 또는 존재를 결정하기 위해 분석된다.
[0041] 금속은 시일 그 자체보다 더 고반사성이기 때문에, 레이저 시스템은 시일 상의 금속 오염을 광학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접촉 링(112)이 천천히 회전할 때, 시일(122) 상의 금속은 감지된 반사된 광에서 검출 가능한 변동들을 야기한다. 시일(122)에 금속이 없으면, 감지된 반사된 광은 상대적으로 더 균일할 것이다. 시일 상의 금속이 검출되면, 척 조립체는 사용에서 제거된다. 어떠한 오염도 검출되지 않으면, 도 12의 척 조립체(110)는 프로세싱되지 않은 웨이퍼(114)가 로딩될 포지션에 있는다. 대안적인 시스템에서, 카메라는 시간에 걸쳐 시일(122)의 이미지들을 수집하고 비교할 수 있는데, 여기서 이미지들은 시일 상의 금속의 축적(buildup)을 나타내는 변화들을 식별하도록 프로세싱된다. 다른 경우에, 이러한 광학 시스템들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퍼와 접촉하는 시일의 수직 팁 또는 림으로 지향될 수 있다. 검출기(162) 또는 카메라는, 이미지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위해, 그리고 링 시일(122) 상에서 오염이 검출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컴퓨터(164)에 링크될(linked) 수 있다.
[0042] 도 9, 13, 및 14에 도시된 선택적 시일 테스트 조립체(52)는, 캐비넷(138) 상의 포지션에 고정되고 링 유지보수 모듈(50) 위에 정렬된 장착 플레이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플레이트(146)는, 선형 액츄에이터들(142)을 통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푸쉬(push) 프레임(144)에 부착된다. o-링(148)은 압력 플레이트(146)의 아래로 향한(down facing) 표면의 리세스에 제공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된(pressurized) 가스 공급 포트(150)는 o-링(148) 내부에서 압력 플레이트(146)를 통해 연장된다.
[0043] 접촉 링(112)의 시일(12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퍼(114)를 척 조립체(110) 내로 로딩하는 하는 것에 의해 압력 테스트를 받을 수 있다. 척 조립체(110)는 개방되고, 스윙 아암은 주차된 포지션에 있으며, 압력 플레이트(146)는 위 포지션에 있고, 위어(64)는 아래 포지션에 있으며, 로터 플레이트(100)는 척 조립체 로딩을 위해 인덱싱된다(indexed).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퍼(114)는 웨이퍼 로봇(48)을 통해 개방 척 조립체 내로 로딩된다. 리프트 조립체(90)는 척 조립체(110)를 폐쇄하기 위해 상승된다. 도 14 및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조립체(90)는 시일 압력 확인 포지션까지 계속 이동하며, 여기서 접촉 링(112)은 접촉 링 스탠드오프들(130)로부터 1-2mm 위로 리프팅된다.
[0044] 그런 다음에,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플레이트(146)는 액츄에이터들(142)을 통해 아래로 이동되며, o-링(148)은 이동하여 접촉 링(112)의 정상부 표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는, 웨이퍼(114) 위의 그리고 압력 플레이트(146) 아래의 공간(152)의 테스트 용적을 생성하며, 공간(152)은 정상부 표면 상의 o-링(148)에 의해 그리고 바닥부 표면 상의 링 시일(122)에 의해 밀봉된다. 액츄에이터들(142) 상의 센서들은, 압력 플레이트(146)가 적절한 포지션에 있음을 검증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가압된 가스, 예컨대, 질소는 포트(150)를 통해 공간(152) 내에 공급된다. 수 초 내에, 압력이 균등해질 것이다. 링 시일(122)이 양호하다면, 가압된 가스 공급부의 질량 유량계는 제로(zero)의 또는 거의 제로의 가스 유량을 보여줄 것이다. 링 시일(122)이 누설되고 있다면, 질량 유량계는 상당한 유량을 보여줄 것이다. 척 조립체(110)가 시일 압력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통과하면, 척 조립체(110)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웨이퍼 프로세싱에 사용된다. 척 조립체가 시일 압력 테스트에 실패하면, 척 조립체(110)가 개방되었다가 폐쇄되고 테스트가 반복될 수 있다. 척 조립체가 여전히 통과하지 못하면, 링 시일(122)은 실제 사용 시에 웨이퍼에 대해 적절하게 밀봉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며, 척 조립체는 사용에서 제거된다.

Claims (15)

  1. 장치로서,
    엔클로져(enclosure);
    상기 엔클로져 내의 리프트 조립체(lift assembly) ― 상기 리프트 조립체는 상부 로터(rotor)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로터 플레이트에 부착되고 회전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shaft)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의 상부 단부는 척 클램프(chuck clamp)에 연결됨 ―;
    상기 리프트 조립체에 연결된 리프트 모터;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프레이 노즐들을 갖는 스윙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스윙 아암은 상기 리프트 조립체 위의 제 1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리프트 조립체의 일 측으로 오프된(off) 제 2 포지션으로 이동 가능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을 위해 상기 샤프트와 연결된 하부 로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로터 플레이트는 상기 리프트 모터의 동작을 통해 상기 하부 로터 플레이트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로터 플레이트의 외측 스루 홀들(through holes)과 정렬된, 상기 하부 로터 플레이트 상의 셋 또는 그 초과의 접촉 링 스탠드오프들(standoffs), 및 상기 상부 로터 플레이트의 내측 스루 홀들과 정렬된, 상기 하부 로터 플레이트 상의 셋 또는 그 초과의 웨이퍼 스탠드오프들을 더 포함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를 하향으로 강제하는 인장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클로져 내의 위어(weir), 및 상기 위어를 리프팅하고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위어에 연결된 위어 리프트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플레이트 위에 포지셔닝되고 압력 플레이트 시일(seal) 및 가스 포트를 포함하는 압력 플레이트를 갖는 시일 테스트 조립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력 플레이트 시일은, 상기 로터 플레이트 상에 지지되는 척 조립체의 접촉 링의 정상부 표면에 대해서 밀봉하도록 이루어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상에 홀딩되는 척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척 조립체는 링 시일을 갖는 접촉 링을 가지며, 상기 접촉 링은 백킹 플레이트(backing plate)에 부착 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백킹 플레이트는 상기 척 클램프와 맞물리는 척 끼워맞춤부(chuck fitting)를 갖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조립체는 로드/언로드 포지션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접촉 링은 상기 접촉 링 스탠드오프들 상에 지지되며 상기 백킹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는,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링 시일에 지향되는 레이저, 및 상기 링 시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감지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센서들을 더 포함하는,
    장치.
  10. 프로세싱 방법으로서,
    척 조립체를 링 유지보수 모듈 내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척 조립체의 백킹 플레이트를 상기 링 유지보수 모듈의 상부 로터 플레이트 상에 클램핑하는 단계;
    상기 척 조립체의 접촉 링을 상기 백킹 플레이트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 로터 플레이트를 하강시키는 단계;
    웨이퍼를 웨이퍼 스탠드오프들 상에 로딩하는 단계;
    상기 백킹 플레이트를 상기 접촉 링에 재-부착하기 위해 상기 상부 로터 플레이트를 리프팅하는 단계; 및
    웨이퍼를 포함하는 상기 척 조립체를 상기 링 유지보수 모듈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척 조립체를 상기 링 유지보수 모듈 내에 위치시키기 전에, 상기 링 유지보수 모듈의 리프트 메커니즘을 위 포지션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척 조립체의 접촉 링 상의 핀들을 상기 링 유지보수 모듈의 상부 로터 플레이트의 개구부들과 정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로세싱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하부 로터에 부착된 접촉 링 스탠드오프들 상에 상기 접촉 링을 지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 링 스탠드오프들은 상기 상부 로터 플레이트의 클리어런스(clearance) 개구부들을 통해 연장되는,
    프로세싱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링 상에 압력 플레이트를 밀봉하고, 상기 압력 플레이트와 상기 웨이퍼의 정상부 표면 사이에 형성된 테스트 공간 내에, 압력 하에서 가스를 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로세싱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백킹 플레이트를 자석 커플링을 통해 상기 접촉 링에 재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로세싱 방법.
  15. 프로세싱 방법으로서,
    척 조립체를 링 유지보수 모듈 내에 위치시키는 단계 ― 상기 척 조립체는 백킹 플레이트, 및 링 시일을 갖는 접촉 링을 포함함 ―;
    상기 척 조립체의 상기 백킹 플레이트를 상기 링 유지보수 모듈의 로터 플레이트 상에 클램핑하는 단계; 및
    세정 액체를 상기 척 조립체 상에 적용하면서 상기 척 조립체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방법.
KR1020177024737A 2015-02-03 2016-01-19 척 조립체 유지보수 모듈을 구비한 웨이퍼 프로세싱 시스템 KR102255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613,081 US9812344B2 (en) 2015-02-03 2015-02-03 Wafer processing system with chuck assembly maintenance module
US14/613,081 2015-02-03
PCT/US2016/013892 WO2016126412A1 (en) 2015-02-03 2016-01-19 Wafer processing system with chuck assembly maintenance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158A true KR20170108158A (ko) 2017-09-26
KR102255251B1 KR102255251B1 (ko) 2021-05-21

Family

ID=56554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737A KR102255251B1 (ko) 2015-02-03 2016-01-19 척 조립체 유지보수 모듈을 구비한 웨이퍼 프로세싱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12344B2 (ko)
KR (1) KR102255251B1 (ko)
CN (1) CN107210256B (ko)
SG (1) SG11201706021WA (ko)
TW (1) TWI663684B (ko)
WO (1) WO20161264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9557B2 (en) 2020-06-22 2023-09-05 Zeus Co., Ltd. Wafer process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95750B2 (ja) * 2016-07-04 2020-05-20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基板ホルダの検査装置、これを備えためっき装置、及び外観検査装置
CN108636908A (zh) * 2018-05-31 2018-10-12 芜湖英特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芯片清理装置
RU2703641C1 (ru) * 2018-08-07 2019-10-21 Александр Николаевич Канцуров Промывочная машина карусельного типа
US11791189B2 (en) * 2018-10-05 2023-10-17 Lam Research Corporation Reflectometer to monitor substrate movement
CN114262920A (zh) * 2020-09-16 2022-04-01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晶圆电镀设备、漏气检测装置和方法、晶圆电镀方法
EP3998374A4 (en) 2020-09-16 2022-08-03 Changxin Memory Technologies, Inc. DEVICE AND METHOD FOR AIR LEAK DETECTION AND METHOD FOR ELECTROPLATING WAFER
CN113471108B (zh) * 2021-07-06 2022-10-21 华海清科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马兰戈尼效应的晶圆竖直旋转处理装置
TWI819334B (zh) * 2021-07-15 2023-10-21 總督科技股份有限公司 預治式晶圓載盤之置載裝置及其方法
CN116960048A (zh) * 2022-04-20 2023-10-27 江苏鲁汶仪器股份有限公司 一种晶圆载台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18977A1 (en) * 2013-04-29 2014-10-30 Applied Materials, Inc. Microelectronic substrate electro processing system
KR20150002712A (ko) * 2012-03-28 2015-01-07 노벨러스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전자도금 기판 홀더들을 세정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6412A (en) 1995-05-16 1996-05-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ertical paddle plating cell
US7022211B2 (en) 2000-01-31 2006-04-04 Ebara Corporation Semiconductor wafer holder and electroplating system for plating a semiconductor wafer
EP1678352A2 (en) 2003-10-22 2006-07-12 Nexx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processing a workpiece
US20060102078A1 (en) 2004-11-18 2006-05-18 Intevac Inc. Wafer fab
US8177944B2 (en) 2007-12-04 2012-05-15 Ebara Corporation Plating apparatus and plating method
KR101261266B1 (ko) * 2010-11-03 2013-05-09 유병소 레이저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가공 방법
US9378988B2 (en) 2011-07-20 2016-06-28 SCREEN Holdings Co., Lt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using processing solution
JP5829092B2 (ja) 2011-10-13 2015-12-09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液処理装置および液処理方法
JP5667545B2 (ja) 2011-10-24 2015-02-12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液処理装置および液処理方法
KR20160022834A (ko) 2013-06-19 2016-03-02 에이씨엠 리서치 (상하이) 인코포레이티드 반도체 기판 상에 접착 필름을 테이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712A (ko) * 2012-03-28 2015-01-07 노벨러스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전자도금 기판 홀더들을 세정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US20140318977A1 (en) * 2013-04-29 2014-10-30 Applied Materials, Inc. Microelectronic substrate electro process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9557B2 (en) 2020-06-22 2023-09-05 Zeus Co., Ltd. Wafer process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26412A1 (en) 2016-08-11
CN107210256B (zh) 2020-08-07
CN107210256A (zh) 2017-09-26
US9812344B2 (en) 2017-11-07
TW201631696A (zh) 2016-09-01
SG11201706021WA (en) 2017-08-30
TWI663684B (zh) 2019-06-21
US20160225656A1 (en) 2016-08-04
KR102255251B1 (ko) 2021-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5251B1 (ko) 척 조립체 유지보수 모듈을 구비한 웨이퍼 프로세싱 시스템
JP6671411B2 (ja) ウェハ保持装置上のメッキの検知
KR101798320B1 (ko) 기판 처리 장치
US10416092B2 (en) Remote detection of plating on wafer holding apparatus
US9309603B2 (en) Component cleaning in a metal plating apparatus
JP4722955B2 (ja) 基板ホルダ及び電解めっき装置
US6660139B1 (en) Plating apparatus and method
TW202108828A (zh) 基板固持器、電子元件製造裝置中搬送基板之搬送系統、及電子元件製造裝置
KR102164575B1 (ko) 마이크로전자 기판 전기 프로세싱 시스템
TWI732968B (zh) 滲漏檢查方法、滲漏檢查裝置、電解鍍覆方法、及電解鍍覆裝置
US7285195B2 (en) Electric field reducing thrust plate
JP2020059868A (ja) 洗浄装置、これを備えためっき装置、及び洗浄方法
US20060141809A1 (en) Single side workpiece processing
JP7145893B2 (ja) ウエハ保持装置上におけるめっきの遠隔検知
TWI742229B (zh) 鍍覆裝置、鍍覆方法、基板架、電阻測定模組以及檢查基板架的方法
US20150221536A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substrate transfer method and substrate transfer device
US7732332B2 (en)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method with inspection pre and post processing
JP3901777B2 (ja) 基板洗浄装置のゲート装置
JPH10163155A (ja) 基板洗浄装置の軸シ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