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849A - 카세트 모듈 - Google Patents

카세트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849A
KR20170107849A KR1020160031691A KR20160031691A KR20170107849A KR 20170107849 A KR20170107849 A KR 20170107849A KR 1020160031691 A KR1020160031691 A KR 1020160031691A KR 20160031691 A KR20160031691 A KR 20160031691A KR 20170107849 A KR20170107849 A KR 20170107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
storage portion
guide plate
medium
variab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진
장현수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1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7849A/ko
Publication of KR20170107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8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D11/0006
    • G07D11/0012
    • G07D11/0018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부 수납부와 하부 수납부가 구비된 프레임, 상기 하부 수납부의 바닥면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푸쉬 플레이트, 상기 푸쉬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푸쉬 플레이트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 되는 스택 가이드 및 상기 상부 수납부에 구비되고 링크 부재에 의해 상기 스택 가이드와 연결되어 상기 스택 가이드가 승강 또는 하강하는 경우 연동하여 회전하는 가변 가이드 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수납부에 매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매체는 상기 상부 수납부의 바닥면 또는 상기 가변 가이드 판의 상면에 집적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세트 모듈{CASSETTE MODULE}
본 발명은 카세트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는, 복수개의 수납공간을 구비한 카세트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 자동화 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상담업무를 제외한 대부분의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다.
금융 자동화 기기는 금융기관에서 발급받은 현금 카드나 통장 등을 사용하여 시간의 제약 없이 현금 또는 수표 등의 매체를 입출금 등을 할 수 있어 금융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금융 자동화 기기 내부에는 사용자가 매체의 입출금을 위해 매체를 투입하거나 수취하는 입출금부, 입출금부를 통해 입금 또는 출금되는 매체의 이상 유무 및 권종을 감별하는 감별부, 감별부에서 감별을 마친 매체가 저장되는 카세트 모듈로 구성된다.
이러한 카세트 모듈에 집적되는 매체는 매체의 권종이나, 위조 여부 등에 의해 각각 분할된 구역에 집적되어야 한다.
따라서, 매체를 용이하게 분할 집적시킬 수 있는 카세트 모듈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매체를 용이하게 분할하여 집적시킬 수 있는 카세트 모듈을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부 수납부와 하부 수납부가 구비된 프레임, 상기 하부 수납부의 바닥면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푸쉬 플레이트, 상기 푸쉬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푸쉬 플레이트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강 되는 스택 가이드 및 상기 상부 수납부에 구비되고 링크 부재에 의해 상기 스택 가이드와 연결되어 상기 스택 가이드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가변 가이드 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수납부에 매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매체는 상기 가변 가이드 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상부 수납부의 바닥면 또는 상기 가변 가이드 판의 상면에 집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상부 수납부 또는 상기 하부 수납부에 선택적으로 상기 매체를 공급하는 게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수납부와 상기 하부 수납부에는 상기 매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에는 상기 매체를 상기 상부 수납부와 상기 하부 수납부로 안내하는 스택 롤러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택 롤러부는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날개편이 구비된 스택 롤러와 상기 스택 롤러에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스택 롤러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이송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가이드 판은 상기 상부 수납부에 구비되는 상기 스택 롤러부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매체가 상기 가변 가이드 판의 상면에 집적되도록 회전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힌지결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 부재는 일단이 상기 스택 가이드의 상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가변 가이드 판의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스택 가이드가 승강 또는 하강하는 경우 상기 가변 가이드 판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 부재는 상기 스택 가이드 및 상기 가변 가이드 판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 부재의 타단에는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가변 가이드 판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릿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모듈은 매체를 용이하게 분할하여 집적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모듈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카세트 모듈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모듈의 하부 수납부에 매체가 집적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모듈의 상부 수납부의 바닥면에 매체가 집적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모듈의 가변 가이드 판의 상면에 매체가 집적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모듈(10)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모듈(10)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모듈(10)은 프레임(100), 푸쉬 플레이트(200), 스택 가이드(300) 및 가변 가이드 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카세트 모듈(10)은 금융 자동화 기기(미도시)에 구비되어 내부에 각종 매체, 예를 들어, 지폐, 티켓, 통장 등 각종 지류(이하, '매체'라 통칭 함)를 집적시키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카세트 모듈(10)은 프레임(10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카세트 모듈(10)의 외측을 규정하는 외측 프레임(101)과 외측 프레임(101)의 내측에서 상부 수납부(110)와 하부 수납부(120)를 규정하는 내측 프레임(10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레임(100)은 카세트 모듈(10)의 하우징을 의미할 수 있다.
프레임(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프레임(102)에는 상부 수납부(110)와 하부 수납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수납부(110)와 하부 수납부(120)는 내측 프레임(102)의 내부에 구비되는 격벽(103)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부 수납부(110)와 하부 수납부(120)에는 금융 자동화 기기의 감별부(미도시)에서 기설정된 기준에 의하여 분리된 매체가 집적될 수 있다.
금융 자동화 기기에 유입된 매체를 상부 수납부(110)와 하부 수납부(120)에 선택적으로 집적시키기 위해 프레임(100)에는 게이트(130)가 구비될 수 있다.
게이트(130)는 매체가 이동하는 반송로(13)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130)는 상부 수납부(110)의 스택 롤러부(500)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반송로(13)는 매체가 이송되는 라인으로서, 반송로에는 복수 개의 반송롤러(12)가 구비되어 매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게이트(130)는 회전함으로써, 매체를 상부 수납부(110) 또는 하부 수납부(120)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게이트(130)의 동작과정에 대해선 후술한다.
상부 수납부(110)와 하부 수납부(120)에는 매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0a, 120a)가 구비될 수 있다. 매체는 상부 수납부(110)의 유입구(110a)와 하부 수납부(120)의 유입구(120a)를 통해 공급되어 상부 수납부(110) 및 하부 수납부(120)에 집적될수 있다.
유입구(110a, 120a)에는 스택 롤러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스택 롤러부(500)는 반송로(13)를 따라 이동한 매체를 상부 수납부(110)와 하부 수납부에 (120)에 공급할 수 있다.
스택 롤러부(500)는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날개편(510a)이 구비된 스택 롤러(510)와 스택 롤러(510)에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스택 롤러(510)가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이송 롤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택 롤러(510)는 회전함으로써 유입되는 매체의 후단을 타격하여 매체를 상부 수납부(110) 또는 하부 수납부(120)에 정렬된 상태로 집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스택 롤러(510)가 회전하는 경우 스택 롤러(510)에 구비되는 날개편(510a)이 유입되는 매체의 후단을 타격하여, 후속적으로 유입되는 매체의 선단과 겹쳐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매체를 정렬된 상태로 집적시킬 수 있다.
하부 수납부(120)에는 푸쉬 플레이트(200)가 구비될 수 있다. 푸쉬 플레이트(200)는 일 예로서, 하부 수납부(120) 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푸쉬 플레이트(200)는 하부 수납부(120)에 구비되어 승강 또는 하강함으로써 매체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체가 하부 수납부(120)에 유입되는 경우 푸쉬 플레이트(200)는 하강하여 매체가 유입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유입된 매체는 푸쉬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집적될 수 있다.
또한, 푸쉬 플레이트(200)는 푸쉬 플레이트(200)의 상측에 배치되는 스택 가이드(300)를 선택적으로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쉬 플레이트(200)는 스택 가이드(300)의 저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승강하여 스택 가이드(30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푸쉬 플레이트(200)가 하강하는 경우, 스택 가이드(300)는 자중 또는 별도의 탄성 장치 등에 의해 하강될 수 있다.
하부 수납부(120)에는 스택 가이드(300)가 회전가능 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택 가이드(300)는 푸쉬 플레이트(2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단부가 힌지결합되어 하부 수납부(120)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택 가이드(300)의 후단부는 회전 가능하게 자유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스택 가이드(300)는 푸쉬 플레이트(120)의 승강 또는 하강에 의해 회전되어 링크 부재(600)를 승강 또는 하강 시킬 수 있다.
승강스택 가이드(300)는 하부 수납부(120)로 유입되는 매체의 이동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매체는 스택 가이드(300)와 푸쉬 플레이트(200) 사이로 유입되어 푸쉬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집적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수납부(110)에는 가변 가이드 판(400)이 구비될 수 있다. 가변 가이드 판(400)은 상부 수납부(1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 수납부(110) 내부 공간에서 상측으로 치우치게 구비될 수 있다.
가변 가이드 판(400)은 상부 수납부(110)로 유입된 매체를 상부 수납부(110)의 바닥면에 집적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택 롤러부(500)를 통과한 매체는 가변 가이드 판(400)에 의해 비산되지 않고 상부 수납부(110)의 바닥면에 정렬되어 집적될 수 있다.
가변 가이드 판(400)은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100)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가변 가이드 판(400)은 상부 수납부(110) 내측에서 회전가능하게 프레임(100)에 결합됨으로써, 스택 롤러부(500)를 통해 유입되는 매체가 상부 수납부(110) 또는 가변 가이드 판(400)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집적되게 할 수 있다.
가변 가이드 판(400)은 링크 부재(600)에 의해 스택 가이드(3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스택 가이드(300)가 회전하는 경우 이에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링크 부재(600)는 일단이 스택 가이드(300) 에 연결되고, 타단은 가변 가이드 판에 연결되게 구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링크 부재(600)는 스택 가이드(300) 또는 가변 가이드 판(400)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링크 부재(600)는 외측 프레임(101)과 내측 프레임(1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택 가이드(300)와 가변가이드(400)는 일부가 내측 프레임(102)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링크 부재(600)는 내측 프레임(102) 외측으로 연장된 스택 가이드(300)와 가변 가이드(400)에 연결될 수 있다.
가변 가이드 판(400)은 링크 부재(60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스택 가이드(300)가 회전하는 경우 이와 연동하여 피봇(41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a를 기준으로 스택 가이드(3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링크 부재(600)는 가변 가이드 판(400)의 우측 단부를 밀어서 가변 가이드판(4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a를 기준으로 스택 가이드(3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링크 부재(600)는 하강하게 되고, 가변 가이드 판(400)의 우측 단부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이때, 링크 부재(600)가 가변 가이드 판(400)과 연결되어 구비되는 경우엔 링크 부재(600)에 의해 우측 단부는 하강하게 된다. 가변 가이드 판(400)은 피봇(4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도 1b를 참조하면, 링크 부재(600)는 가변 가이드 판(40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 부재(400)는 일단이 스택 가이드(300)에 연결되고, 타단은 가이드 판(40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링크 부재(600)의 타단에는 결합돌기(610)가 구비되고, 가변 가이드 판(400)에는 링크 부재(600)의 결합돌기(61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릿부(42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모듈(10)은 가변 가이드 판(400)과 링크 부재(600)의 연결관계를 제외하고는 도 1a에 도시된 카세트 모듈과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모듈(10)은 금융 자동화 기기에 구비되는 감별부(미도시)의 신호에 따라 상기 푸쉬 플레이트(200), 스택 가이드(300) 및 가변 가이드 판(4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유입되는 매체를 분리하여 집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카세트 모듈(10)에서 하부 수납부(120)와 상부 수납부(110)에 매체가 집적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모듈(10)의 하부 수납부(120)에 매체가 집적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금융 자동화 기기에 유입된 매체는 반송로(11)를 따라 공급될 수 있다. 반송로(11)를 따라 이동한 매체는 하부 수납부(120)의 전방에 구비되는 스택 롤러부(500)를 통해 하부 수납부(120)에 유입될 수 있다.
이때, 푸쉬 플레이트(200)는 하강하여, 매체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하부 수납부(120)에 유입된 매체(14)는 스택 가이드(300)에 의해 안내되어 푸시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집적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모듈(10)의 상부 수납부(110)에 매체가 집적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금융 자동화 기기에 유입된 매체는 반송로를 따라 공급될 수 있다. 이때, 게이트(130)는 도 3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여, 매체를 상부 수납부(110)로 안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의 경우, 매체는 게이트(130)의 간섭을 받지않고, 유입되어 하부 수납부(120)로 이동하여, 하수 수납부(120)에 집적되지만, 도 3의 경우, 매체는 게이트(130)에 의해 상부 수납부(110)가 구비된 방향으로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다.
게이트(130)를 통과한 매체는 스택 롤러(500)를 통해 상부 수납부(110)에 유입될 수 있다.
상부 수납부(110)에 유입된 매체(14)는 가변 가이드 판(400)에 의해 안내되어 상부 수납부(110)의 바닥면에 집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금융 자동화 기기에 유입된 매체가 가변 가이드 판(400)의 상면에 집적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금융 자동화 기기에 유입된 매체는 반송로를 따라 공급될 수 있다. 이때, 게이트(130)는 도 3의 경우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여 매체를 상부 수납부(110)로 안내할 수 있다.
하부 수납부(120)에 구비되는 푸쉬 플레이트(200)는 승강할 수 있다. 이때, 푸쉬 플레이트(200)는 승강하여 스택 가이드(300)와 접촉될 수 있으며, 접촉된 후에도 소정 거리 승강하여 링크 부재(60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때, 푸쉬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매체가 집적되어 있는 경우, 스택 가이(300)는 매체와 접촉되어 회전할 수 있다. 푸쉬 플레이트(200)가 승강하는 거리는 푸쉬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매체가 집적되어 있는지 여부 및 집적된 양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링크 부재(600)의 상측 단부는 가변 가이드 판(400)의 저면에 접촉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링크부재(600)가 상승하는 경우 가변 가이드 판(40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가변 가이드 판(40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스택 롤러부(500)를 통과한 매체(14)는 상수 수납부(110)의 바닥면으로 하강하지 않고, 가변 가이드 판(400)의 상면에 집적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모듈(10)은 가변 가이드 판(400)의 위치를 조절하여 매체를 상부 수납부(110)의 바닥면 또는 가변 가이드 판(400)의 상면에 집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프레임(100)에는 가변 가이드 판(4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센서는 가변 가이드 판(400)의 회전 유무를 감지하여 별도의 램프에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램프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램프의 점등 여부를 확인하여 가변 가이드 판(40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모듈(10)은 회전 가능한 가변 가이드 판(400)을 구비함으로써, 상부 수납부(110)와 하부 수납부(120) 외에 추가적으로 가변 가이드 판(400)의 상면에 매체를 집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카세트 모듈 100: 프레임
200: 푸쉬 플레이트 300: 스택 가이드
400: 가변 가이드판 500: 스택 롤러부
600: 링크부재

Claims (8)

  1. 상부 수납부와 하부 수납부가 구비된 프레임;
    상기 하부 수납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푸쉬 플레이트;
    상기 푸쉬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푸쉬 플레이트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강되는 스택 가이드; 및
    상기 상부 수납부에 구비되고 링크 부재에 의해 상기 스택 가이드와 연결되어 상기 스택 가이드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가변 가이드 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수납부에 매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매체는 상기 가변 가이드 판에 위치에 따라 상기 상부 수납부의 바닥면 또는 상기 가변 가이드 판의 상면에 집적되는 카세트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상부 수납부 또는 상기 하부 수납부에 선택적으로 상기 매체를 공급하는 게이트가 구비된 카세트 모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납부와 상기 하부 수납부에는 상기 매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에는 상기 매체를 상기 상부 수납부와 상기 하부 수납부로 안내하는 스택 롤러부가 배치된 카세트 모듈.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롤러부는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날개편이 구비된 스택 롤러와 상기 스택 롤러에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스택 롤러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카세트 모듈.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가이드 판은 상기 상부 수납부에 구비되는 상기 스택 롤러부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매체가 상기 가변 가이드 판의 상면에 집적되도록 회전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카세트 모듈.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재는 일단이 상기 스택 가이드의 상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가변 가이드 판에 연결되어 상기 스택 가이드가 승강 또는 하강하는 경우 상기 가변 가이드 판을 회전시키는 카세트 모듈.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재는 상기 스택 가이드 및 상기 가변 가이드 판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구비되는 카세트 모듈.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재의 타단에는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가변 가이드 판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릿부가 구비되는 카세트 모듈.
KR1020160031691A 2016-03-16 2016-03-16 카세트 모듈 KR201701078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691A KR20170107849A (ko) 2016-03-16 2016-03-16 카세트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691A KR20170107849A (ko) 2016-03-16 2016-03-16 카세트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849A true KR20170107849A (ko) 2017-09-26

Family

ID=60037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691A KR20170107849A (ko) 2016-03-16 2016-03-16 카세트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78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1250A (zh) * 2018-11-13 2019-03-12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收纳箱及纸币处理装置
KR20220092662A (ko) * 2020-12-24 2022-07-04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1250A (zh) * 2018-11-13 2019-03-12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收纳箱及纸币处理装置
CN109461250B (zh) * 2018-11-13 2021-08-06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收纳箱及纸币处理装置
KR20220092662A (ko) * 2020-12-24 2022-07-04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79839A (zh) 纸币处理装置
CN105247578A (zh) 介质保护装置和介质分离聚集装置
US20140284171A1 (en) Media case and banking machine
KR100961578B1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매체 리젝트 방법
KR101513963B1 (ko) 매체 처리장치
KR20170107849A (ko) 카세트 모듈
KR101671572B1 (ko) 매체집적장치, 매체집적방법 및 금융기기
KR20170112341A (ko)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KR20170031365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JP6398592B2 (ja) 媒体収納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KR101706278B1 (ko) 지폐류 분리집적장치
KR20160077780A (ko) 다권종 카세트장치
JP6532662B2 (ja) 紙葉類繰出機構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KR101457296B1 (ko) 동전 처리기 및 금융 기기
KR101622833B1 (ko)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
KR101712241B1 (ko)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KR10152049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KR20090062006A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610998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입금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2322633B1 (ko) 지폐계수모듈의 지폐집적장치
KR102519718B1 (ko) 트레이 유닛 어셈블리
KR20180057025A (ko) 카세트의 지폐 유무 감지장치
KR101678892B1 (ko) 다권종 지폐 스택정렬장치
KR20120078054A (ko) 집적 공간 조절 가이드를 구비한 지폐취급장치와 지폐취급방법
KR20180022359A (ko) 카세트 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