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804A - 무선 충전 패드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804A
KR20170107804A KR1020160031583A KR20160031583A KR20170107804A KR 20170107804 A KR20170107804 A KR 20170107804A KR 1020160031583 A KR1020160031583 A KR 1020160031583A KR 20160031583 A KR20160031583 A KR 20160031583A KR 20170107804 A KR20170107804 A KR 20170107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harge
unit
powe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명구
Original Assignee
고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명구 filed Critical 고명구
Priority to KR1020160031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7804A/ko
Publication of KR20170107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8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2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01M10/465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with solar battery as charging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기기의 충전이 가능한 충전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함과 아울러 입력장치의 부속장치와 같이 다른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최대화한 무선 충전패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충전 패드{Wireless Charging Pad}
본 발명은 무선충전패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기기의 충전이 가능한 충전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함과 아울러 입력장치의 부속장치와 같이 다른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최대화한 무선 충전패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사용자들은 사무공간 또는 생활공간에서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를 사용하고 있다. 일례로 컴퓨터, 유선전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노트북, 이들 장치에 사용되는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 카메라, 외장형 저장장치와 같은 다양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모두 각각의 전원공급 수단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여 공급수단이 통일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각 전자장치에 따른 전원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부족한 사무공간, 생활공간이 더욱 협소해지고, 전자기기의 사용에 불편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동일한 전원공급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복수의 전자기기를 동시에 충전하는 것이 곤란하여 복수의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충전에 따른 번거로움 또는 충전을 위한 공간할애가 필수적인 상황이다.
더욱이 사무공간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는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와 함께 충전을 위한 공간을 별도로 마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8-0085469(공개일 2008.09.2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기기의 충전이 가능한 충전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함과 아울러 입력장치의 부속장치와 같이 다른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최대화한 무선 충전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패드는 전원부;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단자에 연결된 전자기기에 공급하는 충전인터페이스부; 충전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부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충전코일에 의해 무선으로 공급하는 충전선택부; 및 상기 전원부와 상기 충전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충전선택부의 연결을 제어하여, 상기 전원이 상기 충전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충전선택부에 공급되게 하는 충전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선택부는 무선충전방식 또는 규격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는 복수의 충전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충전코일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충전선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부는 외부전원으로부 전원을 공급받기위한 외부전원연결부 및 솔라셀과 상기 솔라셀에서 발생된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태양전지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제어부, 상기 충전선택부, 상기 충전인터페이스 및 상기 전원부가 내장되고, 상면이 상기 전자기기의 거치 또는 입력장치의 입력면으로 이용되는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패드는 다양한 기기의 충전이 가능한 충전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함과 아울러 입력장치의 부속장치와 같이 다른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하여 공간활용을 효율성을 최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패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 예시도.
도 2는 도 1의 무선충전패드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 예시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패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무선충전패드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패드는 충전제어부(10), 충전선택부(20), 충전인터페이스(30), 전원부(40) 및 바디(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충전제어부(10)는 충전패드에 전자기기의 연결 여부를 인식하고, 충전패드의 각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충전제어부(10)는 충전선택부(20), 충전인터페이스(30), 전원부(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우선 충전제어부(10)는 충전패드의 바디(50) 상부에 놓여지거나 인접하게 위치하는 전자기기를 인식하고 이에 따라 충전선택부(20)를 제어하여 전자기기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제어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충전제어부(10)는 충전선택부(20)를 제어하여 충전코일(21)과 공진 또는 유도가 가능한 전자기기가 무선충전패드의 바디(50) 상부(51) 또는 인접하여 위치하는지 감지한다. 그리고, 감지결과에 따라 감지된 전자기기에 무선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방식을 선택하게 충전선택부(20)를 제어한다. 또한, 충전제어부(10)는 충전인터페이스(30)와 전자기기의 유선 연결여부를 감지하고, 전자기기가 연결된 경우 전원부(40)를 제어하여 충전인터페이스(3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충전제어부(10)는 전원부(40)를 제어하여 충전인터페이스 또는 충전코일(21)에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전원부(40)가 외부전원연결부(41)와 태양전지부(45)로 병행 구성되는 경우 이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충전인터페이스(30) 또는 충전코일(21)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부(40)를 제어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충전제어부(10)는 태양광이 충전가능한 상태인 경우 태양전지부(45)를 충전상태로 유지하여 태양전지부(45)의 배터리(47)를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한편, 충전일 필요한 전자기기가 충전가능상태 예를 들어, 충전인터페이스(30)에 연결되거나, 바디(50) 상부(51)에 거치되거나, 충전패드 인근에 위치하는 경우 외부전원연결부(41)를 제어하여 외부전원이 충전인터페이스(30) 또는 충전선택부(20)에 공급되게 한다. 반변, 외부전원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 또는 배터리(47)가 만충전된 것으로 판단되면, 태양전지부(45)를 제어하여 충전인터페이스(30) 또는 충전코일(21)에 전력을 공급한다.
충전선택부(20)는 충전제어부(10)에 따라 제어되어 전자기기에 충전을 위한 무선전력을 공급한다. 특히, 충전선택부(20)는 다른 방식의 무선충전 또는 다른 규격의 무선충전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유도코일(21)을 충전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선택하여 충전전력을 공급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충전선택부(20)는 충전코일(2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충전코일(21)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자기공진방식과 같이 각각의 방식에 적합한 복수의 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충전코일(21)은 자기유도방식의 규격에 따라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충전선택부(20)는 전자기기에서 사용되는 규격 및 충전방식에 따라 충전코일(21)을 선택하여 충전전력을 전자기기에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충전선택부(20)는 충전제어부(10)에 의해 제어되어 충전코일(21)을 선택하고, 충전코일(21)은 충전선택부(20)의 선택에 의해 전원부(40)와 연결된다.
충전인터페이스(30)는 전자기기와의 유선연결을 위해 마련된다. 이 충전인터페이스(30)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기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 다양한형태, 다양한 전압의 단자(31 : 31a, 31b, 3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단자는 USB, 마이크로 USB, 어댑터 단자와 같은 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연결단자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충전인터페이스(30)에 구성되는 단자는 동일한 종류, 동일한 방식의 단자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전원부(40)는 충전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충전코일(21) 또는 충전인터페이스(3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전원부(40)는 충전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충전코일(21) 또는 충전인터페이스(30)에 연결된다. 이러한 전원부(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전원 또는 컴퓨터와 같은 모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외부전원 연결부(41) 또는 자체 전력을 생산하여 충전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수단, 예를 들어 태양전지부(45)와 같은 전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외부전원연결부(41)는 외부전원 또는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전원단자, 케이블과 같은 구성이 마련되고, 전원단자 또는 케이블에 의해 외부전원과 연결된다. 이러한 외부전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용전원일 수도 있고, 컴퓨터와 같은 모장치일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 외부전원연결부(41)는 충전인터페이스(30)에 마련되는 단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전원과 연결될 수도 있으며,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태양전지부(45)는 외부전원이 미비되는 경우 충전된 전력을 충전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충전코일(21) 또는 충전인터페이스(3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태양전지부(45)는 솔라셀(46)과 배터리(4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솔라셀(46)은 태양광을 받아 전력을 생산하고 생산된 전력을 배터리(47)에 충전하거나 충전인터페이스(30) 또는 충전코일(21)에 공급한다. 이러한 솔라셀(4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50)의 상부(51)면에 배치되어 외부광을 이용한 발전을 수행하게 된다. 배터리(47)는 솔라셀(46)에서 충전된 전력을 저장하며, 충전제어부(10)에 의해 충전인터페이스(30) 또는 충전코일(20)과 연결되는 경우 저장된 전력을 출력하여 공급한다. 여기서, 배터리(47)는 외부전원연결부(41)에 의해 충전될 수도 있으며,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바디(50)는 충전제어부(10), 충전인터페이스(30), 충전선택부(20), 전원부(40)가 내장되며, 전자기기의 충전을 위한 거치, 연결을 위한 장치로 이용된다. 특히, 바디(50)의 상부(51)는 전자기기의 충전을 위한 거치대의 역할, 솔라셀(46)의 설치를 위한 공간으로 이용되는 한편, 마우스, 타블렛, 디지타이저와 같은 입력장치의 운용을 위한 패드로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충전패드는 좁은 공간에서 다양한 전자기기에 대한 충전을 위한 스테이션의 역할과 함께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의 입력면과 같이 별도의 기능을 위해 활용하도록 하여 공간활용성 및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무선충전패드는 다양한 무선충전방식에 대응하여 다양한 전자기기에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제어부(10)와 이에 의해 제어되는 충전선택부(20) 및 복수의 충전코일(21)을 구성하고, 충전코일(21)을 방식 또는 규격에 따라 충전선택부(20)에 의해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다른 방식 또는 규격의 충전방식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호환하여 충전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이에 부가하여 다양한 규격의 충전단자를 구비함으로써 유선에 의해 전자기기를 연결하고 충전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의 각각의 충전수단을 운용하지 않고도 충전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충전패드는 태양전지부(45)를 구성하여 외부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도 발전에 의해 배터리(47)를 충전하고, 배터리(47)에 충전된 전력을 충전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전자기기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무선충전패드는 휴대성을 함께 부여하고, 발전수단을 통한 전력의 생산 및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자기기의 운영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10 : 충전제어부 20 : 충전선택부
30 : 충전인터페이스 40 : 전원부
41 : 외부전원연결부 45 : 태양전지부
46 : 솔라셀 47 : 배터리
50 : 바디 51 : 상부

Claims (5)

  1. 전원부;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단자에 연결된 전자기기에 공급하는 충전인터페이스부;
    충전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부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충전코일에 의해 무선으로 공급하는 충전선택부; 및
    상기 전원부와 상기 충전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충전선택부의 연결을 제어하여, 상기 전원이 상기 충전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충전선택부에 공급되게 하는 충전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선택부는
    무선충전방식 또는 규격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는 복수의 충전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패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충전코일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충전선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패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외부전원으로부 전원을 공급받기위한 외부전원연결부 및
    솔라셀과 상기 솔라셀에서 발생된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태양전지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패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부, 상기 충전선택부, 상기 충전인터페이스 및 상기 전원부가 내장되고, 상면이 상기 전자기기의 거치 또는 입력장치의 입력면으로 이용되는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패드.
KR1020160031583A 2016-03-16 2016-03-16 무선 충전 패드 KR201701078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583A KR20170107804A (ko) 2016-03-16 2016-03-16 무선 충전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583A KR20170107804A (ko) 2016-03-16 2016-03-16 무선 충전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804A true KR20170107804A (ko) 2017-09-26

Family

ID=60036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583A KR20170107804A (ko) 2016-03-16 2016-03-16 무선 충전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78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637A (ko) 2020-02-21 2021-08-31 박상권 위치추적 가능한 무선충전 패드 및 이를 장착한 다이어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637A (ko) 2020-02-21 2021-08-31 박상권 위치추적 가능한 무선충전 패드 및 이를 장착한 다이어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16014A (zh) 电池充电方法及电子装置
US20120319487A1 (en) Integrated Battery Backup and Charging for Mobile Devices
CN103259297B (zh) 无线充电控制方法和无线充电装置
US20160372952A1 (en) Charging system and mobile charging device and power supply device thereof
JP2013051797A (ja) 出力コネクタを備えるバッテリパック及びバッテリパックと電池駆動機器並びにバッテリパックを用いた充電方法
JP5839105B2 (ja) 送電装置及び送電制御方法
JP2014017989A (ja) 携帯端末、無接点充電システム及び無接点充電の管理方法
US20150130396A1 (en) Mobile device solar powered charging apparatus, method, and system
JP6102946B2 (ja) 携帯端末及びその非接触充電方法
KR20200042268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유무선 충전 방법
CN110098650A (zh) 用于线性充电的充电装置、充电方法及电子设备
CN104065145A (zh) 无线充电装置及其充电方法
JP4180001B2 (ja) バッテリーベースより双方向に入出力可能な充電装置
US9425648B2 (en) Mobile device solar powered charging apparatus, method, and system
KR20170107804A (ko) 무선 충전 패드
JP3178882U (ja) 充電装置
KR20140117185A (ko) 재충전 모듈을 구비한 무선 충전 장치 및 유무선 복합 충전 시스템
KR101604228B1 (ko)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
KR101270675B1 (ko) 급전장치
KR101492388B1 (ko) 충전 테이블
KR102269111B1 (ko) 충전용 배터리가 구비된 무선 전자 디바이스
JP2016063659A (ja) 充電用コネクタ
KR20100010649U (ko) 무접점 충전 정위치 표시기능이 구비된 스탠드 조명장치
CN110165735B (zh) 一种充电方法及充电设备
KR200475093Y1 (ko) 배터리 충전 크래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368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731

Effective date: 2019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