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228B1 -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228B1
KR101604228B1 KR1020140174026A KR20140174026A KR101604228B1 KR 101604228 B1 KR101604228 B1 KR 101604228B1 KR 1020140174026 A KR1020140174026 A KR 1020140174026A KR 20140174026 A KR20140174026 A KR 20140174026A KR 101604228 B1 KR101604228 B1 KR 101604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charging
control module
wireless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진
신현석
이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엠텍
Priority to KR1020140174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with a programmable sched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4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dapted for charging from various sources, e.g. AC, DC or multi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H)의 RX 무선충전부(R)가 TX 무선충전부(21)에 근접하면서도 예비배터리(SB)의 전극단자(SB1)가 충전단자(11)에 동시에 접속될 경우 선행문헌과 같이 메인배터리(MB) 및 예비배터리(SB)를 함께 충전시키지 않고 시퀀스 제어부(30)의 순차 제어에 따라 유선충전 컨트롤모듈(10) 및 무선충전 컨트롤모듈(20) 중 어느 하나를 우선하여 동작시켜 예비배터리(SB) 및 메인배터리(MB) 중 어느 하나를 먼저 충전시킨 후 유선충전 컨트롤모듈(10) 및 무선충전 컨트롤모듈(20) 중 나머지 하나를 이어서 동작시켜 예비배터리(SB) 및 메인배터리(MB) 중 나머지 하나를 차례로 충전시키도록 하여 국제규격인 5V의 전압, 1.8∼2A의 전류 그리고 9W의 최대전력을 유지토록 하여, 현재 스마트폰(H)에 사용되고 있는 어댑터라고 하는 전원공급부(P)와의 호환을 유지하여 단박에 실용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용량 문제로 전원공급부(P)를 추가로 개발할 필요도 없고, 기존 스마트폰(H)과 함께 세트로 판매될 수 있도록 하며, 소비자가(價) 역시 큰 변화없이 그대로 활용토록 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A COMBINED WIRE-WIRELESS CHARGER FOR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재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어댑터라고 하는 전원공급부와 호환을 유지하여 단박에 실용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용량 문제로 전원공급부를 추가로 개발할 필요가 없고, 기존 스마트폰과 함께 세트로 판매될 수 있으며, 소비자가(價)의 큰 변화없이 활용토록 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장시간 휴대하면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메인배터리뿐만 아니라 보조배터리에 대한 충전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스마트폰용 충전기로서 유선충전방식 및 무선충전방식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유선충전방식의 충전기나 무선충전방식에 의한 충전기는 모두 하나의 배터리나 하나의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많은 불편함을 주고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66446호에는 유무선 겸용 충전기를 선행기술문헌으로 공지하고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유무선 겸용 충전기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1b는 도 1a에서 충전모드 선택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고, 도 1c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유무선 겸용 충전기에 있어서 코일 플레이트가 분해된 경우의 사시도이며, 도 1d는 선행기술문헌에 의한 유무선 겸용 충전기의 사용상태 분리 사시도이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유무선 겸용 충전기(100)는 유선충전모듈(160), 무접점 충전전력 공급모듈(170), 1차코일(171), 충전모드 표시부(192a) 및 컨트롤러(180)를 포함한다.
유선 충전모듈(160)은 피충전대상인 배터리(20)의 전극단자(21)와 접촉하는 충전단자(161)를 구비하고, 전원공급부(미 도시)로부터 공급받은 전류를 충전단자(161)와 배터리(20)의 전극단자(21)의 접속을 통해 통신단말기 배터리(20)의 정격 전압에 이를 때까지 충전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무접점 충전전력 공급모듈(170)은 유선 충전모듈(16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 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시변 전력[예컨대 펄스파(고주파 교류 전압 펄스), 구형파, 삼각파, 정현파 등]으로 변환하여 1차코일(171)로 공급하는 구성이다[이러한 무접점 충전전력 공급모듈(170)은 통상의 기술자에 공지되어 있다]
1차코일(171)은 무접점 충전전력 공급모듈(170)로부터 시변 전력을 인가받아 이를 기초로 자계를 생성하여 통신단말기(10)에 구비된 2차코일(12)과 자기 결합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즉, 1차코일(171)과 통신단말기(10)의 2차코일(12) 간의 자기 결합에 의해서 2차코일(12)에 기전력이 발생한다.
선행기술문헌의 무접점 충전전력 공급모듈(170)과 1차코일(171)은 자기 결합방식에 의해서 충전전력을 2차코일(12)로 보내는데, 자기 결합방식에 의한 전력 공급방식에는 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 공급방식과 자기 공명에 의한 전력 공급방식을 예로 들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유선 충전모드와 무접점 충전모드의 작동을 기초로 충전모드 표시부(192a)의 표시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유선 충전모듈(160)을 통해서 배터리(20)에 충전하고, 동시에 1차코일(171)을 통해서 무접점 충전방식으로 통신단말기(10)로 충전을 할 수 있으므로 충전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유선 충전방식으로 예비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동시에 무접점 충전방식으로 배터리를 분리하지 않고 통신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고, 그 결과 한 번에 서로 다른 2 가지의 충전방식에 의해서 배터리를 분리하지 않은(배터리가 장착된) 통신단말기 자체와 예비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으므로 주어진 충전시간에 2배의 충전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통신단말기(10)는 1차코일(171)에 의한 자기 결합에 의해서 커플링(coupling) 되어서 자기 결합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2차코일(12)과, 2차코일(12)에 발생된 자기 결합 기전력에 의해서 통신단말기(10) 내에 장착된 배터리(미 도시)를 충전시키는 무접점 충전전력 수신모듈(11)을 구비한다.
무접점 충전전력 수신모듈(11)과 2차코일 자체는 공지된 기술이다.
전원공급부는 상용 교류 전원일 수도 있고, 상용 교류전원을 감압하고 정류한 DC 전원일 수도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유무선 겸용 충전기는 유선 충전모듈(160)을 통해서 배터리(20)에 충전하고, 동시에 1차코일(171)을 통해서 무접점 충전방식으로 통신단말기(10)로 충전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현재 스마트폰에 사용되고 있는 어댑터라고 하는 전원공급부와 호환이 되지 않아 현실적으로 실용화시킬 수가 없고, 이 때문에 전원용량을 키운 고가의 전원공급부를 추가로 개발한 후 새로운 구성요소로서 스마트폰과 함께 세트로 판매하여야만 하여 결국 소비자가(價)를 높일 수밖에 없는 한계를 안고 있다.
즉, 현재 시중에서 사용되는 충전전원의 국제규격은 아래의 표 1에서와 같이 유선충전시 전압 5V, 최대전류 1.8∼2A, 최대전력 9W이며, 무선충전시 역시 전압 5V, 최대전류 1.8∼2A, 최대전력 9∼10W인데,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유무선 겸용 충전기는 유무선충전시 전압 5V를 유지한다 하더라도 최대전류 3.6A, 최대전력 18W가 되어, 이미 시중에서 국제규격으로 스마트폰과 세트화되어 있는 어댑터라고 하는 전원공급부와 호환이 되지 않아 그 개발을 새롭게 하여야만 하고, 특히 최대전류 3.6A일 경우 국제규격인 어댑터의 Micro 5pin USB Cable을 사용할 수 없고[열 발생에 의한 화재의 위험으로 인하여 사용할 수 없고] DC Adaptor Jack Cable을 별도로 추가하여야만 하여 현실화시키는 데 있어서 분명한 한계를 안고 있는 것이다.
[표 1]
Figure 112014118684951-pat0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66446호 - 유무선 겸용 충전기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어댑터라고 하는 전원공급부와 호환을 유지하여 단박에 실용화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용량 문제로 전원공급부를 추가로 개발할 필요가 없는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스마트폰과 함께 세트로 판매될 수 있도록 하며 소비자가(價)의 큰 변화없이 활용토록 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예비배터리 또는 메인배터리 중 급하게 충전할 대상을 미리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편리한 활용을 실현케 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의 우선순위를 사용자가 선택케 하여 충전시의 편리함을 보장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짧은 시간에 예비배터리 그리고 메인배터리로 하여금 충분치는 않지만 일정 부분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복수 인이 함께 동시에 사용케 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TX 무선충전부와 RX 무선충전부가 상호 WPT(Wireless Power Transfer)에 의한 비접촉 자기유도 결합력(Non-Contact Magnetic Inductive Coupling Power)으로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메인배터리에 충전토록 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의 충전위치가 설령 정밀하게 맞지 않더라도 일차다중코일에 의해 커버링토록 하여 충전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공명 결합을 위한 1차공명코일 및 2차공명코일에 의해 수 M까지도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충전케 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예비배터리의 전극단자에 접속되어 전원공급부의 충전전원을 충전시키는 충전단자를 제어하는 유선충전 컨트롤모듈을 지니면서 스마트폰의 RX 무선충전부에 정합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의 충전전원을 상기 스마트폰의 메인배터리에 충전시키는 TX 무선충전부를 제어하는 무선충전 컨트롤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충전단자에 상기 예비배터리의 전극단자가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TX 무선충전부에 상기 스마트폰의 RX 무선충전부가 근접될 경우, 상기 유선충전 컨트롤모듈 및 무선충전 컨트롤모듈 중 어느 하나를 우선하여 동작시켜 상기 예비배터리 및 메인배터리 중 어느 하나를 먼저 충전시킨 후 상기 유선충전 컨트롤모듈 및 무선충전 컨트롤모듈 중 나머지 하나를 이어서 동작시켜 상기 예비배터리 및 메인배터리 중 나머지 하나를 차례로 충전시키도록 순차 제어하는 시퀀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RX 무선충전부가 TX 무선충전부에 근접하면서도 예비배터리의 전극단자가 충전단자에 동시에 접속될 경우 선행문헌과 같이 메인배터리 및 예비배터리를 함께 충전시키지 않고 시퀀스 제어부의 순차 제어에 따라 유선충전 컨트롤모듈 및 무선충전 컨트롤모듈 중 어느 하나를 우선하여 동작시켜 예비배터리 및 메인배터리 중 어느 하나를 먼저 충전시킨 후 유선충전 컨트롤모듈 및 무선충전 컨트롤모듈 중 나머지 하나를 이어서 동작시켜 예비배터리 및 메인배터리 중 나머지 하나를 차례로 충전시키도록 하여 국제규격인 5V의 전압, 1.8∼2A의 전류 그리고 9W의 최대전력을 유지토록 하여, 현재 스마트폰에 사용되고 있는 어댑터라고 하는 전원공급부와의 호환을 유지하여 단박에 실용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용량 문제로 전원공급부를 추가로 개발할 필요도 없고, 기존 스마트폰과 함께 세트로 판매될 수 있도록 하며, 소비자가(價) 역시 큰 변화없이 그대로 활용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시퀀스 제어부는 충전단자에 예비배터리의 전극단자가 접속됨과 동시에 TX 무선충전부에 스마트폰의 RX 무선충전부가 근접될 경우, 먼저 접속 또는 근접되는 대상을 우선하여 제어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예비배터리 또는 메인배터리 중 급하게 충전할 대상을 미리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편리한 활용을 가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예비배터리 또는 스마트폰에 장착된 메인배터리를 순서없이 임의대로 충전단자에 접속시키거나 TX 무선충전부에 근접시킨 후, 시퀀스 선택부를 간단히 조작하여 충전의 우선순위를 선택케 하여 충전시의 편리함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예비배터리 및 메인배터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10∼80%의 충전율로 먼저 충전시킨 후 나머지 하나를 순차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짧은 시간에 완전 충전은 아닐지라도 예비배터리 그리고 메인배터리로 하여금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복수 인이 함께 동시에 사용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TX 무선충전부와 RX 무선충전부가 상호 WPT(Wireless Power Transfer)에 의한 비접촉 자기유도 결합력(Non-Contact Magnetic Inductive Coupling Power)으로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메인배터리에 충전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충전위치가 설령 정밀하게 맞지 않더라도 일차다중코일에 의해 커버링토록 하여 충전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자기공명 결합을 위한 1차공명코일 및 2차공명코일에 의해 수 M까지도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충전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유무선 겸용 충전기의 블록 구성도.
도 1b는 도 1a에서 충전모드 선택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1c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유무선 겸용 충전기에 있어서 코일 플레이트가 분해된 경우의 사시도.
도 1d는 선행기술문헌에 의한 유무선 겸용 충전기의 사용상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를 나타내는 블록도를 포함한 개념도.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를 나타내는 블록도를 포함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배터리(SB)의 전극단자(SB1)에 접속되어 전원공급부(P)의 충전전원을 충전시키는 충전단자(11)를 제어하는 유선충전 컨트롤모듈(10)을 지니면서 스마트폰(H)의 RX 무선충전부(R)에 정합되어 전원공급부(P)의 충전전원을 스마트폰(H)의 메인배터리(MB)에 충전시키는 TX 무선충전부(21)를 제어하는 무선충전 컨트롤모듈(20)을 포함한다.
전원공급부(P)는 국제규격인 어댑터의 Micro 5pin USB Cable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예비배터리(SB)의 전극단자(SB1)와 충전단자(11)가 접속될 경우 전원공급부(P)의 충전전원을 유선충전 컨트롤모듈(10)을 통해 예비배터리(SB)에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스마트폰(H)의 RX 무선충전부(R)가 TX 무선충전부(21)에 근접될 경우 무선충전 컨트롤모듈(20)을 경유하여 무선으로 전원공급부(P)의 충전전원을 스마트폰(H)의 메인배터리(MB)에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는 충전단자(11)에 예비배터리(SB)의 전극단자(SB1)가 접속됨과 동시에 TX 무선충전부(21)에 스마트폰(H)의 RX 무선충전부(R)가 근접될 경우, 유선충전 컨트롤모듈(10) 및 무선충전 컨트롤모듈(20) 중 어느 하나를 우선하여 동작시켜 예비배터리(SB) 및 메인배터리(MB) 중 어느 하나를 먼저 충전시킨 후 유선충전 컨트롤모듈(10) 및 무선충전 컨트롤모듈(20) 중 나머지 하나를 이어서 동작시켜 예비배터리(SB) 및 메인배터리(MB) 중 나머지 하나를 차례로 충전시키도록 순차 제어하는 시퀀스 제어부(30)(Sequence Controller)를 핵심 구성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H)의 RX 무선충전부(R)가 TX 무선충전부(21)에 근접하면서도 예비배터리(SB)의 전극단자(SB1)가 충전단자(11)에 동시에 접속될 경우 선행문헌과 같이 메인배터리(MB) 및 예비배터리(SB)를 함께 충전시키지 않고 시퀀스 제어부(30)의 순차 제어에 따라 유선충전 컨트롤모듈(10) 및 무선충전 컨트롤모듈(20) 중 어느 하나를 우선하여 동작시켜 예비배터리(SB) 및 메인배터리(MB) 중 어느 하나를 먼저 충전시킨 후 유선충전 컨트롤모듈(10) 및 무선충전 컨트롤모듈(20) 중 나머지 하나를 이어서 동작시켜 예비배터리(SB) 및 메인배터리(MB) 중 나머지 하나를 차례로 충전시키도록 하여 국제규격인 5V의 전압, 1.8∼2A의 전류 그리고 9W의 최대전력을 유지토록 하여, 현재 스마트폰(H)에 사용되고 있는 어댑터라고 하는 전원공급부(P)와의 호환을 유지하여 단박에 실용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용량 문제로 전원공급부(P)를 추가로 개발할 필요도 없고, 기존 스마트폰(H)과 함께 세트로 판매될 수 있도록 하며, 소비자가(價) 역시 큰 변화없이 그대로 활용토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시퀀스 제어부(30)는 충전단자(11)에 예비배터리(SB)의 전극단자(SB1)가 접속됨과 동시에 TX 무선충전부(21)에 스마트폰(H)의 RX 무선충전부(R)가 근접될 경우, 먼저 접속 또는 근접되는 대상을 우선하여 제어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예비배터리(SB) 또는 메인배터리(MB) 중 급하게 충전할 대상을 미리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편리한 활용을 실현케 한다.
또한, 시퀀스 제어부(30)는 충전단자(11)에 상기 예비배터리(SB)의 전극단자(SB1)가 접속됨과 동시에 TX 무선충전부(21)에 스마트폰(H)의 RX 무선충전부(R)가 근접될 경우, 어느 하나를 우선하여 제어시킬 수 있도록 수동 선택하는 시퀀스 선택부(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예비배터리(SB) 또는 스마트폰(H)에 장착된 메인배터리(MB)를 순서없이 임의대로 충전단자(11)에 접속시키거나 TX 무선충전부(21)에 근접시킨 후, 시퀀스 선택부(31)를 간단히 조작하여 충전의 우선순위를 선택케 하여 충전시의 편리함을 보장하는 것이다.
나아가, 시퀀스 제어부(30)는 충전단자(11)에 예비배터리(SB)의 전극단자(SB1)가 접속됨과 동시에 TX 무선충전부(21)에 스마트폰(H)의 RX 무선충전부(R)가 근접될 경우, 유선충전 컨트롤모듈(10) 및 무선충전 컨트롤모듈(20) 중 어느 하나를 우선하여 동작시켜 예비배터리(SB) 및 메인배터리(MB) 중 어느 하나를 10∼80%의 충전율로 먼저 충전시킨 후 유선충전 컨트롤모듈(10) 및 무선충전 컨트롤모듈(20) 중 나머지 하나를 이어서 동작시켜 예비배터리(SB) 및 메인배터리(MB) 중 나머지 하나를 차례로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비배터리(SB) 또는 메인배터리(MB) 중 어느 하나를 풀(Full) 충전시킨 후 나머지 하나를 충전시킬 수도 있으나, 예비배터리(SB) 및 메인배터리(M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10∼80%의 충전율로 먼저 충전시킨 후 나머지 하나를 순차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짧은 시간에 완전 충전은 아닐지라도 예비배터리(SB) 그리고 메인배터리(MB)로 하여금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복수 인이 함께 동시에 사용케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시퀀스 제어부(30)는 충전단자(11)에 예비배터리(SB)의 전극단자(SB1)가 접속되는 경우 및 TX 무선충전부(21)에 스마트폰(H)의 RX 무선충전부(R)가 근접될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유선충전 컨트롤모듈(10) 또는 무선충전 컨트롤모듈(20)을 동작시켜 예비배터리(SB) 또는 메인배터리(MB)를 충전시키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 TX 무선충전부(21)는 비접촉 자기유도 결합용 1차코일(21a)을 포함하고, RX 무선충전부(R)는 1차코일(21a)에 비접촉 자기유도 결합되는 2차코일(R1)을 포함하여, 상호 WPT(Wireless Power Transfer)에 의한 비접촉 자기유도 결합력(Non-Contact Magnetic Inductive Coupling Power)으로 전원공급부(P)의 전원을 메인배터리(MB)에 충전케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TX 무선충전부(21)는 비접촉 자기유도 결합용 일차다중코일(21b)을 포함하고, RX 무선충전부(R)는 일차다중코일(21b)에 비접촉 자기유도 결합되는 이차코일(R2)을 포함하여, 스마트폰(H)의 충전위치가, 즉 이차코일(R2)이 설령 정밀하게 맞지 않더라도 일차다중코일(21b)에 의해 커버링되어 충전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TX 무선충전부(21)는 자기공명 결합용 1차공명코일(21c)을 포함하고, RX 무선충전부(R)는 1차공명코일(21c)에 자기공명(Magnetic Resonance) 결합되는 2차공명코일(R3)을 포함한다.
자기공명 결합을 위한 1차공명코일(21c) 및 2차공명코일(R3)은 수 M까지도 전원공급부(P)의 전원을 충전케 할 수 있어 특히 바람직하게 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의 메인배터리 및 예비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SB : 예비배터리 SB1 : 전극단자
H : 스마트폰 MB : 메인배터리
R : RX 무선충전부 R1 : 2차코일
R2 : 이차코일 R3 : 2차공명코일
P : 전원공급부 10 : 유선충전 컨트롤모듈
11 : 충전단자 20 : 무선충전 컨트롤모듈
21 : TX 무선충전부 21a : 1차코일
21b : 일차다중코일 21c : 1차공명코일
30 : 시퀀스 제어부 31 : 시퀀스 선택부

Claims (8)

  1. 예비배터리(SB)의 전극단자(SB1)에 접속되어 전원공급부(P)의 충전전원을 충전시키는 충전단자(11)를 제어하는 유선충전 컨트롤모듈(10)을 지니면서 스마트폰(H)의 RX 무선충전부(R)에 정합되어 상기 전원공급부(P)의 충전전원을 상기 스마트폰(H)의 메인배터리(MB)에 충전시키는 TX 무선충전부(21)를 제어하는 무선충전 컨트롤모듈(20)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충전단자(11)에 상기 예비배터리(SB)의 전극단자(SB1)가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TX 무선충전부(21)에 상기 스마트폰(H)의 RX 무선충전부(R)가 근접될 경우, 상기 유선충전 컨트롤모듈(10) 및 무선충전 컨트롤모듈(20) 중 어느 하나를 우선하여 동작시켜 상기 예비배터리(SB) 및 메인배터리(MB) 중 어느 하나를 먼저 충전시킨 후 상기 유선충전 컨트롤모듈(10) 및 무선충전 컨트롤모듈(20) 중 나머지 하나를 이어서 동작시켜 상기 예비배터리(SB) 및 메인배터리(MB) 중 나머지 하나를 차례로 충전시키도록 순차 제어하는 시퀀스 제어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시퀀스 제어부(30)는 상기 충전단자(11)에 상기 예비배터리(SB)의 전극단자(SB1)가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TX 무선충전부(21)에 상기 스마트폰(H)의 RX 무선충전부(R)가 근접될 경우, 상기 유선충전 컨트롤모듈(10) 및 무선충전 컨트롤모듈(20) 중 어느 하나를 우선하여 동작시켜 상기 예비배터리(SB) 및 메인배터리(MB) 중 어느 하나를 10∼80%의 충전율로 먼저 충전시킨 후 상기 유선충전 컨트롤모듈(10) 및 무선충전 컨트롤모듈(20) 중 나머지 하나를 이어서 동작시켜 상기 예비배터리(SB) 및 메인배터리(MB) 중 나머지 하나를 차례로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X 무선충전부(21)는 비접촉 자기유도 결합용 1차코일(21a)을 포함하고,
    상기 RX 무선충전부(R)는 상기 1차코일(21a)에 비접촉 자기유도 결합되는 2차코일(R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X 무선충전부(21)는 비접촉 자기유도 결합용 일차다중코일(21b)을 포함하고,
    상기 RX 무선충전부(R)는 상기 일차다중코일(21b)에 비접촉 자기유도 결합되는 이차코일(R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X 무선충전부(21)는 자기공명 결합용 1차공명코일(21c)을 포함하고,
    상기 RX 무선충전부(R)는 상기 1차공명코일(21c)에 자기공명 결합되는 2차공명코일(R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
KR1020140174026A 2014-12-05 2014-12-05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 KR101604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026A KR101604228B1 (ko) 2014-12-05 2014-12-05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026A KR101604228B1 (ko) 2014-12-05 2014-12-05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4228B1 true KR101604228B1 (ko) 2016-03-18

Family

ID=5565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026A KR101604228B1 (ko) 2014-12-05 2014-12-05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2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9973A (zh) * 2018-08-02 2018-11-27 林荣聪 一种电源适配器
KR102152678B1 (ko) * 2020-03-05 2020-09-07 이정화 컨버터를 이용한 유무선충전장치
KR20210053009A (ko) 2019-11-01 2021-05-11 강성경 자녀관리를 위한 휴대단말기 충전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446B1 (ko) * 2012-09-24 2013-05-22 주식회사 에이티앤씨 유무선 겸용 충전기
JP2014155307A (ja) * 2013-02-07 2014-08-25 Tokai Rika Co Ltd 非接触充電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446B1 (ko) * 2012-09-24 2013-05-22 주식회사 에이티앤씨 유무선 겸용 충전기
JP2014155307A (ja) * 2013-02-07 2014-08-25 Tokai Rika Co Ltd 非接触充電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9973A (zh) * 2018-08-02 2018-11-27 林荣聪 一种电源适配器
KR20210053009A (ko) 2019-11-01 2021-05-11 강성경 자녀관리를 위한 휴대단말기 충전기
KR102152678B1 (ko) * 2020-03-05 2020-09-07 이정화 컨버터를 이용한 유무선충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38869B (zh) 无线充电式移动电源及充放电方法
EP2186180B1 (en) Intelligent device and power source interaction
US9093856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incorporating wired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es
CN103078365B (zh) 蓝牙耳机充电盒及其充电方法
CN101558545B (zh) 无线处理系统、无线处理方法和无线电子设备
CN110994810B (zh) 一种无线充电的电子设备及方法
JP6039189B2 (ja) 電子機器
US9287041B2 (en) Coil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wireless power receiver having the same
JP2013162651A (ja) 電子機器
CN203813491U (zh) 一种充电转接装置
JP5959862B2 (ja) 電力供給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604228B1 (ko)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
US20160028269A1 (en) System for wireless exchange of power between mobile devices
KR102292667B1 (ko) 젠더를 이용한 충전시스템
US10170928B2 (en) Power transfer system, power supply system and charging combination
KR20140117185A (ko) 재충전 모듈을 구비한 무선 충전 장치 및 유무선 복합 충전 시스템
KR101712647B1 (ko) 무선 충방전 보조 배터리
CN205829266U (zh) 多口无线充电器
CN204025111U (zh) 一种具有无线充电功能的迷你电风扇
CN207339325U (zh) 一种充电器
CN205544511U (zh) 多功能充电器
KR20150002758U (ko) 휴대용단말기의 무선 충전장치를 구비한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보조배터리
CN217282321U (zh) 无线充电装置及电子设备
US20220231546A1 (en) Dynamic control of wireless power transfer efficiency
KR20170107804A (ko) 무선 충전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