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111B1 - 충전용 배터리가 구비된 무선 전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충전용 배터리가 구비된 무선 전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111B1
KR102269111B1 KR1020160166358A KR20160166358A KR102269111B1 KR 102269111 B1 KR102269111 B1 KR 102269111B1 KR 1020160166358 A KR1020160166358 A KR 1020160166358A KR 20160166358 A KR20160166358 A KR 20160166358A KR 102269111 B1 KR102269111 B1 KR 102269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wireless electronic
wireless
powe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5460A (ko
Inventor
권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66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111B1/ko
Publication of KR20180065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5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small, e.g. for presenting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1Energy harvesting or scaven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7/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2001/020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이 오프(Off)되더라도,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로서,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형성되어 있고,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 스마트폰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무선 충전 어셈블리; 및 무선 충전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무선 충전 어셈블리를 동작시키는 보조 배터리; 를 포함하며, 무선 충전 어셈블리는 보조 배터리와의 전기적 연결의 온/오프(On/Off)를 위한 제 1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고,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전원이 오프(Off)일 때, 제 1 스위치를 턴-온(Turn-On)하면, 보조 배터리에 저장되어 있는 전력이 스마트폰으로 무선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충전용 배터리가 구비된 무선 전자 디바이스 {Wireless Electronic Device Having Battery for Charging}
본 발명은 충전용 배터리가 구비된 무선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주기적인 충전을 요구하는 노트북, 휴대폰, 뮤직 플레이어, PDA 및 다른 자기 출력형(self-powered) 충전 가능한 휴대용/원격 디바이스의 급증으로 인해, 특히 소비자 및 비즈니스 전자 공학 분야에서, 특히, 널리 이용 가능한 전력에 대한 필요가 상당히 그리고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다만, 많은 공공 장소에서, 유선 접속을 위한 전력 콘센트(outlet)의 개수가 제한됨에 따라, 일반 대중에게 쉽게 이용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디바이스를 충전하는데 무선충전 기술이 적용되며, 무선충전 기술은,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무선 충전기가, 외부 전원의 전기에너지를 충전기 내부에 배치된 전자기 코일을 통해 전자기 유도, 전자기 공명 또는 전자기파 형태로 변환하게 되며, 이러한 변환된 전자기 신호는 외부로 방출된다.
이 때, 디바이스의 전지셀 내부에는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기전력으로 변환하는 수신 코일이 배치되어 있어, 무선 충전기로부터 발생된 전자기 신호로 전지셀을 충전하게 된다.
한편, 무선 전자 디바이스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충전과 관련하여,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는 비록 외부의 전원과 노트북이 연결되어 있거나,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메인 배터리의 잔량이 남아있다고 하더라도, 스마트폰의 충전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의 충전하기 위해서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 전원을 온(On) 상태로 해야되는데, 사용자가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사용이 아닌, 스마트폰의 충전만을 위해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전원을 온(On) 상태로 하는 것은 다소 번거로우며,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따라서,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도 스마트폰의 무선 충전이 가능하며, 무선 전자 디바이스 내에 스마트폰의 무선 충전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장치와 관련된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무선 전자 디바이스에 특정한 구조의 제 1 내지 제 3 스위치 및 보조 배터리를 형성하는 경우,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도 효율적으로 스마트폰의 무선 충전이 가능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원이 오프(Off)되더라도,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로서,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 상기 스마트폰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무선 충전 어셈블리; 및 상기 무선 충전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무선 충전 어셈블리를 동작시키는 보조 배터리; 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충전 어셈블리는 보조 배터리와의 전기적 연결의 온/오프(On/Off)를 위한 제 1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전원이 오프(Off)일 때, 상기 제 1 스위치를 턴온(Turn-On)하면, 상기 보조 배터리에 저장되어 있는 전력이 스마트폰으로 무선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무선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충전되는 것은 스마트폰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모든 휴대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자 디바이스 역시, 노트북을 포함하며, 태블릿 PC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모든 휴대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배터리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보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USB 단자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무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탈착된 상태에서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와 호환이 되는 보조 배터리를 별도로 충전시킬 수 있으며, 충전된 상태의 복수 개의 보조 배터리들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배터리는, 상기 무선 전자 디바이스가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때, 상기 메인 배터리와 동시에 충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자 디바이스를 외부의 전원에 연결하여 사용하면서, 보조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함으로써, 별도로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지 않더라도, 외부의 전원을 이용하여 보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무선 충전 어셈블리는 제 2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스위치를 턴-온(Turn-On)하면, 상기 보조 배터리는 메인 배터리와 함께,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배터리가 외부의 전원과 분리되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지 못할 때, 메인 배터리를 보조하여 무선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 2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메인 배터리의 전지 용량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무선 충전 어셈블리는 제 3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스위치를 턴-온(Turn-On)하면, 상기 메인 배터리는 보조 배터리와 함께 상기 무선 충전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배터리의 용량이 스마트폰을 충전시키기 충분하지 않는 경우에는, 메인 배터리의 전지 용량을 끌어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사용을 원치 않고, 스마트폰의 충전을 원할 때, 스마트폰의 충전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하나의 다른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무선 충전 어셈블리는, 상기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보조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충전하는 충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플레이트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인출 및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 플레이트가 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충전 플레이트 상에 스마트폰을 위치시키면, 상기 스마트폰이 무선으로 충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충전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스위치의 턴-온(Turn-On)에 대응하여 무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인출되고, 턴-오프(Turn-Off)에 대응하여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 플레이트는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도록, 스마트폰의 외형에 부합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충전 플레이트에는 스마트폰에 구비되어 있는 전력 수신부에 대응하는 전력 송신부가 코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충전 플레이트는 스마트폰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충전 플레이트의 인출 방향을 기준으로 충전 플레이트의 측면에는 슬라이드 레일 및 잠금 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또 다른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무선 충전 어셈블리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스마트폰을 무선 전자 디바이스와 소정의 거리 이내로 근접하게 위치시키면, 스마트폰이 무선 충전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외면에는,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이 지정된 위치가 아닌, 무선 전자 디바이스와 소정의 거리 이내의 근접한 거리에만 있다면, 무선 충전 어셈블리에 의해 스마트폰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바,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될 수 있다.
하나의 또 다른 구체적인 예에서, 전원이 오프(Off)되더라도,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로서,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형성되어 있고,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는 무선 충전 스위치를 포함하고, 배터리로부터 스마트폰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무선 충전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전원이 오프(Off)일 때, 상기 무선 충전 스위치를 턴-온(Turn-On)하면, 상기 배터리에 저장되어 있는 전력이 스마트폰으로 무선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무선 충전 어셈블리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충전하는 충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플레이트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인출 및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 플레이트가 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충전 플레이트 상에 스마트폰을 위치시키면, 스마트폰이 무선으로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플레이트는, 무선 충전 스위치의 턴-온(Turn-On)에 대응하여 무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인출되고, 턴-오프(Turn-Off)에 대응하여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하나의 또 다른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무선 충전 어셈블리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스마트폰을 무선 전자 디바이스와 소정의 거리 이내로 근접하게 위치시키면, 스마트폰이 무선 충전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외면에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용 배터리가 구비된 무선 전자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기기 충전 목적의 보조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와 메인 베터리 사이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전환시키는 제 1 내지 제 3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도 스마트폰의 무선 충전이 효율적으로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보조 배터리가 무선 충전 어셈블리를 동작시킨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보조 배터리 및 메인 베터리가 함께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보조 배터리 및 메인 베터리가 함께 무선 충전 어셈블리를 동작시킨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배터리가 무선 충전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전의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배터리가 무선 충전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충전 플레이트가 인출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이 무선으로 충전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자 디바이스와 근접한 거리에 있는 스마트폰이 무선으로 충전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는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보조 배터리가 무선 충전 어셈블리를 동작시킨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전자 디바이스(100)는 메인 배터리(110), 무선 보조 배터리(130), 충전 어셈블리(150) 및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구동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메인 배터리(110)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무선 전자 디바이스가 동작하도록 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충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메인 배터리(110)는, 외부의 전원에 의해 충전되고,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구동부에 의해 방전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무선 전자 디바이스(100)에 포함되어 있는 보조 배터리(130)는, 무선 충전 어셈블리(150)를 동작시키도록 형성되어 있고, 보조 배터리(130) 및 무선 충전 어셈블리(150) 사이에는 제 1 스위치(140)가 위치되어 있다.
제 1 스위치(140)를 턴-온(Turn-On)하면, 보조 배터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전력이 무선 충전 어셈블리(150)를 통해 스마트폰(미도시)으로 무선 공급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조 배터리(130) 역시 메인 배터리(110)와 마찬가지로, 무선 전자 디바이스(100)가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때, 충전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보조 배터리(130)는 메인 배터리(110)와 독립적이며, 무선 전자 디바이스(100)가 외부의 전원에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무선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제 1 스위치(140)를 턴-온(Turn-On)함으로써, 무선 충전 어셈블리(150)를 동작시켜 스마트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보조 배터리 및 메인 베터리가 함께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보조 배터리(130)와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구동부 사이에는 제 2 스위치(160)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 2 스위치(160)를 턴-온(Turn-On)하면, 보조 배터리(130)는 메인 배터리(110)와 함께, 무선 전자 디바이스(100)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메인 배터리(110)의 잔량이 무선 전자 디바이스(100)의 작동을 하기에 부족할 경우에, 사용자는 제 2 스위치(160)를 선택적으로 턴-온(Turn-On)함으로써, 보조 배터리(130) 역시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보조 배터리 및 메인 베터리가 함께 무선 충전 어셈블리를 동작시킨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배터리(110) 및 보조 배터리(130) 사이에 제 3 스위치(1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 3 스위치(120)를 턴-온(Turn-On)하면, 메인 배터리(110)는 보조 배터리(130)와 함께 무선 충전 어셈블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보조 배터리(130)의 잔량이 스마트폰의 충전을 하기에 부족할 경우,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제 3 스위치(120)를 턴-온(Turn-On)함으로써,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해, 메인 배터리(110)에 충전되어 있는 전력을 무선 충전 어셈블리(150)로 공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배터리가 무선 충전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전의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배터리가 무선 충전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는 블록도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전술한 실시예인 메인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와 분리되어 있는 구조가 아니라, 단일의 배터리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무선 전자 디바이스(200)는 배터리(210), 무선 충전 어셈블리(230) 및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구동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배터리(210)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형성되어 있고, 무선 전자 디바이스(200)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어셈블리(230)는 배터리로부터 스마트폰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배터리(210) 및 무선 충전 어셈블리(230) 사이에는 배터리와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는 무선 충전 스위치(220)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배터리(210)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200)가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지 않더라도, 독립적으로 무선 충전 어셈블리(23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무선 전자 디바이스(200)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일지라도, 무선 충전 스위치(220)만을 턴-온(Turn-On)함으로써, 무선 충전 어셈블리(230)를 통해 스마트폰을 무선 충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충전 플레이트가 인출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이 무선으로 충전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어셈블리에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3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보조 배터리(미도시)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스마트폰(330)을 무선으로 충전하는 충전 플레이트(320)가 구비되어 있다.
이 때, 충전 플레이트(320)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300)로부터 인출 및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충전 플레이트(320)가 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충전 플레이트(320) 상에 스마트폰(330)을 위치시키면, 스마트폰(330)이 무선으로 충전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 플레이트(320)는, 제 1 스위치(311)의 턴-온(Turn-On)에 대응하여 무선 전자 디바이스(300)로부터 인출되고, 턴-오프(Turn-Off)에 대응하여 무선 전자 디바이스(30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제 1 스위치(311)의 턴-온(Turn-On)에 대응하여, 충전 플레이트(320)가 무선 전자 디바이스(300)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스마트폰(330)이 충전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스마트폰(330)의 무선 충전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충전 플레이트(320) 상에서 스마트폰(330)을 제거한 뒤, 다시 제 1 스위치(311)를 턴-오프(Turn-Off)함으로써, 충전 플레이트(320)를 무선 전자 디바이스(300)로 자동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무선 전자 디바이스(300)는 제 2 스위치(313) 및 제 3 스위치(315)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스위치(313)를 턴-온(Turn-On)하여 보조 배터리(미도시)를 메인 배터리(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무선 전자 디바이스(300)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제 3 스위치(315)를 턴-온(Turn-On)하여 메인 배터리(미도시)를 보조 배터리(미도시)와 함께 무선 충전 어셈블리의 충전 플레이트(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자 디바이스와 근접한 거리에 있는 스마트폰이 무선으로 충전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어셈블리(미도시)에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4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스마트폰(430)을 무선 전자 디바이스(400)와 소정의 거리 이내로 근접하게 위치시키면, 스마트폰(430)이 무선 충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스마트폰(430)을 무선 전자 디바이스(400)와 소정의 거리 이내로 근접하게 위치시킨 뒤, 제 1 스위치(411)를 턴-온(Turn-On)함으로써, 스마트폰(430)을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무선 전자 디바이스(400)는 제 2 스위치(413) 및 제 3 스위치(415)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제 2 스위치(413)를 턴-온(Turn-On)하여 보조 배터리(미도시)를 메인 배터리(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무선 전자 디바이스(400)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제 3 스위치(415)를 턴-온(Turn-On)하여 메인 배터리(미도시)를 보조 배터리(미도시)와 함께 무선 충전 어셈블리(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무선 전자 디바이스(400)의 외면에는, 보조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미도시)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는 스마트폰(430)으로의 무선 충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2)

  1. 전원이 오프(Off)되더라도,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로서,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
    상기 스마트폰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무선 충전 어셈블리; 및
    상기 무선 충전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무선 충전 어셈블리를 동작시키는 보조 배터리;
    보조 배터리와 무선 충전 어셈블리의 전기적 연결을 온/오프(On/Off) 하는 제 1 스위치;
    보조 배터리가 메인 배터리와 함께 무선 전자 디바이스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제 2 스위치; 및
    메인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의 전기적 연결을 온/오프(On/Off) 하는 제 3 스위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무선 충전 어셈블리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충전하는 충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위치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 전원이 off일 때, 제 1스위치 턴-온(Turn-on)하여 보조 배터리에 전력이 무선 충전 어셈블리로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메인 배터리가 외부 전원과 분리되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지 못할 때, 선택적으로 동작하여 메인 배터리를 보조하여 무선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 3 스위치는,
    보조 배터리가 무선 충전 어셈블리로 전력을 공급하기에 배터리 잔량이 충분하지 않을 때에 제 3 스위치를 턴-온(Turn-On)하여 보조 배터리와 메인 배터리가 함께 무선 충전 어셈블리로 전력을 공급하게 하며,
    상기 충전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스위치의 턴-온(Turn-On)에 대응하여 무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인출되고, 턴 -오프(Turn-Off)에 대응하여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내부로 삽입되며, 충전 플레이트 상에 스마트 폰을 위치 시키면, 상기 스마트폰이 무선으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보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USB 단자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무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탈착된 상태에서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는, 상기 무선 전자 디바이스가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때, 상기 메인 배터리와 동시에 충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플레이트는,
    상기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도록, 스마트폰의 외형에 부합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플레이트는,
    상기 무선 전자 디바이스에서 인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충전 플레이트의 측면에는 슬라이드 레일 및 잠금 장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어셈블리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스마트폰을 무선 전자 디바이스와 소정의 거리 이내로 근접하게 위치시키면, 스마트폰이 무선 충전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무선 전자 디바이스의 외면에는,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60166358A 2016-12-08 2016-12-08 충전용 배터리가 구비된 무선 전자 디바이스 KR102269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358A KR102269111B1 (ko) 2016-12-08 2016-12-08 충전용 배터리가 구비된 무선 전자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358A KR102269111B1 (ko) 2016-12-08 2016-12-08 충전용 배터리가 구비된 무선 전자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460A KR20180065460A (ko) 2018-06-18
KR102269111B1 true KR102269111B1 (ko) 2021-06-24

Family

ID=62768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358A KR102269111B1 (ko) 2016-12-08 2016-12-08 충전용 배터리가 구비된 무선 전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1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26496A (zh) * 2023-10-13 2024-02-06 珠海智融科技股份有限公司 电源控制系统、电源控制方法和移动电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8006B2 (ja) * 1991-10-21 2001-05-21 コーネル・リサーチ・フアウンデーシヨン・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マクロ細孔ポリマー媒体が備わっているカラム
JP2005278256A (ja) * 2003-03-07 2005-10-06 Tai-Her Yang バッテリーベースより双方向に入出力可能な充電装置
US20160094076A1 (en) * 2014-09-29 2016-03-31 Apple Inc. Inductive charging between electronic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389866U (en) * 2010-03-30 2010-10-01 Winharbor Technology Co Ltd Notebook with wireless charg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8006B2 (ja) * 1991-10-21 2001-05-21 コーネル・リサーチ・フアウンデーシヨン・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マクロ細孔ポリマー媒体が備わっているカラム
JP2005278256A (ja) * 2003-03-07 2005-10-06 Tai-Her Yang バッテリーベースより双方向に入出力可能な充電装置
US20160094076A1 (en) * 2014-09-29 2016-03-31 Apple Inc. Inductive charging between electronic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460A (ko) 201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0188B1 (en) Wireless charger equipped with auxiliary power supply and auxiliary power device
CN103378639B (zh) 有线/无线充电设备和电路
US9570937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1477429B1 (ko) 코일 장치, 이를 갖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
US9502910B2 (en) Power charging apparatus and battery apparatus
US10978900B2 (en) Auxiliary battery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US9531213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N104011960A (zh) 电子设备和馈电系统
US9450448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electric energy recycling method thereof
KR101251316B1 (ko) 충전용 전원장치
KR101670128B1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1712647B1 (ko) 무선 충방전 보조 배터리
KR20140117072A (ko) 다수의 외부 장치에 유선으로 전원공급이 가능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102269111B1 (ko) 충전용 배터리가 구비된 무선 전자 디바이스
CN203871897U (zh) 一种混合型无线充电装置
KR101604228B1 (ko) 스마트폰용 유무선 충전기
KR101549438B1 (ko)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
KR101492388B1 (ko) 충전 테이블
CN205829266U (zh) 多口无线充电器
JP2016063659A (ja) 充電用コネクタ
KR101750483B1 (ko) 어댑터가 내장되어 있고 충전 편의성이 향상된 디바이스
US20200195048A1 (en) One Touch Charger
CN201758294U (zh) 静电转换电力装置
US20150130410A1 (en) Battery packag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150002758U (ko) 휴대용단말기의 무선 충전장치를 구비한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보조배터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